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616B1 - 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616B1
KR101877616B1 KR1020160092949A KR20160092949A KR101877616B1 KR 101877616 B1 KR101877616 B1 KR 101877616B1 KR 1020160092949 A KR1020160092949 A KR 1020160092949A KR 20160092949 A KR20160092949 A KR 20160092949A KR 101877616 B1 KR101877616 B1 KR 101877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water
sensor
contac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0614A (ko
Inventor
이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합축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합축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합축산
Priority to KR1020160092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616B1/ko
Publication of KR20180010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16Automatic devices for the distribution of liquid fodd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91Automatic devices with timing mechanisms, e.g. pet f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료와 물의 공급을 자동 제어하여 사료 및 물의 허실을 줄이고 사료의 변질됨을 방지토록 한 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료공급부 및 물공급부를 자동 개방 및 폐쇄시켜 사료받침대로 공급되는 사료와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료받침대에 담겨진 액상사료에 센서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센서가 접점 오프" 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 설정시간을 세팅하여, 상기 센서의 "접점 오프" 신호가 상기 설정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출력되는 지를 판단한 후 지연시간이 시작되며, 상기 지연시간이 경과된 후 사료공급부 및 물공급부를 개방시켜 상기 사료받침대로 사료와 물을 자동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사료받침대에 공급된 액상사료에 센서가 접촉되면 상기 센서가 "접점 온" 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센서의 "접점 온"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세팅된 설정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출력되는 지를 판단한 후, 상기 사료공급부 및 물공급부를 폐쇄시켜 상기 사료받침대로 사료와 물의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방법{Control method for water and feeder}
본 발명은 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방법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료와 물의 공급을 자동 제어하여 사료 및 물의 허실을 줄이고 사료의 변질됨을 방지토록 한 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급이기는 농가나 축사에서 돼지, 소, 염소, 양 등과 같은 가축(이하 '가축'이라 통칭함)에게 사료 및 식수를 공급하게 되며, 사료 및 식수의 급여방식에 따라서 사료와 물을 동시에 공급하는 습식 급이기 또는 사료와 물을 별도로 제공하는 건식 급이기 등이 있다.
한편, 사료는 종류, 입자나 입도, 부피, 점도 등이 다양하고 수분으로 인해 뭉치거나 덩어리 등이 발생하며 각별한 관리가 필요로 하며, 또 호퍼 내에 담긴 사료를 주기적으로 저어 뭉치지 않게 하는 등 가축이 먹기 좋은 상태로 제공하게 된다. 이때 사료와 물의 공급 비율이 맞지 않을 경우에 사료가 곤죽이 되어 변질되기 쉽고 질병의 발생위험이 심각하므로, 이렇게 부패된 사료는 가축이 먹기 전에 사료받침대에서 퍼내서 버려야하는 등 관리가 까다롭고 인력손실이 크고 사료와 물의 허실이 심한 바, 사료와 물의 공급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본 출원인이 2012. 05. 15.일자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하여 2014. 06. 13.일자로 등록받은 등록번호 제 10-1410117 호(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사료가 담기고 하부에 사료배출구를 가지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구비되는 사료받침대와, 상기 호퍼 내측의 사료배출수단과, 컨트롤러로 된 습식 사료 자동 급이기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내측 중앙에 구비되는 중심축에 연결되어 사료를 배출시키는 사료배출수단과, 상기의 중심축을 통해 하부 사료받침대에 식수를 공급하기 위한 식수공급수단이 구비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수위상태를 감지하여 물과 사료가 혼합되어 배출되어 고수위에 닿게 되면 구동모터와 전자밸브가 정지되거나 차단되고 가축이 액상 상태의 먹이를 먹게 되면서 고수위 센서가 노출되고 먹이를 계속적으로 섭취하게 되면서 결국 저수위센서가 노출되면서 비로소 사료와 물이 다시 공급되도록 한 유용한 고안임에는 분명하다.
그러나 계속적으로 사료와 물이 공급되므로 사료가 담기는 사료 받침대에 잔량이 남아있게 되거나 가축이 어느 정도 사료와 물을 먹고 난 후 배가 부르면 일정시간 동안 더 이상 먹이 활동을 중지하게 되는데 이때 장시간 사료와 물이 혼합되어 상온에 노출되면서 변질이 되고 가축은 변질된 먹이를 먹지 않거나 변질된 먹이를 먹고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그리고 가축이 토출된 액상 상태의 먹이를 언제 다 먹을 수 있을지 모르기 때문에 관리자는 수시로 점검하고 조절하여 주어야 하는 등 인력낭비가 심해 관리에 많은 불편함이 있다.
특히, 가축의 크기나 기후조건에 따라서 섭취량이 다르며 섭취하는 시간대도 종잡을 수 없어 변수가 다양하게 생기므로 관리의 불편함과 인력낭비가 많고 사료 및 물의 허실이 많아 비경제적일 뿐 아니라 사료 변질로 인한 각종 질병을 유발시킬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 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1410117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료와 물의 공급을 자동 제어하여 사료 및 물의 허실을 줄이고 사료의 변질됨을 방지토록 한 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센서의 접점오프 신호가 설정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유지되어야만 사료와 물이 공급되도록 한 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센서의 "접점온" 신호가 설정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유지되어야만 사료와 물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한 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센서의 접점 오프 신호가 설정된 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유지되면 지연시간이 시작되며, 센서의 접점오프 신호가 출력되더라도 지연시간이 경과하지 않으면 사료와 물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한 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료와 물이 공급되는 도중에 센서의 접점온 신호가 출력되더라도 남아있는 사료 및 물 공급시간 동안은 사료와 물이 계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한 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료공급부 및 물공급부를 자동 개방 및 폐쇄시켜 사료받침대로 공급되는 사료와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료받침대에 담겨진 액상사료에 센서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센서가 접점 오프" 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 설정시간을 세팅하여, 상기 센서의 "접점 오프" 신호가 상기 설정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출력되는 지를 판단한 후, 사료공급부 및 물공급부를 개방시켜 상기 사료받침대로 사료와 물을 자동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사료받침대에 공급된 액상사료에 센서가 접촉되면 상기 센서가 "접점 온" 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센서의 "접점 온"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세팅된 설정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출력되는 지를 판단한 후, 상기 사료공급부 및 물공급부를 폐쇄시켜 상기 사료받침대로 사료와 물의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에 지연시간을 세팅하여, 상기 센서의 "접점 오프" 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세팅된 설정시간이 경과해야 지연시간이 시작되며, 상기 지연시간이 경과하여야만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료공급부 및 물공급부를 개방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의 "접점 온" 신호가 설정시간 동안 출력되더라도 디스플레이의 표시부에 세팅되어 있는 사료와 물의 공급시간이 완료되어야만 상기 사료공급부 및 물공급부를 폐쇄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부에 설정된 사료와 물의 공급시간이 경과한 후, 센서의 "접점 오프" 신호가 제어부의 설정시간 동안 출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부에 설정된 사료와 물의 공급시간 동안 사료받침대로 사료와 물을 반복하여 공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습식 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작용 효과를 달성한다.
먼저, 제어부에 설정시간을 세팅하여 센서의 "접점오프" 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세팅된 설정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출력되어야만 사료와 물이 공급되도록 하고, 또한 센서의 "접점온" 신호가 설정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출력되어야만 사료와 물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서 가축이 센서를 잘못 건드려 기기가 오동작하여 사료 및 물이 불필요하게 공급되거나 혹은 정량의 액상사료가 공급되지 못해 가축의 성장에 방해를 주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제어부에 지연시간을 설정하여 사료받침대에 남아 있는 사료와 물을 돼지가 모두 먹을 때까지 사료와 물의 공급을 정지시켜 사료 및 물의 허실을 줄이고 사료의 변질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센서의 "접점 온" 신호가 설정시간 동안 출력되더라도 디스플레이의 표시부에 세팅되어 있는 사료와 물의 공급시간이 완료되어야만 상기 사료공급부 및 물공급부를 폐쇄시키도록 하여 공급된 사료와 물의 양을 누적 계산하기가 용이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급이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급이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급이기에서 사료와 물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료와 물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센서의 감지신호에만 의존하여 사료와 물을 사료받침대로 공급 및 제한하도록 하지 않고, 제어부에 설정시간을 접목시켜 센서에서 "접점 오프" 신호가 제어부에 입력된 설정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감지되어야만 사료와 물이 공급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는 가축이 먹이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센서를 건드려 기기가 오동작하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센서에서 "접점 온" 신호가 제어부에 입력된 설정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감지되어야만 사료와 물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여 가축이 먹이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기기의 오동작으로 인해 사료받침대에 정량의 사료와 물이 채워지지 못한 상태에서 사료와 물의 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였다.
그리고 이와는 별도로 제어부에 지연시간을 더 접목시켜 센서에서 "접점오프" 신호가 설정된 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유지되면 지연시간이 시작되며 제어부에 설정된 지연시간 동안에는 사료와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며, 이는 사료와 물의 공급량을 적절히 제한하여 가축들이 본능적으로 사료를 계속 섭취하지 못하도록 하여 먹이를 제한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관리자의 손을 빌리지 않더라도 사료받침대가 청결한 상태로 유지되고 항상 신선한 먹이를 공급할수 있게 된다.
또한, 센서가 "접점오프" 신호가 설정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유지된 상태라도 지연시간이 지나지 않은 상태, 즉 사료받침대에 사료가 아직 남아있어 센서에서 신호가 출력되더라도 제어부는 지연시간이 경과하지 않으면 먹이의 재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사료와 물의 공급을 제한하여 사료받침대에 필요 이상의 사료가 쌓여 사료의 변질 및 사료와 물의 허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가축들이 미처 사료를 다 섭취하지 않았는데도 사료와 물을 재 공급하게 되면 사료받침대에는 계속적으로 사료가 쌓이게 되는 바, 이는 결과적으로 불필요한 사료와 물의 허실은 물론 사료의 변질을 가져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료 받침대에 사료가 쌓여있어 수위센서의 신호가 출력된 상태에서 지연시간이 경과해야만 비로소 사료와 물의 공급을 재개함으로서 사료와 물의 허실 및 사료의 변질됨을 방지토록 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기술될 용어들중 "지연시간"이라는 용어는 사료받침대에 공급된 사료를 모두 먹을 때까지 기다리는 시간을 말하며, 센서의 "접점 오프" 신호를 받은 제어부가 사료 및 물 공급부를 동작시켜 사료와 물을 사료받침대로 공급한 상태에서 가축들이 액상사료를 섭취하여 액상사료가 바닥나 센서에서 "접점 오프" 신호가 설정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유지되면 카운트되어 접점오프 신호가 출력되더라도 곧바로 제어부가 동작하지 않도록 하여 사료와 물을 제한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시간을 뜻한다. 즉, 그회차에 배출되어 사료받침대에 저장된 사료와 물을 깨끗이 먹어 허실을 방지하고 먹이의 누적 현상을 없애며, 항상 신선한 먹이 공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료받침대의 청결상태를 유지시켜 관리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설정시간"이라는 용어는 복수개의 센서들중 어느 하나의 센서만 "접점 오프" 혹은 "접점 온" 신호가 발생하더라도 제어부가 곧바로 사료와 물을 공급 혹은 사료와 물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개의 센서들 모두가 정해진 시간(즉, 설정시간) 동안 "접점 오프" 혹은 "접점 온" 신호를 계속적으로 출력하여만 비로소 제어부가 사료와 물을 공급 혹은 사료와 물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한 것으로서, 이러한 설정시간 개념을 접목하여 가축이 먹이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센서를 건드렸을 때, 제어부가 센서의 신호를 잘못 받아들여 기기의 오동작 즉, 사료와 물이 필요없는 상황에 사료와 물을 공급하거나 혹은 사료와 물을 공급해야할 시점에 사료와 물의 공급을 차단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복수개의 센서들 중 특정 센서만 접점 온 혹은 접점 오프 신호를 출력하더라도 제어부는 반응하지 않고 복수개의 센서들이 모두 접점 온 혹은 접점 오프 신호를 출력한 후, 제어부에 세팅된 설정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신호를 출력하여만 제어부가 반응하여 사료와 물의 공급을 제어토록 한다.
그리고 "접점 오프"라는 용어는 센서가 사료받침대에 담겨져 있는 액상사료와 접촉이 해제된 상태를 의미하며, 이때의 센서는 접촉 해제에 따른 전기신호를 제어부로 즉각 송출하게 된다.
또한 "접점 온"이라는 용어는 센서가 사료받침대에 담겨져 있는 액상사료와 접촉이 이루어진 상태를 의미하며, 이때에도 센서는 접촉에 따른 전기신호를 제어부로 즉각 송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센서의 접촉으로 인한 접점 오프, 접점 온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대표하여 기술하였으나, 이외 정전용량 변화에 전류(전하) 변화에 의한 센싱동작을 수행하는 정전용량 센서 등 다양한 의미를 센서를 포함한다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센서는 서로 다른 높이로 사료받침대에 설치되어, 상기 사료받침대에 담겨진 사료와 물이 없어졌을 때, 이를 감지하도록 하는 저수위센서 그리고 사료받침대에 정량의 사료와 물이 공급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도록 하는 고수위센서일 수 있고, 복수개의 센서로 구성되되 센서의 높이가 각각 다르게 구성될 때와 또한 복수개의 센서를 동일한 높이로 설정한 상태에서 사료받침대에 담겨진 사료와 물이 가축의 섭취로 비워졌을 때, 이때의 "접점 오프"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사료받침대에 사료와 물이 채워졌을 때, 이때의 "접점 온"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동일한 높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위센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센서는 사료받침대의 크기에 맞추어 적어도 두개 이상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실시 예 1}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급이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급이기는 사료가 담기는 호퍼(10), 상기 호퍼(10)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호퍼(10)에 저장되어 있는 사료를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사료받침대(20)로 공급하는 사료공급부(30), 상기 호퍼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사료받침대(20)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40) 및 상기 사료받침대(20)에 설치되며 상기 사료받침대(20)로 공급된 물과 상기 사료의 혼합물인 액상 사료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60) 및 상기 센서(6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사료와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사료공급부(30) 및 물 공급부(40)에는 구동모터(32)와 전자밸브(42)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32)와 전자밸브(42)는 상기 제어부(70)의 신호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로 자동 동작하며 사료공급부(30) 및 물 공급부(40)를 개방시켜 사료 및 물을 사료받침대(20)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센서(60)는 사료받침대(20)에 담겨진 사료와 물이 가축의 섭취로 인해 비워져 사료와 물이 센서와 접촉이 해제되어 이때의 "접점 오프" 신호를 제어부(70)로 전송하게 되고, 제어부(70)는 상기 센서(60)의 "접점 오프" 신호를 통해 사료공급부(30)의 구동모터(32)와 물 공급부(40)의 전자밸브(42)로 전류를 공급하여 사료받침대(20)로 사료와 물을 자동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60)는 사료받침대(20)에 사료와 물이 정량 채워져 사료와 물이 센서와 접촉되어 이때의 "접점 온" 신호를 제어부(70)로 전송하게 되고, 제어부(70)는 상기 센서(60)의 "접점 온" 신호를 통해 사료공급부(30)의 구동모터(32)와 물 공급부(40)의 전자밸브(42)로 전류를 다시 공급하여 사료받침대(20)로 사료와 물의 공급을 자동 차단하게 된다.
첨부된 도 2는 사료와 물 공급 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부(5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사료와 물 공급 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부(50)에는 일측으로 사료와 물의 공급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51, 52) 그리고 사료와 물의 공급시간을 각각 설정하기 위한 사료버튼부(53) 및 물 버튼부(54)가 마련되고, 또한 타측으로 지연시간을 표시하는 지연시간 표시부(55) 및 지연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지연시간 버튼부(56)가 마련되고, 그 밑에는 설정시간을 표시하는 설정시간 표시부(57) 및 설정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시간 버튼부(58)가 마련된다.
첨부된 도 3은 사료와 물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사료와 물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60), 제어부(70), 사료 공급부(30) 및 물 공급부(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센서(60)는 사료받침대(20)에 담겨져 있는 사료와 물의 혼합물인 액상사료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센서(60)는 사료받침대(20)에 담겨져 있는 액상사료의 잔류량을 감지하여 액상사료에 묻혀있는 상태에서는 "접점 온" 동작상태를 유지하며, 액상사료를 가축들이 섭취하여 센서(60)가 외부로 노출되면 "접점 오프" 동작하며 제어부(70)로 신호를 출력하여 물과 사료를 자동 공급토록 한다.
또한 상기 센서(60)는 사료받침대(20)에 일정 수위 이상으로 액상사료가 쌓이면 이를 감지하며 "접점 온" 동작하며 제어부(70)로 신호를 출력하여 사료공급부(30) 및 물 공급부(40)를 폐쇄시켜 사료받침대(20)로 공급되는 사료와 물의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센서(60)는 전술한 디스플레이(50)에 설정되어 있는 사료와 물의 공급시간 동안 사료받침대(20)로 사료와 물이 공급되더라도 상기 센서(60)가 이를 감지하지 못하면 다시 사료와 물은 설정된 시간(즉, 표시부에 저장된 공급시간) 동안 반복해서 공급하도록 하며, 이후에 센서(60)가 사료와 물에 접촉하여 "접점 온" 상태가 되면 제어부(70)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센서(6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통해 사료 공급부(30) 및 물공급부(40)를 개방 및 폐쇄시켜 사료받침대(20)로 사료와 물을 자동 공급 및 차단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70)에는 지연시간 및 설정시간이 세팅된다.
상기 지연시간은 사료받침대의 액상사료를 가축들이 전부 먹어 센서(60)의 "접점 오프" 신호가 설정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유지되면 지연시간이 시작되며, 상기 지연시간이 경과하지 않으면 제어부(70)가 사료 및 물을 공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시간으로서, 이러한 지연시간(56)은 처음 사료와 물을 사료받침대(20)로 공급한 상태에서 가축들이 액상사료를 섭취하여 센서(60)가 노출되어 "접점오프" 신호가 설정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유지되면 지연시간이 시작되며, 가축이 사료받침대에 남아있는 잔량을 모두 먹어치울때까지 기다리는 시간을 말하며, 즉 일정시간 동안 사료와 물의 공급을 중단시키는 시간을 말하며 "접점오프" 신호가 출력되더라도 곧바로 제어부(70)가 동작하지 않도록 하여 사료와 물을 제한적으로 공급하여 그회차에 배출되어진 사료와 물을 깨끗이 먹어 허실을 줄이고 항상 신선한 먹이 공급이 가능하며, 사료받침대(20)의 청결을 유지시켜 관리의 편리함과 인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시간은 센서(60)에서 사료받침대(20)가 비어서 "접점 오프" 신호가 출력되거나 혹은 사료받침대(20)에 정량의 액상사료가 채워져 "접점 온" 신호가 발생하더라도 제어부(70)가 곧바로 사료와 물을 공급하거나 또는 사료와 물의 공급을 즉각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사료받침대에 설치된 모든 센서(60)가 일정시간 동안 동시에 "접점 오프" 혹은 "접점 온" 신호를 계속적으로 출력하여만 비로소 제어부(70)가 사료와 물을 공급 혹은 사료와 물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으로서, 이러한 설정시간을 통해 가축이 먹이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센서(60)를 잘못 건드려 센서(60)가 잘못 신호를 송출해 기기가 오동작하지 않아 사료와 물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충분한 먹이 섭취가 가능하게 된다.
즉, 예를 들어 사료받침대에 5개의 센서가 설치되었다 가정할 때, 상기 5개의 센서(60)가 모두 "접점 오프" 신호를 제어부(70)로 출력하더라도 상기 제어부(70)는 곧바로 사료공급부(30) 및 물공급부(40)를 개방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5개의 센서(60) 모두가 "접점 오프" 상태에서 제어부로 정해진 시간(설정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제어부(70)로 신호를 송출하여야만 사료공급부(30)와 물공급부(40)를 개방시켜 사료와 물을 공급토록 하고 있으며, 이는 사료받침대(20)에 액상상태의 사료가 충분히 남아있는데도 가축들이 섭취과정에서 먹이가 한쪽으로 밀려서 센서가 노출되거나 센서(60)를 잘못 건드려 센서(60)가 잘못된 " 접점 오프" 신호를 제어부(70)로 송출하면 불필요한 사료가 누적되어 신선한 사료의 섭취가 불가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5개의 센서(60) 모두가 "접점 온" 신호를 제어부(70)로 출력하더라도 상기 제어부(70)는 곧바로 사료공급부(30) 및 물공급부(40)를 폐쇄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5개의 센서(60) 모두가 "접점 온" 신호를 정해진 시간(설정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제어부(70)로 송출하여만 사료공급부(30)와 물공급부(40)를 폐쇄하여 사료와 물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한 것 역시 사료가 아직 덜 채워졌는데도 가축이 주둥이로 센서를 접촉시켜 센서(60)의 오동작으로 사료와 물의 공급이 차단되어 정량의 사료 및 물이 공급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디스플레이(50)의 표시부(51, 52)에 설정된 사료 및 물이 공급되는 시간 도중에 상기 센서(60)의 "접점 온" 신호가 설정시간이 경과 후 제어부(70)로 송출되더라도 제어부(70)는 사료와 물의 공급을 곧바로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디스플레이(50)의 표시부(51, 52)에 설정된 사료와 물의 공급시간이 완료될 동안 대기상태를 유지한 후, 사료와 물의 공급시간이 완료되고 나면 사료와 물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센서(60)의 "접점 온" 신호가 설정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유지된 후라도 표시부에 저장되어 남아있는 시간동안 사료와 물이 배출된 후 정지되는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50)의 표시부(51, 52)에 설정된 사료 및 물이 공급시간이 지났는 데 아직 사료받침대(20)에 사료와 물이 정량 채워지지 않았을 때에는 센서(60)는 액상사료와 접촉이 일어나지 않아 "접점 오프" 상태가 되는 데, 이때에는 제어부(70)는 설정시간 동안 센서(60)의 "접점 오프" 신호를 출력받은 후, 다시 디스플레이(50)의 표시부(51, 52)에 설정된 사료와 물의 공급시간을 재동작시켜 사료받침대(20)로 다시 사료와 물을 공급하도록 하고, 이어서 어느 시점에서 센서(60)가 "접점 온"상태가 되면 설정시간 경과 후, 디스플레이(50)의 표시부(51, 52)에 남아 있는 사료와 물의 공급시간까지 사료와 물을 공급한 다음, 사료와 물의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사료공급부(30)는 호퍼(10)에 저장된 사료를 사료받침대(20)로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내부에는 구동모터(32)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사료공급부(30)와 사료받침대(20) 상부면 사이의 중간에서 회전하는 스크레이퍼(9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레이퍼(90)는 제어부(70)의 신호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은 구동모터(32)가 구동하면 회전 동작하며 사료를 사료받침대(20)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물 공급부(40)는 사료 받침대(20)로 물을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상부에는 전자밸브(42)가 설치되며, 상기 전자밸브(42)는 제어부(70)의 신호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자동 동작하며 물 공급부(40)를 개방 및 폐쇄시키게 된다.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사료와 물 공급 제어수단의 동작 흐름을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관리자는 디스플레이(50)를 조작하여 지연시간과 설정시간을 설정하고, 그리고 사료와 물의 공급시간을 세팅하도록 한다(S10).
다음, 가축들이 사료받침대(20)에 담겨있는 액상사료를 섭취하여 사료받침대에 설치된 모든 센서와 사료의 접촉이 해지된 "접점 오프" 상태가 되면 센서(60)는 제어부(70)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S20).
다음, 제어부(70)는 설정시간 동안 상기 센서(60)에서 "접점 오프" 상태에 따른 신호를 계속적으로 출력받았다고 판단한 다음(S30), 지연시간이 시작되며(카운트) 다시 제어부(70)는 지연시간이 지났는지를 판단한 후(S40), 설정시간 및 지연시간이 모두 지났다고 판단되면 제어부(70)는 사료공급부(30) 및 물 공급부(40)를 동작시켜 사료받침대(20)를 사료와 물을 공급하게 된다(S50).
다음, 사료받침대(20)에 사료와 물이 정량 공급되고 난 뒤, 모든 센서(60)가 공급된 사료와 물에 모두 접촉하여 "접점 온" 상태가 되면 센서(60)는 제어부(70)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S60).
다음, 제어부(70)는 설정시간 동안 상기 센서(60)에서 "접점 온" 상태에 따른 신호를 계속적으로 출력 받았다고 판단한 다음(S70), 설정시간이 지났다고 판단되면 제어부(70)는 사료공급부(30) 및 물 공급부(40)를 폐쇄시켜 사료받침대(20)로 공급되는 사료와 물의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S80).
10: 호퍼 20: 사료받침대
30: 사료공급부 40: 물공급부
50: 디스플레이부 60: 센서
70: 제어부 90: 스크레이퍼

Claims (3)

  1. 사료공급부(30) 및 물공급부(40)를 자동 개방 및 폐쇄시켜 사료받침대(20)로 공급되는 사료와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료받침대(20)에 담겨진 액상사료에 센서(60)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센서(60)가 "접점 오프" 신호를 제어부(70)로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70)에 설정시간을 세팅하여, 상기 센서(60)의 "접점 오프" 신호가 상기 설정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출력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70)에 지연시간을 세팅하여, 상기 센서(60)의 "접점 오프" 신호가 상기 제어부(70)의 설정시간 동안 출력되고 난 뒤에, 다시 상기 지연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출력되는 지를 판단한 후, 상기 사료공급부(30)와 물공급부(40)를 개방시켜 상기 사료받침대(20)로 사료와 물을 자동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사료받침대(20)에 담겨진 사료와 물에 상기 센서(60)가 접촉하여 "접점 온" 상태가 되어, 상기 제어부(70)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70)는 설정시간 동안 상기 센서(60)에서 "접점 온" 상태에 따른 신호를 계속적으로 출력 받았다고 판단한 다음, 디스플레이(50)의 표시부(51, 52)에 설정된 사료와 물의 공급시간이 완료되고 나면 사료공급부(30) 및 물 공급부(40)를 폐쇄시켜 사료받침대(20)로 공급되는 사료와 물의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60092949A 2016-07-21 2016-07-21 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방법 KR101877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949A KR101877616B1 (ko) 2016-07-21 2016-07-21 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949A KR101877616B1 (ko) 2016-07-21 2016-07-21 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614A KR20180010614A (ko) 2018-01-31
KR101877616B1 true KR101877616B1 (ko) 2018-07-12

Family

ID=61083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949A KR101877616B1 (ko) 2016-07-21 2016-07-21 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6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7705A (ko) 2022-03-22 2023-10-05 주식회사 연합축산 액상사료 급여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626B1 (ko) * 2019-05-15 2019-11-21 김기주 액상사료 공급방법
KR20210153402A (ko) 2020-06-10 2021-12-17 주식회사 연합축산 액상사료 급여기의 물 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524978B1 (ko) 2021-05-10 2023-04-24 주식회사 연합축산 액상사료 급여기의 물 공급 제어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3888A (ko) * 2009-12-07 2011-06-15 최시수 동물사료 및 식물비료 자동공급장치.
KR101067843B1 (ko) * 2009-04-22 2011-09-27 최호정 양돈용 자동 습식 급이기 및 그 사용방법
KR20130080531A (ko) * 2012-01-05 2013-07-15 이창현 자동 습식사료 급여기의 감지장치
KR101410117B1 (ko) * 2012-05-15 2014-06-26 이창현 습식 사료 자동 급이기
KR20150029093A (ko) * 2013-09-09 2015-03-18 주식회사 연합축산 사료 및 식수 자동 급이기
KR20150067625A (ko) * 2013-12-10 2015-06-18 김철오 사료 자동 공급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843B1 (ko) * 2009-04-22 2011-09-27 최호정 양돈용 자동 습식 급이기 및 그 사용방법
KR20110063888A (ko) * 2009-12-07 2011-06-15 최시수 동물사료 및 식물비료 자동공급장치.
KR20130080531A (ko) * 2012-01-05 2013-07-15 이창현 자동 습식사료 급여기의 감지장치
KR101410117B1 (ko) * 2012-05-15 2014-06-26 이창현 습식 사료 자동 급이기
KR20150029093A (ko) * 2013-09-09 2015-03-18 주식회사 연합축산 사료 및 식수 자동 급이기
KR20150067625A (ko) * 2013-12-10 2015-06-18 김철오 사료 자동 공급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7705A (ko) 2022-03-22 2023-10-05 주식회사 연합축산 액상사료 급여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614A (ko) 201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7616B1 (ko) 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방법
KR101794688B1 (ko) 습식 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장치
US6145472A (en) Automatic feed distribution apparatus for animals
EP3269233B1 (en) Automatic feeder with feeding pipe
KR101410117B1 (ko) 습식 사료 자동 급이기
US7832356B2 (en) Feeder for animals
KR101779304B1 (ko) 전자식 급이기의 물에 빠진 사료 해결방법
KR101368051B1 (ko) 애완동물용 사료의 자동공급장치
WO2001064027A1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animal food dispenser
KR101697956B1 (ko) 애완동물 급식기
KR20140090350A (ko) 사료 및 식수의 정량 공급장치
KR20130071277A (ko) 자동 사료 급이기
WO2016142866A1 (en) Automatic pet feeding system
KR101692761B1 (ko) 돼지사료 급여장치의 사료받침대 스크래퍼
KR20120108301A (ko) 사료 자동 급이 시스템
KR102095649B1 (ko) 액상사료 급여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방법
KR100868582B1 (ko) 병목현상 자동방지기능이 구비된 자돈사료급여기
KR101794682B1 (ko) 물 보충 기능을 가진 습식 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장치
KR20170061545A (ko) 양돈용 액상사료 공급방법 및 공급시스템
KR101465935B1 (ko) 자동 사료 급이기의 물공급장치
KR102152531B1 (ko) 액상사료 공급방법
KR101916526B1 (ko) 급이기의 센서 오동작을 감지하는 방법
KR20130119638A (ko) 자동 사료 급이기의 이송스크류 구조
KR20170120992A (ko) 자동 사료 급이기의 물공급장치용 수위감지센서
KR20180046815A (ko) 급이기의 물 공급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