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5130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5130A
KR20080065130A KR1020070002131A KR20070002131A KR20080065130A KR 20080065130 A KR20080065130 A KR 20080065130A KR 1020070002131 A KR1020070002131 A KR 1020070002131A KR 20070002131 A KR20070002131 A KR 20070002131A KR 20080065130 A KR20080065130 A KR 20080065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display
purifying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2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5130A/ko
Publication of KR20080065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1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가 구비된 정화 유닛과, 상기 정화 유닛에 의해 정화되는 실내의 공기 청정도가 표시되는 표시부와,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정화 유닛을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공기청정운전의 진행상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함으로써 공기청정운전에 의한 실내 공기청정도 변화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공기조화기, 원격제어기, 디스플레이 모드, 공기청정

Description

공기조화기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정면도,
도 3은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전면부를 전방으로 열고 내측 하부를 개방였을 때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디스플레이 모드가 도시된 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디스플레이 모드가 도시된 도이다.
본 발명은 실내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청정운전 개시 후 진행상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드로 구분되어 운전상태가 표시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방 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으로, 크게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상기 분리형은 실내기에 냉각/방열 장치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방열/냉각 및 압축 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실내기와 실외기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고,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다.
또한, 최근 공기조화기는 실내 냉방뿐 아니라, 냉방 사이클을 전환하여 실내 난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계절 내내 이용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필터가 구비되어 공기청정기로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공기 청정운전이 진행됨에 따른 실내 공기의 청정도 변화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고자 하므로, 이를 위한 표시부 구동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 로서, 공기청정운전이 개시되어 최초 공기청정도를 산출하기까지의 운전 초기와 공기 청정이 실제로 수행되는 이후의 운전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를 표시부에 표시하고자 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공기청정운전이 개시된 초기 소정의 시간동안은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로 표시하고, 운전이 진행됨에 따른 실내 공기의 청정도 변화를 수치 또는 그래픽으로 나타내는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내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가 구비된 정화 유닛과, 상기 정화 유닛에 의해 정화되는 실내의 공기 청정도가 표시되는 표시부와,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정화 유닛을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공기청정운전 제어명령 입력된 직후 최초 공기청정도를 산출하는 동안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로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공기청정운전에 의한 실내 공기 청정도 변화를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가스 센서부를 더 포함하므로,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값이 상기 제어부로 출력된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는 실내 오염도를 감지하는 소정의 시간동안 지속되며, 단위 블록이 점진적으로 증가 및 점진적 감소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반복되 어 표시된다. 이때, 상기 단위 블록은 상기 공기 청정도의 단위 레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는 현재 실내 공기의 청정도가 수치 또는 그래프로 표시되는 모드이다.
이와 같이 공기청정운전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표시부에는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모드가 표시되고, 상기 표시부는 실내기 본체 외관에 구비된 액정 표시부이거나, 원격 제어기에 구비된 액정 표시부인 것을 예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에 공기가 흡입되어 통과한 후 토출되도록 공기 흡입구(3)(4)와 공기 토출구(5)(6)(7)가 형성된다.
본체(1)는 공기 흡입구(3)(4)와 공기 토출구(5)(6)(7)가 형성된 공조부(10)와, 공조부(10)의 전면 일부 혹은 전부를 여닫도록 공조부(10)에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전면 패널(20)을 포함한다.
여기서, 공조부(10)는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조를 위한 열교환기 등이 설치되는 일종의 케이싱으로서, 베이스(30)와, 캐비닛(40)과, 상부 패널(50)과, 하부 패널(70)(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30)는 전면 패널(20)을 공조부(10)의 전면부에 나란하게 배치시켜 닫았을 때 전면 패널(20)의 하단과 실내의 바닥면(S) 사이에 틈이 크지 않도록 전면 패널(20)의 하부로 단턱부(32)가 돌출 형성된다.
상부 패널(50)은 좌측부에 좌측 공기 토출구(5)가 형성되고, 우측부에 우측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되며, 전면 상부와 상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 상측 공기 토출구(7)가 형성된다.
이하, 상부 패널(50)은 상면부에 상측 공기 토출구(7)가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부 패널(50)에는 좌측 공기 토출구(5)를 개폐함과 아울러 좌측 공기 토출구(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좌측 토출구 베인(51)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좌측 공기 토출구 베인7(51)을 회전시키는 좌측 공기 토출구 베인모터가 설치된다.
상부 패널(50)에는 우측 공기 토출구(6)를 개폐함과 아울러 우측 공기 토출구(6)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우측 토출구 베인(52)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우측 공기 토출구 베인(52)을 회전시키는 우측 공기 토출구 베인모터가 설치된다.
상부 패널(50)에는 상측 공기 토출구(7)를 개폐함과 아울러 상측 공기 토출구(7)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상측 토출구 베인(53)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측 공기 토출구 베인(53)을 회전시키는 상측 공기 토출구 베인모터가 설치된다.
하부 패널(70)(80)은 상부 패널(50)의 좌측부과 베이스(30)의 사이에 배치되고 좌측 공기 흡입구(3)가 형성된 좌측 하부 패널(70)과, 상부 패널(50)의 우측부와 베이스(30)의 사이에 배치되고 우측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된 우측 하부 패널(80)로 이루어진다.
좌측 하부 패널(70)에는 좌측 공기 흡입구(3)를 개폐하는 좌측 공기 흡입구 베인(71)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좌측 공기 흡입구 베인(71)을 회전시키는 좌측 공기 흡입구 베인모터가 설치되고, 좌측 공기 흡입구(3)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좌측 필터(72)가 장착된다.
우측 하부 패널(80)에는 우측 공기 흡입구(4)를 개폐하는 우측 공기 흡입구 베인(81)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좌측 공기 흡입구 베인(81)을 회전시키는 좌측 공기 흡입구 베인모터가 설치되고, 우측 공기 흡입구(4)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우측 필터(82)가 장착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참조 부호 27은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로서, 전면 패널(20)의 여러 위치 중 일측에 선택적으로 고정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전면 패널(20)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전면부를 전방으로 열고 내측 하부를 개방였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전면 패널(20)은 공조부(10)의 전면 일부 혹은 전부를 여닫도록 설치된 일종 의 도어로서, 베이스(30)의 전방 상부에서부터 상부 패널(50)의 전면부 상단까지를 개폐하는 높이로 이루어지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배치되는 글래스(21)와, 글래스(21)의 후방에 배치되는 글래스 패널(22)과, 글래스(21)와 글래스 패널(22)을 조립하는 커버(23)를 포함한다.
커버(23)는 글래스(21)와 글래스 패널(22)의 모서리부를 둘러싸고 글래스 패널(22)에 후크나 체결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체결된다.
커버(23)는 단면이 대략 ‘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글래스(21)와 글래스 패널(22)의 좌,우,상,하 네 모서리부에 각각 씌워지는 좌,우,상,하측의 네 개의 커버로 이루어지고, 글래스(21)와 글래스 패널(22)의 모서리부를 따라 전체적으로 대략 ‘ㅁ’자 형상으로 배치된다.
전면 패널(20)은 글래스(21)의 배면에 소정 색상이나 문양을 갖는 불투명부(24)가 인쇄 등의 방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불투명 시트가 글래스(21)의 배면에 별도로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불투명부(24)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전면 패널(20)은 좌,우 중 일측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돌출되게 회전되도록 그 상부와 하부 각각이 공조부(10)의 전방부측에 힌지 연결된다.
전면 패널(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중 일측의 대략 중앙부가 공조부(10) 특히, 상부 패널(50)에 연결 기구로 연결되되, 연결기구는 전면 패널(50)이 급격하게 여닫히지 않고 부드럽게 동작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연결 기구는 전면 패널(20)과 상부 패널(50) 중 일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면 패널(20)과 상부 패널(50) 중 타측에 힌지 연결되는 슬라이드부 재(25)로 이루어지고, 전면 패널(20)과 상부 패널(50) 중 일측에는 슬라이드 부재(25)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힌지 연결부(54)가 형성되며, 전면 패널(20)과 상부 패널(50) 중 타측에는 슬라이드 부재(25)가 안내되는 슬라이드 안내부(26)가 형성된다.
전면 패널(20)은 그 회전시 슬라이드부재(25)가 힌지 연결부(54)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슬라이드 안내부(26)를 따라 슬라이드되고, 슬라이드부재(25)에는 슬라이드시 마찰력이 작용되며, 전면 패널(20)은 슬라이드 부재(25)의 마찰력에 의해 그 급격한 여닫힘이 제한된다.
즉, 전면 패널(20)은 좌,우 중 일측의 상부,중앙부,하부가 공조부(10)에 각각 연결되어 지지된다.
전면 패널(20)에는 도 1 및 2에 도시된 표시부(27)가 위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경우, 표시부(27)에 직접 연결되어 표시부(27)를 위치 이동시키는 표시부 무빙 기구(28)가 구비된다.
표시부 무빙 기구(28)는 수동 방식의 무빙 기구가 표시부(27)를 위치 이동시키는 것도 적용 가능하고, 모터와 기어 등이 포함된 자동 방식의 무빙 기구가 표시부(27)를 자동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것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전면 패널(20)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를 원격 조작하는 원격 제어기(R)가 수납되는 원격 제어기 박스(29)가 설치된다.
원격 제어기 박스(29)는 전면 패널(20)을 닫았을 때 본체(1)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전면 패널(20)의 배면측에 구비된다.
원격 제어기 박스(29)는 표시부(27)와 표시부 무빙 기구(28)와 전면 패널(20)과 함께 전면 패널 어셈블리를 구성한다.
여기서, 원격 제어기 박스(29)는 원격 제어기(R)의 삽입/인출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수직할 경우, 즉 전면 패널(20)의 상하 길이 방향과 나란할 경우 원격 제어기(R)의 삽입/인출 동작시 원격 제어기(R)가 전면 패널(20)의 배면과 접촉될 수 있어 원격 제어기(R) 외관이 손상되기 쉽고 그 삽입/인출 동작이 용이하지 않는 반면에, 원격 제어기(R)의 삽입/인출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질 경우, 즉 전면 패널(20)의 상하 길이 방향과 나란하지 않을 경우 원격 제어기(R)의 손상이 최소화됨과 아울러 그 삽입/인출 동작이 용이하게 되는 바, 원격 제어기(R)를 전면 패널(20)의 배면 하부를 향해 하향 경사 방향으로 삽입하고 전면 패널(20)의 후방 상부를 향해 상향 경사 방향으로 인출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베이스(30)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패널(20)의 좌,우 중 일측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힌지 브래킷(34)이 체결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설치된다.
베이스(30)에는 하부 힌지 브래킷(34)의 일부 특히, 베이스(30)에 체결되는 부분을 덮는 하부 브래킷 커버(35)가 설치된다.
베이스(30)에는 후술하는 청소 기구(90)의 더스트 박스(95)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착탈되는 박스 착탈부(36)가 형성된다.
캐비닛(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0)의 후방부 상측에 상하로 길게 배치되고, 전면과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며, 좌,우 측면부(41)(42)가 배면 부(43)와 경사지게 형성된다.
캐비닛(40)의 상측에는 상면 패널(44)이 배치된다.
상부 패널(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 및 배면이 개방되고, 좌,우 측면부(55)(56)가 전면부(57)와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면부(58)가 전면부(57)와 직교하게 형성된다.
상부 패널(50)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패널(20)의 좌,우 중 일측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힌지 브래킷(59)이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설치된다.
상부 패널(50)에는 상부 힌지 브래킷(58)의 일부를 덮는 상부 브래킷 커버(60)가 구비된다.
좌측 하부 패널(70)과 우측 하부 패널(80)에는 좌측 필터(72)와 우측 필터(82)가 각각 고정 장착되는 필터 프레임(73)이 설치된다.
한편, 공조부(10)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필터(72)(82)를 자동으로 청소하는 청소 유닛(90)이 설치된다.
청소 유닛(9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필터(72)(82)를 따라 이동되도록 좌측 하부 패널(70)과 우측 하부 패널(80)측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좌,우 필터(72)(82)의 먼지를 수집하는 필터 키트(91)와, 상기 필터 키트(91)와 더스트 호스(92)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좌,우측 흡입 필터(92)의 먼지 등 필터 이물질이 흡입되게 하는 키트 송풍기(93)와, 상기 흡입된 필터 이물질과 공기를 분리하는 사이클론(94)과, 상기 사이클론(94)에서 분리된 필터 이물질을 집진하는 더스 트 박스(95)와, 상기 필터 청소 유닛을 제어하는 키트 컨트롤 박스(9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공조부(10)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냉각시키는 열교환기(100)와, 공조부(10)의 외부 공기를 공조부(10)의 내부로 흡입하여 열교환기(100)를 통하도록 한 후 다시 공조부(10)의 외부로 송풍시키는 송풍기(110)가 설치된다.
열교환기(100)는 캐비닛(40)의 상부와 상부 패널(50)의 사이에 경사지게 위치되도록 캐비닛(50)과 송풍기(110)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된다.
송풍기(110)는 열교환기(10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캐비닛(40)에 장착된다.
송풍기(110)는 캐비닛(40)의 하부에 장착된 송풍모터(111)와, 송풍모터(111)의 연결된 송풍팬(112)과, 전면부에 개구부(113)가 형성되고 상면부에 토출부(114)가 형성되며 캐비닛(40)에 장착된 팬 하우징(115)과, 팬 하우징(115)의 전면에 배치된 오리피스(116)를 포함한다.
팬 하우징(115)의 상부에는 열교환기(100)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고 열교환기(100)가 올려져 지지되는 드레인 팬(117)이 형성된다.
오리피스(116)는 중앙에 팬 하우징(115)으로 공기가 흡입되게 하는 공기 흡입부(116A)가 형성된다.
한편, 공조부(10)에는 베이스(30)와 상부 패널(50)과 좌,우 하부 패널(70)(80) 사이에 개구부(160)가 형성되는 바, 개구부(160)를 통해 후술하는 정화 유닛(191)(192)(193)를 출입시켜 정화 유닛(191)(192)(193)의 청소나 교체를 할 수 있고, 아울러 공조부(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 키트 송풍기(93)나 키트 컨트롤 박스(96) 등의 각종 구성품의 서비스를 한다.
공조부(10)에는 개구부(160)를 막아 전면 패널(20)을 전방으로 열었을 때 미관이 향상되도록 함과 아울러 안전성을 높이도록 개구부(160)를 막는 내측 커버(162)가 구비된다.
내측 커버(162)는 체결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상부 패널(50)의 하부 등에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커버(162)에는 전면 패널(20)을 닫았을 때 원격 제어기 박스(29)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원격 제어기 박스(29)를 회피하는 박스 회피홈부(164)가 후방으로 움푹 패이게 형성된다.
한편, 공조부(10)의 내부에는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각종 전장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170)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된다.
제어부(170)는 키트 컨트롤 박스(96)나 송풍모터(111)나 표시부(27) 등과 전선 등의 케이블로 연결되고, 전면 패널(20)을 전방으로 열고 내측 커버(160)를 공조부(10)에서 분리하였을 때 개구부(16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 예를 들면 송풍기(110)의 전방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체(1) 특히, 공조부(10)의 내부에는 송풍팬(112)의 회전시 오리피스(116)로 흡인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 기구(180)가 설치된다.
정화 기구(18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정화 유닛(191)(192)(193)과, 적어도 하나의 정화 유닛(191)(192)(193)이 착탈되는 정화 유닛 홀더(19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화 유닛(191)(192)(193)은 서로 다른 종류의 정화물이 공기를 단계적으로 정화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종류에 한정되지 않으나, 공기중의 큰 이물질을 거르는 프리 필터와, 미세 먼지를 거르는 고성능 필터인 헤파 필터와, 탈취나 항균 성능이 우수한 나노 필터와, 선택적으로 장착하는 황사 필터나 탈취 필터 등의 옵션 필터와, 부직포와 조밀도가 다른 복수개의 폴리 우레탄 등이 조합된 하이브리드 필터와, 먼지를 이온화하여 포집하는 플라즈마 집진필터 중의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다.
이하, 정화 유닛(191)(192)(193)은 선택적으로 장착하는 황사 필터나 탈취 필터 등의 옵션 필터(191)와, 미세 먼지를 거르는 고성능 필터인 헤파 필터(192)와, 공기 중의 먼지를 이온화하여 포집하는 전기 집진필터(193)가 전후 순서대로 배치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정화 유닛(191)(192)(193) 중에서 전기 집진필터(19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부에 외부에서 인가되는 고전압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인가 단자(193′)가 구비된다.
정화 유닛 홀더(194)는 전면과 좌,우측면과 상면과 하면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배면을 통해 후방으로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정화 유닛 홀더(194)는 정화 유닛(191)(192)(193)의 삽입/인출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수직할 경우 정화 유닛(191)(192)(193)의 삽입/인출 동작시 송풍기(110)의 전면이나 드레인 팬(117)과 접촉될 수 있어 정화 유닛(191)(192)(193)가 손상되 기 쉬울 뿐 아니라 그 삽입/인출 동작이 용이하지 않고, 정화 유닛(191)(192)(193)의 삽입/인출 방향이 전후 방향으로 수평할 경우 정화 유닛(191)(192)(193)의 삽입/인출 동작을 위해 허리를 굽혀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반면에, 정화 유닛(191)(192)(193)의 삽입/인출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질 경우, 정화 유닛(191)(192)(193)의 손상이 방지됨과 아울러 그 삽입/인출 동작이 용이하게 되는 바, 정화 유닛(191)(192)(193)를 경사진 방향으로 삽입/인출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정화 유닛 홀더(194)는 고정체(200)와, 상기 고정체(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정화 유닛(191)(192)(193)이 착탈되는 회동체(300)로 이루어지고, 회동체(300)의 하부가 고정체(200)의 하부에 힌지 연결된다.
고정체(200)는 본체(1) 특히, 공조부(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바, 공조부(10)의 개구부(160)와 송풍기(110)의 공기 흡입부(116A)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즉, 고정체(200)는 송풍기(110)의 공기 흡입부(116A) 전방에 위치되도록 송풍기(110)의 전면부에 설치된다.
회동체(30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집진필터(193)의 집진필터 단자(193′)와 접촉되어 고전압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단자(343)가 설치된다.
전원 공급 단자(343)는 회동체(300)의 하부에 후크 등에 의해 착탈되는 단자 홀더(344)에 올려져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기능을 도 6의 구성 블록도를 통해 살펴보 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내기 외관에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12)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입력부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표시부(27)에 통합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내기 본체를 통해 제어명령이 입력될 수도 있고, 통신부(171)를 통해 원격제어기로부터 제어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부(171)는 적외선 통신을 기반하는 것을 예시하나, 이외에도 블루투스, 무선랜 등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모뎀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실내 공기오염도를 감지하는 센서부(172)와 연결된다. 상기 센서부는 공기조화 또는 공기정화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 공기중에 이산화탄소나 일산화탄소 또는 산소의 양을 감지하는 가스센서로서 구현 가능하며, 이는 산화물 반도체 표면에 가스가 흡착한 경우 그 전기저항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는 SnO2, ZnO , Fe2O3 반도체식 가스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탄화수소와 같은 가연성 가스가 산소와 반응하여 생기는 반응열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검지하는 접촉 연소식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실내온도와 희망온도 차이에 따라 압축기 및 실내팬을 구동 제어하여 냉/난방을 수행하며, 상기 센서부(172)에 의한 오염도 감지에 따라 상기 정화 유닛 및 실내팬을 구동 제어한다.
즉, 실내 오염도에 따라 상기 정화 유닛(191~193)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다단 계로 조절 및 승압하여 상기 정화 유닛의 출력전압을 변경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정화 유닛으로 인가되는 전압에 비례하여 회전수가 상승되도록 실내팬에 인가되는 전압을 다단계로 조절함으로써 실내팬 회전수를 변경시킨다.
한편, 표시부(27)는 액정 표시부인 것으로 예시하며, 실내기 본체의 외관에 형성되거나, 실내기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원격제어기에 구비된 액정 표시부일 수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부는 두장의 유리판 사이에 액정이 채워져 형성되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후방에 위치되어 빛을 방출시키는 백라이트로 구성된다. 즉, 상기 패널을 구성하는 각각의 셀에 전극을 연결하여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액정의 분자구조를 변화시키고, 상기 백라이트로부터 들어오는 광량을 조절함으로써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액정 표시부(27)는 편광을 이용하여 백라이트의 빛을 통과 또는 차단시킴으로써 포지티브 방식(positive type)과 네거티브 방식(negative type)으로 구분할 수 있는바, 전극으로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백라이트의 빛을 차단하는 포지티브 방식에서는 배경이 밝고 글씨나 숫자가 검게 표시되며, 백라이트의 빛을 통과시키는 네거티브 방식에서는 배경이 어둡고 글씨나 숫자가 밝게 표시된다.
상기 제어부(170)는 이러한 표시부(27)를 통해 메뉴, 실내온도, 희망온도는 물론, 현재 운전 진행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진행상태를 파악하기 용이하도록 하며, 조작 편의성을 제공한다.
특히, 공기청정운전시 상기 표시부(27)에서 표시되는 바를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는 공기청정운전의 진행상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드로 구분하여 운전상태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구동시킨다.
공기청정운전이 시작된 초기에는 상기 가스센서에 구비된 히터가 가열되는 소정의 시간이 소요되고(예: 약 2분), 가열된 히터의 온도가 80%의 안정점에 도달되는 때의 저항을 기준저항으로 설정하여 최초 청정도값을 산출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워밍업되는 소정의 시간동안에는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로 표시한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란 도 7과 같이, 소정의 시간간격마다 단위 블록이 점진적으로 증가 및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표시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즉, 이전 운전에 의한 실내 공기청정도가 바로 표시됨에 따른 사용자의 오인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전의 실내 공기청정도를 표시하지 않고, 최초 공기청정도를 산출하기 위한 기준저항값의 산정 등의 계산이 진행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임의의 도형이 증가 또는 감소되는 동영상/그래픽이 표시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산출된 최초 청정도에 근거하여 새로 취득한 공기 오염도를 비교하여 공기청정운전이 수행되는바, 이에 따라 현재 실내 공기의 청정도가 수치 또는 그래프로 표시된다. 이를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라 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8은 원격제어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바를 예시한 것으로, 상기 청정도는 5단계의 레벨로 구분될 수 있으며, 레벨이 높을수록 실내 공기가 청정하다는 의미이다.
도 8에서는 상기 레벨을 수치 및 막대 그래프 형식의 바(bar)로 표시하였으나, 상기 수치가 없더라도 상기 블록이 어느 레벨영역에서 멈춤되는지에 따라 사용 자는 용이하게 실내 공기청정도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8의 실시예에서는 현재 공기청정도가 레벨 5상태인 것으로 예시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관해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공기청정운전이 개시되어 최초 실내 청정도를 산출하는 소정의 시간동안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로 표시하고, 이후 운전이 진행됨에 따른 실내 공기의 청정도 변화를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로 구분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진행상태를 보다 신속하고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Claims (7)

  1.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가 구비된 정화 유닛과,
    상기 정화 유닛에 의해 정화되는 실내의 공기 청정도가 표시되는 표시부와,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정화 유닛을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공기청정운전의 진행상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드로 구분하여 운전상태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청구항 1에서,
    상기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청구항 1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드는 최초 공기청정도를 산출하는 소정의 시간동안 표시되는 제 1 디스플레이 모드와,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표시되 는 제 2 디스플레이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청구항 3에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는 소정의 시간간격마다 단위 블록이 점진적으로 증가 및 점진적 감소하여 표시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청구항 3에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는 현재 실내 공기의 청정도가 수치 또는 그래프로 표시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청구항 1에서,
    상기 표시부는 실내기 본체 외관에 구비된 액정 표시부이거나, 실내기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원격제어기의 액정 표시부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가 구비된 정화 유닛과,
    상기 정화 유닛에 의해 정화되는 실내의 공기 청정도가 표시되는 표시부와,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정화 유닛을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공기청정운전에 관한 제어명령이 입력된 직후 최초 공기청정도를 산출하는 동안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로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공기청정운전에 의한 실내 공기 청정도 변화를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70002131A 2007-01-08 2007-01-08 공기조화기 KR200800651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131A KR20080065130A (ko) 2007-01-08 2007-01-08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131A KR20080065130A (ko) 2007-01-08 2007-01-08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130A true KR20080065130A (ko) 2008-07-11

Family

ID=39816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131A KR20080065130A (ko) 2007-01-08 2007-01-08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513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8647A (ko) * 2013-01-02 2014-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청정도 표시 방법
KR20140092953A (ko) * 2013-01-02 2014-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5020796A (zh) * 2015-07-15 2015-11-04 广东工业大学 智能型多功能空气检测净化机
CN106091266A (zh) * 2016-06-21 2016-11-09 苏州格兰斯柯光电科技有限公司 空气净化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8647A (ko) * 2013-01-02 2014-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청정도 표시 방법
KR20140092953A (ko) * 2013-01-02 2014-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5020796A (zh) * 2015-07-15 2015-11-04 广东工业大学 智能型多功能空气检测净化机
CN106091266A (zh) * 2016-06-21 2016-11-09 苏州格兰斯柯光电科技有限公司 空气净化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8732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49310B1 (ko) 공기조화기
KR20080061636A (ko) 공기조화기
KR20080065130A (ko) 공기조화기
KR20080065407A (ko) 공기조화기
KR101318358B1 (ko) 공기조화기
KR101325768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42525A (ko) 공기조화기
KR20080064018A (ko) 공기조화기
KR20080065129A (ko) 공기조화기
KR101305326B1 (ko) 공기조화기
KR101280374B1 (ko) 공기조화기
KR101362307B1 (ko) 공기조화기
KR101306127B1 (ko) 공기조화기
KR101384153B1 (ko) 공기조화기
KR20080055461A (ko) 공기조화기
KR101325767B1 (ko) 공기조화기
KR101022218B1 (ko) 공기청정장치를 갖춘 공기조화기
KR101327463B1 (ko) 공기조화기
KR101325770B1 (ko) 공기조화기
KR101664813B1 (ko) 빌트인 공기청정기
KR20080027679A (ko) 공기조화기
KR20080027810A (ko) 공기조화기
KR20060016003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
KR100423603B1 (ko) 룸 에어컨의 필터 자동인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