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004B1 -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 및 이를 갖는 수술 장치 - Google Patents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 및 이를 갖는 수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004B1
KR101846004B1 KR1020170164032A KR20170164032A KR101846004B1 KR 101846004 B1 KR101846004 B1 KR 101846004B1 KR 1020170164032 A KR1020170164032 A KR 1020170164032A KR 20170164032 A KR20170164032 A KR 20170164032A KR 101846004 B1 KR101846004 B1 KR 101846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cover
gas sealing
gas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지현
김선욱
Original Assignee
메카디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카디안(주) filed Critical 메카디안(주)
Priority to KR1020170164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0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2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5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ntroducing tubes or catheters, e.g. gastrostomy tubes, drai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98Valves therefor, e.g. flapper valves, slide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는 제1 중공을 갖는 몸체 및 상기 제1 중공과 연통 되는 제2 중공을 가지며 상기 몸체의 단부에 결합 되는 커버를 갖는 하우징; 상기 몸체 및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중공을 따라 연장되면서 직경이 축소되는 연성을 갖는 환형 형상의 가스 밀봉 부재; 상기 몸체 및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가스 밀봉 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중공을 따라 연장되고 복수개로 분할되어 상기 가스 밀봉 부재의 파손을 방지하는 리브들을 포함하는 파손 방지 부재; 및 상기 몸체 및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가스 밀봉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중공을 따라 연장되면서 탄성을 갖고 외력이 제거되면 밀봉되고, 상기 외력이 가해지면 밀봉이 해제되는 슬릿 형상의 절개부를 갖는 선택적 가스 밀봉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 및 이를 갖는 수술 장치{GUIDE PORT FOR INSERTING OPERATION TOOL AND OPERATION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 및 이를 갖는 수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자를 수술하는 방법은 기존 환부를 약 12cm 내지 약 18cm 이상 크게 절개하는 개복 수술로부터 약 3 ~ 4개소를 절개하고 각 절개 길이를 2cm 내외로 절개한 후 복강경을 삽입하여 수술하는 복강경 수술이 개발된 바 있다.
최근에는 환부, 예를 들어, 배꼽 등에 2cm 이내로 환부를 절개한 후 절개된 부위에 복수의 수술도구를 삽입하여 수술을 진행하는 단일공(single port) 복강경 수술이 개발된 바 있다.
이 단일공 복강경 수술은 흉터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고 환자의 통증을 크게 감소시키며 환자의 회복 기간을 크게 단축 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개복 수술은, 환자의 회복 기간은 통상 6 ~ 8주이나, 단일공 복강경 수술은 약 5 ~ 20일 정도로 회복 기간이 크게 단축된다.
이와 같은 단일공 복강경 수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절개 부위에 다수개의 수술 도구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삽입 도구가 있어야 한다.
특히 이 삽입 도구는 환부 내부에서 수술을 진행하는 도중 발생한 유해 가스가 수술 도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해야 하고, 수술 소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환부로부터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환부로부터 쉽게 분리 또는 쉽게 상호 결합이 가능해야 한다.
대표적인 삽입 도구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6257호, 복강경 수술용 싱글 포트 트로카(2014년 9월 24일 등록)에는 기존 가이드 포트를 사용하지 않고 수술도구를 분기부에 삽입한 후 분기부를 조이는 밀봉조임수단을 형성하여 환부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가스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싱글 포트 트로카의 경우는 수술을 진행하는 도중에는 가스 배출을 방지할 수 있지만, 수술이 완료되어 수술 도구를 분기부로부터 빼는 과정에서 짧은 시간 동안 분기부가 완전히 밀봉되지 않아 환부 내부의 유독 가스가 다량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싱글 포트 트로카의 경우는 수술 도구의 선단에 배치된 절단 장치 등 날카로운 부분이 부드러운 분기부를 파손 또는 손상시키고 이로 인해 가스가 외부로 누설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6257호, 복강경 수술용 싱글 포트 트로카, (2014년 9월 24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수술 도구를 삽입하여 수술을 진행한 후 수술 도구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환부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술 도구에 의하여 일부가 손상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단시간 내에 환부로부터 제거, 상호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 및 이를 갖는 수술 장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는 제1 중공을 갖는 몸체 및 상기 제1 중공과 연통 되는 제2 중공을 가지며 상기 몸체의 단부에 결합 되는 커버를 갖는 하우징; 상기 몸체 및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중공을 따라 연장되면서 직경이 축소되는 연성을 갖는 환형 형상의 가스 밀봉 부재; 상기 몸체 및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가스 밀봉 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중공을 따라 연장되고 복수개로 분할되어 상기 가스 밀봉 부재의 파손을 방지하는 리브들을 포함하는 파손 방지 부재; 및 상기 몸체 및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가스 밀봉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중공을 따라 연장되면서 탄성을 갖고 외력이 제거되면 밀봉되고, 상기 외력이 가해지면 밀봉이 해제되는 슬릿 형상의 절개부를 갖는 선택적 가스 밀봉 부재를 포함한다.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의 상기 선택적 가스 밀봉 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몸체에 요철 결합 되어 가스 누설을 방지하는 플랜지부가 형성된다.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는 상기 선택적 가스 밀봉 부재에 접촉 및 상기 가스 밀봉 부재에 요철 결합되는 가스 누설 방지 보강판을 더 포함한다.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의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된다.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의 상기 커버의 단부의 일부분은 상기 몸체와 직접 접촉되고, 상기 커버의 단부의 나머지는 연성을 갖는 상기 가스 밀봉 부재의 플랜지부의 표면을 가압하여 상기 몸체 및 상기 가스 밀봉 부재 사이로 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의 상기 커버는 원통 형상을 갖는 제1 커버부, 상기 제1 커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커버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커버부와 이격된 제2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의 공간으로는 상기 파손 방지 부재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일실시예로서, 수술 장치는 리트렉터 몸체, 상기 리트렉터 몸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 상기 리트렉터 몸체에 결합된 한 쌍의 장착 링들을 포함하는 리트렉터;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며 수술 도구가 통과하는 가이드 포트; 튜브, 상기 튜브의 일측단에 결합된 환형 결합 부재 및 상기 튜브의 타측단에 결합된 지지링을 포함하는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장착 링들 사이에 형성된 상기 리트렉터 몸체의 직경은 상기 장착 링들의 직경보다 크고 외부를 향해 볼록한 형상으로 돌출되며, 상기 환형 결합 부재는 상기 리트렉터의 장착 링들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리트렉터 및 상기 슬리브가 상호 연결된다.
수술 장치의 상기 가이드 포트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며 제1 중공을 갖는 몸체 및 상기 제1 중공과 연통 되는 제2 중공을 가지며 상기 몸체의 단부에 결합 되는 커버를 갖는 하우징, 상기 몸체 및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중공을 따라 연장되면서 직경이 축소되는 연성을 갖는 환형 형상의 가스 밀봉 부재, 상기 몸체 및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가스 밀봉 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중공을 따라 연장되고 복수개로 분할되어 상기 가스 밀봉 부재의 파손을 방지하는 리브들을 포함하는 파손 방지 부재 및 상기 몸체와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가스 밀봉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중공을 따라 연장되면서 탄성을 갖고 외력이 제거되면 밀봉되고, 상기 외력이 가해지면 밀봉이 해제되는 슬릿 형상의 절개부를 갖는 선택적 가스 밀봉 부재를 포함한다.
수술 장치의 상기 리트렉터에 연통되는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는 밸브 몸체, 상기 밸브 몸체에 삽입된 밸브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작동부를 바깥쪽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밸브는 개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 및 이를 갖는 수술 장치는 수술 도구를 삽입하여 수술을 진행한 후 수술 도구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환부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술 도구에 의하여 일부가 손상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단시간 내에 환부로부터 제거, 상호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가 장착된 수술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는 바람직하게 단일공 복강경 수술용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는 기존 복강경 수술용 또는 내시경 수술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600)는 하우징(100), 가스 밀봉 부재(200), 파손 방지 부재(300) 및 선택적 가스 밀봉 부재(4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몸체(150) 및 커버(18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의 몸체(150) 및 커버(`80)는 상호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몸체(150)는, 예를 들어, 속이 빈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몸체(150)에는 제1 중공(155)이 형성되며, 제1 중공(155)으로는 수술 도구들이 통과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몸체(150)는, 예를 들어, 연성이 없는 합성수지 소재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몸체(150)의 상단 외주면에는 몸체(150)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이 확장된 제1 확장부(110)가 형성되고, 제1 확장부(110)의 외측면에는 제1 확장부(110)에 비하여 직경이 확장된 제2 확장부(120)가 형성된다. 즉, 제1 확장부(110) 및 제2 확장부(120)는 몸체(150)의 외주면에 대하여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제2 확장부(120)의 내측면에는 단속적으로 제1 결합부(125)가 형성되는데, 제1 결합부(125)는, 예를 들어, 오목한 홈일 수 있다. 이 제1 결합부(125)는 후술 될 커버의 제2 결합부와 결합 된다.
커버(180)는 몸체(150)와 결합 된다. 커버(180)는 제2 중공(160)을 갖고, 제2 중공(160)은 몸체(150)의 제1 중공(155)과 연통 되며, 제2 중공(160)으로는 수술 도구가 삽입된다.
커버(180)는 예를 들어, 2중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80)는 제1 커버부(182) 및 제2 커버부(18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부(182)는 제2 커버부(184)의 바깥쪽에 배치되며 제1 커버부(18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커버부(184)는 제1 커버부(182)로부터 연장된 후 안쪽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커버부(184)는 제1 커버부(182)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2 커버부(184)의 단부는 제1 커버부(182)의 단부보다 상대적으로 위쪽에 배치된다.
제1 커버부(182)의 외측면 하단에는 제2 결합부(186)가 형성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결합부(186)는 제1 결합부(125)와 결합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결합부(125)가 홈일 경우, 제2 결합부(186)는, 예를 들어, 후크(hook)일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결합부(125)가 홈이고, 제2 결합부(186)가 후크인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이와 반대로 제1 결합부(125)는 후크를 포함하고, 제2 결합부(186)는 홈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하우징(100)을 구성하는 몸체(150) 및 커버(180)의 사이에는 가스 밀봉 부재(200), 파손 방지 부재(300) 및 선택적 가스 밀봉 부재(400)가 배치된다.
이하, 가스 밀봉 부재(200), 파손 방지 부재(300) 및 선택적 가스 밀봉 부재(4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가스 밀봉 부재(200)의 일부는 몸체(150) 및 커버(180) 사이에 고정되며 가스 밀봉 부재(200)의 나머지는 제1 중공(1550)을 따라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가스 밀봉 부재(200)는 플랜지부(210), 제1 연장부(220) 및 제2 연장부(230)를 포함하며, 가스 밀봉 부재(200)는 연성 및 탄성을 갖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 밀봉 부재(200)는 플랙시블하며 탄성 및 연성을 갖는 합성수지 소재 또는 실리콘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플랜지부(210)는 몸체(150) 및 커버(180)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이며, 플랜지부(210)는, 예를 들어, 도우넛 형태로 형성된다. 플랜지부(210)의 하면에는 환형으로 형성된 트랜치 형상의 홈(215)이 형성되는데, 이 홈(215)은 후술 될 가스 누설 방지 보강판(500)과 결합 되어 가스 누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커버(180)의 제1 커버부(182)의 단부의 일부는 몸체(150)의 제1 확장부(110)의 단부와 접촉되며 커버(180)의 제1 커버부(182)의 단부의 나머지는 플랜지부(210)와 접촉된다.
이때, 제1 커버부(182)의 단부는 단순히 플랜지부(210)와 접촉하지 않고 플랜지부(210)의 상면을 충분히 가압하여 가스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연장부(220)는 플랜지부(210)로부터 연장되며, 제1 연장부(220)는, 예를 들어, 몸체(150)의 내측면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부(230)는 제1 연장부(220)의 단부에 형성되며, 제2 연장부(230)는 하부로 갈수록 연속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이때, 제2 연장부(230)의 단부에는 개구(235)가 형성되며, 개구(235)의 사이즈는 수술 도구의 외주면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 밀봉 부재(200)는 삽입되는 수술 도구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가스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수술 도구의 단부에는 환부를 절개 또는 레이저 치료하기 위한 뾰족한 수술 기구, 션션기들이 주로 장착되고, 이 수술 기술들이 가스 밀봉 부재(200)의 개구(235)를 통과하면서 부드러운 소재로 제작된 가스 밀봉 부재(200)를 찢거나 파손할 수 있다.
가스 밀봉 부재(200)가 찢기거나 파손될 경우 다량의 가스가 찢기거나 파손된 부분을 통해 외부로 다량 유출될 수 있다.
파손 방지 부재(300)는 부드럽고 연성을 갖는 가스 밀봉 부재(200)가 수술 기구에 의하여 찢기는 것을 방지하면서 수술 기구들을 서포트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파손 방지 부재(300)는 경질 플랜지부(310), 제1 서포트부(320) 및 제2 서포트부(3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파손 방지 부재(300)는 수술 도구의 단부에 장착된 뾰족한 수술 기구들에 의하여 파손되지 않는 경질이면서 탄성을 갖는 합성 수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파손 방지 부재(300)는 가스 밀봉 부재(200)의 상부에 배치되며 따라서 외부에서 삽입된 수술 도구는 가스 밀봉(200)와 직접 접촉되지 않고 파손 방지 부재(300)에 접촉된다.
파손 방지 부재(300)의 경질 플랜지부(310)는, 예를 들어, L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경질 플랜지부(310)의 단부는 커버(180)의 제1 커버부(182) 및 제2 커버부(184)의 사이에 끼워진다.
제1 서포트부(320)는 경질 플랜지부(310)로부터 제1 중공(155)을 따라 연장되며, 제1 서포트부(320)는 가스 밀봉 부재(200)의 제1 연장부(220)와 함께 연장된다.
제2 서포트부(330)는 제1 서포트부(320)의 단부에 형성된다. 제2 서포트부(330)는 제1 서포트부(320)의 단부에 복수개로 나뉘어 형성된다.
복수개의 제2 서포트부(33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평면적이 점차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제2 서포트부(330)는 가스 밀봉 부재(200)의 제2 연장부(230)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2 서포트부(330)의 길이는 제2 연장부(23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제2 서포트부(330)는 수술 도구가 삽입되면, 수술 도구와 접촉되면서 제2 서포트부(330)는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되고, 제2 서포트부(330)를 통해 수술 도구가 통과한 후 수술 도구는 가스 밀봉 부재(200)의 개구(235)를 통과하고, 이후 수술 도구의 외주면은 가스 밀봉 부재(200)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파손 방지 부재(30)는 가스 밀봉 부재(200)의 파손을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편, 가스 밀봉 부재(200)에 결합 된 수술 도구를 수술이 종료된 후 가스 밀봉 부재(200)로부터 빼낼 경우 가스 밀봉 부재(200)의 개구(234), 제1 중공(155) 및 제2 중공(160)을 통해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선택적 가스 밀봉 부재(400)가 배치된다.
선택적 가스 밀봉 부재(400)는 수술 도구에 의하여 외력이 가해지면 밀봉이 해제되고, 수술 도구에 의한 외력이 해제되면 밀봉되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선택적 가스 밀봉 부재(400)를 가스 밀봉 부재(200)의 하부에 배치함으로써 수술 도구를 제거할 때 선택적 가스 밀봉 부재(400)가 밀봉되면서 수술 도구를 가스 밀봉 부재(400)로부터 제거하더라도 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가스 밀봉 부재(400)는 플랜지부(410), 제1 밀봉부(420) 및 제2 밀봉부(430)를 포함한다. 선택적 가스 밀봉 부재(400)는 외력에 의하여 형상이 변형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되는 탄성 및 연성을 갖는 합성수지 소재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플랜지부(410)는 몸체(150)의 상단에 결합 되는 환형 홈(415)을 포함하며, 환형 홈(415)이 몸체(150)의 상단에 끼워짐으로써 가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밀봉부(420)는 플랜지부(410)로부터 연장되며, 특히 제1 밀봉부(420)는 몸체(150)의 내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밀봉부(430)는 제1 밀봉부(420)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제2 밀봉부(430)는 마주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를 상호 경사지게 접속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밀봉부(430)에는 수술 도구가 삽입되어 외력이 가해지면 벌어지고 수술 도구가 제거되어 외력이 제거되면 상호 접촉되어 밀봉되는 슬릿 형상의 절개부(435)가 형성된다.
한편, 수술 도구가 삽입되어 벌어진 상태에서 수술 도구가 제거되면 복원될 수 있도록 제2 밀봉부(430)의 끝 부분의 두께는 제2 밀봉부(430)의 나머지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한편, 수술 도구가 삽입되어 벌어진 상태에서 수술 도구가 제거되면 복원될 수 있도록 제2 밀봉부(430)의 내부에는 복원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원 와이어 또는 복원판 또는 복원 스프링 등과 같은 복원 부재가 추가적으로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가스 누설 방지 보강판(500)은 선택적 가스 밀봉 부재(400) 및 가스 밀봉 부재(200)의 사이에 개재되며, 가스누설 방지 보강판(500)은 선택적 가스 밀봉 부재(400)와 접촉되고 가스 밀봉 부재(200)와 요철 결합되어 가스 누설을 추가적으로 방지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를 포함하는 수술 장치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가 장착된 수술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 및 설명된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수술 장치(900)는 리트렉터(700), 가이드 포트(600) 및 슬리브(800)를 포함한다.
리트렉터(700)는 리트렉터 몸체(710), 삽입부(720) 및 한 쌍의 장착링(730,740)들을 포함한다.
리트렉터 몸체(710)는 수술 도구들을 외부에 대하여 격리시키는 역할을 하며, 리트렉터 몸체(710)는, 예를 들어, 위생적이면서 투명한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삽입부(720)는 리트렉터 몸체(710)의 상측에 다수개가 장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삽입부(720)는 리트렉터 몸체(710)의 상측에 4개 내지 5개가 장착될 수 있으나, 이와 다르게 삽입부(720)는 리트렉터 몸체(710)에 4개 보다 적은 개수가 또는 5개 보다 많은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장착링(730,740)들은 리트렉터 몸체(710)의 삽입부(720)와 대향하는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장착링(730,740)들은 탄성 및 변형이 가능한 탄성 소재로 제작되며, 장착링(730,740)들은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다.
한편, 한 쌍의 장착링(730,740)들 사이에 형성된 리트렉터 몸체(710)는 장착링(730,740)들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한 쌍의 장착링(730,740)들은 리트렉터 몸체(710)에 열압착, 접착제 등의 방법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슬리브(800)는 튜브(810), 환형 결합 부재(820) 및 지지링(830)을 포함한다.
튜브(81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형상을 가지며, 튜브(810)는 플랙시블한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환형 결합 부재(820)는 튜브(810)의 일측단에 결합되며, 환형 결합 부재(820)는 길이가 짧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환형 결합 부재(820)는 딱딱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환형 결합 부재(820)의 높이는, 예를 들어, 한 쌍의 장착링(730,740) 사이의 간격보다는 낮은 높이로 형성되며, 환형 결합 부재(820)의 직경은 한 쌍의 장착링(730,740)의 직경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지지링(830)은, 예를 들어, 절개된 사용자의 환부에 삽입되어 환부에 걸려 지지되는 역할을 하며, 지지링(830)은 튜브(810)의 일측단과 대향 하는 타측단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환형 결합 부재(820)는 리트렉터 몸체(710)에 형성된 한 쌍의 장착링(730,740)들 사이로 삽입됨으로써 간단하면서 신속하게 리트렉터 몸체(710) 및 슬리브(800)가 결합되고, 반대로 간단하면서 신속하게 리트렉터 몸체(710)로부터 슬리브(800)를 분리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리트렉터 몸체(710)는 가스를 제공 또는 배출하기 위한 밸브(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밸브(750)는 밸브 몸체(752), 밸브 작동부(754), 노브(756)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몸체(752)는, 예를 들어,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밸브 몸체(752)의 양단은 개구된 형태를 갖는다.
밸브 작동부(754)는 밸브 몸체(752)의 개구된 양쪽 단부 중 일측 단부에 삽입되며, 밸브 작동부(754)는 외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밸브 몸체(752)의 통로를 막고, 밸브 작동부(754)는 외력에 의하여 바깥쪽으로 당겨지면 밸브 몸체(752)의 통로를 개방하여 가스가 제공 또는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쉽게 밸브 작동부(754)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밸브 작동부(754)의 단부에는 노브(756)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밸브 몸체(752)의 내측에는 가스를 유입 또는 배출시킬 수 있는 배관(758)이 연통되며, 밸브작동부(754)의 작동에 의하여 배관(758)로는 가스가 유입 또는 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수술 도구를 삽입하여 수술을 진행한 후 수술 도구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환부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술 도구에 의하여 일부가 손상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단시간 내에 환부로부터 제거, 상호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하우징 200...가스 밀봉 부재
300...파손 방지 부재 400...선택적 가스 밀봉 부재

Claims (9)

  1. 제1 중공을 갖는 몸체 및 상기 제1 중공과 연통 되는 제2 중공을 가지며 상기 몸체의 단부에 결합 되는 커버를 갖는 하우징;
    상기 몸체 및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중공을 따라 연장되면서 직경이 축소되는 연성을 갖는 환형 형상의 가스 밀봉 부재;
    상기 몸체 및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가스 밀봉 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중공을 따라 연장되고 복수개로 분할되어 상기 가스 밀봉 부재의 파손을 방지하는 리브들을 포함하는 파손 방지 부재; 및
    상기 몸체 및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가스 밀봉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중공을 따라 연장되면서 탄성을 갖고 외력이 제거되면 밀봉되고, 상기 외력이 가해지면 밀봉이 해제되는 슬릿 형상의 절개부를 갖는 선택적 가스 밀봉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원통 형상을 갖는 제1 커버부, 상기 제1 커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커버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커버부와 이격된 제2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의 공간으로는 상기 파손 방지 부재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가스 밀봉 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몸체에 요철 결합 되어 가스 누설을 방지하는 플랜지부가 형성된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가스 밀봉 부재에 접촉 및 상기 가스 밀봉 부재에 요철 결합되는 가스 누설 방지 보강판을 더 포함하는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된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단부의 일부분은 상기 몸체와 직접 접촉되고, 상기 커버의 단부의 나머지는 연성을 갖는 상기 가스 밀봉 부재의 플랜지부의 표면을 가압하여 상기 몸체 및 상기 가스 밀봉 부재 사이로 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
  6. 삭제
  7. 리트렉터 몸체, 상기 리트렉터 몸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 상기 리트렉터 몸체에 결합된 한 쌍의 장착 링들을 포함하는 리트렉터;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며 수술 도구가 통과하는 가이드 포트;
    튜브, 상기 튜브의 일측단에 결합된 환형 결합 부재 및 상기 튜브의 타측단에 결합된 지지링을 포함하는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장착 링들 사이에 형성된 상기 리트렉터 몸체의 직경은 상기 장착 링들의 직경보다 크고 외부를 향해 볼록한 형상으로 돌출되며,
    상기 환형 결합 부재는 상기 리트렉터의 장착 링들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리트렉터 및 상기 슬리브가 상호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 포트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며 제1 중공을 갖는 몸체 및 상기 제1 중공과 연통 되는 제2 중공을 가지며 상기 몸체의 단부에 결합 되는 커버를 갖는 하우징, 상기 몸체 및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중공을 따라 연장되면서 직경이 축소되는 연성을 갖는 환형 형상의 가스 밀봉 부재, 상기 몸체 및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가스 밀봉 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중공을 따라 연장되고 복수개로 분할되어 상기 가스 밀봉 부재의 파손을 방지하는 리브들을 포함하는 파손 방지 부재 및 상기 몸체와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가스 밀봉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중공을 따라 연장되면서 탄성을 갖고 외력이 제거되면 밀봉되고, 상기 외력이 가해지면 밀봉이 해제되는 슬릿 형상의 절개부를 갖는 선택적 가스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원통 형상을 갖는 제1 커버부, 상기 제1 커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커버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커버부와 이격된 제2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의 공간으로는 상기 파손 방지 부재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수술 장치.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트렉터에 연통되는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는 밸브 몸체, 상기 밸브 몸체에 삽입된 밸브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작동부를 바깥쪽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밸브는 개방되는 수술 장치.
KR1020170164032A 2017-12-01 2017-12-01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 및 이를 갖는 수술 장치 KR101846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032A KR101846004B1 (ko) 2017-12-01 2017-12-01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 및 이를 갖는 수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032A KR101846004B1 (ko) 2017-12-01 2017-12-01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 및 이를 갖는 수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6004B1 true KR101846004B1 (ko) 2018-04-05

Family

ID=61977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032A KR101846004B1 (ko) 2017-12-01 2017-12-01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 및 이를 갖는 수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0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944A (ko) * 2018-04-09 2019-10-17 메카디안(주)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 및 이를 갖는 수술 장치
KR200492817Y1 (ko) * 2020-05-14 2020-12-15 윤응준 수액백용 스파이크 포트
KR20230000257U (ko) * 2021-07-26 2023-02-02 윤응준 수액백용 스파이크 포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926B1 (ko) * 2009-03-31 2010-01-18 주식회사 래보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926B1 (ko) * 2009-03-31 2010-01-18 주식회사 래보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944A (ko) * 2018-04-09 2019-10-17 메카디안(주)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 및 이를 갖는 수술 장치
KR102041572B1 (ko) * 2018-04-09 2019-11-06 메카디안(주)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 및 이를 갖는 수술 장치
KR200492817Y1 (ko) * 2020-05-14 2020-12-15 윤응준 수액백용 스파이크 포트
WO2021230440A1 (ko) * 2020-05-14 2021-11-18 윤응준 수액백용 스파이크 포트
KR20230000257U (ko) * 2021-07-26 2023-02-02 윤응준 수액백용 스파이크 포트
KR200497157Y1 (ko) 2021-07-26 2023-08-14 윤응준 수액백용 스파이크 포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6004B1 (ko)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 및 이를 갖는 수술 장치
CN100500103C (zh) 外科处理器械
JP2741830B2 (ja) 体腔内に器具を導入するための弁組立体
KR100913743B1 (ko) 멀티채널 트로카
CA2461706C (en) Improved conical trocar seal
JP4794885B2 (ja) 改良されたトロカールシール
US9017251B2 (en) Access assembly insertion device
US8968191B2 (en) Expandable access assembly including an internal thread mechanism
US20090069837A1 (en) Hand and instrument access device
EP2255719B1 (en) De-aeration prevention valve unit for an overtube
IE990795A1 (en) Hand Access Port Device
ATE363866T1 (de) Auskleidung für chirurgische wundhalterbestecke
KR100919775B1 (ko) 운드 리트랙터
CN101232857A (zh) 耳管
US20080109028A1 (en) Introducer for an Endoluminal Procedure
CA2752072A1 (en) Expandable segmented and sectioned access assembly
EP3485827A1 (en) Trocar
KR20190052209A (ko) 수술용 운드 리트랙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싱글포트
JP2006271600A (ja) トロカール装着器具
US11096558B2 (en) Endoscope cover, endoscope, and cover unit
KR20150105756A (ko) 트로카 조립체
KR101027561B1 (ko) 튜브분리형 내시경 수술도구 가이더
KR102041572B1 (ko)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 및 이를 갖는 수술 장치
KR101446257B1 (ko) 복강경 수술용 싱글 포트 트로카
CN102697441B (zh) 栓体及内窥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