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059B1 -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059B1
KR101812059B1 KR1020150131109A KR20150131109A KR101812059B1 KR 101812059 B1 KR101812059 B1 KR 101812059B1 KR 1020150131109 A KR1020150131109 A KR 1020150131109A KR 20150131109 A KR20150131109 A KR 20150131109A KR 101812059 B1 KR101812059 B1 KR 101812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incision
extension
traction devic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3146A (ko
Inventor
정창원
Original Assignee
위캔메디케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캔메디케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캔메디케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1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059B1/ko
Priority to PCT/KR2016/002969 priority patent/WO2017047887A1/ko
Publication of KR20170033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0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with antagonistic arms as supports for retractor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과수술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과수술을 위해 표피를 절개한 상태에서 절개부를 확장하여 수술도구가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하며, 탄성이 있는 확장부를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윗 부분의 고정부에 걸어줌으로써 절개부가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외과수술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개부에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확장부가 삽입되어 외과수술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확장부를 고정부에 쉽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서 수술 도중에 위치 변경이나 견인장치의 제거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외과수술용 견인장치{SURGICAL RETRACTOR}
본 발명은 외과수술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과수술을 위해 표피를 절개한 상태에서 절개부를 확장하여 수술도구가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하며, 탄성이 있는 확장부를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윗 부분의 고정부에 걸어줌으로써 절개부가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외과수술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외과수술을 위해서는 환자의 피부를 절개하여 장기나 근육에 직접적으로 시술을 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 피부를 절개한 상태에서 수술도구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절개부를 확장시켜줄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탄성이 있는 실리콘 링이나 비닐 튜브를 절개부에 넣어서 탄성에 의해 확장시키거나, 집게나 걸쇠 등을 좌우로 당겨서 절개부가 벌어지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와 관련하여 출원인은 2015년 8월 19일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2015-116534호 "외과수술용 견인장치"에서 고정부와 확장부로 구성되어 절개부위에 삽입되는 기술을 개시하였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견인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견인장치의 고정부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견인장치의 확장부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4는 견인날개를 당겨서 절개부를 확장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종래기술의 견인장치(100)는 고정부(110)와 확장부(120)로 이루어지는데, 고정부(110)는 단단한 재질로 만들어지며, 확장부(120)는 신축성이 좋은 재질로 만들어진다.
고정부(110)는 비교적 얇은 원판의 가운데가 뚫려있는 고리형 몸체(111)를 가진다. 고리형 몸체(111)의 가운데에는 원형의 관통공(112)이 형성된다.
고리형 몸체(111)의 표면에는 몇 개의 견인날개 안착부(113)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견인날개 안착부(113)에는 고정돌기(114)가 돌출 형성된다. 고정돌기(114)의 관통공(112) 반대편 표면에는 오목한 홈이 형성된다.
실리콘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확장부(120)는 고리 모양의 상부링(121) 아래쪽으로 대략 원통형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상부링(121)의 가운데에는 관통공(112)과 유사한 지름을 갖는 표피 개구부(122)가 형성된다.
상부링(121)의 바깥쪽 테두리에는 지름 방향으로 몇 개의 견인날개(123)가 돌출 형성된다. 견인날개(123)는 확장부(120)를 지름 방향의 바깥쪽으로 당겨서 표피 개구부(122)가 확장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방사상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한다. 견인날개(123)는 견인날개 안착부(113)와 같은 크기 및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탄성이 있는 견인날개(123)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지 않도록 고정돌기(114)에 의해 고정된다.
견인날개(123)에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고정홈(123a)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고정홈(123a)에는 고정돌기(114)가 관통하여 끼워지는데, 고정돌기(114)와 고정홈(123a)은 견인날개(123)가 바깥쪽으로 당겨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다.
상부링(121)의 안쪽 테두리 밑면에는 아래 방향으로 측벽(124)이 연장 형성된다. 측벽(124)은 수술 도중에 표피(200)와 만나는 부분이 된다.
측벽(124)의 제일 아랫 부분에는 하부링(125)이 형성된다. 상부링(121), 측벽(124), 하부링(125), 견인날개(123)는 모두 일체형으로 사출성형된다.
하부링(125)은 표피의 밑면에 삽입되어 확장부(120)가 수술 부위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해준다.
먼저 수술을 위해 표피를 절개한 부위에 확장부(120)를 집어넣는다. 확장부(120)는 비교적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하부링(125)을 약간 찌그러트려서 부피를 작게 한 다음, 절개부위의 표피 아래에 넣는다.
확장부(120)가 표피에 삽입된 상태에서 확장부(120)의 견인날개(123)를 안쪽으로 약간 오무려서 고정부(110)의 관통공(112)에 끼운다. 고정부(110)는 견인날개(123)이 밑면과 표피(200)의 표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견인날개(123)를 바깥쪽으로 당긴 상태에서 아래로 내려서 고정홈(123a)에 고정돌기(114)를 끼운다.
그러나 확장부를 당겨서 고정부에 고정시키는 방식은 돌기와 홈 외에도 여러 가지 방식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고정방식이 적용된다.
KR 20-1996-0003177 Y1 KR 10-2011-0058302 A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리 모양의 고정부와, 절개부 내부에 들어가서 절개부를 바깥쪽으로 확장시키는 확장부로 이루어지며, 확장부의 테두리에 형성된 견인날개를 바깥으로 당긴 상태에서 고정부에 고정시켜 확장된 절개부가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는 외과수술용 견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외과수술을 위해 표피에 형성된 절개부를 확장하는 견인장치로서, 상기 절개부의 윗면에 안착되는 고정부(310)와; 상기 고정부(310)를 통과하여 상기 절개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절개부가 벌어지도록 하는 확장부(320)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310)는 원판의 가운데에 관통공(312)이 형성된 고리형 몸체(311)와, 상기 고리형 몸체(311)의 표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313)로 이루어지며, 상기 확장부(3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견인날개(321)와, 상기 견인날개(321)에서 밑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322)과, 상기 측벽(322)의 아랫 부분에 형성되는 하부링(3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견인날개(321)에는 상기 고정돌기(313)가 삽입되는 고정홈(32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외과수술을 위해 표피에 형성된 절개부를 확장하는 견인장치로서, 상기 절개부의 윗면에 안착되는 고정부(410)와; 상기 고정부(410)를 통과하여 상기 절개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절개부가 벌어지도록 하는 확장부(420)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410)는 원판의 가운데에 관통공(412)이 형성된 고리형 몸체(411)와, 상기 고리형 몸체(411)의 표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413)로 이루어지며, 상기 확장부(4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모양의 견인날개(421)와, 상기 견인날개(421)에서 밑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422)과, 상기 측벽(422)의 아랫 부분에 형성되는 하부링(4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견인날개(421)에는 상기 고정돌기(413)가 삽입되는 고정홈(42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외과수술을 위해 표피에 형성된 절개부를 확장하는 견인장치로서, 상기 절개부의 윗면에 안착되는 고정부(510)와; 상기 고정부(510)를 통과하여 상기 절개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절개부가 벌어지도록 하는 확장부(520)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510)는 원판의 가운데에 관통공(512)이 형성된 고리형 몸체(511)와, 상기 고리형 몸체(511)의 표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513)로 이루어지며, 상기 확장부(5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견인날개(521)와, 상기 견인날개(521)에서 밑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522)과, 상기 측벽(522)의 아랫 부분에 형성되는 하부링(5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견인날개(521)에는 상기 고정돌기(513)에 걸리도록 링 모양으로 제작된 고정링(521a)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외과수술을 위해 표피에 형성된 절개부를 확장하는 견인장치로서, 상기 절개부의 윗면에 안착되는 고정부(610)와; 상기 고정부(610)를 통과하여 상기 절개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절개부가 벌어지도록 하는 확장부(620)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610)는 원판의 가운데에 관통공(612)이 형성된 고리형 몸체(611)와, 상기 고리형 몸체(611)의 표면에 설치되는 고정부버튼(61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확장부(6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견인날개(621)와, 상기 견인날개(621)에서 밑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622)과, 상기 측벽(622)의 아랫 부분에 형성되는 하부링(6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견인날개(621)에는 상기 고정부버튼(613)에 억지끼움식 또는 나사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확장부버튼(621a)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외과수술을 위해 표피에 형성된 절개부를 확장하는 견인장치로서, 상기 절개부의 윗면에 안착되는 고정부(710)와; 상기 고정부(710)를 통과하여 상기 절개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절개부가 벌어지도록 하는 확장부(720)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710)는 원판의 가운데에 관통공(712)이 형성된 고리형 몸체(711)와, 상기 고리형 몸체(711)의 바깥쪽 테두리에 오목 형성되는 고정홈(71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확장부(7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견인날개(721)와, 상기 견인날개(721)에서 밑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722)과, 상기 측벽(722)의 아랫 부분에 형성되는 하부링(7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견인날개(721)에는 상기 고정홈(713)에 걸리도록 고리 모양으로 제작된 고정고리(721a)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는 외과수술을 위해 표피에 형성된 절개부를 확장하는 견인장치로서, 상기 절개부의 윗면에 안착되는 고정부(810)와; 상기 고정부(810)를 통과하여 상기 절개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절개부가 벌어지도록 하는 확장부(820)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810)는 원판의 가운데에 관통공(812)이 형성된 고리형 몸체(811)와, 상기 고리형 몸체(811)의 바깥쪽 테두리에 깊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오목 형성되는 고정홈(81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확장부(8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견인날개(821)와, 상기 견인날개(821)에서 밑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822)과, 상기 측벽(822)의 아랫 부분에 형성되는 하부링(8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견인날개(821)에는 상기 고정홈(813)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고정끈(821a)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개부에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확장부가 삽입되어 외과수술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확장부를 고정부에 쉽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서 수술 도중에 위치 변경이나 견인장치의 제거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견인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견인장치의 고정부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견인장치의 확장부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견인날개를 당겨서 절개부를 확장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제1실시예의 견인장치의 하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제1실시예의 견인장치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제1실시예의 견인장치의 확장부를 당긴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제2실시예의 견인장치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제2실시예의 견인장치의 확장부를 당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제2실시예의 견인장치의 확장부를 당긴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제3실시예의 견인장치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15는 제3실시예의 견인장치의 확장부를 당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제3실시예의 견인장치의 확장부를 당긴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제4실시예의 견인장치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19는 제4실시예의 견인장치의 확장부를 당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0은 제4실시예의 견인장치의 확장부를 당긴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2는 제5실시예의 견인장치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23은 제5실시예의 견인장치의 확장부를 당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4는 제5실시예의 견인장치의 확장부를 당긴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6은 제6실시예의 견인장치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27은 제6실시예의 견인장치의 확장부를 당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8은 제6실시예의 견인장치의 확장부를 당긴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과수술용 견인장치"(이하, '견인장치'라 함)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제1실시예의 견인장치의 하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제1실시예의 견인장치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제1실시예의 견인장치의 확장부를 당긴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1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300)는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비교적 견고한 재질의 고정부(310)와, 실리콘과 같이 탄성이 있는 재질의 확장부(320)로 구성된다. 확장부(320)는 고정부(310)에 형성된 관통공(312)을 통해 삽입된다.
견인날개(321)의 밑에는 측벽(322)이 아래쪽으로 연장 형성되며, 끝에는 하부링(323)이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형성된다. 하부링(323)의 절개부의 표피 아래로 삽입되면서 고정된다.
확장부(320)에 형성된 견인날개(321)에는 고정돌기(313)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수의 고정홈(321a)이 형성되는데, 고정홈(321a)에는 고정부(310)의 고정돌기(313)가 삽입된다. 고정돌기(313)에 견인날개(321)를 고정시키면, 확장부(320)가 방사상으로 당겨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수술용 도구를 쉽게 넣을 수 있으면서 수술도구가 절개부의 측면에 닿아서 상처가 생기는 일을 막아준다.
제1실시예의 견인장치(300)가 종래기술의 견인장치(100)와 다른 점은 견인날개(321)의 연장 방향이다. 종래기술에서는 견인날개(123)가 방사상으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연장되었는데, 제1실시예에서는 지면에 대해서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깝게 연장된다. 확장부(320)를 절개부에 끼운 상태에서 고정부(310)를 위에서 끼워야 하는데, 종래기술과 같이 견인날개(123)가 비스듬하게 연장되면 견인날개(123)가 고리형 몸체(111)와 간섭을 일으켜서 끼우기가 힘들다.
그러나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견인날개(321)가 수직으로 연장된 경우에는 견인날개(321)와 고리형 몸체(311)의 간섭없이 쉽게 끼울 수 있다.
고정부(310)와 확장부(320)의 재질, 견인날개(321)를 당기는 방식 등은 종래기술에서와 완전히 동일하다.
제2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제2실시예의 견인장치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제2실시예의 견인장치의 확장부를 당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제2실시예의 견인장치의 확장부를 당긴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2실시예의 견인장치(400)는 앞선 제1실시예의 견인장치(300)와 대동소이한 구조를 갖는다.
즉, 고정부(410)는 가운데에 관통공(412)이 형성된 고리형 몸체(411)와, 고리형 몸체(411)의 표면에 돌출된 고정돌기(413)로 구성된다.
확장부(420)는 상단의 견인날개(421)와, 견인날개(421)의 하단으로 연장되는 측벽(422)과, 측벽(422)의 하단에 고리모양으로 형성되는 하부링(423)으로 이루어진다. 견인날개(421)에는 고정돌기(413)와 같은 위치에 같은 수의 고정홈(421a)이 형성되어 고정돌기(413)가 끼워진다.
제1실시예에서와는 달리, 확장부(420)의 상단에는 견인날개(421)가 형성되지만, 개별적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견인날개(421)는 원통형으로서, 몇 개의 고정홈(421a)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을 집도하는 의사가 견인날개(421)를 방사상으로 당기면 견인날개(421)가 원형에 가까운 형태로 벌어지면서 절개부가 노출된다. 견인날개(421)에 형성된 고정홈(421a)에 고정돌기(413)를 끼우면 확장부(420)는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3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4는 제3실시예의 견인장치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15는 제3실시예의 견인장치의 확장부를 당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제3실시예의 견인장치의 확장부를 당긴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 내지 16에 도시된 제3실시예의 견인장치(500)는 견인날개(521)를 고정하는 방식이 기존과는 약간 다르다.
제3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500)의 고정부(510)는 고리형 몸체(511)를 가지며, 고리형 몸체(511)의 가운데에는 관통공(512)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리형 몸체(511)의 표면에는 몇 개의 고정돌기(513)가 돌출 형성된다.
확장부(520)는 상단의 견인날개(521)의 아래쪽으로 측벽(522)이 연장 형성되며, 측벽(522)의 밑에는 하부링(523)이 형성된다. 하부링(523)은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이 표피 아래에 삽입, 고정된다.
견인날개(521)에는 고정돌기(513)와 같은 위치에 같은 수의 고정링(521a)이 설치된다. 고정링(521a)은 견인날개(521)와 일체형으로 사출될 수도 있지만, 별도로 제작된 부품이 고정되는 방식이 일반적일 것이다. 고정링(521a)은 원형 또는 링모양의 고리로서, 견인날개(521)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돌기(513)에 걸린다.
도 15 및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을 집도하는 의사는 고정링(521a)을 잡아당기면서 확장부(520)를 방사상으로 늘인다. 그리고 고정링(521a)을 고정돌기(513)에 걸면 확장부(520)는 늘어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수술이 끝나면 고정돌기(513)에 걸려있던 고정링(521a)을 빼면 확장부(520)가 다시 수축되면서 절개부에서 빼낼 수 있게 된다.
제4실시예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8은 제4실시예의 견인장치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19는 제4실시예의 견인장치의 확장부를 당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0은 제4실시예의 견인장치의 확장부를 당긴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4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600)는 돌기와 홈의 결합방식이 아닌 버튼방식을 사용한다.
고정부(610)는 가운데에 관통공(612)이 형성된 고리형 몸체(611)로 이루어지며, 고리형 몸체(611)의 표면에는 몇 개의 고정부버튼(613)이 형성된다.
확장부(620)는 상단의 견인날개(621)와, 견인날개(621)의 밑으로 연장되는 측벽(622)과, 측벽(622)의 밑에 형성되는 하부링(623)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유사하다.
견인날개(621)에는 고정부버튼(613)과 대응되게 확장부버튼(621a)이 형성된다. 확장부버튼(621a)은 고정부버튼(613)과 만나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수술을 집도하는 의사는 견인날개(621)를 방사상으로 늘인 후, 고정부버튼(613)과 확장부버튼(621a)을 결합하여 확장부(620)가 확장된 상태에서 고정시킨다.
고정부버튼(613)과 확장부버튼(621a)은 암수형으로 제작되는 일반적인 고정용 버튼이 사용되는데, 억지끼움식으로 끼우거나, 나사식으로 끼우는 방식 중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제5실시예
도 2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2는 제5실시예의 견인장치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23은 제5실시예의 견인장치의 확장부를 당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4는 제5실시예의 견인장치의 확장부를 당긴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5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700)는 앞선 예와 같이 고정부(710)와 확장부(720)로 구성된다.
고정부(710)는 가운데에 관통공(712)이 형성된 고리형 몸체(711)로 이루어지며, 고리형 몸체(711)의 바깥쪽 테두리에는 몇 개의 고정홈(713)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확장부(720)는 상단의 견인날개(721)와, 견인날개(721)의 밑으로 연장되는 측벽(722)과, 측벽(722)의 밑에 형성되는 하부링(723)으로 구성된다.
견인날개(721)에는 고정홈(713)에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수의 고정고리(721a)가 설치된다. 고정고리(721a)는 확장부(720)와 일체형으로 사출할 수도 있지만, 제작상의 편의나 견고한 고정을 위해서 별도로 사출하여 부착하는 방식이 일반적일 것이다. 비교적 단단한 재질의 고정고리(721a)는 고정부(710)의 바깥쪽 테두리에 형성된 고정홈(713)에 끼워진다.
수술을 집도하는 의사는 고정고리(721a)를 당겨서 고정홈(713)에 끼운다. 그러면 확장부(720)는 도 23 및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벌어지면서 수술용 도구가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수술이 끝나면 고정홈(713)으로부터 고정고리(721a)를 빼서 확장부(720)가 다시 수축되도록 한다.
제6실시예
도 2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6은 제6실시예의 견인장치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27은 제6실시예의 견인장치의 확장부를 당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8은 제6실시예의 견인장치의 확장부를 당긴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6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800)는 앞선 실시예에서와 유사한 형태의 고정부(810)와 확장부(820)로 이루어진다.
고정부(810)는 가운데에 관통공(812)이 형성된 고리형 몸체(81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고리형 몸체(811)의 바깥쪽 테두리에는 몇 개의 고정홈(813)이 형성된다. 고정홈(813)은 쐐기 모양으로 만들어져서 깊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한다.
확장부(820)는 상단의 견인날개(821)와, 견인날개(821)의 밑으로 연장되는 측벽(822)과, 측벽(822)의 밑에 형성되는 하부링(823)으로 구성된다. 하부링(823)은 절개부의 표피 아래에 끼워지면서 고정된다.
견인날개(821)에는 고정홈(813)에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수의 고정끈(821a)이 부착된다. 고정끈(821a)은 실이나 비닐, 플라스틱으로 된 줄을 의미한다. 고정끈(821a)의 일단은 견인날개(821)에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끈(821a)을 바깥쪽으로 당기면 확장부(820)가 늘어난다.
수술을 집도하는 의사는 고정끈(821a)을 방사상으로 당기면서 확장부(820)를 늘인다. 그리고 고정끈(821a)을 고정홈(813)에 끼워서 고정시킨다. 고정홈(813)은 깊이가 깊어질수록 폭이 좁아지기 때문에 고정끈(821a)을 고정홈(813)의 가장 안쪽까지 당기면 비교적 견고하게 고정이 될 수 있다.
수술이 끝나면 고정끈(821a)을 고정홈(813)의 바깥으로 빼내면 확장부(820)가 다시 원래의 상태로 수축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00, 400, 500, 600, 700, 800 : 견인장치
310, 410, 510, 610, 710, 810 : 고정부
311, 411, 511, 611, 711, 811 : 고리형 몸체
312, 412, 512, 612, 712, 812 : 관통공
320, 420, 520, 620, 720, 820 : 견인날개

Claims (6)

  1. 외과수술을 위해 표피에 형성된 절개부를 확장하는 견인장치로서,
    상기 절개부의 윗면에 안착되는 고정부(310)와;
    상기 고정부(310)를 통과하여 상기 절개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절개부가 벌어지도록 하는 확장부(320)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310)는
    원판의 가운데에 관통공(312)이 형성된 고리형 몸체(311)와, 상기 고리형 몸체(311)의 표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313)로 이루어지며,
    상기 확장부(3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견인날개(321)와, 상기 견인날개(321)에서 밑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322)과, 상기 측벽(322)의 아랫 부분에 형성되는 하부링(3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견인날개(321)에는 상기 고정돌기(313)가 삽입되는 고정홈(32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2. 외과수술을 위해 표피에 형성된 절개부를 확장하는 견인장치로서,
    상기 절개부의 윗면에 안착되는 고정부(410)와;
    상기 고정부(410)를 통과하여 상기 절개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절개부가 벌어지도록 하는 확장부(420)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410)는
    원판의 가운데에 관통공(412)이 형성된 고리형 몸체(411)와, 상기 고리형 몸체(411)의 표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413)로 이루어지며,
    상기 확장부(4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모양의 견인날개(421)와, 상기 견인날개(421)에서 밑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422)과, 상기 측벽(422)의 아랫 부분에 형성되는 하부링(4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견인날개(421)에는 상기 고정돌기(413)가 삽입되는 고정홈(42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3. 외과수술을 위해 표피에 형성된 절개부를 확장하는 견인장치로서,
    상기 절개부의 윗면에 안착되는 고정부(510)와;
    상기 고정부(510)를 통과하여 상기 절개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절개부가 벌어지도록 하는 확장부(520)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510)는
    원판의 가운데에 관통공(512)이 형성된 고리형 몸체(511)와, 상기 고리형 몸체(511)의 표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513)로 이루어지며,
    상기 확장부(5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견인날개(521)와, 상기 견인날개(521)에서 밑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522)과, 상기 측벽(522)의 아랫 부분에 형성되는 하부링(5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견인날개(521)에는 상기 고정돌기(513)에 걸리도록 링 모양으로 제작된 고정링(521a)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4. 외과수술을 위해 표피에 형성된 절개부를 확장하는 견인장치로서,
    상기 절개부의 윗면에 안착되는 고정부(610)와;
    상기 고정부(610)를 통과하여 상기 절개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절개부가 벌어지도록 하는 확장부(620)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610)는
    원판의 가운데에 관통공(612)이 형성된 고리형 몸체(611)와, 상기 고리형 몸체(611)의 표면에 설치되는 고정부버튼(61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확장부(6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견인날개(621)와, 상기 견인날개(621)에서 밑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622)과, 상기 측벽(622)의 아랫 부분에 형성되는 하부링(6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견인날개(621)에는 상기 고정부버튼(613)에 억지끼움식 또는 나사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확장부버튼(621a)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5. 외과수술을 위해 표피에 형성된 절개부를 확장하는 견인장치로서,
    상기 절개부의 윗면에 안착되는 고정부(710)와;
    상기 고정부(710)를 통과하여 상기 절개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절개부가 벌어지도록 하는 확장부(720)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710)는
    원판의 가운데에 관통공(712)이 형성된 고리형 몸체(711)와, 상기 고리형 몸체(711)의 바깥쪽 테두리에 오목 형성되는 고정홈(71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확장부(7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견인날개(721)와, 상기 견인날개(721)에서 밑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722)과, 상기 측벽(722)의 아랫 부분에 형성되는 하부링(7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견인날개(721)에는 상기 고정홈(713)에 걸리도록 고리 모양으로 제작된 고정고리(721a)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6. 외과수술을 위해 표피에 형성된 절개부를 확장하는 견인장치로서,
    상기 절개부의 윗면에 안착되는 고정부(810)와;
    상기 고정부(810)를 통과하여 상기 절개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절개부가 벌어지도록 하는 확장부(820)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810)는
    원판의 가운데에 관통공(812)이 형성된 고리형 몸체(811)와, 상기 고리형 몸체(811)의 바깥쪽 테두리에 깊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오목 형성되는 고정홈(81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확장부(8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견인날개(821)와, 상기 견인날개(821)에서 밑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822)과, 상기 측벽(822)의 아랫 부분에 형성되는 하부링(8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견인날개(821)에는 상기 고정홈(813)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고정끈(821a)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KR1020150131109A 2015-09-16 2015-09-16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KR101812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109A KR101812059B1 (ko) 2015-09-16 2015-09-16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PCT/KR2016/002969 WO2017047887A1 (ko) 2015-09-16 2016-03-24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109A KR101812059B1 (ko) 2015-09-16 2015-09-16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146A KR20170033146A (ko) 2017-03-24
KR101812059B1 true KR101812059B1 (ko) 2017-12-27

Family

ID=58289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109A KR101812059B1 (ko) 2015-09-16 2015-09-16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12059B1 (ko)
WO (1) WO20170478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570B1 (ko) * 2017-09-22 2018-05-03 김춘석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KR102168431B1 (ko) * 2017-10-24 2020-10-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능동형 견인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8478243B (zh) * 2018-05-02 2024-03-29 广西医科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肛门拉钩
CN111387930A (zh) * 2020-03-28 2020-07-10 杨庆军 医用阴道扩张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1145A (ja) 1999-10-14 2003-03-25 アトロポス・リミテッド 創傷レトラクタ
KR100919775B1 (ko) 2009-05-07 2009-10-14 (주)다림써지넷 운드 리트랙터
US20130296655A1 (en) 2009-07-21 2013-11-07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urgical access device comprising internal retract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177Y1 (ko) 1992-12-21 1996-04-17 남기석 개복수술용 견인장치
US20050020884A1 (en) * 2003-02-25 2005-01-27 Hart Charles C. Surgical access system
US8308755B2 (en) * 2007-09-24 2012-11-13 Ethicon Endo-Surgery, Inc. Elliptical retractor
KR101101184B1 (ko) 2009-11-26 2012-01-03 (주)유원메디텍 일회용 외과수술 개창 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1145A (ja) 1999-10-14 2003-03-25 アトロポス・リミテッド 創傷レトラクタ
KR100919775B1 (ko) 2009-05-07 2009-10-14 (주)다림써지넷 운드 리트랙터
US20130296655A1 (en) 2009-07-21 2013-11-07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urgical access device comprising internal retr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146A (ko) 2017-03-24
WO2017047887A1 (ko) 201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975B1 (ko)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KR101812059B1 (ko)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JP4796573B2 (ja) トロッカー用シール
KR101946908B1 (ko) 흡입 견인기
JP5788634B2 (ja) トロカールアセンブリ
US9463087B2 (en) Directional tissue expander
BR102017008109A2 (pt)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menisco repair
US20170319328A1 (en) Directional tissue expander
KR101172660B1 (ko) 복강경 수술용 운드 리트렉터
BR112018077090B1 (pt) Injetor de lente intraocular
EP2387368A1 (en) Stabilization device
KR102032510B1 (ko) 의료용 트로카
US10595876B2 (en) Punctal plug inserter tool including a penetration-resisting bearing surface and method
EP3241499A1 (en) Suture delivery and/or retrieval device
JP2011206558A (ja) 肛門若しくは直腸の診察及び手術のための肛門内視鏡
US20170181767A1 (en) Specimen removal device
CN108367108B (zh) 中空插塞
CN113631107A (zh) 套管固定装置
CN205251602U (zh) 可调式组织牵开器
BR112020001806A2 (pt) sistema adaptador compreendendo estrutura, compressa de ingrediente ativo e tampa
US11749136B2 (en) Self-contained multipurpose medical training system and components
JP6666118B2 (ja) 開創器用バルブキャップ
US20130158588A1 (en) Abdominoplasty Umbilicus Finder Device and Method
US11510677B1 (en) Loop ostomy device
KR20220167532A (ko) 외과수술용 리트렉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