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559B1 - 도어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챔버 - Google Patents

도어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챔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559B1
KR102191559B1 KR1020200118024A KR20200118024A KR102191559B1 KR 102191559 B1 KR102191559 B1 KR 102191559B1 KR 1020200118024 A KR1020200118024 A KR 1020200118024A KR 20200118024 A KR20200118024 A KR 20200118024A KR 102191559 B1 KR102191559 B1 KR 102191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hamber
chamber body
door lock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정일
Original Assignee
엄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정일 filed Critical 엄정일
Priority to KR1020200118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5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0Illuminating devices on or for locks or keys; Transparent or translucent lock parts; Indicator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84Means to prevent forced opening by attack, tampering or jimm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05C9/041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with rack and pinion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18Details of fastening means or of fixed retaining means for the ends of bars
    • E05Y2900/60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챔버에 관한 것으로, 내부공간(101)과 상기 내부공간(101)의 개방부를 가지는 챔버본체(100)와 상기 챔버본체(100)에 힌지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개방부(10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200)와 상기 도어(200)가 상기 챔버본체(100)에 일정 정도 닫혔을 때 동작하여 상기 도어(200)를 상기 개방부(102)의 테두리에 밀착시키고 락킹시키는 도어제어장치(300)와 상기 챔버본체(100)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공간(101)의 분진을 제거하는 에어샤워장치(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어를 자동으로 잠그는 도어제어장치와 챔버의 운전중 발생한 분진을 제거할 수 있는 에어샤워장치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도어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챔버{Chamber containing door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챔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의 내구성 및 신뢰성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시험용 챔버에 관한 것이다.
시험용 챔버는 여러 온도 및 습도 조건과 진동 조건 등에서 제품의 내구성 및 신뢰성 시험을 수행하는 환경시험 설비이다. 시험용 챔버의 예로는 항온항습시험기, 열충격시험기, 성능내구시험기, 특수시험기 등이 있다.
이러한 시험용 챔버는 고온, 저온 및 고습 운전중 챔버의 도어를 열면 압력과 살수, 분진 등으로 인해 위험하므로 수동잠금장치를 설치하고, 추가로 별도의 락킹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그런데, 챔버의 도어에 수동장금장치와 락킹장치를 설치하면 도어를 잠그고 여는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하며, 환경시험을 수행하기 전 도어를 수동으로 잠그고 락킹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시험용 챔버는 챔버 내에서 발생한 분진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챔버의 도어를 열면 분진이 그대로 배출되고 사용자가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챔버의 운전중 도어가 자동으로 잠기는 도어제어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챔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챔버의 운전중 발생한 분진을 제거할 수 있는 에어샤워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챔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챔버는 챔버에 있어서,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의 개방부를 가지는 챔버본체와 상기 챔버본체에 힌지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개방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가 상기 챔버본체에 일정 정도 닫혔을 때 동작하여 상기 도어를 상기 개방부의 테두리에 압착시키고 락킹시키는 도어제어장치와 상기 챔버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분진을 제거하는 에어샤워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샤워장치는 상기 챔버본체의 양측 내벽에 설치되며 제1 필터를 포함하는 에어흡입부와 상기 챔버본체의 천정에 설치되며 제2 필터를 포함하는 에어분사부와 상기 에어흡입부와 상기 에어분사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챔버본체의 내벽에 형성한 유로와 상기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가 상기 제1 필터를 통과하여 상기 유로로 유입되고 상기 유로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 필터를 통과하여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 순환 흐름을 유도하는 블로어와 상기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살균하는 유브이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와 상기 제2 필터는 헤파필터와 탈취필터를 포함하는 다층 필터 구조이다.
상기 도어제어장치는 상기 도어와 상기 챔버본체의 상측과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의 상측과 하측 부분을 상기 챔버본체에 동시에 락킹시키는 도어락 유닛과 상기 도어가 상기 챔버본체에 일정 정도 닫혔는지 유무를 감지하는 도어잠금센서와 상기 도어잠금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도어락 유닛을 동작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락 유닛은 상기 챔버본체의 개방부의 테두리에 설치되며, 선단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우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사이에 구멍을 갖는 도어락 고리와 상기 도어에 설치된 키박스에서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도어락 고리의 선단에 접하면서 상기 도어락 고리의 구멍으로 삽입되며, 상기 구멍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후면이 상기 도어락 고리의 선단을 밀어 전진하도록 후면이 상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된 잠금핀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락 유닛은 선단이 상기 잠금핀부를 형성하는 랙기어와 상기 키박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며 회전에 의해 상기 랙기어를 직선운동시켜 상기 랙기어의 선단의 잠금핀부를 상기 키박스에서 인출시키는 피니언기어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어제어장치는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어잠금센서는 상기 잠금핀부의 선단이 상기 도어락 고리의 선단에 접하는지를 감지하는 리미트센서이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리미트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하고, 상기 챔버의 운전중 상기 챔버본체에 락킹된 상기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도어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도어락 유닛은 구동전달샤프트로 연결되어 하나의 구동모터에서 동력을 전달받고 동시에 동작한다.
상기 도어제어장치는 상기 도어가 상기 개방부의 테두리에 밀착되었는지 유무를 감지하는 상기 도어밀폐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도어밀폐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상기 도어의 전면에는 터치센서를 내장하여 터치시 상기 도어가 상기 챔버본체에 락킹된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챔버손잡이와, 상기 도어의 락킹 및 해제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포함된다.
본 발명은 도어제어장치를 포함하여, 도어를 챔버본체에 근접하여 거의 닫으면 도어제어장치의 도어잠금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도어가 서서히 닫히고 락킹되는 자동 잠김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도어제어장치는 챔버의 운전중 내부공간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일 경우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챔버를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샤워장치를 포함하여, 챔버의 내부공간의 분진을 챔버 자체의 내부 순환 구성을 통해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챔버의 도어를 열때 분진이 그대로 배출되고 사용자가 위험에 노출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챔버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챔버를 A-A 방향에서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챔버에서 도어를 개폐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A 부분과 도 3의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어락 유닛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어락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챔버에 설치된 에어샤워장치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의 내부 천정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7의 양측 내벽의 형상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샤워장치에 대응되는 챔버의 양측 외벽 부분을 보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구동전달샤프트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챔버(10)는 챔버본체(100)와 챔버본체(100)의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200)를 포함한다. 챔버(10)는 항온항습시험기, 열충격시험기, 성능내구시험기, 특수시험기 등 도어가 있는 모든 시험기가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챔버본체(10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어(200)는 챔버본체(100)의 전면에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챔버본체(100)는 하면에 바퀴가 설치되어 이동이 용이하다.
챔버(10)는 도어(200)가 챔버본체(100)에 자동으로 닫히고 잠기게 하는 도어제어장치(300)를 포함한다. 도어제어장치(300)는 챔버(10)의 운전중 오픈스위치를 작동해도 도어(200)가 열리지 않도록 셋업 가능하다.
도어제어장치(300)는 도어락 유닛(310), 구동모터(320), 도어잠금센서(330), 도어밀폐센서(340) 및 컨트롤러(350)를 포함한다.
도어락 유닛(310)은 도어(200)와 챔버본체(10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도어락 유닛(310a)과 제2 도어락 유닛(310b)을 포함한다.
제1 도어락 유닛(310a)과 제2 도어락 유닛(310b)은 도어(200)의 상측과 하측 부분을 챔버본체(100)에 동시에 압착시켜 자동 락킹시킬 수 있다. 도어락 유닛(310)을 도어(20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하여 도어(200)를 챔버본체(100)에 자동 락킹시키면 도어(200)를 챔버본체(100)에 안정적으로 압착시키고 챔버본체(100)의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도어락 유닛(310)을 동작시키는 구동모터(320)를 포함한다. 구동모터(320)는 도어락 유닛(310)의 동작 속도를 조절하여 도어(200)가 락킹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는 구동모터(320) 한 개로 다수 개의 도어락 유닛(310)을 연결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다수 개의 도어락 유닛(310)은 구동모터(320)의 구동축에 구동전달샤프트(325)를 추가로 장착하여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일 예로 도어(20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도어락 유닛(310)과 제2 도어락 유닛(310)은 구동전달샤프트(325)로 연결되어 구동모터(320)의 구동시 동시에 동작될 수 있다.
도어잠금센서(330)는 챔버본체(100)에 설치되며 도어(200)와 접촉하여 도어(200)가 챔버본체(100)에 일정 정도 닫혔는지 유무를 감지한다. 도어잠금센서(320)의 감지신호는 도어락 유닛(310)을 동작시켜 도어(200)가 챔버본체(100)에 자동으로 닫히게 한다.
도어밀폐센서(340)는 챔버본체(100)에 설치되며 도어(200)가 챔버본체(100)에 닫히고 완전히 압착되었는지 감지한다. 도어밀폐센서(340)의 감지신호는 도어락 유닛(310)의 동작을 중지시켜 도어락 유닛(310)이 도어(200)를 락킹하게 한다. 도어밀폐센서(340)는 도어(200)가 챔버본체(100)에 완전 압착될때까지 도어락 유닛(310)의 동작을 제어하여 누수가 없도록 한다.
컨트롤러(350)는 도어(200)에 설치된다. 컨트롤러(350)는 도어잠금센서(330)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도어락 유닛(310)을 동작시키고, 도어밀폐센서(340)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도어락 유닛(310)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350)는 도어(200)의 전면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351)를 구비한다. 컨트롤러(350)는 챔버(10)의 운전중 사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도어(200)가 열리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챔버(10)의 운전중 도어(200)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안전범위는 사용자가 설정 가능하다.
도어(200)는 전면에 챔버손잡이(360)와 표시부(370)를 구비한다.
챔버손잡이(360)는 사용자가 파지하고 도어(200)를 열고 닫을 수 있다. 챔버손잡이(360)는 터치센서를 내장하여 터치만으로 손쉽게 도어(200)를 열 수 있다. 표시부(370)는 도어(200)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녹색등과 적색등을 포함하여, 도어(200)의 락킹 또는 락킹 해제 상태를 외부로 표시한다. 일 예로, 녹색등이 점등되면 도어(200)가 락킹 해제된 상태이고 적색등이 점등되면 도어(200)가 락킹된 상태임을 의미한다.
도어(200)는 전면에 투명창(380)을 더 구비한다. 투명창(380)은 챔버본체(100)의 내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챔버(10)는 보조배터리(390)를 더 구비한다. 보조배터리(390)는 전원이 차단되어도 챔버(10)가 동작할 수 있도록 비상시 보조 전원을 공급한다. 보조배터리(390)는 챔버(10)에 공급되는 전원으로 충전되고 비상시 챔버(10)에 보조 전원을 공급한다. 챔버(10)는 도어(200)가 전자식으로 열고 닫히므로 정전시에 비상전원을 통해 전류를 공급받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보조배터리(390)가 구비된다.
도 2는 도 1의 챔버를 A-A 방향에서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챔버에서 도어를 개폐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챔버본체(100)는 내부공간(101)과 내부공간(101)의 개방부(102)를 가진다. 내부공간(101)에는 내구성 및 신뢰성 시험을 위한 제품이 수용된다. 내부공간(101)은 습도, 온도, 진동 등 시험을 위한 가혹한 조건이 구현된다.
도어(200)는 일측이 챔버본체(100)에 힌지(210) 결합되고 반대편의 타측이 회전에 의해 챔버본체(100)의 개방부(102)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도어(200)는 후면 테두리를 둘러 가스켓(220)이 설치된다. 가스켓(220)은 도어(200)가 챔버본체(100)의 개방부(102)의 테두리에 압착시, 도어(200)와 챔버본체(100)의 사이를 밀폐하여 누수 발생을 방지한다.
도어락 유닛(310)은 도어(200)를 챔버본체(100)에 자동 락킹시킨다.
도어락 유닛(310)은 도어락 고리(311)와 잠금핀부(313)를 포함한다.
도어락 고리(311)는 챔버본체(100)의 상측과 하측의 개방부(102)의 테두리에 설치되며, 선단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우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사이에 구멍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잠금핀부(313)는 도어(200)에 설치된 키박스(312)에서 인출 가능하며 도어락 고리(311)의 선단(311a)에 접하면서 도어락 고리(311)의 구멍으로 삽입되며, 구멍(311b)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후면이 도어락 고리(311)의 선단을 밀어 도어(200)가 챔버본체(100) 방향으로 전진하도록 한다. 잠금핀부(313)는 도어락 고리(311)의 선단에 접하면서 도어락 고리(311)의 선단을 밀도록 후면이 상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도 4는 도 2의 A 부분과 도 3의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도어락 고리(311)는 챔버본체(100)의 개방부(102)의 테두리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선단(311a)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우는 바 또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사이에 구멍(311b)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잠금핀부(313)는 도어(200)에 설치된 키박스(312)에서 인출되고 도어락 고리(311)의 구멍(311b)에 삽입된다. 잠금핀부(313)는 도어락 고리(311)의 구멍(311b)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도어락 고리(311)의 선단(311a)을 후방으로 밀어 도어(200)를 챔버본체(100)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챔버본체(100)의 테두리에 압착시킨다.
잠금핀부(313)는 도어(20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키박스(312)의 내부로 인입되어 있고, 도어(200)가 락킹된 상태에서는 키박스(312)에서 인출되어 도어락 고리(311)의 구멍(311b)에 삽입된다.
도어락 유닛(310)은 잠금핀부(313)의 자동 인출 및 인입을 위한 랙기어(314)와 피니언기어(315)를 포함한다. 잠금핀부(313)는 랙기어(314)의 선단을 형성한다. 즉, 랙기어(314)의 선단 형상이 잠금핀부(313)를 형성한다. 잠금핀부(313)는 후면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챔버본체(100)와 마주하는 전면이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잠금핀부(313)의 후면의 경사진 형상은 잠금핀부(313)가 도어락 고리(311)의 구멍(311b)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도어락 고리(311)의 선단(311a)을 밀어 도어(200)를 챔버본체(10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피니언기어(315)는 키박스(312)의 내부에 설치되고 랙기어(314)와 맞물린다. 피니언기어(315)는 랙기어(314)와 맞물리며 회전에 의해 랙기어(314)를 직선운동시킨다. 랙기어(314)의 직선운동은 랙기어(314)의 선단의 잠금핀부(313)를 키박스(312)에서 인출 또는 인입시킨다.
피니언기어(315)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20)를 포함한다. 구동모터(320)의 구동축에 피니언기어(315)가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구동모터(320)의 구동축에 연결된 구동전달샤프트(325)에 피니언기어(315)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한 도어제어장치(300)는 도어(200)가 챔버본체(100)에 일정 정도 닫혔을 때 구동모터(320)가 구동되어, 도어(200)가 챔버본체(100)에 자동으로 닫히고 락킹되게 한다. 도어(200)가 챔버본체(100)에 일정 정도 닫혔는지 유무는 잠금핀부(313)가 도어락 고리(311)의 선단(311a)에 접하였을때이며, 이는 도어잠금센서(330)가 감지한다.
도어잠금센서(330)는 도어(200)가 챔버본체(100)에 일정 정도 닫혔는지 유무를 감지한다. 도어잠금센서(330)는 잠금핀부(313)의 선단(311a)이 도어락 고리(311)의 선단에 접하는지를 감지하는 리미트센서이다. 리미트센서는 챔버본체(100)에 구비되고, 잠금핀부(313)의 선단이 도어락 고리(311)의 선단에 접하는 시점과 동일한 시점에 도어(200)와 접하면서 잠금핀부(313)의 선단(311a)이 도어락 고리(311)의 선단에 접함을 감지한다.
컨트롤러(350)는 도어잠금센서(330)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모터(320)를 구동시키고, 구동모터(320)의 구동에 의해 도어락 유닛(310)이 동작한다. 또한, 컨트롤러(350)는 도어밀폐센서(340)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모터(32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도어밀폐센서(340)는 도어(200)가 개방부(102)의 테두리에 밀착되었는지 유무를 감지한다. 도어밀폐센서(340)는 도어(200)가 챔버본체(100)에 완전 밀폐될때까지 구동모터(320)의 동작을 제어하여 누수가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위 실시예들은 도어락 유닛(310)이 도어(200)의 상측과 하측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어락 유닛(310)은 도어(200)의 중간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어락 유닛(310)은 도어(200)에 잠금핀부(313)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게 설치할 수 있고,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잠금핀부(313)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게 도어락 유닛(310)을 도어(200)에 설치하는 경우, 다수 개의 도어락 유닛(310)은 구동전달샤프트(325)로 연결하여 하나의 구동모터(320)에서 동력을 전달받고 동시에 동작 가능하다.
챔버(10)가 대형이면 도어락 유닛(310)을 2개~ 3개 정도 설치할 수 있고, 챔버(10)가 소형이면 도어락 유닛(310)을 1개만 설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어락 유닛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어락 유닛(310)은 도어(200)의 중간측에 1개가 설치된다. 챔버(10)가 소형인 경우 1개의 도어락 유닛(310)을 설치하여 도어(200)의 자동 락킹을 구현할 수 있다.
도어락 유닛(310)은 챔버본체(100)에 구비되는 도어락 고리(311)와 도어(200)에 구비되는 잠금핀부(313)를 포함한다.
도어락 고리(311)는 선단(311a)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우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사이에 구멍을 갖는 형상이다. 잠금핀부(313)는 키박스(312) 내에 설치되는 랙기어(314)의 선단에 형성되며 키박스(312)에서 인출 가능하다.
랙기어(314)는 피니언기어(315)와 맞물리며 피니언기어(315)의 회전시 직선운동하여 잠금핀부(313)를 키박스(312)의 하부로 인출시킨다. 키박스(312)의 하부로 인출되는 잠금핀부(313)의 선단은 도어락 고리(311)의 선단(311a)과 접촉할 수 있는 위치까지 인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도어(200)를 닫기위해 도어(200)를 챔버본체(100) 방향으로 밀면 잠금핀부(313)의 선단이 도어락 유닛(310)의 선단(311a)과 접할 수 있다.
잠금핀부(313)의 선단이 도어락 유닛(310)의 선단(311a)과 접할 때 도어(200)와 접하는 도어잠금센서(330)를 포함한다. 도어잠금센서(330)는 챔버본체(100)에 설치되는 리미트센서이다. 잠금핀부(313)의 선단이 도어락 유닛(310)의 선단(311a)과 접할 때 도어(200)와 접하는 도어잠금센서(330)는 컨트롤러(350)에 감지신호를 전송하여 구동모터(320)를 구동시킨다.
구동모터(320)의 구동은 피니언기어(315)를 회전시키고 랙기어(314)를 직선이동시켜 잠금핀부(313)가 도어락 고리(311)의 구멍(311b)에 삽입되도록 한다. 잠금핀부(313)는 후면이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가져 도어락 고리(311)의 선단(311a)을 밀면서 구멍(311b)에 삽입되고 도어(200)가 챔버본체(10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챔버본체(100)의 테두리에 압착된다.
랙기어(314)의 선단에는 키박스(312)의 상부로 인출되는 연장바(314a)가 더 형성된다. 연장바(314a)는 랙기어(314)의 직선운동시 상부로 인출된다.
키박스(312)의 상부에 제1 센서(316)와 제2 센서(317)가 높이차를 두고 배치되며, 제1 센서(316)와 제2 센서(317)는 연장바(314a)와 선택적으로 터치된다. 제1 센서(316)와 제2 센서(317)는 연장바(314a)와 선택적으로 터치됨으로써 잠금핀부(313)가 도어락 고리(311)에 삽입 또는 삽입 해제되었는지 유무를 감지한다. 일 예로 잠금핀부(313)가 도어락 고리(311)에 삽입되면 연장바(314a)는 하부의 제2 센서(317)에 터치되고 잠금핀부(313)가 도어락 고리(311)에 삽입된 상태가 해제되면 상부의 제1 센서(316)에 터치된다. 제1 센서(316)와 제2 센서(317)는 표시부(370)의 녹색등과 적색등을 선택적으로 점등시킨다. 연장바(314a)가 제2 센서(317)를 터치하면 표시부(370)에 녹색등이 점등되고 적색등은 소등되며, 연장바(314a)가 제1 센서(316)를 터치하면 표시부(370)에 녹색등이 소등되고 적색등이 점등된다. 이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도어(200)의 잠김 여부를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어락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도시된 바에 의하면, 도어(200)를 닫기위해 도어(200)를 챔버본체(100) 방향으로 밀면 잠금핀부(313)의 선단이 도어락 유닛(310)의 선단(311a)과 접한다. 잠금핀부(313)의 선단이 도어락 유닛(310)의 선단(311a)과 접하면 도어잠금센서(330)도 도어(200)와 접한다. 도어잠금센서(330)가 도어(200)와 접하면 구동모터(320)가 구동된다.
구동모터(320)가 구동되면 피니언기어(315)가 회전하고 피니언기어(315)의 회전은 랙기어(314)를 하강시킨다. 랙기어(314)의 하강은 선단(311a)의 잠금핀부(313)를 키박스(312)에서 인출시킨다.
도 6의 (b)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박스(312)에서 인출되는 잠금핀부(313)는 도어락 고리(311)의 선단에 접하면서 도어락 고리(311)의 구멍으로 삽입되며, 잠금핀부(313)가 구멍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잠금핀부(313)의 경사진 후면이 도어락 고리(311)의 선단을 밀어 도어(200)를 챔버본체(100) 방향으로 전진시키고 도어(200)를 챔버본체(100)의 테두리에 밀착시킨다.
이 과정에서 도어(200)가 챔버본체(100)의 개방부의 테두리에 밀착되었는지 유무를 감지하는 도어밀폐센서(340)의 감지신호가 컨트롤러(350)에 전달되면, 컨트롤러(350)는 구동모터(32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컨트롤러(350)가 구동모터(320)의 동작을 정지시키면 잠금핀부(313)는 도어락 고리(311)의 구멍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고 도어(200)가 락킹된 상태가 유지된다. 컨트롤러(350)는 챔버(10)의 운전중 챔버본체(100)에 락킹된 도어(200)가 열리지 않도록 구동모터(320)의 동작을 정지시키며, 이는 사용자가 셋업하여 실행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락 유닛(310)이 챔버(10)의 중간측에 설치되는 경우, 도어(200)를 챔버본체(100)에 안정적으로 닫을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락 유닛(310)이 챔버(10)의 상측과 하측에 설치되는 경우, 도어(200)를 챔버본체(100)에 더욱 타이트하게 닫을 수 있다.
상술한 도어락 유닛(310)은 도어(200)를 챔버본체(100)에 근접하여 거의 닫으면, 도어잠금센서(330)가 이를 감지하여 도어(200)가 서서히 닫히고 잠기도록 한다. 또한, 챔버(10)의 운전중 내부공간(101)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일 경우 도어(200)가 열리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챔버(10)의 운전중 또는 운전 정지 후에도 특정 온도나 습도에서만 도어(200)가 열리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챔버(10)의 운전 정지 후에도 챔버(10)의 내부가 일정 온도 이상이거나 분진이 설정치 이상으로 많은 경우 도어(200)가 열리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아래의 에어샤워장치를 구동하여 챔버(10)의 내부 온도와 분진 함량을 설정치 이하로 낮출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챔버(10)는 챔버의 내부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에어샤워장치를 더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챔버에 설치된 에어샤워장치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에어샤워장치(400)는 챔버본체(100)에 설치되고 챔버본체(100)의 내부공간(101)의 분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에어샤워장치(400)는 내부공간(101)의 분진을 챔버 자체의 내부 순환 구성을 통해 제거한다.
에어샤워장치(400)는 내부 순환 과정을 통해 분진을 제거하여 챔버(10)의 도어(200)를 열때 분진이 그대로 배출되고 사용자가 위험에 노출되는 상황을 방지한다.
에어샤워장치(400)는 제1 필터(411)를 포함하는 에어흡입부(410), 제2 필터(421)를 포함하는 에어분사부(420), 유로(430), 블로어(440), 유브이 램프(450)를 포함한다.
에어흡입부(410)는 챔버본체(100)의 양측 내벽에 설치되며 제1 필터(411)를 포함한다. 제1 필터(411)는 헤파필터와 탈취필터를 포함한다. 일 예로, 제1 필터(411)는 헤파필터와 탈취필터의 다층 구조일 수 있다.
헤파필터는 분진 제거 효율이 우수하다. 헤파필터는 미세한 입자를 대부분 걸러낼 수 있는 고성능 필터로, 공기 중에 포함된 0.3㎛ 크기의 입자를 99.97% 이상 거를 수 있다. 탈취필터는 활성탄 필터 또는 카본 필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시험 중 발생한 냄새를 제거한다. 헤파필터와 탈취필터는 챔버(10)의 내부공간을 범용 클린룸 수준으로 만든다.
에어분사부(420)는 챔버본체(100)의 천정에 설치되며 제2 필터(421)를 포함한다. 제2 필터(421)는 헤파필터와 탈취필터를 포함한다. 일 예로, 제2 필터(421)는 헤파필터와 탈취필터의 다층 구조일 수 있다.
유로(430)는 에어흡입부(410)와 에어분사부(420)를 연결하도록 챔버본체(100)의 내벽에 형성된다.
블로어(440)는 유로(430)에 설치된다. 블로어(440)는 유로(430)에 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블로어(440)는 챔버(10)의 내부공간(101)의 공기가 제1 필터(411)를 통과하여 내벽에 형성된 유로(430)로 유입되고 유로(430)로 유입된 공기가 제2 필터(421)를 통과하여 내부공간(101)으로 다시 유입되는 공기 순환 흐름을 유도한다.
유브이(UV) 램프(450)가 유로(430)에 설치된다. 유로(430)에 설치된 유브이 램프(450)는 유로(430)를 통과하는 공기를 살균하여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제거한다.
도 8은 도 7의 내부 천정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에어분사부(420)는 챔버본체(100)의 천정에 설치된다. 에어분사부(420)를 통해 내부공간(101)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제1 필터(411)와 제2 필터(421)를 거치고 유브이 램프(450)를 통과하면서 살균된 공기이므로 청정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원활한 공기 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에어분사부(420)는 챔버본체(100)의 천정의 전체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도 7의 양측 내벽의 형상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에어흡입부(410)는 챔버본체(100)의 양측 내벽에 설치된다. 에어흡입부(410)는 챔버본체(100)의 양측 내벽에서 하측에 설치된다. 에어흡입부(410)가 양측 내벽의 하측에 설치되고 에어분사부(420)가 천정에 설치되어 공기 순환 흐름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샤워장치에 대응되는 챔버의 양측 외벽 부분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챔버본체(100)의 양측 외벽에는 전원부(460)가 구비된다. 전원부(460)는 챔버(10)의 운전을 위한 각종 전기 장치가 내장된다. 전원부(460)는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필요시 조작 및 수리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에어샤워장치(400)는 컨트롤러(350)에서 제어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는 도어(200)의 자동 잠금 및 챔버의 운전중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설정 가능하고, 내부공간의 분진 등을 자체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챔버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 챔버 100: 챔버본체
101: 내부공간 102: 개방부
200: 도어 210: 힌지
220: 가스켓 300: 도어제어장치
310: 도어락 유닛 310a,310b: 제1 및 제2 도어락 유닛
311: 도어락 고리 311a: 선단
311b: 구멍 312: 키박스
313: 잠금핀부 314: 랙기어
315: 피니언기어 320: 구동모터
325: 구동전달샤프트 330: 도어잠금센서
340: 도어밀폐센서 350: 컨트롤러
351: 디스플레이부 360: 챔버손잡이
370: 표시부 380: 투명창
390: 보조배터리 400: 에어샤워장치
410: 에어흡입부 411: 제1 필터
420: 에어분사부 421: 제2 필터
430: 유로 440: 블로어
450: 유브이 램프 460: 전원부

Claims (2)

  1. 챔버에 있어서,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의 개방부를 가지는 챔버본체;
    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본체에 힌지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개방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가 상기 챔버본체에 일정 정도 닫혔을 때 동작하여 상기 도어를 상기 개방부의 테두리에 압착시키고 락킹시키는 도어제어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제어장치는
    상기 도어와 상기 챔버본체의 상측과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의 상측과 하측 부분을 상기 챔버본체에 동시에 락킹시키는 도어락 유닛;
    상기 도어가 상기 챔버본체에 일정 정도 닫혔는지 유무를 감지하는 도어잠금센서; 및
    상기 도어잠금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도어락 유닛을 동작시키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락 유닛은;
    상기 챔버본체의 개방부의 테두리에 설치되며, 선단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우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사이에 구멍을 갖는 도어락 고리; 및
    상기 도어에 설치된 키박스에서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도어락 고리의 선단에 접하면서 상기 도어락 고리의 구멍으로 삽입되며, 상기 구멍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후면이 상기 도어락 고리의 선단을 밀어 전진하도록 후면이 상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된 잠금핀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락 유닛은
    선단이 상기 잠금핀부를 형성하는 랙기어;
    상기 키박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며 회전에 의해 상기 랙기어를 직선운동시켜 상기 랙기어의 선단의 잠금핀부를 상기 키박스에서 인출시키는 피니언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제어장치는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잠금센서는
    상기 잠금핀부의 선단이 상기 도어락 고리의 선단에 접하는지를 감지하는 리미트센서이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리미트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하고, 상기 챔버의 운전중 상기 챔버본체에 락킹된 상기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도어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도어락 유닛은 구동전달샤프트로 연결되어 하나의 구동모터에서 동력을 전달받고 동시에 동작하며,
    상기 도어제어장치는
    상기 도어가 상기 개방부의 테두리에 밀착되었는지 유무를 감지하는 도어밀폐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도어밀폐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키며,
    상기 도어의 전면에는
    터치센서를 내장하여 터치시 상기 도어가 상기 챔버본체에 락킹된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챔버손잡이와,
    상기 도어의 락킹 및 해제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포함되는 챔버.
  2. 삭제
KR1020200118024A 2020-09-15 2020-09-15 도어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챔버 KR102191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024A KR102191559B1 (ko) 2020-09-15 2020-09-15 도어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챔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024A KR102191559B1 (ko) 2020-09-15 2020-09-15 도어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챔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1559B1 true KR102191559B1 (ko) 2020-12-15

Family

ID=73780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024A KR102191559B1 (ko) 2020-09-15 2020-09-15 도어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챔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55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6675A (ko) * 2003-02-26 2004-09-03 (주)베스트큐 진공챔버용 도어의 슬라이딩 개폐 작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6675A (ko) * 2003-02-26 2004-09-03 (주)베스트큐 진공챔버용 도어의 슬라이딩 개폐 작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87215A (zh) 安全柜以及安全柜的除污方法
KR102191559B1 (ko) 도어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챔버
CN105804525A (zh) 用于灭菌器中压力容器的密封门自动锁紧机构
KR102251396B1 (ko) 에어 샤워 장치
KR200393355Y1 (ko) 글로브박스 전실의 문 열림 경보 및 자동정화 장치
CN213273041U (zh) 一种便于更换过滤网的新风机
CN209539131U (zh) 一种生物安全型自动液槽传递窗
KR100507832B1 (ko) 실험실용 덕트리스 흄 후드
CN213247715U (zh) 一种具有除湿功能的中药柜
KR20100060551A (ko) 쓰레기통 탈취 보관함
CN205041801U (zh) 一种具有自动开合消毒柜的集成灶
KR20080065130A (ko) 공기조화기
CN103471152B (zh) 带自动翻转式启闭进风口的集成灶
JP2003302160A (ja) クリーン乾燥保管庫及びその制御方法
CN208135214U (zh) 自动式锐器盒装置
CN217879110U (zh) 一种臭氧浓度检测设备
CN115206061B (zh) 一种准确预警危险化工气体的楼道预警装置
CN218481377U (zh) 一种橡胶紫外老化箱紫外线光照强度及气体实时监测器
CN111110888A (zh) 一种消毒柜
JP2002320811A (ja) 集塵機用ダストレベル検知方法とその装置
CN214596579U (zh) 一种适用于布料的消毒储藏柜
CN108670419A (zh) 一种移动式医用器械柜
CN117181320A (zh) 一种二级生物实验室用生物安全柜的延时启动装置
KR102559564B1 (ko) 폐스티로폼 감용기 및 그 제어 방법
CN215115060U (zh) 一种阀体气密性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