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2313A - 수지 적층체 및 이것을 구비한 터치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수지 적층체 및 이것을 구비한 터치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2313A
KR20190022313A KR1020180081461A KR20180081461A KR20190022313A KR 20190022313 A KR20190022313 A KR 20190022313A KR 1020180081461 A KR1020180081461 A KR 1020180081461A KR 20180081461 A KR20180081461 A KR 20180081461A KR 20190022313 A KR20190022313 A KR 20190022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ilm
region
intermediate layer
lay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케시 이소다
나오키 시가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22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3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cyclo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4Translu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필름의 하우징의 개구로부터 시인 가능한 영역 내에 있어서, 베이스 필름과 수지층의 사이의 중간층의 외형의 도드라져 보임을 방지한다.
수지 적층체는, 베이스 필름(100)과,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과, 수지층(400)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필름(100)의 외면(11Oa)은, 하우징(10)의 개구(11)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노출 영역(111a)를 가지며,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 (110b)은, 노출 영역(111a)에 대응하는 제1영역(111b)를 가진다.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의 외형 치수는 제l영역(111b)의 외형 치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것보다도 크다.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은, 제1영역(111b)의 전체 영역을 가리도록, 내면(110b) 위에 적층되어 있다. 수지층(400)은,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을 가리도록, 내면(110b) 및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 중의 양쪽에, 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에 고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수지 적층체 및 이것을 구비한 터치 입력 장치{RESIN LAMINATE AND TOUCH INPUT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지 적층체 및 이것을 구비한 터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터치 입력 장치는, 하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이 터치 입력 장치는, 베이스 필름과 정전 용량식의 센서층과, 수지층을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필름은, 대략 환상의 가식인쇄가 행해지고 있다. 베이스 필름(100)의 가식인쇄의 안쪽에는 투명창부가 형성되어 있다. 센서층은, 복수의 전극을 가지고 있으며, 복수의 전극이, 베이스 필름의 두께 방향의 평면에서 보아서 투명창부 내에 배치되어 있다. 수지층은, 베이스 필름의 내면 상에 수지를 사출 성형하는 것에 의해서 성형된 성형 수지이며, 센서층을 가리고 있다.
[특허 문헌 1] 특개 2009-238661호공보
[발명의 개요]
센서층의 외형은 단차로 이루어진다. 이 센서층의 외형 치수는 투명창부의 외형 치수와 거의 같기 때문에, 수지층의 사출 성형시에 베이스 필름 및 센서층에 걸리는 열이나 압력등에 의해, 센서층의 외형이 베이스 필름에 전사 되어, 베이스 필름의 외면의 투명창부의 바깥쪽의 가식인쇄 부분에 도드라져 보이는 일이 있다.
상기 터치 입력 장치는 전자기기의 하우징에 설치된 상태로, 해당 하우징의 개구로부터 베이스 필름의 투명창부 뿐만이 아니라, 그 바깥쪽의 가식인쇄 부분도 노출하므로, 전술의 가식인쇄 부분에 있어서의 단차의 도드라져 보임이 터치 입력 장치의 의장성을 악화시킨다.
본 발명은, 베이스 필름의 하우징의 개구로부터 시인(視認) 가능한 영역 내에 있어서, 베이스 필름과 수지층의 사이의 중간층의 외형의 도드라져 보임을 방지할 수 있는 수지 적층체 및 이것을 구비한 터치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한 형태의 수지 적층체는, 개구를 가지는 하우징 내에 수용 가능하다. 이 수지 적층체는, 수지제의 베이스 필름과,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과, 수지층을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필름은 외면 및 내면을 가진다. 외면은, 하우징의 개구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노출 영역을 가지고 있다. 내면은, 노출 영역에 대응하는 제1영역을 가지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은, 제1영역의 외형 치수와 동일 또는 제1영역의 외형 치수보다도 큰 외형 치수를 가진다.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은, 베이스 필름의 내면의 제1영역의 전체 영역을 가리도록, 베이스 필름의 내면 위에 적층되어 있다. 수지층은,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을 가리도록, 베이스 필름의 내면 및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 중의 양쪽에, 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수지 적층체에 의한 경우, 베이스 필름의 노출 영역에 대응하는 제1영역의 전체 영역이,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에 의해 가려져 있으므로, 베이스 필름의 노출 영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의 외형의 도드라져 보임이 방지된다.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은 복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복수의 중간층이, 베이스 필름의 내면의 제1영역의 전체 영역을 가리도록, 베이스 필름의 내면 위에 적층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의 중간층은, 수지층에 가장 가까운 근방의 중간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수지층은, 복수의 중간층을 가리도록, 베이스 필름의 내면 및 근방의 중간층의 양쪽에, 또는 근방의 중간층에 고정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베이스 필름과 수지층의 사이에 적층된 모든 중간층이 베이스 필름의 내면의 제1영역의 전체 영역을 덮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수지 적층체에 의한 경우, 중간층이 복수이어도, 베이스 필름의 노출 영역에 있어서, 중간층의 외형의 도드라져 보임이 방지된다.
베이스 필름의 외면의 노출 영역은, 해당 노출 영역보다도 작은 기능 영역을 가지며, 베이스 필름의 내면의 제1영역은, 해당 제1영역보다도 작은 기능 영역에 대응하는 제2영역을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은, 제1중간층을 포함하며, 제1중간층은, 제1면과, 복수의 제1전극을 가지며, 복수의 제1전극은, 제1방향의 평면에서 보아서, 적어도 제l영역 내를 전부 묻히도록, 미세한 간격을 두고 제1중간층의 제1면 위에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방향은, 수지 적층체의 적층 방향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수지 적층체에 의한 경우, 베이스 필름의 노출 영역에 대응하는 제1영역은, 제1방향의 평면에서 보아서, 복수의 제1전극에 의해 완전히 묻혀있으므로, 베이스 필름의 노출 영역에 있어서 복수의 제1전극의 형상의 도드라져 보임이 억제된다.
제1중간층은, 복수의 제2전극를 부가하여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의 제2전극은, 제1중간층의 제1면과 제1방향에 있어서 높이가 다른 평면에, 제1방향의 평면에서 보아서, 적어도 제1영역 내를 완전히 묻히도록, 미세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수지 적층체에 의한 경우, 베이스 필름의 노출 영역에 대응하는 제1영역은, 제1방향의 평면에서 보아서, 복수의 제2전극에 의해서 완전히 묻혀있기 때문에, 베이스 필름의 노출 영역에 있어서 복수의 제2전극의 형상의 도드라져 보임이 억제된다.
복수의 중간층은, 제2중간층을 부가하여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제2중간층은, 제1면과, 복수의 제2전극을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복수의 제2 전극은, 제1방향의 평면에서 보아서, 적어도 제1영역 내를 완전히 묻도록, 미세한 간격을 두고 제2중간층의 제1면 위에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수지 적층체에 의한 경우, 베이스 필름의 노출 영역에 대응하는 제1영역은, 제1방향의 평면에서 보아서 , 복수의 제2전극에 의해서 완전히 묻혀 있으므로, 베이스 필름의 노출 영역에 있어서 복수의 제2전극의 형상의 도드라져 보임이 억제된다.
베이스 필름의 제1영역은, 제2방향 및 제3방향으로 연장하고 있으면 된다. 제3방향은 제2방향과 교차하고 있으면 된다. 복수의 제1전극은, 제1방향의 평면에서 보아서, 제1영역의 제2방향의 한쪽의 단부로부터 다른 한쪽의 단부에 걸쳐서 각각 연장하는 제2방향의 길이를 각각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의 제1전극은, 제l방향의 평면에서 보아서, 제1영역의 제3방향의 한쪽의 단부로부터 다른 한쪽의 단부까지 제3방향으로 미세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있어도 된다. 복수의 제2전극은, 제1방향의 평면에서 보아서, 제1영역의 제3방향의 한쪽의 단부로부터 다른 한쪽의 단부에 걸쳐 각각 연장하는 제3방향의 길이를 각각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의 제2전극은, 제1방향의 평면에서 보아서, 복수의 제1전극과 교차하고 또한 제1영역의 제2방향의 한쪽의 단부로부터 다른 한쪽의 단부까지 제2방향으로 미세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복수의 중간층은, 제3중간층을 부가하여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중간층 및 제3 중간층 중의 어느 하나를 상기 근방의 중간층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며, 별개의 중간층을 상기 근방의 중간층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어느 하나의 형태의 수지 적층체는, 베이스 필름의 제1영역의 바깥쪽에서 제1중간층에 접속된 외부 접속부를 부가하여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수지 적층체에 의한 경우, 베이스 필름의 노출 영역에 있어서 외부 접속부의 형상이 도드라져 보이지 않는다. 외부 접속부는 베이스 필름의 제1 영역의 외측에서 제1중간층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이다.
제1중간부 및 제2중간부 중의 적어도 한쪽의 중간층은, 베이스 필름과 제3중간층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베이스 필름, 적어도 한쪽의 중간층(제1중간층 및/또는 제2중간부) 및 제3중간층은, 수지층의 단부로부터 연장하며 또한 베이스 필름의 제1영역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연장 단부를 각각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베이스 필름의 연장 단부의 선단부 및 제3중간층의 연장 단부의 선단부는, 적어도 한쪽의 중간층의 연장 단부의 선단부로부터 이반(離反)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외부 접속부는, 적어도 한쪽의 중간층의 연장단부의 선단부에 접속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형태의 수지 적층체에 의한 경우, 베이스 필름의 노출 영역에 있어서 외부 접속부의 형상이 도드라져 보이는 일이 없다. 외부 접속부는, 베이스 필름의 연장 단부의 선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있다. 게다가, 외부 접속부를 제1중간층 및/또는 제2 중간부의 연장 단부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적어도 한쪽의 중간층(제1중간층 및/또는 제2중간부)의 연장 단부와 외부 접속부와의 접속 부분은, 베이스 필름의 연장 단부의 선단부와 제3중간층의 연장 단부의 선단부에 끼워서 유지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수지 적층체에 의한 경우, 제1중간층 및/또는 제2중간부의 연장 단부와 외부 접속부와의 접속의 부주의한 해제가 억제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터치 입력 장치는, 상기한 어느 하나의 형태의 수지 적층체를 갖춘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터치 입력 장치의 수지 적층체 및 전자기기의 하우징의 모식적 정면도이다.
도 1b는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수지 적층체 및 상기 전자기기의 하우징의 도 la 중의 1b-1b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c는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수지 적층체 및 상기 전자기기의 하우징의 도 la 중의 1c-1c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수지 적층체의 모식적 확대 정면도이다.
도 3a는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베이스 필름의 모식적 확대 정면도이다.
도 3b는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상기 베이스 필름의 모식적 확대 배면도이다.
도 4는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수지 적층체의 제1설계 변형예의 도 1b에 대응하는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a는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수지 적층체의 제1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b는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수지 적층체의 제2적층 구조의 제1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c는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수지 적층체의 제2적층 구조의 제2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d는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수지 적층체의 제3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e는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수지 적층체의 제4적층 구조의 제1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f는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수지 적층체의 제4적층 구조의 제2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g는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수지 적층체의 제4적층 구조의 제3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h는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수지 적층체의 제5적층 구조의 제1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i는 상기 터치 입력장치의 수지 적층체의 제5적층 구조의 제2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j는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수지 적층체의 제5적층 구조의 제3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k는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수지 적층체의 제6적층 구조의 제1예를 나타내는 모식도로 있다.
도 5l은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수지 적층체의 제6적층 구조의 제2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m은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수지 적층체의 제6적층 구조의 제3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와 관련하는 터치 입력 장치의 수지 적층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포함하는 복수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터치 입력 장치(Tl)에 대해서 도 la 내지 도 5m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la 내지 도 3b에는, 실시예 1에 관한 터치 입력 장치(Tl)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4에는, 실시예 1에 관한 터치 입력 장치(Tl)의 제1설계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터치 입력 장치 (T1)은 전자기기의 하우징(10)(예를 들면, 자동차의 인스트러먼트 패널(instrument panel), 현금 자동 입출금기의 하우징, 매표기의 하우징, 휴대형 이동 단말(예를 들면, 스마트 폰이나 타블렛)의 하우징, 또는 퍼스널 컴퓨터의 하우징 등)의 개구(11)로부터 외부로 노출하도록, 하우징(10) 내에 수용 가능하다. 또한, 도 1b 내지 도 1c 및 도 4에 나타내는 Z-Z'방향은, 특허 청구의 범위의 제1 방향 및 터치 입력 장치(T1)의 수지 적층체의 적층방향에 상당한다. 도 lc 내지 도 3b에 나타내는 X-X'방향은, 특허청구범위의 제2방향에 상당하며, 도 1b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Y-Y'방향은 특허청구의 범위의 제2방향에 상당한다. 도 2 내지 도 3b에서는, Y-Y'방향은 X-X'방향과 직교 하고 있지만, 적어도 교차하고 있으면 된다. 도 1b 내지 도 1c 및 도 4에서는, Z-Z'방향은, Y-Y'방향 및 X-X'방향과 직교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터치 입력 장치(T1)은 수지 적층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 수지 적층체는, 수지제의 베이스 필름(100)을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필름(100)은, 투광성(투명을 포함한다)을 가지는 하나 또는 복수(복수 종류를 포함한다.)의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필름(10O)이 복수의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수지 필름은 Z-Z'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다. 이 경우, 베이스 필름(100)은, 복수 종류의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공압출 다층 필름이어도 되고, 복수의 수지 필름 중 서로 이웃하는 수지 필름 사이가 층간 접착제(예를 들면, 점착제, OCA(Optical Clear Adhesive, 등록상표) 또는 핫멜트(hotmelt) 등)으로 접착된 다층 필름이어도 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수지 필름은,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PC), 폴리스틸렌(P S), 시클로올레핀공중합체(COC), 시클로올레핀폴리머(C0P),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프로필렌(PP) 또는 이들 소재 중 복수의 소재를 혼합시킨 폴리머 알로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필름(100)은, Y-Y'방향 및 X-X'방향으로 연장하고 있으면 되고(환언하면, Y-Y'방향 및 X-X'방향으로 확대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전체가 평평해도 되고, 적어도 일부가 곡면상으로 있어도 되고, 일부가 절곡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la 내지 도 4에서는, 베이스 필름(100)의 중앙부가 Y-Y'방향 및 X-X'방향으로 연장한 평평한 한편, 베이스 필름(100)의 Y방향의 단부, Y'방향의 단부, X방향의 단부, 및 X'방향의 단부가 Z방향으로 곡면형상으로 만곡하고 있다.
베이스 필름(100)은 외면(1lOa) 및 내면(1lOb)를 가지고 있다. 외면(1lOa)은, 도 3a에 가장 잘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노출 영역(111a)를 가지며, 이 노출 영역(111a)이 해당 노출 영역(111a)보다도 작은 센서 영역(112a)(특허청구의 범위의 기능 영역에 상당)를 가지고 있다. 노출 영역(111a)은, 도 la 내지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 입력 장치(Tl)가 하우징(10) 내에 수용된 상태로, 하우징(10)의 개구(11)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시인가능하게 되도록 배치되는 영역이다. 노출 영역 (111a)은, 하우징(10)의 개구(11)로부터 외부로 직접 노출하고 있어도 되고, 하우징(10)의 개구(11)가 투명한 패널 등으로 막혀 있으며, 해당 패널을 넘어서 시인 가능해도 된다. 여기서 말하는 「투명」이란, 그 앞에 있는 것(노출 영역(111a)이 비쳐서 보일 수 있는 정도의 것을 말한다. 센서 영역(112a)은, 터치 입력 장치(Tl)에 대한 검출 대상(예를 들면, 손가락이나 터치 펜)의 터치를 검지하기 위한 영역이다.
내면(1lOb)는, 도 3b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영역(1l1b)를 가지며, 이 제1영역(1l1b)이 해당 제l영역(1l1b)보다도 작은 제2영역(112b)를 가지고 있다. 제1영역(1l1b)는, 외면(11Oa)의 노출 영역(111a)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영역(1l1b)는, 노출 영역(111a)과 동일한 외형 치수를 가지며, 노출 영역(111a)의 반대 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영역(112b)는, 외면(1lOa)의 센서 영역(112a)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구체적으로는, 제2영역(112b)은, 센서 영역(112a)과 동일한 외형 치수를 가지며, 센서 영역(112a)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내면(1lOb)은, 제3영역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제3영역은,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1lOb)의 제1영역(1l1b)보다도 크고 제1영역(1l1b)를 포함하고 있다. 제3영역의 외형 치수는,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1lOb)과 동일하고 또는 이것 보다도 작다.
내면(1lOb)에는, 가식 인쇄가 행해지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내면(110b)의 제1영역(1l1b)에 있어서의 제2영역(112b)를 제외한 영역 또는 내면(11Ob)에 있어서의 제2영역(112b)를 제외한 영역에 가식 인쇄가 행해지는 형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내면(1lOb)에는, 가식 인쇄가 행해지지 않아도 된다.
터치 입력 장치(Tl)의 수지 적층체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을 더 구비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은 복수이어도 된다. 중간층이 하나인 경우, 이 하나의 중간층은, 센서 필름(200a)(특허청구의 범위의 제1중간층에 상당함)를 포함한다. 중간층이 복수인 경우, 복수의 중간층은, 센서 필름(200a)에 가해져서, 센서필름(200b)(특허청구의 범위의 제2중간층에 상당) 및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300)(특허청구의 범위의 제3중간층에 상당함)의 적어도 한쪽을 부가하여 포함한다. 하나 또는 복수의 중간층(센서 필름(200a), 센서 필름(200b),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300)의 외형 치수는, 1)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11Ob)의 제1 영역(111b)의 외형 치수와 동일하거나, 2) 제1영역(111b)의 외형 치수보다도 크거나(예를 들면, 제3영역의 외형 치수와 동일), 또는 3) 베이스 필름(100)의 외형 치수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간층이 복수인 경우, 모든 중간층의 외형 치수가, 상기 1) 내지 3)의 어느 하나이면 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 또는 복수의 중간층은,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1lOb)의 제1 영역(111b)의 전체 영역을 가리도록,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110b) 위에 적층되어 있다. 베이스 필름(100)의 외형 치수와, 하나 또는 복수의 중간층의 외형 치수가 동일한 경우, 하나 또는 복수의 중간층을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110b) 위에 적층하는 공정에 있어서, 각층의 외형을 맞추는 것만으로, 하나 또는 복수의 중간층이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110b)의 제1영역(111b)의 전체 영역을 덮는다. 하나 또는 복수의 중간층은, Z'방향 측(베이스 필름(100)에 가장 근처)의 제1근방의 중간층 및 Z방향 측의 제2근방의 중간층(특허청구의 범위의 근방의 중간층에 상당)을 포함한다. 중간층이 하나인 경우, 제1, 제2근방의 중간층은 동일한 층이다. 제1근방의 중간층은,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110b) 위에 상기 층간 접착제 등으로 첩부되어 있어도 된다. 복수의 중간층 중에서, Z-Z'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중간층의 사이는 상기 층간 접착제에 의해서 붙여서 합쳐지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나 또는 복수의 중간층이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110b) 위에 적층되는 것에 의해서, 베이스 필름(100)을 따르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하, 하나 또는 복수의 중간층의 적층 구조에 대해서, 도 5a 내지 도 5m 처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a 내지 도 5m의 각각에는, 터치 입력 장치(T1)의 수지 적층체의 적층 구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적층 구조 1) 중간층이 1개이며, 센서 필름(200a)를 포함한다. 이 경우, 센서 필름(200a)은,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110b)의 제1영역(111b) 또는 제3영역의 전체 영역을 가리도록,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110b) 위에 적층되고 있다(도 5a참조). 이하, 이와 같이 적층된 베이스 필름(100) 및 센서 필름(200a)를 설명의 편의상, 적층체(1)라고도 칭한다.
적층 구조 2) 중간층이 복수이며, 복수의 중간층이 센서 필름(200a) 및 하나의 기능층(300)을 포함한다. 이 경우, 센서 필름(200a) 및 하나의 기능층(300)의 어느 한쪽의 중간층이,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110b)의 제1영역(111b) 또는 제3 영역의 전체 영역을 가리도록,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110b) 위에 적층되며, 다른 한쪽의 중간층이, 제1영역(111b) 또는 제3영역의 전체 영역을 가리도록, 한쪽의 중간층 위에 적층되어 있다(도 1b, 도 1c, 도 4, 도 5b, 도 5c 참조). 이하, 이와 같이 적층된 베이스 필름(100), 센서 필름(200a) 및 하나의 기능층(300)을 설명의 편의상, 적층체(2)라고도 칭한다.
적층 구조 3) 중간층이 복수이며, 복수의 중간층이 센서 필름(200a) 및 센서 필름(200b)을 포함한다. 이 경우, 센서 필름(200a)이, 베이스 필름(10O)의 내면 (110b)의 제1영역(111b) 또는 제3영역의 전체 영역을 가리도록,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110b) 위에 적층되고, 센서 필름(200b)가, 제1영역(111b) 또는 제3영역의 전체 영역을 가리도록, 센서 필름(200a) 위에 적층되어 있다(도 5d 참조). 이하, 이와 같이 적층된 베이스 필름(100), 센서 필름(200a) 및 센서 필름(200b)을 설명의 편의상, 적층체(3)라고도 칭한다.
적층 구조 4) 적층 구조 2에 있어서, 복수의 중간층이 센서 필름(200b)을 부가하여 포함한다. 센서 필름(200b)은, 제1영역(111b) 또는 제3영역의 전체 영역을 가리도록, 다른 한쪽의 중간층 위에 적층되어 있으며(도 5e 내지 도 5f 참조) 또는 한쪽의 중간층 위에 적층되어 있다(도 5g 참조). 후자의 경우, 다른 한쪽의 중간층이, 한쪽의 중간층 대신에, 센서 필름(200b) 위에 적층되어 있다. 이하, 이와 같이 적층된 베이스 필름(10O), 센서 필름(200a), 센서 필름(200b) 및 하나의 기능층(300)을 설명의 편의상, 적층체(4)라고도 칭한다.
적층 구조 5) 중간층이 복수이며, 복수의 중간층이 센서 필름(200a) 및 복수의 기능층(300)을 포함한다. 이 경우, 센서 필름(200a) 및 복수의 기능층(300)이,제1영역(111b) 또는 제3영역의 전체 영역을 가리도록,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 (110b) 위에 무순서로 적층되어 있다(도 5h 내지 도 5j). 이하, 이와 같이 적층된 베이스 필름(100), 센서 필름(200a) 및 복수의 기능층(300)을 설명의 편의상 , 적층체(5)라고도 칭한다.
적층 구조 6) 중간층이 복수이며, 복수의 중간층이 센서 필름(200a), 센서 필름(200b) 및 복수의 기능층(300)을 포함한다. 이 경우, 센서 필름(200a), 센서 필름(200b) 및 복수의 기능층(300)이, 제1영역(111b) 또는 제3영역의 전체 영역을 가리도록,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110b) 위에 무순서로 적층되어 있다(도 5k 내지 도 5m). 이하, 이와 같이 적층된 베이스 필름(100), 센서 필름(200a), 센서 필름(2 00b) 및 복수의 기능층(300)을 설명의 편의상, 적층체(6)라고도 칭한다.
중간층이 하나이며, 센서 필름(200a)를 포함하는 경우, 센서 필름(200a)은, 베이스 필름(100)의 외면(11Oa)의 센서 영역(112a)에 대한 검출 대상의 터치를 검지하기 위한 정전 용량형의 필름 센서를 구성한다. 센서 필름(200a)은, 예를 들면, 베이스 필름(100)의 수지 필름과 같은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센서 필름(200a)은, 제1면과, 그 반대측의 제2면을 가지고 있다. 이 센서 필름(200a)은, 복수의 제1전극(21Oa)를 또한 가지고 있다.
복수의 제1전극(2lOa)은, 투명 도전막 또는 도체이다. 상기 투명 도전막은, 예를 들면, ITO(산화인듐+산화주석), CNT(카본나노튜브), IZ0(산화인듐+산화 아연), AZO(알루미늄 도핑된 산화 아연) 또는 도전성 고분자(PEDOT 또는 PSS) 등으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체는, 예를 들면, 감광성은, 은나노잉크, 은나노 와이어, 증착동, 압연동 또는 동나노 잉크등이다. 이 복수의 제1전극(2lOa)은, Z-Z'방향의 평면에서 보아서, 적어도 베이스 필름(100)의 제1영역(111b) 내를 완전히 묻도록 , 미세한 간격을 두고 센서 필름(200a)의 제1면 위에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1전극(21Oa)은, 아래와 같이 a) 또는 b)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a) 복수의 제1전극(2lOa)의 각각은, 도 2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X-X'방향으로 연장한 띠형상인 구성이어도 되고, X-X'방향으로 일렬로 늘어놓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복수의 전극부와, 복수의 전극부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지는 구성(도시하지 않음)이어도 된다. 이 복수의 제1전극(2lOa)은, 베이스 필름(100)의 제1영역(111b)의 X-X'방향의 길이와 같은 또는 큰 길이(예를 들면, 베이스 필름 (100)의 제3영역의 X-X'방향의 길이와 동일 길이)를 각각 가지고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제1전극(2lOa)이, Z-Z'방향의 평면에서 보아서, 제1영역(111b) 또는 제3영역의 X방향 측의 제1단부로부터 X'방향 측의 제2단부에 걸쳐서 각각 연장하며, 또한, 제1영역(111b) 또는 제3영역의 Y방향 측의 제3단부로부터 Y'방향 측의 제4단부에 걸쳐서 Y-Y'방향으로 미세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복수의 제1전극(2lOa)이 Z-Z'방향의 평면에서 보아서, 제1영역(111b) 또는 제3 영역을 완전히 묻고 있다.
b) 복수의 제1전극(2lOa)은, 원형이나 다각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복수의 제1전극(21Oa)은, Z-Z'방향의 평면에서 보아서, 제1영역(111b) 또는 제3영역 내를 완전히 묻도록 , 미세한 간격을 두고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센서 필름(200a)은, 복수의 제2전극(21Ob)을 부가하여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의 제2전극(210b)의 각각은, 제l전극(210a)과 동일한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복수의 제2전극(21Ob)은, Z-Z'방향의 평면에서 보아서, 적어도 베이스 필름(100)의 제1영역(111b) 내를 완전히 묻도록 , 미세한 간격을 두고 센서 필름(200a)의 제2면 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센서 필름(200a)의 제2면이, 특허청구의 범위의 제1중간층의 제1면과 제1방향에 있어서 높이가 다른 평면에 상당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2전극(21Ob)은, 아래 c) 또는 d)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c) 복수의 제1전극(21Oa)이 상기 a)의 구성인 경우, 복수의 제2전극(21Ob)의 각각은, 도 2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Y-Y'방향으로 연장한 띠 형상인 구성이어도 되고, Y-Y'방향으로 일렬로 늘어놓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복수의 전극부와, 복수의 전극부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지는 구성(도시하지 않음)이어도 된다. 이 복수의 제2전극(21Ob)은, 베이스 필름(100)의 제1영역(111b)의 Y-Y'방향의 길이와 같은 또는 큰 길이(예를 들면, 베이스 필름(100)의 제3영역의 Y-Y'방향의 길이와 동일 길이)를 각각 가지고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제2전극(21Ob)은, Z- Z'방향의 평면에서 보아서, 제1영역(111b) 또는 제3영역의 제3단부로부터 제4단부에 걸쳐서 각각 연장하며, 복수의 제1전극(21Oa)과 교차하며 또한 제1영역(111b) 또는 제3영역의 제1단부로부터 제2단부에 걸쳐서 X-X'방향으로 미세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복수의 제2전극(210b)이 Z-Z'방향의 평면에서 보아서, 제1영역(111b) 또는 제3영역을 완전히 묻고 있다.
d) 복수의 제1전극(2lOa)이 상기 b)의 구성인 경우, 복수의 제2전극(21Ob)은 , 원형이나 다각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복수의 제2전극(21Ob)은, Z-Z'방향의 평면에서 보아서, 제1영역(111b) 또는 제3영역 내를 완전히 묻도록 , 미세한 간격을 두고 메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센서 필름(200a)는 절연층을 부가하여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절연층은 센서 필름(200a)의 제1면 위에 복수의 제1전극(21Oa)을 가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제2전극(21Ob)은, 상기 c)와 같은 구성이며, 센서 필름(200a)의 제2면 위는 아니고, 절연층 위에 상기 c)와 같은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되며, 상기 d)와 같은 구성이며, 센서 필름(200a)의 제2면 위는 아니고, 절연층 위에 상기 d)와 같은 형태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절연층의 외형 치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의 외형 치수의 상기 1) ~ 3) 중의 어느 하나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절연층의 제2전극(21Ob)이 배치된 평면이, 특허청구의 범위의 제1중간층의 제1면과 제1방향에 있어서 높이가 다른 평면에 상당한다.
중간층이 복수이며 복수의 중간층이 센서 필름(200a) 및 센서 필름(2OOb)을 포함하는 경우, 센서 필름(200a) 및 센서 필름(200b)이, 베이스 필름(100)의 외면(1 lOa)의 센서 영역(112a)에 대한 검출 대상의 터치를 검지하기 위한 정전 용량형의 필름 센서를 구성한다. 이 경우, 센서 필름(200b)은, 예를 들면, 베이스 필름(100)의 수지 필름과 동일한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센서 필름(200b)은, 제1면과, 그 반대측의 제2면을 가지고 있다. 제2전극(21Ob)은, 센서 필름(200a)의 제2면 및 절연층 위는 아니고, 센서 필름(2OOb)의 제l면 위에, Z-Z'방향의 평면에서 보아서, 적어도 베이스 필름(100)의 제l영역(111b) 내를 완전히 묻도록 , 미세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복수의 제2전극(21Ob)은, 상기 c)와 같은 구성이며, 센서 필름(200b)의 제1면 위에 상기 c)와 같은 형태로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d)와 같은 구성이며, 센서 필름(200b)의 제1면 위에 상기 d)와 같은 형태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한 어떠한 형태에 있는 경우에서도, 복수의 제1전극(21Oa)은, 복수조가 서로 이웃하는 제1전극(21Oa)를 포함하며, 각 조의 서로 이웃하는 제1전극(2 1Oa) 사이의 간격은, 5μm 내지 300μm이면 되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한 어떠한 형태인 경우에서도, 복수의 제2전극(21Ob)은, 복수 조가 서로 이웃하는 제2전극(21Ob)을 포함한다. 각 조의 서로 이웃하는 제2전극(21Ob) 사이의 간격은, 5μm 내지 300μm이면 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300)은, 예를 들면, 베이스 필름(100)의 수지 필름과 같은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300)은, 하드코트,비광택(anti glare), 반사 방지, 저반사, 보호, 안티 뉴턴(anti Newton), 강도 보관 유지, 오염방지, 및/또는 위상차(초고 위상차(SRF)를 포함한다.) 등으로서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처리(예를 들면, 코팅 처리등 )가 되어 있어도 된다.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300)은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110b) 또는 해당 기능층(300) 이외의 중간층 위에 도포된 아크릴 수지 등의 코팅제 등이어도 된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300)(즉, 아크릴수지 등의 코팅제)은, 센서 필름(200a) 및 센서 필름 (200b)의 적어도 한쪽을 후술하는 수지층(400)의 사출 성형시의 열 및 압력 또는 형상 부여시의 열 및 압력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층이어도 된다.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300)이 보호 기능이 부양된 수지 필름인 경우도, 상기 보호층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300)은, 가식층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300)은, 센서 필름(200a)과 센서 필름(200b)의 사이에 위치하는 스페이스 층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300)은 복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터치 입력 장치(Tl)의 수지 적층체는 수지층(400)을 부가하여 구비하고 있다. 수지층(400)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ABS수지 또는 이들의 소재 중 복수의 소재를 혼합시킨 폴리머알로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이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110b)의 외형 치수보다도 작은 경우, 수지층(400)은,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을 가리도록,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110b) 및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의 상기 제2근방의 중간층의 양쪽에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수지층(400)은 상기 적층체 1 내지 6에 아래와 같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2근방의 중간층은 수지층(400)에 가장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적층체 1
수지층(400)은, 센서 필름(200a)를 가리도록,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 (110b) 및 센서 필름(200a)(제2근방의 중간층)의 양쪽에 고정되어 있다(도 5a 참조).
상기 적층체 2
수지층(400)은, 센서 필름(200a) 및 하나의 기능층(300)을 가리도록,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110b) 및 센서 필름(200a)(제2근방의 중간층)의 양쪽에(도 5c 참조), 또는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110b) 및 기능층(300)(제2근방의 중간층)의 양쪽(도 5b 참조)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적층체 3
수지층(400)은, 센서 필름(200a) 및 센서 필름(200b)를 가리도록,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110b) 및 센서 필름(200b)(제2근방의 중간층)의 양쪽에 고정 되어 있다(도 5d 참조).
상기 적층체4
수지층(400)은, 센서 필름(200a), 센서 필름(200b) 및 하나의 기능층(300)을 가리도록,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110b) 및 센서 필름(200b)(제2근방의 중간층)의 양쪽에(도 5e 및 도 5f 참조), 또는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110b) 및 기능층(300)(제2근방의 중간층)의 양쪽(도 5g 참조)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적층체 5
수지층(400)은, 센서 필름(200a) 및 복수의 기능층(300)을 가리도록,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110b) 및 가장 Z방향 측의 기능층(300)(제2근방의 중간층)의 양쪽에(도 5h 및 도 5i 참조), 또는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110b) 및 센서 필름(200a)(제2근방의 중간층)의 양쪽(도 5j 참조)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적층체 6
수지층(400)은, 센서 필름(200a), 센서 필름(200b) 및 복수의 기능층(300)을 가리도록,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110b) 및 가장 Z방향 측의 기능층(300)(제2근방의 중간층)의 양쪽에(도 5k 및 도 5l 참조), 또는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110b) 및 센서 필름(200b)(제2근방의 중간층)의 양쪽(도 5m 참조)에 고정되어 있다.
나)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이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110b)의 외형 치수와 동일한 경우, 수지층(400)은,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을 가리도록,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의 상기 제2근방의 중간층에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수지층(400)은 상기 적층체 1 내지 6에 하기와 같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적층체 1
수지층(400)은, 센서 필름(200a)을 가리도록, 센서 필름(200a)(제2근방의 중간층)에 고정되어 있다(도 5a참조).
상기 적층체 2
수지층(400)은, 센서 필름(200a) 및 하나의 기능층(300)을 가리도록, 센서 필름(200a)(제2근방의 중간층(도 5c 참조)) 또는 기능층(300)(제2근방의 중간층(도 5b 참조))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적층체 3
수지층(400)은, 센서 필름(200a) 및 센서 필름(200b)를 가리도록, 센서 필름 (200b)(제2근방의 중간층)에 고정되어 있다(도 5d 참조).
상기 적층체 4
수지층(400)은, 센서 필름(200a), 센서 필름(200b) 및 하나의 기능층(300)을 가리도록, 센서 필름(200b)(제2근방의 중간층)(도 5e 및 도 5f 참조)) 또는 기능층 (300)(제2근방의 중간층(도 5g 참조))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적층체 5
수지층(400)은, 센서 필름(200a) 및 복수의 기능층(300)을 가리도록, 가장 Z방향 측의 기능층(300)(제2근방의 중간층(도 5h 및 도 5i 참조)) 또는 센서 필름(200a)(제2근방의 중간층(도 5j 참조))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적층체 6
수지층(400)은, 센서 필름(200a), 센서 필름(200b) 및 복수의 기능층(300)을 가리도록, 가장 Z방향 측의 기능층(300)(제2근방의 중간층(도 5k 및 도 5l 참조)) 또는 센서 필름(200b)(제2근방의 중간층(도 5m 참조))에 고정되어 있다.
수지층(400)은, 강고한 성형 수지(필름 인서트 성형 수지) 또는 압출 성형된 압출 필름 등의 수지 필름이다.
수지층(400)이 사출 성형 수지인 경우, 상기 적층체 1 내지 6의 어느 하나를, 도시하지 않은 성형용 금형의 캐피티 내에 배치한다. 그 후, 적층체 1 내지 6의 어느 하나의 위에 수지를 사출한다. 상기 가)의 경우, 이 수지가 냉각 고체화되는 것에 의해, 해당 수지가, 적층체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즉, 베이스 필름(100) 및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의 양쪽)와 일체화해서, 적층체 1 내지 6의 어느 하나의 베이스 필름(100) 및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의 양쪽에 고정된다. 상기 나)의 경우, 이 수지가 냉각 고체화되는 것에 의해서, 해당 수지가, 적층체 1 내지 6의 어느 하나(즉, 제2근방의 중간층)와 일체화해서, 적층체 1 내지 6의 어느 하나의 제2근방의 중간층에 고정된다. 어느 쪽의 경우도, 냉각 고체화한(강고화된) 수지가 수지층(400)이 된다. 이 사출 성형시의 열 및 압력에 의해, 적층체 1 내지 6의 어느 하나에, 성형용 금형의 캐비티의 일부의 벽면의 형상에 따라서 형상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해서 적층체 1 내지 6의 어느 하나(베이스 필름(100) 및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 중 적어도 일부가 곡면형상이 되기도 하고, 그 일부가 절곡되기도 한다. 또한, 성형용 금형의 캐비티의 상기 벽면이 평평한 경우, 적층체 1 내지 6중의 어느 하나(베이스 필름(100) 및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의 전체는 평평하게 된다.
수지층(400)이 압출 필름 등의 수지 필름이며 또한 상기 가)의 경우, 수지층(400)은, 적층체 1 내지 6 중의 어느 하나(즉,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 (110b) 및 제2근방의 중간층의 양쪽)에 상기 층간 접착제 등으로 붙여서 합쳐져 고정되어 있다. 수지층(400)이 압출 필름 등의 수지 필름이며 상기 나)의 경우, 수지층(400)은 적층체 1 내지 6의 어느 하나의 제2근방의 중간층에 상기 층간 접착제 등으로 붙여서 합쳐져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수지층(400)을 적층체 1 내지 6의 어느 하나에 붙여서 합쳐진 상태에서는 전체로서 평평한 적층체로 된다. 이 평평한 적층체에 있어서 형상 부여를 행하는 경우, 평평한 적층체를 가열연화 시킨 후, 도시하지 않은 형틀을 이용하여 해당 적층체를 진공 성형, 압공성형 또는 프레스 성형한다. 이것에 의하여, 적층체가 형틀의 형에 따라서 변형한다. 그 후 평평한 적층체가 냉각 고화(강고화)되어 평평한 적층체에, 적어도 일부가 곡면형상으로 되기도 하고, 그 일부가 절곡되기도 하는 형상이 부여된다.
터치 입력 장치(T1)의 수지 적층체가 센서 필름(200a)를 가지며, 센서 필름(200a)이 복수의 제1전극(21Oa)을 가지는 경우, 센서 필름(200a) 위에는, 복수의 제1전극(21Oa)에 각각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도전 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터치 입력 장치(T1)의 수지 적층체가 센서 필름(200a)를 가지며, 센서 필름(200a)이 복수의 제1전극(21Oa) 및 복수의 제2전극(21Ob)을 가지는 경우, 센서 필름(200a) 위에는, 복수의 제1전극(2lOa) 및 제2전극(21Ob)에 각각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도전 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어느 쪽의 경우도, 외부 접속부가, Z-Z'방향의 평면에서 보아서,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110b)의 제1영역(111b)의 바깥쪽 영역 위에서, 복수의 도전 라인에 접속되고 또한 수지층(400)에 덮인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센서 필름(200a)은, 수지층(400)의 단부로부터 연장한 연장 단부(22O)를 부가하여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센서 필름(200a) 위의 복수의 도전 라인이 연장 단부(220) 위에 연장하고 있으며 또한 외부 접속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외부 접속부로서는 플렉서블(flexible) 기판 등이 있다.
터치 입력 장치(T1)의 수지 적층체가 센서 필름(200a) 및 센서 필름(200b)을 가지는 경우, 센서 필름(200a) 및 센서 필름(200b) 위에는, 복수의 제1전극(2lOa) 및 제2전극(21Ob)에 각각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도전 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외부 접속부가, Z-Z'방향의 평면에서 보아서,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110b)의 제1영역(111b)의 바깥쪽 영역 위에서, 복수의 도전 라인에 접속되며 또한 수지층(400)에 덮인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센서 필름(200a) 및 센서 필름(200b)의 적어도 한쪽이, 수지층(400)의 단부로부터 연장한 연장 단부 (220)를 부가하여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센서 필름(200a) 및 센서 필름(200b)의 복수의 도전 라인이 연장 단부(220) 위에서 연장하고 있으며 또한 외부 접속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수지층(400)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수지층(400) 아래의 복수의 도전 라인의 일부를 수지층(400) 밖으로 노출시켜, 노출한 도전 라인의 일부를 플렉서블기판, 커넥터, 와이어 본딩 등(다른 외부 접속부)에 접속시키도록 해도 되고, 수지층(400)에 묻은 핀 등(또 다른 외부 접속부)을, 수지층(400) 아래의 복수의 도전 라인에 접속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은 터치 입력 장치(T1)의 수지 적층체는, 이하의 기술적 특징 및 효과를 나타낸다.
기술적 특징 및 효과 1) 터치 입력 장치(T1)는, 베이스 필름(100)의 외면(110a)의 노출 영역(111a)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의 외형이 도드라져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의 외형 치수는, 제1영역(111b)의 외형 치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크고,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이 베이스 필름(100)의 제1영역(111b)의 전체 영역을 가리도록, 베이스 필름 (100)의 내면(110b) 위에 적층되어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의 외형은, 제1영역(111b)의 바깥쪽 둘레 위 또는 제1영역(111b)보다도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사출 성형시의 열 및 압력 또는 형상 부여 시의 열 및 압력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의 외형이 베이스 필름(100)의 외면(11Oa)의 노출 영역(111a) 내에 전사 되는 일이 없다.
특히, 베이스 필름(100)과 수지층(400)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이 복수이며, 그 모든 중간층의 외형 치수가 제l영역(111b)의 외형 치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큰 경우, 사출 성형시의 열 및 압력 또는 형상 부여시의 열 및 압력에 의해서, 모든 중간층의 외형이 베이스 필름(100)의 외면(11Oa)의 노출 영역(111a) 내에 전사 되는 일이 없게 된다.
기술적 특징 및 효과 2) 터치 입력 장치(T1)의 수지 적층체가, 복수의 제1전극(210a)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베이스 필름(100)의 외면(11Oa)의 노출 영역(111a)에 있어서 , 복수의 제1전극(2lOa)의 외형이 도드라져 보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복수의 제1전극(2lOa)은, Z-Z'방향의 평면에 보아서, 적어도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110b)의 제1영역(111b)를 완전히 메우도록 미세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수지층(400)의 사출 성형시의 열 및 압력 또는 평평한 수지 적층체에 대한 형상 부여시의 열 및 압력에 의해서, 복수의 제1전극(2lOa)의 외형이, 베이스 필름(100)의 외면(11Oa)의 제1영역(111b)에 대응하는 노출 영역(111a)에 전사 되기 어렵고, 해당 노출 영역(111a)에 있어서 도드라져 보이는 현상이 억제된다.
터치 입력 장치(T1)의 수지 적층체가, 복수의 제1전극(2lOa) 및 복수의 제2 전극(2lOb)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베이스 필름(100)의 외면(11Oa)의 노출 영역(111a)에 있어서, 복수의 제1전극(2lOa) 및 제2전극(2lOb)의 외형이 도드라져 보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복수의 제1전극(2lOa)에 대해서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다. 복수의 제2전극 (2lOb)도, Z-Z'방향의 평면에서 보아서, 적어도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110b)의 제1영역(111b)를 완전히 메우도록 미세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사출 성형시의 열 및 압력 또는 형상 부여 시의 열 및 압력에 의해서, 복수의 제2전극(21Ob)의 외형이, 베이스 필름(100)의 외면(11Oa)의 노출 영역(111a)에 전사 되기 어렵고, 해당 노출 영역(111a)에 있어서 도드라져 보이는 현상이 억제된다.
기술적 특징 및 효과 3) 터치 입력 장치(Tl)의 수지 적층체가, 복수의 제1전극(210a)을 구비하고 있으며 복수의 제1전극(210a)이, Z-Z'방향의 평면에서 보아서,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110b)의 제3영역을 완전히 메우도록 미세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제1전극(210a) 중 최단부에 위치하는 제1전극(210a)은, 베이스 필름(100)의 외면(110a)의 노출 영역(111a)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사출 성형시의 열 및 압력 또는 형상 부여시의 열 및 압력을 받아도, 최단부에 위치하는 제1전극(210a)의 외형이, 베이스 필름(100)의 외면(110a)의 노출 영역(111a)에 전사 되고 , 도드라져 보이는 일이 없다.
터치 입력 장치(T1)의 수지 적층체가, 복수의 제1전극(210a) 및 복수의 제2 전극(210b)을 구비하고 있으며, 복수의 제1전극(210a)이, Z-Z'방향의 평면에서 보아서, 베이스 필름(100)의 내면(110b)의 제3영역을 완전히 메우도록, 미세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또한 복수의 제2전극(210b)이, Z-Z'방향의 평면에서 보아서, 베이스 필름 (100)의 내면(110b)의 제3영역을 완전히 메우도록 미세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제1전극(210a) 중의 최단부에 위치하는 제1전극(21Oa) 및 복수의 제2전극(210b) 중의 최단부에 위치하는 제2전극(21Ob)이, 베이스 필름 (100)의 외면(110a)의 노출 영역(111a)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사출 성형시의 열 및 압력 또는 형상 부여시의 열 및 압력을 받아도, 최단부에 위치하는 제1전극(210a)의 외형 및 최단부에 위치하는 제2전극(210b)의 외형이, 베이스 필름(100)의 외면(110a)의 노출 영역(111a)에 전사 되어, 도드라져 보이는 일이 없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포함하는 복수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터치 입력 장치(T2)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에는, 실시예 2의 터치 입력 장치(T2)의 Y'방향의 단부만이 도시되어 있기 때문에, 그 이외의 부분은 도 1a 내재 도 5e를 빌려서 참조한다. 터치 입력 장치(T2)는, 이하의 차이점에 의하여, 터치 입력 장치(T1)과 상위한 것 이외에, 터치 입력 장치(T1)와 같은 구성이다. 차이점 1) 중간층이 복수이며, a) 센서 필름(200a) 및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300)을 포함하거나 또는 b) 센서 필름(200a), 센서 필름(2OOb) 및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300)을 포함한다. 차이점 2) 터치 입력 장치(T2)의 수지 적층체가 외부 접속부(500)룰 부가하여 구비하고 있다. 이하, 이 차이점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며, 터치 입력 장치(T2)의 설명 중에, 터치 입력 장치(T1)와 중복하는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베이스 필름(100)은 수지층(400)의 단부로부터 연장한 연장 단부(120)를 가지며, 기능층(300)은 수지층(400)의 단부로부터 연장한 연장 단부(3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a)의 경우, 센서 필름(200a)이 베이스 필름(100)과 기능층(300)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 경우, 센서 필름(200a)은, 수지층(400)의 단부로부터 연장한 연장 단부(220)를 부가하여 가지고 있다. 센서 필름(200a)이 복수의 제1전극 (210a)을 가지는 경우, 센서 필름(200a) 위에는, 복수의 제1 전극(21Oa)에 각각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도전 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센서 필름(200a)이 복수의 제1전극(210a) 및 제2전극(2lOb)을 가지는 경우, 센서 필름(200a) 위에는, 복수의 제1전극(210a) 및 제2전극(210b)에 각각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도전 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어느 쪽의 경우도, 복수의 도전 라인이 연장 단부(220) 위에 연장하고 있다.
상기 b)의 경우, 센서 필름(200a) 및 센서 필름(200b)이 베이스 필름(100)과 기능층(300)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 경우, 센서 필름(200a) 및 센서 필름(200b)의 적어도 한쪽이, 수지층(400)의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연장 단부 (220)을 부가하여 가지고 있다. 센서 필름(200a) 및 센서 필름(200b) 위에는, 복수의 제1전극(210a) 및 제2전극(210b)에 각각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도전 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복수의 도전 라인이 연장 단부(220) 위에 연장하고 있다.
외부 접속부(500)은 플렉시블 기판이다. 상기 a) 및 상기 b)의 어느 쪽의 경우도, 외부 접속부(500)는, 베이스 필름(100)의 제1영역(111b)의 바깥쪽에서 연장 단부(22O)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필름(100)의 연장 단부(120)의 선단부(先端部)(310)와 기능층(300)의 연장 단부(220)의 선단부를 연장 단부(220)의 선단부로부터 이반시킨 상태에서, 외부 접속부(500)를 연장 단부(220)의 선단부에 접속시키도록 해도 된다. 외부 접속부 (500)를 연장 단부(220)의 선단부에 접속시킨 후, 베이스 필름(100)의 연장 단부 (120)의 선단부와 기능층(300)의 연장 단부(310)의 선단부에서, 외부 접속부(500)와 연장 단부(220)와의 접속 부분을 끼워서 유지하도록 해도 된다. 어느 쪽의 형태인 경우도, 외부 접속부(500)는 연장 단부(220) 위의 도전 라인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터치 입력 장치(T2)는, 터치 입력 장치(Tl)과 동일한 기술적 특징 및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베이스 필름(100)의 연장 단부(120)의 선단부와 기능층(300)의 연장 단부(310)의 선단부가, 외부 접속부(500)와 연장 단부(220)와의 접속 부분을 끼워서 유지하고 있는 경우, 외부 접속부(500)와 연장 단부(220)와의접속이 부주의로 어긋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터치 입력 장치는,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의 기재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의 외형의 도드라져 보임은, 수지부의 사출 성형시의 열 및 압력 또는 형상 부여시의 열 및 압력 뿐만이 아니라, 그 외의 요인에 의해도 생길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의 외형의 도드라져 보임은, 본 발명의 수지 적층체가 설치되는 장소(예를 들면, 고온 및 영하가 되는 자동차 내부)의 환경의 온도 및/또는 습도의 변화에 의해도,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의 베이스 필름과 수지층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중간층 중에서, 모든 중간층이 베이스 필름의 제1영역의 외형 치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큰 외형 치수를 가지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베이스 필름 측의 하나 또는 복수의 중간층이, 제1영역의 외형 치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큰 외형 치수를 가지는 한편, 베이스 필름 측의 하나 또는 복수의 중간층보다도 수지층 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중간층이 베이스 필름의 제1영역의 외형 치수보다 작은 경우에 있어서, 베이스 필름 측의 하나 또는 복수의 중간층의 Z-Z'방향의 두께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다른 중간층의 외형이 베이스 필름의 내면의 제1영역에 도드라져 보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은, 센서 필름이나 기능층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은, 센서 필름(200a) 및 (200b) 이외의 센서 필름(시트 센서), 표시장치(예를 들면, 유기 EL디스플레이 등)의 전극층, 상기 표시장치의 전극층 사이의 유기층, 발전 장치(예를 들면, 태양전지 등)의 발전층, 상기 발전 장치의 그 외의 층, 통신 장치(예를 들면, 안테나 등) 또는 전자 회로가 형성된 수지 필름, 조명 장치, 투영 스크린, 히터, 전자 쉴드(shield), 밀러, 압전 소자, 완충재, 또는 살균 장치(예를 들면, UV 발광 장치, 열원 등)등을 구성하는 층이어도 된다.
센서 필름(시트 센서), 표시장치(예를 들면, 유기 EL디스플레이 등)의 전극층, 상기 표시장치의 전극층 사이의 유기층, 발전 장치(예를 들면, 태양전지 등)의 발전층, 상기 발전 장치의 그 외의 층, 또는, 통신 장치(예를 들면, 안테나 등) 및 전자 회로가 형성된 수지 필름의 각각은, 본 발명의 베이스 필름의 제1영역의 외형 치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제1영역의 외형 치수보다 큰 외형 치수를 가지면 된다.
조명 장치, 투영 스크린, 히터, 전자 쉴드(shield), 밀러, 압전 소자, 완충재, 또는 살균 장치(예를 들면, UV 발광 장치, 열원 등)의 전체의 외형 치수는, 베이스 필름의 제1영역의 외형 치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제1영역의 외형 치수보다 크면 된다.
본 발명의 복수의 제1전극은, 베이스 필름의 두께 방향의 평면에서 보아서, 적어도 제2영역 내에 미세한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복수의 제2전극은, 베이스 필름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베이스 필름의 두께 방향의 평면에서 보아서 적어도 제2영역 내에 미세한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수지부는, 성형 수지 또는 압출 필름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설명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의 외형의 도드라져 보임은, 수지부의 사출 성형시의 열 및 압력 또는 형상 부여시의 열 및 압력 이외의 요인으로도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수지부의 단부는, 베이스 필름 및 적어도 하나의 중간 필름의 단부와 동일한 평면이어도 되고, 수지부의 단부가, 베이스 필름 및 적어도 하나의 중간 필름의 단부를 가리도록 해도 된다. 후자의 경우는, 베이스 필름 및 적어도 하나의 중간 필름의 단부가, 수지부의 단부 내에 매립되어 있다(인서트 성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수지부에는, 취부용의 리브(rib) 등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한 각각의 실시예 및 설계 변형예에 있어서의 터치 입력 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구성하는 소재, 형상, 치수, 갯수 및 배치 등은 그 일례를 설명한 것이며, 같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실시예의 각 형태 및 설계 변경예는, 서로 모순되지 않은 이상 서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방향은, 수지 적층체의 적층 방향인 한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방향은, 제1방향과 직교하며, 본 발명의 제3방향은 제1방향 및 제2방향과 교차하며, 또한 제1방향 및 제2방향이 위치하는 평면 위에 위치하지 않은 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Tl, T2 : 터치 입력 장치
100 : 베이스 필름
11Oa : 외면
111a : 노출 영역
112a : 센서 영역(기능 영역)
110b : 내면
111b : 제1영역
112b : 제2영역
120 : 연장 단부
200a : 센서 필름(제1 또는 제2중간층)
2lOa : 제1 전극
200b : 센서 필름(제2 또는 제1중간층)
2lOb : 제2전극
300 : 기능층(제3중간층)
310 : 연장 단부
400 : 수지층
500 : 외부 접속부
10 : 전자기기의 하우징
11 : 개구

Claims (11)

  1. 개구를 가지는 하우징 내에 수용 가능한 수지 적층체에 있어서,
    수지제의 베이스 필름과,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과,
    수지층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 필름은 외면 및 내면을 가지며, 상기 외면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노출 영역을 가지며, 상기 내면은, 상기 노출 영역에 대응하는 제1영역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은, 상기 제1영역의 외형 치수와 같거나 또는 상기 제1영역의 외형 치수보다 큰 외형 치수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기 내면의 상기 제1영역의 전체 영역을 가리도록,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기 내면 위에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수지층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을 가리도록,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기 내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의 양쪽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에 고정되어 있는 수지 적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은 복수이며, 이 복수의 중간층이,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기 내면의 상기 제1영역의 전체 영역을 가리도록,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기 내면 위에 적층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수지층에 가장 가까운 근방의 중간층을 포함하며,
    상기 수지층은, 상기 복수의 중간층을 가리도록,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기 내면 및 상기 근방의 중간층의 양쪽에, 또는 상기 근방의 중간층에 고정되어 있는 수지 적층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기 외면의 상기 노출 영역은, 해당 노출 영역 보다도 작은 기능 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기 내면의 상기 제1영역은, 해당 제1영역 보다도 작은 상기 기능 영역에 대응하는 제2영역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은, 제1중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중간층은, 제1면과, 복수의 제1전극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제1전극은, 상기 수지 적층체의 적층 방향인 제1방향의 평면에서 보아서, 적어도 상기 제1영역 내를 완전히 묻도록 , 미세한 간격을 두고 상기 제1중간층의 상기 제1면 위에 배치되어 있는 수지 적층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간층은, 복수의 제2전극을 부가하여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제2전극은, 상기 제l중간층의 상기 제1면과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높이가 다른 평면에, 상기 제1방향의 평면에서 보아서, 적어도 상기 제1영역 내를 완전히 묻도록 , 미세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수지 적층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은 복수이며, 이 복수의 중간층이,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기 내면의 상기 제1영역의 전체 영역을 가리도록,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기 내면 위에 적층되어 있으며, 또한 제2중간층 및 상기 수지층에 가장 가까운 근방의 중간층을 부가하여 포함하며,
    상기 제 2중간층은, 제1면과, 복수의 제2전극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제2전극은, 상기 제1방향의 평면에서 보아서, 적어도 상기 제1영역 내를 완전히 묻도록, 미세한 간격을 두고 상기 제2중간층의 상기 제1면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지층은, 상기 복수의 중간층을 가리도록,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기 내면 및 상기 근방의 중간층의 양쪽에, 또는 상기 근방의 중간층에 고정되어 있는 수지 적층체.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기 제1영역은, 제2방향 및 상기 제2방향과 교차하는 제3방향으로 연장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제1전극은, 상기 제1방향의 평면에서 보아서, 상기 제1영역의 상기 제2방향의 한쪽의 단부로부터 다른 한쪽의 단부에 걸쳐서 각각 연장하는 상기 제2방향의 길이를 각각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제1전극은, 상기 제1방향의 평면에서 보아서, 상기 제1영역의 상기 제3방향의 한쪽의 단부로부터 다른 한쪽의 단부까지 상기 제3방향으로 미세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제2전극은, 상기 제1방향의 평면에서 보아서, 상기 제1영역의 상기 제3방향의 한쪽의 단부로부터 다른 한쪽의 단부에 걸쳐 각각 연장하는 상기 제3방향의 길이를 각각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제2전극은, 상기 제1방향의 평면에서 보아서, 상기 복수의 제1전극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제1영역의 상기 제2방향의 한쪽의 단부로부터 다른 한쪽의 단부까지 상기 제2방향으로 미세한 간격을 두고 배치 되어 있는 수지 적층체.
  7. 제3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중간층은 제3중간층을 부가하여 가지는 수지적층체.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기 제1영역의 바깥쪽에서 상기 제1중간층에 접속된 외부 접속부를 부가하여 구비하는 수지 적층체.
  9. 제7항에 있어서,
    외부 접속부를 부가하여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1중간부 및 상기 제2중간부의 적어도 한쪽의 중간부는, 상기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제3중간층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수지층의 단부로부터 연장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기 제1영역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연장 단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 필름 및 상기 제3중간층은, 상기 수지층의 단부로부터 연장 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기 제1영역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연장 단부를 각각 가지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기 연장단부의 선단부 및 상기 제3중간층의 상기 연장 단부의 선단부는, 상기 적어도 한쪽의 중간부의 상기 연장 단부의 상기 선단부로부터 이반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접속부는, 상기 적어도 한쪽의 중간부의 상기 연장 단부의 상기 선단부에 접속하고 있는 수지 적층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쪽의 중간부의 상기 연장 단부와 상기 외부 접속부와의 접속 부분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기 연장 단부의 상기 선단부와 상기 제3중간층의 상기 연장 단부의 상기 선단부에 끼워서 유지되고 있는 수지 적층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적층체를 구비하는 터치 입력 장치.
KR1020180081461A 2017-08-25 2018-07-13 수지 적층체 및 이것을 구비한 터치 입력 장치 KR201900223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62069A JP2019040407A (ja) 2017-08-25 2017-08-25 樹脂積層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タッチ入力装置
JPJP-P-2017-162069 2017-08-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313A true KR20190022313A (ko) 2019-03-06

Family

ID=63293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461A KR20190022313A (ko) 2017-08-25 2018-07-13 수지 적층체 및 이것을 구비한 터치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064961A1 (ko)
EP (1) EP3446872A1 (ko)
JP (1) JP2019040407A (ko)
KR (1) KR20190022313A (ko)
CN (1) CN10942640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57019B2 (ja) * 2019-08-07 2022-10-19 株式会社東芝 圧力センサ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8661A (ja) 2008-03-28 2009-10-15 Nissha Printing Co Ltd 静電容量スイッチ付きインサートシートおよび静電容量スイッチ付き成形品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5752A (ja) * 2005-12-16 2007-06-28 Fujikura Ltd プリント配線板およびその接続構造
JP2010153574A (ja) * 2008-12-25 2010-07-08 Toppan Forms Co Ltd 積層配線基板
JP2011186937A (ja) * 2010-03-10 2011-09-22 Alps Electric Co Ltd 操作装置
KR101343586B1 (ko) * 2011-10-10 2013-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JP2013242635A (ja) * 2012-05-18 2013-12-05 Kyocera Display Corp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および表示素子
JP2013246626A (ja) * 2012-05-25 2013-12-09 Panasonic Corp タッチパネル及びこれを用いた入力装置
JP5525574B2 (ja) * 2012-08-07 2014-06-18 ホシデン株式会社 部品モジュール及び部品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5484529B2 (ja) * 2012-08-07 2014-05-07 ホシデン株式会社 部品モジュール及び部品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2014048674A (ja) * 2012-08-29 2014-03-17 Panasonic Corp タッチパネル
KR102560862B1 (ko) * 2015-03-17 2023-07-2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터치 패널
WO2016174983A1 (ja) * 2015-04-28 2016-11-03 シャープ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タッチパネルセンサシートモジュール、およびフレキシブル基板の製造方法
KR102489956B1 (ko) * 2015-12-30 2023-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563741B1 (ko) * 2016-09-06 2023-08-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I652606B (zh) * 2017-06-29 2019-03-01 日商阿爾普士電氣股份有限公司 Input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8661A (ja) 2008-03-28 2009-10-15 Nissha Printing Co Ltd 静電容量スイッチ付きインサートシートおよび静電容量スイッチ付き成形品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46872A1 (en) 2019-02-27
JP2019040407A (ja) 2019-03-14
US20190064961A1 (en) 2019-02-28
CN109426402A (zh) 201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76672A1 (en) Electronic devices with structural glass members
TWI664560B (zh) 層疊構造體、觸摸面板、帶觸摸面板的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US10146347B2 (en) Display device having an integrated display panel and touch panel
US10514798B2 (en) Touch panel with fingerprint identification function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102132235B (zh) 触摸输入设备及具有该触摸输入设备的电子器件
CN109542262B (zh) 包括具有感测部分和非感测部分的非显示区域的显示设备
TW201808630A (zh) 樹脂層積體及具備其之觸控輸入裝置
US20090135159A1 (en) Touch panel assembly
US20140240619A1 (en) Touch panel
KR20130119763A (ko) 터치패널
KR20150051490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103535B1 (ko) 커버층에 직접 증착한 투명도전막을 갖는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10723101B2 (en) Optical laminate structure and touch sensing device having the same
KR101323601B1 (ko) 터치 센서 일체형 3차원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
CN109074195B (zh) 静电电容式传感器
CN204009823U (zh) 带有输入功能的显示装置
KR20190022313A (ko) 수지 적층체 및 이것을 구비한 터치 입력 장치
EP3364276A1 (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input device
EP2808731A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protective films
US10953638B2 (en) Plastic laminate structure
KR20120116280A (ko) 터치 센서 일체형 3차원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
KR102164741B1 (ko) 입력 장치의 제조 방법
TWI480780B (zh) 觸控面板及應用其之觸控顯示面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