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650A - 수랭식 양면 냉각기 - Google Patents

수랭식 양면 냉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650A
KR20190031650A KR1020170119338A KR20170119338A KR20190031650A KR 20190031650 A KR20190031650 A KR 20190031650A KR 1020170119338 A KR1020170119338 A KR 1020170119338A KR 20170119338 A KR20170119338 A KR 20170119338A KR 20190031650 A KR20190031650 A KR 20190031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communication hole
rim portion
rim
cool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0143B1 (ko
Inventor
정상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9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143B1/ko
Priority to US15/833,408 priority patent/US10729041B2/en
Priority to DE102017222266.2A priority patent/DE102017222266A1/de
Priority to CN201711441886.3A priority patent/CN109526182B/zh
Publication of KR20190031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143B1/ko
Priority to US16/878,090 priority patent/US11665868B2/en
Priority to US18/136,658 priority patent/US2023026294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05K7/20927Liquid coolant without phase cha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 F28D1/0308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1/032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lateral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th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inver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25B31/006Cooling of compressor or motor
    • F25B31/008Cooling of compressor or motor by injecting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 F28D1/0308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1/032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lateral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th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F28D1/033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lateral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th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the plates having integrated connec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25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corrugated, plate-lik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46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involving the transfer of heat by flowing fluids
    • H01L23/473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involving the transfer of heat by flowing fluids by flowing liqui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218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liquid coolant without phase change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272Accessories for moving fluid, for expanding fluid, for connecting fluid conduits, for distributing fluid, for removing gas or for preventing leakage, e.g. pumps, tanks or manif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2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oling heat generating elements, e.g. for cooling electronic components or electric devices
    • F28D2021/0029Heat 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30/00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6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 F28F9/262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for radiators
    • F28F9/264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for radiators by sleeves, nipp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36Selection of materials, or shaping, to facilitate cooling or heating, e.g. heatsinks
    • H01L23/367Cooling facilitated by shape of device
    • H01L23/3672Foil-like cooling fins or heat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ometry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내부에 냉각수가 흐르는 제1 냉각수 통로가 형성되고 일단으로 냉각수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제1 냉각부 및 내부에 냉각수가 흐르는 제2 냉각수 통로가 형성되고 일단으로 냉각수가 유입 또는 배출되며 상기 제1 냉각부로부터 그 하부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냉각부를 포함하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가 개시된다. 상기 수랭식 양면 냉각기에서, 상기 제1 냉각부의 타단에는 상기 제1 냉각수 통로와 외부를 관통하는 제1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냉각부의 타단에는 상기 제2 냉각수 통로와 외부를 관통하는 제2 연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냉각부와 상기 제2 냉각부는, 상기 제1 연통홀과 상기 제2 연통홀이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냉각수 통로와 상기 제2 냉각수 통로가 상호 연통된다.

Description

수랭식 양면 냉각기{DOUBLE SIDE WATER COOLER}
본 발명은 수랭식 양면 냉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흐르는 냉각수의 온도 편차를 개선하고 냉각수의 압력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냉각 성능 저하 및 냉각수 압력 편차를 해소할 수 있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전기 자동차의 핵심 부품 중 하나인 전력 변환 장치(예를 들어, 인버터)는 친환경 차량의 주요 부품으로 많은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력 변환 장치의 핵심 부품이자 가장 많은 원가를 차지하는 파워모듈의 개발은 친환경 차량 분야의 핵심 기술이다.
파워모듈의 주요 핵심 기술개발 포인트는 원가절감 및 냉각성능 향상이다. 파워모듈의 냉각성능이 향상되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력 반도체 소자의 정격 전류를 떨어뜨릴 수 있고, 칩 사이즈의 크기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칩의 가격절감 및 파워모듈의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다.
이러한 파워 모듈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파워 모듈의 상하면에 각각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부를 접촉시키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가 적용되고 있다.
종래의 수랭식 양면 냉각기는 압출 공정을 통해 냉각튜브를 제작하고 이를 굽힘 가공하여 파워 모듈의 상하 양면에 접촉할 수 있는 상하부 냉각부를 형성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수랭식 양면 냉각기는 파워모듈과 접촉하는 냉각구간과 그렇지 않은 비냉각구간의 유로 형상이 동일하여 냉각구간의 냉각효율이 제한되고, 비냉각구간, 특히 굽힘 가공된 구간 불필요한 압력손실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수랭식 양면 냉각기는 냉각효율을 높이기 위해 내부 냉각핀의 개수를 증가시킬 경우 유로 크기가 작아지며, 굽힘 가공 시 유로가 좁아지거나 막힐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로 인해 압력손실이 커져 냉각수 펌프에도 부담을 주게 되며, 불순물에 유로가 막힐 위험성도 커진다. 추가로, 굽힘 가공 및 추후 조립 공정에서 냉각튜브가 파손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종래의 수랭식 양면 냉각기는, 튜브 내부에 일정한 분할 유로가 형성되어 있어 분할 유로 간의 냉각수 온도차가 발생하여 냉각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US 9293680
본 발명은 내부에 흐르는 냉각수의 온도 편차를 개선하고 냉각수의 압력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냉각 성능 저하 및 냉각수 압력 편차를 해소할 수 있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에 냉각수가 흐르는 제1 냉각수 통로가 형성되고 일단으로 냉각수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제1 냉각부; 및
내부에 냉각수가 흐르는 제2 냉각수 통로가 형성되고 일단으로 냉각수가 유입 또는 배출되며 상기 제1 냉각부로부터 그 하부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냉각부의 타단에는 상기 제1 냉각수 통로와 외부를 관통하는 제1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냉각부의 타단에는 상기 제2 냉각수 통로와 외부를 관통하는 제2 연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냉각부와 상기 제2 냉각부는, 상기 제1 연통홀과 상기 제2 연통홀이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냉각수 통로와 상기 제2 냉각수 통로가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냉각부는 상기 제1 연통홀 둘레를 따라 외부로 돌출된 제1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냉각부는 상기 제2 연통홀 둘레를 따라 외부로 돌출된 제2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테두리부와 상기 제2 테두리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 냉각수 통로와 상기 제2 냉각수 통로가 상호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제1 테두리부와 상기 제2 테두리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테두리부와 상기 제2 테두리부 사이의 공간을 실링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테두리부는 상기 제2 연통홀 둘레를 따라 외부로 돌출된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로부터 상기 제2 연통홀의 반대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1 돌출부의 둘레를 따라 외부로 돌출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테두리부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테두리부와 상기 제2 테두리부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테두리부와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 사이의 공간을 실링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냉각부는 상기 제1 연통홀 둘레에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의 제1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냉각부는 상기 제2 연통홀 둘레에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의 제2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테두리부의 일면과 상기 제2 테두리부의 일면이 상호 접촉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냉각수 통로와 상기 제2 냉각수 통로가 상호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테두리부의 일면은 상기 제2 연통홀 둘레를 따라 형성된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는, 상기 그루브에 충진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테두리부는 그 일면에 상기 제1 연통홀 둘레를 따라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테두리부는 그 일면에 상기 제2 연통홀 둘레를 따라 형성된 그루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테두리부의 일면과 상기 제2 테두리부의 일면이 상호 접촉할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그루브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그루브와 사이의 공간을 실링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테두리부는 그 일면에 상기 제1 연통홀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1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테두리부는 그 일면에 상기 제2 연통홀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그루브와 대향하도록 형성된 제2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는, 상기 제1 냉각부의 일면과 상기 제2 냉각부의 일면이 상호 접촉할 때 상기 제1 그루브와 상기 제2 그루브가 함께 형성하는 공간에 충진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냉각부는 상기 제1 냉각수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하부에서 상호 결합되는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커버에 상기 제1 연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냉각부는 상기 제2 냉각수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하부에서 상호 결합되는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커버에 상기 제2 연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냉각부는 상기 제1 냉각수 통로에 배치된 냉각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냉각부는 상기 제2 냉각수 통로에 배치된 냉각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냉각핀은, 상기 제1 냉각부 및 상기 제2 냉각부 사이에 배치되는 냉각대상물과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상하부에서 상호 결합되어 그 사이에 제1 냉각수 통로를 형성하는 제1 상부커버와 제1 하부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부커버는 그 일단부에 상기 제1 냉각수 통로와 외부를 관통하는 제1 연통홀을 갖는 제1 냉각부; 및
상하부에서 상호 결합되어 그 사이에 제2 냉각수 통로를 형성하는 제2 상부커버와 제2 하부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상부커버는 그 일단부에 상기 제2 냉각수 통로와 외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2 연통홀을 가지고, 상기 제1 냉각부의 하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제2 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냉각부와 상기 제2 냉각부는, 상기 제1 연통홀과 상기 제2 연통홀이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냉각수 통로와 상기 제2 냉각수 통로가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냉각부는 상기 제1 하부커버에 부착되며 상기 제1 연통홀 둘레를 따라 하부로 돌출된 제1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냉각부는 상기 제2 상부커버에 부착되며 상기 제2 연통홀 둘레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제2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테두리부와 상기 제2 테두리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 냉각수 통로와 상기 제2 냉각수 통로가 상호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테두리부와 상기 제2 테두리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테두리부와 상기 제2 테두리부 사이의 공간을 실링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테두리부는 상기 제2 연통홀 둘레를 따라 외부로 돌출된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로부터 상기 제2 연통홀의 반대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1 돌출부의 둘레를 따라 외부로 돌출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테두리부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테두리부와 상기 제2 테두리부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테두리부와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 사이의 공간을 실링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냉각부는 제1 하부커버에 부착되며 상기 제1 연통홀 둘레에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의 제1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냉각부는 제2 상부커버에 부착되며 상기 제2 연통홀 둘레에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의 제2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테두리부의 하면과 상기 제2 테두리부의 상면이 상호 접촉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냉각수 통로와 상기 제2 냉각수 통로가 상호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테두리부의 상면은 상기 제2 연통홀 둘레를 따라 형성된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상기 그루브에 충진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테두리부는 그 하면에 상기 제1 연통홀 둘레를 따라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테두리부는 그 상면에 상기 제2 연통홀 둘레를 따라 형성된 그루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테두리부의 하면과 상기 제2 테두리부의 상면이 상호 접촉할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그루브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그루브와 사이의 공간을 실링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테두리부는 하면에 상기 제1 연통홀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1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테두리부는 상면에 상기 제2 연통홀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그루브와 대향하도록 형성된 제2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는, 상기 제1 냉각부의 하면과 상기 제2 냉각부의 상면이 상호 접촉할 때 상기 제1 그루브와 상기 제2 그루브가 함께 형성하는 공간에 충진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상부커버는 상기 제2 연통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부로 돌출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테두리부는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상단과 상기 제2 테두리부의 상면이 상기 제1 테두리부의 하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제2 테두리부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하부부커버는 상기 제1 연통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하부로 돌출된 제1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상부커버는 상기 제2 연통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부로 돌출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테두리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테두리부는 상기 제2 가이드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가이드부의 하단과 상기 제2 가이드부의 상단은 상호 접촉하고, 상기 제1 테두리부와 상기 제1 가이드부 사이의 제1 공간과 상기 제2 테두리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 사이의 제2 공간은 상호 대향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는,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이 함께 형성하는 공간에 충진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하부커버는 상기 제1 연통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하부로 돌출된 제1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상부커버는 상기 제2 연통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부로 돌출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냉각부는 제1 하부커버에 부착되며 상기 제1 연통홀 둘레에 배치되는 제1 보호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냉각부는 제2 상부커버에 부착되며 상기 제2 연통홀 둘레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연통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2 연통홀 둘레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 제2 보호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이드부의 하단과 상기 제2 가이드부의 상단이 상호 접촉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냉각수 통로와 상기 제2 냉각수 통로가 상호 연통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는, 상기 제1 보호판의 하면과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 사이의 상기 제2 보호판 상면 사이에 배치된 가스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보호판은 상기 제1 연통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1 연통홀 둘레를 따라 하부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보호판의 돌출부 하단과 상기 제2 보호판의 돌출부 상단이 상호 접촉하며, 상기 가스켓은 상기 제1 보호판의 돌출부와 상기 제1 가이드부 사이의 공간 및 상기 제2 보호판의 돌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 사이의 공간이 함께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랭식 양면 냉각기에 따르면, 냉각이 필요한 부분에만 냉각핀을 위치시킬 수 있어 냉각 대상물의 집중적인 냉각을 구현할 수 있고, 냉각핀에 의한 냉각수 압력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냉각핀에 의해 냉각수가 흐르는 유로가 구분됨에 따라 냉각수 온도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 효율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랭식 양면 냉각기에 따르면, 상하의 냉각부를 각각의 하면 및 상면에 형성된 연통홀을 통해 상호 연통되도록 별도의 연결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튜브형상의 냉각부를 굽힘가공을 통해 상하부의 냉각 구조를 형성하는 종래의 수랭식 양면 냉각기와 비교할 때, 굽힘 가공 시 발생하는 유로 협착 및 그에 따른 압력 손실, 불순물에 의한 유로 막힘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굽힘 가공 공정 시 또는 굽힘 가동 공정 이후에 쉽게 냉각기가 파손되는 문제도 함께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랭식 양면 냉각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랭식 양면 냉각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랭식 양면 냉각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랭식 양면 냉각기의 일부분을 절개한 단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랭식 양면 냉각기의 냉각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랭식 양면 냉각기의 연결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적용되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의 연결구조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른 수랭식 양면 냉각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랭식 양면 냉각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랭식 양면 냉각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랭식 양면 냉각기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랭식 양면 냉각기는, 제1 냉각부(11, 12)와 제2 냉각부(21, 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냉각부(11, 12)는 내부에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수 통로가 형성되고 일단으로 냉각수가 유입 또는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유사하게 제2 냉각부(21, 22) 역시 내부에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수 통로가 형성되고 일단으로 냉각수가 유입 또는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제1 냉각부(11, 12)와 제2 냉각부(21, 22)는 소정 이격되어 상호 상하 관계로 배치되고 그 사이의 공간에는 냉각 대상물(10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대상물(100)은 전력 변환을 위한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나 다이오드 등과 같은 소자를 패키징한 전력 변환용 파워 모듈이 될 수 있다. 냉각 대상물(100)의 상면은 제1 냉각부(11, 12)의 하면과 직접 접촉하거나 서멀 그리스(thermal grease)을 개재하여 제1 냉각부(11, 12)와 접촉할 수 있으며, 냉각 대상물(100)의 하면은 제2 냉각부(21, 22)의 상면과 직접 접촉하거나 서멀 그리스를 개재하여 제1 냉각부(11, 12)와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 구조를 통해, 냉각 대상물(100)과 냉각부(11, 12, 21, 22)의 접촉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하여 냉각 대상물(100)을 과온을 방지하고 냉각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랭식 양면 냉각기의 일부분을 절개한 단면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랭식 양면 냉각기의 냉각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제1 냉각부(11)는 상부커버(111)와 하부커버(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냉각부(21) 역시 상부커버(211)와 하부커버(2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부커버(111, 211)와 하부커버(112, 212)는 폭 방향의 양단에서 상호 접합되고 그 사이에는 냉각수가 흐를 수 있는 냉각수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냉각 대상물(100)의 냉각을 위해, 제1 냉각부(11)의 하부커버(112)의 외면은 냉각 대상물(100)의 상면과 직접 접촉하거나 서멀 그리스를 개재하여 접촉할 수 있으며, 제2 냉각부(21)의 상부커버(211)의 외면은 냉각 대상물(100)의 하면과 직접 접촉하거나 서멀 그리스를 개재하여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1 냉각부(11)의 냉각수 통로 및 제2 냉각부(21)의 냉각수 통로에는 냉각핀(113, 213)이 설치될 수 있다. 냉각핀(113, 213)은 각각이 설치된 냉각부(11, 21)의 상면커버(111, 211) 및 하면커버(112, 212)와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냉각 대상물(100)과 접촉하는 하면커버(112) 및 상면커버(211)에서 전달되는 열이 냉각수와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냉각 효율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냉각핀(113, 213)은 상면커버(111, 211) 및 하면커버(112, 212) 사이에 별도의 구조물로 설치되므로 제1 냉각부(11) 및 제2 냉각부(21) 사이에 배치되는 냉각 대상물(100)과 각 냉각부(11, 21)과 대면하는 위치, 즉 접촉하는 위치에만 선택적으로 배치되게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냉각핀이 전체적으로 설치된 튜브 구조의 냉각기에서 냉각핀에 의한 압력 손실 발생을 제거할 수 있으며 냉각핀에 의해 구분된 유로 간의 냉각수 온도 편차도 해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랭식 양면 냉각기는 종래의 냉각기에 비해 냉각 효율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제1 냉각부(11, 12) 및 제2 냉각부(21, 22)의 일단에는 냉각수가 유입되거나 냉각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냉각 니플(31, 32) 및 헤더 탱크(41, 42)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냉각부(11, 12)의 일단에 연결된 냉각 니플(31) 및 헤더 탱크(41)를 거처 냉각수가 제1 냉각부(11, 12)로 유입되고 제2 냉각부(21, 22)의 일단에 연결된 헤더 탱크(42) 및 냉각 니플(41)을 거쳐 냉각수가 배출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반대의 냉각수 흐름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냉각부(11, 12)와 제2 냉각부(21, 22) 사이의 냉각수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 냉각부(11, 12)와 제2 냉각부(21, 22)의 타단에는 두 냉각부의 냉각수 통로가 상호 연통될 수 있는 연결구조(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랭식 양면 냉각기의 연결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냉각부(11)와 제2 냉각부(21)는 냉각수의 유입 또는 배출되는 일단의 반대측 타단부에 각각 냉각수 통로와 외부를 관통하는 연통홀(H1, H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냉각부(11)의 하부커버(112)의 단부에 제1 연통홀(H1)이 형성되고 제2 냉각부(21)의 상부커버(211)의 단부에 제2 연통홀(H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제1 연통홀(H1)과 제2 연통홀(H2)는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제1 냉각부(11)와 제2 냉각부(21)가 타단부에서 결합됨으로써 제1 냉각부(11)의 냉각수 통로와 제2 냉각부(21)의 냉각수 통로가 상호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냉각부(11, 12)와 제2 냉각부(21, 22) 사이의 냉각수 흐름, 즉 제1 냉각부(11, 12)의 일단에서 유입된 냉각수가 제2 냉각부(21, 22)의 일단으로, 혹은 그 반대의 방향으로 냉각수 흐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통홀(H1)과 제2 연통홀(H2)을 통한 제1 냉각부(11, 12)와 제2 냉각부(21, 22) 사이의 냉각수 흐름이 형성되는 경우, 제1 냉각부(11, 12)와 제2 냉각부(21, 22)의 결합에 따른 수밀 구조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제1 냉각부(11, 12)에 제1 연통홀(H1)의 둘레를 따라 외부로 돌출된 제1 테두리부(11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냉각부(21, 22)에 제2 연통홀(H2)의 둘레를 따라 외부로 돌출된 제2 테두리부(214, 21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테두리부(114)와 제2 테두리부(214, 215) 중 하나는 나머지 하나에 삽입되는 구조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테두리부(114)와 제2 테두리부(214, 215)의 삽입 구조의 주변에는 실링을 위한 실링부(300)가 형성되어 더욱 견고한 수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실링부(300)는 액상의 실링제를 도포하여 형성되거나 사전에 제작된 러버(rubber) 등과 같은 탄성제를 조립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테두리부(214, 215)는 제2 연통홀(H2)의 둘레를 따라 외부로 돌출된 제1 돌출부(214)와, 제1 돌출부(214)로부터 제2 연통홀(H2)의 반대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1 돌출부(214)의 둘레를 따라 외부로 돌출된 제2 돌출부(215)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테두리부(114)는 제1 돌출부(214)와 제2 돌출부(215) 사이의 공간(C)에 삽입되어 제1 테두리부(114)와 제2 테두리부(214, 215)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돌출부(214)와 제2 돌출부(215) 사이의 공간(C)에는 실링을 위한 실링부(30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실링부(300)는 제1 테두리부(114)와 제1 돌출부(214) 및 제1 테두리부(114)와 제2 돌출부(215) 사이의 공간을 실링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수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하부의 제1 냉각부(11, 12)와 제2 냉각부(21, 22)를 각각의 하면 및 상면에 형성된 연통홀(H1, H2)를 통해 상호 연통되도록 별도의 연결구조(A)를 형성함으로써, 튜브형상의 냉각부를 굽힘가공을 통해 상하부의 냉각 구조를 형성하는 종래의 수랭식 양면 냉각기와 비교할 때, 굽힘 가공 시 발생하는 유로 협착 및 그에 따른 압력 손실, 불순물에 의한 유로 막힘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굽힘 가공 공정 시 또는 굽힘 가동 공정 이후에 쉽게 냉각기가 파손되는 문제도 함께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냉각기 연결구조는 도 6에 도시된 실시형태 이외에 여러 가지의 다양한 다른 형태로도 구현 가능하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적용되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의 연결구조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먼저, 도 7는 일정 두께(d1, d2)를 갖는 판상의 테두리부(114', 214')를 각각 제1 하부커버(112) 및 제2 상부커버(211)에 설치한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제1 냉각부(11)에 포함된 제1 테두리부(114')는 제1 연통홀(H1)의 둘레에 배치되고 제2 냉각부(21)에 포함된 제2 테두리부(214')는 제2 연통홀(H2)의 둘레에 배치된다.
이러한 도 7의 연결구조에 의하면, 제1 냉각부(11)와 제2 냉각부(21)가 제1 연통홀(H1)과 제2 연통홀(H2)이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제1 냉각수 통로와 제2 냉각수 통로가 상호 연통되도록 결합될 때, 제1 테두리부(114')의 하면과 제2 테두리부(214')의 상면이 상호 면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도 7에서는 제2 테두리부(214')의 상면에 그루브(g)가 제2 연통홀(H2)의 둘레를 따라 제2 연통홀(H2)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고 이 그루브(g)에 실링부(300')를 형성하여 수밀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링부(300')는 액상 실링제 또는 러버와 같은 고상의 탄성제(가스켓)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7의 실시형태에서는 결합에 의해 실링부가 특정 공간으로 침투하여야 하는 필요성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고상의 가스켓이 적용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도 7의 실시형태에서 제1 테두리부(114')의 하면에 돌출부(p)가 형성되도록 변형된 것이다. 이 돌출부(p)는 제1 냉각부(11)와 제2 냉각부(12)가 상호 결합할 때 제2 테두리부(214')의 상면에 형성된 그루브(g)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구조를 형성하는 조립 과정에서 그루브(g) 내에 액상의 실링제가 미리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p)의 삽입과정에서 돌출부(p)와 그루브(g)가 서로 대향하는 면 사이에 실링제가 침투하여 수밀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도 7의 실시형태에서 제1 테두리부(114')의 하면에 제2 테두리부(214')의 그루브(g2)에 대향하도록 제1 그루브(g1)을 형성한 변형예이다. 도 9의 실시형태는 제1 냉각부(11)와 제2 냉각부(12)가 상호 결합할 때 제1 그루브(g1)과 제2 그루브(g2)가 형성하는 공간에 적절한 사이즈의 가스켓(300')을 실링 용도로 배치하여 수밀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제2 냉각부(21)의 상부커버(211)에 제2 연통홀(H2)를 둘러싸도록 연장 돌출된 가이드부(211e)를 형성한 실시형태이다. 이 가이드부(211e)의 둘레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2 테두리부(214')를 배치하고, 가이드부(211e)와 제2 테두리부(214')의 공간에 실링을 위한 가스켓(300')를 배치할 수 있다. 도 10의 실시형태는 제1 냉각부(11)와 제2 냉각부(12)가 상호 결합할 때 제1 테두리부(114')의 하면은 가이드부(211e)의 상단 및 제2 테두리부(214')의 상면과 접촉하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제2 냉각부(21)의 상부커버(211)에 제2 연통홀(H2)를 둘러싸도록 연장 도출된 가이드부(211e)와 같이, 제1 냉각부(11)의 하부커버(112)에 제1 연통홀(H1)을 둘러싸도록 연장 돌출된 가이드부(112e)를 형성한 실시형태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제1 냉각부(11)는 가이드부(112e)의 둘레로 소정 간각 이격되어 설치된 제1 테두리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냉각부(11)와 제2 냉각부(21)가 결합된 상태에서, 가이드부(112e)의 하단과 가이드부(211e)의 상단이 접촉하게 되고 제1 테두리부(114')와 제2 테두리부(214')는 상호 면접촉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부(112e)와 제1 테두리부(114') 사이의 공간 및 가이드부(211e)와 제2 테두리부(214') 사이의 공간은 상호 대향하여 하나의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에는 적절한 사이즈의 가스켓(300')을 실링 용도로 배치하여 수밀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도 7 내지 도 11에 설명된 두께를 갖는 테두리부 대신 판상의 구조물을 가공하여 제1 냉각부(11)와 제2 냉각부(21)의 결합 구조를 형성한 예이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12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냉각부(11)의 하부커버(112)는 제1 연통홀(H1)을 둘러싸도록 연장 돌출된 가이드부(112e)를 포함하고 제2 냉각부(21)의 상부커버(211)는 제2 연통홀(H2)를 둘러싸도록 연장 도출된 가이드부(211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냉각부(11)는 판상 구조물인 보호판(114'')을 포함하며 제2 냉각부(21) 역시 판상 구조물인 보호판(2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냉각부(11)에 구비된 보호판(114'')는 다른 가공 없이 제1 연통홀(H1)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제2 연통홀(H1)에 대응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1 연통홀(H1)의 주변에 배치된다. 제2 냉각부(21)에 구비된 보호판(214'')는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제2 연통홀(H2)의 둘레를 따라 돌출된 돌출부(p')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는, 제1 냉각부(11)와 제2 냉각부(21)가 결합된 상태에서, 가이드부(112e)의 하단과 가이드부(211e)의 상단이 접촉하게 되고, 돌출부(p')는 제1 냉각부(11)와는 서로 접하지 않는다. 이 실시형태는, 제1 보호판(114'') 및 돌출부(P)와 제2 가이드부(211e) 사이에 해당하는 제2 보호판(124'') 상면 사이에는 가스켓(300')을 더 포함하여 수밀구조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제1 냉각부(11) 측 보호판(114'')를 가공하여 제1 보호판(114'')에도 돌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제1 냉각부(11)와 제2 냉각부(21)가 결합된 상태에서, 가이드부(112e)의 하단과 가이드부(211e)의 상단이 접촉하게 되고 두 돌출부(c) 역시 그 상하단에 상호 접촉하게 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제1 보호판(114'')의 돌출부와 제1 가이드부(112e) 사이의 공간 및 제2 보호판(214'')의 돌출부와 제2 가이드부(211e) 사이의 공간은 상호 대향하여 연통됨으로써 하나의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두 공간이 형성하는 공간에는 가스켓(300')이 설치되어, 양면 냉각기의 수밀구조를 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1, 12: 제1 냉각부 21, 22: 제2 냉각부
111, 211: 상부커버 112, 212: 하부커버
113, 213: 냉각핀 100: 냉각 대상물(파워 모듈)
114: 제1 돌출부 214: 제1 테두리부
215: 제2 테두리부 300: 실링부
H1, H2: 연통홀

Claims (29)

  1. 내부에 냉각수가 흐르는 제1 냉각수 통로가 형성되고 일단으로 냉각수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제1 냉각부; 및
    내부에 냉각수가 흐르는 제2 냉각수 통로가 형성되고 일단으로 냉각수가 유입 또는 배출되며 상기 제1 냉각부로부터 그 하부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냉각부의 타단에는 상기 제1 냉각수 통로와 외부를 관통하는 제1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냉각부의 타단에는 상기 제2 냉각수 통로와 외부를 관통하는 제2 연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냉각부와 상기 제2 냉각부는, 상기 제1 연통홀과 상기 제2 연통홀이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냉각수 통로와 상기 제2 냉각수 통로가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부는 상기 제1 연통홀 둘레를 따라 외부로 돌출된 제1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냉각부는 상기 제2 연통홀 둘레를 따라 외부로 돌출된 제2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테두리부와 상기 제2 테두리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 냉각수 통로와 상기 제2 냉각수 통로가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테두리부와 상기 제2 테두리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테두리부와 상기 제2 테두리부 사이의 공간을 실링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테두리부는 상기 제2 연통홀 둘레를 따라 외부로 돌출된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로부터 상기 제2 연통홀의 반대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1 돌출부의 둘레를 따라 외부로 돌출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테두리부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테두리부와 상기 제2 테두리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테두리부와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 사이의 공간을 실링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부는 상기 제1 연통홀 둘레에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의 제1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냉각부는 상기 제2 연통홀 둘레에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의 제2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테두리부의 일면과 상기 제2 테두리부의 일면이 상호 접촉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냉각수 통로와 상기 제2 냉각수 통로가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테두리부의 일면은 상기 제2 연통홀 둘레를 따라 형성된 그루브를 포함하며, 상기 그루브에 충진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테두리부는 그 일면에 상기 제1 연통홀 둘레를 따라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테두리부는 그 일면에 상기 제2 연통홀 둘레를 따라 형성된 그루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테두리부의 일면과 상기 제2 테두리부의 일면이 상호 접촉할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그루브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그루브와 사이의 공간을 실링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테두리부는 그 일면에 상기 제1 연통홀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1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테두리부는 그 일면에 상기 제2 연통홀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그루브와 대향하도록 형성된 제2 그루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냉각부의 일면과 상기 제2 냉각부의 일면이 상호 접촉할 때 상기 제1 그루브와 상기 제2 그루브가 함께 형성하는 공간에 충진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부는 상기 제1 냉각수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하부에서 상호 결합되는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커버에 상기 제1 연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냉각부는 상기 제2 냉각수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하부에서 상호 결합되는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커버에 상기 제2 연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부는 상기 제1 냉각수 통로에 배치된 냉각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냉각부는 상기 제2 냉각수 통로에 배치된 냉각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
  15.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냉각핀은, 상기 제1 냉각부 및 상기 제2 냉각부 사이에 배치되는 냉각대상물과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
  16. 상하부에서 상호 결합되어 그 사이에 제1 냉각수 통로를 형성하는 제1 상부커버와 제1 하부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부커버는 그 일단부에 상기 제1 냉각수 통로와 외부를 관통하는 제1 연통홀을 갖는 제1 냉각부; 및
    상하부에서 상호 결합되어 그 사이에 제2 냉각수 통로를 형성하는 제2 상부커버와 제2 하부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상부커버는 그 일단부에 상기 제2 냉각수 통로와 외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2 연통홀을 가지고, 상기 제1 냉각부의 하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제2 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냉각부와 상기 제2 냉각부는, 상기 제1 연통홀과 상기 제2 연통홀이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냉각수 통로와 상기 제2 냉각수 통로가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부는 상기 제1 하부커버에 부착되며 상기 제1 연통홀 둘레를 따라 하부로 돌출된 제1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냉각부는 상기 제2 상부커버에 부착되며 상기 제2 연통홀 둘레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제2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테두리부와 상기 제2 테두리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 냉각수 통로와 상기 제2 냉각수 통로가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테두리부와 상기 제2 테두리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테두리부와 상기 제2 테두리부 사이의 공간을 실링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2 테두리부는 상기 제2 연통홀 둘레를 따라 외부로 돌출된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로부터 상기 제2 연통홀의 반대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1 돌출부의 둘레를 따라 외부로 돌출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테두리부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테두리부와 상기 제2 테두리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테두리부와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 사이의 공간을 실링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
  21.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부는 제1 하부커버에 부착되며 상기 제1 연통홀 둘레에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의 제1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냉각부는 제2 상부커버에 부착되며 상기 제2 연통홀 둘레에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의 제2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테두리부의 하면과 상기 제2 테두리부의 상면이 상호 접촉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냉각수 통로와 상기 제2 냉각수 통로가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2 테두리부의 상면은 상기 제2 연통홀 둘레를 따라 형성된 그루브를 포함하며, 상기 그루브에 충진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1 테두리부는 그 하면에 상기 제1 연통홀 둘레를 따라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테두리부는 그 상면에 상기 제2 연통홀 둘레를 따라 형성된 그루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테두리부의 하면과 상기 제2 테두리부의 상면이 상호 접촉할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그루브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그루브와 사이의 공간을 실링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
  25.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1 테두리부는 하면에 상기 제1 연통홀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1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테두리부는 상면에 상기 제2 연통홀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그루브와 대향하도록 형성된 제2 그루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냉각부의 하면과 상기 제2 냉각부의 상면이 상호 접촉할 때 상기 제1 그루브와 상기 제2 그루브가 함께 형성하는 공간에 충진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
  26.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커버는 상기 제2 연통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부로 돌출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테두리부는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상단과 상기 제2 테두리부의 상면이 상기 제1 테두리부의 하면에 접촉하고,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제2 테두리부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
  27.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부커버는 상기 제1 연통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하부로 돌출된 제1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상부커버는 상기 제2 연통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부로 돌출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테두리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테두리부는 상기 제2 가이드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가이드부의 하단과 상기 제2 가이드부의 상단은 상호 접촉하고, 상기 제1 테두리부와 상기 제1 가이드부 사이의 제1 공간과 상기 제2 테두리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 사이의 제2 공간은 상호 대향하며,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이 함께 형성하는 공간에 충진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
  2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커버는 상기 제1 연통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하부로 돌출된 제1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상부커버는 상기 제2 연통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부로 돌출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냉각부는 제1 하부커버에 부착되며 상기 제1 연통홀 둘레에 배치되는 제1 보호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냉각부는 제2 상부커버에 부착되며 상기 제2 연통홀 둘레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연통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2 연통홀 둘레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 제2 보호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이드부의 하단과 상기 제2 가이드부의 상단이 상호 접촉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냉각수 통로와 상기 제2 냉각수 통로가 상호 연통되고,
    상기 제1 보호판의 하면과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 사이의 상기 제2 보호판 상면 사이에 배치된 가스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판은 상기 제1 연통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1 연통홀 둘레를 따라 하부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보호판의 돌출부 하단과 상기 제2 보호판의 돌출부 상단이 상호 접촉하며,
    상기 가스켓은 상기 제1 보호판의 돌출부와 상기 제1 가이드부 사이의 공간 및 상기 제2 보호판의 돌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 사이의 공간이 함께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랭식 양면 냉각기.
KR1020170119338A 2017-09-18 2017-09-18 수랭식 양면 냉각기 KR102030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338A KR102030143B1 (ko) 2017-09-18 2017-09-18 수랭식 양면 냉각기
US15/833,408 US10729041B2 (en) 2017-09-18 2017-12-06 Liquid-cooling type double-sided cooler
DE102017222266.2A DE102017222266A1 (de) 2017-09-18 2017-12-08 Doppelseitiger Kühler vom Flüssigkeitskühlungstyp
CN201711441886.3A CN109526182B (zh) 2017-09-18 2017-12-26 液冷式双侧冷却器
US16/878,090 US11665868B2 (en) 2017-09-18 2020-05-19 Liquid-cooling type double-sided cooler
US18/136,658 US20230262946A1 (en) 2017-09-18 2023-04-19 Liquid-cooling type double-sided coo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338A KR102030143B1 (ko) 2017-09-18 2017-09-18 수랭식 양면 냉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650A true KR20190031650A (ko) 2019-03-27
KR102030143B1 KR102030143B1 (ko) 2019-10-08

Family

ID=65527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338A KR102030143B1 (ko) 2017-09-18 2017-09-18 수랭식 양면 냉각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10729041B2 (ko)
KR (1) KR102030143B1 (ko)
CN (1) CN109526182B (ko)
DE (1) DE1020172222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4577A (ko) * 2019-04-24 2020-1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력변환 장치용 냉각 시스템
US11168949B2 (en) 2019-09-16 2021-11-09 Senior Uk Limited Heat exchangers with improved heat transfer fin inser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93680B2 (en) 2011-06-06 2016-03-22 Gentherm Incorporated Cartridge-based thermoelectric systems
JP2017079191A (ja) * 2015-10-22 2017-04-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1648A (en) * 1998-11-09 2000-10-17 Electric Boat Corporation High pressure corrugated plate-type heat exchanger
US7189468B2 (en) * 2001-03-16 2007-03-13 Creare Inc. Lightweight direct methanol fuel cell
US20060278378A1 (en) * 2005-06-09 2006-12-14 Calsonic Kansei Corporation Oil-cooler-equipped radiator
EP1739380B1 (en) * 2005-06-21 2012-03-21 Calsonic Kansei Corporation Oil cooler
EP1939568A1 (en) 2006-12-27 2008-07-02 Radiatori Tubor S.P.A. Modular structure thermal exchan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is apparatus
CN201166526Y (zh) * 2008-01-01 2008-12-17 新乡市科工工业有限公司 一种板翅式冷却器
KR20100102831A (ko) 2009-03-12 2010-09-27 김인갑 오일쿨러
CN101861071B (zh) * 2009-04-09 2014-05-0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
US9893392B2 (en) 2010-10-04 2018-02-13 Dana Canada Corporation Conformal fluid-cooled heat exchanger for battery
SI2730878T1 (sl) * 2012-11-07 2019-05-31 Alfa Laval Corporate Ab Paket plošč in postopek izdelave paketa plošč
US8895173B2 (en) 2012-12-21 2014-11-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attery module for an electric vehicle,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GB2516209A (en) * 2013-02-26 2015-01-21 Williams Grand Prix Eng Heat Transfer Device
CN105940279A (zh) * 2014-01-28 2016-09-14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冷却装置和具有它的数据中心
CN204014403U (zh) * 2014-08-28 2014-12-10 东风汽车公司 液冷式控制器的强化对流换热装置
JP6344340B2 (ja) 2014-09-23 2018-06-20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却器モジュール、および冷却器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CN204231855U (zh) * 2014-12-04 2015-03-25 南京润杰电控设备有限公司 一种能提高控制柜冷却速度的结构
JP2017059810A (ja) 2015-09-16 2017-03-23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器
CN105658027B (zh) * 2015-10-22 2018-04-13 浙江大学 用于电子部件冷却的液冷板
KR102413829B1 (ko) 2015-12-30 2022-06-2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CN106793673A (zh) * 2016-11-11 2017-05-31 宁波安信数控技术有限公司 一种组合式液冷冷却板结构
KR102325110B1 (ko) 2017-05-31 2021-11-1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93680B2 (en) 2011-06-06 2016-03-22 Gentherm Incorporated Cartridge-based thermoelectric systems
JP2017079191A (ja) * 2015-10-22 2017-04-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81100A1 (en) 2020-09-03
KR102030143B1 (ko) 2019-10-08
CN109526182B (zh) 2022-09-06
US11665868B2 (en) 2023-05-30
US20190090388A1 (en) 2019-03-21
US10729041B2 (en) 2020-07-28
DE102017222266A1 (de) 2019-03-21
US20230262946A1 (en) 2023-08-17
CN109526182A (zh) 2019-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1613B2 (en) Inverter power module packaging with cold plate
KR100689940B1 (ko) 구동 장치
US9064846B2 (en) Semiconductor device
JP5983565B2 (ja) 冷却器
US20200025641A1 (en) Leak-detachable liquid-heat-transmission device
US20180328675A1 (en) Heat exchanger for cooling electrical device
JP2001127478A (ja) 熱伝導冷却板装置
JP2017135181A (ja) 半導体装置
WO2018055668A1 (ja) 電力変換装置
JP2018207664A (ja) 電力変換装置
US20230262946A1 (en) Liquid-cooling type double-sided cooler
KR20200124577A (ko) 전력변환 장치용 냉각 시스템
EP3686927B1 (en) Switching semiconductor device
KR20210132999A (ko) 전력 모듈 어셈블리
KR101988992B1 (ko)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WO2020171436A1 (ko) 차량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CN113840516B (zh) 一种液冷冷板及板级液冷系统
JP2016046322A (ja) 積層式冷却器
JP2019062077A (ja) 冷却装置
CN114413660A (zh) 换热器
JP6424750B2 (ja) 電力変換装置
KR20210027679A (ko) 차량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JP5589468B2 (ja) 発熱素子の冷却装置
KR102651940B1 (ko) 수냉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냉각식 파워 모듈 어셈블리
KR20190131223A (ko)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