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029B1 - 전동기용 어댑터 브라켓 및 이 브라켓을 갖는 전동기 - Google Patents

전동기용 어댑터 브라켓 및 이 브라켓을 갖는 전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029B1
KR101389029B1 KR1020130027341A KR20130027341A KR101389029B1 KR 101389029 B1 KR101389029 B1 KR 101389029B1 KR 1020130027341 A KR1020130027341 A KR 1020130027341A KR 20130027341 A KR20130027341 A KR 20130027341A KR 101389029 B1 KR101389029 B1 KR 101389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motor
adapter
motor
bracke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남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을지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을지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을지전기
Priority to KR1020130027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0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축에 방진부재가 돌출되게 마련되는 전동기에 설치 가능하여 전동기의 구동축을 다른 구동원의 피동축과 직접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어댑터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원통 형상의 전동기의 축방향으로 구동축이 설치된 전동기 커버의 시트면에 대향하여 면접촉하게 되는 제1조립면(111)을 갖고 전동기에 마련된 방진부재의 두께보다는 최소한 두꺼운 두께를 갖는 고리 형상이되, 다수의 제1볼트 체결공(112)이 형성되고 하방으로 지지 브라켓이 위치할 수 있도록 예각으로 개구부(113)가 개방 형성된 배면 시트부(110)와; 상기 배면 시트부(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전동기의 구동축과 대응되는 축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조립면(111)의 반대 면을 구성하는 제2조립면(121)에 다수의 제2볼트 체결공(122)이 형성된 어댑터부(120)로 구성되어, 전동기의 구동축에 마련되는 방진구조를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다른 구동원과 직접 조립이 가능하여 종래와 비교하여 동력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기용 어댑터 브라켓 및 이 브라켓을 갖는 전동기{Adapter bracket and an electric mo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동기용 어댑터 브라켓 및 이 브라켓이 조립된 전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동축에 방진부재가 돌출되게 마련되는 전동기에 설치 가능하여 전동기의 구동축을 다른 구동원의 피동축과 직접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어댑터 브라켓 및 이 브라켓을 갖는 전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기, 모터 등은 원통 형상의 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형태의 하우징은 지지 브라켓이 외주면에 고정되어 설치가 이루어진다.
한편, 전동기의 구동축은 베어링에 지지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며, 전동기는 지지 브라켓에 지지되어 설치되어 전동기 동작 시에 발생되는 진동을 절연하기 위하여 전동기는 방진부재가 마련되어 지지 브라켓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45840호(등록일자: 1999.02.23)(이하, "선행기술문헌1"이라 함) 및 등록특허공보 제10-0401947호(등록일자: 2003.10.02)(이하, "선행기술문헌2"라 함)에서는 전동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절연하기 위한 전동기의 방진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종래기술의 전동기 방진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전동기(10)는 구동축(11)을 지지하는 베어링(미도시)이 방진고무(20)를 매개로 하여 지지브라켓(30)에 안착되어 클램프(40)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종래의 전동기(10)는 방진고무(20)에 의해 진동 절연이 이루어져 전동기 작동 시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전동기는 방진고무 등의 방진장치로 인하여 다른 구동수단에 동력 전달 시에 구동수단과 조립이 어려워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동력전달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동기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전동기(10)를 이용하여 유압펌프(50)를 구동하고자 하는 경우에 전동기(10)와 유압펌프(50) 사이에는 벨트 또는 체인과 같은 동력전달수단(60)이 마련되어 이를 통하여 동력전달이 이루어진다.
이는 전동기(10)의 구동축에 방진고무가 돌출되게 설치됨으로써, 전동기(10)와 유압펌프(50)를 직접 조립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구동축에 방진구조를 갖는 전동기는 다른 구동원으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동력전달수단을 필요로 하여 동력손실이 발생하며, 동력전달수단의 설치에 따른 설치 면적이나 공간을 추가로 확보해야 하는 설치 상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축에 방진부재가 돌출되게 마련되는 전동기에 설치되어 전동기의 구동축을 다른 구동원의 피동축과 직접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어댑터 브라켓 및 이 브라켓을 갖는 전동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기용 어댑터 브라켓은, 원통 형상의 전동기의 축방향으로 구동축이 설치된 전동기 커버의 시트면에 대향하여 면접촉하게 되는 제1조립면을 갖고 전동기에 마련된 방진부재의 두께보다는 최소한 두꺼운 두께를 갖는 고리 형상이되, 다수의 제1볼트 체결공이 형성되고 하방으로 지지 브라켓이 위치할 수 있도록 예각으로 개구부가 개방 형성된 배면 시트부와; 상기 배면 시트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전동기의 구동축과 대응되는 축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조립면의 반대 면을 구성하는 제2조립면에 다수의 제2볼트 체결공이 형성된 어댑터부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부는 상기 제2조립면 보다 낮게 배치되어 상기 시트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브라켓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 고정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동기는, 구동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방진고무를 매개로 하여 지지브라켓에 안착되어 클램프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방진고무가 전동기 커버의 시트면에 대해 돌출되는 전동기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의 일측 커버에 조립되는 어댑터 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어댑터 브라켓은, 원통 형상의 전동기의 축방향으로 구동축이 설치된 전동기 커버의 시트면에 대향하여 면접촉하게 되는 제1조립면을 갖고 전동기에 마련된 방진부재의 두께보다는 최소한 두꺼운 두께를 갖는 고리 형상이되, 전동기 커버의 시트면과 다수의 볼트에 의해 조립되고 하방으로 상기 지지브라켓이 위치할 수 있도록 예각으로 개구부가 개방 형성된 배면 시트부와; 상기 배면 시트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전동기의 구동축과 대응되는 축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조립면의 반대 면을 구성하는 제2조립면에 다수의 볼트 체결공이 형성된 어댑터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 브라켓은, 전동기의 구동축에 마련되는 방진구조를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다른 구동원과 직접 조립이 가능하여 종래와 비교하여 동력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전동기 방진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동기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 브라켓과 전동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 브라켓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 브라켓의 정면도,
도 6은 도 4의 A-A 선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 브라켓이 조립된 전동기의 횡방향으로 일부가 절개된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 브라켓(100)은, 전동기 커버(12)의 시트면과 볼트(B)에 의해 체결되는 배면 시트부(110)와, 배면 시트부(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제2조립면을 가지면서 다수의 제2볼트 체결공이 형성된 어댑터부(1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배면 시트부(110)는 일방으로 개방된 개구부(113)를 갖는 고리 형상을 갖는 것으로, 최소한 방진부재 보다는 두께(D)가 두꺼우며, 전동기 커버(12)의 시트면에 대향하여 면접촉하게 되는 제1조립면(111)을 갖는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방진부재는 종래기술(도 1 참고)에서 방진고무(20)와 방진고무(20)를 지지브라켓에 고정하게 되는 클램프(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개구부(113)는 하방으로 개방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고리 형상의 배면 시트부(110)의 중심에 대해 예각(θ)으로 형성되어 개구부(113) 안쪽으로 지지브라켓(30)의 수직멤버(31)가 위치하게 된다.
배면 시트부(110)를 따라서 다수의 제1볼트 체결공(112)이 형성되며, 이 제1볼트 체결공(112)을 통해 전동기 커버(12)와 볼트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어댑터부(120)는 배면 시트부(110)와 일체로 형성되며, 배면 시트부(110)의 제1조립면(111)의 반대 면을 구성하는 제2조립면(121)을 가지며 다수의 제2볼트 체결공(122)이 형성된다.
이때 제2조립면(121)은 전동기와 직접 조립이 이루어지는 구동수단과 면접촉하게 되는 접촉면으로 기능하며, 따라서 구동수단의 형상에 따라서 제2조립면(121)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며, 또한 제2볼트 체결공(122)의 개수와 위치는 구동수단의 케이싱 형상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어댑터부(120)는 제2조립면(121)과 일체로 형성되되, 구동수단과 면접촉하지 않는 보강부(123)를 가질 수 있다. 보강부(123)는 제1조립면(121) 보다 아래에 마련되어 구동수단과는 직접적으로 면접촉을 하지 않으나, 배면 시트부(110)와 일체로 마련되어 어댑터 브라켓의 구조적인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어댑터부(120)는 지지브라켓(30)에 형성된 관통공(32)에 끼워 고정되는 돌기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어댑터부(120)는 중앙에 전동기의 구동축(11)이 관통되도록 축공(H)이 형성되어 구동축(11)은 구동수단의 피동축과 직접 체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 브라켓이 조립된 전동기의 횡방향으로 일부가 절개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어댑터 브라켓(100)은 전동기(10)의 커버(12)에 돌출되게 구성되는 절연고무(20)가 배면 측에 수납되는 구조로써, 노출된 제2조립면(121)은 볼트 체결공이 형성되어 유압펌프와 같은 구동수단의 커버와 볼트를 이용하여 직접 체결되며, 전동기(10)의 구동축(11)이 구동수단의 피동축과 직접 연결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어댑터 브라켓은 전동기에서 발생되는 진동 절연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다른 구동원과 직접 조립이 가능하여 종래와 비교하여 동력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전동기 20 : 방진고무
30 : 지지브라켓 40 : 클램프
100 : 어댑터 브라켓 110 : 배면 시트부
111 : 제1조립면 112 : 제1볼트 체결공
113 : 개구부 120 : 어댑터부
121 : 제2조립면 122 : 제2볼트 체결공
123 : 보강부 124 : 돌기부

Claims (4)

  1. 원통 형상의 전동기의 축방향으로 구동축이 설치된 전동기 커버의 시트면에 대향하여 면접촉하게 되는 제1조립면을 갖고 전동기에 마련된 방진부재의 두께보다는 최소한 두꺼운 두께를 갖는 고리 형상이되, 다수의 제1볼트 체결공이 형성되고 하방으로 지지 브라켓이 위치할 수 있도록 예각으로 개구부가 개방 형성된 배면 시트부와;
    상기 배면 시트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전동기의 구동축과 대응되는 축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조립면의 반대 면을 구성하는 제2조립면에 다수의 제2볼트 체결공이 형성된 어댑터부를 포함하는 전동기용 어댑터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부는 상기 제2조립면 보다 낮게 배치되어 상기 시트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전동기용 어댑터 브라켓.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부는,
    상기 지지브라켓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 고정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전동기용 어댑터 브라켓.
  4. 구동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방진고무를 매개로 하여 지지브라켓에 안착되어 클램프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방진고무가 전동기 커버의 시트면에 대해 돌출되는 전동기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의 일측 커버에 조립되는 어댑터 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어댑터 브라켓은,
    원통 형상의 전동기의 축방향으로 구동축이 설치된 전동기 커버의 시트면에 대향하여 면접촉하게 되는 제1조립면을 갖고 전동기에 마련된 방진부재의 두께보다는 최소한 두꺼운 두께를 갖는 고리 형상이되, 전동기 커버의 시트면과 다수의 볼트에 의해 조립되고 하방으로 상기 지지브라켓이 위치할 수 있도록 예각으로 개구부가 개방 형성된 배면 시트부와;
    상기 배면 시트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전동기의 구동축과 대응되는 축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조립면의 반대 면을 구성하는 제2조립면에 다수의 볼트 체결공이 형성된 어댑터부를 포함하는 전동기.
KR1020130027341A 2013-03-14 2013-03-14 전동기용 어댑터 브라켓 및 이 브라켓을 갖는 전동기 KR101389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341A KR101389029B1 (ko) 2013-03-14 2013-03-14 전동기용 어댑터 브라켓 및 이 브라켓을 갖는 전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341A KR101389029B1 (ko) 2013-03-14 2013-03-14 전동기용 어댑터 브라켓 및 이 브라켓을 갖는 전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9029B1 true KR101389029B1 (ko) 2014-05-07

Family

ID=50892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341A KR101389029B1 (ko) 2013-03-14 2013-03-14 전동기용 어댑터 브라켓 및 이 브라켓을 갖는 전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0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8038A (ja) 1999-10-04 2001-04-20 Sumitomo Heavy Ind Ltd ギヤドモータ及びギヤドモータシリーズ
KR100401947B1 (ko) 2001-09-07 2003-10-22 남동전동기주식회사 팬코일 유니트 전동기의 방진장치
KR200438171Y1 (ko) 2007-07-12 2008-01-28 티에스파워(주) 프레임과 어댑터를 일체형으로 제조한 발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8038A (ja) 1999-10-04 2001-04-20 Sumitomo Heavy Ind Ltd ギヤドモータ及びギヤドモータシリーズ
KR100401947B1 (ko) 2001-09-07 2003-10-22 남동전동기주식회사 팬코일 유니트 전동기의 방진장치
KR200438171Y1 (ko) 2007-07-12 2008-01-28 티에스파워(주) 프레임과 어댑터를 일체형으로 제조한 발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68018B1 (en) Outer rotor motor
JP5851626B2 (ja) モータ冷却を有する緩衝ファンモータマウント
US8714943B2 (en) Mounting and damping system for a compressor
JP4996696B2 (ja) 電気機械を振動遮断しながら保持するための装置
EP2253848A2 (en) Electric pump
KR20190040325A (ko) 음향적으로 분리된 윈도우 리프터용 구동 장치
US10400881B1 (en) Gear case with mounting arm
JP2013015097A (ja) 空気調和機用排水ポンプ
JP5514295B2 (ja) ガス式打ち込み装置用の取り付けシステム
US8535019B2 (en) Motor/pump unit
EP2495446A1 (en) Elastic insulation system for an electric motor for reducing vibration transmission
KR101389029B1 (ko) 전동기용 어댑터 브라켓 및 이 브라켓을 갖는 전동기
EP3296215B1 (en) Mount mechanism for accessory gearbox
JP2009513099A (ja) 固定アダプターを備えた電動モータ
JP2016151204A (ja) 送風機
CN115111166B (zh) 电动压缩机
US10619639B2 (en) Motor and fluid delivery device comprising same
KR101833146B1 (ko) 진동 저감을 위한 모터 고정브라켓
US8596971B2 (en) Fan module
WO2015133607A1 (ja) 車両用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アッシー
KR20010054186A (ko) 전동모터
US20190316671A1 (en) Cover fixing structure and motor
CN106660516B (zh) 刮擦器组件
JP2005036762A (ja) ポンプの取付部材および取付構造
JP4798113B2 (ja) ケーブル保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