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8623A - 축의 회전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그네의자 - Google Patents

축의 회전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그네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8623A
KR20190028623A KR1020170115535A KR20170115535A KR20190028623A KR 20190028623 A KR20190028623 A KR 20190028623A KR 1020170115535 A KR1020170115535 A KR 1020170115535A KR 20170115535 A KR20170115535 A KR 20170115535A KR 20190028623 A KR20190028623 A KR 20190028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guide
frame
panel
low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1864B1 (ko
Inventor
김용현
Original Assignee
김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현 filed Critical 김용현
Priority to KR1020170115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864B1/ko
Publication of KR20190028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3Lock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 A47C3/025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pivotally mounted in the base frame, e.g. sw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6Chair or stool bases with cas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 A63G31/04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with jolting sub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9/00Swings
    • A63G9/16Driving mechanisms, such as ropes, gear, belt, motor dr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7Rocker/recliner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의 회전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그네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등받이를 구비하는 의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흔들리도록 하는 그네의자를 회전하는 축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후 방향으로 흔들리는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테두리를 형성하는 틀의 상면에는 바닥판넬이 장착되고 지면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부 베이스와, 상기 하부 베이스의 상면 양측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한 쌍의 상방향 연장프레임과, 상기 상방향 연장프레임의 상단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봉과, 상기 수평봉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등받이를 구비하는 1인 이상이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의자와, 상기 의자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바닥판넬의 상면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수평봉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전방 상면에는 발 받침대가 장착되는 가이드 프레임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 중 하나의 저면을 따라 장착되는 마찰패드로 구성되는 그네의자 본체와;
상기 하부 베이스의 하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연동하고 상기 마찰패드와 밀착하여 의자 및 가이드프레임을 전후 방향으로 왕복 흔들리도록 하는 가이드 로울러를 구비하는 연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의 회전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그네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축의 회전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그네의자{The swing chair Swing chair swingy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haft}
본 발명은 축의 회전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그네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등받이를 구비하는 의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흔들리도록 하는 그네의자를 회전하는 축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후 방향으로 흔들리는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축의 회전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그네의자에 관한 것이다.
태아가 어머니의 뱃속에서 듣는 소리 중 심장박동 소리는 일정한 리듬으로 태아를 부드럽게 흔들어주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태어난 이후에도 이러한 리듬에 가까운 흔들림에 심리적으로 안정되고 편안함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어른이 되어서도 본능 속에 남아 있는 것으로 그 결과 요람, 해먹, 흔들의자, 그네 등 다양한 형태의 기구는 이러한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
이때 그네와 흔들의자가 결합된 형태 즉 그네와 같이 바닥과 이격되어 있지만 등받이가 있어 2인 이상이 앉아 흔들릴 수 있는 그네의자의 경우 보통 테라스나 정원 또는 공원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며 고정되어 있는 것 보다 색다른 재미를 주며 연인이나 가족이 이용하기에 적합한 형태이다.
하지만 그네의자는 주기적으로 외력을 작용하지 않으면 흔들림이 금방 멈추는 형태로 앉은 상태에서 발로 바닥을 차서 흔들리도록 하거나 등받이에 힘을 주어 기대어 약간의 흔들림을 주는 방법이 있으나 힘이 들고 번거로운 과정으로 사실상 그네의자는 처음 앉을 때를 제외하고는 일반 의자와 다름없는 문제가 있었다.
반면 그네의자가 아닌 등받이를 가진 2~4인이 앉을 수 있는 의자는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카페나 공원과 같은 곳에서부터 열차나 버스와 같은 이동수단에도 조금씩 그 형태를 달리하며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안전에 지장을 주거나 식사 등 의자에 앉아 이루어지는 행동에 지장을 주는 경우를 제외하고 단순히 의자에 앉아 있기만 하는 것 보다는 그네와 같은 흔들림을 주면 색다른 느낌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각종 관광지나 놀이동산에서 일명 코끼리 열차라고 부르는 선두의 동력차의 위에 열차가 줄지어 연결되어 운행되는 무궤도 열차에서 적용하면 주행 중에 주변을 관광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나 주변 경관을 보는 것 이외에 큰 속도감도 없는 상황에서 느낄 수 있는 흥미는 크지 않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 제20-2000-0018699호 (2000년10월25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629912-0000호 (2016년06월07일)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1인 이상이 탈 수 있는 의자 형상을 가진 그네의자가 축의 회전력에 의하여 그네가 전후 방향으로 자동을 흔들릴 수 있도록 하는 축의 회전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그네의자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각종 관광지나 놀이동산에서 의자를 구비하고 견인되어 이동할 수 있는 무궤도 열차의 의자를 자동으로 전후 방향으로 흔들릴 수 있도록 하는 축의 회전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그네의자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테두리를 형성하는 틀의 상면에는 바닥판넬이 장착되고 지면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부 베이스와, 상기 하부 베이스의 상면 양측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한 쌍의 상방향 연장프레임과, 상기 상방향 연장프레임의 상단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봉과, 상기 수평봉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등받이를 구비하는 1인 이상이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의자와, 상기 의자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바닥판넬의 상면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수평봉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전방 상면에는 발 받침대가 장착되는 가이드 프레임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 중 하나의 저면을 따라 장착되는 마찰패드로 구성되는 그네의자 본체와;
상기 하부 베이스의 하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연동하고 상기 마찰패드와 밀착하여 의자 및 가이드프레임을 전후 방향으로 왕복 흔들리도록 하는 가이드 로울러를 구비하는 연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부 베이스에는 네 개의 지지다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은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측 끝단에 위치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하부로 이격된 원호 형상을 가지고 양측 끝단은 수직 아래로 절곡되어 하부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면에는 복수 개의 고정홀이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형성되는 고정프레임이 장착되고;
상기 의자의 양측에는 조작에 따라 하부 끝단이 상기 고정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고정레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부 베이스의 양측에는 각각 바퀴를 구비하여 상기 구동축이 바퀴와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정면 중앙과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양측은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며 중앙과 결합 고정되고 끝단에 견인고리를 구비하는 3개의 견인프레임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베이스는 링 형상의 틀에 바닥판넬이 장착된 형상을 이루고, 상기 상방향 연장프레임은 수직 입설된 링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평봉의 전방과 후방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봉을 하나 이상 구비하고, 양측 끝단에 위치한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는 의자의 다리가 연장되어 고정되며;
중앙은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수평봉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전방과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양단에서 양측 끝단에 위치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양단으로 연결되는 4개의 수직프레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연동장치의 가이드 로울러는 맞물려 회전하는 각각 전방과 후방의 제1 및 제2 가이드 로울러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동장치는 한 쌍이 이격되어 하부는 구동축이 관통하고 상부는 제1 및 제2 가이드 로울러의 상단이 상부로 돌출되도록 이격된 사이 공간에 장착되고, 상단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방향전환 돌기를 구비하는 한 쌍의 틸팅판넬과;
상기 하부 베이스에는 저면에서 수직 하부로 연장되는 수직판넬과;
상기 수직판넬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동장치와 이격된 하부로 연장되는 수평판넬과;
상기 틸팅판넬의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로울러 사이 중앙 위치에 일측이 장착되고 수직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판넬에 고정되어 압축력이 작용하는 틸팅스프링과;
상기 수직판넬에서 돌출 연장되어 상기 틸팅판넬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한 쌍의 각도제한판와;
상기 마찰패드의 양측 끝단에 밀착한 측면에 하부로 돌출되어 틸팅판넬이 일측으로 기울어져 제1 및 제2 가이드 로울러 중 하나가 마찰패드와 밀착하여 회전하면서 의자를 이동시킬 때 상기 방향전환 돌기를 밀어 틸팅판넬이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하는 돌출 가이드와;
구동축과 제1 가이드 로울러를 벨트에 의하여 연동하도록 하는 한 쌍의 벨트풀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 로울러의 축은 제1 가이드 로울러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홀의 형상을 가지며, 제1 및 제2 가이드 로울러의 축을 연결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그네의자가 축의 회전력에 이용하여 전후 방향으로 자동으로 흔들리도록 하여 별도로 외력을 가하지 않고도 편안하게 앉아 색다른 재미를 느끼거나 흔들림에 의한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광지나 놀이동산과 같은 곳에서 동력차에 하나 이상이 견인되면서 이동하도록 하면서 이동속도에 따라 그네가 전후 방향으로 흔들리도록 하여 탑승객은 이동하면서 볼 수 있는 경관뿐만 아니라 그네의 움직임에 따른 재미를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레버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동장치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면도로서, 테두리를 형성하는 틀의 상면에는 바닥판넬(111)이 장착되고 지면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부 베이스(11)와, 상기 하부 베이스(11)의 상면 양측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한 쌍의 상방향 연장프레임(12)과, 상기 상방향 연장프레임(12)의 상단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봉(13)과, 상기 수평봉(13)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등받이를 구비하는 1인 이상이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의자(14)와, 상기 의자(14)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바닥판넬(111)의 상면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수평봉(13)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전방 상면에는 발 받침대(151)가 장착되는 가이드 프레임(15)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15) 중 하나의 저면을 따라 장착되는 마찰패드(16)로 구성되는 그네의자 본체(1)와;
상기 하부 베이스(11)의 하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하는 구동축(2)과;
상기 구동축(2)과 연동하고 상기 마찰패드(16)와 밀착하여 의자(14) 및 가이드프레임(15)을 전후 방향으로 왕복 흔들리도록 하는 가이드 로울러(31)를 구비하는 연동장치(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의 회전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그네의자를 나타내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한 주기의 흔들림은 본능적인 편안함을 주는 것으로 이를 이용한 물품은 주로 유아를 위한 것이 대부분이며 어른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은 해먹과 흔들의자가 거의 전부라고 할 수 있으며 그조차 사용하는 사람이 극히 적은 상황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끈에 의하여 매달린 것이 아니라 견고한 금속프레임에 의하여 연결되어 흔들리도록 하였으며 발 받침대(151)에 발을 올려놓아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구동축(2)과 연동장치(3)에 의하여 자동으로 흔들릴 수 있도록 하였다.
본원의 구동축(2)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가이드 로울러(31)는 밀착된 마찰패드(16)를 회전방향으로 밀어 의자(14)가 흔들리도록 하는 것으로 기존의 흔들의자는 체중의 이동을 통하여 사용자가 흔들어야했지만 본원은 편안한 자세로 앉아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는 상기 하부 베이스(11)에는 네 개의 지지다리(112)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2)은 모터(21)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구동축(2) 즉 회전하는 축은 다양한 구조에 의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그중에 가장 단순한 방법은 모터(21)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것이며, 의자(14)의 전후방향으로 왕복하는 흔들림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모터(21)의 회전방향을 제어하거나 연동장치(3)가 가이드 로울러(31)가 마찰패드(16)에 밀착하는 시간을 구조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하다.
또한, 본원은 상기 하부 베이스(11)는 링 형상의 틀에 바닥판넬(111)이 장착된 형상을 이루고, 상기 상방향 연장프레임(12)은 수직 입설된 링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평봉(13)의 전방과 후방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봉(131)을 하나 이상 구비하고, 양측 끝단에 위치한 상기 가이드 프레임(15)에는 의자(14)의 다리가 연장되어 고정되며;
중앙은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수평봉(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전방과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상부프레임(17)과, 상기 상부프레임(17)의 양단에서 양측 끝단에 위치한 상기 가이드 프레임(15)의 양단으로 연결되는 4개의 수직프레임(18)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의자(14)가 직접수평봉(13)에 매달리도록 할 경우 무게 중심을 고려하면 의자(14)의 측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프레임이 필요하며 이 경우 의자(14)를 옆으로부터 탈 수 없게 되며, 본원은 발 받침대(151)가 장착되는 가이드프레임(15)이 형성되어 정면에서 타는 방법도 의자(14)의 흔들리기 때문에 상당히 위험하게 된다.
이에 본원은 상부프레임(17)과 수직프레임(18) 및 가이드 프레임(15)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의자(14)가 배치되어 측방향으로 의자(14)에 탈 수 있게 되며, 상방향 연장프레임(12)의 형상도 심미감을 주는 역할뿐만 아니라 측방향으로 진입하여 의자(14)에 앉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네의자는 다양한 곳에서 설치되어 있으나 보통 지면에 고정식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본원은 이동이 용이하여 실내에도 설치가 가능한 구조를 제안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레버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양측 끝단에 위치한 상기 가이드 프레임(15)의 하부로 이격된 원호 형상을 가지고 양측 끝단은 수직 아래로 절곡되어 하부 베이스(11)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면에는 복수 개의 고정홀(113)이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형성되는 고정프레임(114)이 장착되고;
상기 의자(14)의 양측에는 조작에 따라 하부 끝단이 상기 고정홀(112)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고정레버(141)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본원의 그네의자는 구조적으로 무게 중심의 이동에 따라 흔들리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의자(14)에 앉고 내리는 동작에 의하여 흔들리게 되며 이 경우 신체 일부가 구조물과 충돌하거나 심할 경우 넘어질 우려가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는 간단한 구조로 고정레버(141)를 당기면 연결된 하단의 핀이 고정홀(113)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가 되고 앞으로 밀면 핀이 이탈하도록 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하도록 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면도로서, 상기 하부 베이스(11)의 양측에는 각각 바퀴(115)를 구비하여 상기 구동축(2)이 바퀴(115)와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정면 중앙과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양측은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며 중앙과 결합 고정되고 끝단에 견인고리(116)를 구비하는 3개의 견인프레임(117)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위 실시 예는 고정된 방식이 아닌 이동수단에 그네를 장착하도록 하는 것으로 관광지나 놀이동산과 같은 곳에서 동력차에 하나 이상이 견인되면서 이동하도록 하면서 이동속도에 따라 그네가 전후 방향으로 흔들리도록 하여 탑승객은 이동하면서 볼 수 있는 경관뿐만 아니라 그네의 움직임에 따른 재미를 느낄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농촌이나 어촌 체험마을과 같은 곳에서는 규모가 큰 열차의 운행보다는 2~4명이 탑승할 수 있는 작은 크기의 열차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남녀 연인이 많이 방문하는 곳에서 사용되는 무궤도열차에서 주변 경관을 보는 것 이외에 큰 속도감도 없는 상황에서 흥미를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본원에서는 모터를 이용하여 구동축(2)을 회전시킬 수도 있으나 회전하는 바퀴(115)의 축을 이용하면 별도의 동력이 없이도 그네의자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동장치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고,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과정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연동장치(3)의 가이드 로울러(31)는 맞물려 회전하는 각각 전방과 후방의 제1 및 제2 가이드 로울러(31a, 31b)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동장치(3)는 한 쌍이 이격되어 하부는 구동축(2)이 관통하고 상부는 제1 및 제2 가이드 로울러(31a, 31b)의 상단이 상부로 돌출되도록 이격된 사이 공간에 장착되고, 상단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방향전환 돌기(323)를 구비하는 한 쌍의 틸팅판넬(32)과;
상기 하부 베이스(11)에는 저면에서 수직 하부로 연장되는 수직판넬(33)과;
상기 수직판넬(33)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동장치(3)와 이격된 하부로 연장되는 수평판넬(34)과;
상기 틸팅판넬(32)의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로울러(31a, 31b) 사이 중앙 위치에 일측이 장착되고 수직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판넬(34)에 고정되어 압축력이 작용하는 틸팅스프링(35)과;
상기 수직판넬(33)에서 돌출 연장되어 상기 틸팅판넬(32)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한 쌍의 각도제한판(36)와;
상기 마찰패드(16)의 양측 끝단에 밀착한 측면에 하부로 돌출되어 틸팅판넬(32)이 일측으로 기울어져 제1 및 제2 가이드 로울러(31a, 31b) 중 하나가 마찰패드(16)와 밀착하여 회전하면서 의자(14)를 이동시킬 때 상기 방향전환 돌기(323)와 만나 틸팅판넬(32)이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하는 돌출 가이드(37)와;
구동축(2)과 제1 가이드 로울러(31a)를 벨트에 의하여 연동하도록 하는 한쌍의 벨트풀리(38)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의 연동장치(3)의 기본적인 원리는 구동축(2)의 회전력이 밸트풀리(38)에 의하여 제1 가이드 로울러(31a)를 회전시키고 맞물린 제2 가이드 로울러(31b)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틸팅스프링(35)의 하단 고정부가 연동장치(3)의 회전축이 되는 구동축(2) 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있기에 스프링의 압축력은 길이가 짧아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연동장치(3)가 일측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완전히 기울어진 상태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 로울러(31a, 31b) 중 하나가 마찰패드(16)와 밀착하도록 구성되었다.
도 9 내지 도 12의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틸팅스프링(35)에 의하여 후방으로 연동장치(3)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제1 가이드로울러(31a)는 도면에서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마찰패드(16)를 전방 방향으로 미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때 본원의 가이드 프레임(15)은 원호형이나 3D 도면을 평면화일로 추출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원호형을 가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네의자는 전방으로 미는 작용을 하고 도 10에서와 같이 방향전환 돌기(323)에 돌출가이드(37)가 밀착하면서 이동하여 연동장치(3)를 밀어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성에 의하여 상승한 후 다시 중력에 의하여 후방으로 하강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렇게 반대방향으로 틸팅된 연동장치(3)는 제2 가이드 로울러(31b)가 마찰패드(16)에 밀착하게 되어 반대 방향으로 미는 힘을 작용하게 되어 이러한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그네의자는 자동으로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돌출가이드(37)는 제1 및 제2 가이드 로울러(31a, 31b)에 형성된 방향전환 돌기(323) 중 하나는 밀고 다른 하나는 통과할 수 있도록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다른 방향은 수직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전환 돌기(323)의 형상을 한 방향으로 수직면 다른 방향은 곡선 또는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 돌기(323)는 도시된 것과 같이 두 개를 형성할 수도 있으나 중앙에 하나만 돌출 형성하여도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 가이드 로울러(31b)의 축은 제1 가이드 로울러(31a)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홀(321)의 형상을 가지며, 제1 및 제2 가이드 로울러(31a, 31b)의 축을 연결하는 압축코일스프링(322)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실시 예는 그네의자에 사람이 탑승했을 경우 하중은 상당한 것이기 때문에 마찰패드(16)를 미는 제1 및 제2 가이드 로울러(31a, 31b)에는 상당한 부하가 발생하며 특히 제2 가이드 로울러(31b)는 제1 가이드 로울러(31a)와 밀착력이 약해져 공회전할 수도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압축코일스프링(322)이 제1 가이드 로울러(31a)와 제2 가이드 로울러(31b)가 밀착력을 가지도록 하여 공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원의 도면은 3D 모델링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평면의 그림 파일로 출력하는 과정에서 하부베이스(11)와 상방향 연장프레임(12)과 가이드프레임(15)과 마찰패드(16)가 완전한 곡선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12분할된 형상으로 나타나있으나 실제론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1 : 그네의자 본체
11 : 하부 베이스
111 : 바닥판넬 112 : 지지다리
113 : 고정홀 114 : 고정프레임
115 : 바퀴 116 : 견인고리
117 : 견인프레임
12 : 상방향 연장프레임
13 : 수평봉
131 : 보강봉
14 : 의자
141 : 고정레버
15 : 가이드 프레임
151 : 발 받침대
16 : 마찰패드
17 : 상부프레임
18 : 수직프레임
2 : 구동축
21 : 모터
3 : 연동장치
31 : 가이드 로울러
31a : 제1 가이드 로울러 31b : 제2 가이드 로울러
32 : 틸팅판넬
321 : 장홀 322 : 압축코일스프링
323 : 방향전환 돌기
33 : 수직판넬
34 : 수평판넬
35 : 틸팅스프링
36 : 각도제한판
37 : 돌출가이드
38 : 벨트풀리

Claims (7)

  1. 테두리를 형성하는 틀의 상면에는 바닥판넬(111)이 장착되고 지면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부 베이스(11)와, 상기 하부 베이스(11)의 상면 양측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한 쌍의 상방향 연장프레임(12)과, 상기 상방향 연장프레임(12)의 상단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봉(13)과, 상기 수평봉(13)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등받이를 구비하는 1인 이상이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의자(14)와, 상기 의자(14)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바닥판넬(111)의 상면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수평봉(13)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전방 상면에는 발 받침대(151)가 장착되는 가이드 프레임(15)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15) 중 하나의 저면을 따라 장착되는 마찰패드(16)로 구성되는 그네의자 본체(1)와;
    상기 하부 베이스(11)의 하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하는 구동축(2)과;
    상기 구동축(2)과 연동하고 상기 마찰패드(16)와 밀착하여 의자(14) 및 가이드프레임(15)을 전후 방향으로 왕복 흔들리도록 하는 가이드 로울러(31)를 구비하는 연동장치(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의 회전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그네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베이스(11)에는 네 개의 지지다리(112)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2)은 모터(21)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의 회전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그네의자.
  3. 제 1항에 있어서, 양측 끝단에 위치한 상기 가이드 프레임(15)의 하부로 이격된 원호 형상을 가지고 양측 끝단은 수직 아래로 절곡되어 하부 베이스(11)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면에는 복수 개의 고정홀(113)이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형성되는 고정프레임(114)이 장착되고;
    상기 의자(14)의 양측에는 조작에 따라 하부 끝단이 상기 고정홀(112)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고정레버(141)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축의 회전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그네의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베이스(11)의 양측에는 각각 바퀴(115)를 구비하여 상기 구동축(2)이 바퀴(115)와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정면 중앙과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양측은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며 중앙과 결합 고정되고 끝단에 견인고리(116)를 구비하는 3개의 견인프레임(117)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축의 회전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그네의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베이스(11)는 링 형상의 틀에 바닥판넬(111)이 장착된 형상을 이루고, 상기 상방향 연장프레임(12)은 수직 입설된 링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평봉(13)의 전방과 후방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봉(131)을 하나 이상 구비하고, 양측 끝단에 위치한 상기 가이드 프레임(15)에는 의자(14)의 다리가 연장되어 고정되며;
    중앙은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수평봉(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전방과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상부프레임(17)과, 상기 상부프레임(17)의 양단에서 양측 끝단에 위치한 상기 가이드 프레임(15)의 양단으로 연결되는 4개의 수직프레임(18)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회전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그네의자.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3)의 가이드 로울러(31)는 맞물려 회전하는 각각 전방과 후방의 제1 및 제2 가이드 로울러(31a, 31b)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동장치(3)는 한 쌍이 이격되어 하부는 구동축(2)이 관통하고 상부는 제1 및 제2 가이드 로울러(31a, 31b)의 상단이 상부로 돌출되도록 이격된 사이 공간에 장착되고, 상단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방향전환 돌기(323)를 구비하는 한 쌍의 틸팅판넬(32)과;
    상기 하부 베이스(11)에는 저면에서 수직 하부로 연장되는 수직판넬(33)과;
    상기 수직판넬(33)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동장치(3)와 이격된 하부로 연장되는 수평판넬(34)과;
    상기 틸팅판넬(32)의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로울러(31a, 31b) 사이 중앙 위치에 일측이 장착되고 수직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판넬(34)에 고정되어 압축력이 작용하는 틸팅스프링(35)과;
    상기 수직판넬(33)에서 돌출 연장되어 상기 틸팅판넬(32)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한 쌍의 각도제한판(36)와;
    상기 마찰패드(16)의 양측 끝단에 밀착한 측면에 하부로 돌출되어 틸팅판넬(32)이 일측으로 기울어져 제1 및 제2 가이드 로울러(31a, 31b) 중 하나가 마찰패드(16)와 밀착하여 회전하면서 의자(14)를 이동시킬 때 상기 방향전환 돌기(323)를 밀어 틸팅판넬(32)이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하는 돌출 가이드(37)와;
    구동축(2)과 제1 가이드 로울러(31a)를 벨트에 의하여 연동하도록 하는 한쌍의 벨트풀리(38)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회전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그네의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로울러(31b)의 축은 제1 가이드 로울러(31a)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홀(321)의 형상을 가지며, 제1 및 제2 가이드 로울러(31a, 31b)의 축을 연결하는 압축코일스프링(322)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회전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그네의자.
KR1020170115535A 2017-09-09 2017-09-09 축의 회전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그네의자 KR101971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535A KR101971864B1 (ko) 2017-09-09 2017-09-09 축의 회전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그네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535A KR101971864B1 (ko) 2017-09-09 2017-09-09 축의 회전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그네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623A true KR20190028623A (ko) 2019-03-19
KR101971864B1 KR101971864B1 (ko) 2019-04-24

Family

ID=65908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535A KR101971864B1 (ko) 2017-09-09 2017-09-09 축의 회전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그네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8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2173A (ko) * 2019-05-16 2020-11-25 구본엽 테이블 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그네장치
KR20210083111A (ko) * 2019-12-26 2021-07-06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자동 스윙 가능한 스윙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7473B1 (ko) 2021-11-17 2022-07-06 유한회사 코리아엔텍 인력 회동 흔들의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38318A1 (de) * 1988-11-19 1990-05-23 Helmut Kastner Vergnuegungsvorrichtung, insbesondere schaukel
KR20000018699U (ko) 1999-03-25 2000-10-25 정갑철 유아용 전동식 자동 그네
CN2477046Y (zh) * 2001-03-26 2002-02-20 刘宗信 双排户外休闲摇椅
JP3167548U (ja) * 2010-12-17 2011-04-28 長貞 林 揺り椅子
KR101629912B1 (ko) 2015-03-07 2016-06-22 충청북도 청주시 (청주시 농업기술센터장) 트랙터 열차
JP3205443U (ja) * 2016-04-20 2016-07-28 株式会社トーゴサービス 乗物遊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5443B2 (ja) * 1993-09-20 2001-09-04 株式会社名機製作所 ホットプレス装置用の熱板およびホットプレス装置
JP3167548B2 (ja) * 1994-09-30 2001-05-21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用潤滑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38318A1 (de) * 1988-11-19 1990-05-23 Helmut Kastner Vergnuegungsvorrichtung, insbesondere schaukel
KR20000018699U (ko) 1999-03-25 2000-10-25 정갑철 유아용 전동식 자동 그네
CN2477046Y (zh) * 2001-03-26 2002-02-20 刘宗信 双排户外休闲摇椅
JP3167548U (ja) * 2010-12-17 2011-04-28 長貞 林 揺り椅子
KR101629912B1 (ko) 2015-03-07 2016-06-22 충청북도 청주시 (청주시 농업기술센터장) 트랙터 열차
JP3205443U (ja) * 2016-04-20 2016-07-28 株式会社トーゴサービス 乗物遊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2173A (ko) * 2019-05-16 2020-11-25 구본엽 테이블 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그네장치
KR20210083111A (ko) * 2019-12-26 2021-07-06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자동 스윙 가능한 스윙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1864B1 (ko) 2019-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3524B2 (en) Infant care apparatus
KR101971864B1 (ko) 축의 회전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그네의자
US20060012230A1 (en) Glider
US20130005493A1 (en) Swing ride tilting swing chair back and forth
CN115530560A (zh) 椅子
KR101409202B1 (ko) 휠체어
JP7057009B1 (ja) 電動モビリティ
KR20190000699U (ko) 자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그네의자
KR101879435B1 (ko)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
JP2003000661A (ja) 機能回復訓練装置
US4304400A (en) Manually powered amusement device
KR102555146B1 (ko) 탑승형 운동기
JPH0532157Y2 (ko)
CN211885106U (zh) 具有蹦蹦床、摇摇马、扭扭车、跷跷板多功能变化的玩具
CN214436457U (zh) 一种骑行玩具
JPH0838648A (ja) 綱渡り用走行車及びこれを用いた遊戯装置
JP3214859U (ja) 介護用椅子
JP2022119024A (ja) 運動補助装置
JP2007507327A (ja) 体重だけで均衡がとれた傾斜を可能とする、調整可能な、座面と背もたれシートがフレームにより吊ら支えられたリクライニングチェアー
KR101167704B1 (ko)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KR101263781B1 (ko) 놀이 시설용 흔들 승마
KR20090013847A (ko) 시이소를 일체로 한 자전거
JP6349164B2 (ja) 起立支援歩行補助器
GB2511031A (en) A rocking chair
JPH08266377A (ja) 椅 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