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7298A - 배선체, 배선 기판, 및 터치 센서 - Google Patents
배선체, 배선 기판, 및 터치 센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37298A KR20190037298A KR1020197006455A KR20197006455A KR20190037298A KR 20190037298 A KR20190037298 A KR 20190037298A KR 1020197006455 A KR1020197006455 A KR 1020197006455A KR 20197006455 A KR20197006455 A KR 20197006455A KR 20190037298 A KR20190037298 A KR 201900372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portion
- fine
- conductor
- electrode
- fine li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7—Position sensing using the local deformation of sensor cel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7—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sets of wires, e.g. crossed wir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96—Conductive pattern lay-out details not covered by sub groups H05K1/02 - H05K1/0295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배선체(40)는, 제2 수지부(70)와, 제2 수지부의 한쪽 측에 마련되고 제1 전극부(61)를 포함하는 제1 도체부(60)와, 제2 수지부의 다른 쪽 측에 마련되고 제2 전극부(81)를 포함하는 제2 도체부(80)를 구비하고, 제1 전극부는, 서로 교차하는 복수개의 제1 세선(611)을 가지며, 제1 세선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격자(612)를 포함하고 있고, 제2 전극부는, 서로 교차하는 복수개의 제2 세선(811)을 가지며, 제2 세선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격자(812)를 포함하고 있고,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를 대향하여 배치함으로써, 투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가 부분적으로 겹치는 중복 영역(41)과, 중복 영역 이외의 비중복 영역(42)이 존재하고 있으며, 투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 전극부 또는 제2 전극부에서의 중복 영역에서의 단위면적당 제1 세선 및 제2 세선의 점유 면적이, 비중복 영역에서의 단위면적당 제1 세선 또는 제2 세선의 점유 면적보다도 크고, 제1 도체부는, 제1 전극부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제1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1 더미 전극부(63)를 포함하며, 제1 더미 전극부는 비중복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격자 내에 존재하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선체, 배선 기판, 및 터치 센서에 관한 것이다.
문헌의 참조에 의한 편입이 인정되는 지정국에 대해서는 2016년 12월 28일에 일본국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6-256468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편입하고, 본 명세서의 기재의 일부로 한다.
터치패널에서, 2 이상의 대(大)격자와, 인접하는 대격자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지며, 2 이상의 소(小)격자를 조합하여 대격자를 구성하고, 상기 소격자의 n배 피치를 가지는 1 이상의 중(中)격자를 배치하여 접속부를 구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터치패널에서는 적층된 2층의 도전 시트를 윗면에서 보았을 때, 대향하는 접속부끼리의 조합에 의해 복수개의 소격자가 배열되고, 주변의 대격자를 구성하는 소격자와의 분간이 가지않게 됨으로써, 터치패널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터치패널에서, 복수개의 제1 전극이 접속된 제1 도전 패턴을 가지는 제1 도전부와, 제1 도전 패턴의 배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고 복수개의 제2 전극이 접속되어 제2 도전패턴을 가지는 제2 도전부가 대향하여 배치되고, 제1 도전부 및/또는 제2 도전부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더미 전극과, 제1 도전부에 포함되고 제2 전극에 대응한 부분에 배치되는 다른 더미 전극을 가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이 터치패널에서는 적층된 2층의 도전 시트를 윗면에서 보았을 때, 다른 더미 전극에 의해, 제1 전극에 대응한 부분의 빛 투과율과 제2 전극에 대응한 부분의 빛 투과율을 균일하게 하여, 터치패널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서는 접속부에서의 도통(導通) 경로의 감소에 의해 회로 저항이 상승하고, 터치패널의 센서 감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서는 다른 더미 전극과 제2 전극을 대향하여 배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손가락 끝이 보호층에 접촉 또는 근접했을 때에 손가락 끝과 제2 전극 사이에 다른 더미 전극이 위치하게 되고, 본래 제2 전극으로부터 손가락에 도달해야 할 전기력선이 더미 전극에 들어가 버린다. 그 때문에 상기 다른 더미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기생 용량이 발생하여, 터치패널의 센서 감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시인성을 향상시키면서, 센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배선체, 배선 기판, 및 터치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배선체는, 절연부와, 상기 절연부의 한쪽 측에 마련되고 제1 전극부를 포함하는 제1 도체부와, 상기 절연부의 다른 쪽 측에 마련되고 제2 전극부를 포함하는 제2 도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전극부는 서로 교차하는 복수개의 제1 세선(細線)을 가지며, 상기 제1 세선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격자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2 전극부는 서로 교차하는 복수개의 제2 세선을 가지며, 상기 제2 세선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격자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1 전극부와 상기 제2 전극부를 대향하여 배치함으로써, 투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전극부와 상기 제2 전극부가 부분적으로 겹치는 중복 영역과, 상기 중복 영역 이외의 비(非)중복 영역이 존재하고 있고, 투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전극부 또는 상기 제2 전극부에서의 상기 중복 영역에서의 단위면적당 상기 제1 세선 및 상기 제2 세선의 점유 면적이, 상기 비중복 영역에서의 단위면적당 상기 제1 세선 또는 상기 제2 세선의 점유 면적보다도 크며, 상기 제1 도체부는 상기 제1 전극부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1 더미 전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더미 전극부는 상기 비중복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격자 내에 존재하고 있는 배선체이다.
[2] 상기 발명에서, 상기 제1 도체부 또는 상기 제2 도체부는 상기 제1 전극부 또는 상기 제2 전극부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전극부 또는 상기 제2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2 더미 전극부를 포함하며, 투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더미 전극부는 상기 비중복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격자 내에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3] 상기 발명에서, 상기 제1 더미 전극부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3 세선을 가지며, 상기 중복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세선과 상기 제2 세선이 겹침으로써 복수개의 제3 격자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비중복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세선과 상기 제3 세선이 조합됨으로써 복수개의 제4 격자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4 격자는 상기 제3 격자와 실질적으로 동일 형상이어도 된다.
[4] 상기 발명에서, 상기 제1 더미 전극부는 상기 제3 세선끼리의 교점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선(斷線)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5] 상기 발명에서, 상기 제1 전극부에서, 제1 격자 내에 돌출된 상기 제1 세선은 존재하고 있지 않고, 상기 제1 더미 전극부는 상기 제1 세선과 상기 제3 세선의 모든 교점에 형성된 제2 단선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6] 상기 발명에서, 아래 (1)식을 충족해도 된다.
S1≤L/10 …(1)
단, 상기 (1)식에서, S1은 상기 제2 단선부에서의 상기 제1 세선과 상기 제3 세선의 간격이며, L은 상기 제4 격자의 한 변의 길이이다.
[7] 상기 발명에서, 아래 (2)식 및 (3)식을 충족해도 된다.
(S2-S3)×0.5/H≤1 …(2)
S3<50㎛ …(3)
단, 상기 (2)식 및 (3)식에서, S2는 상기 제2 단선부에서의 상기 제1 세선과 상기 제3 세선의 최대간격이고, S3은 상기 제2 단선부에서의 상기 제1 세선과 상기 제3 세선의 최소간격이며, H는 상기 제3 세선의 높이이다.
[8] 상기 발명에서, 상기 비중복 영역은, 투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전극부와 상기 제2 전극부 양쪽과 겹치지 않는 극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체부 및 상기 제2 도체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제1 전극부 또는 상기 제2 전극부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전극부 또는 상기 제2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3 더미 전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더미 전극부는 상기 극간 영역 내에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9] 상기 발명에서, 상기 제3 더미 전극부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5 세선을 가지며, 상기 제5 세선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5 격자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5 격자는 상기 제3 격자와 실질적으로 동일 형상이어도 된다.
[10] 상기 발명에서, 상기 제1 전극부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마름모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전극부의 연장 방향으로 병렬된 복수개의 제1 검지부와,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 검지부끼리를 접속하는 제1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부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마름모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전극부의 연장 방향으로 병렬된 복수개의 제2 검지부와,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2 검지부끼리를 접속하는 제2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중복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검지부 및 상기 제2 검지부는 상기 비중복 영역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11] 본 발명에 따른 배선 기판은 상기 배선체와, 상기 배선체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구비하는 배선 기판이다.
[12]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는 외부도체의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센서로서,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배선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도체부는 상기 외부도체와 상기 제1 도체부 사이에 개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복 영역 및 비중복 영역 사이에서의 차광률 차가 작아짐과 함께, 접속부에서 회로 저항이 상승하기 어려우면서, 전극부 및 더미 전극부 사이에서 기생 용량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시인성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센서 감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그 터치 센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를 나타내는 투과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1 전극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2 전극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의 중복 영역을 확대한 투과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1 도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X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1 전극부와 제1 더미 전극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2 도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XIII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는 비교예에 따른 제1 도체부와 제2 도체부를 나타내는 투과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1 도체부와 제2 도체부를 나타내는 투과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1 도체부와 제1 더미 전극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1 도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2 도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1 도체부와 제2 도체부를 나타내는 투과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제1 도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제2 도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그 터치 센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를 나타내는 투과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1 전극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2 전극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의 중복 영역을 확대한 투과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1 도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X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1 전극부와 제1 더미 전극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2 도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XIII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는 비교예에 따른 제1 도체부와 제2 도체부를 나타내는 투과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1 도체부와 제2 도체부를 나타내는 투과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1 도체부와 제1 더미 전극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1 도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2 도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1 도체부와 제2 도체부를 나타내는 투과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제1 도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제2 도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그 터치 센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터치 센서(10)를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 1에서는 제1 도체부(60)를 실선에 의해 표시했다.
도 1에 나타내는 터치 센서(10)는 투영형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패널 센서이며, 예를 들면, 표시장치(도시하지 않음) 등과 조합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는 입력장치로서 이용된다. 표시장치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전자 페이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터치 센서(10)는 터치 센서(10)의 표시 영역에 배치되어, 서로 대향하는 검출 전극과 구동 전극(후술하는 제1 전극부(61) 및 제2 전극부(81))을 가지고 있고, 이 2개의 전극 사이에는 외부회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소정 전압이 주기적으로 인가되고 있다.
이와 같은 터치 센서(10)에서는 예를 들면, 조작자의 손가락(F)(외부도체(F))이 터치 센서(10)에 접근하면, 이 외부도체(F)와 터치 센서(10) 사이에서 콘덴서(전기용량)가 형성되고, 2개의 전극 사이의 전기적인 상태가 변화된다. 터치 센서(10)는 2개의 전극 사이의 전기적인 변화에 기초하여 조작자의 조작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터치 센서(10)는 배선 기판(20)을 구비하고, 배선 기판(2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체(30)와 배선체(4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배선 기판(20)은 상기 표시장치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투명성(투광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지체(30)는 직사각형상의 외형을 가지고, 투명성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지지체(30)를 구성하는 재료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이미드 수지(PI), 폴리에테르이미드 수지(PEI),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액정 폴리머(LCP),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 실리콘 수지(SI), 아크릴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그린시트, 유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지지체(30)에는 배선체(40)가 붙여져 있고, 지지체(30)에 의해 배선체(40)가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지지체(30)는 배선체(40)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선체(4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수지부(50)와 제1 도체부(60)와 제2 수지부(70)와 제2 도체부(80)와 제3 수지부(9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배선체(40)는 상기 표시장치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투명성(투광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수지부(50)는 직사각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투명성을 가지는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 투명성을 가지는 수지 재료로는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우레탄 수지, 비닐 수지, 실리콘 수지, 페놀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등의 UV 경화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 제1 수지부(50)의 아랫면이 지지체(30)에 붙여져 있다.
제1 도체부(60)는 제1 수지부(50)의 윗면에 마련되어 있고, 제1 수지부(50)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이 제1 도체부(60)는 복수개의 제1 전극부(61)와 복수개의 제1 인출배선(62)을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제1 전극부(61)는 도면 중 X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복수개의 제1 전극부(61)는 도면 중 Y방향으로 병렬되어 있다. 각각의 제1 전극부(61)는 복수개의 제1 검지부(613)와 복수개의 제1 접속부(614)를 포함하고 있다. 제1 검지부(613)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마름모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복수개의 제1 검지부(613)는 제1 전극부(61)의 연장 방향으로 병렬되어 있다. 제1 접속부(614)는 서로 이웃하는 제1 검지부(613, 613)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각각의 제1 전극부(61)의 긴 쪽 방향 일단(一端)에는 제1 인출배선(62)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각각의 제1 인출배선(62)의 타단(他端)은 배선체(40)의 가장자리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제1 인출배선(62)의 타단이 외부회로와 접속된다. 한편, 제1 전극부(61)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인출배선(62)의 수는 제1 전극부(61)의 수에 따라 설정된다.
제1 도체부(60)는 도전성 재료(도전성 입자)와 바인더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도전성 재료로는 은이나 구리, 니켈, 주석, 비스무트, 아연, 인듐, 팔라듐 등의 금속재료나, 그라파이트, 카본블랙(퍼니스블랙, 아세틸렌블랙, 케첸블랙), 카본나노튜브, 카본나노파이버 등의 카본계 재료를 들 수 있다. 한편, 도전성 재료로서 금속염을 사용해도 된다. 금속염으로는 상술의 금속의 염을 들 수 있다. 바인더 수지로는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비닐 수지, 우레탄 수지, 페놀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도체부(60)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도전성 페이스트의 구체예로는 상술의 도전성 재료 및 바인더 수지를 물, 혹은 용제, 및 각종 첨가제에 혼합하여 구성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예시할 수 있다. 도전성 페이스트에 포함되는 용제로는 α-테르피네올, 부틸카르비톨아세테이트, 부틸카르비톨, 1-데칸올, 부틸셀로솔브,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테트라데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도체부(60)를 구성하는 재료로부터 바인더 수지를 생략해도 된다.
제2 수지부(70)는 직사각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투명성을 가지는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 투명성을 가지는 수지 재료로는 예를 들면, 상기의 제1 수지부(50)를 구성하는 수지재료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제2 수지부(70)는 제1 도체부(60)를 덮도록 제1 수지부(50) 상에 마련되어 있다. 이 제2 수지부(70)에는 개구부(71)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71)로부터는 제1 인출배선(62)의 타단이 노출되어 있다.
제2 도체부(80)는 제2 수지부(70)의 윗면에 마련되어 있다. 이 제2 도체부(80)는 복수개의 제2 전극부(81)와 복수개의 제2 인출배선(82)을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제2 전극부(81)는 도면 중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복수개의 제2 전극부(81)는 도면 중 X방향으로 병렬되어 있다. 각각의 제2 전극부(81)는 복수개의 제2 검지부(813)와 복수개의 제2 접속부(814)를 포함하고 있다. 제2 검지부(813)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마름모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복수개의 제2 검지부(813)는 제2 전극부(81)의 연장 방향으로 병렬되어 있다. 제2 접속부(814)는 서로 이웃하는 제2 검지부(813, 813)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각각의 제2 전극부(81)의 긴 쪽 방향 일단에는 제2 인출배선(82)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각각의 제2 인출배선(82)의 타단은 배선체(40)의 가장자리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제2 인출배선(82)의 타단이 외부회로와 접속된다. 한편, 제2 전극부(81)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인출배선(82)의 수는 제2 전극부(81)의 수에 따라 설정된다.
제2 도체부(80)는 제1 도체부(60)와 마찬가지로 도전성 재료(도전성 입자)와 바인더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2 도체부(80)도 제1 도체부(60)와 마찬가지로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제3 수지부(90)는 직사각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투명성을 가지는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 투명성을 가지는 수지 재료로는 예를 들면, 상기의 제1 수지부(50)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와 동일한 수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제3 수지부(90)는 제2 도체부(80)를 덮도록 제2 수지부(70) 상에 마련되어 있다. 이 제3 수지부(90)에는 개구부(91)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91)로부터는 제2 인출배선(82)의 타단이 노출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91)는 개구부(71)와 겹쳐 있고, 이 경우, 개구부(91)로부터는 제1 인출배선(62)의 타단도 노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3 수지부(90)에 외부도체(F)(손가락(F))가 접촉되어 있는데,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고, 터치 센서(10)가, 외부도체(F)가 접촉하는 면을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수지 부재(90) 상에 커버 유리를 적층하여, 이 커버 유리에 손가락이 접촉해도 된다.
다음으로 제1 도체부(60) 및 제2 도체부(80)의 구성에 대해, 도 3~11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를 나타내는 투과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1 전극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4의 V-V선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2 전극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의 중복 영역을 확대한 투과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1 도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도 8의 IX부의 부분 확대도, 도 10은 도 9의 X-X선을 따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1 전극부와 제1 더미 전극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2 도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XIII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한편, 도 9 및 도 11에서 일점쇄선의 원으로 둘러싸인 부분이 제2 단선부(634)(후술)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3에서 일점쇄선의 직사각형 테두리로 둘러싸인 부분이 제4 단선부(834)(후술)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체(40)에서는 제2 수지부(70)의 한쪽 측에 제1 도체부(60)가 배치되고, 제2 수지부(70)의 다른 쪽 측에 제2 도체부(80)가 배치되어 있다. 제2 도체부(80)는 제1 도체부(60)보다도, 외부도체(F)가 접촉하는 측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도전부(60)가 표시장치 측에 위치하고, 제2 도전부(80)가 조작자 측(외부도체(F)가 접촉하는 면 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1 전극부(61)와 제2 전극부(81)는 제2 수지부(70)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있다. 이 경우, 배선체(40)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 전극부(61)와 제2 전극부(81)가 부분적으로 겹치는 영역(이하, "중복 영역(41)"이라고도 칭함.)이 존재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접속부(614) 및 제2 접속부(814)가 중복 영역(41)에 배치되어 있다(즉, 제1 접속부(614) 및 제2 접속부(814)는 투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 겹쳐 있다.). 또한, 제1 검지부(613) 및 제2 검지부(813)가 제1 전극부(61) 또는 제2 전극부(81)의 중복 영역(41) 이외의 영역(이하, "비중복 영역(42)"이라고도 칭함.)에 배치되어 있다(즉, 제1 검지부(613) 및 제2 검지부(813)는 투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 겹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제1 전극부(6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직선 형상의 제1 세선(611a, 611b)을 가지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제1 세선(611a, 611b)을 제1 세선(611)이라고 총칭한다.
이 제1 세선(611)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수지부(50)의 윗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1 세선(611)은, 상기 제1 세선(611)의 폭 방향으로 절단한 절단면을 본 경우에, 제1 수지부(50)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차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 제1 세선(611)에서, 제1 수지부(50)와 접촉하는 부분은 제2 수지부(70)와 접촉하는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거칠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수지부(50)와 접촉하는 부분의 면 거칠기(Ra)는 0.1㎛~3㎛인 것에 반해, 제2 수지부(70)와 접촉하는 부분의 면 거칠기(Ra)는 0.001㎛~1.0㎛로 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면 거칠기(Ra)는 JIS법(JIS B0601(2013년 3월 21일 개정))에 정의되는 "산술평균 거칠기(Ra)"를 말한다.
도 4로 되돌아가, 복수개의 제1 세선(611a)은 제1 전극부(61)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이하, "제1 방향"이라고도 칭함.)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 제1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하, "제2 방향"이라고도 칭함.)으로 피치(P)로 늘어놓여져 있다. 복수개의 제1 세선(611b)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피치(P)와 동일한 피치로 제1 방향으로 늘어놓여져 있다. 이 복수개의 제1 세선(611a, 611b)이 서로 직교함으로써, 복수개의 제1 세선(611a, 611b)에 의해 형성된 마름모 형상의 제1 격자(612)가 제1 전극부(61)의 전체에 반복 배열되어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세선의 피치란, 서로 이웃하는 세선끼리의 중심간 거리를 말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1 전극부(61)에서는 제1 격자(612) 내에 돌출된 제1 세선(611)은 존재하고 있지 않다. 또한, 제1 전극부(61)의 윤곽으로부터 돌출된 제1 세선(611)도 존재하고 있지 않다. 이 경우, 모든 제1 세선(611)의 단부(端部)는 다른 제1 세선(611)의 단부와 접함으로써 닫혀 있고, 모든 제1 세선(611)은 제1 격자(612)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제1 전극부(61)에서, 제1 세선(611)의 폭 및 피치는 똑같이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검지부(613) 및 제1 접속부(614) 사이에서, 이들을 구성하는 제1 세선(611)의 폭 및 피치는 변함없다.
제2 전극부(81)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직선 형상의 제2 세선(811a, 811b)을 가지고 있다. 이 제2 세선(811a, 811b)은 제1 세선(611)과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복수개의 제2 세선(811a)은, 제1 세선(611a)과 동일한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피치(P)와 동일한 피치로 제2 방향으로 늘어놓여져 있다. 복수개의 제2 세선(811b)은, 제1 세선(611b)과 동일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피치(P)와 동일한 피치로 제1 방향으로 늘어놓여져 있다. 이 복수개의 제2 세선(811a, 811b)이 서로 직교함으로써, 복수개의 제2 세선(811a, 811b)에 의해 형성된 마름모 형상의 제2 격자(812)가 제2 전극부(81)의 전체에 반복 배열되어 있다. 이 제2 격자(812)는 제1 격자(612)와 실질적으로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제2 세선(811a, 811b)을 제2 세선(811)이라고 총칭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2 전극부(81)에서는 제2 격자(812) 내에 돌출된 제2 세선(811)은 존재하고 있지 않다. 또한, 제2 전극부(81)의 윤곽으로부터 돌출된 제2 세선(811)도 존재하고 있지 않다. 이 경우, 모든 제2 세선(811)의 단부는 다른 제2 세선(811)의 단부와 접함으로써 닫혀 있고, 모든 제2 세선(811)은 제2 격자(812)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제2 전극부(81)에서, 제2 세선(811)의 폭 및 피치는 똑같이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검지부(813) 및 제2 접속부(814) 사이에서, 이들을 구성하는 제2 세선(811)의 폭 및 피치는 변함없다.
각각의 제2 세선(811a)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인접하는 제1 세선(611a)에 대하여 제2 방향으로 피치(P)의 반만큼 벗어나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제2 세선(811b)은, 투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인접하는 제1 세선(611b)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 피치(P)의 반만큼 벗어나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투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중복 영역(41) 내에서 제1 세선(611)과 제2 세선(811)이 교차하도록 겹침으로써, 제1 격자(612) 및 제2 격자(812)와 상사(相似) 형상으로 된 복수개의 마름모 형상의 제3 격자(4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 전극부(61)에서의 중복 영역(41)에서의 단위면적당 제1 세선(611) 및 제2 세선(811)의 점유 면적이, 비중복 영역(42)에서의 제1 세선(611)의 점유 면적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투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2 전극부(81)에서의 중복 영역(41)에서의 단위면적당 제1 세선(611) 및 제2 세선(811)의 점유 면적이, 비중복 영역(42)에서의 제2 세선(811)의 점유 면적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제1 도체부(60)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더미 전극부(63)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더미 전극부(63)는 제1 전극부(61)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 제1 더미 전극부(63)는 복수개의 직선 형상의 제3 세선(631a, 631b)을 가지고 있다. 이 제3 세선(631a, 631b)은 제1 세선(611)과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3 세선(631a)은, 제1 세선(611a)과 동일한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피치(P)와 동일한 피치로 제2 방향으로 늘어놓여져 있다. 제3 세선(631b)은, 제1 세선(611b)과 동일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피치(P)와 동일한 피치로 제1 방향으로 늘어놓여져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제3 세선(631a, 631b)을 제3 세선(631)이라고 총칭한다.
제1 더미 전극부(63)는, 제1 세선(611)과 제3 세선(631)의 모든 교점(601)(엄밀하게는, 제1 세선(611)과 제3 세선(631)의 연장선의 교점(601))에, 상기 제3 세선(631)이 미형성으로 된 제2 단선부(634)를 포함하고 있다. 이 제2 단선부(634)에 의해, 제1 전극부(61)와 제1 더미 전극부(63)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세선(631)의 단면(6311)은 제2 단선부(634)를 사이에 두고 제1 세선(611)에 면하고 있다. 이 단면(6311)은 제1 수지부(50)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제1 세선(611)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이 경우, 제2 단선부(634)에서, 제1 세선(611)과 제3 세선(631)의 간격은, 이들 제1 세선(611) 및 제3 세선(631)의 하단(제1 수지부(50)에 가장 가까운 측)에서 가장 작아지고, 제1 세선(611) 및 제3 세선(631)의 상단(제1 수지부(50)로부터 가장 먼 측)에서 가장 커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제2 단선부(634)에서, 제1 세선(611)과 제3 세선(631)의 최대간격(S2)과, 제1 세선(611)과 제3 세선(631)의 최소간격(S3)과, 제3 세선(631)의 높이(H)의 관계가 하기 (4)식 및 (5)식을 충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S2-S3)×0.5/H≤1 …(4)
S3<50㎛ …(5)
제1 더미 전극부(63)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중복 영역(42)에서, 제1 전극부(61)의 제1 격자(612) 내에 존재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단선부(634)에 의해 분단된 각각의 제3 세선(631a, 631b)에 의해 형성된 십자 형상 패턴이, 제1 더미 전극부(63)로서, 제1 검지부(613)를 구성하는 모든 제1 격자(612) 내에 존재하고 있다. 또한, 제1 검지부(613)와 제1 접속부(614)의 경계에 위치하는 제1 격자(612) 내에는, 제1 더미 전극부(63)로서, 제2 단선부(634)에 의해 분단된 각각의 제3 세선(631a, 631b)에 의해 형성된 L자 형상 패턴이 존재하고 있다.
각각의 제3 세선(631a)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인접하는 제1 세선(611a)에 대하여 제2 방향으로 피치(P)의 반만큼 벗어나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제3 세선(631b)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인접하는 제1 세선(611b)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 피치(P)의 반만큼 벗어나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평면에서 보았을 때, 비중복 영역(42) 내에서 제1 세선(611)과 제3 세선(631)(엄밀하게는, 제3 세선(631)의 연장선)이 조합됨으로써, 제1 격자(612)와 상사 형상으로 된 복수개의 마름모 형상의 제4 격자(60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4 격자(602)는 제3 격자(44)(도 7 참조)와 실질적으로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단선부(634)에서의 제1 세선(611)과 제3 세선(631)의 간격(S1)과, 제4 격자(602)의 한 변의 길이(L)의 관계가 하기 (6)식을 충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간격(S1)은 하나의 제2 단선부(634)에서의 제1 세선(611)과 제3 세선(631)의 간격의 평균값을 말한다. 또한, 길이(L)는 제1 세선과 상기 제1 세선과 서로 이웃하는 제3 세선의 중심간 거리를 말한다.
S1≤L/10 …(6)
제2 도체부(80)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더미 전극부(83)를 포함하고 있다. 제2 더미 전극부(83)는 제2 전극부(81)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 제2 더미 전극부(83)는 복수개의 직선 형상의 제4 세선(831a, 831b)을 가지고 있다. 이 제4 세선(831a, 831b)은 제2 세선(811)과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4 세선(831a)은, 제1 세선(611a)과 동일한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피치(P)와 동일한 피치로 제2 방향으로 늘어놓여져 있다. 제4 세선(831b)은, 제1 세선(611b)과 동일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피치(P)와 동일한 피치로 제1 방향으로 늘어놓여져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제4 세선(831a, 831b)을 제4 세선(831)이라고 총칭한다.
제2 더미 전극부(83)는, 제2 세선(811)과 제4 세선(831)의 모든 교점(801)(엄밀하게는, 제2 세선(811)과 제4 세선(831)의 연장선의 교점(801))에, 상기 제4 세선(831)이 미형성으로 된 제4 단선부(834)를 포함하고 있다. 이 제4 단선부(834)에 의해, 제2 전극부(81)와 제2 더미 전극부(83)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제2 더미 전극부(83)는, 비중복 영역(42)에서, 제2 전극부(81)의 제2 격자(812) 내에 존재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4 단선부(834)에 의해 분단된 각각의 제4 세선(831a, 831b)에 의해 형성된 십자 형상 패턴이, 제2 더미 전극부(83)로서, 제2 검지부(813)를 구성하는 모든 제2 격자(812) 내에 존재하고 있다. 또한, 제2 검지부(813)와 제2 접속부(814)의 경계에 위치하는 제2 격자(812) 내에는, 제2 더미 전극부(83)로서, 제4 단선부(834)에 의해 분단된 각각의 제4 세선(831a, 831b)에 의해 형성된 L자 형상 패턴이 존재하고 있다.
각각의 제4 세선(831a)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인접하는 제2 세선(811a)에 대하여 제2 방향으로 피치(P)의 반만큼 벗어나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제4 세선(831b)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인접하는 제2 세선(811b)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 피치(P)의 반만큼 벗어나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평면에서 보았을 때, 비중복 영역(42) 내에서 제2 세선(811)과 제4 세선(831)(엄밀하게는, 제4 세선(831)의 연장선)이 조합됨으로써, 제2 격자(812)와 상사 형상으로 된 복수개의 마름모 형상의 제6 격자(80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6 격자(802)는 제3 격자(44)(도 7 참조)와 실질적으로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비중복 영역(42)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 전극부(61)와 제2 전극부(81) 사이에, 이들 제1 전극부(61) 및 제2 전극부(81)의 양쪽과 겹치지 않는 영역(이하, 극간 영역(43)이라고도 칭함.)을 포함하고 있다. 이 극간 영역(43) 내에는 제3 더미 전극부(64)가 존재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3 더미 전극부(64)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도체부(60)에 포함되어 있다. 이 경우, 제3 더미 전극부(64)는 제1 전극부(61)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전극부(61)와 제3 더미 전극부(64)는 서로 이간되어 있고, 이로써, 제1 전극부(61)와 제3 더미 전극부(64)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이 제3 더미 전극부(64)는 복수개의 직선 형상의 제5 세선(641a, 641b)을 가지고 있다. 이 제5 세선(641a, 641b)은 제1 세선(611)과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5 세선(641a)은 제1 세선(611)과 동일한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피치(P)의 반의 피치로 제2 방향으로 늘어놓여져 있다. 제5 세선(641b)은, 제1 세선(611b)과 동일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피치(P)의 반의 피치로 제1 방향으로 늘어놓여져 있다. 이 복수개의 제5 세선(641a, 641b)이 서로 직교함으로써, 복수개의 제5 세선(641a, 641b)에 의해 형성된 마름모 형상의 제5 격자(642)가 제3 더미 전극부(64)의 전체에 반복 배열되어 있다. 이 제5 격자(642)는 제3 격자(44)(도 7 참조)와 실질적으로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제5 세선(641a, 641b)을 제5 세선(641)이라고 총칭한다.
본 실시형태의 배선체(40)는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도 14는 비교예에 따른 제1 도체부와 제2 도체부를 나타내는 투과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1 도체부와 제2 도체부를 나타내는 투과 평면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비교예에 따른 배선체(400)에서는, 제1 전극부(610)에서, 제1 검지부(6130) 및 제1 접속부(6140) 사이에서, 이들을 구성하는 제1 세선(6110)의 폭 및 피치가 변함없다. 또한, 제2 전극부(810)에서는, 제2 검지부(8130) 및 제2 접속부(8140) 사이에서, 이들을 구성하는 제2 세선(8110)의 폭 및 피치가 변함없다. 이 때문에 투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 전극부(610)에서의 중복 영역(410)에서의 단위면적당 제1 세선(6110) 및 제2 세선(8110)의 점유 면적이, 비중복 영역(420)에서의 제1 세선(6110)의 점유 면적보다도 커진다. 이 경우, 중복 영역(410) 및 비중복 영역(420) 사이에서 차광률에 차가 생기기 때문에 배선체(400)의 시인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더미 전극부(63)를 제1 전극부(61)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시켜, 이 제1 더미 전극부(63)를 비중복 영역(42)에서 제1 격자(612) 내에 존재시키고 있다. 이로써, 중복 영역(41) 및 비중복 영역(42) 사이에서의 차광률 차가 작아지므로 배선체(40)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검지부(613) 및 제1 접속부(614) 사이에서, 제1 세선(611)의 폭 및 피치가 변함없으므로 제1 접속부(614)에서의 도통 경로의 감소가 생기기 어렵다. 또한, 제1 더미 전극부(63)가 제1 전극부(61)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이들 제1 전극부(61)와 제1 더미 전극부(63) 사이에서 기생 용량이 발생되기 어렵다. 이로써, 배선체(40)의 센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도체부(80)도 제2 전극부(81)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비중복 영역(42)에서 제2 격자(812) 내에 존재하는 제2 더미 전극부(83)를 포함하고 있다. 이로써, 제2 도체부(80)에서도 상술의 제1 도체부(60)에서 얻어지는 작용·효과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복 영역(41) 내에서 제1 세선(611)과 제2 세선(811)이 겹침으로써 복수개의 제3 격자(44)가 형성되고, 비중복 영역(42) 내에서 제1 세선(611)과 제3 세선(631)이 조합됨으로써 복수개의 제4 격자(60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4 격자(602)가 제3 격자(44)와 실질적으로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제1 전극부(61)에서, 중복 영역(41)으로부터 비중복 영역(42)에 걸쳐, 외관상 동일 형상으로 된 제3 격자(44) 및 제4 격자(602)가 반복 배열되는 균일한 도체 패턴이 형성된다. 이 결과, 배선체(40)의 시인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중복 영역(42) 내에서 제2 세선(811)과 제4 세선(831)이 조합됨으로써 복수개의 제6 격자(80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6 격자(802)가 제3 격자(44)와 실질적으로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제2 전극부(81)에서, 중복 영역(41)으로부터 비중복 영역(42)에 걸쳐, 외관상 동일 형상으로 된 제3 격자(44) 및 제6 격자(802)가 반복 배열되는 균일한 도체 패턴이 형성된다. 이 결과, 배선체(40)의 시인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든 제1 세선(611)이 제1 격자(612)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있고, 제1 더미 전극부(63)가 제1 세선(611)과 제3 세선(631)의 모든 교점(601)에 형성된 제2 단선부(634)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6)식이 성립하고 있다. 이로써, 제1 전극부(61)와 제1 더미 전극부(63)를 보다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절연할 수 있음과 함께, 제2 단선부(634)를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배선체(40)의 시인성을 더 향상시킴과 함께, 배선체(40)의 센서 감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더욱이 상기 (4)식 및 (5)식이 성립하고 있음으로써 단면(6311)이 우뚝 솟은 형상이 되므로, 제3 세선(631)의 단면(6311)에 전하가 유기되기 어려워진다. 이로써, 제1 전극부(61)와 제1 더미 전극부(63)가 단락(短絡)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선부(634)를 더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배선체(40)의 시인성을 더 향상시킴과 함께, 배선체(40)의 센서 감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전극부(61)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제1 전극부(61)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3 더미 전극부(64)를 극간 영역(43)에 존재시키고 있음으로써, 제1 전극부(61) 및 제2 전극부(81) 중 적어도 한쪽이 존재하는 영역과, 제1 전극부(61) 및 제2 전극부(81) 모두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즉, 극간 영역(43)) 사이에서의 차광률 차가 작아지므로, 배선체(40)의 시인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 더미 전극부(64)에 포함되는 제5 격자(642)가 제3 격자(44)와 실질적으로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체(40)의 표시 영역의 전체에 걸쳐, 외관상 동일 형상으로 된 제3 격자(44), 제4 격자(602), 제5 격자(642), 및 제6 격자(802)가 반복 배열되는 균일한 도체 패턴이 형성된다. 이로써, 배선체(40)의 시인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도체부(60) 및 제2 도체부(80)에 포함되는 제1 세선(611), 제2 세선(811), 제3 세선(631), 제4 세선(831), 및 제5 세선(641)이 동일 형상으로 되고, 이들 세선의 비교적 거친 부분이 배선체(40)의 동일한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터치 센서(10)의 표시 영역에서, 도체 패턴의 색감이 가지런해지므로 터치 센서(10)의 시인성이 더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전극부(61)의 윤곽으로부터 돌출된 제1 세선(611)이 존재하고 있지 않다. 이 경우, 모든 제1 세선(611)의 단부는 다른 제1 세선(611)의 단부와 접함으로써 닫혀 있다. 이 때문에 제1 전극부(61)의 윤곽이 명확해지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2 전극부(81)와의 사이에 명확히 스페이스가 형성되므로 배선체(40)의 센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전극부(81)의 윤곽으로부터 돌출된 제2 세선(811)도 존재하고 있지 않다. 이 경우, 모든 제2 세선(811)의 단부는 다른 제2 세선(811)의 단부와 접함으로써 닫혀 있다. 이 때문에 제2 전극부(81)의 윤곽이 명확해지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 전극부(61)와의 사이에 명확히 스페이스가 형성되므로 배선체(40)의 센서 감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터치 센서(10)"가 본 발명에서의 "터치 센서"의 일례에 상당하고, 본 실시형태에서의 "배선 기판(20)"이 본 발명에서의 "배선 기판"의 일례에 상당하며, 본 실시형태에서의 "지지체(30)"가 본 발명에서의 "지지체"의 일례에 상당하고, 본 실시형태에서의 "배선체(40)"가 본 발명에서의 "배선체"의 일례에 상당하며,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2 수지부(70)"가 본 발명에서의 "절연부"의 일례에 상당하고,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1 도체부(60)"가 본 발명에서의 "제1 도체부"의 일례에 상당하며,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2 도체부(80)"가 본 발명에서의 "제2 도체부"의 일례에 상당하고,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1 전극부(61)"가 본 발명에서의 "제1 전극부"의 일례에 상당하며,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1 검지부(613)"가 본 발명에서의 "제1 검지부"의 일례에 상당하고,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1 접속부(614)"가 본 발명에서의 "제1 접속부"의 일례에 상당하며,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1 세선(611)"이 본 발명에서의 "제1 세선"의 일례에 상당하고,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1 격자(612)"가 본 발명에서의 "제1 격자"의 일례에 상당하며,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2 전극부(81)"가 본 발명에서의 "제2 전극부"의 일례에 상당하고,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2 검지부(813)"가 본 발명에서의 "제2 검지부"의 일례에 상당하며,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2 접속부(814)"가 본 발명에서의 "제2 접속부"의 일례에 상당하고,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2 세선(811)"이 본 발명에서의 "제2 세선"의 일례에 상당하며,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2 격자(812)"가 본 발명에서의 "제2 격자"의 일례에 상당하고,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3 격자(44)"가 본 발명에서의 "제3 격자"의 일례에 상당하며, 본 실시형태에서의 "중복 영역(41)"이 본 발명에서의 "중복 영역"의 일례에 상당하고, 본 실시형태에서의 "비중복 영역(42)"이 본 발명에서의 "비중복 영역"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1 더미 전극부(63)"가 본 발명에서의 "제1 더미 전극부"의 일례에 상당하고,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3 세선(631)"이 본 발명에서의 "제3 세선"의 일례에 상당하며,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2 단선부(634)"가 본 발명에서의 "제2 단선부"의 일례에 상당하고,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4 격자(602)"가 본 발명에서의 "제4 격자"의 일례에 상당하며,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2 더미 전극부(83)"가 본 발명에서의 "제2 더미 전극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극간 영역(43)"이 본 발명에서의 "극간 영역"의 일례에 상당하고,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3 더미 전극부(64)"가 본 발명에서의 "제3 더미 전극부"의 일례에 상당하며,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5 세선(641)"이 본 발명에서의 "제5 격자(642)"가 본 발명에서의 "제5 격자"의 일례에 상당한다.
<<제2 실시형태>>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1 도체부와 제1 더미 전극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한편, 상술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반복 설명은 생략하여, 상술의 실시형태에서 한 설명을 원용한다. 또한, 도 16에서 일점쇄선의 마름모형 테두리로 둘러싸인 부분이 제1 단선부(633)(후술)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에 따른 제1 도체부(60B)에서는, 제1 더미 전극부(63B)는 제3 세선(631)끼리의 교점(632)(엄밀하게는, 제3 세선(631a)의 연장선과 제3 세선(631b)의 연장선의 교점(632))에 형성된 제1 단선부(633)를 포함하고 있다. 이 제1 단선부(633)에 의해, 제3 세선(631)이 각각 분할되어 작아지기 때문에, 제3 세선(631)에 전하가 유기되기 어려워진다. 이로써, 배선체(40B)의 센서 감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3 세선(631)에 전하가 유기되기 어려워짐으로써 제1 세선(611)과 제3 세선(631)이 단락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배선체(40B)의 센서 감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더미 전극부(83B)에서도, 제1 더미 전극부(63B)와 마찬가지로 제4 세선(831)끼리의 교점(832)에 형성된 제3 단선부(833)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로써, 배선체(40B)의 센서 감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도체부(60B)와 제2 도체부(80B)는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인 구성은 같기 때문에, 도 16에서는 제1 도체부(60B)를 도시하고, 제2 도체부(80B)에 대해서는 괄호 안에 대응하는 부호를 붙이고 도시를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1 단선부(633)"가 본 발명에서의 "제1 단선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1 도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2 도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1 도체부와 제2 도체부를 나타내는 투과 평면도이다. 한편, 상술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반복 설명은 생략하여, 상술의 실시형태에서 한 설명을 원용한다. 또한, 도 17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제3 더미 전극부(64C)를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제1 전극부(61)의 윤곽만을 도시하고, 제1 전극부(61) 및 제1 더미 전극부(63)의 상세한 도시를 생략한다. 마찬가지로, 도 18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제4 더미 전극부(84)를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제2 전극부(81)의 윤곽만을 도시하고, 제2 전극부(81) 및 제2 더미 전극부(83)의 상세한 도시를 생략한다.
도 17에 따른 제1 도체부(60C)는 제3 더미 전극부(64C)를 포함하고 있다. 이 제3 더미 전극부(64C)는 복수개의 직선 형상의 제5 세선(641)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18에 따른 제2 도체부(80C)는, 제2 전극부(81)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4 더미 전극부(84)를 포함하고 있다. 제4 더미 전극부(84)는 제2 전극부(81)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고, 극간 영역(43) 내에 존재하고 있다. 이 제4 더미 전극부(84)는 복수개의 직선 형상의 제6 세선(841)을 가지고 있다.
복수개의 제5 세선(641)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피치(P)와 동일한 피치로 늘어놓여져 있다. 복수개의 제6 세선(841)도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피치(P)와 동일한 피치로 늘어놓여져 있다. 제5 세선(641) 및 제6 세선(841)은 투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 극간 영역(43) 내에서 제5 세선(641)(엄밀하게는, 제5 세선(641)의 연장선)과 제6 세선(841)(엄밀하게는, 제6 세선(841)의 연장선)이 조합됨으로써, 제3 격자(44)와 실질적으로 동일 형상으로 된 복수개의 마름모 형상의 제7 격자(45)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술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전극부(61) 및 제2 전극부(81) 중 적어도 한쪽이 존재하는 영역과, 제1 전극부(61) 및 제2 전극부(81) 모두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즉, 극간 영역(43)) 사이에서의 차광률 차가 작아지므로, 배선체(40C)의 시인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써, 배선체(40C)의 표시 영역의 전체에 걸쳐, 외관상 동일 형상으로 된 제3 격자(44), 제4 격자(602), 제6 격자(802), 및 제7 격자(45)가 반복 배열되는 균일한 도체 패턴이 형성되므로, 배선체(40C)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3 더미 전극부(64)" 및 "제4 더미 전극부(84)"가 본 발명에서의 "제3 더미 전극부"의 일례에 상당하고,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5 세선(641)" 및 "제6 세선(841)"이 본 발명에서의 "제5 세선"의 일례에 상당하며,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7 격자(45)"가 본 발명에서의 "제5 격자"의 일례에 상당한다.
<<제3 실시형태>>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제1 도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제2 도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도체부(60D) 및 제2 도체부(80D)의 구성이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지만, 그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하에, 제3 실시형태에서의 제1 도체부(60D)에 대해 제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인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도체부(60D)는 제1 전극부(61), 제1 더미 전극부(63), 제3 더미 전극부(64)에 더하여, 제2 더미 전극부(83D)를 더 구비하고 있다. 즉,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제1 도체부(60D)가 모든 더미 전극부(제1~제3 더미 전극부(63, 83D, 64))를 구비하고 있고, 환언하면, 모든 더미 전극부가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제3 더미 전극부(63, 83D, 64)가, 제2 도체부(80D)보다도 표시장치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는 제1 도체부(60D)에 포함되어 있음으로써, 표시장치로부터의 노이즈를 제1~제3 더미 전극부(63, 83D, 64)에서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센서 감도가 보다 향상된다.
또한, 제2 더미 전극(83D)의 형상은 도 13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에서의 더미 전극(83)과 마찬가지로, 십자 형상 또는 L자 형상이며, 접속부(614)에 인접하는 부분은 L자 형상, 그 이외는 십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제2 도체부(81D)는 다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2 검지부(813)와 제2 검지부(814)를 구비하는데, 다른 실시형태와는 달리,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세선(811a, 811b)에 의해 형성되는 제2 격자(812)의 내측에 더미 전극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결과적으로, 상기의 제1 도체부(60D)에 구비된 제2 더미 전극(83D)이 투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2 격자(812)의 내측에 존재하는 것이 된다.
이 제3 실시형태에서도 상술의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배선체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서도 상술의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손가락 등의 외부도체(F)와 제1, 제2 전극부(61, 81) 사이에, 제1~제3 더미 전극부(63, 83D, 64)가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센서 감도가 향상된다.
한편,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재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기의 실시형태에 개시된 각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모든 설계변경이나 균등물도 포함하는 취지이다.
예를 들면,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도체부(60) 및 제2 도체부(80)에 포함되는 각각의 세선은 직선 형상으로 되어 있는데,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곡선, 파선, 지그재그선 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더미 전극부(63)는 제1 검지부(613)를 구성하는 모든 제1 격자(612) 내에 존재하고 있었지만, 비중복 영역(42)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격자(612) 내에 존재하고 있으면, 특별히 상술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제2 더미 전극부(83)는 제2 검지부(813)를 구성하는 모든 제2 격자(812) 내에 존재하고 있었지만, 비중복 영역(42)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격자(812) 내에 존재하고 있으면, 특별히 상술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세선(611)의 피치와 제3 세선(631)의 피치가 동일했지만, 제1 세선(611)과 제3 세선(631)이 접촉하지 않으면, 이들을 다르게 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2 세선(811)의 피치와 제4 세선(831)의 피치를 다르게 해도 된다.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전극부(61)는 전극 패턴으로서, 제1 검지부(613)와 제1 접속부(614)를 포함하는 패턴(이른바, 다이아몬드 패턴)을 채용했지만,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전극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대략 균일한 폭을 가지는 띠 형상의 전극 패턴이어도 된다. 한편, 제2 전극부(81)에 대해서는 제1 전극부(61)에서 채용한 전극 패턴에 대응하는 전극 패턴을 이용한다.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의 제1 전극부(61)에서는 제1 격자(612) 내에 돌출된 제1 세선(611)이 존재하고 있지 않았지만,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격자(612) 내에 돌출된 제1 세선(611)이 존재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격자(612) 내에 돌출된 제1 세선(611)과 제1 더미 전극부(63)의 제3 세선(631)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동일한 가상 직선 형상으로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제1 격자(612)를 형성하는 제1 세선(611), 제1 격자(612) 내에 돌출된 제1 세선(611), 및 제3 세선(631)이 조합되어, 제4 격자(602)가 형성된다.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의 제1 전극부(61)에서는 제1 전극부(61)의 윤곽으로부터 돌출된 제1 세선(611)이 존재하고 있지 않았지만,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전극부(61)의 윤곽으로부터 돌출된 제1 세선(611)이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도체부(60, 80)를 구성하는 도전성 재료(도전성 입자)로서, 금속재료 또는 카본계 재료를 이용하고 있는데,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금속재료 및 카본계 재료를 혼합한 것을 이용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제1 세선(611)을 예로 설명하면, 상기 제1 세선(611)의 비교적 거친 측에 카본계 재료를 배치하고, 비교적으로 평탄한 측에 금속재료를 배치해도 된다. 또한, 그 반대로, 제1 세선(611)의 비교적 거친 측에 금속재료를 배치하고, 비교적으로 평탄한 측에 카본계 재료를 배치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제1 수지부(50)의 아랫면을 실장 대상(필름, 표면 유리, 편광판, 디스플레이 유리 등)에 접착하여, 배선체(40)를 실장 대상에 의해 지지시키는 형태로서 배선체를 구성하는 경우, 제1 수지부(50)의 아랫면에 박리 시트를 마련하고, 실장 시에 상기 박리 시트를 벗겨 실장 대상에 접착하여 실장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 또한, 제1 수지부(50) 측으로부터 배선체(40)를 덮는 수지부를 더 마련하고, 상기 수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술의 실장 대상에 접착하여 실장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 또한, 제3 수지부(90) 측을 상술의 실장 대상에 접착하여 실장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 이들의 경우, 배선체를 실장하는 실장 대상이 본 발명의 "지지체"의 일례에 상당한다.
더욱이,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배선체 또는 배선 기판은 터치 센서에 이용되는 것으로 설명했는데,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배선체에 통전하여 저항 가열 등으로 발열시킴으로써 상기 배선체를 히터로 이용해도 된다. 이 경우, 도전성 입자로는 비교적 전기저항값이 높은 카본계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선체의 도체부의 일부를 접지함으로써 상기 배선체를 전자(電磁) 차폐 쉴드로 이용해도 된다. 또한, 배선체를 안테나로 이용해도 된다. 이 경우, 배선체를 실장하는 실장 대상이 본 발명의 "지지체"의 일례에 상당한다.
10: 터치 센서 20: 배선 기판
30: 지지체 40: 배선체
41: 중복 영역 42: 비중복 영역
43: 극간 영역 44: 제3 격자
45: 제7 격자 50: 제1 수지부
60: 제1 도체부 601: 교점
602: 제4 격자 61: 제1 전극부
611: 제1 세선 612: 제1 격자
613: 제1 검지부 614: 제1 접속부
62: 제1 인출배선 63: 제1 더미 전극부
631: 제3 세선 6311: 단면
632: 교점 633: 제1 단선부
634: 제2 단선부 64: 제3 더미 전극부
641: 제5 세선 642: 제5 격자
70: 제2 수지부 71: 개구부
80: 제2 도체부 801: 교점
802: 제6 격자 81: 제2 전극부
811: 제2 세선 812: 제2 격자
813: 제2 검지부 814: 제2 접속부
82: 제2 인출배선 83: 제2 더미 전극부
831: 제4 세선 832: 교점
833: 제3 단선부 834: 제4 단선부
84: 제4 더미 전극부 841: 제6 세선
90: 제3 수지부 91: 개구부
F: 외부도체
30: 지지체 40: 배선체
41: 중복 영역 42: 비중복 영역
43: 극간 영역 44: 제3 격자
45: 제7 격자 50: 제1 수지부
60: 제1 도체부 601: 교점
602: 제4 격자 61: 제1 전극부
611: 제1 세선 612: 제1 격자
613: 제1 검지부 614: 제1 접속부
62: 제1 인출배선 63: 제1 더미 전극부
631: 제3 세선 6311: 단면
632: 교점 633: 제1 단선부
634: 제2 단선부 64: 제3 더미 전극부
641: 제5 세선 642: 제5 격자
70: 제2 수지부 71: 개구부
80: 제2 도체부 801: 교점
802: 제6 격자 81: 제2 전극부
811: 제2 세선 812: 제2 격자
813: 제2 검지부 814: 제2 접속부
82: 제2 인출배선 83: 제2 더미 전극부
831: 제4 세선 832: 교점
833: 제3 단선부 834: 제4 단선부
84: 제4 더미 전극부 841: 제6 세선
90: 제3 수지부 91: 개구부
F: 외부도체
Claims (12)
- 절연부와,
상기 절연부의 한쪽 측에 마련되고 제1 전극부를 포함하는 제1 도체부와,
상기 절연부의 다른 쪽 측에 마련되고 제2 전극부를 포함하는 제2 도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전극부는 서로 교차하는 복수개의 제1 세선(細線)을 가지며, 상기 제1 세선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격자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2 전극부는 서로 교차하는 복수개의 제2 세선을 가지며, 상기 제2 세선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격자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1 전극부와 상기 제2 전극부를 대향하여 배치함으로써, 투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전극부와 상기 제2 전극부가 부분적으로 겹치는 중복 영역과 상기 중복 영역 이외의 비(非)중복 영역이 존재하고 있으며,
투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전극부 또는 상기 제2 전극부에서의 상기 중복 영역에서의 단위면적당 상기 제1 세선 및 상기 제2 세선의 점유 면적이 상기 비중복 영역에서의 단위면적당 상기 제1 세선 또는 상기 제2 세선의 점유 면적보다도 큰 배선체로서,
상기 제1 도체부는 상기 제1 전극부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1 더미 전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더미 전극부는 상기 비중복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격자 내에 존재하고 있는 배선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체부 또는 상기 제2 도체부는 상기 제1 전극부 또는 상기 제2 전극부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전극부 또는 상기 제2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2 더미 전극부를 포함하며,
투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더미 전극부는 상기 비중복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격자 내에 존재하고 있는 배선체.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더미 전극부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3 세선을 가지며,
상기 중복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세선과 상기 제2 세선이 겹침으로써 복수개의 제3 격자가 형성되고,
상기 비중복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세선과 상기 제3 세선이 조합됨으로써 복수개의 제4 격자가 형성되며,
상기 제4 격자는 상기 제3 격자와 실질적으로 동일 형상인 배선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더미 전극부는 상기 제3 세선끼리의 교점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선(斷線)부를 포함하는 배선체.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부에서 상기 제1 격자 내에 돌출된 상기 제1 세선은 존재하고 있지 않고,
상기 제1 더미 전극부는 상기 제1 세선과 상기 제3 세선의 모든 교점에 형성된 제2 단선부를 포함하는 배선체. - 제5항에 있어서,
하기 (1)식을 충족하는 배선체.
S1≤L/10 …(1)
단, 상기 (1)식에서, S1은 상기 제2 단선부에서의 상기 제1 세선과 상기 제3 세선의 간격이며, L은 상기 제4 격자의 한 변의 길이임. - 제6항에 있어서,
하기 (2)식 및 (3)식을 충족하는 배선체.
(S2-S3)×0.5/H≤1 …(2)
S3<50㎛ …(3)
단, 상기 (2)식 및 (3)식에서, S2는 상기 제2 단선부에서의 상기 제1 세선과 상기 제3 세선의 최대간격이고, S3은 상기 제2 단선부에서의 상기 제1 세선과 상기 제3 세선의 최소간격이며, H는 상기 제3 세선의 높이임.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복 영역은, 투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전극부와 상기 제2 전극부 양쪽과 겹치지 않는 극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체부 및 상기 제2 도체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제1 전극부 또는 상기 제2 전극부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전극부 또는 상기 제2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3 더미 전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더미 전극부는 상기 극간 영역 내에 존재하고 있는 배선체.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더미 전극부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5 세선을 가지며, 상기 제5 세선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5 격자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5 격자는 상기 제3 격자와 실질적으로 동일 형상인 배선체.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부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마름모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전극부의 연장 방향으로 병렬된 복수개의 제1 검지부와,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 검지부끼리를 접속하는 제1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부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마름모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전극부의 연장 방향으로 병렬된 복수개의 제2 검지부와,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2 검지부끼리를 접속하는 제2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중복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검지부 및 상기 제2 검지부는 상기 비중복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배선체.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배선체와,
상기 배선체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구비하는 배선 기판. - 외부도체의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센서로서,
제11항에 기재된 배선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도체부는 상기 외부도체와 상기 제1 도체부 사이에 개재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터치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6256468 | 2016-12-28 | ||
JPJP-P-2016-256468 | 2016-12-28 | ||
PCT/JP2017/046438 WO2018123974A1 (ja) | 2016-12-28 | 2017-12-25 | 配線体、配線基板、及びタッチセンサ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7298A true KR20190037298A (ko) | 2019-04-05 |
Family
ID=62710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06455A KR20190037298A (ko) | 2016-12-28 | 2017-12-25 | 배선체, 배선 기판, 및 터치 센서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200192506A1 (ko) |
EP (1) | EP3564800A1 (ko) |
JP (1) | JPWO2018123974A1 (ko) |
KR (1) | KR20190037298A (ko) |
CN (1) | CN109844699A (ko) |
TW (1) | TWI657365B (ko) |
WO (1) | WO201812397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5068345U (zh) * | 2015-10-29 | 2016-03-02 |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 一种触控结构、触控屏及显示装置 |
CN110764636B (zh) * | 2018-07-25 | 2021-09-21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触控模组、触控显示基板和触控显示装置 |
CN112889018A (zh) * | 2018-11-12 | 2021-06-01 |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 触控面板、触控显示屏与终端 |
CN109656407B (zh) * | 2018-11-28 | 2020-08-11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金属网格触控电极组件 |
JP7425584B2 (ja) * | 2019-11-20 | 2024-01-31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タッチパネル |
CN114237412B (zh) * | 2020-09-09 | 2023-11-03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触控结构、显示面板及电子装置 |
CN117501216A (zh) * | 2022-05-27 | 2024-02-02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显示面板及显示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4820451B1 (ko) | 1970-07-10 | 1973-06-21 | ||
JPS5615856A (en) | 1979-07-05 | 1981-02-16 | Nordson Corp | Electrostatic paint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WO2008029813A1 (ja) * | 2006-09-04 | 2010-01-21 | 日本電気株式会社 | 配線基板複合体、半導体装置、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
JP5275001B2 (ja) * | 2008-12-10 | 2013-08-28 | 日本メクトロン株式会社 | 多層フレキシブル配線板の製造方法 |
JP4934166B2 (ja) * | 2009-05-25 | 2012-05-16 |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 電極の接着剤接続構造、電子機器およびその組立方法 |
WO2012111819A1 (ja) * | 2011-02-18 | 2012-08-23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導電シート及びタッチパネル |
JP5777094B2 (ja) * | 2011-07-14 | 2015-09-09 | 株式会社ワコム | 位置検出センサおよび位置検出装置 |
JP2013149232A (ja) * | 2011-12-22 | 2013-08-01 | Fujifilm Corp | 導電シート及びタッチパネル |
KR102033614B1 (ko) * | 2012-12-13 | 2019-10-1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
CN104885139B (zh) * | 2012-12-18 | 2017-05-24 | 富士胶片株式会社 | 导电膜、具备该导电膜的显示装置以及导电膜的图案的决定方法 |
US9798430B2 (en) * | 2013-01-29 | 2017-10-24 | Sharp Kabushiki Kaisha | Input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information equipment |
US20140333555A1 (en) * | 2013-05-10 | 2014-11-13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Touch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JP6068322B2 (ja) * | 2013-12-03 | 2017-01-25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導電シート、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及び表示装置 |
WO2015088295A1 (ko) * | 2013-12-13 | 2015-06-1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터치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
JP6200582B2 (ja) * | 2014-04-08 | 2017-09-20 | 株式会社フジクラ | 配線体及び配線基板 |
JP5813831B1 (ja) * | 2014-07-02 | 2015-11-17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タッチパネル |
JP6383914B2 (ja) * | 2014-08-07 | 2018-09-05 | 株式会社Vtsタッチセンサー |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
TWI610204B (zh) * | 2015-02-27 | 2018-01-01 | Fujikura Ltd | 配線體、配線基板以及碰觸偵知器 |
WO2016136971A1 (ja) * | 2015-02-27 | 2016-09-01 | 株式会社フジクラ | タッチセンサ用配線体、タッチセンサ用配線基板及びタッチセンサ |
-
2017
- 2017-12-25 WO PCT/JP2017/046438 patent/WO2018123974A1/ja unknown
- 2017-12-25 KR KR1020197006455A patent/KR2019003729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7-12-25 CN CN201780062420.4A patent/CN109844699A/zh not_active Withdrawn
- 2017-12-25 US US16/474,829 patent/US2020019250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7-12-25 EP EP17889496.0A patent/EP3564800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7-12-25 JP JP2018559462A patent/JPWO2018123974A1/ja not_active Withdrawn
- 2017-12-27 TW TW106145973A patent/TWI657365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4820451B1 (ko) | 1970-07-10 | 1973-06-21 | ||
JPS5615856A (en) | 1979-07-05 | 1981-02-16 | Nordson Corp | Electrostatic paint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00192506A1 (en) | 2020-06-18 |
WO2018123974A1 (ja) | 2018-07-05 |
TW201837678A (zh) | 2018-10-16 |
JPWO2018123974A1 (ja) | 2019-06-27 |
EP3564800A1 (en) | 2019-11-06 |
CN109844699A (zh) | 2019-06-04 |
TWI657365B (zh) | 2019-04-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37298A (ko) | 배선체, 배선 기판, 및 터치 센서 | |
US9921682B2 (en) | Touch panel having high resistance to static electricity | |
CN105765501B (zh) | 导电片、静电电容式触摸面板和显示装置 | |
US20150085205A1 (en) | Touch panel | |
US10359890B2 (en) | Touch screen, touch panel, and display apparatus | |
WO2016208636A1 (ja) | 配線体、配線基板、及びタッチセンサ | |
CN106155411B (zh) | 触摸屏、触摸面板、显示装置以及电子设备 | |
KR20190105562A (ko) |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 |
JP2014071863A (ja) | タッチパネル | |
CN104461128B (zh) | 触控面板 | |
KR102281616B1 (ko) | 터치 스크린 패널 및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방법 | |
US20200064971A1 (en) | Wiring body assembly, wiring board, and touch sensor | |
JP6577662B2 (ja) | 配線体、配線基板、及びタッチセンサ | |
JP2021002274A (ja) | 配線体、配線板、及び、タッチセンサ | |
US20200233535A1 (en) | Wiring body, wiring board, and touch sensor | |
JP7270170B2 (ja) | タッチセンサ | |
KR101956202B1 (ko) | 터치 패널 | |
KR102093940B1 (ko) | 터치 패널 | |
JP2020064403A (ja) | 配線体、配線板、及びタッチセンサ | |
JP2020047172A (ja) | 配線体、配線板、及びタッチセンサ | |
JP2018124615A (ja) | 配線体、配線基板、及びタッチセンサ | |
JP2021039863A (ja) | 配線体、配線板、及び、タッチセンサ | |
JP2020027393A (ja) | 配線体、配線板、及びタッチセンサ | |
JP2020091582A (ja) | 配線体、配線板、及びタッチセンサ | |
JP2019212214A (ja) | 配線体、配線板、及び、タッチセンサ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B |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