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4787A -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 - Google Patents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4787A
KR20170024787A KR1020150120255A KR20150120255A KR20170024787A KR 20170024787 A KR20170024787 A KR 20170024787A KR 1020150120255 A KR1020150120255 A KR 1020150120255A KR 20150120255 A KR20150120255 A KR 20150120255A KR 20170024787 A KR20170024787 A KR 20170024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ater
waterproof mask
mas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2213B1 (ko
Inventor
남윤혜
Original Assignee
남윤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윤혜 filed Critical 남윤혜
Priority to KR1020150120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213B1/ko
Priority to PCT/KR2016/000663 priority patent/WO2017034104A1/ko
Publication of KR20170024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2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 A61F13/122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specially adapted for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2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에 있어서, 수분 통과를 방지할 수 있는 투명한 재질의 본체 및 본체는 내부면과 외부면을 가지며, 내부면의 외연의 적어도 일부는 접착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가 개시된다. 이로써, 환자들의 상처나 수술로 인한 외상부위를 완전히 가려주어 물과 세균의 침투를 막고 이에 의한 감염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소재가 직접 피부에 부착됨으로써 접착력은 강화되고, 탈착 시 자극이 적으며, 접착제로 폴리올레핀 겔을 사용함으로써, 탈착 시 피부에 전혀 들러붙지 않을 수 있고, 신체의 굴곡진 부위에 적용할 경우에도 쉽게 떨어지지 않으며, 재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Waterproofing mask for the wound protection}
본 발명은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처나 수술로 인한 외상 부위에 물과 세균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방수기능이 있는 반창고 형태의 방수밴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수밴드는 일반 반창고 구조로 이루어진 형태에 겉 표면에만 방수가 되는 합성 비닐을 사용한 형태로 되어있다. 따라서, 물에 닿으면 접착부분의 부착력이 약해져 상처부위에서 잘 떨어지고, 사용 후에는 밴드의 접착제가 피부에 들러붙어 자극을 유발한다. 한편, 부착력이 강한 제품의 경우에는 그로 인해 사용 후 상처부위에서 떼어낼 때 피부에 자극이 되는 제품이 일반적이다.
종래 대부분의 방수제품은, 한번 사용 후에는 재사용 할 수 없는 일회성 제품이고, 거즈부분이 상처부위를 가리고 있어서 밴드의 거즈부분까지 물이 침투하여 방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밴드의 거즈가 상처부위를 가리고 있어 방수가 되고 있는지 알 수 없다.
또한, 이들 제품의 형태는 변형이 어려워 굴곡진 상처부위에 적용할 때, 밀착이 제대로 되지 않고, 밴드가 들떠서 물이 침투하기 용이하여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얼굴부위에 상처를 입거나 눈, 코 등의 얼굴부위 성형수술을 한 경우 종래의 방수제품들로는 눈, 코와 같은 부위를 보호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한 점이 있어, 자유롭게 샤워나 목욕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들의 상처나 수술로 인한 외상부위를 완전히 가려주어 물과 세균의 침투를 막고 이에 의한 감염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리콘 소재가 직접 피부에 부착됨으로써 접착력은 강화되고, 탈착 시 자극이 적은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제로 폴리올레핀 겔을 사용함으로써, 탈착 시 피부에 전혀 들러붙지 않는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체의 굴곡진 부위에 적용할 경우에도 쉽게 떨어지지 않으며, 재사용이 가능한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분 통과를 방지할 수 있는 투명한 재질의 본체; 본체는 내부면과 외부면을 가지며, 내부면의 외연의 적어도 일부는 접착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성 재질은, 실리콘 및 폴리올레핀 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성 재질의 일부에 탈착 가능한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연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 되어 오목부 및 볼록부가 교번적으로 형성되어있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시트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를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진 덮개가 본체에 결합되어 있으되, 덮개의 일부만이 개구부의 주위에 결합되어 있고 덮개의 나머지 부분은 개구부를 덮도록 위치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에 수분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판막이 결합되어 있고, 판막은 개구부보다 위에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판막은 고정단과 자유단으로 이루어지고, 고정단은 본체의 내부면에 결합되어 있는 부분이고, 자유단은 본체의 내부면에 결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며, 고정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의 외연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가 형성되어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들의 상처나 수술로 인한 외상부위를 완전히 가려주어 물과 세균의 침투를 막고 이에 의한 감염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소재가 직접 피부에 부착됨으로써 접착력은 강화되고, 탈착 시 자극이 적으며, 접착제로 폴리올레핀 겔을 사용함으로써, 탈착 시 피부에 전혀 들러붙지 않을 수 있고, 신체의 굴곡진 부위에 적용할 경우에도 쉽게 떨어지지 않으며, 재사용이 가능하다.
도 1a, 도 1b,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a,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a,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a,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 도 5b,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의 사시도 이고, 도 1b는 도 1a의 실시예에서 A-A’선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고, 도 1c는 도 1의 (a)실시예에 따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를 얼굴에 착용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10)는, 본체(11)와 커버(1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1)는 수분 통과를 방지할 수 있고,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투명한 연질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PVC 비닐과 같은 재질로 구성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본체(11) 중에서 눈과 평행한 방향을 가로 방향이라고, 눈에서 코로 향하는 방향을 세로 방향이라고 할 때, 본체(11)의 가로 방향의 길이는 얼굴의 양 관자놀이 부분까지 덮을 수 있는 길이이고, 본체(11)의 세로 방향으로의 길이는 이마부터 인중의 중간부분-코와 윗입술 사이-까지 덮을 수 있는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1)는 양면(내부면과 외부면)을 가지는 시트 형상을 가진다. 본체(11)의 내부면은 얼굴에 착용할 때 얼굴과 닿는 부분이다. 그리고, 본체(11)의 내부면의 외연 중 적어도 일부에는 접착성 재질(‘접착제’)(13)이 위치된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11)의 내부면의 외연 중 이마와 양 옆 볼 부분과 닿는 부분에 접착성 재질(13)이 위치되어 있어, 본 실시예에 따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를 얼굴에 착용할 때 접착력이 강화될 수 있다.
접착성 재질(13)은 실리콘 및 폴리올레핀 겔과 같이 탄성이 있으며 접착성이 있는 것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15)는, 접착성 재질(13)의 접착성을 보호하기 위해 접착성 재질(13) 부분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10)가 사람의 얼굴에 장착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예를 들면,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10)의 본체(11)는 눈 및 코와는 이격되어 있고, 이마와 양 옆의 볼 부분과는 접착성 재질(13)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 방수마스크(10)는 커버(15)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커버(15) 선택적인 것으로서 커버(15)를 포함하지 않도록 방수마스크(1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의 사시도 이고, 도 2b는 도 2a의 실시예에서 B-B’선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20)는 본체(21)를 포함한다.
도 2의 실시예와 도 1의 실시예를 비교하면, 도 2의 실시예에서의 본체(21)는 볼록부(25a, 25b) 와 오목부(23)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이하에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21)는 양면(내부면과 외부면)을 가지는 시트 형상을 가지며, 본체(21)의 내부면에 볼록부(25a, 25b) 및 오목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볼록부(25a, 25b) 및 오목부(23)는, 본체(21)의 내부면의 외연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교번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b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듯이, 본체(21)의 내부면의 외연에 가까운 쪽에 제1볼록부(25a)가 형성되어 있고, 제1볼록부(25a)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제2볼록부(25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볼록부(25a)와 제2볼록부(25b)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 즉, 오목부(23)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가 얼굴에 부착될 때 오목부(23)에 있는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흡입력이 생겨 밀착력(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가 얼굴에 밀착되는 힘)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의 사시도 이고, 도 3b는 도 3a의 실시예에 따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30)는, 수분의 배출을 위한 수분 배출부(39)가 형성된 본체(31)를 포함한다.
도 3의 실시예와 도 2의 실시예를 비교하면, 도 3의 실시예에서 본체(31)에는 수분의 배출을 위한 수분 배출부(39)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31)의 일부-예를 들면, 코와 인접한 부분-에는 수분의 배출을 위한 수분 배출부(39)가 형성되어 있다.
수분 배출부(39)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절개된 형태(이하,‘절개라인’)(L1)로 구성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도 4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수분 배출부(39)가 개구부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a와 같이, 수분 배출부(39)는 본체(31)의 일부가 절개라인(L1)에 의해 절개된 부분을 의미한다. 여기서, 절개라인(L1)은 본체에서 B1으로 표시한 부분과 B2로 표시한 부분 사이에 형성된다. 본체에서 B1으로 표시한 부분과 B2로 표시한 부분은 코와 인접한 부분일 수 있다.
도 3b와 같이 본체에서 B1으로 표시한 부분과 B2로 표시한 부분이 서로 떨어지도록 힘을 받으면(예를 들면 착용자의 손에 의해서 힘이 가해지거나, 또는 얼굴에 착용되면 자연스럽게 B1으로 표시한 부분과 B2로 표시한 부분이 떨어지도록 될 수 있음), B1으로 표시한 부분과 B2로 표시한 부분 사이의 공간(S1)을 통해서 수분이 배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실시예에 따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40)는, 수분의 배출을 위한 수분 배출부(49)와 수분 배출부(49)를 덮을 수 있는 덮개(47)를 구비한 본체(4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와 도 3의 실시예를 비교하면, 도 4의 실시예는 덮개(47)를 더 포함하고, 수분 배출부(49)가 개구부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41)의 일부-예를 들면, 코와 인접한 부분-에 개구부 형태의 수분 배출부(49)가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본체(41)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체(41)는 양면(내부면과 외부면)을 가지는 시트 형상을 가지며, 본체(41) 외부면에 개구부(49)를 덮을 수 있는 덮개(47)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덮개(47)는 적어도 다음 두 가지 위치를 가지도록 본체(31)와 결합되어 있다.
즉, 제1 위치는 덮개(47)가 수분 배출부(49)에 밀착되어 덮은 상태이고, 제2 위치는 덮개(47)가 수분 배출부(49)에 밀착되어 있지 않고 수분 배출부(49)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이다. 여기서, 수분의 배출은 덮개(47)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이루어진다. 덮개(47)가 위와 같이 두 가지 위치를 가지기 위한 구성으로는, 덮개(47)의 일 측면(m1)은 본체(41)에 고정되어 결합되어 있고, 덮개(47)의 다른 측면(m2)은 본체(4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수분 배출부(49)가 본 실시예에서처럼 개구부 형태로 구성된 경우, 덮개(47)가 제2 상태로 되면, 본체(41)의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이 개구부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덮개(47)는 연질의 재질로 양면(내부면과 외부면)을 가지는 시트 형상을 가지며 개구부(49)를 완전히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덮개(47)가 내부면의 외연 중 본체(4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측면(m2)의 적어도 일부에는 접착성 재질(‘접착제’)(p1)이 위치된다.
예를 들면, 도 4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47)가 제1 위치에 있을 때,덮개(47)의 내부면의 외연 중 본체(41)에 밀착되는 부분에 접착성 재질(p1)이 위치되어 있어, 덮개(47)가 수분 배출부(49)에 완전히 밀착되어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접착성 재질(p1)은 실리콘 및 폴리올레핀 겔과 같이 탄성이 있으며 접착성이 있는 것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4의 실시예에서 덮개(47)의 일부에 접착성 재질(p1)이 포함하는 것으로 구현되었는데, 상술한 다른 실시예 및 이하 설명할 다른 실시예들에서도(예를 들면, 도 3 및 도 5 내지 도 6) 덮개의 일부에 접착성 재질(p1)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도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의 사시도, 도 5b 및 도 5c는 도 5a의 실시예에 따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는 수분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판막(58)이 결합된 본체(51)를 포함한다.
도 4의 실시예와 도 5의 실시예를 비교하면, 도 5의 실시예에서의 본체(51)에는 판막(58)이 결합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51)는 양면(내부면과외부면)을 가지는 시트 형상을 가지며, 본체(51) 내부면의 수분 배출부(59) 보다 위-예를 들면, 덮개(57)가 본체(41)에 고정되어 결합되는 위치(m1)보다 눈 쪽에 더 가까운 위치-에 판막(58)이 위치될 수 있다.
도 5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막(58)은 고정단(c1, c2)과 자유단(c3)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정단(c1, c2)은 본체(51)의 내부면에 결합되어 있고, 자유단(c3)은 본체(51)의 내부면에 결합되어 있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도 5b 와 도 5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막(58)은 코와 붙지 않은 상태에서, 본체(51)와 나란하게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판막(58)의 고정단 c1과 고정단 c2사이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고, c1과 c2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 즉, 개구부(h)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덮개(57)는 적어도 다음 두 가지 위치를 가지도록 본체(51)와 결합되어 있다.
즉, 제1 위치는 덮개(57)가 수분 배출부(59)에 밀착되어 덮은 상태(도 5의 (b))이고, 제2 위치는 덮개(57)가 수분 배출부(59)에 밀착되어 있지 않고 수분 배출부(59)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도 5c)이다. 여기서, 수분의 배출은 덮개(57)가 제2 상태에 있을 때 이루어진다.
도 5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덮게(57)가 제1 위치, 즉, 덮개(57)가 수분 배출부(59)에 밀착되어 덮는 상태에서는 본체(51)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은 판막(58)의 개구부(h)를 경유하여 판막(58)과 수분 배출부(59) 사이의 공간(S2)(본 발명의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이 공간을 ‘수분 저장 공간’)에 쌓이게 된다.
이 경우, 수분 저장공간에 쌓인 수분은, 판막(58)에 가로 막혀서 코 쪽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한편, 수분 저장 공간(S2)에 수분이 충분히 쌓이면, 도 5c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덮개(57)가 제2 위치, 즉, 덮개(57)가 수분 배출부(59)에 밀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수분저장공간(S2)에 존재하던 수분은 수분 배출부(59)를 통해 배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는, 하나 이상의 절개부(62)를 가진 본체(61)를 포함한다.
도 2의 실시예와 도 6의 실시예를 비교하면, 도 6의 실시예는 절개부(62)를 더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도 6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6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듯이, 본체(61)의 외연의 일부에는 2개의 절개부(62)가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를 얼굴에 장착할 때 얼굴의 굴곡에 따라 모양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절개부(62)의 개수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1개, 또는 3개 이상이 될 수 있다.
한편, 도 6의 실시예는 도 2의 실시예에 절개부를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구현되었지만, 상술한 다른 실시예들에서도(예를 들면, 도 1 및 도 3 내지 도 5)절개부를 형성시키는 방법으로도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즉,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를 본체(11, 21, 31, 41, 51)의 외주부에 복수의 절개부가 형성되도록 변형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도 1의 실시예가 방수마스크가 커버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들(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도 방수마스크가 커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 커버의 구조 및 기능은 도1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도 1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적 개념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적 개념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적 개념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적 개념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20, 30, 40, 50, 60: 방수마스크
11, 21, 31, 41, 51, 61: 본체
13: 접착성 재질
15: 커버
23: 오목부
25, 25a, 25b: 볼록부
37, 47, 57: 덮개
39, 49, 59: 수분 배출부
58: 판막
62: 절개부

Claims (8)

  1.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에 있어서,
    수분 통과를 방지할 수 있는 투명한 재질의 본체;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내부면과 외부면을 가지며, 상기 내부면의 외연의 적어도 일부는 접착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 재질은, 실리콘 및 폴리올레핀 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 재질의 일부에 탈착 가능한 커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연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오목부 및 볼록부가 교번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
  5. 제4항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수분 배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시트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분 배출부를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진 덮개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있으되, 상기 덮개의 일부만이 상기 수분 배출부의 주위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덮개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수분 배출부를 덮도록 위치된 것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수분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판막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판막은 상기 수분 배출부보다 위에 위치되어 있는 것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막은 고정단과 자유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단은 상기 본체의 내부면에 결합되어 있는 부분이고, 상기 자유단은 상기 본체의 내부면에 결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며, 상기 고정단에 수분 배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연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
KR1020150120255A 2015-08-26 2015-08-26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 KR101782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255A KR101782213B1 (ko) 2015-08-26 2015-08-26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
PCT/KR2016/000663 WO2017034104A1 (ko) 2015-08-26 2016-01-21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255A KR101782213B1 (ko) 2015-08-26 2015-08-26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787A true KR20170024787A (ko) 2017-03-08
KR101782213B1 KR101782213B1 (ko) 2017-09-27

Family

ID=58100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255A KR101782213B1 (ko) 2015-08-26 2015-08-26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82213B1 (ko)
WO (1) WO20170341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7446A1 (en) * 2020-06-14 2021-12-23 Zmask, Inc. Single use and multiple use face seal mas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386U (ko) 2020-08-06 2022-02-15 주식회사 보보 방수 기능을 갖춘 망사 원단마스크
KR20220043730A (ko) 2020-09-29 2022-04-05 고금순 기능성이 우수한 비말차단 마스크
KR20220089125A (ko) 2020-12-21 2022-06-28 강교연 마스크 팩 부착 가능한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910A (ko) * 1985-07-04 1987-03-10 황태봉 일회용 상처부위 보호방수대
CA2296077A1 (en) 1997-07-14 1999-01-21 Medwrap Corp. Medical protective wrap
US6609516B2 (en) * 1998-06-17 2003-08-26 Fire Drill, Llc Smoke escape mask
KR200195919Y1 (ko) * 2000-03-15 2000-09-15 김열규 김서림방지용 마스크
KR200275080Y1 (ko) * 2002-02-26 2002-05-09 박영기 상처보호용 방수패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7446A1 (en) * 2020-06-14 2021-12-23 Zmask, Inc. Single use and multiple use face seal ma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2213B1 (ko) 2017-09-27
WO2017034104A1 (ko)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8571B1 (ko) 손가락 및 발가락 끝 보호 장치
JP5388850B2 (ja) 保護フェイスマスク
USRE39896E1 (en) Disposable eye patc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osable eye patch
KR101782213B1 (ko)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
CA2958081C (en) Surgical eye shield
KR102167398B1 (ko) 폴리머젤 패드가 구비된 의료용 부목
US5954679A (en) Adhesive bandage
KR200481185Y1 (ko)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일회용 의료밴드
JP2018526099A (ja) 固定要素を有する外科用絆創膏
US20120150122A1 (en) Protective bandaging for point of insertion of shunt tubing
US20190038468A1 (en) A protective eyewear device
US10154935B1 (en) Pressure bearing auricular hematoma appliance
JP6301006B2 (ja) 指しゃぶり矯正器
EP0047270B1 (en) Devices for protection of human ears
US20220379092A1 (en) Catheter covering device
KR20170011119A (ko) 상처보호용 방수시트
JP2007044103A (ja) 創傷プロテクタ
KR102147910B1 (ko) 환자 보호기
KR200390977Y1 (ko) 일회용밴드
CN215307392U (zh) 三层结构医学修复用生物基材创口贴
CN214342943U (zh) 一种眼部术后外固定器
KR20200065552A (ko) 환부 보호용 밴드
KR101171080B1 (ko) 상처보호대
US20230240899A1 (en) Umbilical Cord Stump Protector
KR102635015B1 (ko) 드레싱용 헤드 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