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0412A - 수질연속측정기용 자동시료채취장치 - Google Patents

수질연속측정기용 자동시료채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0412A
KR20190020412A KR1020170105336A KR20170105336A KR20190020412A KR 20190020412 A KR20190020412 A KR 20190020412A KR 1020170105336 A KR1020170105336 A KR 1020170105336A KR 20170105336 A KR20170105336 A KR 20170105336A KR 20190020412 A KR20190020412 A KR 20190020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quality
sensor
quality continuous
operation arm
rotar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2612B1 (ko
Inventor
오원기
김덕승
한인규
김수진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시험원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riority to KR1020170105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612B1/ko
Publication of KR20190020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01N35/1002Reagent dispens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01N33/1806Biological oxygen demand [BOD] or chemical oxygen demand [C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01N35/1004Cleaning sample transfe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2001/002Device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samples to an analys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01N2035/1027General features of the devices
    • G01N2035/1034Transferring microquantities of liquid
    • G01N2035/1039Micropipettes, e.g. microcapillary tub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질연속측정기와 연결되어 검사 용액을 제공하는 수질연속측정기용 자동시료채취장치로서,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회전운동 가능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의 가상의 연장선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서로 다른 검사 용액을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4개 이상의 시료용기; 및 상기 회전축에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센서형 수질연속측정기의 센서 또는 분석형 수질연속측정기의 흡입튜브를 고정하면서 지지하는 작동암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과 상기 작동암의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른 이동으로 상기 작동암에 고정 지지된 상기 센서 또는 상기 흡입튜브가 적어도 4개 이상의 상기 시료용기에 수용된 검사 용액에 번갈아가면서 침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연속측정기용 자동시료채취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질연속측정기용 자동시료채취장치{AUTOSAMPLER FOR CONTINUOUS WATER MONITORING EQUIPMENT}
본 발명은 수질연속측정기와 연결되어 검사 용액을 수질연속측정기에 제공하는 하는 수질연속측정기용 자동시료채취 기술에 관한 것이다.
GC(Gaschromatography),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 등의 분석장비에 적용되어 복수의 시료를 미량으로 제공하는 자동시료채취장치(Autosampler)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수질연속측정기에 적용되어 서로 다른 복수의 농도로 미량이 아닌 많은 량의 시료를 반복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자동시료채취장치는 현재까지 존재하지 않는다.
한편, 환경측정기기 검사기관은 「환경분야 시험·검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성능검사 접수 후 40 일 이내 장비의 검사를 마무리하여 성능시험결과를 의뢰자에 제시하여야 한다. 수질연속측정기는 분석과정의 특성상 1 회 측정 당 1 시간의 시간이 소요되는 장비가 대부분이며, 수질연속측정기의 성능시험에 항목에 따라 7 일간 종합성능시험을 포함해 350 여개 이상 데이터가 필요한데, 검사원이 연휴기간이 포함된 40일의 법적기간을 맞추는 것은 매우 힘들다
성능시험의 결과는 제품의 판매 가부를 결정한다. 때문에 수질연속측정기 개발업체는 성능시험을 위하여 검사기관에 대한 인적, 물적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수질연속측정기 개발업체는 성능시험기간 동안 고급 인력을 실험실에 상주시키고, 해당인력은 시간에 맞추어 농도가 다른 시료를 장비에 공급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여러 업체가 동시에 성능시험을 진행하는 경우 시험 중인 장비의 기술유출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검사원은 개발업체의 인력으로 측정된 자료를 활용하기 때문에 측정과정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으며, 실험실의 보안 유지도 어렵다.
오늘날 실험실 자동화를 이룩하여 경쟁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험실 자동화의 발전이 없다면 보다 정확하고 빠른 분석 및 결과제시, 임상 및 분석테스트, 결과의 진단 및 대규모 데이터처리 등 복잡한 형태의 시험검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 검사의 속도 및 신뢰성을 확보하고 실험실 자동화에 기여할 수 있는 자동시료채취장치를 개발하기 위해 오랜 연구와 노력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복수의 서로 다른 검사 용액을 수질연속측정기에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자동시료채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검사의 속도 및 정확성을 높여 검사기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검사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시료채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질연속측정기와 연결되어 검사 용액을 제공하는 수질연속측정기용 자동시료채취장치로서,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회전운동 가능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의 가상의 연장선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서로 다른 검사 용액을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4개 이상의 시료용기; 및
상기 회전축에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센서형 수질연속측정기의 센서 또는 분석형 수질연속측정기의 흡입튜브를 고정하면서 지지하는 작동암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과 상기 작동암의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른 이동으로 상기 작동암에 고정 지지된 상기 센서 또는 상기 흡입튜브가 적어도 4개 이상의 상기 시료용기에 수용된 검사 용액에 번갈아가면서 침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연속측정기용 자동시료채취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회전축은 360도 회전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작동암에 고정 지지된 상기 센서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센서를 세척할 수 있는 센서세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세척부는,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에어 컴프레셔;
상기 에어 컴프레셔에 연결되어, 상기 에어 컴프레셔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상기 에어 컴프레셔와 상기 분사노즐을 연결하는 분사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의 위치는 상기 센서의 하단부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조절가능할 수 있다.
상기 작동암은 다양한 둘레의 크기를 갖는 상기센서 또는 상기 흡입튜브를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바이스 형태의 고정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암은,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길이가 조절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연속측정기용 자동시료채취장치를 이용하면 종래 기존의 효율이 낮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성능시험을 빠르고 정확하게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연속측정기용 자동시료채취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연속측정기용 자동시료채취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수질연속측정기용 자동시료채취장치에 있어서, 작동암이 아래로 이동하여 센서가 검사 용액에 침지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암에 고정지지된 센서를 세척하는 센서세척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암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질연속측정기용 자동시료채취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수질연속측정기는 폐수 또는 하수처리장의 방류수와 하천의 수질을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측정기로서, 측정방식에 따라 크게 센서형 수질연속측정기와 분석형 수질연속측정기로 구분된다.
센서형 수질연속측정기는 센서를 검액에 직접 침지시켜 수질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수소이온농도 연속자동측정기, 용존산소 연속자동측정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분석형 수질연속측정기는 시료를 측정기로 이송하여 시료의 정량, 분해 및 검출과 같은 일련의 프로세스를 거쳐 시료 중의 분석 대상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장비를 말하며, 화학적산소요구량 연속자동측정기,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 연속자동측정기, 총질소 연속자동측정기, 총인 연속자동측정기, 총유기탄소 연속자동측정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한편, 자동시료채취장치는 수질연속측정기와 연결되어 농도가 서로 다른 검사 용액을 수질연속측정기에 제공하는 장치로서 수분석 시료를 채취하기 위해 자동으로 시료를 채수하는 자동시료채수기(automatic sampling equipment)와는 다르다.
본 발명은 수질연속측정기에 농도가 서로 다른 검사 용액(시료)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자동시료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연속측정기용 자동시료채취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연속측정기용 자동시료채취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질연속측정기용 자동시료채취장치는 수질연속측정기와 연결되어 서로 다른 농도의 검사 용액(W)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회전축(100), 적어도 4개 이상의 시료용기(200), 작동암(300)을 포함한다.
회전축(100)은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회전운동한다. 이때 회전축(100)은 360도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100)이 360도 회전하면서 회전축(100)에 결합된 작동암(300)도 회전하고, 결국 작동암(300)이 고정지지하는 센서(S) 또는 흡입튜브도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적어도 4개 이상의 시료용기(200)를 포함한다. 적어도 4개 이상의 시료용기(200)를 포함함으로써, 측정을 원하는 검사 용액(W)의 농도가 Zero, Span 및 Middle인 경우와 증류수의 경우까지 포함하여 측정가능하게 된다.
더 많은 농도의 검사 용액(W)을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 더 많은 시료용기(200)를 구비하여 측정을 진행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때 적어도 4개 이상의 시료용기(200)는 회전축(100) 하부에 회전축(100)의 길이방향의 가상의 연장선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서와 같이 시료용기(200)가 4개인 경우 각 시료용기(200)는 회전축(100)의 가상의 연장선을 중심으로 서로 90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시료용기(200)가 5개인 경우 각 시료용기(200)는 회전축(100)의 가상의 연장선을 중심으로 서로 72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시료용기(200)는 시료용기(200)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며, 이때 시료용기(200) 지지부는 높이조절 가능하다. 시료용기(200) 지지부의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높이가 다양한 시료용기(200)에 대응할 수 있고, 센서(S)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도 시료용기(200) 지지부의 높이를 높여 센서(S)를 시료용기(200) 내 검사 용액(W)에 침지시킬 수도 있다.
작동암(300)은 센서형 수질연속측정기의 센서(S) 또는 분석형 수질연속측정기의 흡입튜브를 고정하면서 지지하는 것으로서, 회전축(100)의 일면에 회전축(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작동암(300)이 회전축(100)에 상호로 이동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작동암(300)이 지지하는 센서(S) 또는 흡입튜브의 높이가 조절된다. 센서(S) 또는 흡입튜브의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센서(S) 또는 흡입튜브가 하부에 놓인 시료용기(200)의 검사 용액(W)에 침지 및 비침지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작동암(300)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면, 작동암(300)이 지지하는 센서(S) 또는 흡입튜브도 하부로 이동하여 시료용기(200)의 검사 용액(W)에 침지되었다가, 반대로 작동암(300)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면, 작동암(300)이 지지하는 센서(S) 또는 흡입튜브도 상부로 이동하여 검사 용액(W)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센서(S)가 검사 용액(W)에 침지되었을 때 수질연속측정기는 수소이온농도 또는 용존산소 등의 수질을 측정할 수 있다.
흡입튜브가 검사 용액(W)에 침지되었을 때 수질연속측정기는 화학적산소요구량,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 총질소, 총인, 총유기탄소 등의 수질을 측정할 수 있다.
나아가 서로 다른 용액에서 측정을 반복함으로써, 수질연속측정기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즉, 센서형 수질연속측정기의 센서(S)의 성능이 제대로 동작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농도의 검사 용액(W)을 적어도 4개의 시료용기(200)에 담고, 동일한 센서(S)를 서로 다른 시료용기(200)에 번갈아가면서 침지함으로써, 센서(S)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센서(S)의 각 시료용기(200)로의 침지 및 비침지 그리고 이웃하는 시료용기(200)로의 이동 및 해당 시료용기(200)로의 침지 및 비침지는 회전축(100)의 회전 및 작동암(300)의 상하 이동을 통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성능시험의 속도 및 정확도를 향상시켜, 효율적이며 신뢰할 수 있는 성능시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수질연속측정기용 자동시료채취장치에 있어서, 작동암(300)이 아래로 이동하여 센서(S)가 검사 용액(W)에 침지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암(300)에 고정지지된 센서(S)가 검사 용액(W)에 침지하기 위하여 작동암(300)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한 것이다. 이렇게 작동암(300)의 상부 및 하부 방향 이동을 통하여 검사 용액(W)에 센서(S)가 침지 및 비침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센서(S)가 검사 용액(W)에 침지되는 시간은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즉, 일정시간 동안만 센서(S)가 검사 용액(W)에 침지되어 수질을 측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각 시료용기(200)당 수질 측정 시간을 1시간으로 설정하게 되면, 센서(S)는 1시간 동안만 각 시료용기(200)에 침지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센서형 수질연속측정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공정을 설명한다.
센서형 수질연속측정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센서형 수질연속측정기의 센서(S)를 작동암(300)에 고정시킨다. 이미 4개의 시료용기(200)에는 서로 다른 용액의 검사 용액(W)이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회전축(100)이 회전하면서 센서(S)를 고정지지하는 작동암(300)을 제1 시료용기(200)의 상부에 위치시킨다. 이후 작동암(300)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센서(S)를 제1 시료용기(200)에 수용된 검사 용액(W)에 적당한 깊이로 침지시킨다. 일반적으로 센서(S)의 하단부에 센싱장치가 위치하므로 센서(S)의 하단부가 침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수질 측정 시간은 미리 세팅되어 있어, 일정시간이 지나면 작동암(300)이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센서(S)도 검사 용액(W)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후 회전축(100)은 일정각도(예를 들어 90도) 회전하여 작동암(300)을 제2 시료용기(200)의 상부로 이동시킨다. 제2 시료용기(200)에는 제1 시료용기(200)와 농도가 다른 검사 용액(W)이 수용되어 있다. 제2 시료용기(200)의 상부로 이동된 작동암(300)은 하부로 이동하여 제2 시료용기(200)에 수용된 검사 용액(W)에 침지된다. 이후 제4 시료용기(200)까지 상술한 동작을 반복 진행한다. 이렇게 하나의 검사 사이클이 진행할 수 있다.
위에서는 센서형 수질연속측정기의 센서(S)의 성능검사에 대하여 기술하였지만, 분석형 수질연속측정기의 성능도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고, 따라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암(300)에 고정지지된 센서(S)를 세척하는 센서세척부(4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센서(S)가 제1 시료용기(200)의 검사 용액(W)에 침지된 다음, 제2 시료용기(200)의 검사 용액(W)으로 이동하기 전에, 센서(S)를 세척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번 검사 용액(W)에 침지된 센서(S)를 세척함으로써, 이후의 수질 측정에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센서세척부(400)는 에어 컴프레셔(410), 분사노즐(420), 분사라인(430)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컴프레셔(410)는 압축공기를 공급하고, 공급된 압축공기는 분사라인(430)을 타고 분사노즐(420)에 공급된다. 분사노즐(420)은 압축공기를 외부로 분사하게 되는데, 이때 분사노즐(420)은 3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이렇게 센서세척부(400)가 압축공기를 분사함으로써 한번 침지된 센서(S)의 하단부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어, 이후의 센서(S)의 수질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이때 분사노즐(420)의 위치는 센서(S)의 하단부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도록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분사노즐(420)의 위치만 조절될 수도 있고, 분사노즐(420)과 분사라인(430)의 전체 위치가 조절되어 센서(S)의 하단부의 위치에 대응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고정지지부는 작동암(300)의 일단부에 형성된다. 고정지지부는 다양한 둘레의 크기를 갖는 센서(S) 또는 흡입튜브를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바이스(vis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지지부는 고정지지대(310) 및 볼트(3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고정지지대(310)는 한 쌍의 홀더로 이루어진다. 볼트(320)의 조임이나 풀림에 의하여 한 쌍의 홀더 중 하나의 홀더가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면서 한 쌍의 홀더 사이의 공간면적이 달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갖는 센서(S) 또는 흡입튜브가 한 쌍의 홀더 사이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암(300)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시료용기(200)의 크기가 달라지거나, 때때로 시료용기(200)가 외부에 위치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수질 분석의 경우 별도의 장치가 요구될 수 있고, 따라서 이러한 별도의 장치 및 별도의 시료용기(210)은 수질연속측정기용 자동시료채취장치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고, 이 경우 작동암(300)의 길이가 연장될 필요가 있다.
작동암(300)의 길이가 연장됨으로써, 작동암(300)에 고정지지되는 센서(S)의 침지 위치도 더욱 다양해 질 수 있다.
작동암(300)의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작동암(300)에 고정지지되는 센서(S) 또는 흡입튜브의 위치가 더욱 정확하게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수질연속측정기용 자동시료채취장치는 하부에 바퀴(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퀴의 구성을 통하여 수질연속측정기용 자동시료채취장치(B)의 이동이 편리하고 자유로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B: 바퀴
S: 센서
W: 검사 용액
100: 회전축
200: 시료용기
300: 작동암
310: 고정지지대
320: 볼트
400: 센서세척부
410: 에어 컴프레셔
420: 분사노즐
430: 분사라인

Claims (7)

  1. 수질연속측정기와 연결되어 검사 용액을 제공하는 수질연속측정기용 자동시료채취장치로서,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회전운동 가능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의 가상의 연장선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서로 다른 검사 용액을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4개 이상의 시료용기; 및
    상기 회전축에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센서형 수질연속측정기의 센서 또는 분석형 수질연속측정기의 흡입튜브를 고정하면서 지지하는 작동암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과 상기 작동암의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른 이동으로 상기 작동암에 고정 지지된 상기 센서 또는 상기 흡입튜브가 적어도 4개 이상의 상기 시료용기에 수용된 검사 용액에 번갈아가면서 침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연속측정기용 자동시료채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360도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연속측정기용 자동시료채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암에 고정 지지된 상기 센서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센서를 세척할 수 있는 센서세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연속측정기용 자동시료채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세척부는,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에어 컴프레셔;
    상기 에어 컴프레셔에 연결되어, 상기 에어 컴프레셔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상기 에어 컴프레셔와 상기 분사노즐을 연결하는 분사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연속측정기용 자동시료채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의 위치는 상기 센서의 하단부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연속측정기용 자동시료채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암은 다양한 둘레의 크기를 갖는 상기센서 또는 상기 흡입튜브를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바이스 형태의 고정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연속측정기용 자동시료채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암은,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길이가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연속측정기용 자동시료채취장치.
KR1020170105336A 2017-08-21 2017-08-21 수질연속측정기용 자동시료채취장치 KR101992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336A KR101992612B1 (ko) 2017-08-21 2017-08-21 수질연속측정기용 자동시료채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336A KR101992612B1 (ko) 2017-08-21 2017-08-21 수질연속측정기용 자동시료채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412A true KR20190020412A (ko) 2019-03-04
KR101992612B1 KR101992612B1 (ko) 2019-06-25

Family

ID=65760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336A KR101992612B1 (ko) 2017-08-21 2017-08-21 수질연속측정기용 자동시료채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6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14149B (zh) * 2020-10-21 2021-05-07 浙江华正检测有限公司 一种土壤检测用表层土壤取样装置
CN114383894A (zh) * 2022-01-12 2022-04-22 河南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第五地质勘查院 一种水文地质检测用便携式水质取样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031B1 (ko) * 2020-05-29 2021-07-20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용존산소 측정센서 성능평가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2567A (ja) * 1981-10-09 1983-04-14 Hitachi Ltd 液体試料分配装置
JPH04328464A (ja) * 1991-04-26 1992-11-17 Nippon Steel Corp 水質自動測定方法
JPH0755816A (ja) * 1993-08-12 1995-03-03 Hitachi Ltd 液体試料自動分析装置
JPH08285810A (ja) * 1995-04-18 1996-11-01 Toshiba Corp 水質測定装置
WO2016143478A1 (ja) * 2015-03-10 2016-09-15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自動分析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2567A (ja) * 1981-10-09 1983-04-14 Hitachi Ltd 液体試料分配装置
JPH04328464A (ja) * 1991-04-26 1992-11-17 Nippon Steel Corp 水質自動測定方法
JPH0755816A (ja) * 1993-08-12 1995-03-03 Hitachi Ltd 液体試料自動分析装置
JPH08285810A (ja) * 1995-04-18 1996-11-01 Toshiba Corp 水質測定装置
WO2016143478A1 (ja) * 2015-03-10 2016-09-15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自動分析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14149B (zh) * 2020-10-21 2021-05-07 浙江华正检测有限公司 一种土壤检测用表层土壤取样装置
CN114383894A (zh) * 2022-01-12 2022-04-22 河南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第五地质勘查院 一种水文地质检测用便携式水质取样装置
CN114383894B (zh) * 2022-01-12 2024-04-05 河南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第五地质勘查院 一种水文地质检测用便携式水质取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2612B1 (ko) 201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08033A1 (en) Diffusive gradients in thin films (dgt) test device for lake water and test method using same
US3881872A (en) Automatic analyzing device
KR101992612B1 (ko) 수질연속측정기용 자동시료채취장치
US519241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tch injection analysis
JP4015730B2 (ja) 液体の採取及び貯蔵並びに光学的測定の実行のための装置
CN102809544B (zh) 总铅在线自动监测仪
US52698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chemicals in solutions
JP6932888B2 (ja) シミュレーションしたサワー環境における水素誘起割れの定量的なリアルタイムのモニタリングのための統合されたシステム
CN1031425A (zh) 检测流体组分的仪器和方法
CN111141810B (zh) 一种用于水环境现场监测的毛细管电泳仪及其使用方法
KR20140139741A (ko) 시료 샘플링 장치, 시료 샘플링 방법 및 시료 샘플링 분석 시스템
Lai et al. Development of a sequential injection analysis device and its applica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Mn (II) in water
WO2011090173A1 (ja) 自動分析装置
CN204064891U (zh) 一种紫色分光计的比色皿架
JPH03220453A (ja) 雨水連続モニタリング装置
CN107192709A (zh) 一种重金属镍离子快速检测试纸及其检测方法
CN107271469A (zh) 基于x射线荧光光谱分析的水体重金属半定量分析方法
CN105181889B (zh) 一种采用电位滴定法的液体分析方法和装置
JP2008292394A5 (ko)
CN107402250A (zh) 一种多参数水质重金属自动在线检测仪及检测方法
JP7181037B2 (ja) 自動分析装置、および自動分析方法
KR101242213B1 (ko) 다수의 이온선택성 전극 어레이 적용형 이온 농도 측정 및 전극 성능 테스트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이온 농도 측정 방법 및 이온선택성 전극의 성능시험 방법
CN109507338A (zh) 液相色谱-高分辨质谱法用于人体尿液中吗啡的测定方法
CN103592337A (zh) 一种基于阵列式传感器的农药多残留检测方法
RU69643U1 (ru) Установка измерительная ультразвуковая и механоакустический блок для не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