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2316A - 수술용 보호용구 - Google Patents

수술용 보호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2316A
KR20190042316A KR1020170134090A KR20170134090A KR20190042316A KR 20190042316 A KR20190042316 A KR 20190042316A KR 1020170134090 A KR1020170134090 A KR 1020170134090A KR 20170134090 A KR20170134090 A KR 20170134090A KR 20190042316 A KR20190042316 A KR 20190042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gical
view
rim surface
ri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1425B1 (ko
Inventor
윤여규
이규언
유형원
최준영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34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425B1/ko
Priority to PCT/KR2018/011761 priority patent/WO2019078519A1/ko
Priority to US16/961,931 priority patent/US20220000465A1/en
Publication of KR20190042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9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with ring member to support retracto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4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4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 A61B2090/0409Specification of type of protection measures
    • A61B2090/0427Prevention of conta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1Prevention of accidental cutting or pric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수술용 보호 용구가 개시된다. 수술용 보호 용구는 평면도 상에서 편자 형상을 가지는 제1 테두리면, 상기 제1 테두리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평면도 상에서 편자 형상을 가지는 제2 테두리면, 상기 제1 테두리면과 상기 제2 테두리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테두리면의 내측 단부와 상기 제2 테두리면의 내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요홈을 형성하는 내측면 및 상기 제1 테두리면의 외측 단부와 상기 제2 테두리면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는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요홈 내에 수술 절개부위가 삽입된다.

Description

수술용 보호용구{WOUND PROTECTOR FOR SURGERY}
본 발명은 수술용 보호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술 절개 부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수술용 보호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를 절개할 필요가 있는 수술 시에는 수술 절개부위가 노출되어 세균에 의해 수술 절개부위가 오염될 수 있다. 또한, 창상 감염, 혈종 등의 합병증이나 암 수술 등의 경우에 암세포가 수술 중 종양으로부터 떨어져 수술 절개부위에 부착되어 암이 전이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기존에는 의사에게 수술 시 수술부위에 대한 수술 시야를 좋게 하는 외과용 패드(Surgical pad)(수술부위 이외의 장기 손상을 막기 위해 임시로 집어넣어서 수술부위의 출혈을 흡수하여 닦아주는데 사용되고 수술 시 출혈된 혈액을 흡수하기 위하여 흡수성을 갖는 살균 처리된 두꺼운 거즈 형태)가 사용되었지만 이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고 있었다.
수술 부위에 두꺼운 외과용 패드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외과용 패드를 인입할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피부 절개부위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절개할 수 밖에 없어 상흔이 크고 상처부위의 회복이 지연되어 환자의 고통이 가중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외과용 패드는 수술부위의 지혈을 주목적으로 적용하는 것이어서 수술 시 수술 절개부위가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오염된 공기 등을 통해 수술 절개부위가 감염되거나 내부 장기 수술 시 감염된 내부 장기의 적출물이 절개된 수술 절개부위에 접촉할 우려가 있어 합병증 발생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암 수술의 경우 암세포가 절개면에 부착되어 전이될 위험성이 있으며, 견인기 등으로 수술 절개부위를 당겨 시야를 확보할 때 절개면을 보호하는 별도의 구조가 없어 견인기 자체에 의한 절개면의 손상 가능성의 문제 점이 있었다.
또한, 일부에서는 폴리에틸렌 혹은 비닐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견인기 등을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초음파 절삭기 등을 이용한 수술 도구 사용 시 수술 도구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폴리에틸렌 혹은 비닐 등이 녹아 수술 절개부위에 추가적 손상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수술 절개부위를 수술자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고정하여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열에 의한 수술 절개부위의 화상도 방지할 수 있는 수술용 보호용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172681 호(2013. 07. 04.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술 시 수술 절개부위에 대한 세균의 감염, 외력에 의한 손상 및 화상으로 인한 손상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수술용 보호용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수술 중 수술용 보호용구에 물리적인 힘이 가해질 때, 수술 절개부위를 감싸고 있는 보호용구의 위치의 변화 또는 이탈을 최소화하여 수술 시야를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수술용 보호용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는 평면도 상에서 편자 형상을 가지는 제1 테두리면, 상기 제1 테두리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평면도 상에서 편자 형상을 가지는 제2 테두리면, 상기 제1 테두리면과 상기 제2 테두리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테두리면의 내측 단부와 상기 제2 테두리면의 내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요홈을 형성하는 내측면 및 상기 제1 테두리면의 외측 단부와 상기 제2 테두리면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는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요홈 내에 수술 절개부위가 삽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는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고, 수술 절개부위의 크기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외측면은 상기 제1 테두리면과 인접하는 제1 외측면 및 상기 제2 테두리면과 인접하는 제2 외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제1 외측면의 우측 및 좌측 폭은 상기 제1 외측면의 상측 폭보다 넓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외측면의 우측 및 좌측 폭은 상기 제2 외측면의 상측 폭보다 넓을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제1 외측면 및 상기 제2 외측면은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제1 테두리면 및 상기 제2 테두리면은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상에서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테두리면 및 상기 제2 테두리면은 정면도 및 배면도 상에서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제1 테두리면 및 상기 제2 테두리면은 좌측면도, 우측면도, 정면도 및 배면도 상에서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신속하게 진행되어야 하는 수술 환경에서 수술 절개부위가 보다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고정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수술 절개부위를 세균의 감염 및 화상에 의한 피부 상처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수술 절개부위가 요홈에 삽입하기만 하면 수술 절개부위를 보호할 수 있어 간편한 조작만으로도 수술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수술 절개부위에 대한 신속한 고정이 가능하면서도 손쉽게 수술 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 수술 절개부위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면서도 수술 시간을 상당히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광 투과성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술자가 절개면에서의 출혈을 관찰할 수 있어, 절개면의 지혈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좌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배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 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좌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우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1000)는 제1 테두리면(100), 제2 테두리면(200), 내측면(300) 및 외측면(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테두리면(100)은 평면도 상에서 편자(horsesho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테두리면(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평면도 상에서 보이는 면을 지칭하며, 상기 내측면(300) 및 상기 외측면(500)을 연결한다. 상기 제2 테두리면(200)은 상기 제1 테두리면(100)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저면도 상에서 편자(horsesho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테두리면(2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저면도 상에서 보이는 면을 지칭하며, 상기 내측면(300) 및 상기 외측면(500)을 연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1000)는 일부분이 절단된 림(rim)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단면이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테두리면(100)은 수술용 보호 용구(1000)의 림 형상의 개방된 영역에서 내부 중심점(10)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테두리면(200)은 수술용 보호 용구(1000)의 림 형상의 개방된 영역에서 내부 중심점(10)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테두리면(100) 및 상기 제2 테두리면(200)은 개방되어 있는 하측에서 서로 만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면(300)은 제1 테두리면(100)과 제2 테두리면(200) 사이에 배치되고, 제1 테두리면(100)의 내측 단부와 제2 테두리면(200)의 내측 단부를 연결하여 요홈(400)을 형성할 수 있다. 요홈(400) 내에는 수술 절개부위가 삽입될 수 있고, 요홈(400)은 그 단면이'U'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외측면(500)은 상기 제1 테두리면(100)과 인접하는 제1 외측면(510) 및 상기 제2 테두리면(200)과 인접하는 제2 외측면(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외측면(510)은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외측면(510)의 폭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외측면(510)의 상측은 제1 폭(d1)으로 형성되고, 좌측 및 우측은 상기 제1 폭(d1) 보다 넓은 제2 폭(d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폭(d1) 및 상기 제2 폭(d2)은 상기 제1 외측면(510)과 상기 제2 외측면의 경계선으로부터 상기 제1 외측면(510)과 상기 제1 테두리면(100)의 경계선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상기 제2 외측면(520)은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외측면(520)의 폭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들 들어, 상기 제2 외측면(520)의 상측은 제3 폭(d3)으로 형성되고, 좌측 및 우측은 상기 제3 폭(d3) 보다 넓은 제4 폭(d4)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폭(d3) 및 상기 제4 폭(d4)은 상기 제 외측면(510)과 상기 제2 외측면의 경계선으로부터 상기 제2 외측면(520)과 상기 제2 테두리면(200)의 경계선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상기 제1 외측면(510)의 폭 및 상기 제2 외측면(520)의 폭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요홈(400)의 깊이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얕아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용구(1000)는 상측에서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술용 보호용구(1000)가 상측에서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므로 수술용 보호용구(1000)는 상측을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 부분이 내부 방향으로 쉽게 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용구(1000)는 수술 시 환자의 절개 부위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수술용 보호용구(1000)가 상측을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이 내부 방향으로 쉽게 휘어질 수 있으므로, 환자의 수술 부위를 벌려줄 필요가 없이 쉽게 삽입이 가능하다. 또한, 내부 방향으로 휘어진 수술용 보호용구(1000)는 탄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되어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가려는 성질이 있으므로, 삽입된 후 환자의 수술부위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용구(1000)는 힘을 가했을 때 복원성을 가지므로 수술 부위에 삽입된 후 수술 부위를 지속적으로 벌려주는 역할을 하게 되어 수술 시 시야 확보에 효과적이며, 힘을 가했을 때 탄력성을 가지므로 수술 부위를 벌려주는 작업이 없이도 수술 부위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용구(1000)는 환자의 수술 부위를 지속적으로 벌려줄 수 있는 충분한 복원력을 가지며, 환자의 수술 부위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탄력성이 있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복원력이 너무 강하여 쉽게 휘어지지 않거나, 탄력성이 너무 강하여 수술 부위를 지속적으로 벌려주는 힘이 약하지 않도록, 수술 부위를 지속적을 벌려주는 충분한 힘을 가지면서 삽입 시 잘 휘어질 수 있는 충분한 탄성력을 갖도록 복원력과 탄력성이 적절하게 조화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용구(1000)는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용구(1000)는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상에서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테두리면(100) 및 상기 제2 테두리면(200)은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상에서 하부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용구(1000)는 정면도 및 배면도 상에서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테두리면(100) 및 상기 제2 테두리면(200)은 정면도 및 배면도 상에서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용구(1000)는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상에서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정면도 및 배면도 상에서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용구(1000)는 갑상선절제술에 사용되는 경우 인체의 구조에 가까운 형상을 가지므로 환자의 절제부위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좌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2000)는 제1 테두리면(100)과 제2 테두리면(200)이 좌측면도, 우측면도, 정면도 및 배면도 상에서 직선 형상을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위에서 설명한 수술용 보호 용구(100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2000)는 제1 테두리면(100), 제2 테두리면(200), 내측면(300) 및 외측면(50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술용 보호 용구(2000)의 제1 테두리면(100)과 제2 테두리면(200)은 각각 편자 형상을 가지며, 제1 테두리면(100)과 제2 테두리면(20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내측면(300)은 제1 테두리면(100)의 내측 단부와 제2 테두리면(200)의 내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요홈(400)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2000)는 좌측면도, 우측면도, 정면도 및 배면도 상에서 직선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1000)보다 복부와 같이 비교적 평평한 형상을 갖는 신체 부위의 절개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용구들(1000, 2000)은 제1 테두리면(100), 제2 테두리면(200), 내측면(300) 및 외측면(50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광 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 투과성 재질이란 반투명 내지 완전 투명한 재질을 모두 포함 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광 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수술자는 수술 절개부위 및 수술 절개면의 출혈을 관찰할 수 있고, 지혈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용구들(1000, 2000)은 제1 테두리면(100), 제2 테두리면(200), 내측면(300) 및 외측면(500)은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추가적으로 염료 물질을 포함시킴으로써 색상을 띠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색상을 띠게 하는 경우에는 특정한 수술 부위 등 용도를 한정하는 기능 등을 발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들(1000, 2000)은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수술도구에서 발생하는 열 등에 의하여 수술 절개부위(피부 등)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고, 수술용 보호 용구들(1000, 2000)이 열 등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피부를 절개한 후 절개된 수술 절개부위를 요홈(400)에 삽입하면, 수술 절개부위 및 수술 절개면이 삽입홈(400)에 삽입되어 수술용 보호 용구들(1000, 2000)에 고정된다. 이렇게 고정된 상태에서 수술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열이 발생하는 수술도구 등이 수술 절개부위 등과 접촉하여 수술 절개부위 및 수술 절개면이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술 절개부위 및 수술 절개면이 외부에 노출됨으로 인하여 감염이 발생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고, 수술 시야 확보가 용이하여 수술의 편의성이 높아진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 석되어야 한다.

1000, 2000: 수술용 보호 용구
100: 제1 테두리면 200: 제2 테두리면
300: 내측면 400: 요홈
500: 외측면

Claims (6)

  1. 평면도 상에서 편자 형상을 가지는 제1 테두리면;
    상기 제1 테두리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평면도 상에서 편자 형상을 가지는 제2 테두리면;
    상기 제1 테두리면과 상기 제2 테두리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테두리면의 내측 단부와 상기 제2 테두리면의 내측 단부를 연결하여 요홈을 형성하는 내측면; 및
    상기 제1 테두리면의 외측 단부와 상기 제2 테두리면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는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요홈 내에 수술 절개부위가 삽입되는 수술용 보호 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은,
    상기 제1 테두리면과 인접하는 제1 외측면; 및
    상기 제2 테두리면과 인접하는 제2 외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보호 용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측면의 우측 및 좌측 폭은, 상기 제1 외측면의 상측 폭보다 넓고,
    상기 제2 외측면의 우측 및 좌측 폭은, 상기 제2 외측면의 상측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보호 용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측면 및 상기 제2 외측면은 곡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보호 용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두리면 및 상기 제2 테두리면은,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상에서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정면도 및 배면도 상에서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보호 용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두리면 및 상기 제2 테두리면은,
    좌측면도, 우측면도, 정면도 및 배면도 상에서 직선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보호 용구.
KR1020170134090A 2017-10-16 2017-10-16 수술용 보호용구 KR102211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090A KR102211425B1 (ko) 2017-10-16 2017-10-16 수술용 보호용구
PCT/KR2018/011761 WO2019078519A1 (ko) 2017-10-16 2018-10-05 수술용 보호용구
US16/961,931 US20220000465A1 (en) 2017-10-16 2018-10-05 Surgical protective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090A KR102211425B1 (ko) 2017-10-16 2017-10-16 수술용 보호용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910A Division KR102185602B1 (ko) 2020-03-18 2020-03-18 수술용 보호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316A true KR20190042316A (ko) 2019-04-24
KR102211425B1 KR102211425B1 (ko) 2021-02-04

Family

ID=66174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090A KR102211425B1 (ko) 2017-10-16 2017-10-16 수술용 보호용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000465A1 (ko)
KR (1) KR102211425B1 (ko)
WO (1) WO201907851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5265A1 (en) * 2003-02-11 2004-11-11 Dilip Tapadiya Wound irrigation basin with active drain
JP2012055716A (ja) * 2000-10-19 2012-03-22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 外科用接近器具及び方法
US20120283519A1 (en) * 2011-05-05 2012-11-08 Anthony Hung Nguyen Surgical retractor
US20130172681A1 (en) 2011-12-29 2013-07-04 Covidien Lp Wound protector with reinforced ring
US8597181B1 (en) * 2009-06-03 2013-12-03 Larry Sasaki Transparent surgical pelvic retract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7553A (en) * 1992-02-18 1993-12-07 Graether John M Pupil expand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5374272A (en) * 1993-06-29 1994-12-20 Vitrophag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echanically dilating the pupil of an eye
US5433190A (en) * 1993-08-20 1995-07-18 Sunalp; Murad A. Eyelid speculum device
US6068643A (en) * 1996-03-26 2000-05-30 Milvella Pty. Ltd. Device for dilating a pupil and/or maintaining a pupil in a dilated state
JP3062106U (ja) * 1999-03-11 1999-09-28 株式会社八光電機製作所 開創部保持機能を有する創縁保護器具
US6648819B2 (en) * 2001-11-15 2003-11-18 Yau Wing Lee Pupil dilator
JP4512768B2 (ja) * 2006-11-06 2010-07-28 学校法人 久留米大学 ドレープ付き開瞼器
KR200443479Y1 (ko) * 2007-10-31 2009-02-17 형우진 개복부위를 확장 유지시키는 수술용 피부 절개면 보호용구
WO2012135349A2 (en) * 2011-03-28 2012-10-04 Ahluwalia Prabhat K Organ retractor
KR101865629B1 (ko) * 2013-02-27 2018-06-11 수벤 바타챠르지 눈의 동공의 확대를 제공하고 그 축소를 방지하는 장치
KR101654272B1 (ko) * 2014-11-07 2016-09-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수술용 보호용구
KR101592975B1 (ko) * 2015-08-19 2016-02-12 위캔메디케어 주식회사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5716A (ja) * 2000-10-19 2012-03-22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 外科用接近器具及び方法
US20040225265A1 (en) * 2003-02-11 2004-11-11 Dilip Tapadiya Wound irrigation basin with active drain
US8597181B1 (en) * 2009-06-03 2013-12-03 Larry Sasaki Transparent surgical pelvic retractor
US20120283519A1 (en) * 2011-05-05 2012-11-08 Anthony Hung Nguyen Surgical retractor
US20130172681A1 (en) 2011-12-29 2013-07-04 Covidien Lp Wound protector with reinforced 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00465A1 (en) 2022-01-06
KR102211425B1 (ko) 2021-02-04
WO2019078519A1 (ko) 2019-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83755B2 (ja) 照明される眼科用カニューレ
US20170242455A1 (en) Sterile Screen Protector
US9427288B1 (en) Containment shield for surgical instruments
US5127423A (en) Surgical eye cover
ES2568202T3 (es) Sistema de paño con tira de cremallera y métodos para fabricar el mismo
ES2433146T5 (es) Carcasa protectora de punta de aguja situada dentro de un conector de catéter
JP4789951B2 (ja) 外科用安全メス
CA2652749A1 (en) Retractable safety knife
WO2017160819A3 (en) Surgical drape
US20140142600A1 (en) Retractable universal safety scalpel
KR20190042316A (ko) 수술용 보호용구
KR101156229B1 (ko) 엠보싱 구조를 갖는 장기 견인 지혈장치
KR102185602B1 (ko) 수술용 보호용구
EP2732780B1 (en) Retractable universal safety scalpel
KR20170024787A (ko)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
US20160317136A1 (en) Tissue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US5014723A (en) Articles for protection of living tissues
US10363113B1 (en) Adjustable containment shield
MXPA04009624A (es) Protector de punta de montaje de trocar.
KR102147910B1 (ko) 환자 보호기
KR101654272B1 (ko) 수술용 보호용구
US20140309497A1 (en) Tissue protection/retraction system
JP2005103289A (ja) トロカール組立体先端部プロテクタ
KR102269468B1 (ko) 환자 보호기 및 수술용 커버
KR102424497B1 (ko) 수술용 상처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080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318

Effective date: 20201026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