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0510A - 태양 전지 패널 - Google Patents

태양 전지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0510A
KR20190020510A KR1020170105559A KR20170105559A KR20190020510A KR 20190020510 A KR20190020510 A KR 20190020510A KR 1020170105559 A KR1020170105559 A KR 1020170105559A KR 20170105559 A KR20170105559 A KR 20170105559A KR 20190020510 A KR20190020510 A KR 20190020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wiring
wirings
electrode
partial wir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4145B1 (ko
Inventor
현대선
양혜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5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145B1/ko
Priority to JP2018153791A priority patent/JP7283870B2/ja
Priority to EP18189676.2A priority patent/EP3447805B1/en
Priority to CN201810952461.7A priority patent/CN109560147B/zh
Priority to US16/107,599 priority patent/US11101397B2/en
Publication of KR20190020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H01L31/0504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specially adapted for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of solar cells in a mod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H01L31/0504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specially adapted for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of solar cells in a module
    • H01L31/0508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specially adapted for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of solar cells in a module the interconnection means having a particula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e.g. registration marks, alignment structures, wafer m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0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0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 H01L31/02005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for device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00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for device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or solar cell modules
    • H01L31/0201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for device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or solar cell module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module bus-b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08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2425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H01L31/0504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specially adapted for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of solar cells in a module
    • H01L31/0516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specially adapted for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of solar cells in a module specially adapted for interconnection of back-contact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3/00Details relating to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23/00
    • H01L22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 H01L2223/54426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for align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및 제2 전극을 각기 포함하는 제1 및 제2 태양 전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태양 전지;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태양 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선부가 상기 제1 태양 전지의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에 연결되는 제1 배선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태양 전지의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배선이 서로 별개의 구조를 가지되 상기 제1 태양 전지 위에서 제1 연결부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부분 배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태양 전지 패널{SOLAR CELL PANEL}
본 발명은 태양 전지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구조를 개선한 태양 전지 패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석유나 석탄과 같은 기존 에너지 자원의 고갈이 예상되면서 이들을 대체할 대체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태양 전지는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차세대 전지로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태양 전지는 복수 개가 배선에 의하여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고, 복수의 태양 전지를 보호하기 위한 패키징(packaging) 공정에 의하여 태양 전지 패널의 형태로 제조된다. 태양 전지 패널은 다양한 환경에서 장기간 동안 발전을 하여야 하므로 장기 신뢰성이 크게 요구된다. 그런데, 온도의 변화 등에 의하여 복수의 태양 전지를 연결하는 배선의 팽창 및 수축이 반복되면 부착력이 약한 부분에서 배선이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 전지 패널의 출력이 저하되고 불량률이 높으며 장기 신뢰성이 우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높은 출력, 낮은 불량률 및 우수한 장기 신뢰성을 가지는 태양 전지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및 제2 전극을 각기 포함하는 제1 및 제2 태양 전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태양 전지;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태양 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선부가 상기 제1 태양 전지의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에 연결되는 제1 배선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태양 전지의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배선이 서로 별개의 구조를 가지되 상기 제1 태양 전지 위에서 제1 연결부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부분 배선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부분 배선으로 구성된 배선재를 사용하여 태양 전지 패널의 출력 저하 및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장기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이웃한 제1 및 제2 태양 전지의 전극 및 연결부의 배치를 서로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하여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을 연결하는 배선재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특히, 이웃한 제1 및 제2 태양 전지에서 서로 다른 전극을 공통 배선으로 함께 연결하면, 연결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1 및 제2 태양 전지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태양 전지 패널의 효율을 크게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에 도시한 태양 전지 패널에 포함된 태양 전지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한 태양 전지 패널에 포함된 두 개의 태양 전지, 배선재, 절연 부재 및 연결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후면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 선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의 개략적인 부분 후면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에 포함된 두 개의 태양 전지, 배선재, 절연 부재 및 연결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후면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VIII-VIII 선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에 포함된 두 개의 태양 전지, 배선재, 절연 부재 및 연결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후면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의 표현은 서로 간의 구별을 위하여 사용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은 도 1에 도시한 태양 전지 패널에 포함된 태양 전지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참조로, 도 2는 도 3의 II-II 선에 따른 태양 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100)은, 복수의 태양 전지(10) 및 복수의 태양 전지(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부(20)를 포함한다. 그리고 태양 전지 패널(100)은, 태양 전지(10) 및 배선부(20)를 둘러싸서 밀봉하는 밀봉재(44)와, 밀봉재(44) 위에서 태양 전지(10)의 전면에 위치하는 전면 부재(42a)와, 밀봉재(44) 위에서 태양 전지(10)의 후면에 위치하는 후면 부재(42b)를 포함한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태양 전지(10)는, 반도체 기판(110)과, 반도체 기판(110)의 일면(일 예로, 후면)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전극(142, 14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태양 전지 패널(100)은 복수의 태양 전지(10)를 구비하고, 복수의 태양 전지(10)는 배선부(2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선부(20)는 적어도 일부가 각 태양 전지(10)의 제1 및 제2 전극(142, 144)와 중첩되어 제1 및 제2 전극(142, 144)에 연결되는 배선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선재(22)에 의하여 복수의 태양 전지(10)가 일 방향(도면의 x축 방향)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열(列)(즉, 태양 전지 스트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배선부(20)는, 태양 전지 스트링의 양 끝단에 위치하여 이를 또 다른 태양 전지 스트링 또는 정션 박스(미도시)에 연결하는 버스바 배선(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선재(22) 또는 버스바 배선(26)은 각기 도전성 물질(일 예로,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배선재(22) 또는 버스바 배선(26)이 금(Au), 은(Ag), 구리(Cu) 또는 알루미늄(Al)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도전성 코어와, 코어의 표면 위에 위치하며 주석(Sn) 또는 주석(Sn)을 포함하는 합금을 포함하는 도전성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코어는 구리(Cu)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전성 코팅층은 주석(Sn)을 포함하는 합금인 SnBiAg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선재(22) 또는 버스바 배선(26)의 물질, 형상, 연결 구조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밀봉재(44)는, 배선부(20)에 의하여 연결된 태양 전지(10)의 전면에 위치하는 제1 밀봉재(44a)와, 태양 전지(10)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2 밀봉재(4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밀봉재(44a)와 제2 밀봉재(44b)는 수분과 산소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태양 전지 패널(100)의 각 요소들을 화학적으로 결합한다. 제1 및 제2 밀봉재(44a, 44b)는 투광성 및 접착성을 가지는 절연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밀봉재(44a)와 제2 밀봉재(44b)로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EVA), 폴리비닐부티랄, 규소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밀봉재(44a, 44b)를 이용한 라미네이션 공정 등에 의하여 후면 부재(42b), 제2 밀봉재(44b), 태양 전지(10), 배선부(20), 제1 밀봉재(44a), 전면 부재(42a)가 일체화되어 태양 전지 패널(100)을 구성할 수 있다.
전면 부재(42a)는 제1 밀봉재(44a) 상에 위치하여 태양 전지 패널(100)의 전면을 구성하고, 후면 부재(42b)는 제2 밀봉재(44b) 상에 위치하여 태양 전지(10)의 후면을 구성한다. 전면 부재(42a) 및 후면 부재(42b)는 각기 외부의 충격, 습기, 자외선 등으로부터 태양 전지(10)를 보호할 수 있는 절연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면 부재(42a)는 광이 투과할 수 있는 투광성 물질로 구성되고, 후면 부재(42b)는 투광성 물질, 비투광성 물질, 또는 반사 물질 등으로 구성되는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전면 부재(42a)가 유리 기판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후면 부재(42b)가 필름 또는 시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후면 부재(42b)는 TPT(Tedlar/PET/Tedlar) 타입을 가지거나, 또는 베이스 필름(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폴리불화비닐리덴(poly vinylidene fluoride, PVDF)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밀봉재(44a, 44b), 전면 부재(42a), 또는 후면 부재(42b)가 상술한 설명 이외의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부재(42a) 또는 후면 부재(42b)가 다양한 형태(예를 들어, 기판, 필름, 시트 등) 또는 물질을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100)에 포함되는 태양 전지(10)의 일 예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10)는, 반도체 기판(110)을 포함하는 광전 변환부와, 광전 변환부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전극(142, 144)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전극(142, 144)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반대되는 극성의 캐리어를 수집하는 제1 전극(142) 및 제2 전극(144)이 광전 변환부의 일면(일 예로, 후면)에 함께 위치하면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태양 전지(10)가 후면 전극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전 변환부는, 반도체 기판(110)과, 반도체 기판(110)에 또는 반도체 기판(110) 위에 위치하는 도전형 영역(132, 13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반대되는 극성의 캐리어에 관여하는 제1 도전형 영역(132)과 제2 도전형 영역(134)이 반도체 기판(110)의 일면(일 예로, 후면) 쪽에 함께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도전형 영역(132, 134)이 제어 패시베이션막(120)을 사이에 두고 반도체 기판(110)과 별개로 위치한 것을 예시하였다.
일 예로, 반도체 기판(110)은 제2 도전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결정질 반도체(예를 들어, 단결정 또는 다결정 반도체, 일 예로, 단결정 또는 다결정 실리콘 웨이퍼, 특히 단결정 실리콘 웨이퍼)로 구성된 베이스 영역(1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정성이 높아 결함이 적은 베이스 영역(112) 또는 반도체 기판(110)을 기반으로 한 태양 전지(10)은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다.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에는 베이스 영역(112)과 동일한 도전형을 가지며 베이스 영역(112)보다 높은 도핑 농도를 가지는 전면 전계 영역(114)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에는 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반사 방지 구조(일 예로, 반도체 기판(110)의 (111)면으로 구성된 피라미드 형상의 텍스쳐링 구조)를 구비할 수 있고,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은 경면 연마된 면으로 구성되어 전면보다 표면 거칠기가 작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제어 패시베이션막(120)은 산화막, 실리콘을 포함하는 유전막 또는 절연막, 질화 산화막, 탄화 산화막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제어 패시베이션막(120)이 실리콘 산화막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도전형 영역(132, 134)은 비정질 반도체, 미세 결정 반도체, 또는 다결정 반도체(일 예로, 비정질 실리콘, 미세 결정 실리콘, 또는 다결정 실리콘) 등에 제1 또는 제2 도전형 도펀트가 도핑되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및 제2 도전형 영역(132, 134)이 다결정 반도체를 가지면 높은 캐리어 이동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또는 제2 도전형 도펀트가 p형일 경우에는 보론(B), 알루미늄(Al), 갈륨(Ga), 인듐(In) 등의 3족 원소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또는 제2 도전형 도펀트가 n형일 경우에는 인(P), 비소(As), 비스무스(Bi), 안티몬(Sb) 등의 5족 원소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및 제2 도전형 도펀트 중 하나가 보론(B)이고 다른 하나가 인(P)일 수 있다.
이때, 제1 도전형 영역(132)의 면적(일 예로, 폭)이 제2 도전형 영역(134)의 면적(일 예로, 폭)보다 클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에미터 영역으로 기능하는 제1 도전형 영역(132)이 후면 전계 영역으로 기능하는 제2 도전형 영역(134)보다 넓은 면적을 가져 광전 변환에 유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도전형 영역(132, 134)이 동일한 평면에 위치한 반도체층(130)에 함께 위치하며, 제1 및 제2 도전형 영역(132, 134) 사이에 도핑되지 않은 진성 반도체로 구성된 배리어 영역(136)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어 패시베이션막(120)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제1 및 제2 도전형 영역(132, 134) 중 적어도 하나가 반도체 기판(110)의 일부에 도펀트가 도핑되어 형성되어 반도체 기판(110)의 일부를 구성하는 도핑 영역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배리어 영역(136)을 구비하지 않거나, 배리어 영역(136)이 반도체 물질 이외의 다른 물질 또는 빈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위(좀더 정확하게는,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 전계 영역(114) 위)에 전면 패시베이션막(124) 및/또는 반사 방지막(126)이 전체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후면 패시베이션막(140)이 컨택홀(140a)을 제외하고 반도체층(130)의 후면 위에 전체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전면 패시베이션막(124), 반사 방지막(126) 또는 후면 패시베이션막(140)은 실리콘 질화막, 수소를 포함한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산화 질화막, 알루미늄 산화막, 실리콘 탄화막, MgF2, ZnS, TiO2 및 CeO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일막 또는 2개 이상의 막이 조합된 다층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극(142)이 컨택홀(140a)을 통하여 제1 도전형 영역(132)에 전기적으로 연결(일 예로, 접촉)되고, 제2 전극(144)이 컨택홀(140a)을 통하여 제2 도전형 영역(134)에 전기적으로 연결(일 예로, 접촉)될 수 있다. 제1 전극(142) 및 제2 전극(144)은 전도성 물질(일 예로,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태양 전지(10)는 패드 전극(224a, 도 3의 참조부호 224b)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태양 전지(10)는 배선재(22)를 포함하는 배선부(20)에 의하여 다른 태양 전지(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태양 전지(10)와 배선부(20)의 구조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는 도 1에 도시한 태양 전지 패널(100)에 포함된 두 개의 태양 전지(10), 배선재(22), 절연 부재(34) 및 연결 부재(32)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후면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IV-IV 선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100)의 단면도이다. 명확한 구별을 위하여 이하에서는 서로 인접한 두 개의 태양 전지(10)를 제1 태양 전지(10a) 및 제2 태양 전지(10b)라 칭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태양 전지(10a)의 제1 전극(142)과 제2 태양 전지(10b)의 제2 전극(144)은 복수 개의 배선재(22)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태양 전지(10a, 10b) 각각에서 제1 전극(142)은 제1 방향(도면의 y축 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는 복수의 제1 전극(142)을 포함하며, 제2 전극(144)은 제1 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는 복수의 제2 전극(144)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도면의 x축 방향)에서 제1 전극(142)과 제2 전극(144)이 서로 교번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도전형 영역(132, 134)은 각기 제1 전극(142) 및 제2 전극(144)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도전형 영역(132)이 복수의 제1 전극(142)에 대응하도록 제1 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는 복수의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도전형 영역(134)이 복수의 제2 전극(144)에 대응하도록 제1 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는 복수의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제1 및 제2 도전형 영역(132, 134)이 제1 및 제2 전극(142, 144)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도전형 영역(132)과 제2 도전형 영역(134) 사이에는 배리어 영역(136)이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도전형 영역(132, 134)이 제1 및 제2 전극(142, 144)과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때, 각 배선재(22)는 제1 및 제2 태양 전지(10a, 10b) 각각에서 제1 및 제2 전극(142, 144)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 배선(22a)과 제1 및 제2 전극(142, 144)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제2 배선(22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1 및 제2 태양 전지(10a, 10b)에서 제1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일 예로, 제1 위치(P1))에 위치하는 배선재(22)를 제1 배선(22a)라 하고, 제1 방향에서 제1 위치(P1)와 다른 위치(일 예로, 제2 위치(P2))에 위치한 배선재(22)를 제2 배선(22b)으로 칭할 수 있다. 각 태양 전지(10)에서 제1 및 제2 배선(22a, 22b) 중 어느 하나가 각 태양 전지(10)에 구비된 제1 전극(142)에 연결 부재(32)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전극(144)에 절연 부재(34)를 통하여 절연되고, 제1 및 제2 배선(22a, 22b) 중 다른 하나가 제2 전극(144)과 연결 부재(32)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전극(142)에 절연 부재(34)에 의해 절연될 수 있다. 그리고 각 태양 전지(10)에서 제1 방향에서 볼 때 복수의 제1 배선(22a)과 복수의 제2 배선(22b)이 서로 교번하여 위치할 수 있다. 그러면, 복수의 제1 및 제2 배선(22a, 22b)이 균일한 간격을 가지면서 제1 및 제2 전극(142, 144)에 연결되어 캐리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연결 부재(32)은 다양한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고, 절연 부재(34)는 다양한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재(32)는 제1 및 제2 전극(142, 144) 및/또는 배선재(22)에 포함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물질 또는 이들의 혼합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 부재(32)는 배선재(22)를 제1 또는 제2 전극(142, 144) 위에 놓고 열을 가하는 공정 등에 의하여 제1 및 제2 전극(142, 144) 및/또는 배선재(22)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연결 부재(32)가 솔더 페이스트층, 에폭시 솔더 페이스트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 부재(32)가 저온 솔더 페이스트층과 고온 솔더 페이스트층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절연 부재(34)는 실리콘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태양 전지(10a)에서 제1 배선(22a)이 복수의 제1 전극(142)에 중첩되어 이들과 연결되도록 제2 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태양 전지(10a)에서 제2 배선(22b)이 복수의 제2 전극(144)에 중첩되어 이들과 연결되도록 제2 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태양 전지(10a)에서 제1 배선(22a)은 제2 방향에서의 제1 태양 전지(10a)의 일측(도 3 및 도 4의 우측)으로 연장되어 제1 태양 전지(10a)의 일측(도 3 및 도 4의 우측)에 위치한 제2 태양 전지(10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배선(22b)은 제2 방향에서의 제1 태양 전지(10a)의 타측(도 3 및 도 4의 좌측)으로 연장되어 제1 태양 전지(10a)의 타측(도 3 및 도 4의 좌측)에 위치한 태양 전지(10)(즉, 제3 태양 전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태양 전지(10a)에서, 제1 배선(22a)과 복수의 제1 전극(142)이 중첩된 부분에서 이들 사이에 연결 부재(32)가 위치하고, 제1 배선(22a)과 복수의 제2 전극(144)이 중첩되는 부분에서 이들 사이에 절연 부재(34)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태양 전지(10a)에서, 제2 배선(22b)과 복수의 제2 전극(144)이 중첩된 부분에서 이들 사이에 연결 부재(32)가 위치하고, 제2 배선(22b)과 복수의 제1 전극(142)이 중첩되는 부분에서 이들 사이에 절연 부재(34)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태양 전지(10a)의 제2 방향에서 제1 배선(22a)이 서로 별개의 구조를 가지되 제1 태양 전지(10a) 위에서 제1 연결부(CP1)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부분 배선(221a, 222a)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제1 배선(22a)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 부분 배선(221a, 222a)은 제1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여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면, 제1 배선(22a)을 구성하는 제1 부분 배선(221a, 222a) 각각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제1 배선(22a) 또는 이들을 구성하는 제1 부분 배선(221a, 222a)의 길이가 클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태양 전지 패널(100)이 위치한 환경에서 온도가 변화하게 되면 배선재(22)(즉, 제1 및 제2 배선(22a, 22b))의 팽창 및 수축이 반복된다. 이때, 배선재(22)의 팽창 및 수축에 의하여 배선재(22)가 태양 전지(10)로부터 분리되거나, 배선재(22)가 손상되거나 찢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배선재(22)의 길이가 커질수록 좀더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면 태양 전지 패널(100)이 불량으로 판별될 수 있으며 출력이 저하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전극(142, 144) 및 배선재(22)가 태양 전지(10)의 일면에만 위치하는 구조에서는, 배선재(22)의 팽창 및 수축에 의한 문제가 더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제1 부분 배선(221a, 222a)로 구성된 제1 배선(22a)을 사용하여 배선재(22)의 팽창 및 수축에 의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 전지 패널(100)의 출력 저하 및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장기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1 부분 배선(221a, 222a)은, 제1 태양 전지(10a) 내에서만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내부 배선(221a)과, 제1 내부 배선(221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이로부터 제1 태양 전지(10a)의 일측(도 3 및 도 4의 우측)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1 연장 배선(222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태양 전지(10a)에서 하나의 제1 배선(22a)을 기준으로 보면 제1 내부 배선(221a)이 하나 구비되고, 제1 연장 배선(222a)이 하나 구비되며, 제1 태양 전지(10a) 내에 제1 내부 배선(221a)과 제2 연장 배선(222a)이 연결되는 하나의 제1 연결부(CP1)가 하나 위치할 수 있다. 그러면, 복수의 제1 부분 배선(221a, 222a)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제1 배선(22a)의 부착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태양 전지(10a)에서 제1 내부 배선(221a)이 두 개 이상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에 제1 연결부(CP1)의 개수는 제1 내부 배선(221a)의 개수와 같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내부 배선(221a)의 길이 및 제1 연결부(CP1)의 간격은 서로 균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이때, 제1 연결부(CP1)가 제2 방향에서 태양 전지(10a)의 중앙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태양 전지(10a) 내에서 제1 내부 배선(221a)과 제1 연장 배선(222a)이 대칭적으로 위치하여 열적 스트레스에 의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연결부(CP1)가 제1 태양 전지(10a)의 중앙 부분이 아닌 다른 부분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복수의 제1 배선(22a)이 각기 복수의 제1 부분 배선(221a, 222a)을 구비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이에 의하면 복수의 제1 부분 배선(221a, 222a)에 의한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제1 배선(22a) 중 적어도 하나만 복수의 제1 부분 배선(221a, 222a)을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1 배선(22a)의 제1 연결부(CP1)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한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연결부(CP1)의 위치가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1 배선(22a)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연결부(CP1)가 제1 태양 전지(10a)에 형성된 제1 패드 전극(224a)일 수 있다. 즉, 제1 패드 전극(224a)에 복수의 제1 부분 배선(221a, 222a)이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에 의하여 복수의 제1 부분 배선(221a, 222a)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는 복수의 제1 부분 배선(221a, 222a)의 일부가 제1 패드 전극(224a)과 중첩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부분 배선(221a, 222a)의 일부가 제1 패드 전극(224a) 사이에 연결 부재(32)가 위치하여 이들이 서로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별도의 연결 부재(32) 없이 솔더링 공정을 이용하여 제1 부분 배선(221a, 222a) 및/또는 제1 패드 전극(224a)을 용융하여 이들을 서로 연결할 수도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때, 제1 패드 전극(224a)은 절연막(즉, 후면 패시베이션막(140)) 위에 위치하여 반도체 기판(110), 그리고 제1 및 제2 도전형 영역(132, 134)과 이격되어 복수의 제1 부분 배선(221a, 222a)만을 연결하는 플로팅 전극(floating electrode)일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1 및 제2 도전형 영역(132, 134)의 설계를 변형하지 않으면서 원하지 않는 션트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패드 전극(224a)이 절연막을 관통하여 제1 도전형 영역(132)에 연결될 수도 있다. 그러면, 제1 패드 전극(224a)을 제1 전극(142)과 함께 형성하여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는, 제1 패드 전극(224a)이 제1 전극(142)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전극일 수도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제1 패드 전극(224a)은 전도성을 가지는 다양한 물질(일 예로, 금속)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패드 전극(224a)은 제1 및/또는 제2 전극(142, 144)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안정적인 연결을 위하여 제1 방향에서의 제1 패드 전극(224a)의 폭이 제1 배선(22a)(즉, 복수의 제1 부분 배선(221a, 222a))의 폭보다 큰 것을 예시하였다. 그리고 제1 패드 전극(224a) 위에서 복수의 제1 부분 배선(221a, 222a)이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여 복수의 제1 부분 배선(221a, 222a)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 방향에서의 제1 패드 전극(224a)의 폭이 제1 배선(22a)(즉, 복수의 제1 부분 배선(221a, 222a))의 폭과 같거나 이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제1 패드 전극(224a) 위에서 복수의 제1 부분 배선(221a, 222a)이 서로 연결되거나 서로 중첩될 수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유사하게, 제1 태양 전지(10a)의 제2 방향에서 제2 배선(22a)이 서로 별개의 구조를 가지되 제1 태양 전지(10a) 위에서 제2 연결부(CP2)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부분 배선(221b, 222b)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제2 배선(22b)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2 부분 배선(221b, 222b)은 제1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여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면, 제2 배선(22b)을 구성하는 제2 부분 배선(221b, 222b)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제2 배선(22b) 또는 이를 구성하는 제2 부분 배선(221b, 222b)의 길이가 클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 전지 패널(100)의 출력 저하 및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장기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2 부분 배선(221b, 222b)은, 제1 태양 전지(10a) 내에서만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내부 배선(221b)과, 제2 내부 배선(221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이로부터 제1 태양 전지(10a)의 타측(도 3 및 도 4의 좌측)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2 연장 배선(222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태양 전지(10a)에서 하나의 제2 배선(22b)을 기준으로 보면 제2 내부 배선(221b)이 하나 구비되고, 제2 연장 배선(222b)가 하나 구비되며, 제1 태양 전지(10a) 내에 제2 내부 배선(221b)과 제2 연장 배선(222a)가 연결되는 하나의 제2 연결부(CP2)가 하나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태양 전지(10a)에서 제2 내부 배선(221b)이 두 개 이상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에 제2 연결부(CP2)의 개수는 제2 내부 배선(221b)의 개수와 같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제2 내부 배선(221b)의 길이 및 제2 연결부(CP2)의 간격은 서로 균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이때, 제2 연결부(CP2)가 제2 방향에서 태양 전지(10a)의 중앙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연결부(CP2)가 제1 태양 전지(10a)의 중앙 부분이 아닌 다른 부분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복수의 제2 배선(22b)이 각기 복수의 제2 부분 배선(221b, 222b)을 구비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이에 의하면 복수의 제2 부분 배선(221b, 222b)에 의한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제2 배선(22b) 중 적어도 하나만 복수의 제2 부분 배선(221b, 222b)을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2 배선(22b)의 제2 연결부(CP2)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한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연결부(CP2)의 위치가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2 배선(22b)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연결부(CP2)가 제1 태양 전지(10a)에 형성된 제2 패드 전극(224b)일 수 있다. 즉, 제2 패드 전극(224b)에 복수의 제2 부분 배선(221b, 222b)이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에 의하여 복수의 제2 부분 배선(221b, 222b)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는 복수의 제2 부분 배선(221b, 222b)의 일부가 제2 패드 전극(224b)과 중첩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이들 사이에 연결 부재(32)가 위치하여 이들이 서로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연결 부재(32) 없이 솔더링 공정을 이용하여 제2 부분 배선(221b, 222b) 및/또는 제2 패드 전극(224b)을 용융하여 이들을 서로 연결할 수도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때, 제2 패드 전극(224b)은 절연막(즉, 후면 패시베이션막(140)) 위에 위치하여 제1 및 제2 도전형 영역(132, 134)과 이격되어 복수의 제2 부분 배선(221b, 222b)만을 연결하는 플로팅 전극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패드 전극(224b)이 절연막을 관통하여 제2 도전형 영역(134)에 연결될 수도 있다. 그러면, 제2 패드 전극(224b)을 제2 전극(144)과 함께 형성하여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제2 패드 전극(224b)은 전도성을 가지는 다양한 물질(일 예로, 금속)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패드 전극(224b)은 제1 및/또는 제2 전극(142, 144), 그리고 제1 패드 전극(224a)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안정적인 연결을 위하여 제1 방향에서의 제2 패드 전극(224b)의 폭이 제2 배선(22b)(즉, 복수의 제2 부분 배선(221b, 222b))의 폭보다 큰 것을 예시하였다. 그리고 제2 패드 전극(224b) 위에서 복수의 제2 부분 배선(221b, 222b)이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여 복수의 제2 부분 배선(221b, 222b)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 방향에서의 제2 패드 전극(224b)의 폭이 제2 배선(22b)(즉, 복수의 제2 부분 배선(221b, 222b))의 폭과 같거나 이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제2 패드 전극(224b) 위에서 복수의 제2 부분 배선(221b, 222b)이 서로 연결되거나 서로 중첩될 수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방향에서 제1 배선(22a)과 제2 배선(22b)이 교번하여 위치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제2 방향에서의 제1 태양 전지(10a)의 일측(일 예로, 도 3의 우측) 부근에서는 제1 방향으로 볼 때 제1 연장 배선(222a)과 제2 내부 배선(221b)이 교번하여 위치할 수 있고, 이와 다른 부근에서는 제1 방향으로 볼 때 제1 내부 배선(221a)과 제2 연장 배선(222b)이 교번하여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패드 전극(424a)과 제2 패드 전극(424b)이 제1 방향으로 볼 때 서로 교번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2 방향으로 볼 때 제1 태양 전지(10a)의 양측에 위치한 제2 태양 전지(10b) 및 제3 태양 전지를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1 패드 전극(424a)과 제2 패드 전극(424b)이 제2 방향에서 볼 때 서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태양 전지(10a)의 일측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 태양 전지(10b)는 제1 및 제2 배선(22a, 22b), 제1 및 제2 전극(142, 144), 그리고 제1 및 제2 연결부(CP1, CP2)의 연결 구조가 제1 태양 전지(10a)와 다를 수 있다. 연결 구조 이외에는 제1 및 제2 배선(22a, 22b), 제1 및 제2 전극(142, 144), 그리고 제1 및 제2 연결부(CP1, CP2)에 대한 상술한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2 태양 전지(10b)에서는 제1 배선(22a)이 제2 전극(14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배선(22b)이 제1 전극(1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1 태양 전지(10a)와 반대로, 제2 태양 전지(10b)에서는 제1 내부 배선(221a)이 제2 태양 전지(10b)의 일측(도 3 및 도 4의 우측)에 위치하고 제1 연장 배선(222a)이 제2 태양 전지(10b)의 타측(도 3 및 도 4의 좌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태양 전지(10a)와 반대로, 제2 태양 전지(10b)에서는 제2 내부 배선(221b)이 제2 태양 전지(10b)의 타측에 위치하고 제2 연장 배선(222b)이 제2 태양 전지(10b)의 일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태양 전지(10b)의 일측(일 예로, 도 3의 우측) 부근에서는 제1 방향으로 볼 때 제1 내부 배선(221a)과 제2 연장 배선(222b)이 교번하여 위치할 수 있고, 이와 다른 부분에서는 제1 방향으로 볼 때 제1 연장 배선(222a)과 제2 내부 배선(221b)이 교번하여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태양 전지(10b)의 제1 방향에서 제1 배선(22a)과 제2 배선(22b)이 교번하여 위치하되, 제1 태양 전지(10a)와 반대되도록 교번할 수 있다. 즉, 제1 방향으로 볼 때, 제1 태양 전지(10a)에서는 제1 연결부(CP1), 제2 연결부(CP2)의 순서로 반복하여 교번하면, 제2 태양 전지(10b)에서는 제2 연결부(CP2), 제1 연결부(CP1)의 순서가 반복하여 교번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배선(22a, 22b) 각각이 제1 및 제2 태양 전지(10a, 10b)에서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142, 144)을 연결하면, 제1 태양 전지(10a)의 제1 배선(22a)과 제2 태양 전지(10b)의 제1 배선(22a)을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제1 태양 전지(10a)의 제1 전극(142)과 제2 태양 전지(10b)의 제2 전극(144)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태양 전지(10a)의 제2 배선(22b)과 이의 타측(도 3의 좌측)에 위치한 다른 태양 전지(10)(제3 태양 전지)에 위치한 제2 배선(22b)을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제1 태양 전지(10a)의 제2 전극(144)과 제3 태양 전지(10b)의 제1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태양 전지(10a)의 제2 배선(22b)과 이의 일측(도 3의 우측)에 위치한 다른 태양 전지(10)(제4 태양 전지)에 위치한 제2 배선(22b)을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제2 태양 전지(10b)의 제1 전극(142)과 제4 태양 전지의 제2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즉, 이웃한 두 개의 태양 전지(10)에서 제1 방향으로 동일한 제1 위치(P1)에 위치하는 제1 배선들(22a)을 서로 연결하고 제1 방향으로 동일한 제2 위치(P2)에 위치하는 제2 배선들(22b)을 서로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쉽고 간단한 구조로 복수의 태양 전지(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한 제1 태양 전지(10a)의 제1 연장 배선(222a)와 제2 태양 전지(10b)의 제2 연장 배선(222b)은 제2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단일의 구조를 가지는 단일의 제1 공통 배선(CW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공통 배선(CW1)은 제1 태양 전지(10a)의 제1 연결부(CP1)로부터 제1 태양 전지(10a)과 제2 태양 전지(10b)의 사이를 지나 제2 태양 전지(10b)의 제2 연결부(CP2)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공통 배선(CW1)은 제1 태양 전지(10a)에서는 제1 전극(142)에 연결되고 제2 태양 전지(10b)에서는 제2 전극(144)에 연결된다. 이에 의하면 제1 및 제2 태양 전지(10a, 10b)에서 볼 때 복수의 제1 부분 배선(221a, 222a)으로 구성되는 제1 배선(22a)의 총 개수를 줄일 수 있어 부착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1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한 제1 태양 전지(10a)의 제2 연장 배선(222b)와 이의 타측(도 3의 좌측)에 위치한 제3 태양 전지의 제2 연장 배선(222b)은 제2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단일의 구조를 가지는 단일의 제2 공통 배선(CW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공통 배선(CW2)은 제1 태양 전지(10a)의 제1 연결부(CP1)로부터 제1 태양 전지(10a)과 제3 태양 전지의 사이를 지나 제3 태양 전지의 제2 연결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공통 배선(CW2)은 제1 태양 전지(10b)에서는 제2 전극(144)에 연결되고 제3 태양 전지에서는 제1 전극에 연결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1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한 제2 태양 전지(10b)의 제2 연장 배선(222b)와 이의 일측(도 3의 우측)에 위치한 제4 태양 전지의 제2 연장 배선(222b)은 제2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단일의 구조를 가지는 단일의 제2 공통 배선(CW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공통 배선(CW2)은 제2 태양 전지(10b)의 제2 연결부(CP2)로부터 제2 태양 전지(10a)와 제4 태양 전지의 사이를 지나 제4 태양 전지의 제1 연결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공통 배선(CW2)은 제2 태양 전지(10b)에서는 제1 전극(142)에 연결되고 제4 태양 전지에서는 제2 전극에 연결된다.
반면, 태양 전지(10)에서 제1 배선이 각기 제1 전극(142)에만 연결되고 제2 배선이 각기 제2 전극(144)에만 경우에는, 제1 방향에서 다른 위치에 위치하는 제1 태양 전지(10a)의 제1 배선과 제2 태양 전지(10b)의 제2 배선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배선, 또는 구조 등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제1 태양 전지(10a)와 제2 태양 전지(10b)의 사이에 제1 및 제2 배선(22a, 22b)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배선(예를 들어, 도 10의 연결 배선(24)) 등이 필요하다.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별도의 배선, 또는 구조 또는 제1 및 제2 배선(22a, 22b)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배선 등을 제거할 수 있어, 배선부(20)의 부착 공정, 재료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태양 전지(10a)와 제2 태양 전지(10b)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어 태양 전지 패널(100)의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1 및 제2 부분 배선(221a, 222a)(221b, 222b)의 단부가 태양 전지(10)의 가장자리로부터 멀리 이격된 부분(예를 들어, 중앙 부분에 위치하며), 이들이 촘촘하게 위치한 연결 부재(32)에 의하여 고정되므로 복수의 제1 및 제2 부분 배선(221a, 222a)(221b, 222b)의 고정 안정성이 증가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태양 전지(10)를 복수로 제조한 이후에 하나는 그대로 위치시켜 제1 태양 전지(10a)로 사용하고 그에 이웃한 다른 하나는 180도 회전시켜 제2 태양 전지(10b)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제1 태양 전지(10a)와 제2 태양 전지(10b)가 원점 대칭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제1 및 제2 태양 전지(10a, 10b)가 반복 위치하여 복수의 태양 전지(10)로 구성된 태양 전지 스트링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얼라인 마크(50a, 50b)가 제1 태양 전지(10a)와 제2 태양 전지(10b)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태양 전지(10a)에서는 제1 얼라인 마크(50a)가 도 3의 상부 좌측에 위치하고 제2 얼라인 마크(50b)가 도 3의 하부 우측에 위치하는 반면, 제2 태양 전지(10b)에서는 제1 얼라인 마크(50a)가 도 3의 하부 우측에 위치하고 제2 얼라인 마크(10a)가 도 3의 상부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얼라인 마크(50a, 50b)에 의하여 제1 및 제2 태양 전지(10a, 10b) 중 하나는 그대로 위치시키고 다른 하나는 180도 회전시켜 배치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면, 복수의 태양 전지(10)를 동일한 공정에서 제조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제1 또는 제2 공통 배선(CW1, CW2)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부분 배선(221a, 222a)(221b, 222b)로 구성된 배선재(22)를 사용하여 배선재(22)의 팽창 및 수축에 의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 전지 패널(100)의 출력 저하 및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장기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이웃한 제1 및 제2 태양 전지(10a)의 전극(142, 144) 및 연결부(CP1, CP2)의 배치를 서로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하여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142, 144)을 연결하는 배선재(22)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특히, 이웃한 제1 및 제2 태양 전지(10a)에서 서로 다른 전극(142, 144)을 공통 배선(CW1, CW2)으로 함께 연결하면, 연결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1 및 제2 태양 전지(10a, 10b)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태양 전지 패널(100)의 효율을 크게 향상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배선(22a, 22b)이 각기 복수의 배선 부분(221a, 222a)(221b, 222b)를 구비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제1 및 제2 배선(22a, 22b) 중 어느 하나만 복수의 배선 부분(221a, 222a)(221b, 222b)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설명과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 또는 이를 변형한 예와 아래의 실시예 또는 이를 변형한 예들을 서로 결합한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의 개략적인 부분 후면 평면도이다. 참조로 도 5에는 도 3의 확대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을 도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패드 전극(224a)와 인접한 제1 내부 배선(221a)의 단부 부근에서 제1 패드 전극(224a)과 이격된 부분에 보조 연결 부재(32a)가 더 구비되어 제1 내부 배선(221a)의 부착력을 좀더 향상할 수 있다. 보조 연결 부재(32a)는 제1 및 제2 전극(142, 144)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 절연막(즉, 후면 패시베이션막(140)) 위에 위치하는 연결 부재로서, 연결 부재(32)와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연장 배선(222a)의 단부 부근은 제1 전극(42) 위에 위치한 연결 부재(32)에 의하여 제1 연장 배선(222a)의 단부 부근에서 제1 패드 전극(224a)과 이격된 부분에서 서로 연결되어 제1 연장 배선(222a)의 부착력을 좀더 향상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42) 위에 위치한 연결 부재(32)를 그대로 이용하여 제1 연장 배선(222a)을 위한 별도의 보조 연결 부재(32a)를 형성하지 않으므로 재료 비용을 절감하고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 연장 배선(222a)의 단부에 보조 연결 부재(32a)가 더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제1 내부 배선(221a)의 단부에 연결 부재(32)가 위치하고 제1 연장 배선(222a)의 단부에 보조 연결 부재(32a)가 위치할 수도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1 패드 전극(224a)과 이격되면서 이에 인접한 복수의 제1 부분 배선(221a, 222a)의 단부에 연결 부재(32) 또는 보조 연결 부재(32a)가 각기 위치하여 복수의 제1 부분 배선(221a, 222a)의 부착력을 향상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패드 전극(224b)과 이격되면서 이에 인접한 복수의 제2 부분 배선(221b, 222b)의 단부에 연결 부재(32) 또는 보조 연결 부재(32a)가 각기 위치하여 복수의 제2 부분 배선(221b, 222b)의 부착력을 향상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2 방향에서의 제1 패드 전극(224a)의 위치와 제2 패드 전극(224b)의 위치를 서로 다르게 하여, 복수의 제1 부분 배선(221a, 222a) 또는 복수의 제1 부분 배선(221b, 222b)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를 연결 부재(32)로 연결하여 보조 연결 부재(32a)의 개수를 최소화한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의 부분 단면도이다. 참조로 도 6에는 도 4에 대응하는 부분을 도시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배선(22a)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1 부분 배선(221a, 222a)이 제1 연결부(CP1)에서 서로 중첩되는 제1 중첩 부분(226a)을 구비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부분 배선(221a, 222a)이 제1 연결부(CP1)를 구성하는 제1 중첩 부분(226a)에서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와 유사하게 제2 배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2 부분 배선이 제2 연결부을 구성하는 제2 중첩 부분에서 서로 중첩(일 예로, 서로 접촉)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제1 부분 배선(221a, 222a) 또는 복수의 제2 부분 배선을 서로 중첩시키는 것에 의하여 연결하면,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 부재 등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구조 및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는, 제1 중첩 부분(226a) 또는 제2 중첩 부분에서 복수의 제1 부분 배선(221a, 222a) 또는 복수의 제2 부분 배선 사이에 이들을 접착하는 별도의 접착층, 접착 물질 등이 더 위치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에 포함된 두 개의 태양 전지, 배선재, 절연 부재 및 연결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후면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VIII-VIII 선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연결부(CP1)에서 복수의 제1 부분 배선(221a, 222a)을 고정하거나, 및/또는 제2 연결부(CP2)에서 복수의 제2 부분 배선(221b, 222b)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복수의 제1 또는 제2 부분 배선(221a, 222a)(221b, 222b)을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일 예로, 고정 부재(28)가, 제1 연결부(CP1)에 위치한 복수의 제1 부분 배선(221a, 222a)이 부분을 덮으면서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 부재(28)가 적어도 복수의 제1 부분 배선(221a, 222a)을 태양 전지(10)에 고정 또는 부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부재(28)에 의하여 복수의 제1 또는 제2 부분 배선(221a, 222a)(221b, 222b)의 고정 안정성을 증가하고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반복적인 배선재(22)의 팽창 및 수축에 의하여 복수의 제1 또는 제2 부분 배선(221a, 222a)(221b, 222b)이 서로 분리되거나 손상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또는 제2 부분 배선(221a, 222a)(221b, 222b)을 고정 부재(28)로 감싸는 것에 의하여 고정 부재(28)가 위치한 면에서 밀봉재(44)와 제1 및 제2 연결부(CP1, CP2)가 고정 부재(28)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그러면, 밀봉재(44)가 제1 및 제2 연결부(CP1, CP2)에서 태양 전지(10)와 복수의 제1 또는 제2 부분 배선(221a, 222a)(221b, 222b) 사이로 침투하지 못하여 제1 및 제2 배선(22a, 22b)의 고정 안정성을 좀더 향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 전지 패널(100)의 출력 저하 및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장기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방향으로 볼 때 고정 부재(28)의 폭은 제1 및 제2 연결부(CP1, CP2)의 폭과 같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 그러면, 고정 부재(28)가 서로 연결되는 제1 또는 제2 연결부(CP1, CP2)에서 복수의 제1 또는 제2 부분 배선(221a, 222a)(221b, 222b)의 전체에 안정적으로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하여 고정 부재(28)에 의한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이때, 고정 부재(28)는 연결 배선(24)과 제1 및 제2 배선(22a, 22b)을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 부재(28)는, 베이스 부재(28a)와, 베이스 부재(28a)의 일면에 위치하며 배선부(20)에 연결되는 부착층(28b)을 포함하는, 절연성 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 부재(28)가 테이프로 구성되면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순한 공정에 의하여 고정 부재(28)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베이스 부재(28a)는 고정 부재(28)의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예로, 베이스 부재(28a)를 수지를 주성분으로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부착층(28b)은 접착 물질 또는 점착 물질을 포함하여 배선재(22)에 접착 또는 점착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접착(adhesion)이라 함은 두 개의 층이 물리적으로 완벽하게 부착되어 두 개의 층을 분리할 때 적어도 하나의 층이 손상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점착(cohesion)이라 함은 상온에서 일정한 물리적 힘에 의해 두 개의 층이 서로 손상 없이 서로 부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고정된 것을 의미한다. 부착층(28b)이 접착 물질을 포함하면 좀더 우수한 고정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부착층(28b)이 점착 물질을 포함하면, 고정 부재(28)가 잘못 부착된 경우, 또는 태양 전지(10)의 교체, 수리 시에 쉽게 고정 부재(28)를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착층(28b)은 에폭시(epoxy) 계열, 아크릴(acryl) 계열 또는 실리콘(silicone) 계열의 접착 물질 또는 점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부재(28)가 절연성 테이프로 구성되지 않고, 접착 물질 또는 점착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고정 부재(28)가 제1 및 제2 연결부(CP1, CP2)가 위치한 제2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에 부분적으로 위치하면서 제1 방향을 따라 길게 이어지는 형상을 가져, 제1 및 제2 연결부(CP1, CP2)를 모두 덮는 것을 예시하였다. 이에 의하면 단순한 구조 및 공정에 의하여 제1 또는 제2 배선 부분(221a, 222a)(221b, 222b)의 고정 안정성을 함께 향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연결부(CP1, CP2)에 대응하는 고정 부재(28)가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7 및 도 8에서는 제1 및 제2 연결부(CP1, CP2)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패드 전극(224a, 224b)로 구성된 경우를 예시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연결부(CP1, CP2)가 서로 중첩되는 복수의 제1 및 제2 배선 부분(221a, 222a)(221b, 222b)로 구성된 경우에도 고정 부재(28)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에 포함된 두 개의 태양 전지, 배선재, 절연 부재 및 연결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후면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태양 전지(10a, 10b)에서 제1 및 제2 배선(22a, 22b), 제1 및 제2 전극(142, 144), 그리고 제1 및 제2 연결부(CP1, CP2)의 연결 구조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태양 전지(10a, 10b)에서 제1 배선(22a)은 제1 전극(1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전극(144)과 절연되고, 제2 배선(22b)은 제2 전극(144)에 전기적으로 제1 전극(142)에 절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태양 전지(10a)와 제2 태양 전지(10b)의 사이에는 배선재(22)와 교차하는 방향(제1 방향)으로 위치하여 배선재(22)에 연결되는 연결 배선(24)를 포함할 수 있다. 배선재(22)와 연결 배선(24)에 의하여 복수의 태양 전지(10)가 제2 방향(도면의 x축 방향)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열(列)(즉, 태양 전지 스트링)을 형성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1 태양 전지(10a)의 제1 전극(142)에 연결된 제1 배선(22a)과 제2 태양 전지(10b)의 제2 전극(144)에 연결된 제2 배선(22b)은, 이와 교차하는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연결 배선(24)에 중첩 및 연결된다. 이에 의하여 제1 태양 전지(10a)와 제2 태양 전지(10b)가 제2 방향으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및 제2 배선(22a, 22b)과 연결 배선(24)이 서로 별개로 형성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예시하였다. 이때, 제1 및 제2 배선(22a, 22b)과 연결 배선(24)은 도전성 물질층(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전성 물질층은 연결 부재(32)와 동일한 물질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물질일 수도 있다. 그리고 연결 배선(24)은 배선재(22) 및/또는 버스바 배선(도 1의 참조부호 26)과 동일한 물질 또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이와 다른 물질 또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각 태양 전지(10)에서 배선(22a, 22b)이 동일한 배치를 가지므로, 배선(22a, 22b)을 구비하는 태양 전지(10)를 각기 개별적으로 제조한 후에 연결 배선(24)으로 이들을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쉽게 태양 전지 스트링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부분 배선(221a, 222a) 및 복수의 제2 부분 배선(221b, 222b)(즉, 제1 및 제2 내부 배선(221a, 221b) 및 제1 및 제2 외부 배선(222a, 222b))이 모두 제2 방향에서 각 태양 전지(10)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므로 배선재(22)의 각 부분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태양 저지 패널
10: 태양 전지
10a: 제1 태양 전지
10b: 제2 태양 전지
20: 배선부
22: 배선재
22a: 제1 배선
221a: 제1 내부 배선
222a: 제1 연장 배선
22b: 제2 배선
221b: 제2 내부 배선
222b: 제2 연장 배선
24: 연결 배선
26: 버스바 배선
28: 고정 부재

Claims (20)

  1.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및 제2 전극을 각기 포함하는 제1 및 제2 태양 전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태양 전지;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태양 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부가 상기 제1 태양 전지의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에 연결되는 제1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태양 전지의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배선이 서로 별개의 구조를 가지되 상기 제1 태양 전지 위에서 제1 연결부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부분 배선을 포함하는 태양 전지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부분 배선이 상기 제1 방향에서 서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는 태양 전지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부분 배선은, 상기 제1 태양 전지 내에 위치하는 제1 내부 배선과, 상기 제1 태양 전지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1 연장 배선을 포함하는 태양 전지 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태양 전지의 상기 제1 배선에는, 상기 제1 내부 배선이 하나 구비되고, 상기 제1 연장 배선이 하나 구비되는 태양 전지 패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태양 전지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태양 전지 패널.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볼 때, 상기 제1 태양 전지의 상기 제1 배선과 동일한 위치에 상기 제2 태양 전지가 제1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태양 전지의 상기 제1 배선이 상기 제2 태양 전지의 상기 제2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태양 전지 패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태양 전지의 상기 제1 연장 배선이 상기 제2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2 태양 전지의 상기 제2 전극에 연결되는 태양 전지 패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태양 전지의 상기 제1 배선은, 상기 제2 태양 전지 내에 위치하는 제1 내부 배선과, 상기 제2 태양 전지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1 연장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태양 전지의 상기 제1 연장 배선과 상기 제2 태양 전지의 상기 제2 연장 배선이 상기 제2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단일의 제1 공통 배선으로 구성되는 태양 전지 패널.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태양 전지와 상기 제2 태양 전지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얼라인 마크를 구비하고,
    상기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얼라인 마크가 상기 제1 태양 전지와 상기 제2 태양 전지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는 태양 전지 패널.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태양 전지와 상기 제2 태양 전지가 원점 대칭된 상태로 배치되는 태양 전지 패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제1 태양 전지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1 부분 배선이 연결된 제1 패드 전극으로 구성되는 태양 전지 패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패드 전극의 폭이 상기 제1 배선 부분의 폭보다 크고,
    상기 복수의 제1 부분 배선이 상기 제1 패드 전극 위에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태양 전지 패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태양 전지가, 반도체 기판과, 상기 반도체 기판에 형성되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드 전극이 상기 반도체 기판과 이격되는 플로팅 전극으로 구성되는 태양 전지 패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부분 배선이 상기 제1 연결부에서 서로 중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태양 전지 패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부분 배선이 상기 제1 연결부에서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태양 전지 패널.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에서 상기 복수의 제1 부분 배선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태양 전지 패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가 절연성 테이프로 구성되는 태양 전지 패널.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태양 전지와 상기 제2 태양 전지에 상기 제1 배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배선이 구비되지 않는 태양 전지 패널.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가 상기 제1 태양 전지의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에 연결되는 제2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태양 전지의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2 배선이 서로 별개의 구조를 가지되 상기 제1 태양 전지 위에서 제2 연결부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부분 배선을 포함하는 태양 전지 패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태양 전지에서 상기 복수의 제2 부분 배선은, 상기 제1 태양 전지 내에 위치하는 제2 내부 배선과, 상기 제1 태양 전지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2 연장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연장 배선과 상기 제2 내부 배선이 서로 교번하여 위치하거나, 상기 제2 연장 배선과 상기 제1 내부 배선이 서로 교번하여 위치하는 태양 전지 패널.
KR1020170105559A 2017-08-21 2017-08-21 태양 전지 패널 KR102374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559A KR102374145B1 (ko) 2017-08-21 2017-08-21 태양 전지 패널
JP2018153791A JP7283870B2 (ja) 2017-08-21 2018-08-20 太陽電池パネル
EP18189676.2A EP3447805B1 (en) 2017-08-21 2018-08-20 Solar cell panel
CN201810952461.7A CN109560147B (zh) 2017-08-21 2018-08-21 太阳能电池板
US16/107,599 US11101397B2 (en) 2017-08-21 2018-08-21 Solar cell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559A KR102374145B1 (ko) 2017-08-21 2017-08-21 태양 전지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510A true KR20190020510A (ko) 2019-03-04
KR102374145B1 KR102374145B1 (ko) 2022-03-15

Family

ID=63311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559A KR102374145B1 (ko) 2017-08-21 2017-08-21 태양 전지 패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01397B2 (ko)
EP (1) EP3447805B1 (ko)
JP (1) JP7283870B2 (ko)
KR (1) KR102374145B1 (ko)
CN (1) CN1095601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33340B2 (ja) * 2019-12-11 2024-02-19 株式会社カネカ 太陽電池セル、太陽電池デバイス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CN115148827A (zh) * 2021-03-30 2022-10-04 金阳(泉州)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背接触太阳电池芯片焊带焊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4855A (ko) * 2012-01-18 2013-07-26 참엔지니어링(주) 태양전지기판의 가공방법
KR20130086960A (ko) * 2010-05-28 2013-08-05 솔라월드 이노베이션즈 게엠베하 태양 전지들을 접촉 및 연결하기 위한 방법과,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태양 전지 결합체
KR20160016611A (ko) * 2014-08-04 2016-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9417A (en) * 1972-05-17 1974-06-25 Communications Satellite Corp Mechanically interlaced and electrically interconnected silicon solar cells
JP5171001B2 (ja) * 2005-09-30 2013-03-27 三洋電機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太陽電池セル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4684075B2 (ja) * 2005-10-14 2011-05-18 シャープ株式会社 太陽電池、太陽電池ストリング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4986462B2 (ja) * 2006-01-27 2012-07-25 シャープ株式会社 太陽電池ストリング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太陽電池ストリングを用いる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09176782A (ja) * 2008-01-21 2009-08-06 Sanyo Electric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0141206A (ja) * 2008-12-12 2010-06-24 Sanyo Electric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太陽電池の交換方法
JP5378424B2 (ja) * 2010-01-22 2013-12-25 シャープ株式会社 配線シート付き太陽電池セル、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配線シート付き太陽電池セルの製造方法
JP5232213B2 (ja) * 2010-12-03 2013-07-10 シャープ株式会社 裏面電極型太陽電池セル、太陽電池モジュール、太陽電池ウェハ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EP2704213A1 (de) * 2012-08-30 2014-03-05 Komax Holding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Solarzellen zu einem Solarzellen-String sowie Solarzellen-String
DE102013212845A1 (de) * 2013-07-02 2015-01-08 Solarworld Industries Sachsen Gmbh Photovoltaikmodul
KR101661948B1 (ko) * 2014-04-08 2016-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JP6491555B2 (ja) * 2014-07-07 2019-03-2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とその製造方法
US20160035907A1 (en) * 2014-08-04 2016-02-04 Lg Electronics Inc. Solar cell module
KR101820103B1 (ko) * 2014-10-27 2018-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 그 리페어 방법 및 리페어 장치
KR101889842B1 (ko) * 2014-11-26 2018-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 전지 모듈
JP6455099B2 (ja) * 2014-11-27 2019-01-23 日立化成株式会社 太陽電池ユニット及び太陽電池ユニットの製造方法
US11532765B2 (en) * 2015-04-30 2022-12-20 Shangrao Jinko Solar Technology Development Co., Ltd Solar cell and solar cell panel including the same
US10217877B2 (en) * 2015-07-27 2019-02-26 Lg Electronics Inc. Solar cell
JP6307131B2 (ja) * 2015-09-08 2018-04-04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069442A (ja) * 2015-09-30 2017-04-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
CN106784051A (zh) * 2017-01-22 2017-05-31 泰州乐叶光伏科技有限公司 提高功率的ibc电池互联结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6960A (ko) * 2010-05-28 2013-08-05 솔라월드 이노베이션즈 게엠베하 태양 전지들을 접촉 및 연결하기 위한 방법과,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태양 전지 결합체
KR20130084855A (ko) * 2012-01-18 2013-07-26 참엔지니어링(주) 태양전지기판의 가공방법
KR20160016611A (ko) * 2014-08-04 2016-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47805B1 (en) 2020-06-17
EP3447805A1 (en) 2019-02-27
US11101397B2 (en) 2021-08-24
JP7283870B2 (ja) 2023-05-30
US20190058072A1 (en) 2019-02-21
JP2019036733A (ja) 2019-03-07
CN109560147B (zh) 2022-05-27
KR102374145B1 (ko) 2022-03-15
CN109560147A (zh) 2019-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3062B2 (en) Solar cell and solar cell panel including the same
KR101890324B1 (ko) 태양 전지 모듈 및 이에 적용되는 리본 결합체
JP6046658B2 (ja) 太陽電池
US11538950B2 (en) Solar cell panel
KR101733687B1 (ko) 태양전지 모듈
KR20150145148A (ko) 태양 전지 모듈
EP3447805B1 (en) Solar cell panel
KR101747339B1 (ko) 태양 전지 모듈
JP2024037993A (ja) 太陽電池パネルの製造方法
KR101890288B1 (ko) 태양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패널
KR102483637B1 (ko) 태양 전지 패널
KR20190014882A (ko) 태양 전지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489083B2 (en) Solar cell panel
KR102000063B1 (ko) 태양 전지 모듈
KR101816155B1 (ko) 태양 전지 패널
KR20180048521A (ko) 태양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패널
KR20190061365A (ko) 태양 전지 패널
KR102496629B1 (ko) 태양 전지 패널
KR20190049215A (ko) 태양 전지 패널
KR20190050560A (ko) 태양 전지 패널
KR20170126614A (ko) 태양 전지 모듈
KR101806981B1 (ko) 태양 전지 모듈
KR20190006358A (ko) 태양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패널
KR20180132260A (ko) 태양 전지 패널에 사용되는 쉴드 부재용 필름 구조물
KR20180044445A (ko) 태양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