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4685A -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4685A
KR20190014685A KR1020170098451A KR20170098451A KR20190014685A KR 20190014685 A KR20190014685 A KR 20190014685A KR 1020170098451 A KR1020170098451 A KR 1020170098451A KR 20170098451 A KR20170098451 A KR 20170098451A KR 20190014685 A KR20190014685 A KR 20190014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g
main body
feed
amou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2229B1 (ko
Inventor
장현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즈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즈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즈워크
Priority to KR1020170098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229B1/ko
Publication of KR20190014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91Automatic devices with timing mechanisms, e.g. pet f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9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in bluetooth or WI-FI devices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견이 실내에서 후각을 사용하여 직접 간식 등의 음식을 찾아 먹도록 훈련시킴으로써, 애견의 스트레스와 분리불안 등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노즈워크 어플리케이션(Nosework Application)을 통해 사료나 간식의 분배 시간과 양을 조절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맞춤형 향기가 토출 분사되도록 제어하며, 애견 착용기로부터 무선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애견의 활동량과 선호 색상, 선호 향기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메인 본체; 상기 메인 본체보다 외형적 크기가 더 작고, 상기 메인 본체와 기능이 동일하되, 애견 관련 모든 데이터를 상기 메인 본체에 송신하며, 일정 영역마다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 모델; 및 상기 메인 본체 또는 상기 서브 모델과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애견의 목이나 몸에 착용되며, 애견의 행동에 따라 획득된 애견 활동 데이터를 상기 메인 본체에 전송하며, 애견의 활동량과 색상에 따른 반응 및 향기에 따른 반응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메인 본체에 전송하는, 애견 착용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Smart nosework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사용자와 함께 생활하고 있는 애완견이 실내에서 후각을 사용하여 직접 간식 등의 음식을 찾아 먹도록 훈련시키는 어플리케이션(App)과 관련 장치들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견은 70% 이상을 후각에 의지하여 생활하며, 후각 상피 세포는 감정, 기억 등과 같이 신경을 담당하는 뇌와 직접 연결되어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애견은 실내에서 성장하다보니 후각을 잘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스트레스, 짖음 등과 같은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그에 따라 실내에서 애견이 후각을 사용하여 직접 간식을 찾아먹는 훈련 프로세스가 필요하게 되었다.
기존의 훈련 프로세스는 정확한 간식 분배 시간과 양을 알 수 없었고, 박스 안의 내용물에서 애견에게 좋지 못한 인공적인 향들이 많았다.
그리고, 사용자가 애견과 함께 외출 시에는 훈련이 중단되고, 박스나 내용물의 오염으로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했으며, 애견의 정확한 활동량과 섬세한 관리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21902호(등록일 : 2005.10.07)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와 함께 생활하고 있는 애견이 실내에서 후각을 사용하여 직접 간식 등의 음식을 찾아 먹도록 훈련시키는 어플리케이션(App)과 관련 장치들을 제공함으로써, 시간 주기에 따라서 사료 양이 달라지며, 사전 훈련사와의 테스트를 통한 시간 및 간식 분배 프로세스를 통해 애견의 스트레스와 분리불안 등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노즈워크 어플리케이션(Nosework Application)을 통해 사료나 간식의 분배 시간과 양을 조절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맞춤형 향기가 토출 분사되도록 제어하며, 애견 착용기로부터 무선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애견의 활동량과 선호 색상, 선호 향기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메인 본체; 상기 메인 본체보다 외형적 크기가 더 작고, 상기 메인 본체와 기능이 동일하되, 애견 관련 모든 데이터를 상기 메인 본체에 송신하며, 일정 영역마다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 모델; 및 상기 메인 본체 또는 상기 서브 모델과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애견의 목이나 몸에 착용되며, 애견의 행동에 따라 획득된 애견 활동 데이터를 상기 메인 본체에 전송하며, 애견의 활동량과 색상에 따른 반응 및 향기에 따른 반응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메인 본체에 전송하는, 애견 착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본체와 무선 통신으로 연동하고, 상기 노즈워크 어플리케이션(Nosework Application)을 통해 간식의 분배 시간과 양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하고, 사용자에게 애견의 문제 행동 유형을 제공하여 선택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애견에 대한 문제 행동 선택에 따른 맞춤형 향기가 분사되도록 설정하며, 상기 메인 본체로부터 애견의 활동량과 선호 색상, 선호 향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이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노즈워크 어플리케이션(Nosework Application)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부; 상기 메인 본체로부터 애견의 활동량과 선호 색상, 선호 향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메인 본체로부터 수신된 애견의 활동량과 선호 색상, 선호 향기에 관한 정보를 화면이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애견에게 제공할 사료나 간식의 분배 시간과 양을 선택하거나, 상기 애견의 문제 행동 유형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 및 상기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사료나 간식의 분배 시간과 양에 관한 정보가 상기 메인 본체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선택부를 통해 애견에 대한 문제 행동 선택에 따른 맞춤형 향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명령을 상기 메인 본체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본체는, 간식이나 사료를 수용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간식이나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 공급부; 상기 서브 모델 및 상기 애견 착용기와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점등해 주는 LED 램프;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맞춤형 향기를 팬(Fan)을 통해 분사 토출하는 향기 토출부; 및 박스 형상으로 상기 메인 본체가 직립하도록 지지하고, 내부에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과, 상기 서브 모델 및 상기 애견 착용기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지지 박스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본체는, 상기 애견의 생육 정도 및 견종에 따른 정보를 관리하고, 애견이 섭취하는 사료의 양을 검출하며, 애견의 정보와 섭취하는 사료의 양을 정보로서 통합하여 정보로 관리하는 관리 모듈; 상기 애견의 생육 정보 및 견종에 따른 정보를 저장하는 애견정보 저장부; 및 상기 사료 공급부에 잔여하는 사료의 잔량을 검출하는 사료잔량 검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 모듈은, 일정 주기 별로 애견에 공급된 총 사료량과 남은 사료량을 데이터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애견의 생육 정보 및 견종에 따른 정보에 근거해 애견이 정상상태일 때 섭취하는 사료량과 일정 주기 별로 공급된 사료량을 비교하여, 비교된 결과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해 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료의 공급량 조절 명령에 따라 상기 사료 공급부를 통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간식이나 사료가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애견 착용기는, 목걸이 형태로 애견의 목에 착용되고, 상기 메인 본체와 일정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면, 블루투스(Bluetooth) 기능을 통해 애견의 활동에 따라 획득한 애견의 활동량, 색상에 따른 반응, 향기에 따른 반응 관련 데이터를 상기 메인 본체로 전송해 주게 된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방법은, (a) 사용자 단말기에서, 노즈워크 어플리케이션(Nosework Application)을 통해 노즈워크 서비스를 위한 애견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설정된 노즈워크 서비스를 위한 애견 정보를 메인 본체에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메인 본체에서, 상기 전송받은 애견 정보에 따라 사료 공급부를 통해 사료나 간식을 공급하는 단계; (d) 상기 메인 본체에서, 상기 전송받은 애견 정보에 따라 향기 토출부를 통해 맞춤형 향기를 분사 토출하는 단계; (e) 애견 착용기에서, 애견의 활동에 따른 활동량과, 색상에 따른 반응, 향기에 따른 반응에 관한 관리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f) 상기 애견 착용기에서, 상기 메인 본체에 일정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면, 상기 취득한 관리 데이터를 상기 메인 본체에 전송하는 단계; 및 (g) 상기 메인 본체에서, 상기 애견 착용기로부터 수신한 관리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해 주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애견에게 제공할 사료나 간식의 분배 시간과 양을 선택하거나, 상기 애견의 문제 행동 유형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문제 행동 유형에 따른 맞춤형 향기가 토출되도록 명령하는 애견 정보를 상기 메인 본체에 전송한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메인 본체는, 상기 애견의 생육 정도 및 견종에 따른 정보를 관리하고, 애견이 섭취하는 사료의 양을 검출하며, 애견의 정보와 섭취하는 사료의 양을 정보로서 통합하여 상기 (g) 단계에서 분석된 결과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해 줄 때 함께 전송해 준다.
상기 (g) 단계에서 상기 메인 본체는, 일정 주기 별로 애견에 공급된 총 사료량과 남은 사료량을 데이터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애견의 생육 정보 및 견종에 따른 정보에 근거해 애견이 정상상태일 때 섭취하는 사료량과 일정 주기 별로 공급된 사료량을 비교하여, 비교된 결과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해 준다.
상기 (g) 단계 이후에 상기 메인 본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사료의 공급량 조절 명령에 따라 상기 사료 공급부를 통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간식이나 사료가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들, 장점들 및 특징들은 다음의 섹션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전체 출원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에 기초하여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출을 자주 하지 못하는 애견이나, 하루 중 혼자 지내는 시간이 많은 애견이나, 문제 행동이 발생하는 애견 등이 노즈워크 서비스를 통해 간식을 분배받을 수 있으며, 실내에서 외출을 누리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애견의 주인(사용자)은 노즈워크 서비스를 통해 애견에 대한 관찰 및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된 결과를 스마트 폰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애견 활동량을 체크하고, 애견이 선호하는 색상이나 향기 등을 확인하여 참고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탑재로 충전이 불필요하고, 애견의 목에 착용하는 기기를 통해 음이온, 벌레 퇴치 기능을 실현하여, 애견의 건강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본체의 외관 형상 및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애견에게 제공할 사료나 간식의 분배 시간을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애견의 종류와 문제 행동 유형을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본체에서 소음 감지와 움직임 감지, LED 측정에 따른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견 착용기와 메인 본체 간의 동작을 통한 노즈워크 서비스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즈워크 서비스에 회원 가입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즈워크 서비스에 로그인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즈워크 서비스에서 반려견을 등록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즈워크 서비스에서 훈련하기를 등록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즈워크 서비스에서 메인 본체를 등록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즈워크 서비스에서 메인 본체의 기능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본체에 대해 수면 모드를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즈워크 서비스에서 반려견 상태나 제품 상태에 대한 알림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즈워크 서비스에서 다른 반려견을 등록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즈워크 서비스에서 반려견 정보를 편집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즈워크 서비스에서 반려견에 대한 종합 평가를 제공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되지 않는다.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노즈워크(Nosework)'란 애완동물(특히, 개 또는 강아지)을 훈련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훈련법으로서, 후각을 이용해 냄새를 맡아 활동하게 하는 것이며, 이렇게 냄새를 맡고 싶어하는 욕구와 같은 본능적인 일을 하고 싶어하는 욕구를 대리 충족시킴으로써 애완동물의 불만이나 스트레스를 해소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훈련법에 의하면, 애완동물의 배변 습관, 짖는 습관 등을 고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노즈워크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해 메인 본체와 서브 모델, 애견 착용기 및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스마트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시스템(100)은, 메인 본체(110)와, 하나 이상의 서브 모델(120~124), 애견 착용기(130) 및 사용자 단말기(140)를 포함한다.
메인 본체(110)는 노즈워크 어플리케이션(Nosework Application)을 통해 사료나 간식의 분배 시간과 양을 조절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맞춤형 향기가 토출 분사되도록 제어하며, 애견 착용기로부터 무선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애견의 활동량과 선호 색상, 선호 향기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서브 모델(120~124)은, 메인 본체(110)보다 외형적 크기가 더 작고, 메인 본체와 기능이 동일하되, 애견 관련 모든 데이터를 메인 본체에 송신하며, 일정 영역마다 하나씩 배치된다. 노즈워크 서비스는 집안 크기에 따라 메인 본체(110)의 박스 개수가 늘어나야 한다. 박스가 많을수록 애견이 후각 활동을 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메인 본체(110)는 크기와 비용을 고려할 때 많은 개수를 배치할 수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메인 본체(110)보다 크기가 작은 서브 모델(120~124)을 다수 개로 추가하고, 메인 본체(110)가 중앙 관리자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집안 크기에 따라 노즈워크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애견 착용기(130)는 메인 본체(110) 또는 서브 모델(120~124)과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예컨대, 목에 착용하는 형태로서 애견의 목이나 몸에 착용되며, 애견의 행동에 따라 획득된 애견 활동 데이터를 메인 본체(110)에 전송하며, 애견의 활동량과 색상에 따른 반응 및 향기에 따른 반응에 관한 데이터를 메인 본체(110)에 전송한다.
즉, 애견 착용기(130)는, 목걸이 형태로 애견의 목에 착용되고, 메인 본체(110)와 일정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면, 블루투스(Bluetooth) 기능을 통해 애견의 활동에 따라 획득한 애견의 활동량, 색상에 따른 반응, 향기에 따른 반응 관련 데이터를 메인 본체로 전송해 주게 된다. 여기서, 애견 착용기(13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애견의 주변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 감지 센서와, LED 색상을 측정하는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40)는, 예컨대, 스마트폰(Smart Phone)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메인 본체(110)와 무선 통신으로 연동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노즈워크 어플리케이션(Nosework Application)을 통해 간식의 분배 시간과 양을 설정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40)는 화면을 통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애견의 문제 행동 유형을 제공하여 선택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애견에 대한 문제 행동 선택에 따른 맞춤형 향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40)는 메인 본체(110)로부터 애견의 활동량과 선호 색상, 선호 향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이나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본체의 외관 형상 및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본체(110)는, 외관 상으로 사료 공급부(202), LED 램프(204), 향기 토출부(206), 지지 박스부(208)를 포함하고, 그 내부에 통신모듈(210), 사료잔량 검출부(220), 관리 모듈(230), 애견정보 저장부(240) 및 제어모듈(250)을 포함한다.
사료 공급부(202)는 간식이나 사료를 수용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간식이나 사료를 공급한다. 여기서, 사료 공급부(202)는 메인 본체(110)의 상단부에 사료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모터(미도시)를 구비하여, 모터의 동작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사료나 간식이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사료 공급부(202)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내부에 수용된 사료나 간식이 내부에 잔여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LED 램프(204)는 서브 모델(120~124) 및 애견 착용기(130)와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LED로 점등해 준다. 예컨대, 서브 모델(120~124)과의 통신 때에는 녹색 LED가 점등되도록 하고, 애견 착용기(130)와의 통신 시에는 파란색 LED가 점등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LED 램프(204)는 애견에게 사료나 간식을 공급하고 있는 경우에는 녹색 LED와 파란색 LED가 번갈아가며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LED 램프(204)는 LED 조명 기능은 물론 LED 조명의 색상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집안 분위기를 연출할 수도 있다.
향기 토출부(206)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맞춤형 향기를 팬(Fan)을 통해 분사 토출한다.
지지 박스부(208)는, 박스 형상으로 메인 본체(110)가 직립하도록 지지한다.
통신 모듈(210)은, 서브 모델(120~124) 및 애견 착용기(130)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사료잔량 검출부(220)는 사료 공급부(202)에 잔여하는 사료의 잔량을 검출한다.
관리모듈(230)은, 애견의 생육 정도 및 견종에 따른 정보를 관리하고, 애견이 섭취하는 사료의 양을 검출하며, 애견의 정보와 섭취하는 사료의 양을 정보로서 통합하여 정보로 관리한다.
애견정보 저장부(240)는 애견의 생육 정보 및 견종에 따른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모듈(250)은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 모듈(250)은, 일정 주기 별로 애견에 공급된 총 사료량과 남은 사료량을 데이터로 사용자 단말기(140)에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애견의 생육 정보 및 견종에 따른 정보에 근거해 애견이 정상상태일 때 섭취하는 사료량과 일정 주기 별로 공급된 사료량을 비교하여, 비교된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40)에 전송해 주며, 사용자 단말기(140)로부터 전송된 사료의 공급량 조절 명령에 따라 사료 공급부(202)를 통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간식이나 사료가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메인 본체(11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애견의 주변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 감지 센서와, LED 색상을 측정하는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40)는, 통신부(310), 어플리케이션부(320), 선택부(330), 저장부(340), 제어부(350) 및 출력부(360)를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메인 본체(110)로부터 애견의 활동량과 선호 색상, 선호 향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어플리케이션부(320)는 서버 등으로부터 다운로드 형태로 제공받은 노즈워크 어플리케이션(Nosework Application)이 프로그램 형태로 설치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실행된다.
선택부(330)는 애견에게 제공할 사료나 간식의 분배 시간과 양을 선택하거나, 애견의 문제 행동 유형을 선택하게 된다.
저장부(340)는 메인 본체(110)로부터 수신한 애견의 활동량과 선호 색상, 선호 향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부(350)는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사료나 간식의 분배 시간과 양에 관한 정보가 메인 본체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선택부를 통해 애견에 대한 문제 행동 선택에 따른 맞춤형 향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명령을 메인 본체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출력부(360)는 메인 본체(110)로부터 수신된 애견의 활동량과 선호 색상, 선호 향기에 관한 정보를 화면이나 음성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선택부(330) 및 출력부(360)는 예컨대,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하여, 화면을 통해 UI(User Interface) 방식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통해 각 기능의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40)에서, 노즈워크 어플리케이션(Nosework Application)을 통해 노즈워크 서비스를 위한 애견 정보를 설정한다(S410).
예를 들면, 사용자는 노즈워크 서비스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견에게 제공할 사료나 간식의 분배 시간과 양을 선택하여 설정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견의 문제 행동 유형을 선택하고, 선택된 문제 행동 유형에 따른 맞춤형 향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명령 등을 설정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애견에게 제공할 사료나 간식의 분배 시간 등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노즈워크 서비스를 위한 애견의 종류와 문제 행동 유형을 선택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어, 사용자 단말기(140)는, 설정된 노즈워크 서비스를 위한 애견 정보를 메인 본체(110)에 전송한다(S420).
즉, 사용자 단말기(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견에게 제공할 사료나 간식의 분배 시간과 양을 선택하여 설정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견의 문제 행동 유형을 선택하고, 선택된 문제 행동 유형에 따른 맞춤형 향기가 토출되도록 명령을 설정한 애견 정보를 메인 본체(110)에 전송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애견에게 제공할 사료나 간식의 분배 시간을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애견의 종류와 문제 행동 유형을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사용자단말기(140)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법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4G, 3G, NFC 등을 채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통신모듈을 적용함으로써 다른 통신방법(지그비 등)이 채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어, 메인 본체(110)는, 전송받은 애견 정보에 따라 사료 공급부(202)를 통해 사료나 간식을 공급한다(S430).
여기서, 사료는 애완동물이 식용하는 것일 수도 있으나, 노즈워크를 위한 훈련용 사료 또는 장난감 등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140)에서 사료 공급의 조절은 모터를 조절하여 공급되는 사료의 양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는 사용자 단말기(140)에 표시되는 UI(User Interface)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사료 공급 조절에 의한 UI는 사료 공급부(202)의 모터 구동각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소정의 각도(5 내지 10°간격으로 표시되는 출력창)를 선택하여 선택된 각도만큼 사료 공급부(202)의 모터가 회동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다른 일예로는 터치(touch) 및 드래그(drag) 방식으로 사용자가 직접 드래그하여 드래그된 만큼 사료 공급부(202)의 모터가 회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메인 본체(110)는, 관리 모듈(230)을 통해 애견의 생육 정도 및 견종에 따른 정보를 관리하고, 사료잔량 검출부(220)를 통해 애견이 섭취하는 사료의 양을 검출하며, 애견의 정보와 섭취하는 사료의 양을 정보로서 통합하여 애견정보 저장부(240)에 저장하고, 이후 관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데이터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140)에 전송해 준다. 여기서, 애견정보 저장부(240)는 애견의 생육 정보 및 견종에 따른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140)를 통해 입력된 정보도 저장할 수 있다. 사료잔량 검출부(220)는 예컨대, 무게 측정 센서를 통해 사료의 잔량을 검출하거나, 사료 공급부(202)의 측면에 설치된 물체 감지 센서를 통해 사료의 잔량을 검출할 수도 있다.
이어, 메인 본체(110)는, 전송받은 애견 정보에 따라 향기 토출부(206)를 통해 맞춤형 향기를 분사 토출한다(440).
예를 들면, 애견 정보로서 애견의 문제 행동 유형이 "분리 불안"인 경우에, 메인 본체(110)는 애견의 불안정한 상태를 안정되게 할 수 있는 맞춤형 아로마 향기가 향기 토출부(260)를 통해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애견 착용기(130)에서는, 애견의 활동에 따른 활동량과, 색상에 따른 반응, 향기에 따른 반응에 관한 관리 데이터를 취득한다(S450).
이어, 애견 착용기(130)는, 애견이 활동하면서 이동하여, 메인 본체(110)에 일정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면, 취득한 관리 데이터를 메인 본체(110)에 전송한다(S460).
이어, 메인 본체(110)에서는, 애견 착용기(130)로부터 수신한 관리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40)에 전송해 준다(S470).
이때, 메인 본체(110)는, 일정 주기 별로 애견에게 공급된 총 사료량과 남은 사료량을 데이터로 사용자 단말기(140)에 전송해 줄 수 있다.
또한, 메인 본체(110)는 애견의 생육 정보 및 견종에 따른 정보에 근거해 애견이 정상상태일 때 섭취하는 사료량과 일정 주기 별로 공급된 사료량을 비교하여, 비교된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40)에 전송해 줄 수 있다.
이후에, 메인 본체(110)는, 사용자 단말기(140)로부터 전송받은 사료의 공급량 조절 명령에 따라 사료 공급부(202)를 통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간식이나 사료가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시스템(100)에서, 메인 본체(110)는 수집 데이터에 근거해 애견종류 별로 일정 기간의 고민사항(문제유형)과 사료 공급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사료 공급량을 애견종류와 연령, 선호 색상, 선호 향기에 매칭시켜 학습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본체(110)는 학습 데이터에 대해 모델링하여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모델링 데이터군과, 생성한 모델을 검증하기 위한 검증 데이터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본체(110)는 모델링 데이터군에 대해, 애견종류 별로 고민사항(문제유형)과 선호 향기, 선호 색상 및 사료 공급량을 학습하여, 고민사항(문제유형)과 사료 공급량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추정 함수식을 산출할 수 있다.
즉, 메인 본체(110)는 애견종류 별 각 고민사항(문제유형) 데이터와, 추정 함수식의 그래프에 해당하는 추정 데이터들 간의 거리값들을 각각 산출하고, 각각 산출된 거리값들을 모두 합하여 애견종류 수에 따른 데이터 개수로 나누어, 산출된 거리값들 중 최소가 되고 추정 함수식의 그래프에 가장 근접하는 애견종류와 사료 공급량을 가지는 함수식의 기울기(a) 값과 절편(b)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어, 메인 본체(110)는 산출된 기울기(a) 값과 절편(b) 값을 추정 함수식에 대입해 선정 함수식(y=ax+b)을 결정하여, 고민사항(문제유형)에 따른 사료 공급량을 산출하기 위한 선정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본체(110)는 애견종류 별로 산출한 각 고민사항(문제유형)을 선정 모델에 각각 대입하여 애견종류 별로 사료 공급량을 각각 산출하고, 애견종류 별로 애견연령 및 사료 공급량을 비교하여 내림차순으로 리스팅(listing)하며, 리스팅의 결과에 따라, 애견연령 및 사료 공급량이 가장 최상위에 해당되는 애견종류부터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애견연령 및 사료 공급량검증 데이터군에 대해, 애견종류 별로 각각의 사료 공급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각 사료 공급량을 선정 모델에 각각 대입하여 고민사항(문제유형)과 선호 향기, 선호 색상 등을 각각 선정하고, 애견종류 별로 산출된 각각의 고민사항(문제유형) 및 사료 공급량에 대해, 추정 함수식의 그래프와의 거리값들을 산출하며, 산출된 거리값들에 대한 거리 평균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 평균값을 최소가 되는 거리값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근거해, 산출된 거리 평균값과 최소가 되는 거리값의 차이가 오차 범위 이내인가의 여부에 따라 선정 모델을 검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본체에서 소음 감지와 움직임 감지, LED 측정에 따른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견 착용기(130)는, 소음 감지 센서에 대해, 애견이 외출하는 외출설정이 아닌 경우에(N) 소음 감지 센서를 오프(OFF)시키고, 외출 설정인 경우에(Y) 주변 소음이 95 dB 이상일 때 측정을 실행한다. 애견 착용기(130)는 5초 이내에 95 dB 이상의 소음이 측정되면(Y), 소음 측정 관련 메시지를 메인 본체(110)와 사용자 단말기(140)에 전송해 준다.
또한, 애견 착용기(130)는 블루투스 목걸이 형태로서 애견의 목에 착용된 상태에서, 3초마다 메인 본체(110)에 신호를 전송하고, 메인 본체(110)에 30 Cm 이내로 접근하여 메인 본체(110)로부터 신호를 감지하면(Y), 짖음이나 활동량, 색상 등의 데이터를 메인 본체(110)와 사용자 단말기(140)에 전송해 준다.
그리고, 애견 착용기(130)는 LED 점등을 감지하는 센서를 통해, 변동되는 RGB 값을 판단하고, 애견의 움직임이 감지되고(Y), 블루투스 목걸이 형태의 애견 착용기(130)의 접근이 감지되면(Y), 그 때의 시간을 측정하며(Time measurement), RGB 데이터와 시간 데이터를 메인 본체(110)로 전송해 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견 착용기와 메인 본체 간의 동작을 통한 노즈워크 서비스의 한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즈워크 서비스 시스템(100)은, 메인 본체(SERVER)(110)와 애견 착용기(130) 및 사용자 단말기(140) 간에 연동하고, 모드가 입력되어 수면 모드인 경우(Y), 메인 본체(110)는 간식은 o시간(h) oo분(m) 공급되도록 하고, 향기는 o시간(h) 동안 토출되도록 제어한다.
수면 모드가 아니고(N), 스트레스 해소인 경우(Y), 메인 본체(110)는 간식 oo분(m) - 간식 oo분(m) - 간식 oo분(m) - 휴식(rest)의 1 사이클(cycle) 적응 단계를 실행한다.
수면 모드가 아니고(N), 스트레스 해소도 아니고(N), 짖음 문제인 경우(Y), 메인 본체(110)는 간식(A) oo분(m) - 간식(A) oo분(m) - 간식 oo분(m) - 휴식(rest)의 1 사이클(cycle) 적응 단계를 실행한다.
수면 모드가 아니고(N), 스트레스 해소도 아니고(N), 짖음 문제도 아니며(N), 분리 불안인 경우(Y), 메인 본체(110)는 간식(A) oo분(m) - 간식(A) oo분(m) - 간식 oo분(m) - 휴식(rest)의 1 사이클(cycle) 적응 단계를 실행한다.
수면 모드가 아니고(N), 스트레스 해소도 아니고(N), 짖음 문제도 아니고(N), 분리 불안도 아니며(N), 무는 행동인 경우(Y), 메인 본체(110)는 간식(A) oo분(m) - 간식(A) oo분(m) - 간식 oo분(m) - 휴식(rest)의 1 사이클(cycle) 적응 단계를 실행한다.
그리고, 전술한 4 사이클 동작이 아닌 경우에(N), 메인 본체(110)는 전술한 적응 단계 사이클(cycle)을 반복한다.
한편, 전술한 적응 단계의 4 사이클 동작의 실행이 완료되면(Y), 메인 본체(110)는 아래와 같이 활동 단계를 실행한다.
활동 단계에서는, 먼저 스트레스 해소인 경우(Y), 메인 본체(110)는 간식 oo분 - 간식 oo분(m) - 휴식(rest)의 1 사이클(cycle) 활동 단계를 실행한다.
이어, 활동 단계에서, 스트레스 해소도 아니고(N), 짖음 문제인 경우(Y), 메인 본체(110)는 간식(A)- o분(m)- 간식(A)- oo분(m) 휴식(rest)의 1 사이클(cycle) 활동 단계를 실행한다.
이어, 활동 단계에서, 스트레스 해소도 아니고(N), 짖음 문제도 아니고(N), 분리 불안인 경우(Y), 메인 본체(110)는 간식(A)- o분(m)- 간식(A)- o분(m)- 간식- oo분(m) 휴식(rest)의 1 사이클(cycle) 활동 단계를 실행한다.
이어, 활동 단계에서, 스트레스 해소도 아니고(N), 짖음 문제도 아니고(N), 분리 불안도 아니고(N), 무는 행동인 경우(Y), 메인 본체(110)는 간식(A)- o분(m)- 간식(A)- oo분(m) 휴식(rest)의 1 사이클(cycle) 활동 단계를 실행한다.
위와 같이 3 사이클 동작이 아니면(N), 메인 본체(110)는 전술한 활동 단계 사이클을 반복한다.
한편, 전술한 활동 단계의 3 사이클 동작이 실행되면(Y), 메인 본체(110)는 아래와 같이 안정 단계를 실행한다.
안정 단계에서는, 먼저 스트레스 해소인 경우(Y), 메인 본체(110)는 간식- oo분(1회)의 1 사이클(cycle) 안정 단계를 실행한다.
이어, 안정 단계에서, 스트레스 해소도 아니고(N), 짖음 문제인 경우(Y), 메인 본체(110)는 간식- oo분(1회)의 1 사이클(cycle) 안정 단계를 실행한다.
이어, 안정 단계에서, 스트레스 해소도 아니고(N), 짖음 문제도 아니고(N), 분리 불안인 경우(Y), 메인 본체(110)는 간식- oo분(1회)의 1 사이클(cycle) 안정 단계를 실행한다.
이어, 안정 단계에서, 스트레스 해소도 아니고(N), 짖음 문제도 아니고(N), 분리 불안도 아니고(N), 무는 행동인 경우(Y), 메인 본체(110)는 2회 간식(2A)- oo분(2회)의 1 사이클(cycle) 안정 단계를 실행한다.
전술한 안정 단계를 실행하고 15일이 지나지 않으면(15 days past)(N), 메인 본체(110)는 전술한 안정 단계 사이클을 반복하고, 향기(1B)를 oo시간(h) 토출한다.
그러나, 안정 단계를 실행하고 15일이 지나면(15 days past)(Y), 메인 본체(110)는 전술한 과정을 리셋(Reset)하고 적응 단계로 복귀하여 적응 단계 과정을 실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즈워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노즈워크 서비스에 가입한 후 애견을 등록하고 여러가지 서비스를 설정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즈워크 서비스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노즈워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40)를 통해 ID(e-mail)와 비밀번호, 닉네임 등을 설정하고 회원 가입을 실행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즈워크 서비스에 회원 가입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위해, 노즈워크 서비스 시스템(100)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노즈워크 서버를 운영할 수 있으며, 노즈워크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140)가 회원 가입할 수 있도록 유무선 상의 홈 페이지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10)는 웹 페이지를 통한 노즈워크 서비스에 접속하여, 회원 가입을 통해 발급받은 ID(e-mail)와 비밀번호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하여 로그인을 실행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즈워크 서비스에 로그인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노즈워크 서버와 메인 본체(110), 하나 이상의 서브 모델(120~124), 애견 착용기(130) 및 사용자 단말기(140)는 서로 연동하여 동작한다.
또한, 사용자는 노즈워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140)를 통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견에 관한 정보를 등록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즈워크 서비스에서 반려견을 등록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40)는 반려견 사진을 노즈워크 서버에 업로드하여 등록하고, 반려견 이름과 품종, 생년월일, 성별, 애견문제 등을 입력하여 등록한다. 고민 중인 애견 문제로는 분리불안, 스트레스, 짖음, 공격적인 성향, 질병, 성장저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견 이름은 "샤샤", 반려견 품종은 "미니핀", 반려견의 생년월일은 "2016년 12월 25일", 반려견 성별은 "남자", 애견 문제는 "짖음, 공격적인 성향, 성장저하" 등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노즈워크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 단말기(140)를 통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훈련하기" 서비스를 등록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즈워크 서비스에서 훈련하기를 등록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니핀 샤샤에 대해 분리불안 문제는 짖음방지를 설정하고, 스트레스 감소 방안으로 종합훈련을 설정하며, 간식 분배의 경우에는 즉시 분배로 설정하며, 향기 토출은 즉시 발향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노즈워크 서비스에서 사용자 단말기(140)를 통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본체(110)에 대해 제품을 선택하여 등록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즈워크 서비스에서 메인 본체를 등록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메인 본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연결 설정한다. 즉, 메인 본체(110)와 하나 이상의 서브 모델(120~124), 애견 착용기(130) 및 사용자 단말기(140) 등이 통신적으로 연동하여 연결되는 상태이다.
또한, 사용자는 노즈워크 서비스에서 사용자 단말기(140)를 통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된 메인 본체(110)에 대해 조명 등의 기능을 설정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즈워크 서비스에서 메인 본체의 기능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본체(110)에 대해, 조명을 설정하고, 소리 감지 민감도에 대해서는 중, 소형견 등으로 설정한다.
또한, 사용자는 노즈워크 서비스에서 사용자 단말기(140)를 통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된 메인 본체(110)에 대해 수면 모드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본체에 대해 수면 모드를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40)는 제품1(PRODUCT TITLE1) 메인 본체(110)에 대해 수면모드를 22:00~07:00 와 같이 시간을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제품1(PRODUCT TITLE1) 뿐만 아니라 제품2(PRODUCT TITLE2)에 대해서도 동일한 시간으로 수면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노즈워크 서비스에서 사용자 단말기(140)를 통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견이나 제품 상태에 대해 알림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즈워크 서비스에서 반려견 상태나 제품 상태에 대한 알림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어 혜택 및 이벤트 알림을 설정하거나, 반려견 상태 알림을 설정하거나, 제품 상태 알림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일반 설정으로 제품등록 초기화와 이용약관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노즈워크 서비스에서 사용자 단말기(140)를 통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반려견을 추가로 등록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즈워크 서비스에서 다른 반려견을 등록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견 등록에 대해, 프로필 사진을 업로드하여 등록하고, 반려견 이름과 반려견 품종, 반려견 생년월일, 반려견 성별, 애견 문제 등을 선택하여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노즈워크 서비스에서 사용자 단말기(140)를 통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등록된 반려견 정보를 수정하여 편집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즈워크 서비스에서 반려견 정보를 편집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40)는 사용자의 입력 동작에 따라 반려견 이름, 품종, 생년월일, 성별, 애견문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정보를 편집하여 수정할 수 있다.
한편, 노즈워크 서비스에서 메인 본체(SERVER)(110)는 반려견에 대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동량을 분석하여 평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40)에 제공해 줄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즈워크 서비스에서 반려견에 대한 종합 평가를 제공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견에 대해, 일자 별로 활동량을 그래프로 제공하거나, 선호하는 색상(예, 퍼플) 등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와 함께 생활하고 있는 애견이 실내에서 후각을 사용하여 직접 간식 등의 음식을 찾아 먹도록 훈련시키는 어플리케이션(App)과 관련 장치들을 제공함으로써, 시간 주기에 따라서 사료 양이 달라지며, 사전 훈련사와의 테스트를 통한 시간 및 간식 분배 프로세스를 통해 애견의 스트레스와 분리불안 등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시스템 110 : 메인 본체
120 ~ 124 : 서브 모델 130 : 애견 착용기
140 : 사용자 단말기 202 : 사료 공급부
204 : LED 램프 206 : 향기 토출부
208 : 지지 박스부 210 : 통신모듈
220 : 사료잔량 검출부 230 : 관리 모듈
240 : 애견정보 저장부 250 : 제어모듈

Claims (12)

  1. 노즈워크 어플리케이션(Nosework Application)을 통해 간식의 분배 시간과 양을 조절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맞춤형 향기가 분사되도록 제어하며, 애견 착용기로부터 무선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애견의 활동량과 선호 색상, 선호 향기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메인 본체;
    상기 메인 본체보다 외형적 크기가 더 작고, 상기 메인 본체와 기능이 동일하되, 애견 관련 모든 데이터를 상기 메인 본체에 송신하며, 일정 영역마다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 모델; 및
    상기 메인 본체 또는 상기 서브 모델과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애견의 목이나 몸에 착용되며, 애견의 행동에 따라 획득된 애견 활동 데이터를 상기 메인 본체에 전송하며, 애견의 활동량과 색상에 따른 반응 및 향기에 따른 반응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메인 본체에 전송하는, 애견 착용기;
    를 포함하는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본체와 무선 통신으로 연동하고, 상기 노즈워크 어플리케이션(Nosework Application)을 통해 간식의 분배 시간과 양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하고, 사용자에게 애견의 문제 행동 유형을 제공하여 선택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애견에 대한 문제 행동 선택에 따른 맞춤형 향기가 분사되도록 설정하며, 상기 메인 본체로부터 애견의 활동량과 선호 색상, 선호 향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이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
    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노즈워크 어플리케이션(Nosework Application)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부;
    상기 메인 본체로부터 애견의 활동량과 선호 색상, 선호 향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메인 본체로부터 수신된 애견의 활동량과 선호 색상, 선호 향기에 관한 정보를 화면이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애견에게 제공할 사료나 간식의 분배 시간과 양을 선택하거나, 상기 애견의 문제 행동 유형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
    상기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사료나 간식의 분배 시간과 양에 관한 정보가 상기 메인 본체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선택부를 통해 애견에 대한 문제 행동 선택에 따른 맞춤형 향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명령을 상기 메인 본체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본체는,
    간식이나 사료를 수용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간식이나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 공급부;
    상기 서브 모델 및 상기 애견 착용기와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점등해 주는 LED 램프;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맞춤형 향기를 팬(Fan)을 통해 분사 토출하는 향기 토출부; 및
    박스 형상으로 상기 메인 본체가 직립하도록 지지하고, 내부에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과, 상기 서브 모델 및 상기 애견 착용기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지지 박스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본체는,
    상기 애견의 생육 정도 및 견종에 따른 정보를 관리하고, 애견이 섭취하는 사료의 양을 검출하며, 애견의 정보와 섭취하는 사료의 양을 정보로서 통합하여 정보로 관리하는 관리 모듈;
    상기 애견의 생육 정보 및 견종에 따른 정보를 저장하는 애견정보 저장부; 및
    상기 사료 공급부에 잔여하는 사료의 잔량을 검출하는 사료잔량 검출부;
    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일정 주기 별로 애견에 공급된 총 사료량과 남은 사료량을 데이터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애견의 생육 정보 및 견종에 따른 정보에 근거해 애견이 정상상태일 때 섭취하는 사료량과 일정 주기 별로 공급된 사료량을 비교하여, 비교된 결과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해 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료의 공급량 조절 명령에 따라 상기 사료 공급부를 통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간식이나 사료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견 착용기는, 목걸이 형태로 애견의 목에 착용되고, 상기 메인 본체와 일정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면, 블루투스(Bluetooth) 기능을 통해 애견의 활동에 따라 획득한 애견의 활동량, 색상에 따른 반응, 향기에 따른 반응 관련 데이터를 상기 메인 본체로 전송해 주는,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시스템.
  8. (a) 사용자 단말기에서, 노즈워크 어플리케이션(Nosework Application)을 통해 노즈워크 서비스를 위한 애견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설정된 노즈워크 서비스를 위한 애견 정보를 메인 본체에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메인 본체에서, 상기 전송받은 애견 정보에 따라 사료 공급부를 통해 사료나 간식을 공급하는 단계;
    (d) 상기 메인 본체에서, 상기 전송받은 애견 정보에 따라 향기 토출부를 통해 맞춤형 향기를 분사 토출하는 단계;
    (e) 애견 착용기에서, 애견의 활동에 따른 활동량과, 색상에 따른 반응, 향기에 따른 반응에 관한 관리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f) 상기 애견 착용기에서, 상기 메인 본체에 일정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면, 상기 취득한 관리 데이터를 상기 메인 본체에 전송하는 단계; 및
    (g) 상기 메인 본체에서, 상기 애견 착용기로부터 수신한 관리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해 주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애견에게 제공할 사료나 간식의 분배 시간과 양을 선택하거나, 상기 애견의 문제 행동 유형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문제 행동 유형에 따른 맞춤형 향기가 토출되도록 명령하는 애견 정보를 상기 메인 본체에 전송하는,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메인 본체는, 상기 애견의 생육 정도 및 견종에 따른 정보를 관리하고, 애견이 섭취하는 사료의 양을 검출하며, 애견의 정보와 섭취하는 사료의 양을 정보로서 통합하여 상기 (g) 단계에서 분석된 결과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해 줄 때 함께 전송해 주는,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에서 상기 메인 본체는,
    일정 주기 별로 애견에 공급된 총 사료량과 남은 사료량을 데이터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애견의 생육 정보 및 견종에 따른 정보에 근거해 애견이 정상상태일 때 섭취하는 사료량과 일정 주기 별로 공급된 사료량을 비교하여, 비교된 결과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해 주는,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 이후에 상기 메인 본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사료의 공급량 조절 명령에 따라 상기 사료 공급부를 통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간식이나 사료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방법.
KR1020170098451A 2017-08-03 2017-08-03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92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451A KR101992229B1 (ko) 2017-08-03 2017-08-03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451A KR101992229B1 (ko) 2017-08-03 2017-08-03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685A true KR20190014685A (ko) 2019-02-13
KR101992229B1 KR101992229B1 (ko) 2019-06-25

Family

ID=65366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451A KR101992229B1 (ko) 2017-08-03 2017-08-03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2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6918A1 (ko) * 2019-02-16 2020-08-20 주식회사 로보이 동물 후각을 자극하는 동물 사육 로봇
KR20220011308A (ko) * 2020-07-21 2022-01-28 송경준 향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행동 제어 장치
KR20230106075A (ko) 2022-01-05 2023-07-12 배장필 반려견 선호 향기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594A (ko) 2021-06-10 2022-12-19 김유진 반려견용 후각 자극효과 제공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902B1 (ko) 2005-04-26 2005-10-14 박홍재 애견용 러닝훈련장치
KR20140110739A (ko) * 2013-02-28 2014-09-17 한국과학기술원 개체별 섭식 선호특성 기반 다수 애완동물 사료공급 시스템
KR20150133978A (ko) * 2014-05-21 2015-12-01 (주)디자인크라프트 전자차트와 연동하는 반려동물 체중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체중 관리 서비스 방법
KR20160069148A (ko) * 2014-12-08 2016-06-16 은기전자 주식회사 동물 훈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08839B1 (ko) * 2016-09-21 2017-02-21 장현덕 애완동물의 케어가 가능한 사료공급장치 및 상기 사료공급장치를 이용한 사료공급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902B1 (ko) 2005-04-26 2005-10-14 박홍재 애견용 러닝훈련장치
KR20140110739A (ko) * 2013-02-28 2014-09-17 한국과학기술원 개체별 섭식 선호특성 기반 다수 애완동물 사료공급 시스템
KR20150133978A (ko) * 2014-05-21 2015-12-01 (주)디자인크라프트 전자차트와 연동하는 반려동물 체중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체중 관리 서비스 방법
KR20160069148A (ko) * 2014-12-08 2016-06-16 은기전자 주식회사 동물 훈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08839B1 (ko) * 2016-09-21 2017-02-21 장현덕 애완동물의 케어가 가능한 사료공급장치 및 상기 사료공급장치를 이용한 사료공급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6918A1 (ko) * 2019-02-16 2020-08-20 주식회사 로보이 동물 후각을 자극하는 동물 사육 로봇
KR20220011308A (ko) * 2020-07-21 2022-01-28 송경준 향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행동 제어 장치
KR20230106075A (ko) 2022-01-05 2023-07-12 배장필 반려견 선호 향기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2229B1 (ko) 201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229B1 (ko)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705009B (zh) 用于远程监视和喂养宠物的系统、方法与喂食装置
US10600303B2 (en) Pet owner evaluation system
KR102139922B1 (ko) 반려동물 행동 감시 케어시스템
US8890871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monitoring the path of an animal or a human in the home
US10264765B2 (en) Pet monitoring and recommendation system
EP2375889B1 (en) Feeding system and process for behavioral modification of animals
US20180192621A1 (en) Habitat connectivity and control
KR20160081468A (ko) 반려동물의 지능적인 먹이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GB2554636A (en) Animal monitoring system, network and method
JP7377876B2 (ja) ペットフードを推奨する装置及び方法
US20200229401A1 (en) Products,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ve health and nutrition modeling and fulfillment for animals
KR20190025335A (ko) 애완동물 먹이 자동 공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공급방법
KR101553885B1 (ko) 반려동물의 자동먹이 공급장치
US20210064968A1 (en) Training server and method for generating a predictive model of a neural network through distributed reinforcement learning
KR20210099468A (ko) 펫 태그를 포함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708839B1 (ko) 애완동물의 케어가 가능한 사료공급장치 및 상기 사료공급장치를 이용한 사료공급시스템
KR102473443B1 (ko) 사물 인터넷을 통한 실내 반려동물의 심리 및 행동분석에 기초한 지능형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23081A (ko)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170062305A (ko) 저전력 센서 모듈과 이를 이용한 가축의 승가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56069A (ko) 원격 동물 급식 시스템
CN113631030A (zh) 用于提供声音掩蔽环境的系统和方法
WO2022201293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JP7015073B1 (ja) サーバ
KR20230085659A (ko) 펫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