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6677A - 수술용 상처보호대 - Google Patents

수술용 상처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6677A
KR20220006677A KR1020200084119A KR20200084119A KR20220006677A KR 20220006677 A KR20220006677 A KR 20220006677A KR 1020200084119 A KR1020200084119 A KR 1020200084119A KR 20200084119 A KR20200084119 A KR 20200084119A KR 20220006677 A KR20220006677 A KR 20220006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ision
cover part
support sheet
adhesive layer
wound pro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4497B1 (ko
Inventor
오성진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84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4497B1/ko
Publication of KR20220006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94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safety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cutting or pricking, e.g. limiting insertion depth, 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59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liner covering the skin adhering layer
    • A61F13/026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liner covering the skin adhering layer especially adapted for wound covering/occlusive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61B2017/0063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for sealing trocar wounds through abdominal wa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2017/0287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with elastic retracting members connectable to a frame, e.g. hooked elastic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2017/348Means for supporting the trocar against the body or retaining the trocar inside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3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387Plasters use skin pro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12Plasters use for use with needles, tubes or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1Plasters containing means with disinfecting or anaesthetics means, e.g. anti-mycrob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술용 상처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이는, 개복 환자의 몸에 부착되어, 개복을 통해 형성된 절개공의 절개면을 커버 및 보호하는 것으로서,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위치고정부, 상기 위치고정부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절개공을 커버한 상태에서 하부로 접혀 절개면을 커버하는 다수의 분할편을 갖는 절개면커버부가 구비된 지지시트와; 상기 지지시트의 저면에 적층된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을 커버하고 사용 시 박리 제거되는 박리시트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수술용 상처보호대는, 취급이 간편하고, 절개면을 안정적으로 커버하여 절개부분의 상처를 통한 감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필름이나 비닐로 제작되어 가격이 매우 저렴하여, 기존 고가의 wound protect를 대체할 수 있어 환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수술용 상처보호대{Wound protector}
본 발명은 수술용 상처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를 절개한 절개부위의 내측 절개면을 커버하여 수술 중의 감염과 손상을 방지하는 수술용 상처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의료장비나 기술의 발전에 따라, 종전 개복수술을 대신하는 복강경 수술이나 로봇수술의 케이스가 증가하고 있긴 하지만, 치료범위가 넓거나 병의 단계가 많이 진행된 경우에는 개복수술로 진행해야 하는 경우도 많다. 개복수술은 환자의 가슴이나 복부를 열고 환부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진행하는 수술이다. 그런데, 개복수술 방식은, 세균에 의해 절개부위가 오염될 수 있으며, 특히, 암(癌) 수술의 경우, 수술 중 종양으로부터 떨어진 미세한 암세포가 절개부위에 안착되어 암을 전이시킬 수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과 수술용 패드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는, 패드를 끼워 넣을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절개부위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절개해야 한다는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한다. 절개를 많이 할수록 창상감염의 확률이 높아지고 회복이 지연되고 환자의 고통이 커짐은 물론이다. 그나마, 수술용 패드는 지혈을 주목적으로 하는 것이어서, 가령, 장기 적출물이나 종양 덩어리를 빼낼 때 절개부위를 완벽히 커버하지도 못한다.
이에 따라,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9005호 (수술시 절개면의 보호용구)가 제안된 바 있다. 제안된 보호용구는,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되게 구성되는 다수의 절결선을 구비하는 커버지와; 커버지의 중간부위에 절결선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일체로 부착 구성되며 부직포 등의 흡수성이 양호한 소재로 적용되는 보호패드와; 보호패드를 기준으로 커버지의 일측부에 구성되며 저면에 구비되는 점착층을 통해 절개면 가장 자리의 피부에 부착 지지되고 절결선을 통해 다수로의 세폭 분할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부착부와; 보호패드를 기준으로 커버지의 타측부에 구성되며 절결선을 통해 다수로의 세폭 분할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절개면의 내부로 인입되어 수술 시야확보 및 수술부위와 주변장기를 상호 격리 차단하는 투명 차단부와; 커버지의 내부에 매설되는 상태에서 각 절결선의 사이에 위치되는 지지대로 구성된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9005호 (수술시 절개면의 보호용구)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1240호 (상처 보호기구)
본 발명은, 취급이 간편하고, 절개면을 안정적으로 커버하여 절개부분의 상처를 통한 감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가격이 저렴하여 기존 고가의 wound protect를 대체할 수 있는, 수술용 상처보호대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수술용 상처보호대는, 개복 환자의 몸에 부착되어, 개복을 통해 형성된 절개공의 절개면을 커버 및 보호하는 것으로서,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위치고정부, 상기 위치고정부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절개공을 커버한 상태에서 하부로 접혀 절개면을 커버하는 다수의 분할편을 갖는 절개면커버부가 구비된 지지시트와; 상기 지지시트의 저면에 적층된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을 커버하고 사용 시 박리 제거되는 박리시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절개면커버부에는, 사용자에 의해 갈라져 절개면커버부를 다수의 분할편으로 나누는 커팅라인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시트의 상면에는, 상기 위치고정부와 절개면커버부를 구획하여, 수술시, 절개공을 절개면커버부의 내측영역에 맞추어 위치시킬 수 있도록, 지지시트의 위치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링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링은 폐곡선의 형태를 취하며, 파열슬릿을 통해 지지시트의 저면 외부로 개방 가능한 공간부를 가지고, 상기 공간부에, 사용자가 가이드링을 가압하면서 위치고정부를 피부로부터 떼어낼 때, 파열슬릿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오는 살균액이 채워진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수술용 상처보호대는, 개복 환자의 몸에 부착되어 개복을 통해 형성된 절개공의 절개면을 커버 및 보호하는 것으로서,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위치고정부, 상기 위치고정부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절개공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절개면을 커버하며 하단부가 피하조직에 부착되는 절개면커버부를 갖는 지지시트와; 상기 고정부의 저면에 적층되어 고정부를 피부에 고정시키는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을 커버하고 사용 전 박리 제거되는 박리시트와; 상기 절개면커버부의 하단부 외측면에 적층되는 하단점착층과; 상기 하단점착층을 커버하며 사용 전 박리 제거되는 박리테이프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절개면커버부의 하단부에는, 절개면커버부를 접어 올려 피하조직층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분할칼집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개면커버부의 내측면에는, 분할칼집의 확장을 방지하는 스토퍼돌기가 더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위치고정부의 상면에는, 상기 절개공을 내부 영역에 수용하여 절개공에 대한 지지시트의 상대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링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링은 폐곡선의 형태를 취하며, 파열슬릿을 통해 지지시트의 저면 외부로 개방 가능한 공간부를 가지고, 상기 공간부에는, 사용자가 가이드링을 가압하면서 위치고정부를 피부로부터 떼어낼 때, 파열슬릿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오는 살균액이 채워진다.
또한, 상기 절개면커버부의 내부에는 외력에 의해 구부러지며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는 소성변형판이 내장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수술용 상처보호대는, 취급이 간편하고, 절개면을 안정적으로 커버하여 절개부분의 상처를 통한 감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필름이나 비닐로 제작되어 가격이 매우 저렴하여, 기존 고가의 wound protect를 대체할 수 있어 환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상처보호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수술용 상처보호대의 커팅라인을 절단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4d는 도 1에 도시한 수술용 상처보호대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상처보호대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7c는 도 5에 도시한 상처보호대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상처보호대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절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상처보호대(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수술용 상처보호대의 커팅라인(13c)을 절단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a 내지 4d는 수술용 상처보호대(10)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상처보호대(10)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복 환자의 몸에 부착되어, 피부(100) 개복을 통해 형성된 절개공(101)의 절개면(103)을 커버 및 보호하는 목적을 갖는다. 절개공(101)은, 환부를 덮고 있는 피부의 절개에 의해 만들어진 구멍이고, 절개면(103)은 절개공의 내측 절단면이다. 절개면(103)은 수술용 칼이 지나간 자리로서, 피하조직이 노출되어 감염의 위험성이 높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상처보호대(10)는, 지지시트(13), 점착층(17), 박리시트(19)를 포함한다. 지지시트(13)는 비닐이나 폴리에틸렌으로 제작되며 플렉시블한 성질을 갖는다. 이러한 지지시트(13)는, 위치고정부(13a)와 절개면커버부(13b)를 갖는다.
위치고정부(13a)는 점착층(17)을 통해 환자의 복부에 부착되어, 절개면커버부(13b)가 전후좌우로 따로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력을 제공한다. 위치고정부(13a)의 넓이나 사이즈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절개면커버부(13b)는 위치고정부(13a)의 중앙에 형성되어 절개공(101)을 일단 커버하는 부분으로서, 커팅라인(13c)을 통해 분할된 다수의 분할편(13e)을 갖는다. 커팅라인(13c)은 미리 형성되어 있는 점선 형태의 칼집으로서, 사용자가 힘을 가해 누르면 파열된다. 커팅라인(13c)의 파열에 따라 다수의 분할편(13e)이 형성된다. 분할편(13e)은, 사용자에 의해 도 4b의 화살표 b방향으로 접혀 피하조직에 부착된다. 분할편(13e)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지지시트(13)의 고정을 위해 지지시트(13)의 저면에는 점착층(17)이 적층되어 있다. 점착층(17)은 의료용 점착제로서 위치고정부(13a)와 절개면커버부(13b)의 저면에 일정두께로 도포되어 있다. 점착제는 우레탄 계열 일 수 있다. 이러한 점착층(17)은 박리시트(19)로 커버되어 있다. 박리시트(19)는 상처보호대(10)를 사용하기 전에 박리 제거된다.
한편, 지지시트(13)의 상면에는 가이드링(1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링(15)은, 위치고정부(13a)와 절개면커버부(13b)를 구획하는 링형 부분으로서, 수술시, 절개공(101)을 절개면커버부(13b)의 하부에 맞추어 위치시킬 수 있도록, 지지시트(13)의 위치를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는, 절개공(101)을 가이드링(15)의 내측 영역에 위치시킴으로써, 환부에 대한 지지시트(13)의 위치를 쉽고 정확히 맞출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링(15)은 폐곡선의 형태를 취하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15a)를 갖는다. 공간부(15a)는 파열슬릿(15b)을 통해 하부로 개방 가능하며 살균액(15c)을 수용한다. 파열슬릿(15b)은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링(15)을 화살표 f방향으로 누른 상태로 위치고정부(13a)를 화살표 c방향으로 들어 올릴 때 벌어진다. 파열슬릿(15b)이 벌어짐에 따라 내부의 살균액(15c)이 흘러나와 위치고정부(13a)와 피부의 사이에 도포된다. 살균액(15c)은 피부에 남아 있을 수 있는 세균을 살균함과 아울러, 피부와 점착층(17)의 사이로 침투하여 점착층(17)이 보다 잘 떨어지도록 작용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상처보호대(10)의 장착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처보호대(10)를 절개공(101)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박리시트(19)를 화살표 a방향으로 박리하여 제거한다. 박리시트(19)가 제거됨에 따라 점착성을 갖는 점착층(17)이 노출된다.
이어서 상처보호대(10)를 피부(100)의 상면에 점착 고정시킨다. 이 때 절개공(101)이 가이드링(15)의 내부 영역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처보호대(10)의 고정이 완료되었다면, 절개면커버부(13b)를 하부로 눌러 커팅라인(13c)을 커팅 시킨다. 커팅라인(13c)이 파열됨에 따라 분할편(13e)이 나뉘어 하부로 쳐진다. 이 상태에서 손가락을 넣어 분할편(13e)을 도 4b의 화살표 b방향으로 접어 피하조직면에 부착시킨다.
상기 과정을 완료함에 따라, 도 4c와 같이, 분할편(13e)이 절개면(103)을 커버하게 된다. 절개면(103)이 분할편(13e)에 의해 차단되므로, 가령, 절개공(101)을 통해 체내 적출물을 빼내더라도, 적출물이 절개면(103)에 직접 접촉하지 않아 안전하다.
지지시트(13)의 사용이 완료되었다면, 가이드링(15)을 화살표 f방향으로 누름과 동시에, 위치고정부(13a)을 화살표 c방향으로 당겨 올린다. 위치고정부(13a)를 당겨 올림에 따라 파열슬릿(15b)이 개방되고, 공간부(15a)내부의 살균액(15c)이 하부로 흘러나온다. 흘러나온 살균액(15c)은 피부 표면을 살균함과 동시에, 점착층(17)과 피부의 사이로 침투하여 점착층(17)이 보다 쉽게 분리되도록 작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상처보호대(10)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7a 내지 7c는 도 5에 도시한 상처보호대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며, 그와 관련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수술용 상처보호대(10)가, 지지시트(13), 점착층(17), 박리시트(19), 하단점착층(21e), 박리테이프(21f)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지지시트(13)는, 환자의 피부(100)에 부착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위치고정부(13a), 위치고정부(13a)의 중앙에 형성되고 절개공(101)의 내부에 삽입되는 절개면커버부(21), 절개면커버부(21)의 내주면에 일체를 이루는 스토퍼돌기(21b), 위치고정부(13a)의 상면에 구비된 가이드링(15)을 포함한다. 지지시트(13)는 비닐이나 폴리에틸렌필름으로 성형 제작되며 플렉시블한 성질을 갖는다.
절개면커버부(21)는 위치고정부(13a)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통의 형태를 취한다. 도 1의 상처보호대는 가이드링만 빼면 2차원적 구조를 가지지만, 도 5에 예를 든 상처보호대는 3차원적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절개면커버부(21)는 확보되어 있는 절개공(10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절개면(103)을 커버 및 보호하는 것으로서, 하단부에 다수의 분할칼집(21c)이 형성되어 있다. 분할칼집(21c)은 절개면커버부(21)의 하단 라인에서부터 상부로 연장된 커팅라인이다. 분할칼집(21c)을 형성한 이유는, 절개면커버부(21)의 하단부를 도 7b의 화살표 k방향으로 접어 피하조직에 부착하기 위함이다.
절개면커버부(21)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하단점착층(21e)이 도포되어 있고, 하단점착층(21e)의 외측면에는 박리테이프(21f)가 부착되어 있다. 박리테이프(21f)는 하단점착층(21e)을 보호하며 사용 전 제거된다.
스토퍼돌기(21b)는, 분할칼집(21c)의 상방향 확장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방향 확장이라 함은, 분할칼집(21c)이 상부로 찢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스토퍼돌기(21b)가 없다면 분할칼집(21c)이 위쪽 방향으로 찢어져 절개면(103)을 제대로 커버할 수 없게 된다. 스토퍼돌기(21b)는 절개면커버부(21)와 일체를 이루며 다른 부분보다 두꺼운 부분이다. 스토퍼돌기(21b)는, 체내의 적출물을 빼내는데 방해되지 않도록 최대한 낮고 유선형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상처보호대(10)의 설치방식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박리시트(19)와 박리테이프(21f)를 떼어낸 후, 상처보호대(10)를 도 7a의 화살표 m방향으로 완전히 하강시킨다. 상처보호대(10)의 하강에 따라, 위치고정부(13a)는 피부(100)에 점착 고정되고, 절개면커버부(21)는 절개면(103)을 커버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절개면커버부(21)의 통로(21a) 내부로 손을 넣고 절개면커버부(21)의 하단부를, 도 7b의 화살표 k방향으로 접어 피하조직에 점착시킨다.
또한 상처보호대(10)를 떼어내기 위해서는, 절개면커버부(21) 하단의 붙어 있는 부분을 화살표 m방향으로 분리한 후, 가이드링(15)을 화살표 f방향으로 누른 상태로 위치고정부(13a)의 테두리부를 화살표 n방향으로 당겨 올린다. 위치고정부(13a)를 당겨 올림에 따라 가이드링(15) 내부의 살균액이 흘러나와, 피부에 대한 점착층(17)의 분리가 용이하게 구현됨은 위에 설명한 바와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상처보호대(10)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절제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개면커버부(21)의 내부에 소성변형판(23)이 내장되어 있다. 소성변형판(23)은 외력에 의해 구부러지며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는 금속판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절개면커버부(21)를 절개공(101) 내부에 삽입한 상태로, 도 7b와 같은 방식으로 구부리면, 절개면커버부(21)가 구부러져 피하조직에 접하게 된다. 이 때에도 하단점착층(21e)이 절개면커버부(21)의 하단부와 피하조직을 점착시키는 작용을 함은 물론이다. 상처보호대(10)는 하단점착층(21e)과 소성변형판(23)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상처보호대 13:지지시트 13a:위치고정부
13b:절개면커버부 13c:커팅라인 13e:분할편
15:가이드링 15a:공간부 15b:파열슬릿
15c:살균액 17:접착층 19:박리시트
21:절개면커버부 21a:통로 21b:스토퍼돌기
21c:분할칼집 21e:하단점착층 21f:박리테이프
23:소성변형판 100:피부 101:절개공
103:절개면

Claims (9)

  1. 개복 환자의 몸에 부착되어, 개복을 통해 형성된 절개공의 절개면을 커버 및 보호하는 것으로서,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위치고정부, 상기 위치고정부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절개공을 커버한 상태에서 하부로 접혀 절개면을 커버하는 다수의 분할편을 갖는 절개면커버부가 구비된 지지시트와;
    상기 지지시트의 저면에 적층된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을 커버하고 사용 시 박리 제거되는 박리시트를 포함하는,
    수술용 상처보호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면커버부에는, 사용자에 의해 갈라져 절개면커버부를 다수의 분할편으로 나누는 커팅라인이 형성된,
    수술용 상처보호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시트의 상면에는,
    상기 위치고정부와 절개면커버부를 구획하여, 수술시, 절개공을 절개면커버부의 내측영역에 맞추어 위치시킬 수 있도록, 지지시트의 위치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링이 형성된,
    수술용 상처보호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링은 폐곡선의 형태를 취하며, 파열슬릿을 통해 지지시트의 저면 외부로 개방 가능한 공간부를 가지고,
    상기 공간부에,
    사용자가 가이드링을 가압하면서 위치고정부를 피부로부터 떼어낼 때, 파열슬릿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오는 살균액이 채워진,
    수술용 상처보호대.
  5. 개복 환자의 몸에 부착되어 개복을 통해 형성된 절개공의 절개면을 커버 및 보호하는 것으로서,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위치고정부, 상기 위치고정부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절개공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절개면을 커버하며 하단부가 피하조직에 부착되는 절개면커버부를 갖는 지지시트와;
    상기 고정부의 저면에 적층되어 고정부를 피부에 고정시키는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을 커버하고 사용 전 박리 제거되는 박리시트와;
    상기 절개면커버부의 하단부 외측면에 적층되는 하단점착층과;
    상기 하단점착층을 커버하며 사용 전 박리 제거되는 박리테이프를 구비하는,
    수술용 상처보호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면커버부의 하단부에는, 절개면커버부를 접어 올려 피하조직층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분할칼집이 형성된,
    수술용 상처보호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면커버부의 내측면에는, 분할칼집의 확장을 방지하는 스토퍼돌기가 더 형성된,
    수술용 상처보호대.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의 상면에는,
    상기 절개공을 내부 영역에 수용하여 절개공에 대한 지지시트의 상대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링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링은 폐곡선의 형태를 취하며, 파열슬릿을 통해 지지시트의 저면 외부로 개방 가능한 공간부를 가지고,
    상기 공간부에는,
    사용자가 가이드링을 가압하면서 위치고정부를 피부로부터 떼어낼 때, 파열슬릿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오는 살균액이 채워진,
    수술용 상처보호대.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면커버부의 내부에는 외력에 의해 구부러지며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는 소성변형판이 내장된,
    수술용 상처보호대.
KR1020200084119A 2020-07-08 2020-07-08 수술용 상처보호대 KR102424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119A KR102424497B1 (ko) 2020-07-08 2020-07-08 수술용 상처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119A KR102424497B1 (ko) 2020-07-08 2020-07-08 수술용 상처보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677A true KR20220006677A (ko) 2022-01-18
KR102424497B1 KR102424497B1 (ko) 2022-07-25

Family

ID=80052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119A KR102424497B1 (ko) 2020-07-08 2020-07-08 수술용 상처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449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005Y1 (ko) 2005-01-04 2005-03-16 형우진 수술시 절개면의 보호용구
KR200443479Y1 (ko) * 2007-10-31 2009-02-17 형우진 개복부위를 확장 유지시키는 수술용 피부 절개면 보호용구
KR20120011240A (ko) 2010-07-28 2012-02-07 주식회사 아이베이 상처 보호기구
KR101710148B1 (ko) * 2009-06-26 2017-02-27 타리스 바이오메디컬 엘엘씨 이식가능한 약물전달 디바이스에 사용되기 위한 고체 약물 정제
JP2019170831A (ja) * 2018-03-29 2019-10-10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着用物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005Y1 (ko) 2005-01-04 2005-03-16 형우진 수술시 절개면의 보호용구
KR200443479Y1 (ko) * 2007-10-31 2009-02-17 형우진 개복부위를 확장 유지시키는 수술용 피부 절개면 보호용구
KR101710148B1 (ko) * 2009-06-26 2017-02-27 타리스 바이오메디컬 엘엘씨 이식가능한 약물전달 디바이스에 사용되기 위한 고체 약물 정제
KR20120011240A (ko) 2010-07-28 2012-02-07 주식회사 아이베이 상처 보호기구
JP2019170831A (ja) * 2018-03-29 2019-10-10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着用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4497B1 (ko) 202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2101B2 (en) Window dressing having integral anchor
EP2151211B1 (en) Zip strip draping system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CA2303085C (en) Surgical drape and suction head for wound treatment
US8663266B1 (en) Device and method to protect needle localization wire
US10039610B2 (en) Zip strip draping system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US8053623B2 (en) Reinforced closure anchor
US8826911B2 (en) Barrier protection using linear tear technology
CN114027990B (zh) 手术单
MX2012011174A (es) Cubierta quirurgica que tiene una hoja desgarrable.
WO1981002101A1 (en) Method of draping a surgical patient
KR102424497B1 (ko) 수술용 상처보호대
US20130312770A1 (en) Surgical drape
WO2017160939A1 (en) Surgical bib, method, and kit
US20130263867A1 (en) Surgical drape
JP6067715B2 (ja) ジップ式ストリップドレープシステ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4366911A (zh) 封装纸作为稳定化装置的使用
KR200443479Y1 (ko) 개복부위를 확장 유지시키는 수술용 피부 절개면 보호용구
KR102185602B1 (ko) 수술용 보호용구
KR102211425B1 (ko) 수술용 보호용구
KR20160097532A (ko) 의료용 튜브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