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696A - 급전레일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급전레일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6696A
KR20190016696A KR1020170100949A KR20170100949A KR20190016696A KR 20190016696 A KR20190016696 A KR 20190016696A KR 1020170100949 A KR1020170100949 A KR 1020170100949A KR 20170100949 A KR20170100949 A KR 20170100949A KR 20190016696 A KR20190016696 A KR 20190016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measurement
rail
feed rai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7926B1 (ko
Inventor
안낙균
유근배
이세구
김영곤
오영진
이정민
고영훈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한국전기철도기술협력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한국전기철도기술협력회 filed Critical 사단법인 한국전기철도기술협력회
Priority to KR1020170100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926B1/ko
Publication of KR20190016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5/00Applications of measuring apparatus or devices for track-build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30Power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3궤조(급전레일)가 오차 범위 이내에서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기록할 수 있는 급전레일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가 구비된 작업받침대; 작업받침대의 하부에 결합되어 선로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수단; 및 작업받침대의 좌우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결합되며, 선로를 기준으로 급전레일의 설치 높이와 설치 폭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표시하는 측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레일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급전레일 측정장치{MEASURING DEVICE FOR POWER SUPPLY RAIL}
본 발명은 급전레일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3궤조(급전레일)가 오차 범위 이내에서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기록할 수 있는 급전레일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급전(給電)레일 방식, 즉, 제3궤조 방식은 궤도를 따라서 전기를 공급하는 또 다른 궤도를 사용하는 방식을 가리킨다. 대부분 직류를 공급하며, 외부 환경과 차단되어 있는 도시 철도에서 많이 사용한다. 많은 경우 전기를 공급하는 궤도는 차륜의 궤도 바깥쪽에 설치되며, 열차 바깥에 설치되어 궤도와 접촉하는 슬라이딩 슈를 통하여 전력을 공급한다. 감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면 접동 시스템의 경우에는 급전 궤도 위에 절연 덮개를 설치하며, 궤도 옆쪽이나 위쪽으로 접동하는 슈를 사용하기도 한다. 접동면이 옆이나 아래인 경우에는 위쪽에 쌓이는 이물질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제3궤조 방식은 강건 구조를 가진 레일에 의존하여 급전을 받기 때문에, 이선의 가능성이 적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가공가선을 설치하기 위한 복잡한 구조물이 불필요하며, 관리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별도의 궤도는 지상에 설치되므로 터널의 단면을 대폭 줄일 수 있어서 공사비를 절약하는 등의 효과가 크다.
한편, 급전레일은 선로 상부면에서 급전레일의 하부면까지의 수직 직선높이가 200㎜이고, 급전레일이 위치한 쪽의 선로 내측면에서 급전레일의 중심부까지의 수평 직선거리가 750㎜가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급전레일이 정위치에 설치되지 않으면 대형 사고로 이어지게 되므로, 급전레일을 설치한 후에는 허용 오차범위 내에서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반드시 검사해야만 한다.
지금까지는 별도의 측정장치 없이 최소 4~5명의 작업자들이 일개조로 편성되어 일일이 선로를 따라 움직이면서 급전레일의 설치 위치를 직접 길이를 재고 기록하면서 점검하였다. 그러나, 수십킬로의 선로에 설치된 급전레일을 길게는 5미터 간격, 짧게는 2미터 간격마다 측정해야 하는데, 이와 같은 방식은 많은 시간을 소요할 뿐만 아니라 인력 낭비가 심하였으며, 정확한 측정값을 얻기도 어렵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0001) 국내등록특허 제10-1130982호(고무차륜 경전철의 급전레일용 안내레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급전레일이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도록 구성한 급전레일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작업자(검측자) 혼자서도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도록 구성한 급전레일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자동 검측은 물론 각각의 측정 위치에 따라 측정 위치별로 검측된 데이터가 자동으로 저장되도록 구성한 급전레일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급전레일 측정장치는, 손잡이가 구비된 작업받침대; 상기 작업받침대의 하부에 결합되어 선로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수단; 및 상기 작업받침대의 좌우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결합되며, 선로를 기준으로 급전레일의 설치 높이와 설치 폭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계산된 수치로 표시하는 측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동수단에는 스토퍼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측정수단으로부터 측정된 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수단은, 선로 상부면에서 급전레일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까지의 수직 직선거리를 측정하는 제1측정수단; 및 선로 내측면에서 급전레일 측면까지의 수평 직선거리를 측정하는 제2측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측정수단 및 상기 제2측정수단은, 디지털게이지 또는 레이저측정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측정수단 및 상기 제2측정수단은 자동측정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제1측정수단 및 상기 제2측정수단에 대한 동작버튼과 자동측정시 측정된 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이 함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GPS; 및 상기 측정수단을 통해 측정된 값과 측정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통신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중앙관제소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측정장치를 선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동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측정수단을 통해 급전레일의 설치 높이와 설치 폭에 대한 용이하고 신속한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손잡이에 디스플레이수단을 구비하여 측정된 값을 운전자가 바로바로 확인할 수 있어 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
또한, 측정수단을 자동측정장치로 구성하고, 손잡이에 측정수단에 대한 동작버튼과 측정된 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을 구성할 경우 사용자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더욱 제고시킬 수 있다.
또한, 이에 GPS 및 저장부를 더 구성할 경우 측정 위치(장소)에 대한 정보 및 측정 위치별 측정값을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으므로, 측정값을 기록하는 인력을 줄이고, 혼자서도 용이한 검측 및 기록이 가능하다.
또한, 무선 또는 유선 또는 유무선으로 구성된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백업기능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측정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념적인 구성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측정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측정수단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측정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측정수단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측정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측정수단을 통해 선로의 상부면에서 급전레일의 하부면까지의 높이(h)를 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측정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측정수단을 통해 선로의 안쪽 내측면에서 급전레일의 안쪽 내측면까지의 거리(W1)를 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측정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념적인 구성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측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념적인 구성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측정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념적인 구성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측정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측정수단(310)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측정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측정수단(320)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측정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측정수단(310)을 통해 선로(10)의 상부면에서 급전레일(20)의 하부면까지의 높이(h)를 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측정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측정수단(320)을 통해 선로(10)의 안쪽 내측면에서 급전레일(20)의 안쪽 내측면까지의 거리(W1)를 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급전레일 측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급전레일 측정장치는 선로(10) 측면의 소정 높이 상부에 설치되며, 선로(10)상에서 운행하는 차량으로 전기를 공급해주도록 설치된 급전(給電)레일(20)의 설치 위치를 검측하는 급전레일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급전레일(제3궤조) 측정장치는 작업받침대(100), 이동수단(200) 및 측정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작업받침대(100)는 기본적으로 측정수단(300)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측정수단(300)의 측정위치를 고려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형상 및 구조 등은 측정수단(300)의 측정위치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측정수단(300)의 측정 가능거리가 300㎜일 경우 측정하고자 하는 급전레일(20)로부터 300㎜ 이내에, 바람직하게는 급전레일로부터 250㎜ 이내의 위치에 측정수단(300)이 위치해야 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작업받침대(100)를 구성한다.
작업받침대(100)의 하부에는 선로(1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이동수단(200)이 결합되며, 작업받침대(100)와 연결된 손잡이(110)를 이용하여 선로(10) 상에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수단(200)은 선로(10)를 따라 회전하는 바퀴(롤러) 등으로 구성되며, 이동수단(200)의 외경은 높이 측정과도 연계되므로 내구성과 내마모성이 강하고, 온도에 따른 변형이 없는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지된 기술이므로 도면상에 도시하진 않았으나, 이동수단(200)에는 스토퍼(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정확한 위치에 정차된 상태에서 검측할 수 있다. 스토퍼의 동작은 손잡이(110)에 작동레버(미도시)를 구비하여 자전거 브레이크를 동작시키듯 운전자가 동작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급전레일(20)은 설치장소에 따라 선로(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되므로, 측정수단(300)은 작업받침대(100)의 좌측과 우측 중 어느 한 곳에 설치할 수도 있으나, 두 곳 모두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수단(300)은 선로(10)를 기준으로 급전레일(20)의 설치 높이와 설치 폭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계산된 수치로 디스플레이해주는 장치로써, 선로(10)의 상부면에서 급전레일(2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까지의 수직 직선거리를 측정하는 제1측정수단(310) 및 선로(10)의 내측면에서 급전레일(20)의 측면까지의 수평 직선거리를 측정하는 제2측정수단(320)으로 구성된다.
제1측정수단(310) 및 제2측정수단(320)은 디지털게이지 또는 레이저측정기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도면상에는 디지털게이지로 구성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디지털게이지에 비해 더욱 손쉽게 측정할 수 있는 레이저측정기는 설치된 위치에서부터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물체(급전레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레이저포인터가 조사된 위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장치이며, 레이저측정기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해 도시하거나 추가 설명하는 것은 생략하도록 하며, 측정방법은 디지털게이지로 구성한 하기의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
다만, 레이저측정기로 구성할 경우 제1측정수단(310)을 장착하기 위한 작업받침대(100)는 급전레일(20)의 수직 하부까지 위치해야하며, 제2측정수단(320)을 장착하기 위한 작업받침대(100)는 측정하고자 하는 급전레일(20)의 측정부위와 수평 직선상태에만 위치해 있다면 그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도 2 및 도 4는 제1측정수단(310)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써, 선로(10)의 상부면에서 급전레일(20)의 하부면까지의 수직 직선거리(h)를 측정한다. 일반적으로 수직 직선거리(h)는 200㎜가 되어야 하므로, 허용 오차 범위내에 급전레일(20)이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검측할 수 있다.
이때, 작업받침대(100)와 이동수단(200)의 높이를 고려하여 제1측정수단(310)을 설치하며, 만약 작업받침대(100)와 이동수단(200)의 높이가 100㎜라 가정하면, 이를 고려하여 제1측정수단(310)은 100㎜를 측정시 최종적으로는 200㎜를 측정한 것으로 판단하여 기록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가정하고 측정시 제1측정수단(310)의 측정자를 상승시켜 100㎜가 되는 지점을 제로세팅시킨 후 측정할 지점마다 측정하게 되며, 이때, 측정값이 (+)5㎜라면 최종적으로 205㎜를 측정한 것으로 판단하고 기록하며, 측정값이 (-)5㎜라면 최종적으로 195㎜를 측정한 것으로 판단하고 기록한다.
도 3 및 도 5는 제2측정수단(320)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써, 선로(10)의 내측면에서 급전레일(20)의 내측 측면까지의 수평 직선거리(W1)를 측정한다. 일반적으로 수평 직선거리(W1)는 본래 급전레일(20)의 내측 중심부까지의 수평 직선거리(W2)를 측정해야 하는 것으로, 수평 직선거리(W2)는 750㎜가 되어야 하므로, W1과 W2의 차를 감안하여 허용 오차 범위내에 급전레일(20)이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검측할 수 있다.
이때, 제2측정수단(320)은 작업받침대(100)의 상부에 설치되므로, 선로(10)의 내측면에서 제2측정수단(320)이 설치된 지점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제2측정수단(320)을 설치하며, 만약 선로(10)의 내측면에서 제2측정수단(320)이 설치된 지점까지의 거리가 650㎜라 가정하면, 이를 고려하여 제2측정수단(320)은 100㎜를 측정시 최종적으로는 750㎜를 측정한 것으로 판단하여 기록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가정하고 측정시 제2측정수단(320)의 측정자를 우측(도 5 기준)으로 이동시켜 100㎜가 되는 지점을 제로세팅시킨 후 측정할 지점마다 측정하게 되며, 이때, 측정값이 (+)5㎜라면 최종적으로 755㎜를 측정한 것으로 판단하고 기록하며, 측정값이 (-)5㎜라면 최종적으로 745㎜를 측정한 것으로 판단하고 기록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일일이 검측자가 측정자를 들고 다니면서 검측하던 번거로움을 없애고, 검측 정확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검측자의 편의성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측정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념적인 구성 사시도이며,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본적인 동작 상태 등은 도 1 내지 도 5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손잡이(110)에는 측정수단(300)으로부터 측정된 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11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수단(111)을 구비함으로써, 측정된 값을 운전자가 바로바로 확인 할 수 있다. 측정된 값을 운전자가 확인할 경우 검측자가 측정한 검측치와 운전자가 확인한 검측치를 비교할 수 있으므로, 이중 체크가 가능하여 검측치에 대한 판독오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측정수단(310) 및 제2측정수단(320)은 자동측정장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손잡이(110)에 제1측정수단(310) 및 제2측정수단(320)에 대한 동작버튼(112)과 자동측정시 측정된 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111)을 함께 구비함으로써, 운전자 혼자서도 검측 및 기록이 가능하다.
자동측정장치의 구성은 공압기나 유압기를 통한 상하좌우이동, 기어를 통한 상하좌우이동 및 '자동 키재기 장치' 등 공지된 다양한 기술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측정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GPS(400) 및 측정수단(300)을 통해 측정된 값과 측정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500)를 더 구비함으로써, 측정위치정보와 함께 측정된 기록값을 저정할 수 있으므로, 종래 수기로 기록하던 번거로움을 줄이고, 운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1인 검측을 가능하게 하므로 작업인원을 감축시킬 수 있다. 도면상에는 GPS(400) 및 저장부(500)가 디스플레이수단(111)에 내장된 상태로 도시하였다.
저장부(500)에는 유선 또는 무선 또는 유무선으로 구성된 통신수단(600)을 연결시켜 저장부(500)에 저정된 데이터를 중앙관제소 등으로 전송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데이터의 백업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면상에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염려가 있다고 판단되어 전기적 연결 구성 상태 등은 도시하지 않았으며, 개념적인 구성상태만을 도시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측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념적인 구성 사시도이며,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급전레일 측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에는 급전레일(20)의 하부면에 슬라이딩 슈가 접촉되어 운행되는 선로(10)에 설치된 급전레일(20)의 설치위치를 측정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급전레일(20)에 접촉되는 슬라이딩 슈는 급전레일(20)의 하부면이 아닌 급전레일(20)의 상부면(도 5를 기준으로 급전레일이 180도 회전되어 설치된 상태)이나 급전레일(20)의 측면(도 5를 기준으로 급전레일이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되어 설치된 상태)에 접촉되어 운행되기도 한다. 즉, 전철 종류에 따라 슬라이딩 슈가 급전레일(20)에 접촉되는 면이 상부면 또는 하부면 또는 측면으로 구성되므로, 이에 따라 측정하는 면이 달라질 수 있다.(측면일 경우는 도 1 내지 도 6의 구성으르 가능)
도 7은 급전레일(20)의 측면을 포함하여 하부면과 상부면을 모두 측정할 수 있는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급전레일(20)의 측면을 포함하여 하부면만 측정하거나 급전레일(20)의 측면을 포함하여 상부면만 측정하는 형태로도 제작할 수 있다.
측정방식은 기준면만 달라질 뿐 전술한 도 2 내지 도 5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되고 설명된 구성도 추가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10 : 선로 20 : 급전레일
30 : 지지대 40 : 침목
50 : 애자
100 : 작업받침대 110 : 손잡이
111 : 디스플레이수단 112 : 동작버튼
200 : 이동수단
300 : 측정수단 310 : 제1측정수단
320 : 제2측정수단
400 : GPS
500 : 저장부
600 : 통신수단

Claims (8)

  1. 선로 측면의 소정 높이 상부에 설치되며, 선로상에서 운행하는 차량으로 전기를 공급해주도록 설치된 급전(給電)레일의 설치 위치를 검측하는 급전레일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가 구비된 작업받침대;
    상기 작업받침대의 하부에 결합되어 선로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수단; 및
    상기 작업받침대의 좌우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결합되며, 선로를 기준으로 급전레일의 설치 높이와 설치 폭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계산된 수치로 표시하는 측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레일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측정수단으로부터 측정된 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레일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수단은,
    선로 상부면에서 급전레일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까지의 수직 직선거리를 측정하는 제1측정수단; 및
    선로 내측면에서 급전레일 측면까지의 수평 직선거리를 측정하는 제2측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레일 측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정수단 및 상기 제2측정수단은,
    디지털게이지 또는 레이저측정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레일 측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정수단 및 상기 제2측정수단은 자동측정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제1측정수단 및 상기 제2측정수단에 대한 동작버튼과 자동측정시 측정된 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레일 측정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GPS; 및
    상기 측정수단을 통해 측정된 값과 측정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레일 측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통신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중앙관제소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레일 측정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에는 스토퍼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레일 측정장치.
KR1020170100949A 2017-08-09 2017-08-09 급전레일 측정장치 KR102027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949A KR102027926B1 (ko) 2017-08-09 2017-08-09 급전레일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949A KR102027926B1 (ko) 2017-08-09 2017-08-09 급전레일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696A true KR20190016696A (ko) 2019-02-19
KR102027926B1 KR102027926B1 (ko) 2019-10-02

Family

ID=65528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949A KR102027926B1 (ko) 2017-08-09 2017-08-09 급전레일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9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4937U1 (ru) * 2022-06-10 2022-11-22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Машзавод"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измерительный шаблон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1947A (ja) * 1991-11-21 1993-06-08 Mitsubishi Electric Corp 超音波式軌条寸法計測装置
KR20100047665A (ko) * 2008-10-29 2010-05-10 강남훈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단면 측정 장치 및 이에 적합한 측정 방법
KR101130982B1 (ko) 2009-12-04 2012-04-02 주식회사 우진기전 고무차륜 경전철의 급전레일용 안내레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1947A (ja) * 1991-11-21 1993-06-08 Mitsubishi Electric Corp 超音波式軌条寸法計測装置
KR20100047665A (ko) * 2008-10-29 2010-05-10 강남훈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단면 측정 장치 및 이에 적합한 측정 방법
KR101130982B1 (ko) 2009-12-04 2012-04-02 주식회사 우진기전 고무차륜 경전철의 급전레일용 안내레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4937U1 (ru) * 2022-06-10 2022-11-22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Машзавод"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измерительный шабло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926B1 (ko) 2019-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550920U (zh) 一种t型电梯导轨形位公差全自动综合检测仪
CN105292173A (zh) 一种自动测量轨检车
US20070039197A1 (en) Wireless tram gauge assembly
CN101761004A (zh) 用于中低速磁悬浮f型轨的轨道检测仪
KR101358870B1 (ko) 궤도 레일의 종구배와 횡구배 및 레일 궤간 자동 측정 장치
JP2017015423A (ja) 道床形状測定装置
KR20110075108A (ko) 자기부상선로 검측장치
CN103738358A (zh) 便携式铁路车轮踏面参数检测仪
CN104908775A (zh) 非接触式钢轨磨耗检测装置
JP3939330B2 (ja) 軌間線寸法測定具および軌間線寸法測定方法
KR20190016696A (ko) 급전레일 측정장치
CN210063004U (zh) 便携式钢轨磨耗及廓形检测装置
CN103968728A (zh) 一种用于汽车门窗玻璃导轨的手持检测装置
CN204688131U (zh) 非接触式钢轨磨耗检测装置
KR20110053714A (ko) 깊이게이지를 이용한 레일의 마모도 및 직선도 측정 방법
ES2367067A1 (es) Auscultador de catenaria bimodal y sin contacto.
CN205482824U (zh) 可移动式隧道断面变形检测装置
RU177105U1 (ru) Путеизмерительная тележка унифицированная
CN113686296A (zh) 一种电梯导轨准直度检测装置和方法
CN208621013U (zh) 一种多功能橡胶板检测台
CN106323161A (zh) 一种导轨检测台
CN219134173U (zh) 轨道测量装置及铁路检测系统
CN214523785U (zh) 一种连续式道岔钢轨廓形检测装置
JP2627873B2 (ja) ダンプカー荷重試験機構の検査装置
JPH0750650Y2 (ja) 簡易軌道検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