KR20190044122A - 절연 글레이징 유닛용 스페이서, 스페이서를 생산하는 방법 및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 - Google Patents

절연 글레이징 유닛용 스페이서, 스페이서를 생산하는 방법 및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4122A
KR20190044122A KR1020197010370A KR20197010370A KR20190044122A KR 20190044122 A KR20190044122 A KR 20190044122A KR 1020197010370 A KR1020197010370 A KR 1020197010370A KR 20197010370 A KR20197010370 A KR 20197010370A KR 20190044122 A KR20190044122 A KR 20190044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groove
plate glass
hollow chamber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0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스-베르너 쿠스터
발터 슈라이버
막크 모해흐
비앙카 벡스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90044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1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14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of tubular shape
    • E06B3/6631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of tubular shape of rubber, plastics or simila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12Articles with an irregular circumference when viewed in cross-section, e.g. window prof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66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specially adapted for units comprising more than two panes or for attaching intermediate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 E06B3/67304Preparing rigid spacer members before assemb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 E06B3/67326Assembling spacer elements with the p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6Rod-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1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821/00Use of unspecified rubbers as mould material
    • B29K2821/003Thermoplastic elasto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판유리 접촉레그(2.1), 이와 평행하게 진행하는 제2판유리 접촉레그(2.2), 제1글레이징 내측레그(3.1), 제2글레이징 내측레그(3.2), 외측레그(4), 연장 방향(E)을 따라 연장되는 제1중공챔버(5.1), 연장 방향(E)을 따라 연장되는 제2중공챔버(5.2), 및 판유리를 수용하기 위한 제1 홈 측면레그(6.1)와 제2 홈 측면레그(6.2)를 갖는 홈(6)을 갖는 본체(1)를 포함하는 절연 글레이징 유닛들용 스페이서(I, I.I)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홈(6)은 연장 방향(E)을 따라 제1중공챔버(5.1)와 제2중공챔버(5.2) 사이로 진행되고, 제1중공챔버(5.1)는 제1판유리 접촉레그(2.1), 제1글레이징 내측레그(3.1), 외측레그(4)의 제1섹션, 및 제1 홈 측면레그(6.1)에 의해 형성되고; 제2중공챔버(5.2)는 제2판유리 접촉레그(2.2), 제2글레이징 내측레그(3.2), 외측레그(4)의 제2섹션, 및 제2 홈 측면레그(6.2)에 의해 형성된다. 연장 방향(E)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압출된 판유리 수용 소켓(7)은 홈(6)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판유리 수용 소켓(7)은 중합체로 형성되며, 표면에서 홈(6)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진행되고 외측레그(4)의 방향으로 단면에서 볼 때 감소되게 테이퍼지는 수용 리세스(7.1)가 구현된다. 중합체는 DIN ISO 7619-1에 대하여 측정되는, 범위가 10에서 80, 바람직하게는 범위가 20에서 60, 특히 바람직하게는 범위가 40에서 60인 쇼어 경도 A를 갖는다.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스페이서(I, I.I) 및 스페이서(I, I.I)를 갖는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절연 글레이징 유닛용 스페이서, 스페이서를 생산하는 방법 및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
본 발명은 절연 글레이징 유닛용 스페이서, 스페이서를 생산하는 방법 및 스페이서로 구성되는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삼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용 스페이서, 그 생산 방법 및 삼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에 관한 것이다.
WO2014/198431은 압출된 본체를 포함하는, 절연 글레이징 유닛용 스페이서를 설명하며, 압출된 본체는,
-제1판유리 접촉레그,
-이와 평행하게 진행하는 제2판유리 접촉레그,
-제1글레이징 내측레그,
-제2글레이징 내측레그,
-외측레그,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중공챔버
-연장 방향과 평행하여 연장되는 제2중공챔버, 및
-판유리를 수용하기 위한 제1 홈 측면레그 및 제2 홈 측면레그를 갖는 홈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1중공챔버와 제2중공챔버 사이의 홈(groove)은 연장 방향을 따라 진행하고; 단면에서 볼 때, 제1중공챔버는 제1판유리 접촉레그, 제1글레이징 내측레그, 및 외측레그의 제1 섹션에 의해 둘러싸이고; 제2중공챔버는 제2판유리 접촉레그, 제2글레이징 내측레그, 및 외측레그의 제2 섹션에 의해 둘러싸이며, 여기서 압출된 판유리 수용 소켓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에 배열된다.
제1판유리 접촉레그는 제1판유리에 대한 고정 역할을 하고, 제2판유리 접촉레그는 제2판유리에 대한 고정 역할을 한다. 홈은 두 중공 챔버들과 평행하게 진행하고 제3판유리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제1중공챔버는 제1글레이징 내측레그를 접하는 반면에, 제2중공챔버는 제2글레이징 내측레그를 접하며, 글레이징 내부 레그들은 상단에서 중공 챔버들을 한정하고 외측레그는 하단에서 중공 챔버들을 한정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용어 "상단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를 갖는 절연글레이징의 판유리 사이 공간을 향하는" 것을 의미하고 "하단에서"는 "판유리 사이 공간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것을 의미한다. 판유리 접촉레그들과 홈 측면레그는 각각의 경우에서, 글레이징 내부 레그들과 외측레그 사이의 연결부(connection)이다. 홈은 제1글레이징 내측레그와 제2글레이징 내측레그 사이에서 진행하므로, 홈은 측면으로 그들을 한정하고 제1중공챔버와 제2중공챔버를 서로 분리시킨다.
본 발명은 일체형(one-piece) 이중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또한 "이중 스페이서"로 언급되고, 일실시예에 있어서, 삼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모든 3개의 판유리들이 이것 위에 고정될 수 있다. 2개의 외부 판유리(제1판유리 및 제2판유리)는 판유리 접촉레그에 장착되고 중간 내부 판유리는 2개의 중공 챔버들을 분리시키는 홈에 배열된다.
그러한 이중 스페이서를 사용하는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구조에서의 특별한 특징은 홈에 배열되는 내부 판유리가 홈과 기밀하게 밀봉된 인터페이스를 형성하지 않는다는 것에 있다. 그러한 밀봉된 고정은 또한 상당히 의도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는데, 예를 들어, 중간 판유리의 우측 및 좌측에 대한 구획들 사이의 압력을 균등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것은 예를 들어, 외부 판유리가 풍하중(wind loads)으로 변형될 경우, 글레이징 내의 압력의 증가가 양 구획들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내부 판유리가 홈에서 배열되는 방법에 따라, 좁은 갭은 홈과 내부 판유리의 에지 사이에서 일관되지 않은 기계적 접촉의 경우에 형성된다. 갭에 의해 분리되는 영역들은 그들의 치수들에 따라, 외부 진동 소스들에 의해 공진적으로 여기될 수 있는 고유 주파수들을 갖는다. 이것은 그 다음, 성가신 진동 소음들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한 진동 소음들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것은 예를 들어, 에틸렌 디엔 고무로 이루어지는, 내부 판유리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삽입체를 스페이서의 홈 안으로 삽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그러한 삽입체를 삽입하는 것은 삼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스페이서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을 복잡하게 한다. 그러한 스페이서들은 통상 연속 모드의 압출에 의해 생산된다.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들의 구성시, 이에 따라 생산된 스페이서들은 소잉(sawing) 및 밀링(milling) 작업들에 의해 필요한 치수들로 절단된다. 그러나, 소잉 및/또는 밀링 작업 동안에, 홈 안에 배치되는 삽입체들은 빈번히 홈으로부터 탈출한다. 그 결과,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생산은 전술된 스페이서의 구조로 인하여 어렵게 된다.
더욱이, 홈에 가스 투과성 삽입체를 배열하는 것은 WO2016/091646 A1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가수 투과성 삽입체는 중합체 본체와 공동 압출되거나 홈 안으로 슬라이드 또는 플러그될 수 있다. 그러나, 중합체 본체와 함께 삽입체의 공동 압출은 실제로 달성하기 어렵다.
더욱이, 내부 구조, 예를 들어 건조제를 둘러싸는 외부 쉘을 갖는 스페이서가 EP3020908A1으로부터 공지되며, 여기서 외부 쉘은 내부 구조와 함께 압출되어 형성되는 복합물(composite)로 존재한다. 스페이서는 이중 스페이서로 구현되고 접착성 접착제(glue)에 의해 스페이서에 견고하게 접합되는 중간 내부 판유리를 수용하기 위한 홈을 가질 수 있다.
DE2835669A1은 또한 다중판유리 조립체를 설명하며 그것의 판유리들은 접착제에 의해 접합된 스페이서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US2014/0109499A1는 홈을 갖는 이중 스페이서를 추가로 설명하며, 이중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그것의 홈 측면레그들은 접착제에 의해 중간 내부 판유리에 접합된다. 대안적으로, 긴 씰(elongate seal)도 마련될 수 있으며, 이는 제1글레이징 내측레그 및 제2글레이징 내측레그와 체결하고 중간 내부 판유리를 수용할 수 있다. 글레이징 내부 레그들은 홈 측면레그들에 의해 형성되는 홈 안으로 돌출한다.
WO2016/068305A1는 하나 또는 복수의 중간 내부 판유리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홈들을 갖는 스페이서를 개시한다. 각각의 홈은 클램프형 방식으로 각각의 내부 판유리를 유지하는 삽입체를 갖는다. 삽입체는 적절한 유지력(retaining force)을 제공하기 위해, 범위가 50에서 90까지 이르는 쇼어 경도(Shore hardness)를 갖는 염화 비닐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 또는 고무이다. 그것은 내부 판유리들 사이의 구획들 내의 압력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 홈과 부분적으로만 접촉하도록 배열되며, 이는 예를 들어, 온도 변화들과 함께 변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절연 글레이징 유닛용 스페이서, 스페이서를 생산하는 방법, 및 생산하거나 수행하기 더 단순하고 따라서 비용들을 절감할 수 있는 스페이서로 구성된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 청구항들인 제1항, 제8항, 및 제13항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 유닛용 스페이서, 그 생산 방법, 및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으로부터 명백하다.
본 발명에 따라 중합체로 형성될 판유리 수용 소켓이 마련되며, 그 표면에서 수용 리세스가 구현되어, 홈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진행하고 외측레그의 방향으로 단면에서 볼 때 감소되게 테이퍼지고(tapered), 여기서 중합체는 DIN ISO 7619-1에 대하여 측정되는, 범위가 10에서 80인, 바람직하게는 범위가 20에서 60인, 특히 바람직하게는 범위가 40에서 60인 쇼어 경도 A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스페이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홈의 하단에 판유리 수용 소켓을 마련하여,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 특히 삼중 글레이징 유닛의 내부 판유리의 정밀하고 비-밀봉된(non-hermetic) 장착을 가능하게 한다. 언급된 쇼어 경도 범위에서 판유리 수용 소켓용 중합체를 선택하게 되면 먼저, 내부 판유리가 홈에서 양호하게 기계적으로 지지된다. 외측레그의 방향으로 감소되게 테이퍼지는 수용 리세스에 의해, 판유리의 외부 에지를 기계적으로 강건하게 파지(grip)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단단히 고정되지 않은 판유리 외부 에지들에 의해 발생되는 원치 않는 래들링 소음들(rattling noises ) 또는 공명 효과들이 더 이상 발생할 수 없다. 수용 리세스는 테이퍼진다. 따라서 그것은 내부 판유리의 도입 방향에서 볼 때, 감소하는 폭을 가지며, 이것에 의해 수용 리세스는 내부 판유리의 판유리 외부 에지가 기계적으로 파지될 정도로 적어도 충분히 작게 된다. 따라서, 수용 리세스는, 테이퍼링에 의해, 내부 판유리의 두께보다 훨씬 더 좁게 됨으로써, 이러한 수단에 의해, 기하학적 형상이 판유리 외부 에지를 기계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더욱이, 선택된 중합체들의 쇼어 경도들은 판유리 외부 에지들의 완만한(gentle) 기계적인 고정을 실현하도록 도입되는 판유리의 유리 재료에 비해 충분히 연성이다. 둘째, 그러한 중합체들은 그 경도로 인해, 클로깅(clogging) 없이 기계가공에 의해 절단될 수 있으므로, 툴(tool)에 대한 손상 없이 스페이서를 소정 크기로 절단하는 소잉(sawing) 및 밀링(milling) 작업 동안에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바람직한 결과는 분리 툴 및 분리 툴의 운영 파라미터들에만 의존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경도의 선택은 스페이서의 비용 효율적인 추가 공정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판유리의 고정은 중합체 판유리 수용 소켓을 갖는 홈에 의해 수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는 특히, 내부 판유리의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이 없이 내부 판유리 상에 로이(low-E) 코팅을 갖는 삼중 글레이징 유닛의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그 대신,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사용으로, 프리스트레싱 공정은 제거되며, 그 결과로서 추가적인 비용 감소가 달성될 수 있다. 판유리 수용 소켓을 갖는 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스 없는 고정에 의해, 내부 판유리의 두께 및 이에 따른 중량이 더욱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쇼어 경도(Shore hardness)는 여러 가지의 경도 측정 장비들로 측정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연성의 엘라스토머들에 경우, 무딘 끝(blunted point)를 구비한 바늘을 갖는 쇼어(Shore) A 측정 장비들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상대적으로 강성의 플라스틱의 경우, 구형 팁(spherical tip)을 구비한 바늘을 갖는 쇼어 D 측정 장비들이 사용된다. 쇼어 A 및 쇼어 D 값들은 서로 비교되거나 오버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수용 소켓의 중합체는 DIN ISO 7619-1에 대하여 측정되는, 쇼어 경도 A 50을 갖는다.
제1판유리 접촉레그 및 제2판유리 접촉레그는 스페이서의 설치시,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외부 판유리들(제1판유리 및 제2판유리)의 장착이 행하여지는 스페이서의 측면들을 구성한다. 제1판유리 접촉레그 및 제2판유리 접촉레그는 서로 평행하게 진행한다. 중합체 본체의 외측레그는 글레이징 내부 레그들에 대향하는 스페이서의 측면이며,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내부로부터 멀리 그리고, 선택적으로 외부 절연필름(insulating film)의 방향으로 향한다. 외측레그는 판유리 접촉레그들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판유리 접촉레그들에 가장 가까운 외측레그의 섹션들은 대안적으로, 판유리 접촉레그들의 방향으로 판유리 접촉레그들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외측레그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30°내지 60°의 각도로 경사될 수 있다. 이러한 각진 기하학적 구조는 중합체 본체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스페이서의 외측레그에 선택적으로 마련되는 절연필름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가 더 양호하게 접착 본딩되도록 한다. 다른 한편으로, 전체 폭에 걸쳐 판유리 접촉레그들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외측레그는, 스페이서와 판유리 접촉레그들 사이의 밀봉 표면이 최대화되고 결과적으로 더 단순한 형상에 의해 생산 공정이 촉진되는 장점이 있다.
홈은 그 안에 장착될 내부 판유리의 두께보다 더 넓은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중합체 판유리 수용 소켓은 예를 들어, 창문의 개폐시 또는 외부의 사운드 소스들로부터 공명되는 경우에, 판유리의 기계적 움직임 및 그로 인한 소음 발생을 방지하도록 홈 안으로 도입될 수 있다. 중합체 판유리 수용 소켓은 스트레스 없는 고정이 기후 조건들에 관계없이 보장되도록, 따듯한 동안에 내부 판유리의 열적 팽창을 추가로 보상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테이퍼링 수용 리세스는 판유리 수용 소켓의 압출된 중합체의 표면에 성형된다. 수용 리세스의 몰딩-인(molding-in)은 예를 들어, 프로파일링 툴, 예를 들어 스탬핑 툴에 의해 수행된다. 프로파일링 툴은 수용 리세스가 판유리 수용 소켓에 형성되도록 이러한 점성 중합체 덩어리 안으로 판유리 수용 소켓의 아직 냉각되지 않은 압출 중합체의 표면을 통해 관통한다. 수용 리세스를 형성하는 스탬핑력(stamping force)이 프로파일링 툴을 통해 가해지기 때문에, 본체와 판유리 수용 소켓을 공동 압출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게 된다. 이것이 행해지면, 스탬핑력의 인가로 인해, 판유리 수용 소켓의 점성 중합체뿐만 아니라 마찬가지로 여전히 점성인 중합체 본체의 인접한 섹션들을 변형시키는 위험이 있을 것이다. 프로파일링 툴에 의해 엠보싱되는 압출된 판유리 수용 소켓의 표면은 홈 내의 판유리 수용 소켓이 개별 삽입체로서 구현되거나 판유리 수용 소켓이 공동 압출되는 다른 압출된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를 구별 가능하게 만드는 구조적 특징이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로서의 판유리 수용 소켓의 중합체는 TPA(TPE-A 또는 폴리아미드-TPE로도 언급됨), TPC(TPE-C 또는 코폴리에스테르-TPE로도 언급됨), TPS(TPE-S 또는 스티렌-TPE로도 언급됨), TPU(TPE-U 또는 우레탄-TPE로도 언급됨), 또는 TPV(가교 고무(cross-linked rubber)를 갖는 TPE 또는 TPE-V로도 언급됨)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체는 TPU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PU는 TPU-ARES(방향족 경질 세그먼트, 폴리에스테르 연질 세그먼트), TPU-ARET(방향족 경질 세그먼트, 폴리에스테르 연질 세그먼트), 또는 TPU-AREE(방향족 경질 세그먼트, 에테르 및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연질 세그먼트)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마찬가지로 지방족 TPU들이 적합하다.
판유리 수용 소켓은 홈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판유리 수용 소켓은 홈의 상부 에지를 넘어서 돌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판유리 수용 소켓은 홈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는 글레이징 내부 레그를 넘어서 및 2개의 홈 측면레그들을 넘어서 돌출하지 않는다. 판유리 수용 소켓은 적어도 부분적으로(in sections) 홈의 하단을 커버하도록 홈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체 판유리 수용 소켓 또는 중합체 판유리 수용 소켓 섹션들은 홈의 하단에 부착된다. 이러한 부착은 개별 접착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거나 제조공정중에 중합체 판유리 수용 소켓의 고형화에 의해 홈의 하단 상에서 자연히 진행될 수 있다.
판유리 수용 소켓에서 수용 리세스가 구현되어 홈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진행하고, 외측레그의 방향으로 단면에서 볼 때 감소되게 테이퍼진다. 따라서, 수용 리세스는 가변 폭을 갖는데, 그 가장 작은 폭은 홈 및 수용 리세스 안으로 도입될 내부 판유리의 두께 이하이다. 홈을 형성하는 홈 측면레그들의 두께는 변할 수 있다. 홈을 형성하는 홈 측면레그들의 두께는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고, 홈을 형성하는 홈 측면레그들은 또한 외측레그의 방향으로 단면에서 볼 때 감소하는 테이퍼(taper)를 갖는다. 테이퍼링 기하학적 구조로 인하여, 판유리 수용 소켓을 위한 재료가 덜 필요하게 되고, 중합체는 판유리 수용 소켓을 형성하도록 홈의 하단 영역에서 압출된다. 언급된 쇼어 경도를 갖는 중합체들은 압출된 본체를 위한 중합체들과 비교하여 높은 가격을 가지므로, 서로를 향해 테이퍼링되도록 설치되는 홈 측면레그들을 통해 스페이서 생산 가격을 추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이것은 더 많은 건조제가 거기에 도입될 수 있도록 제1중공챔버과 제2중공챔버의 볼륨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설치위치에서 스페이서의 서비스 수명이 증가된다.
판유리 수용 소켓은 연장 방향을 따라 볼 때 홈에서 연속적으로 진행하고 실질적으로 균일한 단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에서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판유리 수용 소켓은 홈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홈 측면레그들의 하단 및 측면들(flanks)을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창유리 수용 소켓은 생산기술 측면에서 가능한 정도까지, 완전히 또는 실질적으로 완전히 홈의 내부 표면을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바람직하게는, 판유리 수용 소켓은 세그먼트화되며, 인접한 세그먼트들은 서로에 대해 이격됨으로써 판유리 수용 소켓이 홈에서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실질적으로 균일한 단면적을 갖는다. 세그먼트화된 배치의 결과로서, 제3판유리의 좌측 및 우측 체적들 사이의 가스 교환이 단순화된다. 바람직하게는, 판유리 수용 소켓의 인접한 세그먼트들은 5mm 내지 50mm, 바람직하게는 10mm 내지 3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5mm 내지 25mm 이격되어 배열된다. 세그먼트들은 연장 방향으로 볼 때 동일한 치수들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세그먼트는 연장 방향으로 홈을 따라 15mm, 바람직하게는 20mm 연장된다. 각각의 경우에서, 판유리 수용 소켓의 세그먼트들은 바람직하게는 홈의 하단을 커버하고 홈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홈 측면레그들의 측면들을 따라 연장된다.
홈의 하단면은 홈 아래로 연장되는 하나 또는 두 중공 챔버들 없이, 중합체 본체의 외측레그에 직접 인접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홈의 가능한 가장 큰 깊이가 획득되며, 이에 인접하는 홈 측면레그들의 표면 또는 판유리 수용 소켓의 섹션들은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에서 내부 판유리의 안정을 위해 최대화된다.
홈의 제1 홈 측면레그 및 제2 홈 측면레그는 판유리 접촉레그와 평행하게 진행하거나 한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홈 측면레그들의 경사는, 홈 안으로 도입될 판유리 수용 소켓의 중합체 체적을 감소시키고 건조제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 공간들의 체적들을 증가시키는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에 삽입될 내부 판유리의 방향으로 하향 감소 테이퍼(downward decreasing taper)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 측면레그들이 경사지면서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에 도입될 내부 판유리 방향으로 하향 테이퍼링 홈을 형성할 때, 이것들은 가변 두께 또는 일정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전자의 경우, 홈에 인접한 홈 측면레그들의 측면들만이 경사되는 반면에, 중공 공간들에 인접한 홈 측면레그들의 측면들은 판유리 접촉레그들과 평행하게 진행한다. 후자의 경우, 홈에 인접한 측면들 및 중공 공간들에 인접한 홈 측면레그들의 측면들이 경사된다. 후자의 경우가 바람직하다.
더욱이, 만곡된 측면레그들도 고려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홈 측면레그들의 중간 섹션 및 그 위에 배치되는 판유리 수용 소켓만이 내부 판유리에 맞닿게 된다. 만곡된 홈 측면레그들은 특히 작은 벽 두께의 경우, 매우 양호한 스프링 작용을 갖는다. 이것은 홈 측면레그들의 가요성을 추가로 증가시켜 내부 판유리의 열적 팽창이 유리하게 보상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만곡된 홈 측면레그들은 중합체 본체와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이와 함께 공동 압출된다. 이에 따라, 이것은 홈 측면레그들의 가요성이 적절한 재료의 선택에 의해 선택적으로 증가될 수 있는 반면에, 중합체 본체의 강직성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특히 유리하다.
이미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홈 측면레그 및 제2 홈 측면레그는 홈이 외측레그의 방향으로 테이퍼지도록 배열된다. 제1 및 제2 홈 측면레그들은 홈에 수용될 내부 판유리의 방향으로 수직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판유리 접촉레그들에 대해 내측으로 경사진다. 판유리 수용 소켓도 외측레그의 방향으로 테이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유리 수용 소켓 및 홈 측면레그들은 동일 또는 상이한 각도의 테이퍼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것들은 동일한 각도의 테이퍼를 갖는다.
변형예로서, 판유리 수용 소켓의 중합체는 본체와 비교하여 대조적으로 컬러화된다. 원하는 대로 컬러화된 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제조자의 희망들에 따라 컬러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결과적인 외관이 환경에 조화롭게 섞이게 된다. 중합체 본체와 홈의 재료 또한 컬러화될 수 있다. 판유리 수용 소켓의 중합체는 본체를 둘러싸는 표면에 대해 거의 또는 전혀 콘트라스트ontrast)를 갖지 않는 컬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수용 소켓은 추가적으로 제공된 중합체 구성요소로서 주의를 끌지 않고 중립적인(neutral) 시각적 외관을 달성한다.
판유리 수용 소켓은 본체에 직접 성형되고 이에 따라 함께 일체형(one piece)으로 구현되며, 판유리 수용 소켓은 본체를 생산하기 위한 압출단계 다음에 이어지는 제 2 압출단계에서 중합체 본체 상으로 직접 성형된다. 이 경우, 판유리 수용 소켓의 재료는 본체에 잘 부착되도록 선택된다. 특히, 전술한 열가소성의 엘라스토머들은 쇼어 경도와 접착력으로 인해 판유리 수용 소켓 재료로 이상적으로 적합하다.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글레이징 내부 레그를 따라서, 10 mm 내지 60 mm, 바람직하게는 20 mm 내지 36 mm의 전체 폭을 갖는다. 예를 들어, 삼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에서 글레이징 내부 레그의 폭의 선택은 제1판유리와 내부 판유리 사이 또는 내부 판유리와 제2판유리 사이의 거리를 결정한다. 제1글레이징 내측레그 및 제2글레이징 내측레그의 폭들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2개의 글레이징 내부 레그들이 상이한 폭들을 갖는 비대칭 스페이서들도 가능하다. 글레이징 내부 레그의 정확한 치수는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치수 및 판유리 사이 공간들의 원하는 크기들에 의해 결정된다.
본체는 판유리 접촉레그를 따라, 5 mm 내지 15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5 mm 내지 10 mm의 높이를 갖는다. 홈은 바람직하게는 1 mm 내지 15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2 mm 내지 4 mm의 깊이를 갖는다. 판유리 수용 소켓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4.5 mm, 바람직하게는 1 mm 내지 3 mm의 깊이를 갖는다.
본체의 벽 두께는 특히 중합체들로 이루어지는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0.5 mm 내지 15.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mm 내지 10.0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7 mm 내지 1.0 mm이다.
스페이서는 외부 절연필름(insulating film)으로도 언급되는 본체의 외측레그 상에 절연필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층뿐만 아니라 금속 층 또는 세라믹 층을 포함한다. 중합체 층의 층 두께는 5 ㎛ 내지 80 ㎛ 사이인 반면에, 10 nm 내지 200 nm의 두께를 갖는 금속층 및/또는 세라믹 층이 사용된다. 절연필름은, 언급된 층 두께 범위내에서 특히 우수한 누설방지성(leakproofness)을 갖는다.
절연필름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층과 교대로 배열되는 적어도 2개의 금속 층들 및/또는 세라믹 층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층들은 중합체 층에 의해 형성된다. 절연필름의 교번층(alternating layers)은 종래의 기술에서 공지된 매우 다양한 방법들을 사용하여 서로 접합되거나 서로의 위에 도포될 수 있다. 금속 또는 세라믹 층들의 증착방법들은 당업자에게 잘 공지되어 있다. 다수의 얇은 층들을 적용하는 것은 층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접착 문제들의 위험이 증가하므로 하나의 두꺼운 층에 비해 유리할 수 있다. 더 두꺼운 층은 보다 높은 열전도성을 가지게 되고, 이것으로 인해 필름이 열역학적으로 덜 적합하게 된다.
중합체 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 비닐 알코올, 폴리비닐리덴 염화물,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실리콘, 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층은 철, 알루미늄, 은, 구리, 금, 크롬, 및/또는 이들의 합금 또는 혼합물들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라믹 층은 실리콘 산화물 및/또는 실리콘 질화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절연필름은 0.01 g/(m2h) 미만의 가스 투과도(gas permeation)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체 본체 및 외부 절연필름의 복합체는 0.05 W/mK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35 W/mK 이하인 PSI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필름은 중합체 본체에, 예를 들어 접착제로 도포될 수 있다.
중합체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중공 챔버들 내에 건조제, 바람직하게는 실리카 겔, 분자체(molecular sieve), CaCl2, Na2S04, 활성 탄소, 규산염,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들을 포함한다. 건조제는 본체의 제1 및 제2중공챔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글레이징 내측레그 및/또는 제2글레이징 내측레그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갖는다. 다수의 개구부가 양 글레이징 내부 레그들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부의 전체 수는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크기에 좌우된다. 개구부는 중공 챔버들을 판유리 사이 공간들에 연결하며, 그 결과로 그들 사이의 가스 교환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중공 챔버에 위치되는 건조제에 의한 대기 습기의 흡수를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판유리들의 김서림(fogging)을 방지한다. 개구부는 바람직하게는 슬롯들,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mm의 폭과 2 mm의 길이를 갖는 슬롯들로 구현된다. 슬롯들은 중공 챔버에서 판유리 사이 공간들로 침투할 수 있는 건조제가 없이 최대 공기 교환을 보장한다.
본체는 하나 또는 복수의 중합체들로 이루어지는 실시예에서, 고밀도(HD)/저밀도(LD) 폴리에틸렌(PE),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 폴리부타디엔, 폴리니트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아크릴에스테르(ASA),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폴리카보네이트(ABS/PC),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SAN), PET/PC, PBT/PC 및/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들 또는 혼합물을 포함한다.
중합체 본체는 유리 섬유 강화되는(glass-fiber-reinforced)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 내의 유리 섬유 함유량의 선택을 통해, 열팽창/계수는 가변되고 조정될 수 있다. 상이한 재료들 사이의 온도 유도 스트레스들(temperature-induced stresses) 및 절연필름의 박편(flaking)은 중합체 본체 및 선택적인 외부 절연필름의 열팽창 계수를 매칭시킴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의 유리 섬유 함량을 갖는다. 중합체 본체 내의 유리 섬유 함량은 강도 및 안전성을 동시에 향상시킨다. 유리 섬유 함량은 기계적 강도를 현저하게 저하시키기 않고 단열 효과를 더 증가시키기 위해 중공 글래스 비드들로 부분적으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는 바람직하게는 다중 글레이징들에서, 바람직하게는 절연 글레이징 유닛들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삼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들에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단계들을 갖는 절연 글레이징 유닛용 스페이서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압출단계에서, 중합체 본체가 압출된다. 중합체 본체는 제1판유리 접촉레그, 이와 평행하게 진행하는 제2판유리 접촉레그, 제1글레이징 내측레그, 제2글레이징 내측레그, 외측레그,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중공챔버,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중공챔버, 및 판유리를 수용하기 위한 제1 홈 측면레그 및 제2 홈 측면레그를 갖는 홈을 갖는다. 홈은 연장 방향을 따라 제1중공챔버과 제2중공챔버 사이에서 진행하고; 제1중공챔버는 단면에서 볼 때, 제1판유리 접촉레그, 제1글레이징 내측레그, 및 외측레그의 제1 섹션에 의해 둘러싸이고; 제2중공챔버는 단면에서 볼 때, 제2판유리 접촉레그, 제2글레이징 내측레그, 및 외측레그의 제2 섹션에 의해 둘러싸인다. 제1압출단계 후 소정시간이 지나고 실시되는 제2압출단계에서, DIN ISO 7619-1에 의해 측정된 범위가 10에서 80, 바람직하게는 범위가 20에서 60, 특히 바람직하게는 범위가 40에서 60인, 쇼어 경도 A를 갖는 중합체로 형성되고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판유리 수용 소켓이 홈 안으로 도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들의 생산에서 특히 유리하게 추가적으로 처리될 수 있는 경제적인 스페이서가 간단한 방식으로 생산될 수 있다. 특히, 이에 따라 생산된 스페이서는 소잉 및 밀링 툴들을 막히게(clogging) 하지 않으며 소잉 가능하고 밀링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TPA, TPC, TPS, TPU, 또는 TPV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제2압출단계에서 판유리 수용 소켓용 중합체로서 사용된다.
제1압출단계 이후 및 제2압출단계 이전에, 교정단계(calibration step)가 수행된다. 교정단계에서, 스페이서의 중합체 본체는 압출단계 후에 스페이서의 구조 및 치수를 고정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진공 및 냉각 처리 단계들을 거친다. 더욱이, 교정단계는 2개의 글레이징 내부 레그들에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천공 작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개구부는 바람직하게는 슬롯들로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mm의 폭 및 길이 2 mm의 길이를 갖는 슬롯들로 구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압출단계 이후, 프로파일링단계(profiling step)가 수행되는데, 이때 외측레그의 방향으로 단면에서 볼 때 감소되게 테이퍼링되는 수용 리세스가 판유리 수용 소켓의 중합체 안으로 성형된다. 프로파일링단계는, 판유리 수용 소켓의 중합체가 제2압출단계 이후 아직 냉각되지 않는 동안에, 바람직하게는 프로파일링 툴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스탬핑(stamping) 툴이 프로파일링 툴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탬핑 툴은 예를 들어, 테플론(Teflon)으로 제조된다.
프로파일링단계 후에, 스페이서는 외측레그 및 글레이징 내부 레그들 상에 기능 층들 또는 필름들이 마련된다. 이는 이미 전술되었다.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들의 생산에서 추가 처리를 위해, 스페이서는 소잉 및/또는 밀링 작업들을 사용하여 절단된다. 이들 작업들에 의해,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용 스페이서는 원하는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판유리 크기들에 맞추어 원하는 치수들로 절단되어 제공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스페이서의 절단 후에, 중공 챔버들은 건조제로 원하는 정도로 충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판유리, 제2판유리, 및 내부 판유리로서 배치되는 제3판유리, 그리고 판유리들을 이격시키는 판유리들의 에지들에 본 발명에 따른 원주형 스페이서를 적어도 포함하는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에 관한 것이다. 제1판유리는 스페이서의 제1판유리 접촉레그에 기대어 있고 제2판유리는 제2판유리 접촉레그에 기대어 있다. 내부 판유리는 스페이서의 판유리 수용 소켓을 갖는 홈에 삽입된다. 내부 판유리는 스페이서의 판유리 수용 소켓이 구비된 홈 안으로 삽입된다.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코너들에서, 스페이서들은 바람직하게는 코너 커넥터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코너 커넥터들은 예를 들어, 접합부(seal)를 갖는 성형 플라스틱 부품들로서 구현될 수 있는데, 여기서 연귀 절단부(miter cut)가 마련된 2개의 스페이서들이 맞붙는다. 원칙적으로, 절연 글레이징 유닛들의 매우 다양한 기하학적 구조들, 예를 들어 직사각형, 사다리꼴 및 둥근 형상들이 가능하다. 만곡된 기하학적 구조들을 생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는 예를 들어, 가열된 상태에서 구부러질 수 있다.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판유리들은 접합부(seal)을 통해 스페이서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접합부는 제1판유리와 제1판유리 접촉레그 및/또는 제2판유리와 제2판유리 접촉레그 사이에 배치된다. 접합부는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또는 실란-변성(silane-modified) 중합체,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기 다황화물들(polysulfide), 실리콘들, 실온 가황 실리콘 고무(room temperature vulcanizing silicone rubber), 고온 가황 실리콘 고무(high temperature vulcanizing silicone rubber), 과산화물 가황 실리콘 고무(peroxide vulcanizing silicone rubber), 및/또는 부가 가황 실리콘 고무, 폴리우레탄, 부틸 고무, 특히 폴리이소부틸렌, 및/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외측레그 사이와 판유리들의 외부 에지들 사이의 에지 영역에서, 외부 절연부(outer insulation)는 원주방향으로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실링 화합물(plastic sealing compound)이 외부 절연부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절연부는 중합체 또는 실란 변성 중합체,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기 다황화물(polysulfide), 실리콘, 실온 가황 실리콘 고무(RTV), 고온 가황(HTV) 실리콘 고무, 과산화물 가황 실리콘 고무, 및/또는 부가 가황 실리콘 고무, 폴리우레탄, 부틸 고무, 특히 폴리이소부틸렌계 핫-멜트 접착제, 및/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외부 판유리들과 내부 판유리들 사이의 판유리 사이 공간들은 판유리 장치의 가압 전에 보호 가스로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 글레이징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불활성 가스(noble gas), 바람직하게는 아르곤 또는 크립톤으로 충전되며, 이는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사이 공간에서 열전달 값을 감소시킨다. 대안적으로,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은 공기로 채워진다.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들을 위해 사용되는 판유리들은 바람직하게는 유리 및/또는 중합체들, 특히 바람직하게는 석영 유리, 붕규산염 유리(borosilicate glass), 소다 석회 유리,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들을 함유한다.
외부 판유리들은 바람직하게는 2 mm 내지 50 mm, 바람직하게는 3 mm 내지 16 mm의 두께를 가지며, 2개의 판유리들은 상이한 두께들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내부 판유리는 바람직하게는 1 mm 내지 4 mm, 바람직하게는 1 mm 내지 3 mm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mm 내지 3 mm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는 내부 판유리의 스트레스 없는 고정을 통해, 글레이징 유닛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내부 판유리의 두께를 유리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내부 판유리의 두께는 외부 판유리의 두께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삼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1판유리의 두께는 3 mm이고; 제2판유리의 두께는 4 mm이고; 내부 판유리의 두께는 2 mm이다. 외부 소음원을 향하는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외부 판유리가 상당히 더 두꺼우면,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소음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전체 중량은 내부 판유리가 더 얇고 외부 판유리가 대응하여 더 두꺼우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내부 판유리는 로이(low-E) 코팅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내부 판유리는 프리스트레스되지(prestressed) 않거나,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은 삼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절연 글레이징 유닛은 3개보다 많은 판유리들을 포함한다. 스페이서는 추가적인 판유리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판유리 수용 소켓을 구비한 복수의 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중 판유리들은 복합유리판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은 예를 들어, 삼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으로 전술한 스페이서의 사용하여 아래 단계들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a) 내부에 마련된 판유리 수용 소켓을 구비하고 내부 판유리의 에지들에 대한 크기로 절단되는 스페이서의 홈으로, 내부 판유리를 삽입,
b) 제1판유리를 스페이서의 제1판유리 접촉레그에 장착,
c) 제2판유리를 스페이서의 제2판유리 접촉레그에 장착, 및
d) 판유리 조립체를 가압.
판유리 조립체를 가압하기 전에, 스페이서들은 코너 각도들 및/또는, 예를 들어, 초음파 용접을 통해 코너 영역들에서 서로 연결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단계 a)와 단계 b) 사이에, 접합부가 제1판유리 접촉레그에 도포될 수 있고; 단계 a)와 단계 b) 또는 단계 c) 사이에, 다른 접합부가 제2판유리 접촉레그에 도포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단계 c)와 단계 d) 사이에, 제1판유리와 내부 판유리 사이뿐만 아니라 제2판유리와 내부 판유리 사이에 형성되는 판유리 사이에 형성된 공간들이 보호 가스로도 충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들은 단순히 개략도적인 표현이고 축척과 일치하지 않는다. 도면들은 본 발명을 전혀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가능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가능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스페이서를 생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가능한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스페이서의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를 생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I)의 가능한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스페이서(I)는 유리 섬유 강화될 수 있는 중합체 본체(1)를 갖는다. 중합체 본체(1)는 제1판유리 접촉레그(2.1), 이에 평행하게 진행하는 제2판유리 접촉레그(2.2), 제1글레이징 내측레그(3.1), 제2글레이징 내측레그(3.2) 및 외측레그(4)를 포함한다. 제1중공챔버(5.1)는 외측레그(4)와 제1글레이징 내측레그(3.1) 사이에 위치되고, 이는 연장 방향(E)으로 연장되지만, 제2중공챔버(5.2)은 외측레그(4)와 제2글레이징 내측레그(3.2) 사이에 배열되고 연장 방향(E)과 평행하게 제1중공챔버(5.1)와 평행하도록 연장된다. 홈(6)이 두 개의 중공 챔버들(5.1, 5.2) 사이에 위치되며, 이는 또한 연장 방향(E)과 평행하게 진행한다. 제1 홈 측면레그(6.1)와 제2 홈 측면레그(6.2)는 두 개의 중공 챔버들(5.1, 5.2)의 벽들에 의해 형성되는 반면, 홈(6)의 하단면(6.3)은 외측레그(4)에 직접 인접한다. 이에 따라, 홈(6)의 최대 깊이가 얻어진다. 홈(6)의 2개의 홈 측면레그들(6.1, 6.2)은 홈(6)에 수용될 내부 판유리(미도시)의 방향으로 내측으로 경사짐으로써 홈(6)이 외측레그(4)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되게 테이퍼링되는 리세스(recess)로 구현된다. 중합체 본체의 벽 두께(d)는 1mm이지만, 홈 측면레그들(6.1, 6.2) 영역의 감소된 벽 두께(d')는 0.8mm이다. 외측레그(4)의 대부분은 판유리 접촉레그들(2.1, 2.2)에 수직하고 글레이징 내부 레그들(3.1, 3.2)과 평행하게 진행한다. 그러나, 판유리 접촉레그들(2.1, 2.2)에 가장 가까운 외측레그(4)의 섹션들은 판유리 접촉레그들(2.1, 2.2)의 방향으로 외측레그(4)에 대해 30°내지 60°의 각도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각도의 기하학적 구조는 중합체 본체(1)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절연필름(미도시)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I)의 접착력을 향상시킨다. 글레이징 내부 레그들(3.1, 3.2)은 일정하게 이격된 간격으로, 중공 챔버들(5.1, 5.2)을 글레이징 내부 레그들(3.1, 3.2) 상부에 위치되는 공간에 연결하는 개구부(8)를 갖는다. 스페이서(I)는 6.5 mm의 높이와 34 mm의 전체 폭을 갖는다. 홈(6)은 3 mm의 깊이를 갖지만, 제1글레이징 내측레그(3.1)와 제2글레이징 내측레그(3.2)는 각각의 경우, 16 mm의 폭을 갖는다. 제1중공챔버(5.1)과 제2중공챔버(5.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건조제(11)로 충전된다. 판유리 수용 소켓(7)은, 연장 방향(E)과 평행하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DIN ISO 7619-1에 의해 측정된 범위가 40에서 60인 쇼어 경도(Shore hardness) A를 갖는 중합체로 형성되어 홈(6)에 배치된다. 판유리 수용 소켓(7)은 외측레그(4)의 방향으로 감소되게 테이퍼링되는 수용 리세스(7.1)를 갖는다. 이러한 스페이서(I)는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에 대해 요구되는 치수들을 마련하기 위해 문제 없이 추가로 처리--특히, 소잉 및 밀링--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설명되는 스페이서를 사용하는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가능한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은 삼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으로 구현된다. 따라서, 스페이서(I)를 설명하기 위해, 도 1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설명을 참조한다. 삼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제1판유리(13)는 접합부(seal, 10)를 통해 스페이서(I)의 제1판유리 접촉레그(2.1)에 연결되는 반면에, 제2판유리(14)는 다른 접합부(10)을 통해 제2판유리 접촉레그(2.2)에 연결된다. 접합부들(10)은 각각의 경우에 부틸 고무(butyl rubber)로 이루어진다. 스페이서(I)의 홈(6)에서, 내부 판유리로서 배치되는 제3판유리(15)가 판유리 수용 소켓(7)에 삽입된다. 판유리 수용 소켓(7)은 제3판유리(15)의 하나의 에지를 둘러싼다. 판유리 수용 소켓(7)은 열가소성 중합체로 이루어진다. 그것은 응력(stress)이 없게 제3판유리(15)를 고정시키고 제3판유리(15)의 열적 팽창을 보상한다. 더욱이, 판유리 수용 소켓(7)은 제3판유리(15)의 기계적인 움직임(부분적으로)으로 인한 소음 발생을 방지한다. 제1판유리 사이 공간(16.1)은 제1판유리(13)와 제3판유리(15) 사이로 정의되고, 제2판유리 사이 공간(16.2)은 제3판유리(15)와 제2판유리(14) 사이로 정의된다. 스페이서(I)의 제1글레이징 내측레그(3.1)의 표면은 제1판유리 사이 공간(16.1)에 인접하는 반면에, 제2글레이징 내측레그(3.2)의 표면은 제2판유리 사이 공간(16.2)에 인접한다. 판유리 사이 공간들(16.1, 16.2)은 글레이징 내부 레그들(3.1, 3.2)의 개구부(8)를 통해 그 아래에 각각 위치되는 각각의 중공 챔버(5.1, 5.2)에 연결된다. 분자체(molar sieve)로 구성되는 건조제(11)는 중공 챔버들(5.1, 5.2) 내에 위치한다. 중공 챔버들(5.1, 5.2)과 판유리 사이 공간들(16.1, 16.2) 사이의 가스 교환은 개구부(8)를 통해 발생하며, 이에 의해 건조제(11)가 판유리 사이 공간들(16.1, 16.2)로부터 대기 습기를 회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합체 본체(1)로 외부 습기가 통과하는 것을 기밀하게 차단하는 절연필름(12)은 스페이서(I)의 외측레그(4)에 마련된다. 절연필름(12)은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중합체 본체(1)에 고정될 수 있다. 절연필름(12)은 12 ㎛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4개의 중합체 층들 및 50 ㎛의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3개의 금속 층들을 포함한다. 금속층들 및 중합체 층들은 각각의 경우에서, 교대로 적용되어, 2개의 외부 층들(plies)이 중합체 층들에 의해 형성된다. 제1판유리(13) 및 제2판유리(14)는 외부 절연부(9)로 충전되어 원주형 에지 영역을 생성하는 스페이서(I)를 넘어서 돌출한다. 이러한 외부 절연부(9)는 유기 다황화물(polysulfide)로 형성된다. 제1판유리(13) 및 제2판유리(14)는 3 mm의 두께를 갖는 소다 석회 유리로 이루어지는 반면에, 내부 판유리(15)는 2 mm의 두께를 갖는 소다 석회 유리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되는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은, 도 1에 도시되는 스페이서(I) 대신에, 도 4d에서 아래에 도시되고 도 4d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스페이서(I.I)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스페이서,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스페이서를 생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가능한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먼저, 제1압출단계(30)가 수행된다. 제1압출단계(30) 후에, 도 1에 도시된 스페이서(I)의 중합체 본체(1)가, 도 1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획득된다. 도 1에서 언급된 연장 방향(E)은 압출 방향에 대응한다. 교정단계(31)는 제1압출단계(30) 다음에 이어지는데, 여기서 중합체 본체(1)는 그 구조를 고정시키기 위한 진공 및 냉각 공정들을 거치게 되고, 그 이후, 도 1에 도시된 개구부(8)을 만들기 위해 천공된다. 교정단계(31) 후에, 제2압출단계(32)가 수행되는데,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판유리 수용 소켓(7)용 재료가 도 1에 도시된 중합체 본체(1)의 홈(6) 안으로 삽입된다. 상기 재료는 DIN ISO 7619-1에 의해 측정된 범위가 40에서 60인 쇼어 경도 A를 갖는 중합체로 형성되어 연장 방향(E)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제2압출단계(32) 후에, 프로파일링단계(33)는 외측레그(4)의 방향으로 단면에서 볼 때 감소되게 테이퍼지는, 도 1에 도시되는, 수용 리세스(7.1)가 판유리 수용 소켓(7)의 중합체에 성형되도록 수행된다. 상기 과정에 이어서, 중공 챔버들(5.1 및 5.2)은 건조제(11)로 충전된다. 그러나, 이것은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조립을 위한 스페이서 스트럿(strut)을 형성하기 위해 스페이서의 절단을 완료한 후에만 정기적으로 발생한다. 스페이서 스트럿이 절연 글레이징 유닛에 설치되기 전에, 그것은 원하는 정도로 건조제로 충전되어야만 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 따른 다른 스페이서를 생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도시한다. 상기 방법은 도 3과 관련하여 이전에 언급된 단계들(30 내지 33)을 도시한다. 이에 따라, 전술된 설명들이 적절히 적용된다. 도 4a는 스페이서용 중합체 본체(1)를 도시한 것으로, 시재료(starting material, 미도시)로부터 제1압출단계(30) 후에 획득된다. 도 4a에 도시되는 중합체 본체(1)는 도 1에 도시된 중합체 본체(1)에 대응하며; 그 결과, 이러한 중합체 본체(1)의 설명을 위해 도 1에 관련한 설명들을 참조한다. 후속 교정단계(31) 후에, 도 4b에 도시되는 중합체 본체(1)가 획득되는데, 이는 도 4a에 도시되는 중합체 본체(1)와는 대조적으로, 구조적으로 고정되고 그 안에 배열되는 개구부(8)과 함께 중공 챔버들(5.1 및 5.2)을 구비한다.
도 4b에 도시되는 중합체 본체(1)는 제2압출단계(32)를 거치고, 그 결과로 서 도 4c에 도시되는 중합체 본체(1)가 획득되는데, 본체의 홈(6) 안에 판유리 수용 소켓(7)용 중합체가 연장 방향(E)으로 홈(6)을 따라 연장되도록, 부분적으로 배열된다. 판유리 수용 소켓(7)은 부분적으로(in segments) 그룹(6)으로 도입되는데, 복수의 세그먼트들이(도시된 일례에서는 3개) 연장 방향(E)과 평행한 홈(6)에서 서로 이격되어 연장된다. 세그먼트들은 미리 정해진 두께로 제1 홈 측면레그(6.1) 및 제2 홈 측면레그(6.2)와 함께 홈(6)의 적어도 하단(미도시)을 커버하거나, 대안적으로, 홈(6)을 부분적으로(in sections) 완전히 충전하는 반면에, 판유리 수용 소켓(7)의 세그먼트들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홈(6)의 영역들은 판유리 수용 소켓(7)의 중합체가 없는 또는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들을 나타낸다. 도 4c에 도시되는 스페이서는 프로파일링 툴(40)을 사용하는 프로파일링단계(33)를 거치는데, 이것은 외측레그(4)의 방향으로 단면에서 볼 때 감소되게 테이퍼지는 수용 리세스(7.1)가 판유리 수용 소켓(7)에 마련되도록 판유리 수용 소켓(7)의 중합체를 따라 연장 방향(E)과 평행하게 잡아 당겨진다.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I.I)를 도시한다. 이러한 스페이서(I.I)는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을 위한 필요한 수치를 마련하기 위해 문제 없이 추가로 처리--특히, 소잉 및 밀링--될 수 있다.
d 벽 두께
d' 감소된 벽 두께
E 연장 방향
I 스페이서
I.I 스페이서
1 중합체 본체
2.1 제1판유리 접촉레그
2.2 제2판유리 접촉레그
3.1 제1글레이징 내측레그
3.2 제2글레이징 내측레그
4 외측레그
5.1 제1중공챔버
5.2 제2중공챔버
6 홈
6.1 제1 홈 측면레그
6.2 제2 홈 측면레그
6.3 하단면
7 판유리 수용 소켓
7.1 감소되게 테이퍼링되는 수용 리세스
8 개구부
9 외부 절연부
10 접합부
11 건조제
12 절연필름
13 제1판유리
14 제2판유리
15 제3판유리
16.1 제1판유리 사이 공간
16.2 제2판유리 사이 공간
30 제1압출단계
31 교정단계
32 제2압출단계
33 프로파일링단계
40 프로파일링 툴

Claims (13)

  1. -제1판유리 접촉레그(2.1),
    -제1판유리 접촉레그(2.1)와 평행하게 진행하는 제2판유리 접촉레그(2.2),
    -제1글레이징 내측레그(3.1),
    -제2글레이징 내측레그(3.2),
    -외측레그(4),
    -연장 방향(E)을 따라 연장되는 제1중공챔버(5.1),
    -연장 방향(E)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중공챔버(5.2), 및
    -판유리를 수용하기 위한 제1 홈 측면레그(6.1) 및 제2 홈 측면레그(6.2)를 구비한 홈(6)을 갖는 압출된 본체를 포함하는 절연 글레이징 유닛용 스페이서(I, I.I)에 있어서,
    홈(6)은 연장 방향(E)을 따라 제1중공챔버(5.1)와 제2중공챔버(5.2) 사이에서 연장되고,
    제1중공챔버(5.1)는 단면에서 볼 때, 제1판유리 접촉레그(2.1), 제1글레이징 내측레그(3.1) 및 외측레그(4)의 제1섹션에 의해 둘러싸이고,
    제2중공챔버(5.2)는 단면에서 볼 때, 제2판유리 접촉레그(2.2), 제2글레이징 내측레그(3.2) 및 외측레그(4)의 제2섹션에 의해 둘러싸이고, 압출 판유리 수용 소켓(7)이 연장 방향(E)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홈(6)에 배치되고,
    판유리 수용 소켓(7)은 중합체로 형성되며, 표면에 홈(6)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진행하고 외측레그(4)의 방향으로 단면에서 볼 때 감소되게 테이퍼지는 수용 리세스(7.1)가 구현되고, 상기 중합체는 DIN ISO 7619-1에 의해 측정되는, 범위가 10에서 80, 바람직하게는 범위가 20에서 60,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범위가 40에서 60인 쇼어 경도 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I, I.I).
  2. 제1항에 있어서,
    테이퍼링 수용 리세스(7.1)는 중합체의 표면에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I, I.I).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중합체는 TPA, TPC, TPS, TPU, 또는 TPV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열가소성 중합체로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TPU, 더욱 바람직하게는 TPU-ARES, TPU-ARET 또는 TPU-AREE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지방족 TPU들도 마찬가지로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I, I.I).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판유리 수용 소켓(7)은 홈(6)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I, I.I).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판유리(7) 수용 소켓(7)은, 연장 방향(E)을 따라 볼때, 홈에서 연속적으로 진행하고 실질적으로 균일한 단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I, I.I).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홈 측면레그(6.1) 및 제2 홈 측면레그(6.2)는 홈(6)이 외측레그(4)의 방향으로 감소되게 테이퍼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I, I.I).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판유리 수용 소켓(7)의 중합체는 주변 본체의 표면에 대해 거의 또는 전혀 콘트라스트(contrast)를 갖지 않는 컬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I, I.I).
  8. 아래 단계들을 갖는 절연 글레이징 유닛용 스페이서(I, I.I)를 생산하는 방법:
    중합체 본체(1)가 압출되는 제1압출단계(30)로서, 중합체 본체(1)는,
    -제1판유리 접촉레그(2.1),
    -제1판유리 접촉레그(2.1)와 평행하게 진행하는 제2판유리 접촉레그(2.2),
    -제1글레이징 내측레그(3.1),
    -제2글레이징 내측레그(3.2),
    -외측레그(4),
    -연장 방향(E)을 따라 연장하는 제1중공챔버(5.1),
    -연장 방향(E)을 따라 연장하는 제2중공챔버(5.2), 및
    -판유리를 수용하기 위한 제1 홈 측면레그(6.1) 및 제2 홈 측면레그(6.2)를 구비하는 홈(6)을 가지며,
    홈(6)은 연장 방향(E)을 따라 제1중공챔버(5.1)와 제2중공챔버(5.2) 사이에서 연장되고, 제1중공챔버(5.1)는 단면에서 볼 때, 제1판유리 접촉레그(2.1), 제1글레이징 내측레그(3.1) 및 외측레그(4)의 제1섹션에 의해 둘러싸이고, 제2중공챔버(5.2)는 단면에서 볼 때, 제2판유리 접촉레그(2.2), 제2글레이징 내측레그(3.2) 및 외측레그(4)의 제2섹션에 의해 둘러싸이는 제1압출단계(30), 및
    제1압출단계(30) 후 소정시간이 지나고 수행되는 제2압출단계(32)로서, 연장 방향(E)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DIN ISO 7619-1에 대해서 측정되는, 범위가 10에서 80, 바람직하게는 범위가 20에서 60,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범위가 40에서 60인 쇼어 경도 A를 갖는 중합체로 형성되는 판유리 수용 소켓(7)이 홈(6)으로 도입되는 제2압출단계(32).
  9. 제8항에 있어서,
    제2압출단계(31)에서, TPA, TPC, TPS, TPU, 또는 TPV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판유리 수용 소켓(7)용 중합체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교정단계(calibration step)(31)는 제1압출단계 후 및 제2압출단계 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압출단계(32) 후에, 프로파일링단계(profiling step)(33)는 단면에서 볼 때 외측레그(4)의 방향으로 감소되게 테이퍼지는 수용 리세스(7.1)가 판유리 수용 소켓(7)의 중합체에 성형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프로파일링단계(33)는 판유리 수용 소켓(7)의 중합체가 제2압출단계(32) 후 아직 냉각되지 않은 동안에, 프로파일링 툴(40)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1판유리(13), 제2판유리(14) 및 제3판유리(15) 그리고 판유리들(13, 14, 15)의 에지들에 상기 판유리들을 이격시키는 원주형 스페이서를 적어도 포함하는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에 있어서, 제1판유리(13)는 제1판유리 접촉레그(2.1)에 기대어 있고, 제2판유리(14)는 제2판유리 접촉레그(2.2)에 기대어 있고, 제3판유리(15)는 스페이서(I)의 판유리 수용 소켓(7)을 갖는 홈(6)으로 삽입되는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
KR1020197010370A 2016-09-14 2017-08-07 절연 글레이징 유닛용 스페이서, 스페이서를 생산하는 방법 및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 KR201900441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88741.9 2016-09-14
EP16188741 2016-09-14
PCT/EP2017/069947 WO2018050357A1 (de) 2016-09-14 2017-08-07 Abstandshalter für isolierverglasungen,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abstandshalters und mehrfachisolierverglas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122A true KR20190044122A (ko) 2019-04-29

Family

ID=57003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0370A KR20190044122A (ko) 2016-09-14 2017-08-07 절연 글레이징 유닛용 스페이서, 스페이서를 생산하는 방법 및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00324451A1 (ko)
KR (1) KR20190044122A (ko)
CN (1) CN109715902A (ko)
WO (1) WO20180503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77035B1 (en) * 2017-10-30 2020-07-22 Technoform Glass Insulation Holding GmbH Spacer for photovoltaic applications
CA3087435C (en) * 2018-01-22 2023-01-10 Saint-Gobain Glass France Insulating glazing, window and production method
NZ766222A (en) * 2018-01-22 2023-02-24 Saint Gobain Insulating glazing and window
WO2020021198A1 (fr) 2018-07-27 2020-01-30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isolant, sous-ensemble de vitrage isolant et espaceur pour la realisation d'un cadre espaceur de ce sous-ensemble
FR3084391A1 (fr) 2018-07-27 2020-01-31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isolant, espaceur pour la realisation d'un cadre espaceur de vitrage isolant et procede de remplissage d'un vitrage isolant avec du gaz isolant
FR3086686A1 (fr) 2018-09-28 2020-04-03 Saint-Gobain Glass France Procede de fabrication d'un vitrage isolant ayant au moins trois feuilles de verre
FR3087813A1 (fr) 2018-10-31 2020-05-01 Saint-Gobain Glass France Sous-ensemble de vitrage isolant pret a etre rempli avec du gaz isolant
EP3999709B1 (de) 2019-07-17 2024-03-20 Saint-Gobain Glass France Abstandhalter für isolierglaseinheiten
US11473883B1 (en) * 2021-11-12 2022-10-18 Dennis Paul Sooter Caseless tapered-bore ammunition and firearm
US11585150B1 (en) * 2021-11-12 2023-02-21 Bradley R Campbell Security insulated glass uni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35669A1 (de) * 1978-08-14 1980-02-28 Holzapfel Wolfgang Kraftschluessiger mehrscheibenverbund
SI23514A (sl) * 2010-10-15 2012-04-30 Cbs Inštitut, Celovite Gradbene Rešitve, D.O.O. Gradbeni panel kot struktura zunanje in notranje plošče, z vmesnim izolacijskim prostorom
EP3023569B1 (de) * 2011-04-13 2018-06-06 ALU-PRO srl Abstandhalter für die beabstandung von glasscheiben eines mehrfachverglasten fensters
US9260907B2 (en) 2012-10-22 2016-02-16 Guardian Ig, Llc Triple pane window spacer having a sunken intermediate pane
EP3008270A1 (de) 2013-06-14 2016-04-20 Saint-Gobain Glass France Abstandshalter für dreifachisolierverglasungen
JP6576943B2 (ja) 2014-10-30 2019-09-18 Agc−Lixilウィンドウ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複層ガラス
WO2016091646A1 (de) 2014-12-08 2016-06-16 Saint-Gobain Glass France Abstandshalter für isolierverglas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50357A1 (de) 2018-03-22
CN109715902A (zh) 2019-05-03
US20200324451A1 (en) 202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4122A (ko) 절연 글레이징 유닛용 스페이서, 스페이서를 생산하는 방법 및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
KR101885418B1 (ko) 삼중 단열 글레이징용 스페이서
CA2920464C (en) Spacer for insulating glazing units
KR102120087B1 (ko) 두꺼운 단열 유리 윈도우 유닛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윈도우 프레임 내에 진공 단열 유리 윈도우 유닛을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서 시스템
US10167665B2 (en) Spacer for insulating glazing units, comprising extruded profiled seal
KR20170092656A (ko) 절연 글레이징용 스페이서
KR102114677B1 (ko) 두꺼운 단열 유리 윈도우 유닛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윈도우 프레임 내에 진공 단열 유리 윈도우 유닛을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서 시스템
KR102567521B1 (ko) 보강 요소를 갖는 스페이서
KR20170094291A (ko) 절연 글레이징
US20070046064A1 (en) Multi-sheet barrier panel for automobile door assemblies
KR20160095128A (ko) 개선된 밀봉을 갖는 이중 글레이징
KR20170092657A (ko) 절연 글레이징용 스페이서
US20200056422A1 (en) Insulating glazing unit, in particular a triple insulating glazing unit, and method for producing an insulating glazing unit
JPH11247540A (ja) 複層ガラス用のスペーサ及び複層ガラス
HU219640B (hu) Többrétegű üvegezési építőegység és távtartó a többrétegű üvegezési építőegység kialakítására
GB2531757A (en) Spacer Bar to Improve Gas Barrier in Insulated Glass Unit
KR20220130200A (ko) 단속(斷續)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스페이서
KR20210039463A (ko) 금속 측면부들을 구비한 스페이서
US20180195338A1 (en) Corner connector for insulating glazing units
CA3142978C (en) Spacer for insulated glass units
CN114585793B (zh) 压缩配合槽式间隔件
JP2001026467A (ja) 断熱ガラス体用スペーサ
JP2023531226A (ja) 補強プロファイル材を有するスペーサーを含む遮断グレージング
CN117441053A (zh) 具有共挤出中空型材的间隔件
OA13037A (en) Sealing system for an energy efficient wind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