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759A - 장수말벌의 일벌로부터 분리된 봉독을 함유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장수말벌의 일벌로부터 분리된 봉독을 함유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759A
KR20190031759A KR1020170119583A KR20170119583A KR20190031759A KR 20190031759 A KR20190031759 A KR 20190031759A KR 1020170119583 A KR1020170119583 A KR 1020170119583A KR 20170119583 A KR20170119583 A KR 20170119583A KR 20190031759 A KR20190031759 A KR 20190031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 venom
composition
bee
worker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0802B1 (ko
Inventor
한상미
홍인표
우순옥
김세건
장혜리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70119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802B1/ko
Publication of KR20190031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5Thiazoles
    • A61K31/429Thiazoles 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Compounds containing 4-thia-1-azabicyclo [3.2.0] hep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penicillins, pen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티푸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정제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육계 또는 각종 가축류에게 급여할 경우, 소장은 물론 대장에서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애(Streptococcus agalactiae) 및 슈도모나스 아에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가금티푸스를 예방, 개선 및 치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가금티푸스의 발병을 감소시켜 가금류의 건강 증진을 통한 농가의 경제적 손실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장수말벌의 일벌로부터 분리된 봉독을 함유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bee venom isolated from Vespa mandarinia worker for prevention or treating bovine mastitis}
본 발명은 장수말벌의 일벌로부터 분리된 봉독을 함유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봉독은 서양종꿀벌(Apis mellifera)의 일벌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한방에서 봉침요법으로 주로 사용되어 왔다. 봉독은 벌의 독낭에 들어있는 것으로, 약 40여 가지의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원전부터 인체의 질병치료에 이용되어 왔다. 봉독은 벌의 종류에 따라 그 성분에 차이를 보이며, 동일한 벌이라도 일령에 따라 성분의 차이가 발생한다. 현재 봉독 성분에 따른 작용과 기전, 봉독의 과민성과 독성, 면역요법 및 관절염, 단순포진, 다발성 경화증, 종양 등의 질병 치료 등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항균작용과 세포 손상개선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래에는 벌의 종류벌로 봉독 성분이 각각 다른 것으로 확인되면서 이에 대한 생리활성 연구 또한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이 중에서도 장수말벌의 일벌로부터 채취한 봉독에 대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고 있지 않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다양한 벌로부터 채취한 정제봉독이 갖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연구하던 중, 장수말벌(Vespa mandarinia) 일벌의 봉독이 젖소유방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애(Streptococcus agalactiae) 및 슈도모나스 아에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9-0039050호 (발명의 명칭 : 말벌 독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제, 출원인 : 주식회사 엘지화학, 공개일 : 1999년06월05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00450호 (발명의 명칭 : 장수말벌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출원인 : 정욱철, 공개일 : 2012년09월12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1257호 (발명의 명칭 : 봉독과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천연항생제 및 이의 제조방법, 출원인 : 대한민국, 등록일 : 2011년08월25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1775호 (발명의 명칭 : 항생제저항성 유해균의 생장 억제용 조성물, 출원인 : 대한민국, 등록일 : 2015년02월03일)
본 발명의 목적은 장수말벌의 일벌로부터 분리된 봉독을 함유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장수말벌(Vespa mandarinia)의 일벌로부터 분리된 봉독을 함유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봉독은 장수말벌의 일벌의 독낭에서 분리한 봉독에서 당류와 휘발성물질을 제거하여 얻은 정제봉독일 수 있다.
상기 봉독은 만다라톡신(mandaratox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젖소 유방염은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애(Streptococcus agalactiae) 및 슈도모나스 아에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세균을 원인균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액상캡슐제, 수용액, 현탁액, 에멀젼, 시럽 및 에어로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의 젖소 유방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형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에 페니실린 및 메티실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항생제가 첨가된 젖소 유방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장수말벌의 일벌로부터 분리된 봉독을 함유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봉독은 여름철 성충시기인 8월 이후 채집되는 장수말벌의 일벌로부터 채취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의 봉독은 정제봉독으로서, 말벌집 또는 꿀벌 통에 모여드는 말벌을 포획하여 독낭을 분리하거나 또는 말벌을 분쇄 원심분리하여 봉독을 획득할 수 있다. 특히, 봉독 외의 이물질인 당류와 휘발성물질을 제거하여 얻은 정제봉독인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상기 정제봉독은 장수말벌 일벌의 독낭에서 분리한 봉독에서 봉독 외의 이물질인 당류와 휘발성물질을 제거하여 얻은 것일 수 있다.
상기 젖소 유방염은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애(Streptococcus agalactiae) 및 슈도모나스 아에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세균을 원인균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은 다른 항생제의 첨가로 인해 항생효과 또는 살세균 효과가 상승될 수 있다. 이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항생제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에 페니실린 및 메티실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항생제가 첨가된 복합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액상캡슐제, 수용액, 현탁액, 에멀젼, 시럽 및 에어로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의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장수말벌(Vespa mandarinia)의 일벌로부터 분리된 봉독을 함유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받을 동물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일 내지 대략 2000㎎/㎏/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1㎎/㎏/일 내지 500㎎/㎏/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젖소의 사료에 첨가되어 젖소 유방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장수말벌의 일벌로부터 분리된 봉독을 함유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을 젖소에게 급여할 경우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애(Streptococcus agalactiae) 및 슈도모나스 아에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로 유발되는 증상인 우유 내의 체세포 수를 감소 및 억제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젖소 유방염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젖소의 건강 증진을 통해 깨끗한 원유의 공급이 가능함으로써 농가의 수익증대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장수말벌 일벌의 봉독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9-0039050호에 여드름 치료 효과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1257호 등에 서양종 꿀벌의 봉독이 젖소 유방염과 같은 질병을 개선시킬 수 있음이 나타나 있으나 현재까지 장수말벌 유래의 봉독을 이용하여 젖소 유방염을 개선시킬 수 있다는 것에 관해서는 공지된 바 없다.
도 1은 장수말벌의 일벌로부터 정제봉독을 채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서양종꿀벌의 일벌로부터 정제봉독을 채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장수말벌의 일벌로부터 채취한 정제봉독에 대한 UPLC 결과를 나타낸다(붉은색 표기 피크 - 만다라톡신).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도록,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정제봉독의 제조>
장수말벌, 서양종꿀벌, 동양종꿀벌, 서양뒤영벌의 일벌에서 봉독채집장치를 이용하여 봉독을 채집하였고, 봉독의 간이정제방법을 통해 당류와 휘발성물질을 제거하고 동결건조함으로써 순수한 수용성을 갖는 정제 봉독 건조물을 제조하였다. 장수말벌은 여름철 성충시기인 8월 이후 채집되는 장수말벌의 일벌로부터 채취하였고, 다른 벌은 15일령 이상된 일벌로부터 봉독을 채집하였는데, 15일령 이상된 일벌에서 봉독을 채집한 것은 기존의 연구를 통해 서양종꿀벌의 경우 15일령 이상된 일벌에서 봉독의 함량이 가장 많았던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와 같은 현상 또한 다른 벌 종류에서도 나타났기 때문이다. 도 1은 장수말벌 일벌의 봉독 채집과정, 도 2에는 서양종꿀벌 일벌의 봉독 채집과정이 개시되어 있다.
이렇게 채취한 벌 한 마리당 정제봉독의 함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는데, 벌의 종류에 따라 정제봉독의 함량이 각각 다른 것으로 확인된다.
벌 종류 서양종꿀벌 일벌 동양종꿀벌 일벌 서양뒤영벌 일벌 장수말벌 일벌
정제봉독의 양(mg/마리) 0.29 0.2 0.18 4.2
< 실시예 2. 정제봉독의 유효성분 및 품질확인>
실시예 2-1. 만다라톡신의 함량 확인
UPLC(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봉독 내의 만다라톡신(mandaratoxin, MDTX)의 함량을 확인하여 채취된 정제봉독의 품질을 확인하였다. 장수말벌 일벌로부터 채취된 정제봉독(시험봉독) 40 mg을 3차 증류수 10 ㎖에 녹여 PTFE 0.2 μm필터로 여과하였고, 표준품 만다라톡신(Reference.MD., 82545-77-5 Mandaratoxin)은 2 mg/㎖로 만들어 시험봉독과 동일한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효소 피크의 우수한 분리도를 갖는 Sepadex C-50 컬럼을 사용하여, IC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sation) guideline에 따라 검출한계를 산출하였다. UPLC 조건은 하기 표 2를 기준으로 수행하였고 결과값은 도 3에 나타내었다.
이렇게 산출된 장수말벌 일벌의 봉독 내 만다라톡신의 함량은 11.3 ± 1.9% 로서 고품질의 정제봉독이 채취되었음을 알 수 있다.
기 기 Water I class
컬 럼 Sepadex C-50
컬럼온도 50℃
흐름속도 0.5 ㎖/min
주 입 량 1.0 ㎖
검출파장 280 nm
이 동 상 ammonium acetate buffer (0.05 M, pH 5.5)
또한 SDS-PAGE 분석을 통해서도 장수말벌 일벌의 봉독 및 만다라톡신을 확인하였는데, SDS-polyacrylamide gel은 Laemmli(1970)의 방법을 따라 15%의 separation gel과 5%의 staking gel을 준비하였다. 봉독과 만다라톡신 시료는 PBS로 1㎍/㎖의 농도로 희석하여 준비 한 후 4 × loading buffer와 혼합하였다. size marker 7 ㎕와 함께 10 ㎕의 시료를 loading 하였다. 다음으로는 Mini protein electrophoresis assay unit(Bio-Rad Laboratories, 미국)를 이용하여 100V 400mA에서 1시간 30분 동안 분리시킨 후 silver staining하여 단백질 band를 확인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도 10에 나타내었는데, 도 10의 CBV는 말벌 봉독을 나타내며, MDTX는 만다라톡신을 나타낸다.
실시예 2-2. 서양종꿀벌 봉독과 장수말벌 봉독의 성분 비교
문헌 상에 기재된 내용을 참고하여 서양종꿀벌 봉독과 장수말벌 봉독의 성분을 비교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Venoms of the hymenoptera, by Tom Piek, Academic press, 1986; Hymenoptera venom review focusing on Apis mellifera. Journal of Venomous Animals and Toxins including Tropical Diseases, P.R. de Lima et al., 2003; Bee, wasp and ant venomics pave the way for a component-resolved diagnosis of sting allergy, Journal of Proteomics, D. C. de Graal et al., 2009).
성분 서양종꿀벌 봉독 장수말벌 봉독
Phospholipase A2 ×
Hyaluronidase ×
Acid phosphatase ×
Melittin ×
Dipeptidyleptidase IV ×
putative protease inhibitor ×
CUB-serine protease ×
Carboxylesterase ×
Carboxypeptidase ×
Carbohydrate-rich protein ×
Phospholipase A1B ×
Antigen 5 ×
Histamine
Dopamine ×
Norepinephrine ×
Vespakinin ×
Mastoparan-M ×
Ves-CP-M ×
표 3을 참고하면, 서양종꿀벌 일벌과 장수말벌 일벌으로부터 각각 채취된 정제봉독에 포함된 유효성분의 분포가 전혀 다른 것으로 확인되어 이들이 갖는 약리학적/생리학적 효과 또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실시예 3. 정제봉독의 항세균 효과 확인>
시험에 사용한 균주는 건국대학교로부터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애(Streptococcus agalactiae, ATCC 13813)와 슈도모나스 아에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ATCC 15442)를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애는 5% sheep blood (MD cell, USA)를 포함한 TSA(Trypticase soy agar, BD Difco, USA) 배지, 슈도모나스 아에루지노사는 TSA 배지를 사용하여 37℃에서 배양하여 실험 전까지 2회 계대배양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서양종꿀벌와 장수말벌의 정제봉독의 항세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애 또는 슈도모나스 아에루지노사에 대한 최소생육억제농도(MIC) 및 최소살균억제농도(MBC)를 측정하였고 이를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최소생육억제농도 분석은 액체 배지 희석법(broth-dilution method)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봉독 수용액을 0~20 ㎍/㎖ 농도로 희석하였고, 상기 각 균주(세균)는 O.D.600 = 0.2로 농도를 조절하여 사용하였다. 96-웰 플레이트(96-well plate, Falcon, USA)에 각 균주 배양용 뉴트리언트 브로스(Nutrient Broth) 100 ㎖, 봉독 수용액 50 ㎖, 균주 희석액 50 ㎖를 순차적으로 첨가한 뒤 4 시간마다 UV-스펙트로포토미터(spectrophotometer)를 이용해 흡광도 값을 측정하면서 24 시간 동안 37 ℃에서 배양하였다. 이때, 세균의 생육 곡선상에서 균주의 생장 (turbidity)이 검출되지 않는 최소농도를 최소생육억제농도로 설정하였다.
최소살균억제농도는 상술한 최소 저해 농도의 분석 과정에서 각 시간대 별 배양 세균 시료 50 ㎖를 취해 뉴트리언트 아가(Nutrient agar) 플레이트(plate)에 도말하여, 48 시간 동안 37 ℃에서 배양한 후, 생성되는 콜로니(colony) 수를 관찰하였을 때 상기 세균이 완전히 사멸(99.9%)되는 최소농도를 최소살균억제농도로 설정하였다.
대상 세균 MIC (㎍/㎖)
서양종꿀벌의 정제봉독 장수말벌의 정제봉독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애 11.34 ±0.15 0.13 ±0.24
슈도모나스 아에루지노사 14.03 ±0.02 0.04 ±0.01
대상 세균 MBC (㎍/㎖)
서양종꿀벌의 정제봉독 장수말벌의 정제봉독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애 10.18 ±0.52 2.08 ±0.24
슈도모나스 아에루지노사 12.52 ±0.12 0.34 ±0.13
또한, 장수말벌과 서양종꿀벌의 정제봉독을 1 x 108 CFU/mL의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애 또는 슈도모나스 아에루지노사 균주에 처리하여 항균력 지속시간(PAE)도 확인하였는데, 하기의 표 5에 개시된 것처럼 장수말벌의 정제봉독의 항균력이 더 오래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조건 PAE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애 슈도모나스 아에루지노사
서양종꿀벌의 정제봉독 0.5 시간 1.5 시간
장수말벌의 정제봉독 2.5 시간 6.5 시간
이때 PAE 수치가 클수록 항균 지속 효과가 우수하다고 할 수 있으며, PAE를 구하는 식은 아래와 같다.
PAE = T - C
T : 봉독을 처리한 시험구에서 1 log10까지의 생육에 걸리는 시간
C : 무처리구에서 1 log10까지의 생육에 걸리는 시간
<실시예 4. 유방염 감염 젖소의 우유 내 체세포 감소 효과 확인>
정제봉독과 상용봉독의 유방염 치료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유방염에 감염된 젖소 6개 농장, 30분방에 각 시료별 10분방씩 구분하여, 무처리구, 상용봉독 처리구, 정제봉독 처리구로 사양실험을 진행하였다. 무처리구의 경우 정제수만 30 mL을, 봉독처리구의 경우 서양종 꿀벌의 정제봉독과 장수말벌의 정제봉독 10 mg을 멸균 증류수 30 mL에 용해하여 유두침을 이용하여 유방 내로 투여하였다. 유두침은 1회용 플라스틱제품으로 길이가 2 cm인 유두침을 사용하였다. 일별 착유 후 한차례 봉독을 투여하였으며, 5일간 투여 후 Somacount 300 기기(Bnetley사, USA)를 이용하여 체세포수를 측정하였다. 상기 방법은 우유에 형광물질인 에티디움 브로마이드(Ethidium bromide)를 첨가하여 체세포를 염색 후 측정기기에 주입하여 레이져 빔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5일간 투여 후 20일 후에 체세포 수를 비교한 결과, 하기 표 7의 결과와 같이 서양종꿀벌의 봉독에 비하여 장수말벌의 정제봉독에서의 체세포 감소 비율이 현저하게 높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장수말벌의 정제봉독이 젖소 유방염의 치료제로서 이용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조건 체세포 감소율 (%)
무처리군 0.5
서양종 꿀벌의 봉독 처리군 25.4
장수말벌의 봉독 처리군 64.3
<제제예 1. 약학적 제제>
제제예 1-1.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정제봉독 200g을 락토오스 175.9g, 감자전분 180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g, 활석 50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타정하여 동물용 약학적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예 1-2. 주사액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정제봉독 100㎎, 염화나트륨 0.6g 및 아스코르브산 0.1g을 증류수에 용해시켜서 100㎖를 만들었다. 이 용액을 병에 넣고 20℃에서 30분간 가열멸균하고 소분하여 동물용 주사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사료 조성물>
실시예 1의 정제봉독 200g을 육계용 사료 제조시 1t을 첨가하여 젖소 유방염 예방용 사료를 제조하였다.

Claims (6)

  1. 장수말벌(Vespa mandarinia)의 일벌로부터 분리된 봉독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독은 장수말벌의 일벌의 독낭에서 분리한 봉독에서 당류와 휘발성물질을 제거하여 얻은 정제봉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독은 만다라톡신(mandaratox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젖소 유방염은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애(Streptococcus agalactiae) 및 슈도모나스 아에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세균을 원인균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에 페니실린 및 메티실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항생제가 첨가된 젖소 유방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제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하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액상캡슐제, 수용액, 현탁액, 에멀젼, 시럽 및 에어로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의 젖소 유방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제제.
KR1020170119583A 2017-09-18 2017-09-18 장수말벌의 일벌로부터 분리된 봉독을 함유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80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583A KR101980802B1 (ko) 2017-09-18 2017-09-18 장수말벌의 일벌로부터 분리된 봉독을 함유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583A KR101980802B1 (ko) 2017-09-18 2017-09-18 장수말벌의 일벌로부터 분리된 봉독을 함유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759A true KR20190031759A (ko) 2019-03-27
KR101980802B1 KR101980802B1 (ko) 2019-05-21

Family

ID=65906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583A KR101980802B1 (ko) 2017-09-18 2017-09-18 장수말벌의 일벌로부터 분리된 봉독을 함유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80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050A (ko) 1997-11-10 1999-06-05 성재갑 말벌 독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제
KR101061257B1 (ko) 2009-01-30 2011-09-01 주식회사 청진바이오텍 봉독과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천연항생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100450A (ko) 2011-03-04 2012-09-12 정욱철 장수말벌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KR101491775B1 (ko) 2012-11-16 2015-02-23 대한민국 항생제저항성 유해균의 생장 억제용 조성물
KR101631201B1 (ko) * 2015-06-10 2016-06-16 주식회사 케어사이드 젖소 유방염 치료용 액상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젖소 유방염 치료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050A (ko) 1997-11-10 1999-06-05 성재갑 말벌 독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제
KR101061257B1 (ko) 2009-01-30 2011-09-01 주식회사 청진바이오텍 봉독과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천연항생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100450A (ko) 2011-03-04 2012-09-12 정욱철 장수말벌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KR101491775B1 (ko) 2012-11-16 2015-02-23 대한민국 항생제저항성 유해균의 생장 억제용 조성물
KR101631201B1 (ko) * 2015-06-10 2016-06-16 주식회사 케어사이드 젖소 유방염 치료용 액상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젖소 유방염 치료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0802B1 (ko) 201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Ghamdi et al. Biological and therapeutic roles of Saudi Arabian honey: A comparative review
KR100777833B1 (ko) 항균활성을 갖는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Nwankwo et al. Phytochemical screening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apiary honey produced by honey bee (Apis mellifera) on clinical strains of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and Candida albicans
KR102269256B1 (ko) 케피어 유래 프로바이오틱 효모 클루이베로미세스 막시아누스 a5 및 이의 용도
Acharya et al. Alternatives to fight against coccidiosis: A review
Sapaat et al. Anthelmintic activity of papaya seeds on Hymenolepis diminuta infections in rats.
KR101980802B1 (ko) 장수말벌의 일벌로부터 분리된 봉독을 함유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09592A (ko) 장수말벌의 일벌로부터 분리된 봉독을 함유하는 알츠하이머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00114606A (ko) 황색포도상구균 유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56082B1 (ko) 젖소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Islam et al. Antidiarrheal, analgesic, and anthelmintic activities of honeys in the Sundarbans mangrove forest, Bangladesh
KR101825954B1 (ko)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괴사성 장염 개선 및 치료용 동물용 약학 조성물
KR20190069797A (ko) 아가토바쿨룸 속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52323A (ko) 모린을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억제용 항균 조성물
KR102481102B1 (ko) 불가사리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418881B1 (ko) 면역증강, 염증치료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과 이를 이용한 비경구 투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hafi et al. Immuno-therapeutic evaluation of Withania somnifera in bovine mastitis
Ogbole et al. Anti-inflammatory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Hippocratea indica root bark and Poga oleosa fruits
Vabna et al. Lychee Honey Accelerates Antibacterial Efficacy of Penicillin and Amoxiclav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Dewi et al. Indonesian propolis inhibit proinflammatory cytokines, apoptosis and oxidative stress in anthrax animal Model
KR20190115226A (ko) 봉독을 포함하는 유단백 합성 촉진용 조성물
KR102572181B1 (ko) 말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2023380B1 (ko)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콕시듐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64465B1 (ko) 강황, 프로폴리스 및 잎새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천연 조성물
KR102313249B1 (ko) 메밀잣밤나무속 식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