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0325A - 음향적으로 분리된 윈도우 리프터용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음향적으로 분리된 윈도우 리프터용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0325A
KR20190040325A KR1020197008719A KR20197008719A KR20190040325A KR 20190040325 A KR20190040325 A KR 20190040325A KR 1020197008719 A KR1020197008719 A KR 1020197008719A KR 20197008719 A KR20197008719 A KR 20197008719A KR 20190040325 A KR20190040325 A KR 20190040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ositive locking
drive
carrie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1239B1 (ko
Inventor
롤랜드 칼프
가브리엘레 랑게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filed Critical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Publication of KR20190040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7Motor units therefor, e.g. geared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05F11/481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 E05F11/48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10Covers; Hou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34Electro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8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부품, 특히 윈도우 리프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장치를 위한 구동 장치(1)에 관한 것으로, 이 구동 장치는, 캐리어 요소(4), 모터 유닛(8)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동력 전달 요소, 및 캐리어 요소(4)에 배치되고, 동력 전달 요소(6)를 회전 축선(D)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탱하기 위한 베어링 요소(72)를 갖는 구동 하우징(7)을 포함한다. 캐리어 요소(4)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포지티브 잠금 요소(43)를 가지며, 구동 하우징(7)은 적어도 하나의 제 2 포지티브 잠금 요소(71)를 가지며, 이들 잠금 요소는 회전 방지 고정 작용을 위해 서로 결합한다. 탄성 감쇠 요소(51)가 적어도 하나의 제 1 포지티브 잠금 요소(43)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포지티브 잠금 요소(71)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포지티브 잠금 요소(43)와 하나의 제 2 포지티브 잠금 요소(71)가 제 1 부하 상태에서 탄성 감쇠 요소(51)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공간적 방향을 따라 감쇠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지지되고 하지만 제 1 부하 상태에 비해 증가된 제 2 부하 상태에서는 서로 접촉하도록 작용한다. 이렇게 해서, 조립하기가 특히 쉽고 또한 작동 중에 유리한 작동 거동을 가질 수 있는 구동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음향적으로 분리된 윈도우 리프터용 구동 장치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차량 부품, 특히 윈도우 리프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장치를 위한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류의 구동 장치는 캐리어 요소, 모터 유닛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동력 전달 요소, 예컨대, 구동 기어, 및 캐리어 요소에 배치되고 동력 전달 요소를 회전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탱하기 위한 베어링 요소를 갖는 구동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종류의 구동 장치는 특히 윈도우 리프터의 구성품일 수 있고, 그래서 창 유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 종류의 구동 장치는 일부 다른 조절 가능한 요소, 예컨대, 차량의 슬라이딩 루프(loop)의 형태로 된 커버 요소 등을 조절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윈도우 리프터의 경우, 예컨대, 하나 이상의 안내 레일이 도어 모듈의 어셈블리 캐리어에 배치될 수 있고, 그 안내 레일 상에는 각 경우, 창 유리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의 구동기가 안내된다. 구동기는 예컨대 가요성 견인 케이블(인장력을 (배타적으로) 전달하도록 설계되어 있음)에 의해 구동 장치에 연결되고, 케이블 드럼의 회전 운동 동안에 견인 케이블이 일 단부로 케이블 드럼에 감기고 또한 다른 단부로는 그 케이블 드럼에서 풀리도록, 견인 케이블이 케이블 드럼에 배치된다. 따라서, 견인 케이블로 형성되는 케이블 루프의 변위가 발생하고, 이에 대응하여 구동기가 각각 관련된 안내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래서, 예컨대, 차량의 측면 도어의 창 유리를 열거나 닫기 위해, 창 유리가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종류의 구동 장치는 일반적으로 창 유리를 조절하기 위한 충분히 높은 토크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여기서의 의도는, 구동 장치가 작은 구조 공간을 가질 수 있고 예컨대 관련된 캐리어 요소, 예컨대 도어 모듈의 어셈블리 캐리어에 쉽게 장착될 수 있으며 또한 작동 중에 편리한 작동 특성을 가지며 또한 예컨대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에서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하는 것이다.
DE 10 2004 044 863 A1에 알려져 있는, 차량의 조절 장치를 위한 구동기의 경우, 케이블 드럼이 구동 하우징의 베어링 돔에 배치되고, 구동 하우징은 스크류 형태의 체결 요소로 어셈블리 캐리어 형태의 캐리어 요소에 연결된다.
여기서 설명하는 종류의 구동 장치의 경우, 전기 구동기가 구동 하우징을 통해 캐리어 요소, 예컨대 도어 모듈의 어셈블리 캐리어에 배치된다. 여기서, 작동 중에 토크가 케이블 드럼에 전달되고 또한 이 드럼을 통해 조절 대상인 조절 가능한 부품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전기 구동기가 캐리어 요소에 고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구동기는 캐리어 요소에 회전 안되게 체결되어야 한다. 특히, 토크(구동기와 캐리어 요소 사이에 (또한) 작용함)는 효과적인 방식으로 차단되어 소산되는 것이 필요하다.
작동 중에, 구동기에 진동 여기(excitation)가 일어날 수 있는데, 이 진동 여기는 예컨대 도어 모듈의 부품의 음향적 여기를 유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구동 장치의 작동 중에 과도한 소음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진동 여기적인 부품, 특히 전기 구동기는, 여기되어 진동할 수 있는 구조체 및 부품으로부터 음향적으로 분리되어야 하며, 그래서, 작동 중에 구동 장치가 배치되는 도어 모듈 또는 몇몇 다른 어셈블리에서 진동 여기가 발행하지 않거나 또는 적어도 감소된 진동 여기만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기 구동기는 이 구동기가 배치되는 캐리어 요소로부터 음향적으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또한, 구동 장치는 적은 수의 조립 단계로 쉽게 조립될 수 있고 또한 캐리어 요소가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하기가 특히 쉽고 또한 작동 중에 편리한 작동 특성을 가질 수 있는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의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주제로 달성된다.
따라서, 캐리어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포지티브 잠금 요소를 가지며, 구동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제 2 포지티브 잠금 요소를 가지며, 이들 잠금 요소는 회전 방지 고정 작용을 위해 서로 결합하고, 탄성 감쇠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제 1 포지티브 잠금 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포지티브 잠금 요소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포지티브 잠금 요소와 하나의 제 2 포지티브 잠금 요소가 제 1 부하 상태에서 탄성 감쇠 요소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공간적 방향을 따라 감쇠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지지되고 하지만 제 1 부하 상태에 비해 증가된 제 2 부하 상태에서는 서로 접촉하도록 작용한다.
구동 하우징은, 예컨대 중심 체결 요소에 의해 캐리어 요소, 예컨대 도어 모듈의 어셈블리 캐리어에 유지되고, 그 체결 요소는 동력 전달 요소를 지탱하는 베어링 요소를 통해 체결을 이룬다. 따라서, 캐리어 요소에 대한 구동 하우징의 체결은 하나의(단일의) 중심 체결 요소, 예컨대 스크류 요소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어, 간단한 조립이 실현될 수 있다.
하나의 체결 요소에 의한 그러한 중심 체결의 경우에, 회전 방지 고정 작용을 발생시키기 위해, 구동 하우징과 캐리어 요소 사이에 작용하는 토크를 차단하여 소산시키도록 설계된 회전 방지 고정 장치가 제공된다. 이 회전 방지 고정 장치에 의해, 구동 하우징은 회전 축선 주위로 회전 안 되게 캐리어 요소에 유지된다.
구동 하우징을 통한 캐리어 요소의 진동의 여기를 적어도 줄이기 위해, 회전 방지 고정 장치는 구동 하우징과 캐리어 요소 사이에 작용하는 탄성 감쇠 요소를 갖는다. 따라서 회전 방지 고정 작용은, 구동 하우징과 캐리어 요소 사이의 천이를 탄성적으로 감쇠시키는 탄성 감쇠 요소에 의해 실현되며, 그래서 회전 방지 고정 장치를 통해 캐리어 요소에 진동 여기가 일어나지 않거나 또는 적어도 단지 감소된 진동 여기만 일어날 수 있다.
회전 방지 고정 장치는, 캐리어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포지티브 잠금 요소 및 구동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포지티브 잠금 요소로 형성된다. 포지티브 잠금 요소들은 회전 축선으로 부터 이격되어 있고, 그래서 서로 결합함으로써, 토크를 받아서 지지하기에 적합하다. 탄성 감쇠 요소는 관련된 제 1 포지티브 잠금 요소 및 관련된 제 2 포지티브 잠금 요소 사이에 작용하고, 이렇게 해서, 적어도 제 1 부하 상태(통상적인 보통의 부하 하의 상태에 대응할 수 있음)에서, 포지티브 잠금 요소 사이의 감쇠 작용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이 경우, 포지티브 잠금 요소들의 상호 결합은, 높은 부하, 즉 제 2 부하 상태(부하는 제 1 부하 상태에서 보다 높음)에서, 포지티브 잠금 요소들이 서로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탄성 감쇠 요소의 과도한 압축이 회피될 수 있고, 그래서 탄성 감쇠 요소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고 또한 탄성 감쇠 요소의 수명이 길어질 수 있다.
포지티브 잠금 요소 중의 하나, 즉 제 1 포지티브 잠금 요소 또는 제 2 포지티브 잠금 요소는 바람직하게 포지티브 잠금 핀을 갖는다. 예컨대, 캐리어 요소는 상기 종류의 포지티브 잠금 핀을 가질 수 있고, 이 핀은 캐리어 요소의 표면 부분으로부터 돌출한다. 그리고 각각의 다른 포지티브 잠금 요소는 포지티브 잠금 개구를 가지며, 이 개구 안으로 포지티브 잠금 핀이 결합한다. 예컨대, 구동 하우징의 제 2 포지티브 잠금 잠금 요소는 상기 종류의 포지티브 잠금 개구를 가질 수 있고, 캐리어 요소의 포지티브 잠금 핀이 그 개구와 결합한다.
회전 방지 고정 장치는, 한 부품의 포지티브 잠금 핀이 다른 부품의 포지티브 잠금 개구 안에 결합하여 작용한다. 상기 종류의 포지티브 잠금 핀이 예컨대 캐리어 요소에 배치될 수 있고 구동 하우징의 포지티브 잠금 개구에 결합할 수 있다. 반대로, 포지티브 잠금 핀은 구동 하우징에 배치될 수 있고 캐리어 요소의 포지티브 잠금 개구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방지 고정 작용은, 포지티브 잠금 결합으로 실현되며, 그래서 구동 하우징은 회전 축선 주위에 작용하는 토크를 받아 소산시키기 위해 캐리어 요소에 대해 포지티브 잠금식으로 고정된다.
포지티브 잠금 핀과 포지티브 잠금 개구 사이의 결합은 회전 축선으로부터 반경으로 이격되어 있는 지점에서 일어나고, 그래서 토크가 효과적인 방식으로 상기 결합에 의해 수용되어 소산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쌍의 포지티브 잠금 핀 및 포지티브 잠금 개구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래서 회전 방지 고정 작용은, 포지티브 잠금 핀이 회전 축선 주위의 복수의 지점에서 관련 포지티브 잠금 개구에 결합함으로써 제공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각 포지티브 잠금 핀은 예컨대 중심 원통형(핀형) 부분을 가지며, 이 부분에는 탄성 감쇠 요소가 배치된다. 여기서, 중심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감쇠 요소로 덮히며, 그래서 탄성 감쇠 요소는 포지티브 잠금 핀과 포지티브 잠금 개구의 벽 사이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고, 그래서 포지티브 잠금 개구 안으로의 포지티브 잠금 핀의 결합이 음향적으로 감쇠된다.
탄성 감쇠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탄성 재료, 예컨대 탄성 중합체 또는 고무 재료로 만들어진다. 탄성 감쇠 요소는 특히 캐리어 요소와 구동 하우징 보다 (상당히) 더 큰 탄성(즉, 더 낮은 강직성)을 가지며, 그 캐리어 요소와 구동 하우징은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지민 강성적인 구조를 갖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포지티브 잠금 핀은 예컨대 핀의 형태로 된 치크(cheek) 부분을 가질 수 있고, 이 부분은 중심 부분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해 있고 또한 중심 부분의 회전 축선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치크 부분은 탄성 감쇠 요소의 탄성 웨브에 안접하고, 탄성 웨브는 바람직하게 치크 부분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해 있고, 포지티브 잠금 개구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는 쉘 표면에 지탱되며, 그래서 포지티브 잠금 핀은 탄성 웨브를 통해 포지티브 잠금 개구 안에서 반경 방향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포지티브 잠금 핀과 포지티브 잠금 개구를 둘러싸는 쉘 표면 사이의 천이부가 감쇠되며, 그래서 진동은 감쇠 방식으로만 구동 하우징으로부터 캐리어 요소에 전달될 수 있다.
포지티브 잠금 핀은 바람직하게는 중심 부분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분산되어 있는 복수의 치크 부분을 가지며, 탄성 감쇠 요소는 치크 부분 사이에 결합하는 복수의 웨브를 갖는다. 각 치크 부분은 한쌍의 웨브 사이에 수용되며, 그래서 각 포지티브 잠금 핀은, 중심 부분 주위에 분산되어 있는 탄성 웨브를 통해, 포지티브 잠금 개구를 둘러싸는 쉘 표면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지지된다. 이렇게 해서, 회전 축선에 수직인 평면에서의 감쇠가 제공되고, 이에 의해, 병진적으로 또한 회전적으로 작용하는 힘과 모멘트 모두가 차단되고 소산되며 감쇠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치크 부분을 통해, 구동 하우징에 과도하게 강한 진동이 일어나는 경우, 포지티브 잠금 핀이 치크 부분을 통해 포지티브 잠금 개구를 형성하는 체결 장치의 쉘 표면과 접촉함으로써, 탄성 감쇠 요소의 과도한 압축이 방지될 수 있다. 포지티브 잠금 핀의 치크 부분과 포지티브 잠금 개구의 내주 쉘 표면 사이에 존재하는 유격에 의해, 또한 탄성 감쇠 요소의 웨브를 통해 포지티브 잠금 핀이 포지티브 잠금 개구 안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됨으로써, 캐리어 요소에서의 진동 여기의 감쇠가 실현되고, 탄성 감쇠 요소의 최대 압축은 상기 유격에 의해 미리 규정된다. 유격을 초과하는 포지티브 잠금 핀에서의 포지티브 잠금 핀의 상대 운동을 유발하는 강한 진동의 존재 하에서(제 2 부하 상태에서), 치크 부분 중의 적어도 하나는 쉘 표면과 접촉하고, 그래서 탄성 감쇠 요소의 추가 압축이 방지된다. 이리하여, 구동 장치의 수명에 걸쳐 탄성 감쇠 요소의 탄성의 (과도한) 악화가 회피될 수 있고, 그래서 구동 장치의 수명에 걸쳐 감쇠 특성이 유지된다.
상기 탄성 감쇠 요소는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 축선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정면에서 상기 중심 부분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는 헤드 부분을 갖는다. 포지티브 잠금 핀이 예컨대 캐리어 요소의 표면 부분에 배치되고 중심 부분이 그 표면 부분으로부터 돌출하면, 탄성 감쇠 요소는 그의 헤드 부분으로, 표면 부분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정면에서 중심 부분과 겹치게 된다. 따라서, 축방향으로, 탄성 감쇠 요소는 포지티브 잠금 핀과 포지티브 잠금 개구의 기부 사이의 중간 위치를 취하게 되며, 추가로, 예컨대 스터드의 형태로 된 스페이서 요소가 헤드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그 스페이서 요소에 의해, 포지티브 잠금 핀과 포지티브 잠금 개구의 기부 사이의 공차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포지티브 잠금 핀의 치크 부분과 포지티브 잠금 개구의 기부 사이의 공차 보상 및 축방향으로의 탄성 유격이 스페이서 요소에 의매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감쇠 요소는 시일링 요소의 시일링 링과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시일링 링은 구동 하우징과 캐리어 요소 사이의 천이부를 습기 차단 방식으로 시일링하는 역할을 하고, 탄성 감쇠 요소는, 일체적인 시일링 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예컨대 탭(tab)을 통해 시일링 링에 연결된다. 시일링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탄성적인 압축 가능한 재료, 예컨대 탄성 중합체 또는 고무 재료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감쇠 요소는 시일과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특정한 실시 형태에서, 구동 장치는 케이블 드럼, 및 상기 구동 하우징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캐리어 요소의 일측에 배치되는 케이블 출구 하우징을 갖는다. 케이블 출구 하우징은 상기 케이블 드럼을 회전 축선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탱하기 위한 베어링 요소를 형성하고, 그래서 케이블 드럼은 케이블 출구 하우징에 의해 캐리어 요소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다.
그리하여, 여기서, 체결 요소가 예컨대 한 베어링 요소로부터 다른 베어링 요소 안으로 나사 결합되고 이렇게 해서 케이블 출구 하우징이 구동 하우징에 대해 지탱됨으로써, 체결 요소는 케이블 출구 하우징의 베어링 요소와 구동 하우징의 베어링 요소 사이에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 하우징은 케이블 출구 하우징에 의해 캐리어 요소에 고정되고, 감쇠 작용으로 작용하는 회전 방지 고정 장치는 구동 하우징에 대한 토크를 받는 역할을 한다.
베어링 요소들이 케이블 드럼과 동력 전달 요소에 대한 공통의 회전 축선을 규정하도록, 케이블 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지탱되는 케이블 출구 하우징의 베어링 요소 및 동력 전달 요소가 회전 회전 가능하게 지탱되는 구동 하우징의 베어링 요소는 서로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캐리어 요소의 한 제 1 측에 있는 케이블 출구 하우징 및 캐리어 요소의 다른 제 2 측에 있는 구동 하우징이 하나의(단일의) 체결 요소(베어링 요소 사이에 작용함)에 의해 서로에 체결되고 또한 그래서 캐리어 요소에 고정되기 때문에, 매우 간단한 조립이 실현된다. 특히, 케이블 출구 하우징 및 구동 하징이 체결 요소, 예컨대 스크류 요소에 의해 서로에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지탱되도록, 조립 공정에서, 케이블 출구 하우징은 일측에서 캐리어 요소에 장착될 수 있고 구동 하우징은 다른 측에서 캐리어 요소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 요소는 한 베어링 요소로부터 다른 베어링 요소 안으로 결합할 수 있고, 그리하여 베어링 요소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베어링 요소에 의해, 일측의 케이블 출구 하우징 및 다른 측의 구동 하우징이 서로에 고정된다.
차량의 작동 장치에서, 케이블 드럼은 예컨대 습식 공간에서 차량 측면 도어에 배치되고, 구동 장치의 모터 유닛은 건식 공간에 배치된다. 습식 공간과 건식 공간 사이의 분리는 도어 모듈의 캐리어 요소(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짐), 예컨대 어셈블리 캐리어에 의해 제공된다. (단일의) 중심 체결 요소를 이용하여 케이블 출구 하우징을 캐리어 요소의 일측에 장착하고 또한 구동 하우징을 캐리어 요소의 다른 측에 장착함으로써, 이러한 종류의 습식-건식 공간 분리를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고, 이때 이 습식-건식 공간 분리는 일측에서 다른 측까지 결합하는 체결 요소에 의해 악화되지 않는다.
케이블 드럼을 지탱하기 위한 베어링 요소는 예컨대 원통형 베어링 돔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돔은 케이블 출구 하우징의 기부로부터 돌출한다. 또한, 케이블 드럼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캐리어 요소의 측에서 동력 전달 요소를 지탱하는 역할을 하는 구동 하우징의 베어링 요소는 구동 하우징에서 원통형 베어링 돔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체결 요소에 의해, 베어링 돔은 축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지탱되고, 이렇게 해서, 일측에 있는 케이블 출구 하우징 및 다른 측에 있는 구동 하우징은 캐리어 요소에 고정된다.
케이블 출구 하우징의 베어링 요소와 구동 하우징의 베어링 요소 사이에 작용하는 체결 요소에 의해, 케이블 출구 하우징과 구동 하우징(캐리어 요소가 사이에 있음)은 축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고정되고, 또한 서로에 대해 지탱되어 캐리어 요소에 체결된다. 케이블 출구 하우징에 지탱되는 케이블 드럼을 통해, 토크가 케이블 출구 하우징에 작용할 수 있고, 구동 하우징의 베어링 요소에 장착되는 동력 전달 요소를 통해, 토크가 구동 하우징에 작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구동 하우징과 마찬가지로 케이블 출구 하우징은 구동 장치의 작동 동안에 캐리어 요소에 대해 또한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없어야 한다. 그러므로, 회전 방지 고정 작용이 (또한) 일측의 케이블 출구 하우징과 캐리어 요소 사이에 또한 다른 측의 구동 하우징과 캐리어 요소 사이에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부분(이에 의해 케이블 출구 하우징의 기부가 캐리어 요소에 연결됨)이 회전 안 되게 캐리어 요소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부분의 발부 또는 캐리어 요소에 포지티브 잠금 요소가 제공될 수 있고, 케이블 출구 하우징이 장착되면, 그 포지티브 잠금 요소는 각각의 다른 부품(즉, 캐리어 요소 또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부분의 발부)에 있는 포지티브 잠금 개구와 결합한다. 따라서, 포지티브 잠금 요소가 포지티브 잠금 개구에 결합하여, 회전 방지 고정 작용이 케이블 출구 하우징과 캐리어 요소 사이에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부분이 케이블 출구 하우징의 베어링 요소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따라서 케이블 드럼이 회전 가능한 회전 축선 외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토크가 편리한 방식으로 차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부분에 의해, 이 경우 케이블 출구 하우징은 축방향으로 캐리어 요소에 지지되고, 또한 구동 하우징과 케이블 출구 하우징의 축방향 지탱으로, 캐리어 요소에 대해서도 지탱된다. 체결 요소의 지탱력은 적어도 하나의 히우징 부분을 통해 캐리어 요소에 지지된다.
케이블 출구 하우징과 구동 하우징 모두는 포지티브 잠금식으로 또한 회전 안 되게 캐리어 요소에 고정될 수 있다. 이 포지티브 잠금은, 케이블 출구 하우징이 캐리어 요소의 일측에 장착되고 구동 하우징이 캐리어 요소의 다른 측에 장착될 때,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목적으로 별도의 조립 단계가 필요 없고 또한 예컨대 스크류 요소 형태의 추가 체결 요소가 부착될 필요가 없다. 케이블 출구 하우징과 구동 하우징의 서로에 대한 (축방향) 고정은 바람직하게는 배타적으로 체결 요소에 의해 실현되고, 이 체결 요소는 중심에서 케이블 출구 하우징의 베어링 요소와 구동 하우징의 베어링 요소 사이에 작용한다.
이하, 본 발명이 기초하는 개념을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근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구동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1b는 다른 방향에서 본 도 1a에 따른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캐리어 요소에 장착되기 전의 케이블 출구 하우징을 나타낸다.
도 3은 캐리어 요소에 장착되기 전의 케이블 출구 하우징의 다른 도를 나타낸다.
도 4a는 캐리어 요소에 있는 케이블 출구 하우징을 나타낸다.
도 4b는 도 4a에 따른 배치의 확대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케이블 출구 하우징을 아래쪽에서 비스듬히 본 것이다.
도 6은 케이블 출구 하우징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에 따른 A-A 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내고, 케이블 출구 하우징은 캐리어 요소에 장착되어 있다.
도 9는 구동 하우징을 갖는 케이블 출구 하우징이 체결 요소에 의해 지탱되기 전에 있는, 도 4a에 따른 B-B 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캐리러 요소에 있는 시일링 요소를 나타낸다.
도 11은 캐리어 요소 자체를 나타낸다.
도 12는 케이블 출구 하우징이 배치되어 있는 캐리어 요소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3a는 시일링 요소 자체를 나타낸다.
도 13b는 시일링 요소의 다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시일링 요소가 배치되어 있는 구동 하우징을 나타낸다.
도 15는 구동 하우징 쪽을 향하는 측에서 본 캐리어 요소의 도를 나타낸다.
도 16a는 도 15에 따른 C-C 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내고, 구동 하우징은 캐리어 요소에 장착되어 있다.
도 16b는 도 16a에 따른 A 부분의 상세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16c는 도 15에 따른 D-D 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7은 구동 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8a는 도 17에 따른 E-E 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8b는 도 18a에 따른 A 부분의 상세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18c는 도 18b에 따른 F-F 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9는 윈도우 리프터의 형태로 된 차량의 조절 장치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a, 1b 내지 18a - 18c는 구동 장치(1)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이 구동 장치는 예컨대 차량측 도어의 창 유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장치의 구동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9에 도시되어 있는 윈도우 리프터의 형태되어 있는 상기 종류의 조절 장치가 예컨대 한 쌍의 안내 레일(11)을 가지며, 이 안내 레일 상에서 각 경우 구동기(12)(창 유리(13)에 연결됨)가 조절될 수 있다. 각 구동기(12)는 견인 케이블(10)(인장력을 (배타적으로) 전달하도록 설계되어 있음)에 의해 구동 장치(1)에 연결되어 있고, 견인 케이블(10)은 폐쇄된 케이블 루프(loop)를 형성하고, 이러한 목적으로, 단부에서 구동 장치(1)의 케이블 드럼(3)(예컨대 도 1a 및 1b 참조)에 연결된다. 견인 케이블(10)은 구동 장치(1)로부터 안내 레일(11)의 하단부에 있는 전환 롤러(110) 주위를 지나 구동기(12)로 가고 또한 이 구동기(12)로부터 안내 레일(11)의 상단부에 있는 전환 롤러(111) 주위를 지나 다시 구동 장치(10)에 이른다.
작동 중에, 견인 케이블(10)이 일 단부로 케이블 드럼(3) 상에 감기고 다른 단부로는 케이블 드럼(3)에서 풀리도록, 구동 장치(1)의 모터 유닛이 케이블 드럼(3)을 구동시킨다. 따라서, 견인 케이블(10)에 의해 형성되는 케이블 루프는 자유롭게 연장되어 있는 케이블 길이의 변화 없이 변위되며, 그래서, 구동기(12)는 안내 레일(11) 상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고 따라서 창 유리(13)가 안내 레일(11)을 따라 조절된다.
도 19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윈도우 리프터는 도어 모듈의 어셈블리 캐리어(4)에 배치된다. 어셈블리 캐리어(4)는 예컨대 차량 도어의 도어 내부 패널에 고정되도록 제공되고, 어셈블리 캐리어(4)에 배치되는 윈도우 리프터와 예비 조립된 차량 도어에 장착될 수 있는 예비 조립된 유닛을 구성한다.
구동 장치(1)는 캐리어 요소(4)의 표면 부분(40)에 배치되고, 캐리어 요소는 예컨대 어셈블리 캐리어로 실현되고, 구동 장치는 캐리어 요소(4)의 제 1 측에 배치되는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을 가지며, 또한 캐리어 요소(4)의 제 2 측(제 1 측으로부터 벗어나 있음)에 배치되는 구동 하우징(7)을 갖는다.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은 케이블 드럼(3)을 캐리어 요소(4) 상에 지탱하는 역할을 하고, 구동 하우징(7)은 구동 기어(6)의 형태로 된 동력 전달 요소를 에워싸고, 이는 모터 유닛(8)으로 구동될 수 있고, 또한 케이블 드럼(3)이 구동 기어(6)의 회전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케이블 드럼(3)에 연결된다.
캐리어 요소(4)의 제 1 측에 있는 케이블 드럼(3)은, 의도 대로 예컨대 차량의 차량 도어에 배치될 때, 차량 도어의 습식 공간에 배치된다. 이와는 달리, 구동 하우징(7)은 차량 도어의 건식 공간에 위치된다. 습식 공간과 건식 공간 사이의 분리는 캐리어 요소(4)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구동 기어(6)와 케이블 드럼(3) 사이의 계면은 습기 차단 방식으로 시일링되고, 그래서 습기가 습식 공간으로부터 건식 공간 안으로 들어갈 수 없다.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은 기부(20), 중심에서 기부(20)로부터 돌출해 있고 베어링 돔의 형태로 되어 있는 원통형 베어링 요소(22), 및 베어링 요소(22)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원통형 베어링 요소(22)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하우징 웨브의 형태로 되어 있는 하우징 부분(21)을 갖는다. 케이블 드럼(3)은 베어링 요소(22)에 회전 가능하게 지탱되고, 여기서, 케이블 드럼(3)이 캐리어 요소(4)에 유지되도록 케이블 출구 하우징(2)에 의해 에워싸여 있다.
케이블 드럼(3)은 본체(30)를 가지며, 또한 이 본체(30)의 원주 방향 쉘 표면에서 케이블 홈(300)을 가지며, 이 케이블 홈은 본체(30)에 형성되어 있고 견인 케이블(10)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내부 기어(31)로, 케이블 드럼(3)은 캐리어 요소(4)의 개구(41) 안으로 삽입되고 또한 구동 기어(6)에 함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래서 구동 기어(6)의 회전 운동이 케이블 드럼(3)의 회전을 일으키게 된다.
구동 기어(7)는, 시일링 요소(5)의 개재로 캐리어 요소(4)의 다른 제 2 측에 장착되며 하우징 포트(pot)(70)를 가지며, 이 하우징 포트에는 베어링 요소(72)가 중심에 형성되어 있고, 베어링 요소는 원통형 베어링 돔의 형태로 되어 있고, 이 돔은 구동 기어(6)의 개구(62)를 통해 결합하고 그래서 구동 기어(6)를 회전 가능하게 지탱한다. 하우징 포트(70)는 웜 하우징(74)과 인접하고, 이 하우징 안에는 구동 웜(81)이 있고, 이 구동 웜은 모터 유닛(8)의 전기 모터(80)의 구동축(800)에 함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웜 치부에 의해 구동 기어(6)의 본체(60)의 외부 치부(600)와 맞물린다. 구동 축(800)은 전기 모터(80)로부터 벗어나 있는 단부에 있는 베어링(82)에 의해 웜 하우징(74) 안에서 지탱된다. 여기서, 전기 모터(80)는 구동 하우징(7)의 모터 포트(73) 안에 위치하고, 이는 하우징 커버(75)에 의해 외부에 대해 폐쇄된다.
구동 하우징(7)은 또한 전자 장치 하우징(76)을 가지며, 이 하우징 안에는, 전자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회로 기판(760)이 내장된다. 전자 장치 하우징(76)은 하우징 판(761)에 의해 외부에 대해 폐쇄되어 있고, 하우징 판에는, 회로 기판(760)의 전자 장치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플러그 커넥터(762)가 배치되어 있다.
구동 기어(6)는, 본체(60)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외부 치부(610)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 기어(61)를 가지며, 내부 기어(31)의 내부 치부(310)(예컨대 도 1b 참조)가 연결 기어(61)의 외부 치부(610)와 맞물리도록, 외부 치부는 케이블 드럼(3)의 내부 기어(31)와 결합한다. 이렇게 해서, 구동 기어(6)를 구동시키면 케이블 드럼(3)이 캐리어 요소(4) 상에서 회전하도록 구동 기어(6)와 케이블 드럼(3)은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서로 연결된다.
구동 장치(1)의 조립을 위해,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은 일측에서 캐리어 요소(4)에 장착되고 구동 하우징(7)은 다른 측에서 캐리어 요소(4)에 장착된다. 그런 다음 캐리어 요소(4)에서의 체결은, 체결 요소(9)가 구동 하우징(7)의 베어링 요소(72)에 있는 개구(720)(도 9 참조)를 통과하여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의 베어링 요소(22) 내의 개구(221) 안으로 중심에서 결합하도록 스크류 요소의 형태로 된 체결 요소(9)가 구동 하우징(7)의 바닥측에 있는 결합 개구(721) 안으로 삽입하여 수행된다. 체결 요소(9)에 의해, 케이블 출구 하우징(2) 및 구동 하우징(7)은 베어링 요소(22, 72)에서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지탱되고 그리하여 캐리어 요소(4)에 고정된다.
출구 하우징(2)의 베어링 요소(22)의 개구(221) 내에, 체결 요소(9)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체결 요소(9)는 자기 탭핑(self-tapping) 작용으로 개구(221) 안으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조립 과정에서, 도 2 내지 4a 및 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이 케이블 드럼(3)을 에워싸고 이를 캐리어 요소(4)에 유지하도록,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이 캐리어 요소(4)의 제 1 측에 장착된다. 여기서,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은, 그의 하우징 부분(21)이 베어링 요소(22)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 발부(210)로 접촉 링(45)과 접촉하고, 이 접촉 링은 캐리어 요소(4)에 있는 개구(41)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싼다. 접촉 링(45)에는, 웨브형 페그(peg) 형태이고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포지티브 잠금 요소(42)가 형성되어 있고,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이 캐리어 요소(4) 상에 장착되는 동안에 그 페그는 하우징 부분(21)의 발부(210)에 있는 포지티브 잠금 개구(212)(도 4b 참조) 안으로 들어가, 케이블 출구 하우징(2)과 캐리어 요소(4) 사이에서 베어링 요소(22)에 의해 규정되는 회전 축선(D) 주위로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 작용을 실현한다.
포지티브 잠금 요소(42)의 내측면에는 멈춤 오목부(420)(예컨대 도 1a 참조)가 형성되어 있고, 예컨대 도 6 내지 8을 함께 볼 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이 장착될 때, 하우징 부분(21)에 있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멈춤 러그의 형태로 된 멈춤 요소(211)가 멈춤 오목부에 결합한다. 예비 조립 위치에서의 이 멈춤 연결에 의해, 구동 하우징(7)이 체결 요소(9)에 의해 케이블 출구 하우징(2)과 지탱되지 않았을 때도,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은 그 안에 들어 있는 케이블 드럼(3)과 함께 캐리어 요소(4)에 유지된다. 이렇게 해서 멈춤 연결은 조립 과정을 단순화시키고, 구동 하우징(7)이 아직 장착되지 않을 때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이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예비 조립 위치에서, 내부 기어(31)의 상측 가장자리에 있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안착 요소(32)(예컨대 도 1a 참조)에 의해, 케이블 드럼(3)은, 캐리어 요소(4)의 개구(41) 내부에 있는 안착 링(46)에 안착되며(예컨대 도 8 참조), 그래서 예비 조립 위치에서 케이블 드럼(3)은 개구(41)를 통해 미끄러지지 않고, 케이블 출구 하우징(2)에 의해 캐리어 요소(4)에 유지된다.
안착 요소(32)는 특히 예비 조립 위치에서 캐리어 요소(4) 상에서의 케이블 드럼(3)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 장치(1)의 조립이 완료된 후에, 케이블 드럼(3)은 내부 기어(31)에 의해 구동 기어(6)에 연결되고, 축방향으로 케이블 출구 하우징(2)과 구동 하우징(7) 사이에 고정된다.
하우징 부분(21)의 내측면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고정 요소(23)가 배치되어 있고, 이 고정 요소는 본체(30)의 쉘 표면에 있는 케이블 홈(300) 쪽을 향하고 바람직하게는 작동 동안에 쉘 표면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이들 고정 요소(23)에 의해, 케이블 홈(300)에 수용되는 견인 케이블(10)이 케이블 홈(300) 밖으로 빠지지 않는다.
모터 포트(73)가 표면 부분(40)에 있는 돌출부(44) 안에 있도록 또한 웜 하우징(74)이 표면 부분(40)에 있는 돌출부(440)(앞의 돌출부에 인접함) 안에 있도록 구동 하우징(7)은 캐리어 요소(4)의 다른 제 2 측에 장착된다(도 1a, 1b 및 2 참조). 구동 하우징(7)의 장착 동안에, 포지티브 잠금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결합 부싱의 형태인 포지티브 잠금 요소(71)가, 바닥측에서 캐리어 요소(4)로부터 돌출하는 포지티브 잠금 페그와 결합한다. 포지티브 잠금 요소(71)의 포지티브 잠금 개구(710)가 캐리어 요소(4)에 있는 포지티브 잠금 요소(43)와 정확히 동일한 방식으로 구동 하우징(7)의 베어링 요소(72)에 의해 생기는 회전 축선(D)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됨으로써, 이 포지티브 잠금 결합에 의해, 구동 하우징이 캐리어 요소(4)에 회전 안 되게 고정되고, 그래서 구동 하우징(7)을 위한 회전 방지 고정 작용이 제공된다.
도 10 내지 1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포지티브 잠금 요소(43)는 각 경우 원통형 페그의 형태인 중심 부분(431)에 의해 형성되고, 그 원통형 페그 주위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도시되어 있는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는 3개) 치크(cheek) 부분(430)이 그룹지어져 있고, 그래서 치크 부분(430) 사이에는 중간 공간이 형성된다. 치크 부분(430)은 베어링 요소(72)에 의해 규정되는 회전 축선(D)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반경 방향 및 축방향으로 중심 부분(431)을 넘어 돌출한다.
예컨대 도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일링 요소(5)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탭(513, 514)에 의해 시일링 링(50)에 연결되는 탄성 감쇠 요소(51)가 포지티브 잠금 요소(43)에 장착되도록, 시일링 요소(5)가 캐리어 요소(4)에 장착된다.
이 경우 각 탄성 감쇠 요소(51)가 개구(515) 주위에 그룹지어 있는 웨브(510)에 의해 형성되고, 그 웨브 사이에는 결합 오목부(516)가 자유롭게 남아 있고, 그 오목부 안에는 포지티브 잠금 요소(43)의 치크 부분(430)이 결합한다. 탄성 감쇠 요소(51) 당 웨브(515)의 수는 포지티브 잠금 요소(43) 당 치크 부분(430)의 수에 대응한다. 치크 부분(430)은 각 경우 각 치크 부분(430)이 정확히 2개의 웨브(515) 사이에 수용되도록 웨브(515) 사이에 결합한다.
각 탄성 감쇠 요소(515)의 웨브(515)는 시일링 링(50)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단부에서 헤드 부분(51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예컨대 도 16a 및 16b에 따른 단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일링 요소(5)가 캐리어 요소(4)에 장착되면, 헤드 부분(512)은 원통형 부분(431)의 정면(432)에 접촉하게 된다.
탄성 감쇠 요소(51)는, 시일링 요소(5) 전체와 유사하게, 탄성 재료, 예컨대, 연질 탄성 중합체 또는 고무 재료로 만들어진다. 탄성 감쇠 요소(51)에 의해, 구동 하우징(7)과 캐리어 요소(4) 사이의 감쇠가 포지티브 잠금 요소(43)에 제공되고, 그래서 진동이 구동 하우징(7)으로부터 캐리어 요소(4)에 전달될 수 없고, 또는 감쇠되는 방식으로만 전달된다.
이를 위해, 특히 도 18b에 따른 관련된 포지티브 잠금 요소(43)에 있는 탄성 감쇠 요소(51)의 단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탄성 감쇠 요소(51)의 웨브(515)는 치크 부분(430)을 넘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포지티브 잠금 요소(71)의 관련된 포지티브 잠금 개구(710)을 둘러싸는 원주 방향 내측 쉘 표면(712)과 접촉한다. 웨브(510)에 의해, 포지티브 잠금 요소(43)는 포지티브 잠금 요소(71)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지지되고, 그래서 통상적인 작동 중에, 포지티브 잠금 요소(43)는 탄성 감쇠 요소(51)를 통해 탄성적으로 감쇠되는 방식으로 구동 하우징(7)과 상호 작용하게 된다.
도 18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관련된 포지티브 잠금 개구(710) 내부에 있는 포지티브 잠금 요소(43)에 대한 반경 방향 유격이 웨브(510)에 의해 설정된다. 따라서, 통상적인 작동 중에, 적어도 작은 진동의 경우, 포지티브 잠금 요소(43)는 포지티브 잠금 개구(710)의 내측 쉘 표면(712)과 접촉하지 않으며, 그래서 캐리어 요소(4)에서 진동의 여기가 적어도 감쇠된다.
그러나, 비교적 큰 진동의 경우에는, 포지티브 잠금 요소(43)와 내측 쉘 표면(712) 사이의 유격이 극복될 수 있고, 그래서 치크 부분(430) 중의 적어도 하나와 내측 쉘 표면(712) 사이에 접촉이 일어날 수 있다. 이리하여, 각각의 탄성 감쇠 요소(51)의 웨브(510)에서의 과도한 압축이 회피되고, 그래서 탄성 감쇠 요소(51)의 탄성 특성이 구동 장치(1)의 수명에 걸쳐 유지될 수 있다.
탄성 감쇠 요소(51)의 웨브(510)에 의해, 캐리어 요소(4)에서의 진동의 여기의 감쇠는 특히 회전 축선(D)에 대해 횡방향으로 있는 평면, 즉 캐리어 요소(4)의 연장 평면 내에서 일어난다. 회전 축선(D)에 대해 축방향으로 진동의 여기의 감쇠를 추가로 실현하기 위해, 도 18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경우 스터드 형태의 한 스페이서 요소(517)가 탄성 감쇠 요소(51)의 헤브 부분(513)에 장착되고, 이스페이서 요소에 의해 각 포지티브 잠금 요소(43)의 치크 부분(430)과 각각 관련된 포지티브 잠금 개구(710)의 기부(711) 사이에 유격(X)이 제공된다. 이 유격(X)은 특히 공차 보상의 역할을 한다.
시일링 요소(5)는, 그의 시일링 링(50)에서 링(500)을 갖는데, 도 14, 15 및 16a와 함게 도 1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링은, 캐리어 요소(4)에 있는 중심 개구(41)의 원주 방향 주위에서 구동 하우징(7)의 하우징 포트(70)와 캐리어 요소(4) 사이의 에워싸는 중간 위치를 취한다. 예컨대 도 16a 및 도 16b에 따른 확대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 포트(70) 내부의 구동 기어(6)의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또한 링(500)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여 시일링 립(50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립은 구동 기어(6)에 대한 시일링 천이부를 형성한다. 시일링 요소(50)에 의해, 캐리어 요소(4)와 구동 하우징(7) 사이에 습기 차단 천이부가 형성된다.
시일링 요소(5)에는, 웜 하우징(74)을 수용하기 위해 돌출부(45)의 영역에 있는 만곡된 부분(5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만곡된 부분(52)은 웜 하우징(74)과 캐리어 요소(4) 사이의 중간 층을 형성하고, 이렇게 헤서 캐리어 요소(4)로부터의 구동 하우징(7)의 음향적 분리가 달성된다.
시일링 요소(5)를 사이에 두고 구동 하우징(7)이 캐리어 요소(4)에 장착되면, 구동 하우징(7)은 케이블 출구 하우징(2)으로 체결 요소(9)에 의해 지지되고, 이렇게 해서, 케이블 출구 하우징(2) 및 구동 하우징(7)은 서로에 대해 또한 캐리어 요소(4)에 대해 고정된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체결 요소(9)는 구동 하우징(7)의 베어링 요소(72) 내에 있는 결합 개구(721)에 삽입되고, 그래서 체결 요소(9)는 베어링 요소(72)의 헤드에 있는 개구(720)를 통해 섕크(90)과 결합하고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의 베어링 요소(22)의 개구(221) 안에 결합한다. 여기서, 체결 요소(9)의 헤드(91)는, 베어링 요소(22)로부터 벗어나 있는 개구(720)의 측에 접촉하고, 그레서, 체결 요소(9)가 베어링 요소(22) 내의 개구(221) 안으로 나사 결합됨으로써,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이 구동 하우징(7)에 대해 지탱된다.
예컨대 도 2 및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은 캐리어 요소(4)로부터 벗어나 있는 측에 있는 그의 기부(20)에서 강화 리브 형태의 구조적 요소(200, 201)를 가지며, 이들 요소는 베어링 요소(22)에 의해 생기는 회전 축선(D)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그리고 이 회전 축선(D)의 원주 방향 주위로 연장되어 있고 기부(20)를 강화시킨다. 여기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구조적 요소(200)에서, 재료 약화를 위한 구멍(202)이 구조적 요소(200)에 국부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은 회전 축선(D) 주위의 링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또한 기부(20)의 탄성 변형을 위한 미리 정해진 변형 선을 생성한다.
체결 요소(9)가 구동 하우징(7)의 측으로부터 베어링 요소(22) 안으로 나사 결합되면,, 기부(20)가 적어도 약간 변형되어, 제조시에 생긴 공차가 보상될 수 있고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은 하우징 부분(21)에 있는 발부(210)에 의해 캐리어 요소(4)에 대한 유격 없이 고정된다.
기부(20)로부터 벗어나 있는 단부에서, 베어링 요소(22)는 중심 맞춤 원추의 형태로 된 원추형 부분(220)을 더 가지고 있으며(도 8 및 9 참조),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이 구동 하우징(7)에 대해 지탱될 때, 그 원추형 부분은 구동 하우징(7)의 베어링 요소(72)에 있는 상보적인 형태의 증심 맞춤 결합 수단과 결합하게 되며, 그래서 구동 하우징(7)의 베어링 요소(72)에 대한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의 베어링 요소(22)의 중심 맞춤된 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베어링 요소(22)의 단부에 있는 원추형 부분(220) 및 베어링 요소(72)의 헤드에 있는 중심 맞춤 결합 수단(722)은 원추형이고 서로 상보적이며, 그래서, 결합 상태에서,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의 베어링 요소(22)는 구동 하우징(7)의 베어링 요소(72)에 대해 중심 맞춤된 방식으로 배향된다.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의 베어링 요소(22) 및 구동 하우징(7)의 베어링 요소(72)는 이 경우 일측에 있는 케이블 드럼(3) 및 다른 측에 있는 구동 기어(6)를 위한 공통의 회전 축선(D)을 생성하고, 그래서 케이블 드럼(3)과 구동 기어(6)는 작동 중에 서로에 대해 동축으로 또한 서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개념은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기본적으로 매우 다른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전술한 종류의 구동 장치는 특히 윈도우 리프용에 한정되지 않고, 일부 다른 조절 가능한 요소, 예컨대, 차량의 슬리이딩 루프 등을 조절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구동 장치는 특히 하나(단일)의 축방향 지탱 체결 요소를 사용하여 쉽게 조립될 수 있다. 몇개의 조립 단계를 갖는 조립 공정이 실현되고, 이는 간단할 수 있고 편리하며, 케이블 출구 하우징 및 구동 하우징이 캐리어 요소에 고정될 수 있다.
1 구동 장치
10 케이블
11 안내 레일
110, 111 전환 수단
12 구동기
13 창 유리
2 케이블 출구 하우징
20 기부
200, 201 구조적 요소(강화 리브)
202 구멍(재료 약화부)
21 하우징 부분
210 발부
211 멈춤쇠 요소
212 포지티브 잠금 개구(슬롯 개구)
22 베어링 요소(베어링 돔)
220 중심 맞춤 원추
221 개구
23 고정 요소
3 케이블 드럼
30 본체
300 케이블 홈
31 내부 기어
310 치부
32 안착 요소
4 캐리어 요소(어셈블리 캐리어)
40 표면 부분
41 개구
42 포지티브 잠금 요소
420 멈춤쇠 오목부
43 포지티브 잠금 요소
430 치크 부분(핀)
431 원통형 부분
432 정면
44 돌출부
440 돌출부
45 접촉 링
46 안착 링
5 시일링 요소
50 시일링 링
500 링
501 시일링 립
51 탄성 감쇠 요소
510 웨브
511 접촉 부분(가장자리)
512 헤드 부분
513, 514 탭
515 개구
516 결합 오목부
517 스페이서 요소(스터드)
52 만곡된 부분
6 구동 기어
60 본체
600 외부 치부
61 연결 기어
610 치부
62 개구
63 시일링 가장자리
7 구동 하우징
70 하우징 포트
71 포지티브 잠금 요소(결합 부싱)
710 포지티브 잠금 개구
711 기부
712 내측 쉘 표면
72 베어링 요소(베어링 돔)
720 개구
721 결합 개구
722 중심 맞춤 결합부
73 모터 포트
74 웜 하우징
75 하우징 커버
76 전자 장치 하우징
760 회로 기판
761 하우징 판
762 플러그 커넥터
8 모터 유닛
80 전기 모터
800 구동축
81 구동 웜
82 베어링
9 체결 요소
90 섕크
91 헤드
D 회전 축선
X 유격

Claims (16)

  1. 차량 부품, 특히 윈도우 리프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장치를 위한 구동 장치(1)로서,
    캐리어 요소(4),
    모터 유닛(8)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동력 전달 요소, 및
    상기 캐리어 요소(4)에 배치되고, 동력 전달 요소(6)를 회전 축선(D)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탱하기 위한 베어링 요소(72)를 갖는 구동 하우징(7)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요소(4)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포지티브 잠금 요소(43)를 가지며, 상기 구동 하우징(7)은 적어도 하나의 제 2 포지티브 잠금 요소(71)를 가지며, 이들 잠금 요소는 회전 방지 고정 작용을 위해 서로 결합하고, 탄성 감쇠 요소(51)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포지티브 잠금 요소(43)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포지티브 잠금 요소(71)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1 포지티브 잠금 요소(43)와 제 2 포지티브 잠금 요소(71)가 제 1 부하 상태에서 탄성 감쇠 요소(51)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공간적 방향을 따라 감쇠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지지되고 하지만 상기 제 1 부하 상태에 비해 증가된 제 2 부하 상태에서는 서로 접촉하도록 작용하는, 구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포지티브 잠금 요소(43) 또는 적어도 하나의 포지티브 잠금 요소(71)는 포지티브 잠금 핀을 가지며 각각의 다른 포지티브 잠금 요소(71, 43)는 포지티브 잠금 개구(710)를 갖는, 구동 장치(1).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티브 잠금 핀(43)은 상기 탄성 감쇠 요소(51)가 배치되는 중심 부분(431)을 갖는, 구동 장치(1).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티브 잠금 핀은, 상기 회전 축선(D)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상기 중심 부분(431)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치크(cheek) 부분(430)을 가지며, 상기 탄성 감쇠 요소(51)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웨브(510)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치크 부분(430) 및 적어도 하나의 탄성 웨브(510)는 중심 부분(431)에서 서로에 인접하여 연장되어 있는, 구동 장치(1).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웨브(5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크 부분(430)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돌출해 있는, 구동 장치(1).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티브 잠금 개구(710)에서 포지티브 잠금 핀의 탄성 유격(play)을 설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탄성 웨브(510)는 상기 포지티브 잠금 개구(710)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는 쉘 표면(712)에 지탱되는, 구동 장치(1).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티브 잠금 핀은 상기 중심 부분(431)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분산되어 있는 복수의 치크 부분(430)을 가지며, 상기 탄성 감쇠 요소(51)는 복수의 웨브(510)를 가지며, 각 치크 부분(430)은 한쌍의 웨브(510)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 장치(1).
  8.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감쇠 요소(51)는, 상기 회전 축선(D)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정면(432)에서 상기 중심 부분(431)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는 헤드 부분(511)을 갖는, 구동 장치(1).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티브 잠금 핀과 포지티브 잠금 개구(710)의 기부(711) 사이의 공차 보상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517)가 상기 헤드 부분(511)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 장치(1).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감쇠 요소(51)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시일링 링(50)이 제공되어 있고, 시일링 링은 상기 캐리어 요소(4)와 구동 하우징(7) 사이의 천이부를 습기 차단 방식으로 시일링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구동 장치(1).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1)는 케이블 드럼(3), 및 상기 구동 하우징(7)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캐리어 요소(4)의 일측에 배치되는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을 가지며, 케이블 출구 하우징은 상기 케이블 드럼(3)을 회전 축선(D)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탱하기 위한 베어링 요소(22)를 가지고 있는, 구동 장치(1).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출구 하우징(2) 및 구동 하우징(7)은,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의 베어링 요소(22)와 구동 하우징(7)의 베어링 요소(72) 사이에 작용하는 체결 요소(9)에 의해 서로에 체결되는, 구동 장치(1).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요소(9)는, 상기 케이블 출구 하우징(2)과 구동 하우징(7)을 축방향으로 상기 회전 축선(D)을 따라 서로에 대해 지탱시키는 스크류 요소로 형성되는, 구동 장치(1).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요소(9)는 체결을 위해 상기 베어링 요소(22, 72) 중 하나의 개구(720)를 통과하여 다른 베어링 요소(72, 22) 안으로 결합하는, 구동 장치(1).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은,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의 베어링 요소(22)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부분(21)을 가지며,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이 회전 축선(D)에 대해 회전 안 되게 상기 캐리어 요소(4)에 유지되도록 상기 하우징 부분이 캐리어 요소(4)에 고정되는, 구동 장치(1).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분(21)은 상기 캐리어 요소(4)에 장착되는 발부(210)를 가지며, 발부(210)에 있는 또는 캐리어 요소(4)에 있는 포지티브 잠금 요소(42)가 각각의 다른 부품에 있는 포지티브 잠금 개구(212)에 포지티브 잠금식으로 결합하는, 구동 장치(1).
KR1020197008719A 2016-09-06 2017-09-05 음향적으로 분리된 윈도우 리프터용 구동 장치 KR1021912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16884.3 2016-09-06
DE102016216884.3A DE102016216884A1 (de) 2016-09-06 2016-09-06 Antriebsvorrichtung mit akustischer Entkopplung für einen Fensterheber
PCT/EP2017/072205 WO2018046483A1 (de) 2016-09-06 2017-09-05 Antriebsvorrichtung mit akustischer entkopplung für einen fensterhe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325A true KR20190040325A (ko) 2019-04-17
KR102191239B1 KR102191239B1 (ko) 2020-12-15

Family

ID=59772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719A KR102191239B1 (ko) 2016-09-06 2017-09-05 음향적으로 분리된 윈도우 리프터용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36538B2 (ko)
EP (1) EP3510229B1 (ko)
JP (1) JP6961683B2 (ko)
KR (1) KR102191239B1 (ko)
CN (1) CN109690009B (ko)
DE (1) DE102016216884A1 (ko)
WO (1) WO20180464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16877A1 (de) * 2016-09-06 2018-03-0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n Fensterheber, mit einem Anschlagsring für eine Seiltrommel
DE102016216879A1 (de) * 2016-09-06 2018-03-0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n Fensterheber, mit einer Anlagestruktur an einem Trägerelement
DE102019108273B4 (de) * 2019-03-29 2021-06-24 Dormakaba Deutschland Gmbh Verriegelungseinrichtung für eine Schiebetüranlage und Schiebetüranlage
EP3839274A1 (de) * 2019-12-19 2021-06-23 Continental Automotive GmbH Befestigungselement und befestigungsbaugruppe
JP2021102843A (ja) * 2019-12-24 2021-07-15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とパネルの組付方法、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とパネルの組付体及びレギュレータ本体
DE102021118288A1 (de) * 2021-07-15 2023-01-19 Kiekert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Befestigung bzw. Anbringung einer kraftfahrzeugtechnischen Antriebseinheit in oder an einem zugehörigen Gehäuse
EP4269737A1 (en) * 2022-04-26 2023-11-01 Hi-Lex Europe GmbH Window regulator assembly of a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60124A1 (en) * 2002-02-22 2003-08-28 Stephane Hemond Sealed cable drum assembly
EP2320541A1 (en) * 2008-08-18 2011-05-11 Mitsuba Corporation Motor with deceleration mechanism
KR20130073580A (ko) * 2011-12-23 2013-07-03 덴소풍성(주) 파워윈도우 모터용 체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28987A (ja) 1990-02-02 1991-10-09 Koito Mfg Co Ltd 昇降装置
FR2693153B1 (fr) 1992-07-03 1994-09-09 Peugeot Lève-vitre pour véhicule automobile.
FR2743118B1 (fr) 1995-12-27 1998-02-13 Valeo Climatisation Dispositif pour fixer un motoreducteur sur un boitier de chauffage de vehicule
JP3007838B2 (ja) * 1996-03-01 2000-02-07 アスモ株式会社 移動体の位置検出装置および車両ドア
US5890321A (en) * 1996-08-05 1999-04-06 General Motors Corporation Window regulator mounting panel
DE10011236C2 (de) 2000-03-08 2002-02-21 Valeo Klimasysteme Gmbh Befestigungsvorrichtung
US6574922B2 (en) * 2000-10-06 2003-06-10 Meritor Light Vehicle Systems Door trimming panel having a window-lift mechanism
DE10328894B4 (de) 2003-06-26 2005-08-25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Van Buren Township Befestigungs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ersten Bauteils auf einer Oberfläche eines zweiten Bauteils
FR2857908B1 (fr) * 2003-07-25 2005-09-09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Boitier de dispositif d'actionnement de leve-vitre
US20070034304A1 (en) * 2003-09-02 2007-02-15 Akihisa Inoue Precision gear, its gear mechanism, and production method of precision gear
DE102004026065A1 (de) 2004-05-25 2005-12-15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Motorisch betätigbares Schloss für Türen oder Klappen von Fahrzeugen
DE102004044863A1 (de) 2004-09-14 2006-03-3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Antriebseinheit für Verstelleinrichtungen von Kraftfahrzeug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4899083B2 (ja) * 2005-08-29 2012-03-21 Smc株式会社 減速比自動切換装置
CN2828273Y (zh) 2005-09-16 2006-10-18 法国阿文美驰轻型车系统有限公司 在防护罩中用密封件安装电缆绕线盘柄榫头的装置
EP1937925B1 (de) * 2005-10-12 2010-04-21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Würzburg Getriebeeinheit für einen kraftfahrzeug-stellantrieb
US8011136B2 (en) * 2006-01-19 2011-09-06 Hi-Lex Corporation Power closure actuator
US20080127565A1 (en) * 2006-11-07 2008-06-05 Taylor Barry W Expandable hinge assembly
DE102007028383A1 (de) 2007-06-20 2008-12-24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erantriebsanordnung
CN101649884B (zh) 2008-08-15 2013-11-13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传动结构及具有所述传动结构的马达组件
DE102009039406A1 (de) 2009-08-31 2011-03-03 Behr Gmbh & Co. Kg Aufnahmevorrichtung
IN2012DN02635A (ko) 2009-09-29 2015-09-04 Aisin Seiki
DE202010002222U1 (de) 2010-02-04 2011-06-0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96103 Türmodul mit einem akustischen Entkopplungsmittel
DE202010012567U1 (de) * 2010-09-08 2011-12-1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Seilumlenkstück für einen Seilfensterheber
JP2012077527A (ja) 2010-10-01 2012-04-19 Shiroki Corp ドアガラス昇降装置
CN202012578U (zh) 2011-03-21 2011-10-19 邱玉惠 电动窗的马达缓冲装置及其缓冲环
JP5981132B2 (ja) 2011-12-15 2016-08-31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シール構造
WO2015156355A1 (ja) 2014-04-10 2015-10-15 株式会社ミツバ ウィンドレギュレータ装置
US20160036287A1 (en) 2014-07-31 2016-02-04 Hi-Lex Controls, Inc. Window Regulator Drive Unit
JP6515511B2 (ja) * 2014-12-04 2019-05-2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ドア移動装置
US9580953B1 (en) * 2016-02-03 2017-02-28 Hi-Lex Controls, Inc. Pulley joint assembly
DE102016216879A1 (de) * 2016-09-06 2018-03-0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n Fensterheber, mit einer Anlagestruktur an einem Trägerele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60124A1 (en) * 2002-02-22 2003-08-28 Stephane Hemond Sealed cable drum assembly
EP2320541A1 (en) * 2008-08-18 2011-05-11 Mitsuba Corporation Motor with deceleration mechanism
KR20130073580A (ko) * 2011-12-23 2013-07-03 덴소풍성(주) 파워윈도우 모터용 체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1239B1 (ko) 2020-12-15
DE102016216884A1 (de) 2018-03-08
CN109690009B (zh) 2021-06-11
JP2019529743A (ja) 2019-10-17
CN109690009A (zh) 2019-04-26
EP3510229B1 (de) 2021-04-28
EP3510229A1 (de) 2019-07-17
US20190234130A1 (en) 2019-08-01
US11236538B2 (en) 2022-02-01
WO2018046483A1 (de) 2018-03-15
JP6961683B2 (ja) 202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0325A (ko) 음향적으로 분리된 윈도우 리프터용 구동 장치
JP6827105B2 (ja) キャリア要素に接触構造を有するウィンドウ開閉装置用駆動装置
US6789443B1 (en) Driving apparatus equipped with motor and decelerating mechanism
JP4718494B2 (ja) ケーブルドラムを収容するためのハウジング
US11313166B2 (en) Drive device for a window regulator
US20110227436A1 (en) Electromagnetic clutch
KR101560980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동력전달 장치
KR20120033822A (ko) 시트 래치 구조
JP6846511B2 (ja) ケーブルドラム用ストップリングを有するウィンドウリフタ用駆動アセンブリ
KR20170142249A (ko) 방진체결부재 및 이를 갖춘 차량 엑츄에이터 체결장치
US8323051B2 (en) Device for implementing a dry electrical connection of a motor vehicle lock
WO2018046508A2 (de) Antriebsvorrichtung mit akustischer entkopplung für einen fensterheber
EP2495446A1 (en) Elastic insulation system for an electric motor for reducing vibration transmission
KR20130073580A (ko) 파워윈도우 모터용 체결장치
US11821252B2 (en) Drive device for a window lifter having a gear cover
KR20090017807A (ko) 모터고정구조 및 모터어셈블리
KR101316937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장치용 액추에이터
JP2009121607A (ja) 電磁クラッチ
CN220581653U (zh) 用于驱动器的传动装置以及驱动器
KR101389029B1 (ko) 전동기용 어댑터 브라켓 및 이 브라켓을 갖는 전동기
JPH1163002A (ja) 駆動伝達機構および駆動伝達機構の駆動伝達部材
KR19990025227U (ko) 케이블 진동 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