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9573A - Apparatus for changing structure of FOSB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hanging structure of FOSB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9573A
KR20190019573A KR1020170104696A KR20170104696A KR20190019573A KR 20190019573 A KR20190019573 A KR 20190019573A KR 1020170104696 A KR1020170104696 A KR 1020170104696A KR 20170104696 A KR20170104696 A KR 20170104696A KR 20190019573 A KR20190019573 A KR 20190019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unting
top flange
separating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6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00628B1 (en
Inventor
이정훈
윤태열
손왕현
Original Assignee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4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628B1/en
Publication of KR20190019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5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6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3Overhead convey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7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involving removal of lid, door,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An apparatus for changing a structure of a FOSB includes: a mounting unit mounting structures on a FOSB while horizontally transporting the FOSB; and a separating unit provided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mounting unit and separating the structures from the FOSB while transporting the FOSB on which the structures is moun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horizontal direction.

Description

포스비 구조 변경 장치{Apparatus for changing structure of FOSB}[0001] Apparatus for changing structure of FOSB [0002]

본 발명은 포스비(FOSB, Front Opening Shipping Box) 구조 변경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웨이퍼로부터 제조되는 반도체 칩들의 전기적인 성능을 검사하는 검사(EDS, Electrically Die Sorting) 공정에서 상기 웨이퍼를 다수 적재하여 이송하는 포스비를 상기 반도체 칩들을 제조하는 팹(FAB) 공정에서 상기 웨이퍼를 다수 적재하여 이송하는 풉(FOUP)과 유사한 구조로 변경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SB (Front Opening Shipping Box) structure chang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changing the structure of a wafer in an EDS (Electrically Die Sorting) (FAB) process for fabricating the semiconductor chips.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device for changing a structure similar to a FOUP for transferring a plurality of the wafers.

일반적으로, 반도체 칩은 웨이퍼 상에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팹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상기 팹 공정에서 제조된 반도체 칩들이 제조되면, 상기 반도체 칩들에 대한 전기적인 성능을 검사하는 검사 공정이 진행된다.Generally, a semiconductor chip is fabricated through a fab process that forms a circuit pattern on a wafer. When the semiconductor chips fabricated in the fab process are manufactured, an inspection process for checking the electrical performance of the semiconductor chips is performed.

상기 팹 공정에서는 상기 웨이퍼를 풉(FOUP, Front Open Unified Pod)에 적재하여 OHT(Overhead Hoist Transport)를 통해 이송하고, 상기 검사 공정에서는 상기 웨이퍼를 포스비(FOSB, Front Open Shipping Box)에 적재하여 OHS(Overhead Shuttle System)를 통해 이송한다.In the fab process, the wafer is loaded on a FOUP (Front Open Unified Pod) and transferred through an OHT (Overhead Hoist Transport). In the inspection process, the wafer is loaded on a FOSB (Front Open Shipping Box) (Overhead Shuttle System).

상기 풉은 상기 OHT의 구조로 인해서 상부에 탑 플랜지가 장착되는데 반해 상기 포스비는 상기 OHS의 구조로 인해 상기 탑 플랜지와 같은 구조가 장착되지 않으므로, 상기 풉과 상기 포스비는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다.Since the FOV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OUP due to the structure of the OHT, the structure of the FOVi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top flange due to the OHS structure.

따라서, 상기 팹 공정과 상기 검사 공정에서 다수의 웨이퍼들을 이송하기 하고자 할 경우 개별적으로 상기 웨이퍼들을 모두 수용할 수 있을 만큼의 많은 개수의 상기 풉과 상기 포스비가 필요하며, 상기 풉과 상기 포스비를 저장하는 스토커도 매우 넓은 공간이 요구된다.Accordingly, when a plurality of wafers are to be transferred in the fab process and the inspection process, a large number of the FOPS and the FOBS are required to accommodate the wafers individually, and the FOPS and the POSBY are stored A very large space is required for the stocker.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0-0033130호 (공개일; 2010.03.29, 포스비 고정 장치)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33130 (published on Mar. 29, 2010, POSBI fixing device)

본 발명은 검사 공정에서 사용되는 포스비를 팹 공정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를 변경할 수 있는 포스비 구조 변경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SBI structure changing apparatus capable of changing the structure so that POSBI used in an inspection process can be used in a fab process.

본 발명에 따른 포스비 구조 변경 장치는 포스비를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상기 포스비에 인포 패드 및 탑 플랜지를 장착하는 장착 유닛 및 상기 장착 유닛과 다른 높이에 구비되며, 상기 인포 패드 및 상기 탑 플랜지가 장착된 포스비를 상기 수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상기 포스비로부터 상기 인포 패드 및 상기 탑 플랜지를 분리하는 분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SBI structure changing apparatus comprising: a mounting unit for mounting a INFO pad and a top flange to a POSBY while transferring the POSBY horizontally; and a mounting unit for mounting the INFO pad and the top flange at different heights, And a separating unit separating the inflap and the top flange from the Fosby while transferring the Fosb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horizontal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장착 유닛은, 상기 포스비를 제1 위치, 제2 위치 및 제3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부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포스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인포 패드(infopad)를 상기 포스비에 장착하는 패드 장착부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인포 패드에 상기 포스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부 및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포스비에 OHT(Overhead Hoist Transport)에 의한 이송이 가능하도록 탑 플랜지(top flange)를 장착하는 플랜지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unit includes: a first conveying unit that sequentially conveys the POSBY to a first position, a second position, and a third position; and a second conveying unit that conveys information about the POSBY An information input unit for inputt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FOSHBY to the infopad at the second position, and an information input unit for inputting information about the overhead hoist transport (OHT) to the FOSSIV at the third position, And a flange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a top flange so as to be capable of being transported by the top flan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패드 장착부는, 상기 제1 위치의 일측에 배치되며, 회전이 가능한 원통형 구조를 가지면서 둘레를 따라 상기 인포 패드가 다수 적재된 제1 적재부 및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1 적재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적재부에 적재된 인포 패드를 상기 포스비에 장착하는 제1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d moun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mounting portion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irst position and having a rotatable cylindrical structure and having a plurality of inflatable pads mounted on the circumference, 1 position and the first mounting portion, and a first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infofard loaded on the first mounting portion to the FOV.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플랜지 장착부는, 상기 제3 위치의 일측에 배치되며, 회전이 가능한 원통형 구조를 가지면서 둘레를 따라 상기 탑 플랜지가 다수 적재된 제2 적재부와, 상기 제3위치와 상기 제2 적재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적재부로부터 상기 탑 플랜지를 인출하는 인출부 및 상기 제3 위치와 상기 인출부 사이에 회전, 수평 이동 및 수직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인출부로부터 상기 탑 플랜지를 전달받아 상기 탑 플랜지를 장착하는 제2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ng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 second loading portion disposed at one side of the third position, the second loading portion having a cylindrical structure rotatable, A lead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third position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for drawing the top flange from the second mounting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third position and the lead portion so as to be capable of rotating, And a second mount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top flange from the lead portion and mounting the top flan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장착부는, 상기 탑 플랜지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탑 플랜지를 상기 포스비에 장착할 때 상기 상단부가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단부의 후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탑 플랜지가 상기 제1 지지부에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단부의 양측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ortion that supports an upper end portion of the top flange;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that is disposed behind the first support portion, A second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 rear surface of the upper end portion to prevent the upper end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a fixing portion for fixing both sides of the upper end portion to prevent the top flange from swinging at the first support portion can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분리 유닛은, 상기 포스비를 제4 위치, 제5 위치 및 제6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와, 상기 제4 위치에서 상기 포스비의 탑 플랜지를 분리하는 플랜지 분리부와, 상기 제5 위치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포스비에 대한 정보를 라벨로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출력부와 연결되며,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된 라벨을 상기 제5 위치에서 상기 포스비에 부착하는 부착부 및 상기 제6 위치에서 상기 포스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인포 패드를 분리하는 패드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ng unit includes a second conveying portion for sequentially conveying the Fosby to the fourth position, the fifth position and the sixth position, and a second conveying portion for conveying the top flange of the Fosby at the fourth position An output unit connected to the output unit and configured to output the label output from the output unit to the fifth position, And a pad separating unit for separating the infos pads from which the information about the Fosby is stored at the sixth pos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6 위치, 상기 제2 위치와 상기 제5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와 상기 제4 위치는 동일 수직선 상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ixth position, the second position and the fifth position, and the third position and the fourth position may be located on the same vertical line,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플랜지 분리부는, 상기 제4 위치의 일측에 배치되며, 회전이 가능한 원통형 구조를 가지면서 둘레를 따라 상기 탑 플랜지를 다수 적재하기 위한 제3 적재부와, 상기 제4 위치와 상기 제3 적재부 사이에 회전, 수평 이동 및 수직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포스비에 장착된 상기 탑 플랜지를 분리하는 제1 분리부 및 상기 제1 분리부와 상기 제3 적재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3 적재부에 상기 탑 플랜지를 삽입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nge separating portion may include a third loading portion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ourth position and having a rotatable cylindrical structure, for loading a plurality of the top flanges along the circumference, A first separating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fourth position and the third loading portion so as to be capable of rotating, horizontally moving and vertically moving, for separating the top flange mounted on the FOSBI; And an insertion portion that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loading portion and the second loading portion and inserts the top flange into the third loading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패드 분리부는, 상기 제6 위치의 일측에 배치되며, 회전이 가능한 원통형 구조를 가지면서 둘레를 따라 상기 인포 패드를 다수 적재하기 위한 제4 적재부 및 상기 제6 위치와 상기 제1 적재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포스비에 장착된 인포 패드를 분리하여 상기 제4 적재부에 적재하는 제2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d separating unit may include a fourth loading uni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ixth position and having a cylindrical structure rotatable, for loading a plurality of the infopads along the circumference, And a second separator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sixth position and the first stacking part and separates the infopad mounted on the Fosby and stacks the infopad on the fourth stacking part.

본 발명에 따른 포스비 구조 변경 장치는 포스비를 수평 방향을 따라 제1 위치, 제2 위치 및 제3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부와, 상기 제1 이송부와 다른 높이에 구비되며, 상기 포스비를 제4 위치, 제5 위치 및 제6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포스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인포 패드를 상기 포스비에 장착하거나, 상기 제6 위치에서 상기 포스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인포 패드를 분리하는 패드 장착부 및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포스비에 OHT에 의한 이송이 가능하도록 탑 플랜지를 장착하고, 상기 제4 위치에서 상기 포스비의 탑 플랜지를 분리하는 플랜지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SBI structure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veying unit for sequentially conveying the POSBY to a first position, a second position and a third position along a horizontal direction, a first conveying unit provided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first conveying unit, A fourth position, a fourth position, a fifth position, and a sixth position; an information pad for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Fosby at the first position is attached to the Fosby, And a flange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top flange at the fourth position for separating the top flange of the POSBY from the fourth position, .

본 발명의 포스비 구조 변경 장치에 따르면, 검사 공정에서 사용되는 포스비에 탑 플랜지 및 인포 패드를 장착하여 팹 공정에 사용하거나, 상기 포스비에서 상기 탑 플랜지 및 상기 인포 패드를 분리하여 검사 공정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스비를 상기 검사 공정 및 상기 팹 공정에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OSBI structure chang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flange and the INFO pad used in the inspection process can be attached to the fab process, or the top flange and the INFO pad can be separated from the POSBI for use in the inspection process .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FOSSI can be used in the inspection process and the fab process in a compatible manner.

특히 상기 팹 공정에서는 상기 포스비와 상기 풉을 같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포스비와 상기 풉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포스비와 상기 풉의 개수가 감소됨에 따라 상기 풉과 상기 포스비를 저장하는 공간도 줄일 수 있다. Particularly, in the fab process, since the FOVi and the FOUP can be used together, the number of the FOV and the FOUP can be reduced. As the number of the FOVi and the FOUP decreases, the space for storing the FOUP and the POSBI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포스비 구조 변경 장치는 장착 유닛과 제거 유닛이 별도로 구비되므로, 상기 포스비에 상기 인포 패드와 상기 탑 플랜지를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포스비로부터 상기 인포 패드와 상기 탑 플랜지를 분리하는 공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스비 구조 변경 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ounting unit and the removing unit are separate from each other,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for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POVSB structure simultaneously includes the steps of mounting the INFO-PAD and the top flange on the POSBY, and separating the INFO-PAD and the top flange from the POSBY can do. Therefore, the efficiency of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비 구조 변경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착 유닛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포 패드 장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플랜지 장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분리 유닛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포 패드 장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장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POSBI structure chan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plan view for explaining a mounting unit shown in Fig.
3 is a schematic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infopad mount shown in Fig.
4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flange mounting portion shown in Fig.
5 is a schematic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separation unit shown in Fig.
6 is a schematic side view for explaining an infopad mou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flange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비 구조 변경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POSBI structure chan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비 구조 변경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POSBI structure chan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포스비 구조 변경 장치(100)는 장착 유닛(101)과 분리 유닛(102)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apparatus for changing the structure of POVBI 100 includes a mounting unit 101 and a separation unit 102.

장착 유닛(101)은 포스비(10)를 일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포스비(10)에 구조물들을 장착한다. 상기 구조물을 장착함으로써 포스비(10)의 구조를 풉의 구조와 유사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칩들의 전기적인 성능을 검사하는 검사(EDS) 공정에서 사용되는 포스비(10)를 상기 반도체 칩들을 제조하는 팹(FAB) 공정에서도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mounting unit 101 mounts the structures on the POSBY 10 while transferring the POSBYE 10 in one direction. By mounting the structure, the structure of the FOVi 10 can be modified to resemble the structure of the FOUP. Accordingly, the POSBi 10 used in the inspection (EDS) process for checking the electrical performance of semiconductor chips can be used in a fab (FAB) process for fabricating the semiconductor chips.

분리 유닛(102)은 장착 유닛(101)과 인접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구조물들이 장착된 포스비(10)를 상기 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포스비(10)로부터 상기 구조물들을 분리한다. The separation unit 102 is provided adjacent to the mounting unit 101 and separates the structures from the FOSB B 10 while transferring the mounted FOSBIES 1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상기 구조물을 분리함으로써 포스비(10)의 구조를 원래대로 복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팹 공정에서 호환하여 사용하던 포스비(10)를 다시 상기 검사 공정에서 사용할 수 있다. By separating the structure, the structure of the FOVi 10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Therefore, the POSBI 10, which is compatible with the fab process, can be used again in the inspection process.

일 예로, 상기 일 방향은 수평 방향일 수 있다. 이때, 장착 유닛(101)과 분리 유닛(102)은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거나,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장착 유닛(101)과 분리 유닛(102)이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는 경우, 장착 유닛(101)과 분리 유닛(102)은 적층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one direction may be a horizont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mounting unit 101 and the separating unit 102 may be disposed at different heights or at the same height. When the mounting unit 101 and the separating unit 102 are disposed at different heights, the mounting unit 101 and the separating unit 102 can be arranged in a laminated form.

다른 예로, 상기 일 방향은 수직 방향일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one direction may be vertical.

한편, 상기에서는 장착 유닛(101)과 분리 유닛(102)이 포스비(1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송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장착 유닛(101)과 분리 유닛(102)이 포스비(10)를 동일한 방향으로 이송할 수도 있다. Although the mounting unit 101 and the separating unit 102 described above transfer the POSBYs 10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mounting unit 101 and the separating unit 102 are arranged so as to move the POSBYs 10 in the same direction .

이하에서는 장착 유닛(101)과 분리 유닛(102)이 적층된 형태로 배치되고, 장착 유닛(101)과 분리 유닛(102)이 포스비(10)를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송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The mounting unit 101 and the separating unit 102 are arranged in a stacked manner so that the mounting unit 101 and the separating unit 102 transfer the POSBIs 10 in the opposite directions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I explain it as a standard.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착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포 패드 장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플랜지 장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Fig. 2 is a schematic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mounting unit shown in Fig. 1, Fig. 3 is a schematic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infopad mount shown in Fig. 2, and Fig. 4 is a cross- Fig.

도 2 내지 도 4를 추가로 참조하면, 장착 유닛(101)은 제1 이송부(200), 패드 장착부(300), 정보 입력부(400), 플랜지 장착부(500)를 포함한다. 2 to 4, the mounting unit 101 includes a first transferring part 200, a pad mounting part 300, an information input part 400, and a flange mounting part 500. As shown in FIG.

제1 이송부(200)는 포스비(10)를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이송한다. 제1 이송부(200)는 포스비(10)를 제1 위치, 제2 위치 및 제3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제1 이송부(200)의 예로는 컨베이어, 새들(saddle) 등을 들 수 있다. The first transfer unit 200 transfers the FOSB B 10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transfer unit 200 may sequentially transfer the FOSB B 10 to the first position, the second position, and the third position. Examples of the first transfer unit 200 include a conveyor, a saddle, and the like.

제1 이송부(200)는 제1 로딩 포트(210) 및 제1 언로딩 포트(220)를 갖는다.The first transfer part 200 has a first loading port 210 and a first unloading port 220.

제1 로딩 포트(210)를 통해 포스비(10)가 제1 이송부(200)로 투입되고, 제1 언로딩 포트(220)를 통해 포스비(10)가 제1 이송부(200)로부터 배출된다. The FOSB 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transfer part 200 through the first loading port 210 and the FOSB 10 is discharged from the first transfer part 200 through the first unloading port 220.

패드 장착부(300)는 상기 제1 위치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한 포스비(10)에 인포 패드(infopad, 20)를 장착한다. 예를 들면, 인포 패드(20)는 포스비(10)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인포 패드(20)는 무선 송수신 방식을 통해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전자 부품 중의 하나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인포 패드(20)에는 포스비(10)에 대한 정보나 포스비(10)에 적재된 웨이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The pad mounting portion 3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position and mounts an infopad 20 on the FOSBE 10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For example, the infopad 20 may be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POV. Here, the infopad 20 may include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which is one of electronic component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through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Information about the FOSB 10 and information about wafers loaded on the FOSB 10 can be stored in the infopad 20.

패드 장착부(300)는 제1 적재부(310), 제1 장착부(320) 및 제1 회전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d mounting portion 300 may include a first mounting portion 310, a first mounting portion 320, and a first rotation portion 330.

제1 적재부(310)는 제1 이송부(200)의 상기 제1 위치의 일측에 배치되고, 회전이 가능한 원통형 구조를 가지면서 둘레를 따라 일정한 제1 사이각을 두고 인포 패드(20)가 다수 적재된다. The first loading part 310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irst position of the first transfer part 200 and has a rotatable cylindrical structure and has a plurality of inflatable pads 20 Is loaded.

구체적으로, 제1 적재부(310)는 원형의 제1 받침대(311), 제1 받침대(311)의 제1 중심축(312)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제1 회전 몸체(313) 및 제1 회전 몸체(313)의 외주면에 인포 패드(20)가 다수 거치되는 제1 거치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거치대(314)는 z축에 따른 수직 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1 선반(315)들이 배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loading unit 310 includes a first rotating base 313 rotatably mounted on a first center axis 312 of the first pivot 311, And a first cradle 314 on which a plurality of infopads 20 are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313. At this time, a plurality of first shelves 315 may be arrang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z-axis of the first holder 314.

인포 패드(20)가 RFID와 같이 외부 충격에 민감한 정밀 전자 부품이므로, 제1 거치대(314)에는 인포 패드(2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완충 패드(316)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인포 패드(20)가 제1 회전 몸체(313)의 회전으로 인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제1 거치대(314)의 단부에 제1 돌출방지핀(317)이 구비될 수 있다. Since the infopad 20 is a precision electronic component sensitive to an external impact such as an RFID, a cushioning pad 316 capable of reducing an impact applied to the infopad 20 can be disposed in the first cradle 314. The first protrusion prevention pin 317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first mounting base 314 so that the inflatable pad 20 is not released to the outside due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ating body 313. [

제1 장착부(320)는 제1 적재부(310)와 인접하게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제1 장착부(320)는 상기 제1 위치와 제1 적재부(310) 사이에 구비되며, 제1 적재부(310)의 제1 거치대(314)에 거치된 인포 패드(20)를 포스비(10)에 장착한다. The first mounting portion 320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first mounting portion 310. Specifically, the first mounting portion 32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first mounting portion 310, and the inflatable pad 20 mounted on the first mounting base 314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310 And mounted on the POSBY 10.

제1 장착부(320)는 제1 거치대(314)에 거치된 인포 패드(20)를 지지하거나 픽업하는 제1 크레인(322) 및 제1 크레인(322)을 제1 거치대(314)에서 상기 제1 위치의 포스비(10)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 몸체(3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장착부(320)는 제1 거치대(314)에 인포 패드(2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광을 제1 거치대(314)에 조사하는 제1 광센서(3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mounting portion 320 is configured to mount the first cranes 322 and the first cranes 322 supporting or picking up the inflatable pads 20 mounted on the first cradle 314 from the first cradle 314 to the first Position of the first movable body 324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movable body 324. The first mounting part 320 further includes a first optical sensor 326 that irradiates the first holder 314 with light to check whether the infra pad 20 is present on the first holder 314 can do.

한편, 제1 거치대(314)의 안쪽면에는 제1 반사판(318)이 구비된다. 제1 거치대(314)에 인포 패드(20)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제1 광센서(326)에서 조사된 광이 제1 반사판(318)에 반사되어 다시 제1 광센서(326)에 수신된다. On the other hand, a first reflector 318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older 314.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first photosensor 326 is reflected on the first reflector 318 and received by the first photosensor 326 again when the infopad 20 is not present in the first mount 314 .

제1 회전부(330)는 제1 적재부(310)의 제1 중심축(312)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회전부(330)는 제1 중심축(312)에서 제1 회전 몸체(313)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회전부(330)는 제1 장착부(320)가 포스비(10)에 인포 패드(20)를 장착할 때마다 제1 사이각만큼 제1 적재부(310)를, 실질적으로 제1 회전 몸체(313)를 회전시킨다. 제1 회전부(330)는 단계적인 회전 운동을 하므로, 제1 회전부(330)는 스텝 모터, 인덱싱 모터(indexing mo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rotation part 330 is connected to the first center axis 312 of the first loading part 310. Specifically, the first rotating part 33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body 313 at the first central axis 312. Each time the first mounting portion 320 mounts the infopad 20 on the FOVbi 10, the first rotating portion 330 substantially rotates the first loading portion 310 by the first intervening angle, 313). Since the first rotation part 330 rotates stepwise, the first rotation part 330 may include a step motor, an indexing motor, or the like.

정보 입력부(400)는 상기 제2 위치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포스비(10)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때 포스비(10)에 장착된 인포 패드(20)에 포스비(10)에 대한 정보나 포스비(10)에 적재된 웨이퍼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다. The information input unit 4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position and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POBSi 10 on the INFO pad 20 mounted on the POBSBY 10 when the POBSBY 10 is located at the second position And inputs information about the wafers loaded on the POSBI.

플랜지 장착부(500)는 상기 제3 위치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3 위치에서 포스비(10)에 OHT(Overhead Hoist Transport)에 의한 이송이 가능하도록 탑 플랜지(top flange, 30)를 장착한다. 이때, 탑 플랜지(30)는 포스비(10)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The flange mounting portion 5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third position and mounts a top flange 30 on the FOSSBY 10 to allow the transfer of the FOSHIBE 10 by an overhead hoist transport (OHT). At this time, the top flange 30 may b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OSBY 10.

플랜지 장착부(500)는 제2 적재부(510), 인출부(520), 제2 장착부(530) 및 제2 회전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lange mounting portion 500 may include a second mounting portion 510, a lead portion 520, a second mounting portion 530, and a second rotation portion 540.

제2 적재부(510)는 제1 이송부(200)의 제3 위치의 일측에 배치되고, 회전이 가능한 원통형 구조를 가지면서 둘레에 일정한 제2 사이각을 두고 탑 플랜지(30)가 다수 적재된다. The second loading part 51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third position of the first transfer part 200 and has a rotatable cylindrical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top flanges 30 are stacked at a constant second angle around the periphery .

구체적으로, 제2 적재부(510)는 원형의 제2 받침대(511), 제2 받침대(511)의 제2 중심축(512)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제2 회전 몸체(513) 및 제2 회전 몸체(513)의 외주면에 탑 플랜지(30)가 다수 거치되는 제2 거치대(5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거치대(514)는 z축에 따른 수직 방향을 따라 다수가 제2 선반(515)들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탑 플랜지(30)가 제2 회전 몸체(513)의 회전으로 인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제2 거치대(514)는 단부에 제2 돌출방지핀(516)이 구비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cond stacking unit 510 includes a circular second support 511, a second rotary body 513 rotatably mounted on a second central axis 512 of the second support 511, And a second mount table 514 on which a plurality of top flanges 30 are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513. [ At this time, the second shelves 514 may be arrang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shelves 515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z-axis. The second mounting base 514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protrusion prevention pin 516 at an end thereof so that the top flange 30 is not released to the outside due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rotating body 513. [

인출부(520)는 제2 적재부(510)와 인접하게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인출부(520)는 제2 적재부(510)와 인접한 위치에서 제2 적재부(510)의 제2 거치대(514)에 거치된 탑 플랜지(30)를 인출한다. 인출부(520)는 제2 거치대(514)에 거치된 탑 플랜지(30)를 지지하거나 픽업하는 제2 크레인(522) 및 제2 크레인(522)을 제2 거치대(514)에서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는 제2 이동 몸체(5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인출부(520)는 제2 거치대(514)에 탑 플랜지(3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광을 제2 거치대(514)에 조사하는 제2 광센서(5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rawer 520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second loading portion 510. Specifically, the drawer 520 draws the top flange 30 mounted on the second holder 514 of the second loading unit 510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econd loading unit 510. The drawer 520 moves the second crane 522 and the second crane 522 that support or pick up the top flange 30 held on the second cradle 514 to move away from the second cradle 514 And a second moving body 524. The drawer 520 further includes a second photosensor 526 that illuminates the second holder 514 to determine whether the top flange 30 is present on the second holder 514 .

한편, 제2 거치대(514)의 안쪽면에는 제2 반사판(517)이 구비된다. 제2 거치대(514)에 탑 플랜지(30)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제2 광센서(526)에서 조사된 광이 제2 반사판(517)에 반사되어 다시 제2 광센서(526)에 수신된다. On the other hand, a second reflection plate 517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holder 514. When the top flange 30 is not present on the second mounting table 514,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photosensor 526 is reflected by the second reflection plate 517 and received by the second photosensor 526 again .

제2 장착부(530)는 제1 이송부(200)의 제3 위치와 인출부(520) 사이에 회전, 수평 이동 및 수직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제2 장착부(530)는 인출부(520)로부터 탑 플랜지(30)를 전달받아 회전, 수평 이동 및 수직 이동하면서 포스비(30)에 장착한다. The second mounting portion 530 is provided to be rotatable, horizontally movable, and vertically movable between the third position of the first transfer portion 200 and the lead portion 520. The second mounting portion 530 receives the top flange 30 from the lead portion 520 and mounts the top flange 30 on the FOVi 30 while rotating, horizontally moving, and vertically moving.

제2 장착부(530)는 제1 지지부(532), 제2 지지부(534) 및 고정부(136)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532), 제2 지지부(534) 및 고정부(136)는 회전, 수평 이동 및 수직 이동이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mounting portion 530 includes a first supporting portion 532, a second supporting portion 534, and a fixing portion 136. The first support portion 532, the second support portion 534, and the fixing portion 136 may be rotated, horizontally moved, and vertically moved.

제1 지지부(532)는 대략 한 쌍의 부재들로 이루어지며, 인출부(520)로부터 전달받은 탑 플랜지(30)의 상단부 양측을 지지한다. The first support portion 532 is formed of a pair of members and supports both ends of the top end portion of the top flange 30 transmitted from the drawing portion 520.

제2 지지부(534)는 제1 지지부(532)의 후방에 배치되며, 탑 플랜지(30)의 상단부 후면을 지지한다. 제2 지지부(534)는 제1 지지부(532)와 분리되어 구비되거나 제1 지지부(532)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지지부(534)가 탑 플랜지(30)의 상단부 후면을 지지하므로, 탑 플랜지(30)를 포스비(10)에 장착할 때 탑 플랜지(30)의 상단부가 제1 지지부(53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탑 플랜지(30)가 포스비(10)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ortion 534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532 and supports the rear end of the top end of the top flange 30. [ The second support portion 534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532 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support portion 532. The upper end of the top flange 30 is detached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532 when the top flange 30 is mounted on the FOSSBY 10 because the second support portion 534 supports the rear end of the top end of the top flange 30 Can be prevented. Therefore, the top flange 30 can be stably mounted on the FOSB B.

제1 지지부(532)는 제2 지지부(534)가 배치되지 않은 전방이 인출부(520)를 향한 상태에서 인출부(520)로부터 탑 플랜지(30)를 전달받는다. The first support portion 532 receives the top flange 30 from the lead portion 520 in a state where the front without the second support portion 534 faces the lead portion 520.

또한, 제1 지지부(532)는 상기 전방이 상기 제3 위치의 포스비(10)를 향한 상태에서 제1 지지부(532)가 포스비(10)를 향해 이동하면서 탑 플랜지(30)를 포스비(10)에 장착한다. The first support portion 532 may be configured to move the top flange 30 toward the Fosby 10 while the first support portion 532 moves toward the Fosby 10 in a state where the front is facing the Fosby 10 at the third position. .

고정부(536)는 제1 지지부(532) 상에 지지된 탑 플랜지(30)의 상단부 양측을 가압하여 탑 플랜지(30)를 고정한다. 예를 들면, 고정부(536)는 지1 지지부(532)를 관통하여 탑 플랜지(30)의 상단부를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부(532) 상에 지지된 탑 플랜지(30)가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탑 플랜지(30)를 제1 지지부(532)의 중앙에 정확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탑 플랜지(30)를 정위치에 정렬하고 요동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탑 플랜지(30)를 포스비(10)에 보다 정확하게 장착할 수 있다. The fixing portion 536 presses both sides of the top end of the top flange 30 supported on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532 to fix the top flange 30. [ For example, the fixing portion 536 can penetrate the paper supporting portion 532 and press the upper end of the top flange 30. The top flange 30 supported on the first support portion 532 can be prevented from swinging and the top flange 30 can be accurately aligned with the center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532. [ The top flange 30 can be aligned to the correct position and prevented from rocking, so that the top flange 30 can be mounted more accurately on the FOSSBY 10.

제2 회전부(540)는 제2 적재부(510)의 제2 중심축(512)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2 회전부(540)는 제2 중심축(512)에서 제2 회전 몸체(513)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회전부(540)는 인출부(520)가 탑 플랜지(30)를 인출할 때마다 제2 사이각만큼 제2 적재부(510)를, 실질적으로 제2 회전 몸체(513)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제2 회전부(540)는 제1 회전부(330)와 마찬가지로, 단계적인 회전 운동을 하므로, 스텝 모터, 인덱싱 모터(indexing motor)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rotation part 5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enter axis 512 of the second loading part 510. Specifically, the second rotating portion 54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ng body 513 at the second central axis 512. The second rotating portion 540 rotates the second loading portion 510 substantially by the second angle between the second rotating body 513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513 when the drawing portion 520 draws the top flange 30. Since the second rotation part 540 performs a stepwise rotation mo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rotation part 330, the second rotation part 540 may include a step motor, an indexing motor, and the like.

상기에서와 같이 제1 로딩 포트(210)를 통해 포스비(10)가 투입되면, 제1 이송부(200)에 의해 상기 제1 위치, 상기 제2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를 이동하면서 인포 패드(20), 탑 플랜지(30)가 장착되고, 인포 패드(20)에 포스비(10)에 대한 정보가 입력된다. 이후, 인포 패드(20), 탑 플랜지(30)가 장착되고, 인포 패드(20)에 포스비(10)에 대한 정보가 입력된 포스비(10)는 제1 언로딩 포트(220)를 통해 반출된다. 반출된 포스비(10)는 상기 OHT를 통해 상기 팹 공정에 투입되어 상기 풉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When the FOVi 10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loading port 210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ransfer unit 200 moves the first position, the second position, and the third position, ) And a top flange 30 are mounted on the infoboard 20, and information about the Fosby 10 is input to the infopad 20. Thereafter, the INFO pad 20 and the top flange 30 are mounted, and the PO box 10, to which the information about the PO BOX 10 is input to the INFO pad 20, is taken out through the first unloading port 220 . The removed FOBS 10 is put into the fab process through the OHT and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e FOUP.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분리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5 is a schematic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separation unit shown in Fig.

도 5를 참조하면, 분리 유닛(102)은 제2 이송부(600), 플랜지 분리부(700), 출력부(800), 부착부(850) 및 패드 분리부(900)를 포함한다. 5, the separation unit 102 includes a second transfer unit 600, a flange separation unit 700, an output unit 800, an attachment unit 850, and a pad separation unit 900.

제2 이송부(600)는 포스비(10)를 상기 수평 방향을 따리 이송한다. 이때, 제2 이송부(600)에 의해 포스비(10)가 이송되는 방향은 제1 이송부(200)에 의해 포스비(10)가 이송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일 수 있다. The second transfer unit 600 transfers the FOSBBY 10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SSBY 10 is conveyed by the second conveyance unit 600 may be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SSBY 10 is conveyed by the first conveyance unit 200.

제2 이송부(600)는 포스비(10)를 제4 위치, 제5 위치 및 제6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제2 이송부(600)의 예로는 컨베이어, 새들(saddle) 등을 들 수 있다. The second transfer unit 600 may sequentially transfer the FOSB B 10 to the fourth position, the fifth position, and the sixth position. Examples of the second transfer unit 600 include a conveyor, a saddle, and the like.

장착 유닛(101)과 분리 유닛(102)이 적층된 형태이므로, 제1 이송부(200)와 제2 이송부(600)도 적층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송부(200)와 제2 이송부(600)의 이송 방향이 서로 반대이고, 제1 이송부(200)와 제2 이송부(600)도 적층된 형태로 배치되므로, 제1 이송부(200)의 제1 위치, 제2 위치 및 제3 위치는 제2 이송부(600)의 제6 위치, 제5위치 및 제4위치와 각각 동일 수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Since the mounting unit 101 and the separating unit 102 are laminated, the first conveying unit 200 and the second conveying unit 600 may be stacked. Since the first transferring part 200 and the second transferring part 600 are arranged in a stacked manner so that the transfer directions of the first transferring part 200 and the second transferring part 600 are opposite to each other and the first transferring part 200 and the second transferring part 600 are stacked, The first position, the second position, and the third position may be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sixth position, the fifth position, and the fourth position, respectively, of the second transfer unit 600.

제2 이송부(600)는 제2 로딩 포트(610) 및 제2 언로딩 포트(620)를 갖는다.The second transfer part 600 has a second loading port 610 and a second unloading port 620.

제2 로딩 포트(610)를 통해 포스비(10)가 제2 이송부(600)로 투입되고, 제2 언로딩 포트(620)를 통해 포스비(10)가 제2 이송부(600)로부터 배출된다. The FOSB 1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ransfer part 600 through the second loading port 610 and the FOSB 10 is discharged from the second transfer part 600 through the second unloading port 620.

플랜지 분리부(700)는 상기 제4 위치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4 위치에서 포스비(10)에 장착된 탑 플랜지(30)를 분리한다. The flange separator 7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ourth position and separates the top flange 30 mounted on the Porsby 10 from the fourth position.

플랜지 분리부(700)는 제3 적재부(710), 삽입부(720), 제1 분리부(730) 및 제3 회전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lange separating portion 700 may include a third loading portion 710, an inserting portion 720, a first separating portion 730, and a third rotating portion 740.

제3 적재부(710)가 포스비(10)로부터 분리된 탑 플랜지(30)를 적재하고, 삽입부(720)가 포스비(10)로부터 분리된 탑 플랜지(30)의 적재를 위해 탑 플랜지(30)를 제3 적재부(710)에 삽입하고, 제1 분리부(730)는 포스비(10)로부터 탑 플랜지(30)를 분리하며, 제3 회전부(740)는 삽입부(720)가 탑 플랜지(30)를 삽입할 때마다 제3 적재부(710)를 회전시킨다는 점을 제외하면, 제3 적재부(710), 삽입부(720), 제1 분리부(730) 및 제3 회전부(74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한 플랜지 장착부(500)의 제2 적재부(510), 인출부(520), 제2 장착부(530) 및 제2 회전부(540)에 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The third loading portion 710 loads the top flange 30 separated from the FOSB 10 and the insertion portion 720 loads the top flange 30 Is inserted into the third loading portion 710 and the first separating portion 730 separates the top flange 30 from the FOSB 10 and the third rotating portion 740 separates the insertion portion 720 from the top flange 30, The insertion portion 720, the first separating portion 730, and the third rotating portion 740, except that the third loading portion 710 is rotated each time the first loading portion 730 is inserted.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mounting portion 510, the lead-out portion 520, the second mounting portion 530, and the second rotation portion 540 of the flange mounting portion 5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They are omitted because they are substantially the same.

출력부(800)는 상기 제5 위치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포스비(10)에 대한 정보나 포스비(10)에 적재된 웨이퍼에 대한 정보를 라벨로 출력한다. 일 예로, 상기 라벨은 바코드 형태일 수 있다.The output unit 8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fth position and outputs information on the FOSB 10 and information on wafers loaded on the FOSB 10 on a label. In one example, the label may be in the form of a barcode.

한편, 출력부(800)는 포스비(10)에 대한 정보나 포스비(10)에 적재된 웨이퍼에 대한 정보를 별도로 입력받아 상기 라벨을 출력할 수도 있지만, 인포 패드(20)에 저장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라벨을 출력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output unit 800 may separately receive the information about the POSBY 10 and the wafer loaded on the POSBY 10, and may output the label, but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PAD 20 may be received And may output the label.

부착부(850)는 출력부(800)와 연결되어 출력부(800)에서 출력된 상기 라벨을 포스비(10)에 부착한다. 포스비(10)에 부착된 상기 라벨을 이용하여 상기 검사 공정에서도 포스비(10)에 대한 정보나 포스비(10)에 적재된 웨이퍼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The attachment unit 850 is connected to the output unit 800 and attaches the label output from the output unit 800 to the FOSSBY 10. It is possible to easily confirm the information about the POSBY 10 and the wafer loaded on the POSBY 10 in the inspection process by using the label attached to the POSBYE 10.

패드 분리부(900)는 상기 제6 위치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6 위치에서 포스비(10)에 장착된 인포 패드(20)를 분리한다. The pad separation unit 9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ixth position and separates the infosphate pad 20 mounted on the FOSSBY 10 from the sixth position.

패드 분리부(900)는 제4 적재부(910), 제2 분리부(920) 및 제4 회전부(9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d separating unit 900 may include a fourth loading unit 910, a second separating unit 920, and a fourth rotating unit 930.

제4 적재부(910)가 포스비(10)로부터 분리된 인포 패드(20)를 적재하고, 제2 분리부(920)는 포스비(10)로부터 인포 패드(20)를 분리하여 제4 적재부(910)에 적재하며, 제4 회전부(930)는 제2 분리부(920)가 제4 적재부(910)에 인포 패드(20)를 적재할 때마다 제4 적재부(910)를 회전시킨다는 점을 제외하면, 제4 적재부(910), 제2 분리부(920) 및 제4 회전부(93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한 패드 장착부(300)의 제1 적재부(310), 제1 장착부(320) 및 제1 회전부(330)에 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The fourth loading section 910 loads the infopat 20 separated from the FOSB 10 and the second separation section 920 loads the infopad 20 from the FOSB 10 into the fourth loading section 910 and the fourth rotary part 930 rotates the fourth loading part 910 every time the second separating part 920 loads the infopad 20 into the fourth loading part 910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urth stacking unit 910, the second separating unit 920 and the fourth rotating unit 930 will be omitted for the first stacking unit 310 of the pad mounting unit 300 The first mounting portion 320, and the first rotating portion 330, respectively.

상기에서와 같이 제2 로딩 포트(610)를 통해 탑 플랜지(30)와 인포 패드(20)가 장착된 포스비(10)가 투입되면, 제2 이송부(600)에 의해 상기 제4 위치, 상기 제5 위치 및 상기 제6 위치를 이동하면서 탑 플랜지(30) 및 인포 패드(20)가 분리되고, 포스비(10)에 대한 정보가 입력된 바코드가 출력되어 포스비(10)에 부착된다. 이후, 상기 바코드가 부착된 포스비(10)는 제2 언로딩 포트(620)를 통해 반출된다. 반출된 포스비(10)는 상기 검사 공정에 다시 투입될 수 있다. When the top flange 30 and the INFO pad 20 with the INFO pad 20 mounted thereon are inserted through the second loading port 610 as described above, The top flange 30 and the infopad 20 are separated while moving the fifth position and the sixth position and the barcode to which the information about the Fosby 10 is input is outputted and attached to the Fosby 10. Thereafter, the bar code-attached POSBY 10 is carried out through the second unloading port 620. The removed POSBY 10 can be put back into the inspection process.

포스비 구조 변경 장치(100)는 장착 유닛(101)을 이용하여 포스비(10)에 인포 패드(20)와 탑 플랜지(30)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팹 공정에서도 포스비(10)를 상기 풉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포스비 구조 변경 장치(100)는 분리 유닛(102)을 이용하여 포스비(10)로부터 인포 패드(20)와 탑 플랜지(30)를 분리하여 상기 검사 공정에 다시 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POSBI structure changing apparatus 100 uses the mounting unit 101 to mount the INFOPAD 20 and the top flange 30 on the POSBY 10 so that the POSBY 10 can be used in the same fab process . The structure of the POSBI structure changing apparatus 100 can be separated from the INFOPAD 20 and the top flange 30 from the POSBY 10 using the separating unit 102 and put into the inspection process again.

상기 팹 공정과 상기 검사 공정에서 포스비(10)를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풉과 포스비(10)의 개수를 약 절반 수준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풉과 포스비(10)를 저장하는 공간도 줄일 수 있다. Since the FOVi 10 can be used in a compatible manner in the fab process and the inspection process, the number of the FOVs and the POVBIs 10 can be reduced to about half. Also, the space for storing the FOUP and the POSBY 10 can be reduced.

또한, 포스비 구조 변경 장치(100)는 장착 유닛(101)과 제거 유닛(102)이 별도로 구비되므로, 포스비(10)에 인포 패드(20)와 탑 플랜지(30)를 장착하는 공정과 포스비(10)로부터 인포 패드(20)와 탑 플랜지(30)를 분리하는 공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포스비 구조 변경 장치(100)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Since the POSBI structure changing apparatus 10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mounting unit 101 and the removing unit 102,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INFOPAD 20 and the top flange 30 to the POSBY 10, And the step of separating the inflap pad 20 and the top flange 30 from each other. Therefore, the efficiency of the POSBI structure changing apparatus 100 can be improved.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드 장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6 is a schematic side view for explaining a pad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패드 장착부(300)는 제1 이송부(200)의 제1 위치 및 제2 이송부(600)의 제6 위치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패드 장착부(300)는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한 포스비(10)에 인포 패드(20)를 장착하고, 상기 제6 위치에 위치한 포스비(10)로부터 인포 패드(20)를 분리한다. 즉, 패드 장착부(300)가 인포 패드(20)의 장착과 분리를 병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pad mounting portion 3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position of the first transfer portion 200 and the sixth position of the second transfer portion 600. The pad mounting portion 300 mounts the infopad 20 to the first position and removes the infopad 20 from the second position. That is, the pad mounting portion 300 can perform the mounting and separation of the inflatable pad 20 in parallel.

패드 장착부(300)가 포스비(10)로부터 인포 패드(20)의 분리까지 수행하는 경우, 패드 분리부(900)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패드 장착부(300)와 패드 분리부(900)를 같이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포스비 구조 변경 장치(100)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When the pad mounting unit 300 performs the process from the FOSB 10 to the separation of the infopad 20, the pad separation unit 900 may not be provided. Accordingly,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the pad mounting portion 300 and the pad separating portion 900 together, the cost required for the POSBI structure changing device 100 can be reduced.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장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7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flange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플랜지 장착부(500)는 제1 이송부(200)의 제3 위치 및 제2 이송부(600)의 제4 위치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플랜지 장착부(500)는 상기 제3 위치에 위치한 포스비(10)에 플랜지(30)를 장착하고, 상기 제4 위치에 위치한 포스비(10)로부터 플랜지(30)를 분리한다. 즉, 플랜지 장착부(500)가 플랜지(30)의 장착과 분리를 병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flange mounting part 5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third position of the first transfer part 200 and the fourth position of the second transfer part 600. The flange mounting portion 500 mounts the flange 30 on the POSBY 10 located at the third position and separates the flange 30 from the POSBY 10 located at the fourth position. That is, the flange mounting portion 500 can perform the mounting and separation of the flange 30 concurrently.

플랜지 장착부(500)가 포스비(10)로부터 플랜지(30)의 분리까지 수행하는 경우, 플랜지 분리부(700)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 장착부(500)와 플랜지 분리부(700)를 같이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포스비 구조 변경 장치(100)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flange mounting portion 500 performs from the FOSSBY 10 to the separation of the flange 30, the flange separation portion 700 may not be provided. Therefore,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the flange mounting portion 500 and the flange separating portion 700 together, the cost required for the POSBI structure changing device 100 can be reduced.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포스비 구조 변경 장치는 탑 플랜지와 인포 패드의 장착과 분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포스비의 구조 변경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for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Porsche can simultaneously mount and separate the top flange and the inflatable pads. Therefore, the efficiency of structural modification of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be enhanced.

또한, 상기 포스비의 구조 변경을 통해 상기 포스비를 검사 공정뿐만 아니라 팹 공정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포스비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rough the structural modification of the above-described POSBi, the POSBI can be used in a fab process as well as an inspection process. Therefore, compatibility of the above-described POSBI can be enhanc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100 : 포스비 구조 변경 장치 101 : 장착 유닛
102 : 분리 유닛 200 : 제1 이송부
300 : 패드 장착부 400 : 정보 입력부
500 : 플랜지 장착부 600 : 제2 이송부
700 : 플랜지 제거부 800 : 출력부
850 : 부착부 900 : 패드 제거부
10 : 포스비 20 : 인포 패드
30 : 탑 플랜지
100: POSBI structure changing device 101: mounting unit
102: Separation unit 200: First transfer part
300: Pad mounting part 400: Information input part
500: flange mounting part 600: second conveying part
700: flange removing unit 800: output unit
850: Attachment part 900: Pad removal
10: POSBY 20: INFO PAD
30: Top flange

Claims (10)

포스비(FOSB, Front Opening Shipping Box)를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상기 포스비에 구조물들을 장착하는 장착 유닛; 및
상기 장착 유닛과 다른 높이에 구비되며, 상기 구조물들이 장착된 포스비를 상기 수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상기 포스비로부터 상기 구조물들을 분리하는 분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비 구조 변경 장치.
A mounting unit for mounting the structures on the FOSB while transferring a front opening shipping box (FOSB) horizontally; And
And a separating unit provided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mounting unit and separating the structures from the POV by transferring the POVs mounted with the structur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horizont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유닛은
상기 포스비를 제1 위치, 제2 위치 및 제3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포스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인포 패드(infopad)를 상기 포스비에 장착하는 패드 장착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인포 패드에 상기 포스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부; 및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포스비에 OHT(Overhead Hoist Transport)에 의한 이송이 가능하도록 탑 플랜지(top flange)를 장착하는 플랜지 장착부를 포함하는 포스비 구조 변경 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mounting unit
A first transfer unit for sequentially transferring the FOSSI to a first position, a second position and a third position;
A pad attaching portion for attaching an infopad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Fosby to the Fosby at the first position;
An information input unit for inputting information about the FOSSee to the infopad at the second position; And
And a flange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a top flange so as to be capable of being transported by the overhead hoist transport (OHT) to the FOSSIV at the third posi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장착부는,
상기 제1 위치의 일측에 배치되며, 회전이 가능한 원통형 구조를 가지면서 둘레를 따라 상기 인포 패드가 다수 적재된 제1 적재부; 및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1 적재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적재부에 적재된 인포 패드를 상기 포스비에 장착하는 제1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비 구조 변경 장치.
The pad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A first stacking par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irst position and having a rotatable cylindrical structure and having a plurality of inflatable pads peripherally mounted on the peripheries; And
And a first mounting portion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first mounting portion and mounts inflatable pads loaded on the first mounting portion to the fossi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장착부는,
상기 제3 위치의 일측에 배치되며, 회전이 가능한 원통형 구조를 가지면서 둘레를 따라 상기 탑 플랜지가 다수 적재된 제2 적재부;
상기 제3위치와 상기 제2 적재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적재부로부터 상기 탑 플랜지를 인출하는 인출부; 및
상기 제3 위치와 상기 인출부 사이에 회전, 수평 이동 및 수직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인출부로부터 상기 탑 플랜지를 전달받아 상기 탑 플랜지를 장착하는 제2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비 구조 변경 장치.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lange-
A second stacking par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third position and having a rotatable cylindrical structur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e top flanges along the circumference;
A withdrawing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third position and the second stacking portion and pulling out the top flange from the second stacking portion; And
And a second mounting portion provided to be able to rotate, horizontally move, and vertically move between the third position and the drawing portion, and to receive the top flange from the drawing portion to mount the top flange. Change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부는,
상기 탑 플랜지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탑 플랜지를 상기 포스비에 장착할 때 상기 상단부가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단부의 후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탑 플랜지가 상기 제1 지지부에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단부의 양측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비 구조 변경 장치.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4,
A first support for supporting an upper end of the top flange;
A second support portion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end portion to prevent the upper end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when the top flange is mounted to the POSTBY; And
And a fixing portion for fixing both ends of the upper end portion to prevent the top flange from swinging in the first support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유닛은
상기 포스비를 제4 위치, 제5 위치 및 제6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
상기 제4 위치에서 상기 포스비의 탑 플랜지를 분리하는 플랜지 분리부;
상기 제5 위치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포스비에 대한 정보를 라벨로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출력부와 연결되며,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된 라벨을 상기 제5 위치에서 상기 포스비에 부착하는 부착부; 및
상기 제6 위치에서 상기 포스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인포 패드를 분리하는 패드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비 구조 변경 장치.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separation unit
A second conveying unit for sequentially conveying the FOSSI to the fourth position, the fifth position and the sixth position;
A flange separating portion for separating the top flange of the POSTBY at the fourth position;
An output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fifth position and outputting information about the Fosby to a label;
An attaching portion connected to the output portion and attaching the label outputted from the output portion to the FOSBE at the fifth position; And
And a pad separating unit for separating the infomation pad storing information on the Fosby at the sixth posi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6 위치, 상기 제2 위치와 상기 제5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와 상기 제4 위치는 동일 수직선 상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비 구조 변경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ixth position, the second position and the fifth position, and the third position and the fourth position are located on the same vertical line, respectively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분리부는,
상기 제4 위치의 일측에 배치되며, 회전이 가능한 원통형 구조를 가지면서 둘레를 따라 상기 탑 플랜지를 다수 적재하기 위한 제3 적재부;
상기 제4 위치와 상기 제3 적재부 사이에 회전, 수평 이동 및 수직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포스비에 장착된 상기 탑 플랜지를 분리하는 제1 분리부; 및
상기 제1 분리부와 상기 제3 적재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3 적재부에 상기 탑 플랜지를 삽입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비 구조 변경 장치.
7.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flange-
A third loading uni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ourth position and having a rotatable cylindrical structure for loading a plurality of the top flanges along the periphery;
A first separator arranged to be able to rotate, horizontally move and vertically move between the fourth position and the third stacking portion, and to separate the top flange mounted on the POSTBY; And
And an insertion portion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eparating portion and the third loading portion and inserts the top flange into the third loading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분리부는,
상기 제6 위치의 일측에 배치되며, 회전이 가능한 원통형 구조를 가지면서 둘레를 따라 상기 인포 패드를 다수 적재하기 위한 제4 적재부; 및
상기 제6 위치와 상기 제1 적재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포스비에 장착된 인포 패드를 분리하여 상기 제4 적재부에 적재하는 제2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비 구조 변경 장치.
[7] The apparatus of claim 6,
A fourth loading uni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ixth position and having a rotatable cylindrical structure for loading a plurality of inflatable pads along the perimeter; And
And a second separat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sixth position and the first loading unit and separating the infopass mounted on the Fosby and loading the infopass on the fourth loading unit.
포스비를 수평 방향을 따라 제1 위치, 제2 위치 및 제3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와 다른 높이에 구비되며, 상기 포스비를 제4 위치, 제5 위치 및 제6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포스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인포 패드를 상기 포스비에 장착하거나, 상기 제6 위치에서 상기 포스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인포 패드를 분리하는 패드 장착부; 및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포스비에 OHT에 의한 이송이 가능하도록 탑 플랜지를 장착하고, 상기 제4 위치에서 상기 포스비의 탑 플랜지를 분리하는 플랜지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비 구조 변경 장치.
A first conveying unit for sequentially conveying the POSBY to the first position, the second position and the third position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A second conveyance unit provided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first conveyance unit and sequentially conveying the POSBY to a fourth position, a fifth position and a sixth position;
A pad attaching portion for attaching an infopad storing information on the Fosby at the first position to the Fosby or for separating an infopad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Fosby at the sixth position; And
And a flange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a top flange at the third position so as to allow the FOSHIBI to be conveyed by OHT and for separating the top flange of the POVBI at the fourth position.
KR1020170104696A 2017-08-18 2017-08-18 Apparatus for changing structure of FOSB KR1023006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696A KR102300628B1 (en) 2017-08-18 2017-08-18 Apparatus for changing structure of FOSB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696A KR102300628B1 (en) 2017-08-18 2017-08-18 Apparatus for changing structure of FOSB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573A true KR20190019573A (en) 2019-02-27
KR102300628B1 KR102300628B1 (en) 2021-09-09

Family

ID=65560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696A KR102300628B1 (en) 2017-08-18 2017-08-18 Apparatus for changing structure of FOSB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62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335B1 (en) * 2000-05-12 2007-04-27 신에츠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Transportation container and method for opening and closing lid thereof
KR20100033130A (en) 2008-09-19 2010-03-29 로체 시스템즈(주) Device of clamping front opening shipping box
KR20130110056A (en) * 2012-03-27 2013-10-08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Article storage facility and article transport facility
KR20160109375A (en) * 2015-03-11 2016-09-21 세메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changing structure of fosb loaded wafers
KR20160109372A (en) * 2015-03-11 2016-09-21 세메스 주식회사 System for transferring wafer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335B1 (en) * 2000-05-12 2007-04-27 신에츠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Transportation container and method for opening and closing lid thereof
KR20100033130A (en) 2008-09-19 2010-03-29 로체 시스템즈(주) Device of clamping front opening shipping box
KR20130110056A (en) * 2012-03-27 2013-10-08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Article storage facility and article transport facility
KR20160109375A (en) * 2015-03-11 2016-09-21 세메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changing structure of fosb loaded wafers
KR20160109372A (en) * 2015-03-11 2016-09-21 세메스 주식회사 System for transferring waf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628B1 (en) 2021-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4766B1 (en) Handling System for Semiconductor device
US20070184680A1 (en) Socket board and test board system having the same
KR101347531B1 (en) Apparatus for spinning test tray of in-line test handler and in-line test handler
KR20180083559A (en) Transfer tool, and flip device having the same
CN109427638A (en) Carrier transferr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70082992A (en) Transfer tool module and device handler having the same
KR20190019573A (en) Apparatus for changing structure of FOSB
KR20160109375A (en) Apparatus for changing structure of fosb loaded wafers
KR101333422B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handling a electronic component
KR101897390B1 (en) Wafter cassette
KR102189288B1 (en) Die bonding apparatus
CN111989579A (en) Component handler
KR102490592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semiconductor devices
KR101322566B1 (en) Apparatus for mounting a semiconductor device and test handler including the same
KR20150019262A (en) Method for testing semiconductor package
TW202045427A (en) Electronic module handler
KR20130011903A (en)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US9927488B2 (en) Package transfer unit and package manage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219917110U (en) Open wafer box adapter and semiconductor wafer conveying device
TWI828521B (en) Handling apparatus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
KR102326005B1 (en) Apparatus for picking up a semiconductor device
KR100575586B1 (en) Equpiment for testing dual inline package
JP2015105834A (en) Electronic component inspection device, electronic component inspection method, and program for inspection method
CN111886509A (en) Component handler
KR101491259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glass subst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