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975B1 -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975B1
KR101592975B1 KR1020150116534A KR20150116534A KR101592975B1 KR 101592975 B1 KR101592975 B1 KR 101592975B1 KR 1020150116534 A KR1020150116534 A KR 1020150116534A KR 20150116534 A KR20150116534 A KR 20150116534A KR 101592975 B1 KR101592975 B1 KR 101592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incision
ring
extens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원
Original Assignee
위캔메디케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캔메디케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캔메디케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6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975B1/ko
Priority to CN201510591376.9A priority patent/CN106466195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975B1/ko
Priority to JP2018509605A priority patent/JP6439077B2/ja
Priority to PCT/KR2016/002968 priority patent/WO2017030264A1/ko
Priority to EP16837206.8A priority patent/EP3338647A4/en
Priority to US15/751,927 priority patent/US10307151B2/en
Priority to TW105124287A priority patent/TWI619468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0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with antagonistic arms as supports for retracto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81Abdominal wall lif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9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with ring member to support retracto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50Supports for surgical instruments, e.g. articulated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23Access ports, e.g. toroid shape introducers for instruments or h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22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flexible, e.g. fabrics, meshes, or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50Supports for surgical instruments, e.g. articulated arms
    • A61B90/57Accessory clamps
    • A61B2090/571Accessory clamps for clamping a support arm to a bed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과수술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과수술을 위해 표피를 절개한 상태에서 절개부를 확장하여 수술도구가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하며, 탄성이 있는 확장부를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윗 부분의 고정부에 걸어줌으로써 절개부가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외과수술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개부에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확장부가 삽입되어 외과수술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확장부를 고정부에 쉽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서 수술 도중에 위치 변경이나 견인장치의 제거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외과수술용 견인장치{SURGICAL RETRACTOR}
본 발명은 외과수술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과수술을 위해 표피를 절개한 상태에서 절개부를 확장하여 수술도구가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하며, 탄성이 있는 확장부를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윗 부분의 고정부에 걸어줌으로써 절개부가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외과수술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외과수술을 위해서는 환자의 피부를 절개하여 장기나 근육에 직접적으로 시술을 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 피부를 절개한 상태에서 수술도구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절개부를 확장시켜줄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탄성이 있는 실리콘 링이나 비닐 튜브를 절개부에 넣어서 탄성에 의해 확장시키거나, 집게나 걸쇠 등을 좌우로 당겨서 절개부가 벌어지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개복수술용 견인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견인장치에 사용되는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종래기술의 견인장치는 수술용 테이블의 한 모서리에 장착되는 바이스장치(10)와, 이 바이스장치(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지주장치(20)와, 이 지주장치(20)의 상단에 고정되는 링 고정장치(30)와, 이 링 고정장치(30)에 일단이 고정되는 링(50)과 이 링(50)에 한쪽 방향으로 걸려 블레이드를 일방향으로 고정시키는 블레이드 고정장치(60)와, 이 블레이드 고정장치(6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블레이드(70)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개복수술용 견인장치(1)에 있는 바이스장치(10)는 가이드부재(11), (12)를 통하여 서로 접근하여 또 멀어지는 두개의 고정부재(13), (14)와, 이 고정부재중 적어도 하나를 가이드부재(11), (12)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고정나사(15)로 구성된다.
직경이 크며 속이 빈 가이드부재(11)와 직경이 작은 가이드부재(12)에 고정된 상부의 고정부재(13)와, 상기 가이드부재(11), (12)를 따라 하측에 있는 고정나사(15)에 의해 이동되어 상부의 고정부재(13)와 연합하는 하부의 고정부재(14)는 서로 대향하는 면의 한측에 수술용 테이블의 한 모서리에 결합하는 긴 오목부(16), (17)를 한 모서리에서 이격되어 각각 구비한다. 상부의 고정부재(13)의 한 측면에는 속이 빈 가이드부재(13)에 삽입되는 지주장치의 제1지주의 한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레버(18)가 장착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의 개복수술용 견인장치(1)는 먼저 바이스장치(10)를 수술용 테이블의 한 모서리에 장착시킨 후, 수술환자의 복부에 맞추어 링(50)을 위치시킨 후 여러 고정나사를 조여서 고정시킨다. 그 후 수술도중에 수술상태에 따라 블레이드를 적절한 위치에서 블레이드 고정장치로 고정시켜 수술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견인장치는 수술도구로 최근에 많이 사용되는 레이저 메스를 절개부 내부에 넣어서 시술하기에 불편하다. 링의 몸체 부분과 수술도구가 만나면서 간섭이 일어나서 정확한 위치에 메스를 접촉시키기가 힘들어서 오류가 발생하기도 한다.
KR 20-1996-0003177 Y1 KR 10-2011-0058302 A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리 모양의 고정부와, 절개부 내부에 들어가서 절개부를 바깥쪽으로 확장시키는 확장부로 이루어지며, 확장부의 테두리에 형성된 견인날개를 바깥으로 당긴 상태에서 고정부에 고정시켜 확장된 절개부가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는 외과수술용 견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외과수술을 위해 표피(200)에 형성된 절개부를 확장하는 견인장치로서, 상기 절개부의 윗면에 안착되는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110)를 통과하여 상기 절개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절개부가 벌어지도록 하는 확장부(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110)는 원판의 가운데에 관통공(112)이 형성된 고리형 몸체(111)와, 표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견인날개 안착부(113)와, 상기 견인날개 안착부(113)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114)로 이루어지며, 상기 확장부(120)는 가운데에 표피 개구부(122)가 형성되는 상부링(121)과, 상기 상부링(121)의 바깥쪽 테두리에 지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견인날개(123)와, 상기 상부링(121)의 안쪽 테두리의 밑면에 아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124)과, 상기 측벽(124)의 아랫 부분에 형성되는 하부링(12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견인날개(123)에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고정홈(123a)이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123a)에는 상기 고정돌기(114)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부(120)는 실리콘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개부에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확장부가 삽입되어 외과수술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확장부를 고정부에 쉽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서 수술 도중에 위치 변경이나 견인장치의 제거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개복수술용 견인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견인장치에 사용되는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과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견인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고정부와 확장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고정부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확장부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고정부와 확장부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확장부를 표피의 절개부에 넣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절개부에 확장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부를 끼우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견인날개를 당겨서 절개부를 확장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과수술용 견인장치"(이하, '견인장치'라 함)를 설명한다.
도 3과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견인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고정부와 확장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견인장치(100)는 고정부(110)와 확장부(120)로 이루어지는데, 고정부(110)는 비교적 단단한 재질로 만들어지며, 확장부(120)는 신축성이 좋은 재질로 만들어진다.
고정부(110)는 비교적 얇은 원판의 가운데가 뚫려있는 고리형 몸체(111)를 가지며, 견인장치(100)가 확장시키는 절개부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내측의 개구부가 대략 절개부의 크기보다 약간 더 큰 지름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고정부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고리형 몸체(111)의 가운데에는 원형의 관통공(112)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관통공(112)의 형상이 원형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타원형이나 다각형일 수 있다.
고리형 몸체(111)의 표면에는 몇 개의 견인날개 안착부(113)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견인날개 안착부(113)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간격이 불규칙하게 될 수도 있다. 그리고 견인날개 안착부(113)에는 고정돌기(114)가 돌출 형성된다. 고정돌기(114)의 관통공(112) 반대편 표면에는 오목한 홈이 형성된다.
실리콘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확장부(120)는 고리 모양의 상부링(121) 아래쪽으로 대략 원통형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도 8은 확장부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부링(121)의 가운데에는 관통공(112)과 유사하거나 관통공(112)보다 약간 작은 지름을 갖는 표피 개구부(122)가 형성된다. 관통공(112)과 표피 개구부(122)를 통해서 수술 도구가 출입할 수 있다.
상부링(121)의 바깥쪽 테두리에는 지름 방향으로 몇 개의 견인날개(123)가 돌출 형성된다. 견인날개(123)는 확장부(120)를 지름 방향의 바깥쪽으로 당겨서 표피 개구부(122)가 확장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방사상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한다. 견인날개(123)는 견인날개 안착부(113)와 같은 크기 및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탄성이 있는 견인날개(123)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지 않도록 고정돌기(114)에 의해 고정된다.
견인날개(123)에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고정홈(123a)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고정홈(123a)에는 고정돌기(114)가 관통하여 끼워지는데, 고정돌기(114)와 고정홈(123a)은 견인날개(123)가 바깥쪽으로 당겨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다. 고정홈(123a)은 견인날개(123)의 길이 방향, 즉 상부링(121)의 지름 방향으로 배치된다. 고정돌기(114)를 끼우는 고정홈(123a)의 위치에 따라서 견인날개(123)의 당겨지는 정도가 달라진다. 상부링(121)의 중심에 가까운 제일 안쪽의 고정홈(123a)에 고정돌기(114)를 끼우면, 견인날개(123)가 가장 멀리 당겨진 상태여서 표피 개구부(122)가 가장 크게 벌어진 상태가 된다. 반대로 제일 바깥쪽에 있는 고정홈(123a)에 끼우면 표피 개구부(122)는 상대적으로 작게 벌어진 상태가 된다.
상부링(121)의 안쪽 테두리 밑면에는 아래 방향으로 측벽(124)이 연장 형성된다. 측벽(124)과 상부링(121)은 일체형으로 제작되며, 측벽(124)이 대략 원통형의 몸체를 형성한다. 측벽(124)은 수술 도중에 표피(200)와 만나는 부분이 된다.
측벽(124)의 높이는 대략 표피(200)와 비슷하거나 조금 더 커지게 한다.
측벽(124)의 제일 아랫 부분에는 하부링(125)이 형성된다. 하부링(125) 역시 측벽(124)과 일체형으로 만들어지므로, 상부링(121), 측벽(124), 하부링(125), 견인날개(123)는 모두 일체형으로 사출성형된다.
하부링(125)은 원주 방향의 단면이 대략 원형 내지 타원형으로서, 표피(200)의 밑면에 삽입되어 확장부(120)가 수술 부위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해준다. 이를 위해 하부링(125)의 크기는 측벽(124)의 절개부위 크기보다 약간 더 크게 한다.
도 9는 고정부와 확장부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확장부(120)는 고정부(110)의 가운데 관통공(112)을 통해 삽입된다. 고정부(110)는 대략 상부링(121)과 비슷한 높이까지 올라가며, 측벽(124)과 하부링(125)은 관통공(112)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이때 견인날개(123)는 고정부(110)에 대해 평평하게 또는 비스듬하게 기운 상태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고정부(110)는 견인날개(123)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그리고 각각의 견인날개(123)는 각각의 견인날개 안착부(113)에 놓이게 된다.
도 10은 확장부를 표피의 절개부에 넣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11은 절개부에 확장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부를 끼우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견인날개를 당겨서 절개부를 확장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먼저 도 10과 같이, 수술을 위해 표피(200)를 절개한 부위에 확장부(120)를 집어넣는다. 확장부(120)는 비교적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하부링(125)을 약간 찌그러트려서 부피를 작게 한 다음, 절개부위의 표피(200) 아래에 넣는다.
확장이 되기 전의 절개부는 일직선에 가까운 형태가 되는데, 하부링(125)을 길쭉하게 한 다음 표피(200)를 약간 들고 그 밑에 삽입한다. 하부링(125)은 탄성에 의해 약간 벌어지면서 표피(200)의 밑면 내부에 들어간다. 이로 인해 확장부(120)가 바깥으로 바로 이탈하지는 않게 된다.
그리고 나면 도 11과 같이, 확장부(120)가 표피(200)에 삽입된 상태에서 확장부(120)의 견인날개(123)를 안쪽으로 약간 오무려서 고정부(110)의 관통공(112)에 끼운다. 고정부(110)는 견인날개(123)이 밑면과 표피(200)의 표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도 12와 같이 견인날개(123)를 바깥쪽으로 당긴 상태에서 아래로 내려서 고정홈(123a)에 고정돌기(114)를 끼운다. 절개부의 크기에 따라서 고정홈(123a)의 위치를 조정하면 적절한 힘으로 확장부(120)를 바깥으로 벌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절개부가 직선 형태인 경우에는 고정부(110)의 가운데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위치한 견인날개(123)를 당겨서 확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수술을 집도하는 의사는 관통공(112)과 표피 개구부(122)로 수술 도구를 넣어서 절개된 부분의 안쪽에 시술을 한다. 수술이 끝나면 견인날개(123)를 위로 올려서 고정홈(123a)에 끼워진 고정돌기(114)를 빼낸다. 고정돌기(114)를 다 빼내면 상부링(121)이 안쪽으로 모여들면서 절개부가 다시 좁아진다. 그리고 이전과는 반대로 확장부(120)의 견인날개(123)를 안쪽으로 오무려서 고정부(110)를 제거하고, 하부링(125)을 표피의 밑면에서 빼내고, 확장부(120)를 제거한 상태에서 절개부를 봉합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견인장치 110 : 고정부
111 : 고리형 몸체 112 : 관통공
113 : 견인날개 안착부 114 : 고정돌기
120 : 확장부 121 : 상부링
122 : 표피 개구부 123 : 견인날개
123a : 고정홈 124 : 측벽
125 : 하부링 200 : 표피

Claims (3)

  1. 외과수술을 위해 표피(200)에 형성된 절개부를 확장하는 견인장치로서,
    상기 절개부의 윗면에 안착되는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110)를 통과하여 상기 절개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절개부가 벌어지도록 하는 확장부(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110)는
    원판의 가운데에 관통공(112)이 형성된 고리형 몸체(111)와, 표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견인날개 안착부(113)와, 상기 견인날개 안착부(113)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114)로 이루어지며,
    상기 확장부(120)는
    가운데에 표피 개구부(122)가 형성되는 상부링(121)과, 상기 상부링(121)의 바깥쪽 테두리에 지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견인날개(123)와, 상기 상부링(121)의 안쪽 테두리의 밑면에 아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124)과, 상기 측벽(124)의 아랫 부분에 형성되는 하부링(12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날개(123)에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고정홈(123a)이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123a)에는 상기 고정돌기(114)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120)는 실리콘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KR1020150116534A 2015-08-19 2015-08-19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KR101592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534A KR101592975B1 (ko) 2015-08-19 2015-08-19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CN201510591376.9A CN106466195B (zh) 2015-08-19 2015-09-16 外科手术用牵开器
JP2018509605A JP6439077B2 (ja) 2015-08-19 2016-03-24 外科手術用牽引装置
PCT/KR2016/002968 WO2017030264A1 (ko) 2015-08-19 2016-03-24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EP16837206.8A EP3338647A4 (en) 2015-08-19 2016-03-24 DARKER FOR SURGICAL OPERATION
US15/751,927 US10307151B2 (en) 2015-08-19 2016-03-24 Retractor for surgical operation
TW105124287A TWI619468B (zh) 2015-08-19 2016-08-01 Surgical retra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534A KR101592975B1 (ko) 2015-08-19 2015-08-19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2975B1 true KR101592975B1 (ko) 2016-02-12

Family

ID=55355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534A KR101592975B1 (ko) 2015-08-19 2015-08-19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307151B2 (ko)
EP (1) EP3338647A4 (ko)
JP (1) JP6439077B2 (ko)
KR (1) KR101592975B1 (ko)
CN (1) CN106466195B (ko)
TW (1) TWI619468B (ko)
WO (1) WO2017030264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91168A (zh) * 2016-12-01 2017-03-15 广东齐柏林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切口固定牵开保护装置
KR101820436B1 (ko) 2016-05-17 2018-01-19 박전진 최소 절개 임플란트 수술을 위한 수술용 견인기
KR101854570B1 (ko) * 2017-09-22 2018-05-03 김춘석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WO2019078519A1 (ko) * 2017-10-16 2019-04-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수술용 보호용구
WO2020158998A1 (ko) * 2019-01-29 2020-08-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골절치료용 고정유닛 및 이에 사용되는 골절치료용 견인유닛과 골나사
KR20220167532A (ko) 2021-06-14 2022-12-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외과수술용 리트렉터
KR20230055756A (ko) 2021-10-19 2023-04-26 드림팩 주식회사 복강내 가스 유출 방지를 위한 외과수술용 리트렉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0237B (zh) * 2017-08-04 2023-10-31 王锡阳 手术切口撑开系统
US20210307740A1 (en) * 2020-04-03 2021-10-07 Patrice Richards Wound healing aid device
CN112294375A (zh) * 2020-11-06 2021-02-02 王学庆 一种骨科手术用切口牵引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177A (ko) 1994-06-17 1996-01-26 윌리암 티. 엘리스 셀프-타임 통신 인터페이스와 디지탈 데이타 전송 방법
JP2003511145A (ja) * 1999-10-14 2003-03-25 アトロポス・リミテッド 創傷レトラクタ
KR100919775B1 (ko) * 2009-05-07 2009-10-14 (주)다림써지넷 운드 리트랙터
KR20100061842A (ko) * 2007-09-24 2010-06-09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타원형 견인기
KR20110058302A (ko) 2009-11-26 2011-06-01 (주)유원메디텍 일회용 외과수술 개창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86488A (en) * 1949-05-11 1952-02-19 David P Smith Table supported surgical retractor
US3070088A (en) * 1961-02-02 1962-12-25 Brahos Nicholas George Surgical retractor device
US3998217A (en) * 1975-01-13 1976-12-21 William E. Trumbull Surgical retractor device
US4430991A (en) * 1981-11-05 1984-02-14 Humboldt Products Corp. Surgical retractor stay device and tube connector
US6048309A (en) * 1996-03-04 2000-04-11 Heartport, Inc. Soft tissue retractor and delivery device therefor
US5810721A (en) * 1996-03-04 1998-09-22 Heartport, Inc. Soft tissue retractor and method for providing surgical access
US6814700B1 (en) * 1996-03-04 2004-11-09 Heartport, Inc. Soft tissue retractor and method for providing surgical access
US5769783A (en) * 1996-06-27 1998-06-23 Lone Star Medical Products, Inc. Surgical retractor stay apparatus
US5785649A (en) * 1997-03-31 1998-07-28 Lone Star Medical Products,Inc. Surgical retractor stay apparatus
NO312054B1 (no) * 1997-07-18 2002-03-11 Petersvik Alf Sårhakesystem for anvendelse ved kirurgiske operasjoner
EP1125552A1 (en) * 2000-02-18 2001-08-22 Atropos Limited Surgical retractor
US7540839B2 (en) * 1999-10-14 2009-06-02 Atropos Limited Wound retractor
US6254533B1 (en) * 2000-07-07 2001-07-03 Dexterity Surgical, Inc. Retractor assembly and method for surgical procedures
US6464634B1 (en) * 2000-09-27 2002-10-15 Depuy Acromed, Inc. Surgical retractor system
US6659945B2 (en) * 2001-06-29 2003-12-09 Depuy Orthopaedics, Inc. Self retaining retractor ring
CN100500103C (zh) * 2001-07-18 2009-06-17 住友电木株式会社 外科处理器械
US6450983B1 (en) * 2001-10-03 2002-09-17 Robert D. Rambo O-ring for incrementally adjustable incision liner and retractor
US6958037B2 (en) * 2001-10-20 2005-10-25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Wound retrac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050215865A1 (en) * 2002-07-18 2005-09-29 Minnesota Scientifi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rgical retraction
US20050020884A1 (en) * 2003-02-25 2005-01-27 Hart Charles C. Surgical access system
EP1727481A1 (en) * 2004-03-23 2006-12-06 Atropos Limited A wound retractor device
EP1727476A1 (en) * 2004-03-23 2006-12-06 Atropos Limited A wound retractor device
US8857440B2 (en) * 2004-06-22 2014-10-14 DePuy Synthes Products, LLC Devices and methods for protecting tissue at a surgical site
US7955257B2 (en) * 2006-01-05 2011-06-07 Depuy Spine, Inc. Non-rigid surgical retractor
US20070238933A1 (en) * 2006-04-11 2007-10-11 Lone Star Medical Products, Inc. Posterior approach retractor ring and attachments system
US7909761B2 (en) * 2006-10-26 2011-03-22 Endoscopic Technologies, Inc. Atraumatic tissue retraction device
US20080234551A1 (en) * 2007-03-23 2008-09-25 Ming-Tsan Lin Gasless Laparoscopic Retractor Structure
AU2010276239B2 (en) * 2009-07-21 2015-08-06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urgical access device comprising internal retractor
ES2956272T3 (es) * 2009-08-31 2023-12-18 Applied Med Resources Sistema de acceso quirúrgico multifuncional
JP5623133B2 (ja) * 2010-05-26 2014-11-12 晴洋 井上 外科手術用開創器具のバルブキャップ
US20120130193A1 (en) * 2010-11-22 2012-05-24 Fiona Middlemiss Haig Two Part Thoracic Port Assembly
KR20200006622A (ko) * 2011-05-10 2020-01-20 어플라이드 메디컬 리소시스 코포레이션 창상 견인기
WO2012159117A1 (en) * 2011-05-19 2012-11-22 Goldberg Roger P Soft-tissue retractor device
AU2014236720B2 (en) * 2013-03-14 2018-11-01 Prescient Surgical, Inc. Methods and devices for the prevention of incisional surgical site infections
KR102268075B1 (ko) * 2013-03-15 2021-06-23 비버-비지텍 인터내셔날 (유에스) 인코포레이티드 홍채 확장기
JP5528600B1 (ja) * 2013-03-29 2014-06-25 株式会社Frontier Vision 瞳孔拡張器
JP5528599B1 (ja) * 2013-03-29 2014-06-25 株式会社Frontier Vision 瞳孔拡張器
US9808231B2 (en) * 2013-07-09 2017-11-07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Tissue retractor
US9675333B2 (en) * 2014-06-19 2017-06-13 Kyphon SÀRL Cannula with flexible holder and methods of use
AU2017209323B2 (en) * 2016-01-22 2022-03-10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on Systems and methods for tissue removal
US10265059B2 (en) * 2016-02-04 2019-04-23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Trans-septal closure and port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177A (ko) 1994-06-17 1996-01-26 윌리암 티. 엘리스 셀프-타임 통신 인터페이스와 디지탈 데이타 전송 방법
JP2003511145A (ja) * 1999-10-14 2003-03-25 アトロポス・リミテッド 創傷レトラクタ
KR20100061842A (ko) * 2007-09-24 2010-06-09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타원형 견인기
KR100919775B1 (ko) * 2009-05-07 2009-10-14 (주)다림써지넷 운드 리트랙터
KR20110058302A (ko) 2009-11-26 2011-06-01 (주)유원메디텍 일회용 외과수술 개창 기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0436B1 (ko) 2016-05-17 2018-01-19 박전진 최소 절개 임플란트 수술을 위한 수술용 견인기
CN106491168A (zh) * 2016-12-01 2017-03-15 广东齐柏林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切口固定牵开保护装置
KR101854570B1 (ko) * 2017-09-22 2018-05-03 김춘석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WO2019078519A1 (ko) * 2017-10-16 2019-04-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수술용 보호용구
WO2020158998A1 (ko) * 2019-01-29 2020-08-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골절치료용 고정유닛 및 이에 사용되는 골절치료용 견인유닛과 골나사
KR20220167532A (ko) 2021-06-14 2022-12-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외과수술용 리트렉터
KR102614337B1 (ko) * 2021-06-14 2023-12-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외과수술용 리트렉터
KR20230055756A (ko) 2021-10-19 2023-04-26 드림팩 주식회사 복강내 가스 유출 방지를 위한 외과수술용 리트렉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07652A (zh) 2017-03-01
CN106466195A (zh) 2017-03-01
EP3338647A1 (en) 2018-06-27
US10307151B2 (en) 2019-06-04
JP6439077B2 (ja) 2018-12-19
EP3338647A4 (en) 2019-06-12
US20180296206A1 (en) 2018-10-18
WO2017030264A1 (ko) 2017-02-23
JP2018523545A (ja) 2018-08-23
TWI619468B (zh) 2018-04-01
CN106466195B (zh) 201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975B1 (ko)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JP6662945B2 (ja) 虹彩拡張器
KR101812059B1 (ko)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KR20160002755A (ko) 방사상 확장 가능 플랜지를 갖는 확장 캐뉼러 및 이의 이용 방법
KR102614337B1 (ko) 외과수술용 리트렉터
CN117122356A (zh) 一种软组织扩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