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4570B1 -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4570B1
KR101854570B1 KR1020170122243A KR20170122243A KR101854570B1 KR 101854570 B1 KR101854570 B1 KR 101854570B1 KR 1020170122243 A KR1020170122243 A KR 1020170122243A KR 20170122243 A KR20170122243 A KR 20170122243A KR 101854570 B1 KR101854570 B1 KR 101854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itting
ring
surgical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석
Original Assignee
김춘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석 filed Critical 김춘석
Priority to KR1020170122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5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외과수술용 견인장치에 따르면, 수술을 위하여 절개 형성된 수술공의 주위 표피에 위치되고, 상기 수술공이 노출되는 노출공이 관통되고, 외주면이 내입되며 상하면이 관통되어 다수개의 끼움공이 형성된 고정링; 및 중앙이 관통되고 상기 수술공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링과, 상기 삽입링에서 연장되어 상기 수술공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수술공의 절개부위를 보호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끝단에 서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돌출되고 상기 끼움공에 끼워지는 끼움부 및 상기 끼움부의 끝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링의 일측면과 표피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고정링의 일측면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보호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수술을 위하여 절개 형성된 수술공을 팽창시키되, 일정부분 팽창 후, 더이상의 팽창을 방지하여 수술공의 필요이상 벌어짐과 찢어짐으로부터 보호할 뿐만 아니라, 수술공에 수술도구가 닿지 않도록 보호하고, 계속적으로 수술공의 벌어짐을 유지함에 따라 의사나 간호사의 수술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외과수술용 견인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과수술용 견인장치{SURGICAL RETRACTOR}
본 발명은 외과수술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수술 후 남는 상처를 최소화하기 위해 수술의 절개부위를 가능한 최소로 하여 수술을 시행하고 있다.
절개한 절개부위를 통해 수술을 위한 수술기구를 삽입하거나, 수술시 발생하는 적출물(장기, 혹, 암조직 등)을 꺼낸다.
그러나 절개부위를 작게 하면 할수록 그만큼 수술을 위한 공간의 확보는 부족하게 된다. 그리하여 종래에는 수술 보조자(예: 간호사)가 절개부를 직접 잡아당겨 벌리거나, 절개부 내외부를 집게 등으로 물리고 와이어를 집게에 연결하고 주변에 기구를 당겨서 묶어 절개부를 벌림으로써 수술 공간을 확보하여 수술을 행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절개부위를 벌리는 수술기구로 운드 리트렉터가 있으며, 종래의 운드 리트렉터의 경우, 그 구조 및 형상이 복잡하고, 환자의 복부의 절개부위에 삽입하여 이용할 때 기구의 상부체의 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아 수술을 위한 충분한 시야 확보 및 적출물 제거에 있어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2975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가 발명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문헌 1은 견인날개에 고정홈이 찢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즉, 고정돌기에 고정홈이 걸쳐지는데, 잡아당겨지는 힘이 고정홈의 일부분에 집중됨에 따라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은 의사나 간호사가 견인날개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고정홈을 고정돌기에 걸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92975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33146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술을 위하여 절개 형성된 수술공을 팽창시키되, 일정부분 팽창 후, 더 이상의 팽창을 방지하여 수술공의 필요 이상 벌어짐과 찢어짐으로부터 보호할 뿐만 아니라, 수술공에 수술도구가 닿지 않도록 보호하고, 계속적으로 수술공의 벌어짐을 유지함에 따라 의사나 간호사의 수술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외과수술용 견인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끼움부나 기둥부가 끼움공에 용이하게 삽입된 후, 분리되지 않도록 하며, 돌출부에 띠를 형성시킴으로써, 의료기기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외과수술용 견인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링에 절곡부가 형성됨으로써, 수술부위인 목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외과수술용 견인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링의 일측면에 걸림부와 돔부가 위치되고, 걸림부와 돔부가 표피에 직접적으로 닿으며 밀착됨으로써, 수술 중에 고정링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수술을 보다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외과수술용 견인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외과수술용 견인장치에 따르면, 수술을 위하여 절개 형성된 수술공의 주위 표피에 위치되고, 상기 수술공이 노출되는 노출공이 관통되고, 외주면이 내입되며 상하면이 관통되어 다수개의 끼움공이 형성된 고정링; 및 중앙이 관통되고 상기 수술공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링과, 상기 삽입링에서 연장되어 상기 수술공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수술공의 절개부위를 보호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끝단에 서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돌출되고 상기 끼움공에 끼워지는 끼움부 및 상기 끼움부의 끝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링의 일측면과 표피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고정링의 일측면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보호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끼움공의 폭은, 상기 끼움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는,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접힌 상태로 끼움공으로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링은, 상기 끼움공의 내부 끝단에 좌우방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내입된 내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는,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접힌 상태로 상기 끼움공으로 내입되고, 상기 내입공에서 펼쳐져 내입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끼움공과 내입공을 통과되지 않도록 상기 내입공의 폭보다 더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링은, 타측면에 상기 걸림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도록 내입되거나, 고정링의 타측면에 안착된 걸림부의 외측 끝단을 감싸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의 두께는, 잡아당겨지는 걸림부가 상기 끼움공을 통과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고정링의 일측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상기 끼움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며, 표피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끼움부는, 다수개가 돌출되되, 돌출방향으로 갈수록 또 다른 끼움부와의 이격거리가 점점 커지도록 돌출형성된 것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술을 위하여 절개 형성된 수술공의 주위 표피에 위치되고, 상기 수술공이 노출되는 노출공이 관통되고, 외주면이 내입되며 상하면이 관통되어 다수개의 끼움공이 형성된 고정링; 및 상기 수술공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링과, 상기 삽입링에서 연장되어 상기 수술공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수술공의 절개부위를 보호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끝단에 서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돌출되고 상기 끼움공에 끼워지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끝단에서 돔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링의 일측면과 표피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고정링의 일측면에 걸려 고정되는 돔부를 포함하는 보호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링은, 상기 끼움공의 내부 끝단에 상기 기둥부의 평단면과 대응되는 내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공의 폭은, 상기 기둥부의 폭보다는 작고 두께보다는 크게 형성되고, 상기 기둥부는, 상기 끼움공을 따라 억지끼움된 후, 상기 내입공에 안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돔부는, 상기 끼움공과 내입공을 통과되지 않도록 상기 내입공의 면적보다 더 넓은 단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부는, 외주면 또는 내주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측면에 다수개의 띠가 형성되고, 상기 띠 사이에 묻은 피에 의해 사용 유무를 확인하여 재활용을 방지하는 재활용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링은, 상부가 평면으로 형성된 상부평면부와, 하부가 평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상부평면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하부평면부 및 상기 상부평면부와 하부평면부의 양쪽이 상기 고정링의 일측면방향으로 절곡된 절곡평면부를 포함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수술을 위하여 절개 형성된 수술공을 팽창시키되, 일정부분 팽창 후, 더는 팽창을 방지하여 수술공의 필요 이상 벌어짐과 찢어짐으로부터 보호할 뿐만 아니라, 수술공에 수술도구가 닿지 않도록 보호하고, 계속적으로 수술공의 벌어짐을 유지함에 따라 의사나 간호사의 수술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외과수술용 견인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끼움부나 기둥부가 끼움공에 용이하게 삽입된 후, 분리되지 않도록 하며, 돌출부에 띠를 형성시킴으로써, 의료기기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외과수술용 견인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고정링에 절곡부가 형성됨으로써, 수술부위인 목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외과수술용 견인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고정링의 일측면에 걸림부와 돔부가 위치되고, 걸림부와 돔부가 표피에 직접적으로 닿으며 밀착됨으로써, 수술 중에 고정링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수술을 보다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외과수술용 견인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과수술용 견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과수술용 견인장치의 고정링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과수술용 견인장치@의 고정일을 나타낸 일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과수술용 견인장치의 보호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과수술용 견인장치의 보호부가 고정링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과수술용 견인장치의 보호부와 고정링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과수술용 견인장치의 보호부가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보호부가 고정링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보호부가 고정링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외과수술용 견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과수술용 견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과수술용 견인장치의 고정링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과수술용 견인장치@의 고정일을 나타낸 일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과수술용 견인장치의 보호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과수술용 견인장치의 보호부가 고정링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과수술용 견인장치의 보호부와 고정링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과수술용 견인장치의 보호부가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보호부가 고정링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보호부가 고정링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외과수술용 견인장치는, 고정링(10) 및 보호부(20)를 포함한다.
먼저, 고정링(10)은, 수술을 위하여 절개 형성된 수술공(2)의 주위 표피(1)에 위치된다.
이러한, 고정링(10)은, 수술공(2)이 노출되는 노출공(11)이 관통형성된다. 이때, 고정링(10)의 노출공(11)은 수술공(2) 즉, 절개된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또한, 고정링(10)은, 외주면이 내입되며 상하면이 관통되어 다수개의 끼움공(12)이 형성된다. 여기서, 끼움공(12)의 폭은, 후술할 보호부(20)의 끼움부(23) 폭보다 작게 형성되되, 끼움부(23)의 두께 2배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끼움공(12)에는 후술할 보호부(20)의 끼움부(23)가 억지끼움되되, 반 접힌 상태에서 억지끼움된다.
그리고, 고정링(10)은, 끼움공(12)의 내부 끝단에 좌우방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내입된 내입공(13)이 형성된다. 이때, 내입공(13)에는 후술할 보호부(20)의 끼움부(23)가 반 접힌 상태로 끼움공(12)에 억지끼움될 때, 끼움공(12)의 내부 끝까지 끼워지면, 접혀 끼움부(23)가 펼쳐져 끼워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반 접혀진 끼움부(23)가 자연스럽게 펼쳐질 수 있도록 끼움공(12)과 내입공(13)이 만나는 모서리는 만곡지게 필렛처리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끼움공(12)의 외측의 모서리도, 접힌 끼움부(23)가 자연스럽게 끼워질 수 있도록 만곡지게 필렛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고정링(10)은, 타측면에 후술할 걸림부(24)가 안착되는 안착홈(14)이 형성되도록 내입될 수 있다. 이때, 고정링(10)의 타측면에 안착된 걸림부(24)의 외측 끝단을 감싸는 돌기(15)가 형성된다.
이는, 걸림부(24)가 안착홈(14)에 안착되고, 외주면이 돌기(15)에 의해 감싸짐에 따라, 걸림부(24)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끼움공(12)과 내입공(13)의 내주면에는 끼워진 끼움부(23)가 빠지지 않도록 내입방향으로 경사진 톱니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링(10)은, 상부가 평면으로 형성된 상부평면부(16)와, 하부가 평면으로 형성되되 상부평면부(16)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하부평면부(17) 및 상부평면부(16)와 하부평면부(17)의 양쪽이 고정링(10)의 일측면방향으로 절곡된 절곡평면부(18)를 포함한다.
즉, 고정링(10)은 링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쪽이 일측면방향으로 절곡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고정링(10)은, 사용자의 갑상선 수술시에 둥근 목을 감쌀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호부(20)는, 수술공(2)과 고정링(10)을 연결하여 수술공(2)을 팽창시키되, 일정부분 팽창 후, 더이상의 팽창을 방지하여 수술공(2)의 필요이상 벌어짐과 찢어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보호부(20)는 수술공(2)에 수술도구가 닿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으로 수술공(2)의 벌어짐을 유지함에 따라 의사나 간호사의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보호부(20)는 탄성있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호부(20)는, 삽입링(21), 돌출부(22), 끼움부(23) 및 걸림부(24)를 포함한다.
삽입링(21)은, 중앙이 관통되고 수술공(2)의 내부로 삽입된다.
돌출부(22)는, 삽입링(21)에서 연장되어 수술공(2)의 외부로 돌출되고, 수술공(2)의 절개부위를 보호한다. 그리고 돌출부(22)는, 후술할 끼움부(23)가 끼움공(12)에 끼워짐에 따라 일정크기로 팽창된다.
끼움부(23)는, 돌출부(22)의 끝단에 서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돌출되고 끼움공(12)에 끼워진다.
또한, 끼움부(23)는,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접힌 상태로 끼움공(12)으로 끼움결합되고, 내입공(13)에서 펼쳐져 원상태로 복귀되어 고정링(10)에 고정된다.
즉, 끼움부(23)는,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접힌 상태로 끼움공(12)으로 내입되고, 내입공(13)에서 펼쳐져 내입됨에 따라 고정된다.
반대로, 고정링(10)에 고정된 끼움부(23)를 빼내기 위해서는, 내입공(13)에 삽입된 끼움부(23)를 반 접어서 끼움공(12)으로 빼내야 하는데, 매우 어렵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끼움부(23)는, 끼움공(12)과 내입공(13)에 끼워 고정시키기는 용이할 수 있으나, 분리하기에 매우 어렵기 때문에, 고정링(10)과 보호부(20)의 재사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끼움부(23)는, 다수개가 돌출되되, 돌출방향으로 갈수록 또 다른 끼움부(23)와의 이격거리가 점점 커지도록 돌출형성된다.
즉, 끼움부(23)는, 돌출될 때, 고정링(10)의 중심축 반대방향인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져 돌출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을 사용하는 의사나 간호사가 용이하게 잡고 당길 수 있다.
걸림부(24)는, 끼움부(23)의 끝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고정링(10)의 일측면과 표피(1) 사이에 위치되며 고정링(10)의 일측면에 걸려 고정된다.
이때, 걸림부(24)는, 끼움공(12)과 내입공(13)을 통과되지 않도록 내입공(13)의 폭보다 더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걸림부(24)의 두께는, 잡아당겨지는 걸림부(24)가 끼움공(12)를 통과되지 않도록 끼움부(23)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걸림부(24)는, 고정링(10)의 안착홈(14)에 안착되더라도 안착홈(14)의 깊이보다 더 두꺼운 두께로 형성됨에 따라, 고정핑의 일측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걸림부(24)가 표피(1)에 밀착됨에 따라, 수술중에 수술도구나 과정 속에서 고정링(10)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경우 고정링(10)에 대한 압박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수술후에 따른 통증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외과수술용 견인장치의 보호부(20)는 재활용방지부(27)를 더 포함한다.
재활용방지부(27)는, 외주면 또는 내주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측면에 다수개의 띠(28)가 형성되고, 띠(28) 사이에 묻은 피에 의해 사용유무를 확인하여 재활용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외과수술용 견인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되,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면 설명하고, 그 외에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외과수술용 견인장치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링(10) 및 보호부(20)를 포함한다.
고정링(10)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고정링(10)은, 끼움공(12)의 내부 끝단에 후술할 기둥부(25)의 평단면과 대응되는 내입공(13)이 형성된다.
그리고, 끼움공(12)의 폭은, 기둥부(25)의 폭보다는 작고 두께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보호부(20)는, 삽입링(21), 돌출부(22), 기둥부(25) 및 돔부(26)를 포함한다.
삽입링(21) 및 돌출부(22)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기둥부(25)는, 돌출부(22)의 끝단에 서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돌출되고 끼움공(12)에 끼워진다. 이때, 기둥부(25)는, 기둥부(25)의 폭보다 작은 끼움공(12)에 억지끼움된 후, 내입공(13)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더불어, 기둥부(25)는, 내입공(13)에 안착된 후, 폭이 더 작은 끼움공(12)으로 이동되지 않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외과수술용 견인장치를 재사용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돔부(26)는, 기둥부(25)의 끝단에서 돔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고정링(10)의 일측면과 표피(1) 사이에 위치되며 고정링(10)의 일측면에 걸려 고정된다.
이러한, 돔부(26)는, 끼움공(12)과 내입공(13)을 통과되지 않도록 내입공(13)의 면적보다 더 넓은 단면적을 갖는다.
또한, 돔부(26)의 움직임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돔부(26)의 외측을 감싸는 돌기(15)가 고정링(10)의 일측면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걸림부(24)와 돔부(26)는 의사나 간호사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끼움부(23)나 기둥부(25)를 용이하게 끼움공(12)에 끼워넣을 수 있음으로써, 수술준비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작동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표피 2 : 수술공
10 : 고정링 11 : 노출공
12 : 끼움공 13 : 내입공
14 : 안착홈 15 : 돌기
16 : 상부평면부 17 : 하부평면부
18 : 절곡평면부 20 : 보호부
21 : 삽입링 22 : 돌출부
23 : 끼움부 24 : 걸림부
25 : 기둥부 26 : 돔부
27 : 재활용방지부 28 : 띠

Claims (10)

  1. 수술을 위하여 절개 형성된 수술공의 주위 표피에 위치되고, 상기 수술공이 노출되는 노출공이 관통되고, 외주면이 내입되며 상하면이 관통되어 다수개의 끼움공이 형성된 고정링; 및
    중앙이 관통되고 상기 수술공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링과, 상기 삽입링에서 연장되어 상기 수술공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수술공의 절개부위를 보호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끝단에 서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돌출되고 상기 끼움공에 끼워지는 끼움부 및 상기 끼움부의 끝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링의 일측면과 표피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고정링의 일측면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보호부;를 포함하는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공의 폭은, 상기 끼움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는,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접힌 상태로 끼움공으로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은, 상기 끼움공의 내부 끝단에 좌우방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내입된 내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는,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접힌 상태로 상기 끼움공으로 내입되고, 상기 내입공에서 펼쳐져 내입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끼움공과 내입공을 통과되지 않도록 상기 내입공의 폭보다 더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은, 타측면에 상기 걸림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도록 내입되거나, 고정링의 타측면에 안착된 걸림부의 외측 끝단을 감싸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두께는, 잡아당겨지는 걸림부가 상기 끼움공를 통과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고정링의 일측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상기 끼움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며, 표피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다수개가 돌출되되, 돌출방향으로 갈수록 또 다른 끼움부와의 이격거리가 점점 커지도록 돌출형성된 것 특징으로 하는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7. 수술을 위하여 절개 형성된 수술공의 주위 표피에 위치되고, 상기 수술공이 노출되는 노출공이 관통되고, 외주면이 내입되며 상하면이 관통되어 다수개의 끼움공이 형성된 고정링; 및
    상기 수술공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링과, 상기 삽입링에서 연장되어 상기 수술공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수술공의 절개부위를 보호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끝단에 서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돌출되고 상기 끼움공에 끼워지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끝단에서 돔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링의 일측면과 표피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고정링의 일측면에 걸려 고정되는 돔부를 포함하는 보호부;를 포함하는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은, 상기 끼움공의 내부 끝단에 상기 기둥부의 평단면과 대응되는 내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공의 폭은, 상기 기둥부의 폭보다는 작고 두께보다는 크게 형성되고,
    상기 기둥부는, 상기 끼움공을 따라 억지끼움된 후, 상기 내입공에 안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돔부는, 상기 끼움공과 내입공을 통과되지 않도록 상기 내입공의 면적보다 더 넓은 단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9.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외주면 또는 내주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측면에 다수개의 띠가 형성되고, 상기 띠 사이에 묻은 피에 의해 사용유무를 확인하여 재활용을 방지하는 재활용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10.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은, 상부가 평면으로 형성된 상부평면부와, 하부가 평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상부평면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하부평면부 및 상기 상부평면부와 하부평면부의 양쪽이 상기 고정링의 일측면방향으로 절곡된 절곡평면부를 포함하는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KR1020170122243A 2017-09-22 2017-09-22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KR101854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243A KR101854570B1 (ko) 2017-09-22 2017-09-22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243A KR101854570B1 (ko) 2017-09-22 2017-09-22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4570B1 true KR101854570B1 (ko) 2018-05-03

Family

ID=62244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243A KR101854570B1 (ko) 2017-09-22 2017-09-22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5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7838A (ko) 2022-02-03 2023-08-1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용 상처 보호 클립 유닛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9761B2 (en) * 2006-10-26 2011-03-22 Endoscopic Technologies, Inc. Atraumatic tissue retraction device
US20110213207A1 (en) * 2006-01-05 2011-09-01 Depuy Spine, Inc. Non-rigid surgical retractor
WO2012159117A1 (en) * 2011-05-19 2012-11-22 Goldberg Roger P Soft-tissue retractor device
KR101592975B1 (ko) * 2015-08-19 2016-02-12 위캔메디케어 주식회사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KR20170033146A (ko) * 2015-09-16 2017-03-24 위캔메디케어 주식회사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13207A1 (en) * 2006-01-05 2011-09-01 Depuy Spine, Inc. Non-rigid surgical retractor
US9254126B2 (en) * 2006-01-05 2016-02-09 DePuy Synthes Products, Inc. Non-rigid surgical retractor
US7909761B2 (en) * 2006-10-26 2011-03-22 Endoscopic Technologies, Inc. Atraumatic tissue retraction device
WO2012159117A1 (en) * 2011-05-19 2012-11-22 Goldberg Roger P Soft-tissue retractor device
KR101592975B1 (ko) * 2015-08-19 2016-02-12 위캔메디케어 주식회사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KR20170033146A (ko) * 2015-09-16 2017-03-24 위캔메디케어 주식회사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7838A (ko) 2022-02-03 2023-08-1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용 상처 보호 클립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30142B2 (ja) 手術用トロカール
JP4021552B2 (ja) 手術器具を密閉するためのシールアセンブリおよびそのシールアセンブリを備えた手術用トロカール
US11272912B2 (en) Surgical dilator, retractor and mounting pad
US8480704B2 (en) Surgical dilator, retractor and mounting pad
US8414483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access into a body cavity
EP1340467B1 (en) A cavity retaining tool for general surgery
US5443484A (en) Trocar and method for endoscopic surgery
EP2462883B1 (en) Expandable surgical access port
CN105592809B (zh) 交换器外科手术进入端口组件及使用方法
US20160030081A1 (en) Method for anchoring and sealing a cannula assembly to the body of a patient
US20130085512A1 (en) Meniscal root attachment repair
JP2010510863A (ja) 繊細な組織に使用する手術用アクセス器具
US11572906B2 (en) Trocar packaging clip
JP2011161234A (ja) 拡張性胸部アクセスポート
KR101022754B1 (ko) 운드 리트랙터를 겸비한 멀티채널 트로카
KR20040025699A (ko) 의료용 처치 용구
KR101866488B1 (ko) 복강경 수술용 운드 리트랙터
JP2004530492A (ja) 医療用固定器とこの固定器を配置するためのデバイスとを備えてなるキット
KR20190052209A (ko) 수술용 운드 리트랙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싱글포트
US20130253276A1 (en) Surgical access device and wound protector
KR101854570B1 (ko)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KR101618194B1 (ko) 리프팅용 봉합사
JP4623067B2 (ja) 医療用処置用具
KR200445693Y1 (ko) 내시경 수술용 투관침
US20230255662A9 (en) Medical access device having a guard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