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4906A - 충격 방지 기능이 구비된 슬라브 통 - Google Patents

충격 방지 기능이 구비된 슬라브 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4906A
KR20190034906A KR1020170123494A KR20170123494A KR20190034906A KR 20190034906 A KR20190034906 A KR 20190034906A KR 1020170123494 A KR1020170123494 A KR 1020170123494A KR 20170123494 A KR20170123494 A KR 20170123494A KR 20190034906 A KR20190034906 A KR 20190034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arm
distance
key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1163B1 (ko
Inventor
김현욱
Original Assignee
(주)세원그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원그리드 filed Critical (주)세원그리드
Priority to KR1020170123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163B1/ko
Publication of KR20190034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4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12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handling workpieces, e.g. ingots, which require to be supported temporarily within, or withdrawn from, a treatment chamber, e.g. tong cranes, soaking-pit cranes, stripper cranes
    • B66C17/14Tong cranes with means for moving article-pushers relative to the to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부에 의해 상하 좌우로 이동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 하측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부 지지대(11)와 하부 지지대(12) 및 본체(10) 상부에 배치되는 제어부(50)를 포함하는 충격 방지 기능이 구비된 슬라브 통에 있어서, 한 쌍이 교차되어 벌어짐과 오므림 작동을 통해 슬라브(s)를 집을 수 있는 아암(20); 상기 상부 지지대(11)에 설치되는 상부빔(111)에 상기 아암(20)을 연결하는 아암 링크(28);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부 지지대(11)에 고정되어, 상기 아암(20)의 벌어짐과 오므림을 조절하는 통키 어셈블리(30); 일단이 상기 상부 지지대(1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 지지대(12)에 연결된, 링크 구조의 통키 링크(34); 및 상하로 작동 가능하여, 슬라브(s)와 접촉되어 슬라브(s)의 매수를 감지하는 서포팅 블록(40);을 포함하고, 상기 서포팅 블록(40)은, 상기 하부 지지대(12)에 고정되는 고정부(41); 상기 고정부(41)의 하부 내측에 삽입되어, 상하로 작동 가능한 이동부(43); 및 상기 이동부(43)와 함께 상하로 작동되고, 슬라브(s)와의 거리를 인식하는 충격방지부(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방지 기능이 구비된 슬라브 통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충격 방지 기능이 구비된 슬라브 통{SLAB TONG HAVING ANTI-SHOCK FUNCTION}
본 발명은 제철소 및 기타 철강소에서 슬라브를 이송할 때 사용되는 슬라브 통의 서포팅 블록이 슬라브와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충격 방지 기능이 구비된 슬라브 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기타 철강소 등에서 생산되는 슬라브(slab)는 소위 슬라브 통이라 불리는 크레인에 의해 목적지로 이송된다.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나, 슬라브 통으로 슬라브를 이송시킬 때에는 1매 내지 4매 정도의 슬라브를 1회에 이송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슬라브 통이 슬라브를 집어서 운송시킬 때, 슬라브 매수를 조절하는 서포팅 블록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서포팅 블록은 슬라브 통 하부에 마련되고, 서포팅 블록이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롤러가 슬라브와 접촉하여 슬라브의 매수를 조절한다.
슬라브 통을 이용하여 슬라브를 이송하기 위해, 슬라브 통을 하강시켜 슬라브 상부에 안착 시킨 후, 쌍을 이루는 아암으로 슬라브를 집고 권상하여 이송한다.
이때, 슬라브 통이 슬라브 상부에 안착 시, 슬라브 통의 하강속도와 슬라브 통의 자중이 합쳐진 충격이 고스란히 서포팅 블록에 전달되고, 이는 슬라브 통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
슬라브의 매수를 조절하기 위한 필수부품인 서포팅 블록은 슬라브 매수 조절을 위하여는 슬라브에 접촉 롤러가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외부 충격이 가장 빈번하게 가해지는 부품이다.
종래에는, 서포팅 블록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완충시키는 구조가 없어 서포팅 블록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9255호(2012.10.31)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강 또는 상승하는 슬라브 통의 서포팅 블록이 슬라브와 접촉되어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슬라브통과 슬라브 제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격 방지 기능을 구비한 슬라브 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에 의해 상하 좌우로 이동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 하측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부 지지대(11)와 하부 지지대(12) 및 본체(10) 상부에 배치되는 제어부(50)를 포함하는 충격 방지 기능이 구비된 슬라브 통에 있어서, 한 쌍이 교차되어 벌어짐과 오므림 작동을 통해 슬라브(s)를 집을 수 있는 아암(20); 상기 상부 지지대(11)에 설치되는 상부빔(111)에 상기 아암(20)을 연결하는 아암 링크(28);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부 지지대(11)에 고정되어, 상기 아암(20)의 벌어짐과 오므림을 조절하는 통키 어셈블리(30); 일단이 상기 상부 지지대(1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 지지대(12)에 연결된, 링크 구조의 통키 링크(34); 및 상하로 작동 가능하여, 슬라브(s)와 접촉되어 슬라브(s)의 매수를 감지하는 서포팅 블록(40);을 포함하고, 상기 서포팅 블록(40)은, 상기 하부 지지대(12)에 고정되는 고정부(41); 상기 고정부(41)의 하부 내측에 삽입되어, 상하로 작동 가능한 이동부(43); 및 상기 이동부(43)와 함께 상하로 작동되고, 슬라브(s)와의 거리를 인식하는 충격방지부(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방지 기능이 구비된 슬라브 통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충격방지부(45)는 상기 슬라브(s)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50)로 상기 서포팅 블록(40)과 상기 슬라브(s)와의 거리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충격방지부(45)로부터 전송 받은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아암(20)의 하강 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서포팅 블록(40)과 상기 슬라브(s)의 충격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방지 기능이 구비된 슬라브 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방지부(45)는, 상기 슬라브(s)와의 거리를 인식하는 거리 인식 센서(451); 상기 거리 인식 센서(451)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거리 인식 센서(451)를 슬라브(s)의 열로부터 보호하는 방열 케이스(453); 상기 방열 케이스(453)가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455); 상기 거리 인식 센서(451)가 상기 슬라브(s)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455)의 하부에 형성되는 측정 홀(456); 및 상기 측정 홀(456)을 개폐하는 개폐 스위치(457);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 인식 센서(451)는 전원 라인(456)을 통해 상기 제어부(50)와 연결되어, 측정된 거리 정보를 상기 제어부(5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방지 기능이 구비된 슬라브 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 스위치(457)는, 상기 충격 방지부(45)가 하강하며, 상기 거리 인식 센서(451)가 슬라브(s)와의 거리를 인식하는 동안 상기 측정 홀(456)을 개방하고, 상기 충격 방지부(45)가 슬라브(s)와 인접하면 상기 측정 홀(456)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방지 기능이 구비된 슬라브 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455)은, 이동부 브라켓(458)에 의해 상기 이동부(43)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부(43)의 상하 이동과 함께 상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방지 기능이 구비된 슬라브 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43)는, 상기 슬라브(s)와 밀착되는 슬라브 접촉롤러(431); 및 상기 슬라브 접촉롤러(431)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브 접촉롤러(431)와 상기 슬라브(s)의 밀착 여부를 인식하는 접촉 센서(4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방지 기능이 구비된 슬라브 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방지부(45)는, 박스 형태의 바디부(4511); 상기 바디부(4511)의 내측 상부에 배치되어, 하방으로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상기 슬라브(s)와의 거리를 인식하는 레이저 센서(4512); 및 상기 레이저 빔이 상기 슬라브(s)에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4511)의 하면에 형성되는 빔 통과홀(451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방지 기능이 구비된 슬라브 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암(20)은, 상기 아암(20)의 하단에 형성되는 슈홀더(21); 상기 슈홀더(21)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브(s)를 그립하는 슈(22); 상기 슈홀더(21)와 상기 슈(22)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판(23); 상기 슈홀더(21), 상기 슈(22), 상기 절연판(23)을 상기 아암(20)의 하단에 고정하는 체결부재(24); 상기 체결부재(24)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전선 삽입공(25); 및 상기 전선 삽입공(25)에 삽입되는 전선(26); 을 포함하고, 상기 전선(26)의 일단이 상기 슬라브(s)에 접촉되어 저항이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아암(20)이 상기 슬라브(s)를 잡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방지 기능이 구비된 슬라브 통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강 또는 상승하는 슬라브 통의 서포팅 블록이 슬라브와 접촉되어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 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슬라브 통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통키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통키에 형성된 방지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따른 위치 감지 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서포팅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충격 방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따른 충격 방지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방지부가 구비된 서포팅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충격방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따른 충격방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 통이 하강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 통이 상승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방지 기능을 구비한 슬라브 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충격 방지 기능을 구비한 슬라브 통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슬라브 통(1)은 본체(10), 상부 지지대(11), 하부 지지대(12), 아암(20), 통키 어셈블리(30), 서포팅 블록(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슬라브 통(1)이 위치하고 있는 천장에 고정되어, 와이어 로프(미도시)를 통해 상하 좌우로 이동한다.
상부 지지대(11)는 본체(10)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지지대(11)에는 상부빔(111)이 설치될 수 있다. 하부 지지대(12)는 상부 지지대(11)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지지대(11), 하부 지지대(12) 및 상부빔(111)은 후술할 구성들을 지지 또는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2개의 아암(20)은 집게 형태를 이루도록 교차되어 한 쌍을 이룰 수 있다. 한 쌍의 아암(20)은 서로 교차되어 벌어짐과 오므림을 통해 슬라브(s)를 집을 수 있다. 슬라브 통(1)은 총 두 쌍의 아암(20)을 포함할 수 있다. 두 쌍의 아암(20)을 통해, 슬라브(s)의 양 측에서 슬라브(s)를 그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두 쌍의 아암(20) 사이에 슬라브(s)가 위치되고, 아암(20)은 슬라브(s)의 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두 쌍의 아암(20)은 슬라브(s)의 4지점에 각각 접촉되어, 슬라브(s)를 그립할 수 있다.
아암(20)은 슈홀더(21), 슈(22), 절연판(23), 체결부재(24), 전선 삽입공(25) 및 전선(26)을 포함할 수 있다.
슈홀더(21)는 아암(20)의 하단에 형성되어, 슈(22)를 아암(20)에 체결할 수 있다.
슈(22)는 슈홀더(21)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슈(22)는 슈홀더(21)를 통해 아암(20)의 하단에 체결될 수 있다. 슈(22)는 아암(20)이 오므려지면, 슬라브(s)와 접촉될 수 있다. 슬라브(s)와 접촉되는 슈(22)의 단부는 톱니 모양으로 형성되어, 슬라브(s)와의 접촉력을 높여 슬라브(s)를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슈(22)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절연판(23)은 슈홀더(21)와 슈(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체결부재(24)는 슈홀더(21), 슈(22) 및 절연판(23)을 관통하여 체결된다. 따라서, 체결부재(24)는 슈홀더(21), 슈(22) 및 절연판(23)을 아암(20)의 하단에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재(24)는 볼트와 너트로 형성될 수 있다.
전선 삽입공(25)은 체결부재(24)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선(26)은 전선 삽입공(25)에 삽입된다. 다시 말해, 전선(26)은 슈홀더(21)와 슈(22)에 삽입된 체결부재(24)를 관통할 수 있다. 전선(26)은 체결부재(24)를 관통하여 슈(22)에서부터 슈홀더(21)까지 삽입될 수 있다. 전선(26)의 일단은 슈(22)와 접지된다.
구체적으로,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슈(22)는 접지된 전선(26)에 의해서 전기가 통할 수 있다. 전기가 통하고 있는 슈(22)가 슬라브(s)와 접촉되면, 저항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절연판(23)은 전선(26) 이외의 구성인 슈홀더(22), 아암(20)이 통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선(26)의 타단은 제어부(50)와 연결될 수 있다. 전선(26)과 연결된 제어부(50)는 슈(22)의 저항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저항 신호를 받는 동안은 아암(20)이 슬라브(s)와 접촉되어, 슬라브(s)를 그립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슈(22)에 접지된 전선(26)을 통해, 아암(20)이 슬라브(s)를 그립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별도의 그립 감지 센서를 구비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통(1)은 별도의 슬라브(s) 그립 감지 센서를 구비하지 않고도, 슬라브(s)의 그립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슈(22)와 슬라브(s)와 접촉함에 따라 발생되는 저항을 이용하므로, 외부 충격에 의해 센서 파손 및 이에 따른 센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아암 링크(28)는 아암(20)을 상부 지지대(11)에 고정된 상부빔(111)에 연결할 수 있다. 아암 링크(28)는 서로 교차되는 한 쌍의 아암(20)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따른 통키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따른 통키에 형성된 방지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따른 위치 감지 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통키 어셈블리(30)는 상부 지지대(11)에 고정되어, 아암(20)의 벌어짐과 오므림을 조절할 수 있다. 통키 어셈블리(30)는 통키(31), 걸림턱(32), 통키 홀더(33), 통키 링크(34), 하우징(35), 상부캠(36), 하부캠(37), 통키 핀(38) 및 위치 감지 센서(39)를 포함할 수 있다.
통키(31)는 상부 지지대(11) 하부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키(31)는 상부 지지대(11)로부터 아암(20)을 향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통키(31)의 상부는 상부 지지대(11)에 고정되며, 하부에는 걸림턱(32)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32)은 통키(31)의 하단에서 통키(31)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턱(32)은 통키 홀더(33)에 삽입 가능하다.
통키 홀더(33)는 하부 지지대(12)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통키 홀더(33)에는 걸림턱(32)이 삽입 또는 이탈 가능하도록 삽입공(331)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331)을 통해, 걸림턱(32)이 통키 홀더(33)에 삽입되어, 통키(31)와 통키 홀더(33)를 체결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턱(32)이 삽입공(331)에 삽입되어, 걸림턱(32)이 삽입공(33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삽입공(331)과 걸림턱(32)이 교차될 수 있다. 또는, 걸림턱(32)이 삽입공(331)과 수평방향으로 회전되어 걸림턱(32)과 삽입공(331)이 수평을 이루면, 걸림턱(32)은 삽입공(331)을 통해 통키 홀더(33)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걸림턱(32)이 통키 홀더(33)의 삽입공(331)과 교차되어, 통키(31)가 통키 홀더(33)에 삽입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걸림턱(32)이 삽입공(331)과 수평을 이루어, 통키(31)가 통키 홀더(33)에서 이탈 가능한 상태일 수 있다.
걸림턱(32)이 삽입공(331)과 교차되어 통키(31)와 통키 홀더(33)가 결합되면, 2개가 교차되는 아암(20)은 벌어진 상태가 되어 슬라브(s)를 그립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걸림턱(32)이 삽입공(331)과 수평을 이루어, 통키(31)가 통키 홀더(33)에서 이탈되면, 한 쌍을 이루는 서로 교차된 아암(20)은 슬라브(s)를 그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통키(31)가 통키 홀더(33)에 체결 또는 이탈됨에 따라, 아암(20)이 슬라브(s)를 그립하거나, 그립하지 않을 수 있다.
걸림턱(32)에는 방지면(32a)이 형성될 수 있다. 방지면(32a)은 걸림턱(3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방지면(32a)는 일측 모서리 또는 서로 대칭되는 상측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32)이 통키 홀더(33)에 체결된 상태에서 아암(20)의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면(3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지면(32a)은 걸림턱(32)이 통키 홀더(33)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논 슬립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지면(32a)은 걸림턱(32)이 통키 홀더(33)에 불완전하게 체결된 상태에서 아암(20)이 들어올려질 때 방지면(32a)이 통키 홀더(33)에 밀착되어 걸림턱(32)이 역회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통키 링크(34)는 상부 지지대(11)와 하부 지지대(12)에 연결되어, 통키(31)가 통키 홀더(33)에 체결되거나 이탈되도록, 통키(31)와 통키 홀더(33)를 연결할 수 있다. 통키 링크(34)는 통키(31)가 통키 홀더(33)에 의해 고정되는 경우에는 링크가 접혀있는 상태일 수 있고, 통키(31)가 통키 홀더(33)에서 이탈된 상태일 경우에는 접혀있는 링크가 펴져있는 상태일 수 있다.
하우징(35), 상부캠(36) 및 하부캠(37)은 통키(31)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35)의 내부에는 통키(31)의 상부가 회전 및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부캠(36)과 하부캠(37)은 하우징(35)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부캠(36)과 하부캠(37)의 내측에는 통키(31)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다. 즉, 하우징(35) 내측에 상부캠(36)과 하부캠(37)이 고정되고, 상부캠(36)과 하부캠(37) 내부에 통키(31)가 회전 및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통키 핀(38)은 통키(31)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핀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통키 핀(38)은 상부캡(36)과 하부캠(37)과 접촉될 수 있다.
위치 감지 센서(39)는 통키(31)가 통키 홀더(33)에 고정된 상태인지, 통키 홀더(33)에서 이탈된 상태인지 센싱하여 통키(31)의 상태를 제어부(50)로 전송할 수 있다.
위치 감지 센서(39)는 하우징(35)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35)에서 통키(31)의 상부가 삽입되는 부분에 위치 감지 센서(39)가 배치될 수 있다. 위치 감지 센서(39)는 제1 위치 감지 센서(391) 및 제2 위치 감지 센서(3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캠(36) 또는 하부캠(37)의 외측에는 위치 감지 센서(39)가 인식할 수 있는 돌기(37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캠(37)에 돌기(371)가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위치 감지 센서(391)는 하우징(35) 내측의 걸림턱(32)과 통키 홀더(33)가 직교로 교차되는 지점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위치 감지 센서(392)는 하우징(35) 내측의 걸림턱(32)과 통키 홀더(33)에서 이탈되는 지점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통키(31)의 회전에 따라, 돌기(371)가 위치 감지 센서(39)에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감지 센서(39)는 통키(31)가 이탈된 상태인지 교차되어 고정된 상태인지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기(371)가 제1 위치 감지 센서(391)에 센싱되면 통키(31)가 통키 홀더(33)에 체결된 상태이고, 돌기(371)가 제2 위치 감지 센서(392)에 센싱되면 통키(31)가 통키 홀더(33)에서 이탈된 상태이다.
또한, 걸림턱(32)은 위험 감지 센서(321)를 포함할 수 있다. 위험 감지 센서(321)는 걸림턱(32)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위험 감지 센서(321)는 별도의 체결판을 통해 걸림턱(32)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위험 감지 센서(321)는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위험 감지 센서(321)는 걸림턱(32)이 통키 홀더(33)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위험 위치에 위치된 것을 센싱할 수 있다. 위험 감지 센서(321)는 통키 홀더(33)에 삽입된 통키(31)가 위험 구간의 위치한 상태를 센싱하여, 위험 상태를 제어부(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50)는 통키(31)가 위험 구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슬라브 통(1)을 상승하게 되면 알람을 울리고, 슬라브 통(1)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위험 감지 센서(321)는 아암(20)이 벌어진 상태에서 하강하는 중에, 통키(31)가 통키 홀더(33)에서 이탈되어 아암(20)이 예기치 못하게 하강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통키 어셈블리(30)에 의해 아암(20)이 오므림 상태에서 벌어짐 상태로 바뀌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통키 어셈블리(30)가 하강하면서 통키(31)의 걸림턱(32)이 통키 홀더(33)의 내부로 삽입되면 통키 핀(38)은 하부캠(37)의 제1 스톱부(A)의 위치에 이른다. 통키 어셈블리(30)가 계속 하강하면서 통키(31)의 걸림턱(32)이 통키 홀더(33)의 내부 바닥면에 눌려지면서 통키 핀(38)이 상부캠(36)으로 상승한 후, 상부캠(36)을 따라 제2 스톱부(B)로 이동하면서 통키(31)의 걸림턱(32)은 45도 회전하게 된다.
이후, 통키 어셈블리(30)가 상승하면서 통키(31)의 자체 하중에 의해 통키핀(38)은 하부캠(37)으로 하강한 다음 하부캠(38)을 따라 제3 스톱부(C)의 위치로 이동하여 통키(31)의 걸림턱(32)은 90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통키(31)의 걸림턱(32)은 통키 홀더(33)로부터 분리되고, 이러한 경우, 통키 어셈블리(30)의 하단에 위치된 아암(20)은 슬래브(s)를 그립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아암(20)이 슬래브(s)를 그립한 상태에서, 통키 어셈블리(30)를 본체(10)와 함께 더 상승시킨 후 슬래브(s)를 원하는 장소로 이송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을 한번 더 반복하여 90도를 회전 시키면, 걸림턱(32)은 통키 홀더(33)와 교차되어 걸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아암(20)이 벌어짐 상태로 되어 슬라브(s)를 잡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도 7는 도 1에 따른 서포팅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충격 방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에 따른 충격 방지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서포팅 블록(40)은 하부 지지대(12)에 장착될 수 있다. 서포팅 블록(40)은 아암(20)과 함께 상하로 작동 가능하여, 슬라브(s)와 접촉되어 슬라브(s)의 매수를 감지할 수 있다.
서포팅 블록(40)은 고정부(41), 이동부(43) 및 충격방지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41)는 하부 지지대(12)에 고정될 수 있다.
이동부(43)는 고정부(41)의 하부 내측에 삽입되어, 상하로 작동될 수 있다. 이동부(43)는 슬라브 통(1)의 하강과 함께 하강하거나, 슬라브 통(1)의 상승과 함께 상승할 수 있다. 이동부(43)는 슬라브 접촉 롤러(431) 및 접촉 센서(432)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브 접촉 롤러(431)는 이동부(43)의 하단에 배치되어, 이동부(43)가 하강하면, 슬라브(s)와 밀착될 수 있다.
접촉 센서(432)는 슬라브 접촉 롤러(431)에 설치되어, 슬라브 접촉 롤러(43)와 슬라브(s)의 밀착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충격 방지부(45)는 이동부(43)와 함께 상하로 작동되고, 슬라브(s)와의 거리를 인식할 수 있다. 충격 방지부(45)는 슬라브(s)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어부(50)로 서포팅 블록(40)과 슬라브(s)와의 거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충격 방지부(45)로부터 거리 정보를 전송 받은 제어부(50)는, 아암(20)의 하강 속도를 제어하여 서포팅 블록(40)과 슬라브(s)의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격 방지부(45)는 거리 인식 센서(451), 방열판(452), 방열 케이스(453), 센서 브라켓(454), 하우징(455), 전원 라인(456), 개폐 스위치(457), 이동부 브라켓(458) 및 고정부 브라켓(459)을 포함할 수 있다.
거리 인식 센서(451)는 충격 방지부(40)와 슬라브(s)와의 거리를 인식한다. 거리 인식 센서(451)는 광 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저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방열판(452)은 거리 인식 센서(451)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판(452)은 거리 인식 센서(451)가 방열 케이스(453)에 고정되는 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판(452)은 거리 인식 센서(451)를 슬라브(s)의 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방열 케이스(453)는 거리 인식 센서(451)가 내부에 배치되어, 거리 인식 센서(451)를 슬라브(s)의 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센서 브라켓(454)은 거리 인식 센서(451)가 배치된 방열 케이스(453)를 하우징(455)에 고정할 수 있다.
하우징(455) 내부에는 방열 케이스(454)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455)이 이동부(43)와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하우징(455)이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하우징(455) 내부에 배치되는 거리 인식 센서(451)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거리 인식 센서(451)가 슬라브(s)와의 거리를 인식할 수 있다. 하우징(455)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개방된 상부로 거리 인식 센서(451)와 연결되는 전원 라인(456)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전원라인(456)은 거리 인식 센서(451) 및 제어부(50)와 연결되어, 거리 인식 센서(451)가 인식한 거리를 제어부(50)로 전달할 수 있다.
측정홀(456)은 하우징(455) 하부에 형성되어, 거리 인식 센서(451)가 슬라브(s)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455)에 형성된 측정홀(456)을 통해, 거리 인식 센서(451)는 슬라브(s)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개폐 스위치(457)는 측정홀(456)을 개폐할 수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 스위치(457)는, 충격 방지부(45)가 하강하여 거리 인식 센서(451)가 슬라브(s)와의 거리를 인식하는 동안 측정 홀(456)을 개방할 수 있다.
반대로, 충격 방지부(45)가 슬라브(s)와 인접하면 측정홀(456)을 폐쇄할 수 있다. 이는, 슬라브(s)의 열로 인해 거리 인식 센서(451)가 오작동 또는 파손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슬라브(s)와 인접한 경우에는 개폐 스위치(457)를 통해 측정홀(456)을 폐쇄하여, 슬라브(s)의 열이 거리 인식 센서(451)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이동부 브라켓(458)은 이동부(43)에 충격방지부(45)를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충격방지부(45)의 하우징(455)은 이동부 브라켓(458)을 통해 이동부(43)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충격 방지부(45)는 이동부(43)의 상하 이동과 함께,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고정부 브라켓(459)은 고정부(45)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 브라켓(459)은 하우징(455)의 개방된 상부의 커버 역할을 할 수 있다. 고정부 브라켓(459)은 전원라인(456)을 외부로 가이드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슈(22)의 저항 상태를 전달받아, 슈(22)가 슬라브(s)의 그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통키(31)의 위치 감지 센서(39)를 통해, 통키(31)가 통키 홀더(33)에 삽입 고정된 상태인지, 이탈된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위험 감지 센서(321)를 통해 통키 홀더(33)에 삽입 고정된 통키(31)가 불안정하게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여,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충격방지부(45)의 거리 인식 센서(451)를 통해 슬라브(s)와의 거리 정보를 제공 받아, 상하 이동 하여 슬라브(s)와 밀착되는 이동부(43)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팅 블록(40)이 슬라브(s)와 접촉되는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방지부가 구비된 서포팅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 따른 충격방지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 따른 충격방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충격방지부(45)는 바디부(4511), 레이저 센서(4512) 및 빔 통과홀(451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4511)는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4511)의 상부는 고정부 브라켓(459)에 의해 고정부(41)에 고정될 수 있다.
레이저 센서(4512)는 바디부(4511)의 내측 상부에 배치되어, 하방으로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슬라브(s)와의 거리를 인식할 수 있다.
빔 통과홀(4513)은 레이저 센서(4512)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빔이 슬라브(s)에 조사될 수 있도록, 바디부(4511)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레이저 센서(4512)를 포함하는 충격방지부(45)는 레이저 빔을 통해 슬라브(s)와의 거리를 인식하여 제어부(50)로 인식된 거리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50)는 슬라브(s)와 밀착되는 서포팅 블록(40)의 이동부(43)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팅 블록(40)이 슬라브(s)와 접촉되는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 통이 하강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 통이 상승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는, 슬라브 통(1)의 작동 원리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슬라브 통(1)을 이용하여 슬라브(s)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아암(20)이 슬라브(s)를 그립할 수 있도록 슬라브 통(1)은 하강할 수 있다. 이때, 하강된 아암(20)은 바닥면과 접촉되고, 아암(20)은 벌려진 상태로 슬라브(s)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아암(20)이 벌려진 상태인 경우, 통키(31)는 통키 홀더(33)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아암(20)이 슬라브(s)를 그립하여 슬라브(s)를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통키 홀더(33)에 삽입된 통키(31)를 90도 회전시켜 통키(31)를 통키 홀더(32)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 통키(31)가 통키 홀더(33)에서 이탈됨에 따라, 접힌 상태로 고정된 통키 링크(34)와 아암 링크(28)의 고정이 풀릴 수 있다. 고정이 풀린 상태에서, 본체(10)가 상승하면 통키 링크(34)와 아암 링크(28)가 펴진다. 이때, 아암 링크(28)가 고정이 풀려서 펴지면서, 벌어져 있던 아암(20)이 오므려질 수 있다. 아암(20)의 오므려짐에 따라 슬라브(s)를 그립할 수 있다.
슬라브 통(1)은 아암(20)이 슬라브(s)를 그립한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동하여 슬라브(s)를 공중에 위치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하여 원하는 위치에 슬라브(s)를 위치시킨 후, 슬라브 통(1)은 하강할 수 있다. 하강한 슬라브 통(1)은 통키(31)를 통키 홀더(33)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하여 아암(20)을 벌려서, 슬라브(s)를 내려놓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슬라브 통
10: 본체
20: 아암
30: 통키 어셈블리
40: 서포팅 블록
45: 충격 방지부
50: 제어부

Claims (8)

  1. 구동부에 의해 상하 좌우로 이동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 하측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부 지지대(11)와 하부 지지대(12) 및 본체(10) 상부에 배치되는 제어부(50)를 포함하는 충격 방지 기능이 구비된 슬라브 통에 있어서,
    한 쌍이 교차되어 벌어짐과 오므림 작동을 통해 슬라브(s)를 집을 수 있는 아암(20);
    상기 상부 지지대(11)에 설치되는 상부빔(111)에 상기 아암(20)을 연결하는 아암 링크(28);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부 지지대(11)에 고정되어, 상기 아암(20)의 벌어짐과 오므림을 조절하는 통키 어셈블리(30);
    일단이 상기 상부 지지대(1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 지지대(12)에 연결된, 링크 구조의 통키 링크(34); 및
    상하로 작동 가능하여, 슬라브(s)와 접촉되어 슬라브(s)의 매수를 감지하는 서포팅 블록(40);
    을 포함하고,
    상기 서포팅 블록(40)은,
    상기 하부 지지대(12)에 고정되는 고정부(41);
    상기 고정부(41)의 하부 내측에 삽입되어, 상하로 작동 가능한 이동부(43); 및
    상기 이동부(43)와 함께 상하로 작동되고, 슬라브(s)와의 거리를 인식하는 충격방지부(4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방지 기능이 구비된 슬라브 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격방지부(45)는 상기 슬라브(s)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본체(10)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어부(50)로 상기 서포팅 블록(40)과 상기 슬라브(s)와의 거리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충격방지부(45)로부터 전송 받은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아암(20)의 하강 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서포팅 블록(40)과 상기 슬라브(s)의 충격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방지 기능이 구비된 슬라브 통.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격방지부(45)는,
    상기 슬라브(s)와의 거리를 인식하는 거리 인식 센서(451);
    상기 거리 인식 센서(451)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거리 인식 센서(451)를 슬라브(s)의 열로부터 보호하는 방열 케이스(453);
    상기 방열 케이스(453)가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455);
    상기 거리 인식 센서(451)가 상기 슬라브(s)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455)의 하부에 형성되는 측정 홀(456); 및
    상기 측정 홀(456)을 개폐하는 개폐 스위치(457);
    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 인식 센서(451)는 전원 라인(456)을 통해 상기 제어부(50)와 연결되어, 측정된 거리 정보를 상기 제어부(5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방지 기능이 구비된 슬라브 통.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개폐 스위치(457)는,
    상기 충격 방지부(45)가 하강하며, 상기 거리 인식 센서(451)가 슬라브(s)와의 거리를 인식하는 동안 상기 측정 홀(456)을 개방하고,
    상기 충격 방지부(45)가 슬라브(s)와 인접하면 상기 측정 홀(456)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방지 기능이 구비된 슬라브 통.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55)은,
    이동부 브라켓(458)에 의해 상기 이동부(43)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부(43)의 상하 이동과 함께 상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방지 기능이 구비된 슬라브 통.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43)는,
    상기 슬라브(s)와 밀착되는 슬라브 접촉롤러(431); 및
    상기 슬라브 접촉롤러(431)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브 접촉롤러(431)와 상기 슬라브(s)의 밀착 여부를 인식하는 접촉 센서(4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방지 기능이 구비된 슬라브 통.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격방지부(45)는,
    박스 형태의 바디부(4511);
    상기 바디부(4511)의 내측 상부에 배치되어, 하방으로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상기 슬라브(s)와의 거리를 인식하는 레이저 센서(4512); 및
    상기 레이저 빔이 상기 슬라브(s)에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4511)의 하면에 형성되는 빔 통과홀(451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방지 기능이 구비된 슬라브 통.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암(20)은,
    상기 아암(20)의 하단에 형성되는 슈홀더(21);
    상기 슈홀더(21)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브(s)를 그립하는 슈(22);
    상기 슈홀더(21)와 상기 슈(22)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판(23);
    상기 슈홀더(21), 상기 슈(22), 상기 절연판(23)을 상기 아암(20)의 하단에 고정하는 체결부재(24);
    상기 체결부재(24)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전선 삽입공(25); 및
    상기 전선 삽입공(25)에 삽입되는 전선(26);
    을 포함하고,
    상기 전선(26)의 일단이 상기 슬라브(s)에 접촉되어 저항이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아암(20)이 상기 슬라브(s)를 잡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방지 기능이 구비된 슬라브 통.
KR1020170123494A 2017-09-25 2017-09-25 충격 방지 기능이 구비된 슬라브 통 KR101971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494A KR101971163B1 (ko) 2017-09-25 2017-09-25 충격 방지 기능이 구비된 슬라브 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494A KR101971163B1 (ko) 2017-09-25 2017-09-25 충격 방지 기능이 구비된 슬라브 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906A true KR20190034906A (ko) 2019-04-03
KR101971163B1 KR101971163B1 (ko) 2019-04-22

Family

ID=66164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494A KR101971163B1 (ko) 2017-09-25 2017-09-25 충격 방지 기능이 구비된 슬라브 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16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9255A (ko) 2011-04-21 2012-10-31 김현욱 슬라브 통용 그립 감지 장치와 이를 구비한 슬라브 통
KR101599215B1 (ko) * 2015-06-04 2016-03-14 포스마텍 주식회사 무충격 슬래브통 시스템 및 운반방법
KR20170000856A (ko) * 2015-06-24 2017-01-04 주식회사 포스코 슬라브 이동장치 및 그 이동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9255A (ko) 2011-04-21 2012-10-31 김현욱 슬라브 통용 그립 감지 장치와 이를 구비한 슬라브 통
KR101599215B1 (ko) * 2015-06-04 2016-03-14 포스마텍 주식회사 무충격 슬래브통 시스템 및 운반방법
KR20170000856A (ko) * 2015-06-24 2017-01-04 주식회사 포스코 슬라브 이동장치 및 그 이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1163B1 (ko) 201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66156B (zh) 物品搬送設備
CN204897125U (zh) 电梯及电梯的门槛遮盖装置
KR101971163B1 (ko) 충격 방지 기능이 구비된 슬라브 통
CN103499321B (zh) 一种位置检测装置
FR2779669A1 (fr) Dispositif de securite pour la conduite d'une machine-outil
CN107814285A (zh) 一种防止电梯轿厢意外移动的控制装置及方法
KR100762859B1 (ko) 상승식 승강기 도어의 안전 록킹장치
KR101599215B1 (ko) 무충격 슬래브통 시스템 및 운반방법
KR19980010954U (ko) 크레인의 코일 이동방향 확인 및 충돌 방지 장치
KR200180819Y1 (ko) 천정 크레인 집게의 집음 감지장치
KR200436777Y1 (ko) 상승식 승강기 도어의 안전 록킹 장치
JP4978823B2 (ja) 天井走行車
KR200331463Y1 (ko) 티밍래들의 트러니언 걸림상태 확인장치
KR200307877Y1 (ko) 오토픽업크레인의통키회전사이클감지장치
KR0128405Y1 (ko) 천정크레인 통키의 이상동작 감지장치
JP2899745B2 (ja) 電動シャッターにおける安全装置
KR200204439Y1 (ko) 픽업머신 통장치의 볼 신호발생기
KR200296719Y1 (ko)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가 장착된 천정크레인 통키의이상동작 감지장치
KR19990015978U (ko) 벨트 콘베이어의 텐션카 충돌방지장치
KR102383803B1 (ko) 크레인용 후크 장치
JPH0198594A (ja) 素材の掴み装置
KR200269293Y1 (ko) 거버너 텐션시브의 이탈 감지장치
JPS5853516Y2 (ja) 安全ガ−ドの開閉検出装置
EP3696360A1 (en) Contactless security device, particularly for motorized vertical sliding closing systems
KR200494883Y1 (ko) 특장차의 주행 경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