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944A - 빔포밍된 업링크 전송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빔포밍된 업링크 전송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6944A
KR20190016944A KR1020187032605A KR20187032605A KR20190016944A KR 20190016944 A KR20190016944 A KR 20190016944A KR 1020187032605 A KR1020187032605 A KR 1020187032605A KR 20187032605 A KR20187032605 A KR 20187032605A KR 20190016944 A KR20190016944 A KR 20190016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 process
transmission
uplink
network
c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2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1064B1 (ko
Inventor
폴 마리니에
타오 엑스. 뎅
베노이트 펠레티에
제이. 패트릭 투허
지슬래인 펠레티에
버질 콤사
Original Assignee
아이디에이씨 홀딩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디에이씨 홀딩스, 인크. filed Critical 아이디에이씨 홀딩스, 인크.
Priority to KR1020217031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056B1/ko
Publication of KR20190016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the mobile station comprising multiple antennas, e.g. to provide uplink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2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04W56/004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by altering transmission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원에서 설명되는 시스템 및 방법은 빔포밍 및 업링크 제어 및 데이터 송신 기술을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기술은 UE가 다수의 빔 및/또는 지점과 함께 동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빔 프로세스를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빔 프로세스는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물리적 채널을 통한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해 나타내어질 수도 있다. 전력, 타이밍 및 채널 상태 정보는 빔 프로세스에 고유할 수도 있다. 빔 프로세스는, 리소스가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에서 프로비저닝될 수도 있는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의 일부로서 확립될 수도 있다. 빔 프로세스 실패를 핸들링하기 위한, 이동성을 위해 빔 프로세스를 사용하기 위한, 그리고, 개 루프 및 폐 루프 선택 프로시져를 사용하여 빔을 선택하기 위한 기술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빔포밍된 업링크 전송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본 출원은 2016년 5월 11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Systems and Methods for Beamformed Uplink Transmission"인 미국 특허 가출원 제62/334,754호; 2016년 8월 10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Systems and Methods for Beamformed Uplink Transmission"인 미국 특허 가출원 제62/373,076호; 및 2016년 12월 30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Systems and Methods for Beamformed Uplink Transmission"인 미국 특허 가출원 제62/440,903호의 정식(non-provisional) 출원이며, 이들로부터의 35 U.S.C. §119(e) 하에서의 이익을 주장한다. 이들 출원 모두는 참조에 의해 그들 전체가 본원에 통합된다.
차세대의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 대해 요구되는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충족시키기 위해, 무선 산업계 및 학계는 cmW 및 mmW 주파수와 같은 고주파에서 이용 가능한 큰 대역폭을 활용하는 방법을 모색해 오고 있다.
이들 고주파는, 특히 옥외 환경에서, 무선 통신에 대해 바람직하지 않은 전파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더 높은 주파수 송신은 더 큰 자유 공간 경로 손실을 겪을 수도 있다. 강우 및 대기 기체(예컨대, 산소 및 잎사귀(foliage))는 6 GHz 미만(sub-6 GHz) 주파수와 비교하여 추가적인 감쇠를 더할 수도 있다. 또한, 침투 및 회절 감쇠가, mmW 주파수와 같은 더 높은 주파수에서 더욱 심하게 될 수도 있다.
모든 이들 전파 특성은, 중요한 비 시선(Non Line-Of-Sight; NLOS) 전파 경로 손실을 초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mmW 주파수에서, NLOS 경로 손실은, 시선(Line-Of-Sight; LOS) 경로 손실보다 20 dB보다 더 많이 높을 수도 있고 mmW 송신의 커버리지를 심각하게 제한할 수도 있다.
개요
처리량을 증가시키고 고주파 대역에서 적절한 커버리지를 유지하기 위해, 신규의 무선(New Radio; NR) 시스템은 레거시 시스템과 비교하여 더 많은 UE 안테나 엘리먼트를 사용한다. 64 개만큼 많은 안테나 엘리먼트를 사용하는 UE의 경우, 최대 64개의 안테나 포트에 대해 프리코더를 시그널링하고 최대 64개의 직교 기준 신호 송신하는 오버헤드로 인해 다중 안테나 송신을 제어하기 위한 레거시 접근법이 실용적이지 못하게 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업링크 또는 사이드링크 송신을 위한 프리코딩 가중치 및 다른 파라미터의 세트를 UE가 결정하는 것을 허용한다.
마찬가지로, 다운링크 방향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레거시 시스템과 비교하여 더 많은 안테나 엘리먼트를 구비할 수도 있어서, 현재의 접근법이 비실용적으로 되게 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수신 측(다운링크 또는 사이드링크)에 대한 프리 코딩 가중치뿐만 아니라 피드백을 선택하여 네트워크 측에서의 프리 코딩 가중치의 적절한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또한, 낮은 에너지 효율성 및 제한된 스펙트럼 효율성을 초래하는 공통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downlink reference signal)의 연속 송신에 의존하지 않는 것과 같은, R의 다른 소망되는 설계 피쳐를 가능하게 한다.
동작에서 좁은 빔 패턴의 사용은, UE 회전 및 동적 차단 동안, 수신된 에너지로 하여금 갑자기 저하되게 할 수 있다. 시스템 프로시져 또는 활성 데이터 송신/수신 동안 UE 자신의 회전 또는 동적인 방해물(blockage)로 인해, 채널이 갑자기 변할 때 빔을 조정하고 빔 프로세스를 관리하기 위해 UE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이 본원에서 개시된다.
빔포밍 및 업링크 제어 및 데이터 송신 기술은, 다수의 빔 및/또는 포인트와 함께 동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빔 프로세스를 UE가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빔 프로세스는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물리적 채널을 통한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해 나타내어질 수도 있다. 전력, 타이밍 및 채널 상태 정보는 빔 프로세스에 고유할 수도 있다. 빔 프로세스는, 리소스가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에서 프로비저닝될 수도 있는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의 일부로서 확립될 수도 있다. 빔 프로세스 실패를 핸들링하기 위한, 이동성을 위해 빔 프로세스를 사용하기 위한, 개 루프(open-loop) 및 폐 루프(closed-loop) 선택 프로시져를 사용하여 빔을 선택하기 위한, 동시적 빔 프로세스 전력 할당을 위한, 예를 들면 SAR에 의해 야기되는 빔 프로세스 최대 전력 백 오프(maximum power back-off)(MPR)를 위한, MPR에 기인하는 빔 재선택을 위한, 그리고 UE 회전 및 동적인 방해물에 기인하는 빔 재선택 및 재페어링(re-pairing)을 위한 기술이 제공된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시스템 및 방법은, 레거시 시스템과 비교하여 5G NR에서 사용되는 UE 측에서 많은 수의 안테나 엘리먼트에 대한 지원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시스템 및 방법은 또한, UE 수신 및 송신을 위한 프리 코딩 가중치의 효율적인 선택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예시적인 빔 기반 NR 시스템 및 방법은, 에너지 효율성 및 스펙트럼 효율성을 달성하기 위해, 공통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연속 송신에 대한 의존성을 감소시킨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빔 및/또는 포인트를 갖는 동작을 위해, UE는 빔 및/또는 포인트당 하나의 빔 프로세스를 유지한다. 빔 프로세스는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물리적 채널을 통한 송신/수신을 위해 나타내어질 수도 있다. 전력, 타이밍, 채널 상태 정보는 빔 프로세스에 고유할 수도 있다. 빔 프로세스는, 리소스가 랜덤 액세스 응답에서 프로비저닝될 수도 있는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의 일부로서 확립될 수도 있다. UE는 빔 프로세스에 고유한 링크 품질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고, 개개의 또는 집성된 빔 품질에 기초하여 빔 프로세스의 링크 실패를 선언할 수도 있다. UE는 빔 프로세스의 사용에 기초하여 이동성을 핸들링할 수도 있다. UE는, (i) 예를 들면, 채널 상반성(channel reciprocity)에 기초하여 개 루프를 사용하여, 및/또는 (ii) 예를 들면, 빔 측정에 기초하여 폐 루프를 사용하여, 빔 프로세스마다 빔 선택 프로시져를 수행할 수도 있다.
첨부의 도면과 연계하여 예로서 제시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상세한 이해가 얻어질 수도 있다.
도 1은 빔 패턴에 대한 삼차원 그래프를 묘사한다.
도 2는 빔포밍 프로세스에 대한 기능 블록도를 묘사한다.
도 3a는 빔 중심 방향이 빔 피크 방향과 동일한 경우의 예시적인 빔 분포 패턴을 도시한다.
도 3b는 빔 중심 방향이 빔 피크 방향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의 예시적인 빔 분포 패턴을 도시한다.
도 4는 빔 전파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빔 그룹 및 빔 클래스를 예시하는 빔 송신 패턴을 묘사한다.
도 6은 SAR에 의해 영향을 받는 활성 빔 프로세스의 업링크 빔 재선택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a는 하나 이상의 개시된 실시형태가 구현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을 묘사한다.
도 7b는 도 7a의 통신 시스템 내에서 사용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및 예시적인 코어 네트워크를 묘사한다.
도 7c는 도 7a의 통신 시스템 내에서 사용될 수도 있는 제2 예시적인 RAN 및 제2 예시적인 코어 네트워크를 묘사한다.
도 7d는, 도 7a의 통신 시스템 내에서 사용될 수도 있는 제3 예시적인 RAN 및 제3 예시적인 코어 네트워크를 묘사한다.
도 7e는 도 7a의 통신 시스템 내에서 사용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을 묘사한다.
도 7f는 도 7a의 통신 시스템 내에서 사용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네트워크 엔티티를 묘사한다.
5G 빔 기반 무선 액세스
무선 산업계 및 학계에 의해 수행된 최근의 채널 측정은, 빔포밍 기술의 도움으로 만족스러운 셀룰러 커버리지의 실행 가능성을 증명하였다. 측정 데이터는, 빔포밍 이득이, 셀룰러 제어 시그널링을 위해 사용되는 커버리지를 제공하고 LOS 조건에서 더 높은 데이터 처리량을 달성하도록 링크 용량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5G R 셀룰러 시스템에 대한 채널 전파 특성 및 매우 높은 데이터 처리량은, 브로드캐스트 및 공통 목적을 위한 것들을 포함하는 모든 물리적 레이어 신호 채널 상에서의 빔포밍을 사용하는 것 및 빔 기반의 또는 빔 중심의 프로시져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5G NR 시스템 설계는, 대부분 또는 모든 물리적 레이어 신호 및 채널에 대해 빔포밍을 갖는 빔포밍 액세스 링크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물리적 레이어 신호 및 채널은, 디지털, 아날로그 및 하이브리드 빔포밍을 비롯한, 상이한 빔포밍 기술을 적용할 수도 있고, 그것의 특정 빔포밍 구성을 저장할 수도 있다.
빔포밍은 종래의 셀룰러 시스템과 비교하여 각도 도메인(angular domain)에서 추가적인 자유도를 제공할 수도 있다. 시스템 설계는, 각각의 물리적 레이어 신호 및 채널에 고유한 빔포밍 및 빔 기반의 피쳐를 고려할 수도 있고 대응하는 제어 및 시스템 프로시져(예컨대, 업링크 송신, 셀 검색, 랜덤 액세스, 및 제어 채널 디코딩)를 통합할 수도 있다.
빔포밍 기술
빔포밍 기술은 디지털, 아날로그, 및 하이브리드 빔포밍을 포함한다. 디지털 빔포밍의 경우, 각각의 안테나 엘리먼트는, RF 프로세싱 및 ADC/DAC를 비롯한, 전용 RF 체인을 구비할 수도 있다. 각각의 안테나 엘리먼트에 의해 프로세싱되는 신호는, 채널 용량을 최적화하기 위해 위상 및 진폭에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RF 체인의 수는 안테나 엘리먼트의 수와 동일할 수도 있다. 매우 높은 성능을 제공하면서, 디지털 빔포밍 기술은 높은 비용, 구현 복잡성, 및 높은 에너지 소비와 함께 다가올 수도 있다.
아날로그 빔포밍은, 위상 안테나 어레이(Phase Antenna Array; PAA)를 구성하는 다수의 안테나 엘리먼트에 대해 하나의 RF 체인을 적용할 수도 있다. 각각의 안테나 엘리먼트는, PAA의 안테나 패턴의 빔포밍 및 조정을 위한 위상 전용 가중치를 설정하기 위해 위상 시프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적용되는 RF 체인의 수는 안테나 엘리먼트의 수보다 훨씬 더 적을 수도 있다. RF 체인의 수는 PAA의 수와 같을 수도 있거나 또는 더 적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다수의 PAA가 단일의 RF 체인에 연결될 수도 있고, 각각의 PAA는 특정한 방위각 및 고도 커버리지에 대한 안테나 패턴을 구비할 수도 있다. RF 체인은, 상이한 방향 및 시간 인스턴스에서 하나의 빔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폭 넓은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PAA와 함께 단일의 RF를 사용하도록 한 번에 하나의 PAA로 스위칭될 수도 있다.
하이브리드 빔포밍은 디지털 프리코딩 및 아날로그 빔포밍을 결합할 수도 있다. 아날로그 빔포밍은 RF 체인에 연결되는 PAA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디지털 프리코딩은 각각의 RF 체인 및 그와 관련되는 PAA에 대한 베이스밴드 신호에 적용될 수도 있다. 하이브리드 빔포밍의 구성은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 다수의 RF 체인, 다수의 PAA, 및 다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RF 체인에 연결되는 PAA는, 이러한 안테나 포트에 고유한 빔포밍 기준 신호에 의해 고유하게 식별되는 안테나 포트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도 있다.
도 1은 4×4의 균일한 선형 어레이를 사용하는 예시적인 UE 삼차원 송신 빔 패턴의 그래프(100)이다.
도 2는, 두 개의 송신기(202, 204) 및 두 개의 위상 안테나(206, 208)를 갖는 하이브리드 빔포밍 시스템(200)에 대한 예시적인 UE 블록도를 도시한다. 그것은 BB 프로세싱 블록(212)에서 디지털 프리코딩(210)으로 시작한다. I(214,218) 및 Q(216,220) 출력 신호는 ADC 블록(222, 224) 및 무선 주파수 프로세싱 블록(226, 228)을 통과하여, 아날로그 빔포밍을 위해 위상 시프트 안테나 어레이(206, 208)를 통해 송신된다.
디지털 빔포밍 기술에 대한 높은 구현 비용 및 높은 에너지 소비는 R 시스템 설계에 대한 구현 고려 사항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5G R 빔포밍 기술은, 5G NR 트랜스시버 노드의 수가 안테나 엘리먼트 수보다 상당히 더 적은 하이브리드 빔포밍에 기초할 수도 있다. 아날로그 빔포밍 기술은 L1/L23 시스템 프로시져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으며 새로운 프로시져 거동 및 시퀀스로 이어질 수도 있다. 빔포밍 송신은, 신호 오버헤드 및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시간 및 공간 도메인 둘 모두에서의 송신을 커스터마이징하도록 eNB에 고도의 유연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LTE/LTE-A 업링크 다중 안테나 기술
LTE 및 LTE-A는 다중 안테나 기술을 허용한다. 송신 안테나 선택을 위해, 개 루프 안테나 선택은 업링크 허가 CRC 비트를 통한 스크램블링을 마스킹한다. 폐 루프 송신 안테나 선택은, 옵션 사항인 UE 성능 보고에 기초하여 상위 레이어에 의해 구성된다. 공간 직교 리소스 송신 다이버시티(Spatial Orthogonal Resource Transmit Diversity; SORTD) 방법은, 상이한 직교 리소스를 사용하는 상이한 UE 안테나를 통한 UCI와 동일하다. PUCCH의 경우, 그것은 이중 안테나를 사용한다. MU-MMO의 경우, RB의 동일한 세트 상에서 최대 여덟 개의 UE 각각은 단일의 안테나 송신을 사용한다. 또한, 3 비트 PUSCH 순환 시프트 및 PUSCH DMRS에 대한 OCC는 직교성을 제공한다. MU-MMO 방법은 UE에게 투명하다. SU-MIMO의 경우, CM 보존 제약 조건(예를 들면, 안테나당 하나의 레이어)을 갖는 프리코더가 존재한다. 또한, eNB는 프리코딩되지 않은 SRS에 기초하여 프리코더를 선택하고 DCI 4를 사용하여 레이어 수 및 PMI를 시그널링한다. SU-MFMO 방법은 안테나 포트당 SRS를 사용한다.
업링크 송신의 제어
무선 시스템은, 다른 UE에 대한 과도한 간섭을 방지하면서 적절한 링크 적응을 보장하기 위해 UE로부터의 송신(예컨대, 업링크 또는 사이드링크)을 제어하는 메커니즘을 활용한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예를 들면, 송신 전력 제어, 타이밍 정렬, 및 변조, 코딩, 및 주파수 할당과 같은 송신 파라미터 표시자를 포함한다. LTE에서, 다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구비하는 UE는 또한, 송신을 위해 적용할 프리코딩 가중치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도 있다. 이 메커니즘은, 수신기 측에서 품질을 최대화하는 프리코더를 결정하기 위해 모든 안테나 엘리먼트에 대한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UE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리코더의 사용은, 주어진 송신에 대한 송신 전력의 감소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고, 따라서 시스템에 대한 간섭을 자연스럽게 감소시킨다. LTE에서, 업링크 송신을 위한 기준 신호(또는 안테나 포트)의 최대 수는 4이다.
UE 자율 회전 및 방해물 검출
가속도계, 중력 센서, 자이로스코프, 회전 벡터 센서, 등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모션 센서를 UE가 구비하는 것은 일반적이지는 않다. 가속도계 및 자이로스코프는 하드웨어 기반이며 다른 소프트웨어 기반 센서는 두 개의 하드웨어 기반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입력에 기초하여 추가적인 모션 데이터를 유도할 수 있다.
센서 데이터는 UE 회전 운동에 대한 상세한 검출 정보를 UE에게 제공한다. 회전 운동은, 비디오 게임 플레이 동안 UE의 틸트(tilt), 쉐이크(shake), 회전 또는 스윙 모션과 같은 직접적인 유저 입력의 반영일 수 있다. 검출된 회전 데이터는, UE가 자기 자신의 안테나 어레이의 방위에서의 각도 변화를 계산하는 것을 허용한다. 방위 변화는, X/Y/Z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의 레이트 및 각각의 축을 따르는 각각의 벡터 성분을 사용하여 나타내어질 수 있다.
UE의 모션 센서는 상대적인 움직임으로부터 발생하는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상대적인 움직임은, UE가 위치되는 물리적 환경의 반영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몇몇 실시형태에서, 모션 센서는, 고정된 UE를 향하는 이동하는 장애물의 움직임 또는 UE의 움직임에 기인하는 고정된 장애물의 접근을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모션 센서 데이터는, UE가 다가오는 방해물을 검출하는 것 및 UE에 대한 방해물의 속도 및 방향을 포함하는 방해물의 병진 운동 벡터를 추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진보된 모션 센서는, 인체와 불활성 물질 사이를 구별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UE는, 따라서, 접근하는 방해물을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해물이 인체인지의 여부도 또한 구별할 수 있다. 이 피쳐는, 핸드셋 디바이스에 대한 전자파 인체 흡수율(Specific Absorption Rate; SAR) 규정을 준수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용어 "빔"은 본 명세서에서 여러 가지 상이한 상황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빔은,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해 유저 기기(user equipment; UE) 또는 네트워크 기기의 안테나 엘리먼트(예를 들면, 송신 또는 수신 지점)에 적용되는 프리코딩 가중치 또는 위상 일치 가중치(co-phasing weight)의 세트를 의미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용어 빔은 또한, 이러한 프리코딩 가중치의 적용으로부터 유래하는 안테나 또는 방사 패턴을 가리킬 수도 있거나 또는 안테나 엘리먼트에 프리코딩 가중치의 세트를 적용하는 동안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의 생성을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퀀스를 가리킬 수도 있다. 이득, 지향성, 빔폭, 방위각 및 고도의 관점에서의 (기준의 평면에 대한) 빔 방향, 피크 대 사이드로브 비율(peak to side lobe ratio)과 같은 이 안테나 패턴에 관련되는 속성의 세트에 대한 또는 이러한 안테나 패턴에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포트에 대한 다른 기준이 포함된다. 추가적으로, 용어 빔은, 안테나 엘리먼트(예를 들면, 균일한 선형 어레이, 균일한 직사각형 어레이, 또는 다른 균일한 어레이)의 관련된 개수 및/또는 구성을 가리킬 수도 있다.
빔 프로세스
빔 클래스는, 빔 폭 또는 빔 입체각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공유하는 빔을 가리킨다. 빔 클래스가 높을수록 지향성의 레벨이 더 높고, 한편 빔 클래스가 더 낮을수록 지향성의 레벨이 더 낮다. 빔 패밀리(beam family)는 동일한 빔 클래스의 모든 빔으로 구성된다. 빔 그룹은 하위 빔 클래스의 빔에 관련되는 빔의 세트이다. 빔은, 예를 들면, 가장 가까운 중심 방향을 갖는 빔 또는 가장 큰 중첩 또는 상관을 갖는 빔에 기초하여, 하위 빔 클래스의 빔에 관련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빔의 중심 방향(304, 314)과 빔의 피크 방향(306, 312) 사이의 차이를 예시하는 빔 진폭 대 방향(308, 316)의 두 개의 그래프(300, 350)이다. 빔 방향은, 빔의 중심 방향(304, 314)으로서 또는 빔의 피크 방향(306, 312)으로서 정의될 수도 있는 빔의 방향이다. 도 3a 및 도 3b는 또한, 검은 점을 갖는 EIRP 피크(302, 310)를 나타낸다. 빔 공간은, 임의의 가중치 벡터를 가질 수도 있는 빔의 세트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 또는 입체각이다. 빔 공간은, 각도의 세트 또는 빔 그 자체와 같은 파라미터 세트에 의해 경계가 정해질 수도 있거나 또는 정의될 수도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E는 적어도 하나의 빔 프로세스에 따라 신호, 제어 및 데이터의 송신 및/또는 수신을 위한 프리코딩 가중치 및 다른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도 있다. UE는 이러한 파라미터에 대한 값을 계산 또는 수정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빔 프로세스 아이덴티티를 사용하여 빔 프로세스를 참조하는 후속하는 송신 또는 수신에서 이들 값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프로세스는, 기준 신호의 연속 송신에 의존하지 않고 모든 송신에 대한 프리 코딩의 시그널링을 수반하지 않기 때문에, 프리 코딩 가중치의 결정과 관련되는 오버헤드를 크게 감소시킨다. 이러한 예시적인 프로세스는 또한, 하나보다 더 많은 빔 프로세스의 사용을 통해, 공간 멀티플렉싱, 빔 다이버시티, 또는 다지점 협력과 같은 진보된 송신 스킴에 대한 구현 복잡성을 감소시킨다. 빔 프로세스는 빔 쌍 링크(beam pair link; BPL)로 칭해질 수도 있다.
UE로부터의 송신의 경우, 빔 프로세스는 안테나 엘리먼트에 적용할 프리코딩 또는 위상 일치 가중치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결정은 빔을 형성할 수도 있는데, 각각의 이러한 세트는 안테나 포트에 대응할 수도 있다. 송신 빔 프로세스는, 다운링크 타이밍 기준 신호, 또는 송신 전력 레벨에 대한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할 수도 있다. UE로부터의 수신의 경우, 빔 프로세스는 수신을 위해 안테나 엘리먼트에 적용할 프리 코딩 가중치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다시, 이러한 결정은 빔을 형성할 수도 있는데, 각각의 이러한 세트는 안테나 포트에 대응할 수도 있다. 빔 프로세스는 또한 자동 이득 컨트롤러(automatic gain controller; AGC)에 대한 설정을 결정할 수도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양방향 빔 프로세스는 송신 및 수신 둘 모두를 제어할 수도 있고, 송신 및 수신을 위한 빔 또는 프리 코딩 가중치의 별개의 세트를 결정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빔 프로세스는, 송신(송신 또는 UL, 빔 프로세스)만을 또는 수신(수신, 또는 DL, 빔 프로세스)만을 제어할 수도 있다.
UE는, 수신 및 송신 빔 프로세스의 각각의, 또는 양방향 빔 프로세스의 수신 및 송신에서 사용되는 빔은, 동일한 빔 패턴 또는 유사한 패턴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결정은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기초할 수도 있거나, 또는 결정은, UE가 액세스하고 있는 또는 UE가 연결되는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 또는 다른 속성에 암시적으로 기초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UE는, 수신을 위해 결정되는 프리코딩 가중치에 기초하여 송신에서 사용되는 프리코딩 가중치를 유도할 수도 있거나, 또는 그 역도 가능할 수도 있다. 송신 및 수신 빔 프로세스의 경우, 이러한 프로세스는, 그러면, 상반성에 의해 관련되는 것으로 칭해질 수도 있다. 양방향 빔 프로세스의 경우, 프로세스는 상반하는(reciprocal) 것으로 칭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디폴트 빔 프로세스가 정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디폴트 빔 프로세스는 특정한 구성이 없는 경우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송신에 대해 적용될 수도 있거나, 또는 디폴트 빔 프로세스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으로부터 결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디폴트 빔 프로세스는,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최대 빔 이득 또는 지향성이 최소화되도록, 또는 패턴이 대략적으로 무지향성이도록, 미리 정의될 수도 있다.
디폴트 빔 프로세스의 사용은 또한, 예를 들면, 미리 결정된 규칙 또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따라 주파수 대역에 의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PRACH 송신이 디폴트 빔 프로세스를 사용해야 하는지의 여부는, 시스템 정보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는 RACH 구성의 일부로서 나타내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시그널링은, 네트워크가 시스템 타이밍 및 경로 손실 추정을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신호의 송신을 위해 다수의 TRP로부터의 동기화된 송신을 사용하는 경우에 유익할 수도 있다.
UE는 각각의 빔 프로세스에 대해 하나의 빔을 유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빔은 초기에 선택되어 빔 선택 프로시져의 일부로서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빔 선택 프로시져는, 다른 UE(예를 들면, 네트워크 노드)에 적용되는 주어진 빔 또는 안테나에 대해 (예를 들면, 주어진 송신 전력에 대한 수신 신호 전력을 최대화하는 것에 의해) 최상의 전파 채널로 나타나는 빔을 결정한다.
도 4는 시스템(400)에서 빔 전파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임의의 시간에, UE(402)는 공간 다이버시티 또는 멀티플렉싱, 다지점 동작 및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빔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것은 도 4에서 예시되는데, 여기서 프로세스 1 및 2는, TRP 1(410)로의 직접 경로(404) 및 반사된 경로(406)에 대응하고 프로세스 3은 TRP 2(414)로의 경로(408)에 대응한다. 반사된 경로(406)는 빌딩(412)에서 반사되고, 한편 직접 경로(404, 408)는 시선이다. 각각의 구성된 빔 프로세스는, 채널 경로를 따라 빔포밍 이득을 최대화하는 특정한 안테나 패턴을 갖는 송신 또는 수신 인스턴스에 대응하는 것으로 보여질 수도 있다. 송신되고 있는 정보의 타입 및 관련된 신뢰도 요건에 따라 또는 송신이 유니캐스트인지 또는 멀티캐스트인지의 여부에 따라 상이한 레벨의 빔포밍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빔 프로세스가 또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빔은 빔 선택 프로시져의 최신 결과를 가리킨다. 양방향 프로세스의 경우, 현재의 빔은 송신 및 수신 둘 모두에 적용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송신 및 수신에 대해 별개의 전류 빔이 적용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빔 선택 프로시져는, 각각의 안테나 포트에 대한 전류 빔으로 나타나는, 각각의 안테나 포트에 대해 별개의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빔 프로세스가 송신 또는 수신에 적용되는 경우, 인가된 빔은 현재 빔에 대응한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E(402)는 이전 빔 선택 프로시져에서 선택되는 빔을 유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UE(402)는, 이러한 빔 클래스(또는 빔 이득)가 현재 빔의 빔 클래스(또는 빔 이득)보다 더 낮은 경우에만, 소정의 빔 클래스의 최신의 선택된 빔을 유지할 수도 있다. 빔 프로세스에 대해 다수의 빔을 유지하는 경우, 각각의 빔은, 빔 클래스에 대응할 수도 있는 빔 동일성과 관련될 수도 있다.
몇몇 빔 선택 프로시져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로부터 취해지는 일련의 측정을 수행하는 것에 기초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준 신호는, 본원에서 빔 선택 기준 신호로 지칭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UE(402)는 이러한 빔 선택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AGC에 대한 설정을 조정할 수도 있다. 빔 프로세스는,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빔 선택 기준 신호에 대한 리소스를 프로비저닝받을 수도 있다. 빔 프로세스 기준 신호를 프로비저닝하기 위한 리소스는,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덴티티 파라미터뿐만 아니라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의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아이덴티티 파라미터는 빔 프로세스에 고유할 수도 있다.
몇몇 예시적인 빔 선택 프로시져는, 빔 사운딩 기준 신호로 칭해지는 업링크(또는 사운딩) 기준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수행하는 것에 기초할 수도 있다. 빔 프로세스는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빔 사운딩 기준 신호에 대한 리소스를 프로비저닝받을 수도 있다. 빔 사운딩 기준 신호를 프로비저닝하기 위한 리소스는,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덴티티 파라미터뿐만 아니라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의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경우, 아이덴티티 파라미터는 빔 프로세스에 고유할 수도 있다. 또한, 업링크에 대한 아이덴티티 파라미터는, 빔 선택 기준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아이덴티티 파라미터와 동일할 수도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빔 선택 기준 신호 및 빔 사운딩 기준 신호에 대한 리소스가 동적으로 할당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이들 기준 신호는 이용 가능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의 서브세트를 통해 할당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할당은, 신호의 연속적인 브로드캐스팅을 방지하도록 그리고 높은 오버헤드 비용을 감소시키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다운링크 제어 정보(예컨대, 빔 선택 프로시져를 트리거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 또는 시그널링)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및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의 조합은 리소스 할당을 나타낼 수도 있다.
빔 선택 기준 신호는 확산 또는 스크램블링을 위해 사용되는 파라미터의 세트와 관련될 수도 있다. 파라미터는, 예를 들면, 확산 인자, 확산 시퀀스의 인덱스 예를 들면 OVSF 및 월시(Walsh) 코드 및 스크램블링 시퀀스 인덱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리소스가 데이터 송신/수신을 위한 빔 프로세스와 관련될 수도 있다.
데이터 송신/수신을 위한 빔 프로세스는, 예를 들면, 시간 단위, 심볼의 블록, 서브프레임, 슬롯 및 프레임을 포함하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와 관련될 수도 있다. 빔 프로세스는 또한, 예를 들면, 서브캐리어, 서브캐리어의 블록, 리소스 블록, 리소스 블록의 세트 및 광대역 캐리어를 포함하는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의 세트와 관련될 수도 있다. 빔 프로세스는, 예를 들면, 확산 및/또는 스크램블링 코드(OVSF/월시/ZC 코드)의 타입, 확산/스크램블링의 길이 및 확산/스크램블링 시퀀스의 인덱스를 포함하는 코드 도메인 리소스와 관련될 수도 있다.
빔 프로세스와 관련되는 시간/주파수/코드 리소스는 정적일 수도 있고 소정 타입의 빔 프로세스에 대해 미리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몇몇 실시형태에서 셀 고유의 공통 제어 채널을 위해 사용되는 빔 프로세스와 관련되는 리소스는 고정될 수도 있고 시스템 정보 브로드캐스트 송신에서 브로드캐스팅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빔 프로세스는 고정되고 미리 정의된 리소스 할당을 가질 수도 있다. 데이터 송신 및 수신 둘 모두를 위한 빔 프로세스는 또한, 물리적 레이어 제어 시그널링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리소스와 동적으로 관련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빔 프로세스당 리소스 관련화 정보(association information)는 RRC 시그널링과 같은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서 반송될(carried) 수도 있다.
리소스 할당과의 빔 프로세스의 관련화는, 다수의 TRP에 연결되는 또는 다운링크/업링크/사이드링크에 대한 계층적 제어 채널을 위해 사용되는 빔 프로세스에 대한 유연한 구성 및 감소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UE(402)는 하나보다 더 많은 빔 프로세스(예컨대 양방향 또는 단방향 프로세스)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도 4 참조). 이러한 빔 프로세스 각각은, 상이한 빔 프로세스의 패턴이 상이한 방향에서 안테나 이득을 최대화하도록, 특정한 안테나 패턴에 대한 수신 또는 송신에 대응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각각의 빔 프로세스에 대해, UE(402)는 프리코딩 가중치, Tx 전력, 및 타이밍을 유지할 수도 있다. 각각의 빔 프로세스는, 상이한 네트워크 송신 포인트, 예를 들면, TRP와 관련될 수도 있다. 다수의 TRP와의 연결은, 다지점 동작, 다양성, 원활한 이동성, 및 폴백(fallback) 동작의 지원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하나보다 더 많은 이러한 빔 프로세스의 유지 보수는, 상이한 빔을 사용한 다수의 포인트로부터의 및/또는 단일의 포인트로의 송신 및/또는 수신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빔 프로세스는 참조 목적을 위해 빔 프로세스 아이덴티티를 가지고 구성될 수도 있다. 특정한 빔 프로세스는, 일차(primary) 빔 프로세스 또는 마스터 빔 프로세스로서 지정될 수도 있다. UE(402)가 단지 하나의 빔 프로세스만을 유지한다면, 이러한 빔 프로세스는 일차(또는 마스터) 빔 프로세스로서 지정될 수도 있다. UE(402)가 하나보다 더 많은 빔 프로세스를 유지한다면, UE(402)는 일차 빔 프로세스를 지정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 채널 모니터링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E(402)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예컨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또는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디코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빔 프로세스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디코딩하려고 시도하는 경우, UE(402)는 수신을 위해 빔 프로세스에 의해 결정되는 프리코딩 가중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빔 프로세스는, UE(402)가 다운링크 제어 정보의 디코딩을 시도할 리소스를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구성과 관련된다. 구성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 슬롯, 미니 슬롯 또는 서브프레임과 같은 스케줄링 단위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소스 세트, 제어 하위대역, 또는 제어 시간 심볼.
-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소스 세트 내의 제어 채널의 인스턴스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검색 공간(또는 후보의 세트)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 적어도 하나의 검색 공간은 제어 리소스 세트 내의 적어도 제어 채널 엘리먼트,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 시간 심볼의 세트 및/또는 물리적 리소스 블록의 서브세트의 관점에서 정의될 수도 있다.
○ 적어도 하나의 빔 프로세스는 공통 검색 공간과 관련될 수도 있다.
- 슬롯(또는 미니 슬롯)의 단위의 주기 및 오프셋과 같은, 빔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송신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가 존재할 수도 있는 가능한 스케줄링 단위(예를 들면, 슬롯)의 서브세트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몇몇 실시형태에서, 빔 프로세스와 관련되는 활동 상태 또는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도 있는, 하나보다 더 많은 구성된 이러한 서브세트가 존재할 수도 있다.
- 적어도, 제어 채널을 디코딩하는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시퀀스와 같은, 기준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구성은, 적어도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로부터의 전용 시그널링 및/또는 시스템 정보와 같은 RRC 시그널링으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다.
독립적인 구성 및 예시적인 사용 시나리오
각각의 빔 프로세스는, 최대 유연성을 위해 독립적인 제어 채널 구성을 가지고 구성될 수도 있거나 또는 독립적인 제어 채널 구성과 관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어 하위 대역 또는 리소스 세트는, 상이한 빔 프로세스 사이에서 상이하게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것은, 상이한 빔 프로세스가, 간섭을 더 잘 조정하기 위해 제어 채널에 대해 상이한 리소스를 사용하는 지리적으로 분리된 TRP에 관련되는 시나리오에서 유용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슬롯 내의 시간 심볼은 상이하게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것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이 상이한 TRP를 수반하는 시나리오(예를 들면, 낮은 및 높은 송신 전력 TRP를 갖는 헷넷(hetnet) 시나리오)에서 유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다운링크 할당은 제1 빔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제1 TRP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고, 업링크 허가는 제2 빔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제2 TRP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제어 채널 구성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모든 빔 프로세스에 대해 공통적일 수도 있다.
빔 프로세스 사이의 우선 순위 부여(prioritization)
소정의 상황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빔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수신이 실행 가능하지 않도록, 상이한 빔 프로세스에 의해 사용되는 리소스 사이에 중첩이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것은, UE(402)가 주어진 시간(N은, 예를 들면, UE 수신기 구현 내에서의 RF 체인의 수에 대응할 수도 있음)에 기껏해야 N 개의 빔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수신할 수 있는 경우에 발생할 수도 있고, 주어진 슬롯에서 N 개보다 더 많은 빔 프로세스의 제어 채널 후보 사이의 시간 영역에서 중첩이 존재한다. 다른 예에서, 제1 빔 프로세스에 대한 제어 채널 후보는 제2 빔 프로세스에 대한 스케줄링된 송신과 중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면, UE(402)는 다음의 기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빔 프로세스 사이에서 우선 순위 부여 규칙을 적용할 수도 있다:
- 각각의 빔 프로세스에 관련되는 구성된 우선 순위. 예를 들면, UE(402)는 일차 빔 프로세스에 대한 제어 채널의 수신에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도 있거나, 또는 빔 프로세스에 관련되는 인덱스(예를 들면, 하위 인덱스가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짐)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도 있다.
- 각각의 빔 프로세스에 관련되는 활동 상태. 예를 들면, "활성" 상태의 빔 프로세스는 "비활성(inactive)" 상태의 빔 프로세스보다 우선시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활성 상태의 빔 프로세스에 대한 품질이 저하된 경우 폴백 메커니즘을 제공하기 위해 "비활성" 상태의 빔 프로세스가 우선시될 수도 있다.
- 빔 프로세스에 대해 제어 채널이 모니터링될 때 스케줄링 단위의 서브세트에 대한 주기성. 예를 들면, 가장 큰 주기성을 갖는 빔 프로세스에 우선 순위가 주어질 수도 있다.
- 각각의 빔 프로세스에 대한 최신의 보고된 채널 상태 표시. 예를 들면, 채널 품질 표시가 가장 높았던 빔 프로세스에 우선 순위가 주어질 수도 있다.
- 빔 프로세스와 관련되는 송신의 타입. 예를 들면, 제1 빔 프로세스에 대한 스케줄링된 송신은, 제2 빔 프로세스에 대한 제어 채널 후보에 비해 우선 순위를 가질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이러한 스케줄링된 송신은 이전 슬롯에서 스케줄링되었고 현재 슬롯의 제어 리소스 세트와 중첩될 수도 있다.
하나의 규칙이 차별화를 허용하지 않는 경우를 핸들링하기 위해 다수의 규칙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UE(402)는, 먼저, 활동 상태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도 있고, 하나보다 더 많은 프로세스가 동일한 활동 상태를 갖는 경우, 구성된 우선 순위에 기초한 규칙이 사용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규칙의 다른 조건부 순서화가 활용될 수도 있다.
안테나 포트와의 관계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경우, 빔 프로세스와 안테나 포트 또는 안테나 포트의 세트 사이에서 고정된 또는 반정적 관련화가 확립될 수도 있다. UE(402)는, 안테나 포트를 통해 송신하도록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때마다 대응하는 빔 프로세스의 프리코딩 가중치를 적용한다. 빔 프로세스와 관련되는 안테나 포트(들)의 세트는 서로 공간적으로 준 병치될(quasi co-located)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복조 기준이 송신되는 안테나 포트와, 빔 선택을 위해 사용되는 기준 신호가 빔 프로세스(예컨대, CSI-RS 또는 빔 선택 RS)를 위해 송신되는 안테나 포트 사이에서 관련화가 정의되면, 관련화는, 이러한 안테나 포트가 공간적으로 준 병치된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따라서, 안테나 포트를 사용하는 수신을 위한 빔 프로세스의 암시적 또는 명시적 표시는, 이 안테나 포트가 빔 프로세스 또는 빔 쌍 링크의 기준 신호(예를 들면, CSI-RS)와 공간적으로 준 병치된다는 표시와 등가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경우, 빔 프로세스와 안테나 포트 사이의 관련화는 동적으로 수정될 수도 있다. UE(402)는, 안테나 포트를 통해 송신 또는 수신할 적용 가능한 빔 프로세스를 결정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빔 프로세스는, 물리적 또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으로부터 수신되는 명시적 표시로부터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UE(402)는, 업링크(또는 사이드링크) 물리적 채널을 통한 업링크(또는 사이드링크) 송신(허가)을 나타내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수신할 수도 있고, 이러한 허가는 각각의 안테나 포트를 통한 송신을 위한 적용 가능한 빔 프로세스의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빔 프로세스는 DCI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빔 프로세스와는 상이할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E(402)는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로부터의 수신을 위한 다운링크 할당을 나타내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고, 이러한 할당은 각각의 안테나 포트를 통한 수신을 위한 적용 가능한 빔 프로세스의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전히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E(402)는, 업링크, 사이드링크 또는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을 통한 후속하는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각각의 안테나 포트를 통한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해 적용 가능한 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MAC 제어 엘리먼트 또는 RRC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빔 프로세스는 관련된 송신을 디코딩하기 위해 사용되는 빔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암시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적용 가능한 빔 프로세스는, 다운링크 물리적 제어 채널로부터 이러한 다운링크 송신을 나타내는 DCI를 디코딩하기 위해 사용되는 빔 프로세스에 대응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다운링크 송신은, 다운링크 물리적 데이터 채널, 제2 다운링크 물리적 제어 채널 또는 다운링크 신호 예컨대 DM-RS 또는 CSI-RS일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업링크 송신(예를 들면, 업링크 물리적 채널 또는 신호)에 대한 적용 가능한 빔 프로세스는, 이 업링크 송신을 나타내는 또는 트리거하는 DCI를 디코딩하기 위해 사용되는 빔 프로세스에 대응할 수도 있다. 특히: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에 관련되는 HARQ-ACK 피드백을 포함하는 업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적용 가능한 빔 프로세스는, 이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을 나타내는 DCI를 디코딩하기 위해 사용되는 빔 프로세스에 대응할 수도 있고; 및/또는 CSI 보고를 포함하는 업링크 제어(또는 데이터) 채널에 대한 적용 가능한 빔 프로세스는, 보고가 유도되는 기준 신호(들), 예를 들면, CSI-RS의 송신을 나타내는 DCI를 디코딩하기 위해 사용되는 빔 프로세스에 대응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다운링크 송신에 대한 HARQ-ACK를 포함하는 업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적용 가능한 빔 프로세스는, 다운링크 송신을 디코딩하기 위해 사용되는 빔 프로세스에 대응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랜덤 액세스 응답을 위한 적용 가능한 빔 프로세스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빔 프로세스에 대응할 수도 있다.
상기의 예에서, 빔 프로세스 사이의 대응성은, 프로세스 둘 모두가 동일하다는 것(예를 들면, 양방향 빔 프로세스의 경우), 또는 빔 프로세스 둘 모두가 상반성에 의해 관련된다는 것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몇몇 실시형태에서, 대응성은 물리적 또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UL 데이터 송신을 위한 적용 가능한 빔 프로세스는, 이 송신을 나타내는 DCI를 디코딩하기 위해 소정의 빔 프로세스가 사용되는 경우, RRC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상이한 네트워크 TRP로부터의 송신 및 수신을 허용할 수도 있는데, 이것은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최상의 노드가 고 전력 TRP일 수도 있고, 한편 업링크 송신을 위한 최상의 노드가 (더 가까운) 저전력 TRP일 수도 있는 이종 배치에서 유리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랜덤 액세스 응답에 대한 적용 가능한 빔 프로세스는, RACH 구성의 일부로서 그렇게 구성되는 디폴트 빔 프로세스(예를 들면, 무지향성 빔)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다수의 TRP로부터의 랜덤 액세스 응답의 동기화된 송신을 허용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대응성은, 예컨대 MAC 시그널링 또는 물리적 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해 더욱 동적으로 획득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한편으로는 제어 또는 데이터 수신을 위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예를 들면, 상이한 방향의 빔을 사용한) 상이한 빔 프로세스의 사용을 허용할 수도 있다. 이것은, 다운링크 수신을 위한 최상의 빔 프로세스가 업링크 송신을 위한 최상의 성능을 허용하는 빔이 아니도록, 소정의 빔 프로세스에 대한 구성된 최대 송신 전력이 다른 빔 프로세스에 대해 더 낮으면 유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은, 예를 들면, 몇몇 빔 프로세스에 다른 것보다 더 많이 영향을 미치는 SAR 요건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예를 들면, UE(402)는, 적어도 하나의 빔 프로세스 동안 전력 관리 최대 전력 감소(power management maximum power reduction; P-MPR)의 변화에 의해 트리거되는 전력 헤드룸 보고(들)의 송신에 의해 네트워크에게 상이한 구성된 최대 송신 전력을 통지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빔 프로세스는 송신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 및/또는 주파수 리소스에 기초하여 암시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리소스와 빔 프로세스 사이의 대응성은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빔 프로세스는, 송신 또는 수신이 발생하는 물리적 채널 또는 신호 타입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빔 프로세스는, 송신이 제어 정보(예를 들면, 업링크 또는 사이드링크)로 구성되는지 또는 상위 레이어 데이터로 구성되는지의 여부, 또는 송신이 (예를 들면, 사이드링크 송신의 경우) 멀티캐스트인지 또는 유니캐스트인지의 여부와 같은, 송신의 타입 및/또는 내용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스케줄링 요청의 송신은, 일차 빔 프로세스와 같은 특정한 빔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빔 프로세스에 대해 다수의 빔을 유지하는 경우, 어떤 빔 아이덴티티가 특정한 송신에 적용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에서 설명되는 것과 유사한 실시형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복조 기준 신호의 생성을 위해 사용되는 시퀀스는 빔 프로세스에 고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퀀스는, 빔 선택 또는 빔 사운딩 기준 신호에 대한 시퀀스의 생성을 위해 사용되는 아이덴티티 파라미터와 매치하는 아이덴티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빔 대응성 결정
몇몇 실시형태에서, UE(402)는, 적어도 하나의 쌍의 송신 빔 및 수신 빔에 대해,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빔(송신 빔 또는 업링크 빔)과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빔(수신 빔 또는 다운링크 빔) 사이의 대응성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대응성이 결정되면, UE(402)는, UE(402)로부터의 제1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송신 빔이 제2 송신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신 빔에 대응하는 송신 빔이다는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수신 빔은, 제2 송신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때 신호 강도 또는 품질을 최대화하는 수신 빔에 대응할 수도 있다. 다음 단락은 이러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미리 결정된 또는 정적 빔 대응성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빔 대응성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매핑에 따라 모든 송신 및 수신 빔의 적어도 서브세트에 대해 미리 결정될 수도 있다. 매핑은, 교정 또는 테스팅 프로시져의 일부로서 수행될 수도 있다. 매핑은, 송신 빔과 그것의 대응하는 수신 빔 사이의 방사 패턴(또는 그 속성, 예컨대 이득이 최대화되는 방향)에서의 차이가 최소화되는 그러한 것일 수도 있다. 매핑은 또한, 송신 및 수신 빔에 대해 사용되는 프리코딩 가중치가 동일한 또는 대략적으로 동일한 값을 갖는 그러한 것일 수도 있다.
동적 빔 대응성 상태
몇몇 실시형태에서, 송신 빔과 수신 빔 사이의 빔 대응성은, 구현 조건(예를 들면, TX 및 RX RF 경로에서의 차이) 및/또는 동작 조건(예를 들면, 온도 변화, 기준 클록 위상 드리프트)으로 인해 일관되게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고, 그 결과 빔 대응성의 결정은 동적이다.
동적 빔 대응성 상태는 상태 내(in-state) 및 상태 밖(out-of-state)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빔 대응성 상태는, 개개의 빔, 빔 타입, 빔 클래스, 빔 그룹, 또는 안테나 패널 또는 빔의 세트, 빔 타입들, 빔 클래스들, 빔 그룹들 또는 안테나 패널들에 고유할 수도 있다. UE(402)는 빔 대응성 업데이트 주기를 가지고 구성될 수도 있고, 업데이트 구성에 따라 주기적으로 빔 대응성을 평가 및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UE(402)는, 네트워크로부터 L1 제어 또는 상위 레이어(MAC, RRC)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빔 대응성 상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UE(402)는, 다음 프로시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는 미리 정의된 이벤트시 빔 대응성 업데이트를 트리거할 수도 있다:
- 새로운 빔, 빔 타입, 빔 클래스, 빔 그룹, 또는 안테나 패널의 재구성;
- RACH 프로시져 동안 또는 그 끝에서, 예를 들면, Msg1 및/또는 Msg3 송신에 업데이트 프로시져 단계를 통합하는 것에 의해; 또는
- UL 빔 관리 프로시져의 구성. 네트워크는, 빔 대응성 상태에 따라 UL 빔 관리가 구성될 수도 있는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빔 대응성 상태가 상태 내인 경우, 네트워크는 어떠한 이러한 프로시져, 예를 들면, U1, U2 또는 U3도 구성할 수 없을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UE(402)는, 송신 빔 및 대응하는 수신 빔 방사 패턴을 평가하는 것 및 피크 로브 방향, 3-dB 메인 로브 폭, 사이드 로브 방향, 사이드 로브 폭, 사이드 로브 억제 비율, 등등과 같은 패턴 파라미터를 비교/상관시키는 것에 의해, 빔 대응성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비교 및 평가 기준은 미리 정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UE(402)는 빔 대응 업데이트 프로시져를 사용하여 빔 대응성을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UE(402)는 다음 액션을 수행할 수도 있다:
- 업링크 송신 빔의 세트에 기초한 업링크 빔 스위핑을 사용하여 빔 고유의 기준 신호, 예를 들면, SRS를 송신함;
- 업링크 송신 빔에 대응하는 모든 수신 빔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함, 여기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는 최상의 업링크 송신 빔 아이덴티티, 예를 들면, 빔 인덱스 또는 SRS 리소스 표시(SRS resource indication; SRI)를 포함할 수도 있음;
- (예를 들면, UE(402)가 두 개의 다운링크 빔의 중간에 위치되는 경우) 하나의 수신 빔 또는 다수의 수신 빔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최상의 수신 빔이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서 수신되는 업링크 송신 빔 아이덴티티에 대응할 수도 있는지를 검증함;
- 빔 대응성을, 검증 결과가 매치하면 상태 내로 검증 결과가 매치하지 않으면 상태 밖으로 결정함; 그리고
- 업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빔 대응성 상태를 보고함.
다른 실시형태에서, UE(402)는 다음 액션을 수행할 수도 있다:
- 예를 들면, (예를 들면, SS 블록에 기초하여) 최상의 다운링크 빔에 대응하는 업링크 빔에서 SRS를 통해, 빔 고유의 기준 신호를 사용하여 제1 송신에서 송신함, 여기서 SRS 리소스/시퀀스는 최상의 SS 블록의 표시를 반송할 수도 있음;
- 빔 고유의 신호, 예를 들면, 제1 송신에서 사용되는 것을 포함하는 SRS를 갖는 업링크 송신 빔의 세트에 기초한 업링크 빔 스위핑을 사용하여 제2 송신을 송신함; 그리고
- 네트워크에 의한 다운링크 L1 제어 시그널링에서 빔 대응성 상태 내 또는 상태 밖 표시를 수신함.
이 실시형태의 경우, 네트워크는, 제1 SRS가 제2 송신에서 수신되는 최상의 SRS와 동일한지를 검증하는 것에 의해, 빔 대응성 상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는, 제1 및 제2 UE 송신 둘 모두에서 표시된 최상의 SS 블록에 대응하는 수신 빔을 사용할 수도 있다는 것을 주목한다.
UE(402)는, UE 빔 대응성 상태가 상태 밖인 경우 UL 빔 관리 프로시져(U1/U2/U3)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실시형태의 경우, UE(402)는 업링크와 다운링크 빔 사이의 명시적인 관련화를 가지고 구성될 수도 있다.
UE(402)는, UE 빔 대응성 상태가 상태 내인 경우 UL 빔 관리 프로시져 없이 다운링크 빔에 기초하여 업링크 빔을 선택하기 위한 표시를 L1 제어 시그널링 또는 상위 레이어 전용 신호에서 수신할 수도 있다. 이 실시형태의 경우, UE(402)는 암시적 업링크 및 다운링크 빔 관련화를 유지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UE(402)는 네트워크로부터의 표시에 기초하여 빔 대응성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예를 들면, 빔 대응성이 네트워크 측에서 이미 존재하는 경우에 적용 가능할 수도 있다. UE(402)는, 적어도 하나의 빔(예를 들면, 빔 스윕)에 대한 빔 고유의 기준 신호(예를 들면, SRS)의 시퀀스를 먼저 송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송신은 물리적 레이어 또는 상위 레이어에서 네트워크로부터의 시그널링에 의해 트리거될 수도 있다. UE(402)는, 소정의 다운링크 송신 빔에 대응하는 CSI-RS(또는 CSI-RS 표시자)의 표시와 함께, 예를 들면, SRS 표시자를 사용하여, 송신 빔의 표시를 후속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표시는, 물리적 레이어 시그널링(다운링크 제어 정보), MAC 시그널링(MAC 제어 엘리먼트), 또는 RRC 메시지의 동일한 인스턴스에 포함될 수도 있다. 표시는, 소정의 시간에 CSI-RS가 송신될 것이다는 표시와 결합될 수도 있다. 표시된 CSI-RS를 수신하면, UE(402)는 신호 품질을 최대화하는 수신 빔을 결정할 수도 있다. UE(402)는, 이 수신 빔과 네트워크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SRS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송신 빔 사이에 빔 대응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전력 제어 - 개 루프 컴포넌트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송신 전력은 송신에 적용 가능한 빔 프로세스에 의존할 수도 있다.
송신 전력은 다운링크 기준 신호에 대해 취해지는 경로 손실 측정치의 함수일 수도 있다. 이러한 다운링크 기준 신호는, 빔 경로 손실 기준 신호로 칭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빔 경로 손실 기준 신호에 대한 리소스는, 각각의 빔 프로세스에 대해 독립적으로 할당될 수도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빔 경로 손실 기준 신호는, 빔 선택 기준 신호와 매칭할 수도 있다. 경로 손실 측정치(PL)는, 현재의 빔을 적용할 때 기준 송신 전력(Pref)과 수신 신호 전력(Pr) 사이의 차이(dB 단위 항목)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빔은 적어도 상반적인 양방향 빔 프로세스에 대한 수신 빔일 수도 있고, 상반성에 의해 송신 빔 프로세스와 관련되는 수신 빔 프로세스에 대응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빔은, 무지향성 빔 또는 디폴트 빔과 같은 미리 정의된 빔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UE는 추정된 경로 손실을 최소화하는 또는 수신된 신호를 최대화하는 수신 빔 또는 빔 프로세스를 선택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경로 손실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수신 빔은 시그널링으로부터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수신 빔 또는 UE(402)가 디폴트 빔 프로세스를 사용해야 하는지 또는 빔 프로세스를 선택해야 하는지의 여부가 시스템 정보로부터 시그널링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예를 들면, PRACH 송신을 위한 송신 전력 및 경로 손실 추정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경로 손실 측정은, 측정을 취하기 위해 사용되는 빔의 이득 또는 지향성(Gb)에 의해 조정될 수도 있다.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경로 손실 측정치(PL)는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도 있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Pref 및 Pr은 dBm 단위일 수도 있고, 한편 PL 및 Gb는 dB 단위일 수도 있다. 이 조정은, 경로 손실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빔과 후속하는 송신에서 사용되는 빔 사이의 이득(또는 지향성)에서의 임의의 차이의 적절한 보상을 허용할 수도 있다. 이 후자의 경우, 이득 Gb'를 갖는 빔에 대한 송신 전력은 (PL - Gb')의 함수로서 설정될 수도 있는데, 여기서 PL 및 Gb'는 dB 단위이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경로 손실 측정치(PL)는 조정되지 않을 수도 있고 (Pref - Pr)와 동일할 수도 있지만, 그러나 송신 전력은 PL + Gb - Gr의 함수로서 설정될 수도 있다.
전력 제어 - 폐 루프 컴포넌트
UE(402)는, 소정의 송신에 적용되는 전력에 대한 조정을 수행하기 위한 시그널링(송신 전력 제어(TPC) 커맨드)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조정은, 빔 단위 프로세스 기반으로 누적될 수도 있다(특정한 빔 프로세스가 적용되는 모든 후속 송신에 적용됨). 빔 프로세스는, TPC 커맨드와 함께 명시적으로 식별될 수도 있거나, 또는 TPC 커맨드가 적용되는 송신에 대응하는 빔 프로세스에 암시적으로 기초할 수도 있다. 조정 단계의 값은 또한, 각각의 빔 프로세스에 대해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력 제어 구성 최대 전력(Pcmax)
몇몇 실시형태에서, UE(402)는 적어도 최대 전력 감소 파라미터(예를 들면, MPR, A-MPR 또는 P-MPR)에 기초하여 각각의 빔 프로세스에 대해 구성된 최대 전력(예를 들면, Pcmax)을 적용할 수도 있는데, 여기서 Pcmax 및 최대 전력 감소 파라미터는 빔 프로세스 사이에서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것은, 전자파 인체 흡수율(SAR)의 빔 고유의 전력 관리 MPR(P-MPR) 값에 기인할 수도 있다.
구성된 최대 이득 또는 구성된 최대 EIRP
몇몇 실시형태에서, UE(402)는 안테나 구성을 고려하여 최대 가능한 이득에 대해 빔의 이득을 제한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은, 예를 들면, UE(402)가 전자파 인체 흡수율 요건을 충족하도록 동작할 때 발생할 수도 있다.
구성 파라미터는, 예를 들면 EIRP, 최대 이득(Gmax) 및 최대 지향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파라미터는, UE 안테나 어레이 빔포밍 구성 및 성능에 관한 UE(402) 성능 보고에 기초할 수도 있다. eNB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파라미터를 구성할 수도 있다. 다른 솔루션에서, UE(402)는 최대 이득 또는 지향성을 자율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UE(402)는 빔 프로세스 단위 기반으로 Pcmax 및 최대 이득 파라미터 둘 모두를 사용하여 EIRP를 최대화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Gmax 파라미터는, 빔 프로세스와 관련되는 물리적 채널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물리적 레이어 업링크 제어 채널에서의 업링크 제어 정보(UCI) 송신을 위한 빔 프로세스는 명시되는 더 낮은 Gmax를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UE는 넓은 빔폭을 가지고 빔 프로세스에서 UCI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이점은 UCI 송신의 신뢰성 및 견고성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UE는, 빔 프로세스마다, 활성적으로 적용된 빔포밍 이득과 구성된 최대 이득 사이의 오프셋을 보고할 수도 있다. 차이는, 예를 들면, SAR에 의해 야기되는 MPR에 의해 야기될 수도 있다. eNB는 Gmax 오프셋을 수신할 수도 있고 관련된 빔 프로세스에 대한 업링크 빔 재선택 프로시져를 트리거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eNB가, 빔 프로세스를 위해 사용된 빔폭 및 빔포밍 이득에 기초하여 업링크 수신을 유연하게 조정하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다.
상이한 TRP에 연결되는 동시적 빔 프로세스의 전력 할당
UE(402)는 이동성 이벤트에서 상이한 TRP와 관련할 그리고 상이한 TRP에 송신할 빔 프로세스를 추가할 수도 있다. 관련화는 새로운 TRP에 고유한 업링크 빔 전력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UE(402)는, 업링크 SINR 타겟 및 TRP 기준 신호 전력을 포함하는 새로운 TRP의 전력 제어 구성 파라미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UE(402)는 또한 파형의 새로운 TRP의 구성 및 뉴머롤로지(numerology)를 수신할 수도 있고 그에 따라 요구되는 초기 전력 및 전력 스텝을 유도할 수도 있다.
UE는 관련된 빔 프로세스에 대해 계산되는 전력 헤드룸 정보를 새로운 TRP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계산은, UE(402)에 의해 유지되는 모든 활성 빔 프로세스의 모든 동시적 송신의 송신을 고려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력 헤드룸은, 빔 프로세스 아이덴티티 및 그것의 대응하는 전력 헤드룸 값에 대한 필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TRP가 동기화되는 실시형태에서, 송신은 동일한 주파수 리소스를 통해 코드 멀티플렉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UE(402)는, 전력 송신 성능을 용이하게 하고 최대화하기 위해, TRP가 동기화되지 않으면 또는 주파수 간 또는 대역 간으로 배치되는 경우, 하나의 TRP 링크 상에서 갭을 가지고 구성될 수도 있다. 이것은, 동기화되지 않은 TRP(예를 들면, FDD 경우)에서 이동성 이벤트 동안 유용할 수도 있다.
갭은, 예를 들면, 현재 링크(들) 품질에 기초하여 UE 시그널링 이벤트시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들 갭 패턴은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도 있고 UE(402)가 측정치를 보고하도록 하는 목표를 가지고 한정된 지속 기간을 가질 수도 있고, 그 다음, 네트워크는 어떤 TRP를 사용할지를 결정할 수도 있고, 스케줄링을 위한 소정의 TRP 상에서 UE가 소정의 제어 채널의 모니터링을 시작할 수 있다는 구성 메시지 또는 표시 또는 적절한 파라미터를 갖는 UL 송신 시작 지점에 대한 표시를 전송할 수도 있다.
UE(402)는, 1 보다 더 많은 트랜스시버 체인 성능을 갖는 경우, 구성된 갭에 의존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특정한 경우에, 동기식 또는 비동기식 수신/송신이 이용 가능할 수도 있고, 한편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목표 TRP 측정 표시로 감소될 것이고 UE(402)로부터 측정 보고를 수신한 이후 목표 TRP(들)를 나타낼 것이다. 목표 TRP 측정 구성은, 품질 임계치 UE(402) 트리거 보고에 기초한 트리거된 메시지일 수도 있다. 이 상황에서 출력 전력은, 이들 UL 송신 사이에서 캐리어 집성 또는 이중 연결성 Pcmax 정의와 유사한 방식으로 공유된다. 그러나, 전력 공유가 양호한 결과가 아닌 배치 고유의 상황이 발생하면, 네트워크는, 목표 TRP와의 동시적 연결을 허용하기 위해, 서빙 TRP 상에서 갭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갭 결정은 UE(402)로부터의 보고된 측정치에 기초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경로 손실 추정치는 서빙하는 것을 유지하면서 타겟 TRP UL에 대한 가능한 스케일링을 나타낼 수도 있다.
빔 프로세스를 위한 송신 타이밍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송신의 타이밍은 적용 가능한 빔 프로세스에 의존할 수도 있다. UE(402)는, 빔 타이밍 기준 신호로 칭해질 수도 있는 다운링크 수신 신호의 타이밍에 기초하여 송신의 타이밍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빔 타이밍 기준 신호에 대한 리소스는, 각각의 빔 프로세스에 대해 독립적으로 프로비저닝될 수도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빔 타이밍 기준 신호는, 빔 선택 기준 신호와 동일할 수도 있다.
UE(402)는, 빔 타이밍 기준 신호의 타이밍으로부터 적용할 타이밍 어드밴스 또는 조정에 기초하여 송신의 타이밍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타이밍 어드밴스 또는 조정은, 타이밍 조정 커맨드와 같은 물리적 레이어, MAC, 또는 RRC 시그널링으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타이밍 조정은 빔 프로세스에 고유할 수도 있고, 특정한 빔 프로세스가 적용되는 모든 후속 송신에 적용될 수도 있다. 빔 프로세스는, 타이밍 조정 커맨드와 함께 명시적으로 식별될 수도 있거나, 또는 타이밍 조정 커맨드가 적용되는 송신에 대응하는 빔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암시적으로 식별될 수도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시간 정렬 타이머는, 각각의 빔 프로세스에 대해, 어쩌면 이 빔 프로세스에 고유한 값을 가지고 구성될 수도 있다. 빔 프로세스에 대한 시간 정렬 타이머는, 타이밍 조정 커맨드가 이 빔 프로세스를 위해 수신될 때마다 다시 시작될 수도 있다. UE(402)는, 이 빔 프로세스에 대한 시간 정렬 타이머가 실행 중인 경우에만(만료되지 않은 경우에만) 빔 프로세스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허용될 수도 있다.
준 병치 가정(quasi-co-location assumption)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빔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을 수신하는 UE(402)는, 빔 프로세스에 관련되는 기준 신호가 송신되는 안테나 포트가, 적어도 하나의 장기간 채널 속성(예컨대, 타이밍, 지연 확산, 또는 도플러 확산)에 대해,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이 송신되는 안테나 포트(들)와 준 병치된다는 것을 가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준 신호는, 빔 프로세스에 관련되는 빔 선택 기준 신호에 대응할 수도 있다.
빔 프로세스별 채널 상태 정보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E(402)는 빔 프로세스 단위 기반으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할 수도 있다. UE(402)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및 적어도 하나의 간섭 측정(interference measurement; IM) 리소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신호에 대한 리소스는 각각의 빔 프로세스에 대해 독립적으로 프로비저닝될 수도 있다. 특정한 빔 프로세스의 현재 빔을 사용하여 측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운링크 제어 정보의 인스턴스와 같은 물리적 레이어 시그널링은, 빔 프로세스 및 어쩌면 현재 빔을 식별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는 다음의 정보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CSI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요청, 측정된 CSI 보고(reporting measured CSI)에 대한 요청, CSI-RS에 대한 리소스 할당, 또는 간섭 측정을 위한 리소스 할당.
빔 프로세스 동기화 상태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동기화 상태는 빔 프로세스에 관련될 수도 있다. UE(402)는, 동기화 타이머가 실행 중인 경우 및/또는 최신 빔 선택 프로시져가 성공적으로 완료된 경우, 빔 프로세스가 "동기화된" 상태에 있다는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동기화 타이머는, 적어도 하나의 전류 빔으로 귀결되는 빔 프로세스의 빔 선택 프로시져의 성공적인 완료시 재시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타이머의 지속 기간은 상위 레이어에 의해 또는 프로세스 단위 기반으로 미리 정의될 수도 있거나 또는 구성될 수도 있다. 빔 선택 프로시져가 개시되었고 실패한 것을 UE(402)가 검출하면, UE는 동기화 타이머를 정지시킬 수도 있다.
UE(402)는, UE(402)가 적어도 하나의 빔에 대한 레벨 또는 품질보다 위의 신호를 측정한 경우, 또는 빔 사운딩 기준 신호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다는 표시를 UE(402)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경우, 빔 선택 프로시져는 성공적이었다는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UE(402)는, 빔 프로세스가 "동기화된" 상태에 있는 경우에만, 또는 적용 가능한 동기화 타이머가 실행 중인 동안에만, 빔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송신을 수행하도록 허용될 수도 있다.
빔 프로세스 프로시져
빔 생성 프로시져
다음의 단락에서 설명되는 프로시져는 초기(또는 일차) 빔 프로세스를 생성하기 위해 및/또는 초기 빔 프로세스를 동기화하기 위해, 추가적인 빔 프로세스를 생성하기 위해, 또는 빔 프로세스를 삭제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UE(402)는 초기에 빔 프로세스를 가지지 않을 수도 있거나 또는 동기화된 상태가 아닌 디폴트 빔 프로세스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은, 예를 들면, 시스템에 최초로 액세스하기 이전에 또는 어떠한 빔 프로세스도 동기화된 상태에 있지 않다는 것을 결정한 이후 발생할 수도 있다. 초기 빔 프로세스(또는 디폴트 빔 프로세스의 동기화)의 생성은, 초기 시스템 액세스의 일부로서 발생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E(402)는, 시그니쳐 시퀀스 및/또는 이동성 기준 신호에 대해 취해지는 측정에 기초하여 그리고 브로드캐스트될 수도 있는 랜덤 액세스 구성에 기초하여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를 개시할 수도 있다. UE(402)는, 프리앰블 그룹 중의 프리앰블과 같은 신호를 랜덤하게 선택할 수도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프리앰블 그룹은 UE(402)의 빔포밍 능력에 의존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리앰블의 송신은, 매우 넓은 빔 또는 거의 무지향성 빔과 같은 디폴트 빔을 사용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프리앰블의 송신은, UE(402)가 이용 가능한 신호에 대해 취해지는 측정에 대한 빔을 결정할 수도 있다면 빔을 사용할 수도 있다.
UE(402)는 적어도 하나의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하려고 시도할 수도 있고, 어쩌면, 이러한 수신이 어떤 시간 윈도우 내에서 발생하지 않으면, 더 높은 전력 레벨에서 프리앰블을 재송신할 수도 있다. UE(402)는, 결국, 적어도 하나의 랜덤 액세스 응답을 디코딩할 수도 있고 하나의 이러한 응답을 선택할 수도 있다. 각각의 이러한 응답은, 적어도, 빔 프로세스에 적용 가능한 구성 및 리소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응답은 다음의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빔 선택 기준 신호를 위한 리소스; 빔 사운딩 기준 신호를 위한 리소스; 타이밍 어드밴스 조정; 빔 프로세스 아이덴티티; 및 전력 제어(예컨대, 기준 송신 전력)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전력 제어를 위한 파라미터가 제공되지 않으면, 이 파라미터는 랜덤 액세스 구성의 일부로서 브로드캐스팅되는 값을 사용할 수도 있다.
랜덤 액세스 응답은, 업링크 물리적 채널을 통한 초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다른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빔 선택 기준 신호에 대한 리소스는, 랜덤 액세스 응답에 후속하는 시간 오프셋 이후에 발생하는 여러 개의 심볼을 점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랜덤 액세스 응답은 랜덤 액세스 응답에서 시그널링될 수도 있거나 또는 미리 정의될 수도 있다. UE는 이러한 리소스를 측정하여 수신(또는 현재 빔)에 대한 최상의 빔을 결정할 수도 있다. UE가 하나보다 더 많은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 경우, UE(402)는 하나보다 더 많은 대응하는 빔 사운딩 기준 신호 리소스를 측정할 수도 있고, 모든 응답 중 적어도 측정된 신호 품질 또는 레벨에 기초하여 후속하는 송신에 대해 어떤 랜덤 액세스 응답을 따를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UE(402)는 빔 사운딩 기준 신호 리소스를 통한 송신을 위해 (선택된 랜덤 액세스 응답의 빔 선택 기준 신호에 대해) 현재의 빔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리소스는 통상적으로 빔 선택 기준 신호 리소스에 대해 사용되는 마지막 심볼 다음의 어떤 시간 오프셋 이후에 발생하는 여러 개의 심볼을 점유할 수도 있다. 빔 사운딩 기준 신호 리소스를 통한 송신은 네트워크가 송신/수신 포인트(TRP)에서 최상의 빔을 결정하는 것을 허용한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E(402)는 수신이 성공적이었다는 표시를 빔 사운딩 기준 신호의 송신 다음에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면, 프로시져를 진행할 수도 있다. 업링크 물리적 채널 및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을 통한 후속하는 송신 및 수신은, 빔 선택 기준 신호의 측정으로부터 결정되는 현재 빔을 사용할 수도 있다. 현재 빔의 추가적인 개선(refinement)이 네트워크에 의해 후속하여 개시될 수도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E(402)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 복조 기준 신호의 생성을 위해 빔 선택 기준 신호 및 빔 사운딩 기준 신호 리소스에 대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활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파라미터는 시퀀스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별 파라미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E(402)는 새로운 빔 프로세스의 생성을 위해 물리적(또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으로부터 표시를 수신할 수도 있다. 표시 그 자체는 현존하는 빔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수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표시는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를 트리거하는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새로운 빔 프로세스를 위한 리소스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후속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에서 제공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표시는 새로운 빔 프로세스에 대한 리소스를 직접적으로 할당할 수도 있고 빔 선택 및 빔 사운딩 기준 신호 각각을 통해 수신 및 송신을 직접적으로 트리거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적용 가능한 타이밍 어드밴스는 표시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현존하는 빔 프로세스와 동일할 수도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E(402)는 현존하는 빔 프로세스의 삭제를 위해 물리적(또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으로부터 표시를 수신할 수도 있다. UE(402)는 빔 프로세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측정은 UE(402)가 빔 프로세스 내에서 최상의 빔을 식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UE(402)는 빔 프로세스 구성(현재 빔) 내에서 빔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UE(402)는 다른 빔의 서브세트(어쩌면 하기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은 빔 그룹 내의 빔)과 함께 그 빔을 사용하여 측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측정은 주기적일 수도 있고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측정은 비주기적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UE(402)는, 어쩌면 그 빔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송신을 통해, 자신의 서빙 TRP에 의해 이러한 측정을 수행하도록 트리거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UE는 빔 프로세스와 관련되는 빔에 대해 수행되는 측정에 의해 빔 그룹을 통해 이러한 측정을 수행하도록 트리거될 수도 있다.
이러한 측정을 취할 때, UE(402)는 새로운 빔이 TRP/셀/eNB로부터의/TRP/셀/eNB로의 수신(및 어쩌면 송신)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UE(402)는 새로운 빔을 포함하도록 빔 프로세스를 자율적으로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UE(402)는 또한, UE(402)가 자신의 빔을 변경했다는 것을 (예컨대 빔 프로세스 그 자체를 사용하는 송신을 통해) 네트워크에게 나타낼 수도 있다. 이것은, 네트워크가, 자기 자신의 빔이 여전히 새로운 UE 빔에 가장 적합한지를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새로운 빔이 빔 프로세스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는 것을 결정하면, UE(402)는 네트워크에게 새로운 빔 선택 프로시져를 시작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UE(402)에게 새롭게 결정된 빔을 사용할 것을 요구할 수도 있거나 또는 요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동성 관련 양태
빔의 세트(빔 그룹 내의 빔)에 대한 측정을 트리거할 때, UE(402)는 빔 프로세스 내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빔을 발견하지 못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UE(402)는, 빔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원래의 빔 프로세스 구성에 대한 측정에 기인하여 튜닝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결론은, 측정치가 임계 값보다 더 작은 것에 기초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UE(402)는, 빔 프로세스를 계속 사용하기 이전에, 빔 프로세스 내에서 사용할 다른 빔을 찾도록 지시받을 수도 있다. UE(402)가 빔 그룹 내에서 다른 빔을 획득하는 데 실패하면, 그것은 다음의 액션 중 적어도 하나를 행할 수도 있다: 다른 빔 그룹에서 또는 어쩌면 동일한 빔 클래스에서 빔에 대한 검색을 계속하는 것; 이전에 선택된 빔과 중첩하는 빔 클래스 또는 다른 빔 클래스에서 빔에 대한 검색을 계속하는 것; 또는 빔 프로세스에 대한 무선 링크 실패(radio link failure; RLF) 또는 빔 링크 실패(beam link failure; BLF)를 선언하는 것. RLF가 이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곳에서, 그것은 BLF를 또한 포함한다.
UE(402)가 빔 프로세스에 대한 RLF를 결정하면, 그것은 적어도 하나의 서빙 TRP에게 이러한 상황을 나타낼 수도 있다. UE(402)가 동작하는(예컨대 비 RLF) 빔 프로세스와 함께 여전히 구성되면, UE(402)는 RLF를 겪은 빔 프로세스의 아이덴티티를 TRP에게 나타낼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UE(402)는 표시를 반송하기 위해 업링크 빔 복구 송신을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빔 복구 송신에서, UE(402)는 UE 무선 링크를 유지하기 위해 타겟 빔 프로세스, 예를 들면 동작하는(예를 들면, 비 RLF) 빔 프로세스로의 스위칭을 요청할 수도 있다. UE(402)는 빔 복구 송신을 위해 미리 구성된 시간/주파수/코드/빔 리소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UE(402)는 동작(예를 들면, 비 RLF) 빔 프로세스와 관련되는 업링크 송신 빔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UE(402)는 디폴트 UL 빔 상에서 빔 복구 송신을 송신할 수도 있다. 빔 복구 송신은, 수신기에서의 빔 스위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수의 심볼, 슬롯, 또는 송신에 걸쳐 반복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UE(402)는, 모든 구성된 빔 프로세스와 관련되는 업링크 빔을 사용하여 업링크 빔 스위핑의 방식으로 빔 복구 송신을 송신할 수도 있다. UE(402)는 다운링크 L1 제어 시그널링에서 스위치 커맨드를 모니터링 및 수신할 수도 있다. 스위치 커맨드는 디폴트 빔 쌍 링크(예를 들면, 또한 무지향성일 수도 있는 와이드 빔, Tx 및 Rx 빔 쌍) 상에서 UE(402)에 의해 수신될 수도 있다. 스위치 커맨드는, UE(402)가 빔 획득을 수행할 수도 있는 리소스를 나타낼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스위치 커맨드는 다가오는 송신에 대해 사용할 하나 또는 다수의 BPL을 UE(402)에게 명시적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UE(402)는 스위치 타겟 빔 프로세스와 관련되는 다운링크 빔에 대한 다운링크 L1 제어 시그널링에서 스위치 커맨드를 모니터링 및 수신할 수도 있다.
UE가 어떠한 동작하는 빔 프로세스도 더 이상 가지지 않으면(예를 들면, UE가 단일의 빔 프로세스와 함께 구성되고 그 빔 프로세스가 RLF를 겪은 경우), UE는 새로운 초기 빔 프로세스 획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E는 마스터 또는 일차 빔 프로세스와 함께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빔 프로세스에 대한 RLF의 선언은, 새로운 초기 빔 프로세스 획득을 수행하도록 UE를 트리거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모든 현존하는 빔 프로세스를 제거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 동안, UE(402)는, 네트워크에게, RLF가 하나의(예컨대 마스터 또는 일차) 빔 프로세스 상에서 발생했는지 또는 모든 빔 프로세스 상에서(예컨대, 그 TRP/셀/eNB에 결부되는 모든 빔 프로세스 상에서)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나타낼 수도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초기 빔 프로세스 획득은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UE(402)는 빔 프로세스 (재)획득을 위해 비경쟁 기반의 RA를 수행하기 위한 리소스 및/또는 프리앰블 값을 가지고 미리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UE는 제2 TRP/셀/eNB에 대한 연결성을 가질 수도 있다. 제2 TRP/셀/eNB는, UE에게, 어쩌면 제1 TRP/셀/eNB의 하나의 또는 모든 빔 프로세스 상에서 RLF를 선언할 때, 비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랜덤 액세스 리소스(또는 프리앰블)를 제공할 수도 있다.
UE(402)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성 기준 신호(mobility reference signal; MRS)에 대한 측정을 유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동성 기준 신호는 TRP마다, 또는 각각의 TRP에 대한 직교 리소스 상에서 송신될 수도 있다. 이동성 측정은 특정 빔 프로세스(예컨대, 이러한 측정을 위해 전용되는 빔 프로세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UE(402)는 새로운 빔 프로세스를 추가할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결정은 다음에 의해 트리거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새로운 빔 프로세스를 획득할 가능성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MRS에 대한 측정; 수신 또는 송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UE(402)에 의한 결정; UE의 위치; 또는 TRP/셀/eNB와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빔 프로세스 상에서의 RLF. UE(402)는, 새로운 빔 프로세스의 추가와 함께 오는 증가된 다이버시티를 통해 수신 또는 송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E(402)는, 새로운 빔 프로세스가 CoMP와 유사한 송신 및 수신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는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위치와 관련하여, UE(402)는 상이한 TRP에 대한 자신의 위치를 저장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새로운 빔 프로세스가 새로운 TRP로부터 요구될 수도 있다는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새로운 빔 프로세스의 추가의 결정시, UE(402)는, 취해지는 측정 또는 하나 이상의 새로운 빔 프로세스를 추가하기 위한(또는 현존하는 빔 프로세스를 새로운 빔 프로세스로 대체하기 위한) 명시적인 표시를, 네트워크에게, 나타낼 수도 있다. 이 표시는 빔 프로세스 획득을 위한 새로운 프로시져를 개시할 수도 있다.
UE(402)가 다른 빔 프로세스를 제거하지 않고 새로운 빔 프로세스를 추가할 수도 있다면(예컨대 미사용 TRX 체인이 남아 있다면), UE(402)는 새로운 빔 프로세스가 현존하는 빔 프로세스의 목록에 추가될 수도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는 UE의 빔 프로세싱 능력을 통지받을 수도 있고, 이전의 빔 프로세스를 제거하지 않고도 빔 프로세스의 추가를 시작할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E(402)는, 현존하는 빔 프로세스를 제거하지 않고도 또는 현존하는 빔 프로세스의 파라미터를 적어도 수정하지 않고도, 새로운 빔 프로세스를 추가하는 자신의 능력을 네트워크에게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UE(402)는, 새로운 빔 프로세스를 추가하기 위한 요청을, 현존하는 빔 프로세스에게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UE(402)는, 현존하는 빔 프로세스가 시간 리소스의 서브세트에 대해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UE(402)는 이러한 시간 리소스 제한을 위해 사용할 빔 프로세스(들)의 세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UE(402)는, 어쩌면 새로운 TRP/셀/eNB에게, 새로운 빔 프로세스를 위해 어떤 시간 리소스를 구성할지를 나타낼 수도 있다. 새로운 빔 프로세스는 시간 리소스의 직교 세트에 대해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구성 변경은, 이전에 구성된 빔 프로세스와의 새로운 빔 프로세스의 공존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UE(402)는 빔 프로세스의 세트를 유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세트의 엘리먼트는, 동시에 사용될 수도 있는 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세트는, UE(402) 또는 TRP/셀/eNB의 TRX 체인의 최대 수보다 더 적은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빔 프로세스는 하나보다 더 많은 세트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UE(402)는, 시간 제한이 없는 제1 빔 프로세스, 시간 리소스의 제1 세트에 적용 가능한 제2 빔 프로세스, 및 시간 리소스의 제1 세트에 직교하는 시간 리소스의 제2 세트에 적용 가능한 제3 빔 프로세스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UE(402)는, 제1 및 제2 빔 프로세스를 갖는 빔 프로세스의 제1 세트를 유지할 수도 있고, 제1 및 제3 빔 프로세스를 갖는 빔 프로세스의 제2 세트를 유지할 수도 있다. 이전에 구성된 빔 프로세스 및 새로운 빔 프로세스에 대한 시간 제한은, 네트워크에 의해 추가적으로 재구성될 때까지 또는 UE(402)가 하나 이상의 빔 프로세스에 대한 파라미터의 변경을 요청할 때까지, 그대로 유지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이동성 이벤트의 트리거시, UE(402)는 하나의 빔 프로세스(또는 모든 빔 프로세스)가 시간 리소스의 미리 구성된 세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는 것을 가정할 수도 있다. 하나의 빔 프로세스는 마스터 빔 프로세스일 수도 있거나, 또는 시간 리소스는 빔 프로세스 ID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UE는, 기존의 빔 프로세스를 위해 사용되는 시간 리소스에 직교하는 시간 리소스에 대해 빔 프로세스 획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동성 이벤트의 완료시, UE(402)는 모든 시간 리소스에 대해 새로운 빔 프로세스가 유효하다고 가정할 수도 있고, 이동성 이벤트 동안 제한되는 이전에 구성된 빔 프로세스는 완전히 제거될 수도 있다.
UE(402)는 빔 프로세스의 추가에 대한 원인에 의존하는 상이한 빔 프로세스 획득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원인이 빔 프로세스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면, 예컨대 다이버시티 또는 멀티플렉싱을 증가시키는 것이면, UE(402)는 현존하는 빔 프로세스에 결부되는 규칙에 기초하여 새로운 빔 프로세스를 획득하려고 시도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UE(402)는 새로운 빔 프로세스를 획득하기 위해 빔의 제한된 세트(또는 빔 그룹 또는 빔 클래스)를 테스트할 수도 있다. 제한은 현존하는 빔 프로세스의 세트에 대한 새로운 빔 프로세스의 추가를 보장할 수도 있고, 새로운 빔 프로세스는 현존하는 빔 프로세스와 상관될 가능성이 없다.
다른 예에서, UE(402)가, 예를 들면, RLF로 인해, 새로운 빔을 추가할 것을 요청하면, UE(402)는 특정한 빔 그룹 및/또는 클래스를 가지고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도 있다. 이 방법론은, 새로운 빔 프로세스가 송신/수신 성능을 최적화하는지의 여부에 관계 없이, 시간의 더 짧은 기간 내에 새로운 빔 프로세스를 찾는 것을 보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특정한 빔 클래스의 빔을 사용하여 RLF를 겪고 있는 UE(402)는, 상위 또는 하위 클래스 빔을 사용하여 새로운 빔 프로세스 획득을 시도할 수도 있다.
UE(402)는 빔 프로세스를 추가하기 위한 요청을 네트워크에게 나타낼 수도 있다. 이러한 표시는 다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빔 프로세스를 추가하는 원인; 새로운 빔 프로세스로 대체될 현존하는 빔 프로세스; 또는 빔 프로세스 사용 제한. 예를 들면, 사용 제한은 통신 링크 방향(예컨대, UL, DL, SL, 또는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 제한은 송신 타입(예를 들면, mMTC, URLLC, eMBB)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전히 다른 예에서, 사용 제한은 빔 프로세스 파라미터(예를 들면, SOM 또는 뉴머롤로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사용 제한은 (예를 들면, 데이터 송신을 위한 또는 이동성 측정을 위한) 빔 프로세스의 목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 제한은 빔 프로세스에 의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 리소스의 서브세트를 열거할 수도 있다.
UE(402)는 빔 프로세스를 추가 또는 제거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러한 요청은 서빙 TRP/셀/eNB에 대한 전용 리소스를 사용하여 행해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UE는 빔 프로세스 그 자체를 사용하여 빔 프로세스의 제거를 위한 요청을 송신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UE는, TRP ID(또는 MRS 상에서 획득되는 임의의 파라미터)를 소스 TRP에게 나타내는 빔 프로세스를 TRP에 추가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E(402)는 RA와 같은 프로시져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새로운 빔 프로세스를 추가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UE(402)는 새로운 빔 프로세스를 위해 사용될 빔을 사용하여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송신할 수도 있다. 이 송신은, TRP/셀/eNB 빔만이 빔 프로세스에 대한 UE의 빔에 매칭되는 동작을 트리거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UE(402)는 명시된 RA에 적절한 빔 클래스로부터의 빔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의 프로시져는 UE의 빔 및 TRP/셀/eNB 빔 둘 모두의 최적화를 강제할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E(402)는 (예를 들면, RA를 사용하여) 빔 추가를 위한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전용 빔 및/또는 빔 프로세스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전용 빔 및/또는 빔 프로세스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UE(402)는 특정한 용도를 위한 하나 이상의 빔 프로세스를 가지고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이러한 빔 프로세스는 추가적인 빔 프로세스 요청을 위해 사용되도록 태그가 표시될(tagged) 수도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UE(402)는 동시적 빔 프로세스를 위한 빔 프로세스 송신 멀티플렉싱 구성을 수신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UE(402)는, 관련 빔 프로세스가 서브캐리어 간격, 심볼 길이, 리소스 블록 사이즈, 순환 프리픽스 길이, 등등을 포함하는 동일한 신호 구성을 가질 수도 있는 경우에, 상이한 TRP에 동시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상이한 TRP에 대한 업링크 빔 송신은, 동일한 주파수 리소스를 사용할 수도 있고 공간적으로 멀티플렉싱될 수도 있는데, 업링크 빔은 빔 패턴 사이의 분리가 미리 구성된 임계치보다 더 높을 수도 있는 방식으로 TRP로 지향된다. 이 접근법의 잠재적인 이점은 주파수 리소스의 재사용 및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높은 업링크 스펙트럼 효율성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업링크 빔 송신은, 상이한 TRP와 관련되는 각각의 빔 프로세스에 대한 전용 주파수 리소스를 사용하여 멀티플렉싱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업링크 빔 패턴은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도 있고, 감소된 빔포밍 복잡성이 초래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UE(402)는 상이한 TRP와 관련되는 빔 프로세스에 대해 상이한 직교 확산 코드를 사용할 수도 있고 코드 구성은 각각의 TRP에 대해 수신될 수도 있다.
빔 선택 프로시져
이하의 섹션은 빔 선택을 위한 방법 및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단일의 빔 또는 단일의 빔 프로세스의 관점으로부터 설명될 수도 있지만, 실제로 프로시져는 다수의 빔 프로세스에 병렬로 적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빔 클래스
빔은, [Section 7.1.1 of 3GPP specification TR37.842, Radio Frequency Requirement Background for Active Antenna System Base Station, Release 13, v.1.8.0, October 2015]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특성 묘사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3a 및 도 3b는 빔 피크 방향과 빔 중심 방향 사이의 차이를 예시한다. 빔 피크 방향은 빔에 대한 최대 지점을 가리키고, 한편 빔 중심 방향은 빔 분포의 중심 지점을 가리킨다.
도 5는 빔(506), 빔 그룹(508), 및 빔 클래스(502, 504) 사이의 차이를 예시한다. 그것은 또한, 하위 빔 클래스(502)와 상위 빔 클래스(504) 사이의 차이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의 빔 패밀리는 동일한 클래스의 모든 빔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빔 클래스에 걸쳐 링크를 유지하기 위한 예시적인 실시형태
상이한 빔 클래스는 상이한 커버리지 레벨을 나타낼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빔이 더 많이 지향성일수록, 특정한 방향에서의 커버리지가 더 좋다. 이 관찰은 또한, 방향성과 커버리지 사이에 트레이드오프가 종종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 넓은 빔은 더 적은 커버리지를 나타낼 수도 있는데, 이것은 몇몇 타입의 트래픽 또는 제어 채널에 대해 문제가 될 수도 있다. 하위 빔 클래스로 변경하는 경우, UE는 무선 링크를 상실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UE가 상위 빔 클래스로 변경하는 경우, UE는 주어진 레이트에 대해 너무 많은 전력을 송신하는 것으로 나타나게 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E는 빔 클래스에 따라 자신의 송신 전력을 스케일링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하위 빔 클래스는 다른 상위 빔 클래스와 비교하여 (예컨대, 주어진 비트 레이트, 전송 포맷, 또는 MCS에 대해) 더 많은 전력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구성은, 예를 들면, 빔 클래스와 관련되는 미리 정의된 전력 스케일링 인자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이 접근법이 eNB에서의 유사한 수신 전력으로 이어질 수도 있고 무선 링크를 유지할 수도 있지만, 전력 증폭기가 통상적으로 전력 제한되기 때문에, 이 접근법은 또한 빔 클래스당 데이터 레이트를 제한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다수의 빔에 걸쳐 반복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링크가 유지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UE는 다수의 시간 인스턴스에 걸쳐 (예를 들면, 동일한 빔 그룹에 속하는) 다수의 빔을 통해 주어진 데이터 블록의 송신을 반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UE는 (예를 들면, 빔 그룹 내의) 빔의 미리 정의된 시퀀스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수의 빔에 걸친 반복은, 예를 들면, UE가 하위 빔 클래스로 변경되는 경우에 트리거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이 접근법은, 하위 빔 클래스로의 변경으로부터 발생하고 HARQ 재송신에만 적용되는 커버리지에서의 변화에 기인하는 구획화(segmentation)를 방지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다수의 빔에 걸친 반복은 네트워크에 의해 트리거될 수도 있고 제어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UE는 다수의 빔에 걸친 반복을 개시하기 위한 표시를 제어 채널(예를 들면, DCI) 상에서 수신할 수도 있다. 옵션 사항으로, 표시는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하기 위한 빔 클래스 및/또는 빔 그룹 인덱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표시는, 예를 들면, 하위 빔 클래스로 변경하기 위한 표시가 수반될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E는, 다수의 빔에 걸친 반복이 요구되는 경우에(예를 들면, UE가 다수의 빔에 걸쳐 재송신하기 위한 데이터를 자신의 재송신 버퍼에 구비하는 경우에) 네트워크(예를 들면, UCI)에게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전히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경우, UE는 한 번에 빔의 서브세트를 통해 송신할 수도 있다. 더 구체적으로, UE는 단일의 TTI 내에서 다수의 빔의 서브세트를 통해 반복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UE는 네트워크로부터 ACK/NACK를 수신할 수도 있고 다수의 빔의 다른 서브세트를 통해 반복 데이터를 계속 송신할 수도 있다. UE는, 네트워크로부터 ACK를 수신할 때까지 또는 모든 관련 빔을 통해 송신할 때까지, 이 프로세스를 반복한다.
선택을 위한 이용 가능한 빔의 세트의 결정
UE는, 자신의 빔의 서브세트(이용 가능한 빔의 세트로도 또한 칭해짐)를 통한 송신을 위해 빔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빔의 서브세트는 네트워크에 의해 (예를 들면, (예컨대, RRC를 통해) 반정적으로 또는 (예컨대, DCI 타입의 시그널링을 통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E는 빔 클래스에 기초하여 이용 가능한 빔의 세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UE는, 이용 가능한 빔의 세트가, 예를 들면, 빔 프로세스에 링크되는 하부 빔 클래스의 빔에 관련되는 빔 그룹에 대응한다는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다른 옵션에서, UE는, 예를 들면, 빔 프로세스와 관련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에 대한 도달 방향에 기초하여 빔 그룹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용 가능한 빔의 세트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도달 방향(direction of arrival; DoA)과 가장 근접한 빔 방향을 갖는 하위 빔 클래스의 빔 그룹일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E는 각도 제한에 의해 제약되는 이용 가능한 빔의 세트를 가지고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들 제한은 빔의 방향에 적용 가능할 수도 있다. UE는, 이용 가능한 빔의 세트에 대한 빔의 방향을, 빔 프로세스와 관련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에 대한 DoA로부터의 특정한 각도 거리로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UE는, 소정의 빔 공간 내에 놓이도록 제한되는 임의의 빔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빔 공간은 자신의 경계를 설정하기 위해 각도 제한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UE는, 이용 가능한 빔의 세트가 임의의 빔 - 그것의 빔 방향은 (예를 들면, 관련된 빔 프로세스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DoA와 관련되는) 값의 세트 내에 있음 - 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UE는, 임의의 형상을 갖는 빔으로 인해 하나 이상의 조건을 추가로 적용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E는 빔의 특정한 양의 에너지(예를 들면, 90 %)를 특정한 각도 제한으로 제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각도 제한은, 빔 프로세스와 관련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DoA에 적용되는 네트워크(ΔDoA)에 의해 구성되는 각도 차이 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UE는 업링크 송신을 위해 어떤 빔 클래스를 사용할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는, 예컨대 DCI를 통해 또는 반정적 시그널링(예컨대, RRC)을 통해, 특정한 빔 클래스를 사용하도록 UE를 구성할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E는, UE에 의해 저장되는 인자에 기초하여 가장 적절한 빔 클래스를, 별개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UE는, 송신 데이터에 기초하여, 송신을 위해 사용할 빔 클래스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UE는, 제어 정보(예컨대, RRC 시그널링 또는 RACH 액세스)를 위해 하나 이상의 빔 클래스를 사용하도록 그리고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하나 이상의 빔 클래스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UE는 각각의 논리적 채널에 대해 빔 클래스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UE는, 송신되고 있는 논리적 채널과 관련되는 빔 클래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UE는 또한, 상이한 관련 빔 클래스를 갖는 다수의 논리적 채널이 함께 멀티플렉싱될 때 어떤 빔 클래스를 사용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규칙을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규칙은, 해당 전송 블록에서 멀티플렉싱되는 논리적 채널과 관련되는 빔 클래스 중 최하위 빔 클래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UE는, mMTC, eMBB URLLC, 또는 QoS와 같은 상이한 트래픽 타입에 대해 특정한 빔 클래스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UE는 QoS 구성에서 빔 클래스를 직접적으로 가지고 구성될 수도 있거나, 또는 UE는 QoS를 특정한 빔 클래스에 링크시키는 관련화 테이블 또는 필터를 가지고 구성될 수도 있다.
UE는, 자신의 UL 송신에서 UE가 어떤 빔 클래스를 사용하는지를 네트워크에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정보는, UCI에서, 또는 특별한 MAC 헤더 또는 다른 타입의 시그널링에서 반송될 수도 있다. UE는, 자신이 빔 클래스를 변경하는 경우에만 또는 UE가 어떤 빔 클래스를 사용할지를 결정하는 경우에만 네트워크에게 나타낼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E는 특정한 빔 클래스를 사용하도록 eNB로부터 명시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eNB UL 허가는 업링크 빔포밍을 위해 사용할 특정한 빔 클래스를 나타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해, 빔 클래스는 허가의 지속 기간 동안만 유효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UE는 사용할 빔 클래스를 가지고 반정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UE 및 네트워크는, UE 및 네트워크 둘 모두가 어떤 빔 클래스가 사용되고 있는지를 항상 알 수도 있도록, 빔 클래스 상태의 동기화를 유지할 수도 있다. 다수의 접근법이 이 동기화를 달성할 수도 있다. 하나의 접근법의 경우, 반대 엔티티는 (예를 들면, MAC 또는 RRC 프로토콜 레벨에서의) 모든 빔 클래스 변경에 확인 응답한다. 이러한 접근법의 한 예에서, UE는 특별한 MAC 제어 엘리먼트를 통해 빔 클래스 변경을 나타낼 수도 있고 네트워크로부터(예를 들면, DL MAC 제어 엘리먼트로부터) 신뢰 가능한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에만 변경을 적용할 수도 있다.
UE는 빔 클래스 구성을, 자신이 그 구성을 변경할 때까지 또는 UE가 그 구성을 변경하기 위한 메시지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할 때까지, 유지할 수도 있다. UE는 빔 클래스를 즉시 변경하고 자신의 다음 송신에서(예를 들면, MAC 헤더 또는 다른 제어 메시지에서) 네트워크 메시지에 확인 응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거나, 또는 UE는 네트워크의 메시지를 확인 응답하고 네트워크로부터 확인 응답(예를 들면, HARQ-ACK 또는 다른 상위 레이어 확인 응답)을 수신한 이후에만 변경을 적용할 수도 있다.
UE는 실제로 다수의 빔 프로세스를 가지고 구성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가 관련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에 대한 송신의 방향을 제어할 수도 있지만, 채널의 공간 다이버시티 또는 공간 멀티플렉싱 성능을 활용하기 위해, 각각의 빔 프로세스는 독립적인 전파 경로로 이어질 수도 있다. UE는 상이한 빔 프로세스를 위해 동일한 전파 경로(및 따라서 빔)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이용 가능한 빔의 세트를 결정할 때, UE는 다른 진행 중인 또는 활성의 빔 프로세스에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빔을 배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UE는 주어진 빔 프로세스와 관련되는 빔의 세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UE는 다음을 포함하는 목록을 생성할 수도 있다: (다른) 빔 프로세스에서 선택된 빔과 동일한 빔; 빔 프로세스에 관련되는 빔 그룹 내의 빔; (다른) 빔 프로세스의 선택된 빔에 대한 빔 인덱스의 범위 내의 빔; 및 (다른) 빔 프로세스의 선택된 빔의 각도 거리 내의 빔. 빔 프로세스와 관련되는 빔 그룹 내의 빔은, 빔 프로세스의 선택된 빔과 관련되는 하위 빔 클래스의 빔 그룹을 포함한다. 빔 인덱스의 범위는, 네트워크에 의해 또는 명세(specification)를 통해 선험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일정 범위의 빔은, 선택된 빔으로부터 ±N 개의 빔 인덱스 내의 모든 빔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도 거리는 네트워크에 의해 선험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관련 빔은, 빔 중심이 (다른) 빔 프로세스를 위한 선택된 빔의 빔 중심으로부터 특정한 최대 각도 거리 이내에 놓이는 (동일한 빔 클래스에 대한) 빔을 포함한다. 최대 각도 거리(예를 들면, 각도 또는 라디안 단위)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관련 빔은, 빔 중심이 (다른) 빔 프로세스의 빔 중심의 ±Δmax 내에 놓이는 임의의 빔으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관련 빔의 세트는, 빔의 3 dB(또는 다른 값) 로브 및 (다른) 빔 프로세스의 선택된 빔의 빔 중심 둘 모두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도 있다. 3 dB 로브가, (다른) 빔 프로세스 선택 빔의 빔 중심의 ±Δmax 이내에 속하는 임의의 빔은 관련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하나보다 더 많은 빔 프로세스를 가지고 구성되는 경우, UE는, 각각의 빔 프로세스가 관련 빔의 세트 외부의 빔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모든 외부 빔 프로세스를 고려함). UE는 최상의 이용 가능한(및 관련되지 않은) 빔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선택할 최상의 빔이 관련 빔의 세트 내에 속한다는 것을 UE가 결정하는 경우 및/또는 이용 가능한 빔의 세트가 비어 있다는 것을 UE가 결정하는 경우, UE는 관련된 빔 프로세스 상에서 송신을 중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거나 또는 UE는 이용 가능한 빔을 갖는 상이한 빔 프로세스 상에서 송신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에게 통지할 수도 있다. UE는 또한, 빔 프로세스 번호 또는 아이덴티티 및 관련 빔 또는 빔 프로세스를 나타낼 수도 있다.
선택 프로시져
UE는 다음의 예시적인 실시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하나의 또는 다수의 다운링크 빔의 측정에 기초하여 업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할 빔 클래스, 빔 그룹, 및 빔을 결정할 수도 있다: 품질/공간/에너지 메트릭, 주기성, 다운링크 제어/데이터/기준 신호 송신, 단일 스테이지 측정, 또는 다중 스테이지 측정.
빔 품질 메트릭 측정은 SNR, Eb/No, RSSQ 및 CQI에 기초할 수도 있다. 빔 공간 정보 측정은 도달 각도(angle of arrival; AoA)에 기초할 수도 있다. 빔 에너지 메트릭 측정은, RSSI 및 광대역 AGC 설정에 기초할 수도 있다.
빔 주기성 측정은 주기적일 수도 있거나 또는 비 주기적일 수도 있는데, 여기서 빔 측정은 네트워크에 의해 스케줄링될 수도 있다. 활성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 동안, 측정 필드 또는 갭이 측정 스케줄링에 포함될 수도 있다. 빔 측정은, 측정 주기성을 포함하는 상위 레이어 전용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정보에서 구성될 수도 있다. UE는 미리 정의된 기간 내에 주기적 측정을 위해 트리거될 수도 있다.
다운링크 제어/데이터/기준 신호 송신의 경우, 빔 측정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 송신(예를 들면, 빔 선택 기준 신호), 주기적인 다운링크 기준 신호 송신(예를 들면, 빔 선택 기준 신호)과 관련되는 다운링크 빔 상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단일 스테이지 빔 측정은 다음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도 있다: 빔 측정을 위해 UE에 의해 미리 구성되고 선택되는 하나의 빔 클래스의 빔 그룹으로부터의 하나 또는 다수의 빔, 측정이 사용될 타겟 측정 빔 클래스 및 업링크 송신 서비스 타입에 기초한 빔 클래스, 또는 타겟 다운링크 빔이 수신될 수도 있는 빔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연속적인 또는 임의적인 방식의 적용된 빔의 스윕.
다중 스테이지 측정은 다음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도 있다: 단일 스테이지 측정과 유사한 방식으로 선택되는 제1 측정 결과를 획득하기 위한 제1 빔 클래스의 빔 그룹으로부터의 하나의 또는 다수의 빔; 다음 측정을 사용하기 위한, 및 제1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제2 빔 클래스 - 이것은 제1 빔 클래스와 비교하여 하나의 또는 다수의 상이한 특성(예컨대 감소된 빔 폭 또는 조정된 중심 방향)을 가질 수도 있음 - 의 하나의 또는 다수의 빔을 사용하기 위한 제1 측정 프로세스의 계속; 또는 다중 스테이지 스윕, 이 경우 각각의 스테이지는 선택된 빔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UE가 공간 정보 및 측정된 다운링크 빔의 품질 메트릭을 결정함에 따라 빔 공간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도 있음.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UE는 다음을 사용하여 업링크 송신을 위한 빔 클래스의 빔 그룹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빔 클래스와 업링크 송신을 위한 그것의 관련된 빔 클래스 사이의 연결(linkage), 방향적 상반성에 기초한 계산, 또는 측정에 기초한 빔 공간에 걸친 다수의 선택된 업링크 빔의 스윕.
측정을 위한 그리고 송신을 위한 빔 클래스의 연결은, 빔 프로세스에 포함될 수도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E는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빔 클래스의 업링크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선택된 업링크 빔은, 유사한 빔 폭, 빔 중심 방향, 또는 빔 공간을 가질 수도 있다.
방향적 상반성 계산은, 예를 들면, AoA와 AoD 사이일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E는, 다운링크 측정의 추정된 AoA 정보에 기초하여 그리고 빔 폭에 기초하여, 빔 중심 방향 계산을 통해 빔 클래스로부터 업링크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다수의 선택된 업링크 빔의 스윕의 경우, UE는, 측정된 다운링크 빔 공간에 걸친 빔의 측정 및 스윕을 위해 사용되는 것과는 상이한 빔 클래스의 빔의 그룹을 선택할 수도 있다.
UE는, 측정 및 다음을 포함하는 다른 구성에 기초하여 선택된 빔에 대한 빔 고유의 전력을 설정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에 의해 시그널링되는 측정된 빔 클래스와 관련되는 예상된 전력 오프셋, 업링크 송신을 위해 의도되는 업링크 채널 타입 및 서비스, 선택된 빔 클래스의 우선 순위 및 최대 제한, 각각의 안테나 엘리먼트의 최대 송신 전력, UE 업링크 송신의 최대 EIRP, 및 빔 클래스를 조정하기 위해 또는 엘리먼트당 전력을 조정하면서 빔 클래스를 유지하기 위해 UE가 사용할 수도 있는, 네트워크로부터의 EIRP 조정 표시.
UE는, 업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할 빔 클래스, 빔 그룹, 및 빔 중 하나 이상을, 업링크 빔 사운딩 프로시져에 대해 수신되는 피드백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사운딩 프로시져는 네트워크에 의해 스케줄링될 수도 있고 구성될 수도 있다. 구성은 다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안테나 포트 구성, 빔 클래스 표시자, 사운딩 빔의 수, 시간 리소스 할당, 주파수 리소스 할당, 사운딩 빔의 기준 신호 구성, 및 사운딩 빔의 EIRP. 안테나 포트 구성은 어떤 포트를 사용할지를 나타낸다. 빔 클래스 표시자는, 안테나 포트마다 사운딩을 위해 어떤 빔 클래스가 사용될 수도 있는지를 나타낸다. 사운딩 빔의 수는 안테나 포트당 얼마나 많은 사운딩 빔을 송신해야 하는지를 나타낸다. 시간 리소스 할당을 위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다수의 심볼의 필드를,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제어 필드에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섹션 내의 다수의 심볼의 갭에 할당할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특별한 서브프레임은 사운딩 프로시져를 위해 구성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주파수 리소스 할당은 서브캐리어 또는 리소스 블록의 그룹일 수도 있다. 사운딩 빔의 예시적인 기준 신호 구성은 각각의 안테나 포트에 대한 또는 UE에 대한 베이스 Zadoff-Chu(자도프 추)(ZC) 시퀀스일 수도 있다. 사운딩 빔의 EIRP는 각각의 안테나 엘리먼트에 대한 빔포밍 이득 및 전력을 포함할 수도 있다.
UE는, 표시된 빔 클래스에 대한 빔 그룹으로부터 사운딩 빔의 구성된 수에 따라 사운딩 빔을 임의적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동일한 안테나 포트로부터 송신되는 각각의 사운딩 빔의 경우, UE는 동일한 ZC 베이스 시퀀스를 적용할 수도 있다. ZC 베이스 시퀀스는 안테나 포트마다 구성될 수도 있다. 안테나 포트마다의 사운딩 빔은 한 번에 하나씩 송신될 수도 있다. 상이한 안테나 포트는 직교성을 유지하기 위해 상이한 ZC 베이스 시퀀스를 사용하는 사운딩 빔을 가질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ZC 베이스 시퀀스는 UE마다 구성될 수도 있는데, 각각의 안테나 포트는 다운링크 빔 측정에 기초하여 UE에 의한 순환 시프트에 의해 할당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운딩 빔 기준 신호는 UE의 안테나 포트 사이에서 직교할 수도 있다.
업링크 빔 사운딩은 사전 구성 이벤트, 예컨대 UE가 폴백을 입력하는 것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빔의 품질이 사전 구성 임계치 아래로 떨어지는 것에 의해 트리거될 수도 있다.
UE는 다음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여러 가지 시나리오에 대해 다중 스테이지 업링크 빔 사운딩 프로시져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경우, UE는 사운딩 프로시져의 각각의 단계에 대해 사용할 빔 클래스의 시퀀스를 갖는 다중 스테이지 사운딩 프로시져 요청을 가지고 구성될 수도 있다. 구성은 각각의 빔 클래스에 대한 기준 신호 구성 및 시간 리소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E는 빔 클래스의 시퀀스를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도 있고, 네트워크가 사운딩 빔을 검출할 수도 있도록 자율적인 업링크 빔 사운딩을 위해 예약되는 기준 신호 시퀀스의 미리 정의된 세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UE는 다운링크 빔에서 수신되는 제어 정보에서 네트워크 피드백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피드백 제어 정보는 사운딩 빔 송신 타이밍과 고정된 타이밍 관계를 가질 수도 있고, UE는 타이밍 관계에 기초하여 피드백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피드백은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데이터에 포함될 수도 있다. 피드백 콘텐츠는, 임계치를 초과하여 어떤 사운딩 빔이 수신될 수도 있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비트 맵일 수도 있고 추가적인 사운딩을 위해 계속 사용될 수도 있다. 피드백은 또한, 사운딩 빔 메트릭 정보 및 그들 사운딩 빔의 기준 신호 인덱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UE는, 수신된 피드백에 기초하여 어떤 빔 클래스를 사용할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E는 구성된 빔 클래스 시퀀스에 따라 빔 클래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UE는, 이전 사운딩 빔 중 그 피드백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의 빔 공간에서 사운딩 빔의 다음 세트를 송신한다. 네트워크는 각각의 스테이지에 대해 새로운 리소스 할당을 구성할 수도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다중 스테이지 사운딩 프로시져가 완료될 때까지 동일한 리소스를 적용할 수도 있다.
UE는, 업링크 빔 사운딩 프로시져의 피드백에서 나타내어지는 최상의 사운딩 빔에 기초하여 업링크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네트워크는 업링크 빔 사운딩에 따라 빔 클래스의 하나의 또는 다수의 빔을 스케줄링할 수도 있다. UE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서 업링크 빔 및 빔 클래스 구성을 수신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는 업링크 송신의 업링크 및 서비스 타입에 따라 각각의 안테나 포트에 대해 상이한 빔 클래스의 빔을 스케줄링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는 하나의 안테나 포트에서 업링크 제어 정보 송신을 위한 빔 클래스를 그리고 다른 안테나 포트에서 데이터 송신을 위한 다른 빔 클래스를 스케줄링할 수도 있다. 스케줄링은, 빔 및 빔 클래스를 나타내기 위해 DCI 내의 하나의 또는 다수의 필드를 사용하여 행해질 수도 있다.
송신 빔은 시간 및 주파수 도메인에서 멀티플렉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UE는 업링크 제어 필드에서 빔 클래스를 사용할 수도 있고 업링크 데이터 필드에서 상이한 빔 클래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E는 상이한 빔 클래스의 동시적인 빔을 송신할 수도 있는데, 여기서 각각의 빔은 상이한 그룹의 서브캐리어 또는 리소스 블록을 적용할 수도 있다.
각각의 빔 클래스의 전력은, 업링크 빔 사운딩 프로시져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각각의 빔 클래스는 안테나 엘리먼트마다 독립적인 최대 EIRP 및 최대 송신 전력을 가질 수도 있다. 빔당 전력 제어는 빔 클래스의 최대 EIRP에 의해 제한될 수도 있다.
특정한 업링크 채널 송신의 경우, 네트워크는 빔 클래스에 고유한 전력 제어 커맨드를 구성할 수도 있다. UE는 엘리먼트마다의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네트워크는 업링크 송신을 위해 상이한 빔 클래스를 구성할 수도 있고, UE는 새로운 빔 클래스에 따라 엘리먼트마다의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재구성된 빔 클래스는 더 넓은 빔 폭을 가질 수도 있고, UE는 총 EIRP를 유지하기 위해 송신 전력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네트워크는, 업링크 송신 용량을 최대화하도록 그리고 공동 스케줄링된 UE 사이의 업링크 송신 간섭을 방지하도록 업링크 빔 및 빔 클래스를 스케줄링할 수도 있다. 업링크 송신 용량을 최대화함에 있어서, 네트워크는 아주 좁은 빔 폭을 갖는 최상의 사운딩 결과를 갖는 빔 클래스에 기초한 업링크 빔을 사용할 수도 있다. 프로시져는 단일의 유저에 대한 스펙트럼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업링크 송신 간섭을 방지함에 있어서, 네트워크는, 예를 들면, 동일한 TRP로 송신할 수도 있는 모든 UE로부터의 업링크 빔 사운딩 결과를 평가할 수도 있고, 하나의 UE의 송신 빔이 공동 스케줄링된 UE의 송신 빔의 메인 로브 방향을 향해 널(null)을 가질 수도 있도록, 각각의 UE에 대한 빔 및 빔 클래스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기술은, 공동 스케줄링된 UE가, 동일한 시간, 주파수 및 코드 리소스를 사용하는 것 및 TRP당 평균 스펙트럼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UE는, 데이터 빔 송신의 다운링크 NACK를 수신하는 동안 램프 업 TPC 비트를 수신하고 빔 클래스의 최대 EIRP에 도달하는 경우,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특정한 업링크 빔에 대한 NACK 메시지의 미리 정의된 수를 수신하는 경우, 또는 사전 구성 기준에 기초하여 빔 오정렬 상태에 진입하는 경우와 같은 다수의 시나리오 하에서 업링크 폴백 프로시져를 트리거할 수도 있다.
UE 폴백 프로시져는 다음의 액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현재 선택된 빔 및 빔 클래스의 사용을 중단하는 것,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계속하기 위해 다른 빔 클래스를 선택하는 것, 선택된 빔 클래스에 따라 엘리먼트마다 송신 전력을 설정하는 것, 및 미리 정의된 리소스를 사용하여 업링크 사운딩 프로시져를 시작하는 것.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계속하기 위해 다른 빔 클래스를 선택하는 경우, 새로운 빔 클래스는, 사용된 빔 클래스보다 더 낮은 미리 정의된 오프셋을 갖는 빔 클래스 또는 최저 빔 클래스일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새로운 빔 클래스는 더 넓은 빔 폭 또는 상이한 빔 중심 방향을 가질 수도 있다.
선택된 빔 클래스에 따라 엘리먼트마다 송신 전력을 설정하는 경우, UE는, 예를 들면, 하위 빔 클래스를 사용하는 경우의 감소된 빔포밍 이득을 보상하기 위해 송신 전력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엘리먼트마다의 최대 전력이 도달되는 경우, UE는 빔 스위핑을 적용하여 누적 이득을 제공할 수도 있다.
미리 정의된 리소스를 사용하여 업링크 빔 사운딩 프로시져를 시작하는 것은, 업링크 빔 사운딩의 폴백 트리거에 대해 기준 신호 시퀀스를 예약하는 것 및 업링크 빔 사운딩의 폴백 트리거에 대해 미리 구성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운딩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는 UE 및 TRP 아이덴티티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심볼 및 서브프레임 위치가 존재할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E는 상이한 빔 클래스의 업링크 빔(예컨대 다른 안테나 포트로부터 업링크 제어 정보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빔)을 사용하여 폴백 표시자를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어 송신을 위한 업링크 빔은 교정되지 않은 방해물 또는 채널 이벤트를 경험할 수도 있으며 사용될 수도 있다. UE는 업링크 사운딩을 시작하기 위해 업링크 사운딩 빔 요청 및 구성을 수신할 수도 있다. 리소스 구성은 예약되지 않을 수도 있거나 또는 동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E는 초기 빔 프로세스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다.
SAR에 기인하는 최대 전력 감소(maximum power reduction; MPR)
UE는 검출된 거리 및 각각의 방향을 포함하는 인체 모니터링 정보를 모션 센서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UE는 인체 검출 데이터를 대조하여 어떤 업링크 빔이 검출된 인체의 미리 정의된 근접도 내에 위치될 수도 있는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UE는, 예를 들면, 미리 정의된 값의 최대 전력 감소(MPR)를 각각의 식별된 업링크 빔에 자율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최대 전력은, 업링크 빔 패턴에 의해 방출되는 총 유효 등방성 방사 전력(Effective Isotropic Radiation Power, EIRP)을 나타낼 수도 있다는 것을 유의한다.
UE는 하나 이상의 다양한 상이한 기술을 사용하여 최대 전력 감소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하나의 기술에서, UE는 식별된 업링크 빔과 관련되는 모든 안테나 엘리먼트의 엘리먼트마다의 최대 송신 전력을 백 오프한다. 다른 기술에서, 식별된 업링크 빔을 위해 사용되는 안테나 엘리먼트의 수는 감소된다. 이것은, 아날로그 빔포밍을 위해 사용되는 안테나 엘리먼트의 수를 스케일링하는 능력을 갖는 UE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유의한다. 또한 안테나 엘리먼트의 감소는 빔 클래스에서의 변화를 야기할 수도 있다. 다른 기술에서, UE는, 방사 패턴을 최적의 전력에서 유지하기 위해, 반대측에 위치될 수도 있는 상이한 안테나 세트(그것이 그러한 능력을 갖는다면: 이것은 6 GHz 초과 대역에서의 경우일 수도 있다)로 스위칭할 수도 있다.
UE는 총 EIRP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네트워크는 MPR이 수행될 수도 있는 방법에 관한 정보와 함께 안테나 엘리먼트 스케일링 성능을 가지고 UE를 미리 구성할 수도 있다.
UE는, 최대 EIRP의 감소를 위해 어떤 방법이 적용되어야 하는지의 여부, 예를 들면, 최대 전력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안테나 엘리먼트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감소가 적용되어야 하는지의 여부의 표시를 가지고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빔 프로세스 파라미터 업데이트
UE는 또한, 어떤 활성 빔 프로세스가 SAR 야기 MPR(SAR-caused MPR)을 갖는 업링크 빔과 관련될 수도 있는지를 식별할 수도 있고 식별된 빔 프로세스의 관련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빔 프로세스 고유의 파라미터는, 업데이트된 최대 총 EIRP, 최대 구성 전력,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전력 헤드룸 및 빔 클래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빔 클래스 변경은 UE로 하여금 업링크 빔 내의 TRP에서 수신되는 간섭의 추정치를 업데이트하게 할 수도 있다.
SAR 야기 MPR에 의해 트리거되는 PHR
각각의 식별된 빔 프로세스의 경우, UE는, 적어도, 최대 EIRP 및/또는 Pcmax가 변경된 빔 프로세스에 대한 조정된 최대 전력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전력 헤드룸 보고(power headroom report; PHR) 또는 EIRP 보고와 같은 보고를 전송하도록 트리거될 수도 있다. 보고에서, UE는 SAR에 관련될 MPR 원인 및 영향을 받은 빔 프로세스의 아이덴티티를 명시할 수도 있다. 보고는 물리적 레이어에서 제어 정보로서 송신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제어 정보는 동일한 또는 상이한 빔 프로세스와 관련될 수도 있다. UCI 송신을 사용하는 잠재적인 이점은, SAR 야기 MPR이 HF NR의 빔포밍 동작에서 더 빈번하게 될 수도 있기 때문에 낮은 레이턴시 및 오버헤드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UE는 MAC 또는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보고를 송신할 수도 있다.
SAR 야기 MPR에 의해 트리거되는 최대 이득 오프셋 보고
UE는 안테나 엘리먼트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MPR을 구성할 수도 있거나 또는 자율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으며, 그에 의해 빔 프로세스의 빔포밍 이득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UE는 엘리먼트마다의 전력을 변하지 않게 유지할 수도 있다. UE는, 빔 프로세스의 구성된 최대 이득과 적용된 빔포밍 이득 사이의 오프셋을 나타내기 위해 최대 이득 오프셋 보고를 보고하도록 트리거될 수도 있다. eNB는 빔 프로세스에 대한 업링크 빔 재선택을 트리거할 수도 있다. 다른 솔루션에서, eNB는, 무선 링크를 유지하기 위해 감소된 빔포밍 이득을 갖는 빔 프로세스에 대한 전송 포맷 예컨대 코딩 레이트 및 변조 스킴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이것은 MPR 동안 빔 프로세스의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SAR에 의해 트리거되는 빔 프로세스 재선택
UE는 SAR 야기 MPR의 결과로서 업데이트된 파라미터 및 PHR을 가질 수도 있는 활성 빔 프로세스를 재선택할 수도 있다. 업링크 빔 재선택은 미리 구성된 규칙의 세트에 따라 행해질 수도 있다. UE는, 빔 프로세스 업링크 송신 타입, 업데이트된 업링크 송신, 업링크 채널 타입 및 업링크 송신 모드 및 스킴에 따라 규칙을 적용할 수도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E는, 새로운 빔 프로세스를 확립하는 것 또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 빔의 새로운 세트를 갖는 다른 활성 빔 프로세스로 스위칭하는 것에 의해 빔 프로세스 관련화를 변경할 수도 있다.
SAR에 영향을 받은 활성 빔 프로세스의 업링크 빔 재선택
UE(602)는 SAR에 의한 MPR 원인의 결과로서 프로세싱되는 활성 빔의 업링크 빔을 재선택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600)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UE(602)는 인체(608)에 대한 빔 B2(606)의 근접으로 인하여 활성 빔 프로세스에 대해 빔 B2(606)를 대체할 빔 B1(604)을 재선택할 수도 있다. UE(602)는 업링크 빔의 개 루프 선택에서 감소된 최대 EIRP 및 MRP를 고려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UE(602)는 역방향으로 빔 프로세스와 관련되는 활성 다운링크 빔에 대응할 수도 있는 업링크 빔에 음의 EIRP 감소를 적용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UE(602)는 빔 프로세스와 관련되는 활성 다운링크 빔에 상반하는 업링크 빔을 선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UE(602)는, 상반성에 기초하는 것이 아니라 SAR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을 포함하는 이용 가능한 업링크 빔의 조정된 최대 EIRP에 기초하여, 다른 업링크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UE(602)는 또한, 빔 프로세스를 위해 미리 선택되고 유지되는 디폴트 업링크 빔으로 폴백할 수도 있다.
UE(602)는 재선택된 업링크 빔의 경로 손실을 재추정할 수도 있다. 각각의 빔 프로세스의 "페어링된(paired)" 다운링크 빔은, 다운링크 데이터 빔, 또는 기준 빔, 또는 다른 타입의 다운링크 빔일 수도 있다. 페어링(pairing)은 일대일 매핑이 아닐 수도 있으며, 경로 손실 추정은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정보에서 명시되는 송신 전력을 사용할 수도 있다. 재선택된 업링크 빔의 업링크 전력은 재추정된 경로 손실에 기초할 수도 있다. 다른 솔루션에서, 업링크 전력은 주기적인 동기 신호 시퀀스를 사용하여 암시적으로 나타내어질 수도 있다.
UE(602)는 재선택된 업링크 빔의 송신 타이밍을 재확립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빔 재선택은 업데이트된 전력을 사용하여 업링크 빔 스위핑을 트리거할 수도 있고, UE(602)는 업링크 빔 페어링 및 빔 재획득 프로시져를 개시할 수도 있다. 빔 재획득은 상반성을 사용하는 관련된 다운링크 빔에 기초하지 않을 수도 있다. UE(602)는 관련된 빔 프로세스에 대해 재페어링된 다운링크 및 업링크 빔을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UE(602)는 재선택된 업링크 빔 송신을 사용하여 빔 프로세스 업데이트 정보를 eNB로 전송할 수도 있다.
회전 또는 방해물 감지 데이터에 의해 트리거되는 빔 프로세스 프로시져: 업링크 빔 재선택 및 재페어링
UE(602)는 안테나 어레이의 방위 변경을 주기적으로 추정할 수도 있고, 빔 방향에 대한 기준일 수도 있는 로컬 좌표 시스템을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UE(602) 추정은, 모션 센서에 의해 제공되는 회전 및 방해물 감지 데이터에 기초할 수도 있다.
UE(602)는 송신 모드, 송신 스킴, 빔포밍 속성, 등등을 포함하는 하나의 또는 다수의 송신 속성을 자율적으로 폴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UE(602)는 미리 구성된 폭 넓은 또는 무지향성 빔폭을 적용할 수도 있다. 증가된 빔폭은, 업링크 송신 에너지의 일부가 회절을 통해 검출된 방해물 주위에서 eNB에 도달하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다. 또한, 폭 넓은 빔 패턴은 UE(602) 회전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UE(602)는 또한, 블록 사이즈 및 변조 및 코딩 스킴(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을 포함하는 미리 구성된 업링크 제어 및 데이터 채널 전송 포맷을 사용할 수도 있다. 빔폭의 확장으로 인해, 총 EIRP는 감소될 수도 있고, UE(602)는 업링크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더 작은 블록 사이즈 및 보수적인 MCS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UE(602)는 미리 정의된 업링크 사운딩 구성을 사용하는 업링크 빔 스위핑을 사용하여 업링크 사운딩 송신을 개시할 수도 있다. 구성은 기준 신호 타입 및 리소스 할당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것은 UE(602)가 회전 또는 검출된 방해물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을 수도 있는 업링크 빔을 식별하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다. UE(602)는 개시된 업링크 사운딩 프로시져의 결과에 기초하여 업링크 빔을 재선택할 수도 있다. UE(602)는 사운딩 프로시져에 후속하여 측정 또는 업링크 빔 재페어링 요청을 송신할 수도 있다.
다수의 동시적 활성 빔 프로세스를 갖는 UE(602)는, 회전 및 방해물의 검출시, 빔 프로세스 단위 기반의 업링크 빔 재선택 및 재페어링을 개시할 수도 있다. UE(602)는, 주파수 또는 시간 도메인에서 업링크 폴백 및 재페어링 송신을 위해 직교 업링크 리소스 구성을 적용할 수도 있다. 다른 솔루션에서, UE(602)는 두 개의 공간적으로 분리된 동시적 빔 프로세스를 가질 수도 있고, 이 경우 UE(602)는 빔 프로세스 송신을 위해 동일한 주파수 및 시간 리소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운링크 RLF 방지
방해물은 UE 다운링크 RLF의 원인일 수 있고, UE(602)는 상태를 예측하기 위해 회전 벡터 및 레이트 추정을 사용할 수도 있다. UE(602)는, 회전 운동 또는 검출된 방해물이 가까운 시간 프레임에서 RFL을 유발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규칙 또는 기준을 적용할 수도 있다. 규칙은 SINR 저하의 비율, 수신된 에너지 감소 및 BLER 증가를 포함할 수도 있다. UE(602)는, 미리 정의된 전송 포맷을 갖는 제어 채널을 사용하여 다운링크 빔 재선택 프로시져를 트리거하기 위해 미리 구성된 시퀀스를 송신할 수도 있다. 다른 솔루션에서, UE(602)는 감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율 송신 OFF를 적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UE(602)는 모든 업링크 송신 빔을 스위치 오프하고 활성 빔 프로세스를 중지할 수도 있다. 이것은, UE(602)가, 예를 들면, 매우 빠른 회전 운동, 아주 높은 속도 또는 UE(602)를 향해 이동하는 큰 방해물을 갖는 아주 바람직하지 않은 채널 상태에서 동작하기 위해 에너지를 낭비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빔포밍 송신은 이들 상태에서 실행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운링크 빔 프로빙 및 조정
UE(602)는 다운링크 빔 조정을 위해 빔 고유의 기준 신호 송신을 요청할 수도 있다. UE(602)는 활성 데이터 수신 동안 활성 빔 프로세스와 관련되는 다운링크 빔의 품질 메트릭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품질 메트릭은, 할당된 주파수 리소스에 걸친 활성 빔 쌍 내에서의 에너지 검출, 잡음에 대한 DMRS 심볼 에너지, 감지된 회전 크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UE(602)는 모니터링된 품질 메트릭이 미리 정의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BSRS 송신에 대한 요청을 전송할 수도 있다. 빔 고유의 기준 신호 리소스 구성은 미리 구성될 수 있고 UE(602)는 검출된 BRS에 기초하여 새로운 빔 페어링을 시작하기 위해 수신 빔 스위핑을 사용할 수도 있다. UE(602)는 활성 빔 프로세스와 관련되는 수신 빔을 결정 및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UE(602)는 주기적으로 또는 각각의 활성 빔 프로세스에 대한 미리 정의된 이벤트에 의해 트리거되는 수신 빔을 프로빙할 수도 있다. UE(602)는 활성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 동안 미리 정의된 시간 기간에 걸쳐 평균화되는 다수의 TTI 또는 TTI마다 수신 빔포밍 프로빙을 수행할 수도 있다. UE는 특히 단일의 수신 빔 UE에 대한 유용한 데이터 송신이 존재하지 않는, 서브프레임 구조에 고유한 필드 또는 각각의 심볼에 부착되는 GP 또는 CP를 사용할 수도 있다. 시간 기간은 또한 특별한 서브프레임 또는 심볼 또는 심볼들의 블록으로서 스케줄링될 수 있다. UE(602)는 CP 또는 GP 없이 UE 파형 상의 UW에 대해 프로빙을 또한 수행할 수도 있다. 다수의 수신 빔 UE의 경우, 시간 기간은 데이터 송신, 예를 들면, 데이터 및 DMRS 심볼과 중첩할 수 있다.
수신 빔포밍 프로빙은 완전한 수신 빔 스위핑, 수신 빔, 예를 들면, 인접한 수신 빔(GOB) 또는 +/- x 도(연속하는 BF)의 미리 정의된 그룹 및/또는 이전에 사용된 최상의 수신 빔을 통한 순환을 포함할 수도 있다. UE(602)는 각각의 조정된 수신 빔에 대한 검출된 에너지를 측정할 수도 있고 미리 정의된 기준에 따라 최상의 수신 빔을 찾을 수도 있다.
프로빙 기간은 측정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짧을 수도 있다. 아날로그 측정은 소정의 파형에 대한 기준 신호 송신을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고 짧은 프로빙 시간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UE(602)는 프로빙의 결과로서 수신 빔 선택을 통해 활성 빔 프로세스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UE(602)는 또한, UE(602) 회전 검출 및 수신 빔포밍 측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활성 빔 프로세스와 관련되는 수신 빔을 조정할 수도 있다. UE(602)는 연속적인 아날로그 빔포밍 성능을 가지고 수신 빔 추적을 자율적으로 추적할 수도 있다. UE(602)는, 수신 빔 프로빙 구성과 마찬가지록, 미리 정의된 시간 기간 동안 수신 빔포밍 조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UE(602)는, 측정된 회전 벡터, 검출된 활성 빔 쌍 에너지 변동(광대역 AGC 값), 활성 빔 쌍을 사용하는 수신 채널 SINR, 수신 빔포밍 측정에서 측정되는 채널 품질, 등등에 기초하여 조정을 결정할 수도 있다. UE(602)는 TRP의 지식 없이 활성 데이터 수신을 계속하기 위해 업데이트된 수신 빔을 적용할 수도 있다. UE(602)는 수신 빔 조정에 기인하여 활성 빔 프로세스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고 하나의 또는 다수의 수신 빔과 하나의 송신 빔 사이에서 빔 쌍의 매핑을 유지할 수도 있다.
UE는, 후보 빔의 세트를 사용하여 리소스 세트에 걸쳐 에너지를 측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최상의 빔"을 결정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리소스의 세트는 UE(602)에 대한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 내에서의 특정한 시간 기간 또는 심볼의 시퀀스일 수도 있다. 리소스의 세트의 존재는, 송신에 적용 가능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서 나타내어질 수도 있거나, 또는 상위 레이어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솔루션에서, 차선책의(sub-optimal) 빔이 사용되더라도 성공적인 디코딩의 확률을 증가시키기 위해, 리소스의 세트 상으로 매핑되는 정보는, 송신의 나머지 리소스의 것들과는 상이한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인코딩될 수도 있고 및/또는 변조될 수도 있다. 적용 가능한 파라미터(예를 들면, 코드 레이트, 변조, 또는 변조 및 코딩 스킴 인덱스)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도 있거나 또는 상위 레이어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거나, 또는, 송신의 나머지를 위해 적용되는 MCS 인덱스에 대한 미리 결정된 또는 미리 구성된 오프셋과 같은, 나머지 리소스에서 사용되는 파라미터로부터 암시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아키텍쳐
멀티캐스트 그룹 형성과 관련되는 시스템 및 방법은 도 7a 내지 도 7f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초기 문제로서, 이들 무선 시스템이 설명될 것이다. 도 7a는 하나 이상의 개시된 실시형태가 구현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700)의 도면이다. 통신 시스템(700)은 음성, 데이터, 비디오, 메시징, 브로드캐스트, 및 등등과 같은 콘텐츠를 다수의 무선 유저에게 제공하는 다중 액세스 시스템(multiple access system)일 수도 있다. 통신 시스템(700)은, 무선 대역폭을 비롯한 시스템 리소스의 공유를 통해 다수의 무선 유저가 이러한 콘텐츠에 액세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도 7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700)은 무선 송수신 유닛(WTRU)(102a, 102b, 102c 및/또는 102d)(이것은 일반적으로 또는 일괄적으로 WTRU(102)로 칭해질 수도 있음), RAN(103/104/105), 코어 네트워크(106/107/109), 공중 교환식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108), 인터넷(110), 및 다른 네트워크(112)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개시된 실시형태는 임의의 수의 WTRU, 기지국(base station), 네트워크, 및/또는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고려한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WTRU(102a, 102b, 102c, 102d)의 각각은 무선 환경에서 동작하도록 및/또는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타입의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예로서, WTRU(102a, 102b, 102c, 102d)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유저 기기(UE), 이동국(mobile station), 고정식 또는 이동식 가입자 유닛, 페이저, 셀룰러 전화, 개인 휴대형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폰, 랩탑, 넷북, 퍼스널 컴퓨터, 무선 센서, 가전기기(consumer electronics), 및 등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시스템(700)은 또한 기지국(114a) 및 기지국(114b)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114a, 114b)의 각각은, 코어 네트워크(106/107/109), 인터넷(110), 및/또는 네트워크(112)와 같은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WTRU(102a, 102b, 102c, 102d)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으로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타입의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예로서, 기지국(114a, 114b)은 기지국 트랜스시버(base transceiver station; BTS), Node-B, eNode B, 홈 노드 B, 홈 eNode B, 사이트 컨트롤러(site controll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무선 라우터, 및 등등일 수도 있다. 기지국(114a, 114b) 각각이 단일의 엘리먼트로서 묘사되지만, 기지국(114a, 114b)은 임의의 수의 상호 연결된(interconnected) 기지국 및/또는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기지국(114a)은, 기지국 컨트롤러(base station controller; BSC),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radio network controller; RNC), 중계 노드, 및 등등과 같은 다른 기지국 및/또는 네트워크 엘리먼트(도시되지 않음)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는 RAN(103/104/105)의 일부일 수도 있다. 기지국(114a) 및/또는 기지국(114b)은, 특정한 지리적 영역 내에서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데, 특정한 지리적 영역은 셀(도시되지 않음)로서 칭해질 수도 있다. 셀은 섹터로 더 분할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114a)과 관련되는 셀은 세 개의 섹터로 분할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기지국(114a)은 세 개의 트랜스시버(셀의 각각의 섹터에 대해 하나씩)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기지국(114a)은 다중입력 다중출력(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기술을 활용할 수도 있고, 따라서, 셀의 각각의 섹터에 대해 다수의 트랜스시버를 활용할 수도 있다.
기지국(114a, 114b)은, 임의의 적절한 무선 통신 링크(예를 들면,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마이크로파, 적외선(infrared; IR), 자외선(ultraviolet; UV), 가시광, 및 등등)일 수도 있는 무선 인터페이스(air interface; 115/116/117)를 통해 WTRU(102a, 102b, 102c, 102d) 중 하나 이상과 통신할 수도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115/116/117)는 임의의 적절한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사용하여 확립될 수도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에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700)은 다중 액세스 시스템일 수도 있고, CDMA, TDMA, FDMA, OFDMA, SC-FDMA, 및 등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채널 액세스 스킴을 활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WTRU(102a, 102b, 102c) 및 RAN(103/104/105) 내의 기지국(114a)은, 광대역 CDMA(wideband CDMA; WCDMA)를 사용하여 무선 인터페이스(115/116/117)를 확립할 수도 있는,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지상 무선 액세스(Terrestrial Radio Access)(UTRA)와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WCDMA는 고속 패킷 액세스(High-Speed Packet Access; HSPA) 및/또는 진화된 HSPA(Evolved HSPA; HSPA+)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도 있다. HSPA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및/또는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기지국(114a) 및 WTRU(102a, 102b, 102c)는, 롱 텀 에볼루션(LTE) 및/또는 LTE 어드밴스드(LTE-Advanced; LTE-A)를 사용하여 무선 인터페이스(115/116/117)를 확립할 수도 있는 무선 기술 예컨대 진화형 UMTS 지상 무선 액세스(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를 구현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기지국(114a) 및 WTRU(102a, 102b, 102c)는, IEEE 802.16(즉,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CDMA2000, CDMA2000 1X, CDMA2000 EV-DO, IS-2000(Interim Standard 2000), IS-95(Interim Standard 95), IS-856(Interim Standard 856), 이동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GSM 에볼루션을 위한 향상된 데이터 레이트(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EDGE), GSM EDGE(GERAN), 및 등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도 7a의 기지국(114b)은, 예로서, 무선 라우터, 홈 노드 B, 홈 eNode B, 또는 액세스 포인트일 수도 있고, 사업장, 가정, 차량, 캠퍼스, 및 등등과 같은 국소화된 영역에서 무선 연결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임의의 적절한 RAT를 활용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기지국(114b) 및 WTRU(102c, 102d)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을 확립하기 위해 IEEE 802.11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기지국(114b) 및 WTRU(102c, 102d)는 무선 사설 영역 네트워크(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를 확립하기 위해 IEEE 802.15와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여전히 다른 실시형태에서, 기지국(114b) 및 WTRU(102c, 102d)는 피코셀 또는 펨토셀을 확립하기 위해 셀룰러 기반의 RAT(예를 들면, WCDMA, CDMA2000, GSM, LTE, LTE-A, 및 등등)를 활용할 수도 있다. 도 7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지국(114b)은 인터넷(110)에 대한 직접 연결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기지국(114b)은 코어 네트워크(106/107/109)를 통해 인터넷(110)에 액세스하는 데 필요로 되지 않을 수도 있다.
RAN(103/104/105)은, WTRU(102a, 102b, 102c, 102d) 중 하나 이상으로 음성,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인터넷 전화 프로토콜(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타입의 네트워크일 수도 있는 코어 네트워크(106/107/109)와 통신할 수도 있다. 예로서, 코어 네트워크(106/107/109)는 호 제어(call control), 과금 서비스, 모바일 위치 기반 서비스, 선불 통화, 인터넷 연결성, 비디오 분배, 및 등등을 제공할 수도 있고, 및/또는 유저 인증과 같은 하이 레벨의 보안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비록 도 7a에서 도시되지는 않지만, RAN(103/104/105)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106/107/109)는, RAN(103/104/105)과 동일한 RAT 또는 상이한 RAT를 활용하는 다른 RAN과 직접 또는 간접 통신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예를 들면, E-UTRA 무선 기술을 활용할 수도 있는 RAN(103/104/105)에 연결되는 것 외에, 코어 네트워크(106/107/109)는 GSM 무선 기술을 활용하는 다른 RAN(도시되지 않음)과 또한 통신할 수도 있다.
코어 네트워크(106/107/109)는, WTRU(102a, 102b, 102c, 102d)가 PSTN(108), 인터넷(110),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112)에 액세스하는 데 게이트웨이로서 또한 기능할 수도 있다. PSTN(108)은, 기존 전화 서비스(plain old telephone service; POTS)를 제공하는 회선 교환식 전화 네트워크(circuit-switched telephone network)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인터넷(110)은, TCP/IP 인터넷 프로토콜 일군(suite)에서의 송신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유저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 UDP) 및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상호 연결된 컴퓨터 네트워크 및 디바이스의 글로벌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112)는 다른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소유되는 및/또는 운영되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112)는, RAN(103/104/105)과 동일한 RAT 또는 상이한 RAT를 활용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RAN에 연결되는 다른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시스템(700)에서의 WTRU(102a, 102b, 102c, 102d) 중 몇몇 또는 모두는 다중 모드 성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WTRU(102a, 102b, 102c, 102d)는 상이한 무선 링크를 통해 상이한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다수의 트랜스시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7a에서 도시되는 WTRU(102c)는, 셀룰러 기반 무선 기술을 활용할 수도 있는 기지국(114a)과, 그리고 IEEE 802 무선 기술을 활용할 수도 있는 기지국(114b)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b는 한 실시형태에 따른 RAN(103) 및 코어 네트워크(106)의 시스템 도면이다. 상기에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RAN(103)은 무선 인터페이스(115)를 통해 WTRU(102a, 102b, 102c)와 통신하기 위해 UTRA 무선 기술을 활용할 수도 있다. RAN(103)은 코어 네트워크(106)와 또한 통신할 수도 있다. 도 7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RAN(103)은, 무선 인터페이스(115)를 통해 WTRU(102a, 102b, 102c)와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트랜스시버를 각각 포함할 수도 있는 Node-B(140a, 140b, 140c)를 포함할 수도 있다. Node-B(140a, 140b, 140c) 각각은 RAN(103) 내의 특정한 셀(도시되지 않음)과 관련될 수도 있다. RAN(103)은 RNC(142a, 142b)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RAN(103)은, 한 실시형태와 여전히 부합하면서, 임의의 수의 Node-B 및 RNC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도 7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노드 B(140a, 140b)는 RNC(142a)와 통신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Node-B(140c)는 RNC(142b)와 통신할 수도 있다. Node-B(140a, 140b, 140c)는 Iub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각의 RNC(142a, 142b)와 통신할 수도 있다. RNC(142a, 142b)는 Iur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RNC(142a, 142b)의 각각은, 자신이 연결되는 각각의 Node-B(140a, 140b, 140c)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RNC(142a, 142b)의 각각은 다른 기능성, 예컨대 외부 루프 전력 제어, 부하 제어, 수락 제어(admission control), 패킷 스케줄링, 핸드오버 제어, 매크로다이버시티, 보안 기능, 데이터 암호화, 및 등등을 수행하도록 또는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b에서 도시되는 코어 네트워크(106)는 미디어 게이트웨이(media gateway; MGW)(144), 모바일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146), 서빙 GPRS 지원 노드(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148), 및/또는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ateway GPRS support node; GGSN)(15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엘리먼트의 각각이 코어 네트워크(106)의 일부로서 묘사되지만, 이들 엘리먼트 중 임의의 하나는 코어 네트워크 오퍼레이터 이외의 엔티티에 의해 소유될 수도 있고 및/또는 운영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RAN(103)에서의 RNC(142a)는 IuCS 인터페이스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106)의 MSC(146)에 연결될 수도 있다. MSC(146)는 MGW(144)에 연결될 수도 있다. MSC(146) 및 MGW(144)는, WTRU(102a, 102b, 102c)와 전통적인 지상 회선(land-line)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PSTN(108)과 같은 회선 교환식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WTRU(102a, 102b, 102c)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RAN(103)에서의 RNC(142a)는 IuPS 인터페이스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106)의 SGSN(148)에 또한 연결될 수도 있다. SGSN(148)은 GGSN(150)에 연결될 수도 있다. SGSN(148) 및 GGSN(150)은, WTRU(102a, 102b, 102c)와 IP 대응 디바이스(IP-enabled device)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패킷 교환 네트워크, 예컨대 인터넷(110)에 대한 액세스를 WTRU(102a, 102b, 102c)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코어 네트워크(106)는, 다른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소유되는 및/또는 운영되는 다른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는 네트워크(112)에 또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7c는 한 실시형태에 따른 RAN(104) 및 코어 네트워크(107)의 시스템 도면이다. 상기에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RAN(104)은 무선 인터페이스(116)를 통해 WTRU(102a, 102b, 102c)와 통신하기 위해 E-UTRA 무선 기술을 활용할 수도 있다. RAN(104)은 코어 네트워크(107)와 또한 통신할 수도 있다.
RAN(104)은 eNode B(160a, 160b, 160c)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RAN(104)은 한 실시형태와 여전히 부합하면서 임의의 수의 eNode B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eNode B(160a, 160b, 160c) 각각은 무선 인터페이스(116)를 통해 WTRU(102a, 102b, 102c)와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트랜스시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eNode B(160a, 160b, 160c)는 MIMO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따라서, eNode B(160a)는, 예를 들면, WTRU(102a)로 무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그리고 그 WTRU(102a)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eNode B(160a, 160b, 160c)의 각각은 특정 셀(도시되지 않음)과 관련될 수도 있고 무선 리소스 관리 결정, 핸드오버 결정,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에서의 유저의 스케줄링, 및 등등을 핸들링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c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eNode B(160a, 160b, 160c)는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도 7c에서 도시되는 코어 네트워크(107)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 게이트웨이(mobility management entity gateway; MME)(162), 서빙 게이트웨이(164),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acket data network; PDN) 게이트웨이(166)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엘리먼트의 각각이 코어 네트워크(107)의 일부로서 묘사되지만, 이들 엘리먼트 중 임의의 하나는 코어 네트워크 오퍼레이터 이외의 엔티티에 의해 소유될 수도 있고 및/또는 운영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MME(162)는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RAN(104) 내의 eNode B(160a, 160b, 160c)의 각각에 연결될 수도 있고 제어 노드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MME(162)는 WTRU(102a, 102b, 102c)의 유저를 인증하는 것, 베어러 활성화/비활성화, WTRU(102a, 102b, 102c)의 초기 연결 동안 특정한 서빙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 것, 및 등등을 담당할 수도 있다. MME(162)는, GSM 또는 WCDMA와 같은 다른 무선 기술을 활용하는 다른 RAN(도시되지 않음)과 RAN(104) 사이를 스위칭하기 위한 제어 평면 기능을 또한 제공할 수도 있다.
서빙 게이트웨이(164)는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RAN(104) 내의 eNode B(160a, 160b, 160c)의 각각에 연결될 수도 있다. 서빙 게이트웨이(164)는 일반적으로 유저 데이터 패킷을, WTRU(102a, 102b, 102c)로/로부터 라우팅 및 포워딩할 수도 있다. 서빙 게이트웨이(164)는 다른 기능, 예컨대 eNode B간 핸드오버(inter-eNode B handover) 동안 유저 평면을 앵커링하는 것, 다운링크 데이터가 WTRU(102a, 102b, 102c)에 대해 이용 가능할 때 페이징을 트리거하는 것, WTRU(102a, 102b, 102c)의 컨텍스트(context)를 관리하고 저장하는 것, 및 등등을 또한 수행할 수도 있다.
서빙 게이트웨이(164)는, WTRU(102a, 102b, 102c)와 IP 대응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인터넷(110)과 같은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WTRU(102a, 102b, 102c)에게 제공할 수도 있는 PDN 게이트웨이(166)에 또한 연결될 수도 있다.
코어 네트워크(107)는 다른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코어 네트워크(107)는, WTRU(102a, 102b, 102c)와 전통적인 지상 회선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PSTN(108)과 같은 회선 교환식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WTRU(102a, 102b, 102c)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코어 네트워크(107)는, 코어 네트워크(107)와 PSTN(108) 사이의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는 IP 게이트웨이(예를 들면,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P multimedia subsystem; IMS) 서버)를 포함할 수도 있거나, 또는 그 IP 게이트웨이와 통신할 수도 있다. 또한, 코어 네트워크(107)는, 다른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소유되는 및/또는 운영되는 다른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는 네트워크(112)에 대한 액세스를 WTRU(102a, 102b, 102c)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도 7d는 한 실시형태에 따른 RAN(105) 및 코어 네트워크(109)의 시스템 도면이다. RAN(105)은, 무선 인터페이스(117)를 통해 WTRU(102a, 102b, 102c)와 통신하기 위해 IEEE 802.16 무선 기술을 활용하는 액세스 서비스 네트워크(access service network; ASN)일 수도 있다. 하기에서 더 논의되는 바와 같이, WTRU(102a, 102b, 102c), RAN(105), 및 코어 네트워크(109)의 상이한 기능적 엔티티 사이의 통신 링크는 참조 포인트(reference point)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도 7d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RAN(105)은 기지국(180a, 180b, 180c), 및 ASN 게이트웨이(182)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RAN(105)은, 실시형태와 여전히 부합하면서, 임의의 수의 기지국 및 ASN 게이트웨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기지국(180a, 180b, 180c) 각각은, RAN(105) 내의 특정한 셀(도시되지 않음)과 관련될 수도 있고 무선 인터페이스(117)를 통해 WTRU(102a, 102b, 102c)와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트랜스시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기지국(180a, 180b, 180c)은 MIMO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따라서, 기지국(180a)은, 예를 들면, WTRU(102a)로 무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그리고 WTRU(102a)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기지국(180a, 180b, 180c)은 또한, 핸드오프 트리거링(handoff triggering), 터널 확립, 무선 리소스 관리, 트래픽 분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정책 보강(enforcement), 및 등등과 같은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ASN 게이트웨이(182)는 트래픽 집성 포인트(traffic aggregation point)로서 기능할 수도 있고, 페이징, 가입자 프로파일의 캐싱, 코어 네트워크(109)로의 라우팅, 및 등등을 담당할 수도 있다.
WTRU(102a, 102b, 102c)와 RAN(105)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117)는, IEEE 802.16 명세를 구현하는 R1 참조 포인트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또한, WTRU(102a, 102b, 102c)의 각각은 코어 네트워크(109)와의 논리적 인터페이스(도시되지 않음)를 확립할 수도 있다. WTRU(102a, 102b, 102c)와 코어 네트워크(109) 사이의 논리적 인터페이스는 R2 참조 포인트(도시되지 않음)로서 정의될 수도 있는데, R2 참조 포인트는 인증(authentication), 인가(authorization), IP 호스트 구성 관리, 및/또는 이동성 관리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기지국(180a, 180b, 180c)의 각각 사이의 통신 링크는, WTRU 핸드오버 및 기지국 사이의 데이터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R8 참조 포인트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기지국(180a, 180b, 180c)과 ASN 게이트웨이(182) 사이의 통신 링크는 R6 참조 포인트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R6 참조 포인트는 WTRU(102a, 102b, 102c)의 각각과 관련되는 이동성 이벤트에 기초하여 이동성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d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RAN(105)은 코어 네트워크(109)에 연결될 수도 있다. RAN(105)과 코어 네트워크(109) 사이의 통신 링크는, 예로서, 데이터 전송 및 이동성 관리 성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R3 참조 포인트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코어 네트워크(109)는 모바일 IP 홈 에이전트(mobile-IP home agent; MIP-HA)(184), 인증, 인가, 어카운팅(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AAA) 서버(186), 및 게이트웨이(188)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엘리먼트의 각각이 코어 네트워크(109)의 일부로서 묘사되지만, 이들 엘리먼트 중 임의의 하나는 코어 네트워크 오퍼레이터 이외의 엔티티에 의해 소유될 수도 있고 및/또는 운영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MIP-HA(184)는 IP 어드레스 관리를 담당할 수도 있고, WTRU(102a, 102b, 102c)가 상이한 ASN 및/또는 상이한 코어 네트워크 사이에서 로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MIP-HA(184)는, WTRU(102a, 102b, 102c)와 IP 대응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패킷 교환식 네트워크, 예컨대 인터넷(110)에 대한 액세스를 WTRU(102a, 102b, 102c)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AAA 서버(186)는 유저 인증 및 유저 서비스 지원을 담당할 수도 있다. 게이트웨이(188)는 다른 네트워크와의 상호 연동(interworking)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웨이(188)는, WTRU(102a, 102b, 102c)와 전통적인 지상 회선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PSTN(108)과 같은 회선 교환식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WTRU(102a, 102b, 102c)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188)는, 다른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소유되는 및/또는 운영되는 다른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는 네트워크(112)에 대한 액세스를 WTRU(102a, 102b, 102c)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비록 도 7d에서 도시되지는 않지만, RAN(105)은 다른 ASN에 연결될 수도 있고 코어 네트워크(109)는 다른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RAN(105)과 다른 ASN 사이의 통신 링크는 R4 참조 포인트(도시되지 않음)로서 정의될 수도 있는데, R4 참조 포인트는 RAN(105)과 다른 ASN 사이에서 WTRU(102a, 102b, 102c)의 이동성을 조정하기(coordinating) 위한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코어 네트워크(109)와 다른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 링크는 R5 참조 포인트(도시되지 않음)로서 정의될 수도 있는데, R5 참조 포인트는 홈 코어 네트워크와 방문 코어 네트워크(visited core network) 사이의 상호 연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e는 예시적인 WTRU(102)의 시스템 도면이다. 도 7e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WTRU(102)는 프로세서(118), 트랜스시버(120), 송신/수신 엘리먼트(122), 스피커/마이크(124), 키패드(126), 디스플레이/터치패드(128), 비착탈식 메모리(130), 착탈식 메모리(132), 전원(134), 전지구 위치 결정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칩셋(136), 및 다른 주변장치(138)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트랜스시버(120)는 디코더 로직(119)의 컴포넌트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트랜스시버(120) 및 디코더 로직(119)은 단일의 LTE 또는 LTE-A 칩 상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코더 로직은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는 명령어를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디코더 로직은 커스텀 및/또는 프로그래머블 디지털 논리 회로부(circuitry)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WTRU(102)는 한 실시형태와 여전히 부합하면서 전술한 엘리먼트의 임의의 부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또한, 실시형태는, 기지국(114a 및 114b), 및/또는, 다른 것들 중에서도, 기지국 트랜스시버(BTS), Node-B, 사이트 컨트롤러, 액세스 포인트(AP), 홈 node-B, 진화형 홈 node-B(eNodeB), 홈 진화형 node-B(home evolved node-B; HeNB), 홈 진화형 node-B 게이트웨이, 및 프록시 노드와 같은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 기지국(114a 및 114b)이 나타낼 수도 있는 노드가 도 7e에서 묘사되고 본원에서 설명되는 엘리먼트 중 일부 또는 전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
프로세서(118)는 범용 프로세서, 특수 목적의 프로세서, 종래의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코어와 관련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회로, 임의의 다른 타입의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 상태 머신, 및 등등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118)는 신호 코딩, 데이터 프로세싱, 전력 제어, 입력/출력 프로세싱, 및/또는 WTRU(102)가 무선 환경에서 동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다른 기능성(functionality)을 수행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8)는, 송신/수신 엘리먼트(122)에 커플링될 수도 있는 트랜스시버(120)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도 7e가 프로세서(118) 및 트랜스시버(120)를 별개의 컴포넌트로서 묘사하지만, 프로세서(118) 및 트랜스시버(120)는 전자적 패키지 또는 칩에 함께 집적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송신/수신 엘리먼트(122)는 무선 인터페이스(115/116/117)를 통해 기지국(예를 들면, 기지국(114a))으로 신호를 송신하도록, 또는 그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송신/수신 엘리먼트(122)는 RF 신호를 송신하도록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안테나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송신/수신 엘리먼트(122)는, 예로서, IR, UV, 또는 가시광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방출기(emitter)/검출기(detector)일 수도 있다. 여전히 다른 실시형태에서, 송신/수신 엘리먼트(122)는 RF 및 광 신호 둘 모두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송신/수신 엘리먼트(122)는 무선 신호의 임의의 조합을 송신하도록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또한, 비록 송신/수신 엘리먼트(122)가 도 7e에서 단일의 엘리먼트로서 묘사되지만, WTRU(102)는 임의의 수의 송신/수신 엘리먼트(12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WTRU(102)는 MIMO 기술을 활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WTRU(102)는, 무선 인터페이스(115/116/117)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두 개 이상의 송신/수신 엘리먼트(122)(예를 들면, 다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트랜스시버(120)는, 송신/수신 엘리먼트(122)에 의해 송신될 신호를 변조하도록 그리고 송신/수신 엘리먼트(122)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WTRU(102)는 다중 모드 성능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트랜스시버(120)는, WTRU(102)가, 예로서, UTRA 및 IEEE 802.11과 같은 다수의 RAT를 통해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다수의 트랜스시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WTRU(102)의 프로세서(118)는, 스피커/마이크(124), 키패드(126), 및/또는 디스플레이/터치패드(128)(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디스플레이 유닛)에 커플링될 수도 있고, 그리고 이들로부터 유저 입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8)는 유저 데이터를 스피커/마이크(124), 키패드(126), 및/또는 디스플레이/터치패드(128)로 또한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18)는, 비착탈식 메모리(130) 및/또는 착탈식 메모리(132)와 같은 임의의 타입의 적절한 메모리의 정보에 액세스할 수도 있고, 그리고 그 임의의 타입의 적절한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비착탈식 메모리(130)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access memory; RAM), 리드 온리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하드디스크, 또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메모리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착탈식 메모리(132)는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카드, 메모리 스틱, 시큐어 디지털(secure digital; SD) 메모리 카드, 및 등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프로세서(118)는, WTRU(102) 상에 물리적으로 위치되지 않는 메모리, 예컨대 서버 또는 가정용 컴퓨터(도시되지 않음) 상의 메모리의 정보에 액세스할 수도 있고, 그리고 그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8)는 전원(134)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도 있고, WTRU(102)의 다른 컴포넌트로 전력을 분배하도록 및/또는 그 전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원(134)은 WTRU(102)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예로서, 전원(134)은 하나 이상의 드라이 셀 배터리(예를 들면, 니켈 카드뮴(NiCd), 니켈 아연(NiZn), 니켈 금속 수소(NiMH), 리튬 이온(Li ion), 및 등등), 솔라 셀, 연료 전지, 및 등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8)는, WTRU(102)의 현재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예를 들면, 경도 및 위도)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GPS 칩셋(136)에 또한 커플링될 수도 있다. 또한, GPS 칩셋(136)으로부터의 정보 외에, 또는 그 정보 대신, WTRU(102)는 무선 인터페이스(115/116/117)를 통해 기지국(예를 들면, 기지국(114a, 114b))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고 및/또는 두 개 이상의 근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고 있는 신호의 타이밍에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WTRU(102)는 한 실시형태와 여전히 부합하면서 임의의 적절한 위치 결정 방법을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프로세서(118)는 또한, 추가적인 피쳐, 기능성, 및/또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성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는 다른 주변장치(138)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주변장치(138)는 가속도계, 전자 콤파스, 위성 트랜스시버, (사진 및 비디오용의) 디지털 카메라,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포트, 진동 디바이스, 텔레비전 트랜스시버, 핸즈프리 헤드셋, Bluetooth® 모듈, 주파수 변조(frequency modulated; FM) 무선 유닛, 디지털 뮤직 플레이어, 미디어 플레이어, 비디오 게임 플레이어 모듈, 인터넷 브라우저, 및 등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f는 도 7a의 통신 시스템(700) 내에서 사용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네트워크 엔티티(190)를 묘사한다. 도 7f에서 묘사되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 엔티티(190)는 버스, 네트워크, 또는 다른 통신 경로(198)에 의해 통신 가능하게 모두 연결되는, 통신 인터페이스(192), 프로세서(194), 및 비일시적인 데이터 스토리지(196)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92)는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및/또는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유선 통신과 관련하여, 통신 인터페이스(192)는, 예로서, 이더넷 인터페이스와 같은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과 관련하여, 통신 인터페이스(192)는 컴포넌트 예컨대 하나 이상의 안테나, 하나 이상의 타입의 무선(예를 들면, LTE) 통신을 위해 설계 및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트랜스시버/칩셋, 및/또는 관련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에 의해 적절한 것으로 간주되는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통신과 관련하여, 통신 인터페이스(192)는, 무선 통신(예를 들면, LTE 통신, 와이파이 통신, 및 등등)의 네트워크 측 - 클라이언트 측과는 반대 - 상에서 작용하는 데 적절한 구성 및 스케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통신 인터페이스(192)는 다수의 이동국, UE, 또는 커버리지 영역 내의 다른 액세스 단말을 서비스하기 위한 적절한 기기 및 회로부(어쩌면 다수의 트랜스시버를 포함함)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94)는, 관련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에 의해 적절한 것으로 간주되는 임의의 타입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몇몇 예는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전용 DSP를 포함한다.
관련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에 의해 적절한 것으로 간주되는 임의의 하나 이상 타입의 비일시적 데이터 스토리지가 사용될 수도 있기 때문에, 데이터 스토리지(196)는 임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또는 이러한 매체의 조합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는데, 몇몇 예는, 단지 몇몇을 거론하자면, 플래시 메모리, 리드 온리 메모리(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포함한다. 도 7f에서 묘사되는 바와 같이, 데이터 스토리지(196)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네트워크-엔티티 기능의 다양한 조합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194)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197)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본원에서 설명되는 네트워크 엔티티 기능은, 도 7f의 네트워크 엔티티(190)의 것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행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기능 중 하나 이상은, 조합된 다수의 네트워크 엔티티의 세트에 의해 수행되는데, 여기서 각각의 네트워크 엔티티는 도 7f의 네트워크 엔티티(190)의 것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다양하고 상이한 실시형태에서, 네트워크 엔티티(190)는, RAN(103)(내의 하나 이상의 엔티티), RAN(104)(내의 하나 이상의 엔티티), RAN(105)(내의 하나 이상의 엔티티), 코어 네트워크(106)(내의 하나 이상의 엔티티), 코어 네트워크(107)(내의 하나 이상의 엔티티), 코어 네트워크(109)(내의 하나 이상의 엔티티), 기지국(114a), 기지국(114b), Node-B(140a), Node-B(140b), Node-B(140c), RNC(142a), RNC(142b), MGW(144), MSC(146), SGSN(148), GGSN(150), eNode B(160a), eNode B(160b), eNode B(160c), MME(162), 서빙 게이트웨이(164), PDN 게이트웨이(166), 기지국(180a), 기지국(180b), 기지국(180c), ASN 게이트웨이(182), MIP-HA(184), AAA(186), 및 게이트웨이(188) 중 하나 이상이다 - 또는 그 하나 이상을 적어도 포함한다. 전술한 목록이 제한으로서가 아니라 예로서 제공되기 때문에, 분명히,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 및/또는 네트워크 엔티티의 조합이, 본원에서 설명되는 네트워크 엔티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비록 상기에서 피쳐 및 엘리먼트가 특정한 조합으로 설명되지만,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각각의 피쳐 또는 엘리먼트는 단독으로 또는 다른 피쳐 및 엘리먼트와의 임의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 설명되는 방법은,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통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의 예는 전자 신호(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송신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의 예는, 리드 온리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레지스터, 캐시 메모리,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내장 하드 디스크 및 착탈식 디스크와 같은 자기 매체, 광자기 매체, 및 CD-ROM 디스크 및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k; DVD)와 같은 광학 매체를 포함하지만,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소프트웨어와 관련하는 프로세서는, WTRU, UE, 단말, 기지국, RNC, 또는 임의의 호스트 컴퓨터에서 사용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 트랜스시버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사용되는 약어
Δf Sub-carrier spacing(서브캐리어 간격)
5gFLEX 5G Flexible Radio Access Technology(5G 플렉시블 무선 액세스 기술)
5gNB 5GFlex NodeB
ACK Acknowledgement(확인 응답)
BB Baseband(베이스밴드)
BLER Block Error Rate(블록 에러율)
BTI Basic TI(기본 TI)(하나 이상의 심볼 지속 기간의 정수배 단위)
CB Contention-Based(경합 기반)(예를 들면, 액세스, 채널, 리소스)
CoMP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다지점 협력 송신/수신)
CP Cyclic Prefix(사이클릭 프리픽스)
CP-OFDM Conventional OFDM(종래의 OFDM)(사이클릭 프리픽스에 의존함)
CQI Channel Quality Indicator(채널 품질 표시자)
CSI Channel State Information(채널 상태 정보)
CN Core Network(코어 네트워크)(예를 들면, LTE 패킷 코어)
CRC Cyclic Redundancy Check(순환 중복 검사)
CSI Channel State Information(채널 상태 정보)
CSG Closed Subscriber Group(폐쇄형 가입자 그룹)
D2D Device to Device transmissions(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송신)(예를 들면, LTE 사이드링크)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다운링크 제어 정보)
DL Downlink(다운링크)
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복조 기준 신호)
DRB Data Radio Bearer(데이터 무선 베어러)
EIRP Equivalent Isotropically-Radiated Power(등가 등방성 방사 전력)
EPC Evolved Packet Core(진화형 패킷 코어)
FB Feed Back(피드백)
FBMC Filtered Band Multi-Carrier(필터링된 대역 멀티캐리어)
FBMC/OQAM 오프셋 직교 진폭 변조(Offset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를 사용하는 FBMC 기술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ing(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ICC Industrial Control and Communications(산업 제어 및 통신)
ICIC Inter-Cell Interference Cancellation(셀간 간섭 상쇄)
IP Internet Protocol(인터넷 프로토콜)
LAA License Assisted Access(라이센스 지원 액세스)
LBT Listen-Before-Talk(리슨 비포 토크)
LCH Logical Channel(논리적 채널)
LCP 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논리적 채널 우선 순위화)
LLC Low Latency Communications(저 레이턴시 통신)
LTE 예를 들면, 3GPP LTE R8 및 그 이상으로부터의 Long Term Evolution(롱 텀 에볼루션)
MAC Medium Access Control(매체 액세스 제어)
NACK Negative ACK(부정의 ACK)
MBB Massive Broadband Communications(대규모 브로드캐스트 통신)
MC MultiCarrier(멀티캐리어)
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변조 및 코딩 스킴)
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다중 입력 다중 출력)
MTC Machine-Type Communications(머신 타입 통신)
NAS Non-Access Stratum(비액세스 계층)
OFDM 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OOB Out-Of-Band(emissions)(대역외(방출))
Pcmax 주어진 TI에서의 총 이용 가능한 UE 전력
PHY Physical Layer(물리적 레이어)
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
PDU Protocol Data Unit(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PER Packet Error Rate(패킷 에러율)
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공용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
PLR Packet Loss Rate(패킷 손실률)
P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일차 동기화 신호)
QoS (물리적 레이어 관점으로부터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RAB Radio Access Bearer(무선 액세스 베어러)
RACH Random Access Channel (or procedure)(랜덤 액세스 채널(또는 프로시져))
RF Radio Front end(무선 프론트 엔드)
RLF Radio Link Failure(무선 링크 실패)
RNTI Radio Network Identifier(무선 네트워크 식별자)
RRC Radio Resource Control(무선 리소스 제어)
RRM Radio Resource Management(무선 리소스 관리)
RS Reference Signal(기준 신호)
RTT Round-Trip Time(왕복 시간)
SCMA Single Carrier Multiple Access(싱글 캐리어 다중 액세스)
SDU Service Data Unit(서비스 데이터 단위)
SL Sidelink(사이드링크)
SOM Spectrum Operation Mode(스펙트럼 동작 모드)
SS Synchronization Signal(동기화 신호)
SSS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이차 동기화 신호)
SRB Signalling Radio Bearer(시그널링 무선 베어러)
SWG 스위칭 갭(Switching Gap)(독립형(self-contained) 서브프레임 단위)
TB Transport Block(전송 블록)
TDD Time-Division Duplexing(시분할 듀플렉싱)
TDM Time-Division Multiplexing(시분할 멀티플렉싱)
TI 시간 간격(Time Interval)(하나 이상의 BTI의 정수배 단위)
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송신 시간 간격)(하나 이상의 TI의 정수배 단위)
TRP Transmission/Reception Point(송신/수신 지점)
TRX Transceiver(트랜스시버)
UE User Equipment(유저 기기)
UFMC Universal Filtered Multi-Carrier(범용 필터링 멀티캐리어)
UF-OFDM Universal Filtered OFDM(범용 필터링 OFDM)
UL Uplink(업링크)
URC Ultra-Reliable Communications(초 신뢰 가능 통신)
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초 신뢰 가능한 저 레이턴시 통신)
V2V Vehicle to vehicle communications(차량 대 차량 통신)
V2X Vehicular communications(차량 통신)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무선 근거리 통신망) 및 관련 기술(IEEE 802.xx 도메인)
ZC Zadoff-Chu sequence(자도프 추 시퀀스)

Claims (17)

  1. 복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유저 기기(user equipment; UE) 엔티티에 의한 사용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UE 엔티티를 복수의 빔 프로세스 - 각각의 빔 프로세스는 프리코딩 가중치의 대응하는 세트를 사용하여 획득되는 방사 패턴에 대응함 - 를 가지고 구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구성된 빔 프로세스 중에서부터 제1 선택된 빔 프로세스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선택된 빔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프리코딩 가중치의 상기 세트에 의해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를 가중하는(weighting) 것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선택된 빔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제1 송신 수신 지점(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과 통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유저 기기(UE) 엔티티에 의한 사용을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택된 빔 프로세스는 대응하는 송신 전력 레벨 및 대응하는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선택된 빔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대응하는 송신 전력 레벨 및 대응하는 타이밍 어드밴스를 사용하여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복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유저 기기(UE) 엔티티에 의한 사용을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택된 빔 프로세스는 대응하는 자동 이득 컨트롤러 설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선택된 빔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대응하는 자동 이득 컨트롤러 설정을 사용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복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유저 기기(UE) 엔티티에 의한 사용을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TRP로부터 상기 UE 엔티티에 의해 수신되는 표시에 응답하여 추가적인 빔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유저 기기(UE) 엔티티에 의한 사용을 위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인체에 대한 상기 대응하는 빔의 근접도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빔 프로세스 중 적어도 각각의 빔 프로세스를 재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유저 기기(UE) 엔티티에 의한 사용을 위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이용 가능한 빔 중에서부터 상기 각각의 빔 프로세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상기 대응하는 빔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복수의 빔 프로세스 중 적어도 각각의 빔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유저 기기(UE) 엔티티에 의한 사용을 위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빔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대응하는 빔의 빔 클래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전력을 미리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빔 클래스는 상기 빔의 지향성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인, 복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유저 기기(UE) 엔티티에 의한 사용을 위한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용 가능한 빔 중에서부터 빔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이용 가능한 빔의 각각을 사용하여 빔 사운딩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용 가능한 빔의 각각에 대응하는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복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유저 기기(UE) 엔티티에 의한 사용을 위한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용 가능한 빔 중에서부터 빔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이용 가능한 빔의 각각을 사용하여 빔 선택 기준 신호를 수신 및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복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유저 기기(UE) 엔티티에 의한 사용을 위한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빔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단계는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random access procedure)에서 수행되는 것인, 복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유저 기기(UE) 엔티티에 의한 사용을 위한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택된 빔 프로세스는 제1 통신 리소스를 사용하는 통신을 위해 선택되고,
    제2 통신 리소스를 사용하는 통신을 위해 상기 복수의 구성된 빔 프로세스 중에서부터 제2 선택된 빔 프로세스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통신 리소스를 갖는 상기 제1 선택된 빔 프로세스 및 상기 제2 통신 리소스에 대한 상기 제2 선택된 빔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상기 TRP와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유저 기기(UE) 엔티티에 의한 사용을 위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통신 리소스는 상이한 시간 리소스인 것인, 복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유저 기기(UE) 엔티티에 의한 사용을 위한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통신 리소스는 상이한 주파수 리소스인 것인, 복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유저 기기(UE) 엔티티에 의한 사용을 위한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통신 리소스는 상이한 코드 리소스인 것인, 복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유저 기기(UE) 엔티티에 의한 사용을 위한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제2 TRP와의 통신을 위해 상기 복수의 구성된 빔 프로세스 중에서부터 제2 선택된 빔 프로세스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선택된 빔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프리코딩 가중치의 상기 세트에 의해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를 가중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제2 선택된 빔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2 TRP와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유저 기기(UE) 엔티티에 의한 사용을 위한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프로세스 중 적어도 두 개는 상이하게 구성된 최대 전력 파라미터(different configured maximum power parameter)를 포함하는 것인, 복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유저 기기(UE) 엔티티에 의한 사용을 위한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택된 빔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통신 동안 무선 링크 실패를 검출하는 단계;
    이에 응답하여 제2 선택된 빔 프로세스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선택된 빔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1 TRP와 후속하여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유저 기기(UE) 엔티티에 의한 사용을 위한 방법.
KR1020187032605A 2016-05-11 2017-05-03 빔포밍된 업링크 전송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311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31764A KR102471056B1 (ko) 2016-05-11 2017-05-03 빔포밍된 업링크 전송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34754P 2016-05-11 2016-05-11
US62/334,754 2016-05-11
US201662373076P 2016-08-10 2016-08-10
US62/373,076 2016-08-10
US201662440903P 2016-12-30 2016-12-30
US62/440,903 2016-12-30
PCT/US2017/030920 WO2017196612A1 (en) 2016-05-11 2017-05-03 Systems and methods for beamformed uplink transmiss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1764A Division KR102471056B1 (ko) 2016-05-11 2017-05-03 빔포밍된 업링크 전송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944A true KR20190016944A (ko) 2019-02-19
KR102311064B1 KR102311064B1 (ko) 2021-10-13

Family

ID=5871007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2605A KR102311064B1 (ko) 2016-05-11 2017-05-03 빔포밍된 업링크 전송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0217031764A KR102471056B1 (ko) 2016-05-11 2017-05-03 빔포밍된 업링크 전송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1764A KR102471056B1 (ko) 2016-05-11 2017-05-03 빔포밍된 업링크 전송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11245456B2 (ko)
EP (2) EP4333515A2 (ko)
JP (2) JP7300833B2 (ko)
KR (2) KR102311064B1 (ko)
CN (2) CN109155659B (ko)
IL (1) IL262783B (ko)
MY (1) MY191809A (ko)
WO (1) WO201719661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325A1 (ko) * 2019-03-29 2020-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전력 제어에 기반한 단말의 빔 관리 수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 및 기지국
WO2020204323A1 (ko) * 2019-03-29 2020-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전력 제어에 기반한 단말의 채널 상태 정보 보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 및 기지국
WO2020213815A1 (ko) * 2019-04-15 2020-10-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빔 운용 방법 및 그 장치
WO2020223049A1 (en) * 2019-05-01 2020-11-05 Qualcomm Incorporated Srs based discovery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JP2022546266A (ja) * 2019-08-30 2022-11-04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アップリンクビームマネージメン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0943B2 (en) 2011-10-17 2014-07-15 Golba Llc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multiplexing to increase throughput in a network of distributed transceivers with array processing
US10020861B2 (en) 2012-08-08 2018-07-10 Golba Llc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ed transceivers and mobile device connectivity
WO2016111978A1 (en) * 2015-01-05 2016-07-14 Ossia Inc. Techniques for reducing human exposure to wireless energy in wireless power delivery environments
TWI720052B (zh) * 2015-11-10 2021-03-01 美商Idac控股公司 無線傳輸/接收單元和無線通訊方法
US10397904B2 (en) 2016-02-20 2019-08-27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of uplink control information
US10425922B2 (en) * 2016-02-20 2019-09-24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of uplink control information
US11563505B2 (en) 2016-06-01 2023-01-24 Qualcomm Incorporated Time division multiplexing of synchronization channels
US10904784B2 (en) * 2016-06-15 2021-01-26 Qualcomm Incorporated Beam reporting and scheduling in multicarrier beamformed communications
JP6761108B2 (ja) * 2016-08-03 2020-09-23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で端末により遂行されるアップリンク通信遂行方法、及び前記方法を用いる端末
US11082966B2 (en) * 2016-08-09 2021-08-03 Apple Inc. Control channel transmission in new radio access technologies using common search space
CN109922529B (zh) * 2016-08-11 2020-04-28 华为技术有限公司 系统信息传输方法及装置
US10854995B2 (en) 2016-09-02 2020-12-01 Movandi Corporation Wireless transceiver having receive antennas and transmit antennas with orthogonal polarizations in a phased array antenna panel
CN107888256B (zh) * 2016-09-30 2022-12-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接收方法、装置、基站及终端
US11469940B2 (en) * 2016-10-03 2022-10-11 Qualcomm Incorporated Fast beam recovery using beam information in the measurement report
CN108023629A (zh) * 2016-11-03 2018-05-11 株式会社Ntt都科摩 波束确定方法、下行传输解调方法、用户设备和基站
KR20180049772A (ko) * 2016-11-03 2018-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DSRC/IEEE 802.11p 와 LTE-V2X 공존을 위한 해결방법
DK3528563T3 (da) * 2016-11-16 2021-07-1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Fremgangsmåde og anordning til transmission af uplink-signal
US10199717B2 (en) 2016-11-18 2019-02-05 Movandi Corporation Phased array antenna panel having reduced passive loss of received signals
US11368926B2 (en) * 2016-12-12 2022-06-21 Qualcomm Incorporated Reporting power limit and corresponding constraint
WO2018125796A1 (en) 2016-12-27 2018-07-05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microlocation sensor communication
CN110431786B (zh) * 2017-01-02 2022-06-03 Lg 电子株式会社 用于上行链路波束校正的srs传输方法及其终端
CN109964496B (zh) 2017-01-22 2021-12-03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中的方法和装置
KR102021225B1 (ko) * 2017-01-25 2019-09-17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상태 정보 보고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8141111A1 (zh) * 2017-02-06 2018-08-0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0447280B (zh) * 2017-02-15 2023-03-24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管理无线通信网络中的通信
WO2018151341A1 (ko) * 2017-02-15 2018-08-23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673652B2 (en) * 2017-03-02 2020-06-02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xplicit feedback in the uplink
WO2018165911A1 (en) * 2017-03-15 2018-09-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indicating pdsch/pusch resource element mapping
CN113395779A (zh) * 2017-03-24 2021-09-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波束恢复的处理方法及装置
US10374679B2 (en) 2017-03-31 2019-08-06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overriding of control beam monitoring configuration
WO2018176491A1 (en) * 2017-04-01 2018-10-04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power headroom report for feeding back beamformed srs power scaling
CN108809393A (zh) * 2017-04-27 2018-11-1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波束控制方法和装置
KR102257816B1 (ko) * 2017-05-01 2021-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사운딩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8201892A1 (en) * 2017-05-02 2018-11-0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cting control channe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4369626A2 (en) * 2017-05-03 2024-05-1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Beam-based pdcch transmission in nr
AU2017412458B2 (en) * 2017-05-04 2022-10-2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arameters of uplink signal, terminal and network device
WO2018204887A1 (en) 2017-05-04 2018-11-08 Ofinno Technologies, Llc Rach power offset
US10568050B2 (en) 2017-05-04 2020-02-18 Ofinno, Llc RACH power adjustment
CN108112074B (zh) * 2017-05-05 2023-07-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的上报、接收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8205257A1 (en) * 2017-05-12 2018-11-15 Qualcomm Incorporated Nr phr design for mmwave deployment
US11272426B2 (en) 2017-05-26 2022-03-0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directional discovery in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s system
US10916861B2 (en) 2017-05-30 2021-02-09 Movandi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antenna array module
US10321332B2 (en) 2017-05-30 2019-06-11 Movandi Corporation Non-line-of-sight (NLOS) coverage for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EP3631996A1 (en) 2017-06-02 2020-04-08 Intel IP Corporation Beamformed measurement for new radio (nr)
CN109004366B (zh) * 2017-06-06 2021-07-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天线装置以及波束调整的方法
JP6984667B2 (ja) * 2017-06-14 2021-12-22 富士通株式会社 ビーム失敗回復要求の伝送リソース設定装置、ビーム失敗回復要求の応答装置、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CN109150473B (zh) * 2017-06-16 2022-10-04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网络设备、终端设备和系统
EP3639403A1 (en) * 2017-06-16 2020-04-22 Intel IP Corporation Beam management with multi-transmission reception point multi-panel operation
WO2019009454A1 (ko) * 2017-07-07 2019-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자원과 사이드링크 자원을 공유하여 단말 간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10484078B2 (en) 2017-07-11 2019-11-19 Movandi Corporation Reconfigurable and modular active repeater device
CN110999180B (zh) 2017-08-06 2022-03-01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用于接收信号的方法和设备
RU2746801C1 (ru) * 2017-08-10 2021-04-21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Улучшенный контроль канала управления
JP6925452B2 (ja) * 2017-08-10 2021-08-25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端末及び通信方法
BR112020001065A2 (pt) 2017-08-10 2020-07-1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equipamento do usuário, estação base e método de comunicação sem fio
US11337265B2 (en) 2017-08-10 2022-05-17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transmission
US10887939B2 (en) 2017-08-10 2021-01-0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Transmission power control for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s
US10855359B2 (en) 2017-08-10 2020-12-0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Priority of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and uplink channels
US11950287B2 (en) 2017-08-10 2024-04-02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Resource configuration of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transmission
WO2019030894A1 (ja) * 2017-08-10 2019-02-14 三菱電機株式会社 送信装置
WO2019034996A1 (en) * 2017-08-16 2019-02-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NERGY EFFICIENT WAITING WITH OPTIMUM BEAM SEARCH BEFORE ACCESS
US10673685B2 (en) 2017-08-18 2020-06-0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ng beam recovery request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KR102365184B1 (ko) * 2017-08-25 2022-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빔 선택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277301B2 (en) 2017-09-07 2022-03-1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Unified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for beam management
EP3685516A1 (en) * 2017-09-19 2020-07-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eam assignment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11641674B2 (en) * 2017-09-25 2023-05-02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Random access method and device, user equipment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09560839A (zh) * 2017-09-26 2019-04-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确定波束互易性能力当前状态的方法及终端
US10873866B2 (en) * 2017-09-27 2020-12-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managing radio resources in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11611468B2 (en) 2017-09-28 2023-03-2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management with DRX configuration
WO2019069132A1 (en) * 2017-10-02 2019-04-11 Lenovo (Singapore) Pte, Ltd. UPLINK POWER CONTROL
US10986644B2 (en) * 2017-10-12 2021-04-20 Qualcomm Incorporated Beam management schemes
CN115396076A (zh) * 2017-10-23 2022-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号配置方法及相关设备
US11743879B2 (en) * 2017-11-03 2023-08-29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dicating wireless channel status
CN109788576B (zh) * 2017-11-15 2020-10-23 华为技术有限公司 随机接入方法、装置及设备
CA3024596A1 (en) 2017-11-16 2019-05-1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paging assistance
EP3711182A1 (en) 2017-11-17 2020-09-23 Nokia Technologies Oy Improved beam indication
CN109803286B (zh) * 2017-11-17 2022-04-29 北京紫光展锐通信技术有限公司 波束失败后的处理方法、装置及终端
CN109802732B (zh) * 2017-11-17 2021-02-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下行控制信道的监测方法和相关装置
WO2019101287A1 (en) * 2017-11-21 2019-05-31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s for fast handover in a wireless network
CN109842940B (zh) 2017-11-27 2021-09-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链路恢复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US10348371B2 (en) 2017-12-07 2019-07-09 Movandi Corporation Optimized multi-beam antenna array network with an extended radio frequency range
US10090887B1 (en) 2017-12-08 2018-10-02 Movandi Corporation Controlled power transmission in radio frequency (RF) device network
US10862559B2 (en) 2017-12-08 2020-12-08 Movandi Corporation Signal cancellation in radio frequency (RF) device network
US10171115B1 (en) 2017-12-19 2019-01-01 Movandi Corporation Outphasing calibration in a radio frequency (RF) transmitter device
EP3571782B1 (en) 2017-12-20 2021-03-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Devic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rotational beam management
US11665678B2 (en) * 2017-12-21 2023-05-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ntenna configur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WO2019126964A1 (zh) * 2017-12-25 2019-07-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信息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CN109995405A (zh) 2017-12-29 2019-07-09 索尼公司 用于无线通信系统的电子设备、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1566942B (zh) * 2018-01-04 2021-11-30 华为技术有限公司 服务波束对链路子集的故障处理
US10863570B2 (en) 2018-01-09 2020-12-0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selection in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retransmission
US11510077B2 (en) 2018-01-12 2022-11-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performing measurement by using multiple reception beams
US11159957B2 (en) * 2018-01-19 2021-10-26 Nec Corporation Base station apparatus, service provision method, and program
CN110098901B (zh) * 2018-01-29 2020-06-30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CN112073101B (zh) * 2018-02-07 2024-05-28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基站、用户设备中的用于无线通信的方法和装置
EP3737001A4 (en) 2018-02-08 2020-12-1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WIRELESS BASE STATION, WIRELESS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PROCESS
EP3525516B1 (en) 2018-02-09 2022-08-3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 in carrier aggregation
CN110958635B (zh) 2018-02-09 2020-10-16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周期性波束故障测量的系统和方法
WO2019157664A1 (zh) * 2018-02-13 2019-08-22 富士通株式会社 用于波束失败恢复的资源选择方法、装置和通信系统
EP3753359A1 (en) * 2018-02-14 2020-12-23 IDAC Holdings, Inc. Methods, apparatus, and system using multiple antenna techniques for new radio (nr) operations in unlicensed bands
IL271397B2 (en) * 2018-02-14 2024-03-0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US11419066B2 (en) 2018-02-15 2022-08-1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failure report
US11452101B2 (en) * 2018-02-16 2022-09-20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beam assignment
JP6831040B2 (ja) * 2018-02-21 2021-02-1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でbwp又はビーム切り替えによって制御チャネルを構成する方法及び装置
US10743321B2 (en) 2018-02-23 2020-08-11 Mediatek Inc Default beam for uplink transmission after beam failure recovery
US10637159B2 (en) 2018-02-26 2020-04-28 Movandi Corporation Waveguide antenna element-based beam forming phased array antenna system for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US11088457B2 (en) 2018-02-26 2021-08-10 Silicon Valley Bank Waveguide antenna element based beam forming phased array antenna system for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US11212051B2 (en) * 2018-03-06 2021-12-28 Qualcomm Incorporated Beam management for autonomous uplink with analog beams
US10764932B2 (en) * 2018-03-23 2020-09-01 Qualcomm Incorporated Beam switch and beam failure recovery
US10764766B2 (en) 2018-03-27 2020-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radio front-end beam sweeping for 5G terminals
CN111869124B (zh) * 2018-03-28 2022-04-05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无线通信中的双向波束故障恢复的设备、方法、以及计算机程序
CA3038605A1 (en) 2018-03-30 2019-09-3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onfiguration for beam failure recovery
US11039350B2 (en) 2018-04-02 2021-06-1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failure recovery
US20210159966A1 (en) * 2018-04-04 2021-05-27 Idac Holdings, Inc. Beam indication for 5g new radio
US11271635B2 (en) * 2018-04-06 2022-03-08 Nokia Technologies Oy Beam indication for multi-panel UE
US20210029736A1 (en) * 2018-04-06 2021-01-2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tting timing advance of relay node in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WO2019201442A1 (en) * 2018-04-19 2019-10-24 Huawei Technologies Co., Ltd. Transmitting device and receiving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WO2019206421A1 (en) * 2018-04-26 2019-10-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network nodes, and computer programs for transmit timing adjustment
US11139880B2 (en) 2018-05-04 2021-10-05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beam-switching latency for beam refinement procedures
US11095355B2 (en) 2018-05-10 2021-08-17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Prioritization in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s
CN110474748B (zh) 2018-05-11 2023-10-20 华为技术有限公司 功率抬升值确定方法和装置
US11316577B2 (en) * 2018-05-11 2022-04-26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of control resource set (CORESET)
CN112205056A (zh) * 2018-05-16 2021-01-08 瑞典爱立信有限公司 具有波束控制和无源互调感知的上行链路-下行链路协同调度
US10651900B2 (en) 2018-05-18 2020-05-12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s system training
US11089622B2 (en) * 2018-05-29 2021-08-10 Qualcomm Incorporated Supporting scheduling plan indications
US11533686B2 (en) 2018-05-31 2022-12-20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US11026233B2 (en) * 2018-06-20 2021-06-01 Apple Inc. Emission and panel aware beam selection
CN111357212A (zh) 2018-06-21 2020-06-30 谷歌有限责任公司 波束故障报告
US11224088B2 (en) * 2018-07-02 2022-01-11 Qualcomm Incorporated Beam sweeping during an on-period of a DRX cycle
CN112673579B (zh) * 2018-07-12 2024-03-19 株式会社Ntt都科摩 终端、无线通信方法以及系统
US11990959B2 (en) * 2018-07-13 2024-05-21 Sony Group Corporation Time-overlapping beam-swept transmissions
US11184077B2 (en) * 2018-08-03 2021-11-23 Qualcomm Incorporated Facilitating uplink beam selection for a user equipment
CN110809323B (zh) * 2018-08-06 2023-06-16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处理多个装置间传送的方法和设备
US11622343B2 (en) * 2018-08-08 2023-04-0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User equipment and communication methods considering interference
CN110831226B (zh) * 2018-08-08 2023-11-21 夏普株式会社 由用户设备执行的方法以及用户设备
US11012137B2 (en) 2018-08-09 2021-05-1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Resource management for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s
WO2020029294A1 (zh) 2018-08-10 2020-02-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调整终端上行发射功率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0838898B (zh) * 2018-08-15 2021-01-26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节点中的方法和装置
CN111935846B (zh) 2018-08-17 2022-04-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信号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10778313B2 (en) 2018-08-17 2020-09-15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beam failure recovery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11076358B2 (en) * 2018-08-21 2021-07-27 Qualcomm Incorporated Temporary power adjustment indication for uplink transmissions
CN110858781B (zh) * 2018-08-22 2022-02-1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毫米波信号的测量方法及装置
US11923945B2 (en) * 2018-09-07 2024-03-05 Nokia Technologies Oy Facilitating efficient multi-beam beam recovery
US11166238B2 (en) * 2018-09-13 2021-11-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power and spectrum efficient modes for power saving
CA3056500A1 (en) 2018-09-24 2020-03-2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s
EP3629492A1 (en) 2018-09-25 2020-04-0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configuration for secondary cells
CN112753247A (zh) * 2018-09-27 2021-05-04 三星电子株式会社 进行无线通信系统中的双连接的装置和方法
US11147072B2 (en) * 2018-09-28 2021-10-12 Qualcomm Incorporated Retuning for flexible resource allocation
WO2020072851A1 (en) * 2018-10-05 2020-04-09 Apple Inc. Downlink (dl) transmission timing of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iab) node
US11234145B2 (en) * 2018-11-01 2022-01-25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management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vehicle-to-everything communication
US11201662B2 (en) * 2018-11-02 2021-12-14 Apple Inc. Uplink transmit beam sweep
US11349545B2 (en) * 2018-11-02 2022-05-31 Apple Inc. Beam management without beam correspondence
EP3664310A1 (en) * 2018-12-05 2020-06-10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in device-to-device networks
US11324041B2 (en) * 2018-12-14 2022-05-03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of default and scheduled beam in cot
CN113196683B (zh) * 2018-12-21 2024-05-24 高通股份有限公司 基于状态的波束切换
US11412464B2 (en) * 2018-12-21 2022-08-09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concurrent uplink transmissions to multiple transmission reception points
WO2020128622A2 (en) 2018-12-21 2020-06-25 Lenovo (Singapore) Pte. Ltd. Reporting power headroom
US11205855B2 (en) 2018-12-26 2021-12-21 Silicon Valley Bank Lens-enhanced communication device
US11145986B2 (en) 2018-12-26 2021-10-12 Silicon Valley Bank Lens-enhanced communication device
CN111436105B (zh) * 2019-01-11 2023-11-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功率控制方法及装置
CN113455038B (zh) * 2019-01-11 2023-04-28 联想(北京)有限公司 用于波束故障恢复的方法及设备
BR112021011712A2 (pt) * 2019-01-14 2021-08-31 Google Llc Alocação de recurso por tecnologias de acesso de rádio coexistentes
CN111278099B (zh) * 2019-01-18 2021-04-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功率控制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US10992364B2 (en) * 2019-01-18 2021-04-2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beamforming management
US11695462B2 (en) * 2019-01-29 2023-07-0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coordinated beamforming in millimeter wave systems
US11297613B2 (en) * 2019-01-31 2022-04-05 Qualcomm Incorporated Beam definition for directional communications
WO2020155150A1 (zh) * 2019-02-02 2020-08-0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波束对应方法和装置、用户设备及基站
US11464028B2 (en) 2019-02-14 2022-10-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ulti-user transmissions
US11489577B2 (en) * 2019-02-14 2022-11-01 Sony Group Corporation Methods for establishing beam reciprocity, related wireless devices and related network nodes
US11019575B2 (en) 2019-02-18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user equipment in mm wave wireless networks
WO2020175796A1 (ko) * 2019-02-28 2020-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드링크를 지원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빔 스위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1669205B (zh) * 2019-03-07 2021-08-17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信道测量方法及设备
US11683106B2 (en) 2019-03-13 2023-06-20 Apple Inc. Dynamic antenna selection and beam steering
KR20200113856A (ko) * 2019-03-26 2020-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집합체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전력 백오프 제어 방법
WO2020201049A1 (en) * 2019-03-29 2020-10-0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Devices for communica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s for operating and testing the devices
CN111757394A (zh) * 2019-03-29 2020-10-09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KR20200114758A (ko) * 2019-03-29 2020-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최대 전송 전력 조정 방법 및 장치
CN111769921B (zh) * 2019-04-02 2021-12-24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US10979913B2 (en) * 2019-04-03 2021-04-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Wireless network coverage based on a predetermined device cluster model selected according to a current key performance indicator
US11265068B2 (en) 2019-04-11 2022-03-01 Qualcomm Incorporated Beam selection in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WO2020209769A1 (en) * 2019-04-12 2020-10-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eamforming in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CN110149133B (zh) * 2019-04-15 2020-10-27 浙江大学 一种基于波束空间的大规模上行传输方法
WO2020216522A1 (en) * 2019-04-26 2020-10-29 Sony Corporation Radar probing using radio communication terminals
WO2020221438A1 (en) * 2019-04-30 2020-11-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eam selection systems and methods
US11324024B2 (en) 2019-05-02 2022-05-03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channel transmission for multiple transmit receive points (TRPs)
US11184866B2 (en) * 2019-05-24 2021-11-23 Qualcomm Incorporated Beam selection balancing maximum power exposure and link budget
KR102505063B1 (ko) * 2019-05-29 2023-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패턴을 복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897752B2 (en) * 2019-06-14 2021-01-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to facilitate spatial relation indication for uplink control channel and sounding reference signals
US11362718B2 (en) * 2019-06-17 2022-06-14 Qualcomm Incorporated Sidelink TX power control
US11723010B2 (en) 2019-06-27 2023-08-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to facilitate user equipment beam selection based on service demands
WO2020259852A1 (en) * 2019-06-28 2020-12-30 Nokia Technologies Oy Signaling power exposure events
US11229061B2 (en) * 2019-06-28 2022-01-18 Qualcomm Incorporated Listen-before-talk beam adjustment procedures
CN112243192B (zh) * 2019-07-01 2023-05-2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毫米波信号的通信路径确定方法、测量装置及测量控制器
US11632728B2 (en) * 2019-07-18 2023-04-18 Qualcomm Incorporated Directional measurements for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US11206076B2 (en) * 2019-08-07 2021-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low-latency beam selection
US11368263B2 (en) 2019-08-14 2022-06-21 Qualcomm Incorporated Group hopping enhancement for base sequences
US20220312225A1 (en) * 2019-08-14 2022-09-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nd user equipment and network equipment performing the communication method
US11984961B2 (en) * 2019-08-21 2024-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beam selection at terminal
US11627535B2 (en) * 2019-08-26 2023-04-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mission restricted transmission of reference signals
CN112469063A (zh) * 2019-09-06 2021-03-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系统及方法、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EP3799518A1 (en) * 2019-09-27 2021-03-31 Apple Inc. Secondary cell link recovery request transmission
CN112584443A (zh) * 2019-09-27 2021-03-30 苹果公司 辅助小区链路恢复请求传输
EP4018749A1 (en) * 2019-10-04 2022-06-29 Sony Group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with spatial limitation
US11516814B2 (en) * 2019-10-04 2022-11-29 Qualcomm Incorporated Beam selection for communication in a multi-transmit-receive point deployment
US11979852B2 (en) * 2019-11-07 2024-05-07 Qualcomm Incorporated Paging indication for communicating a paging control channel
JP7181944B2 (ja) * 2019-11-07 2022-12-01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デフォルトのpucch及びsrsビームの判定
CN110838859B (zh) * 2019-11-15 2021-02-09 东南大学 适用于多波束卫星通信系统的高能效鲁棒预编码方法
CN114731593A (zh) * 2019-11-18 2022-07-08 索尼集团公司 无线通信中的波束对管理
US11696333B2 (en) 2019-12-20 2023-07-04 Qualcomm Incorporated Beam sweep based random access msg 1 and msg 2
US11943777B2 (en) * 2019-12-20 2024-03-26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ing a default uplink (UL)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TCI) state
CN111147113B (zh) * 2020-01-07 2020-12-25 东南大学 一种能效保障的多波束卫星通信鲁棒预编码方法
US11831383B2 (en) 2020-01-27 2023-11-28 Qualcomm Incorporated Beam failure recovery assistance in upper band millimeter wave wireless communications
US11856570B2 (en) * 2020-01-27 2023-12-26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mixed mode beam correspondence in upper millimeter wave bands
EP4108010A4 (en) * 2020-02-20 2023-11-15 QUALCOMM Incorporated BEAM SWIVEL ADJUSTMENT FOR A MAXIMUM ALLOWABLE ILLUMINATION CONDITION
KR20210106741A (ko) * 2020-02-21 2021-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JP6923026B1 (ja) * 2020-02-27 2021-08-1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飛行体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10282096A1 (en) * 2020-03-04 2021-09-09 Nokia Technologies Oy Predictive back-off reporting in telecommunication systems
US11743742B2 (en) 2020-03-31 2023-08-29 Qualcomm Incorporated Beam sweep based random access msg 3 and msg 4
CN115428528A (zh) * 2020-04-24 2022-12-02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功率控制的方法和装置
US11672019B2 (en) * 2020-05-01 2023-06-06 Ofinno, Llc Random access procedure
US11909477B2 (en) * 2020-05-27 2024-02-20 Nokia Technologies Oy Uplink beam reconfiguration
US11743163B2 (en) * 2020-05-28 2023-08-29 Nec Corporation Interactive beam alignment with delayed feedback
US11870521B2 (en) * 2020-06-12 2024-01-09 Qualcomm Incorporated UE based determination of inter-band carrier aggregation modes
US20220014344A1 (en) * 2020-07-10 2022-01-13 Qualcomm Incorporated Mobility reporting for full-duplex communication or simultaneous half-duplex communication with multiple transmit receive points
CN113949985B (zh) * 2020-07-17 2023-03-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信息获取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3973363B (zh) * 2020-07-22 2023-09-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P-mpr报告的发送、接收方法、装置及电子设备
CA3126568A1 (en) 2020-07-31 2022-01-3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hannel access for wireless communication
EP3952500A1 (en) * 2020-08-07 2022-02-09 Nokia Technologies Oy 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transmission for sidelink inter-user equipment resource allocation
US20220070796A1 (en) * 2020-08-26 2022-03-03 Qualcomm Incorporated Time-averaged radio frequency (rf) exposure per antenna group
US11917559B2 (en) 2020-08-26 2024-02-27 Qualcomm Incorporated Time-averaged radio frequency (RF) exposure per antenna group
CN116420396A (zh) * 2020-09-30 2023-07-11 高通股份有限公司 具有多个发送接收点的侧行链路接收
WO2022067725A1 (zh) * 2020-09-30 2022-04-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频域资源的切换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6615871A (zh) * 2020-10-16 2023-08-18 弗劳恩霍夫应用研究促进协会 影响波束对应的行为
KR20230106621A (ko) * 2020-10-22 2023-07-13 오피노 엘엘씨 제어 채널 반복에서의 송신
US11750308B2 (en) * 2020-12-09 2023-09-05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techniques
WO2022131683A1 (en) * 2020-12-16 2022-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ooperative communication
WO2022179687A1 (en) * 2021-02-25 2022-09-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Dl measurement information signaling for improved dl transmissions
US11765669B2 (en) * 2021-03-19 2023-09-19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assisted environmental sensing
US11856609B2 (en) * 2021-03-30 2023-12-26 Qualcomm Incorporated Random access channel preamble transmission parameters based on coverage enhancement level
CN115150903A (zh) * 2021-03-30 2022-10-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波束切换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3099420B (zh) * 2021-04-02 2022-04-08 湖南汽车工程职业学院 一种智能连接app的车载辅流数据传输系统
KR20220150120A (ko) * 2021-05-03 2022-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빔을 선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US11871364B2 (en) * 2021-06-16 2024-01-09 Qualcomm Incorporated Power headroom reporting with grating lobes
KR20240022636A (ko) * 2021-06-17 2024-02-20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전력 정보의 송신 방법, 수신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power information sending method and apparatus, power information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5707078A (zh) * 2021-08-05 2023-02-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P-mpr的上报方法、装置和终端设备
US20230058859A1 (en) * 2021-08-17 2023-02-23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transmission reception point (trp) information exchange
CN113890580B (zh) * 2021-09-17 2022-08-12 浙江大学 面向非对称毫米波大规模mimo的多用户上下行波束对准方法
WO2023050444A1 (en) * 2021-10-01 2023-04-06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configuration
US20230224829A1 (en) * 2022-01-11 2023-07-13 Qualcomm Incorporated Using automatic gain control symbol to indicate sidelink mini-slot
US20240097774A1 (en) * 2022-08-16 2024-03-21 Nvidia Corporation Wireless beam selection
US20240073712A1 (en) * 2022-08-25 2024-02-29 Qualcomm Incorporated Classifying links established between a user equipment and a network node via a 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1321A (ko) * 2004-12-21 2006-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파일롯 신호를 이용한 스위치드 빔 선택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30102345A1 (en) * 2011-10-19 2013-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Uplink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40129625A (ko) * 2013-04-30 2014-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 시스템에서 최적의 송수신 빔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60099763A1 (en) * 2014-10-07 2016-04-07 Mediatek Inc. Beam Administration Methods for Cellular/Wireless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397B1 (ko) * 2000-09-27 200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텔레비젼 수신기 및 상기 디지털 텔레비젼수신기용 안테나 제어 방법
JP2002185391A (ja) 2000-12-18 2002-06-28 Ntt Docomo Inc 携帯電話端末のアンテナ指向性制御方法及び携帯電話端末
US7809074B2 (en) * 2007-03-16 2010-10-05 Freescale Semiconductor, Inc. Generalized reference signaling scheme for multi-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U-MIMO) using arbitrarily precoded reference signals
JP5251605B2 (ja) 2009-03-02 2013-07-31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利得制御方法
CN103039019B (zh) * 2010-08-16 2015-11-25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确定预编码权重的基站和方法
KR101884332B1 (ko) 2011-09-14 2018-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가상 셀 형성 방법 및 장치
US8958412B2 (en) 2012-05-11 2015-0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uplink timing alignment in system with large number of antennas
KR102182322B1 (ko) 2012-07-31 2020-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150107722A (ko) 2013-01-18 2015-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협력적 전송 환경에서 수신 방법 및 단말
EP3046269B1 (en) 2013-09-27 2018-09-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EP3140922B1 (en) * 2014-05-08 2019-03-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eam forming using a dual polarized antenna arrangement
CN105830483B (zh) 2014-09-23 2021-01-29 华为技术有限公司 波束配置方法、基站及用户设备
CN104702324B (zh) * 2015-03-17 2018-09-28 东南大学 大规模mimo下行链路自适应传输方法
GB2546099B (en) * 2016-01-08 2019-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itial access method
US11088747B2 (en) * 2016-04-13 2021-08-1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beam management
US10341959B2 (en) * 2016-04-28 2019-07-02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transmit power control after beam chan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1321A (ko) * 2004-12-21 2006-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파일롯 신호를 이용한 스위치드 빔 선택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30102345A1 (en) * 2011-10-19 2013-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Uplink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40129625A (ko) * 2013-04-30 2014-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 시스템에서 최적의 송수신 빔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60099763A1 (en) * 2014-10-07 2016-04-07 Mediatek Inc. Beam Administration Methods for Cellular/Wireless Network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325A1 (ko) * 2019-03-29 2020-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전력 제어에 기반한 단말의 빔 관리 수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 및 기지국
WO2020204323A1 (ko) * 2019-03-29 2020-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전력 제어에 기반한 단말의 채널 상태 정보 보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 및 기지국
WO2020213815A1 (ko) * 2019-04-15 2020-10-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빔 운용 방법 및 그 장치
WO2020223049A1 (en) * 2019-05-01 2020-11-05 Qualcomm Incorporated Srs based discovery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CN113748616A (zh) * 2019-05-01 2021-12-03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设备到设备通信的基于srs的发现
US11785654B2 (en) 2019-05-01 2023-10-10 Qualcomm Incorporated SRS based discovery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CN113748616B (zh) * 2019-05-01 2024-02-06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设备到设备通信的基于srs的发现
JP2022546266A (ja) * 2019-08-30 2022-11-04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アップリンクビームマネージメ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1056B1 (ko) 2022-11-25
CN114710189A (zh) 2022-07-05
EP4333515A2 (en) 2024-03-06
US11626919B2 (en) 2023-04-11
EP3455956A1 (en) 2019-03-20
JP2023071667A (ja) 2023-05-23
JP2019521548A (ja) 2019-07-25
US20220116097A1 (en) 2022-04-14
JP7300833B2 (ja) 2023-06-30
WO2017196612A1 (en) 2017-11-16
US11245456B2 (en) 2022-02-08
MY191809A (en) 2022-07-16
US20230198598A1 (en) 2023-06-22
KR20210125598A (ko) 2021-10-18
CN109155659A (zh) 2019-01-04
IL262783A (en) 2019-02-28
CN109155659B (zh) 2022-04-19
US20200145079A1 (en) 2020-05-07
IL262783B (en) 2022-08-01
KR102311064B1 (ko) 202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691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beamformed uplink transmission
US11937290B2 (en) Mechanisms for efficient access and transmission in NR
CN110612751B (zh) 用于在新型无线电(nr)系统中执行功率控制的方法
JP6931685B2 (ja) ビーム形成されたシステムにおけるビーム制御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7211451B (zh) 高频无线系统中的初始接入
US10772061B2 (en) Handling overlapped communications
EP3711411A1 (en) Beam management in a wireless network
US11153826B2 (en) Procedure-based uplink power control
US20210226751A1 (en) Serving cell with distinct pci index per rrh for dl tci state, spatial relation, and ul tci state
TW201446019A (zh) 低潛時毫米波(mmw)回載系統實體層(phy)設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