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9048A - 콘택트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콘택트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9048A
KR20190019048A KR1020187031908A KR20187031908A KR20190019048A KR 20190019048 A KR20190019048 A KR 20190019048A KR 1020187031908 A KR1020187031908 A KR 1020187031908A KR 20187031908 A KR20187031908 A KR 20187031908A KR 20190019048 A KR20190019048 A KR 20190019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pheral portion
thickness
lens
meridian
contact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1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3989B1 (ko
Inventor
요헤이 사와다
다카하루 나카지마
나오키 츠지
Original Assignee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19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9Contact lenses having special fitting or structural features achieved by special materials or material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1Contact lenses for the eyes bifocal; multifocal
    • G02C7/044Annular configuration, e.g. pupil tune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8Means for stabilising the orientation of lenses in the ey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24Myopia progression preven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1Contact lenses for the eyes bifocal; multifoc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볼록상의 전면과 오목상의 후면을 갖는 콘택트 렌즈로서, 전면에는, 광학부, 에지, 광학부의 외주에 배치되는 제 1 평활화부, 제 1 평활화부의 외주에 배치되는 주변부, 및 주변부와 에지를 연결하는 제 2 평활화부가 획정된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 전면은 거울상 대칭성을 갖고, 주변부는, 수평경선 상에서 최대 두께로 하는 형상을 구비한 제 1 주변부, 수직경선 상에서 콘택트 렌즈를 최소 두께로 하는 형상을 구비한 제 2 주변부, 제 1 주변부에 인접된 부분으로서 두께를 일정하게 하는 면형상을 구비한 제 1 주변부 보조부, 및 제 1 주변부 보조부와 제 2 주변부를 연결하여 연속된 면으로 하는 부분으로서 두께를 변화시키는 면형상을 구비한 경사부에 의해 구성되는 콘택트 렌즈 그리고 그 제조 방법.

Description

콘택트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으로, 착용시에 있어서의 콘택트 렌즈의 두께를 세로에 비해 가로를 두껍게 하는 더블 슬래브오프를 축안정성 기구로서 구비하는 콘택트 렌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택트 렌즈는 시각 장애를 교정하기 위해서 등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시각 장애에는 예를 들어, 근시, 원시, 난시 및 노시가 있다. 근시나 원시는, 조절력을 작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평행광선이 망막보다 앞 또는 뒤에 초점을 맺어버리는 상태이고, 근시나 원시의 교정 방법의 하나로 콘택트 렌즈 (근시·원시용 렌즈라고도 한다) 를 들 수 있다. 난시는, 각막 또는 수정체 형상이 깨끗한 구면이 아닌 (예를 들어, 눈의 세로와 가로의 굴절률이 상이한) 것에서 기인하여 외계의 일점으로부터 나온 광이 눈 내에서 일점으로 수속되지 않는 상태이고, 난시의 교정 방법의 하나로 토릭 콘택트 렌즈 (난시용 렌즈라고도 한다) 를 들 수 있다. 노시 (노안) 는, 눈의 초점을 먼 물체로부터 가까운 물체에 맞추는 힘이 가령 (加齡) 에 의해 저하된 상태이고, 노시의 교정 방법의 하나로 멀티포컬 콘택트 렌즈 (원근 양용 렌즈라고도 한다) 를 들 수 있다.
토릭 콘택트 렌즈는, 광학부가 난시 교정용의 토로이덜면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렌즈의 자세를 안정화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광학부의 주위에 축안정화 기구가 형성된다. 축안정화 기구에는, 트렁케이션 (특허문헌 1 및 2), 리지 (특허문헌 3 및 4), 프리즘 밸러스트 (특허문헌 5 및 6) 및 더블 슬래브오프 (특허문헌 7 및 8) 로 나누어진다. 또, 멀티포컬 콘택트 렌즈에는, 원방시하기 위한 원용 영역과 근방시하기 위한 근용 영역이 광학부에 배치되도록 렌즈의 도수가 분포된다 (특허문헌 9). 또한 광학부에 난시 교정용의 토로이덜면과 노시 보정용의 다초점 도수를 조합한 멀티포컬 토릭 콘택트 렌즈의 개발도 진행되고 있다 (특허문헌 10 및 11).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9-53812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5-502072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1-522065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5-534985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4-506925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6-529029호 WO2009/139021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7-53828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5541호 WO2011/061790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5-534966호
그런데, 멀티포컬 콘택트 렌즈에 토릭을 조합하여 축안정화 기구를 배치시키고자 했을 경우 (그것에 더하여 멀티포컬이 아닌 토릭 콘택트 렌즈를 취급하는 경우. 이후, (멀티포컬) 토릭 콘택트 렌즈라고도 칭한다.),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긴다. 트렁케이션을 구비하는 멀티포컬 토릭 콘택트 렌즈의 경우 (예 : 선행 문헌 1 및 2), 특징적인 형상 때문에 특이한 눈을 갖는 착용자에의 특주품으로서 적합하지만, 양산화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 심플한 구면 렌즈에 비하면 렌즈 전체가 변형된 형상이 되어, 이물감 (착용감의 저하) 이 필연적으로 생긴다.
리지를 구비하는 멀티포컬 토릭 콘택트 렌즈의 경우 (예 : 선행 문헌 3 및 4), 렌즈 하방부에 융기한 리지가 하안검 (下眼瞼) 과 걸어맞춰짐으로써 위치 안정성과 배향성이 얻어지지만, 하안검과 리지의 걸어맞춤 정도는 하안검에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양산화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 상안검 (上眼瞼) 은 리지의 볼록부 형상에 닿기 쉬워져, 착용감도 구면 렌즈에 비하면 떨어진다.
프리즘 밸러스트를 구비하는 멀티포컬 토릭 콘택트 렌즈의 경우 (예 : 선행 문헌 5, 6 및 9), 렌즈 전체에 프리즘이 형성되기 때문에 렌즈 상단부로부터 렌즈 하단부에 걸쳐 두께가 증가하여, 멀티포컬이 형성된 광학부에도 프리즘이 남는다. 이 결과, 광학부의 프리즘이 원용 영역의 보정이나 근용 영역의 보정에 저해 요인으로서 작용하고, 이것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보다 복잡한 광학 설계를 필요로 한다. 또, 렌즈의 일부에 밸러스트가 형성되기 때문에, 통상적인 렌즈보다 하방으로 떨어지기 쉽다. 그러면, 렌즈의 센터링을 얻기 어렵고, 센터링을 확보하기 위해서 렌즈의 어딘가를 깎아 얇게함으로써 밸런스를 취하는 가공의 필요성이 생긴다. 가공했을 경우, 구면 렌즈에 비하면 렌즈 전체가 변형된 형상이 되어, 이물감이 생긴다.
더블 슬래브오프를 구비하는 멀티포컬 토릭 콘택트 렌즈의 경우 (예 : 선행 문헌 10 및 11), 좌우 대칭성 및 상하 대칭성을 가지므로 착용자의 센터링을 얻기 쉬워 원근 양용의 광학 설계가 발휘되기 쉽고, 또, 렌즈에 프리즘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원용 영역이나 근용 영역의 광학 설계에의 저해 요인이 생기지 않는다는 효과가 예상된다. 그러나, 밸러스트가 없는 더블 슬래브오프로 축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주변부를 보다 강조한 두께 영역을 형성하거나, 주변부의 박육 영역을 확장하거나 하는 두께 분포가 필요하게 되어, 구면 렌즈에 비하면 변형된 렌즈 형상이 된다. 또, 전면의 광학부에 난시 교정과 전면의 주변부에 더블 슬래브오프를 형성하고, 후면의 광학부에 멀티포컬을 형성한 두께 설계의 경우 (예 : 선행 문헌 11),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상이한 효과를 노린 광학 특성을 가지므로 광학 설계나 가공에 특화되기 쉽지만, 전면에도 후면에도 각각 특징 있는 형상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역시 렌즈 전체는 변형된 형상이 되어, 구면 렌즈에 비하면 착용감은 저하된다.
이와 같이, 원근 양용의 광학 설계가 최대한 발휘되고, 또한 난시 교정도 충분히 효과를 발휘하고, 또한 착용감이 양호한 (멀티포컬) 토릭 콘택트 렌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서술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양호한 난시 교정 (바람직하게는 그것에 더하여 노시 보정) 의 효과가 얻어지는 콘택트 렌즈와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우수한 센터링 성능과 축안정성에 더하여 양호한 착용감도 얻어지는 콘택트 렌즈와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원 발명자들은, 이하의 구성을 구비하는 발명을 알아내었다. 즉, 볼록상의 전면과 오목상의 후면을 갖는 콘택트 렌즈로서, 전면에는, 광학부, 전면과 후면을 접합하는 에지, 광학부의 외주에 배치되는 제 1 평활화부, 제 1 평활화부의 외주에 배치되는 주변부, 및 주변부와 에지를 연결하는 제 2 평활화부가 획정 (劃定) 된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 전면은, 렌즈 상단부로부터 렌즈 중점을 지나 렌즈 하단부에 이르는 수직경선을 경계로 하는 거울상 대칭성을 가짐과 함께, 수직경선과 렌즈 중점에서 직교하는 수평경선에도 거울상 대칭성을 갖고, 주변부는, 수평경선을 포함하도록 배치된 부분으로서 수평경선 상에서 콘택트 렌즈를 최대 두께로 하는 형상을 구비한 제 1 주변부, 수직경선을 포함하도록 배치된 부분으로서 수직경선 상에서 콘택트 렌즈를 최소 두께로 하는 형상을 구비한 제 2 주변부, 제 1 주변부에 인접된 부분으로서 콘택트 렌즈의 두께를 일정하게 하는 면형상을 구비한 제 1 주변부 보조부, 및 제 1 주변부 보조부와 제 2 주변부를 연결하여 연속된 면으로 하는 부분으로서 콘택트 렌즈의 두께를 변화시키는 면형상을 구비한 경사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렌즈 전체가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에서의 거울상 대칭성을 가짐으로써 착용시에 렌즈가 각막 중심에 배치되기 쉬워진다. 렌즈의 센터링 성능이 향상됨으로써, 광학부 내의 원하는 영역에 할당된 원용 영역 및 근용 영역에 의한 노시 보정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 최대 두께의 제 1 주변부가 수평경선을 포함하도록 배치됨과 함께 최소 두께의 제 2 주변부가 수평경선과 직교하는 수직경선을 포함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제 1 주변부는 안검에 의해 깜빡일 때마다 귀/코측으로 압출된다. 또, 두께가 일정해지는 면을 갖는 제 1 주변부 보조부가 제 1 주변부에 인접함으로써, 안검이 제 1 주변부에 이동하는 것을 돕는다. 이 결과, 축안정성이 향상되어, 타원상의 광학부이어도, 멀티포컬의 경우, 양호한 노시 보정이 얻어진다.
그리고, 제 1 평활화부는, 광학부 (예를 들어 난시 교정용으로 형성된 수평 방향에 장축을 갖는 타원상의 광학부) 와 축안정용으로 형성된 주변부 (예를 들어 당해 광학부에 따라 타원상 또한 환상 (環狀) 의 주변부) 를 매끄럽게 연결하고, 제 2 평활화부는 축안정용으로 형성된 타원 환상의 주변부와 진원의 에지를 매끄럽게 연결하고, 그리고 경사부는 높이 (두께) 가 상이한 제 1 주변부 보조부와 제 2 주변부를 매끄럽게 연결한다. 이렇게 하여, 센터링 성능 및 축안정성이 향상됨과 함께, 양호한 착용감이 얻어진다.
두 번째로, 주변부의 반경 방향의 폭은 일정하고, 세 번째로, 주변부와 전면의 표면적비는 1 : 99 ∼ 10 : 90 이다. 이로써, 주변부가 최소한으로 억제되면서도 축안정성이 확보되면서, 노시 보정용 및 난시 교정용의 영역을 좁히는 일 없이, 주변부와 에지에 의해 둘러싸이는 제 2 평활화부의 영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 결과, 구면 렌즈와의 차가 작아져, 착용감이 향상된다. 또, 노시 보정 및 난시 교정을 동시에 구비한 광학 설계와 축안정화 기구를 렌즈 전면에 일제히 형성함으로써, 착용감에 큰 영향을 미치는 렌즈 후면에는 각막에 적합한 비구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네 번째로, 제 1 주변부에 있어서 반경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두께는 일정하고, 다섯 번째로, 제 1 주변부에 있어서 원주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두께는, 수평경선으로부터 수직경선으로 회전하여 향함에 따라 감소하고, 여섯 번째로, 제 2 주변부에 있어서 반경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두께는 일정하고, 일곱 번째로, 제 1 주변부 보조부의 반경 방향의 폭은, 수평경선으로부터 수직경선으로 회전하여 향함에 따라 감소하고, 제 2 주변부의 반경 방향의 폭은, 수평경선으로부터 수직경선으로 회전하여 향함에 따라 증대되고, 경사부와 제 2 주변부의 경계선은 수평경선에 대해 평행이다. 이로써, 센터링 성능 및 축안정성이 더욱 향상됨과 함께, 양호한 착용감도 얻어진다. 또한, 제 1 주변부 보조부의 반경 방향의 폭은, 수평경선으로부터 수직경선으로 회전하여 향함에 따라 감소하는 구성 단체를 채용해도 된다. 또, 제 2 주변부의 반경 방향의 폭은, 수평경선으로부터 수직경선으로 회전하여 향함에 따라 증대되는 구성 단체를 채용해도 된다. 또, 경사부와 제 2 주변부의 경계선은 수평경선에 대해 평행인 구성 단체를 채용해도 된다.
여덟 번째로, 광학부를 토로이덜면에서 형성함으로써, 난시 교정 기능을 구비하는 토릭 콘택트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아홉 번째로, 광학부에는, 도수가 상이한 영역이 타원상으로 배치되고, 광학부의 중심에 배치된 원방을 보기 위한 원용부, 원용부의 외주에 배치되고 원용부의 도수로부터 연속해서 증가하는 도수 분포를 갖는 제 1 중간부, 및 제 1 중간부의 외주에 배치된 근방을 보기 위한 근용부가 형성된다. 또, 열 번째로, 광학부에는, 도수가 상이한 영역이 타원상으로 배치되고, 광학부의 중심에 배치된 근용부, 근용부의 외주에 배치되고 근용부의 도수로부터 연속해서 감소하는 도수 분포를 갖는 제 2 중간부 및 제 2 중간부의 외주에 배치된 원용부가 형성된다. 이로써, 멀티포컬 콘택트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열한 번째로, 렌즈 소재로서 하이드로겔 또는 실리콘 하이드로겔을 사용함으로써, 착용감이 양호한 소프트 콘택트 렌즈나 산소 투과성이 높은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열두 번째로, 광학부에 있어서의 중심 두께를 0.05 ∼ 0.20 ㎜ 의 범위로 함으로써, 착용감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열세 번째로, 주변부에서의 수평경선으로부터 수직경선으로 회전하여 향하는 소정의 회전 각도 범위 내에 있어서, 제 1 주변부 보조부를 내주측 또는 외주측 중 일방의 측에 배치하고, 경사부를 내주측 또는 외주측 중 다른 일방의 측에 배치하고, 양자를 병존시킨다. 그것에 더하여, 열네 번째로, 제 1 주변부 보조부를 내주측에 배치하고, 경사부를 외주측에 배치하고, 양자를 병존시킨다. 수평경선으로부터 수직경선으로 회전시켰을 때의 주변부의 영역에 있어서, 제 1 주변부 보조부와 경사부가 병존하는 영역을 존재시키고, 상기와 같은 미세한 구성의 설정을 채용함으로써 절묘한 축안정성이 바람직하게 발휘된다.
열다섯 번째로, 주변부의 형상을, 수평 방향으로 장축을 갖는 타원상 또한 환상으로 한다. 상기에서 예로서 서술한 구성이다. 이로써, 수직경선 상의 제 2 주변부를 널리 확보할 수 있다.
열여섯 번째로, 볼록상의 전면과 오목상의 후면을 갖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으로서, 전면에는, 광학부, 전면과 후면을 접합하는 에지, 광학부의 외주에 배치되는 제 1 평활화부, 제 1 평활화부의 외주에 배치되는 주변부, 및 주변부와 에지를 연결하는 제 2 평활화부가 획정된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전면은, 렌즈 상단부로부터 렌즈 중점을 지나 렌즈 하단부에 이르는 수직경선을 경계로 하는 거울상 대칭성을 가짐과 함께, 수직경선과 렌즈 중점에서 직교하는 수평경선에도 거울상 대칭성을 갖고, 주변부는, 수평경선을 포함하도록 배치된 부분으로서 수평경선 상에서 콘택트 렌즈를 최대 두께로 하는 형상을 구비한 제 1 주변부, 수직경선을 포함하도록 배치된 부분으로서 수직경선 상에서 콘택트 렌즈를 최소 두께로 하는 형상을 구비한 제 2 주변부, 제 1 주변부에 인접된 부분으로서 콘택트 렌즈의 두께를 일정하게 하는 면형상을 구비한 제 1 주변부 보조부, 및 제 1 주변부 보조부와 제 2 주변부를 연결하여 연속된 면으로 하는 부분으로서 콘택트 렌즈의 두께를 변화시키는 면형상을 구비한 경사부에 의해 구성되는 콘택트 렌즈를 캐스트 몰드 제법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에 의하면, 종래의 콘택트 렌즈보다 센터링 성능 및 축안정성과 함께 양호한 착용감이 얻어진다. 이 결과, 원근 양용의 광학 설계를 최대한 발휘 가능해지고, 난시 교정도 발휘 가능해진다.
도 1a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콘택트 렌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 1(a) 이고, 동 콘택트 렌즈의 정면도이다.
도 1b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콘택트 렌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 1(b) 이고, 동 콘택트 렌즈의 측면도이다.
도 2a 는, 동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의 광학부의 도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 2(a) 이고, 동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의 광학부의 정면도이다.
도 2b 는, 동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의 광학부의 도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 2(b) 이고, O-A 위치에 있어서의 렌즈의 도수 분포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 은, 동 콘택트 렌즈의 0°∼ 90°부근을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4 는, 동 콘택트 렌즈의 두께의 정의의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는, 동 콘택트 렌즈의 소정의 각도에 있어서의 렌즈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 5(a) 이고, 동 콘택트 렌즈의 0°∼ 90°부근을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5b 는, 동 콘택트 렌즈의 소정의 각도에 있어서의 렌즈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 5(b) 이고, 도 5(a) 로 나타내는 각도에 있어서의 렌즈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a 는, 동 콘택트 렌즈의 두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 6(a) 이고, 동 콘택트 렌즈의 정면도이다.
도 6b 는, 동 콘택트 렌즈의 두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 6(b) 이고, 원주 M 상에 있어서의 두께 천이도이다.
도 6c 는, 동 콘택트 렌즈의 두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 6(c) 이고, 원주 N 상에 있어서의 두께 천이도이다.
도 7 은, 동 콘택트 렌즈의 주변부의 두께를 설명하기 위한 도 7 이고, 동 콘택트 렌즈의 정면도이다.
도 8a 는, 동 콘택트 렌즈의 주변부의 두께를 설명하기 위한 도 8(a) 이고, 주변부의 0°∼ 50°부근을 잘라낸 사시도이다.
도 8b 는, 동 콘택트 렌즈의 주변부의 두께를 설명하기 위한 도 8(b) 이고, 주변부의 50°∼ 70°부근을 잘라낸 사시도이다.
도 8c 는, 동 콘택트 렌즈의 주변부의 두께를 설명하기 위한 도 8(c) 이고, 주변부의 70°∼ 90°부근을 잘라낸 사시도이다.
도 8d 는, 동 콘택트 렌즈의 주변부의 두께를 설명하기 위한 도 8(d) 이고, 주변부의 50°∼ 90°부근을 잘라낸 사시도이다.
도 9a 는, 동 콘택트 렌즈의 렌즈 상단부 부근에 있어서의 수평경선에 따른 렌즈 단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 9(a) 이고, 전면측에서 동 콘택트 렌즈를 본 정면도이다.
도 9b 는, 동 콘택트 렌즈의 렌즈 상단부 부근에 있어서의 수평경선에 따른 렌즈 단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 9(b) 이고, 도 9(a) 에서 나타내는 절단면 (CP0, CP100 및 CP200) 의 두께 변화 프로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c 는, 동 콘택트 렌즈의 렌즈 상단부 부근에 있어서의 수평경선에 따른 렌즈 단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 9(c) 이고, 도 9(a) 의 2 점 쇄선 (L) 내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9d 는, 동 콘택트 렌즈의 렌즈 상단부 부근에 있어서의 수평경선에 따른 렌즈 단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 9(d) 이고, 도 9(c) 도에 있어서의 절단면 (CP20 ∼ CP120) 의 두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기 서술한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하는 이하의 실시형태 및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크게 구성을 나눌 때에는 통상적인 구두점으로서 ", " 를 부여하고, 작게 구성을 나눌 때에는 구두점으로서 ", " 를 부여한다. 게다가 또한, 도 1a, 표 2a 는, 도 1(a), 표 2(a) 와 같이 괄호를 붙여 주로 표현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매끄럽게 연결한다 (접합한다, 연결한다, 두께를 감소시킨다 등)" 란, 연결하는 대상이 되는 것끼리가 하나의 연속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가리키고, 불연속인 날카로운 요철이 돌연 나타나지 않은 상태를 가리킨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두께가 일정" 이란, 콘택트 렌즈의 두께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영역 내 (예를 들어 면내) 에 있어서 동일한 두께인 것을 가리키고, 두께가 고른, 평탄이라고도 한다.
콘택트 렌즈 (10) (간단히 렌즈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는,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상의 전면 (프론트 커브라고도 한다) (12) 과 오목상의 후면 (베이스 커브라고도 한다) (14) 에 의해 형성된다. 에지 (16) 는, 프론트 커브 (12) 와 베이스 커브 (14) 를 접합한다.
프론트 커브 (12) 에는, 콘택트 렌즈 (10) 의 노시 및 난시를 교정하기 위한 굴절 도수를 규정하는 광학부 (18) 및 축안정화 기구를 특징으로 하는 더블 슬래브오프 (20) 가 형성된다. 베이스 커브 (14) 는, 착용자의 각막 형상에 적합한 다단계 커브를 갖는 회전 대칭 형상으로 형성된다. 요컨대, 베이스 커브 (14) 의 형상은 임의의 세로 (직경) 방향 (후술) 에서 잘라도 동일 형상 (동심원) 이다. 또한, 이 콘택트 렌즈 (10) 의 파라미터에는, 베이스 커브 : 8.6 ㎜, 광학 중심 두께 : 0.09 ㎜, 전체 직경 : 14.2 ㎜, 근시 도수 : -3.00D, 난시 도수 : -0.75D, 축 : 180°및 가입 도수 : +1.5D 가 할당된다. 근시 도수는,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 커브 (12) 의 곡률 R1 과 베이스 커브 (14) 의 곡률 R2 에 의해 정해진다.
도 1(a) 로 되돌아가, 광학부 (18) 는, 수평 방향을 장축 (주축) 으로 하고 또한 수직 방향을 단축 (부축) 으로 하는 타원의 토로이덜면 (토릭면이라고도 한다) 을 갖는다. 요컨대, 난시를 교정하기 위해, 직교하는 2 개의 축 (주축 (장축) 및 부축 (단축). 이후,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이 2 축.) 에 있어서 곡률 반경이 상이하도록 곡면 (토로이덜면) 이 형성된다. 이 실시예의 경우, 축이 180°이기 때문에, 수평경선 (24) 상에 있는 주축 (장축) 의 곡률은 수직경선 (22) 상에 있는 부축 (단축) 의 곡률보다 크다. 또한, 원하는 굴절 도수에 따라 타원의 축의 길이나 타원의 각도가 변화한다.
여기서, 경선이란, 렌즈면 (프론트 커브 (12) 또는 베이스 커브 (14)) 과 렌즈 중심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의 교차선을 의미하고, 경선의 종류에는, 수직경선 (22), 수평경선 (24) 및 각경선 (角經線) (26) 이 있고, 모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수직경선 (22) 은 렌즈 상단부 (28) 및 렌즈 하단부 (30) 와 렌즈 중점 O 를 지나는 경선이고, 수평경선 (24) 은 수직경선 (22) 에 직교하여 렌즈 중점 O 를 지나는 경선이다. 각경선 (26) 은, 렌즈 중점 O 를 중심으로 한 임의의 각도 (이 경우에는 각도 θ) 상의 경선이고, 렌즈 중점 O 로부터 에지 (16) 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선이라고도 할 수 있다. 또, 반경 방향이란, 렌즈 중점 O 로부터 임의의 거리까지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말한다. 원주 방향이란, 렌즈 중점 O 를 중심으로 한 원주의 방향이고,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렌즈 중점 O, 수평경선 (24) 및 각경선 (26) 으로 둘러싸인 부채꼴상 중 원호로 나타내는 궤적이 원주 방향이라고도 할 수 있다.
프론트 커브 (12) 는, 수직경선 (22) 을 경계로 하는 거울상 대칭성을 갖는다. 요컨대, 렌즈 중점 O 를 지나는 수직경선 (22) 의 우반분과 좌반분은 동일 형상이다. 프론트 커브 (12) 는 또, 수평경선 (24) 을 경계로 하는 거울상 대칭성도 갖는다. 요컨대, 렌즈 중점 O 를 지나는 수평경선 (24) 의 상반분과 하반분은 동일 형상이다. 이와 같이, 렌즈 전체가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에서의 거울상 대칭성을 갖기 때문에, 착용시에 렌즈가 각막 중심에 배치되기 쉬워진다. 렌즈의 센터링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광학부 내의 원하는 영역에 할당된 원용 영역 및 근용 영역에 의한 노시 보정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 좌우의 눈에 구별없이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렌즈가 눈 위에서 180°회전해도 축안정성이 얻어진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콘택트 렌즈 (10) 의 각도는, 우안에 콘택트 렌즈 (10) 를 착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렌즈 상단부 (28) 를 90°의 위치 (눈썹측), 렌즈 하단부 (30) 를 270°의 위치 (턱측), 수평경선 (24) 에 평행한 방향 중 코측을 0°의 위치, 그리고 반대측 (귀측) 을 180°의 위치로 정의한다.
또, 콘택트 렌즈 (10) 는 수직경선 (22) 및 수평경선 (24) 에 대해 거울상 대칭성을 갖는다. 이 때문에, 0°∼ 90°(반시계 방향) 의 렌즈 단면은, 180°∼ 90°(시계 방향), 180°∼ 270° (반시계 방향) 및 360°(0°) ∼ 270°(시계 방향) 에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일례로는, 0°∼ 50° (반시계 방향) 의 렌즈 단면과 180°∼ 130°(시계 방향), 180° ∼ 230° (반시계 방향) 및 0°∼ 310°(시계 방향) 의 렌즈 단면과는 동일한 형상이 되고, 50°∼ 70° (반시계 방향) 의 렌즈 단면과 130°∼ 110°(시계 방향), 230°∼ 250° (반시계 방향) 및 310°∼ 290°(시계 방향) 의 렌즈 단면과는 동일한 형상이 되고, 그리고 70°∼ 90° (반시계 방향) 의 렌즈 단면과 110°∼ 90°(시계 방향), 250°∼ 270° (반시계 방향) 및 290°∼ 270°(시계 방향) 의 렌즈 단면과는 동일한 형상이 된다.
도 2(a) 를 참조하여, 콘택트 렌즈 (10) 에서는, 원방을 보기 위한 원용부 (32) 가 광학부 (18) 의 중심에, 원용부의 도수로부터 연속해서 증가하는 도수 분포를 갖는 중간부 (34) 가 원용부 (32) 의 주위에, 그리고 제 1 중간부 (34) 의 주위에 배치된 근방을 보기 위한 근용부 (36) 가 광학부 (18) 의 최외주로서 배치된다.
도 2(b) 는, 도 2(a) 의 O-A 위치에 있어서의 렌즈의 도수 분포 상태를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가로축은 렌즈 중점 O 로부터의 거리 x (㎜) 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도수 Power (D) 를 나타낸다. 수평경선 (24) 에 대해 거울상 대칭성을 갖기 때문에, 도 2(a) 에 나타내는 O-B 위치에 있어서의 렌즈의 도수 분포 상태와 O-A 위치에 있어서의 렌즈의 도수 분포 상태는 동일한 곡선을 그린다.
도 3 을 참조하여, 더블 슬래브오프 (20) 에는, 광학부 (18) 의 외주에 배치되는 제 1 평활화부 (38), 제 1 평활화부 (38) 의 외주에 배치되는 타원상의 주변부 (40), 그리고 주변부 (40) 와 에지 (16) 를 연결하는 제 2 평활화부 (42) 가 획정된다.
제 1 평활화부 (38) 는, 난시 교정에서 기인하여 타원상이 되는 광학부 (18) 와 축안정성에서 기인하여 타원상 또한 환상 (이후, 환상에 대해서는 기재 생략) 이 되는 주변부 (40) 를 매끄럽게 연결한다. 이로써, 착용 중에 접하는 렌즈와 상하안검에는 불필요한 마찰이 생기지 않아, 이물감 (착용감의 저하) 은 잘 발생하지 않는다. 또, 제 1 평활화부 (38) 가 완충 영역으로서 기능함으로써 어느 굴절 도수이어도 주변부 (40) 의 타원상의 동등성이 확보된다. 또한, 콘택트 렌즈 (10) 의 축이 180°일 때, 광학부 (18) 에 있어서의 타원의 주축의 길이 및 부축의 길이의 비율과 주변부 (40) 에 있어서의 타원의 수평경선 (24) 상의 주축의 길이 및 수직경선 (22) 상의 부축의 길이의 비율이 일치해도 상관없다.
주변부 (40) 의 폭은 임의의 각도에서 일정하다. 또, 주변부 (40) 와 프론트 커브 (12) 의 표면적비는 1 : 99 ∼ 10 : 90 이다. 이와 같이 하여, 주변부 (40) 가 최소한으로 억제되면서도 축안정성을 확보하고, 노시 보정용 및 난시 교정용의 영역을 좁히는 일 없이, 주변부 (40) 와 에지 (16) 에 의해 둘러싸이는 제 2 평활화부 (42) 의 영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 결과, 구면 렌즈와의 차가 작아져, 착용감이 향상된다. 또한 노시 보정 및 난시 교정을 동시에 구비한 광학 설계와 축안정화 기구를 렌즈 전면에 일제히 형성함으로써, 착용감에 큰 영향을 미치는 렌즈 후면에는 각막에 적합한 비구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주변부 (40) 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2 평활화부 (42) 는, 타원상의 주변부 (40) 와 진원의 에지 (16) 를 매끄럽게 접합시킨다. 제 2 평활화부 (42) 가 완충 영역으로서 기능함으로써 타원의 주변부 (40) 의 동등성과 진원의 에지 (16) 의 동등성이 확보된다. 또, 매끄럽게 접합함으로써 착용시에 접하는 렌즈와 상하안검 사이의 불필요한 마찰이 저감되어, 이물감은 잘 생기지 않는다.
다음으로, 콘택트 렌즈 (10) 의 두께에 대해 서술한다. 콘택트 렌즈 (10) 의 두께 (이후, 간단히 두께라고 칭한다) T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커브 (14) 상의 임의의 점으로부터 이 임의의 점에 대한 접선에 직교하는 수선이 프론트 커브 (12) 와 교차하는 점까지의 거리로서 정의한다. 광학부 (18) 에 있어서의 두께 T 는 시력 교정을 위해서 도수에 따라 규정된다. 한편, 광학부 (18) 를 제외한 제 1 평활화부 (38), 주변부 (40) 및 제 2 평활화부 (42) 에 있어서의 두께 T 는 원하는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콘택트 렌즈 (10) 의 전체에서 보았을 때,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렌즈의 두께는, 어느 각도에 있어서도 주변부 (40) 에서 최대가 된다. 도 5(a) 및 (b) 를 참조하여, 0°및 30°의 렌즈 단면에서는, 렌즈 중심 O 로부터 광학부 (18) 및 제 1 평활화부 (38) 를 거쳐 점 m1 에 걸친 두께가 서서히 증가하고, 점 n1 로부터 제 2 평활화부 (42) 를 거쳐 에지 (16) 에 걸친 두께가 서서히 감소한다 (즉 "연속적으로 계속 줄어든다", 이후 동일). 또, 점 m1 로부터 점 n1 에 걸친 두께는 고르다. 요컨대, 점 m1 (점 n1) 일 때 주변부 (40) 의 두께는 최대가 된다. 50°의 렌즈 단면에서는, 렌즈 중심 O 로부터 광학부 (18) 및 제 1 평활화부 (38) 를 거쳐 점 m2 에 걸친 두께가 서서히 증가하고, 점 n2 로부터 제 2 평활화부 (42) 를 거쳐 에지 (16) 에 걸친 두께가 서서히 감소한다. 또, 점 m2 로부터 점 n2 에 걸친 두께 T 는 고르고, 이 때, 주변부 (40) 의 두께는 최대가 된다. 70°의 렌즈 단면에서는, 렌즈 중심 O 로부터 광학부 (18) 및 제 1 평활화부 (38) 를 거쳐 점 m3 에 걸친 두께는 서서히 증가한다. 점 m3 에서 두께가 최대에 이른 후, 점 n3 및 제 2 평활화부 (42) 를 거쳐 에지 (16) 까지의 두께는 서서히 감소한다. 90°의 렌즈 단면에서는, 렌즈 중심 O 로부터 광학부 (18) 및 제 1 평활화부 (38) 를 거쳐 점 m4 에 걸친 두께 T 가 서서히 증가하고, 점 n4 으로부터 제 2 평활화부 (42) 를 거쳐 에지 (16) 에 걸친 두께 T 가 서서히 감소한다. 또, 점 m4 로부터 점 n4 에 걸친 두께는 고르다. 요컨대, 점 m4 (점 n4) 일 때에 주변부 (40) 의 두께는 최대가 된다. 이와 같이, 렌즈 중심 O 로부터 광학부 (18) 및 제 1 평활화부 (38) 를 거쳐 주변부 (40) 까지 두께는 증가하고, 주변부 (40) 로부터 제 2 평활화부 (42) 를 거쳐 에지 (16) 에 걸쳐 두께 T 는 서서히 감소한다.
본 형태에서는 특히 주변부 (40) 의 두께에 큰 특징이 있다. 이하, 상세히 서술한다.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주변부 (40) 의 두께는, 규정된 각도로 구분되는 에어리어마다 상이하다. 도 6(b) 및 (c) 는, 도 6(a) 에 나타내는 소정의 각도에 있어서의 주변부 (40) 의 두께 분포를 발출한 모식도이고, 두께 분포의 정도를 표 1 에 나타내는 표기 분류와 같이 표현하고 있다. 또한, 렌즈 전체에서 보았을 때의 두께 분포는 후술하는 도 7 에 나타내고 있다.
[표 1]
Figure pct00001
주변부 (40)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경선 (24) 을 포함하도록 (일례로는 걸쳐) 배치된 부분으로서 수평경선 (24) 상에서 콘택트 렌즈 (10) 를 최대 두께로 하는 형상을 구비한 제 1 주변부 (44), 수직경선 (22) 을 포함하도록 (일례로는 걸쳐) 배치된 부분으로서 수직경선 (22) 상에서 콘택트 렌즈 (10) 를 최소 두께로 하는 형상을 구비한 제 2 주변부 (46), 제 1 주변부 (44) 에 인접된 부분으로서 콘택트 렌즈 (10) 의 두께를 일정하게 하는 면형상을 구비한 제 1 주변부 보조부 (48), 그리고 제 1 주변부 보조부 (48) 와 제 2 주변부 (46) 를 연결하여 연속된 면으로 하는 부분으로서 콘택트 렌즈 (10) 의 두께를 변화시키는 면형상을 구비한 경사부 (50) 에 의해 구성된다. 제 1 주변부 (44) 에 있어서 반경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두께는 일정하고, 제 1 주변부 (44) 에 있어서 원주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두께는, 수평경선 (24) 으로부터 수직경선 (22) 으로 회전하여 향함에 따라 감소한다. 제 2 주변부 (46) 의 두께는 일정하고, 제 1 주변부 보조부 (48) 의 반경 방향의 폭은, 수평경선 (24) 으로부터 수직경선 (22) 으로 회전하여 향함에 따라 감소하고, 제 2 주변부 (46) 의 반경 방향의 폭은, 수평경선 (24) 으로부터 수직경선 (22) 으로 회전하여 향함에 따라 증대된다. 경사부 (50) 와 제 2 주변부 (46) 의 경계선은 수평경선 (24) 에 대해 평행이 된다.
주변부 (40) 의 내측이 되는 원주 M 상 (이후, 간단히 내주측, 내측이라고도 한다) 의 두께에 관해서는, 도 7 및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 m1 (0°) 에서 점 m2 (50°= 소정의 회전 각도 θ1) 까지의 두께 Tma 는 서서히 감소하고, 점 m2 (50°) 에서 점 m3 (70°= 소정의 회전 각도 θ2) 까지의 두께 Tmb 는 동등하고, 점 m3 (70°) 에서 점 m4 (90°) 까지의 두께 Tmc 는 서서히 감소한다. 또, 주변부 (40) 의 외측이 되는 원주 N 상 (이후, 간단히 외주측, 외측이라고도 한다) 의 두께에 관해서는, 도 7 및 도 6(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 n1 (0°) 에서 점 n2 (50°= 소정의 회전 각도 θ1) 까지의 두께 Tna 는 서서히 감소하고, 점 n2 (50°) 에서 점 n3 (70°= 소정의 회전 각도 θ2) 까지의 두께 Tnb 는 서서히 감소하고, 점 n3 (70°) 에서 점 n4 (90°) 까지의 두께 Tnc 는 동등해진다. 이 결과, 주변부 (40) 의 두께 T 는, 0°의 위치에서 최대가 되는 한편, 90°의 위치에서 최소가 된다.
여기서, 도 6(b) 와 (c) 의 차이는, 도 7 을 참조함으로써 분명해진다. 예를 들어, 주변부 (40) 의 내측이 되는 원주 M 상 (도 6(b)) 에 있어서는, 점 m2 (50°) 에서 점 m3 (70°) 까지, 두께 T 가 일정해지는 제 1 주변부 보조부 (48) 로 되어 있다. 한편, 주변부 (40) 의 외측이 되는 원주 N 상 (도 6(c)) 에 있어서는, 제 1 주변부 보조부 (48) 에 있어서의 일점이 점 n2 (50°) 에만 존재할 뿐이고, 그 대신에 경사부 (50) 가 주로 존재한다. 그것에 더하여, 주변부 (40) 의 내측이 되는 원주 M 상 (도 6(b)) 에 있어서는, 제 2 주변부 (46) 에 있어서의 일점이 점 m4 (90°) 에만 존재할 뿐이지만, 주변부 (40) 의 외측이 되는 원주 N 상 (도 6(c)) 에 있어서는, 점 n3 (70°) 에서 점 n4 (90°) 까지가 제 2 주변부 (46) 가 된다. 또한, 주변부 (40) 의 내측이 되는 원주 M 상의 점 m2 (50°) 에 있어서는, 제 1 주변부 (44) 와 제 1 주변부 보조부 (48) 가 병존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다른 경계에 있어서도 동일한 취급으로 한다. 단, 내용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경우에는, 어느 일방만이 존재하는 것으로 규정해도 상관없다.
또한, 도 6(b) 및 (c) 에서는, 두께가 서서히 증가한다 (혹은 두께가 서서히 감소한다) 고 설명했지만, 증가 (혹은 감소) 하면 어떠한 형상에서도 채용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도 6(b) 및 (c)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1 차 함수에 의한 증감도 있으면, n 차 함수, 지수 함수나 대수 함수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 의 0°∼ 50°에 있어서의 격자로 나타내는 영역이 제 1 주변부 (44) 이고, 주변부 (40) 의 0°에서 50°까지를 잘라낸 모식도를 도 8(a) 에 나타낸다. 제 1 주변부 (44) 는, 수평경선 (24) 상 (점 m1, 점 n1) 으로부터 제 1 주변부 보조부 (48) 의 경계 (점 m2, 점 n2) 에 걸쳐, 반경 방향으로 고른 두께가 된다. 요컨대, 점 m1 에 있어서의 두께 Tma 와 점 n1 에 있어서의 두께 Tna 는 동일한 높이이고, 점 m2 에 있어서의 두께 Tma 와 점 n2 에 있어서의 두께 Tna 는 동일한 높이이다. 제 1 주변부 (44) 는 또, 0°의 각경선 (26) 상 (수평경선 (24) 상) 일 때에 최대 두께가 되고, 50°의 각경선 (26) 상일 때에 최소 두께가 된다. 또한 제 1 주변부 (44) 에 있어서의 폭 Wa 는, 어느 각도에서도 동일한 거리를 갖는다. 요컨대, 점 m1 에서 점 n1 까지의 거리와 점 m2 에서 점 n2 까지의 거리는 동일하다. 이와 같이, 주변부 (40) 에 있어서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갖는 제 1 주변부 (44) 는, 수평경선 (24) 상에 걸쳐 배치되고, 0°내지 50°에 걸쳐 두께를 매끄럽게 감소시킴과 함께, 임의의 각도에 있어서의 폭 Wa 상에서 고른 두께를 갖는다. 수평경선 (24) 상에 최대 두께의 제 1 주변부 (44) 가 배치됨으로써, 상안검 혹은 하안검에 압출되어 콘택트 렌즈 (10) 가 회전하여, 제 1 주변부 (44) 는 귀측 혹은 코측으로 이동한다. 또, 반경 방향으로 고른 두께 즉 평탄 (평평함) 해지는 제 1 주변부 (44) 와 안검이 면에서 접함으로써, 콘택트 렌즈 (10) 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의 지향성이 깜빡일 때마다 부여된다. 또한, 제 1 주변부 (44) 의 최대 두께는, 콘택트 렌즈 (10) 를 착용할 때에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착용감 등을 감안하여, 0.4 ㎜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3 ㎜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7 의 50°∼ 70°에 있어서의 세로 줄무늬로 나타내는 영역이 제 1 주변부 보조부 (48) 이고, 주변부 (40) 의 50°에서 70°까지를 잘라낸 모식도를 도 8(b) 에 나타낸다. 제 1 주변부 보조부 (48) 는, 제 1 주변부 (44) 의 경계 (점 m2, 점 n2) 로부터 경사부 (50) 의 단점 (端点) (점 m3) 에 걸쳐, 평탄한 두께 (동일한 두께) 가 된다. 요컨대, 점 m2 에 있어서의 두께 Tmb, 점 m3 에 있어서의 두께 Tmb 및 점 n2 에 있어서의 두께 Tnb 는 동일한 높이이다. 또, 제 1 주변부 보조부 (48) 에 있어서의 폭 Wb 는 50°내지 70°에 걸쳐 짧아진다. 요컨대, 50°일 때에 폭 Wb 는 최장이 되고, 70°일 때에 폭 Wb 는 최단이 된다. 또한, 50°∼ 70°에 있어서의 임의의 점 α 를 지나는 절단면에는, 원주 M 상의 두께 Tmb, 원주 N 상의 두께 Tnb 및 점 α 상의 두께 Tα 가 있다. 이 때, 두께 Tα 와 두께 Tmb 는 동일한 두께 (동일한 두께) 이고, 두께 Tnb 는 두께 Tmb (Tα) 보다 낮다. 이와 같이, 평평한 제 1 주변부 보조부 (48) 는 경사부 (50) 와 제 1 주변부 (44) 사이에 위치한다. 이로써, 제 1 주변부 보조부 (48) 는, 제 1 주변부 (44) 로부터 경사부 (50) 에 혹은 경사부 (50) 로부터 제 1 주변부 (44) 에 상하안검이 이동할 때의 완충 영역으로서 기능하고, 원활한 축안정성이 부여된다. 또한, 여기서 예시한 제 1 주변부 보조부 (48) 는, 면형상으로서, 면내에 있어서 반경 방향에서도 원주 방향에서도 두께가 일정한 (면내의 어디에서도 동일한 두께인) 것으로 한다.
도 7 의 70°∼ 90°에 있어서의 가로 줄무늬로 나타내는 영역이 제 2 주변부 (46) 이고, 주변부 (40) 의 70°에서 90°까지를 잘라낸 모식도를 도 8(c) 에 나타낸다. 제 2 주변부 (46) 는, 경사부 (50) 의 단점 (점 n3) 으로부터 수직경선 (22) 상 (점 m4, 점 n4) 에 걸쳐 평탄한 두께가 된다. 요컨대, 점 m4 에 있어서의 두께 Tmc, 점 n3 에 있어서의 두께 Tnc 및 점 n4 에 있어서의 두께 Tnc 는 동일한 높이이다. 또, 제 2 주변부 (46) 에 있어서의 폭 Wc 는 70°에서 90°에 걸쳐 퍼진다. 요컨대, 70°일 때에 폭 Wc 는 최단이 되고, 90° 일 때에 폭 Wc 는 최장이 된다. 또한, 70°∼ 90°에 있어서의 임의의 점 β 를 지나는 절단면에는, 원주 M 상의 두께 Tmc, 원주 N 상의 두께 Tnc 및 점 β 상의 두께 Tβ 가 있다. 이 때, 두께 Tβ 와 두께 Tnc 는 동일한 두께이고, 두께 Tmc 는 두께 Tnc (Tβ) 보다 높다. 이와 같이 하여, 주변부 (40) 에 있어서 가장 얇은 두께를 갖는 제 2 주변부 (46) 는 수평 방향에 거리를 갖는 평평한 두께면으로서 수직경선 (22) 상에 걸쳐 배치된다. 수평경선 (24) 과 직교하는 수직경선 (22) 상에 제 2 주변부 (46) 가 배치됨으로써, 상안검 혹은 하안검에 제 2 주변부 (46) 가 비집고 들어가도록 콘택트 렌즈 (10) 가 깜빡일 때마다 움직인다. 또한, 여기서 예시한 제 2 주변부 (46) 는, 수직경선 (22) 상의 부분이 최소 두께가 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전제로 한 후에, 수직경선 (22) 상의 부분을 포함하는 두께가 고른 부분, 그렇지 않으면 수직경선 (22) 상의 선상의 부분으로 한다.
덧붙여서, 본 형태에 있어서는 주변부 (40) 의 형상은 수평경선 (24) 방향을 장축으로 하는 타원 환상이지만, 이로써, 수직경선 (22) 상의 제 2 주변부 (46) 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 제 2 주변부 (46) 의 최소 두께는, 콘택트 렌즈 (10) 를 착용할 때에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축이 안정되지 않고 계속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0.10 ㎜ 를 초과하는 수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5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7 의 50°∼ 90°에 있어서의 사선으로 나타내는 영역이 경사부 (50) 이고, 주변부 (40) 의 50°내지 90°까지를 잘라낸 모식도를 도 8(d) 에 나타낸다. 경사부 (50) 에서는, 제 1 주변부 보조부 (48) 의 경계 (점 m3, 점 n2) 로부터 제 2 주변부 (46) 의 경계 (점 m4, 점 n3) 에 걸쳐, 매끄럽게 두께가 감소한다. 요컨대, 점 m4 에 있어서의 두께 Tmc 와 점 n3 에 있어서의 두께 Tnc 는 동일한 높이이고, 점 m4 에 있어서의 두께 Tmc (점 n3 에 있어서의 두께 Tnc) 는 점 m3 에 있어서의 두께 Tmb (점 n2 에 있어서의 두께 Tnb) 보다 낮다. 제 2 주변부 (46) 보다 높고 (두껍고) 평탄한 제 1 주변부 보조부 (48) 와 평평한 제 2 주변부 (46) 를 매끄럽게 연결함으로써, 경사부 (50) 는 완충 영역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여기서 예시한 경사부 (50) 는, 면형상으로서, 면내에 있어서 반경 방향으로 보아도 원주 방향으로 보아도 두께가 항상 변화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의 내용을 정리하면, 주변부 (40) 에 있어서의, 수평경선 (24) (0°) 으로부터의 소정의 회전 각도 θ1 (50°) 에서 회전 각도 θ2 (70°) 까지의 사이의 영역은 제 1 주변부 보조부 (48) 와 경사부 (50) 로 구성되고, θ1 < θ < θ2 에 있어서는, 제 1 주변부 보조부 (48) 를 주변부 (40) 의 내주측 또는 외주측 중 일방의 측에 배치하고, 경사부 (50) 를 내주측 또는 외주측 중 다른 일방의 측에 배치하고, 양자를 병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제 1 주변부 보조부 (48) 를 내주측에 배치하고, 경사부 (50) 를 외주측에 배치하고, 양자를 병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각도 θ2 (70°) 에서 수직경선 (22) (90°) 까지의 사이의 영역은 경사부 (50) 와 제 2 주변부 (46) 로 구성되고, θ2 < θ < 90°에 있어서는, 경사부 (50) 를 주변부 (40) 의 내주측 또는 외주측 중 일방의 측에 배치하고, 두께가 고른 면형상을 갖는 경우의 제 2 주변부 (46) 를 내주측 또는 외주측 중 다른 일방의 측에 배치하고, 양자를 병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경사부 (50) 를 내주측에 배치하고, 제 2 주변부 (46) 를 외주측에 배치하고, 양자를 병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회전 각도 θ1 (50°) 의 각경선 상에는 제 1 주변부 보조부 (48) 만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 1 주변부 (44) 와 제 1 주변부 보조부 (48) 의 경계선) 이 배치되고, 회전 각도 θ2 (70°) 의 각경선 상에는 경사부 (50) 만이 배치되고, 수직경선 (22) 상에는 제 2 주변부 (46) 만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수평경선 (24) 으로부터 수직경선 (22) 으로 회전시켰을 때의 주변부 (40) 의 영역에 있어서, 제 1 주변부 보조부 (48) 와 경사부 (50) 가 병존하는 영역, 그리고 경사부 (50) 와 제 2 주변부 (46) 가 병존하는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와 같은 미세한 구성의 설정을 채용함으로써 절묘한 축안정성이 바람직하게 발휘된다. 단, 후술하는 실시예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변부 (40) 에 있어서의 수평경선 (24) (0°) 으로부터의 소정의 회전 각도 θ (실시예 2 라면 50°) 에서 90°까지의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는 제 1 주변부 보조부 (48) 와 경사부 (50) 가 병존하는 배치를 채용하고, 제 2 주변부 (46) 를 수직경선 (22) 상의 선상의 부분으로 해도, 본원 발명의 효과를 발휘한다. 요컨대, 주변부 (40) 의 소정의 회전 각도 범위 내에 있어서, 제 1 주변부 보조부 (48) 를 내주측으로 하고, 경사부 (50) 를 외주측으로 하고, 양자를 병존시키는 것도 본 형태에 있어서의 특징의 하나이다.
덧붙여서 회전 각도 θ1 은 상기 각도에 얽매이지 않고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50°를 포함하도록 45°이상 60°이하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일하게, 회전 각도 θ2 도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70°를 포함하도록 55°이상 90°미만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후술하는 실시예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θ1 은 50°, θ2 는 7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0°< θ1 < θ2 < 90°라는 관계를 갖는다.
또, 제 1 주변부 (44) 는, 상기의 예 및 후술하는 실시예 1 과 같이, 수평경선 (24) 으로부터 수직경선 (22) 으로 회전함에 따라 두께가 얇아지도록 설정해도 상관없고, 후술하는 실시예 2 와 같이, 수평경선 (24) 으로부터 수직경선 (22) 으로 회전할 때에 0°∼ θ1 까지는 고른 두께로 하고 그 후 θ1 ∼ θ2 에서는 두께가 얇아지도록 설정해도 상관없다. 또, 상기의 예와 같이 제 1 주변부 (44) 는 면형상이어도 상관없고, 상기의 일례에 있어서의 제 2 주변부 (46) 와 같이 선형상이어도 상관없다. 그 때에 바람직한 구성으로는, 이하의 구성을 들 수 있다. 즉, 제 1 주변부 (44) 는 제 1 주변부 보조부 (48) 만에 대해 경계선을 갖고, 선상 또는 면형상의 제 2 주변부 (46) 는 경사부 (50) 만에 대해 경계선을 갖는다. 그리고, 제 1 주변부 보조부 (48) 및 경사부 (50) 는, 제 1 주변부 (44) 와 제 2 주변부 (46) 사이에서 병존하고, 제 1 주변부 보조부 (48) 는 내주측, 경사부 (50) 는 외주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a) 에 나타내는 절단면 (CP0, CP100 및 CP200) 은, 수평경선 (24) 에 대해 평행하게 구획된 두께 단면 프로필이고, 절단면 (CP0) 은 수평경선 (24) 상 (요컨대, 0°- 180°) 의 절단면이고, 절단면 (CP100) 은 중심 부근에 주변부 (40) 가 포함되는 절단면이고, 그리고 절단면 (CP200) 은 제 2 평활화부 (42) 상의 절단면이다. 도 9(b) 를 참조하여, 절단면 (CP0) 에서는, 에지 (16) 로부터 급격하게 증가하여 일단 변화가 없어진 후, 급격하게 감소하고, 수직경선 (22) 을 향하여 완만하게 감소하고 있다. 요컨대, 변화가 없는 지점에는 평탄한 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주변부 (40) 의 수평경선 (24) 부근에는 두께가 동일한 영역 (요컨대, 제 1 주변부 (44)) 이 형성되어 있다. 절단면 (CP100) (수평경선 (24) 을 수직 방향으로 5.06 ㎜ 이동시킨 지점에서의 절단면. 도 9(b), (d) 에 기재된 수치는 그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킨 거리를 의미한다.) 에서는, 에지 (16) 로부터 급격하게 증가한 후, 수직경선 (22) 에 걸쳐 완만하게 증가하여, 수직경선 (22) 부근에서는 변화가 관찰되지 않는다. 절단면 (CP200) 에서는, 에지 (16) 로부터 급격하게 증가하지만, 수직경선 (22) 부근에서는 완만하게 증가하는 두께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더블 슬래브오프 (20) 에서는, 절단면 (CP200) 의 중앙 부근 (요컨대, 90°부근) 보다 절단면 (CP0) 의 양 볼록부 부근 (요컨대, 0°및 180°부근) 쪽이 훨씬 높은 (두꺼운) 것을 알 수 있다.
도 9(d) 에 나타내는 절단면 (CP20 ∼ CP120) 은, 도 9(c)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부 (28) 의 0°∼ 90°부근을 절단면 (CP100) 부근과 평행하게 등간격으로 구획된 절단면마다의 두께 단면 프로필을 나타내고 있다. 절단면 (CP20) 은, 광학부 (18) 에 가장 가까운 지점의 렌즈 단면이고, 에지 (16) 로부터 제 2 평활화부 (42), 경사부 (50) 및 제 1 평활화부 (38) 를 거쳐 수직경선 (22) 까지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지 (16) 로부터 수직경선 (22) 에 걸쳐, 두께가 갑자기 증가한 후 일단 변화가 없어지고, 완만한 볼록상이 형성되어, 매끄럽게 감소하고 있다. 절단면 (CP40) 은, 절단면 (CP20) 과 동일하게, 에지 (16) 로부터 제 2 평활화부 (42), 경사부 (50) 및 제 1 평활화부 (38) 를 거쳐 수직경선 (22) 까지를 나타내지만, 절단면 (CP20) 에 비해 전체적으로 완만하게 변화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지 (16) 로부터 수직경선 (22) 에 걸쳐, 갑자기 증가한 후 일단 변화가 없어지고, 절단면 (CP20) 보다 완만한 볼록상이 형성되어, 매끄럽게 감소하고 있다. 절단면 (CP60) 은, 에지 (16) 로부터 제 2 평활화부 (42), 경사부 (50), 제 2 주변부 (46) 및 제 1 평활화부 (38) 를 거쳐 수직경선 (22) 까지를 나타내지만, 절단면 (CP40) 에 비해 전체적으로 완만하게 변화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지 (16) 로부터 수직경선 (22) 에 걸쳐, 갑자기 증가한 후 일단 변화가 없어지고, 절단면 (CP40) 보다 완만한 볼록상이 형성되어, 매끄럽게 감소한 후 변화가 없어지고 있다. 절단면 (CP80) 은, 에지 (16) 로부터 제 2 평활화부 (42), 제 2 주변부 (46) 및 제 1 평활화부 (38) 를 거쳐 수직경선 (22) 까지를 나타내지만, 절단면 (CP60) 에 비해 전체적으로 완만하게 변화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지 (16) 로부터 수직경선 (22) 에 걸쳐, 갑자기 증가하여 일단 변화가 없어진 후, 절단면 (CP60) 보다 완만한 볼록상이 형성되어, 약간 감소한 후 변화가 없어지고 있다. 절단면 (CP100) 은, 절단면 (CP80) 과 동일하게, 에지 (16) 로부터 제 2 평활화부 (42) 및 제 2 주변부 (46) 를 거쳐 수직경선 (22) 까지를 나타내지만, 절단면 (CP80) 에 비해 전체적으로 완만하게 변화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지 (16) 로부터 수직경선 (22) 에 걸쳐, 갑자기 증가한 후, 그다지 변화가 관찰되지 않는다. 절단면 (CP120) 은, 렌즈 상단부 (28) 에 가장 가까운 지점의 렌즈 단면이고, 에지 (16) 로부터 제 2 평활화부 (42) 를 거쳐 수직경선 (22) 까지를 나타내지만, 절단면 (CP100) 에 비해 전체적으로 완만하게 변화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지 (16) 로부터 수직경선 (22) 에 걸쳐, 갑자기 증가한 후, 그다지 변화가 관찰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주변부 (40) 의 수직경선 (22) 부근에는 평탄한 면 (요컨대, 제 2 주변부 (46))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콘택트 렌즈 (10) 를 제조할 때에 사용하는 콘택트 렌즈 기재로는, 중합 후에 콘택트 렌즈 형상을 유지하고, 하이드로겔이 될 수 있는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을 함유하고, 하이드로겔이 될 수 있는 공중합체이면 되고, 종래부터 소프트 콘택트 렌즈용 기재로서 알려져 있는 것 (실리콘 하이드로겔 재료) 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콘택트 렌즈 (10) 는, 캐스트 몰드 제법에 의해 중합되지만, 이 때의 몰드형의 재질로는, 모노머 혼합액에 대해 내성을 갖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을 들 수 있다.
또, 이 콘택트 렌즈 (10) 의 광학부 (18) 에는, 중심에 원용부 (32), 제 1 중간부 (34) 및 근용부 (36) 를 배치하고 있지만, 광학부 (18) 의 노시용의 광학 설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중심에 근용부, 근용부의 외주에 배치되고 근용부의 도수로부터 연속해서 감소하는 도수 분포를 갖는 제 2 중간부 및 제 2 중간부의 외주에 배치된 원용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콘택트 렌즈 (10) 의 중심 두께 (요컨대 광학부 (18) 에 있어서의 중심 두께) 는 0.09 ㎜ 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중심 두께를 0.05 ∼ 0.20 ㎜ 의 범위로 설정할 수도 있다. 요컨대, 축안정화 기구가 프리즘 밸러스트인 경우, 중심 두께는 밸러스트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서 중심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곤란하지만, 축안정화 기구가 더블 슬래브오프인 경우, 깜빡임에 의한 눈꺼풀과 안구의 삽입 효과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중심 두께를 0.05 ∼ 0.20 ㎜ 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중심 두께가 얇아질수록 착용감의 향상이 도모된다.
더하여, 상기 실시형태는 콘택트 렌즈이지만, 안내 렌즈 등에 대해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원 발명에 관련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부호는 생략한다.
[멀티포컬 토릭 콘택트 렌즈]
이하, 실시예의 멀티포컬 토릭 콘택트 렌즈 (원근 양용 렌즈라고도 한다) 를 착용한 9 개의 시험에 대해 설명한다. 표 2(a) 에는, 실시예 1 ∼ 3 과 비교예 1 ∼ 6 의 특징을 나타내고, 표 2(b) 에는, 실시예 1 ∼ 3 과 비교예 1 ∼ 6 에서 사용된 멀티포컬 토릭 콘택트 렌즈의 각각에 공통되는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또한, 표 2(a) 에 나타내는 전환점이나 각도에 대해서는, 시험 대상의 렌즈 모두가 상하 좌우에 거울상 대칭성을 갖기 때문에 코측의 눈썹 주변의 각도 (0°∼ 90°) 만 표기한다. 예를 들어, 「50°」 인 경우 「130°, 230°, 310°」 가 해당하고, 「50°∼ 70°」 인 경우 「110°∼ 130°, 230°∼ 250°, 290°∼ 310°」 가 해당한다. 또한, 이후에 서술하는 실시예 1 ∼ 3 과 비교예 1 ∼ 6 의 주변부는 모두, 수평경선 상에서 최대 두께가 되는 형상을 갖고, 또한 수직경선 상에 있어서 최소 두께가 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표 2a]
Figure pct00002
[표 2b]
Figure pct00003
실시예 1 ∼ 3 의 멀티포컬 토릭 콘택트 렌즈는, 실시형태의 콘택트 렌즈 (10) 와 동일하게, 타원상의 주변부에 제 1 주변부, 제 2 주변부, 제 1 주변부 보조부 및 경사부를 갖는다. 예를 들어, 실시예 1 에 있어서의 제 2 주변부는 점 m4 - 점 n4 - 점 n3 의 두께가 일정한 면이고, 경사부는 점 m4 - 점 n3 - 점 n2 - 점 m3 의 면이고, 제 1 주변부 보조부는 점 m3 - 점 m2 - 점 n2 의 두께가 일정한 면이고, 제 1 주변부는 점 m2 - 점 n2 - 점 n1 - 점 m1 의 면이 된다. 또, 실시예 1 에 있어서는, 제 1 주변부는, 수평경선으로부터 수직경선으로 회전함에 따라 (요컨대, 0°에서 90°로 원주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두께가 얇아지도록 설정하고 있다. 또, 실시예 2 에 있어서의 제 2 주변부는 점 m4 - 점 n4 의 선상의 부분이고, 경사부는 점 m4 - 점 n4 - 점 n3 의 면이고, 제 1 주변부 보조부는 점 m4 - 점 m3 - 점 n3 의 두께가 일정한 면이고, 제 1 주변부는 점 m3 - 점 n3 - 점 n1 - 점 m1 의 면이 된다. 또, 실시예 2 에 있어서는, 수평경선으로부터 수직경선으로 회전할 때에 0°에서 θ1 까지는 고른 두께로 하고 그 후 θ1 에서 θ2 까지는 두께가 얇아지도록 설정하고 있다. 또한 실시예 3 은, 실시예 2 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지만, 상이한 것은, 제 1 주변부에 있어서, 반경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두께가 일정하지 않은 (내주측과 외주측에서 두께가 고르지 않은) 점이다.
한편, 비교예 1 은, 종래의 더블 슬래브오프를 구비한 멀티포컬 토릭 콘택트 렌즈이고, 최대 두께 지점은 수평경선 상에 위치하고, 수직경선 상의 두께는 얇은 형상이고, 주변부는 진원 (동심원) 이다. 단, 비교예 1 에 있어서는, 상기의 실시예와는 달리, 하나의 원주선 상에서 두께의 제어를 실시하고 있다. 요컨대, 비교예 1 에 있어서는, 두께 제어를 실시하고 있는 하나의 원주 "선" 상의 부분이 주변부가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의 주변부는, "면형상" 의 제 1 주변부 보조부 및 "면형상" 의 경사부를 구비한 것이다. 그 때문에, 비교예 1 에서의 하나의 원주선 상의 부분은, 당연하게도 면형상의 제 1 주변부 보조부 및 면형상의 경사부를 구비하지 않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주변부와는 완전히 상이한 것이다. 그러니까, 후술하는 표 4 (각 부의 면적비) 에 있어서, 비교예 1 이면 주변부가 원주선 상의 부분이 되어 면적이 없기 때문에, 주변부의 란에는 면적비의 값이 없다. 그 대신에, 주변부를 원주선으로서 생각한 후에 제 1 평활화부나 제 2 평활화부와 그 주변부를 합한 형태로 면적비를 기재하고 있다. 또, 원주선 상의 부분이라고 해도, 최소 두께 부분이나 최대 두께 부분은 일단 갖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제 2 주변부나 제 1 주변부에 대해서는 비교예 1 에도 일단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이후, 설명하고 있다.
또, 비교예 2 는, 비교예 1 을 기초로 0°내지 90°에 걸쳐 두께를 서서히 박육화한 멀티포컬 토릭 콘택트 렌즈이다. 단,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제 1 주변부 보조부도 경사부도 갖지 않고, 두께가 일정한 면도 없다. 비교예 3 은, 비교예 1 을 기초로 두께의 전환점을 2 지점 형성한 형상을 갖는 멀티포컬 토릭 콘택트 렌즈이다. 단, 만일 수직경선 상의 부분을 제 2 주변부로 규정했다고 해도, 제 2 주변부에 인접하는 부분 (θ2 ∼ 90°) 에 있어서는 외측이 원주 방향으로 두께가 일정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비교예 3 은 경사부를 갖지 않는다. 또, 원래 면내에 있어서 두께가 동일해지는 면형상이 되는 제 1 주변부 보조부를 갖지 않는다. 그 때문에, 비교예 3 은 제 1 주변부 보조부도 경사부도 갖지 않는다. 또한, 비교예 1 및 2 는 1 종류의 두께를 복수의 각도로 원환상으로 지정하고, 비교예 3 은 복수 종류의 두께를 복수의 각도로 원환상으로 지정하고 있다.
또한 비교예 4 는, 비교예 1 을 기초로 수평경선 상에서 30°에 걸친 부분을 최대 두께 지점으로 하고, 수직경선 상에서 지정하는 두께를 광학부측에 가깝게 함으로써, 타원상의 주변부가 형성되는 멀티포컬 토릭 콘택트 렌즈이다. 단,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제 1 주변부 보조부도 경사부도 갖지 않는다. 비교예 5 는, 비교예 1 을 기초로 전환점을 30°에서 50°로 변경하고, 수평경선 상을 최대 두께 지점으로 하고, 수평경선 상에서 지정하는 두께를 광학부측에 가깝게 함으로써, 타원상의 주변부가 형성되는 멀티포컬 토릭 콘택트 렌즈이다. 단,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제 1 주변부 보조부도 경사부도 갖지 않는다. 또한, 비교예 3 및 4 에 있어서의 주변부의 장축은 수평경선 상이 되고, 비교예 5 에 있어서의 주변부의 장축은 수직경선 상으로 하고 있다.
게다가 또한, 비교예 6 의 멀티포컬 토릭 콘택트 렌즈는, 타원상의 주변부를 갖고, 최대 두께 지점은 수평경선 상에 위치하고, 수평경선에서 20°에 걸친 부분에 최대 두께 지점을 갖는다. 단, 비교예 3 과 동일하게, 만일 수직경선 상의 부분을 제 2 주변부로 규정했다고 해도, 제 2 주변부에 인접하는 부분 (θ2 ∼ 90°) 에 있어서는 내측도 외측도 원주 방향에서 두께가 일정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비교예 6 은 경사부를 갖지 않는다. 그 때문에, 경사부와 인접하는 제 1 주변부 보조부도 특정할 수 없어, 결과적으로 비교예 6 은 제 1 주변부 보조부도 경사부도 갖지 않는다. 또한, 비교예 4 및 5 는 1 종류의 두께를 복수의 각도로 타원상으로 지정하고, 비교예 6 은 복수 종류의 두께를 복수의 각도로 타원상으로 지정하고 있다.
착용 테스트는, 연대가 상이한 피험자 5 명의 편안 (片眼) 에 대해 실시하였다. 착용 경과 15 분 후의 축 위치를 확인하고, 이 결과를 표 3(a) 에 나타낸다. 또한, 표 3(b) 는 표 3(a) 중에 나타낸 기호의 설명이다. 또한, 평가의 기준으로는, 이하의 2 개의 조건 "평균점이 6.0 점 이상" 및 "× 평가 즉 평가점 0 의 피험자가 없다" 를 만족시키는 경우를 적용으로 하고, 그 이외의 경우를 부적용으로 하였다.
[표 3a]
Figure pct00004
[표 3b]
Figure pct00005
표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 3 은 비교예 1 ∼ 6 에 비해 축안정성이 우수하였다.
표 4 는, 전면과 더블 슬래브오프의 각 부위의 표면적의 비율을 나타낸다. 여기서는, 주변부가 전면의 약 10 % 이하 (바람직하게는 미만) 인 경우에 축안정성을 현저하게 발휘하는 것이 분명해졌다. 또한, 비교예 1, 2, 4 및 5 에 있어서의 더블 슬래브오프는, 제 1 평활화부와 제 2 평활화부 사이에 끼워진 주변부에는 폭이 없는 경계선 (요컨대, 점 α 와 점 β 가 동일한 위치) 이기 때문에, 제 1 평활화부 및 주변부와 주변부 및 제 2 평활화부로 나누어진다. 한편, 실시예 1 ∼ 3, 비교예 3, 비교예 6 에 있어서의 더블 슬래브오프는, 제 1 평활화부와 제 2 평활화부 사이에 끼워진 주변부는 폭을 가지므로 (요컨대, 점 α 와 점 β 는 어느 각도에서도 소정의 거리를 갖는다), 제 1 평활화부, 주변부 및 제 2 평활화부로 나누어진다.
[표 4]
Figure pct00006
이상의 결과를 정리하면, 실시예 1 ∼ 3 의 멀티포컬 토릭 콘택트 렌즈는, 타원상의 주변부에 제 1 주변부, 제 2 주변부, 제 1 주변부 보조부 및 경사부를 갖지 않는 비교예 1 ∼ 6 에 대해, 축안정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주변부가 전면의 약 10 % 이하 (바람직하게는 미만) 인 경우에 축안정성을 현저하게 발휘하는 것이 분명해졌다.
[토릭 콘택트 렌즈]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원 발명을 사용한 토릭 콘택트 렌즈 (난시용 렌즈라고도 한다) 를 착용한 6 개의 시험에 대해 설명한다. 표 5(a) 에는, 실시예 4 및 5 그리고 비교예 7 ∼ 10 의 특징을 나타내고, 표 5(b) 에는, 실시예 4 및 5 그리고 비교예 7 ∼ 10 에서 사용된 토릭 콘택트 렌즈의 각각에 공통되는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또한, 이후에 서술하는 실시예 4 및 5 와 비교예 7 ∼ 10 의 주변부는 모두, 수평경선 상에서 최대 두께가 되는 형상을 갖고, 또한 수직경선 상에 있어서 최소 두께가 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표 5a]
Figure pct00007
[표 5b]
Figure pct00008
실시예 4 의 토릭 콘택트 렌즈는, 실시예 1 의 광학부를 노시용 및 난시용의 설계로부터 난시용의 설계로 변경할 뿐이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더블 슬래브오프를 갖는다. 실시예 5 는, 실시예 4 에 기초하여 주변부를 진원으로 하는 토릭 콘택트 렌즈이다.
한편, 비교예 7 은, 종래의 더블 슬래브오프를 구비한 토릭 콘택트 렌즈이고, 주변부는 진원이고,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제 1 주변부 보조부도 경사부도 갖지 않는다. 비교예 8 은, 비교예 6 을 기초로 한 주변부가 타원인 토릭 콘택트 렌즈이고,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제 1 주변부 보조부도 경사부도 갖지 않는다. 비교예 9 는, 실시예 4 를 기초로 한 토릭 콘택트 렌즈이고, 주변부는 진원이고,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제 1 주변부 보조부도 경사부도 갖지 않는다. 비교예 10 은, 실시예 4 를 기초로 한 토릭 콘택트 렌즈이고, 주변부는 진원이다. 제 2 주변부는 갖지만, 0°∼ 90°까지가 제 1 주변부 (내측이라면 0°∼ 90°, 외측이라면 0°∼ 70°) 가 되고, 제 1 주변부 보조부 및 경사부를 갖지 않는다. 또한, 비교예 7, 9 는 1 종류의 두께를 복수의 각도로 원환상으로 지정하고, 비교예 8 은 복수 종류의 두께를 복수의 각도로 타원상으로 지정하고, 그리고 비교예 10 은 복수 종류의 두께를 복수의 각도로 원환상으로 지정하고 있다.
실시예 4 및 5 그리고 비교예 7 ∼ 10 의 착용 테스트도 표 3(a) 에서 나타내는 착용 테스트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축 위치의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또한, 표 6 에서 나타내는 기호는 각각 표 3(b) 와 동일하다.
[표 6]
Figure pct00009
이상의 결과를 정리하면, 실시예 4 및 5 의 토릭 콘택트 렌즈는, 타원상의 주변부에 제 1 주변부, 제 2 주변부, 제 1 주변부 보조부 및 경사부를 일부 내지 모두 갖지 않는 비교예 7 ∼ 10 에 대해, 축안정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5 에 있어서는 주변부의 형상을 타원상이 아니라 진원상 또한 환상으로 하고 있지만,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충분히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주변부의 형상은 타원상 또한 환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근시·원시용 콘택트 렌즈]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원 발명을 사용한 근시·원시용 콘택트 렌즈를 착용한 2 개의 시험에 대해 설명한다. 표 7(a) 에는, 실시예 6 및 비교예 11 의 특징을 나타내고, 표 7(b) 에는, 실시예 6 과 비교예 11 에서 사용된 콘택트 렌즈의 각각에 공통되는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표 7a]
Figure pct00010
[표 7b]
Figure pct00011
실시예 6 의 콘택트 렌즈는, 실시예 1 의 광학부가 노시용 또한 난시용의 설계로부터 근시·원시용의 설계로 바뀐 것뿐이고, 실시예 1 의 더블 슬래브오프를 갖는다.
한편, 비교예 11 의 콘택트 렌즈는, 종래의 더블 슬래브오프를 갖는 근시·원시용의 콘택트 렌즈이고, 주변부는 진원이고, 비교예 7 과 동일하게, 제 1 주변부 보조부 및 경사부를 갖지 않는다. 또한, 비교예 11 은 1 종류의 두께를 복수의 각도로 타원상으로 지정하여 조정하고, 실시예 6 은 복수 종류의 두께를 복수의 각도로 원환상으로 지정하고 있다.
실시예 6 및 비교예 11 에 나타내는 착용 테스트도 표 3(a) 에서 나타내는 착용 테스트와 동일하게 실시하고, 축 위치의 결과를 표 8 에 나타낸다. 또한, 표 8 에서 나타내는 기호는 각각 표 3(b) 와 동일하다.
[표 8]
Figure pct00012
표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을 모두 구비하는 콘택트 렌즈의 실시예 6 은 종래의 구면 렌즈인 비교예 11 에 비해 축안정성이 우수한 것이 분명해졌다.
이상의 결과를 정리하면, 실시예 6 의 근시용 콘택트 렌즈는, 타원상의 주변부에 제 1 주변부, 제 2 주변부, 제 1 주변부 보조부 및 경사부를 갖지 않는 비교예 11 에 대해, 축안정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근시·원시용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과제에서 서술한 내용, 즉 렌즈의 자세를 안정화시킨다는 과제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컬러 콘택트 렌즈 중 무늬나 모양이 들어있는 렌즈를 착용하는 경우, 모양에 상하 방향이 있는 경우, 상하 방향을 올바르게 하면서 렌즈를 착용할 필요가 생긴다. 그 경우, 토릭 콘택트 렌즈와 같이 렌즈의 자세를 안정화시키지 않으면 모양을 올바르게 다른 사람에게 보일 수 없다. 그 때문에, 상기의 근시용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도 렌즈의 자세를 안정화시킨다는 과제가 생기고, 그것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상기의 실시예 나아가서는 상기의 실시형태에 기재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렌즈의 자세를 안정화시킨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10 멀티포컬 콘택트 렌즈
12 전면 (프론트 커브)
14 후면 (베이스 커브)
16 에지
18 광학부
20 더블 슬래브오프
22 수직경선
24 수평경선
26 각경선
28 렌즈 상단부
30 렌즈 하단부
32 원용부
34 제 1 중간부
36 근용부
38 제 1 평활화부
40 주변부
42 제 2 평활화부
44 제 1 주변부
46 제 2 주변부
48 제 1 주변부 보조부
50 경사부
L 2 점 쇄선

Claims (16)

  1. 볼록상의 전면과 오목상의 후면을 갖는 콘택트 렌즈로서,
    상기 전면에는, 광학부,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을 접합하는 에지, 상기 광학부의 외주에 배치되는 제 1 평활화부, 상기 제 1 평활화부의 외주에 배치되는 주변부, 및 상기 주변부와 상기 에지를 연결하는 제 2 평활화부가 획정된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
    상기 전면은, 렌즈 상단부로부터 렌즈 중점을 지나 렌즈 하단부에 이르는 수직경선을 경계로 하는 거울상 대칭성을 가짐과 함께, 상기 수직경선과 상기 렌즈 중점에서 직교하는 수평경선에도 거울상 대칭성을 갖고,
    상기 주변부는, 상기 수평경선을 포함하도록 배치된 부분으로서 상기 수평경선 상에서 상기 콘택트 렌즈를 최대 두께로 하는 형상을 구비한 제 1 주변부, 상기 수직경선을 포함하도록 배치된 부분으로서 상기 수직경선 상에서 상기 콘택트 렌즈를 최소 두께로 하는 형상을 구비한 제 2 주변부, 상기 제 1 주변부에 인접된 부분으로서 상기 콘택트 렌즈의 두께를 일정하게 하는 면형상을 구비한 제 1 주변부 보조부, 및 상기 제 1 주변부 보조부와 상기 제 2 주변부를 연결하여 연속된 면으로 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콘택트 렌즈의 두께를 변화시키는 면형상을 구비한 경사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부의 반경 방향의 폭은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부와 상기 전면의 표면적비는 1 : 99 ∼ 10 : 9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변부에 있어서 반경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두께는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변부에 있어서 원주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두께는, 상기 수평경선으로부터 상기 수직경선으로 회전하여 향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변부에 있어서 반경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두께는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변부 보조부의 반경 방향의 폭은, 상기 수평경선으로부터 상기 수직경선으로 회전하여 향함에 따라 감소하고, 상기 제 2 주변부의 반경 방향의 폭은, 상기 수평경선으로부터 상기 수직경선으로 회전하여 향함에 따라 증대되고, 상기 경사부와 상기 제 2 주변부의 경계선은 상기 수평경선에 대해 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는, 난시 교정 기능을 갖는 토로이덜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는,
    도수가 상이한 영역이 타원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광학부의 중심에 배치된 원방을 보기 위한 원용부, 상기 원용부의 외주에 배치되고 상기 원용부의 도수로부터 연속해서 증가하는 도수 분포를 갖는 제 1 중간부 및 상기 제 1 중간부의 외주에 배치된 근방을 보기 위한 근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는,
    도수가 상이한 영역이 타원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광학부의 중심에 배치된 근용부, 상기 근용부의 외주에 배치되고 상기 근용부의 도수로부터 연속해서 감소하는 도수 분포를 갖는 제 2 중간부 및 상기 제 2 중간부의 외주에 배치된 원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렌즈의 소재는 하이드로겔 또는 실리콘 하이드로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에 있어서의 중심 두께는 0.05 ∼ 0.20 ㎜ 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부에서의 상기 수평경선으로부터 상기 수직경선으로 회전하여 향하는 소정의 회전 각도 범위 내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변부 보조부를 내주측 또는 외주측 중 일방의 측에 배치하고, 상기 경사부를 내주측 또는 외주측 중 다른 일방의 측에 배치하고, 양자를 병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변부 보조부를 내주측에 배치하고, 상기 경사부를 외주측에 배치하고, 양자를 병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부의 형상을, 수평 방향에 장축을 갖는 타원상 또한 환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16. 볼록상의 전면과 오목상의 후면을 갖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전면에는, 광학부,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을 접합하는 에지, 상기 광학부의 외주에 배치되는 제 1 평활화부, 상기 제 1 평활화부의 외주에 배치되는 주변부, 및 상기 주변부와 상기 에지를 연결하는 제 2 평활화부가 획정된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면은, 렌즈 상단부로부터 렌즈 중점을 지나 렌즈 하단부에 이르는 수직경선을 경계로 하는 거울상 대칭성을 가짐과 함께, 상기 수직경선과 상기 렌즈 중점에서 직교하는 수평경선에도 거울상 대칭성을 갖고,
    상기 주변부는, 상기 수평경선을 포함하도록 배치된 부분으로서 상기 수평경선 상에서 상기 콘택트 렌즈를 최대 두께로 하는 형상을 구비한 제 1 주변부, 상기 수직경선을 포함하도록 배치된 부분으로서 상기 수직경선 상에서 상기 콘택트 렌즈를 최소 두께로 하는 형상을 구비한 제 2 주변부, 상기 제 1 주변부에 인접된 부분으로서 상기 콘택트 렌즈의 두께를 일정하게 하는 면형상을 구비한 제 1 주변부 보조부, 및 상기 제 1 주변부 보조부와 상기 제 2 주변부를 연결하여 연속된 면으로 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콘택트 렌즈의 두께를 변화시키는 면형상을 구비한 경사부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콘택트 렌즈를 캐스트 몰드 제법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KR1020187031908A 2016-06-20 2016-11-25 콘택트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KR1025539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21418A JP6646531B2 (ja) 2016-06-20 2016-06-20 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JP-P-2016-121418 2016-06-20
PCT/JP2016/084987 WO2017221439A1 (ja) 2016-06-20 2016-11-25 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048A true KR20190019048A (ko) 2019-02-26
KR102553989B1 KR102553989B1 (ko) 2023-07-10

Family

ID=60783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1908A KR102553989B1 (ko) 2016-06-20 2016-11-25 콘택트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31598B2 (ko)
EP (1) EP3474064A4 (ko)
JP (1) JP6646531B2 (ko)
KR (1) KR102553989B1 (ko)
CN (1) CN109073914B (ko)
WO (1) WO20172214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96281A1 (en) * 2017-01-06 2018-07-12 eyeBrain Medical, Inc. Prismatic contact lens
CN112368630B (zh) 2018-06-20 2023-01-03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眼佩戴用透镜的制造方法和眼佩戴用透镜
JP2022549903A (ja) * 2019-09-25 2022-11-29 エヌサルミック ホールディング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近視管理のためのコンタクトレンズソリューション
CN114911072A (zh) * 2021-02-09 2022-08-16 晶硕光学股份有限公司 智能多焦点镜片及多焦点散光镜片
JP2023122709A (ja) * 2022-02-24 2023-09-05 Hoya株式会社 眼用レンズ、その設計方法、その製造方法、および眼用レンズセット
JP2023122708A (ja) * 2022-02-24 2023-09-05 Hoya株式会社 眼用レンズ、その設計方法、その製造方法、および眼用レンズセット
WO2023168482A1 (en) * 2022-03-09 2023-09-14 Nthalmic Holding Pty Ltd A method to design toric contact lenses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3812A (ja) 1982-08-19 1984-03-28 ビスタコン・インコ−ポレイテツド 複焦点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
JPH0915541A (ja) 1995-05-04 1997-01-17 Johnson & Johnson Vision Prod Inc 乱視用同心円レンズ
JP2000122007A (ja) * 1998-10-19 2000-04-28 Menicon Co Ltd 多焦点型眼用レンズ
JP2001522065A (ja) 1997-11-04 2001-11-13 バーンスタイン,ポール,アー 二焦点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
JP2004506925A (ja) 2000-03-31 2004-03-04 オキュラー サイエンシ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一様な水平厚さプロフィールを備えたコンタクトレンズ
JP2005502072A (ja) 2001-07-17 2005-01-20 ソフトフォーカル・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補助プリズムを備えた2焦点コンタクトレンズ
JP2005534966A (ja) 2002-07-31 2005-11-17 ノバルティ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トーリック多焦点コンタクトレンズ
JP2005534985A (ja) 2002-08-06 2005-11-17 ノバルティ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コンタクトレンズ
JP2006529029A (ja) 2003-05-21 2006-12-28 ノバルティ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コンタクトレンズ
JP2007538288A (ja) 2004-05-20 2007-12-27 ジョンソン・アンド・ジョンソン・ビジョン・ケ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コンタクトレンズを回転させて安定させる方法
WO2009139021A1 (ja) 2008-05-13 2009-11-19 株式会社メニコン コンタクトレンズ
WO2011061790A1 (ja) 2009-11-17 2011-05-26 株式会社メニコン コンタクトレンズ
WO2014020634A1 (ja) * 2012-07-30 2014-02-06 株式会社メニコン 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0882A (en) * 1983-04-21 1986-04-08 Benjamin Nuchman Continuously variable contact lens
US6286956B1 (en) * 1998-10-19 2001-09-11 Mencion Co., Ltd. Multifocal ocular lens including intermediate vision correction region between near and distant vision correction regions
US7036931B2 (en) * 2003-01-29 2006-05-02 Novartis Ag Ophthalmic lenses
US20110149230A1 (en) * 2009-12-17 2011-06-23 Menezes Edgar V Stabilization of contact lenses
JP5448789B2 (ja) * 2009-12-22 2014-03-19 Hoya株式会社 トーリックコンタクト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EP2632405A4 (en) * 2010-10-25 2016-02-24 Nexisvision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DENTIFYING EYE RECOVERY ELEMENTS FOR SIGHT
US8668331B2 (en) 2011-09-27 2014-03-11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 for designing non-round soft contact lenses
AU2013200761A1 (en) 2013-02-13 2014-08-28 Brien Holden Vision Institute Contact lens stabilisation
AU2017383107B2 (en) * 2016-12-23 2022-09-01 Capricornia Contact Lens Pty Ltd Contact lens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3812A (ja) 1982-08-19 1984-03-28 ビスタコン・インコ−ポレイテツド 複焦点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
JPH0915541A (ja) 1995-05-04 1997-01-17 Johnson & Johnson Vision Prod Inc 乱視用同心円レンズ
JP2001522065A (ja) 1997-11-04 2001-11-13 バーンスタイン,ポール,アー 二焦点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
JP2000122007A (ja) * 1998-10-19 2000-04-28 Menicon Co Ltd 多焦点型眼用レンズ
JP2004506925A (ja) 2000-03-31 2004-03-04 オキュラー サイエンシ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一様な水平厚さプロフィールを備えたコンタクトレンズ
JP2005502072A (ja) 2001-07-17 2005-01-20 ソフトフォーカル・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補助プリズムを備えた2焦点コンタクトレンズ
JP2005534966A (ja) 2002-07-31 2005-11-17 ノバルティ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トーリック多焦点コンタクトレンズ
JP2005534985A (ja) 2002-08-06 2005-11-17 ノバルティ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コンタクトレンズ
JP2006529029A (ja) 2003-05-21 2006-12-28 ノバルティ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コンタクトレンズ
JP2007538288A (ja) 2004-05-20 2007-12-27 ジョンソン・アンド・ジョンソン・ビジョン・ケ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コンタクトレンズを回転させて安定させる方法
WO2009139021A1 (ja) 2008-05-13 2009-11-19 株式会社メニコン コンタクトレンズ
WO2011061790A1 (ja) 2009-11-17 2011-05-26 株式会社メニコン コンタクトレンズ
WO2014020634A1 (ja) * 2012-07-30 2014-02-06 株式会社メニコン 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74064A4 (en) 2020-02-19
WO2017221439A1 (ja) 2017-12-28
EP3474064A1 (en) 2019-04-24
US20190317337A1 (en) 2019-10-17
US11231598B2 (en) 2022-01-25
CN109073914A (zh) 2018-12-21
JP2017227663A (ja) 2017-12-28
JP6646531B2 (ja) 2020-02-14
CN109073914B (zh) 2021-03-23
KR102553989B1 (ko) 202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9048A (ko) 콘택트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JP6236020B2 (ja) 近視矯正のための眼科用レンズ要素、及びこれを設計する方法
KR101627476B1 (ko) 안경 렌즈 요소
JP7013123B2 (ja) 最適化性能を有する先端を切った並進型コンタクトレンズ及び設計方法
EP1629318B1 (en) Multifocal ophthalmic lens
KR101848606B1 (ko) 비대칭 교대보기 노안용 콘택트 렌즈
US8668332B2 (en) Toric contact le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175504B2 (en) Contact Lens
KR20130139939A (ko) 교대보기 노안용 콘택트 렌즈
RU2605526C2 (ru) Смещаемая пресбиопическая контактная линза
US20210318556A1 (en) Ophthalmic lens, design method for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and ophthalmic lens set
KR101870142B1 (ko) 노안용 콘택트렌즈
EP3966607A1 (en) Method for designing edge to edge photochromic soft contact lenses
KR100504388B1 (ko) 비축 비구면 다초점 광학 렌즈
TW202109141A (zh) 具有妝飾及療效考量的光致變色軟式隱形眼鏡
JPH081493B2 (ja) 累進多焦点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