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5251A -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2-치환된 인다졸의 용도 - Google Patents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2-치환된 인다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5251A
KR20190015251A KR1020187034445A KR20187034445A KR20190015251A KR 20190015251 A KR20190015251 A KR 20190015251A KR 1020187034445 A KR1020187034445 A KR 1020187034445A KR 20187034445 A KR20187034445 A KR 20187034445A KR 20190015251 A KR20190015251 A KR 20190015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arthritis
carboxamide
indazol
hydroxyprop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4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0362B1 (ko
Inventor
알렉산드라 라우쉬
스테판 요아킴 요들
외른 크래츠쉬마르
울리히 보테
니콜 슈밋트
Original Assignee
바이엘 파마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파마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이엘 파마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90015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39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omep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Abstract

본 발명은 치환된 인다졸,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단독으로 또는 조합으로의 그의 용도, 및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특히 관절염 (특히 건선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반응성 관절염, 전신 소아 특발성 관절염), 전신 홍반성 루푸스, 다발성 경화증, 건선,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습진, 및 만성-염증성 장 질환 (특히 크론병 및 궤양성 결장염)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처방 약물의 제조를 위한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2-치환된 인다졸의 용도
본 출원은 질환, 특히 IRAK4에 의해 매개되는 자가면역 장애, 예컨대 말초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반응성 관절염, 전신 소아 특발성 관절염), 축성 관절염 (특히 강직성 척추염), 전신 혈관염 예컨대 거대 세포 동맥염 및 ANCA (항-호중구 세포질 항체)-연관 혈관염, 통풍 및 다른 결정성 관절병증 또는 대사 관절염 (히드록시아파타이트 관절병증, 연골석회증 (칼슘 피로포스페이트 2수화물 (CPPD), 내분비 연합 장애 예컨대 당뇨병의 경우에 부갑상선의 과다활성 사례 (부갑상선기능항진증), 갑상선의 과다활성 사례 (갑상선기능항진증)), 사르코이드증, 소아 특발성 관절염, 건선,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습진/접촉성 알레르기, 다발성 경화증, 전신 홍반성 루푸스 및 소위 자가-염증성 장애 예컨대 슈니츨러 증후군, CRMO (만성 재발성 다초점성 골수염), SAPHO (활막염, 여드름, 농포증, 과골증 및 골염의 두문자어) 증후군 및 PAPA (화농성 관절염, 괴저성 농피증 및 여드름의 두문자어) 증후군, 만성 염증성 장 질환, 특히 크론병 및 궤양성 결장염, 및 염증-유발된 또는 만성 통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2-치환된 인다졸의 용도 및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가면역 장애 또는 기능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인터류킨-1 수용체-연관 키나제 4 (IRAK4)를 억제하는 화학식 (I)의 치환된 인다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인간 IRAK4 (인터류킨-1 수용체-연관 키나제 4)는 면역계의 활성화에서 주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키나제는 염증-억제 물질의 개발을 위한 중요한 치료 표적 분자이다. IRAK4는 다수의 세포에 의해 발현되며 톨-유사 수용체 (TLR) (TLR3 제외), 및 인터류킨 (IL)-1R (수용체), IL-18R, IL-33R 및 IL-36R로 이루어진 IL-1β 패밀리의 수용체의 신호 전달을 매개한다 (Janeway and Medzhitov, Annu. Rev. Immunol., 2002; Dinarello, Annu. Rev. Immunol., 2009; Flannery and Bowie, Biochemical Pharmacology, 2010).
IRAK4 녹아웃 마우스도 IRAK4가 결핍된 환자로부터의 인간 세포도 TLR (TLR3 제외) 및 IL-1β 패밀리의 자극에 반응하지 않는다 (Suzuki, Suzuki, et al., Nature, 2002; Davidson, Currie, et al., J Immunol, 2006; Ku, von Bernuth, et al., JEM, 2007; Kim, Staschke, et al., JEM, 2007).
TLR 리간드 또는 IL-1β 패밀리의 리간드가 각각의 수용체에 결합하면 MyD88 [골수 분화 일차 반응 유전자 (88)]이 수용체에 동원 및 결합하게 된다. 그 결과, MyD88은 IRAK4와 상호작용하여, 키나제 IRAK1 또는 IRAK2와 상호작용하고 그를 활성화시키는 활성 복합체를 형성시킨다 (Kollewe, Mackensen, et al., J Biol Chem, 2004; Precious et al., J. Biol. Chem., 2009). 그의 결과로, NF (핵 인자)-κB 신호전달 경로 및 MAPK (미토겐-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신호 경로가 활성화된다 (Wang, Deng, et al., Nature, 2001). NF-κB 신호 경로 및 MAPK 신호 경로 둘 다의 활성화는 여러 면역 과정과 연관된 과정으로 이어진다. 예를 들어, 다양한 염증성 신호 분자 및 효소 예컨대, 예를 들어, 시토카인, 케모카인 및 COX-2 (시클로옥시게나제-2)의 발현이 증가되고, 염증-연관 유전자, 예를 들어 COX-2, IL-6 (인터류킨-6), IL-8의 mRNA 안정성이 증가된다 (Holtmann, Enninga, et al., J Biol Chem, 2001; Datta, Novotny, et al., J Immunol, 2004). 게다가, 이들 과정은 특정한 세포 유형, 예를 들어 단핵구, 대식세포, 수지상 세포, T 세포 및 B 세포의 증식 및 분화와 연관될 수 있다 (Wan, Chi, et al., Nat Immunol, 2006; McGettrick and J. O'Neill, Br J Haematol, 2007).
자가면역 장애는 면역계가 그 자신의 신체 ("자가")에 대해 지시되어, 건강한 내인성 조직을 공격하는 질환이다. 여기서, 면역계는 선택적으로 오직 특정 기관 (예를 들어 궤양성 결장염의 경우에는 장, 건선의 경우에는 피부 또는 다발성 경화증의 경우에는 신경)에 대해 지시될 수 있고 이어서 이들은 소위 기관-특이적 자가면역 장애로서 분류되거나, 또는 그것은 전체 계에 대해 지시되어 비-기관-특이적 전신 자가면역 장애를 유발한다. 비-기관-특이적 전신 자가면역 장애의 경우에, 면역계는 신체의 다양한 기관을 공격한다 (예를 들어 전신 홍반성 루푸스의 경우에 피부, 관절, 신장 등에 대해 반응함). 면역계의 이러한 비제어된 기능부전은 후속적으로 체내 만성 염증 과정으로 이어진다. 자가면역 장애가 치료되지 않은 채로 유지되는 경우, 심각한 염증 반응으로 인해, 이환 기관은 파괴되며, 특정 경우에는 중증 경과 (전신 침범 동반)를 갖게 되면서,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조기 진단 및 요법이 매우 중요하다.
키나제 IRAK4 또는 IRAK4를 통한 신호 전달은 수많은 자가면역 장애의 기저 병리상태에서 중추적 역할을 한다 (Chaudhary et al., J Med Chem, 2015). 특히, IRAK4의 중추적 역할은 야생형 (WT) 마우스와 다발성 경화증의 동물 모델에서의 IRAK4의 키나제-불활성화 형태 (IRAK4 KDKI)를 갖는 유전자 변형 동물의 직접적 비교에 의해 이미 입증되었으며, 여기서 IRAK4 KDKI 동물은 MS 증상이 개선되었다 (Staschke et al., J Immunol, 2009). 또한 IRAK4의 발현은 보그트-코야나기-하라다(Vogt-Koyanagi-Harada) 증후군의 정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Sun, Yang, et al., PLoS ONE, 2014). 또한, 전신 홍반성 루푸스 (SLE)의 발병기전에서의 주요 과정인 형질세포양 수지상 세포에 의한 면역 복합체-매개 IFNα (인터페론-알파) 생산에 대한 IRAK4의 높은 관련성이 밝혀졌다 (Chiang et al., J Immunol, 2010). 선천성 면역에서의 IRAK4의 필수적인 역할뿐만 아니라, IRAK4가 적응 면역의 성분인 Th17 T 세포로 불리는 것의 분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암시가 또한 존재한다. IRAK4 키나제 활성의 부재 하에, WT 마우스에 비해 더 적은 IL-17-생산 T 세포 (Th17 T 세포)가 생성된다. IRAK4의 억제는 말초 관절염 (예컨대 건선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반응성 관절염, 전신 소아 특발성 관절염), 축성 관절염 (특히 베크테레브병), 사르코이드증, 전신 홍반성 루푸스, 건선, 백반증, 거대 세포 동맥염,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습진/접촉성 알레르기, 다발성 경화증 및 만성 염증성 장 질환 (특히 크론병 및 궤양성 결장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Staschke, et al., J Immunol, 2009; Marquez, et al., Ann Rheum Dis, 2014; Zambrano-Zaragoza, et al., International Journal of Inflammation, 2014; Ciccia, et al., Rheumatology, 2015; Cinetto and Agostini, Expert Rev Clin Immunol, 2016; Lock et al., Nat Med, 2002; Esendagli et al., J Neuroimmunol, 2013; Brucklacher Waldert et al., Brain, 2009; Li et al., J Neuroimmunol, 2011; Zambrano-Zargoza et al., Int J Inflamm, 2014; Geremia and Jewell, Expert Rev Gastroenterol Hepatol, 2012; Kobayashi et al., Gut, 2008; Sugihara et al., Clin Exp Immunol, 2010; Fujino et al., Gut, 2003; Rovedatti et al., Gut 2009).
TLR (TLR3 제외) 및 IL-1 수용체 패밀리의 MyD88-매개 신호 캐스케이드에서의 IRAK4의 중추적 역할 덕분에, IRAK4의 억제는 언급된 수용체에 의해 매개되는 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TLR 및 또한 IL-1 수용체 패밀리의 성분은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소아 특발성 관절염, 중증 근무력증, 혈관염, 예를 들어 베체트병 및 거대 세포 동맥염, 췌장염, 전신 홍반성 루푸스, 피부근염 및 다발근염, 당뇨병 (제1형 및 제2형), 당뇨병성 신병증, 골관절염, 쇼그렌 증후군, 스틸병, 다발성 경화증 및 패혈증의 발병기전에 수반된다 (Yang, Tuzun, et al., J Immunol, 2005; Zhou et al., Arthritis Rheum, 2005; Candia, Marquez et al., The Journal of Rheumatology, 2007; Li, Eur J Immunol, 2008; Scanzello, Plaas, et al. Curr Opin Rheumatol, 2008; Deng, Ma-Krupa, et al., Circ Res, 2009; Roger, Froidevaux, et al., PNAS, 2009; Devaraj, Tobias, et al.,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011; Ferraccioli et al., Mol Med, 2010; Kim, Cho, et al., Clin Rheumatol, 2010; Carrasco et al., Clinical and Experimental Rheumatology, 2011; Gambuzza, Licata, et al., Journal of Neuroimmunology, 2011; Fresno, Archives Of Physiology And Biochemistry, 2011; Volin and Koch, J Interferon Cytokine Res, 2011; Akash, Shen, et al.,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2012; Goh and Midwood, Rheumatology, 2012; Dasu, Ramirez, et al., Clinical Science, 2012; Ouziel, Gustot, et al., Am J Patho, 2012; Ramirez and Dasu, Curr Diabetes Rev, 2012; Okiyama et al., Arthritis Rheum, 2012; Chen et al., Arthritis Res Ther, 2013; Liu et al., Clin Rev Allergy Immunol, 2013; Sedimbi, Hagglof, et al., Cell Mol Life Sci, 2013; Van de Veerdonk et al., Front Immunol, 2013; Zarpelon et al., Br J Pharmacol, 2013; Caso, Costa, et al., Mediators of Inflammation, 2014; Cordiglieri, Marolda, et al., J Autoimmun, 2014; Jialal, Major, et al., J Diabetes Complications, 2014; Kaplan, Yazgan, et al., Scand J Gastroenterol, 2014; Talabot-Aye, et al., Cytokine, 2014; Zong, Dorph, et al., Ann Rheum Di, 2014; Timper, Seelig, et al., J Diabetes Complications, 2015).
피부 질환 예컨대 건선, 아토피성 피부염, 킨들러 증후군, 수포성 유천포창,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 원형 탈모증, 화농성 여드름(acne inversa) 및 심상성 여드름(acne vulgaris)은 마찬가지로 IRAK4-매개 TLR 신호전달 경로 또는 IL-1R 패밀리와 연관된다 (Schmidt, Mittnacht, et al., J Dermatol Sci, 1996; Hoffmann, J Investig Dermatol Symp Proc, 1999; Gilliet, Conrad, et al., Archives of Dermatology, 2004; Niebuhr, Langnickel, et al., Allergy, 2008; Miller, Adv Dermatol, 2008; Terhorst, Kalali, et al., Am J Clin Dermatol, 2010; Viguier, Guigue, et al., Annals of Internal Medicine, 2010; Carrier et al., J Invest Dermatol, 2011; Cevikbas, Steinhoff, J Invest Dermatol, 2012; Minkis, Aksentijevich, et al., Archives of Dermatology, 2012; Dispenza, Wolpert, et al., J Invest Dermatol, 2012; Minkis, Aksentijevich, et al., Archives of Dermatology, 2012; Liu et al., Clin Rev Allergy Immunol, 2013; Gresnigt and van de Veerdonk, Seminars in Immunology, 2013; Selway, Kurczab, et al., BMC Dermatology, 2013; Sedimbi, Hagglof, et al., Cell Mol Life Sci, 2013; Wollina, Koch, et al. Indian Dermatol Online, 2013; Foster, Baliwag, et al., J Immunol, 2014).
TLR 및 또한 IL-1R 패밀리 구성원은 추가적으로 또한 다른 염증성 장애 예컨대 알레르기, 베체트병, 결정성 관절병증 예컨대 통풍, 전신 홍반성 루푸스, 성인-발병 스틸병 및 만성 염증성 장 장애 예컨대 궤양성 결장염 및 크론병의 발병기전에 수반되고, 따라서 여기서 IRAK4의 억제는 적합한 예방 및/또는 치료 접근법이다 (Liu-Bryan, Scott, et al., Arthritis & Rheumatism, 2005; Piggott, Eisenbarth, et al., J Clin Inves, 2005; Christensen, Shupe, et al., Immunity, 2006; Cario, Inflammatory Bowel Diseases, 2010; Nickerson, Christensen, et al., The Journal of Immunology, 2010; Rakoff-Nahoum, Hao, et al., Immunity, 2006; Heimesaat, Fischer, et al., PLoS ONE, 2007; Heimesaat, Nogai, et al., Gut, 2010; Kobori, Yagi, et al., J Gastroenterol, 2010; Schmidt, Raghavan, et al., Nat Immunol, 2010; Shi, Mucsi, et al., Immunological Reviews, 2010; Coccia et al., J Exp Med, 2012; Leventhal and Schroppel, Kidney Int, 2012; Chen, Lin, et al., Arthritis Res Ther, 2013; Hao, Liu, et al., Curr Opin Gastroenterol, 2013; Kreisel and Goldstein, Transplant International, 2013; Li, Wang, et al., Pharmacology & Therapeutics, 2013; Walsh, Carthy, et al., Cytokine & Growth Factor Reviews, 2013; Zhu, Jiang, et al., Autoimmunity, 2013; Yap and Lai, Nephrology, 2013; Vennegaard, Dyring-Andersen, et al., Contact Dermatitis, 2014; D'Elia, Brucato, et al., Clin Exp Rheumatol, 2015; Jain, Thongprayoon, et al., Am J Cardiol., 2015; Li, Zhang, et al., Oncol Rep., 2015).
이미 언급된 장애에 더하여, IRAK4-매개 TLR 과정은 염증성 안장애 예컨대 포도막염, 각막염 및 알레르기성 결막염의 발병기전에서 설명되었다 (Li et al., Curr Mol Med. 2009; Bascherini et al., Clin Rheumatol. 2015; Sun and Pearlman,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2009; Redfern and McDermott, Experimental Eye Research, 2010; Kezic, Taylor, et al., J Leukoc Biol, 2011; Chang, McCluskey, et al., Clinical & Experimental Ophthalmology, 2012).
소양증 및 급성, 만성, 염증성 및 신경병증성 통증을 포함한 통증의 경우에 IRAK4를 통한 TLR-매개 신호 및 IL-1 수용체 패밀리-매개 신호의 수반 때문에, IRAK4의 억제를 통해 언급된 적응증에서 치료 효과가 있을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통증의 예는 통각과민, 이질통, 수술후 통증, 신경병증성 통증, 복통, 염증-유발된 통증, 요통, 및 만성 통증을 포함한다 (Wolf et al., Brain Behav Imm, 2008; Kim et al., Toll-like Receptors: Roles in Infection and Neuropathology, 2009; del Rey, Apkarian, et al., Ann N Y AcSci, 2012; Guerrero et al., EurJPharmacol, 2012; Kwok et al., PLoS ONE, 2012; Nicotra, et al., Ex Neurol, 2012; Chopra and Cooper, J Neuroimmune Pharmacol, 2013; David et al., Neurobiol Dis, 2013; Liu and Ji, Pflugers Arch., 2013; Stokes et al., J Neuroinflammation, 2013; Park, Stokes, et al., Cancer Chemother Pharmacol, 2014; Won et al., J Pain, 2014; Siddique and Khan, Dig Dis Sci. 2011; Schrepf et al., Brain Behav Immun, 2015).
염증성 장애 예컨대 CAPS (크리오피린-연관 주기성 증후군) 예컨대 FCAS (가족성 한랭 자가염증성 증후군), MWS (머클-웰스 증후군), NOMID (신생아-발병 다기관 염증성 질환) 및 CONCA (만성 영아, 신경계, 피부, 및 관절) 증후군; FMF (가족성 지중해열), HIDS (과다-IgD 증후군), TRAPS (종양 괴사 인자 수용체 1-연관 주기성 증후군), 소아 특발성 관절염, 성인-발병 스틸병, 아다만티아데스-베체트병,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슈니츨러 증후군, SAPHO (활막염, 여드름, 농포증, 과골증 및 골염의 두문자어) 증후군, PAPA (화농성 관절염, 괴저성 농피증 및 여드름의 두문자어) 증후군, PASS (괴저성 농피증, 심상성 여드름, 화농성 한선염 및 강직성 척추염의 두문자어) 증후군 및 쇼그렌 증후군은 IL-1 신호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치료되고; 따라서 여기서도, IRAK4 억제제는 언급된 질환의 치료에 적합하다 (Narayanan et al., Cornea 2008; Brenner et al., Br J Dermatol, 2009; Henderson and Goldbach-Mansky, Clin Immunol, 2010; Dinarello, European Journal of Immunology, 2011; Gul, Tugal-Tutkun, et al., Ann Rheum Dis, 2012; Pettersson, Annals of MedicinePetterson, 2012; Ruperto et al., N Engl J Med, 2012; Nordstrom et al., J Rheumatol, 2012; Vijmasi et al., Mol Vis, 2013; Yamada et al., Expert Opin Ther Target, 2013; de Koning, Clin Transl Allergy, 2014). IL-33R의 리간드인 IL-33은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습진/피부염 및 베크테레브병의 발병기전에 수반되고, 따라서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IRAK4의 억제는 적합한 치료 접근법이다 (Li et al., J Investig Med, 2013; Theoharides et al., J Pharmacol Exp Ther. 2015; Saluja et al., Clin Transl Allergy. 2015; Firinu et al., Curr Rheumatol Rep, 2016; Leuenberger et al., Dermatology, 2016; Nygaard et al., J Eur Acad Dermatol Venereol. 2016; Omenetti et al., Rheumatology (Oxford), 2016). IL-1 수용체 패밀리의 성분은 여러 염증성 장애 예컨대 천식, COPD, 특발성 간질성 폐렴, 알레르기성 비염, 폐 섬유증,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 (ARDS) 및 CRMO (만성 재발성 다초점성 골수염)와 연관되고, 따라서 예방 및/또는 치료 작용이 IRAK4의 억제를 통해 언급된 적응증에서 예상된다 (Kang et al., J Immunol, 2007; Imaoka et al., Eur Resp J, 2008; Couillin et al., J Immunol, 2009; Lloyd, Curr OpinImmunol, 2010; Pauwels, et al., Eur Respir J, 2011; Haenuki, et al., J Allergy Clin Immunol, 2012; Yin, et al., ClinExpImmunol, 2012; Alexander-Brett, et al., J Clin Invest, 2013; Bunting, et al., BioMed Res Int, 2013; Byers, et al., J Clin Invest, 2013; Kawayama, et al., J Interferon Cytokine Res, 2013; Martinez-Gonzalez et al., Am J Respir Cell Mol Biol, 2013; Nakanishi et al., PLoS ONE, 2013; Qiu et al., Immunol, 2013; Li, et al., JAllergy ClinImmunol, 2014; Saluja, et al., Mol Immunol, 2014; Scianaro et al., Pediatr Rheumatol Online, 2014; Lugrin, et al., J Immunol, 2015).
자가면역 장애 예컨대 다발성 경화증, 전신 홍반성 루푸스, 건선 및 말초 관절염의 경우에 표준 요법으로서, 실질적으로 면역계를 억제하는 면역억제제가 사용된다.
다발성 경화증 (MS)의 현행 약리학적 요법은 여러 접근법을 따른다:
● 고용량 전신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는 급성 MS 에피소드의 요법,
● 증상과 매칭되는 다양한 의약으로의 대증 요법 및
● 새로운 MS 에피소드의 예방 요법. 여기서, 비경구 의약 (예를 들어 베타-인터페론, 글라티라머 아세테이트, 나탈리주맙), 및 경구 의약 (예를 들어 핑골리모드 (디메틸 푸마레이트), 테리플루노미드), 및 또한 코르티손 제제 (예를 들어 프레드니솔론 또는 메틸 프레드니솔론)가 사용된다.
전신 홍반성 루푸스 (SLE)의 요법을 위해, 빈번하게 조합으로의 및 간격/유지 요법으로서의 면역억제제 또는 면역조정제 예컨대 NSAID, 히드록시클로로퀸, 전신 스테로이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 (MMF), 아자티오프린, 레플루노미드, 메토트렉세이트, 시클로스포린 또는 시클로포스파미드, 또는 비경구로 적용되는 항체인 벨리무맙 또는 리툭시맙이 사용된다.
건선 요법은 중증도에 따라 달라지고, 국소 스테로이드 및 비타민 D3 유사체 (또는 둘 다의 조합) 또는 국소 디트라놀 또는 레티노이드를 빈번하게 외용으로 적용되는 박피 화합물 (예컨대 살리실산 또는 우레아)과 함께, 및 광선요법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일부 경우에, 칼시뉴린 억제제 예컨대 타크롤리무스 및 피메크롤리무스가 또한 사용된다. 이용가능한 전신 요법은, 특히, 메토트렉세이트, 시클로스포린, 푸마르산 에스테르, 아프레밀라스트, 레티노이드 TNF 차단제 및 다른 활성 화합물이다. 생물제제 예컨대 TNF 차단제 (예를 들어 에타네르셉트, 인플릭시맙, 아달리무맙, 골리무맙 및 세르톨리주맙 페골) 또는 인터류킨-억제 모노클로날 항체 예컨대 우스테키누맙 및 세쿠키누맙이 또한 건선 치료에 사용된다.
아토피성 피부염 (신경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습진의 치료를 위해, 스테로이드, 살리실산, 우레아, 칼시뉴린 억제제 예컨대 타크롤리무스, 항생제 (예를 들어 뮤피로신), 항히스타민제, 시클로스포린 및 광선요법이 사용된다.
관절염 예컨대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및 베크테레브병의 요법을 위해, NSAID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 히드록시클로로퀸 및 스테로이드 (예를 들어 프레드니손)에 더하여, 소위 화학적 질환-조절 약물 (DMARD) 예컨대 메토트렉세이트, 술파살라진 및 레플루노미드, TNF-차단제 및 다른 활성 화합물이 이용가능하다. 생물제제 예컨대 TNF 차단제 (인플릭시맙, 아달리무맙, 골리무맙 및 세르톨리주맙 페골, 및 또한 에타네르셉트), 리툭시맙, 아바타셉트 또는 인터류킨-억제 모노클로날 항체 예컨대 우스테키누맙, 토실리주맙 및 세쿠키누맙, 또는 Jak/STAT 억제제 예컨대 토파시티닙이 관절염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만성 염증성 장 장애를 갖는 환자는, 예를 들어, 항생제 예컨대 시프로플록사신 및 메트로니다졸, 항이뇨제 예컨대 로페라미드 또는 완하제 (비사코딜) 및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 (무타플로르, VSL#3®, 락토바실루스(Lactobacillus) GG, 락토바실루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엘. 아시도필루스(L. acidophilus), 엘. 카세이(L. casei),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Bifidobacterium infantis) 35624, 엔테로코쿠스 페시움(Enterococcus fecium) SF68, 비피도박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 에스케리키아 콜라이 니슬(Escherichia coli Nissle) 1917)를 사용하여 치료된다. 게다가, 환자는 스테로이드 (예를 들어 부데소니드)를 사용한 국소 치료 또는 스테로이드 (예를 들어 프레드니솔론)를 사용한 전신 치료에 반응한다. 더욱이, 술파살라진, 아자티오프린, 메르캅토퓨린, 메토트렉세이트, 시클로스포린, TNF-차단제 (예를 들어 아달리무맙, 에타네르셉트) 및 인테그린 항체 (예를 들어 베돌리주맙, 나탈리주맙)가 치료에 사용된다.
그러나, 알려져 있는 치료 접근법은 장애의 원인을 제거하지는 않으며, 생명-위협 감염을 발생시킬 수 있다.
특정 경우에 기재된 요법 모두는 심각한 부작용, 예를 들어 골다공증, 글루코스 수준에 대한 부정적 영향 (전신 스테로이드), 일부 경우에 치사성 감염, 결핵의 재활성화 (TNF 차단제), 기관 손상 (췌장염, 간염, 폐장염), 주입 및 주사 반응, 자가-항체 형성 (대부분의 비경구 생물제제), 증가된 암 위험 (TNF 차단제) 및 다른 것들을 유발할 수 있다. 언급된 요법 중 어느 것도 기재된 장애를 치유하지 않으며, 특히 요법이 중단된 경우에 새로운 에피소드 및 악화가 매우 빈번하다.
자가면역 장애, 특히 다발성 경화증, 전신 홍반성 루푸스, 건선, 말초 관절염 (특히 건선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반응성 관절염, 전신 소아 특발성 관절염), 축성 관절염 (특히 베크테레브병), 만성 염증성 장 장애 (특히 크론병, 궤양성 결장염), 아토피성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습진/접촉성 피부염의 치료를 위한 대안적 옵션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에 의해 다루고자 하는 과제는 IRAK4에 의해 매개되는 자가면역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해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부분입체이성질체, 거울상이성질체, 대사물, 염, 용매화물 또는 염의 용매화물을 사용함으로써 해결된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R1은 C1-C6-알킬이며, 여기서 C1-C6-알킬 라디칼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할로겐, 히드록실, 비치환된 또는 일- 또는 다-할로겐-치환된 C3-C6-시클로알킬, 또는 R6, R7SO2, R7SO 또는 R8O 라디칼에 의해 동일하게 또는 상이하게 일- 또는 다치환되거나,
또는
Figure pct00002
로부터 선택되는 기이며
여기서 *는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기의 결합 부위를 나타내고;
R2 및 R3은 항상 동일한 정의를 갖고 둘 다 수소 또는 C1-C6-알킬이고;
R4는 할로겐, 시아노, 비치환된 또는 단일 또는 다중으로 동일하게 또는 상이하게 치환된 C1-C6-알킬 또는 비치환된 또는 단일 또는 다중으로 동일하게 또는 상이하게 치환된 C3-C6-시클로알킬이고, 치환기는 할로겐 및 히드록실의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5는 수소, 할로겐 또는 비치환된 또는 일- 또는 다-할로겐-치환된 C1-C6-알킬이고;
R6은 O, S, SO 및 SO2의 군으로부터의 헤테로원자 또는 헤테로기를 함유하는, 4 내지 6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비치환된 또는 일- 또는 이-메틸-치환된 모노시클릭 포화 헤테로사이클이고;
R7은 C1-C6-알킬이며, 여기서 C1-C6-알킬 라디칼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할로겐, 히드록실 또는 C3-C6-시클로알킬에 의해 동일하게 또는 상이하게 일- 또는 다치환되거나;
또는 R7은 C3-C6-시클로알킬이고;
R8은 C1-C6-알킬이며, 여기서 C1-C6-알킬 라디칼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할로겐에 의해 동일하게 또는 상이하게 일- 또는 다치환된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양태는 다발성 경화증, 전신 홍반성 루푸스, 건선, 아토피성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습진, 관절염 (특히 건선성 관절염, 베크테레브병, 류마티스 관절염, 반응성 관절염, 전신 소아 특발성 관절염), 만성 염증성 장 장애 (특히 크론병, 궤양성 결장염)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파종성 뇌척수염 (ED)으로도 지칭되는 다발성 경화증 (MS)은 뇌 및 척수를 포함하는 중추 신경계의 만성 염증성 장애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그 경과 동안 신경 구조, 특히 미엘린 수초는 자가반응성 면역계에 의해 파괴된다. 대부분의 경우에, 장애는 초기 성인기에 발병하며, 이는 다양한 증상 예컨대 손상된 시력, 통증 및/또는 마비로 이어질 수 있다. 여성에서의 다발성 경화증의 빈도는 남성에서의 약 2배이다. MS에 대한 치유법은 여전히 존재하지 않으나, 그 경과는 의약 예컨대 테리플루노미드, 디메틸 푸마레이트 및 핑골리모드를 사용하여 약화될 수 있다. 개체에 따라, MS의 경과는 크게 상이할 수 있다. MS의 2가지 가장 유의한 진행 형태는 간헐성 및 만성 진행성 (진행형) 경과이다. 빈번하게 (환자 중 약 80%에서), 초기 간헐성 완화형 경과 (재발 완화형, 줄여서 RR-MS)는 이후에 만성 진행형 경과 (속발성 진행성, 줄여서 SP-MS)로 바뀐다. 덜 종종 (MS 사례 중 약 10%에서), 심지어 미리 인지가능한 어떠한 장애의 에피소드 없이 초기에 만성 진행성 경과 (원발성 진행성, 줄여서 PP-MS)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전신 홍반성 루푸스 (SLE)는 다발성 기관 병리상태, 피부 징후 (예를 들어 나비모양 발진) 및 신장 장애 (루푸스 신염)로 이어질 수 있는 만성 및 생명-위협 자가면역 장애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항-DNA (데옥시리보핵산)를 분비하는 자가반응성 B 세포 및 다른 자가항체의 형성은 병인론적으로 관련된 면역 복합체의 형성으로 이어진다. 이들은 이어서 엔도솜 핵산-특이적 톨-유사 수용체 (TLR), 구체적으로 TLR7 및 TLR9를 통해 면역계의 세포, 예를 들어 형질세포양 수지상 세포 (pDC)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I형 인터페론 (예컨대 IFN-알파 및 TNF-α)이 생산된다 (Chen et al., Clinic Rev Allerg Immunol, 2015). INF-α 및 TNF-α에 더하여, SLE 환자에서 건강한 개체에 비한 IL-6 및 IFN-γ의 혈청 수준의 유의한 증가가 또한 관찰된다 (Lyn-Cook et al., Mol Immunol, 2014). 또한, 순환 ThH17 세포 (제17형 T 헬퍼 세포)의 빈도가 증가하고 이어서 IL-17 혈청 수준이 증가하며, 이들 둘 다는 장애의 중증도와 상관관계가 있다 (Zambrano-Zargoza et al., Int J Inflamm, 2014).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건선은 간헐성 진행 및 피부의 증가된 박편화를 동반한 만성 피부 염증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특징적인 증상은 강하게 박편화되고 우선적으로 무릎, 팔꿈치 및 두피에서 발생하는 은-백색 둥근 피부 병변이다. 이환 부위는 빈번하게 매우 가렵다. 건선 발생의 원인이 되는 것은 Th1 및 Th17 세포 (제1형 또는 제17형 T 헬퍼 세포)에 의해 매개되는 만성 염증 반응이다. 이 염증 반응 동안, 염증유발 시토카인 예컨대 IFN-γ, TNF-α, IL-23 및 IL-17이 생산된다 (Deng et al., Clin Rev Allergy Immunol. 2016; Zambrano-Zargoza et al., Int J Inflamm, 2014; Chen et al., Clinic Rev Allerg Immunol, 2015). 이에 따라 각질세포가 증식하고 피부의 각질층 내로 약 7배 더 신속하게 이동하게 된다 (28일 대신, 건선 환자의 경우에 이는 단지 약 4일이 걸림). 이에 따라 표피가 신속하게 신생형성된다. 피부에 더하여, 손발톱이 또한 빈번하게 이환되어, 압입 및 갈색빛 반점을 나타낸다. 환자 중 약 25%에서, 관절이 또한 이환되며, 이는 건선성 관절염으로 지칭된다 (Raychaudhuri et al., Clin Rheumatol., 2015).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아토피성 피부염 (신경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습진은 가려움증과 연관된 만성 염증성 피부 장애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알레르기성 습진은 그 자체로는 유기체에게 유해하지 않을 외부 알레르겐에 대한 면역계의 특이적인 부적절한 과잉반응의 결과인 반면, 대조적으로, 신경피부염 환자의 경우에 피부의 보호 기능이 감소된다. 아토피 환자에서, 물리적, 화학적 또는 미생물 자극과의 접촉은 이어서 염증을 발생시킬 수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빈번하게 영아기 및 소아기에 시작되고, 전형적으로 존재하는 경우 증상이 거의 없는 병기와 교대로 나타날 수 에피소드로 진행된다 (Malajian and Guttman-Yassky, Cytokine, 2015). 알레르기 반응 예컨대 알레르기성 습진은 아토피성 피부염을 촉발하거나 또는 유지할 수 있다 (Fischer et al., Der Hautarzt, 2003). 많은 신경피부염 환자에서, 알레르기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뮤노글로불린 E (IgE)의 증가된 수준이 검출될 수 있다. 알레르기성 습진은 표피 시험에 의한 원인, 즉 알레르겐의 확인을 필요로 하고, 후속적으로 알레르겐 회피가 중추적으로 중요하다. 유형 Th2의 면역 반응은 염증성 피부 장애에 대해 공통이며, 즉 알레르겐 접촉 덕분에 또는 결손 피부 장벽 및 이에 따른 예를 들어 박테리아의 침습으로 인해, 이들 환자에서의 자가반응성 면역계는 TLR 또는 IL-1 패밀리의 수용체를 통해 자극되어, Th2 세포를 활성화시킨다. 이 면역 반응의 결과로서, 염증유발 시토카인 예컨대 IL-4, IL-5, IL-13, IL-18, IL-33 등이 생산된다 (Kaesler et al., J Allergy Clin Immunol. 2014; Panzer et al., Exp Dermatol, 2014; Skabytska et al., J Dtsch Dermatol Ges, 2016; Paul, Cytokine, 2015; Malajian and Guttman-Yassky, Cytokine, 2015; McKenzie, Ann Am Thorac Soc. 2014).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반응성 관절염, 베크테레브병, 전신 소아 특발성 관절염)은 염증성 관절 장애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척추 관절의 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축성 관절염 (예를 들어 베크테레브병)은 사지 예컨대 발가락, 발목, 무릎, 손가락, 손 또는 그 밖에 팔꿈치의 관절이 주로 이환되는 말초 관절염과 구별된다. 여기서, 말초 관절염은 대칭적일 수 있거나, 즉 신체의 양쪽 측면의 동일한 관절이 둘 다 이환되거나 (예를 들어 류마티스 관절염) 또는 그 밖에 비대칭, 즉 염증발생 관절이 신체의 양쪽 측면에 걸쳐 불균일하게 분포된다 (예를 들어 건선성 관절염). 여기서, 염증발생 관절의 운동성은 고통스럽게 제한되고, 그 위의 피부는 붉어지고 체온이 올라간다. 관절염성 장애는 관절의 파괴 및 거동불가에 이르는 심각한 장애를 발생시킬 수 있는 간헐성 진행형 진행을 특징으로 한다. 자가반응성 B 세포, Th1 세포 및 Th17 세포 및 또한 염증유발 시토카인 예컨대 IFN-γ, TNF, IL-6, IL-12, IL-23 및 IL-17은 관절염의 병리학적 과정의 유발, 뿐만 아니라 진행에서 중추적 역할을 한다. 이들 면역 세포는 또한 메탈로프로테이나제의 생산뿐만 아니라 파골세포의 성숙 및 활성화를 유도하며, 이는 이어서 이환된 관절에서의 연골 및 골을 파괴시킨다 (Raychaudhuri et al., Clin Rheumatol, 2015; Burmester et al., Ann Rheum Dis, 2015; Furst and Emery, Rheumatol, 2014; McInnes and Schett, Engl J Med, 2011).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그의 주요 형태가 크론병 및 궤양성 결장염인 만성 염증성 장 질환 (IBD)은 평생 지속될 수 있는 위장관의 간헐성 염증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크론병 및 궤양성 결장염이 많은 병리학적 특징 및 임상 증상 (예컨대 복부 경련을 동반한 혈성 설사에 이은 체중 감소)을 공유하지만 이들은 또한 많은 측면에서 상이하다. 크론병의 경우에 염증이 구강에서부터 항문까지의 전체 위장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반면에, 궤양성 결장염 환자의 경우에 이는 결장에 제한된다. 또한, 크론병의 경우에, 장 염증의 분포는 보다 불균일하고, 즉 건강한 및 염증발생된 섹션이 교대로 나타나며, 반면에 궤양성 결장염의 경우에 염증은 항문으로부터 결장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다. 또한, 위장관 외부, 예를 들어 관절 및 피부에서의 증상, 및 또한 간 염증도 존재할 수 있다. 게다가, 궤양성 결장염 환자는 특히 증가된 장암 위험을 갖는다 (Geremia et al., Autoimmunity Rev, 2014). 질환 둘 다는 20 내지 40세의 연령에서 보다 빈번하게 발생하지만, 소아 및 청소년도 또한 이환될 수 있다. 만성-염증성 장 장애는 치유될 수 없지만; 질환의 에피소드의 빈도 및 강도는 의약, 예를 들어 술파살라진, 스테로이드 또는 생물제제 (예컨대 항-TNF 항체)를 사용한 치료 및 생활방식 변화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이하에 기재된 본 발명의 합성 중간체 및 작업 실시예의 경우에, 상응하는 염기 또는 산의 염 형태로 명시된 임의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각각의 제조 및/또는 정제 방법에 의해 수득된 바와 같은, 미지의 정확한 화학량론적 조성의 염이다. 보다 상세하게 명시되지 않는 한, 명칭 및 구조 화학식에 대한 부가, 예컨대 "히드로클로라이드",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나트륨 염" 또는 "x HCl", "x CF3COOH", "x Na+"는 따라서 이러한 염의 경우에 화학량론적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거기에 존재하는 염-형성 성분과 관련하여 단지 설명적 특징을 갖는다.
이는 합성 중간체 또는 작업 실시예 또는 그의 염이, 기재된 제조 및/또는 정제 방법에 의해 미지의 화학량론적 조성 (이들이 정의된 유형인 경우)의 용매화물, 예를 들어 수화물의 형태로 수득된 경우에 상응하게 적용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화합물 그 자체뿐만 아니라 그의 염, 용매화물 및 염의 용매화물, 화학식 (I)에 의해 포괄되며 하기에 언급된 화학식의 화합물 및 그의 염, 용매화물 및 염의 용매화물 및 화학식 (I)에 의해 포괄되며 실시양태로서 하기에 언급된 화합물 및 그의 염, 용매화물 및 염의 용매화물 (화학식 (I)에 의해 포괄되며 하기에 언급된 화합물이 이미 염, 용매화물 및 염의 용매화물이 아닌 경우)이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의 바람직한 염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생리학상 허용되는 염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또한, 그 자체로는 제약 용도에 적합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단리 또는 정제에 사용될 수 있는 염을 포괄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생리학상 허용되는 염은 무기 산, 카르복실산 및 술폰산의 산 부가염, 예를 들어 염산, 브로민화수소산, 황산, 인산,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톨루엔술폰산, 벤젠술폰산, 나프탈렌디술폰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락트산, 타르타르산, 말산, 시트르산, 푸마르산, 말레산 및 벤조산의 염을 포함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생리학상 허용되는 염은 또한 통상적인 염기의 염, 예로서 및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염 (예를 들어 나트륨 및 칼륨 염), 알칼리 토금속 염 (예를 들어 칼슘 및 마그네슘 염) 및 암모니아 또는 1 내지 1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유기 아민, 예로서 및 바람직하게는 에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디메틸아미노에탄올, 프로카인, 디벤질아민, N-메틸모르폴린, 아르기닌, 리신, 에틸렌디아민 및 N-메틸피페리딘으로부터 유래된 암모늄 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의 용매화물은 용매 분자와의 배위에 의해 고체 또는 액체 상태의 복합체를 형성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그러한 형태로서 기재된다. 수화물은 물과 배위되는 특정한 형태의 용매화물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그의 구조에 따라, 상이한 입체이성질체 형태로, 즉 배위 이성질체 또는 그 밖에, 적절한 경우, 형태 이성질체 (회전장애이성질체의 경우의 것들을 포함한 거울상이성질체 및/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따라서 거울상이성질체 및 부분입체이성질체, 및 그의 각각의 혼합물을 포괄한다. 입체이성질체적으로 균질한 구성성분은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거울상이성질체 및/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이러한 혼합물로부터 단리될 수 있고; 크로마토그래피 방법, 특히 비키랄 또는 키랄 상 상에서의 HPLC 크로마토그래피가 바람직하게는 이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이 호변이성질체 형태로 발생할 수 있는 경우, 본 발명은 모든 호변이성질체 형태를 포괄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모든 적합한 동위원소 변형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동위원소 변형체는 여기서 본 발명의 화합물 내의 적어도 1개의 원자가 동일한 원자 번호의, 그러나 자연에서 통상적으로 또는 우세하게 발생하는 원자 질량과는 상이한 원자 질량을 갖는 또 다른 원자로 교환된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내로 혼입될 수 있는 동위원소의 예는 수소, 탄소, 질소, 산소, 인, 황, 플루오린, 염소, 브로민 및 아이오딘의 동위원소, 예컨대 2H (중수소), 3H (삼중수소), 13C, 14C, 15N, 17O, 18O, 32P, 33P, 33S, 34S, 35S, 36S, 18F, 36Cl, 82Br, 123I, 124I, 129I 및 131I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특정한 동위원소 변형체, 예컨대, 특히, 1개 이상의 방사성 동위원소가 혼입된 것들은, 예를 들어, 체내 작용 메카니즘 또는 활성 성분 분포의 검사를 위해 유익할 수 있으며; 비교적 용이한 제조가능성 및 검출감도 때문에, 특히 3H 또는 14C 동위원소로 표지된 화합물이 이 목적을 위해 적합하다. 또한, 동위원소, 예를 들어 중수소의 혼입은 화합물의 보다 큰 대사 안정성의 결과로서의 특정한 치료 이익, 예를 들어 체내 반감기의 연장 또는 요구되는 활성 용량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고; 따라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이러한 변형은 일부 경우에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구성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동위원소 변형체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하기에 추가로 기재된 방법 및 작업 실시예에 기재된 절차에 의해, 각각의 시약 및/또는 출발 화합물의 상응하는 동위원소 변형을 사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용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추가적으로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전구약물을 포괄한다. 이 문맥에서의 용어 "전구약물"은 그 자체로 생물학적 활성 또는 불활성일 수 있으나 그의 체내 체류 시간 동안 화학식 (I)의 화합물로 (예를 들어 대사적으로 또는 가수분해적으로) 전환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치환기는 하기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의 알킬은 명시된 특정한 개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라디칼을 나타낸다. 예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1-메틸프로필, 2-메틸프로필, tert-부틸, n-펜틸, 1-에틸프로필, 1-메틸부틸, 2-메틸부틸, 3-메틸부틸, 2,2-디메틸프로필, n-헥실, 1-메틸펜틸, 2-메틸펜틸, 3-메틸펜틸, 4-메틸펜틸, 1-에틸부틸 및 2-에틸부틸을 포함한다. 메틸, 에틸, n-프로필, n-부틸, 2-메틸부틸, 3-메틸부틸 및 2,2-디메틸프로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의 시클로알킬은 각 경우에 명시된 개수의 탄소 원자를 갖는 모노시클릭 포화 알킬 라디칼이다. 바람직한 예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및 시클로헥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의 알콕시는 명시된 특정한 개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콕시 라디칼을 나타낸다.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예는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1-메틸프로폭시, n-부톡시, 이소부톡시, tert-부톡시, n-펜톡시, 이소펜톡시, 1-에틸프로폭시, 1-메틸부톡시, 2-메틸부톡시, 3-메틸부톡시 및 n-헥속시를 포함한다.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콕시 라디칼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언급될 수 있는 예는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1-메틸프로폭시, n-부톡시 및 이소부톡시이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의 할로겐은 플루오린, 염소 및 브로민이다. 플루오린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의 히드록실은 OH이다.
모노시클릭 포화 헤테로사이클은 4 내지 6개의 고리 원자를 갖고 O, S, SO 및 SO2의 군으로부터의 헤테로원자 또는 헤테로기를 함유하는 모노시클릭 포화 헤테로사이클이다. O, SO 및 SO2의 군으로부터의 헤테로원자 또는 헤테로기를 갖는 헤테로사이클이 바람직하다. 예는 옥세탄, 테트라히드로푸란, 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 1,1-디옥시도테트라히드로-2H-티오피란-3-일, 1,1-디옥시도테트라히드로-2H-티오피란-2-일, 1,1-디옥시도테트라히드로-2H-티오피란-4-일, 1,1-디옥시도테트라히드로티오펜-3-일, 1,1-디옥시도테트라히드로티오펜-2-일, 1,1-디옥시도티에탄-2-일 또는 1,1-디옥시도티에탄-3-일을 포함한다. 여기서 옥세탄 및 테트라히드로푸란이 특히 바람직하다. 옥세탄-3-일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결합에서 기호 *는 분자 내 결합 부위를 나타낸다.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라디칼이 치환되는 경우에,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라디칼은 일- 또는 다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1회 초과로 발생하는 모든 라디칼은 서로 독립적으로 정의된다. 1, 2 또는 3개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치환기에 의한 치환이 바람직하다.
R1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1, 2 또는 3개의 플루오린 원자에 의해 치환된 C2-C6-알킬 라디칼이다. 2,2,2-트리플루오로에틸,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 및 4,4,4-트리플루오로부틸이 특히 바람직하다. 4,4,4-트리플루오로부틸 라디칼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R1의 추가로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1 또는 2개의 히드록실 기(들) 또는 1개의 C1-C3-알콕시 또는 삼-플루오린-치환된 C1-C3-알콕시에 의해 치환된 C2-C6-알킬 라디칼이다. 히드록실 또는 C1-C3-알콕시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톡시 또는 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에 의해 치환된 C2-C5-알킬 라디칼이 특히 바람직하다. 3-히드록시-3-메틸부틸, 3-메톡시프로필, 3-히드록시프로필, 3-트리플루오로메톡시프로필, 2-메톡시에틸 또는 2-히드록시에틸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3-히드록시-3-메틸부틸 라디칼이 특히 바람직하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R1은 C1-C6-알킬-SO2 기에 의해 치환된 C2-C6-알킬 라디칼이다. 메틸-SO2-치환된 C2-C4-알킬 라디칼이 특히 바람직하다. R1의 경우 2-(메틸술포닐)에틸 또는 3-(메틸술포닐)프로필이 특히 바람직하다. 후자의 기로부터, 2-(메틸술포닐)에틸이 특히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바람직하게는, R1은 옥세타닐, 테트라히드로푸라닐, 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 1,1-디옥시도테트라히드로-2H-티오피란-3-일, 1,1-디옥시도테트라히드로-2H-티오피란-2-일, 1,1-디옥시도테트라히드로-2H-티오피란-4-일, 1,1-디옥시도테트라히드로티오펜-3-일, 1,1-디옥시도테트라히드로티오펜-2-일, 1,1-디옥시도티에탄-2-일 또는 1,1-디옥시도티에탄-3-일에 의해 치환된 C1-C3-알킬 라디칼이다. 옥세탄 기에 의해 치환된 C1-C3-알킬 라디칼이 특히 바람직하다. R1의 경우 옥세탄-3-일메틸 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항상 동일한 정의를 갖는 R2 및 R3의 경우, 수소 또는 메틸이 바람직하다. 메틸이 특히 바람직하다.
R4의 경우에, 비치환된 또는 일- 또는 다-할로겐-치환된 C1-C3-알킬 라디칼 또는 1개의 히드록실 기에 의해 치환된 C1-C3-알킬 라디칼 또는 1개의 히드록실 기 및 3개의 플루오린 원자에 의해 치환된 C1-C3-알킬 라디칼이 바람직하다.
R4의 경우, 하기 라디칼: 메틸, 에틸, 트리플루오로-C1-C3-알킬, 디플루오로-C1-C3-알킬, 히드록시메틸, 1-히드록시에틸, 2-히드록시프로판-2-일 및 2,2,2-트리플루오로-1-히드록시에틸이 특히 바람직하다. R4의 경우,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디플루오로메틸 라디칼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트리플루오로메틸 라디칼이 특히 바람직하다.
R5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수소, 플루오린, 염소 또는 C1-C3-알킬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R5는 수소, 플루오린 또는 메틸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R5는 수소 또는 플루오린이다.
또한 R4가 메틸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고 R5가 플루오린인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R4가 메틸이고 R5가 플루오린이며, 여기서 R5는 R4에 대해 오르토 위치에 있는 화합물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R6의 경우,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옥세타닐, 테트라히드로푸라닐, 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 1,1-디옥시도테트라히드로-2H-티오피란-3-일, 1,1-디옥시도테트라히드로-2H-티오피란-2-일, 1,1-디옥시도테트라히드로-2H-티오피란-4-일, 1,1-디옥시도테트라히드로티오펜-3-일, 1,1-디옥시도테트라히드로티오펜-2-일, 1,1-디옥시도티에탄-2-일 또는 1,1-디옥시도티에탄-3-일을 포함한다. 여기서 옥세타닐이 특히 바람직하다. 옥세탄-3-일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R7은 관능기 -SO2- 및 -SO-에 독점적으로 연결되며, 즉 R7-치환된 -SO2- 또는 SO 기가 된다. 이와 관련하여, R7은 바람직하게는 C1-C4-알킬이며, 여기서 C1-C4-알킬 라디칼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히드록실에 의해 또는 시클로프로필에 의해 일치환되거나 또는 3개의 플루오린 원자에 의해 치환된다. R7의 경우 시클로프로필 라디칼이 추가적으로 바람직하다. R7의 경우 메틸, 에틸 또는 히드록시에틸이 특히 바람직하다. R7의 경우 메틸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이는, R7SO2- 또는 R7SO-에 의해 치환된 C1-C6-알킬 라디칼의 경우에, R1의 문맥에서, C1-C6-알킬-SO2 또는 C1-C6-알킬-SO에 의해 치환된 C1-C6-알킬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R1의 경우, 여기서 메틸술포닐에틸 및 메틸술포닐프로필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메틸술포닐에틸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R8의 경우, 비치환된 C1-C4-알킬 라디칼 또는 삼-플루오린-치환된 C1-C4-알킬 라디칼이 바람직하다. 메틸, 에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2,2,2-트리플루오로에틸이 특히 바람직하다.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2,2,2-트리플루오로에틸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IRAK4에 의해 매개되는 자가면역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특히 다발성 경화증, 전신 홍반성 루푸스, 건선,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베크테레브병, 류마티스 관절염, 반응성 관절염, 전신 소아 특발성 관절염), 만성-염증성 장 장애 (크론병, 궤양성 결장염), 아토피성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습진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부분입체이성질체, 거울상이성질체, 대사물, 염, 용매화물 또는 염의 용매화물의 용도가 바람직하며 여기서
R1은 C1-C6-알킬이며, 여기서 C1-C6-알킬 라디칼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플루오린, 히드록실 또는 R6, R7SO2, R7SO 또는 R8O 라디칼에 의해 동일하게 또는 상이하게 일- 또는 다치환되고;
R2 및 R3은 항상 동일한 정의를 갖고 둘 다 수소 또는 C1-C3-알킬이고;
R4는 할로겐, 시아노 또는 C1-C3-알킬이며, 여기서 C1-C3-알킬 라디칼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할로겐 또는 히드록실에 의해 동일하게 또는 상이하게 일- 또는 다치환되고;
R5는 수소, 플루오린, 염소 또는 C1-C3-알킬이고;
R6은 옥세타닐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라닐이고;
R7은 C1-C4-알킬이며, 여기서 C1-C4-알킬 라디칼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히드록실에 의해 또는 시클로프로필에 의해 일치환되거나 또는 3개의 플루오린 원자에 의해 치환되고;
R8은 비치환된 C1-C4-알킬 또는 삼-플루오린-치환된 C1-C4-알킬이다.
IRAK4에 의해 매개되는 자가면역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특히 다발성 경화증, 전신 홍반성 루푸스, 건선,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베크테레브병, 류마티스 관절염, 반응성 관절염, 전신 소아 특발성 관절염), 만성-염증성 장 장애 (크론병, 궤양성 결장염), 아토피성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습진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부분입체이성질체, 거울상이성질체, 대사물, 염, 용매화물 또는 염의 용매화물의 용도가 추가적으로 바람직하며 여기서
R1은 C2-C6-알킬이며, 여기서 C2-C6-알킬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C2-C6-알킬은 일-, 이- 또는 삼-플루오린-치환되거나 또는
C2-C6-알킬은 히드록실, R6, R7SO2, 또는 R8O에 의해 일치환되거나,
또는 R1은 옥세타닐-치환된 C1-C3-알킬이고;
R2 및 R3은 항상 동일한 정의를 갖고 둘 다 수소 또는 메틸이고;
R4는 비치환된 또는 일- 또는 다-할로겐-치환된 C1-C3-알킬 라디칼 또는 1개의 히드록실 기에 의해 치환된 C1-C3-알킬 라디칼 또는 1개의 히드록실 기 및 3개의 플루오린 원자에 의해 치환된 C1-C3-알킬 라디칼이고;
R5는 수소, 플루오린 또는 C1-C3-알킬이고;
R7은 C1-C3-알킬이고;
R8은 C1-C4-알킬이며, 여기서 C1-C4-알킬 라디칼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일-, 이- 또는 삼-플루오린-치환된다.
IRAK4에 의해 매개되는 자가면역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특히 다발성 경화증, 전신 홍반성 루푸스, 건선,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베크테레브병, 류마티스 관절염, 반응성 관절염, 전신 소아 특발성 관절염), 만성-염증성 장 장애 (크론병, 궤양성 결장염), 아토피성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습진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부분입체이성질체, 거울상이성질체, 대사물, 염, 용매화물 또는 염의 용매화물의 용도가 또한 특히 바람직하며 여기서
R1은 히드록실 또는 C1-C3-알콕시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톡시 또는 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에 의해 치환된 C2-C5-알킬 라디칼이거나 또는
메틸-SO2-치환된 C2-C4-알킬 라디칼이거나 또는
옥세탄-3-일-치환된 C1-C2-알킬 라디칼이고;
R2 및 R3은 항상 동일한 정의를 갖고 둘 다 수소 또는 메틸이고;
R4는 메틸, 에틸, 트리플루오로-C1-C3-알킬, 디플루오로-C1-C3-알킬, 히드록시메틸, 1-히드록시에틸, 2-히드록시프로판-2-일 및 2,2,2-트리플루오로-1-히드록시에틸이고;
R5는 수소, 플루오린 또는 메틸이다.
IRAK4에 의해 매개되는 자가면역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특히 다발성 경화증, 전신 홍반성 루푸스, 건선,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베크테레브병, 류마티스 관절염, 반응성 관절염, 전신 소아 특발성 관절염), 만성-염증성 장 장애 (크론병, 궤양성 결장염), 아토피성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습진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화합물 및 그의 부분입체이성질체, 거울상이성질체, 대사물, 염, 용매화물 또는 염의 용매화물의 용도가 매우 특히 바람직하며 여기서
R1은 4,4,4-트리플루오로부틸, 3-히드록시-3-메틸부틸, 3-히드록시부틸, 3-메톡시프로필, 3-히드록시프로필, 3-히드록시-2-메틸프로필, 3-히드록시-2,2-디메틸프로필, 3-트리플루오로메톡시프로필, 2-메톡시에틸, 2-히드록시에틸, 2-(메틸술포닐)에틸 또는 3-(메틸술포닐)프로필이고;
R2 및 R3은 둘 다 메틸 또는 수소이고;
R4는 디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메틸이고;
R5는 수소 또는 플루오린이다.
IRAK4에 의해 매개되는 자가면역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특히 다발성 경화증, 전신 홍반성 루푸스, 건선,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베크테레브병, 류마티스 관절염, 반응성 관절염, 전신 소아 특발성 관절염), 만성-염증성 장 장애 (크론병, 궤양성 결장염), 아토피성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습진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화합물 및 그의 부분입체이성질체, 거울상이성질체, 대사물, 염, 용매화물 또는 염의 용매화물의 용도가 또한 매우 특히 바람직하며 여기서
R1은 3-히드록시-3-메틸부틸, 3-히드록시부틸, 3-히드록시-2-메틸프로필, 3-히드록시-2,2-디메틸프로필, 3-(메틸술포닐)프로필 또는 2-(메틸술포닐)에틸이고;
R2 및 R3은 둘 다 메틸이고;
R4는 디플루오로메틸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고;
R5는 수소이다.
IRAK4에 의해 매개되는 자가면역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특히 다발성 경화증, 전신 홍반성 루푸스, 건선,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베크테레브병, 류마티스 관절염, 반응성 관절염, 전신 소아 특발성 관절염), 만성-염증성 장 장애 (크론병, 궤양성 결장염), 아토피성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습진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화합물 및 그의 부분입체이성질체, 거울상이성질체, 대사물, 염, 용매화물 또는 염의 용매화물의 용도가 추가적으로 또한 특히 바람직하며 여기서
R1은 3-히드록시-3-메틸부틸, 3-히드록시부틸, 3-히드록시-2-메틸프로필, 3-히드록시-2,2-디메틸프로필, 3-(메틸술포닐)프로필 또는 2-(메틸술포닐)에틸이고;
R2 및 R3은 둘 다 메틸이고;
R4는 메틸이고;
R5는 플루오린이며, 여기서 R5는 R4에 대해 오르토 위치에 있다.
본 발명은 특히 IRAK4에 의해 매개되는 자가면역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하기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1) N-[6-(2-히드록시프로판-2-일)-2-(2-메톡시에틸)-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2) N-[6-(히드록시메틸)-2-(2-메톡시에틸)-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3) N-[6-(2-히드록시프로판-2-일)-2-(3-메톡시프로필)-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4) N-[6-(히드록시메틸)-2-(3-메톡시프로필)-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5) N-[2-(2-히드록시에틸)-6-(2-히드록시프로판-2-일)-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6) N-[6-(2-히드록시프로판-2-일)-2-(3-히드록시프로필)-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7) N-[2-(2-히드록시에틸)-6-(히드록시메틸)-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8) N-[6-(2-히드록시프로판-2-일)-2-(옥세탄-3-일메틸)-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9) N-[6-(히드록시메틸)-2-(옥세탄-3-일메틸)-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10) N-{6-(2-히드록시프로판-2-일)-2-[3-(메틸술포닐)프로필]-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11) N-[2-(3-히드록시-3-메틸부틸)-6-(2-히드록시프로판-2-일)-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12) N-{6-(2-히드록시프로판-2-일)-2-[2-(메틸술포닐)에틸]-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13) 6-(디플루오로메틸)-N-[2-(3-히드록시-3-메틸부틸)-6-(2-히드록시프로판-2-일)-2H-인다졸-5-일]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14) 6-(디플루오로메틸)-N-{6-(2-히드록시프로판-2-일)-2-[2-(메틸술포닐)에틸]-2H-인다졸-5-일}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15) 6-(디플루오로메틸)-N-[6-(2-히드록시프로판-2-일)-2-(3-히드록시프로필)-2H-인다졸-5-일]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16) N-[6-(2-히드록시프로판-2-일)-2-(4,4,4-트리플루오로부틸)-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17) N-{6-(2-히드록시프로판-2-일)-2-[3-(트리플루오로메톡시)프로필]-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18) N-{6-(2-히드록시프로판-2-일)-2-[3-(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프로필]-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19) 5-플루오로-N-[2-(3-히드록시-3-메틸부틸)-6-(2-히드록시프로판-2-일)-2H-인다졸-5-일]-6-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20) N-[2-(3-히드록시-3-메틸부틸)-6-(2-히드록시프로판-2-일)-2H-인다졸-5-일]-6-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21) 6-(2-히드록시프로판-2-일)-N-[6-(2-히드록시프로판-2-일)-2-(4,4,4-트리플루오로부틸)-2H-인다졸-5-일]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22) N-{2-[2-(1-히드록시시클로프로필)에틸]-6-(2-히드록시프로판-2-일)-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본 발명은 추가로 다발성 경화증, 전신 홍반성 루푸스, 건선,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베크테레브병, 류마티스 관절염, 반응성 관절염, 전신 소아 특발성 관절염), 만성-염증성 장 장애 (크론병, 궤양성 결장염), 아토피성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습진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상기 언급된 화합물 1) 내지 22)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IRAK4에 의해 매개되는 자가면역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화학식 (III)의 화합물 및 그의 부분입체이성질체, 거울상이성질체, 대사물, 염, 용매화물 또는 염의 용매화물의 용도를 제공하며
Figure pct00003
여기서
R1은 4,4,4-트리플루오로부틸, 3-히드록시-3-메틸부틸, 3-메톡시프로필, 3-히드록시프로필, 3-히드록시부틸, 3-히드록시-2-메틸프로필, 3-히드록시-2,2-디메틸프로필, 3-트리플루오로메톡시프로필, 2-메톡시에틸, 2-히드록시에틸, 2-(메틸술포닐)에틸, 3-(메틸술포닐)프로필 또는 2-(1-히드록시시클로프로필)에틸이고;
R4는 디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메틸이고;
R5는 수소 또는 플루오린이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양태는 다발성 경화증, 전신 홍반성 루푸스, 건선,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베크테레브병, 류마티스 관절염, 반응성 관절염, 전신 소아 특발성 관절염), 만성-염증성 장 장애 (크론병, 궤양성 결장염), 아토피성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습진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화학식 (III)의 화합물의 용도이며, 여기서 R1, R4 및 R5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양태는 IRAK4에 의해 매개되는 자가면역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특히 다발성 경화증, 전신 홍반성 루푸스, 건선,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베크테레브병, 류마티스 관절염, 반응성 관절염, 전신 소아 특발성 관절염), 만성-염증성 장 장애 (크론병, 궤양성 결장염), 아토피성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습진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의 용도이다:
메틸 5-{[(5-플루오로-6-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2-(3-히드록시-3-메틸부틸)-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및
메틸 2-(3-히드록시-3-메틸부틸)-5-({[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화학식 (III)의 화합물은 인터류킨-1 수용체 연관 키나제-4 (IRAK4)의 억제제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IRAK4 키나제의 억제제로서 작용하고, 예견할 수 없는 유용한 약리학적 활성 스펙트럼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언급된 대상에 더하여, 본 발명은 또한 인간 및 동물에서의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IRAK4 억제제를 사용한 자가면역 장애, 예컨대 염증성 신경 장애 (MS), 염증성 관절 장애 (다양한 형태의 관절염), 염증성 피부 장애 (건선, 아토피성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습진), 염증성 장 장애 (IBD) 및 다기관 장애 (SLE)의 치료 및/또는 예방이 특히 바람직하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다양한 장애 및 질환-관련 상태, 특히 TLR (TLR3 제외) 및/또는 IL-1 수용체 패밀리에 의해 매개되는 장애 및/또는 병리상태가 IRAK4에 의해 직접적으로 매개되는 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적합하다. IRAK4-연관 장애는 다발성 경화증,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베크테레브병, 반응성 관절염, 전신 소아 특발성 관절염), 통풍, 보그트-코야나기-하라다 증후군, 전신 홍반성 루푸스, 만성-염증성 장 장애 (크론병, 궤양성 결장염), 건선, 아토피성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습진을 포함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또한 MyD88 및 TLR (TLR3 제외)에 의해 매개되는 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다발성 경화증,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반응성 관절염, 전신 소아 특발성 관절염, 베크테레브병, 전신 홍반성 루푸스, 골관절염, 쇼그렌 증후군, 거대 세포 동맥염, 패혈증, 다발근염 및 피부근염, 피부 장애 예컨대 건선, 아토피성 피부염, 원형 탈모증, 알레르기성 습진, 화농성 여드름 및 심상성 여드름, 만성-염증성 장 장애 예컨대 크론병 및 궤양성 결장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작용 메카니즘 때문에, 이들은 TLR-매개 장애 예컨대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반응성 관절염, 전신 소아 특발성 관절염, 베크테레브병, 건선, 아토피성 피부염, 전신 홍반성 루푸스, 베체트병, 통풍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다발성 경화증, 성인-발병 스틸병, 알레르기성 습진 및 만성 염증성 장 장애, 예컨대 궤양성 결장염 및 크론병의 경우에 예방 및/또는 치료에 적합하다.
소양증 및 통증, 특히 급성, 만성, 염증성 및 신경병증성 통풍의 예방 및/또는 치료가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에 의해 제공된다.
더욱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은 IL-1 수용체 패밀리를 통해 매개되는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적합하다. 이들 장애는 CAPS (크리오피린-연관 주기성 증후군) 예컨대 FCAS (가족성 한랭 자가염증성 증후군), MWS (머클-웰스 증후군), NOMID (신생아-발병 다기관 염증성 질환) 및 CONCA (만성 영아, 신경계, 피부, 및 관절) 증후군, FMF (가족성 지중해열), HIDS (과다-IgD 증후군), TRAPS (종양 괴사 인자 수용체 1-연관 주기성 증후군), 소아 특발성 관절염, 성인-발병 스틸병, 통풍, 아다만티아데스-베체트병,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 관절염, 베크테레브병, 반응성 관절염, 전신 소아 특발성 관절염, 골관절염, 건성 각결막염 및 쇼그렌 증후군, 다발성 경화증, 전신 홍반성 루푸스, 원형 탈모증, 제1형 당뇨병, 제2형 당뇨병 및 심근경색의 후유증을 포함한다. 폐 장애 예컨대 천식, COPD, 특발성 간질성 폐렴 및 ARDS, 만성-염증성 장 장애 예컨대 크론병 및 궤양성 결장염은 IL-1 수용체 패밀리의 조절이상과 연관되고,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치료 및/또는 예방 용도에 적합하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또한 IL-1 수용체 패밀리-매개 신경계 장애 예컨대 다발성 경화증 및 피부과 장애 예컨대 건선, 아토피성 피부염, 화농성 여드름, 원형 탈모증 및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통증 장애, 특히 급성, 만성, 염증성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적합하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통각과민, 이질통, 관절염 (예컨대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베크테레브병 및 반응성 관절염, 전신 소아 특발성 관절염)으로부터의 통증, 수술후 통증, 척수 손상에 의해 유발되는 통증, 염증-유발된 통증, 요통 및 만성 통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의 유효량을 사용하는, 장애, 특히 상기 언급된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용어 "치료" 또는 "치료하는"은, 질환, 상태, 장애, 손상 또는 건강 문제, 또는 이러한 상태 및/또는 이러한 상태의 증상의 발생, 경과 또는 진행의 억제, 지연, 확인, 완화, 약화, 제한, 감소, 저해, 기피 또는 치유를 포함한다. 용어 "요법"은 여기서 용어 "치료"와 동의어인 것으로 이해된다.
용어 "방지", "예방" 및 "배제"는 본 발명의 문맥에서 동의어로 사용되고, 질환, 상태, 장애, 손상 또는 건강 문제, 또는 이러한 상태 및/또는 이러한 상태의 증상의 발생 또는 진전에 걸리거나, 이를 경험하거나, 이를 앓거나 또는 이를 가질 위험의 회피 또는 감소를 지칭한다.
IRAK4에 의해 매개되는 자가면역 장애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방지", "예방" 또는 "배제"는 재발(recidivism) (재발(relapse))을 방지하기 위한 장애의 완화 후의 유지 요법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는 새로운 급성 염증성 에피소드가 방지되거나 또는 적어도 지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장애의 완화"는 영구적 회복을 달성하지는 않으나 물리적 또는 정신적 성질의 질환 증상이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중지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재발(recidivism)" 또는 "재발(relapse)"은 일시적으로 성공적이었던 치료 후, 또는 자발적인 완화 후의 질환 또는 그의 증상의 재발생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질환, 상태, 장애, 손상 또는 건강 문제의 치료 또는 예방은 부분적이거나 또는 완전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필요한 경우, 다른 활성 성분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추가로 특히 상기 언급된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중 적어도 1종 및 1종 이상의 추가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의약을 제공한다. 조합에 적합한 활성 성분의 바람직한 예는 하기를 포함한다:
활성 성분 예컨대 항박테리아 물질 (예를 들어 페니실린, 반코마이신, 시프로플록사신, 뮤피로신), 항바이러스 물질 (예를 들어 아시클로비르, 오셀타미비르) 및 항진균 물질 (예를 들어 나프티핀, 니스타틴), 감마 글로불린, 면역조정 및 면역억제 화합물 예컨대 시클로스포린, 메토트렉사트(Methotrexat)®, TNF 차단제 (예를 들어 휴미라(Humira)®, 에타네르셉트, 인플릭시맙, 골리무맙 및 세르톨리주맙 페골), IL-1 억제제 (예를 들어 아나킨라, 카나키누맙, 릴로나셉트),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억제제 (예를 들어 아프레밀라스트), 일반적인 Jak/STAT 억제제 (예를 들어 토파시티닙, 바리시티닙, GLPG0634), 레플루노미드, 핑골리모드, 테리플루노미드, 디메틸 푸마레이트 (예를 들어 텍시데라), IL-6 길항제 (악템라(Actemra), 사릴루맙), IL-2 억제제 (예를 들어 스텔라라(Stelara)), 글라티라머 아세테이트 (예를 들어 코팍손(Copaxone), 글라토파(Glatopa)), 티사브리(Tysabri), 시클로포스파미드, 리툭시맙, 벨리무맙, 칼시뉴린 억제제 (예를 들어 타크롤리무스), 라파마이신,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 인터페론 (예를 들어 베타페론), 코르티코스테로이드/글루코코르티코이드 (예를 들어 프레드니손, 프레드니솔론, 덱사메타손, 메틸프레드니솔론, 히드로코르티손, 베타메타손), 시클로포스파미드, 아자티오프린 및 술파살라진; 파라세타몰, 항히스타민제 (예를 들어 알레르고딜(Allergodil)® 중 아젤라스틴, 아타락스(Atarax)® 중 히드록시진, 타베길(Tabegil)® 중 클레마스틴),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물질 (NSAID) (아스피린,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에토돌락, 셀레콕시브, 콜키신)이 일반적으로 언급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것들에 더하여, 본 발명의 IRAK4 억제제는 또한 하기 활성 성분과 조합될 수 있다:
6-메르캅토퓨린, ACE 억제제 (예를 들어 베나제프릴),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 (예를 들어 도네페질),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예를 들어 로사르탄, 발사르탄), 음이온 교환체 (예를 들어 콜레스티라민, 콜레스티폴, 콜레세벨람), 항생제 예컨대, 예를 들어, 시프로플록사신 및 메트로니다졸, 항-CD3 항체, 항콜린제 (예를 들어 글리코피로늄), 항당뇨병제 예컨대, 예를 들어, 메트포르민, 항설사 약물 예컨대, 예를 들어, 로페라미드 또는 완하제 (비사코딜), 항경련성 약물 (예를 들어 가바펜틴); 항-T-림프구 글로불린/항림프구 글로불린, 아프레밀라스트, 아자티오프린, 바실릭시맙, 벨리무맙, 베타-2 교감신경흥분제 (예를 들어 살부타몰), 베타-차단제 (예를 들어 메토프롤롤), 베타-인터페론 (IFN-베타) (예를 들어 IFN 베타-1b, IFN 베타-1a 아보넥스(Avonex)® 및 베타페론(Betaferon)®), B 세포 및 T 세포 요법을 위한 생물제제 (예를 들어 리툭시맙, 아바타셉트), 칼시뉴린 억제제 (예를 들어 타크롤리무스), 칼슘 채널 차단제 (예를 들어 니페디핀), 클로로퀸, 코르티손, 시클로포스파미드, 시클로스포린, 다클리주맙, 디트라놀, 이뇨제 (예를 들어 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 DPP-4 (디펩티딜 펩티다제 4) 억제제 (예를 들어 리나글립틴, 삭사글립틴, 시타글립틴, 빌다글립틴), 에제티밉, 스타틴 (예를 들어 심바스타틴, 플루바스타틴), 피브레이트 (예를 들어 베자피브레이트, 에토피브레이트, 페노피브레이트, 겜피브로질), 핑골리모드, 푸마레이트 (디메틸 푸마레이트), 글라티라머 아세테이트, 글리니드 (예를 들어 나테글리니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우레아, 히드록시클로로퀸, IgE 항체, 이뮤노글로불린, 면역억제 약물 예컨대 미톡산트론, 아자티오프린 및 시클로포스파미드, 인크레틴 모방체 (호르몬 글루코스-의존성 인슐린분비자극 펩티드 (GIP)- 및 글루카곤-유사 펩티드 1 (GLP-1)-유사체/효능제) (예를 들어 엑세나티드, 리라글루티드, 릭시세나티드), 인슐린 감작제 (예를 들어 피오글리타존) 및 인슐린 요법 (예를 들어 NPH 인슐린, 인슐린 리스프로), 인터페론, 인테그린 항체 (예를 들어 베돌리주맙, 나탈리주맙), Jak/STAT 억제제 (예를 들어 토파시티닙, 바리시티닙, GLPG0634), 코티솔-함유 제제, 류코트리엔 수용체 길항제 (예를 들어 몬테루카스트), 레플루노미드, MAO (모노아미노옥시다제) 억제제 (예를 들어 셀레길린), 메살라진, 메토트렉세이트, 메틸크산틴 (예를 들어 테오필린), 나탈리주맙, 니코틴산 유도체 (예를 들어 니코틴산/라로피프란트), PDE-4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제4형) 억제제 (예를 들어 로플루밀라스트), 광선요법, 프로바이오틱스 박테리아 (무타플로르, VSL#3®, 락토바실루스 GG, 락토바실루스 플란타룸, 엘. 아시도필루스, 엘. 카세이,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 35624, 엔테로코쿠스 페시움 SF68, 비피도박테리움 롱굼, 에스케리키아 콜라이 니슬 1917), 라파마이신, 레티노이드, 리툭시맙, 살리실산, 세쿠키누맙, SGLT2 (나트륨/글루코스 공동수송체 2) 억제제/글리플로진 (예를 들어 다파글리플로진, 엠파글리플로진), 스타틴 (예를 들어 심바스타틴, 플루바스타틴), 술파살라진, 술포닐 우레아 (예를 들어 글리벤클라미드, 톨부타미드), 테리플루노미드, 토실리주맙, 국소 스테로이드, 우스테키누맙, 베돌리주맙, 비타민 D3 유사체 예컨대, 예를 들어, 칼시포트리올, 타칼시톨 또는 칼시트리올; 세포 분열 억제제 (예를 들어 아자티오프린,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 미코페놀산, 에베롤리무스 또는 시롤리무스) 및 α-글루코시다제 억제제 (예를 들어 아카르보스, 미글리톨, 보글리보스).
또한 상기 언급된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중 적어도 1종 및 1종 이상의 추가의 활성 성분, 특히 EP4 억제제 (프로스타글란딘 E2 수용체 4 억제제), P2X3 억제제 (P2X 퓨린수용체 3), PTGES 억제제 (프로스타글란딘 E 신타제 억제제), P2X4 억제제 (P2X 퓨린수용체 4), MKNK1/2 억제제 (MAP 키나제-상호작용 세린/트레오닌-단백질 키나제 1/2) 또는 AKR1C3 억제제 (알도-케토 리덕타제 패밀리 1 구성원 C3 억제제)를 포함하는 의약이 언급되어야 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전신 및/또는 국부로 작용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이들은 적합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경구, 비경구, 피하, 관절내, 폐, 비강, 설하, 설측, 협측, 직장, 피부, 경피 또는 결막 경로에 의해, 귀를 통해 또는 이식물 또는 스텐트로서 투여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이들 투여 경로에 적합한 투여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투여 형태는, 선행 기술에 따라 작용하고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신속하게 및/또는 변형된 방식으로 방출하고 결정질 및/또는 무정형 및/또는 용해된 형태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들, 예를 들어 정제 (비코팅 또는 코팅된 정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의 방출을 제어하는 위액-내성 또는 지연-용해 또는 불용성 코팅을 사용함), 구강 내에서 신속하게 붕해되는 정제 또는 필름/오블레이트, 필름/동결건조물, 캡슐 (예를 들어 경질 또는 연질 젤라틴 캡슐), 당-코팅된 정제, 과립, 펠릿, 분말, 에멀젼, 현탁액, 에어로졸 또는 용액이다.
비경구 투여는 흡수 단계를 회피하면서 (예를 들어 정맥내, 동맥내, 관절내, 심장내, 척수내 또는 요추내 경로에 의함) 또는 흡수를 포함하면서 (예를 들어 근육내, 피하, 피내, 경피 또는 복강내 경로에 의함) 달성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투여 형태는 용액, 현탁액, 에멀젼, 동결건조물 또는 멸균 분말 형태의 주사 및 주입을 위한 제제를 포함한다.
다른 투여 경로를 위해, 적합한 예는 흡입가능한 의약 형태 (분말 흡입기, 네뷸라이저 포함), 점비제, 용액 또는 스프레이, 설측, 설하 또는 협측 투여를 위한 정제, 필름/오블레이트 또는 캡슐, 좌제, 귀 또는 눈 제제, 수성 현탁액 (로션, 진탕 혼합물), 친지성 현탁액, 연고, 크림, 경피 치료 시스템 (예를 들어 패치), 유액, 페이스트, 폼, 살포 분말, 이식물 또는 스텐트이다.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특히 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언급된 투여 형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는 불활성, 비독성, 제약상 적합한 부형제와 혼합함으로써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들 부형제는 담체 (예를 들어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락토스, 만니톨), 용매 (예를 들어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화제 및 분산제 또는 습윤제 (예를 들어 소듐 도데실술페이트, 폴리옥시소르비탄 올레에이트), 결합제 (예를 들어 폴리비닐피롤리돈), 합성 및 천연 중합체 (예를 들어 알부민), 안정화제 (예를 들어 항산화제, 예를 들어 아스코르브산), 착색제 (예를 들어 무기 안료, 예를 들어 산화철) 및 향미제 및/또는 냄새 교정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적어도 1종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전형적으로 1종 이상의 불활성, 비독성, 제약상 적합한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의약, 및 상기 언급된 목적을 위한 그의 용도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비경구 투여의 경우에 체중 기준 약 0.001 내지 1 mg/kg,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0.5 mg/kg의 양을 투여하는 것이 효과적인 결과를 달성하는 데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경구 투여의 경우에 투여량은 체중 기준 약 0.01 내지 100 mg/kg,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20 mg/kg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mg/kg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경우에, 구체적으로 체중, 투여 경로, 활성 성분에 대한 개별 반응, 제제의 성질 및 투여가 일어나는 시간 또는 간격의 함수로서, 언급된 양에서 벗어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경우에는 상기 언급된 최소량 미만으로 관리하는 것이 충분할 수 있는 반면에, 다른 경우에는 언급된 상한치를 초과하여야 한다. 보다 많은 양을 투여하는 경우에, 이들을 하루에 걸쳐 여러 개별 용량으로 분할하는 것이 권장될 수 있다.
하기 작업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한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하기 시험 및 실시예에서의 백분율은 중량 백분율이고; 부는 중량부이다. 액체/액체 용액에 대한 용매 비, 희석 비 및 농도 데이터는 각 경우에 부피를 기준으로 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
본 출원에 기재된 화합물, 및 그의 제조는 아직 미공개된 출원 PCT/EP2015/077596에 제시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는 하기 합성 반응식에 의해 예시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합성에 사용된 출발 물질은 카르복실산 (중간체 V3)이며, 이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거나 또는 문헌으로부터 공지된 경로에 의해 또는 문헌으로부터 공지된 경로와 유사하게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 [European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2003, 8, 1559 - 1568, Chem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1990, 38, 9, 2446 - 2458, Synthetic Communications 2012, 42, 658 - 666, Tetrahedron, 2004, 60, 51, 11869 - 11874] 참조) (예를 들어, 합성 반응식 1 참조). 일부 카르복실산 V3은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중간체 V2)로부터 진행하여 가수분해 (예를 들어, 에틸 6-(히드록시메틸)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와 메탄올 중 수성 수산화나트륨 용액의 반응, WO200411328 참조)에 의해 또는 - tert-부틸 에스테르의 경우에 - 산, 예를 들어 염화수소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의 반응 (예를 들어, 문헌 [Dalton Transactions, 2014, 43, 19, 7176 - 7190] 참조)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카르복실산 V3은 또한 그의 알칼리 금속 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중간체 V2는 치환기 X1로서 염소, 브로민 또는 아이오딘을 보유하는 중합체 V1로부터, 일산화탄소 분위기 중에서, 임의로 승압 하에, 포스핀 리간드, 예를 들어 1,3-비스(디페닐포스피노)프로판, 팔라듐 화합물, 예를 들어 아세트산팔라듐 (II), 및 염기,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의 존재 하에, 용매, 예를 들어 디메틸 술폭시드 중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첨가하여 반응시켜 임의로 또한 제조될 수 있다 (제조 방법에 대해, 예를 들어, WO2012112743, WO 2005082866, 문헌 [Chemical Communications (Cambridge, England), 2003, 15, 1948 - 1949], WO200661715 참조). 중간체 V1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거나 또는 문헌으로부터 공지된 경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제조 방법은 WO 2012061926, 문헌 [European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2002, 2, 327 - 330, Synthesis, 2004, 10, 1619 - 1624,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3, 135, 32, 12122 - 12134, Bioorganic and Medicinal Chemistry Letters, 2014, 24, 16, 4039 - 4043], US2007185058, WO2009117421에 상술되어 있다.
Figure pct00004
합성 반응식 1
X1은 염소, 브로민 또는 아이오딘이다.
Rd는 메틸, 에틸, 벤질 또는 tert-부틸이다.
R4, R5는 각각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다.
메틸 5-아미노-1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2)는 메틸 1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0)로부터 진행하여 합성 반응식 2에 따라 WO 2008/001883과 유사하게 니트로화 및 목탄 상 팔라듐의 존재 하에 수소에 의한 중간체 1의 니트로 기의 환원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중간체 2로부터 진행되는 중간체 3의 제조의 경우, 문헌 (Amino Acids, Peptides and Proteins in Organic Chemistry, Vol.3 - Building Blocks, Catalysis and Coupling Chemistry, Andrew B. Hughes, Wiley, Chapter 12 - Peptide-Coupling Reagents, 407-442; Chem. Soc. Rev., 2009, 38, 606)으로부터 공지된 다양한 커플링 시약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커플링제로서의 1-히드록시-1H-벤조트리아졸 수화물 (HOBt, WO2012107475; Bioorg. Med. Chem. Lett., 2008, 18, 2093), (1H-벤조트리아졸-1-일옥시)(디메틸아미노)-N,N-디메틸메탄이미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TBTU, CAS 125700-67-6), (디메틸아미노)-N,N-디메틸(3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딘-3-일옥시)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ATU, CAS 148893-10-1), 프로판포스폰산 무수물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DMF 중의 용액으로서, CAS68957-94-8) 또는 디-1H-이미다졸-1-일메타논 (CDI)과 조합하고, 각 경우에 염기 예컨대 트리에틸아민 또는 N-에틸-N-이소프로필프로판-2-아민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THF 중 TBTU 및 N-에틸-N-이소프로필프로판-2-아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5
합성 반응식 2
치환기 R4, R5는 각각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다.
중간체 3으로부터 진행하여, 2-치환된 인다졸 유도체 (중간체 4)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합성 반응식 3 참조). 이 목적을 위한 유용한 반응은 임의로 치환된 알킬 클로라이드, 알킬 브로마이드, 알킬 아이오다이드 또는 알킬 4-메틸벤젠술포네이트와의 반응을 포함한다. 사용된 알킬 할라이드 또는 알킬 4-메틸벤젠술포네이트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거나 또는 문헌으로부터 공지된 경로와 유사하게 제조될 수 있다 (알킬 4-메틸벤젠술포네이트의 제조의 경우, 한 예는 트리에틸아민 또는 피리딘의 존재 하에 적절한 알콜과 4-메틸벤젠술포닐 클로라이드의 반응이다; 예를 들어, 문헌 [Bioorganic and Medicinal Chemistry, 2006, 14, 12 4277 - 4294] 참조). 임의로, 알킬 클로라이드 또는 알킬 브로마이드의 사용의 경우에, 알칼리 금속 아이오딘화물 예컨대 아이오딘화칼륨 또는 아이오딘화나트륨을 첨가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사용된 염기는, 예를 들어, 탄산칼륨, 탄산세슘 또는 수소화나트륨일 수 있다. 반응성 알킬 할라이드의 경우에, 일부 경우에 N-시클로헥실-N-메틸시클로헥산아민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유용한 용매는, 예를 들어, 1-메틸피롤리딘-2-온, DMF, DMSO 또는 THF를 포함한다. 임의로, 사용된 알킬 할라이드 또는 알킬 4-메틸벤젠술포네이트는 미리 보호기로 임의로 보호된 관능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문헌 [P. G. M. Wuts, T. W. Greene, Greene'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Fourth Edition, ISBN: 9780471697541] 참조). 예를 들어, 1개 이상의 히드록실 기를 갖는 알킬 할라이드 또는 알킬 4-메틸벤젠술포네이트가 사용되는 경우, 이들 히드록실 기는 tert-부틸(디메틸)실릴 기 또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익숙한 유사한 규소-함유 보호기에 의해 임의로 보호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히드록실 기는 또한 테트라히드로-2H-피란 (THP) 기에 의해 또는 아세틸 또는 벤조일 기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된 보호기는 중간체 4의 합성에 후속적으로, 또는 그 밖에 (I)의 합성 후에 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ert-부틸(디메틸실릴) 기가 보호기로서 사용되는 경우, 이는 예를 들어, 용매 예컨대 THF 중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를 사용하여 탈착될 수 있다. THP 보호기는, 예를 들어, 4-메틸벤젠술폰산 (임의로 1수화물 형태)을 사용하여 탈착될 수 있다. 아세틸 기 또는 벤조일 기는 수성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처리함으로써 탈착될 수 있다.
임의로, 사용된 알킬 할라이드 또는 알킬 4-메틸벤젠술포네이트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산화 또는 환원 반응에 의해 전환될 수 있는 관능기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 [Science of Synthesis, Georg Thieme Verlag] 참조). 예를 들어, 관능기가 술피드 기인 경우, 이는 문헌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술폭시드 또는 술폰 기로 산화될 수 있다. 술폭시드 기의 경우에, 이는 마찬가지로 술폰 기로 산화될 수 있다. 이들 산화 단계의 경우, 예를 들어, 3-클로로퍼벤조산 (CAS 937-14-4)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관해, 또한, 예를 들어, 2-(메틸술파닐)에틸-1H-피라졸 유도체의 2-(메틸술피닐)에틸-1H-피라졸 유도체로의 산화 및 추가의 2-(메틸술파닐)에틸-1H-피라졸 유도체의 2-(메틸술포닐)에틸-1H-피라졸 유도체로의 산화에 대해 US201094000 참조). 사용된 알킬 할라이드 또는 토실레이트가 케토 기를 함유하는 경우, 이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환원 방법에 의해 알콜 기로 환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소화붕소나트륨의 사용에 대해 문헌 [Chemische Berichte, 1980, 113, 1907 - 1920] 참조). 이들 산화 또는 환원 단계는 중간체 4의 합성에 후속적으로, 또는 그 밖에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합성 후에 실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중간체 4는 중간체 3과 임의로 치환된 알킬 알콜의 미츠노부(Mitsunobu) 반응 (예를 들어, 문헌 [K. C. K. Swamy et al. Chem. Rev. 2009, 109, 2551 - 2651] 참조)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다양한 포스핀 예컨대 트리페닐포스핀, 트리부틸포스핀 또는 1,2-디페닐포스피노에탄을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CAS 2446-83-5) 또는 문헌 (K. C. K. Swamy et al. Chem. Rev. 2009, 109, 2551 - 2651)에 언급된 추가의 디아젠 유도체와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트리페닐포스핀 및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 알콜이 관능기를 보유하는 경우 - 상기 언급된 알킬 할라이드와의 반응의 경우에서와 같이 - 알려져 있는 보호기 전략의 경우 (추가의 지침은 문헌 [P. G. M. Wuts, T. W. Greene, Greene'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Fourth Edition, ISBN: 9780471697541]에서 찾아볼 수 있음) 및 - 상기 언급된 알킬 할라이드와의 반응의 경우에서와 같이 - 산화 또는 환원 단계의 경우 중간체 4의 합성에 상응하게, 또는 그 밖에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합성 후에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중간체 4로부터 진행하여, R2 및 R3이 C1-C6-알킬로서 정의되는 (여기서 R2 및 R3은 동일한 정의를 가짐)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그리냐르 반응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P 2489663에서의 메틸 1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유도체와 메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의 반응 참조). 그리냐르 반응의 경우, 알킬마그네슘 할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THF 또는 디에틸 에테르 중, 또는 그 밖에 THF 및 디에틸 에테르의 혼합물 중 메틸마그네슘 클로라이드 또는 메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가 특히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중간체 4로부터 진행하여, R2 및 R3이 C1-C6-알킬로서 정의되는 (여기서 R2 및 R3은 동일한 정의를 가짐)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알킬리튬 시약과의 반응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O2006116412에서의 메틸 2-아미노-4-클로로-1-메틸-1H-벤즈이미다졸-7-카르복실레이트 유도체와 이소프로필리튬 또는 tert-부틸리튬의 반응 참조). 중간체 4로부터 진행하여, THF 중 수소화알루미늄리튬, THF 중 수소화붕소리튬 또는 THF 중 수소화붕소나트륨 (임의로 메탄올 첨가), 또는 수소화붕소리튬 및 수소화붕소나트륨의 혼합물로의 환원에 의해, R2 및 R3이 H로서 정의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Figure pct00006
합성 반응식 3
치환기 R1, R2, R3, R4, R5는 각각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다.
중간체 3으로부터 진행하여, R2 및 R3이 C1-C6-알킬로서 정의되는 (여기서 R2 및 R3은 동일한 정의를 가짐) 중간체 5는 그리냐르 반응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성 반응식 4 참조). 이 목적을 위해, THF 중 또는 디에틸 에테르 중 또는 그 밖에 THF 및 디에틸 에테르의 혼합물 중 적합한 알킬마그네슘 할라이드, 예를 들어 메틸마그네슘 클로라이드 또는 메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중간체 5로부터 진행하여, R2 및 R3이 C1-C6-알킬로서 정의되는 (여기서 R2 및 R3은 동일한 정의를 가짐)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부분 (I-a)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목적을 위해, 합성 반응식 3 (중간체 3의 제조)과 유사하게, 유용한 반응은 중간체 5와 임의로 치환된 알킬 클로라이드, 알킬 브로마이드, 알킬 아이오다이드 또는 알킬 4-메틸벤젠술포네이트의 반응이다. 합성 반응식 3에 기재된 것과 유사하게 보호기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R2 및 R3이 C1-C6-알킬로서 정의되는 (여기서 R2 및 R3은 동일한 정의를 가짐)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부분 (I-a)의 제조를 위해, (합성 반응식 3과 유사하게) 중간체 5와 임의로 치환된 알킬 알콜의 미츠노부 반응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학식 (I-a)의 화합물에서 R1이 적합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경우, 임의로 후속적으로, 합성 반응식 3과 유사하게, 추가의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를 위한 산화 또는 환원 반응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Figure pct00007
합성 반응식 4
치환기 R1, R4, R5는 각각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다. R2 및 R3은 항상 동일한 정의를 갖고 둘 다 C1-C6-알킬이다.
중간체 1로부터 진행하여, 대안적 방식으로 중간체 4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합성 반응식 5 참조). 가장 먼저, 중간체 1은 합성 반응식 3 (중간체 3으로부터 중간체 4의 제조)에서와 같은 방법에 의해 중간체 6으로 전환된다.
이어서 중간체 6은 니트로 기의 환원에 의해 중간체 7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트로 기는 수소 분위기 하에 탄소 상 팔라듐에 의해 (예를 들어, 6-이소프로폭시-5-니트로-1H-인다졸의 6-이소프로폭시-1H-인다졸-5-아민으로의 환원에 대해 WO2013174744 참조) 또는 물 및 에탄올 중 철 및 염화암모늄의 사용에 의해 (예를 들어, 또한 문헌 [Journal of the Chemical Society, 1955, 2412-2419] 참조), 또는 염화주석 (II) (CAS 7772-99-8)의 사용에 의해 환원될 수 있다. 물 및 에탄올 중 철 및 염화암모늄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중간체 7로부터 중간체 4의 제조는 합성 반응식 2 (중간체 2로부터 중간체 3의 제조)와 유사하게 실시될 수 있다.
합성 반응식 3에 대해 기재된 바와 같이, 임의로 합성 반응식 5의 경우에도 보호기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임의로, 합성 반응식 3에 대해 기재된 바와 같이, 중간체 6 또는 중간체 7로부터 진행하여,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산화 또는 환원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추가적으로 가능하다 (예를 들어, 문헌 [Science of Synthesis, Georg Thieme Verlag] 참조).
Figure pct00008
합성 반응식 5
치환기 R1, R4, R5는 각각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다.
실시예 화합물의 합성
약어 및 규명
Figure pct00009
용어 염화나트륨 용액은 항상 포화 수성 염화나트륨 용액을 의미한다.
중간체 및 실시예의 화학 명칭은 ACD / LABS (배치 버전 12.01.)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생성되었다.
방법
일부 경우에,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전구체 및/또는 중간체를 LC-MS에 의해 분석하였다.
방법 A1: UPLC (MeCN-HCOOH):
기기: 워터스 액퀴티(Waters Acquity) UPLC-MS SQD 3001; 칼럼: 액퀴티 UPLC BEH C18 1.7 50 x 2.1 mm; 용리액 A: 물 + 0.1 부피%의 포름산 (99%), 용리액 B: 아세토니트릴; 구배: 0-1.6분 1-99% B, 1.6-2.0분 99% B; 유량 0.8 ml/분; 온도: 60℃; 주입: 2 μl; DAD 스캔: 210-400 nm; MS ESI+, ESI-, 스캔 범위 160-1000 m/z; ELSD.
방법 A2: UPLC (MeCN-NH3):
기기: 워터스 액퀴티 UPLC-MS SQD 3001; 칼럼: 액퀴티 UPLC BEH C18 1.7 50 x 2.1 mm; 용리액 A: 물 + 0.2 부피%의 암모니아 (32%), 용리액 B: 아세토니트릴; 구배: 0-1.6분 1-99% B, 1.6-2.0분 99% B; 유량 0.8 ml/분; 온도: 60℃; 주입: 2 μl; DAD 스캔: 210-400 nm; MS ESI+, ESI-, 스캔 범위 160-1000 m/z; ELSD.
방법 A3: (LC-MS)
기기: 애질런트(Agilent) 1290 인피니티(Infinity) LC; 칼럼: 액퀴티 UPLC BEH C18 1.7 50 x 2.1 mm; 용리액 A: 물 + 0.05 부피%의 포름산, 용리액 B: 아세토니트릴 + 0.05 부피%의 포름산; 구배: 0-1.7분 2-90% B, 1.7-2.0분 90% B; 유량 1.2 ml/분; 온도: 60℃; 주입: 2 μl; DAD 스캔: 190-390 nm; MS: 애질런트 TOF 6230.
방법 A4: (LC-MS)
기기: 워터스 액퀴티; 칼럼: 키네텍스(Kinetex) (페노메넥스(Phenomenex)), 50 x 2 mm; 용리액 A: 물 + 0.05 부피%의 포름산, 용리액 B: 아세토니트릴 + 0.05 부피%의 포름산; 구배: 0-1.9분 1-99% B, 1.9-2.1분 99% B; 유량 1.5 ml/분; 온도: 60℃; 주입: 0.5 μl; DAD 스캔: 200-400 nm.
일부 경우에,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전구체 및/또는 중간체를 하기 예시된 정제용 HPLC 방법에 의해 정제하였다:
방법 P1: 시스템: 워터스 자동정제 시스템: 펌프 2545, 샘플 매니저 2767, CFO, DAD 2996, ELSD 2424, SQD; 칼럼: 엑스브리지(XBridge) C18 5 μm 100 x 30 mm; 용리액 A: 물 + 0.1 부피%의 포름산, 용리액 B: 아세토니트릴; 구배: 0-8분 10-100% B, 8-10분 100% B; 유량: 50 ml/분; 온도: 실온; 용액: 최대 250 mg / 최대 2.5 ml DMSO 또는 DMF; 주입: 1 x 2.5 ml; 검출: DAD 스캔 범위 210-400 nm; MS ESI+, ESI-, 스캔 범위 160-1000 m/z.
방법 P2: 시스템: 워터스 자동정제 시스템: 펌프 254, 샘플 매니저 2767, CFO, DAD 2996, ELSD 2424, SQD 3100; 칼럼: 엑스브리지 C18 5 μm 10 x 30 mm; 용리액 A: 물 + 0.2 부피%의 암모니아 (32%), 용리액 B: 메탄올; 구배: 0-8분 30-70% B; 유량: 50 ml/분; 온도: 실온; 검출: DAD 스캔 범위 210-400 nm; MS ESI+, ESI-, 스캔 범위 160-1000 m/z; ELSD.
방법 P3: 시스템: 래보마틱(Labomatic), 펌프: HD-5000, 분획 수집기: 래보콜 배리오(LABOCOL Vario)-4000, UV 검출기: 크나우어(Knauer) UVD 2.1S; 칼럼: 엑스브리지 C18 5 μm 100x30 mm; 용리액 A: 물 + 0.2 부피%의 암모니아 (25%), 용리액 B: 아세토니트릴; 구배: 0-1분 15% B, 1-6.3분 15-55% B, 6.3-6.4분 55-100% B, 6.4-7.4분 100% B; 유량: 60 ml/분; 온도: 실온; 용액: 최대 250 mg / 2 ml DMSO; 주입: 2 x 2 ml; 검출: UV 218 nm; 소프트웨어: SCPA PrepCon5.
방법 P4: 시스템: 래보마틱, 펌프: HD-5000, 분획 수집기: 래보콜 배리오-4000, UV 검출기: 크나우어 UVD 2.1S; 칼럼: 크로마토렉스(Chromatorex) RP C18 10 μm 125 x 30 mm; 용리액 A: 물 + 0.1 부피%의 포름산, 용리액 B: 아세토니트릴; 구배: 0-15분 65 - 100% B; 유량: 60 ml/분; 온도: 실온; 용액: 최대 250 mg / 2 ml DMSO; 주입: 2 x 2 ml; 검출: UV 254 nm; 소프트웨어: SCPA PrepCon5.
방법 P5: 시스템: 세피아텍(Sepiatec): 정제용 SFC100, 칼럼: 키랄팩(Chiralpak) IA 5 μm 250x20 mm; 용리액 A: 이산화탄소, 용리액 B: 에탄올; 구배: 등용매 20% B; 유량: 80 ml/분; 온도: 40℃; 용액: 최대 250 mg / 2 ml DMSO; 주입: 5 x 0.4 mL; 검출: UV 254 nm.
방법 P6: 시스템: 애질런트: 정제용 1200, 2 x 정제용 펌프, DLA, MWD, 길슨(Gilson): 액체 핸들러 215; 칼럼: 키랄셀(Chiralcel) OJ-H 5 μm 250 x 20 mm; 용리액 A: 헥산, 용리액 B: 에탄올; 구배: 등용매 30% B; 유량: 25 ml/분; 온도: 25℃; 용액: 187 mg / 8 ml 에탄올/메탄올; 주입: 8 x 1.0 ml; 검출: UV 280 nm.
방법 P7: 시스템: 래보마틱, 펌프: HD-5000, 분획 수집기: 래보콜 배리오-4000, UV 검출기: 크나우어 UVD 2.1S; 칼럼: 엑스브리지 C18 5 μm 100 x 30 mm; 용리액 A: 물 + 0.1 부피%의 포름산, 용리액 B: 아세토니트릴; 구배: 0-3분: 65% B 등용매, 3-13분: 65-100% B; 유량: 60 ml/분; 온도: 실온; 용액: 최대 250 mg / 2 ml DMSO; 주입: 2 x 2 ml; 검출: UV 254 nm.
방법 P8: 시스템: 애질런트: 정제용 1200, 2 x 정제용 펌프, DLA, MWD, 길슨: 액체 핸들러 215; 칼럼: 키랄팩 IF 5 μm 250 x 20 mm; 용리액 A: 에탄올, 용리액 B: 메탄올; 구배: 등용매 50% B; 유량: 25 ml/분; 온도: 25℃; 용액: 600 mg / 7 ml N,N-디메틸포름아미드; 주입: 10 x 0.7 ml; 검출: UV 254 nm.
일부 경우에, 물질 혼합물을 실리카 겔 상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일부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전구체 및/또는 중간체의 제조를 위해,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를 바이오타지(Biotage)로부터의 이솔레라(Isolera)® 장치를 사용하여 실리카 겔 상에서 수행하였다. 이는 바이오타지로부터의 카트리지, 예를 들어 상이한 크기의 "SNAP 카트리지, KP_SIL" 카트리지 및 상이한 크기의 인터킴(Interchim)으로부터의 "인터킴 퓨리플래시 실리카(Interchim Puriflash Silica) HP 15UM 플래시 칼럼"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행하였다.
출발 물질
중간체 V2-1
메틸 6-(2-히드록시프로판-2-일)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10
2.00 g (9.26 mmol)의 2-(6-브로모피리딘-2-일)프로판-2-올 (CAS 638218-78-7)을 20 ml의 메탄올 및 20 ml의 DMSO 중에 용해시켰다. 후속적으로, 250 mg의 1,3-비스(디페닐포스피노)프로판, 130 mg의 아세트산팔라듐 (II) 및 3 ml의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일산화탄소로 3회 퍼징하고, 13 bar 일산화탄소 분위기 하에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일산화탄소 분위기를 진공을 적용함으로써 제거하고, 혼합물을 14 bar 일산화탄소 분위기 하에 10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오토클레이브를 감압시키고, 물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고, 포화 수성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및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소수성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이로써 1.60 g의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1): Rt = 0.76분 (UV 검출기: TIC), 질량 실측치 195.00.
중간체 V3-1
포타슘 6-(2-히드록시프로판-2-일)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11
중간체 0-1의 조 생성물 1.60 g을 처음에 15 ml의 메탄올 중에 충전하고, 0.74 g의 수산화칼륨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50℃에서 16.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농축 후에, 이로써 2.1 g의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UPLC-MS (방법 A1): Rt = 0.47분 (UV 검출기: TIC), 질량 실측치 181.00.
중간체 1-1
메틸 5-니트로-1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12
4.60 g (26.1 mmol)의 메틸 1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CAS 번호: 170487-40-8)를 120 ml의 황산 (96%) 중에 용해시키고, CPG 교반기, 적하 깔때기 및 내부 온도계를 갖춘 3구 플라스크에서 -15℃로 냉각시켰다. 15분의 기간에 걸쳐, 미리 제조하고 냉각시킨 니트로화 산 (5 ml의 65% 질산 중 10 ml의 96% 황산)을 이 용액에 적가하였다. 적가가 완료된 후, 혼합물을 추가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3℃의 내부 온도). 반응 혼합물을 얼음에 첨가하고, 침전물을 흡인으로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 캐비닛에서 50℃에서 감압 하에 건조시켰다. 5.49 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2): Rt = 0.75분
MS (ESIpos): m/z = 222(M+H)+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 3.87 (s, 3 H), 7.96 (s, 1 H), 8.44 (s, 1 H), 8.70 (s, 1 H), 13.98 (br. s., 1 H).
중간체 2-1
메틸 5-아미노-1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13
4.40 g (19.8 mmol)의 메틸 5-니트로-1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1-1)를 236 ml의 메탄올 중에 용해시키고, 1.06 g (0.99 mmol)의 활성탄 상 팔라듐으로 표준 수소 압력 하에 25℃에서 3시간 동안 수소화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필터를 메탄올로 세척하고, 여과물을 농축시켰다. 3.53 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ppm] = 3.85 (s, 3 H) 6.01 (s, 2 H) 6.98 (s, 1 H) 7.79 - 7.91 (m, 1 H) 7.99 (s, 1 H) 12.84 (br. s., 1 H).
중간체 3-1
메틸 5-({[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1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14
4.95 g (25.9 mmol)의 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을 처음에 45 ml의 THF 중에 충전하였다. 9.07 g (28.2 mmol)의 O-(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및 4.92 ml (28.2 mmol)의 N-에틸-N-이소프로필프로판-2-아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5℃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후속적으로, 4.50 g (23.5 mmol)의 메틸 5-아미노-1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2-1)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25℃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막 필터를 통해 흡인으로 여과하고, 고체를 THF 및 물로 세척하고, 건조 캐비닛에서 밤새 건조시켰다. 7.60 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2): Rt = 1.16분
MS (ESIpos): m/z = 365 (M+H)+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 3.97 (s, 3 H), 8.13 - 8.27 (m, 2 H), 8.30 (s, 1 H), 8.33 - 8.45 (m, 1 H), 8.45 - 8.51 (m, 1 H), 9.15 (s, 1 H), 12.57 (s, 1 H), 13.44 (s, 1 H).
중간체 3-2
메틸 5-({[6-(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1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15
2.85 g (23.5 mmol)의 6-(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을 처음에 30 ml의 THF 중에 충전하였다. 6.05 g (18.8 mmol)의 O-(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및 3.3 ml의 N-에틸-N-이소프로필프로판-2-아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후속적으로, 3.00 g (15.7 mmol)의 메틸 5-아미노-1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과 혼합하고, 침전물을 흡인으로 여과하고, 물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반복해서 세척하였다. 이로써 1.53 g (이론치의 27%)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여과물의 상을 분리하고, 유기 상을 농축시키고, 약간의 디클로로메탄과 혼합하고, 초음파 조에서 현탁시키고, 침전물을 흡인으로 여과하였다. 이로써 추가의 1.03 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제1 생성물 분획, 300MHz, DMSO-d6): δ [ppm]= 3.99 (s, 3H), 7.09 (t, 1H), 8.00 (d, 1H), 8.21 - 8.40 (m, 4H), 9.14 (s, 1H), 12.53 (s, 1H), 13.44 (s, 1H).
중간체 3-3
메틸 5-({[6-(2-히드록시프로판-2-일)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1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16
2.10 g의 포타슘 6-(2-히드록시프로판-2-일)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V3-1)를 처음에 15 ml의 THF 중에 충전하였다. 3.69 g (11.5 mmol)의 O-(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및 2.00 ml의 N-에틸-N-이소프로필프로판-2-아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후속적으로, 1.83 g (9.58 mmol)의 메틸 5-아미노-1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2-1)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9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 및 에틸 아세테이트와 혼합하고, 미용해 고체를 여과하고, 여과물의 상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고,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소수성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 겔 상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1.56 g의 표제 화합물을 황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1): Rt = 1.00분 (UV 검출기: TIC 스무스(Smooth)), 질량 실측치 354.00.
1H NMR (500MHz, DMSO-d6): δ [ppm] = 1.63 (s, 6H), 3.97 (s, 3H), 5.37(s ,1H), 7.90 - 7.95 (m, 1H), 8.03-8.07 (m, 2H), 8.23(s, 1H),8.29 (s, 1H), 9.19 (s, 1H), 12.79 (s, 1H), 13.41 (br.s., 1H).
중간체 4-1
메틸 2-(옥세탄-3-일메틸)-5-({[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17
1.00 g (2.66 mmol)의 메틸 5-({[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1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3-1)를 10 ml의 DMF 중에 용해시키고, 1.10 g (7.99 mmol)의 탄산칼륨 및 221 mg (1.33 mmol)의 아이오딘화칼륨의 첨가 후, 혼합물을 25℃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603 mg (3.99 mmol)의 3-브로모메틸옥세탄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5℃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과 에틸 아세테이트 사이에 분배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고, 합한 유기 상을 소수성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였다. 260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2): Rt = 1.24분
MS (ESIpos): m/z = 435(M+H)+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 3.49 - 3.64 (m, 1 H), 3.95 (s, 3 H), 4.49 (t, 2 H), 4.68 (dd, 2 H), 4.81 (d, 2 H), 8.20 (dd, 1 H), 8.35 - 8.41 (m, 1 H), 8.43 - 8.49 (m, 2 H), 8.55 - 8.58 (m, 1 H), 9.06 (s, 1 H), 12.53 (s, 1 H).
중간체 4-2
메틸 2-(2-메톡시에틸)-5-({[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18
1.00 g (2.75 mmol)의 메틸 5-({[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1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3-1)를 5 ml의 DMF 중에 용해시키고, 387 μl (4.12 mmol)의 2-브로모에틸 메틸 에테르, 1.14 g (8.23 mmol)의 탄산칼륨 및 228 mg (1.37 mmol)의 아이오딘화칼륨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소수성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였다. 12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1): Rt = 1.24분
MS (ESIpos): m/z = 423 (M+H)+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 3.24 (s, 3 H), 3.86 (t, 2 H), 3.96 (s, 3 H), 4.65 (t, 2 H), 8.21 (dd, 1 H), 8.35 - 8.42 (m, 1 H), 8.43 - 8.51 (m, 2 H), 8.52 (d, 1 H), 9.06 (s, 1 H), 12.53 (s, 1 H).
중간체 4-3
메틸 2-(3-메톡시프로필)-5-({[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19
1.00 g (2.75 mmol)의 메틸 5-({[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1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3-1)를 5 ml의 DMF 중에 용해시키고, 460 μl (4.12 mmol)의 1-브로모-3-메톡시프로판, 1.14 g (8.23 mmol)의 탄산칼륨 및 228 mg (1.37 mmol)의 아이오딘화칼륨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72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소수성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였다. 28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1): Rt = 1.29분
MS (ESIpos): m/z = 437 (M+H)+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 2.17 (quin, 2 H), 3.24 (s, 3 H), 3.33 - 3.36 (m, 2 H), 3.96 (s, 3 H), 4.53 (t, 2 H), 8.21 (dd, 1 H), 8.35 - 8.42 (m, 1 H), 8.45 - 8.49 (m, 2 H), 8.54 (d, 1 H), 9.06 (s, 1 H), 12.54 (s, 1 H).
중간체 4-4
메틸 2-(3-히드록시-3-메틸부틸)-5-({[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제조 방법 1
Figure pct00020
930 mg (2.55 mmol)의 메틸 5-({[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1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3-1), 1.06 g의 탄산칼륨 및 212 mg의 아이오딘화칼륨을 처음에 9 ml의 DMF 중에 충전하고,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0.62 ml의 4-브로모-2-메틸부탄-2-올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6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과 혼합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고, 추출물을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3회 세척하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실리카 겔 상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424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2): Rt = 1.21분 (UV 검출기: TIC), 질량 실측치 450.00.
1H NMR (400MHz, DMSO-d6): δ [ppm]= 1.16 (s, 6 H) 2.02 - 2.11 (m, 2 H) 3.96 (s, 3 H) 4.51 - 4.60 (m, 3 H) 8.20 (dd, J=7.83, 1.01 Hz, 1 H) 8.39 (s, 1 H) 8.45 (s, 2 H) 8.55 (d, J=0.76 Hz, 1 H) 9.05 (s, 1 H) 12.52 (s, 1 H)
제조 방법 2
1.95 g (7.03 mmol)의 메틸 5-아미노-2-(3-히드록시-3-메틸부틸)-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7-1)를 처음에 30 ml의 THF 중에 충전하였다. 1.48 g (7.73 mmol)의 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 2.71 g (8.44 mmol)의 O-(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및 1.47 ml (8.44 mmol)의 N-에틸-N-이소프로필프로판-2-아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5℃에서 20.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고, 추출물을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소수성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구배)에 의해 분리하였다. 2.79 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1): Rt = 1.23분 (UV 검출기: TIC), 질량 실측치 450.00.
중간체 4-5
메틸 2-(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5-({[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21
1.00 g (2.66 mmol, 97%)의 메틸 5-({[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1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3-1)를 처음에 50 ml의 DMF 중에 충전하고, 1.10 g (7.99 mmol)의 탄산칼륨 및 221 mg (1.33 mmol)의 아이오딘화칼륨을 교반하면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25℃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후속적으로, 857 μl (3.99 mmol)의 (2-브로모에톡시)(tert-부틸)디메틸실란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5℃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소수성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였다. 400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1): Rt = 1.58분
MS (ESIpos): m/z = 523(M+H)+
1H NMR (300 MHz, DMSO-d6): δ [ppm] = -0.18 - -0.13 (m, 6 H), 0.74 (s, 9 H), 3.96 (s, 3 H), 4.08 (t, 2 H), 4.57 (t, 2 H), 8.15 - 8.25 (m, 1 H), 8.32 - 8.43 (m, 1 H), 8.43 - 8.52 (m, 3 H), 9.07 (s, 1 H), 12.53 (s, 1 H).
중간체 4-6
메틸 2-(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프로필)-5-({[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22
중간체 4-5와 유사하게, 1.00 g (2.75 mmol)의 메틸 5-({[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1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3-1)를 10 ml의 DMF 중에 용해시키고, 1.14 g (8.24 mmol)의 탄산칼륨 및 228 mg (1.37 mmol)의 아이오딘화칼륨을 교반하면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25℃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후속적으로, 1.04 g (4.12 mmol)의 (3-브로모프로폭시)(tert-부틸)디메틸실란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5℃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필터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과 에틸 아세테이트 사이에 분배하고,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소수성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428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1): Rt = 1.63분
MS (ESIpos): m/z = 537(M+H)+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 -0.02 - 0.06 (m, 6 H), 0.87 (s, 9 H), 2.14 (quin, 2 H), 3.62 (t, 2 H), 3.96 (s, 3 H), 4.54 (t, 2 H), 8.20 (d, 1 H), 8.35 - 8.42 (m, 1 H), 8.43 - 8.48 (m, 3 H), 8.49 - 8.53 (m, 1 H), 9.06 (s, 1 H).
중간체 4-7
메틸 5-({[6-(2-히드록시프로판-2-일)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2-(4,4,4-트리플루오로부틸)-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23
300 mg (0.80 mmol)의 메틸 5-({[6-(2-히드록시프로판-2-일)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1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3-3)를 처음에 4.5 ml의 DMF 중에 충전하였다. 287 mg (1.21 mmol)의 1,1,1-트리플루오로-4-아이오도부탄 및 333 mg의 탄산칼륨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00℃에서 2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생성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로써 72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1): Rt = 1.26분 (UV 검출기: TIC), 질량 실측치 464.17.
중간체 4-8
메틸 5-{[(5-플루오로-6-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2-(3-히드록시-3-메틸부틸)-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24
195 mg (0.46 mmol)의 메틸 5-아미노-2-(3-히드록시-3-메틸부틸)-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7-1)를 중간체 4-4 (제조 방법 2)와 유사하게 19.5시간 내에 78 mg (0.50 mmol)의 5-플루오로-6-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과 반응시켰다. 228 mg의 조 생성물을 유사한 수성 후처리 후에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1): Rt = 1.20분 (UV 검출기: TIC), 질량 실측치 414.00.
중간체 4-9
메틸 2-(3-히드록시-3-메틸부틸)-5-{[(6-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25
195 mg (0.45 mmol)의 메틸 5-아미노-2-(3-히드록시-3-메틸부틸)-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7-1)를 중간체 4-4 (제조 방법 2)의 제조와 유사하게 19.5시간 내에 70 mg (0.50 mmol)의 6-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과 반응시켰다. 278 mg의 표제 화합물을 조 생성물로서 유사한 수성 후처리 후에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1): Rt = 1.14분 (UV 검출기: TIC), 질량 실측치 396.00.
중간체 4-10
메틸 2-[3-(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프로필]-5-({[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26
3 ml의 DMF 중 250 mg (0.58 mmol)의 메틸 5-({[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1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3-1), 193 mg (0.88 mmol)의 3-브로모프로필 2,2,2-트리플루오로에틸 에테르, 242 mg의 탄산칼륨 및 145 mg의 아이오딘화칼륨의 혼합물을 100℃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농축시켰다.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52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1): Rt = 1.39분 (UV 검출기: TIC), 질량 실측치 504.12.
중간체 4-11
메틸 5-({[6-(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2-(3-히드록시-3-메틸부틸)-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27
2.00 g의 메틸 5-아미노-2-(3-히드록시-3-메틸부틸)-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7-1)를 처음에 40 ml의 THF 중에 충전하였다. 1.50 g의 6-(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 2.78 g의 O-(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TBTU, CAS 번호 125700-67-6) 및 1.5 ml의 N-에틸-N-이소프로필프로판-2-아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RT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고, 합한 유기 상을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소수성 필터를 통해 여과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로써 3.05 g의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1): Rt = 1.15분 (UV 검출기 TIC), 질량 실측치 432.00.
1H NMR (400MHz, DMSO-d6): δ [ppm]= 1.17 (s, 6H), 2.04 - 2.11 (m, 2H), 3.99 (s, 3H), 4.52 - 4.60 (m, 3H), 7.10 (t, 1H), 8.00 (dd, 1H), 8.28 - 8.38 (m, 2H), 8.44 - 8.47 (m, 1H), 8.56 (d, 1H), 9.05 (s, 1H), 12.49 (s, 1H).
중간체 5-1
N-[6-(2-히드록시프로판-2-일)-1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28
빙수 냉각조에서 냉각시킨, 20 ml의 THF 중 1.50 g (4.12 mmol)의 메틸 5-({[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1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3-1)의 용액에 6.9 ml (5 당량)의 디에틸 에테르 중 3M 메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 용액을 조심스럽게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빙조로 1시간 동안 냉각시키면서 및 실온에서 19.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또 다른 2 당량의 메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추가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교반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소수성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였다. 763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ppm]= 1.63 (s, 6H), 5.99 (s, 1H), 7.49 (s, 1H), 8.06 (s, 1H), 8.14 - 8.19 (m, 1H), 8.37 (t, 1H), 8.46 (d, 1H), 8.78 (s, 1H), 12.32 (s, 1H), 12.97 (s, 1H).
중간체 5-2
6-(디플루오로메틸)-N-[6-(2-히드록시프로판-2-일)-1H-인다졸-5-일]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29
중간체 5-1의 제조와 유사하게, 10 ml의 THF 중 2.40 g (6.93 mmol)의 메틸 5-({[6-(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1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3-2)를 디에틸 에테르 중 3M 메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 용액의 3 부분과 반응시켰다 (6.9 ml, 이어서 실온에서 45분 동안 교반함; 11.6 ml, 이어서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함; 6.9 ml, 이어서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함). 중간체 5-1의 경우와 같이 후처리 후에, 2.39 g의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추가로 사용하였다.
중간체 6-1
메틸 2-(3-히드록시-3-메틸부틸)-5-니트로-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30
5.00 g (22.6 mmol)의 메틸 5-니트로-1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1-1)를 처음에 40 ml의 DMF 중에 충전하였다. 5.65 g (33.9 mmol)의 4-브로모-2-메틸부탄-2-올, 9.37 g (67.8 mmol)의 탄산칼륨 및 5.63 g (33.9 mmol)의 아이오딘화칼륨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00℃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고, 추출물을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소수성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였다. 수득한 고체를 디에틸 에테르와 교반함으로써 추출하고, 흡인으로 여과하고,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2.49 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1): Rt = 0.93분 (UV 검출기: TIC), 질량 실측치 307.00.
1H NMR (400MHz, DMSO-d6): δ [ppm]= 1.15 (s, 6H), 2.02 - 2.11 (m, 2H), 3.84 (s, 3H), 4.54 (s, 1H), 4.58 - 4.65 (m, 2H), 8.05 (s, 1H), 8.69 (s, 1H), 8.86 (s, 1H).
중간체 7-1
메틸 5-아미노-2-(3-히드록시-3-메틸부틸)-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31
4.53 g의 철 및 217 mg의 염화암모늄을 30 ml의 에탄올 및 10 ml의 물 중 2.49 g (8.10 mmol)의 메틸 2-(3-히드록시-3-메틸부틸)-5-니트로-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6-1)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90℃에서 2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에탄올로 3회 세척하고,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물과 혼합하였다. 추출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실시하였다 (상 분리를 개선하기 위해, 염화나트륨 용액을 첨가함). 합한 유기 상을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소수성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이로써 1.95 g (이론치의 85%)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1): Rt = 0.67분 (UV 검출기: TIC), 질량 실측치 277.00.
1H NMR (400MHz, DMSO-d6): δ [ppm]= 1.14 (s, 6H), 1.96 - 2.08 (m, 2H), 3.85 (s, 3H), 4.39 - 4.51 (m, 3H), 5.81 (s, 2H), 6.80 (s, 1H), 8.05 (s, 1H), 8.18 (s, 1H).
작업 실시예
실시예 1
N-[6-(2-히드록시프로판-2-일)-2-(2-메톡시에틸)-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32
75 mg (0.18 mmol)의 메틸 2-(2-메톡시에틸)-5-({[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4-2)를 500 μl의 THF 중에 용해시키고, 887 μl (0.89 mmol)의 THF 중 1 M 메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 용액과 혼합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60분 동안 교반하였다. 후속적으로, 1 ml의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 용액을 조심스럽게 첨가하고,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고, 유기 상을 합하고, 소수성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3 ml의 DMSO 중에 용해시키고,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함유 분획을 동결-건조시켰다. 20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1): Rt = 1.08분
MS (ESIpos): m/z = 423 (M+H)+
1H NMR (300 MHz, DMSO-d6): δ [ppm] = 1.62 (s, 6 H), 3.22 (s, 3 H), 3.82 (t, 2 H), 4.55 (t, 2 H), 5.96 (s, 1 H), 7.57 (s, 1 H), 8.16 (d1 H), 8.29 - 8.42 (m, 2 H), 8.42 - 8.50 (m, 1 H), 8.71 (s, 1 H), 12.36 (s, 1 H)
실시예 2
N-[6-(히드록시메틸)-2-(2-메톡시에틸)-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33
13 mg (0.36 mmol)의 수소화알루미늄리튬을 1 ml의 THF 중에 현탁시키고, 혼합물을 0℃로 냉각시켰다. 500 μl의 THF 중에 용해시킨 75 mg (0.17 mmol)의 메틸 2-(2-메톡시에틸)-5-({[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4-2)를 적가하고, 혼합물을 25℃에서 6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고, 합한 유기 상을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소수성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감압 하에 건조시켰다. 이로써 13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2): Rt = 0.99분
MS (ESIpos): m/z = 394 (M+H)+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 3.23 (s, 3 H), 3.83 (t, 2 H), 4.56 (t, 2 H), 4.69 (d, 2 H), 5.77 (t, 1 H), 7.57 (s, 1 H), 8.19 (d, 1 H), 8.33 - 8.41 (m, 2 H), 8.43 - 8.47 (m, 1 H), 8.51 (s, 1 H), 11.20 (s, 1 H)
실시예 3
N-[6-(2-히드록시프로판-2-일)-2-(3-메톡시프로필)-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34
75 mg (0.17 mmol)의 메틸 2-(3-메톡시프로필)-5-({[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4-3)를 500 μl의 THF 중에 용해시키고, 859 μl (0.86 mmol)의 THF 중 1 M 메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 용액과 혼합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60분 동안 교반하였다. 후속적으로, 1 ml의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을 조심스럽게 첨가하고,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고, 유기 상을 합하고, 소수성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3 ml의 DMSO 중에 용해시키고,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함유 분획을 동결-건조시켰다. 25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1): Rt = 1.13분
MS (ESIpos): m/z = 437 (M+H)+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 1.62 (s, 6 H), 2.14 (quin, 2 H), 3.23 (s, 3 H), 3.26 - 3.32 (m, 2 H), 4.44 (t, 2 H), 5.95 (s, 1 H), 7.58 (s, 1 H), 8.16 (d, 1 H), 8.31 - 8.40 (m, 2 H), 8.43 - 8.48 (m, 1 H), 8.72 (s, 1 H), 12.36 (s, 1 H).
실시예 4
N-[6-(히드록시메틸)-2-(3-메톡시프로필)-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35
13 mg의 수소화알루미늄리튬을 THF 중에 현탁시키고, 혼합물을 0℃로 냉각시켰다. 75 mg (0.17 mmol)의 THF 중 메틸 2-(3-메톡시프로필)-5-({[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4-3)를 적가하고, 혼합물을 30분 내에 실온이 되도록 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여과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고, 여과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한 에틸 아세테이트 상을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소수성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ppm] = 2.14 (quin, 2 H), 3.23 (s, 3 H), 3.29 (t, 2 H), 4.45 (t, 2 H), 4.68 (d, 2 H), 5.77 (t, 1 H), 7.58 (s, 1 H), 8.18 (d, 1 H), 8.32 - 8.48 (m, 3 H), 8.51 (s, 1 H), 11.21 (s, 1 H).
실시예 5
N-[2-(2-히드록시에틸)-6-(2-히드록시프로판-2-일)-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단계 A:
N-[2-(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6-(2-히드록시프로판-2-일)-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ct00036
100 mg (0.19 mmol)의 메틸 2-(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5-({[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4-5)를 1 ml의 THF 중에 용해시키고, 669 μl (0.67 mmol)의 THF 중 1 M 메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 용액과 혼합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60분 동안 교반하였다. 또 다른 287 μl (0.29 mmol)의 THF 중 1 M 메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후속적으로, 20 ml의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을 조심스럽게 첨가하고,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고, 유기 상을 합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감압 하에 건조시켰다. 이로써 50 mg의 N-[2-(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6-(2-히드록시프로판-2-일)-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를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2): Rt = 1.51분
MS (ESIpos): m/z = 523(M+H)+
1H NMR (300 MHz, DMSO-d6): δ [ppm] = -0.17 - -0.09 (m, 6 H), 0.78 (s, 9 H), 1.62 (s, 6 H), 4.04 (t, 2 H), 4.47 (t, 2 H), 5.98 (s, 1 H), 7.57 (s, 1 H), 8.16 (d, 1 H), 8.29 (s, 1 H), 8.37 (t, 1 H), 8.45 (d, 1 H), 8.73 (s, 1 H), 12.38 (s, 1 H).
단계 B:
Figure pct00037
50 mg (96 μmol)의 N-[2-(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6-(히드록시메틸)-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를 1.0 ml의 THF 중에 용해시키고, 144 μl (0.14 mmol)의 THF 중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의 1 M 용액과 혼합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고, 합한 유기 상을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소수성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이로써 36 mg의 N-[2-(2-히드록시에틸)-6-(2-히드록시프로판-2-일)-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5)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d [ppm] = 1.62 (s, 6H), 3.86 (q, 2H), 4.43 (t, 2H), 4.95 (t, 1H), 5.94 (s, 1H), 7.57 (s, 1H), 8.16 (dd, 1H), 8.30 (s, 1H), 8.37 (t, 1H), 8.45 (d, 1H), 8.72 (s, 1H), 12.36 (s, 1H).
UPLC-MS (방법 A2): Rt = 0.97분 (UV 검출기: TIC), 질량 실측치 408.00.
실시예 6
N-[6-(2-히드록시프로판-2-일)-2-(3-히드록시프로필)-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단계 A:
N-[2-(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프로필)-6-(2-히드록시프로판-2-일)-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ct00038
50 mg (0.09 mmol)의 메틸 2-(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프로필)-5-({[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4-6)를 500 μl의 THF 중에 용해시키고, 326 μl (0.33 mmol)의 THF 중 1 M 메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 용액과 혼합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60분 동안 교반하였다. 후속적으로, 20 ml의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을 조심스럽게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소수성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감압 하에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40 mg의 N-[2-(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프로필)-6-(2-히드록시프로판-2-일)-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를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1): Rt = 1.58분
MS (ESIpos): m/z = 537(M+H)+
1H NMR (300 MHz, DMSO-d6): δ [ppm] = 0.02 - 0.05 (m, 6 H), 0.84 - 0.91 (m, 9 H), 1.62 (s, 6 H), 2.02 - 2.18 (m, 2 H), 3.55 - 3.62 (m, 2 H), 4.45 (t, 2 H), 5.96 (s, 1 H), 7.57 (s, 1 H), 8.16 (d, 1 H), 8.31 (s, 1 H), 8.33 - 8.42 (m, 1 H), 8.45 (d, 1 H), 8.72 (s, 1 H), 12.37 (s, 1 H).
단계 B:
Figure pct00039
37 mg (0.07 mmol)의 N-[2-(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프로필)-6-(2-히드록시프로판-2-일)-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를 500 μl의 THF 중에 용해시키고, 207 μl (0.21 mmol)의 THF 중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의 1 M 용액과 혼합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고, 합한 유기 상을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정제용 HPLC에 의한 정제 후, 10 mg의 N-[6-(2-히드록시프로판-2-일)-2-(3-히드록시프로필)-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6, 2차 성분 함유)를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2): Rt = 1.00분
MS (ESIpos): m/z = 423 (M+H)+
1H NMR 선택된 신호 (400 MHz, DMSO-d6): δ [ppm] = 1.61 (s), 2.00 - 2.12 (m), 3.38 (t, 2 H), 4.44 (t, 2 H), 4.62 (br. s., 1 H), 5.93 (br. s., 1 H), 7.55 (s, 1 H), 8.13 (d, 1 H), 8.27 - 8.38 (m, 2 H), 8.43 (d, 1 H), 8.71 (s, 1 H), 12.30 (br. s., 1 H).
실시예 7
N-[2-(2-히드록시에틸)-6-(히드록시메틸)-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단계 A:
N-[2-(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6-(히드록시메틸)-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40
100 mg (0.19 mmol)의 메틸 2-(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5-({[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4-5)를 1 ml의 THF 중에 용해시키고, 191 μl (0.38 mmol)의 2 M 수소화붕소리튬 용액과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25℃에서 24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14 mg (0.38 mmol)의 수소화붕소나트륨 및 500 μl의 메탄올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5℃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또 다른 14 mg (0.38 mmol)의 수소화붕소나트륨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5℃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반응 혼합물에 조심스럽게 첨가하고, 유기 상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고, 합한 유기 상을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소수성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2 ml의 DMSO 중에 녹이고,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로써 30 mg의 N-[2-(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6-(히드록시메틸)-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를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2): Rt = 1.44분
MS (ESIpos): m/z = 495(M+H)+
1H NMR (300 MHz, DMSO-d6): δ [ppm] = -0.16 - -0.12 (m, 6 H), 0.75 - 0.79 (m, 9 H), 4.05 (t, 2 H), 4.48 (t, 2 H), 4.69 (d, 2 H), 5.75 - 5.77 (m, 1 H), 7.57 (s, 1 H), 8.18 (dd, 1 H), 8.30 - 8.33 (m, 1 H), 8.38 (t, 1 H), 8.45 (d, 1 H), 8.51 (s, 1 H), 11.20 (s, 1 H).
단계 B:
Figure pct00041
33 mg (0.07 mmol)의 N-[2-(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6-(히드록시메틸)-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를 1 ml의 THF 중에 용해시키고, 100 μl (0.10 mmol)의 THF 중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의 1 M 용액과 혼합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고, 합한 유기 상을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소수성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감압 하에 건조시켰다. 25 mg의 N-[2-(2-히드록시에틸)-6-(히드록시메틸)-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7)를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2): Rt = 0.87분
MS (ESIpos): m/z = 381 (M+H)+
1H NMR (300 MHz, DMSO-d6): δ [ppm] = 3.87 (q, 2 H), 4.44 (t, 2 H), 4.69 (d, 2 H), 4.98 (t, 1 H), 5.70 - 5.81 (m, 1 H), 7.57 (s, 1 H), 8.11 - 8.23 (m, 1 H), 8.31 - 8.42 (m, 2 H), 8.43 - 8.49 (m, 1 H), 8.51 (s, 1 H), 11.20 (s, 1 H).
실시예 8
N-[6-(2-히드록시프로판-2-일)-2-(옥세탄-3-일메틸)-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42
50 mg (0.12 mmol)의 메틸 2-(옥세탄-3-일메틸)-5-({[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4-1)를 500 μl의 THF 중에 용해시키고, 576 μl (0.58 mmol)의 THF 중 1 M 메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 용액과 혼합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60분 동안 교반하였다. 후속적으로, 20 ml의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 용액을 조심스럽게 첨가하고,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고, 유기 상을 합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2.0 ml의 DMSO 중에 용해시키고,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함유 분획을 동결-건조시켰다. 30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2): Rt = 1.03분
MS (ESIpos): m/z = 435 (M+H)+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 1.62 (s, 6 H), 3.45 - 3.61 (m, 1 H), 4.48 (t, 2 H), 4.66 (dd, 2 H), 4.72 (d, 2 H), 5.94 (s, 1 H), 7.57 (s, 1 H), 8.16 (d, 1 H), 8.33 - 8.42 (m, 2 H), 8.42 - 8.47 (m, 1 H), 8.72 (s, 1 H), 12.36 (s, 1 H).
실시예 9
N-[6-(히드록시메틸)-2-(옥세탄-3-일메틸)-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43
75 mg (0.17 mmol)의 메틸 2-(옥세탄-3-일메틸)-5-({[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4-1)를 THF/메탄올 (1:1)의 1 ml의 혼합물 중에 용해시키고, 8 mg (0.21 mmol)의 수소화붕소나트륨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에서 60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물과 혼합하였다. 현탁액을 15분 동안 격렬히 교반하고, 고체를 흡인으로 여과하고, 물로 2회 및 디에틸 에테르로 2회 세척하고, 감압 하에 건조시켰다. 48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2): Rt = 0.94분
MS (ESIpos): m/z = 407 (M+H)+
1H NMR (300 MHz, DMSO-d6): δ [ppm] = 3.55 (s, 1 H), 4.48 (t, 2 H), 4.61 - 4.77 (m, 6 H), 7.57 (s, 1 H), 8.18 (dd, 1 H), 8.33 - 8.49 (m, 3 H), 8.51 (s, 1 H), 11.21 (s, 1 H).
실시예 10
N-{6-(2-히드록시프로판-2-일)-2-[3-(메틸술포닐)프로필]-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44
5.0 ml의 DMF 중 500 mg (1.32 mmol)의 N-[6-(2-히드록시프로판-2-일)-1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중간체 5-1), 569 mg의 탄산칼륨 및 114 mg의 아이오딘화칼륨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414 mg의 1-브로모-3-(메틸술포닐)프로판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고, 추출물을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 구배)에 의해 정제하였다. 디에틸 에테르와 교반함으로써 생성물 분획을 추출하여 59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2): Rt = 1.02분
MS (ESIpos): m/z = 485 (M+H)+
1H NMR (300MHz, DMSO-d6): δ [ppm]= 1.63 (s, 6H), 2.26 - 2.42 (m, 2H), 2.99 (s, 3H), 3.06 - 3.16 (m, 2H), 4.55 (t, 2H), 5.96 (s, 1H), 7.60 (s, 1H), 8.16 (d, 1H), 8.33 - 8.48 (m, 3H), 8.73 (s, 1H), 12.37 (s, 1H).
실시예 11
N-[2-(3-히드록시-3-메틸부틸)-6-(2-히드록시프로판-2-일)-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45
제조 방법 1
705 mg (1.57 mmol)의 메틸 2-(3-히드록시-3-메틸부틸)-5-({[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4-4)를 처음에 10 ml의 THF 중에 충전하고, 빙수 냉각조에서 냉각시켰다. 2.6 ml (5.0 당량)의 (디에틸 에테르 중) 3M 메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빙조로 1시간 동안 냉각시키면서 및 실온에서 4.5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또 다른 1 당량의 메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0.5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또 다른 1 당량의 메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 용액을 다시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 용액과 혼합하고, 교반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소수성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이로써 790 mg의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로써 234 mg의 표제 화합물 및 164 mg의 생성물 분획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디에틸 에테르와 교반함으로써 추출하였다. 흡인으로 여과하고 이어서 건조시킨 후, 추가의 146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1): Rt = 1.10분 (UV 검출기: TIC), 질량 실측치 450.00.
1H NMR (400MHz, DMSO-d6): δ [ppm]= 1.14 (s, 6H), 1.61 (s, 6H), 1.99 - 2.08 (m, 2H), 4.42 - 4.55 (m, 3H), 5.93 (s, 1H), 7.56 (s, 1H), 8.15 (dd, 1H), 8.32 - 8.39 (m, 2H), 8.41 - 8.47 (m, 1H), 8.70 (s, 1H), 12.34 (s, 1H).
제조 방법 2
5 ml의 DMF 중 500 mg (1.37 mmol)의 N-[6-(2-히드록시프로판-2-일)-1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중간체 5-1), 569 mg의 탄산칼륨 및 114 mg의 아이오딘화칼륨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344 mg (1.5 당량)의 4-브로모-2-메틸부탄-2-올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00℃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또 다른 0.5 당량의 4-브로모-2-메틸부탄-2-올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과 혼합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고, 합한 유기 상을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소수성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로써 100 mg의 생성물 분획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디에틸 에테르와 교반함으로써 추출하였다. 건조시킨 후, 60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ppm]= 1.14 (s, 6 H), 1.61 (s, 6H), 1.99 - 2.07 (m, 2 H), 4.43 - 4.52 (m, 3 H) 5.94 (s, 1 H) 7.57 (s, 1 H) 8.15 (dd, 1H) 8.33 - 8.40 (m, 2 H), 8.42 - 8.48 (m, 1 H), 8.71 (s, 1 H), 12.35 (s, 1 H)
실시예 12
N-{6-(2-히드록시프로판-2-일)-2-[2-(메틸술포닐)에틸]-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46
160 mg (0.44 mmol)의 N-[6-(2-히드록시프로판-2-일)-1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중간체 5-1)를 1.0 ml의 DMF 중 182 mg의 탄산칼륨 및 36 mg의 아이오딘화칼륨과 함께 현탁시키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123 mg의 2-브로모에틸 메틸 술폰 (0.66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고, 추출물을 포화 수성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소수성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20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UPLC (방법 A2): Rt = 1.01분;
MS (ESIpos): m/z = 471 (M+H)+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1.63 (s, 6 H), 2.90 (s, 3 H), 3.85 (t, 2 H), 4.86 (t, 2 H), 5.97 (s, 1 H), 7.59 (s, 1 H), 8.13 - 8.19 (m, 1 H), 8.37 (s, 1 H), 8.41 - 8.48 (m, 2 H), 8.74 (s, 1 H), 12.37 (s, 1 H).
실시예 13
6-(디플루오로메틸)-N-[2-(3-히드록시-3-메틸부틸)-6-(2-히드록시프로판-2-일)-2H-인다졸-5-일]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47
제조 방법 1
2.5 ml의 DMF 중 250 mg의 6-(디플루오로메틸)-N-[6-(2-히드록시프로판-2-일)-1H-인다졸-5-일]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중간체 5-2의 조 생성물), 144 mg의 아이오딘화칼륨 및 239 mg의 탄산칼륨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145 mg (0.87 mmol)의 4-브로모-2-메틸부탄-2-올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1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또 다른 96 mg의 4-브로모-2-메틸부탄-2-올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1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고, 추출물을 반포화 수성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소수성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정제를 실리카 겔 상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실시하였다. 61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1): Rt = 1.00분 (UV 검출기: TIC), 질량 실측치 432.00.
1H NMR (300MHz, DMSO-d6): δ [ppm]= 1.14 (s, 6H), 1.63 (s, 6H), 1.97 - 2.08 (m, 2H), 4.41 - 4.55 (m, 3H), 5.99 (s, 1H), 7.03 (t, 1H), 7.56 (s, 1H), 7.94 - 8.00 (m, 1H), 8.24 - 8.38 (m, 3H), 8.71 (s, 1H), 12.49 (s, 1H).
제조 방법 2
실시예 11의 제조 (제조 방법 1)와 유사하게, 3.00 g의 메틸 5-({[6-(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2-(3-히드록시-3-메틸부틸)-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4-11)를 (디에틸 에테르 중) 3M 메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 용액과 반응시켰다. 디에틸 에테르와의 추출 교반에 이어서 정제용 HPLC에 의한 조 생성물의 정제 후, 1.37 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4
6-(디플루오로메틸)-N-{6-(2-히드록시프로판-2-일)-2-[2-(메틸술포닐)에틸]-2H-인다졸-5-일}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48
2.5 ml의 DMF 중 250 mg의 6-(디플루오로메틸)-N-[6-(2-히드록시프로판-2-일)-1H-인다졸-5-일]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중간체 5-2의 조 생성물), 144 mg의 아이오딘화칼륨 및 239 mg의 탄산칼륨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162 mg의 2-브로모에틸 메틸 술폰 (0.87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1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고, 추출물을 반포화 수성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소수성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고, 생성물 분획을 추가적으로 실리카 겔 상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였다. 40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ppm]= 1.65 (s, 6H), 2.90 (s, 3H), 3.85 (t, 2H), 4.85 (t, 2H), 6.03 (s, 1H), 7.04 (t, 1H), 7.59 (s, 1H), 7.98 (d, 1H), 8.25 - 8.36 (m, 2H), 8.43 (s, 1H), 8.75 (s, 1H), 12.52 (s, 1H).
실시예 15
6-(디플루오로메틸)-N-[6-(2-히드록시프로판-2-일)-2-(3-히드록시프로필)-2H-인다졸-5-일]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단계 A:
N-[2-(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프로필)-6-(2-히드록시프로판-2-일)-2H-인다졸-5-일]-6-(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ct00049
2.5 ml의 DMF 중 250 mg의 6-(디플루오로메틸)-N-[6-(2-히드록시프로판-2-일)-1H-인다졸-5-일]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중간체 5-2), 48 mg의 아이오딘화칼륨 및 239 mg의 탄산칼륨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219 mg (0.87 mmol, 1.5 당량)의 (3-브로모프로폭시)(tert-부틸)디메틸실란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1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또 다른 1 당량의 (3-브로모프로폭시)(tert-부틸)디메틸실란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0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수성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소수성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였다. 92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 B:
Figure pct00050
실시예 6, 단계 B의 제조와 유사하게, 92 mg의 N-[2-(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프로필)-6-(2-히드록시프로판-2-일)-2H-인다졸-5-일]-6-(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를 0.53 ml의 THF 중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의 1 M 용액과 1시간 내에 반응시켰다. 실시예 6에서와 같이 수성 후처리하고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46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1): Rt = 0.92분 (UV 검출기: TIC), 질량 실측치 404.00.
1H NMR (400MHz, DMSO-d6): δ [ppm]= 1.64 (s, 6H), 2.05 (quin, 2H), 3.35 - 3.46 (m, 2H), 4.45 (t, 2H), 4.64 (t, 1H), 5.99 (s, 1H), 7.04 (t, 1H), 7.57 (s, 1H), 7.95 - 7.99 (m, 1H), 8.25 - 8.36 (m, 3H), 8.73 (s, 1H), 12.50 (s, 1H).
실시예 16
N-[6-(2-히드록시프로판-2-일)-2-(4,4,4-트리플루오로부틸)-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51
3 ml의 DMF 중 210 mg (0.58 mmol)의 N-[6-(2-히드록시프로판-2-일)-1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중간체 5-1)의 혼합물을 0.11 ml (0.87 mmol)의 1,1,1-트리플루오로-4-아이오도부탄 및 239 mg의 탄산칼륨과 혼합하고, 혼합물을 80℃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의 첨가 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고, 합한 유기 상을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소수성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19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1): Rt = 1.27분 (UV 검출기: TIC), 질량 실측치 474.15.
1H NMR (400MHz, DMSO-d6): δ [ppm]= 1.62 (s, 6H), 2.10 - 2.33 (m), 4.49 (t, 2H), 5.94 (s, 1H), 7.59 (s, 1H), 8.13 - 8.18 (m, 1H), 8.32 - 8.41 (m, 2H), 8.41 - 8.47 (m, 1H), 8.72 (s, 1H), 12.35 (s, 1H).
실시예 17
N-{6-(2-히드록시프로판-2-일)-2-[3-(트리플루오로메톡시)프로필]-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52
150 mg (0.33 mmol)의 N-[6-(2-히드록시프로판-2-일)-1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중간체 5-1)를 처음에 2 ml의 THF 중에 충전하였다. 58 mg (0.40 mmol)의 3-(트리플루오로메톡시)프로판-1-올, 131 mg의 트리페닐포스핀 및 71 μl의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DIAD, CAS 2446-83-5)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9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0.83 ml의 수산화나트륨 용액 (2M)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4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고, 합한 유기 상을 농축시키고,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16 mg의 표제 화합물을 조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2): Rt = 1.26분 (UV 검출기: TIC), 질량 실측치 490.14.
1H NMR (400MHz, DMSO-d6, 선택된 신호): δ [ppm]= 1.61 (s, 6H), 1.84 (d, 1H), 2.32 (quint, 2H), 4.08 (t, 2H), 4.51 (t, 2H), 7.58 (s, 1H), 8.15 (d, 1H), 8.31 - 8.39 (m, 2H), 8.44 (d, 1H), 8.72 (s, 1H), 12.35 (s, 1H).
실시예 18
N-{6-(2-히드록시프로판-2-일)-2-[3-(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프로필]-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53
실시예 11의 제조 (제조 방법 1)와 유사하게, 3 ml의 THF 중 52 mg (0.10 mmol)의 메틸 2-[3-(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프로필]-5-({[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4-10)를 디에틸 에테르 중 2 × 171 μl의 3M 마그네슘 브로마이드 용액과 반응시켰다.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12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1): Rt = 1.25분 (UV 검출기: TIC), 질량 실측치 504.16.
1H NMR (500 MHz, DMSO-d6): δ [ppm] = 1.63 (s, 6H), 2.20(quin, 2H), 3.58(t, 2H),4.05(q, 2H), 4.47(t, 2H),5.94(s, 1H), 7.58 (s, 1H), 8.15 (dd, 1H), 8.32 (s, 1H), 8.36 (t, 1H), 8.45(d, 1H), 8.73 (s, 1H), 12.36 (s,1H).
실시예 19
5-플루오로-N-[2-(3-히드록시-3-메틸부틸)-6-(2-히드록시프로판-2-일)-2H-인다졸-5-일]-6-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54
228 mg (0.31 mmol)의 메틸 5-{[(5-플루오로-6-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2-(3-히드록시-3-메틸부틸)-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4-8)를 처음에 4.5 ml의 THF 중에 충전하고, 빙 냉각조로 냉각시켰다. 0.63 ml의 (디에틸 에테르 중) 3M 메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빙조로 2시간 동안 냉각시키면서 및 실온에서 2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 용액과 혼합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82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2): Rt = 1.03분 (UV 검출기: TIC), 질량 실측치 414.21.
1H NMR (400MHz, DMSO-d6): δ [ppm]= 1.13 (s, 6H), 1.63 (s, 6H), 1.99 - 2.05 (m, 2H), 2.55 - 2.59 (m, 3H), 4.42 - 4.50 (m, 3H), 5.95 (s, 1H), 7.54 (s, 1H), 7.83 (t, 1H), 8.05 (dd, 1H), 8.31 (s, 1H), 8.68 (s, 1H), 12.33 (s, 1H).
실시예 20
N-[2-(3-히드록시-3-메틸부틸)-6-(2-히드록시프로판-2-일)-2H-인다졸-5-일]-6-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55
278 mg (0.48 mmol)의 메틸 2-(3-히드록시-3-메틸부틸)-5-{[(6-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4-9)를 처음에 5.0 ml의 THF 중에 충전하고, 빙 냉각조로 냉각시켰다. 0.97 ml의 (디에틸 에테르 중) 3M 메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빙조로 2시간 동안 냉각시키면서 및 실온에서 20.5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또 다른 0.48 ml의 3M 메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67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혼합물을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 용액과 혼합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고, 추출물을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소수성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111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2): Rt = 0.97분 (UV 검출기: TIC), 질량 실측치 396.22.
1H NMR (400MHz, DMSO-d6): δ [ppm]= 1.15 (s, 6H), 1.64 (s, 6H), 2.00 - 2.08 (m, 2H), 2.61 (s, 3H), 4.41 - 4.59 (m, 3H), 5.92 (s, 1H), 7.50 (dd, 1H), 7.56 (s, 1H), 7.90 - 7.99 (m, 2H), 8.33 (s, 1H), 8.70 (s, 1H), 12.39 (s, 1H).
실시예 21
6-(2-히드록시프로판-2-일)-N-[6-(2-히드록시프로판-2-일)-2-(4,4,4-트리플루오로부틸)-2H-인다졸-5-일]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56
10 ml의 THF 중 72 mg (0.16 mmol)의 메틸 5-({[6-(2-히드록시프로판-2-일)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2-(4,4,4-트리플루오로부틸)-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4-7)의 용액을 빙/수 냉각조에서 냉각시켰다. 0.26 ml의 디에틸 에테르 중 3M 메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또 다른 1 당량의 3M 메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고, 추출물을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농축시켰다. 정제용 HPLC에 의해 22 mg (이론치의 31%)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UPLC-MS (방법 A2): Rt = 1.15분 (UV 검출기: TIC), 질량 실측치 464.20.
1H NMR (400MHz, DMSO-d6): δ [ppm]= 1.56 (s, 6H), 1.64 (s, 6H), 2.07 - 2.34 (m, 4H), 4.49 (t, 2H), 5.32 (s, 1H), 6.05 (s, 1H), 7.60 (s, 1H), 7.87 (dd, 1H), 7.99 - 8.05 (m, 2H), 8.35 (s, 1H), 8.79 (s, 1H), 12.45 (s, 1H).
실시예 22
N-{2-[2-(1-히드록시시클로프로필)에틸]-6-(2-히드록시프로판-2-일)-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57
250 mg (0.69 mmol)의 N-[6-(2-히드록시프로판-2-일)-1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중간체 5-1)를 처음에 5 ml의 DMSO 중에 충전하였다. 159 mg (0.96 mmol)의 1-(2-브로모에틸)시클로프로판올, 285 mg의 탄산칼륨 및 171 mg의 아이오딘화칼륨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0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소수성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 (칼럼: 워터스 엑스브리지 C18 5μ 100x30mm, 용리액 A: 물 + 0.1 부피%의 포름산 (99%), 용리액 B: 아세토니트릴)에 의해 정제하였다. 동결-건조시켜 45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500MHz, DMSO-d6): δ [ppm]= 0.18 - 0.22 (m, 2H), 0.48 - 0.52 (m, 2H), 1.62 (s, 6H), 2.08 (t, 2H), 4.54 - 4.60 (m, 2H), 5.36 (s, 1H), 5.96 (s, 1H), 7.57 (s, 1H), 8.16 (dd, 1H), 8.34 - 8.39 (m, 2H), 8.45 (d, 1H), 8.72 (s, 1H), 12.36 (s, 1H).
다양한 자가면역 장애에서의 생리학적 효능의 평가
IRAK4 키나제 검정
본 발명의 물질의 IRAK4-억제 활성을 이하에 기재된 IRAK4 TR-FRET 검정 (TR-FRET = 시간 분해 형광 공명 에너지 전달)에서 측정하였다.
바큘로바이러스-감염된 곤충 세포 (Hi5, BTI-TN-5B1-4, 인비트로젠(Invitrogen), 카탈로그 번호 B855-02로부터 구입한 세포주)에서 발현되고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N-말단 GST (글루타티온 S-트랜스퍼라제) 및 인간 IRAK4로부터의 재조합 융합 단백질을 효소로서 사용하였다. 키나제 반응에 사용된 기질은, 예를 들어, 바이오신탄 게엠베하(Biosyntan GmbH) (베를린-부흐)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비오티닐화 펩티드 비오틴-Ahx-KKARFSRFAGSSPSQASFAEPG (아미드 형태의 C-말단)였다.
검정을 위해, 20 μM 내지 0.073 nM 범위 내의 11개의 상이한 농도를 DMSO 중 시험 물질의 2 mM 용액으로부터 제조하였다. 50 nl의 각각의 용액을 흑색 저부피 384-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 (그라이너 바이오-원(Greiner Bio-One), 독일 프리켄하우젠) 내로 피펫팅하고, 검정 완충제 [50 mM HEPES pH 7.5, 5 mM MgCl2, 1.0 mM 디티오트레이톨, 30 μM 활성화된 소듐 오르토바나데이트, 0.1 % (w/v)의 소 감마-글로불린 (BGG), 0.04% (v/v) 노니데트-P40 (시그마(Sigma))] 중 IRAK4의 용액 2 μ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15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여 물질이 키나제 반응 전에 효소에 사전결합하도록 하였다. 이어서, 키나제 반응을 검정 완충제 중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 (ATP, 1.67 mM = 5 μl의 검정 부피 중 최종 농도: 1 mM) 및 펩티드 기질 (0.83 μM = 5 μl 검정 부피 중 최종 농도: 0.5 μM)의 용액 3 μl의 첨가에 의해 시작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22℃에서 45분의 반응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IRAK4의 농도를 효소의 각각의 활성으로 조정하고, 검정이 선형 범위에서 수행되도록 설정하였다. 전형적인 농도는 약 0.2 nM 정도였다. 수성 EDTA 용액 (25 mM HEPES pH 7.5 중 100 mM EDTA, 0.4% [w/v] 소 혈청 알부민 [BSA]) 중 TR-FRET 검출 시약 [0.1 μM 스트렙타비딘-XL665 (시스바이오 바이오어세이즈(Cisbio Bioassays); 프랑스, 카탈로그 번호 610SAXLG)] 및 1.5 nM 항-포스포세린 항체 [머크 밀리포어(Merck Millipore), "STK 항체", 카탈로그 번호 35-002] 및 0.6 nM 랜스(LANCE) EU-W1024-표지된 항-마우스-IgG 항체 (퍼킨-엘머(Perkin-Elmer), 제품 번호 AD0077; 대안적으로, 시스바이오 바이오어세이즈로부터의 테르븀 크립테이트-표지된 항-마우스-IgG 항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의 용액 5 μl의 첨가에 의해 반응을 정지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22℃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여 비오티닐화 인산화 기질 및 검출 시약의 복합체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어서, 유로퓸 킬레이트-표지된 항-마우스-IgG 항체로부터 스트렙타비딘-XL665로의 공명 에너지 전달을 측정함으로써 인산화 기질의 양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350 nm에서의 여기 후 620 nm 및 665 nm에서의 형광 방출을 TR-FRET 측정 기기, 예를 들어 루비스타(Rubystar) (BMG 랩테크놀로지스(BMG Labtechnologies), 독일 오펜부르크) 또는 뷰럭스(Viewlux) (퍼킨-엘머)에서 측정하였다. 665 nm 및 622 nm에서의 방출 비를 인산화 기질의 양의 척도로서 취하였다. 데이터를 정규화하였다 (시험 물질 부재 하의 효소 반응 = 0% 억제; 효소가 없는 모든 다른 검정 성분 = 100% 억제). 전형적으로, 시험 물질을 20 μM 내지 0.073 nM 범위 내의 11개의 상이한 농도 (20 μM, 5.7 μM, 1.6 μM, 0.47 μM, 0.13 μM, 38 nM, 11 nM, 3.1 nM, 0.89 nM, 0.25 nM 및 0.073 nM)에서 동일한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 상에서 시험하였다. 검정 전에 일련의 희석물 (100% DMSO 중 2 mM 내지 7.3 nM)을 연속 희석에 의해 제조하였다. IC50 값을 4-파라미터 피트에 의해 계산하였다.
표 1: IRAK4 키나제 검정에서의 실시예 화합물의 IC50
Figure pct00058
IRAK4에 대한 화학식 (III)의 화합물의 억제 활성을 마찬가지로 상기 기재된 IRAK4 TR-FRET 검정에서 측정하였다. 하기가 예로서 언급된다: IC50 = 21.7 nM을 갖는 화합물 중간체 4-2, IC50 = 13.0 nM을 갖는 중간체 4-3 및 IC50 = 6.2 nM을 갖는 중간체 4-4.
THP-1 세포에서의 TNF-α 분비
이 시험의 도움으로, 물질을 THP-1 세포 (인간 단핵구성 급성 백혈병 세포주)에서 TNF-α (종양 괴사 인자 알파)의 분비를 억제하는 그의 능력에 대해 시험하는 것이 가능하다. TNF-α는 언급된 자가면역 장애 예컨대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베크테레브병, 건선, 크론병, 궤양성 결장염 등의 염증 과정에 수반되는 주요 시토카인이다. 이 시험에서, TNF-α 분비는 박테리아 리포폴리사카라이드 (LPS)와의 인큐베이션에 의해 촉발된다.
THP-1 세포를 연속 현탁 세포 배양액 [소 태아 혈청 (FCS) 10% (인비트로젠, 카탈로그 번호 10082-147),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깁코(Gibco) BRL, 카탈로그 번호 15140-114)으로 보충된 L-글루타맥스 (깁코, 카탈로그 번호 61870-044)를 갖는 RPMI 1460 배지] 중에서 유지하였으며, 이는 1x106개 세포/ml의 세포 농도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검정은 세포 배양 배지 (FCS 10%로 보충된 L-글루타맥스를 갖는 RPMI 1460 배지) 중에서 수행된다.
각 경우에 웰당 2-2.5 μl의 세포 현탁액 (4000개 세포에 상응함)을 384-웰 시험 플레이트 (그라이너, 카탈로그 번호 784076) 내로 분배하였으며, 이들 각각에서 40-50 nl 물질이 100% DMSO 중에 용해되어 있었다. 이는 각각의 물질에 대해 20 μM 내지 0.073 nM 범위 내의 10개의 상이한 농도를 사용하여 행하였다. 세포를 실온에서 15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이어서, 세포 배양 배지 중에 용해된 0.1 μg/ml LPS (시그마, 에스케리키아 콜라이 055:B5, 카탈로그 번호 L5418)의 2-2.5 μl (최종 농도 0.05 μg/ml)를 각 웰 내로 분배하였다. 중성 대조군으로서, 세포를 0.05 μg/ml LPS 및 1% DMSO로 처리하고, 억제제 대조군으로서, 오직 1% DMSO로 처리하였다.
플레이트를 80 g에서 30초 동안 원심분리하고, 37℃, 5% CO2 및 95% 대기 습도에서 17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TNF-α의 양은 TNF-알파 HTRF 검출 키트 (시스바이오, 카탈로그 번호 62TNFPEB/C)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이를 위해, 각 경우에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재구성 완충제 중에 용해된 항-TNF-α-XL665 접합체 및 항-TNF-α-크립테이트 접합체로 이루어진 검출 용액 2 μl를 HTRF (균질 시간-분해 형광) 시험을 위해 첨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또는 4℃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이어서, 신호를 HTRF-가능형 측정 기기 예컨대 BMG 페라스타(BMG PheraStar)를 사용하여 620/665 nm에서 판독하였다.
물질의 활성은 중성과 억제제 대조군 사이의 비로서 퍼센트로 표시된다. IC50 값은 4-파라미터 피트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표 2: THP-1 세포에서의 TNF-α의 분비와 관련한 실시예 화합물의 IC50
Figure pct00059
인간 PBMC (말초 혈액 단핵 세포)에서의 시험관내 LPS (리포폴리사카라이드)-유도된 시토카인 생산
인간 PBMC에서의 유도된 시토카인 생산에 대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효과를 검사하였다. 여기서, 시토카인 생산은 TLR4 리간드인 LPS에 의해 유도되었으며, 이는 IRAK4-매개 신호 경로의 활성화로 이어진다.
인간 PBMC를 항응고된 인간 전혈로부터 수득하였다. 이 목적을 위해, 15 ml의 피콜-파크(Ficoll-Paque) (바이오크롬(Biochrom), 카탈로그 번호 L6115)를 처음에 류코셉(Leucosep) 튜브에 충전하고, 20 ml의 인간 혈액을 첨가하였다. 800 g에서 15분 동안 실온에서 혈액을 원심분리한 후, 혈소판을 포함한 혈장을 제거하고, 폐기하였다. PBMC를 원심분리 튜브 내로 옮기고, PBS (포스페이트-완충 염수) (깁코, 카탈로그 번호 14190)로 보충하였다. 세포 현탁액을 실온에서 250 g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청액을 폐기하였다. PBMC를 완전 배지 (RPMI 1640, L-글루타민 (PAA, 카탈로그 번호 E15-039) 부재, 10% FCS; 50 U/ml 페니실린, 50 μg/ml 스트렙토마이신 (PAA, 카탈로그 번호 P11-010) 및 1% L-글루타민 (시그마, 카탈로그 번호 G7513)) 중에 재현탁시켰다.
검정을 또한 완전 배지 중에서 수행하였다. PBMC를 96-웰 플레이트에서 2.5x105개 세포/웰의 세포 밀도로 파종하였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일정한 부피의 100% DMSO로의 연속 희석에 적용하고, 최종 DMSO 농도가 0.4% DMSO가 되도록 10 μM 내지 3 nM 범위 내의 8개의 상이한 농도로 검정에 사용하였다. 이어서, 실제 자극 전에, 세포를 그와 함께 30분 동안 사전-인큐베이션하였다. 시토카인 분비를 유도하기 위해, 세포를 0.1 μg/ml LPS (시그마, 에스케리키아 콜라이 0128:B12, 카탈로그 번호 L2887)로 24시간 동안 자극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셀타이터-글로(CellTiter-Glo) 발광 검정 (프로메가(Promega), 카탈로그 번호 G7571 (G755/G756A))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세포 배지 상청액 중의 분비된 TNF-α의 양은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인간 염증유발 9-플렉스(Plex) 조직 배양 키트 (MSD, 카탈로그 번호 K15007B)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예로서, 실시예 화합물 11 및 실시예 화합물 12는 ≤ 1 μM의 활성을 갖는다.
인간 수지상 세포 (DC)의 시험관내 TLR4/TLR7-유도된 인터류킨 (IL)-23 분비
TH-17 세포 (IL-17-생산 T-헬퍼 세포)의 생성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염증유발 시토카인 IL-23의 유도된 생산에 대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효과를 인간 DC에서 검사하였다. TH-17 세포는 장애 예컨대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베크테레브병 (강직성 척추염), 건선, 아토피성 피부염, 전신 홍반성 루푸스 또는 그 밖에 다발성 경화증의 발병기전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언급된다 (Lubberts, Nat. Rev. Rheumatol., 2015; Marinoni et al., Auto. Immun. Highlights, 2014; Isailovic et al., J. Autoimmun., 2015; Richtlin & Krueger, Curr Opin Rheumatol. 2016 May; 28(3):204-10 Leonardi et al., Allergy Asthma Proc. 2015; Araujo et al., Rev Bras Rheumatol. 2016; Staschke et al., J Immunol., 2009). IL-23 생산에 대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효과를 검출하기 위해, 자기 분리 [밀테니 바이오테크(Miltenyi Biotech), 단핵구 단리 키트, 카탈로그 번호 130-091-153]의 도움으로 완전 배지 (VLE (매우 낮은 내독소) RPMI 1640 [바이오크롬 아게, 카탈로그 번호 FG1415], 10% 소 태아 혈청 (FBS) [깁코, 카탈로그 번호 10493-106]; 50 μM β-메르캅토에탄올 [깁코, 카탈로그 번호 31350], 50 U/ml 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 [깁코, 카탈로그 번호 15140-114]) 중 성장 인자 (재조합 인간 GM-CSF [페프로테크(PeproTech), 카탈로그 번호 300-03] 및 IL-4 [페프로테크, 카탈로그 번호 200-04])를 첨가하여 인간 PBMC로부터 단리된 인간 1차 단핵구를 6일에 걸쳐 배양액 중에서 분화시켜 DC를 수득하였다. DC를 수거한 후, 이들을 완전 배지 중에 재현탁시키고, 96-웰 플레이트 (코스타(Costar), 카탈로그 번호 3599)에서 2x107개 세포/웰의 세포 밀도로 파종하였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일정한 부피의 100% DMSO로의 연속 희석에 적용하고, 10μM 내지 1 nM 범위 내의 9개의 상이한 농도로 검정에 사용하였다. 여기서 존재하는 DMSO 농도가 사용된 9개 농도 각각에 대해 항상 0.1% DMSO가 되도록 보장하였다. 화학식 (I)의 화합물과 함께 DC의 30분 사전인큐베이션이 있었다. 그 후, 이어서 DC는 10 ng/ml의 LPS (시그마, 에스케리키아 콜라이 혈청형 0127:B8, 카탈로그 번호 L3129) (TLR4 리간드) 및 2.5 μg/ml의 TLR7/8 리간드 R848 (인비보젠(Invivogen), 카탈로그 번호 tlrl-r848-5) (둘 다 IRAK4-매개 신호전달 경로의 활성화를 일으킴)에 의해 인큐베이터 (37℃, 95%rH, 5% CO2)에서 24시간 동안 IL-23을 생산하도록 자극되었다. 24시간의 이러한 인큐베이션 시간 후, 상청액을 제거하고,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hIL-23 ELISA (이바이오사이언시스(eBiosciences), 카탈로그 번호 88-7237-88)의 도움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는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수행하였다. 인간 DC에서의 IL-23의 억제의 결과는 도 1에 실시예 화합물 12에 대한 예로서 제시된다.
인터류킨 (IL)-17의 분비를 위한 인간 Th17 세포의 시험관내 자극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베크테레브병 (강직성 척추염), 반응성 관절염, 건선, 아토피성 피부염, 전신 홍반성 루푸스, 만성-염증성 장 질환 및 또한 다발성 경화증의 발병기전에서 주요한 시토카인인 것으로 고려되는 염증유발 시토카인 IL-17의 유도된 생산에 대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억제 작용을 인간 Th17 세포에서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인간 PBMC를 항응고화 인간 전혈로부터 하기와 같이 수득하였다: 20 ml의 인간 혈액을 미리 15 ml의 피콜-파크 (바이오크롬, 카탈로그 번호 L6115)로 처음에 충전된 류코셉 튜브에 첨가하였다. 혈액을 800 g에서 15분 동안 실온에서 원심분리한 다음, 혈소판을 포함한 혈장을 제거하고, 폐기하였다. PBMC를 원심분리 튜브 내로 옮기고, PBS (포스페이트-완충 염수) (깁코, 카탈로그 번호 14190)로 보충하였다. 세포 현탁액을 250 g에서 10분 동안 실온에서 원심분리하고, 상청액을 폐기하였다. PBMC를 완전 배지 (RPMI 1640, L-글루타민 (PAA, 카탈로그 번호 E15-039) 부재, 10% FCS; 50 U/ml 페니실린, 50 μg/ml 스트렙토마이신 (PAA, 카탈로그 번호 P11-010) 및 1% L-글루타민 (시그마, 카탈로그 번호 G7513)) 중에 재현탁시켰다. 후속적으로, CD4+ T-세포를 PBMC로부터 칼럼 (LS 칼럼, 밀테니 바이오테크, 카탈로그 번호 130-042-401) 상에서 자기 세포 분리 (CD4+ T 세포 단리 키트, 밀테니 바이오테크, 카탈로그 번호 130-096-533)에 의해 단리하였다. 이 방식으로 수득한 CD4+ T 세포를 96-웰 플레이트 (편평 바닥, 코스타, 카탈로그 번호 3599)에 5x104개 CD4+ T 세포/웰의 세포 밀도로 파종하였다. 이 검정도 또한, 완전 배지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일정한 부피의 100% DMSO로의 연속 희석에 적용하고, 최종 DMSO 농도가 0.1% DMSO가 되도록 10 μM 내지 1 nM 범위 내의 9개의 상이한 농도로 검정에 사용하였다. 세포를 각각의 농도의 화학식 (I)의 화합물과 함께 인큐베이터에서 30분 동안 사전인큐베이션하였다. 이어서, 항-CD3/항-CD28 비드 (50000개 세포당 2500개 비드; T 세포 활성화 키트, 밀테니 바이오테크, 카탈로그 번호 130-091-441), 재조합 인간 (rh) IL-23 (20 ng/ml; 이바이오사이언스, 카탈로그 번호 14-8239-63), rhIL-1베타 (20 ng/ml; 이바이오사이언스, 카탈로그 번호 34-8018), rhIL-6 (20 ng/ml; 이바이오사이언스, 카탈로그 번호 34-8069) 및 rhIL-2 (100 IU/ml; 이바이오사이언스, 카탈로그 번호 SRP3085)로 이루어진 Th17 분화 칵테일을, CD4+ T 세포를 6일에 걸쳐 Th17 세포로 분화시키고 동시에 IL-17을 생산하도록 자극하는 것의 도움으로, 첨가하였다. 인큐베이터에서의 6일의 배양 후에, 세포 배양 상청액을 제거하고, 상업용 hIL-17 ELISA (인간 IL-17a ELISA 레디-셋-고(Ready-SET-Go), 이바이오사이언시스, 카탈로그 번호 88-7176-88)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는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수행하였다. Th17 세포 분화의 억제 및 또한 결국 이에 따른 IL-17 생산의 결과는 도 2에 실시예 화합물 12에 대한 예로서 제시된다.
인간 형질세포양 수지상 세포 (pDC)의 시험관내 TLR7/8- 또는 TLR9-유도된 IFNα 생산
이 시험의 도움으로, 전신 홍반성 루푸스의 발병기전에서 주요 시토카인인 IFNα (인터페론-알파)의 생산에 대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효과 (Mathian et al., Arthritis Rheum, 2009; Crow M.K., Rheum Dis Clin N Am, 2010)를 인간 pDC에서 연구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인간 PBMC를 전혈로부터 단리하고, 형질세포양 DC (pDC)를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세포 분리 키트 (밀테니 바이오테크, 형질세포양 수지상 세포 단리 키트 II, 카탈로그 번호 130-097-415)의 도움으로 그로부터 단리하였다. 이에 따라 수득한 pDC를 완전 배지 (10% FBS [깁코, 카탈로그 번호 10493-106] 및 50 U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깁코, 카탈로그 번호 15140-114]으로 보충된 RPMI 1640 + 글루타맥스 [깁코, 카탈로그 번호 61870-010]) 중에 재현탁시키고, 96-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 (코스타, 카탈로그 번호 3599)에 5x104개 세포/웰의 세포 밀도로 플레이팅하였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일정한 부피의 100% DMSO로의 연속 희석에 적용하고, 10 μM 내지 1 nM 범위 내의 9개의 상이한 농도로 검정에 사용하였다. 여기서, 존재하는 DMSO 농도가 사용된 9개 농도 각각에 대해 항상 0.1% DMSO가 되도록 보장하였다. 화학식 (I)의 화합물과 함께 pDC의 30분 사전인큐베이션이 있었다. pDC는 TLR7/8 리간드 (이미퀴모드, R837, 인비보젠, 카탈로그 번호 tlrl-imq) 또는 TLR9 리간드 (CPG-A, ODN2216, 인비보젠, 카탈로그 번호 tlrl-2216-1)로 자극되었고, 이는 IRAK-4-매개 신호전달 경로의 활성화로 이어졌다. 24시간 동안의 인큐베이션 후, 세포 배양 상청액을 제거하고,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인간 IFN-α ELISA (IFN알파 다중-하위유형 ELISA 키트, pbl 어세이 사이언스(Assay Science), 카탈로그 번호 41105-1)에 의해 분석하였다. 인간 형질세포양 DC에서의 IFN-α의 억제의 결과는 도 3에 실시예 화합물 12에 대한 예로서 제시된다.
TLR-매개 염증의 생체내 모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생체내 TLR-매개 염증의 모델에서 그의 생체내 효능에 대해 검사하였다. 이 기계론적 모델은, LPS-매개 염증 모델이 사용되었으므로, 특히 TLR4-매개 장애에 대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잠재적 효과를 보여준다. 이 모델에서, 암컷 NMRI 마우스 (약 6주령; 찰스 리버 래보러토리즈(Charles River Laboratories), 독일)를 각각 5마리 동물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건강한 대조군을 물질이 용해된 비히클 (에탄올-땅콩 오일 10:90 v/v) (물질 비히클) 및 또한 LPS가 용해된 비히클로 치료하였다. 기질 치료군뿐만 아니라, 양성 대조군에 또한 각 경우에 0.2 mg의 LPS/kg 체중 (시그마, 카탈로그 번호 L4391) (이. 콜라이 0111:B4로부터의 리포폴리사카라이드)을 복강내로 (i.p.) 투여하였다. 또한, 양성 대조군을 상기 기재된 물질 비히클로 치료하였다. 물질을 LPS의 투여에 의한 염증의 유발 1시간 전에 경구로 투여하였다. 염증에 대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효과를 검사하기 위해, 최종 혈액 샘플을 1.5시간 후에 동물로부터 취하였다. 혈장 내 시토카인 TNF-α 및 IL-6의 농도는 마우스 TNF-α 및 마우스 IL-6 레디-셋-고 ELISA 키트 (이바이오사이언스, mTNFα 카탈로그 번호 88-7324-88, mIL-6 카탈로그 번호 88-7064-88)를 사용하여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결정하였다. IRAK4 억제제는 TLR-매개 염증 모델에서 효과적이다. LPS의 적용은 혈장 내 염증유발 시토카인 예컨대 TNF-α 및 IL-6의 신속 유도로 이어지며, 이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사용한 치료에 의해 용량-의존성 방식으로 억제된다. 이는 도 4에 화합물 12 및 11에 대한 예로서 제시된다. 일부 실험에서, 임상적으로 관련된 비교 물질, 예컨대, 예를 들어 TNF 길항제 아달리무맙 (휴미라®) 또는 에타네르셉트를 또한 동물 모델에서 억제 유효성의 비교를 위해 시험하였으며, 이들 둘 다를 각 경우에 LPS에 의한 염증의 유발 1시간 전에 1.5 mg/kg, 5 mg/kg 및 10 mg/kg의 투여량으로 피하로 투여하였다.
생체내 아주반트-유발된 관절염 모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항염증 활성을 결정하기 위해, 이들을 관절염 모델에서 그의 생체내 효능에 대해 검사하였다. 이 목적을 위해, 수컷 루이스 래트 (약 100-125 g, 찰스 리버 래보러토리즈, 독일)에 100 μl의 완전 프로인트 아주반트 (CFA) 용액 (불완전 프로인트 아주반트 [디프코 랩(Difco Lab), 카탈로그 번호 263910] 중에 용해된 엠. 투베르쿨로시스(M. tuberculosis) H37Ra [디포 랩(Difo Lab), 카탈로그 번호 231141])을 제0일에 미근 내로 피하로 각각 투여하였다. 각 군에 n = 8마리의 래트가 있었다. 건강한 대조군 및 질환 대조군 둘 다를 연구에 포함시켰다. 각 대조군에 오직 시험 물질의 비히클 (크레모포르-에탄올-물 40:10:50 v/v/v)을 사용한 치료를 예방적 방식으로 (제0일부터) 또는 치료적 방식으로 (제9일부터) p.o. 제공하였다. 상이한 투여량의 시험 물질을 사용한 치료는 마찬가지로 예방적 방식으로 또는 치료적 방식으로 경구 적용에 의해 시작되었다. 제0일에, 동물의 시작 상태를 미리 질환 활성 점수 (포인트 시스템에 기초한 관절염의 중증도의 등급화)의 관점에서 결정하였다. 이 포인트 시스템 (점수)에서, 관절 염증의 정도에 따라, 포인트를 양쪽 뒷발에 대한 관절 종창을 포함한 홍반의 존재에 대해 0 내지 4로 부여하고 (0 = 없음; 1 = 경미함; 2 = 중등도; 3 = 뚜렷함; 4 = 중증), 합산하였다. 화합물의 항염증 효능을 결정하기 위해, 동물의 질환 상태를 동물이 처음 관절염의 징후를 나타낸 때인 제8일부터 시작하여, 후속적으로 1주에 3회, 종료 시 (제20일)까지 질환 활성 점수화에 의해 점수화하였다. 또한, 실험의 과정 동안, 동물의 그립 강도를 자동 그립 강도 시험 측정기 (IITC 라이프 사이언스 인크.(IITC Life Science Inc.), 미국)를 사용하여 통각과민에 대한 척도로서 결정하였다. 관절 종창에 대한 척도로서, 발의 부피를 또한 체적변동측정기 (IITC 라이프 사이언스 인크., 미국)를 통해 관절 종창에 대한 척도로서 측정하였다. 제20일에, 실험을 종결시키고, 자기 공명 영상화 스캔을 MRT (자기 공명 단층촬영; 마그네톰 아반토 신고(MAGNETOM Avanto syngo) MR B17, 독일 지멘스)에서 흡입 마취 (이소플루란) 하에 관절의 중증도를 분석하는 영상화 방법으로서 MRT 시퀀스 STIR (지방 신호 억제 및 부종의 검출을 위한 단시간 반전 회복)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게다가, 특히, 활액을 150 μl의 멸균 염수를 사용한 슬관절의 관절내 세척에 의해 관절염성 관절로부터 수득하고, 메소 스케일 디스커버리(Meso Scale Discovery) (MSD) (염증유발 패널 1; 카탈로그 번호 K15059D-1)로부터의 상업용 멀티플렉스 ELISA 기기를 사용하여 존재하는 시토카인 농도에 대해 검사하였다. 이어서, 슬관절 생검을 조직 내 시토카인 농도 (MSD로부터의 멀티플렉스-ELISA에 의함) 또는 CRP 수준 (래트 C-반응성 단백질, 카탈로그 번호 557825, 비디 바이오사이언스(BD Bioscience)) 또는 엘라스타제 활성 (호중구 침윤에 대한 척도)을 분석하는 데 사용하거나, 또는 활막 내의 및 관절내 및 관절주위 조직 내의 염증의 증상에 대해 조직병리학적으로 검사하였다. 이를 위해, 슬관절 생검을 냉각된 비드 밀에서 -196℃에서 분쇄하고 (크리오밀(CryoMill); 레취 게엠베하(Retsch GmBH), 독일), 각 경우에 200 mg을 시토카인 분석을 위한 적절한 완충제 중에 (0.5 ml의 RPMI1640 배지 (깁코) 중에) 또는 엘라스타제 활성을 위한 적절한 완충제 중에 (1 ml의 균질물 완충제 [pH 7.0; 실온 저장; 5 g의 5% 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2.09 g의 10 mM MOPS, 30-35℃에서 900 ml의 아쿠아 비데스트(aqua bidest) 첨가] 중에) 용해시켰다. 호중구 엘라스타제 (NE)의 프로테아제 활성의 정량화를 위해, NE에 대한 높은 특이성을 갖는 형광-표지된 기질 [MeOSuc- AAPV - AMC (N-메톡시숙시닐-Ala-Ala-Pro-Val-7-아미노-4-메틸쿠마린), 카탈로그 번호 I-1270, 바켐(Bachem), 독일] (Castillo et al., 1979; Wiesner et al., 2005)을 사용하였다. 재조합 뮤린 NE (카탈로그 번호 4517-SE-010, 알앤디 시스템즈(R&D Systems), 독일; 균질물 완충제 중에 용해됨, 상기 참조)를 표준 곡선으로서 사용하고, 균질물 완충제를 블랭크 값으로서 사용하였다. 엘라스타제 검정을 위해, 각 경우에 25 μl의 관절 균질물을 사용하고, 흑색 96-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 (편평 바닥, 눈크(NUNC), 독일) 내로 피펫팅한 다음, 차가운 트리스BSA 완충제 (0.1% BSA [분획 V], 0.1 M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1 리터의 물 중 1 M NaCl; pH 8.5; 4℃에서 저장) 중 1 mM MeOSuc-AAPV-AMC 기질 용액 25 μl와 혼합하였다. 미리-가온된 플레이트 판독기 (스펙트라맥스(SpectraMax) M2, 몰레큘라 디바이시스(Molecular Devices))를 사용하여 마이크로타이트 플레이트에서의 형광을 37℃ 및 λEx = 380 nm 및 λEm = 460 nm에서 30분 후에 측정하고, 호중구 엘라스타제의 양을 소프트웨어 소프트맥스프로(SoftmaxPro) 6.4에 의해 NE 표준 곡선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그 다음에, 조직병리학적 평가를 위해, 각각의 해당 파라미터 (염증, 연골 손상, 활막 증식증, 판누스, 골 손상, 골막 변화)의 손상의 정도에 따라, 병리학적 관절 손상의 존재 또는 중증도에 대해 0 내지 4의 포인트를 부여하는 점수를 사용하였다 (0 = 없음; 1 = 경미함; 2 = 중등도; 3 = 유의함; 4 = 심각함). 단일-인자 분산 분석 (ANOVA) 및 다중 비교 분석 (던넷 시험)에 의한 대조군과의 비교를 사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래트에서의 CFA의 s.c. 투여는 래트에서 뚜렷한 관절 염증을 동반한 급성 관절염으로 이어진다. 예시적인 방식에서, 이 래트 관절염 모델은 인간 관절염 예컨대 건선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반응성 관절염 및 베크테레브병의 사례에서의 관절 염증을 나타낸다 (Bendele, J Musculoskel Neuron Interact 2001; McCann et al., Arthritis Res Ther, 2010). 실시예 화합물 11을 사용한 예방적, 뿐만 아니라 치유적 치료에 의해, 아주반트-유발된 관절염을 현저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였고, 조직학적 및 MRI 데이터는 특히 DMARD (질환-조절 항류마티스 약물)의 것과 같은 질환 조절 작용을 나타낸다. 이는 도 5에 의해 설명된다. 일부 실험에서, 임상적으로 관련된 비교 물질, 즉 3일마다 피하로 투여된 TNF 길항제 에타네르셉트 (제0일부터 10 mg/kg 또는 25 mg/kg)를 또한 동물 모델에서 억제 유효성의 비교를 위해 시험하였다.
마우스에서의 생체내 콜라겐 항체-유발된 관절염 모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항염증 효과를 추가의 뮤린 관절염 모델에서 검사하였다. 이 목적을 위해, 암컷 Balb/c 마우스 (약 9주령, 찰스 리버 래보러토리즈, 캐나다 킹스턴)에 각각 제0일에 200 μl의 콜라겐 항체 칵테일 (10 mg/ml; 아르트리토맙(ArthritoMab), MD 바이오프로덕츠(MD Bioproducts))을 꼬리 정맥 내로 정맥내로 주사하였다 (연구에 포함된 건강한 대조군 제외). 제6일에, 이어서 이들 마우스는 각각 200 μl의 LPS의 추가의 복강내 주사를 받았다. 각 군에 n = 10마리의 마우스가 있었다. 건강한 대조군 및 질환 대조군 둘 다를 연구에 포함시켰다. 각 대조군에 오직 시험 물질의 비히클 (에탄올:땅콩 오일 10:90 v/v)을 사용한 치료를 예방적 방식으로 (즉 제0일부터) 또는 치료적 방식으로 (제9일부터) p.o. 제공하였다. 상이한 투여량의 시험 물질을 사용한 치료는 마찬가지로 예방적 방식으로 또는 치료적 방식으로 경구 투여에 의해 시작되었다. 실험의 과정에 걸쳐, 질환의 정도를 4개의 모든 발에 대한 질환 활성 점수에 대한 포인트 부여 시스템에 기초하여 점수화하였다. 이러한 포인트 부여에서, 건강한 발에 대해 어떠한 포인트도 부여하지 않은 반면, 각 경우에 발가락으로부터 중족 관절을 통해 발목 관절까지 발생하는 특정한 정도의 관절 염증에 대해 1 [예를 들어, 발가락(들)의 경도 염증] 내지 4 [전체 발에 걸쳐 확장되는 중증 염증]의 포인트를 부여하였으며, 하기와 같이 설명된다:
● 0 = 정상
● 1 = 족근 또는 발목 또는 발가락으로 제한된 홍반 및 경도 종창
● 2 = 발목으로부터 중족 (2개 분절)까지 확장된 홍반 및 경도 종창
● 3 = 발목으로부터 중족 관절까지 확장된 홍반 및 중등도 종창
● 4 = 중족, 발 및 발가락을 포괄하는 홍반 및 중증 종창
동시에, 실험의 과정에서, 발 부피를 체적변동측정기 (IITC 라이프 사이언스 인크., 미국)를 통해 관절 종창의 척도로서 측정하였다. 이 파라미터에 대해, 시작 상태를 각 경우에 실험 시작 1일 전에 (제-1일) 미리 결정하였고, 질환 활성 점수 및 발 부피를 후속적으로 제8일부터 이후로 1주에 3회 점수화하였다. 제21일에, 실험을 종결시키고, 슬관절 생검을 활막 내의 및 관절내 및 관절주위 조직 내의 염증 증상의 조직병리학적 분석을 위해 검사하였다. 조직병리학적 평가를 위해, 마찬가지로, 각각의 해당 파라미터 (염증, 연골 손상, 활막 증식증, 판누스, 골 손상, 골막 변화)의 손상의 정도에 따라, 병리학적 관절 손상의 존재 또는 중증도에 대해 0 내지 4의 포인트를 부여하는 점수를 사용하였다 (0 = 없음; 1 = 경미함; 2 = 중등도; 3 = 유의함; 4 = 심각함). 단일-인자 분산 분석 (ANOVA) 및 다중 비교 분석 (던넷 시험)에 의한 대조군과의 비교를 사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우스에서의 LPS의 후속적인 i.p. 투여를 포함한 콜라겐 항체 칵테일의 i.v. 투여는 마우스에서 뚜렷한 관절 염증을 동반한 급성 관절염으로 이어지고 (Holmdahl et al., APMIS 1989; McCann et al., Arthritis Res Ther, 2010), 따라서 관절염성 적응증인 건선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반응성 관절염 및 베크테레브병에 대한 추가의 동물 모델을 나타낸다. 실시예 화합물 12를 사용한 예방적, 뿐만 아니라 치유적 치료에 의해, 이 콜라겐 항체-유발된 관절염을 현저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였고, 뒷발 관절의 조직병리학적 데이터는 질환-조절 작용을 나타낸다. 이는 도 6에 의해 설명된다.
마우스에서의 생체내 MOG33 -35-유발된 만성 EAE (실험적 자가면역 뇌척수염) 모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항염증 활성을 결정하기 위해, 이들을 다발성 경화증 (MS)의 실험 동물 모델에서 그의 생체내 효능에 대해 검사하였다. 만성 MOG33 -35 (미엘린 핍지교세포 당단백질)-유발된 EAE (실험적 자가면역 뇌척수염) 모델은 MS 환자에서의 잠재적 사용을 위한 약리학적 물질을 시험하기 위한 표준 동물 모델이다. 이를 위해, 암컷 C57BL/6 마우스 (19-20 g; 잭슨 래보러토리즈, 미국 바 하버)를 무작위화하고, 군당 10 내지 15마리 동물의 군 강도로 사용하였다. 각 경우에 미코박테리움 투베르쿨로시스(mycobacterium tuberculosis) (MT; 8 mg/ml, 균주 H37RA)로 보충된 100 μl의 CFA (완전 프로인트 아주반트; 2 mg/ml) 중에 유화된 200 μg의 MOG33 -35 펩티드를 포함하는 용액 0.1 ml의 피하 주사를 사용하여, 제0일에 200 ng의 백일해 독소 (PTx; 0.1 ml의 PBS 중에 용해됨 (2 μg/ml))의 추가의 복강내 투여 (제0일 및 제2일)에 의해 EAE 장애를 유발하고, 그의 진행을 34일에 걸쳐 모니터링하였다. 실험은 또한 건강한 대조군 및 질환 대조군 둘 다를 포함하였으며, 이들 둘 다를 실시예 화합물 12의 비히클 (에탄올:땅콩 오일 10:90 v/v)로 p.o. 치료하였다. 대신에, 치료군은 상이한 1일 용량의 실시예 화합물 12를 예방적 요법으로서, 즉 제0일부터, 경구 투여에 의해 받았다. 파라미터 예컨대 EAE의 발생률 및 증상을 매일 체크하였다. 여기서, 장애의 중증도를 나타내는 포인트 시스템을 사용하여 EAE 증상을 점수화하였다 (EAE 질환 활성 점수):
● 0 = 정상, 건강함
● 1 = 늘어진/마비된 마우스 꼬리
● 2 = 늘어진/마비된 마우스 꼬리 및 뒷발의 약화
● 3 = 늘어진/마비된 마우스 꼬리 및 뒷발의 완전한 마비
● 4 = 마비된 꼬리, 뒷발의 완전한 마비 및 앞발의 부분적 마비
● 5 = 모든 앞발 및 뒷발의 완전한 마비, 안락사
EAE 유발 후 제34일에, 실험을 종결시키고, 특히, 혈액을 후속적인 바이오마커 분석을 위해 마우스로부터 채취하고, 척수를 신경축성 변성 및 림프구 침윤의 조직병리학적 평가를 위해 채취하였다. 장애의 중증도의 조직병리학적 평가를 위해, 척수를 헤마톡실린, 에오신 및 룩솔 패스트 블루(luxol fast blue)로 염색한 다음, 신경축성 변성, 백질 내로의 림프구 침윤 및 회백질 내로의 림프구 침윤을 포인트 시스템을 사용하여 맹검으로 점수화하였다 (0 = 정상, 소견 없음; 1 = 최소 소견; 2 = 경미한 소견; 3 = 중등도 소견; 4 = 유의한 소견; 5 = 중증 소견). 단일인자 분산 분석 ANOVA 및 다중 비교 분석 (던넷 시험)에 의한 대조군과의 비교를 사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화합물 12를 사용한 치료에 의해, MS에 대한 실험 모델인 유발된 EAE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여기서, 실시예 화합물은 스테로이드 (프레드니솔론; 제0일부터 매일 1 mg/kg p.o.) 또는 테리플루노미드 (오바지오(Aubagio)®; 제0일부터 매일 10 mg/kg p.o.)의 효능과 대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훨씬 우수하였으며, 이를 또한 실험에서 임상 비교 물질로서 시험하였다. 이는 도 7에 설명된다.
마우스에서의 생체내 이미퀴모드-유발된 건선 모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건선의 동물 모델에서 그의 항염증 효과에 대해 검사하였다. 마우스에서, TLR7/8 리간드 및 강력한 면역 활성화제인 이미퀴모드 (IMQ)의 국소 투여는 피부 상의 건선-유사 표현형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7일에 걸쳐, 매일 3.5 mg의 이미퀴모드 (70 mg의 5% 알다라(Aldara)® 크림 (메다 아베(Meda AB))과 동등함)를 마우스에게 미리 면도된 등의 피부 상에, 및 양쪽 귀 (외부)에 국소로 적용하였다. 또한 시험된 건강한 대조군은 대신에 파라핀 오일을 받았다. 후속적으로, IMQ 질환 대조군을, 건강한 대조군과 같이, 예방적으로, 즉 0일부터, 경구로 (p.o.) 매일 시험 화합물의 비히클 (솔루톨(Solutol) HS15-물 (40/60 v/v))로 치료하였다. 상이한 투여량의 시험 화합물을 사용한 매일 p.o. 치료를 또한 제0일에 개시하였다. 각 경우에, 군 크기는 n = 10마리 동물이었다. 실험 동안, 건선의 징후를 하기 기재된 임상 점수를 사용하는 포인트 시스템에 의해 매일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Figure pct00060
그에 병행하여, 매일 등의 피부 및 양쪽 귀를 디지털 캘리퍼 (쿠티미터(Kutimeter); 호렉스(Horex) 디지털 캘리퍼, 헬리오스-프라이서(Helios-Preisser), 독일)를 사용하여 두께 및/또는 부종의 형성에 관해 측정하였다. 2일마다, 각각의 마우스의 체중을 체크하였다. 제7일에, 실험을 종결시키고, 동물을 희생시킨 후, 등의 피부 및 귀를 후속적인 조직병리학적 평가를 위해 포르말린 중에서 고정시켰다. 마이크로톰 (레이카(Leica), 독일) 중의 파라핀 피부 절편 (2 μm)의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 후 귀 및 등의 피부의 이러한 조직병리학적 평가를 병리학자에 의해, 맹검 형태로 수행하였다. 여기서, 하기 측면을 검사하고, (검사된 각각의 파라미터에 대한) 포인트 시스템에 의해 그의 중증도에 대해 평가하였다: 부전각화증 (세포 핵 또는 각질층에 남아있는 세포 핵 잔류물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화 장애)/과다각화증 (피부의 과도한 각질화) 및 면역 세포의 진피 또는 표피 내로의 침윤. 여기서, 검사된 각각의 조직학적 파라미터를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 0 = 정상
● 1 = 경미한 변화
● 2 = 중등도 변화
● 3 = 유의한 변화
이어서, 모든 조직학적 파라미터를 합산하고, 총 조직학 점수로서 나타내었다. 또한, 피부 절편에서 표피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마우스에서의 IMQ-매개 피부 염증은 적응증 건선에 대한 또는 건선성 관절염에서의 피부 표현형에 대한 동물 모델을 나타낸다 (van der Fits et al., J Immunol 2009). 실시예 화합물 12를 사용한 치료에 의해, 유발된 건선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여기서, 실시예 화합물은 스테로이드 (베타메타손, 셀레스텐(Celestene)®; 매일 2.5 mg/kg p.o.) 또는 TNF 길항제 (에타네르셉트; 격일 5 mg/kg i.p.)의 효능과 대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훨씬 우수하였으며, 이를 또한 실험에서 임상 비교 물질로서 시험하였다. 이는 도 8에 의해 설명된다.
마우스에서의 생체내 DNFB-유발된 피부 염증 모델
마우스에서의 DNFB (2,4-디니트로-1-플루오로벤젠)-유발된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 (접촉성 알레르기)의 모델은 주로 제1형 T-헬퍼 림프구 (Th1 세포)에 의해 매개되는 지연형 (지연형 과민증; DTH)의 면역 반응의 배경을 갖는 염증성 피부 장애를 나타낸다. 피부의 이러한 Th1-매개 염증 반응은 건선, 건선성 관절염 및 알레르기성 접촉성 습진 동안의 염증 과정의 예를 나타낸다 (Roese et al., Exp Dermatol. 2012). 피부 염증을 촉발하기 위해, 암컷 NMRI 마우스 (22-24 g, 찰스 리버, 독일)를 미리, 제0일 및 제1일에, 등의 면도된 피부 (약 10 cm2 면적) 상에서 각 경우에 25 μl의 0.5% 강도 (w/v) DNFB 용액 (2,4-디니트로플로오로벤젠, 카탈로그 번호 70-34-8, 시그마 알드리치(Sigma Aldrich), 독일; 아세톤/올리브 오일 중에 용해됨; 4/1; v/v)을 사용하여 감작화시켰다. 각 경우에, 군 크기는 n = 10마리 마우스였다. 이어서, 제5일에 각 경우에 양쪽 귀의 외부 (귀당 약 2 cm2 면적)에 대한 20 μl의 0.3% 강도 (w/v) DNFB 용액 (아세톤/올리브 오일 중; 4/1; v/v)의 국소 적용에 의해 피부 염증을 촉발하였다. 건강한 대조군 (오직 용매 아세톤/올리브 오일 [4/1; v/v]에 의한 "감작 및 촉발"), 질환 대조군 (DNFB에 의한 감작 및 촉발) 및 자극 대조군 (오직 용매에 의한 감작, DNFB에 의한 촉발) 모두를 또한 실험에서 시험하였다. 이들 대조군을 피부 염증을 촉발하기 1시간 전에, 오직 시험 물질의 비히클 (에탄올:땅콩 오일, 10:90 v/v)로 p.o. 치료하였고, 치료군은 적절한 투여량의 시험 물질을, 마찬가지로 경구로 받았다. 제6일에 (염증을 촉발하고 24시간 후), 귀 두께를 개별적으로 각각의 귀에 대해 디지털 캘리퍼를 사용하여 결정하고, 각각의 마우스의 귀의 중량을 결정하였다. 1.5 ml의 균질물 완충제 중에서의 20초 동안의 귀의 균질화 (파인메카닉-베르크스타트(Feinmechanik-Werkstatt) (바이엘 아게(Bayer AG), 독일)에 의해 생산된 자동 균질화기)와 후속적인 원심분리 (15000 rpm; 12℃, 20분) 및 상청액의 제거에 의해 수득한 귀 균질물에서의 후속적인 분석에 의해, 특히, 호중구의 염증발생 조직 내로의 침윤에 대한 척도로서의 엘라스타제 활성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호중구 엘라스타제 (NE)의 프로테아제 활성을 정량화하기 위해, NE에 대해 고도로 특이적인 형광 표지된 기질 (MeOSuc - AAPV - AMC; 카탈로그 번호 I-1270, 바켐, 독일) (Castillo et al., 1979; Wiesner et al., 2005)을 사용하였다. 여기서, 재조합 뮤린 NE (카탈로그 번호 4517-Se-010, 알앤디 시스템즈, 독일; 균질물 완충제 중에 용해됨)를 표준 곡선으로서 사용하고, 균질물 완충제를 블랭크 값으로서 사용하였다. 엘라스타제 검정을 위해, 각 경우에 25 μl의 귀 균질물을 사용하고, 흑색 96-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 (편평 바닥, 눈크, 독일) 내로 피펫팅한 다음, 차가운 트리스BSA 완충제 중 1 mM MeOSuc-AAPV-AMC 기질 용액 25 μl와 혼합하였다. 미리가온된 플레이트 판독기 (스펙트라맥스 M2, 몰레큘라 디바이시스)를 사용하여 마이크로타이트 플레이트에서의 형광을 37℃ 및 λEx = 380 nm 및 λEm = 460 nm에서 30분 후에 측정하고, 호중구 엘라스타제의 양을 소프트웨어 소프트맥스프로 6.4에 의해, NE 표준 곡선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실시예 화합물 11 및 실시예 화합물 12를 사용한 치료에 의해, DNFB에 의해 촉발된 ThH1-매개 피부 염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이는 도 9에 제시된다.
마우스에서의 생체내 TMA-유발된 피부 염증 모델
마우스에서의 TMA (트리멜리트산 무수물)-유발된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 (접촉성 알레르기)의 모델은 주로 호산구 및 제2형 T-헬퍼 림프구 (THh2 세포)에 의해 매개되는 지연형 (지연형 과민증; DTH)의 면역 반응의 배경을 갖는 염증성 피부 장애를 나타낸다. 피부의 이러한 Th2-매개 염증 반응은 아토피성 피부염 및 접촉성 알레르기 동안의 염증 과정의 예를 나타낸다 (Sur et al., BMC Complement Altern Med. 2015). 피부 염증을 촉발하기 위해, 암컷 NMRI 마우스 (22-24 g, 찰스 리버, 독일)를 미리, 제0일에, 등의 면도된 피부 (약 10 cm2의 면적) 상에서 각 경우에 50 μl의 3% 강도 (w/v) TMA 용액 (카탈로그 번호 552-30-7, 시그마 알드리치, 독일; 아세톤/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중에 용해됨; 4/1; v/v)을 사용하여 감작화시켰다. 각 경우에, 군 크기는 n = 10마리 마우스였다. 이어서, 제5일에 각 경우에 양쪽 귀의 외부 (귀당 약 2 cm2 면적)에 대한 10 μl의 3% 강도 (w/v) TMA 용액 (아세톤/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중; 4/1; v/v)의 국소 적용에 의해 피부 염증을 촉발하였다. 건강한 대조군 (오직 용매 아세톤/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4/1; v/v]에 의한 "감작 및 촉발") 및 질환 대조군 (TMA에 의한 감작 및 촉발) 둘 다를 또한 실험에서 시험하였다. 이들 대조군이 피부 염증을 촉발하기 1시간 전에, 오직 시험 물질의 비히클 (에탄올:땅콩 오일 10:90 v/v)로 p.o. 치료된 반면, 치료군은 적절한 투여량의 시험 물질을, 마찬가지로 경구로 받았다. 제6일에 (염증을 촉발하고 24시간 후), 귀 두께를 개별적으로 각각의 귀에 대해 디지털 캘리퍼를 사용하여 결정하고, 각각의 마우스의 귀의 중량을 결정하였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수득할 수 있는 귀 균질물에서의 후속적인 분석에 의해, 특히, 상기 ("DNFB-유발된 피부 모델" 하에) 기재된 바와 같이, 호중구의 염증발생 조직 내로의 침윤에 대한 척도로서의 엘라스타제 활성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화합물 12를 사용한 치료에 의해, TMA에 의해 촉발된 Th2-매개 피부 염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이는 염증의 과정 동안의 부종 형성을 나타내는 파라미터 귀 두께 (델타 귀 두께 = 제6일 귀 두께 - 원래 귀 두께)를 사용하여 도 10에 제시된다.
마우스에서의 생체내 DSS-유발된 결장염 모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항염증 잠재력을 결정하기 위해, 이들 화합물을 장 염증의 동물 모델인 DSS (덱스트란 황산나트륨)-유발된 결장염 모델에서 평가하였다. 음용수를 통한 DSS의 감수성 마우스로의 투여는 전형적인 임상 증상 예컨대 혈성 설사, 체중 감소, 결장에서의 부종의 형성을 동반한 급성 장 염증 (결장염)의 발생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이는 적응증인 크론병 및 궤양성 결장염을 포함하는 IBD (염증성 장 질환)에 대한 실험 동물 모델이다 (Okaysu et al., Gastroenterol, 1990; Dieleman et al., Gastroenterol, 1994). 수컷 C57BL/6 마우스 (6-8주령; 찰스 리버, 미국; n = 10-12마리 마우스/군)는 제0일부터 제5일을 포함하여 그날까지, 결장염을 촉발하기 위해 음용수를 통해 매일 새로이 제조된 3% 강도 DSS (35-48 kDa; 카탈로그 번호 DB001; TDB 컨설턴시 아베(TDB Consultancy AB), 스웨덴)를 받았다. 또한 시험된 건강한 대조군 (n = 8마리 마우스)은 대신에 정상적인 음용수를 받았다. 각 경우에, 대조군 (건강한 대조군 및 결장염 질환 대조군)을 오직 시험 물질의 비히클 (에탄올:땅콩 오일 10:90 v/v)로 p.o. 치료하였다. 다양한 투여량의 시험 물질을 사용한 치료를 예방적으로, 즉 제0일부터, 제1 DSS 용량을 사용한 경구 투여에 의해 수행하였다. 여기서, 실험의 과정 동안, 체중 및 가능하게는 심지어 혈성 설사의 존재를 매일 평가하였다 (0-4 포인트의 포인트 시스템 [점수]을 통한 평가, 여기서 0 = 정상적인, 형태가 있는 대변, 1 = 부드러운, 형태가 있는 대변, 2 = 부드러운, 형태가 없는 대변, 3 = 수분이 많은 대변/설사, 4 = 혈성 설사). 여기서, 잠혈 시험 (카탈로그 번호 3060; 베크만 쿨터(Beckman Coulter), 독일)을 사용하여 잠혈성 대변을 검출하였다. 또한, 제10일 및 제16일에, 비디오 내시경검사 (칼 스톨츠 엔도스코프(Karl Storz Endoskope), 독일)를 이소플루란을 사용한 흡입 마취 하에 수행하여 결장염의 중증도를 평가하였으며, 여기서 장 손상의 정도는 하기와 같이, 0 내지 4 포인트의 포인트 시스템 (점수)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 0 = 정상, 건강함
● 1 = 혈관분포의 상실
● 2 = 혈관분포의 상실, 및 취쇄성
● 3 = 취쇄성 및 미란
● 4 = 궤양화 및 출혈
마지막 내시경검사 후에, 실험을 종결시키고, 혈액을 대정맥을 통해 제거하고, 결장을 그의 길이 및 그의 중량에 대해 시험하였으며, 이들 둘 다는 간접적 마커로서, 결장염의 중증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장벽의 결장염-연관 비후를 나타낸다. 장 (원위 및 근위 측면으로부터 각각 하나의 2 cm 피스)은 추가적으로 또한 포르말린 중에서의 고정 후에 파라핀 절편의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에 의해 조직병리학적으로 분석되었다. 만성 염증성 장 질환 (IBD)에 대한 실험적 모델인 마우스에서의 유발된 DSS 결장염은 실시예 화합물 12를 사용한 치료에 의해 억제될 수 있었다. 실시예 화합물 12의 효능은 임상적으로 관련된 참조 물질로서 실험에 포함된 승인된 생물제제 (항-IL-12p40, 10 mg/kg Q3D [3일마다] i.p., 제0일부터, 또는 항-TNF 휴미라®[아달리무맙], 10 mg/kg Q3D s.c., 제0일부터)의 효능과 대등하였다. 이는 도 12에 설명된다.
마우스에서의 생체내 프리스탄-유발된 SLE 모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항염증 활성을 결정하기 위해, 화합물을 SLE (전신 홍반성 루푸스)-모델에서 그의 생체내 효능에 대해 평가하였다. 프리스탄, 미네랄 오일 (2,6,10,14-테트라메틸펜타데칸)은 마우스로의 주사 후에, 문헌 [Satoh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1995; Thibault et al., Arthritis Res Ther. 2009; Thibault et al., J Clin Invest. 2008; Wu et al., Acta Pharmacol Sin. 2015; Hagberg and Roennblom, Scand J Immunol, 2015]에 기재된 바와 같이, 특징적인 기관 침범 (예를 들어 신염, 경도 미란성 관절염), 전형적인 자가-항체 생산, 예를 들어 항-이중 가닥 (ds) DNA 항체 (Leiss et al., Lupus 2013) 및 제1형 인터페론 (예를 들어 IFN-알파) 및 TLR 신호에 대한 의존을 동반한 전신 홍반성 루푸스를 일으킨다. 따라서, 제0일에, 각 경우에 500 μl의 프리스탄 (시그마, 카탈로그 번호 1921-70-6)을 암컷 Balb/c 마우스 (20-22 g, 찰스 리버 래보러토리즈, 미국)에게 복강내로 투여하였다. 각 경우에, 군 크기는 n = 10마리 마우스였다. 건강한 대조군 및 질환 대조군 둘 다를 또한 실험에서 시험하였다. 대조군 둘 다를 오직 시험 물질의 비히클 (에탄올:땅콩 오일 10:90 v/v)로 p.o. 치료하였다. 다양한 투여량의 시험 물질을 사용한 치료를 예방적으로, 즉 제0일부터, 프리스탄 주사 약 1시간 후의 경구 투여에 의해 수행하였다. 추가적으로, 제0일에, 소변 중 단백질 상태 (BSA [소 혈청 알부민]를 참조물로서 사용하는 쿠마시 브릴리언트 블루(Coomassie brilliant blue) G 250을 사용하여 측정된 단백뇨), 자가-항체 농도 (예를 들어 항-dsDNA) 및 혈청 중 크레아티닌 값 및 발 부피 (체적변동측정기 사용)와 관련한 동물의 기준선을 결정하였다. 이어서 실험의 과정 동안, 이들 파라미터를 모니터링하였다: 발 부피는 매주, 소변 중 단백질 상태 및 자가-항체 및 혈청 중 크레아티닌은 프리스탄 주사 후 제2, 4 및 6주. 프라스탄에 의한 SLE의 촉발 6주 후에, 실험을 종결시키고, 신장을 조직병리학적 평가를 위해 10% 중성-완충 포르말린 중에서 고정시키고, 후속적으로 5-μm-파라핀 절편을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 (H&E)으로 염색함으로써 병리학적으로 평가하였다. 여기서, 조직학적 소견을 포인트 시스템 (0 = 건강함, 1 = 신장 조직의 최소 변화, 2 = 경미한 변화, 3 = 중등도 변화, 4 = 신장 조직의 현저한 변화)을 사용하여 평가 및 분류하였다. 프리스탄-유발된 SLE에서의 결정적인 특성으로서의 루푸스 신염은 실시예 화합물 12를 사용한 치료에 의해 억제될 수 있었다. 실시예 화합물 12는 임상 참조 물질로서 실험에 포함된 면역억제제 시클로포스파미드 (50 mg/kg, 1주에 1회 p.o., 제0일부터)보다 약간 우수하였다. 이는 신장 병리상태의 평가에 의해 도 11에 설명된다.
마우스에서의 생체내 PLP139 -151-유발된 재발-완화형 EAE 모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항염증 잠재력을 결정하기 위해, 이들 화합물을 MS의 재발-완화형 동물 모델에서 급성 MS 에피소드의 치유적 치료를 위한 또는 새로운 에피소드를 방지하기 위한 그의 생체내 효능에 대해 평가하였다. 재발-완화형 PLP139-151 (단백질지질-단백질)-유발된 EAE 모델은 MS 환자에서의 잠재적 사용을 위한 약리학적 물질을 시험하기 위한 표준 동물 모델이다. 재발-완화형 EAE를 촉발하기 위해, 제0일에 마우스의 등의 4개의 상이한 측면 상에서 (상부 목 영역에서 2개, 꼬리 기저부로부터 약 2 cm 전방의 하부 영역에서 2개), PLP139 -151/CFA (훅 키트(Hooke Kit)™ PLP139 -151/CFA 에멀젼; 카탈로그 번호 EK-0120; 훅 래보러토리즈, 미국 매사추세츠주 로렌스)를 함유하는 에멀젼을 암컷 SJL 마우스 (8-10주령, 잭슨 래보러토리즈, 미국 바 하버) 내로 피하로 주사하였다 (0.05 ml/주사 부위). 또한 시험된 건강한 대조군 (n = 5마리 마우스)은 면역화되지 않았다. 이 대조군에 더하여, EAE 질환 대조군을 또한 실험에서 시험하였다. 연구의 과정 동안, 대조군 둘 다를 시험 물질의 비히클 (에탄올:땅콩 오일 10:90 v/v)로 p.o. 치료하였다. 상이한 투여량의 시험 물질 또는 그의 비히클을 사용한 매일 p.o. 치료를 제1 에피소드 동안 또는 에피소드 후에 치유적으로 수행하였다. 여기서, EAE의 발병 후의 치유적 치료 (제1 에피소드; 치료는 제12일에 시작함)는 급성 MS 에피소드를 치료할 가능성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반면, 제1 에피소드 후에 실시예 화합물을 사용한 치유적 치료 (치료는 제19일에 시작함)는 시험 물질이 새로운 에피소드를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는지 밝히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 PLP139 -151-유발된 EAE 모델에서, 제1 EAE 증상은 약 제11일에 나타난다. 제9일부터, 임상 EAE 증상을 매일 맹검으로 평가하였으며, 평가를 장애의 중증도를 나타내는 포인트 시스템 (점수; 포인트 0 = 건강함 내지 5 = 빈사)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MOG-EAE 모델에서와 동일한 점수 지표). 또한 체중 및 사망을 연구의 과정 동안 모니터링하였다.
도 1: 실시예 화합물 12에 대한 인간 단핵구-생성 DC에서의 IL-23의 억제. 데이터는 평균 값과 표준 편차로서 제시된다.
도 2: 2종의 공여자 (a, b)에 대한 실시예 화합물 12에 대해 예시적인 방식으로 제시된, 인간 CD4+ T 세포와 항-CD3/항-CD28/rhIL-23/rhIL-6/rhl-1베타/rhIL-2 (TH17 세포 분화 칵테일)의 자극 후 IL-17의 생산에 의해 측정된 6일 Th17 세포 분화의 억제. 데이터는 평균 값과 표준 편차로서 제시된다.
도 3: 실시예 화합물 12에 대한 (a) 이미퀴모드 (R837, TLR7/8 리간드)- 또는 (b) CpG-A-(TLR9 리간드)-자극 인간 형질세포양 DC에서의 INF-α의 억제. 데이터는 평균 값과 표준 편차로서 제시된다.
도 4: (a) 실시예 화합물 12를 사용한 LPS-유발된 염증의 치료는 마우스의 혈장 내의 분비된 TNFα 및 IL-6의 감소된 양으로 이어진다. (b) 실시예 화합물 11 및 12에 의한 TNFα의 억제는 이 경우에 임상적으로 관련된 TNF-길항제 [아달리무맙 (휴미라®), 에타네르셉트]와 대등하다. 데이터는 평균 값과 표준 편차로서 제시된다. 단일-인자 ANOVA 분산 분석과 던넷 시험에 의한 LPS 대조군과의 후속적인 다중 비교 분석; *p < 0.05; **p < 0.01; ***p < 0.001; ****p < 0.0001.
도 5: 관절염의 동물 모델 (아주반트-유발된 래트 모델)에서의 실시예 화합물 11의 항염증 효과. (a) 임상적으로 관련된 비교 물질 에타네르셉트와 비교한 예방적 (제0일부터) 치료 후 및 (b) 치유적 치료 (> 제9일) 후 관절염성 관절 염증의 유의하고 용량-의존성인 억제를 질환 활성 점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c)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에 의한 예방적 치료 후 관절의 조직병리학적 분석으로 이를 확인하였고, (d) MRI (자기 공명 영상화)에 의한 영상화 방법으로 이를 확인하였다. (e) 또한, 마우스의 그립 강도를 통해 측정된 통각과민의 현저한 억제를 실험의 과정 동안 관찰하였다. 활액 (f) 및 관절염성 뒷발 (g)의 생체외 분석은 실시예 화합물 11을 사용한 치료에 의한 시토카인 농도의 유의한 억제를 보여주었다. 데이터는 평균 값 + 표준 편차에 상응한다. 단일-인자 ANOVA 분산 분석과 던넷 시험에 의한 CFA 대조군과의 후속적인 다중 비교 분석; *p < 0.05; **p < 0.01; ***p < 0.001; ****p < 0.0001. 약어:
도 (a) 및 (b): "점수"는 질환 활성 점수를 의미함; "일"은 관절염의 유발 후 일수를 의미함; Etanerc. -에타네르셉트; ctrl. - 건강한 대조군; CFA ctrl. - 관절염 대조군. 도 c: "점수"는 "조직병리학 점수"를 의미함.
도 d:
I = ctrl. (건강한 대조군)
II = CFA ctrl. (관절염 대조군)
III = CFA + 200mg/kg#11 (IRAK4 억제제 실시예 11을 사용한 치료)
도 e: "%"는 그립 강도를 의미함; "일"은 관절염의 유발 후 일수를 의미함.
도 6: 관절염의 동물 모델 (콜라겐 항체-유발된 마우스 모델, CAIA)에서의 실시예 화합물 12의 항염증 효과. 질환 활성 점수를 사용하여 측정된, 예방적 (제0일) (a) 및 치유적 치료 (> 제9일) (b) 후 관절염성 관절 염증의 유의하고 용량-의존성인 억제. (c)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에 의한 관절염성 관절의 조직병리학적 분석으로 치유적 치료 후의 항염증 활성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화합물 12에 의한 관절염의 억제. 데이터는 평균 값 + 표준 편차에 상응한다. 콜라겐 항체 (AK) 대조군과 치료군 사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단일-인자 ANOVA 분산 분석과 후속적인 다중 비교 분석 (던넷 시험)에 의해 계산하였다 (*p < 0.05; **p < 0.01; ***p < 0.001; ****p < 0.0001). 약어: 도 (a) 및 (b) "점수"는 질환 활성 점수를 의미함; "일"은 관절염 유발 후 일수를 의미함; ctrl. - 건강한 대조군; CAIA - 관절염 대조군. 도 c "점수"는 "조직병리학 점수"를 의미함.
도 7: 테리플루노미드 및 프레드니솔론과 비교한 다발성 경화증의 동물 모델 (MOG33-35-유발된 EAE 마우스 모델)에서의 실시예 화합물 12의 항염증 작용. 화합물 12를 사용한 치료 후 신경축성 변성 (변성, 신경축삭, 백질) 및 백질 내로의 림프구 침윤 (침윤, 림프조직구성, 백질) 또는 회백질 내로의 림프구 침윤 (피질; 침윤, 림프조직구성, 회백질)에 의해 평가된, 장애의 임상적 중증도 (EAE 질환 활성 점수) (a), 장애의 발생률 (b) 및 척수의 조직병리학적 손상 (c)의 유의하고 용량-의존성인 억제. 데이터는 평균 값 + 표준 편차에 상응한다. MOG-EAE 대조군과 치료군 사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단일-인자 ANOVA 분산 분석과 후속적인 다중 비교 분석 (던넷 시험)에 의해 계산하였다 (*p < 0.05; **p < 0.01;***p < 0.001; ****p < 0.0001). 약어: 도 a "점수"는 EAE 질환 활성 점수를 의미함; "일"은 EAE 유발 후 일수를 의미함; ctrl. - 건강한 대조군; MOG-EAE - EAE 대조군. 도 b "%"는 EAE 질환 유병률을 의미함; "일"은 EAE 유발 후 일수를 의미함. 도 c "점수"는 백질에서의 신경축삭 변성과 관련한 조직병리학적 점수를 의미함. 도 d "점수"는 백질에서의 림프조직구성 침윤과 관련한 조직병리학적 점수를 의미함. 도 e "점수"는 회백질에서의 림프조직구성 침윤과 관련한 조직병리학적 점수를 의미함.
도 8: 건선의 동물 모델 (IMQ-유발된 마우스 모델)에서의 실시예 화합물 12의 항염증 작용. 임상 증상인 홍반, 박편화 및 등의 피부의 두께를 포함하는 임상 점수 (a) 및 병리학적 파라미터인 부전각화증, 염증 및 세포외유출을 평가하는, 귀의 조직병리학적 평가 (b) 또는 등의 피부의 조직병리학적 평가 (c)의 유의한 억제. 데이터는 평균 값 + 표준 편차에 상응한다. IMQ 대조군과 치료군 사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단일-인자 ANOVA 분산 분석과 후속적인 다중 비교 분석 (던넷 시험)에 의해 계산하였다 (*p < 0.05; **p < 0.01;***p < 0.001; ****p < 0.0001). 약어: Etanerc. - 에타네르셉트; Betameth - 베타메타손; po - 경구; ip - 복강내 주사; bid - 1일 2회; q2d - 격일.
도 9: TH1-매개 피부 염증의 동물 모델 (마우스에서의 DNFB-유발된 피부 염증 모델)에서의 실시예 화합물 12의 항염증 효과. 염증 동안의 부종 형성과 상관관계가 있는, 귀 중량 (mg)에 의해 입증된 피부 염증의 유의하고 용량-의존성인 억제. DNFB-대조군과 치료군 사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단일-인자 ANOVA 분산 분석과 후속적인 다중 비교 분석 (던넷 시험)에 의해 계산하였다 (*p <0.05; **p <0.01;***p <0.001; ****p <0.0001). 약어: y축 상의 "mg"은 귀 중량을 의미함; ctrl - 건강한 대조군; 자극 - 자극 대조군.
도 10: TH2-매개 피부 염증의 동물 모델 (마우스에서의 TMA-유발된 피부 염증 모델)에서의 실시예 화합물 12의 항염증 효과. 기준선과 비교한 귀 두께 (델타 [델타] 귀 두께 (mm))의 증가로서 제시된 피부 염증의 억제. 증가된 귀 두께는 염증에 대한 척도로서 제시되고 염증 반응 동안의 귀 조직에서의 부종 형성을 나타낸다. 약어: y축 상의 "mm"는 귀 중량의 변화 (델타)를 의미함; ctrl - 건강한 대조군.
도 11: 전신 홍반성 루푸스의 동물 모델 (프리스탄-유발된 마우스 모델)에서의 실시예 화합물 12의 항염증 효과. 신장의 조직병리학적 평가에 의해 제시된 신장 손상의 유의한 억제. 데이터는 평균 값 + 표준 편차에 상응한다. SLE 대조군과 치료군 사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단일-인자 분산 분석 ANOVA와 후속적인 다중 비교 분석 (던넷 시험)에 의해 계산하였다 (*p <0.05; **p <0.01; ***p <0.001; ****p <0.0001). 약어: "점수"는 신장 조직병리학 점수를 의미함; IRAK4i는 IRAK4 억제제, 여기서는 실시예 화합물 11을 의미함; CPA - 시클로포스파미드; ctrl. - 건강한 대조군; 2x - 1일 2회.
도 12: IBD (염증성 장 질환) 동물 모델 (마우스에서의 DSS-유발된 결장염)에서의 실시예 화합물 12의 항염증 효과. 제16일에 내시경검사에 의해 결정된, 궤양화를 포함한 장 염증의 유의한 억제. 내시경 평가는 결장 염증의 중증도 및 정도와 관련한 점수화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졌다. 데이터는 평균 값 + 표준 편차에 상응한다. DSS 대조군과 치료군 사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단일-인자 분산 분석 ANOVA와 후속적인 다중 비교 분석 (던넷 시험)에 의해 계산하였다 (*p <0.05; **p <0.01; ***p <0.001; ****p <0.0001). 약어: "점수"는 내시경검사 점수를 의미함; αIL-12p40 - 항-마우스 IL-12p40 모노클로날 항체; IRAK4i는 IRAK4 억제제, 여기서는 실시예 화합물 11을 의미함; BID - 1일 2회; Q3D - 3일마다.

Claims (18)

  1. IRAK4에 의해 매개되는 자가면역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부분입체이성질체, 거울상이성질체, 대사물, 염, 용매화물 또는 염의 용매화물.
    Figure pct00061

    여기서:
    R1은 C1-C6-알킬이며, 여기서 C1-C6-알킬 라디칼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할로겐, 히드록실, 비치환된 또는 일- 또는 다-할로겐-치환된 C3-C6-시클로알킬, 또는 R6, R7SO2, R7SO 또는 R8O 라디칼에 의해 동일하게 또는 상이하게 일- 또는 다치환되거나,
    또는
    Figure pct00062

    로부터 선택되는 기이며
    여기서 *는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기의 결합 부위를 나타내고;
    R2 및 R3은 항상 동일한 정의를 갖고 둘 다 수소 또는 C1-C6-알킬이고;
    R4는 할로겐, 시아노, 비치환된 또는 단일 또는 다중으로 동일하게 또는 상이하게 치환된 C1-C6-알킬 또는 비치환된 또는 단일 또는 다중으로 동일하게 또는 상이하게 치환된 C3-C6-시클로알킬이고, 치환기는 할로겐 및 히드록실의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5는 수소, 할로겐 또는 비치환된 또는 일- 또는 다-할로겐-치환된 C1-C6-알킬이고;
    R6은 O, S, SO 및 SO2의 군으로부터의 헤테로원자 또는 헤테로기를 함유하는, 4 내지 6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비치환된 또는 일- 또는 이-메틸-치환된 모노시클릭 포화 헤테로사이클이고;
    R7은 C1-C6-알킬이며, 여기서 C1-C6-알킬 라디칼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할로겐, 히드록실 또는 C3-C6-시클로알킬에 의해 동일하게 또는 상이하게 일- 또는 다치환되거나;
    또는 R7은 C3-C6-시클로알킬이고;
    R8은 C1-C6-알킬이며, 여기서 C1-C6-알킬 라디칼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할로겐에 의해 동일하게 또는 상이하게 일- 또는 다치환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R1은 C1-C6-알킬이며, 여기서 C1-C6-알킬 라디칼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플루오린, 히드록실 또는 R6, R7SO2, R7SO 또는 R8O 라디칼에 의해 동일하게 또는 상이하게 일- 또는 다치환되고;
    R2 및 R3은 항상 동일한 정의를 갖고 둘 다 수소 또는 C1-C3-알킬이고;
    R4는 할로겐, 시아노 또는 C1-C3-알킬이며, 여기서 C1-C3-알킬 라디칼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할로겐 또는 히드록실에 의해 동일하게 또는 상이하게 일- 또는 다치환되고;
    R5는 수소, 플루오린, 염소 또는 C1-C3-알킬이고;
    R6은 옥세타닐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라닐이고;
    R7은 C1-C4-알킬이며, 여기서 C1-C4-알킬 라디칼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히드록실에 의해 또는 시클로프로필에 의해 일치환되거나 또는 3개의 플루오린 원자에 의해 치환되고;
    R8은 비치환된 C1-C4-알킬 라디칼 또는 삼-플루오린-치환된 C1-C4-알킬 라디칼인
    화합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4는 디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메틸인 화합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5는 수소 또는 플루오린인 화합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 및 R3은 둘 다 수소 또는 메틸인 화합물.
  6. 제2항에 있어서,
    R1은 C2-C6-알킬이며, 여기서 C2-C6-알킬 라디칼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C2-C6-알킬 라디칼은 일-, 이- 또는 삼-플루오린-치환되거나 또는
    C2-C6-알킬 라디칼은 히드록실, R6, R7SO2, 또는 R8O에 의해 일치환되거나,
    또는 R1은 옥세타닐-치환된 C1-C3-알킬 라디칼이고;
    R2 및 R3은 항상 동일한 정의를 갖고 둘 다 수소 또는 메틸이고;
    R4는 비치환된 또는 일- 또는 다-할로겐-치환된 C1-C3-알킬 라디칼 또는 1개의 히드록실 기에 의해 치환된 C1-C3-알킬 라디칼 또는 1개의 히드록실 기 및 3개의 플루오린 원자에 의해 치환된 C1-C3-알킬 라디칼이고;
    R5는 수소, 플루오린 또는 C1-C3-알킬이고;
    R7은 C1-C3-알킬이고;
    R8은 C1-C4-알킬이며, 여기서 C1-C4-알킬 라디칼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일-, 이- 또는 삼-플루오린-치환된 것인
    화합물.
  7. 제6항에 있어서,
    R1은 히드록실 또는 C1-C3-알콕시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톡시 또는 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에 의해 치환된 C2-C5-알킬 라디칼이거나 또는
    메틸-SO2 -치환된 C2-C4-알킬 라디칼이거나 또는
    옥세탄-3-일-치환된 C1-C2-알킬 라디칼이고;
    R2 및 R3은 항상 동일한 정의를 갖고 둘 다 수소 또는 메틸이고;
    R4는 메틸, 에틸, 트리플루오로-C1-C3-알킬, 디플루오로-C1-C3-알킬, 히드록시메틸, 1-히드록시에틸, 2-히드록시프로판-2-일 및 2,2,2-트리플루오로-1-히드록시에틸이고;
    R5는 수소, 플루오린 또는 메틸인
    화합물.
  8. 제7항에 있어서,
    R1은 4,4,4-트리플루오로부틸, 3-히드록시-3-메틸부틸, 3-히드록시부틸, 3-메톡시프로필, 3-히드록시프로필, 3-히드록시-2-메틸프로필, 3-히드록시-2,2-디메틸프로필, 3-트리플루오로메톡시프로필, 2-메톡시에틸, 2-히드록시에틸, 2-(메틸술포닐)에틸 또는 3-(메틸술포닐)프로필이고;
    R2 및 R3은 둘 다 메틸 또는 수소이고;
    R4는 디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메틸이고;
    R5는 수소 또는 플루오린인
    화합물.
  9. 제8항에 있어서,
    R1은 3-히드록시-3-메틸부틸, 3-히드록시부틸, 3-히드록시-2-메틸프로필, 3-히드록시-2,2-디메틸프로필, 3-(메틸술포닐)프로필 또는 2-(메틸술포닐)에틸이고;
    R2 및 R3은 둘 다 메틸이고;
    R4는 디플루오로메틸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고;
    R5는 수소인
    화합물.
  10. 제8항에 있어서,
    R1은 3-히드록시-3-메틸부틸, 3-히드록시부틸, 3-히드록시-2-메틸프로필, 3-히드록시-2,2-디메틸프로필, 3-(메틸술포닐)프로필 또는 2-(메틸술포닐)에틸이고;
    R2 및 R3은 둘 다 메틸이고;
    R4는 메틸이고;
    R5는 플루오린이며, 여기서 R5는 R4에 대해 오르토 위치에 있는 것인
    화합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1) N-[6-(2-히드록시프로판-2-일)-2-(2-메톡시에틸)-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2) N-[6-(히드록시메틸)-2-(2-메톡시에틸)-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3) N-[6-(2-히드록시프로판-2-일)-2-(3-메톡시프로필)-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4) N-[6-(히드록시메틸)-2-(3-메톡시프로필)-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5) N-[2-(2-히드록시에틸)-6-(2-히드록시프로판-2-일)-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6) N-[6-(2-히드록시프로판-2-일)-2-(3-히드록시프로필)-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7) N-[2-(2-히드록시에틸)-6-(히드록시메틸)-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8) N-[6-(2-히드록시프로판-2-일)-2-(옥세탄-3-일메틸)-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9) N-[6-(히드록시메틸)-2-(옥세탄-3-일메틸)-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10) N-{6-(2-히드록시프로판-2-일)-2-[3-(메틸술포닐)프로필]-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11) N-[2-(3-히드록시-3-메틸부틸)-6-(2-히드록시프로판-2-일)-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12) N-{6-(2-히드록시프로판-2-일)-2-[2-(메틸술포닐)에틸]-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13) 6-(디플루오로메틸)-N-[2-(3-히드록시-3-메틸부틸)-6-(2-히드록시프로판-2-일)-2H-인다졸-5-일]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14) 6-(디플루오로메틸)-N-{6-(2-히드록시프로판-2-일)-2-[2-(메틸술포닐)에틸]-2H-인다졸-5-일}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15) 6-(디플루오로메틸)-N-[6-(2-히드록시프로판-2-일)-2-(3-히드록시프로필)-2H-인다졸-5-일]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16) N-[6-(2-히드록시프로판-2-일)-2-(4,4,4-트리플루오로부틸)-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17) N-{6-(2-히드록시프로판-2-일)-2-[3-(트리플루오로메톡시)프로필]-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18) N-{6-(2-히드록시프로판-2-일)-2-[3-(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프로필]-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19) 5-플루오로-N-[2-(3-히드록시-3-메틸부틸)-6-(2-히드록시프로판-2-일)-2H-인다졸-5-일]-6-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20) N-[2-(3-히드록시-3-메틸부틸)-6-(2-히드록시프로판-2-일)-2H-인다졸-5-일]-6-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21) 6-(2-히드록시프로판-2-일)-N-[6-(2-히드록시프로판-2-일)-2-(4,4,4-트리플루오로부틸)-2H-인다졸-5-일]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22) N-{2-[2-(1-히드록시시클로프로필)에틸]-6-(2-히드록시프로판-2-일)-2H-인다졸-5-일}-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인 화합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발성 경화증, 전신 홍반성 루푸스, 건선, 관절염 (특히 건선성 관절염, 베크테레브병, 류마티스 관절염, 반응성 관절염, 전신 소아 특발성 관절염), 만성-염증성 장 장애 (특히 크론병, 궤양성 결장염), 아토피성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습진의 치료 및/또는 예방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를 포함한 통증: 급성, 만성, 염증성 및 신경병증성 통증, 바람직하게는 통각과민, 이질통, 관절염 (예컨대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베크테레브병, 반응성 관절염, 전신 소아 특발성 관절염)으로부터의 통증, 수술후 통증, 척수 손상에 의해 유발되는 통증, 염증-유발된 통증, 요통, 신경병증성 통증 및 만성 통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14. IRAK4에 의해 매개되는 자가면역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
  15. 제14항에 있어서, 다발성 경화증, 전신 홍반성 루푸스, 건선, 관절염 (특히 건선성 관절염, 베크테레브병, 류마티스 관절염, 반응성 관절염, 전신 소아 특발성 관절염), 만성-염증성 장 장애 (특히 크론병, 궤양성 결장염), 아토피성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습진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용도.
  16. 제14항에 있어서, 하기를 포함한 통증: 급성, 만성, 염증성 및 신경병증성 통증, 바람직하게는 통각과민, 이질통, 관절염 (예컨대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베크테레브병, 반응성 관절염, 전신 소아 특발성 관절염)으로부터의 통증, 수술후 통증, 척수 손상에 의해 유발되는 통증, 염증-유발된 통증, 요통, 신경병증성 통증 및 만성 통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용도.
  17. IRAK4에 의해 매개되는 자가면역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II)의 화합물 및 그의 부분입체이성질체, 거울상이성질체, 대사물, 염, 용매화물 또는 염의 용매화물.
    Figure pct00063

    여기서
    R1은 4,4,4-트리플루오로부틸, 3-히드록시-3-메틸부틸, 3-메톡시프로필, 3-히드록시프로필, 3-히드록시부틸, 3-히드록시-2-메틸프로필, 3-히드록시-2,2-디메틸프로필, 3-트리플루오로메톡시프로필, 2-메톡시에틸, 2-히드록시에틸, 2-(메틸술포닐)에틸, 3-(메틸술포닐)프로필 또는 2-(1-히드록시시클로프로필)에틸이고;
    R4는 디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메틸이고;
    R5는 수소 또는 플루오린이다.
  18. 제17항에 있어서, 하기:
    메틸 5-{[(5-플루오로-6-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2-(3-히드록시-3-메틸부틸)-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및
    메틸 2-(3-히드록시-3-메틸부틸)-5-({[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2H-인다졸-6-카르복실레이트
    인 화학식 (III)의 화합물.
KR1020187034445A 2016-06-01 2017-05-24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2-치환된 인다졸의 용도 KR1024603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72507.2 2016-06-01
EP16172507 2016-06-01
PCT/EP2017/062535 WO2017207386A1 (de) 2016-06-01 2017-05-24 Verwendung von 2-substituierten indazolen zur behandlung und prophylaxe von autoimmunerkrankun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251A true KR20190015251A (ko) 2019-02-13
KR102460362B1 KR102460362B1 (ko) 2022-10-28

Family

ID=56097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4445A KR102460362B1 (ko) 2016-06-01 2017-05-24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2-치환된 인다졸의 용도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3) US20190125736A1 (ko)
EP (1) EP3463354A1 (ko)
JP (1) JP7099966B2 (ko)
KR (1) KR102460362B1 (ko)
CN (1) CN109152771B (ko)
AU (1) AU2017273771B2 (ko)
BR (1) BR112018074919A2 (ko)
CA (1) CA3025826A1 (ko)
CL (1) CL2018003409A1 (ko)
EA (1) EA201892790A1 (ko)
HK (1) HK1258914A1 (ko)
IL (1) IL263230B (ko)
JO (1) JOP20170136B1 (ko)
MA (1) MA45089A (ko)
MX (1) MX2018014897A (ko)
NZ (1) NZ748907A (ko)
PH (1) PH12018502531A1 (ko)
SG (2) SG11201810769QA (ko)
TN (1) TN2018000409A1 (ko)
TW (1) TWI784954B (ko)
UA (1) UA123916C2 (ko)
WO (1) WO20172073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O3705B1 (ar) 2014-11-26 2021-01-31 Bayer Pharma AG إندازولات مستبدلة جديدة، عمليات لتحضيرها، مستحضرات دوائية تحتوي عليها واستخدامها في إنتاج أدوية
EP3423446B1 (de) 2016-03-03 2020-09-16 Bayer Pharma Aktiengesellschaft Neue 2-substituierte indazol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pharmazeutische präparate die diese enthalten, sowie der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arzneimitteln
MA44759B1 (fr) 2016-04-29 2024-01-31 Bayer Pharma AG Forme polymorphe de n-(6-(2-hydroxypropan-2-yl)-2-[2-(méthylsulfonyl)éthyl]-2h-indazol-5-yl)-6-(trifluorométhyl)pyridine-2-carboxamide
SG11201808686VA (en) 2016-04-29 2018-11-29 Bayer Pharma AG Synthesis of indazoles
UA124237C2 (uk) * 2016-06-01 2021-08-11 Байєр Енімал Хелс Гмбх Заміщені індазоли, придатні для лікування і попередження алергійних і/або запальних захворювань у тварин
AU2019321267B2 (en) * 2018-08-13 2022-07-14 Gilead Sciences, Inc. Pyrrolo[1,2-b]pyridazine derivatives as IRAK4 inhibitors
CN111499612B (zh) * 2019-01-30 2022-12-30 上海美悦生物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作为irak抑制剂的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GB201904374D0 (en) * 2019-03-29 2019-05-15 Galapagos Nv Novel compunds and pharmaceutical composistions thereof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orders
US20230107927A1 (en) 2020-02-28 2023-04-06 First Wave Bio, Inc. Methods of treating iatrogenic autoimmune colitis
CN113521079A (zh) * 2020-04-20 2021-10-22 上海领泰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Irak4抑制剂在治疗ali/ards中的应用
US11866405B2 (en) 2020-12-10 2024-01-09 Astrazeneca Ab Substituted indazoles as IRAK4 inhibitors
CN113402499B (zh) 2021-06-21 2022-05-13 上海勋和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亚磺酰亚胺取代的吲唑类irak4激酶抑制剂、制备方法及用途
WO2023152349A1 (en) 2022-02-14 2023-08-17 Astrazeneca Ab Irak4 inhibitors
WO2023227703A1 (en) 2022-05-26 2023-11-30 Astrazeneca Ab Solid forms of heterocyclylamides as irak4 inhibito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1426A1 (de) * 2013-12-19 2015-06-25 Bayer Pharma Aktiengesellschaft Neue indazolcarboxamid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pharmazeutische präparate die diese enthalten, sowie der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arzneimitteln
WO2015104662A1 (en) * 2014-01-10 2015-07-16 Aurigene Discovery Technologies Limited Indazole compounds as irak4 inhibitors
WO2015193846A1 (en) * 2014-06-20 2015-12-23 Aurigene Discovery Technologies Limited Substituted indazole compounds as irak4 inhibitors
KR102083857B1 (ko) * 2014-11-26 2020-03-03 바이엘 파마 악티엔게젤샤프트 신규 치환된 인다졸, 그의 제조 방법, 상기 신규 치환된 인다졸을 함유하는 제약 제제, 및 약물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 신규 치환된 인다졸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46606B1 (es) 2002-07-23 2007-06-01 Izar Construcciones Navales S.A. Unidad semi-sumergible auto-propulsada para transporte y engorde de peces vivos.
WO2005082866A2 (en) 2004-02-20 2005-09-09 Pfizer Limited Substituted 1, 2, 4- triazole derivatives as oxytocin antagonists
CA2591332A1 (en) 2004-12-08 2006-06-15 Warner-Lambert Company Llc Methylene inhibitors of matrix metalloproteinase
TWI370820B (en) 2005-04-27 2012-08-21 Takeda Pharmaceutical Fused heterocyclic compounds
US7745477B2 (en) 2006-02-07 2010-06-29 Hoffman-La Roche Inc. Heteroaryl and benzyl amide compounds
US7879887B2 (en) 2006-06-29 2011-02-01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α-amino acid derivatives and medicaments contain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WO2009117421A2 (en) 2008-03-17 2009-09-24 Kalypsys, Inc. Heterocyclic modulators of gpr119 for treatment of disease
US20100094000A1 (en) 2008-09-03 2010-04-15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Pyrazole compounds
US20140113898A1 (en) 2010-11-08 2014-04-24 Zalicus Pharmaceuticals Ltd. Bisarylsulfone and dialkylarylsulfone compounds as calcium channel blockers
CN103402985A (zh) 2011-02-10 2013-11-20 先正达参股股份有限公司 杀微生物的吡唑衍生物
EP2489663A1 (en) 2011-02-16 2012-08-22 Almirall, S.A. Compounds as syk kinase inhibitors
EP2675812B1 (en) 2011-02-18 2017-08-30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Chroman - spirocyclic piperidine amides as modulators of ion channels
WO2013174744A1 (en) 2012-05-21 2013-11-28 Bayer Pharma Aktiengesellschaft Thienopyrimidines
TW201701879A (zh) * 2015-04-30 2017-01-16 拜耳製藥公司 Irak4抑制劑組合
UA124237C2 (uk) * 2016-06-01 2021-08-11 Байєр Енімал Хелс Гмбх Заміщені індазоли, придатні для лікування і попередження алергійних і/або запальних захворювань у твари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1426A1 (de) * 2013-12-19 2015-06-25 Bayer Pharma Aktiengesellschaft Neue indazolcarboxamid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pharmazeutische präparate die diese enthalten, sowie der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arzneimitteln
WO2015104662A1 (en) * 2014-01-10 2015-07-16 Aurigene Discovery Technologies Limited Indazole compounds as irak4 inhibitors
WO2015193846A1 (en) * 2014-06-20 2015-12-23 Aurigene Discovery Technologies Limited Substituted indazole compounds as irak4 inhibitors
KR102083857B1 (ko) * 2014-11-26 2020-03-03 바이엘 파마 악티엔게젤샤프트 신규 치환된 인다졸, 그의 제조 방법, 상기 신규 치환된 인다졸을 함유하는 제약 제제, 및 약물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 신규 치환된 인다졸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49456A1 (en) 2022-08-11
HK1258914A1 (zh) 2019-11-22
CN109152771B (zh) 2022-07-19
CA3025826A1 (en) 2017-12-07
BR112018074919A2 (pt) 2020-11-03
JOP20170136B1 (ar) 2023-09-17
SG10202011653WA (en) 2020-12-30
EP3463354A1 (de) 2019-04-10
WO2017207386A1 (de) 2017-12-07
CN109152771A (zh) 2019-01-04
US20190125736A1 (en) 2019-05-02
NZ748907A (en) 2023-04-28
PH12018502531A1 (en) 2019-10-21
EA201892790A1 (ru) 2019-06-28
SG11201810769QA (en) 2018-12-28
KR102460362B1 (ko) 2022-10-28
AU2017273771B2 (en) 2022-09-29
AU2017273771A1 (en) 2018-12-20
IL263230A (en) 2019-01-31
JP7099966B2 (ja) 2022-07-12
UA123916C2 (uk) 2021-06-23
TWI784954B (zh) 2022-12-01
IL263230B (en) 2021-09-30
TN2018000409A1 (en) 2020-06-15
MX2018014897A (es) 2019-04-24
MA45089A (fr) 2019-04-10
CL2018003409A1 (es) 2019-03-22
US20210085664A1 (en) 2021-03-25
JP2019517495A (ja) 2019-06-24
TW201742862A (zh) 2017-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0362B1 (ko)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2-치환된 인다졸의 용도
US10793545B2 (en) Substituted indazoles, methods for the production thereof, pharmaceutical preparations that contain said new substituted indazoles, and use of said new substituted indazoles to produce drugs
RU2743170C2 (ru) Замещенные индазолы, пригодные для лечения и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аллергических и/или воспалитель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у животных
EA040576B1 (ru) Применение 2-замещенных индазолов для лечения и/или профилактики нарушений, опосредованных irak4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