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9775B1 - 운드 리트랙터 - Google Patents

운드 리트랙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775B1
KR100919775B1 KR1020090039759A KR20090039759A KR100919775B1 KR 100919775 B1 KR100919775 B1 KR 100919775B1 KR 1020090039759 A KR1020090039759 A KR 1020090039759A KR 20090039759 A KR20090039759 A KR 20090039759A KR 100919775 B1 KR100919775 B1 KR 100919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rtion
bushing
incision
cas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두표
류성엽
Original Assignee
(주)다림써지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림써지넷 filed Critical (주)다림써지넷
Priority to KR1020090039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7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775B1/ko
Priority to PCT/KR2009/006113 priority patent/WO201012873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23Access ports, e.g. toroid shape introducers for instruments or h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2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2017/3445Cannulas used as instrument channel for multiple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2017/3445Cannulas used as instrument channel for multiple instruments
    • A61B2017/3449Cannulas used as instrument channel for multiple instruments whereby the instrument channels merge into one single chann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2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 A61B2017/3466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for simultaneous sealing of multiple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술시 환자의 복부 절개부에 삽입되어 절개부를 벌려줌으로서 수술을 써포트함과 아울러 수술 적출물이 절개부에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적출물에 의한 감염을 예방하는 운드 리트랙터(Wound Retracto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드 리트랙터를 수술 보조자가 직접 잡아당기거나 주변에 고정된 와이어로 잡아당겨 절개부를 벌려줄 필요가 없으며, 환자의 복부 두께가 달라져도 절개부를 효율적으로 벌려줄 수 있는 운드 리트랙터이다. 또한, 트로카에 결합되어 복강경 수술에도 사용될 수 있는 운드 리트랙터이다.
본 발명의 운드 리트랙터(Wound Retractor)는 중앙에서 상하로 가면서 내경이 점차 길어지고, 신축성을 갖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 하단에 구비되고, 탄성을 가져 삽입된 환자 복부 절개부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링을 포함하는 투관; 상기 투관의 접촉부 상단이 결합 고정되고, 중앙에는 상기 투관의 개구부와 연통되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케이스; 상기 접촉부에 접촉된 복부 절개부가 가하는 외력에 대항하여 접촉부의 내경을 확장시키려 하는 확장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운드, 리트랙터, 투관, 고정케이스, 확장수단, 수술, 절개부

Description

운드 리트랙터{Wound Retractor}
본 발명은 수술시 환자의 복부 절개부에 삽입되어 절개부를 벌려줌으로서 수술을 써포트함과 아울러 수술 적출물이 절개부에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적출물에 의한 감염을 예방하는 운드 리트랙터(Wound Retracto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드 리트랙터를 수술 보조자가 직접 잡아당기거나 주변에 고정된 와이어로 잡아당겨 절개부를 벌려줄 필요가 없으며, 환자의 복부 두께가 달라져도 절개부를 효율적으로 벌려줄 수 있는 운드 리트랙터이다. 또한, 트로카에 결합되어 복강경 수술에도 사용될 수 있는 운드 리트랙터이다.
근래에는 수술 후 남는 상처를 최소화하기 위해 복부의 절개부를 가능한 작게 하여 수술을 하고 있다. 여기서, 복부의 절개부는 수술을 위한 수술기구를 삽입하거나, 수술시 발생되는 적출물(장기, 혹, 암조직 등)을 꺼내기 위한 복부를 째거나, 복부에 구멍을 뚫은 부위를 말한다.
절개부를 작게 하면 할수록 그만큼 수술을 위한 공간의 확보는 부족하게 된다. 그리하여 종래에는 수술 보조자(예;간호사)가 절개부를 직접 잡아당겨 벌리거나, 절개부 내외부를 집게 등으로 물리고 와이어를 집게에 연결하고 주변 에 기구에 당겨서 묶어 절개부를 벌림으로서 복부의 수술 공간을 확보하여 수술을 행하였다.
이와 같이 절개부를 벌리는 종래의 방식은 번거롭고 의사의 활동공간을 제약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리고 절개부는 복부 피부조직에 상처를 내는 것이므로 암조직 제거수술과 같이 2차감염(전이)의 우려가 있는 수술에서는 절개부의 상처조직에 적출물이 접촉되거나 수술기구가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트로카를 이용한 복강경 수술의 경우에는 투관이 절개부에 삽입되고, 수술기구는 투관을 통해 복부로 삽입되므로 수술기구가 절개부 상초조직에 접촉될 우려는 없지만, 적출물은 트로카를 이용해 꺼낼 수 없으므로 따로 복부에 절개부를 하나 더 만들고, 이 절개부 내외부를 비닐 등으로 감싼 후에 적출물을 꺼내 적출물이 절개부 상처조직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종래의 수술 방식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추가 인력 이나 공구가 필요 없고, 또한 의사의 활동공간을 제약하지 않으면서 복부 수술을 위한 절개부를 벌려 수술기구의 삽입, 삽입된 수술기구의 움직임, 적출물의 꺼냄 등과 같은 수술공간을 확보하고, 절개부의 상처조직을 감싸 암세포 등이 상처조직으로 전이(감염)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운드 리트랙터(Wound Retractor)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운드 리트랙터(Wound Retractor)는
중앙에서 상하로 가면서 내경이 점차 길어지고, 신축성을 갖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 하단에 구비되고, 탄성을 가져 삽입된 환자 복부 절개부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링을 포함하는 투관;
상기 투관의 접촉부 상단이 결합 고정되고, 중앙에는 상기 투관의 개구부와 연통되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케이스;
상기 접촉부에 접촉된 복부 절개부가 가하는 외력에 대항하여 접촉부의 내경을 확장시키려 하는 확장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투관의 접촉부 상단에는 고정링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케이스는 맞물려 조립 결합되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내면에는 상기 고정링이 수용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확장수단은
상기 접촉부의 상부 내면에서 구비되어 있는 당김부재와,
상기 고정케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당김부재가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당김부재가 상기 결합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접촉부의 내면을 잡아당김으로서 외력에 대항하여 접촉부의 내경을 확장시키려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당김부재는 신축성을 갖고,
상기 당김부재의 상단에는 탄성을 갖는 걸림링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걸림링이 수용되어 걸리는 걸림홈과, 걸림링의 하단부가 걸리는 다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절개부에 간편하게 삽입되고, 삽입된 후에는 당김부재를 당겨 결합부재에 걸어주기만 하면 접촉부가 절개부의 외력에 대항하여 그 내경을 확장시킴으로서 수술 공간이 확보되고, 접촉부가 절개부의 상 처조직을 감싸 수술기구나 적출물이 상처조직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내경이 팽창된 접촉부의 외면이 상처조직에 긴밀히 밀착되어 수술 중에 발생되는 적출물의 혈액조차도 상처조직에 접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복강경 수술을 위한 트로카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드 리트랙터(Wound Retractor)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운드 리트랙터가 절개부에 삽입되기 전과 절개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확장수단을 통해 절개부가 벌려지기 전후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4은 본 발명에 따른 운드 리트랙터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트로카의 사시도이고, 도5는 도4에 도시되어 있는 트로카 중 밸브구조와 필터구조를 갖는 트로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운드 리트랙터(WR)(Wound Retractor)는 대별하여 복부 절개부에 삽입되는 투관(10), 상기 투관(10)의 상단이 결합 고정되고 복부 외부에 걸리는 고정케이스(20), 상기 투관(10)의 내경을 확장시키려 하는 확장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투관(10)은 접촉부(11), 이탈방지링(12), 고정링(13), 걸이부(14), 그 리고 확장수단(30)으로 당김부재(31), 걸림링(32), 파지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접촉부(11)는 신축성을 갖는 연질재질로 이루어지고, 중앙에서 상하로 가면서 내경이 점차로 길어지는 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하여 하단에 구비된 이탈방지링(12)은 절개부의 복부 내부에 걸리고,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케이스(20)는 절개부의 복부 외부에 걸려 지지됨으로서, 당김부재(31)가 접촉부(11) 내면 상부를 당김에 따라 내경이 길어(확장)지면서 팽창되어 절개부를 벌리고 외면은 절개부 상처조직에 밀착된다. 여기서, 내경이 길어(확장)진다는 것은 당김부재(31)를 당기기 전에 절개부의 외력에 눌린 상태의 내경을 기준으로 한 것이고, 절개부에 삽입되기 전의 내경을 기준으로 한 것이 아니다.
상기 이탈방지링(12)은 상기 접촉부(11)의 하단 테두리에 구비되고 탄성을 갖는다. 그리하여 접촉부(11)의 하부 개구부(15)를 원형 형태로 유지시켜주고, 절개부에 삽입시에는 손으로 오므로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삽입된 후에는 복원되어 접촉부(11)의 하부 개구부(15)를 펼쳐준다.
상기 고정링(13)은 상기 접촉부(11)의 상단 테두리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케이스(20)에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상호 맞물려 조립결합되는 상부케이스(20a)와 하부케이스(20b)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홈(23,24)에 수용되어 고 정됨으로서 고정케이스(2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걸이부(14)는 상기 접촉부(11)의 하부 내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14)는 수술이 끝난 후에 투관(10)을 절개부에서 분리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걸이부(14)를 손이나 공구를 이용해 잡아당기면 투관(10)의 하부가 내부(개구부(15))를 통해 나오면서 절개부에서 쉽게 분리된다.
고정케이스(20)를 잡아 당겨 투관(10)을 절개부에서 강제로 분리시키기 어렵고, 강제로 분리시키게 되면 절개부의 상처를 확대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투관(10)에 손이나 공구를 집어넣고 이탈방지링(12)을 잡아당겨 이탈방지링(12)이 접촉부(11) 내면을 통해 나오도록 하여 절개부에서 쉽게 분리되고 절개부에 상처를 주지 않게 된다. 그런데 이탈방지링(12)은 보이지 않아 이탈방지링(12)을 잡기 쉽지 않고, 잡는 과정에서 복부 내부 조직을 건드려 상처를 줄 위험이 있다. 걸이부(14)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상기 고정케이스(20)는 상부케이스(20a)와 하부케이스(20b), 그리고 확장수단(30)으로서 결합부재(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중앙에는 투관(10)의 개구부(15)와 연통되는 중공(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20a)와 하부케이스(20b)는 상호 조립 결합되어 투관(10)의 상부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트로카의 본체 하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호 조립 결합을 위해 상부케이스(20a)와 하부케이스(20b) 내면에는 각각 고정홀(21)과, 상기 고정홀(21)에 삽입되는 고정돌기(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면에는 또한 투관(10)의 고정링(13)이 수용되는 고정홈(23,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확장수단(30)은 투관(10)에 구비되어 있는 당김부재(31)와, 고정케이스(20)에 구비되어 있는 결합부재(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당김부재(31)는 상기 투관(10) 접촉부(11) 상부 내면에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신축성을 갖는 연질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당김부재(31)의 상단에는 탄성을 갖는 걸림링(32)과, 사용자가 파지하기위한 파지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재(36)는 상부케이스(20a) 상부면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걸림링(32)이 수용되어 걸리는 걸림홈(37)과, 걸림링(32)의 하단부가 걸리는 다수의 걸림돌기(38)가 형성되어 있다.
운드 리트랙터(WR)를 절개부에 삽입하기 전과, 삽입한 후에 확장수단(30)을 통해 접촉부(11)의 내경이 확장되기 전후의 단면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3을 참조하여 운드 리트랙터(WR)의 삽입 과정과 구조변화를 설명한다.
투관(10)의 하부 이탈방지링(12)을 손으로 오므린 후에 절개부에 강제로 밀어 넣으면 이탈방지링(12)은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어 절개부 내부에 걸린다. 그리고 절개부가 접촉부(11) 외부에서 가하는 힘에 의해 접촉부(11)의 내경을 극히 좁아지고, 내경이 좁아지는 만큼 접촉부(11)의 상하 길이도 줄어든다.
절개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파지부(33)를 잡아당겨 다수의 걸림돌기(38)에 걸림링(32)의 하단부를 순차적으로 걸어주면 걸림링(32)은 걸림홈(37)에 수용되고, 직경이 늘어난 걸림링(32)의 탄성에 의해 걸림홈(37)과 걸림돌기(38)에 견고히 고정된다.
그리고 걸림링(32)이 걸림홈(37)에 걸림으로서 당김부재(31)를 끌어당기게 되고, 당김부재(31)는 접촉부(11)의 내면 상부 소정부위를 잡아당기게 된다.
그리하여 투관(10)의 접촉부(11) 상하 길이는 줄어들게 되어 이탈방지링(12)이 절개부 내부에 밀착되고 고정케이스(20)는 절개부 외부에 밀착되어 접촉부(11)의 상하부가 각각 절개부 내외부에서 지지되고, 지지된 상태에서 당김부재(31)가 접촉부 상부를 잡아당기게 되어 접촉부(11)는 접촉된 절개부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내경이 확장된다.
그리고 이때 접촉부(11)는 신축력을 가지므로 신장되면서 내경이 확장되어 절개부 상처조직에 보다 긴밀히 밀착되어 상처조직에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절개부 내외부 두께가 일정범위에서 달라져도 접촉부(11)는 확장되는 내경의 길이에 큰 변화가 없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결합부재(36)의 직경의 크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당김부재(31)가 접촉부(11)를 당겨 접촉부(11)의 상하 길이를 줄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절개부의 내외부 두께가 일정범위를 벗어나 달라지더라도 적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있다.
운드 리트랙터(WR)로 절개부를 벌린 후에는 수술기수를 삽입하여 수술을 하거나, 수술 적출물을 복부에서 꺼내거나, 도4에 도시되어 있는 다양한 종류의 트로카에 결합시키고 트로카를 통해 수술기구를 삽입하여 수술을 하게 된다. 트로카에 결합시에는 결합부재(36)에 결합된 당김부재(31)가 패킹과 같은 역할을 하여 트로카와 운드리트랙터(WR)의 결합 틈새를 밀봉하여 가스의 유출을 방지한다. 참고로, 도면에는 트로카와 운드 리트랙터(WR)의 결합구조를 도시하지 않았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드 리트랙터(WR)가 결합될 수 있는 여러 트로카(T1,T2,T3)를 도시한 것으로서, 첫 번째 도시되어 있는 트로카(T1)는 수술기구의 외연을 감싸 밀봉하는 실링부재(300)가 다수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복부에서 유입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밸브 구조를 구비한 트로카이고, 두 번째 도시한 트로카(T2)는 실링부재가 하나만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트로카이고, 세 번째 도시한 트로카(T3)는 다수의 실링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밸브구조를 별도로 구비하지 아니한 트로카로서 밸브(200)가 실링부재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의 트로카이다.
트로카(T1,T2,T3)는 본체(100)와 본체 상부에 결합되는 실링부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운드 리트랙터(WR)가 결합된다.
도5는 도4에서 첫 번째 도시되어 있는 트로카(T1)의 분해사시도로서, 본체(100)는 몸체(110), 장착부재(120), 밀착커버(130), 지지커버(140),고정부재(150) 밸브부재(160), 가스양조절부재(170), 필터부재(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하부에는 본 발명의 운드 리트랙터(WR)가 결합되고, 상부에는 상기 실링부재(300)가 장착된다.
상기 몸체(110)는 상하를 관통하는 공간부(111)를 갖고,
하부에는 상기 밸브부재(160)와 고정부재(150)가 얹혀져 지지되는 지지부(113)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113)에는 몸체 외주연에 결합된 고정부재(150)를 고정시켜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고정단턱(11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113) 위에는 상기 밸브부재(160)의 주입구(161) 및 배출구(162)와 연결되며, 상기 공간부(111)와 연결되어 가스가 유통되는 유통홀(112)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통홀(112)들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의 외주연에는 상기 가스양조절부재(170)가 수용되는 수용부(11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116)의 반대측 몸체 외주연에는 상기 밸브부재(160)의 제1단계돌기(164)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ㄴ'자 형상의 단계홈(1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계홈(114)의 수직방향에는 상기 밸브부재(160)가 회전함에 따라 제2, 제3단계돌기(164a,b)가 걸려 밸브부재가 몸체 외주연에서 단계적으로 회전하도록 보조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상부 외주연에는 상기 밀착커버(130)의 하부에 돌출되어 있는 결합핀(135)의 단턱부가 결합되는 결합핀홈(115)이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면에는 상기 지지커버(140)의 내면과 밀착되어 가스의 유출을 방지하는 패킹이 삽입되는 패킹홈(1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부재(120)는 다수의 실링부재(300)가 장착되는 장착부(121) 다수를 구비하고, 각 장착부(121) 내면 단부에는 상기 실링부재(3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342)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단턱부(122)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가장자리에는 몸체 내부의 가스압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져 지지커버(140) 내면에 밀착되어 틈새를 막는 밀착부(124)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재(120)는 실리콘 등의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장착부는 상부로 돌출되게 뒤집을 수 있다. 뒤집은 상태에서 실링부재(300)를 결합시킨 후에 장착부를 하부로 밀어 넣으면 원상태로 되돌아간다. 또한, 내부 공기압에 의해 상부로 오목하게 돌출되도록 팽창된다. 내부 공기압에 의해 장착부재가 오목하게 팽창됨으로서 실링부재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자연스럽게 투관의 중심을 향하도록 기울어진다. 그리하여 수술기구를 실링부재에 삽입하여 복부로 밀어 넣을 때 수술기구가 투관을 찌르지 않고 수술기구들이 상호 부딪히는 것을 줄여준다.
그리고 장착부(121)는 장착될 실링부재(300)에 맞게 그 직경이 직경은 3mm, 5mm, 12mm, 30mm 등의 다양한 치수를 가질 수 있다. 30mm의 직경은 수술기구 중 큰 치수를 갖는 원형자동봉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치수다.
상기 밀착커버(130)는 상기 장착부재(120)의 상부면 테두리를 가압하여 상기 지지커버(140)에 밀착 결합시킨다.
상기 밀착커버(130)는 상기 장착부재(120)의 테두리를 가압하면서 장착부(121)가 노출되도록 중앙에 개구부(131)를 갖고, 테두리 하부면에는 상기 지지커버(14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핀공(145)과 보조결합핀공(146)에 각각 삽입결합는 결합핀(135)과 보조결합핀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커버(140)는 상기 밀착커버(130)와 조립결합되어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장착부재(120)의 테두리를 가압하여 가스가 유출될 수 있는 틈새를 없애고, 상기 몸체(110)의 외주연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지지커버(140)가 몸체 외주연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의사가 수술에 편리한 위치에 수술기구들이 위치하도록 실링부재의 위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50)는 상기 밸브부재(160)를 덮으면서 상기 몸체(110)의 외 주연에 결합되고, 몸체 외주연에서 회전이 안되도록 고정단턱(119)에 걸린다. 고정부재(150)를 두는 것은 상기 지지커버(140)가 몸체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밸브부재(160)를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 어딘가를 파지하여 밸브부재가 회전하는 힘에 대항할 수 있는 지지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몸체(110)는 노출 부위가 적어 파지하기 어렵고, 지지커버는 회전이 가능하므로 밸브부재의 회전하는 힘에 대항하기 어렵기에 고정부재를 두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부재(150)는 밸브부재(160)를 덮되, 주입구(161)와 배출구(162)이 외부로 노출되고 밸브부재가 일정범위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개방부(151)를 갖는다.
상기 밸브부재(160)는 외부에서 가스가 주입되는 주입구(161)와, 내부의 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162)를 갖고, 배출구(162)가 구비되어 있는 내면 측에는 필터부재(180)가 수용되는 필터 수용부(16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면에는 몸체의 단계홈(114)에 걸려 밸브부재(160)의 몸체 외주연에서의 회전 각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여 가스의 주입량과 배출량을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제1,2,3단계돌기(164,164a,164b)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부재(160)를 단계적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주입구(161)와 배출구(162)는 각각 유통홀(112)과 연결(연통)되거나 연결되지 않고 막히게 되어 주입되거나 배출되는 가스량을 단계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즉, 가스의 주입만 가능하거나, 가스의 배출만 가능하거나, 가스의 주입과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되, 가스의 주입과 배출시 그 양의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가스양조절부재(170)는 상기 몸체의 외주연 수용부에 안착되고 다수의 유통홀(112) 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유통홀과 일대일로 마주보는 다수의 유통공(172,174)을 갖는다. 도면에는 3개의 유통공을 도시하였다.
다수의 유통공(172,174) 중 일부는 가스가 양방향으로 유통가능하고 일부는 일방향, 즉 몸체 내부쪽으로만 유통가능하다.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가스양조절부재(170)는 다수의 유통공(172)을 갖는 외부판(171)과, 상기 외부판 내측에 구비되어 다수의 또 다른 유통공(174)을 갖는 내부판(17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내부판(173)의 유통공(174)에는 외부판(171)의 유통공(172)을 개폐하는 고무판(175)가 구비된다. 그리하여 도면을 기준으로 하나의 유통공은 몸체 내외부로 가스의 유출입이 가능하고, 두 개의 유통공은 고무판으로 인해 몸체 내부로 가스의 유입은 가능하지만 몸체 외부로 가스의 배출은 불가능하다.
그리고 밸브부재(160)가 회전함에 따라 주입구(161)는 일방향으로만 가스의 유입이 가능한 두 유통공과 유통공이 없는 몸체 외주연에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동방향으로 회전시 배출구(162)는 유통공이 없는 몸체 외주연과 양방향으로 가스의 유통이 가능한 유통공에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그리하여 밸브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가스는 주입만 가능한 상태에서, 주입과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상태로, 다시 배출만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는 도면을 참조한 기준이고, 유통홀과 유통공의 수 와 배출구의 수, 그리고 주입구의 수를 더 늘리면 주입과 배출이 모두 가능한 상태에서 주입량과 배출량의 조절도 가능하다.
상기 필터부재(180)는 상기 밸브부재(160)의 필터수용부(163)에 삽입 안착되어 연통홀(112)들 중에서 배출구(162)와 연결되는 연통홀(112)들 상에 배치된다. 그리하여 배출되는 가스에서 유해성분을 제거한다.
상기 필터부재(180)는 다수의 홀을 갖고 상호 맞물려 결합되는 외부필터케이스(181)와 내부필터케이스(182), 그리고 상기 외부필터케이스(181)와 내부필터케이스(182) 사이에 구비되어 배출되는 가스의 유해성분을 직접 차단하는 필터시트(18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재(180)는 밸브부재(160)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커버(186)에 지지되어 필터수용부(163)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운드 리트랙터(Wound Retractor)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운드 리트랙터의 사시도.
도 2 는 도1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환자 복부에 삽입하기 전과, 삽입된 후 확장전후의 운드 리트랙터 단면도.
도 4 는 운드 리트랙터가 결합되는 다양한 종류의 트로카 사시도.
도 5 는 도4 첫 번째에 도시되어 있는 트로카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WR : 운드 리트랙터 T1,T2,T3 : 트로카
10 : 투관 11 : 접촉부
12 : 이탈방지링 13 : 고정링
14 : 걸이부 15 : 개구부
20 : 고정케이스 23,24 : 고정홈
30: 확장수단 31 : 당김부재
32 : 걸림링 33 : 파지부
36 : 결합부재 37 : 걸림홈
38 : 걸림돌기 100 : 본체
200 : 밸브 300 : 실링부재

Claims (4)

  1. 중앙에서 상하로 가면서 내경이 점차 길어지고, 신축성을 갖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 하단에 구비되고, 탄성을 가져 삽입된 환자 복부 절개부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링을 포함하는 투관;
    상기 투관의 접촉부 상단이 결합 고정되고, 중앙에는 상기 투관의 개구부와 연통되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케이스;
    상기 접촉부에 접촉된 복부 절개부가 가하는 외력에 대항하여 접촉부의 내경을 확장시키려 하는 확장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투관의 접촉부 상단에는 고정링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케이스는 맞물려 조립 결합되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내면에는 상기 고정링이 수용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드 리트랙터.(Wound Retractor).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수단은
    상기 접촉부의 상부 내면에서 구비되어 있는 당김부재와,
    상기 고정케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당김부재가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당김부재가 상기 결합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접촉부의 내면을 잡아당김으로서 외력에 대항하여 접촉부의 내경을 확장시키려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드 리트랙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부재는 신축성을 갖고,
    상기 당김부재의 상단에는 탄성을 갖는 걸림링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걸림링이 수용되어 걸리는 걸림홈과, 걸림링의 하단부가 걸리는 다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드 리트랙터.
KR1020090039759A 2009-05-07 2009-05-07 운드 리트랙터 KR100919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759A KR100919775B1 (ko) 2009-05-07 2009-05-07 운드 리트랙터
PCT/KR2009/006113 WO2010128738A1 (ko) 2009-05-07 2009-10-22 운드 리트랙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759A KR100919775B1 (ko) 2009-05-07 2009-05-07 운드 리트랙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9775B1 true KR100919775B1 (ko) 2009-10-14

Family

ID=41561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759A KR100919775B1 (ko) 2009-05-07 2009-05-07 운드 리트랙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19775B1 (ko)
WO (1) WO2010128738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428B1 (ko) 2010-05-19 2010-10-18 서오남 내시경 수술도구 가이더
KR101468169B1 (ko) * 2012-12-10 2014-12-12 주식회사 세종메디칼 운드 리트랙터
KR101592975B1 (ko) * 2015-08-19 2016-02-12 위캔메디케어 주식회사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WO2017047887A1 (ko) * 2015-09-16 2017-03-23 위캔메디케어 주식회사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KR20200067018A (ko) * 2018-12-03 2020-06-11 주식회사 비제이 운드 리트렉터
KR102283721B1 (ko) * 2020-12-17 2021-07-29 김용건 복강경 수술용 운드 리트랙터
KR102293147B1 (ko) * 2021-01-22 2021-08-25 주식회사 건바이오 복강경 수술용 운드 리트랙터
WO2023068426A1 (ko) * 2021-10-19 2023-04-27 드림팩 주식회사 복강내 가스 유출 방지를 위한 외과수술용 리트렉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96758A4 (en) * 2013-03-15 2016-09-28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ROTATING AUXILIARY CONNECTION
CN112568946B (zh) * 2020-12-29 2023-09-05 致壹实业(上海)有限公司 一种多通道柔性单孔腹腔微创手术隐形内镜通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4533B1 (en) 2000-07-07 2001-07-03 Dexterity Surgical, Inc. Retractor assembly and method for surgical procedures
US6582364B2 (en) * 1999-10-14 2003-06-24 Atropos Limited Retractor and method for use
JP2007044395A (ja) 2005-08-12 2007-02-22 Hakko Co Ltd 開創部拡張器具
US7473221B2 (en) 2000-10-19 2009-01-06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urgical access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2364B2 (en) * 1999-10-14 2003-06-24 Atropos Limited Retractor and method for use
US6254533B1 (en) 2000-07-07 2001-07-03 Dexterity Surgical, Inc. Retractor assembly and method for surgical procedures
US7473221B2 (en) 2000-10-19 2009-01-06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urgical access apparatus and method
JP2007044395A (ja) 2005-08-12 2007-02-22 Hakko Co Ltd 開創部拡張器具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428B1 (ko) 2010-05-19 2010-10-18 서오남 내시경 수술도구 가이더
KR101468169B1 (ko) * 2012-12-10 2014-12-12 주식회사 세종메디칼 운드 리트랙터
KR101592975B1 (ko) * 2015-08-19 2016-02-12 위캔메디케어 주식회사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WO2017030264A1 (ko) * 2015-08-19 2017-02-23 위캔메디케어 주식회사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CN106466195A (zh) * 2015-08-19 2017-03-01 威科医疗保险株式会社 外科手术用牵开器
WO2017047887A1 (ko) * 2015-09-16 2017-03-23 위캔메디케어 주식회사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KR101812059B1 (ko) 2015-09-16 2017-12-27 위캔메디케어 주식회사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KR20200067018A (ko) * 2018-12-03 2020-06-11 주식회사 비제이 운드 리트렉터
KR102243157B1 (ko) * 2018-12-03 2021-04-22 주식회사 비제이 운드 리트렉터
KR102283721B1 (ko) * 2020-12-17 2021-07-29 김용건 복강경 수술용 운드 리트랙터
KR102293147B1 (ko) * 2021-01-22 2021-08-25 주식회사 건바이오 복강경 수술용 운드 리트랙터
WO2023068426A1 (ko) * 2021-10-19 2023-04-27 드림팩 주식회사 복강내 가스 유출 방지를 위한 외과수술용 리트렉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28738A1 (ko) 201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9775B1 (ko) 운드 리트랙터
KR100913743B1 (ko) 멀티채널 트로카
US8029474B2 (en) Trocar for laparoscopic surgery
KR101022754B1 (ko) 운드 리트랙터를 겸비한 멀티채널 트로카
EP2152175B1 (en) An instrument access device
US10537360B2 (en) Instrument access device
KR100813755B1 (ko) 의료용 처치 용구
JP2741830B2 (ja) 体腔内に器具を導入するための弁組立体
US20100217087A1 (en) Instrument access system
MXPA05013932A (es) Protector para sello de pico de pato.
KR101468169B1 (ko) 운드 리트랙터
EP2572664A1 (en) Surgical instrument guide and protection cap for such a surgical instrument guide
KR20160036410A (ko) 싱글포트
JP2007044395A (ja) 開創部拡張器具
KR20190052209A (ko) 수술용 운드 리트랙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싱글포트
KR100924928B1 (ko) 트로카의 밸브구조
KR101846004B1 (ko)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 및 이를 갖는 수술 장치
KR20130051198A (ko) 수술용 싱글포트
KR101446257B1 (ko) 복강경 수술용 싱글 포트 트로카
US11058459B2 (en) Two-piece cutting guard with evacuation ports
CN212592335U (zh) 腹腔镜穿刺器
KR102283721B1 (ko) 복강경 수술용 운드 리트랙터
KR101037617B1 (ko) 직경 확장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트로카
JP5813849B2 (ja) 医療用処置具の挿入器具
KR102293147B1 (ko) 복강경 수술용 운드 리트랙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