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3893A -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3893A
KR20190043893A KR1020170135962A KR20170135962A KR20190043893A KR 20190043893 A KR20190043893 A KR 20190043893A KR 1020170135962 A KR1020170135962 A KR 1020170135962A KR 20170135962 A KR20170135962 A KR 20170135962A KR 20190043893 A KR20190043893 A KR 20190043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garbage bag
food garbage
support
reinforcing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현
Original Assignee
김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현 filed Critical 김재현
Priority to KR1020170135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3893A/ko
Publication of KR20190043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8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Suspen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직선상의 좌하지지부재와 상기 좌하지지부재의 양단에 나누어 형성된 좌하내측체결부 및 좌하외측체결부를 구비한 좌하지지부와, 직선상의 좌상지지부재와 상기 좌상지지부재의 양단에 나누어 형성된 좌상내측체결부 및 좌상외측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좌하지지부재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좌하내측체결부와 상기 좌상내측체결부에 설치된 좌중간회동핀을 통해 상기 좌하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좌상지지부를 갖는 좌지지부와; 긴장상태가 되도록 양단이 상기 좌상지지부재의 외표면과 상기 좌하지지부재의 외표면에 고정된 신축재질의 좌조임줄과; 직선상의 우하지지부재와 상기 우하지지부재의 양단에 나누어 형성된 우하내측체결부 및 우하외측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우하지지부재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우하외측체결부와 상기 좌하외측체결부에 설치된 하단회동핀을 통해 상기 좌하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우하지지부와, 직선상의 우상지지부재와 상기 우상지지부재의 양단에 나누어 형성된 우상내측체결부 및 우상외측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우상지지부재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우하내측체결부와 상기 우상내측체결부에 설치된 우중간회동핀을 통해 상기 우하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우상지지부재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우상외측체결부와 상기 좌상외측체결부에 설치된 상단회동핀을 통해 상기 좌상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우상지지부를 갖는 우지지부와; 긴장상태가 되도록 양단이 상기 우상지지부재의 외표면과 상기 우하지지부재의 외표면에 고정된 신축재질의 우조임줄과; 상기 좌하지지부재, 상기 좌상지지부재, 상기 우하지지부재 및 상기 우상지지부재에 나누어 형성되어, 상기 좌하지지부재의 내표면, 상기 좌상지지부재의 내표면, 상기 우하지지부재의 내표면 및 상기 우상지지부재의 내표면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좌하지지부재의 외표면, 상기 좌상지지부재의 외표면, 상기 우하지지부재의 외표면 및 상기 우상지지부재의 외표면 쪽으로 상단이 젖혀지도록 설치되는 음식물쓰레기 봉투가 상기 좌지지부 및 상기 우지지부에 구속되도록 조작하기 위한 봉투구속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상단 개구를 밀폐하기 위해 좌지지부재와 우지지부재를 구속조작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없고,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밀폐성이 향상되고,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상단 개구를 용이하게 밀폐할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상단 개구를 개방할 때 음식물 쓰레기 봉투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Food Garbage Bag Holder}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쓰레기봉투의 개폐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가정, 요식업소의 주방, 사무실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는 음식물쓰레기봉투에 담아 소정의 장소에 설치된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에 투입하는 방법등으로 처리되고 있다.
음식물쓰레기봉투를 개방하는 동작이 어렵게 되면 음식물쓰레기를 담는 작업이 불편해지고 음식물쓰레기가 담긴 음식물쓰레기봉투가 밀폐되지 않으면 냄새가 나거나 벌레들이 꼬이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음식물쓰레기봉투의 개폐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9는 종래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의 결합사시도이고, 도10은 종래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의 지지바 및 탄성작용부의 결합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좌지지부(110) 및 우지지부(140)와, 양단이 좌지지부(110) 및 우지지부(140)에 나누어 결합된 하탄성작용부(171) 및 상탄성작용부(172)를 갖고 있다.
좌지지부(110)는 직선상의 좌지지부재(111)와, 좌지지부재(111)의 좌측단과 우측단에 하나씩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좌회전돌기(112)를 갖고 있다.
우지지부(140)는 직선상의 우지지부재(141)와, 우지지부재(141)의 좌측단과 우측단에 하나씩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우회전돌기(142)를 갖고 있다.
하탄성작용부(171)는 하코일부(171a)와, 하코일부(171a)의 양단으로부터 대략 브이(1V)자 형성을 이루도록 연장형성된 한 쌍의 하탄성작용암(171b)과, 각 하탄성작용암(171b)의 종단으로부터 절곡형성된 한 쌍의 하탄성작용암절곡부(171c)와, 각 하탄성작용암절곡부(171c)에 하나씩 결합된 한 쌍의 하회전부재(171d)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하탄성작용부(171)는 한 쌍의 하회전부재(171d)에 좌회전돌기(112)와 우회전돌기(142)가 체결되도록 좌지지부(110)와 우지지부(140)에 결합된다.
상탄성작용부(172)는 상코일부(도시되지 않음)와, 상코일부(도시되지 않음)의 양단으로부터 대략 브이(1V)자 형성을 이루도록 연장형성된 한 쌍의 상탄성작용암(172b)과, 각 상탄성작용암(172b)의 종단으로부터 절곡형성된 한 쌍의 상탄성작용암절곡부(172c)와, 각 상탄성작용암절곡부(172c)에 하나씩 결합된 한 쌍의 상회전부재(172d)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탄성작용부(172)는 한 쌍의 상회전부재(172d)에 좌회전돌기(112)와 우회전돌기(142)가 체결되도록 좌지지부(110)와 우지지부(140)에 결합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는 흡착고정부(201, 하탄성작용암절곡부와 우지지부측 상탄성작용암절곡부에 하나씩 결합됨)에 의해 싱크대 등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 봉투의 상단을 좌지지부재(111)와 우지지부재(141)에 고정한다.
다음에 집게(202) 등을 사용하여 좌지지부재(111)와 우지지부재(141)를 접근시킨다.
좌지지부재(111)와 우지지부재(141)가 접근하는 동안 하코일부(171a)와 상코일부(도시되지 않음)에는 탄성력이 축적된다.
음식물쓰레기가 발생하면 집게 등을 분리하여 좌지지부재(111)와 우지지부재(141)를 분리시킨다.
다음에 음식물쓰레기를 음식물쓰레기 봉투(203)에 투입한다.
다음에 다시 집게 등을 사용하여 좌지지부재(111)와 우지지부재(141)를 접근시켜 음식물쓰레기 봉투의 상단을 밀폐시킨다.
그런데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에 따르면, 하탄성작용부(171)와 상탄성작용부(172)의 탄성력이 좌지지부재(111)와 우지지부재(141)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 봉투(203)의 상단을 밀폐하기 위해 집게와 같은 좌지지부재(111)와 우지지부재(141)를 구속조작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좌지지부(110)의 양단이 우지지부(140)의 양단에 결합되어 있지 않고 좌지지부(110)와 우지지부(140)는 상호 나란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밀폐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하 하탄성작용부(171)와 상탄성작용부(172)의 큰 탄성력(하코일부와 상코일부이 코일 형태로 형성되어 있음)이 함께 좌지지부재(111)와 우지지부재(141) 사이를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상단 개구를 밀폐하는 동작이 어렵고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상단 개구를 개방할 때 음식물 쓰레기 봉투가 찢어질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25726호(공개일자: 2012년 3월 16일, 발명의 명칭 : 음식물 쓰레기 봉투 개폐 지지장치)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상단 개구를 밀폐하기 위해 좌지지부재와 우지지부재를 구속조작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없고,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밀폐성이 향상되고,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상단 개구를 용이하게 밀폐할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상단 개구를 개방할 때 음식물 쓰레기 봉투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직선상의 좌하지지부재와 상기 좌하지지부재의 양단에 나누어 형성된 좌하내측체결부 및 좌하외측체결부를 구비한 좌하지지부와, 직선상의 좌상지지부재와 상기 좌상지지부재의 양단에 나누어 형성된 좌상내측체결부 및 좌상외측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좌하지지부재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좌하내측체결부와 상기 좌상내측체결부에 설치된 좌중간회동핀을 통해 상기 좌하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좌상지지부를 갖는 좌지지부와; 긴장상태가 되도록 양단이 상기 좌상지지부재의 외표면과 상기 좌하지지부재의 외표면에 고정된 신축재질의 좌조임줄과; 직선상의 우하지지부재와 상기 우하지지부재의 양단에 나누어 형성된 우하내측체결부 및 우하외측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우하지지부재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우하외측체결부와 상기 좌하외측체결부에 설치된 하단회동핀을 통해 상기 좌하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우하지지부와, 직선상의 우상지지부재와 상기 우상지지부재의 양단에 나누어 형성된 우상내측체결부 및 우상외측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우상지지부재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우하내측체결부와 상기 우상내측체결부에 설치된 우중간회동핀을 통해 상기 우하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우상지지부재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우상외측체결부와 상기 좌상외측체결부에 설치된 상단회동핀을 통해 상기 좌상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우상지지부를 갖는 우지지부와; 긴장상태가 되도록 양단이 상기 우상지지부재의 외표면과 상기 우하지지부재의 외표면에 고정된 신축재질의 우조임줄과; 상기 좌하지지부재, 상기 좌상지지부재, 상기 우하지지부재 및 상기 우상지지부재에 나누어 형성되어, 상기 좌하지지부재의 내표면, 상기 좌상지지부재의 내표면, 상기 우하지지부재의 내표면 및 상기 우상지지부재의 내표면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좌하지지부재의 외표면, 상기 좌상지지부재의 외표면, 상기 우하지지부재의 외표면 및 상기 우상지지부재의 외표면 쪽으로 상단이 젖혀지도록 설치되는 음식물쓰레기 봉투가 상기 좌지지부 및 상기 우지지부에 구속되도록 조작하기 위한 봉투구속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음식물쓰레기 봉투의 상단을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좌하지지부재의 외표면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도록 상기 좌하외측체결부로부터 연장형성된 좌파지부와 상기 우하지지부재의 외표면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도록 상기 우하외측체결부로부터 연장형성된 우파지부를 가지고, 상기 좌파지부와 상기 우파지부가 접근하도록 상기 좌파지부와 상기 우파지부에 힘을 가해 상기 좌지지부와 상기 우지지부에 구속된 음식물쓰레기 봉투의 상단을 개방조작하기 위한 봉투개방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밀폐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좌지지부에 형성되어 상기 좌하지지부재의 외표면과 상기 좌상지지부재의 외표면 사이의 각도가 180도보다 작아지지 않도록 상기 좌하지지부와 상기 좌상지지부 사이의 회동동작을 제한하는 좌스토퍼와, 상기 우지지부에 형성되어 상기 우하지지부재의 외표면과 상기 우상지지부재의 외표면 사이의 각도가 180도보다 작아지지 않도록 상기 우하지지부와 상기 우상지지부 사이의 회동동작을 제한하는 우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밀폐성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좌하지지부재는 상기 우하외측체결부 측 종단에 상기 우하외측체결부를 향해 좌하간극형성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상지지부재는 상기 우상외측체결부 측 종단에 상기 우상외측체결부를 향해 좌상간극형성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하지지부재는 상기 좌하외측체결부 측 종단에 상기 좌하외측체결부를 향해 우하간극형성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상지지부재는 상기 좌상외측체결부 측 종단에 상기 좌상외측체결부를 향해 우상간극형성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지지부는 상기 좌하지지부재의 내표면에 상기 좌하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 좌하밀폐보강리브와, 상기 좌상지지부재의 내표면에 상기 좌상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 좌상밀폐보강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지지부는 상기 우하지지부재의 내표면에 상면이 상기 좌하밀폐보강리브의 저면에 정렬되도록 상기 우하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 우하밀폐보강리브와, 상기 우상지지부재의 내표면에 상면이 상기 좌상밀폐보강리브의 저면에 정렬되도록 상기 우상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 우상밀폐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밀폐성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좌하지지부재는 상기 우하외측체결부를 향해 좌하간극형성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상지지부재는 상기 우상외측체결부를 향해 좌상간극형성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하지지부재는 상기 좌하외측체결부를 향해 우하간극형성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상지지부재는 상기 좌상외측체결부를 향해 우상간극형성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지지부는 상기 좌하지지부재의 내표면에 상기 좌하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 좌하밀폐보강리브와, 상기 좌상지지부재의 내표면에 상기 좌상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 좌상밀폐보강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지지부는 상기 우하지지부재의 내표면에 상면이 상기 좌하밀폐보강리브의 저면에 정렬되도록 상기 우하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 우하밀폐보강리브와, 상기 우상지지부재의 내표면에 상면이 상기 좌상밀폐보강리브의 저면에 정렬되도록 상기 우상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 우상밀폐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좌하지지부와 좌상지지부로 분할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방법으로 좌지지부를 구성하고 우하지지부와 우상지지부로 분할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방법으로 우지지부를 구성하고 좌하지지부와 우하지지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좌상지지부와 우상지지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한편, 긴장상태가 되도록 좌조임줄을 좌상지지부재의 외표면과 좌하지지부재의 외표면에 고정하고 긴장상태가 되도록 우조임줄을 우상지지부재의 외표면과 우하지지부재의 외표면에 고정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상단 개구를 밀폐하기 위해 좌지지부재와 우지지부재를 구속조작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없고(좌조임줄과 우조임줄의 탄성력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상단 개구는 밀폐됨),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밀폐성이 향상되고(좌하지지부재와 우하지지부재의 하단은 결합되고 좌상지지부재와 우상지지부재의 상단은 결합됨),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상단 개구를 용이하게 밀폐할 수 있고(좌조임줄과 우조임줄의 탄성력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상단 개구는 밀폐됨),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상단 개구를 개방할 때 음식물 쓰레기 봉투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좌조임줄의 탄성력은 좌지지부에만 작용하고 우조임줄의 탄성력은 우지지부에만 작용함).
도1 및 도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의 결합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의 평면도,
도5는 도4의 A-A'선 단면도,
도6, 도7 및 도8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9는 종래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의 결합사시도,
도10은 종래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의 지지바 및 탄성작용부의 결합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11은 종래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및 도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의 결합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의 평면도이고, 도5는 도4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지지부(10)와, 좌지지부(10)에 형성된 좌스토퍼(71)와, 좌지지부(10)에 설치된 좌조임줄(72)과, 좌지지부(10)에 결합된 우지지부(40)와, 우지지부(40)에 형성된 우스토퍼(73)와, 우지지부(40)에 설치된 우조임줄(74)과, 음식물쓰레기 봉투가 좌지지부(10)와 우지지부(40)에 구속되도록 조작하기 위한 봉투구속조작부(75)와, 좌지지부(10)와 우지지부(40)에 구속된 음식물쓰레기 봉투의 상단을 개방조작하기 위한 봉투개방조작부(80)를 갖고 있다.
좌지지부(10)는 좌하지지부(20)와, 좌하지지부(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좌상지지부(30)를 갖고 있다.
좌하지지부(20)는 직선상의 좌하지지부재(21)와, 좌하지지부재(21)의 양단에 나누어 형성된 좌하내측체결부(22) 및 좌하외측체결부(23)와, 좌하지지부재(21)의 내표면에 돌출 형성된 좌하밀폐보강리브(24)를 갖고 있다.
좌하지지부재(21)는 우하외측체결부(53) 측 종단에 좌하간극형성절곡부(21a)가 우하외측체결부(53)를 향해 형성되어 있다.
좌하지지부재(21)는 외표면에 좌하줄고정돌부(21b)가 형성되어 있다.
좌하내측체결부(22)는 좌하지지부재(21)의 폭 1/2 정도의 길이구간을 갖는 관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좌하외측체결부(23)는 좌하지지부재(21)의 폭 1/4 정도의 길이구간을 각각 갖는 한 쌍의 관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좌하밀폐보강리브(24)는 좌하지지부재(2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좌상지지부(30)는 직선상의 좌상지지부재(31)와, 좌상지지부재(31)의 양단에 나누어 형성된 좌상내측체결부(32) 및 좌상외측체결부(33)와, 좌상지지부재(31)의 내표면에 돌출 형성된 좌상밀폐보강리브(34)를 갖고 있다.
좌상지지부재(31)는 우상외측체결부(63) 측 종단에 좌상간극형성절곡부(31a)가 우상외측체결부(63)를 향해 형성되어 있다.
좌상지지부재(31)는 외표면에 좌상줄고정돌부(31b)가 형성되어 있다.
좌상내측체결부(32)는 좌상지지부재(31)의 폭 1/2 정도의 길이구간을 갖는 원형관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좌상외측체결부(33)는 좌상지지부재(31)의 폭 1/4 정도의 길이구간을 각각 갖는 한 쌍의 관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좌상밀폐보강리브(34)는 좌상지지부재(3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좌상지지부(30)는 좌하지지부재(21)의 폭방향을 따라 좌하내측체결부(22)와 좌상내측체결부(32)에 설치된 좌중간회동핀(76)을 통해 좌하지지부(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좌스토퍼(71)는 좌하내측체결부(22)로부터 좌하지지부재(21)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좌스토퍼수직부(71a)와, 좌스토퍼수직부(71a)로부터 좌상지지부재(31)를 향해 연장 형성된 좌스토퍼수평부(71b)를 갖고 있다.
좌스토퍼(71)에는 좌상내측체결부(32)가 안착되는 원호단면 형태의 좌스토퍼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좌스토퍼(71)에 따르면 좌하지지부재(21)의 외표면과 좌상지지부재(31)의 외표면 사이의 각도가 180도에 접근하면 좌스토퍼수평부(71b)가 좌상지지부재(31)의 외표면에 접촉하여 좌하지지부(20)와 좌상지지부(30) 사이의 회동동작이 제한되기 때문에 좌하지지부재(21)의 외표면과 좌상지지부재(31)의 외표면 사이의 각도가 180도보다 작아지지 않게된다.
좌조임줄(72)은 고무 등의 신축재질을 사용하여 폐루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좌조임줄(72)은 좌하줄고정돌부(21b)와 좌상줄고정돌부(31b)에 형성된 오목한 홈바닥면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좌조임줄(72)의 설치는 긴장상태가 되도록 이루어진다.
우지지부(40)는 우하지지부(50)와, 우하지지부(5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우상지지부(60)를 갖고 있다.
우하지지부(50)는 직선상의 우하지지부재(51)와, 우하지지부재(51)의 양단에 나누어 형성된 우하내측체결부(52) 및 우하외측체결부(53)와, 우하지지부재(51)의 내표면에 돌출 형성된 우하밀폐보강리브(54)를 갖고 있다.
우하지지부재(51)는 좌하외측체결부(23) 측 종단에 우하간극형성절곡부(51a)가 좌하외측체결부(23)를 향해 형성되어 있다.
우하지지부재(51)는 외표면에 우하줄고정돌부(51b)가 형성되어 있다.
우하내측체결부(52)는 우하지지부재(51)의 폭 1/2 정도의 길이구간을 갖는 관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우하외측체결부(53)는 우하지지부재(51)의 폭 1/4 정도의 길이구간을 각각 갖는 한 쌍의 관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우하밀폐보강리브(54)는 우하지지부재(5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우하밀폐보강리브(54)는 상면이 좌하밀폐보강리브(24)의 저면에 정렬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우하지지부(50)는 우하지지부재(51)의 폭방향을 따라 우하외측체결부(53)와 좌하외측체결부(23)에 설치된 하단회동핀(79)을 통해 좌하지지부(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우상지지부(60)는 직선상의 우상지지부재(61)와, 우상지지부재(61)의 양단에 나누어 형성된 우상내측체결부(62) 및 우상외측체결부(63)와, 우상지지부재(61)의 내표면에 돌출 형성된 우상밀폐보강리브(64)를 갖고 있다.
우상지지부재(61)는 좌상외측체결부(33) 측 종단에 우상간극형성절곡부(61a)가 좌상외측체결부(33)를 향해 형성되어 있다.
우상지지부재(61)는 외표면에 우상줄고정돌부(61b)가 형성되어 있다.
우상내측체결부(62)는 우상지지부재(61)의 폭 1/2 정도의 길이구간을 갖는 원형관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우상외측체결부(63)는 우상지지부재(61)의 폭 1/4 정도의 길이구간을 각각 갖는 한 쌍의 관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우상밀폐보강리브(64)는 우상지지부재(6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우상밀폐보강리브(64)는 상면이 좌상밀폐보강리브(34)의 저면에 정렬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우상지지부(60)는 우하지지부재(51)의 폭방향을 따라 우하내측체결부(52)와 우상내측체결부(62)에 설치된 우중간회동핀(78)을 통해 우하지지부(5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우상지지부(60)는 우상지지부재(61)의 폭방향을 따라 우상외측체결부(63)와 좌상외측체결부(33)에 설치된 상단회동핀(77)을 통해 좌상지지부(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우스토퍼(73)는 우하내측체결부(52)로부터 우하지지부재(51)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우스토퍼수직부(73a)와, 우스토퍼수직부(73a)로부터 우상지지부재(61)를 향해 연장 형성된 우스토퍼수평부(73b)를 갖고 있다.
우스토퍼(73)에는 우상내측체결부(62)가 안착되는 원호단면 형태의 우스토퍼홈(73c)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우스토퍼(73)에 따르면 우하지지부재(51)의 외표면과 우상지지부재(61)의 외표면 사이의 각도가 180도에 접근하면 우스토퍼수평부(73b)가 우상지지부재(61)의 외표면에 접촉하여 우하지지부(50)와 우상지지부(60) 사이의 회동동작이 제한되기 때문에 우하지지부재(51)의 외표면과 우상지지부재(61)의 외표면 사이의 각도가 180도보다 작아지지 않게된다.
우조임줄(74)은 고무 등의 신축재질을 사용하여 폐루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우조임줄(74)은 우하줄고정돌부(51b)와 우상줄고정돌부(61b)에 형성된 오목한 홈바닥면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우조임줄(74)의 설치는 긴장상태가 되도록 이루어진다.
봉투구속조작부(75)는 좌하지지부재(21), 좌상지지부재(31), 우하지지부재(51) 및 우상지지부재(61)의 외표면에 하나씩 돌출형성된 록킹돌부(75a)와, 좌하지지부재(21), 좌상지지부재(31), 우하지지부재(51) 및 우상지지부재(61)의 하단에 록킹돌부(75a)를 향해 회동가능하도록 하나씩 결합된 록킹편(75b)을 갖고 있다.
각 록킹편(75b)에는 록킹공(75c)이 록킹돌부(75a)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봉투개방조작부(80)는 좌하외측체결부(23)로부터 연장형성된 좌파지부(81)와, 우하외측체결부(53)로부터 연장형성된 우파지부(82)와, 좌파지부(81)에 설치된 좌벨크로부(83)와, 우파지부(82)에 설치된 우벨크로부(84)를 갖고 있다.
좌파지부(81)는 좌하지지부재(21)의 외표면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도록 좌하외측체결부(23)로부터 연장형성된다.
우파지부(82)는 우하지지부재(51)의 외표면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도록 우하외측체결부(53)로부터 연장형성된다.
좌벨크로부(83)는 토시형태의 좌벨크로바디부(83a)와, 좌벨크로바디부(83a)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는 좌벨크로날개부(83b)와, 좌벨크로날개부(83b)의 일표면에 부착된 좌벨크로(83c)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좌벨크로부(83)는 좌벨크로바디부(83a)가 좌파지부(81)에 억지끼움되도록 설치된다. 좌벨크로부(83)의 설치는 좌벨크로(83c)가 우파지부(82)를 향하도록 이루어진다.
우벨크로부(84)는 토시형태의 우벨크로바디부(84a)와, 우벨크로바디부(84a)의 일표면에 부착된 우벨크로(84b)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우벨크로부(84)는 우벨크로바디부(84a)가 우파지부(82)에 억지끼움되도록 설치된다. 우벨크로부(84)의 설치는 우벨크로(84b)가 좌파지부(81)와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6, 7 및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좌파지부(81)와 우파지부(82)가 접근하도록 좌파지부(81)와 우파지부(82)에 힘을 가한다.
좌파지부(81)와 우파지부(82)가 접근하면 하단회동핀(79)을 중심으로 좌하지지부재(21)의 상단과 우하지지부재(51)의 상단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좌하지지부재(21)와 우하지지부재(51)가 회동한다.
좌하지지부재(21)의 상단과 우하지지부재(51)의 상단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좌하지지부재(21)와 우하지지부재(51)가 회동하면, 좌상지지부재(31)의 하단과 우상지지부재(61)의 하단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단회동핀(77)을 중심으로 좌상지지부재(31)와 우상지지부재(61)가 회동한다.
좌하지지부재(21), 우하지지부재(51), 좌상지지부재(31) 및 우상지지부재(61)가 회동하는 동안 좌조임줄(72)과 우조임줄(74)에는 탄성력이 축적된다.
한편 좌파지부(81)와 우파지부(82)가 접근해서 좌벨크로(83c)와 우벨크로(84b)가 접촉하면 좌하지지부재(21), 우하지지부재(51), 좌상지지부재(31) 및 우상지지부재(61)의 회동상태가 유지된다(도6 참조).
다음에 좌하지지부재(21)의 내표면, 좌상지지부재(31)의 내표면, 우하지지부재(51)의 내표면 및 우상지지부재(61)의 내표면 사이를 통과하여 좌하지지부재(21)의 외표면, 좌상지지부재(31)의 외표면, 우하지지부재(51)의 외표면 및 우상지지부재(61)의 외표면 쪽으로 상단이 젖혀지도록 음식물쓰레기 봉투(203)를 설치한다(도6 참조). 음식물쓰레기 봉투의 설치는 음식물쓰레기 봉투의 상단이 록킹돌부(75a) 아래로 넘어가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에 록킹돌부(75a)가 록킹공(75c)에 체결되도록 록킹편(75b)을 회동시킨다(도7 참조).
다음에 좌벨크로(83c)와 우벨크로(84b) 사이의 접촉상태를 해제한다(도8 참조).
좌벨크로(83c)와 우벨크로(84b) 사이의 접촉상태가 해제되면, 좌조임줄(72)과 우조임줄(74)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좌하지지부재(21), 우하지지부재(51), 좌상지지부재(31) 및 우상지지부재(61)는 초기위치로 회동한다.
좌하지지부재(21), 우하지지부재(51), 좌상지지부재(31) 및 우상지지부재(61)가 초기위치로 회동한 상태에서 음식물쓰레기 봉투(203)는 좌하밀폐보강리브(24), 좌상밀폐보강리브(34), 우하밀폐보강리브(54) 및 우상밀폐보강리브(64)에 의해 밀폐된다.
다음에 음식물쓰레기가 발생하면, 좌파지부(81)와 우파지부(82)가 접근하도록 좌파지부(81)와 우파지부(82)에 힘을 가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음식물쓰레기 봉투(203)의 상단을 개방시킨 다음(도6 참조), 음식물쓰레기를 음식물쓰레기 봉투에 투입한다.
음식물쓰레기를 음식물쓰레기 봉투에 투입한 다음 좌벨크로(83c)와 우벨크로(84b) 사이의 접촉상태를 해제하면 음식물쓰레기 봉투는 다시 밀폐된다(도8 참조).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록킹돌부(75a)와 록킹편(75b)을 사용하여 봉투구속조작부(75)를 구현하고 있으나, 자석 등을 사용하여(지지부재와 록킹편에 자석을 설치하는 방법 등으로) 봉투구속조작부(75)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좌하지지부재(21), 좌상지지부재(31), 우하지지부재(51) 및 우상지지부재(61)와 한 몸을 이루도록 록킹편(75b)을 구현하고 있으나, 좌하지지부재(21), 좌상지지부재(31), 우하지지부재(51) 및 우상지지부재(61)와 별도로 록킹편(75b)을 형성하고 록킹돌부(75a)를 향해 회동할 수 있도록 록킹편(75b)을 좌하지지부재(21), 좌상지지부재(31), 우하지지부재(51) 및 우상지지부재(61)에 결합하는 방법 등으로 봉투구속조작부(75)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벨크로를 사용하여 봉투개방조작부(80)를 구현하고 있으나, 자석, 본 발명의 봉투구속조작부와 같은 록킹방식, 버튼의 누름동작에 연동하여 체결 및 체결해제동작이 반복되는 록킹방식(실용신안등록 제20-0410238호 슬라이드도어의 록킹장치 등 참조) 등을 사용하여 봉투개방조작부(80)를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좌하지지부(20)와 좌상지지부(30)로 분할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방법으로 좌지지부(10)를 구성하고 우하지지부(50)와 우상지지부(60)로 분할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방법으로 우지지부(40)를 구성하고 좌하지지부(20)와 우하지지부(50)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좌상지지부(30)와 우상지지부(60)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한편, 긴장상태가 되도록 좌조임줄(72)을 좌상지지부재(31)의 외표면과 좌하지지부재(21)의 외표면에 고정하고 긴장상태가 되도록 우조임줄(74)을 우상지지부재(61)의 외표면과 우하지지부재(51)의 외표면에 고정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상단 개구를 밀폐하기 위해 좌지지부재(11)와 우지지부재(41)를 구속조작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없고(좌조임줄과 우조임줄의 탄성력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상단 개구는 밀폐됨),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밀폐성이 향상되고(좌하지지부재와 우하지지부재의 하단이 결합되고 좌상지지부재와 우상지지부재의 상단이 결합됨),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상단 개구를 용이하게 밀폐할 수 있고(좌조임줄과 우조임줄의 탄성력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상단 개구는 밀폐됨),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상단 개구를 개방할 때 음식물 쓰레기 봉투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좌조임줄의 탄성력은 좌지지부에만 작용하고 우조임줄의 탄성력은 우지지부에만 작용함).
그리고 좌파지부(81)와 우파지부(82)가 접근하도록 좌파지부(81)와 우파지부(82)에 힘을 가해 좌지지부(10)와 우지지부(40)에 구속된 음식물쓰레기 봉투의 상단을 개방조작하기 위한 봉투개방조작부(80)를 추가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 봉투의 상단을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좌하지지부(20)와 좌상지지부(30) 사이의 회동동작을 제한하는 좌스토퍼(71)와 우하지지부(50)와 우상지지부(60) 사이의 회동동작을 제한하는 우스토퍼(73)를 추가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밀폐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좌스토퍼와 우스토퍼가 없어 좌하지지부재와 좌상지지부재의 결합영역이 우지지부재를 향해 꺽이고 우하지지부재와 우상지지부재의 결합영역이 좌지지부재를 향해 꺽이는 경우 하단회동핀 인접영역과 상단회동핀 인접영역에 공극이 발생할 수 있음).
또한 좌하지지부재(21), 좌상지지부재(31), 우하지지부재(51) 및 우상지지부재(61)에 각각 좌하간극형성절곡부(21a), 좌상간극형성절곡부(31a), 우하간극형성절곡부(51a) 및 우상간극형성절곡부(61a)를 형성하는 한편, 좌하지지부재(21)의 내표면, 좌상지지부재(31)의 내표면, 우하지지부재(51)의 내표면 및 우상지지부재(61)의 내표면에 각각 좌하밀폐보강리브(24), 좌상밀폐보강리브(34), 우하밀폐보강리브(54) 및 우상밀폐보강리브(64)를 형성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밀폐성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10, 110 : 좌지지부 20 : 좌하지지부
21 : 좌하지지부재 24 : 좌하밀폐보강리브
30 : 좌상지지부 31 : 좌상지지부재
34 : 좌상밀폐보강리브 40, 140 : 우지지부
50 :우좌하지지부 51 : 우하지지부재
54 : 우하밀폐보강리브 60 : 우상지지부
61 : 우상지지부재 64 : 우상밀폐보강리브
71 : 좌스토퍼 72 : 좌조임줄
73 : 우스토퍼 74 : 우조임줄
75 : 봉투구속조작부 80: 봉투개방조작부
81 : 좌파지부 82 : 우파지부
83 : 좌벨크로부 84 : 우벨크로부
121 : 좌지지부재 141 : 우지지부재
171 : 하탄성작용부 172 : 상탄성작용부

Claims (5)

  1. 직선상의 좌하지지부재와 상기 좌하지지부재의 양단에 나누어 형성된 좌하내측체결부 및 좌하외측체결부를 구비한 좌하지지부와, 직선상의 좌상지지부재와 상기 좌상지지부재의 양단에 나누어 형성된 좌상내측체결부 및 좌상외측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좌하지지부재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좌하내측체결부와 상기 좌상내측체결부에 설치된 좌중간회동핀을 통해 상기 좌하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좌상지지부를 갖는 좌지지부와;
    긴장상태가 되도록 양단이 상기 좌상지지부재의 외표면과 상기 좌하지지부재의 외표면에 고정된 신축재질의 좌조임줄과;
    직선상의 우하지지부재와 상기 우하지지부재의 양단에 나누어 형성된 우하내측체결부 및 우하외측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우하지지부재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우하외측체결부와 상기 좌하외측체결부에 설치된 하단회동핀을 통해 상기 좌하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우하지지부와, 직선상의 우상지지부재와 상기 우상지지부재의 양단에 나누어 형성된 우상내측체결부 및 우상외측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우상지지부재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우하내측체결부와 상기 우상내측체결부에 설치된 우중간회동핀을 통해 상기 우하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우상지지부재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우상외측체결부와 상기 좌상외측체결부에 설치된 상단회동핀을 통해 상기 좌상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우상지지부를 갖는 우지지부와;
    긴장상태가 되도록 양단이 상기 우상지지부재의 외표면과 상기 우하지지부재의 외표면에 고정된 신축재질의 우조임줄과;
    상기 좌하지지부재, 상기 좌상지지부재, 상기 우하지지부재 및 상기 우상지지부재에 나누어 형성되어, 상기 좌하지지부재의 내표면, 상기 좌상지지부재의 내표면, 상기 우하지지부재의 내표면 및 상기 우상지지부재의 내표면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좌하지지부재의 외표면, 상기 좌상지지부재의 외표면, 상기 우하지지부재의 외표면 및 상기 우상지지부재의 외표면 쪽으로 상단이 젖혀지도록 설치되는 음식물쓰레기 봉투가 상기 좌지지부 및 상기 우지지부에 구속되도록 조작하기 위한 봉투구속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하지지부재의 외표면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도록 상기 좌하외측체결부로부터 연장형성된 좌파지부와 상기 우하지지부재의 외표면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도록 상기 우하외측체결부로부터 연장형성된 우파지부를 가지고, 상기 좌파지부와 상기 우파지부가 접근하도록 상기 좌파지부와 상기 우파지부에 힘을 가해 상기 좌지지부와 상기 우지지부에 구속된 음식물쓰레기 봉투의 상단을 개방조작하기 위한 봉투개방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지지부에 형성되어 상기 좌하지지부재의 외표면과 상기 좌상지지부재의 외표면 사이의 각도가 180도보다 작아지지 않도록 상기 좌하지지부와 상기 좌상지지부 사이의 회동동작을 제한하는 좌스토퍼와, 상기 우지지부에 형성되어 상기 우하지지부재의 외표면과 상기 우상지지부재의 외표면 사이의 각도가 180도보다 작아지지 않도록 상기 우하지지부와 상기 우상지지부 사이의 회동동작을 제한하는 우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하지지부재는 상기 우하외측체결부 측 종단에 상기 우하외측체결부를 향해 좌하간극형성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상지지부재는 상기 우상외측체결부 측 종단에 상기 우상외측체결부를 향해 좌상간극형성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하지지부재는 상기 좌하외측체결부 측 종단에 상기 좌하외측체결부를 향해 우하간극형성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상지지부재는 상기 좌상외측체결부 측 종단에 상기 좌상외측체결부를 향해 우상간극형성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지지부는 상기 좌하지지부재의 내표면에 상기 좌하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 좌하밀폐보강리브와, 상기 좌상지지부재의 내표면에 상기 좌상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 좌상밀폐보강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지지부는 상기 우하지지부재의 내표면에 상면이 상기 좌하밀폐보강리브의 저면에 정렬되도록 상기 우하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 우하밀폐보강리브와, 상기 우상지지부재의 내표면에 상면이 상기 좌상밀폐보강리브의 저면에 정렬되도록 상기 우상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 우상밀폐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하지지부재는 상기 우하외측체결부를 향해 좌하간극형성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상지지부재는 상기 우상외측체결부를 향해 좌상간극형성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하지지부재는 상기 좌하외측체결부를 향해 우하간극형성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상지지부재는 상기 좌상외측체결부를 향해 우상간극형성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지지부는 상기 좌하지지부재의 내표면에 상기 좌하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 좌하밀폐보강리브와, 상기 좌상지지부재의 내표면에 상기 좌상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 좌상밀폐보강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지지부는 상기 우하지지부재의 내표면에 상면이 상기 좌하밀폐보강리브의 저면에 정렬되도록 상기 우하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 우하밀폐보강리브와, 상기 우상지지부재의 내표면에 상면이 상기 좌상밀폐보강리브의 저면에 정렬되도록 상기 우상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 우상밀폐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
KR1020170135962A 2017-10-19 2017-10-19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 KR201900438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962A KR20190043893A (ko) 2017-10-19 2017-10-19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962A KR20190043893A (ko) 2017-10-19 2017-10-19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893A true KR20190043893A (ko) 2019-04-29

Family

ID=66282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962A KR20190043893A (ko) 2017-10-19 2017-10-19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38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834A (ko) * 2021-01-26 2022-08-02 주식회사 피봇 차량용 쓰레기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834A (ko) * 2021-01-26 2022-08-02 주식회사 피봇 차량용 쓰레기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1303B2 (en) Container closure device and container
CZ298340B6 (cs) Sestava víceosého kloubu a forma pro tuto sestavu
RU2004122589A (ru) Сгибаемая удлинительная труба с шарниром,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пылесоса
US20160134322A1 (en) Adjustable protective cover for an input device
KR20090099057A (ko) 가역적이며 재사용이 가능한 잠금 수단을 구비한 뚜껑과 결합되는 용기를 포함하는 패키징
KR20190043893A (ko)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
EP1538098A1 (en) Box with a slidable cover
JP6021139B2 (ja) 折畳コンテナ
JP5457328B2 (ja) 施解錠装置及び建具
JP5470213B2 (ja) ホルダー
JP5085304B2 (ja) ヒンジ装置
JP4766307B2 (ja) キャップ付き容器
JPH08244814A (ja) 容 器
JP5167503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施錠構造
KR100450518B1 (ko) 담배케이스
KR100764304B1 (ko) 냉장고용 홈바도어의 잠금장치
JP7166994B2 (ja) 折戸、及び、建具
JP4169129B2 (ja) 携帯ケース
JP2011080303A (ja) プッシュラッチ構造、扉の開閉構造及び扉の開閉構造に用いられるプッシュラッチ装置
JP5281622B2 (ja) かばん
JP3072498B2 (ja) ヒンジ
JP2015105474A (ja) 建具
KR100535689B1 (ko) 진공챔버용 도어의 슬라이딩 개폐 작동장치
KR20170000530U (ko) 폐쇄 고정형 샤워부스 도어
BE1017858A6 (fr) Boites a charnieres a fermeture integree pour boites en cart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