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6755A -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6755A
KR20190076755A KR1020170178813A KR20170178813A KR20190076755A KR 20190076755 A KR20190076755 A KR 20190076755A KR 1020170178813 A KR1020170178813 A KR 1020170178813A KR 20170178813 A KR20170178813 A KR 20170178813A KR 20190076755 A KR20190076755 A KR 20190076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display
processor
appl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8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1746B1 (ko
Inventor
유주연
임용준
김규성
김성권
배수정
이성욱
최연이
최진영
강동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8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746B1/ko
Priority to US16/231,037 priority patent/US20190196592A1/en
Priority to EP18215574.7A priority patent/EP3502829A1/en
Publication of KR20190076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097Predicting future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06F1/169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the I/O peripheral being a secondary touch screen used as control interface, e.g. virtual buttons or sli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10Automotive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디스플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에,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제1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정보의 획득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복수의 아이템들 중 적어도 일부인 제1 아이템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A method for suggesting a user interface using a plurality of display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술과 관련된다.
최근 들어 전자 장치를 외부 장치와 연동시키거나, 전자 장치의 조작이 가능한 입력 장치를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배치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상황에서도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display)를 다양하게 배치시켜서 메인 디스플레이 이외에도 추가적인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를 다양하게 배치시키는 것은 차량의 주행 시와 같이 사용자와 메인 디스플레이가 멀리 있고, 사용자가 메인 디스플레이를 통해 전자 장치 동작의 제어가 어려운 상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가 편리하게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연구가 필요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메인 디스플레이를 통하지 않고도, 전자 장치를 제어하거나, 사용자에게 가까이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상황을 알려주거나, 사용자가 장치를 직접 보지 않고도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블라인드 컨트롤(blind control)이 가능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디스플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에,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제1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정보의 획득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복수의 아이템들 중 적어도 일부인 제1 아이템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외부 장치와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통신 회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연관된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연관된 정보에 대한 응답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메인 디스플레이를 통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전자 장치를 직접 주시하지 않고도 전자 장치에서 발생하는 상황을 감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동작하는 환경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 및 제2 전자 장치 간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 및 제2 전자 장치 간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 및 제2 전자 장치 간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 및 제2 전자 장치 간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 및 제2 전자 장치 간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 및 제2 전자 장치 간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라서 다양한 UI를 예시한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환경에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진동 피드백 및 시스템 동작을 예시한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환경에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진동 피드백 및 시스템 동작을 예시한다.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디스플레이에서의 상호 작용을 나타낸다.
도 1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디스플레이에서의 상호 작용을 나타낸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정보의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제공하는 진동 피드백을 예시한다.
도 1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황 별 진동의 세기를 나타낸다.
도 20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나타낸다.
도 20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 획득 가이드 및 진동 피드백 상호작용을 예시한다.
도 20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 획득 가이드 및 진동 피드백 상호작용을 예시한다.
도 2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2000) 내의 전자 장치(2001)의 블록도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동작하는 환경을 나타낸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입력 장치(112, 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차량일 수 있다. 사용자는 차량 내에 구비된 복수의 입력 장치(112, 122)를 통해서 주행 중에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다양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입력 장치(112) 및/또는 제2 입력 장치(122)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제1 입력 장치(112) 및/또는 제2 입력 장치(122)는 어느 하나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 또는 전자 장치에 발생한 상황에 대한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입력 장치(112) 및/또는 제2 입력 장치(122)를 통해서 다양한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1 입력 장치(112)는 메인 디스플레이로서, 제1 디스플레이로 참조할 수 있고 제2 입력 장치(122)는 보조 디스플레이로서, 제2 디스플레이로 참조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제2 입력 장치(122)를 통해서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제1 입력 장치(112)에서는 제2 입력 장치(122)에 의해 수행된 동작의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입력 장치(112) 및/또는 제2 입력 장치(122)는 하나의 전자 장치(예: 차량)에 포함되거나, 서로 다른 전자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입력 장치(112) 및/또는 제2 입력 장치(122)는 하나의 통합 칩 형태로 구현된 프로세서들에 연결되거나, 별도의 칩으로 구현된 프로세서들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은 복수의 전자 장치(110, 120, 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1000)은 도 1의 전자 장치(100)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1000)은 차량 주행 시스템이고, 전자 장치(100)는 차량일 수 있다. 도 2에 개시된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 각각의 장치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은 제1 디스플레이(112)를 포함하는 제1 전자 장치(110), 제2 디스플레이(122)를 포함하는 제2 전자 장치(120), 또는 사용자에 연관된 다양한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제3 전자 장치(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10)는 제1 디스플레이(112), 프로세서(114), 통신 회로(116) 또는 메모리(11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에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10)는 상기 구성들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사용자에 연관된 정보(예: 사용자의 입력 정보 또는 사용자의 상태에 연관된 정보)에 기초해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1 디스플레이(112)에 표시하거나, 제2 전자 장치(120)의 제2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10)는 제2 전자 장치(120)의 제2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획득한 정보에 연관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디스플레이(112)는 메인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12)는 제1 전자 장치(110)의 다양한 동작을 표시할 수 있고, 입력 장치로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112)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이 외에도, 제1 디스플레이(112)는 다양한 구성(예: 펜)을 통한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4)는 제1 전자 장치(11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혹은,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4)는 제2 전자 장치(12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116)는 프로세서(1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 장치(예: 제2 전자 장치(120) 또는 제3 전자 장치(130))와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116)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는 원거리 통신 또는 근거리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는 통신 버스(bus)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18)는 프로세서(114)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8)는 이 외에도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18)는 어플리케이션 및 UI 간의 연관 관계, 사용자에 연관된 상태 정보 및 UI 간의 연관 관계, 우선 순위 정보와 같이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120)는 제2 디스플레이(122), 모터(123), 프로세서(124), 통신 회로(126) 또는 메모리(12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에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120)는 상기 구성들을 어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의 상태에 연관된 UI를 제2 디스플레이(122)에 표시하거나, 상기 UI에 연관된 진동을 디스플레이(122)를 통해서 제공하거나, 상기 UI를 통해 획득한 정보를 제1 전자 장치(11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디스플레이(122)는 메인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122)는 제2 전자 장치(120)의 다양한 동작을 표시할 수 있고, 입력 장치로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122)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이 외에도, 제2 디스플레이(122)는 다양한 구성(예: 펜)을 통한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4)는 제2 전자 장치(12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4)는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122), 모터(123), 통신 회로(126) 및/또는 메모리(128)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24)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혹은,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4)는 제1 전자 장치(11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 정보 또는 명령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126)는 프로세서(1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110) 또는 제3 전자 장치(130))와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126)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통신 회로(126)는 원거리 통신 또는 근거리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통신 회로(126)는 통신 버스(bus)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28)는 프로세서(124)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8)는 이 외에도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8)는 어플리케이션 및 UI 간의 연관 관계, 사용자에 연관된 상태 정보 및 UI 간의 연관 관계, 우선 순위 정보, UI 및/또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 및 진동과의 관계와 같이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터(123)는 지정된 세기 및/또는 지정된 패턴을 가지는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모터(123)는 프로세서(124)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모터(123)는 예를 들어, 햅틱(haptic) 모듈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전자 장치(130)는 센서(132), 프로세서(134), 통신 회로(136) 또는 메모리(13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전자 장치(130)는 센서(132) 또는 통신 회로(136)를 통해 사용자와 연관된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132) 및/또는 통신 회로(136)는 사용자에 연관된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전자 장치(130)는 센서(132)를 통해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의 졸음 여부와 같은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3 전자 장치(130)는 센서(132)를 통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에서 사용자가 처해있는 상태 정보(예: 주행 정보, 도로 상태와 같은 주행 환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3 전자 장치(130)는 통신 회로(136)를 통해서 상기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는 제3 전자 장치(130)는 시스템(1000) 외부로부터 걸려온 전화나 메시지의 수신 또는 송신에 연관된 상태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4)는 제2 전자 장치(12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4)는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122), 모터(123), 통신 회로(126) 및/또는 메모리(128)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24)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혹은,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4)는 제1 전자 장치(11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 정보 또는 명령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136)는 프로세서(1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110) 또는 제2 전자 장치(120))와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136)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통신 회로(136)는 원거리 통신 또는 근거리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통신 회로(136)는 통신 버스(bus)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 회로(136)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은 차량에 적용되는 V2X(vehicle to everything)과 같은 통신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28)는 프로세서(124)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8)는 이 외에도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8)는 사용자 생체 정보 및 사용자 상태와의 연관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10, 120, 130) 간의 구성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전자 장치(130)의 센서(132)가 제1 전자 장치(110)에 포함되거나, 제3 전자 장치(130)의 프로세서(134)의 동작 중 일부는 제1 전자 장치(1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들(110, 120, 130) 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의 칩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110)에 연결된 구성들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은 하나의 전자 장치(111)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111)는 예를 들어, 차량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디스플레이(112, 122)는 하나의 칩에 연결되어, 하나의 전자 장치(111)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112, 122)는 복수의 칩에 연결되어, 하나의 전자 장치(111)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 구성은 도 2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112), 제2 디스플레이9122), 모터(123), 센서(132)는 도 2의 제1 디스플레이(112), 제2 디스플레이(122), 모터(123), 센서(132)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4)는 도 2의 프로세서들(114, 124, 134)에서 기재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136)는 도 2의 통신 회로(136)에서 수행되는 동작 이외에도 각 구성간에 정보를 전달하는 버스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18)은 도 2의 메모리들(118, 128, 138)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이하, 중복된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도 2의 시스템(1000)을 일 예로 다양한 동작들을 설명하지만, 아래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동작은 도 2의 전자 장치(111)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하의 동작은 제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1 전자 장치(110))에서 실행(혹은, 수행)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의 동작은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14))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작 401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 연관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에 연관된 정보는 외부 장치(예: 도 2의 제2 전자 장치(120) 또는 도 2의 제3 전자 장치(13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에 연관된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를 통해 획득한 입력 정보 또는 사용자의 상태에 연관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403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사용자에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해서 UI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UI의 타입을 획득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1 전자 장치에는 상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상기 사용자에 연관된 정보와 상기 UI간의 연관 관계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UI를 결정 시에,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사용자에 연관된 정보의 타입에 따라서 기설정된 우선 순위를 고려할 수도 있다.
동작 405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에 제1 UI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UI의 타입에 연관된 제1 UI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UI를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동작 407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는 제2 디스플레이가 제2 UI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UI에 연관된 정보를 제2 전자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결정된 UI의 타입 또는 상기 제1 UI 정보를 제2 전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UI는 상기 제2 UI와 서로 연관될 수 있다.
상기 동작 401 내지 407은 도 3의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의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제1 UI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제2 UI를 결정하고, 각각의 디스플레이에 UI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하의 동작은 제2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2 전자 장치(120))에서 실행(혹은, 수행)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은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24))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동작 501에서 제2 전자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는 제2 디스플레이(예: 도 2의 제2 디스플레이(122))를 통해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동작 503에서, 제2 전자 장치는 상기 입력 획득에 응답하여, 제1 전자 장치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알리는 정보일 수 있다.
동작 505에서, 제2 전자 장치는 UI에 연관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UI에 연관된 정보는 UI 타입 또는 UI 정보일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의 전송에 응답하여,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UI 타입 또는 UI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UI는 제1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에 연관된 정보에 기초해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UI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 또는 제1 전자 장치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해서 결정된 UI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UI는 상기 사용자 입력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관계 없이 사용자에 연관된 상태 정보에 기초해서 결정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전자 장치에서 긴급 상황을 인식한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연관된 상태 정보에 기초해서 UI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 507에서, 제2 전자 장치는 제2 디스플레이에 UI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는 제2 디스플레이에 상기 동작 505에서 획득한 UI에 연관된 정보에 따라서 UI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UI는 제2 디스플레이에 적합하게 미리 설정된 UI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는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진동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제2 전자 장치는 제1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한 상기 UI 또는 상기 UI와는 별도로 제공되는 정보에 기초해서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상태에 연관된 정보에 기초해서 결정된 UI에 연관된 정보를 전송해온 경우, 제2 전자 장치는 제1 전자 장치에 상기 UI에 연관된 정보에 대응하는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동작 501 내지 507은 도 3의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의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제1 UI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제2 UI를 결정하고, 각각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다.
이하의 동작은 제2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2 전자 장치(120))에서 실행(혹은, 수행)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은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24))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도 6의 동작 601은 도 5의 동작 507의 후속 동작일 수 있다. 도 6의 동작을 수행 시 도 5에 따라서 UI가 이미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태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제2 전자 장치를 보지 않고도 원하는 입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진동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제1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601에서 제2 전자 장치는 상기 UI를 통해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이하, 사용자 입력은 터치 입력으로 지칭할 수 있다.
동작 603에서, 제2 전자 장치는 상기 터치 입력에 연관된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는 상기 터치 입력의 객체, 위치, 세기, 이동 거리 및/또는 이동 방향에 기초해서 상기 터치 입력에 연관된 값을 계산(혹은, 산출)할 수 있다.
동작 605에서, 제2 전자 장치는 진동에 연관된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는 상기 터치 입력에 연관된 값 또는 상기 UI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해서 진동에 연관된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진동에 연관된 값은 진동 패턴 및/또는 진동 세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607에서, 제2 전자 장치는 진동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모터(예: 도 2의 모터(123)를 이용하여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동작 609에서, 제2 전자 장치는 터치 해제(release)가 발생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는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터치 해제가 발생하는지 모니터링하고, 터치 해제가 발생하면 동작 611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 해제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동작 603 내지 동작 609를 반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전자 장치는 사용자 입력 획득 시부터 터치 해제가 발생할 때까지의 제1 시간 구간 동안 터치 입력에 연관된 값, 진동에 연관된 값, 진동 피드백 제공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간 구간 내에서 사용자 입력의 변화에 따라 진동 피드백은 변할 수 있다.
터치 해제가 발생하면, 동작 611에서 제2 전자 장치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연관된 정보를 제1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는 상기 터치 해제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의 의도로 파악하고, 해당 사용자 입력에 연관된 정보를 제1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 및 제2 전자 장치 간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110)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에 제2 전자 장치(120)에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UI가 제2 전자 장치(120)에 표시될 수 있다. 이하, 제1 전자 장치(110)는 도 2의 제1 전자 장치(110)이고 제2 전자 장치(120)는 도 2의 제2 전자 장치(120)일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의 동작 및/또는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은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2) 또는 도 2의 프로세서(124))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동작 701에서, 제1 전자 장치(11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하의 동작에서, 제1 전자 장치(110)는 제1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1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제1 전자 장치(110)의 디스플레이(112)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것은, 제1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아이템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거나,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UI를 표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동작 703에서, 제2 전자 장치(120)는 제1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120)는 제2 디스플레이(예: 도 2의 제2 디스플레이(122))를 통해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동작 705에서, 제2 전자 장치(120)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전자 장치(110)로 제1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의 획득을 알리는 정보로서, 제1 사용자 입력에 연관된 정보일 수 있다.
동작 707에서, 제1 전자 장치(110)는 제1 UI에 연관된 정보 또는 제1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정보를 제2 전자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10)는 상기 제1 정보에 응답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제1 UI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10)는 상기 제1 UI에 연관된 정보 또는 제1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정보를 제2 전자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709에서, 제1 전자 장치(110)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제1 UI를 제1 디스플레이(112)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10)는 상기 제1 정보의 획득에 응답하여, 제1 UI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UI를 표시하는 것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제1 아이템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1 화면을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1 UI는 사용자가 제1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UI일 수 있다.
동작 711에서, 제2 전자 장치(120)는 상기 동작 707에서의 정보 획득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제2 UI를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2 UI를 표시하는 것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제2 아이템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2 화면을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2 UI는 상기 제1 UI와 서로 연관될 수 있다. 상기 제2 아이템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아이템들 중 적어도 일부와 기능적으로 또는 동작적으로 연관되거나 또는 대응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120)는 상기 제1 UI에 연관된 정보 또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제2 UI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전자 장치(120)에는 상기 제1 UI 및 제2 UI의 연관 관계 또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UI의 연관 관계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UI에 연관된 정보는 상기 제2 UI를 직접적으로 가리킬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전자 장치(110)는 제2 전자 장치(120)에 표시할 제2 UI를 결정하고, 상기 제1 UI에 연관된 정보를 통해서 상기 제2 UI를 제2 전자 장치(120)로 알려줄 수 있다.
상기 제2 UI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또는 제1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UI일 수 있다. 상기 제2 UI는 사용자에게 상기 제어를 위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아이템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 내에서 발생하였으면, 상기 제2 아이템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영역 내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동작 713에서, 제2 전자 장치(120)는 상기 제2 UI를 통해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120)는 상기 제2 화면에 포함되는 아이템들 중 적어도 일부인 제3 아이템을 통해서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동작 711 및 동작 713은 동시에 또는 어느 하나가 먼저 수행될 수 있다.
동작 715에서, 제2 전자 장치(120)는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정보를 제1 전자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120)는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연관된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정보가 상기 제3 아이템을 통해 획득되면,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3 아이템에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아이템이 '볼륨 증가'를 나타내는 아이템인 경우, 상기 제2 정보는 볼륨 증가를 명령하는 제어 정보일 수 있다.
동작 715에서, 제1 전자 장치(110)는 상기 제2 정보에 응답하여, 제1 UI의 상태 또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10)는 상기 제1 UI 내에서 혹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변화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2 정보가 '볼륨 증가'를 명령하는 제어 정보이면, 상기 제2 정보에 응답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볼륨을 증가시키거나,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볼륨에 연관된 아이템의 상태를 변화시키거나, 상기 제1 UI 내의 볼륨에 연관된 아이템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120)는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UI의 상태를 변경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120)는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3 아이템 중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도 7에서 설명된 동작들은 도 3의 전자 장치(111)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동작들은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114))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10) 및 제2 전자 장치(120) 간 정보 전송 동작은, 프로세서 간의 정보 전달로 이해되거나, 하나의 프로세서 내의 정보 생성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 및 제2 전자 장치 간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11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복수의 UI가 연관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전자 장치(110)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거나, 사용자에 연관된 정보를 획득하면, 해당 입력의 타입 또는 상기 사용자에 연관된 정보의 타입에 따라 UI가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제1 디스플레이(예: 도 2의 제1 디스플레이(112))에 다양한 UI가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전자 장치(110)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제2 디스플레이(예: 도 2의 제2 디스플레이(122))에 다양한 UI가 표시될 수 있다.
이하, 제1 전자 장치(110)는 도 2의 제1 전자 장치(110)이고 제2 전자 장치(120)는 도 2의 제2 전자 장치(120)일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의 동작 및/또는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은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2) 또는 도 2의 프로세서(124))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도 8의 동작 801 내지 811은 도 7의 동작 701 내지 711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동작 813에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또는 제1 UI가 제1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된 동안 제1 전자 장치(110)는 제2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2 정보는 제1 디스플레이 또는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전자 장치(120)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 입력에 연관된 정보 또는 사용자에 연관된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정보는 제1 전자 장치(110)에서 획득하거나, 제2 전자 장치(120)에서 획득하고 제1 전자 장치(110)로 전달한 정보일 수 있다.
동작 815에서, 제1 전자 장치(110)는 상기 제2 정보의 획득에 응답하여, 제3 UI를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3 UI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되되,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해서 결정되는 UI일 수 있다. 상기 제3 UI는 제1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제1 아이템들 중 적어도 일부인 제4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3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10)는 상기 제3 화면을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동작 817에서, 제2 전자 장치(120)는 제4 UI를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4 UI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되고,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해서 결정되는 UI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10)가 상기 제3 UI에 연관된 정보를 상기 제1 전자 장치(110)로 전송하고, 제2 전자 장치(120)는 상기 제3 UI에 기초해서 제4 UI를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 UI에 연관된 정보는 직접적으로 상기 제4 UI를 가리킬 수 있다. 제3 UI와 제4 UI는 서로 연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10)가 제1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정보 및/또는 상기 제2 정보를 상기 제2 전자 장치(120)로 제공하고, 제2 전자 장치(120)가 상기 제4 UI를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제4 UI는 제1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제2 아이템들 중 적어도 일부인 제5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4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120)는 상기 제4 화면을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8에서 설명된 동작들은 도 3의 전자 장치(111)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동작들은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114))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10) 및 제2 전자 장치(120) 간 정보 전송 동작은, 프로세서 간의 정보 전달로 이해되거나, 하나의 프로세서 내의 정보 생성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 및 제2 전자 장치 간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110)는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해서 UI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어플리케이션에 따라서 서로 다른 UI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제1 전자 장치(110)는 도 2의 제1 전자 장치(110)이고 제2 전자 장치(120)는 도 2의 제2 전자 장치(120)일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의 동작 및/또는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은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2) 또는 도 2의 프로세서(124))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정보, 제1 어플리케이션, 제1 UI 또는 제2 UI는 도 7의 제1 정보, 제1 어플리케이션, 제1 UI 또는 제2 UI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도 9의 동작 901 내지 911은 도 7의 동작 701 내지 711의 후속 동작일 수도 있다.
동작 901에서, 제1 전자 장치(110)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과 다른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10)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제1 디스플레이(예: 도 2의 제1 디스플레이(112))를 통한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10)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동작 903에서, 제2 전자 장치(120)는 제2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120)는 제2 디스플레이(예: 도 2의 제2 디스플레이(122))를 통해서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동작 905에서, 제2 전자 장치(120)는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전자 장치(110)로 제2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의 획득을 알리는 정보로서, 제2 사용자 입력에 연관된 정보일 수 있다.
동작 907에서, 제1 전자 장치(110)는 제3 UI에 연관된 정보 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정보를 제2 전자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10)는 상기 제2 정보에 응답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제3 UI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10)는 상기 제3 UI에 연관된 정보 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정보를 제2 전자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909에서, 제1 전자 장치(110)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제3 UI를 제1 디스플레이(112)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10)는 상기 제2 정보의 획득에 응답하여, 제3 UI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3 UI를 표시하는 것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제4 아이템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3 화면을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3 UI는 사용자가 제2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UI일 수 있다. 상기 제3 UI는 도 7의 제2 UI와 적어도 일부가 다른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911에서, 제2 전자 장치(120)는 상기 동작 907에서의 정보 획득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제4 UI를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4 UI를 표시하는 것은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제5 아이템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4 화면을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4 UI는 상기 제3 UI와 서로 연관될 수 있다. 상기 제5 아이템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4 아이템들 중 적어도 일부와 기능적으로 또는 동작적으로 연관되거나 또는 대응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120)는 상기 제3 UI에 연관된 정보 또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제4 UI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전자 장치(120)에는 상기 제3 UI 및 제4 UI의 연관 관계 또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4 UI의 연관 관계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3 UI에 연관된 정보는 상기 제4 UI를 직접적으로 가리킬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전자 장치(110)는 제2 전자 장치(120)에 표시할 제4 UI를 결정하고, 상기 제3 UI에 연관된 정보를 통해서 상기 제4 UI를 제2 전자 장치(120)로 알려줄 수 있다.
상기 제4 UI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또는 제1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UI일 수 있다. 상기 제4 UI는 사용자에게 상기 제어를 위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에서 설명된 동작들은 도 3의 전자 장치(111)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동작들은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114))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10) 및 제2 전자 장치(120) 간 정보 전송 동작은, 프로세서 간의 정보 전달로 이해되거나, 하나의 프로세서 내의 정보 생성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 및 제2 전자 장치 간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120)는 사용자가 블라인드 컨트롤할 수 있도록 사용자 입력에 대한 촉각적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120)는 지정된 세기 및/또는 패턴을 가지는 진동을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진동은 상기 터치 입력의 객체, 위치, 세기, 이동 거리 및/또는 이동 방향에 따라 지정된 세기 및/또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제1 전자 장치(110)는 도 2의 제1 전자 장치(110)이고 제2 전자 장치(120)는 도 2의 제2 전자 장치(120)일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의 동작 및/또는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은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2) 또는 도 2의 프로세서(124))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도 10에서는 도 7의 동작 709 또는 711에 따라 제1 전자 장치의 제1 디스플레이(예: 도 2의 제1 디스플레이(112))에는 제1 UI가 표시되고, 제2 디스플레이(예: 도 2의 제2 디스플레이(122))에는 제2 UI가 표시된 상태일 수 있다.
동작 1001에서, 제2 전자 장치(120)는 상기 제2 UI를 통해서 제1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2 UI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제2 아이템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적어도 일부 아이템 중 제3 아이템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동작 1003에서, 제2 전자 장치(120)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기초해서 제1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120)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제1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진동은 제1 세기 및/또는 제1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세기 및/또는 제1 패턴은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기초해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세기 및/또는 제1 패턴은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의 객체(예: 제3 아이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의 위치, 세기, 이동 거리 및/또는 이동 방향에 기초해서 결정될 수 있다.
동작 1005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완료되면, 제2 전자 장치(120)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연관된 제1 정보를 제1 전자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는 예를 들어, 상기 제3 아이템에 연관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007에서, 제1 전자 장치(110)는 상기 제1 정보에 응답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제1 UI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10)는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제1 UI가 표시된 화면에 표시하거나, 상기 결과를 제1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제1 UI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UI 상에서 상기 제2 UI의 제3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4 아이템의 상태가 변할 수도 있다.
동작 1009에서, 제2 전자 장치(120)는 상기 제2 UI를 통해서 제2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2 UI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제2 아이템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적어도 일부 아이템 중 제5 아이템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동작 1011에서, 제2 전자 장치(120)는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기초해서 제2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120)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제2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진동은 제2 세기 및/또는 제2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세기 및/또는 제2 패턴은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기초해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세기 및/또는 제2 패턴은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의 객체(예: 제5 아이템),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의 위치, 세기, 이동 거리 및/또는 이동 방향에 기초해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세기 및/또는 제2 패턴은 상기 제1 세기 및/또는 제1 패턴과 다른 값일 수 있다.
동작 1013에서,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이 완료되면, 제2 전자 장치(120)는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연관된 제2 정보를 제2 전자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정보는 예를 들어, 상기 제5 아이템에 연관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015에서, 제1 전자 장치(110)는 상기 제2 정보에 응답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제1 UI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10)는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제1 UI가 표시된 화면에 표시하거나, 상기 결과를 제1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제1 UI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UI 상에서 상기 제2 UI의 제5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6 아이템의 상태가 변할 수도 있다.
도 10에서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다른 진동이 제공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진동은 UI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기초해서 달라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I 별로 진동의 세기 및/또는 패턴이 달라지거나, 어플리케이션 별로 진동의 세기 및/또는 패턴이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의 위치가 같아도 UI가 다르면, 상기 진동의 세기 및/또는 패턴이 다를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입력의 위치가 같아도, 어플리케이션이 다르면 상기 진동의 세기 및/또는 패턴이 다를 수 있다.
도 10에서 설명된 동작들은 도 3의 전자 장치(111)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동작들은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114))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10) 및 제2 전자 장치(120) 간 정보 전송 동작은, 프로세서 간의 정보 전달로 이해되거나, 하나의 프로세서 내의 정보 생성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 및 제2 전자 장치 간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120)는 사용자가 블라인드 컨트롤할 수 있도록 사용자 입력에 대한 촉각적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촉각적 알림을 통해 자신의 입력이 의도한 입력 지점인지 확인하고, 의도한 바가 맞는 경우에 상기 입력을 제2 디스플레이로부터 해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전자 장치(120)는 사용자 입력이 지속되는 동안 진동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이 제2 디스플레이에서 해제되면, 사용자 입력에 연관된 제2 정보를 제1 전자 장치(1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하, 제1 전자 장치(110)는 도 2의 제1 전자 장치(110)이고 제2 전자 장치(120)는 도 2의 제2 전자 장치(120)일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의 동작 및/또는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은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2) 또는 도 2의 프로세서(124))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도 11에서는 도 7의 동작 709 또는 711에 따라 제1 전자 장치의 제1 디스플레이(예: 도 2의 제1 디스플레이(112))에는 제1 UI가 표시되고, 제2 디스플레이(예: 도 2의 제2 디스플레이(122))에는 제2 UI가 표시된 상태일 수 있다.
동작 1101에서, 제2 전자 장치(120)는 제2 UI를 통해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제1 구간 동안 지속되는 것을 가정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120)는 상기 사용자 입력의 획득에 응답하여, 동작 1103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연관된 제1 정보를 제1 전자 장치(110)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120)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연관된 제1 정보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제1 전자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105에서, 제2 전자 장치(120)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UI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120)는 상기 제2 UI 에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는 정보를 표시하거나,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2 UI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2 UI 상의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이동하면, 제2 전자 장치(120)는 상기 제2 UI의 제1 지점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제2 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동작 1107에서, 제1 전자 장치(110)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지속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입력에 연관된 제1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제1 UI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1 UI 상의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UI 상의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의 이동에 연관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제1 전자 장치(110)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상기 이동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하거나, 상기 이동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UI 또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동작 1103 내지 동작 1107은 적어도 상기 제1 구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간 내에서 상기 동작 1103 내지 동작 1107은 동시에 또는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동작 1109에서, 제2 전자 장치(120)는 사용자 입력의 해제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120)는 제2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해제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구간의 종점은 상기 터치 입력의 해제 시점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120)는 상기 사용자 입력의 해제를 상기 사용자의 정확한 의도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륨을 증가시키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이 해제된 시점에 대응하는 볼륨이 사용자가 의도한 볼륨이라고 인식할 수 있다.
동작 1111에서, 제2 전자 장치(120)는 상기 입력의 해제 감지에 응답하여, 사용자 입력에 연관된 명령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이 해제된 시점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에 연관될 수 있다.
동작 1113에서, 제2 전자 장치(120)는 사용자 입력에 연관된 제2 정보를 제1 전자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동작 1111에서 생성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115에서, 제1 전자 장치(110)는 상기 제2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10)는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10)는 상기 결과를 제1 어플리케이션 상에 또는 상기 제1 UI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1에서 설명된 동작들은 도 3의 전자 장치(111)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동작들은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114))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10) 및 제2 전자 장치(120) 간 정보 전송 동작은, 프로세서 간의 정보 전달로 이해되거나, 하나의 프로세서 내의 정보 생성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 및 제2 전자 장치 간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110) 또는 제2 전자 장치(120)는 사용자에 연관된 상태 정보를 획득하면, 제1 디스플레이(예: 도 1의 제1 디스플레이(112)) 또는 제2 디스플레이(예: 도 2의 제2 디스플레이(122))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전자 장치(110) 또는 제2 전자 장치(120)는 상태 정보 별로 연관된 UI 또는 상태 정보 별로 연관된 진동의 세기 및/또는 패턴을 미리 저장하거나, 계산할 수 있다.
동작 1201에서, 제3 전자 장치(130)는 사용자에 연관된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 전자 장치(130)는 센서(예: 도 2의 센서(132)) 또는 통신 회로(예: 도 2의 통신 회로(1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에 연관된 상태 정보는, 사용자 생체 정보에 기초해서 획득한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제3 전자 장치(130)의 외부 장치로부터 획득한 사용자가 처해있는 상황에 연관된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졸음 여부를 나타내거나 사용자의 차량이 중앙선을 침범하거나 굴곡이 거친 지표면을 지나는지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동작 1203에서, 제3 전자 장치(130)는 상기 상태 정보를 제1 전자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3 전자 장치(130)는 상기 상태 정보를 제2 전자 장치(120)로 전송해줄 수도 있다.
동작 1205에서, 제1 전자 장치(110)는 상기 상태 정보에 연관된 제1 UI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10)는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해서 표시할 제1 UI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10)에는 상기 상태 정보와 제1 UI의 연관관계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태 정보에 연관되어 표시되는 UI는 어플리케이션 별로 다를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이라면 제1 전자 장치(110)는 어느 하나의 UI를 표시하고,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이라면 제1 전자 장치(110)는 다른 하나의 UI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태 정보는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상태 정보 중 특정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무관하게 상기 상태 정보에 연관된 UI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동작 1207에서, 제1 전자 장치(110)는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제1 UI에 연관된 정보를 제2 전자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209에서, 제2 전자 장치(120)는 상기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제1 UI에 연관된 정보에 기초해서 제2 전자 장치(120)에 표시할 제2 UI 또는 진동을 결정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2 전자 장치(120)는 제3 전자 장치(130)로부터 직접적으로 상기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UI 또는 진동을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UI는 상기 제1 UI와 서로 연관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UI가 나타내는 알림은 상기 제1 UI가 나타내는 알림과 동일 또는 유사한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1201 내지 동작 1211은 제1 전자 장치(110)가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인 상태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UI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1201 내지 동작 1211은 이미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디스플레이에 제1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UI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UI는 및 제2 UI는 상기 UI들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2에서 설명된 동작들은 도 3의 전자 장치(111)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동작들은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114))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10) 및 제2 전자 장치(120) 간 정보 전송 동작은, 프로세서 간의 정보 전달로 이해되거나, 하나의 프로세서 내의 정보 생성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여러 정보가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사용자에 연관된 상태 정보가 획득되고, 동일 또는 유사한 구간 내에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10)는 사용자에 연관된 정보의 타입 별로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에 연관된 상태 정보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우선할 수 있다. 사용자에 연관된 상태 정보 중에서도 긴급의 정도에 따라서 우선순위가 다를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10)는 일정 시간 구간 내에 사용자의 입력 정보 및 사용자에 연관된 상태 정보를 획득시, 상기 사용자에 연관된 상태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UI를 결정하고 디스플레이(예: 제1 디스플레이 및/또는 제2 디스플레이)에 상기 UI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어플리케이션 타입에 따라 우선 순위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어플리케이션보다 전화 어플리케이션이 우선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별로 정의된 다양한 UI를 예시한다.
도 13의 제1 화면(1310), 제2 화면(1320), 제3 화면(1330) 또는 제4 화면(1350)은 어플리케이션 별로 정의된 UI를 나타낸다. 제1 화면(1310)은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UI를 표시하고, 제2 화면(1320)은 네비게이션에 연관된 UI를 표시(또는 포함)하고, 제3 화면(1330)은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UI를 표시하고, 제4 화면(1340)은 전화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UI를 표시한다. 상기 UI들은 제2 디스플레이(예: 도 2의 제2 디스플레이(122))에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전자 장치(110)(예: 도 2의 제1 전자 장치(110))에서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에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면, 제1 전자 장치(110)는 상기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정보를 제2 전자 장치(120)(예: 도 2의 제2 전자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제2 전자 장치(120)는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제1 화면(1310)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화면(1310)은 상기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는 아이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이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이면, 상기 아이템들은 볼륨을 증가시키는 아이템(volume up), 볼륨을 감소시키는 아이템(volume down), 이전 곡의 재생을 지시하기 위한 아이템(previous), 다음 곡의 재생을 지시하기 위한 아이템(next) 및/또는 재생/정지를 지시하기 위한 아이템(play/pause)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아이템들을 통해서 제1 전자 장치(110)에서 실행되는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에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거나, 전화가 걸려와서 전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2 디스플레이에 상기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UI 또는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UI가 표시될 수 있다. 각각의 UI는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UI는 확대를 지시하는 아이템(zoom in) 및 축소를 지시하는 아이템(zoom out), 현재 위치 표시를 지시하는 아이템(current location)을 포함할 수 있고, 전화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UI는 응답을 지시하는 아이템(OK) 또는 취소를 지시하는 아이템(cancel)을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에도, 사용자에 연관된 상태 정보에 따라서 서로 다른 UI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화면(1330)은 메시지가 전송되어,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를 나타내고, 제5 화면(1331)은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메시지를 읽은 경우에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를 나타낸다.
제3 화면(1330)은 메시지를 읽을 것을 지시하는 아이템(read) 또는 취소를 지시하는 아이템(dismiss)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화면(1331)은 답장을 지시하는 아이템(answer) 또는 거절을 지시하는 아이템(decline)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예를 들어, 제4 화면(1340)은 전화(또는 호(call))가 발생해서, 전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를 나타내고, 제6 화면(1341)은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를 나타낸다.
제4 화면(1340)은 전화를 수신할 것을 지시하는 아이템(OK) 또는 취소를 지시하는 아이템(cancel)을 포함할 수 있다. 제6 화면(1341)은 전화를 수신한 상태에서 전화를 끊을 것을 지시하는 아이템(decline)을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한 제스쳐(gesture)의 지시를 획득하는 아이템의 경우에도, UI에 따라 그 의미가 다르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3에 포함된 모션 정의(1370)를 참조하면, 우측 방향으로 터치를 이동시키는 제스처는 이전으로 돌아가기 또는 부정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제스처라도 UI에 따라서 다른 명령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환경에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진동 피드백 및 시스템 동작을 예시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환경(예: 도 2의 시스템 환경(1000))에서 제2 디스플레이(예: 도 2의 제2 디스플레이(122))에 표시된 UI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발생할 수 있다.
(1)은 제1 아이템(예: 긍정을 나타내는 아이템)에 대한 입력 및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진동 피드백(또는 햅틱 피드백(haptic feedback)) 및 시스템 동작이고, (2)는 제2 아이템(예: 부정을 나타내는 아이템)에 대한 입력 및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진동 피드백 및 시스템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진동 피드백은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피드백일 수 있다. 시스템 동작은 제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1 전자 장치(110)) 및/또는 제2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2 전자 장치(120))의 동작일 수 있다.
(1)을 참조하면, 제1 아이템에 대한 입력이 발생하면, 진동 피드백은 1 진동 패턴 및 제1 세기(진동 피드백의 선의 길이 및/또는 굵기에 대응)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입력이 제1 구간(1401) 동안 지속되다가 해제되면, 제1 구간(1401)에서는 진동 피드백이 제공되고, 제2 구간(1402)에서는 시스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2)를 참조하면, 제2 아이템에 대한 입력이 발생하면, 진동 피드백은 제2 진동 패턴 및 제2 세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진동 패턴은 제1 진동 패턴과 다르고, 제2 세기는 제1 세기와 다를 수 있다. 상기 입력이 제3 구간(1411) 동안 지속되다가 해제되면, 제3 구간(1411)에서는 진동 피드백이 제공되고, 제2 구간(1412)에서는 시스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 구간(1412)는 제1 구간(1411) 이후의 시간 구간일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환경에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진동 피드백 및 시스템 동작을 예시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환경(예: 도 2의 시스템 환경(1000))에서 사용자에 연관된 상태 정보를 획득 시 진동 피드백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에 연관된 상태 정보는 사용자와 관련된 외부 환경에 연관된 상태 정보일 수 있다.
(1)은 사용자에 연관된 제1 상태(예: SOS, 위기 감지와 같은 위기 상황)에서 상기 제1 상태에 대응하는 진동 피드백(또는 햅틱 피드백(haptic feedback)) 및 시스템 동작을 나타내고, (2)는 사용자에 연관된 제2 상태(예: 일반적인 상황 또는 일정 시간 이후 추가 동작이 없는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진동 피드백은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피드백일 수 있다. 시스템 동작은 제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1 전자 장치(110)) 및/또는 제2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2 전자 장치(120))의 동작일 수 있다.
(1)을 참조하면, 제1 상태를 획득하면, 진동 피드백은 제1 진동 패턴 및 제1 세기(진동 피드백의 선의 굵기에 대응)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제1 구간(1501) 동안 지속되다가 해제되면, 제1 구간(1501)에서는 진동 피드백이 제공되고, 제2 구간(1502)에서는 시스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동작은 예를 들어, 제1 구간(1501) 이전에 수행되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동작일 수 있다. 제1 구간(1501) 동안 진동 피드백을 제공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동작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구간(1501) 동안 진동 피드백을 제공 시 상기 피드백에 연관된 또는 상기 제1 상태에 연관된 사운드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기 제1 진동 패턴 및 제1 세기는 제1 상태의 위급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는 제1 구간(1501)는 상기 제1 상태가 지속되는 구간이고, 제2 구간(1502)은 제1 상태가 종료된 구간일 수 있다.
(2)를 참조하면, 제2 상태에서는, 진동 피드백은 제2 진동 패턴 및 제2 세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진동 패턴은 제1 진동 패턴과 다르고, 제2 세기는 제1 세기와 다를 수 있다. 상기 진동 피드백은 아무런 패턴 및 세기를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위기 상황이 아닌 상황에서는 사용자 터치 입력이 지속되는 제1 구간(1511)에서도 아무런 진동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구간(1511)에서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추가적인 상호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디스플레이에서의 상호 작용을 나타낸다.
도 16을 참조하면, (1)은 제1 디스플레이(예: 도 2의 제1 디스플레이(112))에 표시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예: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제1 UI를 포함하는 제1 화면(1610)을 나타내고, (2)는 제2 디스플레이(예: 도 2의 제2 디스플레이(122))에 표시되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제2 UI를 포함하는 제2 화면(1620)을 나타낸다. (3)은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진동 피드백 및 시스템 동작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제2 화면(1620)(또는 제2 UI)를 통해 볼륨 증가에 대응하는 아이템(1621)에 대해서 특정 제스처를 가지는 입력(1622)을 제1 구간(1631) 동안 수행한 경우, 상기 아이템(1621), 제2 UI 및/또는 상기 입력(1622)에 연관된 진동 피드백이 제1 구간(1631)의 적어도 일부에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시스템 동작은 제1 구간(1631)의 적어도 일부에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상기 아이템(1621)을 밀어 올리는 제스처를 가지는 입력(1622)을 제공한 경우, 상기 입력(1622)이 수행되는 동안 입력(1622)에 대응하는 동작이 화면(1610)를 통해 제공되는 UI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볼륨이 증가하도록 제1 화면(1610)의 상태가 변할 수 있다. 또는 아이템(1621)에 대응하는 제1 화면(1610) 내의 아이템(1611)의 상태가 변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디스플레이에서의 상호 작용을 나타낸다.
도 17을 참조하면, 레벨의 조정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예: 미디어 어플리케이션, 에어컨 제어 어플리케이션, 속도 제어 어플리케이션 등)의 제어를 위해 레벨 값의 조정이 가능한 UI가 제1 디스플레이(예: 도 2의 제1 디스플레이(112)) 및/또는 제2 디스플레이(예: 도 2의 제2 디스플레이(122))에 제공될 수 있다.
(1) 내지 (4)는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입력되고, 사용자 입력,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진동 피드백 및 시스템 동작을 나타낸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레벨 값을 가지는 UI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1)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입력이 이동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레벨이 증가하는 경우, 사용자 입력이 이동함에 따라 진동 피드백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레벨의 제어가 가능한 UI를 이용 시, 사용자 입력이 수행되는 동안 제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110))에서 상기 입력에 대한 동작이 실행될 수 있다.
(2)를 참조하면, 제2 UI를 통해 획득한 입력이 최소 레벨(0 step)에 대응하는 경우, 진동 피드백은 그 크기가 낮거나 0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진동 피드백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3) 및 (4)를 참조하면, 제2 UI를 통해 획득한 입력이 크기를 가지는 최소 레벨(1 step)에 대응하는 경우, 제2 UI를 통해 획득한 입력이 최대 레벨에 대응(10 step)하는 경우에 비해 작은 크기의 진동 세기를 가질 수 있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정보의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제공하는 진동 피드백을 예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1 전자 장치(110), 도 2의 제2 전자 장치(110), 또는 도 3의 전자 장치(111))는 획득한 정보 별로 진동 피드백의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은 차량 주행 중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위험한 상황을 알리는 정보, 차량이 흔들리는 정도를 알리는 정보 및 사용자에 연관된 입력 정보 또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정보의 순서대로 진동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상황 내에서도 다양한 우선 순위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정상적인 운행을 하는지 판단하고, 정상적인 운행을 하고 있지 않는 경우(예: 졸음 운전, 차선 이탈 반복 등)에는 이에 연관된 UI 및 진동을 결정하고,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UI 및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정상적인 운행을 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주변 차량 및/또는 장애물로 인해 충돌의 위험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ADAS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충돌의 위험을 판단할 수 있다. 충돌의 위험이 있는 경우, 해당 상황에 연관된 UI 및 진동을 결정하고,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결정된 UI 및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충돌의 위험이 없다고 판단하면, 차량 이상 상태(예: 타이어, 에너지 상태)가 발견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자 장치는 속도, 지표 상태, 운전모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있는지를 순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UI 및 진동을 표시할 있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없는 경우에는 별도의 UI 및 진동을 표시하거나, UI 및/또는 진동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황 별 진동의 세기를 나타낸다.
도 19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피드백은 상황에 따라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한 상황일수록 진동은 높은 세기를 가질 있다. 또는 레벨 값을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레벨 별로 진동의 세기가 다를 수 있고, 레벨이 높을수록 진동의 세기가 클 수 있다.
예컨대, 위험 운행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위험성이 높을수록 진동의 세기가 커질 수 있다. 주위성을 경고하는 경우에는 진동의 세기가 위험성이 높은 경우에 비해 작을 수 있다.
진동의 세기는 지표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지표 굴곡이 거칠수록 진동의 세기는 커지고, 지표 굴곡이 작을수록 진동의 제기가 작을 수 있다. 또한, 운전 상태에 따라 동일한 지표 굴곡에서도 진동의 세기가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위험 운전 상태에서 지표 굴곡이 거친 경우에는 진동의 세기가 클 수 있다. P 모드 운행 또는 저속 운행 상태에서는 지표 굴곡이 거친 경우에도 위험 운정 상태보다 더 작은 세기의 진동이 제공될 수 있다.
레벨을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시에는 레벨이 높을수록 세기가 큰 진동이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레벨을 증가시켜도 진동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 상태에서는 위험에 대한 알림이 우선하므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진동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우선 순위에 따라서 위험 상태에 연관된 진동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메인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지 않고도 추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등을 쉽게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메인 디스플레이를 확인하지 않고도 또는 메인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추가 디스플레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촉각 피드백 등을 통해 다양한 상황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0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나타낸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100)(예: 도 1의 디스플레이(112) 또는 도 2의 디스플레이(122))는 다양한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00)는 로고 영역(2101), 환경 영역(climate area, 2102) 및 터치 제어 영역(2103)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터치 제어 영역(2103)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하 UI는 터치 제어 영역(2103)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1 전자 장치(110) 또는 제2 전자 장치(120))는 터치 제어 영역(2103)을 통해 사용자에게 가이드를 제공해줄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제어 영역(2103)을 통해 터치 제스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제스처 영역을 통해 사용자의 핑거(finger) 터치 제스처가 획득될 수 있다. 도 20a에는 터치 제스처가 예시되었다.
상기 터치 제스처는 위로 올리는 동작, 아래로 올리는 동작, 좌측으로 미는(swipe) 동작, 우측으로 미는 동작, 및 탭(tap)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위로 올리는 동작은 전자 장치의 볼륨 업 동작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아래로 내리는 동작은 전자 장치의 볼륨 다운 동작에 대응할 수 있다. 우측으로 미는 동작은, 다음 곡 재생(또는 전화의 수신, 팝업창에서의 읽음) 동작에 대응할 수 있다. 좌측으로 미는 동작은, 이전 곡 재생(또는 전화의 거절, 팝업창에서의 해제 또는 거절) 동작에 대응할 수 있다. 탭 동작은 재생/정지 동작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0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 획득 가이드 및 진동 피드백 상호작용을 예시한다.
도 20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1 전자 장치(110) 또는 도 2의 제2 전자 장치(120))의 디스플레이에는 사용자를 위한 터치 가이드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0(b)의 제1 화면(2201)은 상기 터치 가이드가 턴-온(turn-on)된 경우의 UI를 나타내고, 상기 UI는 미디어에 연관된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UI를 나타낸다. 도 20(b)의 사용자 핑거 터치 제스처 및 그에 대응하는 동작은 도 20a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도 20b의 제2 화면(2202)은 상기 터치 가이드가 턴-오프(turn-off)된 경우의 UI를 나타낸다.
도 20b의 (1) 내지 (4)는 상기 제1 화면(2201)을 통한 사용자 입력 및 그에 대응한 진동 피드백 동작을 예시한다.
도 20b의 (1)은 사용자가 탭 동작을 입력한 경우, 그에 대응하는 1 진동 피드백을 나타낸다. 이 경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탭 동작을 해제하면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1 전자 장치(110))는 재생 또는 정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0b의 (2)는 사용자가 좌로 미는 동작 또는 우로 미는 동작을 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제2 진동 피드백을 나타낸다. 상기 제2 진동 피드백은 좌로 미는 동작 또는 우로 미는 동작에 대해 서로 다르게 정의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는 상기 좌로 미는 동작 또는 우로 미는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동작에 대응하는 다음곡(혹은 이전곡) 표시, 또는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좌로 미는 동작 혹은 우로 미는 동작의 종료 후에, 상기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0b의 (3)은 사용자가 아래로 내리는 동작(혹은, 미는 동작) 또는 위로 올리는 동작(혹은, 미는 동작)을 하는 경우, 해당 동작에 대응하는 제3 진동 피드백을 나타낸다. 상기 제3 진동 피드백은 각 동작에 대해 서로 다르게 정의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동작의 이동 거리 및/또는 방향에 따라 진동 피드백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진동 피드백의 세기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전자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위로 올리는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제3 진동 피드백의 크기가 커지고, 전자 장치는 볼륨을 증가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0의 (4)는 예외적 경우로서, 사용자가 도 20의 (3)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더라도, 진동 피드백이 제공되지 않고, 전자 장치는 아무런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0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 획득 가이드 및 진동 피드백 상호작용을 예시한다.
도 20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1 전자 장치(110) 또는 도 2의 제2 전자 장치(120))의 디스플레이에는 사용자를 위한 터치 가이드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0c의 제1 화면(2201)은 상기 터치 가이드가 턴-온(turn-on)된 경우의 UI를 나타내고, 상기 UI는 미디어에 연관된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UI를 나타낸다. 도 20c의 제2 화면(2301)은 상기 터치 가이드가 턴-오프(turn-off)된 경우의 UI를 나타낸다. 도 20b의 사용자 핑거 터치 제스처 및 그에 대응하는 동작은 도 20a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우측으로 미는 동작은 긍정 응답에 대응하고, 좌측으로 미는 동작은 부정 응답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긍정 응답은 예를 들어, 대답, 예, 읽음과 같은 사용자 의도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부정 응답은 예를 들어, 거절, 아니오, 해제와 같은 사용자 의도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0c의 (1) 내지 (2)는 상기 제1 화면(2301)을 통한 사용자 입력 및 그에 대응한 진동 피드백 동작을 예시한다.
도 20c의 (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우로 미는 동작(swipe)을 수행하면, 디스플레이(예: 도 2의 제2 디스플레이(122))는 상기 우로 미는 동작에 대응하도록 제1 진동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1 전자 장치(110))는 상기 제1 진동 피드백이 제공되는 동안 상기 우로 미는 동작에 연관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우로 미는 동작에 대한 알림을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예: 도 1의 디스플레이(112))에 표시하거나, 상기 우로 미는 동작에 대한 동작을 바로 수행할 수 있다.
도 20c의 (2)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좌로 미는 동작(swipe)을 수행하면, 디스플레이(예: 도 2의 제2 디스플레이(122))는 상기 좌로 미는 동작에 대응하도록 제2 진동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1 전자 장치(110))는 상기 제2 진동 피드백이 제공되는 동안 상기 좌로 미는 동작에 연관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좌로 미는 동작에 대한 알림을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예: 도 1의 디스플레이(112))에 표시하거나, 상기 좌로 미는 동작에 대한 동작을 바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디스플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에,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제1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정보의 획득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복수의 아이템들 중 적어도 일부인 제1 아이템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제2 화면을 표시 중에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제2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정보의 획득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복수의 아이템들 중 적어도 일부인 제2 아이템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제1 화면을 표시 중에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제3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3 정보의 획득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복수의 아이템들 중 적어도 일부인 제3 아이템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아이템은 상기 제1 아이템과 다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아이템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획득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동작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입력의 획득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세기 및 패턴을 가지는 진동을 제공하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아이템은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입력을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 제4 아이템을 통해서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4 아이템에 연관된 제1 진동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입력을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 제5 아이템을 통해서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5 아이템에 연관된 제2 진동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진동 및 상기 제2 진동은 세기 또는 패턴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정보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정보의 획득에 응답하여, 제1 아이템에 연관된 제6 아이템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무관한 제4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4 정보의 획득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상에 또는 상기 제2 아이템 상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무관한 제5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5 정보의 획득에 응답하여, 상기 제5 정보에 연관된 진동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외부 장치와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통신 회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연관된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연관된 정보에 대한 응답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통해 사용자의 제어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제어 입력에 연관된 제어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세기 및 패턴을 가지는 진동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제1 아이템을 통해 상기 제어 입력을 제1 구간동안 획득하고, 상기 제1 아이템에 연관된 제1 진동을 상기 제1 구간 내에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제2 아이템을 통해 상기 제어 입력을 제2 구간동안 획득하고, 상기 제2 아이템에 연관된 제2 진동을 상기 제2 구간 내에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진동 및 상기 제2 진동은 세기 또는 패턴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외부 장치와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통신 회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에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연관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연관된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2000) 내의 전자 장치(2001)의 블록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2000)에서 전자 장치(2001)(예: 도 2의 제1 전자 장치(110) 또는 도 3의 전자 장치(111))는 제 1 네트워크(2098)(예: 근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2002)(예: 도 2의 제2 전자 장치(120))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2099)(예: 원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2004) 또는 서버(20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1)는 서버(2008)를 통하여 전자 장치(20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1)는 프로세서(2020), 메모리(2030), 입력 장치(2050), 음향 출력 장치(2055), 표시 장치(2060), 오디오 모듈(2070), 센서 모듈(2076), 인터페이스(2077), 햅틱 모듈(2079), 카메라 모듈(2080), 전력 관리 모듈(2088), 배터리(2089), 통신 모듈(2090), 가입자 식별 모듈(2096), 및 안테나 모듈(20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20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2060) 또는 카메라 모듈(2080))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20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20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의 경우와 같이,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0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2040))를 구동하여 프로세서(2020)에 연결된 전자 장치(20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2076) 또는 통신 모듈(20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2032)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20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20)는 메인 프로세서(20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20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20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로세서(2023)는 메인 프로세서(2021)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조 프로세서(20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20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20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20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수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2021)와 함께, 전자 장치(20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2060), 센서 모듈(2076), 또는 통신 모듈(20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20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2080) 또는 통신 모듈(2090))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030)는, 전자 장치(20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2020) 또는 센서모듈(20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20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030)는, 휘발성 메모리(20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20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2040)은 메모리(203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예를 들면, 운영 체제(2042), 미들 웨어(2044) 또는 어플리케이션(20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2050)는, 전자 장치(20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20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20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20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2001)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스피커와 전화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2060)는 전자 장치(2001)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2060)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070)은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2070)은, 입력 장치(20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2055), 또는 전자 장치(20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2076)은 전자 장치(20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20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077)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2077)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2078)는 전자 장치(20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02))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20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햅틱 모듈(20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2080)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2088)은 전자 장치(20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2089)는 전자 장치(20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2090)은 전자 장치(20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02), 전자 장치(2004), 또는 서버(2008))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2090)은 프로세서(20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2090)은 무선 통신 모듈(20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20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20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20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2090)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2092)은 가입자 식별 모듈(2096)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2001)를 구별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20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2090)(예: 무선 통신 모듈(2092))은 통신 방식에 적합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들은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2099)에 연결된 서버(2008)를 통해서 전자 장치(2001)와 외부의 전자 장치(20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02, 2004) 각각은 전자 장치(20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20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외부 전자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20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내장 메모리(2036) 또는 외장 메모리(2038))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2040))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20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디스플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에,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제1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정보의 획득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복수의 아이템들 중 적어도 일부인 제1 아이템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제2 화면을 표시 중에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제2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정보의 획득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복수의 아이템들 중 적어도 일부인 제2 아이템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제1 화면을 표시 중에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제3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3 정보의 획득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복수의 아이템들 중 적어도 일부인 제3 아이템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3 아이템은 상기 제1 아이템과 다른, 전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아이템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획득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입력의 획득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변경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세기 및 패턴을 가지는 진동을 제공하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템은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입력을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 제4 아이템을 통해서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4 아이템에 연관된 제1 진동을 제공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입력을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 제5 아이템을 통해서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5 아이템에 연관된 제2 진동을 제공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 및 상기 제2 진동은 세기 또는 패턴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전자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정보의 획득에 응답하여, 제1 아이템에 연관된 제6 아이템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는,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무관한 제4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4 정보의 획득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상에 또는 상기 제2 아이템 상에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무관한 제5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5 정보의 획득에 응답하여, 상기 제5 정보에 연관된 진동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제공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5.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외부 장치와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통신 회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연관된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연관된 정보에 대한 응답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통해 사용자의 제어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제어 입력에 연관된 제어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달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세기 및 패턴을 가지는 진동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제1 아이템을 통해 상기 제어 입력을 제1 구간동안 획득하고,
    상기 제1 아이템에 연관된 제1 진동을 상기 제1 구간 내에서 제공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제2 아이템을 통해 상기 제어 입력을 제2 구간동안 획득하고,
    상기 제2 아이템에 연관된 제2 진동을 상기 제2 구간 내에서 제공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 및 상기 제2 진동은 세기 또는 패턴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전자 장치.
  20.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외부 장치와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통신 회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에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연관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연관된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KR1020170178813A 2017-12-22 2017-12-22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2441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813A KR102441746B1 (ko) 2017-12-22 2017-12-22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16/231,037 US20190196592A1 (en) 2017-12-22 2018-12-21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plurality of display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EP18215574.7A EP3502829A1 (en) 2017-12-22 2018-12-21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plurality of display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813A KR102441746B1 (ko) 2017-12-22 2017-12-22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755A true KR20190076755A (ko) 2019-07-02
KR102441746B1 KR102441746B1 (ko) 2022-09-08

Family

ID=64901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813A KR102441746B1 (ko) 2017-12-22 2017-12-22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196592A1 (ko)
EP (1) EP3502829A1 (ko)
KR (1) KR1024417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00601B2 (en) 2021-01-27 2022-11-15 Dell Products L.P.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mesh network of displays using a universal serial bu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744A (ko) * 2008-06-25 2010-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0042101A1 (en) * 2008-10-06 2010-04-1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ehicle information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vehicular function and/or for displaying an information and use of a vehicle information system for the execution of a mobile commerce transaction
JP2012176640A (ja) * 2011-02-25 2012-09-13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入力操作装置
KR20140117248A (ko) * 2013-03-26 2014-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에 탑재 가능한 단말 장치 및 이와 연동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이들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146970A (ko) * 2014-05-30 2016-12-21 애플 인크. 하나의 디바이스의 사용으로부터 다른 디바이스의 사용으로의 전환
US20170228023A1 (en) * 2010-02-16 2017-08-10 HJ Laboratories, LLC Vehicle computing system to provide a vehicle safety warning
US20170351422A1 (en) * 2014-12-22 2017-12-07 Volkswagen Ag Transportation means,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overlapping the display of display contents over two display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4737A (en) * 1993-10-13 1998-06-09 Hewlett-Packard Company Facsimile having user interface with keys that enable undo, yes, no and report functions
US5854622A (en) * 1997-01-17 1998-12-29 Brannon; Daniel J. Joystick apparatus for measuring handle movement with six degrees of freedom
US7039872B1 (en) * 1999-06-01 2006-05-02 Mossman Associates Inc Method and system of creating floating windows for displaying sponsor information, messages or programs in non-obtrusive areas of the graphic user interface of a software application
WO2002008021A1 (fr) * 2000-07-26 2002-01-3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alerte place dans un vehicule
JP3495029B2 (ja) * 2001-05-02 2004-02-09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コマンド処理プログラム、コマンド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コマンド処理装置及び方法
FI20020847A (fi) * 2002-05-03 2003-11-04 Nokia Corp Menetelmä ja laite valikkotoimintojen käyttämiseksi
JP2004130979A (ja) * 2002-10-11 2004-04-30 Alps Electric Co Ltd 力覚付与型入力装置
JP2004146090A (ja) * 2002-10-22 2004-05-20 Pioneer Electronic Corp 多機能操作装置
US8059099B2 (en) * 2006-06-02 2011-11-15 Apple Inc. Techniques for interactive input to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7633485B2 (en) * 2004-01-29 2009-12-15 Chrysler Group Llc Single knob multifunction controller and display unit
US20050229112A1 (en) * 2004-04-13 2005-10-13 Clay Timothy M Method and system for conveying an image position
CN1985236B (zh) * 2004-05-10 2010-06-2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用户接口设备、程序和记录介质
EP1853987A1 (en) * 2005-03-04 2007-11-14 Nokia Corporation Offering menu items to a user
US20060271867A1 (en) * 2005-05-27 2006-11-30 Wang Kong Q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method therefore
DE102006033014A1 (de) * 2005-09-13 2007-04-05 Volkswagen Ag Eingabe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JP4556972B2 (ja) * 2007-08-24 2010-10-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操作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069816B2 (ja) * 2008-07-25 2012-11-0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ヘルプ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ヘルプ表示方法
JP2011111061A (ja) * 2009-11-27 2011-06-09 Fujitsu Ten Ltd 車載表示システム
US20110225553A1 (en) * 2010-03-15 2011-09-15 Abramson Robert W Use Of Standalone Mobile Devices To Extend HID Capabilities Of Computer Systems
WO2014157839A1 (en) * 2013-03-26 2014-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rminal apparatus mountable in vehicle, mobile device for working with th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service thereof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744A (ko) * 2008-06-25 2010-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0042101A1 (en) * 2008-10-06 2010-04-1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ehicle information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vehicular function and/or for displaying an information and use of a vehicle information system for the execution of a mobile commerce transaction
US20170228023A1 (en) * 2010-02-16 2017-08-10 HJ Laboratories, LLC Vehicle computing system to provide a vehicle safety warning
JP2012176640A (ja) * 2011-02-25 2012-09-13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入力操作装置
KR20140117248A (ko) * 2013-03-26 2014-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에 탑재 가능한 단말 장치 및 이와 연동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이들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146970A (ko) * 2014-05-30 2016-12-21 애플 인크. 하나의 디바이스의 사용으로부터 다른 디바이스의 사용으로의 전환
US20170351422A1 (en) * 2014-12-22 2017-12-07 Volkswagen Ag Transportation means,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overlapping the display of display contents over two display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1746B1 (ko) 2022-09-08
US20190196592A1 (en) 2019-06-27
EP3502829A1 (en) 2019-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9072B1 (ko) 탑승자 단말 및 디스트랙션 확인을 통한 컨텐츠 표시 방법
EP3674881B1 (en) Electronic device and screen sharing method using same
US1100433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driving guide information
KR102088215B1 (ko)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102589468B1 (ko) 차량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11295614B2 (en) Method for processing message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KR20190007769A (ko)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200028771A (ko) 사용자 의도 기반 제스처 인식 방법 및 장치
KR102329770B1 (ko) 푸시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611775B1 (ko) 그룹 메시지의 전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546726B1 (ko) 인커밍 콜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00142314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알림 정보 제공 방법
KR20190076755A (ko)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20190021568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입력 검출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262845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vibration
KR102468678B1 (ko)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618386B1 (ko) 보안 요소를 통해 보안이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2539578B1 (ko)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매핑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3606018A1 (en) Mobile body device, termina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mobile body device program, and terminal device program
KR102543104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43993B1 (ko) 시구간을 나타내는 콘텐츠와 연관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396343B1 (ko) 전자 장치의 움직임과 관련된 상태의 변화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JP2022106240A (ja) 給電装置、給電プログラム及び給電制御システム
KR20190088352A (ko) 제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