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930B1 - 타이어 펑크 실제 - Google Patents

타이어 펑크 실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930B1
KR101721930B1 KR1020167023821A KR20167023821A KR101721930B1 KR 101721930 B1 KR101721930 B1 KR 101721930B1 KR 1020167023821 A KR1020167023821 A KR 1020167023821A KR 20167023821 A KR20167023821 A KR 20167023821A KR 101721930 B1 KR101721930 B1 KR 101721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latex
mass
tire
parts
surf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3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6770A (ko
Inventor
히데유키 타카하라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42308A external-priority patent/JP5773010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42309A external-priority patent/JP5812137B2/ja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6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9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16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 B29C73/163Sealing compositions or agents, e.g. combined with propellant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81Parts of pneumatic tyre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D30/0685Incorporating 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on or into ty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7/00Adhesives based on natural rubber
    • C09J107/02Latex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J1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동결성에 뛰어난 것과 함께, 액량이 적어도 뛰어난 실성을 나타내는 타이어 펑크 실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는, 고무 라텍스 및/또는 수지 에멀션과, 하기 식 (1)로 나타내지는 글리콜 에테르와, 계면 활성제를 함유한다. (식 (1) 중, R11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R12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p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타이어 펑크 실제{TIRE PUNCTURE SEALANT}
본 발명은, 타이어 펑크 실(seal)제에 관한 것이다.
근년(近年), 자동차의 표준 또는 옵션의 장비로서, 펑크 수리 키트가 도입되는 케이스가 증가하고 있다.
펑크 수리 키트는, 타이어 펑크 실제(타이어 펑크 실재)와 임의의 컴프레서 등을 조합한 구성이 알려져 있고, 또한, 실제(實際)의 제품으로서는, 「타이어 펑크 응급 수리제」 등으로 칭하는 타이어 펑크 실제와, 시가 라이터 소켓으로부터 전원을 뽑는 소용량의 컴프레서 등을 조합하여, 컴팩트하게 패키징한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 상기 타이어 펑크 실제는 한랭지(寒冷地)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저온 하에서도 동결하기 어려운 것(내동결성)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것 중,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는, 「천연 고무 라텍스 및/또는 합성 수지 에멀션과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타이어 펑크 실제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 글리콜/물의 비가 0.5 ~ 1.1이고, 또한, BL형 점도계를 사용하였을 때의 -20℃의 점도가 회전수 60rpm에서 100 ~ 1200mPa·s인 타이어 펑크 실제.」가 개시되어 있다(청구항 1).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천연 고무 라텍스, 점착 부여제, 1,3-프로판디올 및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타이어의 펑크 실링제.」가 개시되어 있다(청구항 1).
특허 문헌 1 및 2에는, 상기 구성을 취하는 것에 의하여, 저온에서의 주입성에 뛰어난 취지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40297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1-12158호
한편, 펑크 수리 키트의 소형화의 요청 등에 수반하여, 타이어 펑크 실제의 액량을 줄이는(예를 들어, 종래의 2/3 정도로 줄이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가 특허 문헌 1이나 2에 개시되는 타이어 펑크 실제에 관하여 검토하였는데, 확실히 내동결성에는 뛰어나지만, 종래보다도 적은 액량(종래의 2/3 정도의 액량)으로 사용하였을 경우에, 실성이 반드시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는 것이 밝혀졌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내동결성에 뛰어난 것과 함께, 액량이 적어도 뛰어난 실성을 나타내는 타이어 펑크 실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에 관하여 예의(銳意) 검토한 결과, 특정의 글리콜 에테르를 배합하는 것으로, 내동결성에 뛰어난 것과 함께, 액량이 적어도 뛰어난 실성을 나타내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자는, 이하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었다.
(1) 고무 라텍스 및 수지 에멀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청구범위의 화학식 1로 나타내지는 글리콜 에테르와,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타이어 펑크 실제.
(상기 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p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 에테르의 함유량이, 상기 고무 라텍스의 고형분과 상기 수지 에멀션의 고형분과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70 ~ 300질량부인, 타이어 펑크 실제.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계면 활성제가 황산 에스테르염인, 타이어 펑크 실제.
(4)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이, 상기 고무 라텍스의 고형분과 상기 수지 에멀션의 고형분과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3 ~ 20질량부인, 타이어 펑크 실제.
(5)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식 중의 p가 3 이상의 정수인, 타이어 펑크 실제.
(6) 고무 라텍스 및 수지 에멀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청구범위의 화학식 2로 나타내지는 글리콜 에테르와,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고, 상기 글리콜 에테르의 함유량이, 상기 고무 라텍스의 고형분과 상기 수지 에멀션의 고형분과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70 ~ 300질량부인, 타이어 펑크 실제.
(상기 식 중, R11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R12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p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7) 상기 (6)에 있어서, 상기 계면 활성제가 황산 에스테르염인, 타이어 펑크 실제.
(8) 상기 (6)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이, 상기 고무 라텍스의 고형분과 상기 수지 에멀션의 고형분과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3 ~ 20질량부인, 타이어 펑크 실제.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내동결성에 뛰어난 것과 함께, 액량이 적어도 뛰어난 실성을 나타내는 타이어 펑크 실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에 관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본 명세서에 있어서 「~」를 이용하여 나타내지는 수치 범위는,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는, 고무 라텍스 및/또는 수지 에멀션과, 후술하는 식 (1)로 나타내지는 글리콜 에테르와, 계면 활성제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는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하기 때문에, 내동결성에 뛰어난 것과 함께, 액량이 적어도 뛰어난 실성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 이유는 분명하지 않지만, 대략 이하대로라고 추측된다.
타이어 펑크 실제를 이용한 타이어 펑크 수리에서는, 펑크난 타이어에 타이어 펑크 실제를 주입하고, 그 상태로 주행한다. 이 때, 타이어 안에서 타이어 펑크 실제가 교반되고, 그 결과, 타이어 펑크 실제 중의 고형분이 석출되어, 펑크 구멍이 막힌다.
본 발명자는, 타이어 펑크 실제의 점도가 낮으면 타이어 펑크 실제가 펑크 구멍을 신속하게 충전하고, 액량을 줄여도 실성이 보지(保持)되는 것을 지견(知見)하고 있다. 나아가, 후술하는 식 (1)로 나타내지는 글리콜 에테르(특정의 글리콜 에테르)를 배합하는 것으로 타이어 펑크 실제의 점도가 저하하는 것을 지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는 것이며, 상기 특정의 글리콜 에테르를 배합하는 것으로, 타이어 펑크 실제의 점도가 저하하고, 액량을 줄여도 뛰어난 실성이 얻어지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상기 특정의 글리콜 에테르는 응고점이 낮기 때문에,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는 내동결성에도 뛰어난 것이라고 생각된다.
덧붙여,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는 상술대로 점도가 낮기 때문에, 주입성에도 뛰어나다.
또한, 이하와 같은 이유로부터 뛰어난 실성이 얻어지는 것도 생각된다.
즉, 타이어에 주입된 타이어 펑크 실제는 주행에 의하여 교반되어 거품이 이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이 타이어 펑크 실제가 거품이 일면, 주입한 타이어 펑크 실제의 겉보기의 용적이 증대하고, 액량을 줄여도 실성이 보지되는 것을 지견하고 있다. 나아가, 후술하는 식 (1)로 나타내지는 글리콜 에테르(특정의 글리콜 에테르)를 배합한 타이어 펑크 실제는, 초기의 거품일기가 높고, 또한, 시간이 경과하여도 거품일기가 유지되는 것을 지견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특정의 글리콜 에테르를 배합하는 것으로, 주입한 타이어 펑크 실제의 겉보기의 용적이 증대하고, 액량을 줄여도 뛰어난 실성이 얻어지는 것도 생각된다.
이하,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가 함유하는 각 성분에 관하여 설명한다.
[고무 라텍스 및/또는 수지 에멀션]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는, 고무 라텍스 및/또는 수지 에멀션을 함유한다. 그 중에서도, 고무 라텍스 및 수지 에멀션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무 라텍스와 수지 에멀션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고무 라텍스 및 수지 에멀션에 관하여 설명한다.
<고무 라텍스>
상기 고무 라텍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고무 라텍스를 이용할 수 있다.
고무 라텍스의 구체예로서는, 천연 고무 라텍스, 클로로프렌 라텍스,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라텍스,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라텍스, 스티렌 부타디엔 아크릴 고무 라텍스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천연 고무 라텍스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에서는, 고무 라텍스를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고무 라텍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천연 고무 라텍스를 이용할 수 있다.
천연 고무 라텍스의 구체예로서는, 헤베아·브라질리엔시스(Hevea brasiliensis) 나무를 태핑(tapping)하여 채취되는 것, 천연 고무 라텍스로부터 단백질을 제거한 소위 「탈단백 천연 고무 라텍스」 등을 들 수 있다.
고무 라텍스 중의 고형분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고무 라텍스 전체에 대하여 40 ~ 8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에멀션>
상기 수지 에멀션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수지 에멀션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합성 수지 에멀션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 수지 에멀션의 구체예로서는, 우레탄 에멀션, 아크릴 에멀션, 폴리올레핀 에멀션,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멀션, 폴리초산비닐 에멀션, 에틸렌-초산비닐-버사틱산비닐 공중합체 에멀션, 폴리염화비닐계 에멀션 등을 들 수 있으며, 이것들을 1종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무방하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무방하다.
수지 에멀션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멀션 또는 에틸렌-초산비닐-버사틱산비닐 공중합체 에멀션인 것이 바람직하고, 에틸렌-초산비닐-버사틱산비닐 공중합체 에멀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에멀션 중의 고형분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수지 에멀션 전체에 대하여 30 ~ 7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에 있어서, 고무 라텍스와 수지 에멀션과의 합계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타이어 펑크 실제 전체에 대하여 30 ~ 8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무 라텍스의 고형분과 수지 에멀션 고형분과의 합계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타이어 펑크 실제 전체에 대하여 10 ~ 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글리콜 에테르]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는, 하기 식 (1)로 나타내지는 글리콜 에테르를 함유한다.
Figure 112016084215348-pct00001
상기 식 (1) 중, R11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그 중에서도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탄소수 1 ~ 10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기는 직쇄상(直鎖狀), 분지쇄상(分岐鎖狀), 환상(環狀) 중 어느 하나여도 무방하지만, 직쇄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 (1) 중, R12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그 중에서도, 탄소수 1 ~ 10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2 이상의 알킬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3 이상의 알킬기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탄소수 4 이상의 알킬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알킬기는 직쇄상, 분지쇄장, 환상 중 어느 하나여도 무방하지만, 직쇄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 (1) 중, p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그 중에서도, 2 이상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이상의 정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글리콜 에테르의 구체예로서는, 메틸글리콜, 메틸디글리콜, 메틸트리글리콜, 메틸폴리글리콜, 디메틸글리콜, 디메틸디글리콜, 디메틸트리글리콜, 디메틸폴리글리콜, 에틸글리콜, 프로필글리콜, 부틸글리콜, 옥틸글리콜, 부틸디글리콜, 부틸트리글리콜, 부틸폴리글리콜, 디부틸글리콜, 디부틸디글리콜, 디부틸트리글리콜, 디부틸폴리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에 있어서, 글리콜 에테르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 고무 라텍스의 고형분과 상기 수지 에멀션의 고형분과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10 ~ 5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 30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 ~ 300질량부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100 ~ 300질량부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계면 활성제]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에 함유되는 계면 활성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계면 활성제를 이용할 수 있다. 계면 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이온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는, 1종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무방하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무방하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지방산 소르비탄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 고급 알코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렌 고급 알코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페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민,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지방산염, 알킬 황산염, 알킬 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염, 알킬 에스테르 카르본산염, 알킬 벤젠 술폰산염, 직쇄 알킬 벤젠 술폰산염, 알파 술포 지방산 에스테르염, 알킬 폴리옥시에틸렌 황산염, 알킬 인산염, 모노알킬 인산 에스테르염, 나프탈렌 술폰산염, 알파 올레핀 술폰산염, 알칸 술폰산염, 알케닐 호박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알킬 아민 초산염, 알킬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등의 제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이온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디메틸 알킬 베타인, 알킬 아미드 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계면 활성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황산 에스테르염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상기 황산 에스테르염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알킬 황산 에스테르염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염인 것이 바람직하고, 하기 식 (2) 또는 (3)으로 나타내지는 화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Figure 112016084215348-pct00002
상기 식 (2) 및 (3) 중,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2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M+는 1가의 양이온을 나타내고, n은 1 ~ 15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식 (2) 및 (3) 중, R2 및 R3이 나타내는 탄소수 1 ~ 20의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에틸헥실기, 노닐기, 데실기, 도데실기(라우릴기), 운데실기, 헥사데실기, 옥타데실기, 시클로프로필메틸기, 트리플루오로에틸기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탄소수 10 ~ 20의 장쇄(長鎖)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기는 직쇄상, 분지쇄장, 환상 중 어느 하나여도 무방하지만, 직쇄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 (2) 및 (3) 중, M+가 나타내는 1가의 양이온으로서는, 예를 들어, 1가의 금속 양이온(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의 양이온), 암모늄 양이온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하기 식 (4)로 나타내지는 양이온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6084215348-pct00003
상기 식 (4) 중, R41 ~ R4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킬기(예를 들어, 탄소수 1 ~ 5의 알킬기), 또는,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는 알킬기(예를 들어, -R-OH: 여기서, R은 알킬렌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 5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R41 ~ R44의 적어도 1개는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는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 (4)로 나타내지는 양이온으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에탄올 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에 있어서,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 고무 라텍스의 고형분과 상기 수지 에멀션의 고형분과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0.1 ~ 3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2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 ~ 20질량부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임의 성분]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는, 필요에 따라서, 상술한 각 성분 이외의 성분(임의 성분)을 함유하여도 무방하다. 그와 같은 임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동결 방지제, 충전제, 노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 안료(염료), 가소제, 요변성 부여제, 자외선 흡수제, 난연제, 분산제, 탈수제, 대전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타이어 펑크 실제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술한 각 성분을, 교반기를 이용하여 혼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덧붙여, 상기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를 제조하였을 경우, 혼합에 의하여 생긴 거품이 소멸할 때까지의 시간이 짧기 때문에, 상기 방법은 제조 효율이 높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한층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타이어 펑크 실제의 제조>
하기 제1표에 나타나는 성분을 동 표에 나타나는 비율(질량부)로 교반기를 이용하여 혼합하고, 타이어 펑크 실제(실시예 및 비교예의 타이어 펑크 실제)를 제조하였다. 덧붙여, 제1표 중, 고무 라텍스 및 수지 에멀션에 관하여 괄호 안의 수치는 고형분의 질량부를 나타낸다.
<로스마일즈(Ross-Miles) 시험>
얻어진 타이어 펑크 실제(실시예 1-1 ~ 1-8 및 비교예 1-1 ~ 1-5만)에 관하여 로스마일즈 시험을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얻어진 타이어 펑크 실제에 관하여, JIS K3362: 2008에 준하여, 「모든 용액이 유출된 직후의 거품의 높이」(초기의 거품의 높이), 및, 「모든 용액이 유출되고 나서 5분 후의 거품의 높이」(5분 후의 거품의 높이)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제1표에 나타낸다.
<실성>
얻어진 타이어 펑크 실제에 관하여 이하대로 실성을 평가하였다.
타이어의 트레드의 숄더 홈부에 펑크 구멍(직경 4mm)을 뚫었다.
그 다음에, 펑크 구멍을 뚫은 타이어를 드럼 시험기에 장착하여, 얻어진 타이어 펑크 실제를 타이어의 밸브구로부터 300ml 주입하고, 타이어 내압이 150kPa이 되도록 공기를 충전하였다. 덧붙여, 상기 300ml는 종래의 액량의 대략 2/3에 해당된다.
그 후, 하중 350kg, 시속 30km의 조건 하에서 상기 타이어를 1분간 주행시켜 정지하는 간헐 운전을, 공기 누출이 없어질 때까지(실 될 때까지) 반복하였다. 공기 누출의 유무는, 육안 및 비눗물을 펑크 구멍 부근에 내뿜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하의 기준에 의하여 실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제1표에 나타낸다. 실성의 관점으로부터, A 또는 B인 것이 바람직하고, A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A: 간헐 운전 5사이클 이내에 실 되었다.
·B: 간헐 운전 6 ~ 10사이클로 실 되었다.
·C: 간헐 운전 11사이클 이상으로 실 되었다.
<내동결성>
얻어진 타이어 펑크 실제에 관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내동결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제1표에 나타낸다. 내동결성의 관점으로부터, A인 것이 바람직하다.
·A: -40℃에서 동결하지 않는다.
·B: -40℃에서 동결한다.
<제조 효율>
상술한 타이어 펑크 실제의 제조(실시예 2-1 ~ 2-8 및 비교예 2-1 ~ 2-5만)에 있어서, 혼합에 의하여 생긴 거품이 소멸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이하의 기준으로부터 제조 효율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제1표에 나타낸다. 제조 효율의 관점으로부터, A 또는 B인 것이 바람직하고, A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A: 5분 미만
·B: 5분 이상 15분 미만
·C: 15분 이상 30분 미만
·D: 30분 이상
Figure 112016084215348-pct00004
Figure 112016084215348-pct00005
Figure 112016084215348-pct00006
Figure 112016084215348-pct00007
Figure 112016084215348-pct00008
Figure 112016084215348-pct00009
제1표에 나타나는 각 성분의 상세는 이하대로이다.
·고무 라텍스: 천연 고무 라텍스(Hytex HA, 고형분: 60질량%, 펄플렉스사(Fulflex, Inc.)제(노무라 보에키샤(野村貿易社) 취급))
·수지 에멀션: 에틸렌-초산비닐-버사틱산비닐 공중합체 에멀션(스미카플렉스 950HQ, 고형분: 50질량%, 스미카 켐텍스샤(Sumika Chemtex Co., Ltd.)제)
·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메틸트리글리콜: 메틸트리글리콜(상기 식 (1)로 나타내지는 글리콜 에테르. 여기서, R11: 수소 원자, R12: 메틸기, p=3.)
·메틸디글리콜: 메틸디글리콜(상기 식 (1)로 나타내지는 글리콜 에테르. 여기서, R11: 수소 원자, R12: 메틸기, p=2.)
·부틸트리글리콜: 부틸트리글리콜(상기 식 (1)로 나타내지는 글리콜 에테르. 여기서, R11: 수소 원자, R12: n-부틸기, p=3.)
·디부틸디글리콜: 디부틸디글리콜(상기 식 (1)로 나타내지는 글리콜 에테르. 여기서, R11: n-부틸기, R12: n-부틸기, p=2.)
·계면 활성제 1: 라우릴 황산 트리에탄올 아민(에말 TD, 분자량: 405, 카오샤(花王社)제)(상기 식 (2)로 나타내지는 화합물. 여기서, R2: 라우릴기(n-도데실기), M+: 상기 식 (4)로 나타내지는 양이온(여기서, R41: 수소 원자, R42 ~ R44: -CH2CH2OH).)
·계면 활성제 2: 라우릴 황산 암모늄(라테물 AD-25, 카오샤제)
제1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무 라텍스 및/또는 수지 에멀션과 상기 식 (1)로 나타내지는 글리콜 에테르와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본원 실시예는 모두 내동결성에 뛰어나고, 또한, 액량이 적어도 뛰어난 실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1과 1-4와의 대비 및 실시예 2-1과 2-4와의 대비로부터, 상기 식 (1) 중의 p가 3 이상의 정수인 실시예 1-1 및 2-1은 보다 뛰어난 실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1 ~ 1-3의 대비 및 실시예 2-1 ~ 2-3으로부터, 글리콜 에테르의 함유량이 고무 라텍스의 고형분과 수지 에멀션의 고형분과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70 ~ 300질량부인 실시예 1-1 및 1-3 및 2-1 및 2-3은 보다 뛰어난 실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1과 1-8과의 대비 및 실시예 2-1과 2-8과의 대비로부터, 계면 활성제가 상기 식 (2)로 나타내지는 화합물이고, 상기 식 (2) 중의 M+가 상기 식 (4)로 나타내지는 양이온이고, 상기 식 (4) 중의 R41 ~ R44의 적어도 1개가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는 알킬기인 실시예 1-1 및 2-1은 보다 뛰어난 실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1 및 1-5 ~ 1-7의 대비, 및 실시예 2-1 및 2-5 ~ 2-7의 대비로부터,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이 고무 라텍스의 고형분과 수지 에멀션의 고형분과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3 ~ 20질량부인 실시예 1-1, 1-6 및 1-7, 및 실시예 2-1, 2-6 및 2-7은 보다 뛰어난 실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상기 식 (1)로 나타내지는 글리콜 에테르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1 ~ 1-5 및 2-1 ~ 2-5는 액량이 적은 경우, 실성이 불충분하였다.

Claims (8)

  1. 고무 라텍스 및 수지 에멀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지는 글리콜 에테르와,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타이어 펑크 실제.
    [화학식 1]
    Figure 112016084295357-pct00012

    (상기 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p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 에테르의 함유량이, 상기 고무 라텍스의 고형분과 상기 수지 에멀션의 고형분과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70 ~ 300질량부인, 타이어 펑크 실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 활성제가 황산 에스테르염인, 타이어 펑크 실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이, 상기 고무 라텍스의 고형분과 상기 수지 에멀션의 고형분과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3 ~ 20질량부인, 타이어 펑크 실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 중의 p가 3 이상의 정수인, 타이어 펑크 실제.
  6. 고무 라텍스 및 수지 에멀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하기 화학식 2로 나타내지는 글리콜 에테르와,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고, 상기 글리콜 에테르의 함유량이, 상기 고무 라텍스의 고형분과 상기 수지 에멀션의 고형분과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70 ~ 300질량부인, 타이어 펑크 실제.
    [화학식 2]
    Figure 112016084295357-pct00013

    (상기 식 중, R11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R12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p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 활성제가 황산 에스테르염인, 타이어 펑크 실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이, 상기 고무 라텍스의 고형분과 상기 수지 에멀션의 고형분과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3 ~ 20질량부인, 타이어 펑크 실제.
KR1020167023821A 2014-03-05 2015-03-04 타이어 펑크 실제 KR1017219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42308A JP5773010B1 (ja) 2014-03-05 2014-03-05 タイヤパンクシール剤
JPJP-P-2014-042309 2014-03-05
JPJP-P-2014-042308 2014-03-05
JP2014042309A JP5812137B2 (ja) 2014-03-05 2014-03-05 タイヤパンクシール剤
PCT/JP2015/056346 WO2015133519A1 (ja) 2014-03-05 2015-03-04 タイヤパンクシール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770A KR20160106770A (ko) 2016-09-12
KR101721930B1 true KR101721930B1 (ko) 2017-03-31

Family

ID=54055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3821A KR101721930B1 (ko) 2014-03-05 2015-03-04 타이어 펑크 실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76152B2 (ko)
KR (1) KR101721930B1 (ko)
CN (1) CN106029816B (ko)
DE (1) DE112015001092B4 (ko)
WO (1) WO20151335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6344B1 (ja) * 2016-02-17 2017-08-09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パンクシール剤、および、タイヤパンク修理キット
JP6210135B1 (ja) * 2016-06-29 2017-10-11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パンクシール剤及びタイヤパンク修理キット
KR101952914B1 (ko) * 2018-01-29 2019-02-27 우병철 수용성 이너라인 폴리머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
EP3524415B1 (en) 2018-02-07 2020-06-10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Puncture sealing agent and puncture repair system
US11472986B2 (en) 2018-08-22 2022-10-18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Puncture sealing agent and puncture repair system
CN110143106B (zh) * 2019-06-03 2021-07-23 周春长 一种横截面ω形孔面注pet形成的防爆膜上膜封补胎液的隔层卡环封闭式防爆轮胎
DE102021213509A1 (de) * 2021-11-30 2023-06-01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Dichtmittel für einen Fahrzeugluftreifen, Dichtmittelbehälter mit einem solchen und Verfahren zum provisorischen Abdichten von Fahrzeugluftreif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2158A (ja) 2009-07-01 2011-01-20 Sumitomo Rubber Ind Ltd パンクシーリング剤
JP2011026544A (ja) 2009-06-22 2011-02-10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パンクシール材
JP2011512429A (ja) 2008-02-07 2011-04-21 コンティネンタル・ライフェン・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特にゴム物品のためのシーラント
WO2011148853A1 (ja) 2010-05-27 2011-12-01 横浜ゴム株式会社 液状凝固剤およびタイヤパンクシール材セッ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45344A1 (de) 2006-09-22 2008-04-03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Mittel zum provisorischen Abdichten von aufblasbaren oder aufpumpbaren Gegenständen
JP5168394B2 (ja) 2011-08-18 2013-03-21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パンクシール剤
JP5438171B2 (ja) * 2012-06-27 2014-03-1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パンクシーリング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2429A (ja) 2008-02-07 2011-04-21 コンティネンタル・ライフェン・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特にゴム物品のためのシーラント
JP2011026544A (ja) 2009-06-22 2011-02-10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パンクシール材
JP2011012158A (ja) 2009-07-01 2011-01-20 Sumitomo Rubber Ind Ltd パンクシーリング剤
WO2011148853A1 (ja) 2010-05-27 2011-12-01 横浜ゴム株式会社 液状凝固剤およびタイヤパンクシール材セ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33519A1 (ja) 2015-09-11
KR20160106770A (ko) 2016-09-12
DE112015001092B4 (de) 2022-01-13
DE112015001092T5 (de) 2016-12-01
US9676152B2 (en) 2017-06-13
CN106029816B (zh) 2018-01-05
CN106029816A (zh) 2016-10-12
US20170066206A1 (en)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1930B1 (ko) 타이어 펑크 실제
US10414907B2 (en) Tire puncture sealant
US9067369B2 (en) Tire puncture sealant
KR102219575B1 (ko) 타이어 펑크 실재 및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
JP5773010B1 (ja) タイヤパンクシール剤
KR101688846B1 (ko) 타이어 펑크 실제
JP5812137B2 (ja) タイヤパンクシール剤
KR102054245B1 (ko) 타이어 펑크 실제 및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
EP2868728A1 (en) Puncture sealing agent
JP5958595B1 (ja) タイヤパンクシール剤
CN109790441B (zh) 轮胎补胎材料及轮胎刺孔修理套件
KR101967143B1 (ko) 타이어 펑크 실제, 및,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
JP2020164566A (ja) タイヤパンクシール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