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5689B1 - 진공챔버용 도어의 슬라이딩 개폐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챔버용 도어의 슬라이딩 개폐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5689B1
KR100535689B1 KR10-2003-0012001A KR20030012001A KR100535689B1 KR 100535689 B1 KR100535689 B1 KR 100535689B1 KR 20030012001 A KR20030012001 A KR 20030012001A KR 100535689 B1 KR100535689 B1 KR 100535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acuum
chamber
present
lo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2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6675A (ko
Inventor
장성문
한상욱
Original Assignee
(주)베스트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베스트큐 filed Critical (주)베스트큐
Priority to KR10-2003-0012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5689B1/ko
Publication of KR20040076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6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6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5/12Securing pins in sockets, movably or no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챔버용 도어의 슬라이딩 개폐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진공기의 정면 일측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절곡된 상단면에 장공이 형성된 상부브라켓트(10); 진공기의 정면 일측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절곡된 하단면에 장공이 형성된 하부브라켓트(30); 도어의 일측 끝단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로 돌출된 힌지축이 상기 장공에 끼워져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20); 도어의 일측 끝단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하부로 돌출된 힌지축이 상기 장공에 끼워져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40);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슬라이딩 작동에 의해 도어가 챔버내부의 입구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임은 물론 도어가 고무패킹에 긴밀히 밀착되면서 챔버내부를 용이하게 진공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도어가 오픈되는 과정이나 또는 오픈되었을때 자유롭게 흔들리지 않도록 한 것이며 더 나아가서는 부품에 압력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챔버용 도어의 슬라이딩 개폐 작동장치{sliding opening and shutting operating device of door for Vacuum chamber}
본 발명은 진공챔버용 도어의 슬라이딩 개폐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작동에 의해 도어가 챔버내부의 입구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임은 물론 도어가 고무패킹에 긴밀히 밀착되면서 챔버내부를 용이하게 진공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도어가 오픈되는 과정이나 또는 오픈되었을때 자유롭게 흔들리지 않도록 한 것이며 더 나아가서는 부품에 압력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16157호(등록번호 제247761호)와 특허등록출원 제2001-48943호(등록번호 342799호)에 관련하여 발명된 것임을 먼저 밝혀두는 바이다.
주지하다시피 식품을 진공상태에서 저온으로 보관하면 대부분의 부패세균 증식을 막을 수 있어 식품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것이 진공기이다.
상기 진공기는 챔버내부가 진공상태로 유지하게 되는데, 이때 챔버내부의 입구를 도어가 개폐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진공기에서 도어가 개폐되는 기술적 구성은 경첩에 의해 도어가 개폐되는 기술인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챔버내부가 진공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도어가 챔버내부 입구에 긴밀히 밀착되어야 하는데 이때 종래에는 경첩의 일측은 도어에 타측은 진공기에 각각 체결됨으로 인해 상기 도어가 챔버내부의 입구쪽으로 반복 밀착되는 과정에서 경첩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어가 챔버내부의 입구쪽으로 밀착되는 과정에서 경첩과 도어의 결합부위가 집중적으로 힘을 받게 되면 상호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또한 장시간 도어가 개폐되게 되면 경첩이 파손되고 이로 인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한 기술적 구성의 문제점과 아울러 도어가 슬라이딩 작동에 의해 밀폐되지 않은 문제점, 즉 도어가 고무패킹을 긴밀히 밀착시켜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여 진공실패율이 높고 이로 인해 긴밀히 진공상태를 유지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슬라이딩 작동에 의해 도어가 챔버내부의 입구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며, 제2목적은 도어가 고무패킹에 긴밀히 밀착되면서 챔버내부를 용이하게 진공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도어가 오픈되는 과정이나 또는 오픈되었을때 자유롭게 흔들리지 않도록 한 것이며, 제4목적은 부품에 압력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진공챔버용 도어의 슬라이딩 개폐 작동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가 챔버내부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진공기에 있어서, 진공기의 정면 일측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절곡된 상단면에 장공이 형성된 상부브라켓트; 진공기의 정면 일측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절곡된 하단면에 장공이 형성된 하부브라켓트; 도어의 일측 끝단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로 돌출된 힌지축이 상기 장공에 끼워져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 도어의 일측 끝단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하부로 돌출된 힌지축이 상기 장공에 끼워져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챔버용 도어의 슬라이딩 개폐 작동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된 진공챔버용 도어의 슬라이딩 개폐 작동장치는 도 1 에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적용된 부호 1은 음식물 진공기로,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진공기(1)는 음식물 이외의 다른 것을 진공시킬 수 있는 진공기(1)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음식물을 진공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진공기(1)로 설명하지만 그 외의 여러가지를 진공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상기 진공기(1)의 내부에는 진공상태로 유지시켜주는 챔버내부(2)가 구비됨은 물론 상기 챔버내부(2)의 입구에는 고무패킹(3)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진공기(1)의 정면에는 도어(4)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 도어(4)는 일측에는 체결구(5)가 구비됨은 물론 정면에는 손잡이(6)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특징은 이하에서와 같다.
즉, 상기 진공기(1)의 정면 일측 상부에는 절곡된 상단면에 장공(11)이 형성된 상부브라켓트(10)가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진공기(1)의 정면 일측 하부에는 절곡된 하단면에 장공(31)이 형성된 하부브라켓트(30)가 고정 설치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도어(4)의 일측 끝단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로 돌출된 힌지축(21)이 상기 장공(11)에 끼워져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2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어(4)의 일측 끝단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하부로 돌출된 힌지축(41)이 상기 장공(31)에 끼워져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40)가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상하부브라켓트(10)(30)와 상하부플레이트(20)(40)는 체결공(12)(22)이 형성되고, 이 체결공(12)(22)에는 볼트(13)(23)가 끼워져 진공기(1)와 도어(4)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에 국한하지 않고 용접이나 그 외의 기술적 구성에 의해 고정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ㄱ'자로 절곡된 상부브라켓트(10)와 'ㄴ'자로 절곡된 하부브라켓트(30)를 평판 플레이트로 형성한 후 진공기(1)의 정면에 용접등의 부착 수단으로 고정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부브라켓트(30)의 장공(31)이 형성된 부위에 일측으로 연장되게 받침대(32)를 더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하부플레이트(40)의 일측에 도어(4)가 오픈되었을때 하부브라켓트(30)에 맞닿은 채로 지지되게 곡선돌기부(42)가 더 구비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도면상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곡선돌기부(42)가 상부플레이트(20)에도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진공챔버용 도어의 슬라이딩 개폐 작동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3 의 (a)는 도어(4)가 챔버내부(2)의 입구 고무패킹(3)에 맞닿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도어(4)가 고무패킹(3)을 밀착하여 챔버내부(2)가 진공상태로 유지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c)는 도어(4)가 오픈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4, 5 의 (a)는 도어(4)가 오픈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챔버내부(2)에 진공시킬 음식물을 수납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의 도어(4)는 하부플레이트(40)에 돌출 형성된 곡선돌기부(42)가 하부브라켓트(30)의 면에 상호 맞닿은 상태로 위치하기 때문에 흔들지지 않고 견고히 유지된다. 물론 이때 상하 힌지축(21)(41)은 상하 장공(11)(31)에 끼워져 설치됨은 당연하다.
상기한 상태에서 도 4, 5 의 (b)는 도어(4)가 닫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장공(11)(31)에 끼워진 힌지축(21)(41)을 중심으로 도어(4)와 함께 화살표 방향으로 상하부플레이트(20)(40)가 회전하게 되며, 이때 하부플레이트(40)의 곡선돌기부(40)는 하부브라켓트(30)와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흔들림 없이 계속 지지되게 된다.
이어서 도 4, 5 의 (c)는 도어(4)가 닫히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와 같은 상태는 단순히 도어(4)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이때 도어(4)는 고무패킹(3)과 상호 맞닿은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의 받침대(32)는 도어(4)의 하단을 받쳐주게 되며, 체결구(5)는 도어(4)를 초기에 진공상태로 밀착 시키는 역활을 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조작버튼을 눌러 진공기(1)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으로, 도 4, 5 의 (d)는 본 발명에 적용된 도어(4)가 챔버내부(2)의 입구를 긴밀히 밀착하여 진공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미 공지된 기술에 의해 챔버내부(2)가 진공상태로 유지하게 되면 도어(4)는 챔버내부(2)의 입구 쪽으로 밀려 들어가게 되는 것으로, 이때 장공(11)(31)의 바깥쪽에 위치한 힌지축(21)(41)은 점점 장공(11)(31)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4)가 챔버내부(2)의 입구 쪽으로 밀려 들어가게 되면 고무패킹(3)은 도어(4)의 내측면에 의해 눌려지면서 긴밀히 밀착되고 이로 인해 챔버내부(2)가 긴밀히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해 음식물을 진공상태로 포장한 후에는 다시 도어(4)를 오픈시키게 되는 것으로, 상기 챔버내부(2)의 진공이 해지되면 자연적으로 내측으로 이동된 도어(4)가 외측으로 이동되게 되며, 이후 사용자는 체결구(5)를 해지하여 도어(4)를 오픈시키게 된다.
상기 도어(4)의 오픈 작동은 전술한 바와 같은 도 4, 5 의 역순에 의해 작동시키게 되면 손쉽게 도어(4)를 오픈시켜 다음 작업을 계속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슬라이딩 작동에 의해 도어가 챔버내부의 입구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임은 물론 도어가 고무패킹에 긴밀히 밀착되면서 챔버내부를 용이하게 진공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어가 오픈되는 과정이나 또는 오픈되었을때 자유롭게 흔들리지 않도록 한 것이며, 부품에 압력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 진공챔버용 도어의 슬라이딩 개폐 작동장치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 진공챔버용 도어의 슬라이딩 개폐 작동장치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3 의 (a)는 본 발명의 도어가 진공챔버의 입구 고무패킹에 맞닿은 상태를
도시한 전체 측면도이고,
(b)는 본 발명의 도어가 진공챔버의 입구 고무패킹을 일측으로 밀착
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측면도이며,
(c)는 본 발명의 도어가 오픈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측면도이다.
도 4 의 (a)는 본 발명의 상부플레이트에 의해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고,
(b)는 본 발명의 상부플레이트에 의해 도어가 닫히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며,
(c)는 본 발명의 상부플레이트에 의해 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고,
(d)는 본 발명의 상부플레이트에 의해 도어가 진공상태로 닫힌 상태
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5 의 (a)는 본 발명의 하부플레이트에 의해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고,
(b)는 본 발명의 하부플레이트에 의해 도어가 닫히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며,
(c)는 본 발명의 하부플레이트에 의해 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고,
(d)는 본 발명의 하부플레이트에 의해 도어가 진공상태로 닫힌 상태
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 진공챔버용 도어의 슬라이딩 개폐 작동장치의 다른 실시예
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진공기 3: 고무패킹
4: 도어 10:상부브라켓트
11: 장공 20: 상부플레이트
21: 힌지축 30: 하부브라켓트
31: 장공 32: 받침대
40: 하부플레이트 41: 힌지축
42: 돌기부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진공기의 정면 일측 상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상하부브라켓트와, 도어의 일측 끝단 상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상하부플레이트로 이루어져 도어가 챔버내부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도어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브라켓트(10)(30)의 절곡된 상하단면 중앙에 형성된 장공(11)(31);
    상기 상하부플레이트(20)(40)의 상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장공에 끼워져 설치되는 힌지축(21)(41); 및
    상기 하부브라켓트(40)의 장공이 형성된 부위에는 일측으로 연장되게 받침대(32)가 더 형성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40)의 일측에는 도어가 오픈되었을때 하부브라켓트에 맞닿은 채로 지지되게 곡선돌기부(4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챔버용 도어의 슬라이딩 개폐 작동장치.
KR10-2003-0012001A 2003-02-26 2003-02-26 진공챔버용 도어의 슬라이딩 개폐 작동장치 KR100535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2001A KR100535689B1 (ko) 2003-02-26 2003-02-26 진공챔버용 도어의 슬라이딩 개폐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2001A KR100535689B1 (ko) 2003-02-26 2003-02-26 진공챔버용 도어의 슬라이딩 개폐 작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675A KR20040076675A (ko) 2004-09-03
KR100535689B1 true KR100535689B1 (ko) 2005-12-09

Family

ID=37362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2001A KR100535689B1 (ko) 2003-02-26 2003-02-26 진공챔버용 도어의 슬라이딩 개폐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56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831B1 (ko) * 2008-08-20 2010-08-30 (주)에이알텍 환경시험기용 챔버의 슬라이딩 도어 구조
KR102191559B1 (ko) * 2020-09-15 2020-12-15 엄정일 도어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챔버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1568U (ko) * 1975-04-14 1976-10-23
JPS51131569U (ko) * 1975-04-14 1976-10-23
JPS51139872U (ko) * 1975-05-02 1976-11-11
JPS5244023U (ko) * 1975-09-23 1977-03-29
JPS53104122U (ko) * 1977-01-27 1978-08-22
JPS53110824U (ko) * 1977-02-12 1978-09-05
JPS53116319U (ko) * 1977-02-23 1978-09-16
JPS53160572U (ko) * 1977-05-23 1978-12-15
KR200194367Y1 (ko) * 2000-03-30 2000-09-01 이세영 목재사물함의 경첩 설치구조
KR200238551Y1 (ko) * 2001-04-27 2001-10-12 조성호 목재 경첩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1568U (ko) * 1975-04-14 1976-10-23
JPS51131569U (ko) * 1975-04-14 1976-10-23
JPS51139872U (ko) * 1975-05-02 1976-11-11
JPS5244023U (ko) * 1975-09-23 1977-03-29
JPS53104122U (ko) * 1977-01-27 1978-08-22
JPS53110824U (ko) * 1977-02-12 1978-09-05
JPS53116319U (ko) * 1977-02-23 1978-09-16
JPS53160572U (ko) * 1977-05-23 1978-12-15
KR200194367Y1 (ko) * 2000-03-30 2000-09-01 이세영 목재사물함의 경첩 설치구조
KR200238551Y1 (ko) * 2001-04-27 2001-10-12 조성호 목재 경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675A (ko) 200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2118B2 (en) Container closure arrangement
KR100790549B1 (ko) 식품 보관용기
JP2000203648A (ja) 真空吸引密閉容器
RU2008140731A (ru) Не доступный для открывания детьми контейнер и крышка контейнера
KR100535689B1 (ko) 진공챔버용 도어의 슬라이딩 개폐 작동장치
TWI705925B (zh) 可密封蓋及包含其之容器
JP2022172998A (ja) 密閉効果が良い容開封性密閉容器
JP4977709B2 (ja) 貯蔵容器用容器蓋
USD591901S1 (en) Cigarette packet
KR100486074B1 (ko) 밀폐형 식품용기
KR200207088Y1 (ko) 음식물용 밀폐용기
KR20060120522A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KR20130068794A (ko) 식품 보관용기의 락킹레버 결합용 브라켓
KR200173355Y1 (ko) 진공 보온병용 뚜껑
KR100607543B1 (ko) 개선된 밸브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 커버
KR101927703B1 (ko) 뚜껑의 개폐 구조
JP4753222B2 (ja) 化粧料用コンパクト容器
KR101927704B1 (ko) 뚜껑의 개폐 구조
JPH0433087Y2 (ko)
KR100337192B1 (ko) 밀폐용기
KR20060129134A (ko) 밀폐용기
WO2009014378A1 (en) Airtight container easy to open or close
KR20090012572U (ko) 밀폐 용기
JPH09255024A (ja) 蓋付き密封容器
JP3080269U (ja) 密閉蓋付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