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0739A - 개체별 섭식 선호특성 기반 다수 애완동물 사료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체별 섭식 선호특성 기반 다수 애완동물 사료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0739A
KR20140110739A KR1020140023464A KR20140023464A KR20140110739A KR 20140110739 A KR20140110739 A KR 20140110739A KR 1020140023464 A KR1020140023464 A KR 1020140023464A KR 20140023464 A KR20140023464 A KR 20140023464A KR 20140110739 A KR20140110739 A KR 20140110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pet
feeding
feeding dev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주
윤정민
김세윤
구자노브 데니스
서동준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ublication of KR20140110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7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01K5/0107Transportable fodder pails or tr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58Automatic devices with endless screw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rd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개체별 섭식 선호특성 기반 다수 애완동물 사료공급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시스템은 다수의 애완동물의 사료를 각각 구분하여 구비하고 있으며, 애완동물이 사료 섭식을 위해 접근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고, 카메라를 통한 영상 촬영을 통해 애완동물의 목줄의 색깔 인식을 수행하여 애완동물을 인식하며, 인식된 애완동물에 해당되는 사료를 시간과 양을 기준으로 공급하는 사료 공급 장치; 및 섭식을 위해 상기 사료공급 장치로 접근하는 애완동물이 상기 사료 공급 장치에 의해 감지되고 인식되는 경우 인식 사실을 상기 사료공급 장치로부터 전달받아서 사용자의 개인용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으로 알리고, 개인용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수동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한 수동 제어 명령을 상기 사료공급 장치로 전달하여 사용자의 수동 제어에 따른 사료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하며, 사용자로부터 수동 제어가 요청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사료 공급 정보를 상기 사료 공급 장치로 전달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사료 공급 장치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동 제어에 의해 사료 공급 정보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사료 공급 정보에 따라 애완동물에 대한 사료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체별 섭식 선호특성 기반 다수 애완동물 사료공급 시스템{Individual Feeding Preference Based Multi-Pet Feeding Automation System}
본 발명은 개체별 섭식 선호특성 기반 다수 애완동물 사료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애완동물 사료 공급 시스템은 크게 시간에 기반한 공급 시스템, 적정량을 기반으로 한 공급 시스템, 원격 공급 시스템 등으로 발전되어 왔다. 가장 대표적인 기존의 시스템 형태인 미리 정해진 시간과 정량을 기반으로 해왔던 공급 시스템은 사용자가 미리 정해놓은 시간과 적정량을 기계가 맞춰 공급할 수 있게 하는 기본적인 시스템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초과 공급으로 인하여 사료의 낭비를 초래하거나 사료의 신선도를 떨어뜨리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뿐만 아니라 초과 공급에 관한 문제는 애완동물의 식사시, 주변 환경을 더럽힐 수 있는 문제점도 갖고 있다.
또한 점점 늘어가는 애완동물을 여러 마리 키우는 가정에서는 한계점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원격 사료 공급 시스템으로서 인터넷을 이용한 방법은 사용자 기준의 시스템으로 애완동물의 필요에 의한 공급이 아닌 사용자가 일일이 확인 후 사료를 공급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수의 애완동물별로 적합한 사료를 배식할 수 있는 개체별 섭식 선호특성 기반 다수 애완동물 사료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사료공급 시스템은,
다수의 애완동물의 사료를 각각 구분하여 구비하고 있으며, 애완동물이 사료 섭식을 위해 접근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고, 카메라를 통한 영상 촬영을 통해 애완동물의 목줄의 색깔 인식을 수행하여 애완동물을 인식하며, 인식된 애완동물에 해당되는 사료를 시간과 양을 기준으로 공급하는 사료 공급 장치; 및 섭식을 위해 상기 사료공급 장치로 접근하는 애완동물이 상기 사료 공급 장치에 의해 감지되고 인식되는 경우 인식 사실을 상기 사료공급 장치로부터 전달받아서 사용자의 개인용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으로 알리고, 개인용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수동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한 수동 제어 명령을 상기 사료공급 장치로 전달하여 사용자의 수동 제어에 따른 사료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하며, 사용자로부터 수동 제어가 요청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사료 공급 정보를 상기 사료 공급 장치로 전달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사료 공급 장치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동 제어에 의해 사료 공급 정보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사료 공급 정보에 따라 애완동물에 대한 사료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료 공급 장치는, 접근이 감지되는 애완동물의 영상을 촬영하여 목줄의 색깔을 통한 애완동물의 인식이 수행되도록 하는 카메라; 원통형의 사료통 내부에 다수의 애완동물의 수만큼 칸막이 벽 슬롯을 끼워서 물리적으로 구분하여 복수의 사료 섹션을 구성하고, 각 사료 섹션에는 각기 다른 종류의 사료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사료 구분용 챔버; 상기 사료 구분용 챔버 하단에 위치하고, 일측에만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에 의해 원하는 사료 섹션의 사료를 하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사료 배분용 날개; 상기 사료 배분용 날개를 통해 배출되는 사료를 상기 사료 구분용 챔버 밖으로 배출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를 통해 공급되는 사료의 정량이 애완동물이 위치하고 있는 곳에 놓일 수 있도록 작동하는 사료 배출 도어; 및 상기 사료 배출 도어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사료 그릇의 외부 면 다수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사료공급 장치로 접근하는 애완동물을 감지하는 복수의 적외선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료공급 장치는, 상기 적외선 센서를 통해 애완동물의 접근을 감지하고, 상기 카메라를 애완동물 방향으로 전환시켜서 영상을 촬영하여 애완동물의 목줄의 색깔을 인식하여 애완동물을 식별하는 상황 인지부; 애완동물별로 사료를 공급할 시간 정보와 공급량 정보를 저장하고, 애완동물에 대한 배식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애완동물에게 사료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사료 배분용 날개, 상기 배출구 및 상기 사료 배출 도어를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상황 인지부에 의해 애완동물이 식별되면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시간 정보와 공급량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식별된 애완동물에게 사료를 공급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료공급 장치로 접근하는 애완동물을 감지하고, 카메라를 통한 목줄의 색깔 인식을 통하여 애완동물들을 식별할 수 있게 하여 사료 종류와 사료량을 각 애완동물에게 적합하게 공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애완동물이 반려동물로 인식되며 점차 커져가는 애완동물 시장에 관리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료공급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료공급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료공급 장치의 제어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료 공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 제어에 의한 사료 공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료공급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체별 섭식 선호특성 기반 다수 애완동물 사료공급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료공급 시스템(1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료공급 시스템(10)은 사료공급 장치(100) 및 서버(200)를 포함한다.
사료공급 장치(100)는 다수의 애완동물의 사료를 각각 구분하여 구비하고 있으며, 애완동물이 사료 섭식을 위해 접근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고, 감지된 애완동물을 인식하여 인식된 애완동물에 해당되는 사료를 시간과 양을 기준으로 공급한다. 이러한 사료 공급 장치(100)에 대해서는 추후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서버(200)는 사료공급 장치(100)에 의해 섭식을 위해 접근하는 애완동물이 감지되고 인식되는 경우 해당 사실을 사료공급 장치(100)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전달받아서 사용자의 개인용 컴퓨터(300) 또는 스마트폰(400)으로 알리고, 개인용 컴퓨터(300) 또는 스마트폰(400)을 통해 수동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한 수동 제어 명령을 사료공급 장치(100)로 전달하여 사용자의 수동 제어에 따른 사료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사료공급 장치(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료공급 장치(100)의 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료공급 장치(100)는 카메라(101), 유리돔(102), 사료 구분용 챔버(103), 사료 배분용 날개(104), 배출구(105), 사료 배출 도어(106), 도어 제어부(107), 본체 케이스(108), 사료 그릇(109), 적외선 센서(110) 및 통신부(111)를 포함한다.
카메라(101)는 360도 회전이 가능한 카메라이며, 애완동물에게 부착되어 있는 목줄의 색깔을 인식하고, 또한 애완동물의 섭식 행동 영상을 촬영하여 모니터링을 위해 서버(200)로 전송한다.
유리돔(102)은 카메라(101)를 보호하고 카메라(101)가 외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며, 사료가 외부로부터 잘 보존 될 수 있도록 덮개 역할을 한다.
사료 구분용 챔버(103)는 원통형의 사료통 내부에 필요한 만큼의 칸막이 벽 슬롯을 끼워서 물리적으로 구분하여 복수의 사료 섹션을 구성하고, 각 사료 섹션에는 각기 다른 종류의 사료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사료 배분용 날개(104)는 일측에만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에 의해 원하는 사료 섹션의 사료를 하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배출구(105)는 사료 배분용 날개(104)를 통해 배출되는 사료를 사료 구분용 챔버(103) 밖으로 배출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사료 배출 도어(106)는 배출구(105)를 통해 공급되는 사료의 정량이 애완동물이 위치하고 있는 곳에 놓일 수 있도록 작동된다.
도어 제어부(107)는 사료 배출 도어(106)를 제어하여 적정량의 사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본체 케이스(108)는 사료 구분용 챔버(103), 가료 배분용 날개(104), 배출구(105)를 보호하는 외관을 형성하며, 상부에서는 유리돔(102)과 결합된다.
본체 케이스(108)의 하부에는 사료 배출 도어(106)가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사료 그릇(109)은 사료 배출 도어(106)를 통해 배출되는 사료를 애완동물이 먹을 수 있도록 담도록 형성되며, 그 형태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원형이 바람직하다.
적외선 센서(110)는 원통형의 사료 그릇(109)의 외부 면 다수의 위치에 설치되어 사료공급 장치(100)로 접근하는 애완동물을 감지한다.
통신부(111)는 본체 케이스(108) 내에 사료 구분?? 챔버(103) 상부에 형성되며, 유무선 통신을 통해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료공급 장치(100)의 제어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료공급 장치(100)는 상황 인지부(120), 데이터베이스(130), 구동부(140) 및 구동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상황 인지부(120)는 적외선 센서(110)를 통해 애완동물의 접근이 감지하고, 카메라(101)를 애완동물이 접근이 감지된 적외선 센서(110)의 위치로 방향을 전환시켜서 영상을 촬영하여 애완동물의 목줄의 색깔을 인식하여 애완동물을 식별한다. 여기서, 애완동물에의 목에는 RGB 포맷이나 다른 칼라 코드를 기반으로 애완동물을 식별할 수 있는 목줄이 감겨 있으며, 이러한 색깔 기반의 애완동물 식별 방식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황 인지부(120)는 식별되는 애완동물 식별 정보를 통신부(111)를 통해 서버(200)로 전달하여 애완동물이 식별되었음을 알린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애완동물별로 사료를 공급할 시간 정보와 공급량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정보는 서버(200)를 통한 사용자 단말(300, 400)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애완동물의 식별 통계와 함께 공급된 사료 정보를 통계적으로 알 수 있도록 저장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130)는 애완동물의 식별 시간을 기록하는 시간기록 필드와 식별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 필드를 포함한다.
구동부(140)는 애완동물에게 사료를 공급하기 위해 사료 배분용 날개(104), 배출구(105) 및 도어 제어부(107)를 제어한다.
구동 제어부(150)는 상황 인지부(120)에 의해 애완동물이 식별되면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되어 있는 시간 정보와 공급량 정보에 따라 구동부(140)를 제어하여 식별된 애완동물에게 적절량의 사료를 공급한다.
한편, 구동 제어부(150)는 상황 인지부(120)로부터 애완동물이 식별됨에 따라 사료 공급을 수행하는 것 외에, 통신부(111)를 통한 서버(200)로부터 사용자 단말(300, 400), 특히 스마트폰(400)의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해 수동 모드에 따른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구동부(140)를 제어하여 애완동물에게 사료를 공급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료공급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료 공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수의 애완동물 중 사료를 배가 고파서 사료를 공급받기 위한 애완동물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료공급 장치(100)로 접근하면 사료공급 장치(100)에 설치되어 있는 적외선 센서(110), 특히 애완동물이 접근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적외선 센서(110)에 의해 애완동물의 접근이 감지되어 상황 인지부(120)로 전달된다(S100).
상황 인지부(120)는 애완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애완동물의 접근이 감지된 방향으로 카메라(101)를 방향 전환시켜서 애완동물을 촬영한 후(S110), 애완동물의 목줄의 색깔을 통해 애완동물을 식별한다(S120).
그 후, 애완동물의 식별 정보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해당 애완동물에 대해 마지막으로 사료가 공급된 시간 정보를 통해 현재 배식이 가능한지를 판단한다(S130). 이러한 판단은, 마지막으로 사료가 공급된 시간으로부터 다음으로 배식할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배식이 가능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배식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만약 배식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구동 제어부(150)는 애완동물에 대해 데이터베이스(130)를 통해 파악된 사료 정보를 사용하여 배식할 사료 정보를 설정하고(S140), 구동부(140)를 제어하여 애완동물에 대해 설정된 사료 정보에 따른 사료 공급을 수행한다(S150).
그 후, 애완동물에게 공급된 사료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S160).
다음, 스마트폰(400)의 앱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수동 제어에 따른 사료 공급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 제어에 의한 사료 공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마트폰(400)에 설치되어 있는 앱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로부터 수동 모드로의 제어를 요청받으면(S200), 서버(200)로 수동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한다(S210).
따라서, 서버(200)는 수동 모드로써 사료를 공급할 사료 정보를 스마트폰(400)을 통해 설정받은 후(S220), 설정된 사료 정보를 수동 제어 명령으로써 사료공급 장치(100)로 전달한다.
사료공급 장치(100)의 구동 제어부(150)는 서버(200)로부터 전달된 수동 제어 명령에 의해 설정된 사료 정보에 따라 구동부(140)를 제어하여 사료를 공급한다(S230).
그 후, 애완동물에게 공급된 사료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S240).
다음, 스마트폰(400)의 앱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료공급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마트폰(400)에 설치되어 있는 앱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로부터 모니터링 요청을 받으면(S300), 서버(200)로 모니터링 동작을 요청한다(S310).
따라서, 서버(200)는 모니터링 동작을 위해 서버(200)에 연결되어 있는 웹캠(도시하지 않음)을 작동하여(S320) 사료공급 환경을 영상으로 촬영하여 스마트폰(400)으로 전송함으로써 사료공급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S330).
한편, 상기에서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애완동물별 사료공급에 대한 통계 정보는 서버(200)를 통해 앱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스마트폰(400)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400) 애플리케이션의 메인 기능은 알림, 통계, 자동/수동 급식, 모니터링으로 이루어져있다. 메인 화면은 관리하는 애완동물 목록으로 표시된다. 각 애완동물의 하부 구조에는 알림, 통계, 변경 모드가 있다.
스마트폰(400)을 통한 알림은 애완동물 목줄이 식별되었다는 정보를 서버(200)에서 받는 것으로 진행된다. 통계 모드는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되어있는 사료 공급 히스토리를 표현해준다. 사용자는 스마트폰(400)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동 급식을 명령할 수 있다. 변경 모드를 선택하면 사용자의 원격 제어로 원하는 사료의 종류와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모니터링은 웹캠으로 녹화되는 영상을 스마트폰(400)을 통하여 전송받음으로써 실시간으로 애완동물물의 식행태를 관찰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령화, 저출산, 이혼 등 1~2인 독립가정 수가 증가와 함께 주인의 부재 시 다수의 애견 혹은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들에게 사료를 줄 수 있게 할 수 있다. 더불어 색깔 인식 시스템의 동작 및 애완동물의 식습관을 스마트폰으로 모니터링 및 피드백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소개한다.
또한, 아날로그적인 방식으로 애완동물을 캐어하는 관점에서 벗어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라는 원격 관리 개념을 도입하였다. 또한, 카메라를 통한 색깔 인식을 통하여 애완동물들을 식별할 수 있게 하여 사료 종류와 사료량을 각 애완동물에게 적합하게 공급할 수 있게끔 하였다. 이는 애완동물이 반려동물로 인식되며 점차 커져가는 애완동물 시장에 관리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3)

  1. 다수의 애완동물의 사료를 각각 구분하여 구비하고 있으며, 애완동물이 사료 섭식을 위해 접근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고, 카메라를 통한 영상 촬영을 통해 애완동물의 목줄의 색깔 인식을 수행하여 애완동물을 인식하며, 인식된 애완동물에 해당되는 사료를 시간과 양을 기준으로 공급하는 사료 공급 장치; 및
    섭식을 위해 상기 사료공급 장치로 접근하는 애완동물이 상기 사료 공급 장치에 의해 감지되고 인식되는 경우 인식 사실을 상기 사료공급 장치로부터 전달받아서 사용자의 개인용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으로 알리고, 개인용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수동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한 수동 제어 명령을 상기 사료공급 장치로 전달하여 사용자의 수동 제어에 따른 사료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하며, 사용자로부터 수동 제어가 요청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사료 공급 정보를 상기 사료 공급 장치로 전달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사료 공급 장치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동 제어에 의해 사료 공급 정보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사료 공급 정보에 따라 애완동물에 대한 사료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공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공급 장치는,
    접근이 감지되는 애완동물의 영상을 촬영하여 목줄의 색깔을 통한 애완동물의 인식이 수행되도록 하는 카메라;
    원통형의 사료통 내부에 다수의 애완동물의 수만큼 칸막이 벽 슬롯을 끼워서 물리적으로 구분하여 복수의 사료 섹션을 구성하고, 각 사료 섹션에는 각기 다른 종류의 사료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사료 구분용 챔버;
    상기 사료 구분용 챔버 하단에 위치하고, 일측에만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에 의해 원하는 사료 섹션의 사료를 하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사료 배분용 날개;
    상기 사료 배분용 날개를 통해 배출되는 사료를 상기 사료 구분용 챔버 밖으로 배출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를 통해 공급되는 사료의 정량이 애완동물이 위치하고 있는 곳에 놓일 수 있도록 작동하는 사료 배출 도어; 및
    상기 사료 배출 도어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사료 그릇의 외부 면 다수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사료공급 장치로 접근하는 애완동물을 감지하는 복수의 적외선 센서
    를 포함하는 사료공급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공급 장치는,
    상기 적외선 센서를 통해 애완동물의 접근을 감지하고, 상기 카메라를 애완동물 방향으로 전환시켜서 영상을 촬영하여 애완동물의 목줄의 색깔을 인식하여 애완동물을 식별하는 상황 인지부;
    애완동물별로 사료를 공급할 시간 정보와 공급량 정보를 저장하고, 애완동물에 대한 배식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애완동물에게 사료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사료 배분용 날개, 상기 배출구 및 상기 사료 배출 도어를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상황 인지부에 의해 애완동물이 식별되면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시간 정보와 공급량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식별된 애완동물에게 사료를 공급하는 구동 제어부
    를 포함하는 사료공급 시스템.
KR1020140023464A 2013-02-28 2014-02-27 개체별 섭식 선호특성 기반 다수 애완동물 사료공급 시스템 KR201401107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2273 2013-02-28
KR1020130022273 2013-0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739A true KR20140110739A (ko) 2014-09-17

Family

ID=51756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464A KR20140110739A (ko) 2013-02-28 2014-02-27 개체별 섭식 선호특성 기반 다수 애완동물 사료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0739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84672A (zh) * 2017-08-30 2017-12-19 贵州省原态上品农业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肉猪养殖加料装置
CN107484671A (zh) * 2017-08-30 2017-12-19 贵州省原态上品农业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肉猪养殖加料装置控制系统
CN107593650A (zh) * 2017-09-18 2018-01-19 朱明德 一种农业诱捕害虫设备
KR20190014685A (ko) * 2017-08-03 2019-02-13 주식회사 노즈워크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430106A (zh) * 2018-12-10 2019-03-08 三峡大学 散养鸡螺旋输送喂食装置及其出料方法
WO2020060248A1 (ko) * 2018-09-19 2020-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 급수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WO2020163484A1 (en) * 2019-02-05 2020-08-13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Computer vision-based feeding monitoring and method therefor
KR20210142226A (ko) * 2020-05-18 2021-11-25 주식회사 노타 딥러닝 기반 얼굴 인식을 활용한 동물 개체 인식과 식사량 기록 및 배식 조절을 위한 시스템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685A (ko) * 2017-08-03 2019-02-13 주식회사 노즈워크 스마트 노즈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484671A (zh) * 2017-08-30 2017-12-19 贵州省原态上品农业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肉猪养殖加料装置控制系统
CN107484672A (zh) * 2017-08-30 2017-12-19 贵州省原态上品农业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肉猪养殖加料装置
CN107593650A (zh) * 2017-09-18 2018-01-19 朱明德 一种农业诱捕害虫设备
CN107593650B (zh) * 2017-09-18 2020-09-01 成都市新都绿控农业服务有限公司 一种农业诱捕害虫设备
CN113056189B (zh) * 2018-09-19 2024-02-27 Lg电子株式会社 宠物饮水机及其控制方法
WO2020060248A1 (ko) * 2018-09-19 2020-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 급수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13056189A (zh) * 2018-09-19 2021-06-29 Lg电子株式会社 宠物饮水机及其控制方法
US11925175B2 (en) 2018-09-19 2024-03-12 Lg Electronics Inc. Water supply device for pe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09430106A (zh) * 2018-12-10 2019-03-08 三峡大学 散养鸡螺旋输送喂食装置及其出料方法
WO2020163484A1 (en) * 2019-02-05 2020-08-13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Computer vision-based feeding monitoring and method therefor
US11937580B2 (en) 2019-02-05 2024-03-26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Computer vision-based feeding monitoring and method therefor
WO2021235631A1 (ko) * 2020-05-18 2021-11-25 주식회사 노타 딥러닝 기반 얼굴 인식을 활용한 동물 개체 인식과 식사량 기록 및 배식 조절을 위한 시스템
KR20210142226A (ko) * 2020-05-18 2021-11-25 주식회사 노타 딥러닝 기반 얼굴 인식을 활용한 동물 개체 인식과 식사량 기록 및 배식 조절을 위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10739A (ko) 개체별 섭식 선호특성 기반 다수 애완동물 사료공급 시스템
US20150373945A1 (en) Smart Animal Feeder
US20190029221A1 (en) Animal feed recommendation methods and systems
US739578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lective access to animal food
US7426901B2 (en) Animal feeding device and method
US20170150698A1 (en) Multi-animal feeder device and method using the same
US20170303505A1 (en) Farm system
US6145472A (en) Automatic feed distribution apparatus for animals
WO2009063415A2 (en) Smart automatic animals feeder (saaf)
US20100263596A1 (en) Weight Controlled Pet Feeding System
US9713318B1 (en) Automatic bird cage
CN2855061Y (zh) 牛用自动饲喂机
CN103947571A (zh) 一种智能母猪喂料系统及控制方法
US20220201974A1 (en) Swine activated feeder with actuation sensor
CN109329092A (zh) 一种基于重力感应的宠物喂养系统
KR20160058581A (ko) 애완동물 급식 시스템
KR101877616B1 (ko) 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방법
CN211832336U (zh) 宠物喂食装置以及宠物喂食系统
KR20150079124A (ko) 가축 사료 급이 장치 및 급이 방법
KR20200055536A (ko) Ict를 적용한 반려동물용 하이브리드 자동 급여기
EP1300070B1 (en) An assembly for automatically supplying an amount of feed to a dairy animal in a predetermined period
CN117825643A (zh) 食物处理方法和食物处理系统
KR20190012583A (ko) 양식장용 스마트 자동 급이 장치
KR101730103B1 (ko) 사료 계량통의 사료 배출 장치
KR102191715B1 (ko)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자동 급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