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5968A - 배기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컨 - Google Patents

배기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5968A
KR20190025968A KR1020197003202A KR20197003202A KR20190025968A KR 20190025968 A KR20190025968 A KR 20190025968A KR 1020197003202 A KR1020197003202 A KR 1020197003202A KR 20197003202 A KR20197003202 A KR 20197003202A KR 20190025968 A KR20190025968 A KR 20190025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uide
air
outlet
airflow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3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8011B1 (ko
Inventor
슈윤 리
준지에 리아오
준 쉬옹
수 가오
Original Assignee
그리 일렉트릭 어플라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오브 주하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리 일렉트릭 어플라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오브 주하이 filed Critical 그리 일렉트릭 어플라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오브 주하이
Publication of KR20190025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1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for guiding air around a cur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배기구 에셈블리는, 배기구를 구비하는 배기구 파이프와, 회전 가능하게 배기구에 장착되는 에어 가이드 구조(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에어 가이드 구조(20)는 에어 가이드 캐비티와, 에어 가이드 캐비티와 연결되는 에어 가이드 유입구 및 에어 가이드 배출구를 구비하며, 에어 가이드 유입구는 배기구와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기구 어셈블리를 이용하는 에어컨을 개시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 패키지 에어컨의 송풍 범위가 작은 문제점을 해결한다.

Description

배기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컨
본 발명은 에어컨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말하면, 배기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현재, 패키지 에어컨은 송풍 범위가 작고, 배출구의 풍속이 균일하지 않아, 찬 공기나 더운 공기가 사람한테 집중적으로 송풍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기에, 패키지 에어컨의 쾌적도가 차하고, 패키지 에어컨의 송풍 쾌적도를 낮춘다.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배기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컨을 제공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 패키지 에어컨의 송풍 범위가 작은 문제점을 해결하려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는, 배기구를 구비하는 배기구 파이프와, 회전 가능하게 배기구에 장착되는 에어 가이드 구조를 포함하는 배기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에어 가이드 구조는 에어 가이드 캐비티와, 에어 가이드 캐비티와 연결되는 에어 가이드 유입구 및 에어 가이드 배출구를 구비하며, 에어 가이드 유입구는 배기구와 연결된다.
또한, 에어 가이드 유입구의 입풍 방향과 에어 가이드 배출구의 출풍 방향 사이에는 협각이 있다.
또한, 에어 가이드 유입구의 입풍 방향과 에어 가이드 배출구의 출풍 방향은 수직되게 장착된다.
또한, 에어 가이드 구조의 회전 축선과 에어 가이드 유입구의 입풍 방향은 평행되게 장착된다.
또한, 에어 가이드 캐비티 내부에는 에어 가이드 유입구로부터 들어오는 기류를 여러 갈래의 기류로 분산시키는 기류 분산 구조가 있다.
또한, 에어 가이드 구조는 서로 마주 보게 장착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포함하되, 제1 하우징은 제1 에어 가이드 캐비티 그리고 제1 에어 가이드 캐비티와 연결되는 제1 에어 가이드 유입구 및 제1 에어 가이드 배출구를 구비하고, 제2 하우징은 제2 에어 가이드 캐비티 그리고 제2 에어 가이드 캐비티와 연결되는 제2 에어 가이드 유입구 및 제2 에어 가이드 배출구를 구비하며, 제1 에어 가이드 캐비티와 제2 에어 가이드 캐비티는 함께 에어 가이드 캐비티를 형성하고, 제1 에어 가이드 유입구와 제2 에어 가이드 유입구는 함께 에어 가이드 유입구를 형성하며, 제1 에어 가이드 배출구와 제2 에어 가이드 배출구는 함께 에어 가이드 배출구를 형성하고,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는 유인 송풍 통로가 형성된다.
또한, 제1 에어 가이드 내부에는 제1 에어 가이드 유입구로부터 들어오는 기류를 여러 갈래의 기류로 분산시키는 제1 기류 분산 구조가 장착되고, 제2 에어 가이드 캐비티 내부에는 제2 에어 가이드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기류를 여러 갈래의 기류로 분산시키는 제2 기류 분산 구조가 장착되며, 제1 기류 분산 구조와 제2 기류 분산 구조는 함께 기류 분산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제1 기류 분산 구조와 제2 기류 분산 구조는 모두 복수의 기류 분산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복수의 기류 분산 플레이트는 간격대로 장착된다.
또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은 각각 아우터 플레이트, 이너 플레이트, 아우터 플레이트와 이너 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는 리어 플레이트 및 탑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아우터 플레이트, 이너 플레이트, 리어 플레이트 및 탑 플레이트는 둘러싸여 캐비티를 형성한다.
또한, 아우터 플레이트는 원호면 구조로서, 원호면 구조의 반경은 배기구 파이프의 반경과 같다.
또한, 탑 플레이트와 리어 플레이트의 연결 부분은 원호를 통하여 전환한다.
또한, 에어 가이드 구조는 스윙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되, 스윙 블레이드는 피벗 가능하게 제1 에어 가이드 배출구 및 제2 에어 가이드 배출구에 장착된다.
또한, 제2 에어 가이드 배출구로부터 떨어진 제1 에어 가이드 배출구의 외측에 제1 바람막이 아우터 플레이트를 장착하되, 제1 바람막이 아우터 플레이트는 스윙 블레이드의 외측에 위치하고; 그리고/또는 제1 에어 가이드 배출구로부터 떨어진 제2 에어 가이드 배출구의 외측에 제2 바람막이 아우터 플레이트를 장착하되, 제2 바람막이 아우터 플레이트는 스윙 블레이드의 외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1 바람막이 외측 플레이트에 호형의 제1 가이드 그루브를 장착하고, 배기구 어셈블리는 복수의 제1 스윙부를 더 포함하되, 제1 스윙부의 일단부는 피벗으로 제1 바람막이 아우터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제1 스윙부의 타단부는 제1 가이드 그루브를 통하여 스윙 블레이드와 연결되며; 그리고/또는 제2 바람막이 외측 플레이트에 호형의 제2 가이드 그루브를 장착하고, 배기구 어셈블리는 복수의 제2 스윙부를 더 포함하되, 제2 스윙부의 일단부는 피벗으로 제2 바람막이 아우터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제2 스윙부의 타단부는 제2 가이드 그루브를 통하여 스윙 블레이드와 연결된다.
또한, 제1 에어 가이드 유입구로부터 떨어진 제1 에어 가이드 배출구의 일측에 제1 바람막이 탑 플레이트를 장착하고; 그리고/또는 제2 에어 가이드 유입구로부터 떨어진 제2 에어 가이드 배출구의 일측에 제2 바람막이 탑 플레이트를 장착한다.
또한, 에어 가이드 구조는 연결고리를 더 포함하되,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은 모두 연결고리의 축선 방향에 따른 제1단부에 연결되고, 연결고리의 축선 방향에 따른 제2단부는 배기구 파이프와 연결된다.
또한, 배기구 어셈블리는 전환부를 더 포함하되, 전환부는 배출구에 장착되고, 연결고리는 회전 가능하게 전환부에 장착되며, 전환부는 배출구와 에어 가이드 유입구를 연결하는 전환 덕트를 구비한다.
또한, 배기구 어셈블리는 구동기구를 더 포함하되, 구동기구는 에어 가이드 구조와 구동 연결되어, 에어 가이드 구조를 회전시킨다.
본 발명은 다른 한 측면에서 배기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에어컨을 제공하는데, 배기구 어셈블리는 상기 배기구 어셈블리이다.
본 발명을 응용한 기술방안에서, 에어 가이드 구조는 회전 가능하게 배기구 파이프의 배출구에 장착된다. 송풍기로부터 흘러 나오는 기류는 배기구 파이프를 통하여 흘러 나온 다음, 에어 가이드 유입구를 통하여 에어 가이드 캐비티에 진입하여, 에어 가이드 배출구로부터 흘러 나오는데, 에어 가이드 배출구는 에어컨의 외각에 있는 배기구와 대응되고, 기류가 에어컨의 외각에 있는 배출구로부터 흘러나오는 송풍 방향은 에어 가이드 구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에어컨의 회전 송풍을 실현하여, 에어컨의 송풍 범위를 확대하고, 실내 제냉 또는 제열을 가속화함과 동시에 찬 공기나 더운 공기가 사람한테 집중적으로 송풍되는 현상을 막아, 에어컨의 쾌적도를 향상한다.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는 명세서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심층 이해를 위하여 제공되고,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 및 그 설명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첨부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 배기구 어셈블리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가이드 구조 및 전환부의 결합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배기구 어셈블리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배기구 어셈블리의 부분 투시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따른 배기구 어셈블리의 부감도;
도 5는 도 1에 따른 배기구 어셈블리의 기류 분산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따른 배기구 어셈블리 전환부의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따른 배기구 어셈블리의 기류 분산 유입구 면적의 구조 설명도;
도 8은 도 1에 따른 배기구 어셈블리의 구조 설명도;
도 9는 도 3에 따른 배기구 어셈블리의 개략도이다.
그 중, 상기 도면은 이하 도면 표기를 포함한다.
20. 에어 가이드 구조; 21. 제1 하우징; 211. 아우터 플레이트; 212. 이너 플레이트; 213. 리어 플레이트; 214. 탑 플레이트; 215. 제1 확장 플레이트; 22. 제2 하우징; 225. 제2 확장 플레이트; 23. 바람막이 플랫폼; 26. 연결고리; 40. 기류 분산 구조; 41. 제1 기류 분산 구조; 411. 기류 분산 플레이트; 4111. 수직 플레이트; 4112. 호형 플레이트; 412. 제1 기류 분산 플레이트; 413. 제2 기류 분산 플레이트; 414. 제3기류 분산 플레이트; 42. 제2 기류 분산 구조; 50. 유인 송풍 통로; 60. 스윙 블레이드; 71. 제2 기류 분산 통로; 72. 제2 기류 분산 통로; 73. 제3 기류 분산 통로; 74. 제4기류 분산 통로; 81. 제1 바람막이 이너 플레이트; 82. 제2 바람막이 이너 플레이트; 83. 제1 바람막이 아우터 플레이트; 831. 제1 가이드 그루브; 84. 제2 바람막이 아우터 플레이트; 85. 제1 바람막이 탑 플레이트; 86. 제2 바람막이 탑 플레이트; 90. 전환부; 100. 제1 스윙부.
여기서 설명해야 할 부분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시예 중의 특징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전제하에서 상호 조합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결부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배기구 에셈블리는, 배기구 파이프와 에어 가이드 구조(20)을 포함하되, 배기구 파이프는 배기구를 구비하고, 에어 가이드 구조(20)는회전 가능하게 배기구에 장착되며, 에어 가이드 구조(20)는 에어 가이드 캐비티 그리고 에어 가이드 캐비티와 연결되는 에어 가이드 유입구 및 에어 가이드 배출구를 구비하며, 에어 가이드 유입구는 배기구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를 응용한 배기구 어셈블리에서, 에어 가이드 구조(20)는 회전 가능하게 배기구 파이프의 배출구에 장착된다. 송풍기로부터 유출되는 기류는 배기구 파이프를 통하여 유출된 다음, 에어 가이드 유입구를 통하여 에어 가이드 캐비티에 진입하여, 에어 가이드 배출구로부터 유출되고, 에어 가이드 배출구는 에어컨의 외각에 있는 배기구와 대응되며, 기류가 에어컨의 외각에 있는 배출구로부터 흘러나오는 송풍 방향은 에어 가이드 구조(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됨으로써, 에어컨의 회전 송풍을 실현하여, 에어컨의 송풍 범위를 확대하고, 실내 제냉 또는 제열을 가속화함과 동시에 찬 공기나 더운 공기가 사람한테 집중적으로 송풍되는 현상을 막아, 에어컨의 쾌적도를 향상한다.
송풍기의 출풍 방향과 에어컨 하우징의 출풍 방향 사이에 협각이 있는 경우, 에어 가이드 유입구의 유입 방향과 에어 가이드 배출구의 출풍 방향 사이에 협각이 있다. 에어 가이드 구조(20) 내의 에어 가이드 캐비티는 기류의 흐름 방향을 변화하여, 송풍기의 출풍 방향과 에어컨 하우징의 출풍 방향 사이에 협각이 있는 상황에 적합하도록 한다.
송풍기의 출풍 방향과 에어컨 하우징의 출풍 방향이 수직되게 장착된 경우, 바람직하게, 에어 가이드 유입구의 입풍 방향과 에어 가이드 배출구의 출풍 방향은 수직되게 장착된다. 에어 가이드 구조(20) 내의 에어 가이드 캐비티는 기류의 흐름 방향을 변화하여, 송풍기의 출풍 방향과 에어컨 하우징의 출풍 방향이 수직되게 장착되는 상황에 적합하도록 한다.
실험 및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기류가 에어 가이드 구조에 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이 아니라 불균일하게 분포됨을 발견할 수 있는데, 에어컨 배기구의 출풍 속도가 보다 균일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가이드 캐비티 내에 에어 가이드 유입구로부터 진입되는 한 갈래 기류를 여러 갈래 기류로 분산하는 기류 분산 구조(40)가 장착된다. 기류 분산구조(40)의 작용하에서, 한 갈래 기류를 여러 갈래 기류로 분산하여, 여러 갈래 기류가 균일하게 에어 가이드 배기구로부터 유출되게 함으로써, 에어컨 배기구의 출풍 속도가 보다 균일하도록 한다.
에어 가이드 구조(20)의 회전 축선과 에어 가이드 유입구의 입풍 방향은 평행되게 장착된다. 이렇게 장착하면 구조가 간단하고, 원가가 저렴하다. 에어 가이드 유입구의 입풍 방향과 배기구 파이프의 출풍 방향이 같은 방향이어서, 배기구 파이프의 기류가 에어 가이드 구조(20)에 진입하는데 편리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가이드 구조(20)는 서로 마주 보게 장착된 제1 하우징(21)과 제2 하우징(22)을 포함하되, 제1 하우징(21)은 제1 에어 가이드 캐비티 그리고 제1 에어 가이드 캐비티와 연결되는 제1 에어 가이드 유입구 및 제1 에어 가이드 배출구를 구비하고, 제2 하우징(22)은 제2 에어 가이드 캐비티 그리고 제2 에어 가이드 캐비티와 연결되는 제2 에어 가이드 유입구 및 제2 에어 가이드 배출구를 구비하며, 제1 에어 가이드 캐비티와 제2 에어 가이드 캐비티는 함께 가이드 캐비티를 형성하고, 제1 에어 가이드 유입구와 제2 에어 가이드 유입구는 함께 에어 가이드 유입구를 형성하며, 제1 에어 가이드 배출구와 제2 에어 가이드 배출구는 함께 에어 가이드 배출구를 형성하고, 제1 하우징(21)과 제2 하우징(22) 사이에는 유인 송풍 통로(50)가 형성된다. 배기구 파이프의 배기구에서 유출되는 기류는 제1 에어 가이드 유입구와 제2 에어 가이드 유입구를 각각 통과하여, 제1 에어 가이드 캐비티와 제2 에어 가이드 캐비티에 진입하고, 각각 제1 에어 가이드 배출구와 제2 에어 가이드 배출구로부터 유출되는데, 다시 말하여 한 갈래 기류가 두 갈래 기류로 분산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에어컨 배기구의 출풍 속도가 보다 균일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1 에어 가이드 배출구와 제2 에어 가이드 배출구에서는 출풍 속도가 빠르고, 압력의 세기가 작은데, 제냉을 거치지 않은 실내 기류가 에어컨의 하우징에 진입하고, 유인 송풍 통로(50)을 통과하여 뒤로부터 앞으로 흡인 유출되며, 실내 기류가 제냉 또는 제열된 기류와 혼합되어 혼합 기류를 형성함으로써, 찬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더운 공기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어, 찬 공기 또는 더운 공기가 사람한테 집중적으로 송풍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피하여, 에어컨의 쾌적도를 향상한다.
물론, 에어 가이드 구조(20)은 단지 하나의 하우징만 포함할 수도 있는데, 하우징의 캐비티에 기류 분산 구조를 장착하여, 한 갈래 기류를 여러 갈래 기류로 분산시키거나, 하우징의 캐비티에 칸막이를 장착하여 한 갈래 기류를 여러 갈래 기류로 분산시킬 수도 있다. 하우징이 하나인 구조는 유인 송풍 통로를 장착할 수 없는데, 다시 말하여 혼합기류를 형성할 수 없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21)의 내측에 제2 하우징(22)를 향하여 확장된 제1 확장 플레이트(215)가 있고, 제2 하우징(22)의 외측에는 제1 하우징(21)을 향하여 확장된 제2 확장 플레이트(225)가 있는데, 제1 확장 플레이트(215)와 제2 확장 플레이트(225)는 연결되여 V형 구조를 형성한다. 다시 말하여, 1단계 기류 분산은 V형 구조를 이용하여 유량 손실을 감소한다.
배기구와 가까운 제1 하우징(21) 외측의 일단부와 배기구에서 가까운 제1 확장 플레이트(215)의 일단부, 그리고 배기구와 가까운 제2 하우징(22) 외측의 일단부와 배기구에서 가까운 제2 확장 플레이트(225)의 일단부 사이에는 모두 간격이 있으며, 배기구와 가까운 제1 하우징(21)의 일단부와 배기구와 가까운 제2 하우징(22)의 일단부 사이는 둘러 싸여 송풍 통로를 이루고, 송풍 통로는 각각 제1 에어 가이드 유입구 및 제2 에어 가이드 유입구와 연결된다. 배기구 파이프에서 나오는 바람은 송풍 통로에 진입한후, V형 구조를 통하여 분산된다.
에어컨 배기구의 출풍 속도가 보다 균일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에어 가이드 캐비티 내부에는 제1 에어 가이드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기류를 여러 갈래의 기류로 분산시키는 제1 기류 분산 구조(41)가 장착되고, 제2 에어 가이드 캐비티 내부에는 제2 에어 가이드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기류를 여러 갈래의 기류로 분산시키는 제2 기류 분산 구조(42)가 장착되며, 제1 기류 분산 구조(41)와 제2 기류 분산 구조(42)는 함께 기류 분산 구조(40)를 형성한다. 배기구 파이프에서 나오는 기류는 송풍 통로에 진입하여, V형 구조를 통하여 분산된 후, 기류 분산 플레이트의 작용 하에 다시 계속하여 분산된다. 구체적으로, 배기구 파이프와 에어컨 하우징의 배출구 사이에 2단계 기류 분산을 채택하여, 1단계는 배기구 파이프로부터 나오는 바람을 송풍 통로에 진입하도록 하여, V형 구조를 통하여 두 갈래의 균일한 기류로 분산시키고, 두 갈래 기류는 각각 제1 에어 가이드 캐비티 및 제2 에어 가이드 캐비티에 진입하며, 2단계 기류 분산은 제1 기류 분산 구조(41) 및 제2 기류 분산 구조(42)의 작용 하에, 제1 에어 가이드 캐비티 내의 기류를 네 갈래의 기류로 분산하고, 제2 에어 가이드 캐비티에 진입한 기류를 네 갈래 기류로 분산함으로써, 최종 에어컨 하우징 상의 배기구로부터 균일하게 유출되도록 하여, 에어컨 배기구의 출풍 속도가 보다 균일하고, 유량 손실을 감소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배기구와 가까운 제1 기류 분산 구조(41) 및 제2 기류 분산 구조(42)의 일단부가 송풍 통로 내에 들어가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류 분산 구조(41)와 제2 기류 분산 구조(42)는 각각 복수의 기류 분산 플레이트(411)를 포함하되, 복수의 기류 분산 플레이트(411)는 간격대로 장착된다. 다시 말하여, 제1 기류 분산 구조(41)는 복수의 기류 분산 플레이트(411)을 구비하고, 제2 기류 분산 구조(42) 역시 복수의 기류 분산 플레이트(411)를 구비하며, 제1 기류 분산 구조(41)와 제2 기류 분산 구조(42)는 구조가 같고, 구조가 간단하며, 제조가 간편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가이드 구조(20)는 스윙 블레이드(60)를 포함하되, 스윙 블레이드(60)는 피벗 가능하게 제1 에어 가이드 배출구 및 제2 에어 가이드 배출구에 장착된다. 스윙 블레이드(60)는 상하로 스윙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어, 상하 송풍 범위를 넓힌다. 스윙 블레이드(60)의 회전 축선은 에어 가이드 구조(20)의 회전 축선과 수직되기에, 에어컨의 좌우 송풍 범위를 넓힐 뿐더러, 에어컨의 상하 송풍 범위도 넓힐 수 있다.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내부 기류 분포 특징 및 유체 마찰 저항을 극복하는 크기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임의 두 개의 기류 분산 플레이트(411) 사이 간격은 서로 다르다. 다시 말하여 복수의 기류 분산 플레이트(411)는 부등간격으로 배치된다.
기류가 기류 분산 플레이트에 대한 충격 손실을 감소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류 분산 플레이트(411)마다 모두 서로 연결되는 수직 플레이트(4111)와 호형 플레이트(4112)를 포함하되, 복수의 수직 플레이트(4111)는 평행되게 장착되고, 호형 플레이트(4112)로부터 떨어진 수직 플레이트(4111)의 일단부는 제1 에어 가이드 유입구에 위치하며, 수직 플레이트(4111)로부터 떨어진 호형 플레이트(4112)의 일단부는 제1 에어 가이드 배출구에 위치한다. 수직 플레이트(4111)는 입풍 방향과 평행된다. 상술한 구조의 매 개 기류 분산 플레이트의 수직 방향에서 수평 방향에로의 각 부분은 크기가 다른 호형 플레이트를 통하여 전환됨으로써, 기류와 기류 분산 플레이트의 충격 손실을 감소한다. 기류 분산 플레이트(411)의 두께는 너무 두꺼워서는 안되는데, 그렇지 않을 경우 배출구 면적을 감소하여, 출풍 풍량을 감소시킨다. 수직 플레이트(4111)로부터 떨어진 호형 플레이트(4112) 일단부의 접선은 수직 플레이트(4111)에 수직되고, 수직 플레이트(4111)와 가까운 호형 플레이트(4112) 일단의 접선은 수직 플레이트(4111)와 같은 평면 내에 있다. 이렇게 하면, 원활하게 전환할 수 있어, 기류가 기류 분산 플레이트에 대한 충격 손실을 더 한층 감소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술한 구조는, 기류 분산 플레이트가 배출구 쪽에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배출되는 기류가 수평으로 앞을 향하여 유동할 수 있도록 확보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와 가까운 제1 하우징(21) 및 제2 하우징(22)의 일단부에는 설치 노치(notch)가 구비되고, 설치 노치는 제1 에어 가이드 배출구 및 제2 에어 가이드 배출구와 가깝게 장착한다. 에어 가이드 구조(20)는 바람막이 플랫폼(23)을 더 포함하되, 바람막이 플랫폼(23)은 설치 노치에 장착되고, 바람막이 플랫폼(23)과 바람막이 플랫폼(23)과 가까운 기류 분산 플레이트(411) 사이에는 제1 기류 분산 통로(71)가 형성된다. 바람막이 플랫폼(23)은 바람을 막는 작용을 하는데, 바람막이 플랫폼(23)과 바람막이 플랫폼(23)과 가까운 기류 분산 플레이트(411) 사이에는 제1 기류 분산 통로(71)가 형성되고, 또한 제1 기류 분산 통로(71)를 형성하기에 편리하다.
복수의 기류 분산 플레이트(411)는 제1 기류 분산 플레이트(412), 제2 기류 분산 플레이트(413) 및 제3기류 분산 플레이트(414)를 포함하되, 제1 기류 분산 플레이트(412)와 바람막이 플랫폼(23) 사이에 제1 기류 분산 통로(71)가 형성되고, 제1 기류 분산 플레이트(412)와 제2 기류 분산 플레이트(413) 사이에 제2 기류 분산 통로(72)가 형성되며, 제2 기류 분산 플레이트(413)와 제3기류 분산 플레이트(414) 사이에 제3기류 분산 통로(73)가 형성되고, 제3기류 분산 플레이트(414)와 제1 하우징(21) 사이에 제4기류 분산 통로(74)가 형성되며, 제1 기류 분산 통로(71), 제2 기류 분산 통로(72), 제3기류 분산 통로(73) 및 제4기류 분산 통로(74)의 기류 분산 유입구의 횡단면적은 각각 S1, S2, S3, S4인데, 그 중, S1<S2<S3<S4이다. 다시 말하여, 본 실시예에서 기류 분산 플레이트(411)의 개수는 세 개로서, 기류 분산 유입구의 횡단면은 뒤에서 앞으로 순차적으로 감소되어, 기류가 기류 분산 배출구에서의 압력이 같도록 확보한다.
제1 기류 분산 플레이트(412), 제2 기류 분산 플레이트(413) 및 제3기류 분산 플레이트(414)의 호형 플레이트(4112) 호형 크기는 다른데, 제3기류 분산 플레이트(414)로부터 제1 기류 분산 플레이트(412)까지 0.6 내지 0.7의 비례로 축소된다. 다시 말하여, 제1 기류 분산 플레이트(412), 제2 기류 분산 플레이트(413) 및 제3기류 분산 플레이트(414)의 구조는 유사한 것으로, 단지 호형 전환부의 크기가 다를 뿐이다.
기류가 기류 분산 배출구에서의 압력이 같도록 더 한층 확보하기 위하여,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류 분산 통로(71), 제2 기류 분산 통로(72), 제3기류 분산 통로(73) 및 제4기류 분산 통로(74)의 기류 분산 유입구 횡단면적의 합은 S인데, 그 중, S1이 S의 18% 내지 23%를 차지하고, S2가 S의 20% 내지 25%를 차지하며, S3이 S 의 20% 내지 28%를 차지하고, S4가 S의 25% 내지 35%를 차지한다. 도 7은 도 3의 N향 횡단면 면적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류 분산 통로(72), 제3기류 분산 통로(73) 및 제4기류 분산 통로(74)의, 제2 기류 분산 플레이트(413) 수직 플레이트(4111)와, 호형 플레이트(4112)의 연결부가 위치한, 제1 에어 가이드 유입부의 입풍 방향에 수직되는 평면부에 위치한 횡단면적의 합은 S5인데, 그 중, 55%<S5/S<65%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에어컨의 배출구 기류의 송풍 거리가 보다 멀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P향 횡단면 면적도이다.
배출구에 환류가 없고, 배출구 기류가 상승되지 않도록 확보하기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류 분산 통로(71), 제2 기류 분산 통로(72), 제3기류 분산 통로(73) 및 제4기류 분산 통로(74)의 제1 에어 가이드 유입구 입풍 방향에 따른 기류 분산 배출구의 길이는 각각 LI, L2, L3, L4인데, 그 중, L3>L2>L4>L1이다. 다시 말하여, 기류 분산 배출구의 길이 역시 부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L4는 100 내지 140㎜의 범위 내에 있고, L3은 130 내지 190㎜의 범위 내에 있으며, L2는 120 내지 170㎜의 범위 내에 있고, L1은 80 내지 120㎜의 범위 내에 있다.
제1 기류 분산 통로(71), 제2 기류 분산 통로(72), 제3기류 분산 통로(73) 및 제4기류 분산 통로(74)의 제1 에어 가이드 유입구 입풍 방향에 수직되는 기류 분산 유입구의 길이는 각각 L5, L6, L7, L8이다. 바람직하게, L5는 35㎜ 내지 65㎜의 범위 내에 있고, L6은 30㎜ 내지 60㎜의 범위 내에 있으며, L7은 30㎜ 내지 60㎜의 범위 내에 있고, L8은 45㎜ 내지 90㎜의 범위 내에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에어 가이드 배출구와 가까운 제1 확장 플레이트(215)의 일단부에는 제1 바람막이 이너 플레이트(81)가 장착되고, 제2 에어 가이드 배출구와 가까운 제2 확장 플레이트(225)의 일단부에는 제2 바람막이 이너 플레이트(82)가 장착된다. 제1 바람막이 이너 플레이트(81)와 제2 바람막이 이너 플레이트(82)는 바람막이 및 환류 작용을 한다. 바람직하게, 제1 확장 플레이트(215)와 제1 바람막이 이너 플레이트(81)는 일체식 구조로서, 제1 확장 플레이트(215)는 출풍 방향쪽으로 확장된다. 물론, 단지 제1 에어 가이드 배출구와 가까운 제1 확장 플레이트(215)의 일단부와, 제2 에어 가이드 배출구와 가까운 제2 확장 플레이트(225)의 일단부 중 어느 하나에만 바람막이 이너 플레이트를 장착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21)과 제2 하우징(22)은 각각 아우터 플레이트(211), 이너 플레이트(212), 아우터 플레이트(211)와 이너 플레이트(212) 사이에 연결되는 리어 플레이트(213)와 탑 플레이트(214)를 포함하고, 아우터 플레이트(211), 이너 플레이트(212), 리어 플레이트(213) 및 탑 플레이트(214)는 둘러싸여 캐비티를 형성한다. 제1 하우징(21)과 제2 하우징(22)은 구조가 간단하고, 가공에 편리하며, 원가가 저렴하다. 바람직하게, 아우터 플레이트(211)의 하단부와 이너 플레이트(212)의 하단부 사이에는 거리가 있고, 두 개의 아우터 플레이트(211) 하단부는 둘러싸여 고리형 구조를 이루는데, 고리형 구조는 리어 플레이트(213)의 아래에 위치하고, 리어 플레이트(213)와 연결되며, 고리형 구조의 캐비티는 송풍 통로를 형성한다.
아우터 플레이트(211)는 원호면 구조로서, 원호면 구조의 반경은 배기구 파이프의 반경과 같다. 다시 말하여, 출풍 구조의 외측은 원호 구조를 유지하는데, 그 반경은 배기구 파이프의 반경과 같음으로써, 기류가 배기구 파이프에서 에어컨의 배출구로 분산되도록 확보하여, 유량 손실을 최소로 낮춘다.
탑 플레이트(214)와 리어 플레이트(213)의 연결 부분은 원호를 통하여 전환한다. 다시 말하여, 필렛값을 10㎜ 내지 30㎜로, 출풍 구조의 뒤쪽을 모깎기 하여, 중간 유인 송풍면의 면적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스윙 블레이드 내측의 배출구를 증가시킴으로써, 유인 송풍량을 증가시킨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에어 가이드 배출구로부터 떨어진 제1 에어 가이드 배출구의 외측에 제1 바람막이 아우터 플레이트(83)를 장착하는데, 제1 바람막이 아우터 플레이트(83)는 스윙 블레이드(60)의 외측에 위치하고; 제1 에어 가이드 배출구로부터 떨어진 제2 에어 가이드 배출구의 외측에 제2 바람막이 아우터 플레이트(84)를 장착하는데, 제2 바람막이 아우터 플레이트(84)는 스윙 블레이드의 외측(60)에 위치한다. 제1 바람막이 아우터 플레이트(83)와 제2 바람막이 아우터 플레이트(84)는 바람막이 작용을 한다. 물론, 단지 제2 에어 가이드 배출구로부터 떨어진 제1 에어 가이드 배출구의 외측과, 제1 에어 가이드 배출구로부터 떨어진 제2 에어 가이드 배출구의 외측 중 어느 하나에만 바람막이 아우터 플레이트를 장착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람막이 아우터 플레이트(83)에 호형의 제1 가이드 그루브(831)가 장착되고, 배기구 어셈블리는 복수의 제1 스윙부(100)를 더 포함하되, 제1 스윙부(100)의 일단부는 피벗으로 제1 바람막이 아우터 플레이트(83)에 연결되고, 제1 스윙부(100)의 타단부는 제1 가이드 그루브(831)를 통하여 스윙 블레이드(60)와 연결된다.
제2 바람막이 아우터 플레이트(84)에 호형의 제2 가이드 그루브를 장착하고, 배기구 어셈블리는 복수의 제2 스윙부를 더 포함하되, 제2 스윙부의 일단부는 피벗으로 제2 바람막이 아우터 플레이트(84)에 연결되고, 제2 스윙부의 타단부는 제2 가이드 그루브를 통하여 스윙 블레이드(60)와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에어 가이드 유입구로부터 떨어진 제1 에어 가이드 배출구의 일측에 제1 바람막이 탑 플레이트(85)를 장착하고; 제2 에어 가이드 유입구로부터 떨어진 제2 에어 가이드 배출구의 일측에 제2 바람막이 탑 플레이트(86)를 장착한다. 제1 바람막이 탑 플레이트(85)와 제2 바람막이 탑 플레이트(82)는 바람막이 작용을 한다. 물론, 단지 제1 에어 가이드 유입구로부터 떨어진 제1 에어 가이드 배출구의 일측과, 제2 에어 가이드 유입구로부터 떨어진 제2 에어 가이드 배출구의 일측 중 어느 하나에만 바람막이 탑 플레이트를 장착할 수도 있다.
에어 가이드 구조(20)는 연결고리(26)를 더 포함하되, 제1 하우징(21)과 제2 하우징(22)은 모두 연결고리(26)의 축선 방향에 따른 제1단부에 연결되고, 연결고리(26)의 축선 방향에 따른 제2단부는 배기구 파이프와 연결된다. 연결고리(26)는 배기구 파이프와 연결하기에 편리하고, 연결이 간편하여 설치 강도를 낮춘다. 바람직하게, 고리형 구조는 연결고리(26)와 연결된다.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구 어셈블리는 전환부(90)를 더 포함하되, 전환부(90)는 배출구에 장착되고, 연결고리(26)는 회전 가능하게 전환부(90)에 장착되며, 전환부(90)는 배출구와 송풍 통로를 연결하는 전환 덕트를 구비한다. 전환부(90)는 에어 가이드 구조(20)와 배기구 파이프를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는데, 연결이 간편하고 설치에 편리하다. 바람직하게, 연결고리(26)는 캐스케이드 고리로서, 연결고리(26)는 슈트(chute)를 통하여 전환부와 연결된다. 에어 가이드 구조(20)는 일체화로 성형되고, 에어 가이드 구조(20)는 전환부(90)를 기준으로 회전한다.
배기구 어셈블리는 구동기구를 더 포함하되, 구동기구는 에어 가이드 구조(20)와 구동 연결되어, 에어 가이드 구조(20)를 구동한다. 구동기구를 장착함으로써, 에어 가이드 구조(20)의 회전에 편리하다. 구동기구는 에어 가이드 구조(20)에 장착될 수 있고, 다른 위치에 장착될 수 도 있는데, 에어 가이드 구조(20)를 구동하여 회전시킬 수 있으면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에어컨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의 실시예는 배기구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배기구 어셈블리는 상기 배기구 어셈블리이다. 배기구 어셈블리는 어에컨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한다. 에어 가이드 구조(20)는 회전 가능하게 배기구 파이프의 배출구에 장착된다. 송풍기로부터 유출되는 기류는 배기구 파이프를 통하여 유출된 다음, 에어 가이드 유입구를 통하여 에어 가이드 캐비티에 진입하여, 에어 가이드 배출구로부터 흘러 나오고, 에어 가이드 배출구는 에어컨의 외각에 있는 배기구와 대응되며, 기류가 에어컨의 외각에 있는 배출구로부터 유출되는 송풍 방향은 에어 가이드 구조(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됨으로써, 에어컨의 회전 송풍을 실현하여, 에어컨의 송풍 범위를 확대하고, 실내 제냉 또는 제열을 가속화함과 동시에 찬 공기나 더운 공기가 사람한테 집중적으로 송풍되는 현상을 막아, 에어컨의 쾌적도를 향상한다.
상술한 내용으로부터 알수 있다시피, 본 발명은 신형의 회전식 기류 분산 가능한 에어 가이드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주요한 구조 특징은 이하와 같다.
1. 패키지 에어컨에서, 배기구 파이프에 회전 기능을 추가하여, 에어 가이드 구조를 원형 구조로 제작하여 회전에 편리하도록 함과 동시에, 에어 가이드 구조가 전환 구조를 통하여 배기구 파이프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전반 에어컨의 배기구가 송풍 파이프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어컨의 배출구가 사각지대가 없이 송풍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제냉 또는 제열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2. 배기구 파이프로부터 에어컨의 배기구에 이르는 덕트 내에 2단계 기류 분산을 채택하여, 에어컨 배출구의 출풍 속도가 보다 균일하도록 함과 동시에 유량 손실을 감소할 수 있다. 1단계는 V형 구조 기류 분산을 이용하여, 기류가 V형 구조에서 두 갈래의 기류로 분산되어 에어 가이드 캐비티 내에 진입되도록 하고, 2단계 기류 분산은 기류 분산 플레이트의 작용 하에, 기류가 네 갈래 기류로 분산되어 균일하게 유출되도록 한다.
3. 에어 가이드 구조 내부 기류의 분포 특징 및 유체 마찰 저항의 극복 크기에 따라, 에어 가이드 내부에 부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기류 분산 플레이트를 추가하되, 기류 분산 플레이트 하단부 기류 유입구의 면적은 뒤로부터 앞으로 순차적으로 감소되며, S1은 S의 18% 내지 23%를 차지하고, S2는 S의 20% 내지 25%를 차지하며, S3은 S의 20% 내지 28%를 차지하고, S4는 S의 25% 내지 35%를 차지하며, S1<S2<S3<S4로서, 배출구에서 기류의 압력이 같도록 확보하고, 이와 동시에, 매 개 기류 분산 플레이트의 수직과 수평 사이는 크기가 서로 다른 원호로 전환함으로써, 기류가 기류 분산 플레이트에 대한 충격 손실을 감소하되, 기류 분산 플레이트의 두께는 너무 두껍지 말아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배출 면적을 감소하여, 출풍량이 감소된다.
4. 기류 분산 플레이트는 배출구에서 수평을 유지하여, 배출되는 기류가 수평되게 앞으로 유동되도록 확보함과 동시에, S5와 S의 비는 55% 보다 크고 65% 보다 작은 것으로, 다시 말하여, 55%<S5/S<65%인데, 이는 에어컨의 배출구 기류의 송풍 거리가 더욱 멀어지도록 한다.
5. 배출구에 환류가 없고, 기류가 상승되지 않도록 확보하기 위하여, 수평 구간 역시 부등간격으로 배치하는데, 그 중, 배출구 높이는 각각 L3>L2>L4>L1이다. 그 중, 수평 구간은 스윙 블레이드로서, 스윙 블레이드는 제냉 또는 제열 작동 상태에서 기류 방향을 개변할 수 있으며, 수평 거리는 같다.
6. 에어 가이드 구조의 외측은 원호 구조를 유지하는데, 그 직경은 배기구 파이프의 직경과 같음으로써, 기류가 배기구 파이프에서 에어컨의 배출구로 분산되도록 확보하여, 유량 손실을 최소로 낮춘다.
7. 필렛값을 10㎜ 내지 30㎜로, 에어 가이드 구조의 뒤쪽을 모깎기 하여, 중간 유인 송풍면의 면적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스윙 블레이드 내측의 배출구를 증가시킴으로써, 유인 송풍량을 증가시킨다.
8. 덕트의 외측 구조는 다른데, 이는 먼저 연결고리에서 덕트 내부로 약간 전환한 다음, 기류 분산 통로 내에 진입함으로써, 주로 네 번째 덕트 배출구의 기류가 상승되는 것을 막는다.
9. 바람막이 이너 플레이트를 장착하는데, 이는 주로 맨 아래 배기구 기류가 상승되는 것을 막아, 에어컨의 수평 송풍을 확보함으로써, 송풍 거리를 보다 멀리 할 수 있다.
10. 기류 분산 플레이트의 수직 플레이트 높이는, 매 개 배출구의 높이가 확정된 후, 수직 플레이트와 원호 전환을 거친 후의 수직 높이에 의해 확정되는데, 원호 전환은 주로 기류의 충격 손실을 막으려는 것이며, 원호는 기류를 효과적으로 도류하여 기류 충격 손실을 피할 수 있는데, 원호 반경은 위로부터 아래로 순차적으로 작아진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보아낼 수 있다시피,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는 이하 기술효과를 달성한다.
1. 배기구 파이프에 회전 기능을 구비하는 에어 가이드 구조를 추가하여, 에어컨의 배기구가 회전 송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패키지 에어컨의 송풍 범위를 넓히고, 제냉 또는 제열 속도를 가속화함과 동시에, 찬 공기나 더운 공기가 사람한테 집중적으로 송풍되는 현상을 피할 수 있다.
2. 에어컨 배출구의 풍속이 균일하고, 송풍 거리가 멀어, 배출구의 기류와 실내 공기가 보다 충분하게 열교환을 진행할 수 있고, 게다가 에어컨의 배출구 회전 기능이 추가되여 기류 열교환을 더한층 증가할 수 있기에, 에어컨의 쾌적도를 향상한다.
상술한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부당한 제한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변경과 변화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과 원칙 내에서 발생하는 어떠한 수정, 균등치환, 개선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해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배기구 어셈블리로서,
    배기구를 구비하는 배기구 파이프와;
    회전 가능하게 상기 배기구에 장착되는 에어 가이드 구조(20)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 가이드 구조(20)는 에어 가이드 캐비티와 상기 에어 가이드 캐비티와 연결되는 에어 가이드 유입구 및 에어 가이드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에어 가이드 유입구는 상기 배기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구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가이드 유입구의 입풍 방향과 상기 에어 가이드 배출구의 출풍 방향 사이에 협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구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가이드 유입구의 입풍 방향과 상기 에어 가이드 배출구의 출풍 방향은 수직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구 어셈블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가이드 구조(20)의 회전 축선과 상기 에어 가이드 유입구의 입풍 방향은 평행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구 어셈블리.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가이드 캐비티 내부에는 상기 에어 가이드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기류를 여러 갈래의 기류로 분산시키는 기류 분산 구조(49)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구 어셈블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가이드 구조(20)는 서로 마주 보게 장착된 제1 하우징(21)과 제2 하우징(22)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하우징(21)은 제1 에어 가이드 캐비티, 상기 제1 에어 가이드 캐비티와 연결되는 제1 에어 가이드 유입구 및 제1 에어 가이드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22)은 제2 에어 가이드 캐비티, 상기 제2 에어 가이드 캐비티와 연결되는 제2 에어 가이드 유입구 및 제2 에어 가이드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에어 가이드 캐비티와 상기 제2 에어 가이드 캐비티는 함께 상기 가이드 캐비티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에어 가이드 유입구와 상기 제2 에어 가이드 유입구는 함께 상기 에어 가이드 유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에어 가이드 배출구와 상기 제2 에어 가이드 배출구는 함께 상기 에어 가이드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1 하우징(21)과 상기 제2 하우징(22) 사이에 유인 송풍 통로(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구 어셈블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 가이드 내부에는 상기 제1 에어 가이드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기류를 여러 갈래의 기류로 분산시키는 제1 기류 분산 구조(41)가 장착되고, 상기 제2 에어 가이드 캐비티 내부에는 상기 제2 에어 가이드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기류를 여러 갈래의 기류로 분산시키는 제2 기류 분산 구조(42)가 장착되며, 상기 제1 기류 분산 구조(41)와 상기 제2 기류 분산 구조(42)는 함께 기류 분산 구조(4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구 어셈블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류 분산 구조(41)와 상기 제2 기류 분산 구조(42)는 모두 복수의 기류 분산 플레이트(411)를 구비하되, 복수의 상기 기류 분산 플레이트(411)는 간격대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구 어셈블리.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21)과 상기 제2 하우징(22)은 각각 아우터 플레이트(211), 이너 플레이트(212),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211)와 상기 이너 플레이트(212) 사이에 연결되는 리어 플레이트(213)와 탑 플레이트(214)를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211), 상기 이너 플레이트(212), 상기 리어 플레이트(213) 및 상기 탑 플레이트(214)는 둘러싸여 캐비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구 어셈블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211)는 원호면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원호면 구조의 반경은 상기 배기구 파이프의 반경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구 어셈블리.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탑 플레이트(214)와 상기 리어 플레이트(213)의 연결 부분은 원호를 통하여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구 어셈블리.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가이드 구조(20)는 스윙 블레이드(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윙 블레이드(60)는 피벗 가능하게 상기 제1 에어 가이드 배출구 및 상기 제2 에어 가이드 배출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구 어셈블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 에어 가이드 배출구로부터 떨어진 상기 제1 에어 가이드 배출구의 외측에 제1 바람막이 아우터 플레이트(83)를 장착하되, 상기 제1 바람막이 아우터 플레이트(83)는 상기 스윙 블레이드(60)의 외측에 위치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제1 에어 가이드 배출구로부터 떨어진 상기 제2 에어 가이드 배출구의 외측에 제2 바람막이 아우터 플레이트(84)를 장착하며, 상기 제2 바람막이 아우터 플레이트(84)는 상기 스윙 블레이드의 외측(60)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구 어셈블리.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람막이 아우터 플레이트(83)에 호형의 제1 가이드 그루브(831)가 장착되고, 상기 배기구 어셈블리는 복수의 제1 스윙부(1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스윙부(100)의 일단부는 피벗으로 상기 제1 바람막이 아우터 플레이트(83)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스윙부(100)의 타단부는 상기 제1 가이드 그루브(831)를 통하여 상기 스윙 블레이드(60)와 연결되며; 그리고/또는 상기 제2 바람막이 아우터 플레이트(84)에 호형의 제2 가이드 그루브를 장착하고, 상기 배기구 어셈블리는 복수의 제2 스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스윙부의 일단부는 피벗으로 상기 제2 바람막이 아우터 플레이트(84)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윙부의 타단부는 상기 제2 가이드 그루브를 통하여 스윙 블레이드(6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구 어셈블리.
  15.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 가이드 유입구로부터 떨어진 상기 제1 에어 가이드 배출구의 일측에 제1 바람막이 탑 플레이트(85)가 장착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제2 에어 가이드 유입구로부터 떨어진 상기 제2 에어 가이드 배출구의 일측에 제2 바람막이 탑 플레이트(86)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구 어셈블리.
  16.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가이드 구조(20)는 연결고리(26)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하우징(21)과 상기 제2 하우징(22)은 모두 상기 연결고리(26)의 축선 방향에 따른 제1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고리(26)의 축선 방향에 따른 제2단부는 배기구 파이프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구 어셈블리.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 어셈블리는 전환부(9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전환부(90)는 상기 배기구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고리(26)는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전환부(90)에 장착되며, 상기 전환부(90)는 상기 배출구 및 상기 에어 가이드 유입구를 연결하는 전환 덕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구 어셈블리.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 어셈블리는 구동기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에어 가이드 구조(20)와 구동 연결되어, 상기 에어 가이드 구조(20)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구 어셈블리.
  19. 배기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에어컨으로서,
    상기 배기구 어셈블리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의 배기구 어셈블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KR1020197003202A 2016-09-12 2017-09-08 배기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컨 KR1022680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819003.7 2016-09-12
CN201610819003.7A CN107816789A (zh) 2016-09-12 2016-09-12 出风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PCT/CN2017/101081 WO2018045998A1 (zh) 2016-09-12 2017-09-08 出风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968A true KR20190025968A (ko) 2019-03-12
KR102268011B1 KR102268011B1 (ko) 2021-06-22

Family

ID=61561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3202A KR102268011B1 (ko) 2016-09-12 2017-09-08 배기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268011B1 (ko)
CN (1) CN107816789A (ko)
WO (1) WO20180459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30199A (zh) * 2018-09-21 2019-01-04 德奥福臻越智能机器人(杭州)有限公司 车门上装饰板表皮加热激活装置
CN110296525A (zh) * 2019-06-21 2019-10-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具有降低噪音效果的导风叶片及其控制方法、空调机组
CN110131872A (zh) * 2019-06-25 2019-08-16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导风组件以及空调器
CN110160138A (zh) * 2019-06-25 2019-08-23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导风机构以及空调器
KR20220007352A (ko) * 2020-07-10 2022-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CN112647258A (zh) * 2020-12-16 2021-04-13 奥普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晾衣机
CN114412263B (zh) * 2021-12-08 2023-03-10 中国科学院新疆生态与地理研究所 防沙装置
WO2023186013A1 (zh) * 2022-04-01 2023-10-05 奥普家居股份有限公司 晾衣机
CN115432021A (zh) * 2022-09-14 2022-12-06 株洲创春科技实业有限责任公司 一种轨道交通用司机室均风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479Y1 (ko) * 1995-09-27 1999-06-01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토출덕트
KR101516365B1 (ko) * 2014-12-31 201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4879904A (zh) * 2014-02-28 2015-09-0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6222B2 (ja) * 1994-02-10 1998-01-28 通彦 川野 案内羽根入りエルボ
KR101346834B1 (ko) * 2007-08-14 2014-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3968457B (zh) * 2013-02-06 2018-04-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室内机
CN103256658B (zh) * 2013-03-01 2015-08-1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落地式空调室内机
CN203550039U (zh) * 2013-09-26 2014-04-1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冷热温度均匀的空调器
KR102342120B1 (ko) * 2014-09-30 2021-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4374065A (zh) * 2014-10-31 2015-02-2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风道系统及其送风方法、具有该风道系统的风扇和空调器
CN206094466U (zh) * 2016-09-12 2017-04-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出风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CN106288269B (zh) * 2016-09-12 2022-02-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出风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CN206094465U (zh) * 2016-09-12 2017-04-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出风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479Y1 (ko) * 1995-09-27 1999-06-01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토출덕트
CN104879904A (zh) * 2014-02-28 2015-09-0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KR101516365B1 (ko) * 2014-12-31 201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45998A1 (zh) 2018-03-15
CN107816789A (zh) 2018-03-20
KR102268011B1 (ko)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5968A (ko) 배기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컨
CN106288269B (zh) 出风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CN105485765B (zh) 一种风管机、具有其的空调系统及出风控制方法
KR100408598B1 (ko) 직교류송풍기
US6141983A (en) Air conditioner
WO2022068461A1 (zh) 空调室内机
WO2022068462A1 (zh) 空调室内机
WO2014199590A1 (ja) 空気調和機
CN105352046A (zh) 空调器
CN105485764A (zh) 空调器
CN214469256U (zh) 散风组件和空调器
CN210118955U (zh) 空调器的导风板组件及其空调器
ITMI962702A1 (it) Gruppo di feritoie ad alette di ventilazione per un condotto di scarico ventilatore
JP6861333B2 (ja) エアカーテン
CN106594882B (zh) 空调柜机
CN212408871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WO2021082141A1 (zh) 天花机的面板组件及具有其的天花机
US11796216B2 (en) Air outlet device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20180103545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WO2021082142A1 (zh) 天花机的面板组件及具有其的天花机
WO2021088364A1 (zh) 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KR20180103534A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WO2017049447A1 (zh) 一种空调混合出风室内机
CN209181084U (zh) 空调器
CN208652719U (zh) 空调末端设备和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