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272B1 - 수술용 보호용구 - Google Patents

수술용 보호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272B1
KR101654272B1 KR1020140154534A KR20140154534A KR101654272B1 KR 101654272 B1 KR101654272 B1 KR 101654272B1 KR 1020140154534 A KR1020140154534 A KR 1020140154534A KR 20140154534 A KR20140154534 A KR 20140154534A KR 101654272 B1 KR101654272 B1 KR 101654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support
vertical support
surgical
trans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4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4913A (ko
Inventor
윤여규
이규언
유형원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54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272B1/ko
Priority to PCT/KR2015/011830 priority patent/WO2016072761A1/ko
Publication of KR20160054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Abstract

수술용 보호용구가 개시되며, 상기 수술용 보호용구는 일면이 수술 절개부위에 접촉하도록 상기 수술 절개부위를 감싸는 패드, 상기 패드의 중간을 가로지르게 위치하는 가로 지지대 및 상기 패드에 상기 가로 지지대와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패드가 상기 수술 절개부위를 고정적으로 감싸도록 구부림 가능한 세로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가로 지지대는, 상기 수술 절개부위의 절개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세로 지지대가 상기 절개면을 기준으로 구부러지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술용 보호용구{WOUND PROTECTOR FOR SURGERY}
본원은 수술용 보호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술 중 수술 절개부위에 화상을 입는 경우가 많다. 특히 갑상선절제술의 경우, 대다수의 환자가 미용에 관심이 많은 여성환자인 것을 감안할 때, 수술 중 화상에 의한 피부손상은 환자에게 또 다른 문제점을 야기한다. 따라서, 목과 같이 피부가 얇고 부드러운 부위에 수술자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는 수술용 보호용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또한, 수술 과정 중 발생하는 창상감염은 드물기는 하지만 중요한 합병증 중 하나이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172681 호(2013. 07. 04. 공개)에 조직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수술형 슬리브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술 시 수술 절개부위를 세균의 감염 및 화상에 의한 피부 상처로부터 보호하고 절개면에서의 출혈을 관찰할 수 있는 수술용 보호용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수술 중 수술용 보호용구에 물리적인 힘이 가해질 때, 수술 절개부위를 감싸고 있는 보호용구의 위치의 변화 또는 이탈을 최소화하여 수술시야를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수술용 보호용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용구는 일면이 수술 절개부위에 접촉하도록 상기 수술 절개부위를 감싸는 패드, 상기 패드의 중간을 가로지르게 위치하는 가로 지지대 및 상기 패드에 상기 가로 지지대와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패드가 상기 수술 절개부위를 고정적으로 감싸도록 구부림 가능한 세로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가로 지지대는, 상기 수술 절개부위의 절개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세로 지지대가 상기 절개면을 기준으로 구부러지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세로 지지대는 가로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세로부재 및 상기 복수의 세로부재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는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는 상기 복수의 세로부재를 지그재그 형태로 번갈아 가며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가로 지지대는, 가로 방향으로 작용하는 소정의 외력에 대하여 상기 패드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골조 역할을 하는 두께 및 폭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세로 지지대는 그 두께의 크기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세로 지지대에는 분할이 용이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세로 지지대의 단부 모서리는 곡선 처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세로 지지대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가로 지지대는 상기 패드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패드는 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패드는 광 투과성 재질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패드는 젤라틴 또는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재질일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패드에 가로 지지대와 세로 지지대를 구비함으로써, 가로 지지대가 절개면을 가이드하면서 이를 기준으로 세로 지지대가 구부러져 접힐 수 있어, 신속하게 진행되어야 하는 수술 환경에서 수술 절개부위를 보다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고정적으로 감쌀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술 절개부위의 효과적인 지혈이 가능하고, 수술 절개부위를 세균의 감염 및 화상에 의한 피부 상처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가로 방향의 외력에 대해 가로 지지대가 골조 역할을 하고, 더불어 가로 지지대를 기준으로 세로 지지대가 구부러져 수술 절개부위를 고정적으로 파지하므로, 패드가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절개면을 감싸고 있을 수 있어, 간명한 조작만으로도 수술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가로 지지대가 절개면을 가이드함으로써, 갑상선절제술이 이루어지는 목 주변과 같은 얇은 피부에 대해서도 신속한 고정이 가능하여 수술 절개부위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면서도 수술시간을 상당히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광 투과성 재질의 패드를 사용함으로써, 수술자는 절개면에서의 출혈을 관찰할 수 있어, 절개면의 지혈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용구의 사시도이다.
도 1b 내지 도 1f는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용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용구의 구부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용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용구가 다른 길이로 구현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b는 세로 지지대의 다른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수술 절개부위 중 하측 일부분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수술용 보호용구의 세로 지지대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용구의 사시도이고, 도 1b 내지 도 1f는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용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용구의 구부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용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수술용 보호용구(100)는 패드(110), 가로 지지대(120) 및 세로 지지대(13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패드(110)는 일면이 수술 절개부위(400)에 접촉하도록 수술 절개부위(400)를 감싼다. 여기서, 일면에 대한 정의를 도 1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로 지지대(120)가 돌출된 형태로 위치하고 있는 면(도 1a 기준 상면)이 타면이고, 타면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있는 면(도 1a 기준 하면)이 일면이다. 이러한 패드(110)는 수술 절개부위(400)의 출혈을 감소시키고, 절개면(410)이 세균에 의해 감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술 중 발생할 수 있는 화상으로부터 수술 절개부위(400)의 피부 및 절개면(410)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패드(1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 형상의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술 절개부위(400)의 모양과 길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패드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가로 지지대(120)는 패드(110)의 타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가로 지지대(120)의 위치는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패드(110)의 내부 또는 패드(110)의 일면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세로 지지대(130)는 패드(1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세로 지지대(130)의 위치는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패드(110)의 타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세로 지지대(130)는 패드(110)의 일면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110)는 제1 패드(111) 및 제2 패드(112)의 두 층으로 마련되고, 두 층 사이에 세로 지지대(130)가 개재될 수 있다. 또한, 가로 지지대(120)는 두 층의 패드(111, 112) 중 도 1b 기준으로 상측에 있는 제2 패드(112)의 상면(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패드(110)는 2층으로 구비되는 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110)는 단일층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단일층의 패드(110)의 내부에 가로 지지대(120) 및 세로 지지대(130) 중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를 참조하면, 단일층의 패드(110)의 내부에는 세로 지지대(130)가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패드(110) 내부에 소정의 구성을 배치하는 방식은, 몰드 성형 방식과 같이 통상에 알려진 다양한 방식이 활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다른 예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드(111)와 제2 패드(112)의 사이에 세로 지지대(130)와 가로 지지대(120)가 전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세로 지지대(130)와 가로 지지대(120)의 적층 형태는 도 1c에 기재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c에 도시된 바와 달리, 가로 지지대(120)의 상면(타면) 상에 세로 지지대(13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드(111)와 제2 패드(112)의 사이에 세로 지지대(130)가 배치되고, 제1 패드(111)의 하면(일면) 상에 가로 지지대(12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110)는 한 층으로 마련되고, 패드(110)의 상면(타면) 상에 세로 지지대(130)와 가로 지지대(120)가 전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세로 지지대(130)와 가로 지지대(120)의 적층 형태는 도 1e에 기재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다른 예로,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110)는 한 층으로 마련되고, 패드(110)의 상면(타면) 상에 세로 지지대(130)가 배치되며, 패드(110)의 하면(일면) 상에 가로 지지대(12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패드(110)는 수술 절개부위(400)의 길이에 따라 필요한 길이만큼 잘라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필요한 길이는 수술 케이스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수술자가 수술 절개부위의 길이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다.
도 4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용구가 다른 길이로 구현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수술용 보호용구(100)는 도 1a에 도시된 상태보다 가로 방향으로 더 연장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수술용 보호용구(100)의 가로 방향 연장 길이는 수술 부위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패드(110)는 필요한 길이만큼 잘라서 사용 가능하므로, 수술용 보호용구(100)는 가로 방향 길이가 수술 절개부위(400)의 길이보다 충분히 길도록 제작한 다음, 수술 절개부위(400)에 맞는 길이로 잘라서 사용할 수 있다.
가로 지지대(120)는 패드(110)의 중간을 가로지르게 위치한다.
예시적으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가로 지지대(120)는 패드(110)의 중앙을 가로지를 수 있다. 그러나, 가로 지지대(120)는 패드(110)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가로지른다는 것에 대한 정의는 도 1a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가로 지지대(120)는 패드(110)의 타면 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가로 지지대(120)는 패드(110)와 일체형으로 구비되거나, 패드(110)와는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가로 지지대(120)의 형성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패드(110)의 내부 또는 일면일 수도 있다.
한편, 도 5는 도 3의 수술 절개부위 중 하측 일부분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로 지지대(120)는 수술 절개부위(400)의 절개면(410)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세로 지지대(130)가 절개면(410)을 기준으로 구부러지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가로 지지대(120)는, 보다 안정적인 가이드를 할 수 있도록, 절개면(410)의 두께에 대응하는 폭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가로 지지대(120)의 폭은 3 mm 내지 7 m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가로 지지대(120)는 보다 안정적인 가이드를 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가로 지지대(120)는 패드(110)의 타면 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가로 지지대(120)는, 가로 방향으로 작용하는 소정의 외력에 대하여 패드(110)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골조 역할을 하는 두께 및 폭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가로 방향으로 작용하는 소정의 외력이라 함은, 수술 중 수술용 기구 등을 통해 작용할 수 있는 통상적인 외력뿐만 아니라, 예기치 못하게 작용될 수 있는 외력을 적어도 일부(예를 들면, 예기치 못한 외력 중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는 외력 수준)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가로 지지대(120)는 이러한 외력을 지지하는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두께 및 폭으로 설계될 수 있다.
가로 지지대(120)는 수술 중 수술용 기구 또는 수술자를 통한 물리적인 힘이 가로 방향으로 작용하였을 때, 플렉서블(Flexible)한 패드(110)가 주름이 잡히듯이 구부러지지 않도록 패드(110)를 가로 방향에 대하여 지지하는 골조 역할을 함으로써, 패드(110)의 가로 방향 이동을 방지하고 보다 안정적으로 절개면(410)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가로 지지대(120)는 소정의 가로 방향 외력에 대하여 구부러지지 않는 강성을 갖도록 두꺼운 재질의 젤라틴 또는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재질일 수 있다.
도 1a, 도 1b 및 도 2를 참조하면, 세로 지지대(130)는 가로 지지대(120)와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세로 지지대(130)가 가로 지지대(120)와 교차한다는 것은, 세로 지지대(130)가 가로 지지대(120)를 직교하는 것 뿐만 아니라 비스듬히 교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로 지지대(130)는 패드(110)가 수술 절개부위(400)를 고정적으로 감싸도록 구부림 가능하다.
즉, 본원에 의하면, 가로 지지대(120)와 세로 지지대(130)를 구비함으로써, 가로 지지대(120)가 절개면(410)을 가이드하면서 이를 기준으로 세로 지지대(130)가 구부러져 접힐 수 있어, 수술 절개부위(410)를 보다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술 절개부위(400)의 효과적인 지혈이 가능하고, 수술 절개부위(400)를 세균의 감염 및 화상에 위한 피부 상처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패드(110)가 안정적으로 절개면(410)을 감싸고 있을 수 있어, 수술이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갑상선절제술과 같은 경우, 수술이 이루어지는 목 부위는 피부의 두께가 얇고 부드럽기 때문에 절개 후 절개면(410)을 보호하고자 하더라도 보호용구를 수술 절개부위(400)에 고정하는 것이 어려웠다. 그러나, 본원에 의하면, 가로 지지대(120)가 절개면(410)을 가이드함으로써, 갑상선절제술이 이루어지는 목 주변과 같은 얇은 피부에 대해서도 신속한 고정이 가능하여 수술 절개부위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면서도 수술시간을 상당히 단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용구(100)와 관련된 구성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원에 의하면, 패드(110)는 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패드(110)가 신축성을 가짐으로써, 수술 중 수술도구 및 수술자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패드(1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술 절개부위(400)에 맞추어 알맞게 감싸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패드(110)의 크기는 가로 40 mm 내지 80 mm, 세로 30 mm 내지 50 m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절개면(410)이 두꺼운 수술 절개부위(400)의 경우에는 세로 크기가 보다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절개되는 길이가 긴 수술 절개부위(400)의 경우에는 가로 크기가 보다 증가될 수 있다. 즉, 패드(110)의 크기는 수술 절개부위(400)의 여건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는 가로 지지대(120)나 세로 지지대(130)의 규격(폭, 두께, 길이 등) 설정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패드(110)는 광 투과성 재질일 수 있다. 광 투과성 재질이란 반투명 내지 완전 투명한 재질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드(110)가 광 투과성 재질로 구비됨으로써, 수술자는 수술 절개부위(400) 및 절개면(410)의 출혈을 관찰할 수 있어, 지혈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패드(110)는 젤라틴 또는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재질일 수 있다.
젤라틴은 동물의 가죽 ?힘줄 ?연골 등을 구성하는 천연 단백질인 콜라겐을 뜨거운 물로 처리하면 얻어지는 유도 단백질의 일종이다. 또한, 실리콘 수지는 규소를 원료로 하여 합성한 규소 수지로서,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일이 적은 내열성과 산화되지 않는 내산화성, 각종 약품에 대한 저항성, 물에 대한 발수성이나 내수성, 전기의 절연성 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젤라틴과 실리콘 수지는 광 투과성 및 신축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이를 통해 보다 활용도 높은 패드(110)가 제조될 수 있다. 아울러, 패드(110)가 젤라틴 또는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수술 절개부위(400)에 알맞은 크기로 절단 또한 용이할 수 있다.
가로 지지대(120)는 패드(1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었을 때 가로 지지대(120) 부분은 패드(110)보다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세로 지지대(130)는 그 두께의 크기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세로 지지대(130)의 두께가 폭보다 작게 구비되면, 가로 지지대(120)를 기준으로 잘 구부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술자는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한번에 세로 지지대(130)를 구부릴 수 있어 수술 절개부위(400)에 신속한 고정이 가능하고 세로 방향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로 지지대(130)의 폭이 두께보다 크기 때문에 가로 지지대(130)를 기준으로 한 구부러짐(도 2 참조) 이외에 가로 방향에 대해 작용하는 외력 등에 대해서는 높은 강성이 확보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세로 지지대(130)의 폭은 1.5 mm 내지 4 mm, 두께는 0.2 mm 내지 0.8 m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세로 지지대(130)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일 수 있다.
가로 방향에 대하여 골조 역할을 하는 가로 지지대(120)와, 폭이 두께보다 넓은 세로 지지대(130)가 유기적으로 조합되어 패드(110)에 구비됨으로써, 가로 지지대(120)가 메인 골조 역할을 하고 세로 지지대(130)가 이와 연계된 프레임 부재 역할을 할 수 있어, 패드(110)는 가로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한 보다 큰 저항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세로 지지대(130)는 복수의 세로부재(13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세로부재(131)는 가로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세로부재(131) 사이의 간격은 동일한 간격 또는 임의의 간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로부재(131)들 사이의 간격은 3 mm 내지 15 mm이며, 세로부재(131)의 두께는 0.2 mm 내지 0.8 m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세로부재(131)의 개수는6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b는 세로 지지대의 다른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또한, 복수의 세로부재(131) 중 적어도 둘 이상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a 를 참조하면, 복수의 세로부재(131)는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세로부재(131) 사이의 상호 연결은 후술할 연결부재(132)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세로부재(131)는 번갈아가며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연결부재(132) 없이 V 또는 W가 반복되는 형태로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세로 지지대(130)는 복수의 세로부재(131)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132)는 복수의 세로부재(131)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연결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세로부재(131)가 6개 배치되고, 연결부재(132)는 서로 이웃하는 세로부재(131)가 상호 연결되도록 총 5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세로부재(131)가 2개만 배치되는 경우에는, 연결부재(132)는 2개의 세로부재(131)를 상호 연결하도록 1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세로부재(131)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연결부재(132)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복수의 세로부재(131)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적으로 연동될 수 있어, 수술자가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쉽게 세로 지지대(130)를 구부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수술자가 본 수술용 보호용구(100)를 절개면(400)을 기준으로 구부리고자 할 때, 세로부재(131) 중 어느 하나를 구부리면, 구부러지는 세로부재(131)와 직접적으로 또는 연결부재(132)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이웃하는 세로부재(131)로도 구부림 작용력이 전달되기 때문에, 각각의 세로부재(131)를 별도로 구부리지 않더라도, 세로부재(131) 간의 구부림 연동을 통해 쉽게 세로 지지대(130)를 구부릴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술자는 급박한 수술 환경에서 수술 절개부위(400)에 수술용 보호용구(100)의 빠른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32)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연결부재(132)는 복수의 세로부재(131)를 지그재그 형태로 번갈아 가며 연결할 수 있다.
이렇게 일측(도 1a 기준 상측)과 타측(도 1a 기준 하측) 중 어느 한측이 번갈아가며 연결되고, 다른 한측은 개방되는 형태로 세로 지지대가 구비됨으로써, 세로 지지대(130)는 스프링과 같이 가로 방향에 대한 탄성이 부여될 수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이, 패드(110)가 신축성을 가지는 것과 연동하여 세로 지지대(130)도 가로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신축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드(110)의 신축이 보다 원할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즉, 직접적으로, 또는 연결부재(132)를 통해 세로부재(131)가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됨으로써, 세로부재(131) 간의 연동 작용을 통해 수술자가 세로 지지대(130)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가로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스프링 작용(신축 작용)까지 가능해져, 주로 가로 방향에 대하여 요구되는 패드(110)의 신축이 세로 지지대(130)에 의해 제한받는 일 없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세로 지지대(130)에는 분할이 용이하도록 홈(133)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로 지지대(130)는 세로부재(131) 및 연결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홈(133)은 연결부재(132)에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세로부재(131)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b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세로 지지대(130)는 연결부재(132)를 통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홈(133)은 세로부재(131)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b에는 홈(133)이 형성된 상태만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의 세로 지지대(130)가 직접적으로 상호 연결된 경우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홈(133)은 생략될 수도 있다.
세로 지지대(130)에 홈(133)이 형성됨으로써, 수술자는 수술 절개부위(400)의 길이에 따라 수술용 보호용구(100)를 원하는 만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세로 지지대(130)의 단부 모서리는 곡선 처리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부 모서리의 곡선 처리라 함은, 세로부재(131) 및 연결부재(132) 각각의 말단에 각지게 꺾인 부분이 형성되지 않도록 곡면으로 처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로 지지대(130)의 단부 모서리 부분을 곡선으로 부드럽게 마감 처리함으로써, 사용 중 발생할 수 있는 패드(1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지지대(130)의 단부는 2차원적인 아령 모양으로 곡선 처리될 수 있다. 만일 세로 지지대(130)의 단부에 아령 모양과 같은 곡선 처리를 하지 않으면, 수술 중 예상치 못한 외력의 작용, 고온의 영향 등으로 인해 예기치 않게 패드(110)의 손상 내지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에,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세로 지지대(130)의 뽀족한 끝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면서 수술 대상자의 환부를 상해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원의 경우, 세로지지대(130)의 단부를 아령 모양과 같이 부드러운 곡선 형태로 마련함으로써, 패드(110)가 원치 않게 손상되거나 파손되어 세로지지대(130)의 단부가 노출되더라도 그로 인해 상해가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세로 지지대(130)는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세로부재(130) 각각의 일측(도 6a및 도 6b 기준 상측)은 연결부재(132)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세로부재(130) 각각의 타측(도 6a및 도 6b 기준 하측) 또한 연결부재(132)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즉, 세로 지지대(130)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그재그 형태 뿐만 아니라,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과 타측이 모두 폐쇄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세로부재(130)는 각각의 일측(도 6a및 도 6b 기준 상측)만 연결부재(132)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고, 복수의 세로부재(130) 각각의 타측(도 6a및 도 6b 기준 하측)만 연결부재(132)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세로 지지대(130)는 폐쇄형(closed type)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지지대(130)는 폐쇄형 중 트랙형(track type)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6a 내지 도 6c 를 참조하면, 세로 지지대(130)에는 분할이 용이하도록 연결부재(132)에 홈(133)이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세로부재(131)에 홈(133)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수술용 보호용구
110: 패드
111: 제1 패드
111: 제2 패드
120: 가로 지지대
130: 세로 지지대
131: 세로부재
132: 연결부재
133: 홈
400: 수술 절개부위
410: 절개면

Claims (14)

  1. 수술용 보호용구에 있어서,
    일면이 수술 절개부위에 접촉하도록 상기 수술 절개부위를 감싸는 패드;
    상기 패드의 중간을 가로지르게 위치하는 가로 지지대; 및
    상기 패드에 상기 가로 지지대와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패드가 상기 수술 절개부위를 고정적으로 감싸도록 구부림 가능한 세로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가로 지지대는, 상기 수술 절개부위의 절개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세로 지지대가 상기 절개면을 기준으로 구부러지도록 가이드하고,
    상기 세로 지지대는, 가로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지그재그 형태로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세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 지지대는 상호 연결된 상기 복수의 세로부재 사이의 분할이 용이하도록 홈이 형성되는 것인 수술용 보호용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지지대는, 상기 복수의 세로부재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수술용 보호용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는 상기 복수의 세로부재를 지그재그 형태로 번갈아 가며 연결하는 것인 수술용 보호용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지지대는, 가로 방향으로 작용하는 소정의 외력에 대하여 상기 패드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골조 역할을 하는 두께 및 폭을 갖는 것인 수술용 보호용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지지대는 그 두께의 크기보다 넓은 폭을 갖는 것인 수술용 보호용구.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지지대의 단부 모서리는 곡선 처리되는 것인 수술용 보호용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지지대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인 것인 수술용 보호용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지지대는 상기 패드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인 수술용 보호용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신축성을 갖는 것인 수술용 보호용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광 투과성 재질인 것인 수술용 보호용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젤라틴 또는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재질인 것인 수술용 보호용구.
KR1020140154534A 2014-11-07 2014-11-07 수술용 보호용구 KR101654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534A KR101654272B1 (ko) 2014-11-07 2014-11-07 수술용 보호용구
PCT/KR2015/011830 WO2016072761A1 (ko) 2014-11-07 2015-11-05 수술용 보호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534A KR101654272B1 (ko) 2014-11-07 2014-11-07 수술용 보호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913A KR20160054913A (ko) 2016-05-17
KR101654272B1 true KR101654272B1 (ko) 2016-09-05

Family

ID=55909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4534A KR101654272B1 (ko) 2014-11-07 2014-11-07 수술용 보호용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54272B1 (ko)
WO (1) WO20160727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425B1 (ko) 2017-10-16 2021-02-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수술용 보호용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005Y1 (ko) 2005-01-04 2005-03-16 형우진 수술시 절개면의 보호용구
JP2008173467A (ja) * 2006-12-22 2008-07-31 Hakko Co Ltd センチネルリンパ節生検用開創器具
KR200443479Y1 (ko) * 2007-10-31 2009-02-17 형우진 개복부위를 확장 유지시키는 수술용 피부 절개면 보호용구
WO2013166547A1 (en) * 2012-05-08 2013-11-14 Protego Medical Pty Limited Apparatus for covering an exposed end of a severed sternu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72681A1 (en) * 2011-12-29 2013-07-04 Covidien Lp Wound protector with reinforced r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005Y1 (ko) 2005-01-04 2005-03-16 형우진 수술시 절개면의 보호용구
JP2008173467A (ja) * 2006-12-22 2008-07-31 Hakko Co Ltd センチネルリンパ節生検用開創器具
KR200443479Y1 (ko) * 2007-10-31 2009-02-17 형우진 개복부위를 확장 유지시키는 수술용 피부 절개면 보호용구
WO2013166547A1 (en) * 2012-05-08 2013-11-14 Protego Medical Pty Limited Apparatus for covering an exposed end of a severed stern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913A (ko) 2016-05-17
WO2016072761A1 (ko)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56405T3 (es) Guía de incisión y aparato de cierre de heridas y métodos relacionados
AU2016203827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Bone Access And Cavity Preparation
JP6155292B2 (ja) 手術用具のためのフレキシブルリスト
JP2006508765A5 (ko)
DE69532543D1 (de) Chirurgische Einschneidelemente für endoskopische Nähvorrichtung
KR101654272B1 (ko) 수술용 보호용구
KR20190087707A (ko) 의료용 클립 어플라이어
KR100963442B1 (ko) 복강경 수술용 봉합 기구 및 이를 사용하기 위한 캐비넷
US7670351B2 (en) Medical device using beam construction and methods
KR101451975B1 (ko) 레이저 조사 장치와 레이저 조사 방법
KR101595770B1 (ko) 리트렉터 기능을 갖는 수술용 프로텍터
KR102211425B1 (ko) 수술용 보호용구
KR102185602B1 (ko) 수술용 보호용구
BR112020004627A2 (pt) filme atenuante de tensão de redução de cicatriz hipertrófica
KR102053066B1 (ko) 칼날이 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괴사조직제거 장치
GB2602387A8 (en) Surgical drape
GB2598877A8 (en) Surgical drape
KR101475665B1 (ko) 비강용 수술도구 및 이를 이용한 수술도구 어셈블리
KR20230039125A (ko) 고주파 비염 치료기
WO2012053993A1 (en) A method of enhancing the visual field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AU2015242541A1 (en) Surgical shield
JP2021108978A (ja) 創傷閉止具、創傷閉止キット
RU230761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теосинтеза
KR20170001289U (ko) 봉합사
JP1777302S (ja) 手術用鉗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