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3241A -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3241A
KR20190023241A KR1020170108666A KR20170108666A KR20190023241A KR 20190023241 A KR20190023241 A KR 20190023241A KR 1020170108666 A KR1020170108666 A KR 1020170108666A KR 20170108666 A KR20170108666 A KR 20170108666A KR 20190023241 A KR20190023241 A KR 20190023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message
processor
outpu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4518B1 (ko
Inventor
최인영
주종성
이승철
이제현
조기호
조형탁
최아름
이소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8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518B1/ko
Priority to US16/113,110 priority patent/US10475339B2/en
Priority to PCT/KR2018/009883 priority patent/WO2019045396A1/en
Priority to EP18851462.4A priority patent/EP3659302B1/en
Publication of KR20190023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241A/ko
Priority to US16/655,269 priority patent/US10769944B2/en
Priority to US16/939,323 priority patent/US1129561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26Delivery according to priorities
    • H04L51/26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1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 G08G1/093Data selection, e.g. prioritizing information, managing message queues, selecting the information to be outpu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0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might be used to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 G08G1/09671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might be used to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does not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a selection of the information might take place
    • G08G1/0967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a selection of the information might take place where a selection from the received information takes place in the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6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 G08G1/096791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where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is another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1Decentralised systems, e.g. inter-vehicle communication
    • G08G1/162Decentralised systems, e.g. inter-vehicle communication event-trigge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모듈; 디스플레이; 음향 출력 장치; 상기 통신 모듈, 상기 표시 장치 및 상기 음향 출력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복수의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WAVE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이벤트들을 판단하고, 상기 확인된 복수의 이벤트들을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이벤트들의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메시지들을 출력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METHOD FOR PROCESSING MESSAGE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통신의 발달을 통해 운행 중인 차량과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는 통신도 발달하고 있다.
한 예로, V2X(Vehicle to Everything) 기술이 각광 받고 있으며, 이는 차량 간의 통신(V2V), 차량과 도로 인프라와의 통신(V2I), 차량과 클라우드 간의 통신(V2N)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들은 이러한 V2X 기술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구비하며, 이를 통신 모듈은 IEEE 802.11p 표준 규격을 따른다.
전자 장치들은 통신망 인프라 없이 차량과 차량간에 전달되는 정보 등을 이용하여 차량주변의 교통 정보를 정확하게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전의 기술인 네비게이션 시스템 보다 정확하다.
하지만, 이러한 V2X 기술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들은 주변의 전자 장치들로부터 교통 정보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기 때문에 무분별한 메시지의 전송을 유발하여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무분별한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전자 장치의 사용자는 정작 중요한 메시지 확인을 못할 수도 있고 중요도가 낮은 메시지만을 확인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에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메시지를 우선순위에 따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의미 있는 정보를 빠르게 제공할 수 있는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모듈; 디스플레이; 음향 출력 장치; 상기 통신 모듈, 상기 표시 장치 및 상기 음향 출력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복수의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WAVE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이벤트들을 판단하고, 상기 확인된 복수의 이벤트들을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이벤트들의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메시지들을 출력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는, 메시지를 우선순위에 따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의미 있는 정보를 빠르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는, 메시지가 출력되는 중이더라도 우선 순위가 높은 이벤트가 감지될 시 먼저 처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중요한 정보를 빠르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는, 우선순위에 따라 메시지 표시 방식을 다르게 하여 사용자가 메시지의 중요도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는, 메시지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음성으로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알리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는, 충격이 감지된 경우에 따라 사용자에게 긴급 메시지 처리에 대한 요청을 수행하여 긴급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빠르게 처리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서의 전자 장치 구조 및 외부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 연결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메시지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를 처리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를 처리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를 처리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를 처리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및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의 경우와 같이,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수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스피커와 전화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190)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구별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예: 무선 통신 모듈(192))은 통신 방식에 적합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들은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외부 전자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하, 도 2a 내지 도 12에서 본 발명의 메시지 처리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특히, 활발한 이동성을 갖는 차량 환경에서 높은 속도, 짧은 범위 및 낮은 지연 특성을 가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장치는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통신 규격을 따르며 WAVE 통신 규격은 IEEE 802.11p 및 IEEE 1609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a)(예: 전자 장치(101))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WAVE 통신을 지원 가능하도록 하는 WAVE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예로, 전자 장치(201a)(예: 전자 장치(101))의 BT/WIFI(802.11p/ac/n/p) 및 Security Chip이 WAVE 모듈에 해당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b)(예: 전자 장치(101))는 WAVE 모듈을 지원하는 외부 전자 장치 간의 통신을 통해 WAVE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b의 참조번호 (211b)는 중앙연산처리 장치에 해당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를 포함하고 있지 않는 동글 형태의 WAVE 모듈일 수 있다. 동글 형태의 WAVE 모듈(211b)은 기저 대역 제어기(Baseband controller), 트랜시버(Tranceiv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저 대역 제어기는 특정 반송파를 변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신호에 의해 얻어지는 주파수 대역을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c)(예: 전자 장치(101))는 WAVE 모듈을 지원하는 외부 전자 장치 간의 통신을 통해 WAVE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c의 참조번호 (211c)는 중앙연산처리 장치에 해당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WAVE 모듈을 포함하는 외부 전자 장치(211c)는 중앙연산처리 장치에 해당하는 ARM controller 및 이에 의해 제어되고 WAVE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V2X 모듈과 그에 연결된 다이플렉서(diplex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WAVE 모듈을 포함하는 외부 전자 장치(211c)는 이 외에도, 배터리 및 USB를 제어하는 PMIC 및 센서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자 장치는 WAVE 통신을 통해 복수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정보들은 WAVE 통신을 통해 송수신될 수 있다. 복수의 정보는 전자 장치들 간의 통신, 전자 장치와 인프라 간의 통신 전자 장치와 외부 서버 간의 통신 등을 통해 송수신될 수 있다. 복수의 정보들은 위도(Latitude), 경도(Longitude), 고도(Elevation), 차량의 변속기 현재 상태(TransmissonState), 각 축에 대한 위치 정확도(PositionalAccuracy), 속도(Speed), 핸들 조향각(SteeringWheelAngle), 브레이크 시스템 상태(BrakeSystemStatus), 차량 길이와 폭(VehicleSiz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상기와 같은 정보를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로서 처리할 수 있다. 한 실시 예로, 한 차량을 나타내는 전자 장치의 위도, 경도 및 차량 길이와 폭에 관한 정보와 다른 차량을 나타내는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위도, 경도 및 차량 길이와 폭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두 차량의 충돌 여부를 알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송수신된 복수의 정보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이벤트는 예를 들어 앞선 예에 언급되었던 두 차량의 충돌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판단된 이벤트들을 복수개의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와 무선 연결된 자동차에서 난 사고를 주변 차량에게 알리는 제 1 사고 알림 이벤트, 보행자 및/또는 차량과의 충돌을 알리는 충돌 알림 이벤트, 다른 차량의 사고를 알리는 제 2 사고 알림 이벤트, 소방차, 앰뷸런스 등 긴급 차량에 관한 긴급 차량 알림 이벤트 및 교통의 흐름이 정체됨을 알리는 정체 알림 이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사회 약자 및 배려자 알림 이벤트도 구분될 수 있다. 사회 약자 및 배려자 알림 이벤트는 운전자 또는 차량에 동승해 있는 사람이 임산부, 초보운전, 장애인, 고령 운전자 등을 알리는 이벤트일 수 있다. 상기 이벤트들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으며 정해진 우선순위대로 전자 장치에 메시지로 처리되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거나 다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도록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한 실시예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와 무선 연결된 자동차에서 난 사고를 주변 차량에게 알리는 제 1 사고 알림 이벤트가 가장 최우선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판단된 이벤트들을 전자 장치의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이벤트와 관련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고 다른 전자 장치의 사용자에게 생성된 메시지를 전달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300)은 전자 장치가 송수신한 정보들을 바탕으로 판단된 이벤트들과 관련된 메시지들(301 내지 305)을 생성한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참조번호 (300)에 도시된 생성된 메시지들(301 내지 305)은 시간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다. 참조번호 (350)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300)에 나열되어 있던 메시지들(301 내지 305)이 본 발명의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우선 순위, 통합, 삭제 등이 처리된 메시지들을 도시한 것이다.
한 실시예로, 전자 장치는 판단된 이벤트들의 중복 또는 관련성 여부를 판단하여, 중복된 이벤트가 있는 경우 하나의 메시지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300)의 제 1 보행자 감지 메시지(301)와 제 2 보행자 감지 메시지(305)는 참조번호 (350)의 보행자 감지 메시지(351)처럼 통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참조번호 (300)의 정체 감지 메시지(302)와 초보운전자 감지(304)는 참조번호 (350)의 정체 및 초보운전 감지 메시지(352)처럼 통합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제 1 보행자 감지 메시지(301)와 제 2 보행자 감지 메시지(305)를 따로 출력하는 것 보다 통합된 메시지인 보행자 감지 메시지(351)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의미 있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통합된 메시지인 정체 및 초보운전 감지 메시지(352)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주요한 정보를 빠르게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전자 장치는 판단된 이벤트를 처리할 때, 이후에 새롭게 수신된 정보들을 바탕으로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한 예로, 전자 장치는 새롭게 수신된 정보들 중 하나인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의 변화를 감지하여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아도 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사고차량 감지 메시지(303)를 1차로 출력한 후에, 상기 메시지와 관련된 이벤트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의 주행 방향을 변경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2차로 출력할 사고차량 감지 메시지(313)을 삭제하여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는 새롭게 수신된 정보들 중 하나인 외부 장치들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아도 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사고차량 감지 메시지(303)를 1차로 출력한 후에, 상기 메시지와 관련된 이벤트 예를 들어, 사고 차량이 견인되어 상황이 종료됨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2차로 출력할 사고차량 감지 메시지(313)을 삭제하여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전자 장치는 이벤트의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송수신되는 정보들을 기반으로 판단된 이벤트들의 우선순위,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 외부 전자 장치들과 관련된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이를 기반으로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를 처리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작 401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실시간으로 복수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동작 402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송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복수의 이벤트들을 판단할 수 있다.
동작 403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이벤트들과 관련된 복수의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 404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메시지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 405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생성된 메시지들을 우선순위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실시간으로 복수의 정보를 송수신 하면 출력중인 메시지보다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더 높은 우선순위의 새로운 메시지를 출력해야 하는 경우, 출력 중인 메시지를 중단하고 새로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되어 도 5a 내지 도 6b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 및 5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를 처리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동작 501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실시간으로 복수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동작 502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송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복수의 이벤트들을 판단할 수 있다.
동작 503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이벤트들과 관련된 복수의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 504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메시지들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 505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복수의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메시지를 우선순위에 따라 출력할 시에,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고 그와 동시에, 전에 혹은 후에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의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이후에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c의 참조번호 51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는 정체 발생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a의 동작 506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변경된 전자 장치의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수신된 새로운 전자 장치의 정보를 바탕으로 새로운 이벤트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c의 참조번호 413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는 정체 발생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중에 전자 장치의 주변에 보행자가 존재함 나타내는 정보를 바탕으로 보행자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다.
동작 507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출력 중인 메시지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동작 507에서의 판단 결과,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가 출력 중인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동작 503로 진행하여 새롭게 판단된 이벤트들과 관련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이벤트들의 우선순위에 따라 순서대로 출력할 수 있다.
동작 507에서의 판단 결과,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가 출력 중인 메시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동작 508으로 진행하여 새로운 이벤트가 출력중인 메시지와 관련된 이벤트 보다 우선순위가 높은지 판단할 수 있다.
동작 508에서의 판단 결과,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새로운 이벤트가 출력중인 메시지와 관련된 이벤트 보다 우선순위가 낮다고 판단한 경우, 동작 503로 진행하여 새롭게 판단된 이벤트들과 관련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이벤트들의 우선순위에 따라 순서대로 출력할 수 있다.
동작 508에서의 판단 결과,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새로운 이벤트가 출력중인 메시지와 관련된 이벤트 보다 우선순위가 높다고 판단한 경우, 도 5b의 동작 509로 진행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동작 509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출력중인 메시지의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도 5c에서 예를 든 정체 발생 감지 이벤트와 관련된 메시지의 표시를 중단할 수 있고 음성으로 출력되는 메시지를 중단할 수 있다.
동작 510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새롭게 판단된 이벤트와 관련된 메시지를 생성하고 동작 511에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c의 참조번호 516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보행자 감지 이벤트와 관련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일부에 보행자 감지 이벤트와 관련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메시지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동작 512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새로운 이벤트와 관련된 메시지의 출력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512에서의 판단결과,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새로운 이벤트와 관련된 메시지의 출력이 종료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동작 511로 진행할 수 있다.
동작 512에서의 판단결과,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새로운 이벤트와 관련된 메시지의 출력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동작 513로 진행할 수 있다.
동작 513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새로운 이벤트와 관련된 메시지의 출력으로 인해 중단된 메시지를 다시 출력할 수 있다. 도 5c의 참조번호 517를 참조하면 새로운 이벤트인 보행자 감지 이벤트에 관한 메시지의 출력이 종료된 경우 이전에 출력되다 중단된 정체 발생 감지 이벤트에 관한 메시지를 재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도 6a 및 도 6b에서 메시지를 처리하는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를 처리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도 5b의 동작 513의 세부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a의 동작 60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중단된 메시지의 우선 순위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602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중단된 메시지의 우선순위 보다 높은 메시지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동작 602의 판단 결과, 중단된 메시지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메시지가 존재 하지 않는 다면 동작 603으로 진행하여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중단된 메시지를 재 출력할 수 있다.
동작 602의 판단 결과, 중단된 메시지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메시지가 존재 한다면 동작 604로 진행하여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우선 순위 높은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를 처리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b의 흐름도의 동작은 도 6a의 중단된 메시지를 재 출력할 시에 수행될 수 있다.
도 6b의 동작 61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중단된 메시지의 출력량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정체 발생 감지 이벤트와 관련된 메시지의 음성 출력이 메시지의 제목만 음성 출력이 되었는지, 메시지의 내용 중 절반 이상이 출력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612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중단된 메시지의 출력량이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612에서의 판단 결과, 중단된 메시지의 출력량이 기준값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 동작 613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동작 613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중단된 메시지의 일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메시지의 제목만을 재 출력하거나, 출력되지 않은 메시지의 나머지를 이어서 출력할 수 있다.
동작 612에서의 판단결과, 중단된 메시지의 출력량이 기준값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 동작 614로 진행할 수 있다.
동작 614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중단된 메시지의 전체 내용을 다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우선순위에 따라 생성된 이벤트 관련 메시지를 출력하다가 충격을 감지한 경우 사용자의 입력을 요청하고 그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소정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긴급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하기 도 7, 도 8a, 8b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를 처리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동작 700에서 실시간으로 복수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정보는 WAV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동작 701에서 복수의 이벤트들을 판단할 수 있다. 동작 702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이벤트들과 관련된 복수의 메시지들을 생성할 수 있다. 동작 703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메시지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 704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생성된 메시지들을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동작 705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충격을 감지 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동작 706의 판단 결과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가 충격을 감지했다고 판단하지 않은 경우 동작 704로 진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생성된 메시지들을 우선순위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동작 705의 판단 결과,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충격을 감지했다고 판단한 경우 동작 706로 진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 내의 충격을 감시하는 센서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706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을 요청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동작 707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동작 707의 판단 결과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동작 704로 진행하여 충격을 무시하고 생성된 메시지들을 우선순위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동작 707의 판단 결과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동작 708로 진행하여 긴급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도 8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801)의 디스플레이(812) 상의 일부에 사용자 인터페이스(811)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811)는 긴급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긴급 메시지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아이콘(811a), 메시지의 제목(811b) 및 메시지의 내용(811c)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의 내용(811c)는 ‘사고 발생 감지. 주변 차량에 사고 경보를 전달합니다.’를 포함할 수 있다. 긴급 메시지는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아이콘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즉시전달’ 버튼 (811d) 및 ‘취소’ 버튼 (811e)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801)는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801)는 사용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취소’라는 아이콘 터치를 감지한 경우 긴급 메시지를 처리하지 않고 즉, 충격을 무시하고 이전에 생성된 메시지들을 우선순위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801)에 연결된 차량이 과속방지턱을 넘는 경우 충격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자 장치(801)의 사용자는 전자 장치(801)의 디스플레이(812)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811) 상에 이를 사용자는 사고가 아님을 알리기 위해 ‘취소’ 아이콘(811e)을 터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전자 장치(80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11)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이 소정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은 경우 긴급 메시지를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11)에 따라 전자 장치(80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11)를 통해 사용자가 ‘즉시 전달’ 버튼(811d)을 터치함을 감지한 경우 긴급 메시지를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즉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801)에 연결된 차량이 다른 차량과 충돌함으로써 전자 장치(801)는 충격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자 장치(80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11)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이 소정시간 입력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충돌로 인해 의식 불명된 상태로 판단하여 긴급 메시지를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도 8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801)의 디스플레이(812) 상의 일부에 사용자 인터페이스(811)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811)는 긴급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긴급 메시지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아이콘(811a), 메시지의 제목(811b) 및 메시지의 내용(811c)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의 내용(811c)는 ‘사고 발생 감지. 주변 차량에 사고 경보를 전달합니다. 아닌 경우 ‘취소’ 또는 ‘경보 전달 안함’이라고 말씀해주세요.’를 포함할 수 있다. 긴급 메시지는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아이콘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즉시전달’ 버튼 (811d) 및 ‘취소’ 버튼 (811e)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801)는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전자 장치(801)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811)를 통해 ‘취소’ 또는 ‘경보 전달 안함’이라는 음성 입력을 감지한 경우 긴급 메시지를 처리하지 않고 즉, 충격을 무시하고 이전에 생성된 메시지들을 우선순위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801)에 연결된 차량이 과속방지턱을 넘는 경우 충격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자 장치(801)의 사용자는 사고가 아님을 알리기 위해 ‘취소’ 또는 ‘경보 전달 안함’이 라는 음성을 입력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메시지가 전자 장치 상에 출력되는 여러 실시예를 나타낼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901)의 디스플레이(912) 상의 일부에 메시지(911)를 표시할 수 있다. 메시지(911)는 메시지(911)를 나타내는 아이콘(911a), 메시지의 제목(911b) 및 메시지의 내용(911c)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의 제목(911b)는 ‘정체 감지’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의 내용(911c)는 한 예로 ‘1km 전방에 정체 정보 감지. 해당 구역 진입 시, 주의하세요. 우측에 우회도로가 있습니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901)는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전자 장치(901)는 메시지의 제목 및 메시지의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901)는 메시지를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약 2초의 시간 동안 표시하고 사라지더라도 메시지의 제목(911b) 및 메시지의 내용(911c)을 음성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도 10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의 일부에 메시지(1011)를 표시할 수 있다. 메시지(1011)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아이콘(1011a), 메시지의 제목(1011b) 및 메시지의 내용(1011c)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의 제목(1011b)는 ‘정체 감지’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의 내용(1011c)는 한 예로 ‘1km 전방에 정체 정보 감지. 해당 구역 진입 시, 주의하세요. 우측에 우회도로가 있습니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메시지(1011)를 음성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한 실시예로, 전자 장치는 우선 순위가 높은 이벤트와 관련된 메시지인 경우 메시지를 1차 및 2차에 걸쳐 안내할 수 있다. 1차로 전자 장치는 메시지 표시와 메시지 음성 출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메시지를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약 2초의 시간 동안 표시하고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표시되던 메시지가 사라지더라도 메시지의 제목(1011b) 및 메시지의 내용(1011c)을 음성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2차로 전자 장치는 메시지 제목(1011b)만을 표시하거나 메시지 제목(1011b)의 음성을 볼륨 높여서 재출력할 수 있다.
도 11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101)의 디스플레이(1112) 상의 일부에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메시지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아이콘(1111a), 메시지의 제목(1111b) 및 메시지의 내용(1111c)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의 제목(1111b)는 ‘정체 감지’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의 내용(1111c)는 한 예로 ‘0.2km 전방에 정체 정보 감지. 해당 구역 진입 시, 주의하세요. 우측에 우회도로가 있습니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한 실시예로, 전자 장치(1101)는 우선 순위가 높은 이벤트와 관련된 메시지인 경우 메시지를 전자 장치(1101)의 디스플레이(1112) 상의 일부에 표시하고 디스플레이(1112)가 엣지 영역(1120)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엣지 영역(1120)에 시각적인 효과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1)는 우선 순위에 따라 엣지 영역(1120)에 표시되는 시각적 효과를 상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우선 순위에 따라 메시지를 표시하는 방법이 상이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12b 및 도 12c는 차량에 연결된 자동차(1201)이거나 보행자가 사용하는 전자 장치(1251)에 따라 표시하는 방법이 상이할 수 있다.
한 실시 예로 도 12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201)는 차량과 연결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1201)의 디스플레이(1220)의 상단에 우선 순위가 낮은 이벤트와 관련된 메시지(1211)를 표시할 수 있다. 메시지(1211)는 메시지(1211)를 나타내는 아이콘(1211a), 메시지의 제목(1211b) 및 메시지의 내용(1211c)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의 제목(1211b)는 ‘정체 발생 감지’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의 내용(1211c)는 한 예로 ‘1km 전방에 정체 정보 감지. 해당 구역 진입 시, 주의하세요. 우측에 우회도로가 있습니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201)는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201)는 메시지의 제목 및 메시지의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201)는 메시지를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약 2초의 시간 동안 표시하고 사라지더라도 메시지의 제목 및 메시지의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도 12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201)는 차량과 연결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1201)는 전자 장치(1201)의 디스플레이(1220)의 중앙에 우선 순위가 높은 이벤트와 관련된 메시지(1212)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201)는 메시지(1212)를 디스플레이의 중앙에 표시할 때, 메시지(1212)에 이목을 집중시키기 위하여 이전에 표시되던 화면을 가리고 중앙에 메시지(1212)만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1201)는 메시지(1212)를 디스플레이의 중앙에 표시할 때, 메시지(1212)에 이목을 집중시키기 위하여 전자 장치의 화면에 깜박임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메시지(1212)는 메시지(1212)를 나타내는 아이콘(1212a), 메시지의 제목(1212b) 및 메시지의 내용(1212c)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의 제목(1212b)는 ‘보행자 감지’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의 내용(1212c)는 한 예로 ‘N km 전방에 보행자 감지. 해당 구역 진입 시, 주의하세요.’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201)는 메시지(1212)를 음성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201)는 메시지의 제목(1212b) 및 메시지의 내용(1212c)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201)는 메시지(1212)를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약 2초의 시간 동안 표시하고 사라지더라도 메시지의 제목(1212b) 및 메시지의 내용(1212c)을 음성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12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251)는 보행자가 사용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1251)는 전자 장치(1251)의 디스플레이의 중앙에 우선 순위가 높은 이벤트와 관련된 메시지(1252b) 및 사용자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51a)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251)는 메시지(1252b)를 디스플레이의 중앙에 표시할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메시지(1252b)에 이목을 집중시키기 위하여 이전에 표시되던 화면을 가리고 중앙에 메시지(1252b)와 사용자 인터페이스(1252a)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의 내용(1252b)는 ‘자동차 충돌 위험이 감지되었습니다. 주의하세요.’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251)는 메시지(1252b)를 음성으로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251)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메시지(1252b)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전자 장치와 이벤트 발생 지점의 상대적인 거리와 처리 긴급도에 따라 메시지의 표시 면적, 아이콘의 크기 등이 다르게 표시되는 예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메시지의 내용이 같더라도 전자 장치와 이벤트 발생 지점 간의 거리에 따라 중요도를 다르게 판단하며 더 중요하다고 판단된 메시지를 더 크게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13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관련 화면(예: 지도)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이벤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네비게이션 화면(1312)에 이벤트 발생 지점(1320a)과 차량과 연결된 전자 장치(1330a)의 위치를 아이콘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이벤트 발생 지점(1320a)과 차량과 연결된 전자 장치의 위치(1330a)간의 거리가 약 1km임을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1차적으로 이벤트와 관련된 메시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1312) 상단에 표시할 수 있다. 메시지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아이콘(1311a), 메시지의 제목(1311b) 및 메시지의 내용(1311c)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의 제목(1311b)는 ‘사고발생 감지’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의 내용(1311c)는 ‘1km 전방에 사고발생 감지. 해당 구역 진입 시, 주의하세요.’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1차로 메시지를 표시한 후에 이벤트 발생 지점과 전자 장치 위치 간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거리가 짧아지면 짧아질수록 화면 상에 표시되어 있던 이벤트 발생 지점의 아이콘을 확대해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1차 메시지를 표시한 시점에 이벤트 발생 지점과 전자 장치의 위치 간의 거리를 100으로 놓고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기존 아이콘 크기 대비 N%씩 키워서 표시할 수 있다.
도 13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이벤트 발생 지점과 차량과 연결된 전자 장치의 위치가 일정 거리 이하이거나, 1차로 메시지를 출력한 시점 이후로 전자 장치의 상태가 변경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2차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중앙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2차로 표시한 메시지의 글자 크기 및 메시지를 나타내는 아이콘의 크기를 일정 정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메시지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아이콘(1321a), 메시지의 제목(1321b) 및 메시지의 내용(1321c)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의 제목(1321b)는 ‘사고발생 감지’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의 내용(1321c)는 ‘200m 전방에 사고발생 감지. 해당 구역 진입 시, 주의하세요.’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1차 메시지보다 2차 메시지의 볼륨을 더 크게 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차량 운행 시나 보행 시 다른 어플리케이션보다 WAVE 메시지의 안전성 관련 메시지 출력을 최우선으로 두어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한 예로, 사용자가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음악을 재생하며 차량을 운행하고 있는 경우, 전자 장치는 WAVE 메시지 출력이 필요할 시에 음악을 백그라운드 상태로 변경하고 음악의 음량을 최소화한 후에 WAVE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통화를 하고 있는 동안 WAVE 메시지 출력이 필요할 시에 전자 장치는 상대방 통화 음성과 WAVE 메시지의 음성을 믹싱(mixing)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사용자가 전자 장치의 화면을 보고 있지 못하는 경우, 예를 들어 통화중인 경우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외부 전자 장치(예: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메시지 출력을 요청할 수 있다.
101: 전자 장치
120: 프로세서
130: 메모리
160: 디스플레이
176: 센서 모듈

Claims (11)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모듈;
    디스플레이;
    음향 출력 장치;
    상기 통신 모듈, 상기 표시 장치 및 상기 음향 출력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복수의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WAVE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이벤트들을 판단하고,
    상기 확인된 복수의 이벤트들을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이벤트들의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메시지들을 출력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는,
    상기 송수신되는 복수의 WAVE 정보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속도, 상기 복수의 이벤트들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위치와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간의 거리, 상기 복수의 이벤트들의 기 설정된 중요도를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새로운 WAVE 정보를 송수신하여 새로운 이벤트를 판단한 경우, 상기 새로운 WAVE 정보를 송수신함에 따라 변화된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출력 중인 메시지와 관련된 이벤트와 상기 새로운 이벤트의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새로운 이벤트의 우선순위가 높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출력중인 메시지의 출력을 중단하고, 상기 새롭게 판단된 이벤트와 관련된 메시지를 생성 및 출력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새롭게 판단된 이벤트와 관련된 메시지의 출력이 종료되면 상기 중단된 메시지를 재 출력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새롭게 판단된 이벤트와 관련된 메시지의 출력이 종료된 후에 WAVE 정보를 송수신함에 따라 변화된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중단된 메시지의 재 출력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중단된 메시지의 출력량이 기준값 이상인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중단된 메시지의 출력량이 상기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중단된 메시지의 일부를 출력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중단된 메시지의 출력량이 상기 기준값 이하면, 상기 중단된 메시지 전체를 출력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된 메시지의 일부는,
    상기 중단된 메시지의 제목 또는 상기 중단된 메시지의 출력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충격 감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터치 입력이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충격에 관한 긴급 메시지를 처리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충격 감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이후, 소정 시간 내에 음성 입력이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음성 입력이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충격에 관한 긴급 메시지를 처리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메시지를 재 출력할 시에, 이전에 출력된 메시지와 상이하게 출력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판단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이벤트와 관련된 상기 복수의 메시지들을 출력할 때,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이하게 출력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170108666A 2017-08-28 2017-08-28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384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666A KR102384518B1 (ko) 2017-08-28 2017-08-28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6/113,110 US10475339B2 (en) 2017-08-28 2018-08-27 Method for processing message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PCT/KR2018/009883 WO2019045396A1 (en) 2017-08-28 2018-08-28 METHOD FOR PROCESSING A MESSAGE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EP18851462.4A EP3659302B1 (en) 2017-08-28 2018-08-28 Method for processing message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US16/655,269 US10769944B2 (en) 2017-08-28 2019-10-17 Method for processing message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US16/939,323 US11295614B2 (en) 2017-08-28 2020-07-27 Method for processing message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666A KR102384518B1 (ko) 2017-08-28 2017-08-28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241A true KR20190023241A (ko) 2019-03-08
KR102384518B1 KR102384518B1 (ko) 2022-04-08

Family

ID=65435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666A KR102384518B1 (ko) 2017-08-28 2017-08-28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10475339B2 (ko)
EP (1) EP3659302B1 (ko)
KR (1) KR102384518B1 (ko)
WO (1) WO20190453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518B1 (ko) * 2017-08-28 2022-04-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639084B1 (ko) * 2018-12-13 2024-0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통신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US10741054B1 (en) * 2019-07-08 2020-08-11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message prefix
CN114499958B (zh) * 2021-12-24 2024-02-09 东软睿驰汽车技术(沈阳)有限公司 控制方法及装置、车辆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63269A1 (en) * 2010-11-29 2012-06-28 Shuster Gary S Mobile status update display
US20130038437A1 (en) * 2011-08-08 2013-02-14 Panasonic Corporation System for task and notification handling in a connected car
KR20130096617A (ko) * 2012-02-22 2013-08-30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다중 센서 기반의 차량용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7557A (en) * 1993-03-23 1994-11-22 Private Line Communications Mobile radio data analysis system
JP2001143191A (ja) 1999-11-12 2001-05-25 Yazaki Corp 車両用情報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車両
US8332100B2 (en) * 2007-09-28 2012-12-11 Kabushiki Kaisha Kenwood Vehicle-mounted device
JP2009151720A (ja) 2007-12-21 2009-07-09 Kenwood Corp 道路交通情報提供システム、道路交通情報提供装置、道路交通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10098016A1 (en) * 2009-10-28 2011-04-28 Ford Motor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emergency call placement
EP2501150B1 (en) * 2009-11-10 2014-08-27 Nec Corporation Remote control apparatus, remote control system and remote control method
US8995327B2 (en) 2009-12-02 2015-03-31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Broadcasting messages in multi-channel vehicular networks
KR101418991B1 (ko) 2010-11-22 2014-08-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Wave 기반의 차량 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송신 장치 및 방법
DE102012218966B4 (de) * 2011-10-31 2018-07-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erfahren und System zum Kennzeichnen von durch Dinge im Internet der Dinge erzeugten Originaldaten
US20130311292A1 (en) * 2012-05-21 2013-11-21 BrandintelX, Inc. Mobile messaging ecosystem - rollover message
US8929853B2 (en) * 2012-09-05 2015-01-06 Apple Inc. Mobile emergency attack and failsafe detection
US20140167954A1 (en) * 2012-12-18 2014-06-19 Jeffrey Douglas Johns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to communicate public safety information
EP4235603A3 (en) * 2013-01-09 2024-01-24 Paxgrid Telemetric Systems Inc. Vehicle communications via wireless access vehicular environment
JP5658292B2 (ja) * 2013-01-25 2015-01-21 ヤフー株式会社 無線端末、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US8930041B1 (en) 2013-06-27 2015-01-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s of operation for plug-in wireless safety device
US9405600B2 (en) * 2013-12-27 2016-08-02 Intel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to provide notification of event
WO2015126095A1 (ko) * 2014-02-21 2015-08-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102161100B1 (ko) * 2014-06-03 2020-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 관련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0952043B2 (en) 2015-08-21 2021-03-16 Nec Corporation Vehicle to everything (V2X)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JP2016100028A (ja) 2016-01-19 2016-05-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端末装置
US10108922B2 (en) * 2016-05-24 2018-10-23 R & L Carrier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transportation relays
KR102384518B1 (ko) * 2017-08-28 2022-04-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63269A1 (en) * 2010-11-29 2012-06-28 Shuster Gary S Mobile status update display
US20130038437A1 (en) * 2011-08-08 2013-02-14 Panasonic Corporation System for task and notification handling in a connected car
KR20130096617A (ko) * 2012-02-22 2013-08-30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다중 센서 기반의 차량용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45396A1 (en) 2019-03-07
KR102384518B1 (ko) 2022-04-08
US20200357277A1 (en) 2020-11-12
EP3659302A1 (en) 2020-06-03
EP3659302B1 (en) 2023-05-17
US20190066496A1 (en) 2019-02-28
US20200051432A1 (en) 2020-02-13
US10769944B2 (en) 2020-09-08
US10475339B2 (en) 2019-11-12
US11295614B2 (en) 2022-04-05
EP3659302A4 (en)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0131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circuit based 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external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341784B2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relay message to external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102263395B1 (ko) 외부 이동 수단의 움직임과 관련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식별 정보가 변경된 외부 이동 수단을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295614B2 (en) Method for processing message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CN108665678B (zh) 一种请求救援的方法和装置
EP3502862A1 (en) Method for presenting content based on checking of passenger equipment and distraction
US1174910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V2X service using same
CN111532281A (zh) 驾驶行为的监测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0962596B (zh) 汽车的车速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2611775B1 (ko) 그룹 메시지의 전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CN111186435A (zh) 汽车的防碰撞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1071151A (zh) 汽车的防碰撞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2590793B (zh) 汽车的变道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KR20190078996A (ko) 운송 수단의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07743177B (zh) 通话控制方法、装置、移动终端及可读取存储介质
EP3606018B1 (en) Mobile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mobile device program
CN111572547A (zh) 汽车的变道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190076755A (ko)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N117302248A (zh) 车辆控制方法、车辆及设备
JP2022159784A (ja) 注意喚起システム
CN111988464A (zh) 一种紧急通知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117125067A (zh) 车辆的辅助驾驶方法、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