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9443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9443A
KR20190039443A KR1020197009281A KR20197009281A KR20190039443A KR 20190039443 A KR20190039443 A KR 20190039443A KR 1020197009281 A KR1020197009281 A KR 1020197009281A KR 20197009281 A KR20197009281 A KR 20197009281A KR 20190039443 A KR20190039443 A KR 20190039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bossed
absorbent
absorbent article
pair
colored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9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6053B1 (ko
Inventor
겐이치로 구로다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039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61F13/53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4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61F13/5110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the top sheet having corrugations or embossments having one ax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other axis, e.g. forming channels or groov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61F13/512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characterised by the planar distribution of the apertures, e.g. in a predefined patte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13/5139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creating a visual effect, e.g. having a printed or coloured topsheet, printed or coloured sub-layer but being visible from the topsheet, other than embossing for purposes of bonding, wicking, acquisition, leakage-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9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having visual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4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printed or coloured, e.g. to match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406Basis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2013/4708Panty-li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7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being embos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00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from pul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2013/5376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 A61F2013/5377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with groo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은 이하의 구성을 가진다. 액 투과성 시트(3)와, 흡수체(5)와, 유색층(15)과, 액 불투과성 시트(17)를 그 순서대로 구비하고, 길이 방향(L), 폭 방향(W) 및 두께 방향(T)을 가지는 흡수성 물품(1)으로서, 흡수성 물품(1)이, 서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엠보스부(21)와, 그들의 사이에 배치된 비엠보스부(27)를 포함하는 엠보스 영역(29)을 구비하고, 한 쌍의 엠보스부(21)의 각각이, 흡수체(5)를 엠보스하고 있지만, 유색층(15)을 엠보스하고 있지 않고, 비엠보스부(27)가, 흡수체(5) 및 유색층(15)을 엠보스하고 있지 않으며, 엠보스 영역(29)에서는, 흡수체(5)의 엠보스부 구성 부분(31)의 두께가, 흡수체(5)의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33)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1).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개시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생리용 냅킨,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장식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흡수성 물품의 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 착용자가 인식 가능한 착색을 흡수성 물품에 실시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 액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 및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는, 착색층과, 상기 착색층보다 상기 표면 시트측에 배치된 흡수층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흡수체에는, 상기 표면 시트, 상기 흡수층 및 상기 착색층을, 상기 표면 시트측으로부터 상기 이면 시트측으로 압축한 압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착색층은, 착색된 섬유가 적층되어 있고, 상기 흡수층은, 에어레이드법에 의해 섬유가 적층되어, 당해 섬유끼리를 접착하는 바인더를 가지고 있지 않은, 흡수성 물품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13-75082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표면 시트, 흡수층 및 착색층을 압축한 압착부를 형성하고, 표면 시트측으로부터 압착부를 개재하여 착색층을 시인시키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원 발명자가 검토한 바, 상기 착색층의 위치를, 착용자의 배치해야 하는 위치와 맞추기 위한 표식으로서 사용하기에는 개량의 여지가 있음을 알았다.
따라서, 본 개시는, 액 투과성 시트측으로부터 위치 맞춤해야 하는 장소를 파악하기 쉬워, 착용 시에, 흡수성 물품의 위치 맞춤해야 하는 위치와, 착용자의 배치해야 하는 위치를 맞추기 쉬운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자들은, 액 투과성 시트와, 흡수체와, 유색층과, 액 불투과성 시트를 그 순서대로 구비하고,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가지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한 쌍의 엠보스부와, 그들의 사이에 배치된 비엠보스부를 포함하는 엠보스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엠보스부의 각각이, 상기 흡수체를 엠보스하고 있지만, 상기 유색층을 엠보스하고 있지 않고, 상기 비엠보스부가, 상기 흡수체 및 상기 유색층을 엠보스하고 있지 않으며, 상기 엠보스 영역에서는, 상기 흡수체의, 상기 한 쌍의 엠보스부의 각각을 구성하는 엠보스부 구성 부분의 두께가, 상기 흡수체의, 상기 비엠보스부를 구성하는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을 발견하였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은, 액 투과성 시트측으로부터 위치 맞춤해야 하는 장소를 파악하기 쉬워, 착용 시에, 흡수성 물품의 위치 맞춤해야 하는 위치와, 착용자의 배치해야 하는 위치를 맞추기 쉽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흡수성 물품(1)의 평면도이다.
도 2는, 흡수성 물품(1)의, 도 1의 II-II 단면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엠보스부(21)∼엠보스부(25)가 형성되기 전의 흡수체(5)의, 도 1의 II-II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는 흡수성 물품(1)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르는 흡수성 물품(1)의 평면도이다.
도 6은, 흡수성 물품(1)의, 도 5의 VI-VI 단면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제 4 실시형태에 따르는 흡수성 물품(1)의 평면도이다.
도 8은, 흡수체(5)의 평면도이다.
도 9는, 흡수성 물품(1)의, 도 7의 IX-IX 단면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엠보스부(21(21a, 21b))가 형성되기 전의 흡수체(5)의, 도 7의 IX-IX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흡수성 물품(1)의 흡수 코어(7)의 제조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는 이하의 양태에 관한 것이다.
[양태 1]
액 투과성 시트와, 흡수체와, 유색층과, 액 불투과성 시트를 그 순서대로 구비하고,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가지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한 쌍의 엠보스부와, 그들의 사이에 배치된 비엠보스부를 포함하는 엠보스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엠보스부의 각각이, 상기 흡수체를 엠보스하고 있지만, 상기 유색층을 엠보스하고 있지 않고,
상기 비엠보스부가, 상기 흡수체 및 상기 유색층을 엠보스하고 있지 않으며,
상기 엠보스 영역에서는, 상기 흡수체의, 상기 한 쌍의 엠보스부의 각각을 구성하는 엠보스부 구성 부분의 두께가, 상기 흡수체의, 상기 비엠보스부를 구성하는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흡수성 물품.
상기 흡수성 물품은, 엠보스 영역에 있어서, 소정의 엠보스부와 소정의 비엠보스부를 가짐과 함께, 흡수체의 엠보스부 구성 부분의 두께가 흡수체의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의 두께보다 얇다. 따라서,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는, 엠보스 영역에 있어서, 엠보스부의 액 투과성 시트의 피부 맞닿음면으로부터 유색층까지의 물리적 거리가, 비엠보스부의 그것보다 가까워, 엠보스부로부터 유색층이 시인하기 쉬움과 함께, 비엠보스부로부터 유색층이 시인하기 어렵다. 이상으로부터, 착용자가 상기 흡수성 물품을 착용할 때에, 또는 사용자가 착용자에게 상기 흡수성 물품을 착용시킬 때에, 흡수성 물품의 엠보스 영역의 위치와, 착용자의 배치해야 하는 위치(예를 들면, 질구, 소변구, 항문 등)를 맞추기 쉽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예를 들면, 생리용 냅킨, 팬티 라이너, 소변 흡수 패드 등)을 착용하는 경우와, 사용자가 착용자에게 흡수성 물품(예를 들면, 일회용 기저귀, 소변 흡수 패드 등)을 착용시키는 경우를 합하여,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을 착용한다」고 표현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흡수성 물품의 엠보스 영역의 위치와, 착용자의 배치해야 하는 위치(예를 들면, 질구, 소변구, 항문 등)를 맞추는 것을, 간단히 「위치 맞춤」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양태 2]
상기 엠보스 영역에서는, 상기 흡수체의 상기 엠보스부 구성 부분의 평량이, 상기 흡수체의 상기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의 평량보다 작은, 양태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는, 흡수체의 엠보스부 구성 부분의 평량이, 흡수체의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의 평량보다 작으므로, 액 투과성 시트측으로부터 엠보스부에 입사하는 입사광과, 유색층에서 반사되어, 액 투과성 시트측으로 되돌아가는 반사광이 감쇠되기 어려워, 착용자가 엠보스부의 색을 시인하기 쉽다. 한편, 비엠보스부에서는, 액 투과성 시트측으로부터 비엠보스부에 입사하는 입사광과, 유색층에서 반사되어, 액 투과성 시트측으로 되돌아가는 반사광이, 엠보스부보다 감쇠되기 쉽다. 그 결과, 착용자가 상기 흡수성 물품의 엠보스 영역을 시인하기 쉬워지고, 상기 흡수성 물품을 착용할 때에 위치 맞춤이 간이하다.
[양태 3]
상기 흡수체가, 펄프 섬유와 고분자 흡수제를 포함하는 흡수 코어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 코어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엠보스부의 각각을 구성하는 흡수 코어 엠보스부 구성 부분의 상기 펄프 섬유의 질량비가, 상기 비엠보스부를 구성하는 흡수 코어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의 상기 펄프 섬유의 질량비보다 높은, 양태 1 또는 2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는, 흡수 코어 엠보스부 구성 부분의 펄프 섬유의 질량비가, 흡수 코어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의 펄프 섬유의 질량비보다 높으므로, 액 투과성 시트측으로부터 엠보스부에 입사하는 입사광과, 유색층에서 반사되어, 액 투과성 시트측으로 되돌아가는 반사광이, 펄프 섬유와, 펄프 섬유와 상이한 굴절률을 가지는 고분자 흡수제 등과의 계면에서 반사되기 어려워, 착용자가 엠보스부의 색을 시인하기 쉽다. 한편, 비엠보스부에서는, 액 투과성 시트측으로부터 비엠보스부에 입사하는 입사광과, 유색층에서 반사되어, 액 투과성 시트측으로 되돌아가는 반사광이, 펄프 섬유와 고분자 흡수제 등과의 계면에서 반사되기 쉬워, 착용자가 비엠보스부의 색을 시인하기 어렵다. 그 결과, 착용자가 상기 흡수성 물품의 엠보스 영역을 시인하기 쉬워, 상기 흡수성 물품을 착용할 때에 위치 맞춤이 간이하다.
[양태 4]
상기 한 쌍의 엠보스부의 각각이,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액 투과성 시트를 더 엠보스하고 있는, 양태 1∼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는, 엠보스부의 각각이, 액 투과성 시트를 엠보스하고 있으므로, 엠보스부에 있어서의 액 투과성 시트가, 비엠보스부에 있어서의 액 투과성 시트보다 광의 투과성이 우수하다. 그 결과, 착용자가 상기 흡수성 물품의 엠보스 영역을 시인하기 쉬워, 상기 흡수성 물품을 착용할 때에 위치 맞춤이 간이하다.
[양태 5]
상기 엠보스 영역이, 상기 흡수성 물품의 배설구 맞닿음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양태 1∼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는, 엠보스 영역이 배설구 맞닿음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착용자가, 착용자의 배설구의 위치와, 흡수성 물품의 배설구 맞닿음 영역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흡수성 물품의 위치를 맞추기 쉽다.
[양태 6]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액 불투과성 시트에, 상기 흡수성 물품을 착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엠보스부가, 상기 비엠보스부의 상기 폭 방향의 양쪽 외측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양태 5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상기 흡수성 물품은, 착의에 고정하여 이용되는 타입의 것, 예를 들면, 생리용 냅킨, 팬티 라이너, 소변 흡수 패드 등임과 함께, 한 쌍의 엠보스부가, 비엠보스부의 폭 방향의 양쪽 외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엠보스 영역의 엠보스부가,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의 접힘 기점이 되므로, 흡수성 물품이 피트성이 우수하다. 또한, 엠보스 영역의 엠보스부가, 체액을 엠보스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흐르게 할 수 있으므로, 흡수성 물품이 내누설성이 우수하다.
[양태 7]
상기 비엠보스부가, 배설구 맞닿음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엠보스부가, 상기 배설구 맞닿음 영역의 외연(外緣)을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둘러싸고 있는, 양태 6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는, 비엠보스부가, 배설구 맞닿음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한 쌍의 엠보스부가, 배설구 맞닿음 영역을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둘러싸고 있으므로, 착용자가 상기 흡수성 물품의 엠보스 영역을 시인하기 쉬워, 상기 흡수성 물품을 착용할 때에 위치 맞춤이 간이하다. 또한, 엠보스 영역의 엠보스부가, 체액을 그 외측으로 이동시키기 어려우므로, 흡수성 물품이 내누설성이 우수하다.
[양태 8]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엠보스 영역의 내측에, 한 쌍의 제 2 엠보스부와, 그들의 사이에 배치된 제 2 비엠보스부를 포함하는 제 2 엠보스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제 2 엠보스부의 각각이, 상기 액 투과성 시트 및 상기 흡수체를 엠보스하고 있지만, 상기 유색층을 엠보스하고 있지 않고, 제 2 비엠보스부가, 상기 흡수체 및 상기 유색층을 엠보스하고 있지 않은, 양태 7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상기 흡수성 물품은, 엠보스 영역의 내측에 제 2 엠보스 영역을 더 구비하므로,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의 엠보스 영역 및 제 2 엠보스 영역을 시인하기 쉬워져, 상기 흡수성 물품을 착용할 때에 위치 맞춤이 간이하다.
[양태 9]
상기 흡수성 물품이 일회용 기저귀이고, 상기 한 쌍의 엠보스부의 각각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 유도부인, 양태 1∼5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상기 흡수성 물품은, 일회용 기저귀임과 함께, 엠보스부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 유도부이기 때문에, 상기 흡수성 물품은 피트성이 우수하다.
[양태 10]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흡수체와 상기 액 불투과성 시트의 사이에 제 2 흡수체를 구비하고, 상기 유색층이, 제 2 흡수체의 피부측면을 구성하고 있는, 양태 1∼9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상기 흡수성 물품은, 유색층을 구성하는 제 2 흡수체를 더 포함하므로, 액 불투과성 시트의 착의 맞닿음면 등에 형성되는 색채와는 무관하게, 흡수성 물품의 액 투과성 시트측으로부터, 흡수성 물품의 위치 맞춤의 표식이 되기 쉬운 색채를 선택할 수 있다.
[양태 11]
상기 유색층이 기능성 성분을 더 포함하는, 양태 1∼10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는, 유색층이 기능성 성분을 더 포함하므로, 착용자가, 기능성 성분의 기능과 유색층의 색을 관련지어, 기능성 성분의 기능을 실감하기 쉬워진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 대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도 3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하나(이하, 「제 1 실시형태」라고 함)에 따르는 흡수성 물품(1), 구체적으로는, 생리용 냅킨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은, 흡수성 물품(1)의 평면도이다. 도 2는, 흡수성 물품(1)의, 도 1의 II-II 단면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엠보스부(21)∼엠보스부(25)가 형성되기 전의 흡수체(5)의, 도 1의 II-II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흡수성 물품(1)은, 액 투과성 시트(3)와, 흡수체(5)와, 유색층(15)과, 액 불투과성 시트(17)와, 흡수성 물품(1)을 착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9)를 그 순서대로 구비한다. 흡수성 물품(1)은 또한, 길이 방향(L), 폭 방향(W) 및 두께 방향(T)을 가진다. 흡수성 물품(1)은, 사이드 시트(101)와, 흡수성 물품(1)의 단부를 시일하는 시일부(103)를 가지지만, 모두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유색층(15)은, 흡수체(5)보다 길이 방향(L)의 길이 및 폭 방향(W)의 길이가 길고, 그리고 길이 방향(L) 및 폭 방향(W)의 양방에 있어서, 흡수체(5)의 가장자리(端緣)보다 그 가장자리가 외측에 오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유색층(15)은, 백색의 액 투과성 시트와 상이한 녹색계 색으로 착색된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다.
흡수체(5)는, 흡수 코어(7)와, 흡수 코어(7)를 덮는 2매의 코어 랩(13)으로 이루어지고, 흡수 코어(7)는, 펄프 섬유(9)와 고분자 흡수제(11)를 포함한다.
흡수성 물품(1)은,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와, 한 쌍의 엠보스부(22(22a, 22b))와, 한 쌍의 엠보스부(23(23a, 23b))와, 한 쌍의 엠보스부(24(24a, 24b))와, 엠보스부(25)를 구비한다.
흡수성 물품(1)은, 폭 방향(W)으로 서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와, 그들의 사이의 비엠보스부(27)를 포함하는 엠보스 영역(29)을 구비한다. 비엠보스부(27)는,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 및 폭 방향(W)의 중심에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흡수성 물품(1)의 배설구 맞닿음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는, 비엠보스부(27)의 폭 방향(W)의 양쪽 외측에 배치되고, 그리고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의 각각은,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의 각각에서는, 액 투과성 시트(3) 및 흡수체(5)가 두께 방향(T)으로 엠보스되어 있고, 그리고 유색층(15)은 엠보스되어 있지 않다. 또한, 비엠보스부(27)에서는, 액 투과성 시트(3), 흡수체(5) 및 유색층(15) 모두 엠보스되어 있지 않다.
엠보스 영역(29)에서는, 흡수체(5)의,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를 구성하는 부분인, 한 쌍의 엠보스부 구성 부분(31(31a, 31b))의 각각의 평량이, 흡수체(5)의 비엠보스부(27)를 구성하는 부분인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33)의 평량보다 작다. 이것은,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흡수체(5), 구체적으로는 흡수 코어(7)가,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가 형성되기 전의 시점에서, 고평량 영역(35)과, 고평량 영역(35)의 평량보다 평량이 작은 저평량 영역(37)을 구비하고, 저평량 영역(37)은, 한 쌍의 엠보스부 구성 부분(31(31a, 31b))의 각각과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에 유래한다. 또한, 흡수 코어(7)의 제조 방법은 후술한다.
즉,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를 형성하기 전의 시점에서, 한 쌍의 엠보스부 구성 부분(31(31a, 31b))의 각각을 저평량 영역(37)으로 하고,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33)을 고평량 영역(35)으로 함으로써,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를 형성한 후에도, 마찬가지의 평량 관계를 가지게 된다. 흡수체(5)를 통하여 유색층(15)의 색을 관찰하는 경우에는, 흡수체(5)의 평량이 작은 편이 유색층(15)의 색이 비쳐 보이기 쉽기 때문에, 액 투과성 시트(3)측으로부터,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의 각각을 통하여 유색층(15)의 색이 상대적으로 시인하기 쉽지만, 비엠보스부(27)를 통하여 유색층(15)의 색이 상대적으로 시인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엠보스 영역(29)의 흡수 코어(7)에서는,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를 구성하는 흡수 코어 엠보스부 구성 부분(32(32a, 32b))의 각각의 펄프 섬유의 질량비가, 비엠보스부(27)를 구성하는 흡수 코어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34)의 펄프 섬유(9)의 질량비보다 높다. 이것은,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흡수체(5), 구체적으로는 흡수 코어(7)는,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가 형성되기 전의 시점에서, 한 쌍의 엠보스부 구성 부분(31(31a, 31b))에 상당하는 저평량 영역(37)에 있어서의 펄프 섬유(9)의 질량비가,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에 상당하는 고평량 영역(35)에 있어서의 펄프 섬유(9)의 질량비보다 높고,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가 형성된 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펄프 비율의 관계를 가지는 것에 유래한다.
흡수 코어(7)에 있어서, 펄프 섬유(9)의 굴절률과 고분자 흡수제(11)의 굴절률은 상이한 것이 일반적이고, 필름 형상으로 된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의 각각에서는, 펄프 섬유(9)의 질량비가 높은 편이, 펄프 섬유(9)의 질량비가 낮은 경우와 비교하여, 엠보스부(21(21a, 21b))의 각각에 입사한 입사광이, 펄프 섬유(9)와 고분자 흡수제(11)의 계면에서 반사되기 어려워, 유색층(15)까지 도달하기 쉽고, 그리고 유색층(15)까지 도달하고, 이어서, 반사된 반사광이, 엠보스부(21(21a, 21b))를 투과하여, 착용자의 눈에 도달하기 쉬워진다.
비엠보스부(27)에서는, 흡수 코어(7)가, 공기를 포함한 상태에서, 펄프 섬유(9)와 고분자 흡수제(11)를 포함하고 있다. 그와 같은 상황하에서, 비엠보스부(27)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7)의 펄프 섬유(9)의 질량비를 낮추면, 즉, 흡수 코어(7)의 고분자 흡수제(11)의 질량비를 높게 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펄프 섬유(9) 및 고분자 흡수제(11)의 계면과, 펄프 섬유(9) 및 공기의 계면과, 고분자 흡수제(11) 및 공기의 계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양이 증가하여, 비엠보스부(27)에 입사한 입사광이 유색층(15)에 도달하기 어렵고, 그리고 유색층(15)으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이 비엠보스부(27)를 통하여 착용자의 눈에 도달하기 어려워진다.
이상으로부터, 엠보스 영역(29)에 있어서, 흡수 코어 엠보스부 구성 부분(32(32a, 32b))에 있어서의 펄프 섬유(9)의 질량비를, 흡수 코어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34)에 있어서의 펄프 섬유(9)의 질량비보다 높게 함으로써, 액 투과성 시트(3)측으로부터,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를 통하여 유색층(15)의 색을 시인하기 쉽지만, 비엠보스부(27)를 통하여 유색층(15)의 색을 시인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엠보스 영역(29)에서는, 흡수체(5)의 엠보스부 구성 부분(31(31a, 31b))의 두께가, 흡수체(5)의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33)의 두께보다 얇다. 그렇게 함으로써,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에 있어서의, 액 투과성 시트(3)의 피부 맞닿음면과 유색층(15)의 거리가, 비엠보스부(27)에 있어서의 그것보다 물리적으로 가까워져, 액 투과성 시트(3)측으로부터,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를 통하여 유색층(15)의 색을 시인하기 쉽지만, 비엠보스부(27)를 통하여 유색층(15)의 색을 시인하기 어려워진다.
특히, 흡수체(5)에 있어서,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가 형성되기 전의 시점에서,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를 구성하는 엠보스부 구성 부분(31(31a, 31b))의 두께가, 비엠보스부(27)를 구성하는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33)의 두께보다 얇다. 구체적으로는, 흡수 코어(7)에서는,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가 형성되기 전의 시점에서,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를 구성하는 흡수 코어 엠보스부 구성 부분(32(32a, 32b))의 두께가, 비엠보스부(27)를 구성하는 흡수 코어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34)의 두께보다 얇다.
따라서,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에 있어서의, 액 투과성 시트(3)의 피부 맞닿음면과 유색층(15)의 거리가, 비엠보스부(27)에 있어서의 그것보다 물리적으로 가까워져, 액 투과성 시트(3)측으로부터,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를 통하여 유색층(15)의 색을 시인하기 쉽지만, 비엠보스부(27)를 통하여 유색층(15)의 색을 시인하기 어려워진다.
마찬가지로, 엠보스 영역(29)은, 폭 방향(W)으로 서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엠보스부(22(22a, 22b))와, 그들의 사이의 비엠보스부(27)를 포함하고, 폭 방향(W)으로 서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엠보스부(23(23a, 23b))와, 그들의 사이의 비엠보스부(27)를 포함하며, 그리고 길이 방향(L)으로 서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엠보스부(24(24a, 24b))와, 그들의 사이의 비엠보스부(27)를 포함하지만, 이들은, 폭 방향(W)으로 서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와, 그들의 사이의 비엠보스부(27)와의 관계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환원하면,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엠보스 영역(29)이, 배설구 맞닿음 영역에 배치된 비엠보스부(27)와, 비엠보스부(27)를 간헐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된 엠보스부(21, 22, 23, 24)를 가진다. 그렇게 함으로써,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1)의 엠보스 영역(29)을 시인하기 쉬워, 흡수성 물품(1)을 착용할 때에, 흡수성 물품(1)의 엠보스 영역(29)의 위치와, 착용자의 배치해야 하는 위치를 맞추기 쉽다. 또한, 엠보스 영역(29)의 엠보스부(21, 22, 23, 24)가, 체액을 그 외측으로 이동시키기 어려우므로, 흡수성 물품이 내누설성이 우수하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이하, 「제 2 실시형태」라고 함)에 따르는 흡수성 물품(1), 구체적으로는, 생리용 냅킨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도 1의 II-II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는 흡수성 물품(1)은, 액 투과성 시트(3)와, 제 1 흡수체(51)와, 제 2 흡수체(53)와, 액 불투과성 시트(17)와, 흡수성 물품(1)을 착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9)를 그 순서대로 구비한다. 제 1 흡수체(51)는, 흡수 코어(7)와, 액 투과성 시트(3)측으로부터 흡수 코어(7)를 덮는 코어 랩(13)과, 액 불투과성 시트(17)측으로부터 흡수 코어(7)를 덮는 코어 랩(14)으로 이루어지고, 흡수 코어(7)는, 펄프 섬유(9)와 고분자 흡수제(11)를 포함한다. 제 1 흡수체(51)에서는, 액 불투과성 시트(17)측으로부터 흡수 코어(7)를 덮는 코어 랩(13)이, 녹색계 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제 2 흡수체(53)는, 액 투과성 시트(3) 근처의 제 2 상방 코어 랩(57)과, 액 불투과성 시트(17) 근처의 제 2 하방 코어 랩(59)과, 제 2 상방 코어 랩(57) 및 제 2 하방 코어 랩(59)의 사이의 고분자 흡수제층(55)을 구비한다. 제 2 상방 코어 랩(57)은, 제 2 흡수체(53)의 피부측면을 구성한다. 또한, 제 2 상방 코어 랩(57)은, 제 1 흡수체(51)의 코어 랩(13)보다 채도가 높은 녹색계 색으로 착색되어 있고, 유색층(15)을 구성하고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는 흡수성 물품(1)은, 제 1 흡수체(51)와 제 2 흡수체(53)를 구비하고, 제 2 흡수체(53)가 유색층(15)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액 불투과성 시트의 착의 맞닿음면 등에 형성되는 색채와는 무관하게, 흡수성 물품(1)의 액 투과성 시트(3)측으로부터, 흡수성 물품(1)의 위치 맞춤의 표식이 되는 색채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는 흡수성 물품은, 유색층(15)에 더하여, 제 1 흡수체(51)의 코어 랩(13)이 착색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유색층(15)과 코어 랩(13)이 녹색계의 색을 가지고, 그리고 유색층(15)의 채도가 코어 랩(13)의 채도보다 높기 때문에, 엠보스 영역(29)에 있어서, 엠보스부(21)의 색이 선명하게 보인다. 따라서,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1)의 엠보스 영역(29)을 시인하기 쉬워져, 흡수성 물품(1)을 착용할 때에, 흡수성 물품(1)의 엠보스 영역(29)의 위치와, 착용자의 배치해야 하는 위치를 맞추기 쉬워진다. 또한, 흡수성 물품(1)은, 위치 맞춤하기 쉽기 때문에, 적절하게 장착되기 쉬워지고, 그 결과, 흡수성 물품(1)은 누설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그 밖의 부분은, 제 1 실시형태에 나타내어지는 흡수성 물품(1)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이하, 「제 3 실시형태」라고 함)에 따르는 흡수성 물품(1), 구체적으로는, 생리용 냅킨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5는, 흡수성 물품(1)의 평면도이다. 도 6은, 흡수성 물품(1)의, 도 5의 VI-VI 단면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제 3 실시형태에 따르는 흡수성 물품(1)은, 액 투과성 시트(3)와, 흡수체(5)와, 유색층(15)과, 액 불투과성 시트(17)와, 흡수성 물품(1)을 착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9)를 그 순서대로 구비한다. 또한, 흡수성 물품(1)은, 길이 방향(L), 폭 방향(W) 및 두께 방향(T)을 가진다.
또한, 흡수성 물품(1)은, 사이드 시트(101)와, 액 투과성 시트(3) 및 흡수체(5)를 엠보스하고 있는, 엠보스부(95), 엠보스부(96) 및 엠보스부(97)를 구비한다.
유색층(15)은, 백색의 액 투과성 시트(3)와 상이한 녹색계 색으로 착색된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다.
흡수체(5)는, 흡수 코어(7)와, 흡수 코어(7)를 덮는 2매의 코어 랩(13)으로 이루어지고, 흡수 코어(7)는, 펄프 섬유(9)와 고분자 흡수제(11)를 포함한다.
흡수성 물품(1)은, 배설구 맞닿음 영역에 배치된 제 1 비엠보스부(71)와, 배설구 맞닿음 영역의 외연을 간헐적으로 둘러싸고 있는 제 1 엠보스부(73)를 포함하는 제 1 엠보스 영역(75)을 구비한다. 흡수성 물품(1)은 또한, 배설구 맞닿음 영역의 내측, 구체적으로는, 제 1 비엠보스부(71) 중에 배치된 제 2 엠보스 영역(77)을 구비한다. 제 2 엠보스 영역(77)은, 길이 방향(L)으로 인접하는 3개의 비엠보스부인, 제 2 비엠보스부(79), 제 2 비엠보스부(81) 및 제 2 비엠보스부(83)와, 제 2 비엠보스부(79)를 간헐적으로 둘러싸고 있는 제 2 엠보스부(85)와, 제 2 비엠보스부(81)를 간헐적으로 둘러싸고 있는 제 2 엠보스부(87)와, 제 2 비엠보스부(83)를 간헐적으로 둘러싸고 있는 제 2 엠보스부(89)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엠보스 영역(75)의 제 1 엠보스부(73)에서는, 액 투과성 시트(3) 및 흡수체(5)가 두께 방향(T)으로 엠보스되어 있지만, 유색층(15)은 엠보스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제 1 엠보스 영역(75)의 제 1 비엠보스부(71)에서는, 제 2 엠보스 영역(77)(구체적으로는, 제 2 엠보스부(85), 제 2 엠보스부(87) 및 제 2 엠보스부(89))을 제외하고, 액 투과성 시트(3), 흡수체(5) 및 유색층(15) 모두 엠보스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제 2 엠보스 영역(77)의 제 2 엠보스부(85), 제 2 엠보스부(87) 및 제 2 엠보스부(89)에서는, 액 투과성 시트(3) 및 흡수체(5)가 두께 방향(T)으로 엠보스되어 있지만, 유색층(15)은 엠보스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제 2 엠보스 영역(77)의 제 2 비엠보스부(79), 제 2 비엠보스부(81) 및 제 2 비엠보스부(83)에서는, 액 투과성 시트(3), 흡수체(5) 및 유색층(15) 모두 엠보스되어 있지 않다.
제 1 엠보스 영역(75)에서는, 제 1 엠보스부(73)의 두께가 제 1 비엠보스부(71)의 두께보다 얇다. 그렇게 함으로써, 제 1 엠보스부(73)에 있어서의, 액 투과성 시트(3)의 피부 맞닿음면과 유색층(15)의 거리가, 제 1 비엠보스부(71)에 있어서의 그것보다 물리적으로 가까워져, 액 투과성 시트(3)측으로부터, 제 1 엠보스부(73)를 통하여 유색층(15)의 색을 시인하기 쉽지만, 제 1 비엠보스부(71)를 통하여 유색층(15)의 색을 시인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제 2 엠보스 영역(77)에서는, 제 2 엠보스부(85, 87, 89)의 각각의 두께가, 제 2 비엠보스부(79, 81, 83)의 각각의 두께보다 얇다. 그렇게 함으로써, 제 2 엠보스부(85, 87, 89)의 각각에 있어서의, 액 투과성 시트(3)의 피부 맞닿음면과 유색층(15)의 거리가, 제 2 비엠보스부(79, 81, 83)의 각각에 있어서의 거리보다 물리적으로 가까워져, 액 투과성 시트(3)측으로부터, 제 2 엠보스부(85, 87, 89)를 통하여 유색층(15)의 색을 시인하기 쉽지만, 제 2 비엠보스부(79, 81, 83)를 통하여 유색층(15)의 색을 시인하기 어려워진다.
제 3 실시형태에 따르는 흡수성 물품(1)에서는, 흡수체(5), 구체적으로는, 흡수 코어(7)가, 제 1 엠보스 영역(75) 및 제 2 엠보스 영역(77)이 형성되기 전의 시점에서, 평면 방향에 있어서, 대략 일정한 평량을 가지고 있고, 그리고 제 1 엠보스 영역(75) 및 제 2 엠보스 영역(77)이 형성된 후에 있어서도, 흡수 코어(7)가, 평면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일정한 평량을 보지(保持)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엠보스 영역(75)에서는, 제 1 엠보스부(73)의 평량이 제 1 비엠보스부(71)의 평량과 대략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제 2 엠보스 영역(77)에서는, 제 2 엠보스부(85, 87, 89)의 각각의 평량이, 제 2 비엠보스부(79, 81, 83)의 각각의 평량과 대략 동일하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 따르는 흡수성 물품(1)에서는, 흡수 코어(7)가, 제 1 엠보스 영역(75) 및 제 2 엠보스 영역(77)이 형성되기 전의 시점에서, 평면 방향에 있어서, 대략 일정한 펄프 섬유(9)의 질량비를 가지고 있고, 그리고 제 1 엠보스 영역(75) 및 제 2 엠보스 영역(77)이 형성된 후에 있어서도, 흡수 코어(7)가, 평면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일정한 펄프 섬유(9)의 질량비를 보지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엠보스 영역(75)에서는, 흡수 코어(7)의, 제 1 엠보스부(73)를 구성하는 흡수 코어 제 1 엠보스부 구성 부분(도시 생략)의 펄프 섬유의 질량비가, 흡수 코어(7)의, 제 1 비엠보스부(71)를 구성하는 흡수 코어 제 1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도시 생략)의 펄프 섬유의 질량비가 대략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제 2 엠보스 영역(77)에서는, 흡수 코어(7)의, 제 2 엠보스부(85, 87, 89)의 각각을 구성하는 흡수 코어 제 2 엠보스부 구성 부분(91)의 펄프 섬유(9)의 질량비가, 흡수 코어(7)의, 제 2 비엠보스부(79, 81, 83)의 각각을 구성하는 흡수 코어 제 2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93)의 펄프 섬유(9)의 질량비가 대략 동일하다.
제 3 실시형태에 따르는 흡수성 물품(1)에서는, 배설구 맞닿음 영역에 배치된 제 1 엠보스 영역(75)의 내측에, 제 2 엠보스 영역(77)을 더 포함하므로, 흡수성 물품(1)을 착용할 때에, 흡수성 물품(1)의 제 1 엠보스 영역(75) 및 제 2 엠보스 영역(77)의 위치와, 착용자의 배치해야 하는 위치를 맞추기 쉽다.
도 7∼도 10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형태(이하, 「제 4 실시형태」라고 함)에 따르는 흡수성 물품(1), 구체적으로는, 일회용 기저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7은, 흡수성 물품(1)의 평면도이다. 도 8은, 흡수체(5)의 평면도이다. 도 9는, 흡수성 물품(1)의, 도 7의 IX-IX 단면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엠보스부(21(21a, 21b))가 형성되기 전의 흡수체(5)의, 도 7의 IX-IX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제 4 실시형태에 따르는 흡수성 물품(1)은, 액 투과성 시트(3)와, 흡수체(5)와, 유색층(15)과, 액 불투과성 시트(17)를 그 순서대로 구비한다. 유색층(15)은, 청색계 색으로 착색된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1)은, 길이 방향(L), 폭 방향(W) 및 두께 방향(T)을 가진다. 또한, 흡수성 물품(1)은, 길이 방향(L)에 있어서, 전방 몸통 둘레 영역(FW)과, 후방 몸통 둘레 영역(RW)과, 전방 몸통 둘레 영역(FW)및 후방 몸통 둘레 영역(RW)의 사이의 가랑이부 영역(C)으로 구획된다.
흡수체(5)는, 흡수 코어(7)와, 흡수 코어(7)를 덮는 2매의 코어 랩(13)으로 이루어지고, 흡수 코어(7)는, 펄프 섬유(9)와 고분자 흡수제(11)를 포함한다.
흡수성 물품(1)은, 탄성 부재(153)를 포함하는 한 쌍의 누설 방지벽(151), 누설 방지벽(151)을 액 투과성 시트(3)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55), 탄성 부재(157), 탄성 부재(158), 테이프 파스너(159) 등을 가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의 것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흡수성 물품(1)은, 폭 방향(W)으로 서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와, 그들의 사이의 비엠보스부(27)를 포함하는 엠보스 영역(29)을 구비한다. 도 8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의 각각은, 전방 몸통 둘레 영역(FW) 및 가랑이부 영역(C)에 걸쳐, 길이 방향(L)으로 간헐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는, 각각 흡수체(5)의 길이 방향(L)의 옆쪽 가장자리(側緣)(61(61a, 61b))로부터, 길이 축선(LA)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의 각각은, 비엠보스부(27)와 비교하여 두께가 얇고, 평량이 적다는 등의 이유에 의해, 절곡 유도부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는, 흡수 코어(7)에 형성된 한 쌍의 컷아웃부(63(63a, 63b))와, 한 쌍의 컷아웃부(65(65a, 65b))와 함께, 착용 시에,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를 기점으로, 흡수체(5)가 절곡되기 쉬워, 흡수체(5), 나아가서는 흡수성 물품(1)이 착용자의 몸에 피트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의 각각에서는, 액 투과성 시트(3) 및 흡수체(5)가 두께 방향(T)으로 엠보스되어 있고, 그리고 유색층(15)은 엠보스되어 있지 않다. 또한, 비엠보스부(27)에서는, 액 투과성 시트(3), 흡수체(5) 및 유색층(15) 모두 엠보스되어 있지 않다.
엠보스 영역(29)에서는, 흡수체(5)의 한 쌍의 엠보스부 구성 부분(31(31a, 31b))의 각각의 평량이, 흡수체(5)의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33)의 평량보다 작다. 구체적으로는, 흡수 코어(7)의 한 쌍의 흡수 코어 엠보스부 구성 부분(32(32a, 32b))의 각각의 평량이, 흡수 코어(7)의 흡수 코어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34)의 평량보다 작다. 이것은, 도 10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흡수체(5), 구체적으로는 흡수 코어(7)가,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가 형성되기 전의 시점에서, 고평량 영역(35)과, 고평량 영역(35)의 평량보다 평량이 작은 저평량 영역(37)을 구비하는 것에 유래한다. 또한, 저평량 영역(37)은, 한 쌍의 엠보스부 구성 부분(31(31a, 31b))의 각각(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흡수 코어 엠보스부 구성 부분(32(32a, 32b))의 각각)과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4 실시형태에 따르는 흡수성 물품(1)에서는,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를 형성하기 전의 시점에서, 한 쌍의 엠보스부 구성 부분(31(31a, 31b))의 각각(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흡수 코어 엠보스부 구성 부분(32(32a, 32b))의 각각)이 저평량 영역(37)을 구성하고,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33)(구체적으로는, 흡수 코어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34))이 고평량 영역(35)을 구성하도록, 흡수체(5)(구체적으로는, 흡수 코어(7))를 형성하고,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를 형성한 후에도, 마찬가지의 평량 관계를 보지시키고 있다. 흡수체(5)의 평량이 작은 편이 유색층(15)의 색이 비쳐 보이기 쉽기 때문에, 액 투과성 시트(3)측으로부터,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의 각각을 통하여 유색층(15)의 색이 상대적으로 시인하기 쉽지만, 비엠보스부(27)를 통하여 유색층(15)의 색이 상대적으로 시인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엠보스 영역(29)에서는, 흡수 코어(7)의 흡수 코어 엠보스부 구성 부분(32(32a, 32b))의 펄프 섬유의 질량비가, 비엠보스부(27)의 흡수 코어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34)의 펄프 섬유(9)의 질량비보다 높다. 이것은,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가 형성되기 전의 시점에서, 흡수 코어(7)에서는, 한 쌍의 엠보스부 구성 부분(31(31a, 31b))에 상당하는 저평량 영역(37)에 있어서의 펄프 섬유(9)의 질량비가,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에 상당하는 고평량 영역(35)에 있어서의 펄프 섬유(9)의 질량비보다 높고,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가 형성된 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펄프 비율의 관계를 보지하고 있는 것에 기인한다.
흡수 코어(7)에 있어서, 펄프 섬유(9)의 굴절률과 고분자 흡수제(11)의 굴절률은 상이한 것이 일반적이고, 필름 형상으로 된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의 각각에서는, 펄프 섬유(9)의 질량비가 높은 편이, 펄프 섬유(9)의 질량비가 낮은 경우와 비교하여, 엠보스부(21(21a, 21b))의 각각에 입사한 입사광이, 펄프 섬유(9)와 고분자 흡수제(11)의 계면에서 반사되기 어려워, 유색층(15)까지 도달하기 쉽고, 그리고 유색층(15)까지 도달하고, 이어서, 반사된 반사광이, 엠보스부(21(21a, 21b))를 투과하여, 착용자의 눈에 도달하기 쉬워진다.
비엠보스부(27)에서는, 흡수 코어(7)가, 공기를 포함한 상태에서, 펄프 섬유(9)와 고분자 흡수제(11)를 포함하고 있다. 그와 같은 상황하에서, 비엠보스부(27)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7)의 펄프 섬유(9)의 질량비를 낮추는, 즉, 흡수 코어(7)의 고분자 흡수제(11)의 질량비를 높게 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펄프 섬유(9) 및 고분자 흡수제(11)의 계면과, 펄프 섬유(9) 및 공기의 계면과, 고분자 흡수제(11) 및 공기의 계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양이 증가하여, 비엠보스부(27)에 입사한 입사광이 유색층(15)에 도달하기 어렵고, 그리고 유색층(15)으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이 비엠보스부(27)를 통하여 착용자의 눈에 도달하기 어려워진다.
이상으로부터, 엠보스 영역(29)에 있어서, 흡수 코어 엠보스부 구성 부분(32(32a, 32b))에 있어서의 펄프 섬유(9)의 질량비를, 흡수 코어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34)에 있어서의 펄프 섬유(9)의 질량비보다 높게 함으로써, 액 투과성 시트(3)측으로부터,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를 통하여 유색층(15)의 색을 시인하기 쉽지만, 비엠보스부(27)를 통하여 유색층(15)의 색을 시인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엠보스 영역(29)에서는, 흡수체(5)의 엠보스부 구성 부분(31(31a, 31b))의 두께가, 흡수체(5)의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33)의 두께보다 얇다. 그렇게 함으로써,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에 있어서의, 액 투과성 시트(3)의 피부 맞닿음면과 유색층(15)의 거리가, 비엠보스부(27)에 있어서의 그것보다 물리적으로 가까워져, 액 투과성 시트(3)측으로부터,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를 통하여 유색층(15)의 색을 시인하기 쉽지만, 비엠보스부(27)를 통하여 유색층(15)의 색을 시인하기 어려워진다.
특히, 흡수체(5)에 있어서,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가 형성되기 전의 시점에서,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를 구성하는 엠보스부 구성 부분(31(31a, 31b))의 두께가, 비엠보스부(27)를 구성하는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33)의 두께보다 얇다. 구체적으로는, 흡수 코어(7)에서는,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가 형성되기 전의 시점에서,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를 구성하는 흡수 코어 엠보스부 구성 부분(32(32a, 32b))의 두께가, 비엠보스부(27)를 구성하는 흡수 코어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34)의 두께보다 얇다. 따라서,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에 있어서의, 액 투과성 시트(3)의 피부 맞닿음면과 유색층(15)의 거리가, 비엠보스부(27)에 있어서의 그것보다 물리적으로 가까워져, 액 투과성 시트(3)측으로부터,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를 통하여 유색층(15)의 색을 시인하기 쉽지만, 비엠보스부(27)를 통하여 유색층(15)의 색을 시인하기 어려워진다.
도 1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흡수성 물품(1)의 흡수 코어(7)의 제조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의 (a)는, 흡수 코어(7)를 제조하는 석션 드럼(203)의 외주면에 마련된 형(型) 부재(205)에, 펄프 섬유(9) 및 고분자 흡수제(11)가 포개어 쌓여져 가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도 11의 (b)는, 형 부재(205)에 퇴적된 흡수 코어(7)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흡수 코어(7)의 원료인, 펄프 섬유(9) 및 고분자 흡수제(11)를 반송하는 반송관(201)은, 석션 드럼(203)에 연결되어 있다. 석션 드럼(203)의 외주면에 배치된 형 부재(205)는, 기부(基部)(207)로부터 돌출되고, 석션 드럼(203)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 한 쌍의 돌기부(209) 및 돌기부(210)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돌기부(209) 및 돌기부(210)는, 각각, 그들의 둘레면 방향의 형상이, 제 1 실시형태에 나타내어지는 한 쌍의 엠보스부(21(21a, 21b))의 길이 방향(L)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 부재(205)의 기부(207) 상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형 부재(205)에서는, 기부(207)가 통기성을 가지는 철망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한 쌍의 돌기부(209) 및 돌기부(210)는, 통기성을 갖지 않는 금속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1의 (a)에서는, 안쪽으로부터 앞쪽의 방향이 석션 드럼(203)의 둘레 방향(회전 방향)이다. 또한, 도 11의 (a)에 있어서, 석션 드럼(203)은,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향하여 흡기하고 있다.
도 11의 (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펄프 섬유(9) 및 고분자 흡수제(11)를, 반송관(201)으로부터 석션 드럼(203)에 공급하면, 석션 드럼(203)의 흡기에 맞춰, 펄프 섬유(9) 및 고분자 흡수제(11)는 하방으로 향하여 이동한다. 고분자 흡수제(11)가 돌기부(209) 및 돌기부(210)의 각각의 정상면(211) 및 정상면(212)에 충돌하면, 고분자 흡수제(11)가 튀고, 최종적으로는 기부(207) 상에 퇴적된다. 이것은, 고분자 흡수제(11)가 일반적으로는 입상이고, 그리고 그 질량이 펄프 섬유(9)와 비교하여 크기 때문에, 돌기부(209) 및 돌기부(210)의 선단면에 충돌했을 때에는 튀기 쉽고, 돌기부(209) 및 돌기부(210)가 통기성을 갖지 않는 금속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있어, 흡기되고 있지 않은 점도 있어서, 돌기부(209) 및 돌기부(210)에 머무르기 어려운 것에 기인한다.
한편, 펄프 섬유(9)는, 경량이고 또한 유연성을 가지기 때문에, 한 쌍의 돌기부(209) 및 돌기부(210)에 충돌해도 튀기 어려워, 정상면(211) 및 정상면(212)에 퇴적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정상면(211) 및 정상면(212)은, 석션 드럼(203)에 의해 흡기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정상면(211) 및 정상면(212) 상에 퇴적되는 펄프 섬유(9)의 양 자체는, 기부(207)의 그것보다 적어진다.
도 11의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돌기부(209)의 정상면(211)과, 돌기부(210)의 정상면(212)의 위에는, 흡수 코어(7)의 저평량 영역(37)이 형성되고, 그리고 기부(207) 상에는, 흡수 코어(7)의 고평량 영역(35)이 형성된다.
저평량 영역(37)에서는, 고평량 영역(35)과 비교하여, 고분자 흡수제(11)가 퇴적되기 어렵고, 그리고 펄프 섬유(9)의 퇴적 속도도 완만하기 때문에, 저평량 영역(37)은, 고평량 영역(35)과 비교하여, 평량이 작아지고, 그리고 펄프 섬유(9) 및 고분자 흡수제(11)의 총 질량에 대한, 펄프 섬유의 질량비가 커진다.
고평량 영역(35) 및 저평량 영역(37)의 각각의 평량, 펄프 섬유의 질량비 등은, 석션 드럼(203)에 공급되는 펄프 섬유(9) 및 고분자 흡수제(11)의 양, 그들의 질량비, 석션 드럼(203)의 단위 시간당의 흡기량, 한 쌍의 돌기부(209) 및 돌기부(210)의 통기도, 기부의 통기도 등을 제어함으로써 조정 가능하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액 투과성 시트, 흡수체(코어 랩, 흡수 코어 등), 액 불투과성 시트, 및 액 불투과성 시트의 소재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을 특별히 제한없이 채용할 수 있다.
특히, 액 투과성 시트 및 코어 랩의 각각의 소재는, 포백(布帛)(예를 들면, 부직포, 직포, 편물) 및 시트, 예를 들면, 개공(開孔)을 가지는 수지 시트 등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고, 그리고 포백인 것이 바람직하다. 엠보스부에 있어서 광의 투과성을 확보하기 쉽게 하고, 비엠보스부에 있어서 광의 불투과성을 확보하기 쉽게 하는 관점으로부터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액 투과성 시트가 안료(예를 들면 백색 안료, 예를 들면 산화티탄)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액 투과성 시트는 안료를 바람직하게는 0.1∼20.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0.0질량%,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1.0∼5.0질량%의 농도로 포함한다. 엠보스부에 있어서 광의 투과성을 확보하기 쉽게 하고, 비엠보스부에 있어서 광의 불투과성을 확보하기 쉽게 하는 관점으로부터다.
또한, 안료, 예를 들면 산화티탄은, 액 투과성 시트의 재료로서 일반적인 열가소성 수지와 비교하여 굴절률이 높고, 액 투과성 시트의 산화티탄의 양이 증가할수록, 열가소성 수지와 산화티탄의 계면에 있어서 광이 반사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광의 투과성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액 투과성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10∼100g/㎡, 보다 바람직하게는 12∼70g/㎡,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15∼35g/㎡의 평량을 가진다. 엠보스부에 있어서 광의 투과성을 확보하기 쉽게 하고, 비엠보스부에 있어서 광의 불투과성을 확보하기 쉽게 하는 관점으로부터다.
본 명세서에서는, 평량은 시료를 그 면적이 100c㎡가 되도록, 예를 들면, 3cm×3cm의 사이즈로 잘라내고, 그 질량을 측정함으로써 산출된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흡수체는 바람직하게는 50∼1,000g/㎡, 보다 바람직하게는 75∼750g/㎡,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100∼500g/㎡의 평균 평량을 가진다. 엠보스부에 있어서 광의 투과성을 확보하기 쉽게 하고, 비엠보스부에 있어서 광의 불투과성을 확보하기 쉽게 하는 관점으로부터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한 쌍의 엠보스부와, 그들의 사이에 배치된 비엠보스부를 포함하는 엠보스 영역은, 흡수성 물품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흡수성 물품이 착의 등에 고정하여 이용되는 것, 예를 들면, 생리용 냅킨, 팬티 라이너, 소변 흡수 패드 등인 경우에는, 엠보스 영역은, 배설구 맞닿음 영역(예를 들면, 질구 맞닿음 영역, 소변구 맞닿음 영역 등)을 포함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리고 배설구 맞닿음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엠보스 영역은, 배설구 맞닿음 영역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흡수성 물품의 배설구 맞닿음 영역과 착용자의 배설구의 위치를 맞추는 것이 흡수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은, 복수의 엠보스 영역을 구비할 수 있고, 그리고 있는 어떤 엠보스 영역 내에 다른 엠보스 영역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엠보스 영역 내에 다른 엠보스 영역이 형성됨으로써, 엠보스 영역의 시인성이 높아져, 착용자가 위치 맞춤하기 쉬워진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이 복수의 엠보스 영역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엠보스 영역의 각각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특성은, 상술한 바와 같다.
흡수성 물품이 착의에 고정하여 이용되는 것이고, 엠보스 영역이 배설구 맞닿음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비엠보스부가 배설구 맞닿음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한 쌍의 엠보스부가 배설구 맞닿음 영역의 외연을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둘러싸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 맞춤의 표식으로서의 관점으로부터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엠보스 영역에 있어서의 한 쌍의 엠보스부는, 비엠보스부를 사이에 끼우고 마주 보고 있으면 충분하고, 한 쌍의 엠보스부의 각각이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위치 맞춤의 용이성의 관점에서, 한 쌍의 엠보스부의 각각이, 비엠보스부를 중심으로 하여, 대상(對象)(점대칭, 선대칭 등)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엠보스부의 각각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연결된 엠보스부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연결된 엠보스부는,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이 착의에 고정하여 이용되지 않는 것, 예를 들면, 일회용 기저귀인 경우에는, 상기 엠보스 영역은 배설구 맞닿음 영역, 특히, 고간부(股間部)를 중심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과, 엠보스 영역의 엠보스부를 절곡 유도부로서 이용하는 관점으로부터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엠보스 영역을 구성하는 엠보스부는, 적어도 흡수체를 엠보스하고 있고, 유색층을 엠보스하고 있지 않다. 환원하면, 상기 엠보스부는, 두께 방향에 있어서, 흡수체를 그 구성 요소로 하고, 그리고 흡수체를 구성 요소의 하한으로 하고 있다. 본 개시의 효과의 관점으로부터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엠보스부는, 흡수체만을 엠보스하고 있어도 된다. 환원하면, 상기 엠보스부는, 흡수체만을 구성 요소로 하고, 그리고 흡수체를 구성 요소의 상한 및 하한으로 해도 된다. 엠보스부가 흡수체에 형성되어 있으면, 흡수성 물품의 액 투과성 시트측으로부터, 유색층이 시인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엠보스부는, 액 투과성 시트로부터 흡수체에 이르는 층을 엠보스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원하면, 상기 엠보스부는, 액 투과성 시트로부터 흡수체까지를 그 구성 요소로 하며, 액 투과성 시트를 구성 요소의 상한으로 하고, 흡수체를 구성 요소의 하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물품의 액 투과성 시트측으로부터 유색층을 시인 가능하게 하는 관점으로부터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엠보스 영역을 구성하는 엠보스부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방법, 예를 들면, 대상물을 한 쌍의 엠보스 롤에 의해 엠보스하는 엠보스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엠보스부에 있어서의 광의 투과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으로부터는, 엠보스법에 있어서, 대상물에 가해지는 온도인 엠보스 온도를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엠보스 영역을 구성하는 엠보스부가, 액 투과성 시트 및 흡수체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로서, 액 투과성 시트가, 코어 시스(core-sheath) 구조를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엠보스 온도를,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시스 성분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흡수체의 엠보스부 구성 부분의 두께는, 흡수체의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의 두께보다 얇고, 그리고 흡수체의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의 두께의, 바람직하게는 0.1∼30%,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0%의 두께를 가진다. 엠보스부에 있어서 광의 투과성을 확보하기 쉽게 하고, 비엠보스부에 있어서 광의 불투과성을 확보하기 쉽게 하는 관점으로부터다.
상기 두께는, 액체 질소 등으로 냉동시킨 흡수체를 절단하고, 그 절단면의 화상을 전자 현미경으로 촬영하여, 당해 화상으로부터 측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흡수체의 엠보스부 구성 부분은, 흡수체의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의 평량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흡수체의 엠보스부 구성 부분이 저평량 영역을 구성하고, 흡수체의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이 고평량 영역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엠보스부 구성 부분은, 흡수체의 평균 평량의, 바람직하게는 1∼70질량%,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50질량%의 평량을 가진다. 엠보스부에 있어서 광의 투과성을 확보하기 쉽게 하고, 비엠보스부에 있어서 광의 불투과성을 확보하기 쉽게 하는 관점으로부터다.
상기 엠보스부 구성 부분의 평량은, 흡수체로부터 엠보스부 구성 부분을 잘라내고, 그 면적 및 질량을 측정함으로써 산출된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흡수체가, 펄프 섬유 및 고분자 흡수제를 포함하는 흡수 코어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흡수성 물품은, 흡수 코어에 있어서, 펄프 섬유 및 고분자 흡수제를 그들의 합계 질량 100%에 의거하여, 바람직하게는 30∼99질량% 및 1∼7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5∼95질량% 및 5∼55질량%,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60∼90질량% 및 10∼40질량%의 비율로 포함한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흡수체가, 펄프 섬유 및 고분자 흡수제를 포함하는 흡수 코어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흡수 코어의 흡수 코어 엠보스부 구성 부분의 펄프 섬유의 질량비가, 비엠보스부의 흡수 코어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의 펄프 섬유의 질량비보다 바람직하게는 높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상 높고, 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높고,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높다. 엠보스부에 있어서 광의 투과성을 확보하기 쉽게 하고, 비엠보스부에 있어서 광의 불투과성을 확보하기 쉽게 하는 관점으로부터다.
펄프 섬유의 질량비는, 흡수 코어에 있어서의, 펄프 섬유의 질량의, 흡수 코어를 구성하는 성분의 총 질량에 대한 비를 의미한다.
흡수 코어 엠보스부 구성 부분에 있어서의 펄프 섬유의 질량비는, 흡수 코어 엠보스부 구성 부분을 잘라내고, 펄프 섬유를 그 밖의 성분으로부터 선별하여, 펄프 섬유의 질량과, 흡수 코어를 구성하는 전체 성분의 총 질량을 측정하고, 계산에 의해 산출된다. 흡수 코어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에 있어서의 펄프 섬유의 질량비도 마찬가지로 측정된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엠보스 영역에 있어서의 비엠보스부는, 흡수체 및 유색층을 엠보스하고 있지 않지만, 비엠보스부에 있어서, 액 투과성 시트가 엠보스되어 있어도 된다. 그와 같은 액 투과성 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스판 본드 부직포를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은, 흡수체와 액 불투과성 시트의 사이에 제 2 흡수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흡수체의 피부 맞닿음면을 구성하는 시트가, 유색층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 불투과성 시트의 착의 맞닿음면 등에 형성되는 색채와는 무관하게, 흡수성 물품의 액 투과성 시트측으로부터, 흡수성 물품의 위치 맞춤의 표식이 되기 쉬운 색채를 선택할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유색층은 액 불투과성 시트와는 별개의 구성 요소이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유색층을 액 불투과성 시트와 구별함으로써, 유색층의 색을, 액 불투과성 시트의 착의 맞닿음면 등에 형성되는 색채와는 무관하게, 흡수성 물품의 위치 맞춤의 표식이 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유색층은, 착색되어 있는 층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포백, 예를 들면 부직포, 직포, 직물, 시트, 예를 들면 수지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색층은 구입할 수 있고, 그리고 백색의 부직포, 투명 또는 반투명의 수지 필름에, 착색 재료를 도포, 인쇄 등 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유색층은, 엠보스 영역과,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으로 중복되는 범위에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본 개시의 효과의 관점으로부터다. 또한, 상기 유색층은, 흡수체와, 상기 두께 방향으로 중복되는 범위에 배치될 수 있고, 그리고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있어서, 흡수체를 초과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유색층은, 액 투과성 시트와 상이한 색을 가진다. 상기 유색층은, 액 투과성 시트와,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의 색차를 가진다. 그렇게 함으로써, 착용자가, 액 투과성 시트측으로부터, 엠보스 영역에 있어서의 엠보스부를 통하여 유색층의 색을 시인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유색층은, 액 투과성 시트와,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의 색차를 가진다. 그렇게 함으로써, 착용자가, 액 투과성 시트측으로부터, 엠보스 영역에 있어서의 비엠보스부를 통하여 유색층의 색을 시인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색차는 이하와 같이 측정된다.
(1) 20℃의 항온실에, 코니카미놀타사제 색채 색차계 CR-300을 준비하고, 측정해야 하는 액 투과성 시트와, 유색층과, ADVANTEC사의 정성(定性) 여과지 No.2 φ55(JIS P 3801)를 준비하고, 그들을 1시간 정치한다.
(2) 상기 정성 여과지의 위에, 측정해야 하는 액 투과성 시트를 그 피부 맞닿음면이 위를 향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색차계로 피부 맞닿음면의 CIE L*a*b* 표색계의 좌표(L*0, a*0, b*0)를 측정한다.
(3) 상기 정성 여과지의 위에, 유색층을 그 피부측면이 위를 향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색차계로 CIE L*a*b* 표색계의 좌표(L*1, a*1, b*1)를 측정한다.
(4) 색차(ΔE)를, 다음의 식:
ΔE={(L*1-L*0)2+(a*1-a*0)2+(b*1-b*0)2}0.5
에 의해 산출한다.
(5) 측정은 5회 행하고, 그 평균값을 채용한다.
엠보스 영역의 엠보스부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의 액 투과성 시트측으로부터 유색층의 색을 시인 가능하게 하는 관점으로부터는, 액 투과성 시트는, 담색계의 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리고 백색계의 색을 가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술의 관점으로부터, 액 투과성 시트는, 상술의 피부 맞닿음면의 CIE L*a*b* 표색계의 좌표(L*0, a*0, b*0)의 L*0값이,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그리고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이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이 제 1 흡수체 및 제 2 흡수체를 포함하며, 제 2 흡수체의 피부측면이 유색층을 구성하고, 제 1 흡수체가 추가의 유색층을 가지는 경우(예를 들면, 제 1 흡수체의, 액 불투과성 시트로부터의 코어 랩이 착색되어 있고, 추가의 유색층을 구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 2 흡수체의 유색층과, 제 1 흡수체의 추가의 유색층은 동계열의 색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리고 제 2 흡수체의 유색층과, 제 1 흡수체의 추가의 유색층이 동계열의 색상을 가지고 또한 제 2 흡수체의 유색층의 채도가 제 1 흡수체의 추가의 유색층의 채도보다 높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엠보스 영역에 있어서의 엠보스부의 선명함이 향상하여, 엠보스 영역의 시인성이 향상한다.
상기 유색층은 기능성 성분을 더 포함해도 된다. 상기 기능성 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방향(芳香) 성분, 냉감 성분, 온감 성분, 소취 성분, 항균 성분, 스킨케어 성분, 및 그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성분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 성분으로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향료로서 이용되고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비점이 약 250℃ 이하인 고휘발성 향료, 비점이 약 250∼약 300℃인 중휘발성 향료를 들 수 있다.
상기 냉감 성분으로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냉감재로 알려져 있는 것을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피부의 신경에 있는 수용체 활성화 채널(TRPM8)에 작용하는 것, 예를 들면, 멘톨(예를 들면, l-멘톨) 및 그 유도체, 살리실산 메틸, 캄퍼, 식물(예를 들면, 민트, 유칼리) 유래의 정유(精油)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감 성분으로서는, 기화열에 의해 주위의 온도를 내리는 것, 예를 들면 알코올, 예를 들면 메탄올 및 에탄올을 들 수 있다.
상기 온감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캡시코시드, 캡사이신, 캡사이시노이드류(디히드로캡사이신, 노르디히드로캡사이신, 호모디히드로캡사이신, 호모캡사이신, 노니바미드 등), 캡산틴, 니코틴산 벤질, 니코틴산 β-부톡시에틸, N-아실바닐릴아미드, 노난산 바닐릴아미드, 다가 알코올, 고추 분말, 고추 팅크, 고추 엑기스, 노난산 바닐릴에테르, 바닐릴알콜알킬에테르 유도체(예를 들면, 바닐릴에틸에테르, 바닐릴부틸에테르, 바닐릴펜틸에테르, 바닐릴헥실에테르), 이소바닐릴알콜알킬에테르, 에틸바닐릴알콜알킬에테르, 베라트릴알콜 유도체, 치환 벤질알코올 유도체, 치환 벤질알콜알킬에테르, 바닐린프로필렌글리콜아세탈, 에틸바닐린프로필렌글리콜아세탈, 생강 엑기스, 진저 오일, 진저롤, 진저론, 및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상기 소취 성분으로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소취제로 알려져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스킨케어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소염 성분, 진양(鎭痒) 성분, 발진 방지 성분, 보습 성분 등을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멘톨, 살리실산 메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항균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제4급 암모늄염, 구아니딘계 항균제(예를 들면, 글루콘산 클로르헥시딘, 염산 클로르헥시딘), 비구아니드계 항균제, 금속 이온 담지물, 헥세티딘, 메트로니다졸 등을 들 수 있다.
1 : 흡수성 물품
3 : 액 투과성 시트
5 : 흡수체
7 : 흡수 코어
9 : 펄프 섬유
11 : 고분자 흡수제
13 : 코어 랩
15 : 유색층
17 : 액 불투과성 시트
19 : 고정부
21, 22, 23, 24, 25 : 엠보스부
27 : 비엠보스부
29 : 엠보스 영역
31 : 엠보스부 구성 부분
32 : 흡수 코어 엠보스부 구성 부분
33 :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
34 : 흡수 코어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
35 : 고평량 영역
37 : 저평량 영역
51 : 제 1 흡수체
53 : 제 2 흡수체
55 : 고분자 흡수제층
57 : 제 2 상방 코어 랩
59 : 제 2 하방 코어 랩
61 : 옆쪽 가장자리
63, 65 : 컷아웃부
71 : 제 1 비엠보스부
73 : 제 1 엠보스부
75 : 제 1 엠보스 영역
77 : 제 2 엠보스 영역
79, 81, 83 : 제 2 비엠보스부
85, 87, 89 : 제 2 엠보스부
91 : 흡수 코어 제 2 엠보스부 구성 부분
93 : 흡수 코어 제 2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

Claims (11)

  1. 액 투과성 시트와, 흡수체와, 유색층과, 액 불투과성 시트를 그 순서대로 구비하고,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가지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한 쌍의 엠보스부와, 그들의 사이에 배치된 비엠보스부를 포함하는 엠보스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엠보스부의 각각이, 상기 흡수체를 엠보스하고 있지만, 상기 유색층을 엠보스하고 있지 않고,
    상기 비엠보스부가, 상기 흡수체 및 상기 유색층을 엠보스하고 있지 않으며,
    상기 엠보스 영역에서는, 상기 흡수체의, 상기 한 쌍의 엠보스부의 각각을 구성하는 엠보스부 구성 부분의 두께가, 상기 흡수체의, 상기 비엠보스부를 구성하는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흡수성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스 영역에서는, 상기 흡수체의 상기 엠보스부 구성 부분의 평량이, 상기 흡수체의 상기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의 평량보다 작은, 흡수성 물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가, 펄프 섬유와 고분자 흡수제를 포함하는 흡수 코어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 코어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엠보스부의 각각을 구성하는 흡수 코어 엠보스부 구성 부분의 상기 펄프 섬유의 질량비가, 상기 비엠보스부를 구성하는 흡수 코어 비엠보스부 구성 부분의 상기 펄프 섬유의 질량비보다 높은, 흡수성 물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엠보스부의 각각이,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액 투과성 시트를 더 엠보스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스 영역이, 상기 흡수성 물품의 배설구 맞닿음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액 불투과성 시트에, 상기 흡수성 물품을 착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엠보스부가, 상기 비엠보스부의, 상기 폭 방향의 양쪽 외측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엠보스부가, 배설구 맞닿음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엠보스부가, 상기 배설구 맞닿음 영역의 외연을,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둘러싸고 있는, 흡수성 물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엠보스 영역의 내측에, 한 쌍의 제 2 엠보스부와, 그들의 사이에 배치된 제 2 비엠보스부를 포함하는 제 2 엠보스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제 2 엠보스부의 각각이, 상기 액 투과성 시트 및 상기 흡수체를 엠보스하고 있지만, 상기 유색층을 엠보스하고 있지 않고, 제 2 비엠보스부가, 상기 흡수체 및 상기 유색층을 엠보스하고 있지 않은, 흡수성 물품.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일회용 기저귀이고, 상기 한 쌍의 엠보스부의 각각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 유도부인, 흡수성 물품.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흡수체와 상기 액 불투과성 시트의 사이에 제 2 흡수체를 구비하고, 상기 유색층이, 제 2 흡수체의 피부측면을 구성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색층이, 기능성 성분을 더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197009281A 2016-09-30 2016-09-30 흡수성 물품 KR1020160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79189 WO2018061220A1 (ja) 2016-09-30 2016-09-30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443A true KR20190039443A (ko) 2019-04-11
KR102016053B1 KR102016053B1 (ko) 2019-08-29

Family

ID=61195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281A KR102016053B1 (ko) 2016-09-30 2016-09-30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90336359A1 (ko)
EP (1) EP3520752B1 (ko)
JP (1) JP6279184B1 (ko)
KR (1) KR102016053B1 (ko)
CN (1) CN109640906B (ko)
EA (1) EA201990531A1 (ko)
WO (1) WO20180612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74837A (zh) * 2018-12-29 2020-07-07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
USD917692S1 (en) 2019-03-19 2021-04-27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Absorbent article
USD919084S1 (en) 2019-03-19 2021-05-11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Absorbent article
JP7396807B2 (ja) * 2019-04-15 2023-12-12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
JP7254653B2 (ja) * 2019-07-12 2023-04-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D978342S1 (en) * 2019-09-06 2023-02-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eminine pad
JP7411430B2 (ja) * 2019-12-23 2024-01-11 花王株式会社 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1195A (ja) * 2007-07-06 2010-09-24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パンティライナー
JP2013075082A (ja) 2011-09-30 2013-04-25 Unicharm Corp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65823B2 (ja) * 2006-12-13 2014-04-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機能性シートおよび吸収性物品
JP5210565B2 (ja) * 2007-07-30 2013-06-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383064B2 (ja) * 2008-03-04 2014-01-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図柄入り吸収性物品
JP5383063B2 (ja) * 2008-03-04 2014-01-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258380B2 (ja) * 2008-05-15 2013-08-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0001893A1 (ja) * 2008-06-30 2010-01-07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KR20130050934A (ko) * 2010-03-23 2013-05-16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CN202426740U (zh) * 2011-09-21 2012-09-12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
US9987176B2 (en) * 2013-08-27 2018-06-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JP6300717B2 (ja) * 2014-12-26 2018-03-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1195A (ja) * 2007-07-06 2010-09-24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パンティライナー
JP2013075082A (ja) 2011-09-30 2013-04-25 Unicharm Corp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6053B1 (ko) 2019-08-29
US20190336359A1 (en) 2019-11-07
WO2018061220A1 (ja) 2018-04-05
CN109640906B (zh) 2020-11-24
EP3520752B1 (en) 2020-08-12
JP6279184B1 (ja) 2018-02-14
EA201990531A1 (ru) 2019-08-30
EP3520752A1 (en) 2019-08-07
EP3520752A4 (en) 2019-08-07
CN109640906A (zh) 2019-04-16
JPWO2018061220A1 (ja) 2018-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9443A (ko) 흡수성 물품
CN105188626B (zh) 具有护翼和防护条的吸收性个人护理物品
KR102565575B1 (ko) 흡수성 물품
EP1864635A1 (en) Absorbent article
TW201039803A (en) Absorbent article
JP2009201878A (ja) 吸収性物品
KR20080109825A (ko) 여성용 위생용품 및 그 제조 방법
JP2015024002A (ja) 吸収性物品
KR102411325B1 (ko) 흡수성 물품
JP2019170534A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の製造方法
BR112018073111B1 (pt) Artigo absorvente
JP6183804B2 (ja) 吸収性物品
JP6146763B2 (ja) 吸収性物品
JP6172809B2 (ja) 吸収性物品
JP6305691B2 (ja) 吸収性物品
JP6307380B2 (ja) 使い捨ておむつ
CN104869962B (zh) 一次性尿布
WO2020179884A1 (ja) 吸収性物品
JP2008055108A (ja) 吸収性物品
JP5651000B2 (ja) 吸収性物品
KR102570212B1 (ko) 흡수성 물품
JP6449640B2 (ja) 吸収性物品
GB2559933A (en) Absorbent article
JP2009136600A (ja) 吸収性物品
TWI655937B (zh) Absorbent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