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8018A - 타이어 펑크 실재 및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 - Google Patents

타이어 펑크 실재 및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8018A
KR20190018018A KR1020197002965A KR20197002965A KR20190018018A KR 20190018018 A KR20190018018 A KR 20190018018A KR 1020197002965 A KR1020197002965 A KR 1020197002965A KR 20197002965 A KR20197002965 A KR 20197002965A KR 20190018018 A KR20190018018 A KR 20190018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content
punk
emulsion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2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0998B1 (ko
Inventor
타카히로 오카마츠
키요히토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18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9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02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using liquid or paste-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02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using liquid or paste-like material
    • B29C73/025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using liquid or paste-like material fed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16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 B29C73/163Sealing compositions or agents, e.g. combined with propellant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00Compositions of natural rubber
    • C08L7/02Late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52Aqueous emulsion or latex, e.g. containing polymers of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below 2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0/00Chemical nature of 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2200/06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 C09K2200/0607Rubber or rubber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0/00Chemical nature of 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2200/06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 C09K2200/0615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K2200/0617Polyalkenes
    • C09K2200/062Polyeth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0/00Chemical nature of 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2200/06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 C09K2200/0615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K2200/0622Polyvinylalcohols, polyvinylacetates

Abstract

본 발명은, 주입성에 뛰어난 타이어 펑크 실(seal)재 및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천연 고무 라텍스, 합성 수지 에멀션, 동결 방지제, 및, 인산 이온 또는 초산 이온을 함유하고, 인산 이온의 함유량이 타이어 펑크 실재의 4.5×10-3 ~ 11.0×10-3질량%이고, 초산 이온의 함유량이 0.05 ~ 0.2질량%이고, 타이어 펑크 실재의 비유전율이 52.9 이상인, 타이어 펑크 실재, 및, 이것을 이용하는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이다.

Description

타이어 펑크 실재 및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
본 발명은 타이어 펑크 실(seal)재 및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에 관한 것이다.
근년(近年), 자동차의 표준 또는 옵션의 장비로서, 펑크 수리 키트가 도입되는 케이스가 증가하고 있다. 펑크 수리 키트로서는, 타이어 펑크 실재와 컴프레서 등을 조합하고, 이것들을 콤팩트하게 패키징한 것이 알려져 있다.
타이어가 펑크났을 때에는, 상기 펑크 수리 키트를 사용하고, 타이어 펑크 실재를 컴프레서 등을 이용하여 타이어의 밸브로부터 타이어 내부에 주입하여, 타이어를 다시 주행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상기 타이어 펑크 실재로서는, 예를 들어, 천연 고무 라텍스, 합성 수지 에멀션 및 동결 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에는, 천연 고무 라텍스와 에틸렌-초산비닐 수지 에멀션과 폴리올레핀 에멀션과 동결 방지제를 함유하고, 천연 고무 라텍스와 에틸렌-초산비닐 수지 에멀션과의 고형분의 질량비율(천연 고무/에틸렌-초산비닐 수지)이 15/85 ~ 80/20이고, 폴리올레핀 에멀션의 고형분의 양이 천연 고무 라텍스 및 에틸렌-초산비닐 수지 에멀션의 고형분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0.5 ~ 10질량부인 타이어 펑크 실재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1-162681호
이러한 중, 본 발명자들은, 특허 문헌 1을 참고로 하여, 천연 고무 라텍스, 합성 수지 에멀션 및 동결 방지제를 함유하는 타이어 펑크 실재를 조제하고 이것을 평가하였는데, 이와 같은 타이어 펑크 실재의 주입성을 한층 더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것이 분명해졌다.
그래서, 본 발명은 주입성에 뛰어난 타이어 펑크 실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예의(銳意) 연구한 결과, 천연 고무 라텍스, 합성 수지 에멀션, 동결 방지제, 및, 인산 이온 또는 초산 이온을 함유하고, 인산 이온 또는 초산 이온의 함유량 및 비유전율이 소정의 범위인 것에 의하여 소망하는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기 지견 등에 기초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1. 천연 고무 라텍스,
합성 수지 에멀션,
동결 방지제, 및,
인산 이온 또는 초산 이온을 함유하고,
상기 인산 이온의 함유량이 4.5×10-3 ~ 11.0×10-3질량%이고,
상기 초산 이온의 함유량이 0.05 ~ 0.2질량%이고,
비유전율이 52.9 이상인, 타이어 펑크 실재.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합성 수지 에멀션이, 에틸렌-초산비닐계 공중합체 에멀션, 초산비닐 단독 중합체 에멀션 및 폴리실리콘 에멀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타이어 펑크 실재.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동결 방지제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타이어 펑크 실재.
4. 상기 1 ~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천연 고무 라텍스의 고형분의 함유량 1이, 상기 함유량 1 및 상기 합성 수지 에멀션의 고형분의 함유량 2의 합계량의 15 ~ 90질량%인, 타이어 펑크 실재.
5. 상기 1 ~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동결 방지제의 함유량이, 상기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타이어 펑크 실재에 함유되는 물과 상기 동결 방지제와의 합계량의 30 ~ 70질량%인, 타이어 펑크 실재.
6.  상기 1 ~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인산 이온이, H2PO4 -, HPO4 2- 및 PO4 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타이어 펑크 실재.
7.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계면 활성제를 더 함유하는, 타이어 펑크 실재.
8.  상기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타이어 펑크 실재와 컴프레서를 가지는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재는 주입성에 뛰어나다.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는 타이어 펑크 실재의 주입성에 뛰어나다.
본 발명에 관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나타내고, (메타)아크릴로일은 아크릴로일 또는 메타크릴로일을 나타내고, (메타)아크릴은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을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를 이용하여 나타내지는 수치 범위는,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별히 예고가 없는 한, 각 성분은 그 성분에 해당하는 물질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성분이 2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성분의 함유량은, 2종 이상의 물질의 합계의 함유량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천연 고무 라텍스는, 분산질로서의 천연 고무와 분산매를 포함하고, 천연 고무는 분산매 중에 분산되어 있다. 합성 수지 에멀션은, 분산질로서의 합성 수지와 분산매를 포함하고, 합성 수지는 분산매 중에 분산되어 있다. 덧붙여 본 발명에 있어서 에멀션은 서스펜션(액상(液相)인 분산매에 고상(固相)인 분산질이 분산된 계) 및 액상인 분산매에 액상인 분산질이 분산된 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한다.
천연 고무 라텍스 또는 합성 수지 에멀션에 함유되는 분산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물; 물과 물에 가용(可溶)인 유기 용매와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천연 고무 라텍스의 고형분은 천연 고무를 의미한다. 천연 고무 라텍스의 고형분 양은 천연 고무 라텍스에 함유되는 천연 고무의 함유량, 또는, 천연 고무 라텍스의 분산매 이외의 성분의 합계 함유량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천연 고무 라텍스에 함유되는 천연 고무의 함유량과, 천연 고무 라텍스의 분산매 이외의 성분의 합계 함유량은 거의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합성 수지 에멀션의 고형분은 합성 수지를 의미한다. 합성 수지 에멀션의 고형분 양은 합성 수지 에멀션에 함유되는 합성 수지의 함유량, 또는, 합성 수지 에멀션의 분산매 이외의 성분의 합계 함유량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합성 수지 에멀션에 함유되는 합성 수지의 함유량과, 합성 수지 에멀션의 분산매 이외의 성분의 합계 함유량은 거의 같다.
[타이어 펑크 실재]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재는,
천연 고무 라텍스,
합성 수지 에멀션,
동결 방지제, 및,
인산 이온 또는 초산 이온을 함유하고,
상기 인산 이온의 함유량이 4.5×10-3 ~ 11.0×10-3질량%이고,
상기 초산 이온의 함유량이 0.05 ~ 0.2질량%이고,
비유전율이 52.9 이상인, 타이어 펑크 실재이다.
덧붙여, 상기 인산 이온의 함유량은 타이어 펑크 실재 전량에 대한 질량%이다. 초산 이온의 함유량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비유전율은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재의 비유전율이다.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재는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하기 때문에, 소망하는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 이유는 분명하지 않지만, 대략 이하대로라고 추측된다.
상술대로, 통상 타이어 펑크 실재는 컴프레서 등을 이용하여 타이어의 밸브로부터 타이어로 주입된다. 상기 밸브 안에는 예를 들어 밸브 코어 등의 금속의 부품이 짜 넣어져 있다. 타이어 펑크 실재는 컴프레서 등으로 가압적으로 좁은 밸브를 통하여 금속 등에 접하면서 타이어에 주입된다. 이 때, 타이어 펑크 실재의 금속 등에의 접촉각이 큰 경우, 타이어 펑크 실재의 타이어에의 주입성이 나빠지는 것을 본 발명자들은 지견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산 이온의 함유량 및 비유전율이 소정의 범위인 것에 의하여, 타이어 펑크 실재의 금속 등에의 접촉각이 작아지는 것을 본 발명자들은 찾아내었다. 이것에 의하여 타이어 펑크 실재가 가압 및 금속 등과의 접촉의 조건 하에 노출되어도, 타이어 펑크 실재에 함유되는 천연 고무 라텍스 및 합성 수지 에멀션의 분산질의 분산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하여 타이어 펑크 실재를 타이어에 효율적으로 주입할 수 있다(주입성에 뛰어나다)고 추측된다.
이하,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재에 함유되는 각 성분에 관하여 상술한다.
<천연 고무 라텍스>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재에 함유되는 천연 고무 라텍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천연 고무 라텍스로서, 예를 들어, 천연 고무 라텍스로부터 단백질을 제거한, 이른바 「탈단백 천연 고무 라텍스」를 사용할 수 있다.
천연 고무 라텍스는 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천연 고무 라텍스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고무 라텍스의 시판품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탈단백 천연 고무 라텍스(SeLatex 시리즈, SRI 하이브리드샤(SRI Hybrid Limited)제), 탈단백 천연 고무 라텍스(Hytex HA, 펠펙스사제, 노무라 보에키샤(野村貿易社)), 초저암모니아 천연 고무 라텍스(ULACOL, 레지텍스샤(REGITEX Co.,Ltd)제)를 들 수 있다.
<합성 수지 에멀션>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재에 함유되는 합성 수지 에멀션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합성 수지 에멀션으로서는, 예를 들어, 초산비닐계 중합체 에멀션, 폴리실리콘 에멀션을 들 수 있다.
초산비닐계 중합체 에멀션은, 상기 에멀션에 함유되는 초산비닐계 중합체가 초산비닐에 의한 반복 단위를 가지는 폴리머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폴리실리콘 에멀션은, 상기 에멀션에 함유되는 폴리실리콘이 실록산 골격(-(Si-O)n-. n은 2 이상)을 가지는 폴리머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초산비닐계 중합체 에멀션)
초산비닐계 중합체 에멀션에 함유되는 초산비닐계 중합체는 초산비닐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여도 무방하다.
초산비닐계 중합체가 공중합체인 경우, 초산비닐 이외의 단량체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에틸렌과 같은 올레핀; 베오바(버사틱산과 비닐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과 같은(메타)아크릴계 모노머; 스티렌과 같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초산비닐계 중합체 에멀션으로서는, 예를 들어, 초산비닐 단독 중합체 에멀션, 초산비닐계 공중합체 에멀션을 들 수 있다.
초산비닐계 공중합체 에멀션으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초산비닐계 공중합체 에멀션을 들 수 있다.
에틸렌-초산비닐계 공중합체 에멀션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멀션, 에틸렌-초산비닐-베오바 공중합체 에멀션, 및, 에틸렌-초산비닐-베오바-(메타)아크릴계 모노머 공중합체 에멀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다. 에틸렌-초산비닐-베오바-(메타)아크릴계 모노머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메타)아크릴계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메타)아크릴로일 옥시기를 가지는 화합물(예를 들어, (메타)아크릴 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주입성에 보다 뛰어나고, 보존 안정성에 뛰어나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합성 수지 에멀션은, 에틸렌-초산비닐계 공중합체 에멀션, 초산비닐 단독 중합체 에멀션 및 폴리실리콘 에멀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 수지 에멀션은 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합성 수지 에멀션은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고무 라텍스의 고형분의 함유량 1 및 합성 수지 에멀션의 고형분의 함유량 2의 합계량)
천연 고무 라텍스의 고형분의 함유량 1 및 합성 수지 에멀션의 고형분의 함유량 2의 합계량은, 주입성에 보다 뛰어나고, 보존 안정성에 뛰어나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타이어 펑크 실재 전량의 20 ~ 80질량%가 바람직하고, 25 ~ 8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천연 고무 라텍스의 고형분의 함유량 1)
천연 고무 라텍스의 고형분의 함유량 1은, 주입성에 보다 뛰어나고, 펑크 실성에 뛰어나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천연 고무 라텍스의 고형분의 함유량 1 및 합성 수지 에멀션의 고형분의 함유량 2의 합계량의 15 ~ 90질량%가 바람직하고, 20 ~ 9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35 ~ 90질량%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타이어 펑크 실재에 함유되는 물의 양)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재에 있어서의 물의 함유량(물의 총량)은, 주입성에 보다 뛰어나고, 타이어 내부에서의 유동성에 뛰어나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타이어 펑크 실재 전량의 20 ~ 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5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동결 방지제>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재에 함유되는 동결 방지제는 타이어 펑크 실재에 통상 함유할 수 있는 동결 방지제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 중에서도, 주입성에 보다 뛰어나고, 저온 저점도성에 뛰어나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동결 방지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동결 방지제의 함유량은, 주입성에 보다 뛰어나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재에 함유되는 물과 동결 방지제와의 합계량의 30 ~ 7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 6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타이어 펑크 실재의 비유전율을 소정의 범위로 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예를 들어, 동결 방지제의 함유량을 물과 동결 방지제와의 합계량에 대하여 상기의 범위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인산 이온 또는 초산 이온>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재는 인산 이온 또는 초산 이온을 함유한다.
(인산 이온)
본 발명에 있어서, 인산 이온은, 1가 ~ 3가의 인산 이온을 포함하는, 광의(廣義)의 인산 이온을 의미한다.
상기 인산 이온(광의의 인산 이온)은, H2PO4 -(인산 이수소 이온), HPO4 2-(인산 수소 이온) 및 PO4 3-(협의(狹義)의 인산 이온)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H2PO4 -, HPO4 2-가 보다 바람직하고, HPO4 2-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인산 이온의 함유량)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재가 인산 이온을 함유하는 경우, 인산 이온의 함유량은, 타이어 펑크 실재 전량의 4.5×10-3 ~ 11.0×10-3질량%이다. 이 범위인 경우 타이어 펑크 실재의 주입성에 뛰어나다.
인산 이온의 함유량은, 주입성에 보다 뛰어나고, 보존 안정성에 뛰어나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타이어 펑크 실재 전량의 4.5×10-3 ~ 10.5×10-3질량%가 바람직하고, 4.5×10-3 ~ 9.5×10-3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인산 이온을 발생시키는 화합물)
본 발명에 있어서, 인산 이온을 발생시키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인산, 인산염을 들 수 있다.
인산염은 물에 가용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산염은, 인산과 알칼리 금속(예를 들어, 나트륨, 칼륨), 알칼리 토류 금속 또는 암모늄과의 염이 바람직하고, 인산 암모늄(광의의 인산 암모늄)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인산 암모늄은, 1 ~ 3가의 인산 이온의 암모늄염을 포함하고, 광의의 인산 암모늄을 의미한다.
인산 암모늄으로서는, 인산 일암모늄, 인산 이암모늄, (NH4)3PO4(협의의 인산 암모늄)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인산 일암모늄, 인산 이암모늄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인산 이암모늄이 특히 바람직하다.
(초산 이온의 함유량)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재가 초산 이온(CH3COO-)을 함유하는 경우, 초산 이온의 함유량은, 타이어 펑크 실재 전량의 0.05 ~ 0.2질량%이다. 이 범위인 경우 타이어 펑크 실재의 주입성에 뛰어나다.
초산 이온의 함유량은, 주입성에 보다 뛰어나고, 보존 안정성에 뛰어나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타이어 펑크 실재 전량의 0.05 ~ 0.18질량%가 바람직하고, 0.05 ~ 0.18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초산 이온을 발생시키는 화합물)
본 발명에 있어서, 초산 이온을 발생시키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초산, 초산염을 들 수 있다.
초산염은 물에 가용인 것이 바람직하다.
초산염은, 초산과 알칼리 금속(예를 들어, 나트륨, 칼륨) 또는 암모늄과의 염이 바람직하고, 초산 암모늄이 보다 바람직하다.
덧붙여, 본 발명에 있어서, 인산 이온을 발생시키는 화합물의 함유량은, 상기 인산 이온의 함유량에 대응시킬 수 있다. 초산 이온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인산 이온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사용된 화합물 모두가 상기 인산 이온을 발생시킨 것으로 한다. 초산 이온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비유전율>
본 발명에 있어서, 타이어 펑크 실재의 비유전율은 52.9 이상이다. 비유전율이 상기의 범위인 경우, 주입성에 뛰어나다.
타이어 펑크 실재의 비유전율은, 주입성에 보다 뛰어나고, 저온 저점도성에 뛰어나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53 ~ 75가 바람직하고, 55 ~ 70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타이어 펑크 실재의 유전율은, 측정 장치로서 니혼 루후토(Nihon Rufuto Co., Ltd.)제 Model871(표준 원통관 프로브)을 이용하여, 25℃, 전압 100V, 주파수 50Hz의 조건 하에서 측정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타이어 펑크 실재의 비유전율은, 상기대로 측정된 유전율을 진공의 유전율(ε0=8.854×10-12Fm-1)로 나눈 값이다.
(계면 활성제)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재는, 한층 더,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을 바람직한 태양(態樣)의 하나로서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비이온계, 음이온계, 양이온계, 양(兩) 이온계의 계면 활성제를 들 수 있다.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형,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에테르형,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형,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미드형,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형,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형,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디에스테르형, 폴리옥시에틸렌 로진 에스테르형, 폴리옥시에틸렌 라놀린 에테르형, 폴리옥시에틸렌 다가 알코올 에테르형, 폴리옥시에틸렌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형,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형, 지방산 알칸올 아마이드형 등의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를 들 수 있다.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의 HLB는 12.0 ~ 19.0인 것이 바람직하다.
HLB는 유기 개념도에 기초하는 오다식(小田式)에 의한 계산값을 의미하고, 이 계산 방법은, 예를 들어 「유화·가용화의 기술」〔소화51년, 코가쿠 토쇼 가부시키가이샤(工學圖書(株))〕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HLB를 이끌어내기 위한 유기성값 및 무기성값에 관해서는 「유기 개념도 -기초와 응용-」〔소화59년 산쿄 슛판 가부시키가이샤(三共出版(株))〕 기재의 무기성기표(소화49년, 후지타 등의 보고값)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 데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2-에틸헥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이소데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트리데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이소스테아릴에테르를 들 수 있다.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알킬황산에스테르염(예를 들어 라우릴황산나트륨),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알킬벤젠 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 술폰산염, 고급 지방산염(비누), α-술포지방산 메틸에스테르염, α-올레핀술폰산염, 알칸술폰산염, 폴리옥시모노 및 디스티릴페닐에테르술포호박산모노에스테르염, 알킬페녹시폴리옥시에틸렌 프로필술폰산염을 들 수 있다.
양이온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테트라알킬암모늄 클로라이드, 트리알킬벤질암모늄 클로라이드, 알킬아민, 모노옥시에틸렌 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는, 고온 하에 있어서 타이어에의 주입성에 보다 뛰어나고, 실성, 보관성에 뛰어나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및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와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를 병용하는 경우,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와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의 질량비(비이온계 계면 활성제/음이온계 계면 활성제)가 1.0/1.0 ~ 1.0/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인 경우, 타이어에의 주입성에 보다 뛰어나고, 실성, 보관성에 뛰어나다.
계면 활성제의 양(계면 활성제를 병용하는 경우는 그 합계량)은, 타이어에의 주입성에 보다 뛰어나고, 실성, 보관성에 뛰어나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천연 고무 라텍스의 고형분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1.0 ~ 6.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의 성분)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재는, 상술한 각 성분 이외에, 소망에 의하여, 겔화제, 충전제, 노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 안료, 가소제, 요변성 부여제, 자외선 흡수제, 난연제, 분산제, 탈수제, 대전 방지제와 같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재는 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천연 고무 라텍스, 합성 수지 에멀션, 동결 방지제, 및, 인산 이온 또는 초산 이온을 발생시키는 화합물, 및 소망에 의하여 계면 활성제, 첨가제를 넣고, 감압 하에서 혼합 믹서 등의 혼합기를 이용하여 충분히 혼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계(系) 내에 한층 더 물을 가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재는, 사용할 때의 온도에 관하여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넓은 온도 범위의 조건 하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다. 사용 온도는 예를 들어 -40 ~ +80℃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재의 -40℃에 있어서의 점도는, 주입성에 보다 뛰어나고, 펑크 수리 성능에 뛰어나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2000 ~ 4000mPa·s인 것이 바람직하고, 2500 ~ 3200mPa·s가 보다 바람직하다.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는,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재와 컴프레서를 가지는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이다.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에 사용되는 타이어 펑크 실재는,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재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에 사용되는 컴프레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에어 컴프레서를 들 수 있다. 컴프레서는, 예를 들어, 자동차에 장비(裝備)되어 있는 시가 라이터 소켓으로부터 전원을 뽑는 소용량의 것을 바람직한 태양의 하나로서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것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타이어 펑크 실재의 제조>
하기 제1표의 각 성분을 동표에 나타내는 조성(질량부)으로 이용하여, 이것들을 교반기로 혼합하여, 타이어 펑크 실재를 제조하였다.
제1표에 있어서, 「인산 이암모늄에 의한 인산 이온 1」란에 있어서의 수치는 타이어 펑크 실재 전량 중의 인산 이온 1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낸다. 「인산 일암모늄에 의한 인산 이온 2」도 마찬가지이다.
<평가>
상기대로 제조된 타이어 펑크 실재를 이용하여 이하의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제1표에 나타낸다.
(+70℃에서의 주입성)
상기대로 제조된 펑크 실링재 350mL를 70℃로 가온하였다.
컴프레서를 사용하여, 주입압 300kPa의 조건으로, 195/65 R15의 타이어(트레드의 숄더 홈부에 펑크 구멍(직경 4mm)을 가진다)에, 상기 타이어 펑크 실재를 밸브 코어로부터 타이어 내로 주입하고, 주입 개시부터 주입 완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평가 기준
주입 시간이 40초 이내인 경우, 주입성에 뛰어나다.
주입 시간이 30초 이내인 경우, 주입성에 보다 뛰어나다.
(펑크 수리 거리: 실성의 평가)
215/60 R16의 타이어의 트레드의 숄더 홈부에 펑크 구멍(직경 4mm)을 뚫었다.
그 다음으로, 펑크 구멍을 뚫은 타이어를 드럼 시험기에 장착하고, 상기대로 제조된 펑크 실링재 350mL를 타이어의 밸브 코어로부터 주입하여, 타이어 내압이 200kPa이 되도록 공기를 충전하였다.
그 후, 하중 350kg, 시속 30km의 조건 하에서 상기 타이어를 주행시켜 정지하는 간헐 운전을 반복하고, 공기 누출이 없어질 때까지, 타이어 펑크를 수리할 수 있는 주행 거리(펑크 수리 거리)를 측정하였다. 공기 누출의 유무는, 상기 펑크 구멍의 부분에 비눗물을 분무하여, 비눗물이 거품이 되는지 여부로 확인하였다.
·평가 기준
펑크 수리 거리가 6km 이내의 경우, 실성에 뛰어나다.
(저온 주입성: -40℃에서의 타이어 펑크 실재의 점도)
상기대로 제조된 타이어 펑크 실재의 점도를, -40℃의 조건 하에 있어서, 브룩필드형 점도계(상품명 B형 점도계, 토요 세이키샤(東洋精機社))제, 로터 No.3)를 이용하여 회전수 20rpm으로 측정하였다.
·평가 기준
-40℃에 있어서의 타이어 펑크 실재의 점도가 3500mPa·s 이하인 경우, 저온에서의 주입성에 뛰어나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제1표에 나타낸 각 성분의 상세는 이하대로이다.
·물: 증류수
·NR 라텍스 1: 천연 고무 라텍스(Hytex HA, 펠펙스사제, 노무라 보에키샤; 고형분 60질량%)
·계면 활성제1: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 라우릴황산나트륨(제품명: 에말 10PT, 카오샤(花王社)제)
·계면 활성제2: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테르[에멀겐 430(E430), 카오샤제]
·인산 이암모늄: (NH4)2HPO4(와코 쥰야쿠샤(和光純藥社)제, 분자량 132.1)
·인산 일암모늄: NH4H2PO4(와코 쥰야쿠샤제, 분자량 115.3)
·합성 수지 에멀션 1: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 수지 에멀션(스미카플렉스 400HQ, 스미카 켐텍스(Sumika Chemtex Co., Ltd.); 고형분 약 55질량%,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의 Tg=0℃)
·동결 방지제1: 프로필렌글리콜(아데카샤(ADEKA社)제 공업용 프로필렌글리콜)
제1표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인산 이온 또는 초산 이온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 인산 이온의 함유량이 소정의 범위 외인 비교예 2 ~ 5는, 고온(70℃) 주입성 또는 저온 주입성(-40℃에서의 점도)이 나빴다.
또한, 비유전율이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 비교예 6은, 고온(70℃) 주입성이 나빴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재는 주입성에 뛰어났다.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재는 광범위의 온도 조건 하에 있어서의 주입성에 뛰어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 3(HPO4 2-를 함유한다)과 실시예 4 ~ 6(H2PO4 -를 함유한다)을 고온에서의 주입성으로 비교하면, 실시예 1 ~ 3 쪽이 실시예 4 ~ 6보다도 주입 시간이 짧아 주입성에 보다 뛰어났다.
실시예 1 ~ 3을 비교하면 인산 이온이 많은 쪽이 주입성에 보다 뛰어났다. 실시예 4 ~ 6의 비교, 실시예 7, 8의 비교, 실시예 9, 10의 비교, 실시예 13, 14의 비교에서도 마찬가지의 결과가 얻어졌다.
실시예 3, 8, 11을 비교하면, 비유전율이 실시예 11보다도 큰 실시예 3, 8은, 실시예 11보다도 고온 주입성 및 실성에 보다 뛰어났다. 실시예 10, 12의 비교에서도 마찬가지의 결과가 얻어졌다.

Claims (8)

  1. 천연 고무 라텍스,
    합성 수지 에멀션,
    동결 방지제, 및,
    인산 이온 또는 초산 이온을 함유하고,
    상기 인산 이온의 함유량이 4.5×10-3 ~ 11.0×10-3질량%이고,
    상기 초산 이온의 함유량이 0.05 ~ 0.2질량%이고,
    비유전율이 52.9 이상인, 타이어 펑크 실(seal)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수지 에멀션이, 에틸렌-초산비닐계 공중합체 에멀션, 초산비닐 단독 중합체 에멀션 및 폴리실리콘 에멀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타이어 펑크 실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 방지제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타이어 펑크 실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고무 라텍스의 고형분의 함유량 1이, 상기 함유량 1 및 상기 합성 수지 에멀션의 고형분의 함유량 2의 합계량의 15 ~ 90질량%인, 타이어 펑크 실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 방지제의 함유량이,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타이어 펑크 실재에 함유되는 물과 상기 동결 방지제와의 합계량의 30 ~ 70질량%인, 타이어 펑크 실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 이온이, H2PO4 -, HPO4 2- 및 PO4 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타이어 펑크 실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계면 활성제를 더 함유하는, 타이어 펑크 실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타이어 펑크 실재와 컴프레서를 가지는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
KR1020197002965A 2016-11-10 2017-11-10 타이어 펑크 실재 및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 KR1020309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19860A JP6299844B1 (ja) 2016-11-10 2016-11-10 タイヤパンクシール材及びタイヤパンク修理キット
JPJP-P-2016-219860 2016-11-10
PCT/JP2017/040623 WO2018088535A1 (ja) 2016-11-10 2017-11-10 タイヤパンクシール材及びタイヤパンク修理キ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018A true KR20190018018A (ko) 2019-02-20
KR102030998B1 KR102030998B1 (ko) 2019-10-11

Family

ID=61756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2965A KR102030998B1 (ko) 2016-11-10 2017-11-10 타이어 펑크 실재 및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81347B2 (ko)
JP (1) JP6299844B1 (ko)
KR (1) KR102030998B1 (ko)
CN (1) CN109790441B (ko)
DE (1) DE112017005668B4 (ko)
WO (1) WO201808853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0546A (ja) * 2003-02-19 2004-09-09 Sumitomo Rubber Ind Ltd 生ゴ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074194A (ja) * 2009-09-30 2011-04-14 Yokohama Rubber Co Ltd:The パンク補修材回収システム
JP2011162681A (ja) 2010-02-10 2011-08-25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パンクシール材
KR20130053588A (ko) * 2011-11-15 2013-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타이어 펑크 긴급 보수용 실런트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1726A (ja) * 2004-10-14 2006-04-27 Bridgestone Corp パンクシーリング剤
JP2007056057A (ja) * 2005-08-22 2007-03-08 Bridgestone Corp パンクシーリング剤
US7388041B2 (en) * 2006-03-24 2008-06-17 Accessories Marketing, Inc. Puncture sealing agent for a tir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CN101230249A (zh) * 2007-01-22 2008-07-30 赵毅 一种自动充气补胎液
JP5664723B1 (ja) * 2013-08-09 2015-02-04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パンクシール剤
US10174227B2 (en) 2013-12-18 2019-01-08 Top Alliance Technology Limited Sealant composition
JP6435808B2 (ja) * 2014-11-26 2018-12-12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パンクシール材
JP6658380B2 (ja) * 2016-07-25 2020-03-04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パンクシール材及びタイヤパンク修理キ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0546A (ja) * 2003-02-19 2004-09-09 Sumitomo Rubber Ind Ltd 生ゴ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074194A (ja) * 2009-09-30 2011-04-14 Yokohama Rubber Co Ltd:The パンク補修材回収システム
JP2011162681A (ja) 2010-02-10 2011-08-25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パンクシール材
KR20130053588A (ko) * 2011-11-15 2013-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타이어 펑크 긴급 보수용 실런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76451A (ja) 2018-05-17
CN109790441B (zh) 2022-04-08
DE112017005668B4 (de) 2022-02-17
CN109790441A (zh) 2019-05-21
US10781347B2 (en) 2020-09-22
US20190270920A1 (en) 2019-09-05
KR102030998B1 (ko) 2019-10-11
DE112017005668T5 (de) 2019-09-19
WO2018088535A1 (ja) 2018-05-17
JP6299844B1 (ja) 2018-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362B1 (ko) 타이어 펑크 실제
KR101721930B1 (ko) 타이어 펑크 실제
JP4752982B1 (ja) タイヤパンクシール材
KR20190013894A (ko) 타이어 펑크 실재 및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
JP5729436B2 (ja) タイヤパンクシール剤
KR20190018018A (ko) 타이어 펑크 실재 및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
KR102142308B1 (ko) 타이어 펑크 실제
JP5773010B1 (ja) タイヤパンクシール剤
KR20190017055A (ko) 타이어 펑크 실재 및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
KR102054245B1 (ko) 타이어 펑크 실제 및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
JP5958595B1 (ja) タイヤパンクシール剤
JP7293801B2 (ja) タイヤパンクシール剤
JP7077904B2 (ja) タイヤパンクシール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