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479Y1 - 개복부위를 확장 유지시키는 수술용 피부 절개면 보호용구 - Google Patents

개복부위를 확장 유지시키는 수술용 피부 절개면 보호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479Y1
KR200443479Y1 KR2020070017623U KR20070017623U KR200443479Y1 KR 200443479 Y1 KR200443479 Y1 KR 200443479Y1 KR 2020070017623 U KR2020070017623 U KR 2020070017623U KR 20070017623 U KR20070017623 U KR 20070017623U KR 200443479 Y1 KR200443479 Y1 KR 2004434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incision
surgical
tension member
incision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6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형우진
Original Assignee
형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형우진 filed Critical 형우진
Priority to KR20200700176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4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4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4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2Devices for opening or enlarging the visual field, e.g. of a tub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2017/0212Cushions or pads, without holding arms, as tissue retainers, e.g. for retracting viscer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복부위를 확장 유지시키는 수술용 피부 절개면 보호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가요성 실리콘소재로서 커버지(10)가 구비되고, 커버지(10)의 이면에는 절개면에 밀착되기 위한 보호 패드(20)가 부착되며, 상기 보호패드(20)를 기준으로 커버지(10)의 일면으로는 점착층이 도포되어 절개된 피부 외측에 커버지(10)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30)가 형성되고, 그 반대측에는 절개면의 내측에 위치되어 수술시야 확보와 수술부위와 주변 장기(臟器)를 상호 격리 차단하는 차단부(40)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지(10) 내부는 다수개의 구획하여 절개면 상하측을 지지하는 박판타입의 스테인리스 스틸로 된 지지대(50)가 내입된 수술용 절개면의 보호용구에 있어서, 상기 보호 패드(20)가 부착되는 커버지(10) 사이에 절개된 복벽을 받쳐 탄성 지지하기 위한 텐션부재(60)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복부를 절개하여 수술하는 데 있어, 절개된 복벽으로부터 출혈을 방지하고, 기타 감염 등을 방지하기 위한 차원에서 사용되는 절개면 보호용구에 있어, 커버지에 부착되어 절개된 복벽에 밀착되어 출혈방지와 기타 감염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성에서, 커버지와 패드가 접하는 사이에 텐션부재를 두어 수술부위를 텐션부재의 탄성력으로 받쳐주도록 함으로써, 출혈에 대한 지혈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별도의 견인기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보호용구의 자체만으로도 절개된 부위를 확장 유지시켜 시술부위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으로, 상흔을 방지하고 환자의 회복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며, 또한 수술시간을 단축하여 그만큼의 수술에 드는 제 반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수술, 복부, 절개면, 커버지, 보호 패드, 텐션부재

Description

개복부위를 확장 유지시키는 수술용 피부 절개면 보호용구{skin incision side protection instrument for surgical operation}
본 고안은 개복부위를 확장 유지시키는 수술용 피부 절개면 보호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부 수술시 절개된 부위의 절개면이 노출되어 세균 등에 의해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도록 고안된 피부 절개면 보호구를 개선하여 절개부위로부터 별도의 리트렉터(Retractor)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자체적인 절개부위의 수술시간 동안 확장, 유지시키는 기능을 적용하여 수술시 시술의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개복된 상태에서의 수술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절개면으로부터 지혈효과를 갖도록 하여 수혈에 드는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수술용 피부 절개면 보호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복부 수술시에는 복벽을 절개하므로 절개창이 외부로 노출되어 세균에 의해 절개창이 감염되거나 효과적인 지형이 되지 않아 발생하는 창상감염, 혈동 등의 합병증과 복부에 발생한 암 수술의 경우 암세포가 수술중 종양으로부터 떨 어져 절개면에 부착되어 암이 전이 발생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을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기존에는 수술시 수술부위에 대한 수술시야를 좋게 하면서도 수술부위 이외의 장기손상을 막기 위해 임시로 집어넣어서 수술부위의 출혈을 흡수하여 닦아주는데 사용되고 수술시 출혈 된 피를 흡수하기 위하여 흡수성을 갖는 살균 처리된 두꺼운 거즈 형태의 외과용 패드(Surgical pad)를 사용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었다.
첫째, 수술부위에 두꺼운 패드를 적용함으로써 패드를 인입할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복부의 절개면을 필요 이상으로 크게 절개하여 상흔이 크고 상처부위를 회복이 지연되어 환자의 고통을 가중하였고,
둘째, 외과용 패드는 수술부위의 지혈을 주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수술시 피부 절개면이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오염된 공기 등을 통해 감염되거나, 내부 장기수술시 감염된 내부 장기의 적출물이 절개된 절개면에 접촉할 우려가 있어 합병증의 발생 또는 암 수술의 경우 암세포가 절개면에 전이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견인기(리트렉터(Retractor))를 이용하여 복벽부위를 당겨 수술부위의 시야를 확보할 때 절개면을 별도로 보호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넷째, 일부에서는 폴리에틸렌 혹은 비닐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나, 이들의 경우에도 수술 절개창에서 누출되는 혈액이나 조직삼출액을 흡수할 수 있는 보호 패드와 같은 부분이 없어 수술 시야가 매우 불량할 뿐만 아니라 표면에서 흡수되지 않는 경우 이를 통해 감염발생의 우려가 잔재하고 있었 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379005호(고안의 명칭: 수술시 절개면의 보호용구)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절개면의 보호용구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실리콘소재로서 커버지(10)가 구비되고, 커버지(10)의 이면에는 절개면에 밀착되기 위한 보호 패드(20)가 부착되며, 상기 보호패드(20)가 부착되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커버지(10)의 일면으로는 점착층(31)이 도포되어 절개된 피부 외측에 커버지(10)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30)가 형성되고, 그 반대측에는 절개면의 내측에 위치되어 수술시야 확보와 수술부위와 주변 장기(臟器)를 상호 격리 차단하는 차단부(40)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지(10) 내부는 다수개의 구획하여 절개면 상하측을 지지하는 박판 타입의 스테인레스 스틸로 된 지지대(50)가 각각 삽입되어 밀봉된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50)가 내입되는 커버지(10)에는 절결선(11)을 다수개 형성시켜상기 커버지(10)를 복벽의 절개면 내외측으로 위치시켜 각각 필요에 따라 부착부(30)와 차단부(40)를 각각 세폭으로 절취 분할시켜 배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후 견인기를 통해 확장된 절개면에 대해 커버지(10)를 필요한 각도 상으로 위치시켜 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커버지(10)에 부착된 보호 패드(20)는 차단부(40)를 포함하는 부착부 (30)전면에 이형지(S)가 부착 되어 있는 것으로, 사용상에서는 이형지(A)를 떼어 내에 바로 보호 패드(20)를 절개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술용 절개면 보호용구는 사용상에 있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환자의 복부를 절개한 상태에서 복벽의 절개면에는 보호용구의 보호 패드(20)를 댄 다음, 부착부(30)는 피부의 외측면에, 상기 차단부(40)는 피부 내측(장기와 맞닿는 측)면에 위치시켜 주며, 여기에 견인기를 사용하여 절개면을 확장시켜 준다.
상기 견인기를 사용함에 따라 절개면에 접촉된 보호 패드(20)는 들뜸 현상이 발생되어 출혈에 대한 지열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보호 패드로서의 역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점들은 곧 수술시간을 지연시킴과 동시에, 출혈에 대해 지혈효과가 낮아 수술 후에도 환자의 회복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수술용 절개면의 보호용구를 이용한 시술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점에서 이외에 제반되는 보조 수술도구의 추가적인 비용과 환자의 회복기간에 따른 병원비용 등의 추가적인 납부로 인해 비경제적인 단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 로, 복부 수술시 절개된 부위의 절개면이 노출되어 세균 등에 의해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도록 고안된 피부 절개면 보호구를 개선하여 절개부위로부터 별도의 리트렉터(Retractor)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자체적인 절개부위를 수술시간동안 확장, 유지시키는 기능을 적용하여 수술시 시술의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개복된 상태에서의 수술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절개면으로부터 지혈효과를 갖도록 하여 수혈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가요성 실리콘소재로서 커버지가 구비되고, 커버지의 이면에는 절개면에 밀착되기 위한 보호 패드가 부착되며, 상기 보호패드를 기준으로 커버지의 일면으로는 점착층이 도포되어 절개된 피부 외측에 커버지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가 형성되고, 그 반대측에는 절개면의 내측에 위치되어 수술시야 확보와 수술부위와 주변 장기(臟器)를 상호 격리 차단하는 차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지 내부는 다수개의 구획하여 절개면 상하측을 지지하는 박판타입의 스테인레스 스틸로 된 지지대가 내입된 수술용 절개면의 보호용구에 있어서, 상기 보호 패드가 부착되는 커버지 사이에 절개된 복벽을 받쳐 탄성 지지하기 위한 텐션부재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복부를 절개하여 수술하는데 있어, 절개된 복벽으로부터 출혈을 방지하고, 기타 감염 등을 방지하기 위한 차원에서 사용되는 절개면 보호용구에 있어, 커버지에 부착되어 절개된 복벽에 밀착되어 출혈방지와 기타 감염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성에서, 커버지와 패드가 접하는 사이에 텐션부재를 두어 수술부위를 텐션부재의 탄성력으로 받쳐주도록 함으로써, 출혈에 대한 지혈효과를 높이과 동시에, 별도의 견인기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보호용구의 자체만으로도 절개된 부위를 확장 유지시켜 시술부위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으로, 상흔을 방지하고 환자의 회복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며, 또한 수술시간을 단축하여 그만큼의 수술에 드는 제반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라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참조한 도면을 기초로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인 수술용 피부 절개면의 보호용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술용 피부 절개면의 보호용구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술용 피부 절개면의 보호용구의 커버지에 적용되는 텐션부재의 사용상태를 예시하여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술용 피부 절개면의 보호용구의 보호 패드에 포켓을 형성하여 텐션부재를 삽입하는 상태를 일예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술용 피부 절개면의 보호용구를 절개된 복벽에 받쳐진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가요성 실리콘소재로서 커버지(10)가 구비되고, 커버지(10)의 이면에는 절개면에 밀착되기 위한 보호 패드(20)가 부착되며, 상기 보호패드(20)를 기준으로 커버지(10)의 일면으로는 점착층이 도포되어 절개된 피부 외측에 커버지(10)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30)가 형성되고, 그 반대측에는 절개면의 내측에 위치되어 수술시야 확보와 수술부위와 주변 장기(臟器)를 상호 격리 차단하는 차단부(40)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지(10) 내부는 다수개의 구획하여 절개면 상하측을 지지하는 박판타입의 스테인레스 스틸로 된 지지대(50)가 내입된 수술용 절개면의 보호용구에 있어서, 상기 보호 패드(20)가 부착되는 커버지(10) 사이에 절개된 복벽을 받쳐 탄성 지지하기 위한 텐션부재(60)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텐션부재(60)는 박판 타입의 스테인리스 스틸소재의 판으로, 양단측은 텐션부재(60)를 원형으로 둥글게 유지될 수 있도록 라운딩부(60a)가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텐션부재(60)가 커버지(10)와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위치됨으로써, 커버지내의 지지대(50)와는 상호 직교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보호 패드(20)는 일 실시예로서 두 겹으로 형성하여 포켓(21)을 형성함으로써 텐션부재(60)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대(50)가 분할되어 삽입된 커버지(50)에는 지지대(50)를 분할하면서 필요한 길이로 절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절개홈(10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50)는 부착부(30)의 피부 부착 및 피부 저면 내에 안내되어 차단부(40)가 삽입 지지되는 면적을 넓히기 위해 길이방향에 대해 양단측이 넓은 면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A)는 이형지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개복부위를 확장 유지시키는 수술용 피부 절개면 보호용구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복부를 절개하는 수술에 있어, 절개길이를 감안한 절개면의 보호용구를 선택하여 준비한다.
상기 보호용구는 길이방향으로 제작상에 있어, 커버지(10)와 함께 그 내부에 밀봉형태로 삽입되어 구획된 지지대(50)가 연속되는 길이를 갖도록 한 것으로, 절개되는 길이를 감안한 길이별로 커버지(10)의 절결홈(10a)을 통해 절단되어 절단된 면을 밀봉한 다음 보호 패드와 함께 이에 맞는 길이를 갖는 텐션부재(60)를 커버지측에 부착하여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보호 패드(20)는 첨부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겹으로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포켓(20a)을 통해 텐션부재(6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보호용구의 커버지(10) 이면에 부착한 이형지(A)를 떼어낸 상태에서 커버지의 일면이 되는 부착부(30)는 절개된 복부의 외측 피부에 부착을 이루면서 우선적으로 절개된 일측으로부터 커버지(10)의 차단부(40)를 내측으로 피부 내측으로 삽입시켜 주면서 전반적으로 커버지(10)의 형태를 둥글게 위치시킨다.
상기와 같은 커버지(10)의 부착부(30)부분 부착과 차단부(40)의 삽입이 이루어진 상태에서의 상기 지지대(50)는 그 길이방향 양측이 확장 형성되어 있어 절개된 복벽을 기준으로 피부 외측과 피부 내측에 더욱 안정적으로 보호용구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차단부(40)와 부착부(30) 사이에 위치된 보호 패드(20)는 절개된 복벽에 밀착이 이루어지고, 보호 패드와 커버지 사이에 위치된 텐션부재(60)는 거의 원 형태로 절개면을 확장하여 수술시에 대한 시야를 확보시켜 준다.
상기 텐션부재(60)는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의 박판 타입으로서 상기 보호 패드(20)를 절개된 복벽으로 안정적으로 밀착시켜줌과 동시에, 절개면을 확장시켜주는 것으로, 상기 보호 패드를 안정적으로 받쳐 출혈을 지혈시키기에 유리한 자세로서 받쳐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절개면을 거의 원상태가 되도록 받쳐주는 텐션부재(60)는 양측에 형성한 라운딩부(60a)로 인해 절개면을 확장시키는 상태에서 첨부된 도 4에서 표현된 바와 같은 원 형태가 유지되는 것이며, 상기 커버지(10) 내에 구획되어 배열된 각각의 지지대(50)는 직교되는 방향으로 위치한 텐션부재(60)를 원상태에서 안정적으로 받쳐주게 된다.
상기 텐션부재(60)의 확장에 따라 커버지(10)의 절결홈(10a)은 확장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각각의 지지대(50)를 벌려 그 벌려진 상태를 텐션부재(60)와 함께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수술용 피부 절개면의 보호용구는 별도의 견인기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시술부위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기능과 함께 복벽에 밀착되는 보호 패드를 텐션부재로서 더욱 밀착시켜 줌으로써, 출혈에 대한 지혈효과가 뛰어난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수술용 절개면의 보호용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수술용 피부 절개면의 보호용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술용 피부 절개면의 보호용구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술용 피부 절개면의 보호용구의 커버지에 적용되는 텐션부재의 사용상태를 예시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술용 피부 절개면의 보호용구의 보호 패드에 포켓을 형성하여 텐션부재를 삽입하는 상태를 일예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술용 피부 절개면의 보호용구를 절개된 복벽에 받쳐진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부에 대한 부호설명>
10: 커버지 10a: 절결홈
20: 보호 패드 20a: 포켓
30: 부착부 40: 차단부
50: 지지대 60: 텐션부재
60a: 라운딩부 A: 이형지

Claims (5)

  1. 가요성 실리콘소재로서 커버지(10)가 구비되고, 커버지(10)의 이면에는 절개면에 밀착되기 위한 보호 패드(20)가 부착되며, 상기 보호패드(20)를 기준으로 커버지(10)의 일면으로는 점착층이 도포되어 절개된 피부 외측에 커버지(10)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30)가 형성되고, 그 반대측에는 절개면의 내측에 위치되어 수술시야 확보와 수술부위와 주변 장기(臟器)를 상호 격리 차단하는 차단부(40)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지(10) 내부는 다수개의 구획하여 절개면 상하측을 지지하는 박판타입의 스테인레스 스틸로 된 지지대(50)가 내입된 수술용 절개면의 보호용구에 있어서,
    상기 보호 패드(20)가 부착되는 커버지(10) 사이에 절개된 복벽을 받쳐 탄성 지지하기 위한 텐션부재(60)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복부위를 확장 유지시키는 수술용 피부 절개면 보호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재(60)는 박판타입의 스테인레스 스틸소재의 판으로, 양단측은 텐션부재(60)를 원형으로 둥글게 유지될 수 있도록 라운딩부(60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복부위를 확장 유지시키는 수술용 피부 절개면 보호용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패드(20)는 텐션부재(60)를 삽입하기 위한 두 겹 으로 형성되어 포켓(21)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복부위를 확장 유지시키는 수술용 피부 절개면 보호용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50)가 분할되어 삽입된 커버지(50)에는 지지대(50)를 분할하면서 필요한 길이로 절개가 용이한 절개홈(1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복부위를 확장 유지시키는 수술용 피부 절개면 보호용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50)는 부착부(30)의 피부 부착 및 피부 저면 내에 안내되어 차단부(40)가 삽입 지지되는 면적을 넓히기 위해 길이방향에 대해 양단측이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복부위를 확장 유지시키는 수술용 피부 절개면 보호용구.
KR2020070017623U 2007-10-31 2007-10-31 개복부위를 확장 유지시키는 수술용 피부 절개면 보호용구 KR2004434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623U KR200443479Y1 (ko) 2007-10-31 2007-10-31 개복부위를 확장 유지시키는 수술용 피부 절개면 보호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623U KR200443479Y1 (ko) 2007-10-31 2007-10-31 개복부위를 확장 유지시키는 수술용 피부 절개면 보호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479Y1 true KR200443479Y1 (ko) 2009-02-17

Family

ID=41349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623U KR200443479Y1 (ko) 2007-10-31 2007-10-31 개복부위를 확장 유지시키는 수술용 피부 절개면 보호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47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2761A1 (ko) * 2014-11-07 2016-05-1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수술용 보호용구
WO2019078519A1 (ko) * 2017-10-16 2019-04-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수술용 보호용구
KR20220006677A (ko) * 2020-07-08 2022-01-1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용 상처보호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2761A1 (ko) * 2014-11-07 2016-05-1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수술용 보호용구
KR20160054913A (ko) * 2014-11-07 2016-05-1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수술용 보호용구
KR101654272B1 (ko) * 2014-11-07 2016-09-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수술용 보호용구
WO2019078519A1 (ko) * 2017-10-16 2019-04-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수술용 보호용구
KR20220006677A (ko) * 2020-07-08 2022-01-1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용 상처보호대
KR102424497B1 (ko) * 2020-07-08 2022-07-2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용 상처보호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3273B2 (en) Prosthetic implant delivery device and method
US9549736B2 (en) Sutureless wound closure
AU2016202037B2 (en) Surgical incision and closure apparatus with integrated force distribution
US7696399B2 (en) Sutureless wound closure and method of application
US2017004254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hibiting scar formation
US20150101616A1 (en) Securable Procedure Kit
US20040138602A1 (en) Simplified one-handed preemptive medical procedure site dressing to prevent sharps injuries and exposure to bloodborne pathogens
PT1171065E (pt) Aparelho para tratamento de feridas que emprega pressão reduzida
JP2016528964A (ja) 創傷治療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200443479Y1 (ko) 개복부위를 확장 유지시키는 수술용 피부 절개면 보호용구
EP3340951B1 (en) Surgical bandage with stabilizing elements
ES2904372T3 (es) Dispositivo quirúrgico para incisión y cierre
CA2981609A1 (en) Catheter stabiliza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EP3627996A1 (en) Prosthetic implant delivery device
US9675504B2 (en) Disposable water resistant protective cover cast and wound sites
JP2022547705A (ja) 最小侵襲手術からの回復を改善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EP2747697B1 (en) Zip strip draping system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JP2020523105A (ja) 創傷閉鎖のための折り畳み可能シートおよび使用方法
KR200379005Y1 (ko) 수술시 절개면의 보호용구
RU2638435C2 (ru) Защитный обклад для операционной раны
WO2017031567A1 (en) Method, kit, and tape for wound care
CA2901331C (en) Method, kit, and tape for wound care
KR20220006677A (ko) 수술용 상처보호대
CA2812577A1 (en) Wound dressing
US20150245871A1 (en) Incision pro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