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7547A -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7547A
KR20190017547A KR1020170102548A KR20170102548A KR20190017547A KR 20190017547 A KR20190017547 A KR 20190017547A KR 1020170102548 A KR1020170102548 A KR 1020170102548A KR 20170102548 A KR20170102548 A KR 20170102548A KR 20190017547 A KR20190017547 A KR 20190017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pin
alignment
outer ring
hair pin
alignmen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0299B1 (ko
Inventor
장승규
김응대
이기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2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299B1/ko
Publication of KR20190017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windings, prior to mounting into machines
    • H02K15/0414Windings consisting of separate elements, e.g. bars, hairpins, segments, half coils
    • H02K15/0421Windings consisting of separate elements, e.g. bars, hairpins, segments, half coils consisting of single conductors, e.g. hairpi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1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arranged in slo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3Machines characterised by numerical values, ranges, mathematical expressions or simila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전기기계의 코어에 형성된 슬롯의 내부에 삽입되어 권선을 형성하는 헤어핀을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정렬하는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로서, 링 형상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주에 상기 헤어핀이 삽입될 수 있게 내측으로 개방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헤어핀수용부가 형성된 외부링; 상기 외부링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외주에 상기 헤어핀이 반경방향을 따라 삽입될 수 있게 외측으로 개방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정렬슬롯을 구비한 정렬휠; 및 상기 헤어핀수용부에 수용된 헤어핀과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헤어핀을 상기 정렬슬롯의 내부로 안내하는 헤어핀가이드;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헤어핀을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HAIRPIN ALIGNMENT APPARATUS FOR ROTARY ELECTRIC MACHINE}
본 발명은,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회전전기기계는, 물리적인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기 또는 전기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변환하는 전동기를 의미한다.
상기 회전전기기계는,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를 구비한다.
한편, 전동기의 출력은, 주지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이터에 권선되는 스테이터코일의 턴수에 비례하며, 상기 스테이터코일의 턴수를 증가시킬 경우, 상기 스테이터의 크기가 증대된다.
상기 스테이터의 크기를 증대시키지 아니하면서 상기 전동기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방안으로는 상기 스테이터코어의 슬롯의 내부의 도체의 점적율을 증가시키는 방안이 알려져 있다.
상기 스테이터코어의 슬롯 내 도체의 점적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환형의 도체를 사용하는 대신 사각 단면의 도체(각동선)를 사용하는 권선이 알려져 있다.
상기 사각 단면의 도체(각동선)를 이용한 권선 중에는, 사각 단면의 도체를 미리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고, 대략 "U"형상으로 절곡한 소위 헤어핀을 이용하여 권선하는 헤이핀을 구비한 회전전기기계의 이용이 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헤어핀을 구비한 회전전기기계에 있어서는, 상기 스테이터코어의 내부에 다수 개의 헤어핀을 미리 설정된 패턴에 따라 지정된 슬롯의 내부에 일일이 삽입하여야 하므로, 헤어핀의 삽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헤어핀을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정렬할 수 있는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헤어핀의 정렬 시 헤어핀의 손상 또는 변형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헤어핀의 정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회전전기기계의 코어에 형성된 슬롯의 내부에 삽입되어 권선을 형성하는 헤어핀을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정렬하는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로서, 링 형상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주에 상기 헤어핀이 삽입될 수 있게 내측으로 개방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헤어핀수용부가 형성된 외부링; 상기 외부링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외주에 상기 헤어핀이 반경방향을 따라 삽입될 수 있게 외측으로 개방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정렬슬롯을 구비한 정렬휠; 및 상기 헤어핀수용부에 수용된 헤어핀과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헤어핀을 상기 정렬슬롯의 내부로 안내하는 헤어핀가이드;를 포함하는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헤어핀가이드는 상기 헤어핀수용부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정렬슬롯의 상측까지 연장된 안내면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헤어핀수용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정렬슬롯의 내부로 진입되는 헤어핀의 진입각은 3도 내지 30도로 구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안내면은 원호형상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정렬슬롯의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치형부를 구비하고, 상기 치형부는 상기 정렬휠의 중심을 향해 폭이 감소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치형부에는 상기 정렬슬롯의 폭이 증가되게 절취된 절취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헤어핀수용부는 상기 헤어핀이 적어도 2개 삽입될 수 있는 깊이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외부링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헤어핀수용부의 내부에 헤어핀을 공급하는 헤어핀공급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외부링을 회전구동시키는 외부링구동부; 상기 정렬휠을 회전구동시키는 정렬휠회전부; 및 상기 외부링구동부 및 정렬휠회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링 및 정렬휠이 미리 설정된 피치 간격으로 회전되게 상기 외부링구동부 및 정렬휠회전부를 각각 제어하게 구성된다.
상기 외부링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링이 미리 설정된 피치 간격으로 회전되게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정렬휠은, 상기 외부링의 내면에 근접 배치되어 상기 헤어핀수용부의 헤어핀이 상기 정렬슬롯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위치 및 상기 외부링의 중심을 향해 상기 헤어핀수용부로부터 이격되어 새로운 정렬휠로 교체되는 교체위치 간을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정렬휠을 상기 삽입위치 및 상기 교체위치 간을 이동시키는 정렬휠이동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외부링, 상기 정렬휠 및 정렬휠이동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헤어핀수용부를 구비한 외부링, 정렬슬롯을 구비하여 상기 외부링의 내부에 구비되는 정렬휠 및 상기 헤어핀수용부의 헤어핀을 상기 정렬슬롯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를 구비함으로써, 헤어핀을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정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링은 링형상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헤어핀수용부의 헤어핀이 상기 정렬휠의 정렬슬롯의 내부로 진입되는 진입각을 줄일 수 있어, 상기 헤어핀의 정렬 시 상기 헤어핀의 손상 또는 변형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렬휠을 삽입위치 및 교체위치 간을 구동시키는 정렬휠이동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정렬휠의 교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헤어핀의 정렬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에 의해 정렬된 헤어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헤어핀의 삽입 전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헤어핀의 삽입 후 절곡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2의 정렬휠의 삽입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2의 정렬휠의 교체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6의 요부확대도,
도 9는 도 6의 헤어핀의 진입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사용된 헤어핀가이드의 다양한 변경예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11은 도 1의 제어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에 의해 정렬된 헤어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헤어핀의 삽입 전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헤어핀의 삽입 후 절곡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는, 회전전기기계의 코어에 형성된 슬롯의 내부에 삽입되어 권선을 형성하는 헤어핀(145)을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정렬하는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로서, 링 형상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주에 상기 헤어핀(145)이 삽입될 수 있게 내측으로 개방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헤어핀수용부(232)가 형성된 외부링(230); 상기 외부링(2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외주에 상기 헤어핀(145)이 반경방향을 따라 삽입될 수 있게 외측으로 개방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정렬슬롯(262)을 구비한 정렬휠(260); 및 상기 헤어핀수용부(232)에 수용된 헤어핀(145)과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헤어핀(145)을 상기 정렬슬롯(262)의 내부로 안내하는 헤어핀가이드(29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전기기계는, 예를 들면, 스테이터(110) 및 상기 스테이터(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110)는,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로터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로터수용공(124)을 구비한 스테이터코어(120) 및 상기 스테이터코어(120)에 권선되는 스테이터코일(14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코어(120)는, 예를 들면, 복수의 전기강판(122)을 절연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강판(122)은, 중앙에 상기 로터수용공(124)이 형성되고, 상기 로터수용공(124)의 둘레에 복수의 폴(126) 및 슬롯(127)이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코일(140)은, 예를 들면, 상기 슬롯(127)의 내부에 삽입된 단위도체 또는 헤어핀(145)(이하, "헤어핀(145)"이라고 표기함)을 연결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코어(120)의 각 슬롯(127)의 내부에는 상기 스테이터코어(120)의 반경방향을 따라 복수의 레이어를 형성할 수 있게 복수의 헤어핀(145)이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레이어는, 예를 들면, 상기 스테이터코어(120)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로터수용공(124)에 가장 가까운 헤어핀(145)들을 의미하고, 최외곽 레이어(예를 들면, 제8레이어)는 상기 슬롯(127)의 가장 외측(상기 로터수용공(124)으로부터 가장 먼쪽)에 배치되는 헤어핀(145)들을 의미한다.
상기 스테이터코어(120)의 슬롯(127)의 내부에는 상기 스테이터코어(120)와 상기 헤어핀(145)의 절연을 위해 절연지 또는 절연부재(128)(이하, "절연부재(128)"로 표기함)가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전기기계의 코어는 상기 스테이터코어(120)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예시일 뿐이고, 상기 회전전기기계의 코어는 로터코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코일(140)은, 예를 들면, 전원의 각 상에 연결되는 제1상코일(141;U상코일), 제2상코일(142;V상코일) 및 제3상코일(143;W상코일)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헤어핀(145)은,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각 단면의 도체를 미리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여 대략 "U"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어핀(145)은, 예를 들면, 통전 가능한 도체부(146) 및 상기 도체부(146)의 외면에 절연을 위해 피복되는 피복부(147)를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어핀(145)은, 상기 스테이터코어(120)의 슬롯(127)의 내부에 삽입되는 2개의 삽입부(145a), 상기 2개의 삽입부(145a)의 일 단부를 통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145b) 및 상기 슬롯(127)의 삽입후 미리 설정된 형상으로 각각 절곡연장되는 연장부(145c)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헤어핀(145)의 2개의 삽입부(145a)는, 예를 들면, 6슬롯피치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6슬롯피치간격은 상기 2개의 삽입부(145a) 중 어느 하나가 제1슬롯에 삽입되는 경우 다른 삽입부(145a)는 원주방향을 따라 6번째인 제7슬롯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2 삽입부(145a)의 간격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45c)는, 예를 들면, 해당 삽입부(145a)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3슬롯피치간격으로 절곡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45c)의 말단에는 축방향으로 절곡된 연결단부(145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단부(145d)는 다른 연결단부(145d)와 서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이 가능하도록 미리 설정된 길이로 피복부(147)가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헤어핀(145)은, 상기 스테이터코어(120)의 슬롯(127)의 내부에 삽입된 후,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145d) 및 연결단부(145d)를각각 절곡 형성하고, 상기 연결단부(145d)의 피복부(147)를 미리 설정된 길이로 제거한 후 외부에 노출된 도체부(146)를 서로 용접하여 서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는, 상기 회전전기기계의 스테이터코어(120)에 상기 헤어핀(145)이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실시예의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에 의해 정렬된 헤어핀(145)은 상기 스테이터코어(120)의 각 슬롯(127)에 축방향을 따라 동시에 삽입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는, 프레임(21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 판 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10)은 설치 바닥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높이로 이격될 수 있게 복수의 레그부(21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10)의 상면에는 상기 외부링(2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부링(230)은, 예를 들면, 상기 프레임(21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높이로 이격지지될 수 있다.
상기 외부링(230)의 하측에는 상기 외부링(230)을 상기 프레임(210)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외부링지지부(235)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외부링지지부(235)와 상기 외부링(230) 사이에는 상기 외부링(2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외부링지지베어링(23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부링(230)은,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외경 및 내경을 구비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링(230)의 외측에는 상기 외부링(230)을 회전 구동시키는 외부링구동부(24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외부링구동부(240)는, 예를 들면, 상기 외부링(23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외부링구동모터(24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부링구동모터(242)는, 예를 들면, 후술할 제어부(330)에 신호전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외부링구동모터(242)와 상기 외부링(230) 사이에는 상기 외부링구동모터(242)의 구동력을 상기 외부링(23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245)가 배치될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245)는, 예를 들면, 상기 외부링구동모터(242)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구동기어(246) 및 상기 외부링(230)의 외면에 상기 구동기어(246)와 맞물림 가능하게 형성되는 종동기어(24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246) 및 종동기어(247)는 서로 맞물림되어 상기 외부링구동모터(242)의 회전시 서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외부링구동모터(242)의 회전 시 상기 외부링(230)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외부링(230)의 내면에는 상기 헤어핀(145)이 수용될 수 있게 헤어핀수용부(2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어핀수용부(232)는, 예를 들면, 상기 스테이터(110)의 슬롯(127)에 대응되는 피치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링(230)의 내측에는 정렬휠(2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정렬휠(260)은, 예를 들면, 상기 스테이터코어(120)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정렬슬롯(26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정렬휠(260)의 하측에는 정렬휠(260)을 회전 구동시키는 정렬휠회전부(2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렬휠회전부(270)는, 예를 들면, 전기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정렬휠회전부(270)는, 후술할 제어부(330)에 신호전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정렬휠(260)은, 예를 들면, 상기 정렬휠회전부(270)의 회전축(27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정렬휠(260)은 축방향을 따라 상기 정렬휠회전부(270)의 회전축(272)에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되, 회전시 구속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정렬휠회전부(270)의 회전 시 상기 정렬휠(260)이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정렬휠(260)의 정렬슬롯(262)의 내부에 상기 헤어핀(145)이 미리 정해진 패턴으로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정렬휠(260)을 새로운 정렬휠(260)로 교체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헤어핀(145)의 정렬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정렬휠의 삽입위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2의 정렬휠의 교체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6의 요부확대도이다.
한편, 상기 정렬휠(26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링(230)의 내면에 근접 배치되어 상기 헤어핀수용부(232)의 헤어핀(145)이 상기 정렬슬롯(262)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위치(도 6 참조) 및 상기 외부링(230)의 중심을 향해 상기 헤어핀수용부(232)로부터 이격되어 새로운 정렬휠(260)로 교체되는 교체위치(도 7 참조) 간을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휠(260)의 하측에는 상기 정렬휠(260)을 상기 삽입위치 및 교체위치 간을 이동가능하게 구동시키는 정렬휠이동부(2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렬휠이동부(280)는, 예를 들면, 상기 정렬휠(260)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282), 상기 지지플레이트(282)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284)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282)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282)를 상기 가이드(284)를 따라 이동시키는 실린더기구(28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기구(285)는, 예를 들면, 상기 실린더(286) 및 상기 실린더(286)에 대해 돌출 및 철회 가능한 작용로드(287)를 구비한 실린더기구(285)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정렬휠이동부(280)가 상기 정렬휠(260)을 선형 이동시키게 구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며,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정렬휠이동부(280)는 아암, 상기 아암을 회동시키는 모터를 구비하여 상기 정렬휠(260)을 회전 이동시키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외부링(230)의 내측에는 상기 외부링(230)에 상기 헤어핀(145)을 공급하는 헤어핀공급부(3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헤어핀공급부(310)는, 예를 들면, 상기 프레임(210)의 상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컬럼(312), 상기 컬럼(312)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 가능한 아암(314) 및 상기 아암(314)의 단부에 상기 헤어핀(145)을 파지가능하게 형성되는 핸드(316)를 구비한 로봇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암(314)은, 예를 들면, 상기 헤어핀(145)이 일시 보관되는 보관부로부터 상기 헤어핀수용부(232)에 투입할 수 있게 파지하는 파지위치 및 상기 외부링(230)의 해당 헤어핀수용부(232)에 해당 헤어핀(145)을 투입하는 투입위치 간을 회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암(314)은, 예를 들면, 관절운동이 가능하게 복수의 관절 및 관절구동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헤어핀(145)의 파지 및 상기 헤어핀수용부(232)의 내부로의 투입 작업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정렬휠(260)이 상기 삽입위치로 이동되면,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렬휠(260)의 정렬슬롯(262)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외부링(230)의 헤어핀수용부(232)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헤어핀수용부(232)의 헤어핀(145)이 상기 정렬휠(260)의 정렬슬롯(262)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외부링(230) 및 정렬휠(260)의 일 측(본 실시예에서 상측)에는 상기 헤어핀수용부(232)에 수용된 헤어핀(145)과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헤어핀(145)을 상기 정렬슬롯(262)의 내부로 안내하는 헤어핀가이드(2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헤어핀가이드(290)는, 예를 들면, 상기 헤어핀수용부(232)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정렬슬롯(262)의 상측까지 연장된 안내면(292)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면(292)은, 예를 들면, 원호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면(292)은, 예를 들면, 중심이 상기 외부링(230)의 내측에 배치된 원호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면(292)은, 예를 들면, 일 단부는 상기 헤어핀수용부(232)의 상측에 배치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정렬휠(26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헤어핀가이드(290)는 헤어핀지지장치(29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헤어핀지지장치(295)는, 예를 들면, 상기 프레임(21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렬휠(260)은 상기 정렬슬롯(262)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치형부(26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각 치형부(265)는, 예를 들면, 상기 정렬휠(260)의 중심을 향해 폭이 감소되게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각 치형부(265)의 양 측면부는 상기 각 치형부(265)의 중심선에 대해 경사지게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치형부(265)에는 상기 정렬슬롯(262)의 폭이 증가되게 절취된 절취부(267)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헤어핀수용부(232)의 내부의 헤어핀(145)이 상기 정렬슬롯(262)의 내부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도 7의 헤어핀의 진입각(θe)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어핀수용부(232)의 내부에 삽입된 헤어핀(145)은, 상기 외부링(230)에 의해 외부링(230)의 원주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며, 상기 헤어핀가이드(290)의 안내면(292)과 접촉되어 안내면(292)을 따라 상기 정렬휠(260)의 정렬슬롯(262)의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헤어핀(145)의 진입각(θe)은, 3도 내지 30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진입각(θe)이 3도 미만인 경우, 상기 외부링(230)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상기 외부링(230)의 내부 공간이 협소하게 되어 공간 활용이 미흡하게 될 수 있고, 상기 진입각(θe)이 30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헤어핀(145)의 이동 경로의 변화가 크게 되어 상기 헤어핀(145)의 손상 및 변형 발생이 증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헤어핀(145)의 진입각(θe)은 외부링(230)의 진행방향과 정렬휠(260)의 진행방향 사이의 각도를 의미한다. 즉, 헤어핀(145)의 진입각은 도 9에 도시된 정렬휠(260)의 수직중심선에서 외부링(230)의 내접원(가상선)과 교차하도록 연장되는 직선 1과 정렬휠(260)의 외접원(가상선)과 교차하도록 연장되는 직선 2 사이의 각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헤어핀 진입각에 대한 효과검증을 위한 실험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헤어핀 정렬장치를 이용하여 헤어핀(145)의 진입각에 따라 헤어핀(145)의 정렬 상태와 헤어핀(145)의 변형 발생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pat00001
본 실험에서는 실험용 헤어핀가이드(290a~d)를 이용하여 헤어핀(145)의 진입각을 다양하게 변경하면서 정렬슬롯(262) 내에서 헤어핀(145)의 정렬 상태가 양호한 지 여부와 정렬슬롯(262)에 정렬된 헤어핀(145)의 변형(휨) 여부를 판단 및 분석하기로 한다.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사용된 헤어핀가이드(290a~d)의 다양한 변경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어핀가이드(290a~d)의 일측에 형성된 안내면(292a~d)의 휘어진 정도, 즉 안내면(292a~d)의 곡률을 임의의 각도로 변경함으로써, 헤어핀(145)의 진입각을 조절할 수 있다.
안내면(292a~d)의 곡률이 크면 클수록 진입각이 증가한다. 도 10a로부터 도 10d로 갈수록 안내면(292a~d)의 곡률이 점점 증가함에 따라 헤어핀(145)의 진입각이 증가할 수 있다.
도 10a는 도 10a 내지 도 10d에 도시된 헤어핀가이드(290a~d) 중 안내면(292a)의 곡률이 가장 작은 헤어핀가이드(290a)의 일례를 보여주고, 도 10a의 헤어핀가이드(290a)를 이용하면 헤어핀(145)의 진입각이 상대적으로 작다. 도 10d는 안내면(292d)의 곡률이 가장 큰 헤어핀가이드(290d)의 다른 일례를 보여주고, 도 10d의 헤어핀가이드(290d)를 이용하면 헤어핀(145)의 진입각이 상대적으로 크다.
이와 같이 헤어핀가이드(290a~d)의 안내면의 곡률을 변경함으로써 헤어핀(145)의 진입각도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실험예 1 내지 7에 따르면, 안내면(292a)의 곡률이 작은 헤어핀가이드(290a)로부터 안내면(292d)의 곡률이 큰 헤어핀가이드(290d) 순으로, 즉 진입각이 작은 것에서 큰 것 순으로 바꿔가면서 헤어핀(145)의 정렬 상태 및 변형 발생 여부를 평가하였다.
헤어핀(145)이 정렬슬롯(262)의 내측으로 진입할 때 진입각에 따라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 헤어핀(145)의 모서리가 정렬슬롯(262)의 치형부(265)와 마찰될 수 있다. 이때, 사각 단면 형상의 헤어핀(145)이 정렬휠(260)의 치형부(265) 측면 또는 모서리와 마찰하는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헤어핀(145)이 정렬슬롯(262)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정렬 상태가 양호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헤어핀(145)과 정렬휠(260)의 마찰로 인해 헤어핀(145)이 정렬슬롯(262)의 바깥쪽 레이어에 잔류하는 경우에 헤어핀(145)의 정렬 상태가 불량이라고 판단될 수 있다.
본 실험결과에 따르면, 헤어핀(145)의 진입각도가 3도 내지 30도 범위에서는 헤어핀(145)과 정렬휠(260)의 치형부(265) 사이의 마찰이 1건 또는 2건 정도 발생하였으나, 헤어핀(145)의 정렬 상태는 양호한 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헤어핀 정렬장치에 의해 정렬된 헤어핀(145)의 직진도를 확인하여 상기 헤어핀(145)의 변형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헤어핀(145)의 직진도는 헤어핀(145)의 양측에 직선 형태로 형성된 삽입부(145a)를 각각 절단하여 정반(검사용 평판)의 평면 위에 올려둔 상태에서 각각의 삽입부(145a)가 평면과 틈새 없이 맞닿은 정도를 의미한다. 직진도가 1mm 이내라고 함은 삽입부(145a)와 평면 사이의 틈새가 1mm 이내임을 의미한다.
본 실험결과에 따르면,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어핀(145)의 진입각도가 3도 내지 30도 범위에서는 헤어핀(145)의 직진도가 1mm 이내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상기 진입각의 범위를 벗어나면 헤어핀(145)의 직진도가 1mm를 초과함으로 헤어핀(145)의 변형 정도가 허용범위를 벗어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헤어핀(145)의 진입각의 범위가 3도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도 1의 제어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프로그램을 구비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되는 제어부(33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30)에는 조작신호 및/또는 제어신호의 입력이 가능하게 신호입력부(340)가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신호입력부(340)는, 예를 들면, 운전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수 있다.
상기 신호입력부(340)는, 예를 들면, 상기 외부링(230), 정렬휠(260) 및 지지플레이트(282)의 각각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수 있다.
상기 제어부(330)에는 상기 외부링(230)이 미리 설정된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게 외부링구동부(240)가 제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30)에는 상기 정렬휠(260)이 미리 설정된 속도로 회전될 수 있게 상기 정렬휠회전부(270)가 제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30)에는 상기 정렬휠(260)이 상기 삽입위치 및 상기 교체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상기 정렬휠이동부(280)가 제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신호입력부(340)로부터 운전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정렬휠이동부(280)를 제어하여 상기 정렬휠(260)이 상기 삽입위치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헤어핀공급부(310)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링(230)의 헤어핀수용부(232)에 해당 헤어핀(145)이 각각 삽입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헤어핀공급부(310)에 해당 헤어핀(145)이 삽입되면 상기 외부링구동부(240)를 제어하여 다음 헤어핀수용부(232)가 해당위치에 위치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외부링(230)이 1피치간격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헤어핀공급부(310)를 제어하여 해당 헤어핀수용부(232)에 해당 헤어핀(145)이 삽입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헤어핀수용부(232)가 1피치간격으로 회전된 후 정지되고, 정지 시 상기 헤어핀공급부(310)를 제어하여 해당 헤어핀수용부(232)에 해당 헤어핀(145)이 삽입되는 과정이 반복될 수 있게 상기 외부링구동부(240) 및 상기 헤어핀공급부(310)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헤어핀수용부(232)에 헤어핀(145)이 삽입되고 상기 외부링(230)이 회전되는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최초 헤어핀(145)이 상기 삽입위치의 정렬휠(260)측으로 접근되면 상기 최초 헤어핀(145)은 상기 헤어핀가이드(290)의 안내면(292)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정렬휠(260)의 정렬슬롯(26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정렬휠(260)이 상기 외부링(230)과 동시에 회전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정렬슬롯(262)의 내부로 이동된 헤어핀(145)은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정렬휠(260)의 치형부(265)의 양 측면부를 따라 상기 정렬슬롯(262)의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정렬휠(260)의 정렬슬롯(262)의 내부에 상기 헤어핀(145)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정렬휠이동부(280)를 제어하여 상기 정렬휠(260)을 상기 교체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테이터코일(140)의 제1레이어 내지 제8레이어를 구비하게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정렬휠(260)의 최초 1회전 시 상기 정렬슬롯(262)의 내부에는 상기 헤어핀(145)이 제1레이어 및 제2레이어를 형성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정렬휠(260)의 제2회전 시 상기 정렬슬롯(262)의 내부에는 상기 헤어핀(145)이 삽입되어 제3레이어 및 제4레이어가 형성되고, 상기 정렬휠(260)의 제3회전 시 상기 정렬슬롯(262)의 내부에 상기 헤어핀(145)이 각각 삽입되어 제5레이어 및 제6레이어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휠(260)의 제4회전 시 상기 정렬슬롯(262)의 내부에 상기 헤어핀(145)이 삽입되어 제7레이어 및 제8레이어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휠이동부(280)에 의해 상기 정렬휠(260)이 상기 교체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정렬휠(260)을 상기 정렬휠회전부(270)의 회전축(272)으로부터 분리되고, 새로운 정렬휠(260)이 상기 정렬휠회전부(270)의 회전축(272)에 결합될 수 있다.
새로운 정렬휠(260)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정렬휠이동부(280)를 제어하여 상기 새로운 정렬휠(260)이 삽입위치로 이동되게 하고, 상기 헤어핀공급부(310), 상기 외부링구동부(240) 및 상기 정렬휠회전부(270)를 각각 제어하여 헤어핀(145)을 상기 정렬슬롯(262)의 내부에 정렬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스테이터 120 : 스테이터코어
122 : 전기강판 124 : 로터수용공
126 : 슬롯 127 : 폴
140 : 스테이터코일 145 : 헤어핀
146 : 도체부 147 : 피복부
210: 프레임 230 : 외부링
232 : 헤어핀수용부 240 : 외부링구동부
260: 정렬휠 262 : 정렬슬롯
265 : 치형부 267 : 절취부
270: 정렬휠회전부 272 : 회전축
280 : 정렬휠이동부 282 : 지지플레이트
284 : 가이드 285 : 실린더기구
286: 실린더 287 : 작용로드
290 : 헤어핀가이드 292: 안내면
295 : 헤어핀지지장치 310: 헤어핀공급부
330: 제어부 340: 신호입력부

Claims (12)

  1. 회전전기기계의 코어에 형성된 슬롯의 내부에 삽입되어 권선을 형성하는 헤어핀을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정렬하는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로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주에 상기 헤어핀이 삽입될 수 있게 내측으로 개방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헤어핀수용부가 형성되는 외부링;
    상기 외부링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외주에 상기 헤어핀이 반경방향을 따라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헤어핀수용부와 연통 가능하게 외측으로 개방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정렬슬롯을 구비하는 정렬휠; 및
    상기 헤어핀수용부에 수용된 헤어핀과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헤어핀을 상기 정렬슬롯의 내부로 안내하는 헤어핀가이드를 포함하는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핀가이드는 상기 헤어핀수용부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정렬슬롯의 상측까지 연장된 안내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핀수용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정렬슬롯의 내부로 진입되는 헤어핀의 진입각은 3도 내지 3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은 원호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슬롯의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치형부를 구비하고,
    상기 치형부는 상기 정렬휠의 중심을 향해 폭이 감소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에는 상기 정렬슬롯의 폭이 증가되게 절취된 절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핀수용부는 복수의 헤어핀이 삽입될 수 있는 깊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링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헤어핀수용부의 내부에 헤어핀을 공급하는 헤어핀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링을 회전시키는 외부링구동부;
    상기 정렬휠을 회전시키는 정렬휠회전부; 및
    상기 외부링구동부 및 정렬휠회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링 및 정렬휠이 미리 설정된 피치 간격으로 회전되게 상기 외부링구동부 및 정렬휠회전부를 각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휠은, 상기 외부링의 내면에 근접 배치되어 상기 헤어핀수용부의 헤어핀이 상기 정렬슬롯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위치 및 상기 외부링의 중심을 향해 상기 헤어핀수용부로부터 이격되어 새로운 정렬휠로 교체되는 교체위치 간을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휠을 상기 삽입위치 및 상기 교체위치 간을 이동시키는 정렬휠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링, 상기 정렬휠 및 정렬휠이동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
KR1020170102548A 2017-08-11 2017-08-11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 KR102010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548A KR102010299B1 (ko) 2017-08-11 2017-08-11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548A KR102010299B1 (ko) 2017-08-11 2017-08-11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547A true KR20190017547A (ko) 2019-02-20
KR102010299B1 KR102010299B1 (ko) 2019-08-13

Family

ID=65562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548A KR102010299B1 (ko) 2017-08-11 2017-08-11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2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0699A1 (de) * 2020-02-25 2021-09-02 Gehring Technologies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überführung von leiterstücken in eine soll-anordnu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850B1 (ko) 2021-12-29 2023-03-20 주식회사 디알텍 모터용 코일 절곡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2946A (ja) * 2003-04-10 2004-11-04 Toyota Motor Corp コイルセグメントの円環整列装置
WO2017013523A1 (en) 2015-07-20 2017-01-26 Atop S.P.A. Method and apparatus for inserting undulated coil assemblies in the slots of cores of dynamoelectric machin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2946A (ja) * 2003-04-10 2004-11-04 Toyota Motor Corp コイルセグメントの円環整列装置
WO2017013523A1 (en) 2015-07-20 2017-01-26 Atop S.P.A. Method and apparatus for inserting undulated coil assemblies in the slots of cores of dynamoelectric machin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0699A1 (de) * 2020-02-25 2021-09-02 Gehring Technologies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überführung von leiterstücken in eine soll-anordn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0299B1 (ko) 201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6913B2 (ja) スピンドル巻線装置
JP4492347B2 (ja) コイル形成装置及びコイル形成方法
JP4131478B2 (ja) 回転電機の巻線端部成形装置および成形方法
EP1076401B1 (en) Winding cores with stratification motion
EP1343244A2 (en) Electric motor stator winding method and winding device
JP2011130554A (ja) コイルの製造装置
KR20190017547A (ko) 회전전기기계의 헤어핀 정렬장치
JP5716289B2 (ja) 回転電機のステータの製造方法及び回転電機のステータ
WO2009125706A1 (ja) インナーロータ型回転電機の分割コア型ステータの組み立て方法
US10418887B2 (en) Stator assembly method and stator assembly apparatus
JP5942236B1 (ja) コイルユニット配列装置
JP7456187B2 (ja) ステータの組立装置およびステータの組立方法
JP5168078B2 (ja) コイル巻線装置およびコイル巻線方法
JP6323084B2 (ja) コイルボビン、モーター、及びロボット
JP5768305B1 (ja) 固定子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7255225B2 (ja) ステータの組立方法
JP6996433B2 (ja) ステータ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6495114B2 (ja) 張力付与装置
JP2016046938A (ja) コア巻線装置およびコア巻線方法
KR20130028566A (ko) 고정자 및 이 고정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동기, 전동기를 구비한 전기차량
JPH11312620A (ja) 巻線装置
JP2011125143A (ja) 分割コアの巻線装置
JP2023128121A (ja) 分割コアの巻線装置及び巻線方法
CN218549715U (zh) 用于定子嵌线的装置和嵌线机
JP6929912B2 (ja) 回転電機のステータ製造用治具、及びステータ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