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479Y1 - 공기조화기의 토출덕트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토출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479Y1
KR200142479Y1 KR2019950026317U KR19950026317U KR200142479Y1 KR 200142479 Y1 KR200142479 Y1 KR 200142479Y1 KR 2019950026317 U KR2019950026317 U KR 2019950026317U KR 19950026317 U KR19950026317 U KR 19950026317U KR 200142479 Y1 KR200142479 Y1 KR 2001424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ir
discharge
air conditioner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63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4590U (ko
Inventor
손민낙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500263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479Y1/ko
Publication of KR9700145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45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4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4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1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for guiding air around a cur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의 토출덕트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유동손실 및 소음을 저감시키고 송풍량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그 구성은 전면에 토출그릴(13)이 마련된 캐비닛(10)이 이 캐비닛(10)내에 설치된 열교환기(20)와 송풍팬(31), 이 송풍팬(31)을 수용하는 송풍덕트(30)를 포함한다. 송풍덕트(30)의 송풍덕트(30)의 상류측에는 송풍덕트(30)로부터 나와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자연스럽게 안내하는 안내판(50)이 설치된다. 이 안내판(50)은 토출그릴(13)을 향하여 만곡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토출덕트
제1도는 종래 공기조화기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다.
제2도는 종래 공기조화기의 송풍덕트부의 사시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송풍덕트부의 사시도이다.
제5도의 (a)는 제4도의 A-A선 단면도이고, (b)는 B-B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캐비닛 20 : 열교환기
30 : 송풍덕트 50 : 안내판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열교환된 조화공기가 송풍덕트를 지나 토출되는 것을 안내하는 토출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공기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고 소음을 낮추는 공기조화기의 토출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매를 사용하는 공기조화기는 룸(ROOM) 에어콘과 커스텀(CUSTOM) 에어콘으로 분류할 수 있다. 커스텀 에어콘은 공조기의 구성부품을 하나의 케이스 내에 갖추고 있는 것을 말하나, 구성품중에서 소음과 진동의 원인이 되는 압축기를 실외측열교환기와 함께 포함시킨 것을 실외기라 하여 외부로 분리시키고, 실내측열교환기 및 송풍기를 포함한 기기를 실내기라 하여 실내로 분리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커스텀 에어콘의 실내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비닛(10)내의 하측에 설치된 실내측열교환기(20)와 중앙에 설치된 송풍덕트(30)를 포함한다. 캐비닛(10)의 전면판(11)에는 열교환기(20)와 대응되는 위치에 흡입그릴(12)이 설치되고, 송풍덕트(30)내에는 송풍팬(도시안됨)이 설치되어 공기를 강제송풍시킨다. 따라서 실내의 공기는 흡입그릴(12)을 통해 흡입되어 열교환기(20)를 거치면서 조화공기로 되어 송풍덕트(30)를 거쳐 토출그릴(13)을 통해 조화공간으로 토출되는 것이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덕트(30)는 양측에 흡입구(32)가 형성되고 상측에 토출구(33)가 형성된 통형상이며, 송풍팬의 형상과 상응하도록 라운딩되어 있다. 또한 송풍팬의 회전방향과 관련하여 토출구(33)쪽으로 갈수록 크게 형성된다. 송풍덕트(30) 상측의 토출부(40)는 캐비닛(10)의 상측에 의해 형성되는데, 단순히 직방체상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에서는 송풍덕트(30)의 토출구(33)를 빠져 나온 토출공기가 토출부(40)를 거쳐 토출그릴(13)을 통해 조화공간으로 토출되는데, 토출부(40)의 형상이 단순한 직방체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의 유동이 자연스럽지 못하고 난류화가 되어 유동손실이 발생함과 동시에 소음의 증가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송풍덕트(30)의 토출구(33)를 빠져 나온 조화공기는 갑자기 넓어진 토출부(40)내에서 확산되어 일부는 토출부(40)의 모서리부분에서 정체되고 일부는 토출그릴을 통해 토출되는데, 정체된 일부의 공기가 뒤따르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유동손실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송풍량의 감소를 초래하고, 뒤따르는 공기와 부딪쳐 난류화되고 소음을 유발시켰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목적은 덕트구조를 개선하여 원활한 공기의 유동을 제공함으로써 유동손실 및 유동소음의 감소와 송풍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토출덕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덕트는, 전면에 토출그릴이 마련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내에 설치된 열교환기와 송풍기, 상기 송풍기를 수용하는 송풍덕트, 상기 송풍덕트의 상류측에 마련되어 상기 송풍덕트로부터 나와 토출되느 공기의 유동을 자연스럽게 안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공기조화기는 토출부(40)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제1도의 종래의 공기조화기와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캐비닛(10)의 전면판(11)에는 흡입그릴(12)과 토출그릴(13)이 상하로 각각 마련된다. 흡입그릴(12)의 내측에는 열교환기(20)가 설치되고 그 상측에는 송풍팬(31)을 수용하는 송풍덕트(30)가 설치된다. 송풍덕트(30) 상측의 캐비닛(10) 내부는 토출부(40)를 형성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덕트(30)의 상류측에 형성된 토출부(40)에는 송풍덕트(30)로부터 나와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자연스럽게 안내하는 수단으로서 안내판(50)이 설치된다. 이 안내판(50)은 캐비닛(10) 내부의 토출부(40)에서 송풍덕트(3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토출그릴(13)을 향하여 만곡된다. 즉, 안내판(50)은 송풍덕트(30)의 토출구(33)를 빠져 나온 공기가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안내한다. 이러한 안내판(50)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토출부(4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판(50)은 송풍덕트(30)의 바깥쪽을 흐른 공기가 부딪치는 곳보다 안쪽을 흐른 공기가 부딪치는 곳의 곡률이 작도록 형성된다. 즉, 도면상의 우측보다 좌측의 안내판(50)의 곡률이 작게 형성된다. 이는 송풍덕트(30)의 형상과 관련된 것으로, 송풍덕트(30)가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이 우측으로 치우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기의 유동이 치우져 유동량이 많은 곳의 곡률은 크게 하고 상대적으로 유동량이 적은 곳의 곡률을 작게함으로써 공기의 유동이 보다 자연스러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덕트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송풍팬(31)이 작동하면, 실내의 공기가 흡입그릴(12)을 통해 공조기 내부로 유입되어 열교환기(20)를 거치면서 조화공기로 된다. 이러한 조화공기는 송풍덕트(30)와 토출부(40)를 차례로 통과하여 토출그릴(13)을 통해 조화공간으로 토출된다. 이때 송풍덕트(30)의 토출구(33)를 빠져나온 공기는 안내판(50)에 의해 그 유동이 자연스러워지도록 안내되는데, 안내판(50)이 토출그릴(13)을 향하여 만곡 되어 있으므로 송풍덕트(30)를 빠져나온 공기가 갑자기 확산되거나 그 유동방향이 꺽이지 않고 안내판(50)을 따라 자연스럽게 방향전환되어 토출그릴(13)을 통해 조화공간으로 토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유동손실 및 소음이 감소되고 풍량이 증대되는데, 각 회전수에 따른 소음과 풍량의 변화를 종래의 공기조화기와 대비하여 표로 작성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는 송풍팬의 동일 회전수에 대해 소음을 비슷하거나 좀 낮은 결과를 보였고, 풍량은 1~0.7(m3/min) 증가하였다. 풍량의 증가는 열교환량을 증대시키므로 궁극적으로 효율의 증대로 이어진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덕트에 의하면, 송풍덕트를 나온 공기가 안내판에 의해 자연스럽게 안내되어 유동하므로 유동손실 및 소음이 감소하고 풍량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면에 토출그릴(13)이 마련된 캐비닛(10), 상기 캐비닛내에 설치된 열교환기(20)와 송풍팬(31), 상기 송풍팬을 수용하는 송풍덕트(30), 상기 송풍덕트(30)에서 나온 공기를 상기 토출그릴(13)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송풍덕트(30)의 상측에 마련된 토출부(40)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토출덕트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40)에는 상기 토출그릴(13)을 향하여 만곡된 안내판(50)이 설치되고,
    상기 안내판(50)은 상기 송풍덕트의 바깥쪽을 흐른 공기가 부딪치는 부분보다 안쪽을 흐른 공기가 부딪치는 부분의 곡률이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덕트.
KR2019950026317U 1995-09-27 1995-09-27 공기조화기의 토출덕트 KR2001424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6317U KR200142479Y1 (ko) 1995-09-27 1995-09-27 공기조화기의 토출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6317U KR200142479Y1 (ko) 1995-09-27 1995-09-27 공기조화기의 토출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590U KR970014590U (ko) 1997-04-28
KR200142479Y1 true KR200142479Y1 (ko) 1999-06-01

Family

ID=19424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6317U KR200142479Y1 (ko) 1995-09-27 1995-09-27 공기조화기의 토출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4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5968A (ko) * 2016-09-12 2019-03-12 그리 일렉트릭 어플라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오브 주하이 배기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5968A (ko) * 2016-09-12 2019-03-12 그리 일렉트릭 어플라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오브 주하이 배기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컨
KR102268011B1 (ko) * 2016-09-12 2021-06-22 그리 일렉트릭 어플라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오브 주하이 배기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590U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1613A (ko) 공기조화기
JP2002195595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KR200142479Y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덕트
JP2005024225A (ja) 空気調和機
JP3596422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H06307665A (ja) 空気調和機
KR20040015872A (ko) 액자형 공기조화기
KR100360429B1 (ko) 공기조화기의 송풍장치
CN219693443U (zh) 壁挂式空调
JPH08178333A (ja) 空気調和機
CN213713259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JPH05306823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2689802B2 (ja) 空気調和機
KR101046513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풍향조절장치
KR0159242B1 (ko) 공기조화기 송풍수단의 풍향유도구조
JPH05141680A (ja) 空気調和機
KR0122718Y1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토출장치
KR200142344Y1 (ko) 창문형 공기 조화기
KR200352710Y1 (ko) 공기조화기의 송풍덕트
KR20230106451A (ko) 공기조화기
KR100360258B1 (ko) 공기조화기
KR20230158955A (ko) 공기조화기
KR100360425B1 (ko) 공기 조화기
KR20230158963A (ko) 공기조화기
KR0117035Y1 (ko) 공기조화기의 송풍유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