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954B1 -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괴사성 장염 개선 및 치료용 동물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괴사성 장염 개선 및 치료용 동물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954B1
KR101825954B1 KR1020160074333A KR20160074333A KR101825954B1 KR 101825954 B1 KR101825954 B1 KR 101825954B1 KR 1020160074333 A KR1020160074333 A KR 1020160074333A KR 20160074333 A KR20160074333 A KR 20160074333A KR 101825954 B1 KR101825954 B1 KR 101825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 venom
pharmaceutical composition
bee
animal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1376A (ko
Inventor
한상미
홍인표
우순옥
김세건
장혜리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60074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954B1/ko
Publication of KR20170141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61K35/644Beeswax; Propolis; Royal jelly; Hon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5Thiazoles
    • A61K31/429Thiazoles 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Compounds containing 4-thia-1-azabicyclo [3.2.0] hep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penicillins, pen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물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돼지, 소, 양 등의 괴사성 장염 개선 및 치료 효과가 우수하여 이들 동물의 소화기성 질환의 예방과 개선을 위한 치료제로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괴사성 장염 개선 및 치료용 동물용 약학 조성물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 necrotic enteritis of an animal containing a bee venom}
본 발명은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괴사성 장염 개선 및 치료용 동물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꿀벌의 종류는 일반적으로 서양종꿀벌(Apis mellifera), 동양종꿀벌(Apis cerana), 인도최대종(Apis dorsata), 인도최소종(Apis florea) 등 4개의 종이 알려져 있다. 이 중 현재 우리나라에는 서양종꿀벌과 동양종 꿀벌이 서식하고 있다. 특히 동양종꿀벌은 고려시대부터 사육되기 시작하였으며, 민간과 한방에서 봉침요법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서양종꿀벌은 이탈리안 계통 일벌로서 조선시대 고종황제시기에 독일인 선교사에 의해 1892년경에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사육되고 있다.
봉독은 벌의 독낭에 들어있는 것으로, 약 40여 가지의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원전부터 인체의 질병치료에 이용되어 왔다. 봉독은 벌의 종류에 따라 그 성분에 차이를 보이며, 동일한 벌이라도 일령에 따라 성분의 차이가 발생한다. 현재 봉독 성분에 따른 작용과 기전, 봉독의 과민성과 독성, 면역요법 및 관절염, 단순포진, 다발성 경화증, 종양 등의 질병 치료 등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항균작용과 세포 손상개선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 타입 A 및 C는 많은 조류에 있어 괴사성 장염(necrotic enteritis, NE)과 간담도염(cholangiohepatitis)을 야기할 수 있다. 괴사성 장염을 겪은 조류들은 설사를 하고 깃을 곤두세우고 심지어는 죽기까지 할 수 있다. 육계의 소화관에서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가 증가할수록 성장속도와 사료효율이 저해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Kaldhusdal and Hofshagen, Poult. Sci., 1992, 71, 1145-1153).
한편, 가금류 생산에 있어 괴사성 장염에 대한 일차적 방어수단으로서 이용되던 항생제의 오남용에 따른 사용금지로 인해 새로운 천연항생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정제봉독이 갖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연구하던 중, 상기 서양종꿀벌(Apis mellifera L.)의 15일령 이상 일벌에서 분리한 정제봉독이 닭 등의 동물에서 괴사성 장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인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 및 살모넬라 몬테비데오(Salmonella montevideo)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8380호 (발명의 명칭 :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양계용 사료 조성물, 출원인 : 대한민국, 등록일 : 2013년07월16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1257호 (발명의 명칭 : 봉독과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천연항생제 및 이의 제조방법, 출원인 : 대한민국, 등록일 : 2011년08월25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1775호 (발명의 명칭 : 항생제저항성 유해균의 생장 억제용 조성물, 출원인 : 대한민국, 등록일 : 2015년02월03일)
Kaldhusdal and Hofshagen, Poult. Sci., 1992, 71, 1145-1153.
본 발명의 목적은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괴사성 장염 개선 및 치료용 동물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괴사성 장염 개선 및 치료용 동물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봉독은 서양종꿀벌(Apis mellifera L.)의 15일령 이상 일벌의 독낭에서 분리한 봉독에서 당류와 휘발성물질을 제거하여 얻은 정제봉독일 수 있다.
상기 괴사성 장염은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 및 살모넬라 몬테비데오(Salmonella montevideo)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세균을 원인균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물은 가축일 수 있으며, 상기 가축은 닭, 꿩, 메추라기, 오리, 집비둘기, 칠면조, 타조, 거위, 돼지, 소, 양, 염소, 말, 당나귀, 물소, 면양, 염소, 개, 고양이 및 토끼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동물용 약학 조성물에 페니실린 및 메티실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항생제가 첨가된 복합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동물용 약학 조성물을 함유하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액상캡슐제, 수용액, 현탁액, 에멀젼, 시럽 및 에어로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의 동물용 약학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형 중, 액상캡슐제, 수용액, 현탁액, 에멀젼, 시럽 및 에어로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액상 제형 내의 봉독 농도는 0.1~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괴사성 장염 개선 및 치료용 동물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봉독은 정제봉독으로서, 채집하는 과정은 통상의 양잠농가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상기 정제봉독은 서양종꿀벌(Apis mellifera L.)의 15일령 이상 일벌의 독낭에서 봉독채집장치를 이용하여 분리한 봉독에서 봉독 외의 이물질인 당류와 휘발성물질을 제거하여 얻은 것일 수 있다. 상기 괴사성 장염은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 및 살모넬라 몬테비데오(Salmonella montevideo)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세균을 원인균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물은 일반적으로 축산농가에서 사육될 수 있는 가축이라면 어떤 것이든 해당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닭, 꿩, 메추라기, 오리, 집비둘기, 칠면조, 타조, 거위, 돼지, 소, 양, 염소, 말, 당나귀, 물소, 면양, 염소, 개, 고양이 및 토끼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특히 가금류인 가축에게 적합하다.
상기 동물용 약학 조성물은 다른 항생제의 첨가로 인해 항생효과 또는 살세균 효과가 상승될 수 있다. 이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동물용 항생제가 본 발명의 동물용 약학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동물용 약학 조성물에 페니실린 및 메티실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항생제가 첨가된 복합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동물용 약학 조성물을 함유하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액상캡슐제, 수용액, 현탁액, 에멀젼, 시럽 및 에어로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의 동물용 약학제제를 제공한다. 이 중에서 고형제로서 제조되는 제형 내에 포함되어 있는 봉독은 첨가량에 상관없이 그 형태가 안정적이지만, 상기 제형 중, 액상캡슐제, 수용액, 현탁액, 에멀젼, 시럽 및 에어로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액상 제형 내의 봉독은 너무 낮은 농도에서는 포함되어 있는 유효성분이 안정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상기 액상 제형 내의 봉독 농도는 0.1~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상 제형 내의 봉독 농도는 0.1㎎/㎖ 미만이 되면, 봉독 내의 유효성분이 변화되어 약리학적 효과가 달라질 수 있으며, 10 ㎎/㎖을 초과할 경우에도 봉독 내의 유효성분이 안정적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동물의 체내에서 고농도의 봉독이 분산되기에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기 봉독의 농도가 10 ㎎/㎖ 이하인 것이 더 적합하다.
본 발명의 동물용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액상캡슐제, 수용액,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동물 약품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물용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받을 동물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일 내지 대략 2000㎎/㎏/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1㎎/㎏/일 내지 500㎎/㎏/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동물용 약학 조성물은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물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정제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육계 또는 각종 가축류에게 급여할 경우, 소장은 물론 대장에서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괴사성 장염을 예방할 수 있으며, 괴사성 장염을 개선하고 치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괴사성 장염의 발병을 감소시켜 가금류 또는 가축류의 건강 증진을 통한 농가의 경제적 손실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봉독채집장치를 이용하여 봉독을 채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꿀벌의 일령별로 독낭을 액체크로마토그래피 분석하여 봉독 성분의 분포를 확인한 크로마토그램 결과이다.
도 3은 꿀벌의 일령에 따른 독낭을 액체크로마토그래피 분석하여 독낭 내의 봉독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15일령 이상된 일벌에서 채집한 정제봉독봉독의 정제 전(도 4의 좌측) 및 정제 후(도 4의 우측) 사진(도 4의 상단)과 이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도 4의 하단)을 나타낸다.
도 5는 초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UPLC)를 이용하여 정제봉독 내에 봉독의 표준물질인 아파민, 포스포리파아제 A2, 아돌라핀, 히알루니다아제 및 멜리틴이 존제하는지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6은 15일령 이상된 일벌에서 채집한 정제봉독과 9~14일령 일벌에서 채집한 정제봉독의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에 대한 항균효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6시간 동안 보관된 0.1~100 ㎎/㎖ 봉독 수용액 내의 멜리틴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도록,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정제봉독의 제조>
서양종꿀벌(Apis meliffera L.)을 봉독채집장치를 이용하여 봉독을 채집하되, 성충이 된 시간이 1시간 이내인 일벌, 3~8일령인 일벌, 9~14일령인 일벌, 15일령 이상된 일벌에서 각각 봉독을 별도로 채집하였고, 봉독의 간이정제방법을 통해 당류와 휘발성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순수한 수용성을 갖는 정제 봉독 건조물을 제조하였다. 도 1에는 이와 같은 봉독채집장치를 이용한 봉독 채집과정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각 일령별 꿀벌의 독낭 내의 봉독 함량을 확인한 바, 도 2 및 도 3에 개시된 것처럼, 15일령 이상된 일벌의 독낭에서 순수한 봉독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15일령 이상된 일벌에서 채집된 정제봉독을 실험에 사용하기로 하였다.
<실시예 2. 정제봉독의 성분 확인을 위한 UPLC 분석>
15일령 이상된 일벌에서 채집한 정제봉독 40 ㎎을 3차 증류수 10 ㎖에 녹여 PTFE 0.2 μm필터로 여과하였고, 아파민, 멜리틴, 포스포리파아제 A2, 아돌라핀, 히알루니다아제 표준품을 동일하게 3차 증류수에 녹여 2 ㎎/㎖로 만들어 시험봉독과 동일한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하여 준비하였다. 봉독 성분 분석은 초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UPLC)하여 확인하였으며, 분석기기는 Waters 회사의 I class 모델을 사용하였고, Advanced materials technology사의 Halo peptide ES-C18(입자크기: 2.7 μm, 내경: 4.6mm, 길이: 10 cm) 컬럼을 장착하였다. 이동상으로는, A용액: 20 mM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TFA)의 아세토나이트릴(MeCN) 용액과, B용액: 20 mM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TFA)의 수용액을 혼합한 혼합용액을 이용하였다. 상기 혼합용액은 이동시간이 3분 미만일 때는 A용액이 10 부피% 이상 31 부피% 미만, 이동시간이 3분 이상에서 5분 미만일 때는 A용액이 31 부피% 이상 40 부피% 미만, 이동시간이 5분 이상에서 10분 이하일 때는 A용액이 40 부피% 이상에서 45 부피% 이하가 되도록 B용액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이동상의 흐름속도는 1.5 ㎖/min이고, 시료 주입량은 4 ㎕이며 자외부 흡광광도계 파장은 220 nm로 설정하였으며 분석시 컬럼의 온도는 50 ℃로 조절하였다. 검출한계는 ICH 가이드라인(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sation guideline)에 따라 산출하였다. 상기 조건은 다시 하기 표 1에 자세하게 나타내었다.
기 기 Waters I class
컬 럼 Halo ES-18 (4.6 x 100 mm, 2.7 μm)
컬럼온도 50℃
흐름속도 1.5 ㎖/min
주 입 량 4 ㎕
검출파장 220 nm
이 동 상 (A) 20 mM TFA/MeCN, (B) 20 mM TFA/H2O
(A) 0-3 min:10-31부피%/ 3-5 min:31-40부피%/ 5-10 min:40-45부피%
이렇게 분석한 정제봉독 수용액의 분석결과는 표준품 용액과의 피크 비교를 통해 도 5에 나타내었으며, 상기 정제봉독 수용액 내의 아파민, 멜리틴, 포스포리파아제 A2, 아돌라핀, 히알루니다아제 함량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성분 함량(%)
아파민 2.3
멜리틴 63.6
포스포리파아제 A2 11.5
히알루니다아제 1.9
아돌라핀 0.9
<실시예 3. 정제봉독의 항세균 효과 확인>
15일령 이상된 일벌에서 채집한 정제봉독의 항세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 및 살모넬라 몬테비데오(Salmonella montevideo)에 대한 최소생육억제농도(MIC) 및 최소살균억제농도(MBC)를 측정하였고 이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실험에 사용한 세균인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및 살모넬라 몬테비데오는 괴사성장염으로 인해 폐사한 닭으로부터 분리한 균주를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최소생육억제농도 분석은 액체 배지 희석법(broth-dilution method)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봉독 수용액을 0~20 ㎍/㎖ 농도로 희석하였고, 상기 각 균주(세균)는 O.D.600 = 0.2로 농도를 조절하여 사용하였다. 96-웰 플레이트(96-well plate, Falcon, USA)에 각 균주 배양용 뉴트리언트 브로스(Nutrient Broth) 100 ㎖, 봉독 수용액 50 ㎖, 균주 희석액 50 ㎖를 순차적으로 첨가한 뒤 4 시간마다 UV-스펙트로포토미터(spectrophotometer)를 이용해 흡광도 값을 측정하면서 24 시간 동안 37 ℃에서 배양하였다. 이때, 세균의 생육 곡선상에서 균주의 생장 (turbidity)이 검출되지 않는 최소농도를 최소생육억제농도로 설정하였다.
최소살균억제농도는 상술한 최소 저해 농도의 분석 과정에서 각 시간대 별 배양 세균 시료 50 ㎖를 취해 뉴트리언트 아가(Nutrient agar) 플레이트(plate)에 도말하여, 48 시간 동안 37 ℃에서 배양한 후, 생성되는 콜로니(colony) 수를 관찰하였을 때 상기 세균이 완전히 사멸(99.9%)되는 최소농도를 최소살균억제농도로 설정하였다.
대상 세균 MIC (㎍/㎖) MBC (㎍/㎖)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7.9 ± 0.9 21.3 ± 2.1
살모넬라 몬테비데오 4.4 ± 0.6 17.0 ± 1.5
한편, 이 실험에서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를 대상으로, 9~14일령 일벌에서 채집한 정제봉독을 상기 15일령 이상된 일벌에서 채집한 정제봉독과 비교하여서도 최소생육억제농도(MIC)를 실험한 바, 도 6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15일령 미만의 일벌에서 채집한 봉독은 항균력이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15일령 이상된 일벌에서 채집한 정제봉독을 상기 MIC 농도의 2배(15.8㎍/㎖)로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및 살모넬라 몬테비데오에 처리하여 항균력 지속시간(PAE)도 확인하였는데, 하기의 표 4에 개시된 것처럼 15.8㎍/㎖의 낮은 농도에서도 약 2.5~3시간 동안 항균력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조건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살모넬라 몬테비데오
PAE 2.8 ± 0.3 시간 2.5 ± 0.5 시간
<실시예 4. 정제봉독의 안정성 확인>
고형 생태에서의 봉독 성분은 매우 안정화 되어 있으나, 분말 또는 고체 형태의 정제봉독을 물 또는 생리식염수에 녹여 사용할 경우 유효성분의 변화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수용액 상태의 봉독의 표준물질인 멜리틴의 농도가 시간별로 변화하는지 확인하였다.
표 5는 실온에 보관된 정제봉독 수용액 50㎖(1 ㎎/㎖) 내 멜리틴의 농도를 확인한 것으로서, 표 5에서 upper/middle/lower에서의 농도는 상기 봉독 수용액 층의 상층/중간층/하층 내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측정한 멜리틴의 농도를 기재한 것이다.
용매 Time (hr) Layers Mean ± SD (㎍/㎖) Coefficient of variation (%) Accuracy (%)





증류수
0 upper 0.66 ± 0.006 0.090 102.2
middle 0.66 ± 0.003 0.500 101.6
lower 0.65 ± 0.002 0.429 100.3
6 upper 0.65 ± 0.001 0.288 101.4
middle 0.65 ± 0.003 0.503 100.9
lower 0.65 ± 0.002 0.444 100.5
12 upper 0.65 ± 0.002 0.303 101.4
middle 0.65 ± 0.001 0.152 101.0
lower 0.65 ± 0.003 0.507 100.1
18 upper 0.66 ± 0.001 0.197 101.8
middle 0.66 ± 0.001 0.227 101.7
lower 0.65 ± 0.005 0.789 101.4
24 upper 0.65 ± 0.001 0.259 100.9
middle 0.65 ± 0.001 0.275 100.6
lower 0.65 ± 0.005 0.809 100.8





생리
식염수
0 upper 0.64 ± 0.001 0.094 98.7
middle 0.65 ± 0.005 0.789 99.4
lower 0.64 ± 0.002 0.342 99.0
6 upper 0.64 ± 0.001 0.172 98.6
middle 0.65 ± 0.002 0.357 99.2
lower 0.64 ± 0.002 0.264 99.0
12 upper 0.64 ± 0.002 0.235 98.0
middle 0.65 ± 0.003 0.387 99.3
lower 0.64 ± 0.002 0.422 98.4
18 upper 0.65 ± 0.002 0.232 99.4
middle 0.65 ± 0.002 0.262 99.8
lower 0.65 ± 0.000 0.031 99.9
24 upper 0.64 ± 0.003 0.389 98.9
middle 0.64 ± 0.001 0.155 99.1
lower 0.64 ± 0.001 0.218 99.0
상기 표 5를 참고하면, 봉독 수용액 내의 멜리틴 함량이 총 24시간 동안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1 ㎎/㎖의 봉독 수용액이 실온에서 안정적으로 보관됨을 알 수 있어, 동물 약품으로 사용되기에 봉독이 안정적인 약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정제봉독의 농도를 0.1에서 100 ㎎/㎖의 농도로 50 ㎖ 제조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6시간 후 각충에서의 멜리틴 함량 측정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는데, 도 7을 참고하면, 100 ㎎/㎖ 상태의 봉독은 오히려 그 상태가 가장 불안정하였고, 0.1~10 ㎎/㎖의 봉독은 모두 안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1 ㎎/㎖에서 가장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봉독이 수용액 상으로 존재할 경우, 0.1~10 ㎎/㎖으로 제조하되 사용 직전에 동물의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희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 판단된다.
<실시예 4. 병아리 질병 저항성 확인>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 균주 수가 1×109 CFU/㎖이 되도록 조절된 배양액 1 ㎖을 20일령 육계용 병아리에 경구투여하였다. 이 후 1 ㎎/㎖의 정제봉독 수용액을 0.1, 1 ppm이 되도록 희석하여 사료 조성물에 혼합하여 기능성 사료를 제조하였고, 이 사료를 각 군당 10마리씩의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투여 병아리에게 14일간 급이하였다. 이 후 병아리의 생존율을 측정하여 하기의 표 6에 기재하였다.

조건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투여 후,
사료에 포함된 봉독 농도(ppm)

무처리군
0 0.1 1
2주 후 생존율 50% 100% 100% 100%
상기 표 6을 참고하면, 상기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균주와 봉독이 모두 투여되지 않는 무처리군 병아리는 모두 생존하는 것으로 보이며,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균주 투여 후 봉독을 사료에 혼합하여 섭취시킨 병아리 또한 모두 생존하였지만, 봉독이 포함된 사료를 섭취하지 않은 병아리는 50% 가량이 폐사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봉독이 함유된 조성물은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균주 유도의 괴사성 장염의 치료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
제제예 1-1.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정제봉독 200g을 락토오스 175.9g, 감자전분 180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g, 활석 50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타정하여 동물용 약학적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예 1-2. 주사액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정제봉독 100㎎, 염화나트륨 0.6g 및 아스코르브산 0.1g을 증류수에 용해시켜서 100㎖를 만들었다. 이 용액을 병에 넣고 20℃에서 30분간 가열멸균하고 소분하여 동물용 주사액제를 제조하였다.

Claims (7)

  1. 닭, 꿩, 메추라기, 오리, 집비둘기, 칠면조, 타조 및 거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가금류를 대상으로 하는 동물용 약학 조성물로서,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며,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를 원인균으로 하는 괴사성 장염의 개선 및 치료를 위한 동물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독은 서양종꿀벌(Apis mellifera L.)의 15일령 이상 일벌의 독낭에서 분리한 봉독에서 당류와 휘발성물질을 제거하여 얻은 정제봉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괴사성 장염 개선 및 치료용 동물용 약학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동물용 약학 조성물을 함유하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액상캡슐제, 수용액, 현탁액, 에멀젼, 시럽 및 에어로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의 동물용 약학제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형 중, 액상캡슐제, 수용액, 현탁액, 에멀젼, 시럽 및 에어로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액상 제형 내의 봉독 농도는 0.1~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약학제제.
KR1020160074333A 2016-06-15 2016-06-15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괴사성 장염 개선 및 치료용 동물용 약학 조성물 KR101825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333A KR101825954B1 (ko) 2016-06-15 2016-06-15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괴사성 장염 개선 및 치료용 동물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333A KR101825954B1 (ko) 2016-06-15 2016-06-15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괴사성 장염 개선 및 치료용 동물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376A KR20170141376A (ko) 2017-12-26
KR101825954B1 true KR101825954B1 (ko) 2018-02-07

Family

ID=60937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333A KR101825954B1 (ko) 2016-06-15 2016-06-15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괴사성 장염 개선 및 치료용 동물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9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226A (ko) * 2018-04-02 2019-10-1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봉독을 포함하는 유단백 합성 촉진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226A (ko) * 2018-04-02 2019-10-1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봉독을 포함하는 유단백 합성 촉진용 조성물
KR102048835B1 (ko) 2018-04-02 2019-11-27 대한민국 봉독을 포함하는 유단백 합성 촉진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376A (ko) 201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833B1 (ko) 항균활성을 갖는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Varricchio et al. Influence of polyphenols from olive mill wastewater o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lveolar macrophages and blood leukocytes of pigs
Acharya et al. Alternatives to fight against coccidiosis: A review
KR102269256B1 (ko) 케피어 유래 프로바이오틱 효모 클루이베로미세스 막시아누스 a5 및 이의 용도
RU2505287C1 (ru) Способ профилактики кокцидиоза цыплят-бройлеров при выращивании их на мясо
KR101825954B1 (ko)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괴사성 장염 개선 및 치료용 동물용 약학 조성물
Kadhim et al. Propolis in livestock nutrition
Jabri et al. Effect of Olive leaves extract supplementation in drinking water on zootechnical performances and cecal microbiota balance of broiler chickens
Borges-dos-Santos et al. Biological effect of leaf aqueous extract of Caesalpinia pyramidalis in goats naturally infected with gastrointestinal nematodes
Alimi et al. nematicidal potential of camel milk on gastro-intestinal nematode of rodents
Ahmad et al. Management and control of coccidiosis in poultry—A review
KR100854567B1 (ko) 오매, 황련 및 오미자를 포함하는 항균 활성이 있는 동물사료용첨가제조성물 및 항균제
US20190053526A1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of insects and method thereof
Bizimenyera et al. Efficacy of Peltophorum africanum Sond.(Fabaceae) extracts on Haemonchus contortus and Trichostrongylus colubriformis in sheep
Islam et al. Antidiarrheal, analgesic, and anthelmintic activities of honeys in the Sundarbans mangrove forest, Bangladesh
Lusiastuti et al. Dry green leaves of Indian almond (Terminalia catappa) to prevent streptococcal infection in juveniles of the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KR20190069797A (ko) 아가토바쿨룸 속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Yondo et al. Nematicidal efficacy of methanol/methylene chloride extract of Rauwolfia vomitoria (Apocynacae) on Heligmosomoides bakeri (Nematoda, Heligmosomatidae) parasite of the white mouse (Mus musculus)
KR101980802B1 (ko) 장수말벌의 일벌로부터 분리된 봉독을 함유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hmad et al. Management and control of coccidiosis in poultry
Luce Anthelmintic potential of plant extracts on helminths in small ruminants
KR102023380B1 (ko)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콕시듐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athinam et al. Sericea lespedeza has no anticoccidial effect when included in the diet of chickens infected with three species of Eimeria
Drukovsky et al. Efficiency of antihelmitic drugs in the treatment of canine intestinal nematodes
Kandu-Lelo The potential use of the invasive species Cereus jamacaru (Cactaceae) to control nematode infections in shee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