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7625A - 사료 자동 공급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료 자동 공급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7625A
KR20150067625A KR1020130153314A KR20130153314A KR20150067625A KR 20150067625 A KR20150067625 A KR 20150067625A KR 1020130153314 A KR1020130153314 A KR 1020130153314A KR 20130153314 A KR20130153314 A KR 20130153314A KR 20150067625 A KR20150067625 A KR 20150067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feed
predetermined
out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3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3141B1 (ko
Inventor
김철오
Original Assignee
김철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오 filed Critical 김철오
Priority to KR1020130153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141B1/ko
Publication of KR20150067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7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 A01K5/0233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dispensing by dosing means actively operated by the anim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9/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poultry or other birds
    • A01K39/01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 A01K39/012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filling automatically, e.g. by gravity from a reserv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환경 적응적 사료 자동 공급 방법과 장치가 제시되는데, 사료통에 설치된 저항 센서 간에 입력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저항 센서를 거친 상기 입력신호를 소정의 구간마다 AD 컨버터로 독출하여 누적값을 산정하고, 상기 소정의 구간마다 독출된 누적값이 이전 소정의 구간 동안 독출된 누적값에 비해 큰 경우 피크치를 갱신하고, 상기 피크치에 비해 상기 소정의 구간마다 상기 AD 컨버터로 독출되는 누적값이 작으면서 상기 피크치와의 차이 절대값이 소정의 값보다 커지는 경우 사료를 상기 사료통에 공급하도록 하는 공급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여 상황에 맞는 사료 공급이 이루어지는 적응적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사료 자동 공급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stock feeding }
본 발명은 가축사료를 가축이 키워지는 공간 환경 및 기후 등 여러가지 조건을 고려하여 최적으로 공급해 줄 수 있는 가축사료 공급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 돼지, 닭과 같은 가축을 키우는 축사에서는 관리자가 하루 중 사료통에 사료가 부족한 경우 그 때 그 때 사료를 채우거나 아니면 일정한 시각에 맞추어서 사료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가축을 키우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으로는 가축의 수가 많아질 경우 관리자의 수고가 많이 들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여러가지 자동 사료 공급 장치 들이 제안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실용신안출원 20-2011-0008920호 (가축사료 자동 공급 장치)에서는 일정 시간마다 자동으로 사료를 공급해주는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가축은 사람과 달리 일정시간 사료를 공급해주기 보다는 가축이 원할 때 마다 그 때 그 때 자동으로 사료를 공급해 주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가축 막사 내에 개체 수가 수시로 변동되거나 가축 건강 상의 문제 등으로 인해 사료의 소비가 수시로 바뀌는 경우 일정시간 동일한 사료를 공급해 주는 방식은 오물 처리 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축이 처한 환경을 고려하면서도 관리자의 손길이 필요없이 자동으로 가축 사료를 적절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사료 자동 공급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료 자동 공급 방법은 사료통에 설치된 저항 센서 간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저항값이 소정의 값보다 큰 경우 소정의 사료를 상기 사료통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값은 상기 사료통에 포함된 사료에 의해 값이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료 자동 공급 방법은 사료통에 설치된 저항 센서 간에 입력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저항 센서를 거친 상기 입력신호를 소정의 구간마다 AD 컨버터로 독출하여 누적값을 산정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구간마다 독출된 누적값이 이전 소정의 구간 동안 독출된 누적값에 비해 큰 경우 피크치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피크치에 비해 상기 소정의 구간마다 상기 AD 컨버터로 독출되는 누적값이 작으면서 상기 피크치와의 차이 절대값이 소정의 값보다 커지는 경우 사료를 상기 사료통에 공급하도록 하는 공급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료 자동 공급 장치는 사료통에 설치된 저항 센서; 상기 저항 센서 간에 입력신호를 인가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저항 센서에 인가된 상기 입력신호를 소정의 시간구간마다 독출하는 AD 컨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AD 컨버터를 통해 상기 소정의 구간마다 독출된 상기 입력신호 값을 누적한 누적값을 산출하고 상기 누적값이 이전 소정의 구간 동안 독출된 누적값에 비해 큰 경우 피크치를 갱신하고, 상기 피크치에 비해 상기 소정의 구간마다 상기 AD 컨버터로 독출되는 누적값이 작으면서 피크치와의 차이 절대값이 소정의 값보다 커지는 경우 사료를 상기 사료통에 공급하도록 공급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트롤러는, 사료를 상기 사료통에 공급하도록 출력하는 상기 공급신호가 소정시간 동안 출력된 출력횟수를 저장하고, 상기 공급신호가 소정시간 동안 출력된 출력횟수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갱신하고, 및 상기 갱신된 출력횟수가 기 저장된 출력횟수에 비해 소정값 이상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경고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트롤러는, 사료를 상기 사료통에 공급하도록 출력하는 상기 공급신호가 출력된 후 경과시간을 저장하고, 및 상기 저장된 경과시간이 소정값 이상 경과한 경우 경고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자공 공급 방법 및 장치를 통해 가축이 처한 환경을 고려하면서도 관리자의 손길이 필요없이 자동으로 가축 사료를 최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사료 소비 상황에 따라 가축 등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사료 공급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 공급 장치를 도시한다.
도 3a,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구형파 펄스 인가에 따라 저항센서의 저항값이 바뀌는 경우 AD 컨버터가 읽는 값을 도시화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AD 컨버터가 읽는 누적값의 변화에 따라 사료를 공급하는 시점을 도시화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료통에 설비된 저항센서의 변동에 따라 사료 공급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사료통에 설비된 저항센서의 변동에 따라 사료 공급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료 자동 공급 횟수 통계에 따라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자동 공급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클라이언트나 운용자,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사료 공급 장치를 나타낸다.
보통 호퍼(10)에 가축에게 공급할 사료가 담기게 된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사료는 해당 가축에게 공급되는 동식물성 사료를 포함하기도 하지만, 오직 가축 음수용 물 만을 의미하기도 한다.
호퍼(10)에 담긴 사료는 레버(도시되지 않음) 내지는 사료 공급 조절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사료통(20)에 공급된다. 사료통에 사료가 공급되면 가축은 이를 섭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 공급 장치를 도시한다.
호퍼(10)에는 앞선 도 1에서와 마찬가지로 사료가 담겨지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 자동 공급 장치에서 공급신호를 수신하면 일정한 사료 공급 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작동하여 사료통(20)에 사료 혹은 물을 공급하게 된다. 사료통(20)은 가축이 사료를 섭취하는 일종의 먹이통으로서 저항센서(210, 212, 214, 216, 218)이 설치된다. 저항센서는 210과 같이 사료통(20) 바닥에 설치될 수도 있고, 218과 같이 사료통(20) 옆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는 관리자의 선택과 가축 사육 환경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저항센서(210, 212, 214, 216, 218)는 주로 도체로 구성된 양 전극(2101, 2102)으로 구성되는 센서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 자동 공급 장치(30)는 컨트롤러(301)와 AD 컨버터(303)로 구성된다. 가장 간단한 자동 사료 공급 방법의 예는 사료통(20)에 설비된 저항센서 양 전극 간의 저항을 AD 컨버터(303)로 읽어들여 사료통 내의 사료 공급 현황을 체크하여 사료 공급을 조절하는 것이다. 사료가 사료통(20) 내에서 충분한 상태이면 습기를 머금은 사료로 인해 저항센서 간 저항이 낮아지게 된다. 사료 자동 공급 장치(30)는 AD 컨버터로 저항센서 양 단의 저항을 읽어들여 만일 저항이 일정한 크기 이상으로 커지게 되면 사료가 고갈된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보통 사료가 포함된 경우 10KΩ 정도를 기록하고 있다면, 사료가 고갈된 경우 저항이 급격히 커질 것이다. 따라서, 일정한 문턱값인 500KΩ을 정해놓고 저항센서 양단 저항이 미리 정해놓은 문턱값 500KΩ 보다 커지는 경우에는 사료가 고갈된 것으로 판단하여 사료 공급 장치(30)는 호퍼(10)에서 사료를 추가로 공급하도록 공급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만, 문턱값이 지나치게 높으면 효율적인 사료 자동 공급을 실현할 수 없어 되도록 문턱값을 실험적으로 낮추는 것이 필요하지만, 지나치게 문턱값을 낮추게 되면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저항센서 양 단 저항값이 낮아지는 것과 혼동할 수 있는 위험이 공존한다.
앞선 예는 간단한 시스템으로 실현화 할 수 있어서 편리한 점이 있지만 환경이 다변하는 현실에서는 오동작의 우려도 있다. 즉, 계절에 따라 가축을 키우는 막사(가축우리) 내 습도가 달라질 수도 있고, 가축 우리를 물로 청소하는 경우 습도가 올라가게 되고, 이런 경우 저항센서 양 단의 저항은 실제 사료의 존재여부에 상관없이 낮아지게 될 것이다. 또는, 사료 자체의 성분에 따라 전해질 성분이 높다거나 염분이 높은 사료와 수분이 섞이는 경우 수시로 저항값이 바뀌기 때문에 일정한 저항값을 문턱값으로 정해놓고 사료 자동 공급 장치를 운용하는 것에 환경에 따라 오동작의 가능성이 커진다.
따라서, 절대적인 문턱값을 통해 저항센서 양단의 저항값으로 사료 공급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방법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좀더 적응적(adaptive) 방법을 아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서 마찬가지로 AD 컨버터(303)는 계속적으로 저항센서 양단의 저항값을 독출한다. 이 때 사료 자동 공급 장치(301) 내의 컨트롤러(301)에서는 저항센서 양 단에 일정 간격의 펄스를 출력하여 이를 AD 컨버터(303)로 읽는다. 시스템 운용의 효율 상 일정 간격 펄스는 주기적인 구형파 펄스가 적절하다. 다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는 삼각파나 정현파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주기적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출력되는 주기적 신호이기만 하면 된다.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대값 5V 구형파 펄스에 대해 2.5V를 기준으로 저항센서 양단에 걸리는 저항에 따라 AD 컨버터에서 읽히는 값이 달라질 것이다. 만일 사료가 충분하여 저항값이 충분히 작다면 구형파는 최대 5V와 0V 사이를 스윙할 것이고, 저항값이 커지면 도 3b와 같이 구형파 최대값보다 작은 값이 AD 컨버터에서 읽히도록 스윙할 것이다. 이 때 일정시간(△T) 동안 2.5V 기준으로 스윙되는 구형파 면적을 누적하여 계산하다. 즉, 2.5V 아래 값도 절대값으로 계산하여 누적하여 계산한다. 일정시간은 실험적으로 가장 적정한 값을 정하면 된다. 예를 들면 1ms 와 같은 인터벌을 정할 수 있다.
일정한 시간 동안 저항센서 양단의 저항을 AD 컨버터(303)로 독출하여 그 값을 누적한다. 예를 들어 사료가 충분할 때 1ms 동안 AD 컨버터(303) 독출하여 읽어낸 구형파 펄스 누적값이 1500이라 하자. 이 값이 최고 누적값이 된다. 사료가 부족하게 되어 저항센서 양단의 저항이 커지면 AD 컨버터(303)로 읽어서 누적한 누적값이 1000으로 변하게 되고, 이 때 새롭게 계산된 누적값이 최고 누적값보다 500 이상 차이가 나게되고 이 500은 사용자가 실험적으로 설정한 소정의 차이값(gap value)을 벗어나므로 사료가 불충분하다고 판단하여 컨트롤러(301)는 사료를 공급하라는 신호를 출력한다. 물론 소정의 차이값(gap value)은 사용자가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는 편의 상 500이라고 하자.
이전 예에서 최고 누적값이 1500인 상황에서 가축 우리의 환경이 변하여 습도가 높아지게 됨에 따라 저항센서 양단 저항은 이전 최고 누적값에 비해 더욱 저항이 낮아지는 상황이 되었다. 물론 습도가 높아지거나 사료의 염분 성분이 높아서 동일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저항센서 양단 저항이 이전에 비해 낮아짐으로써 최고 누적값은 같은 일정시간(△T) 동안 누적값이 이전 1500에 비해 더욱 커지게 되어 2000이 되었다. 컨트롤러(301)는 이제 최고 누적값을 1500에서 2000으로 새로이 갱신하게 된다. 이제는 AD 컨버터로 일정시간(△T) 동안 읽은 AD 컨버터(303)의 입력 누적값이 1500으로 떨어지게 되면 소정의 차이값(gap value) 500 만큼 최고 누적값 대비 입력 누적값이 차이가 발생하므로, 컨트롤러(301)는 사료를 투하하라는 공급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도 4를 통해 정리하면, 사료 자동 공급 장치(30)는 컨트롤러(301)를 통해 주기적 구형파를 저항센서 양단에 인가하면서 저항값의 변동을 AD 컨버터(303)로 읽어낸다. AD 컨버터(303)가 읽는 값을 일정시간 동안 누적하여 이 값이 이미 저장된 최고 누적값에 비해 커지면 이 값을 계속 갱신하게 된다. 컨트롤러(301)는 AD 컨버터(303)가 읽는 저항센서 양단의 저항값을 누적하여 이 값을 최고 누적값과 비교하게 되고, 이 비교값이 소정의 차이값(gap value)을 벗어나게 되면 사료가 불충분하다고 판단하여 소정의 지연시간(Td) 후에 사료 공급을 지시하는 공급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가축 우리 - 엄밀하게는 사료통(20) - 주변의 저항값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환경 변화의 상대적 판단이 가능하게 되어, 절대적인 저항값을 기준으로 사료를 공급하는 것에 비해 좀더 정확하게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앞에서는 주기적 신호에 따라 AD 컨버터(303)가 누적값을 산출하는 실시예에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컨트롤러(301)에서 출력하는 펄스는 반드시 주기적인 신호일 필요는 없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301)에서 출력하는 신호는 단순한 DC 값을 출력하여 이를 저항센서 양단에 인가하여 일정시간(△T) 동안 읽어서 누적하여 앞서 동일한 방법에 따라 사료 자동 공급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본 사료 자동 공급 장치에 따르면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시간을 체크하여 가축 우리 내 경고상황도 체크할 수 있다.
컨트롤러(301)는 소정의 시간 동안 - 예를 들면, 하루 내지는 반나절 등의 비교적 긴 시간 동안 - 몇 번 공급신호가 송출되었는지를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컨트롤러(301)는 매일매일의 공급신호 출력 횟수 통계를 저장해 놓을 수 있다. 만일 매일 평균적으로 매일 7~8회 정도의 공급신호가 출력되었는데 어느 때 부터 10회 정도의 공급신호가 출력되고 있다면 가축 내 개체 수 증가 내지는 가축의 식욕이 증가할 만한 요인 - 예를 들면 새끼 임신 - 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반대로 매일 7~8회 정도 공급신호가 출력되었는데 어느 날 부터 공급신호가 3~4회로 떨어졌다면 가축 우리내 우려할 만한 상황이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가축 우리 내 가축들이 사료를 섭취하지 않는 질병을 앓고 있는 상황이거나 아니면 개체 수가 줄어서 - 가축이 죽어서 - 사료 소비가 감소했을 수도 있으므로 관리자는 조속히 이러한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료 공급 장치(30)는 만일 이러한 통계적 편차가 심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즉, 소정의 시간 동안 발생되었던 공급신호의 통계적 평균값에 비해 소정의 값보다 크거나 작은 공급신호가 나가는 경우 관리자에게 경고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관리자는 이러한 공급신호를 토대로 가축 우리 내에 이상 원인을 점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료통에 설비된 저항센서의 변동에 따라 사료 공급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사료통에 설치된 저항센서(210, 212, 214, 216, 218)를 통하여 저항센서 양 전극 간 저항을 측정한다(510). 측정된 저항값이 소정의 문턱값에 비해 큰 지를 판단한다(512). 만일 저항값이 소정의 문턱값에 비해 크다면 사료(내지는 물)가 거의 없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사료 자동 공급 장치(30)는 공급신호를 출력하여 호퍼(10)로부터 사료를 공급하도록 한다(514).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사료통에 설비된 저항센서의 변동에 따라 사료 공급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일단 사료통에 설치된 저항센서 간에 주기적인 입력신호를 인가한다(610).
주기적인 입력신호는 구형파 펄스, 삼각파 펄스, 정현파 펄스 등 어떤 주기적 신호도 가능하지만, 구현이 편의를 위해서는 구형파 펄스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저항센서 간에 입력되는 신호가 반드시 주기적인 신호일 필요는 없다. 일정한 값을 가지는 DC 값을 저항센서 간에 입력하더라도 주기적으로 저항센서 양단의 저항값을 읽으면 된다.
다음으로는 저항센서를 거친 신호인 저항값을 일정시간 동안 AD 컨버터로 독출하고 이를 해당 일정시간 동안 누적하여 누적값을 계산한다(612). 일정시간 동안 계산된 누적값이 이전 기저장된 최고 누적값(피크치)보다 큰 값인지를 판단한다(614). 만일 누적값이 이전 기저장된 최고 누적값(피크치)보다 큰 값이면 최고 누적값(피크치)을 현재의 누적값으로 새롭게 갱신한다(616). 그리고, 계속해서 저항센서를 거친 저항값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AD 컨버터로 읽으면서 누적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반복한다(612).
만일 누적값이 이전 최고 누적값(피크치)에 비해 작으면서 최고 누적값(피크치) 대비 현재 누적값의 차이가 소정의 값(gap value)보다 작아지는 경우 - 즉, 저항값이 최고 누적값에 해당하는 저항값 대비 상당히 커진 경우 사료가 모두 고갈된 것으로 판단한다(618). 따라서, 이 때 사료 자동 공급 장치(30)는 사료 공급 신호를 출력(620)하게 된다. 사료가 한번 공급되면 소정의 휴지기간을 갖도록 한다(622). 소정의 휴지기간이 경과한 후 사료 자동 공급이 새로이 작동하기 위해서는 이제 최고 누적값(피크치)를 리셋하여 0으로 놓고 저항센서 양단의 저항값을 AD 컨버터로 다시금 읽으면서(612) 위 단계를 반복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료 자동 공급 횟수 통계에 따라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먼저 사료통에 사료를 공급하도록 하는 공급신호가 일정한 시간동안 출력된 출력횟수를 저장한다(710). 일정한 시간은 편차가 있을 수 있지만 반나절이나 하루 혹은 며칠 정도의 시간 정도를 단위로 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하루를 일단위로 정했다면 하루 동안 몇번 사료 공급신호가 출력되었는지를 카운트하여 저장해 놓는다. 간단한 예로 하루 동안 출력된 사료 공급신호가 평균 7.5회 였다. 그리고, 이 값을 기준으로 소정의 편차값을 정해 놓는다. 즉, 편차값을 3으로 하면 10회 정도는 이상이 발생한 경우로 판단하지 않지만 11회 정도 투하되면 무언가 변화가 있음을 인지하는 사태로 파악한다(712). 반대로 사료투하가 하루 4회 정도였다면 역시 너무 적게 투하된 것으로 가축 우리 내에 무언가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물론 편차값으로 판단할 수도 있지만 공급신호의 평균값 대비 일정한 비율로 값이 변동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즉, 평균 대비 20% 편차가 발생하였을 때 이상이 있는 경우로 파악하는 것이다. 이 경우 하루 사료 공급 횟수가 10가 되면 평균 7.5회 보다 20% 이상 높은 경우이므로 이상이 있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료 자동 공급장치(30)의 컨트롤러(301)에서는 경고 신호를 발생하도록 제어한다(714).
경고신호를 수신하는 관리자는 가축 우리 내의 이상을 감지하여 우리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가축 개체 수의 증가, 가축의 병질환 등을 사료 공급양 변화로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개시하였다.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명세서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호퍼
20; 사료통
210, 212, 214, 216, 218; 저항센서
30; 사료 자동 공급 장치
301; 컨트롤러
303; AD 컨버터

Claims (12)

  1. 사료 자동 공급 방법에 있어서,
    사료통에 설치된 저항 센서 간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저항값이 소정의 값보다 큰 경우 소정의 사료를 상기 사료통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값은 상기 사료통에 포함된 사료에 의해 값이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자동 공급 방법.
  2. 사료 자동 공급 방법에 있어서,
    사료통에 설치된 저항 센서 간에 입력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저항 센서를 거친 상기 입력신호를 소정의 구간마다 AD 컨버터로 독출하여 누적값을 산정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구간마다 독출된 누적값이 이전 소정의 구간 동안 독출된 누적값에 비해 큰 경우 피크치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피크치에 비해 상기 소정의 구간마다 상기 AD 컨버터로 독출되는 누적값이 작으면서 상기 피크치와의 차이 절대값이 소정의 값보다 커지는 경우 사료를 상기 사료통에 공급하도록 하는 공급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자동 공급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는 DC 입력 신호 내지는 주기적 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자동 공급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 신호는 구형파 펄스, 삼각파 펄스, 정현파 펄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자동 공급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사료를 상기 사료통에 공급하도록 하는 상기 공급신호가 소정시간 동안 출력된 출력횟수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공급신호가 소정시간 동안 출력된 출력횟수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출력횟수가 기 저장된 출력횟수에 비해 소정값 이상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경고를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자동 공급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사료를 상기 사료통에 공급하도록 하는 상기 공급신호가 출력된 후 경과시간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경과시간이 소정값 이상 경과한 경우 경고를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자동 공급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사료를 상기 사료통에 공급하도록 하는 상기 공급신호가 소정시간 동안 출력된 출력횟수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공급신호가 소정시간 동안 출력된 출력횟수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출력횟수가 기 저장된 출력횟수에 비해 소정비율 이상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경고를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자동 공급 방법.
  8. 사료 자동 공급 장치에 있어서,
    사료통에 설치된 저항 센서;
    상기 저항 센서 간에 입력신호를 인가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저항 센서에 인가된 상기 입력신호를 소정의 시간구간마다 독출하는 AD 컨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AD 컨버터를 통해 상기 소정의 구간마다 독출된 상기 입력신호 값을 누적한 누적값을 산출하고 상기 누적값이 이전 소정의 구간 동안 독출된 누적값에 비해 큰 경우 피크치를 갱신하고, 상기 피크치에 비해 상기 소정의 구간마다 상기 AD 컨버터로 독출되는 누적값이 작으면서 피크치와의 차이 절대값이 소정의 값보다 커지는 경우 사료를 상기 사료통에 공급하도록 공급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자동 공급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는 DC 신호 및 주기적 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자동 공급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 신호는 구형파 펄스, 삼각파 펄스, 정현파 펄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자동 공급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사료를 상기 사료통에 공급하도록 출력하는 상기 공급신호가 소정시간 동안 출력된 출력횟수를 저장하고, 상기 공급신호가 소정시간 동안 출력된 출력횟수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갱신하고, 및 상기 갱신된 출력횟수가 기 저장된 출력횟수에 비해 소정값 이상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경고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자동 공급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사료를 상기 사료통에 공급하도록 출력하는 상기 공급신호가 출력된 후 경과시간을 저장하고, 및 상기 저장된 경과시간이 소정값 이상 경과한 경우 경고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자동 공급 장치.
KR1020130153314A 2013-12-10 2013-12-10 사료 자동 공급 방법 및 장치 KR101593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314A KR101593141B1 (ko) 2013-12-10 2013-12-10 사료 자동 공급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314A KR101593141B1 (ko) 2013-12-10 2013-12-10 사료 자동 공급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625A true KR20150067625A (ko) 2015-06-18
KR101593141B1 KR101593141B1 (ko) 2016-02-11

Family

ID=53515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3314A KR101593141B1 (ko) 2013-12-10 2013-12-10 사료 자동 공급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1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616B1 (ko) * 2016-07-21 2018-07-12 주식회사 연합축산 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방법
KR20190032246A (ko) * 2017-09-19 2019-03-27 이준호 사료 또는 물 공급 누적량 확인방법
KR20190032245A (ko) * 2017-09-19 2019-03-27 이창현 액상사료 급여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159Y1 (ko) * 2003-04-29 2003-07-23 문석환 사료 자동 공급 장치용 사료 감지기
KR101234984B1 (ko) * 2013-01-14 2013-02-20 박종대 사료의 효율이 높은 가축의 전자식 급이기
KR20130002287U (ko) * 2011-10-06 2013-04-16 정태호 가축사료 자동 공급 장치
JP3194323U (ja) * 2014-09-04 2014-11-13 佐鳥 新 飼料センサおよびこれを用いた飼料残量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159Y1 (ko) * 2003-04-29 2003-07-23 문석환 사료 자동 공급 장치용 사료 감지기
KR20130002287U (ko) * 2011-10-06 2013-04-16 정태호 가축사료 자동 공급 장치
KR101234984B1 (ko) * 2013-01-14 2013-02-20 박종대 사료의 효율이 높은 가축의 전자식 급이기
JP3194323U (ja) * 2014-09-04 2014-11-13 佐鳥 新 飼料センサおよびこれを用いた飼料残量管理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616B1 (ko) * 2016-07-21 2018-07-12 주식회사 연합축산 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방법
KR20190032246A (ko) * 2017-09-19 2019-03-27 이준호 사료 또는 물 공급 누적량 확인방법
KR20190032245A (ko) * 2017-09-19 2019-03-27 이창현 액상사료 급여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141B1 (ko) 201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67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feeding animals
EP2417851B1 (en) Feeding method and feeding system for farmed fish
EP2923567B1 (en) Control unit for game or fish feeder
US9408369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livestock feeding
KR101593141B1 (ko) 사료 자동 공급 방법 및 장치
KR101234984B1 (ko) 사료의 효율이 높은 가축의 전자식 급이기
WO2015184297A1 (en) In-home pet feeding and monitoring system
AU20164252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feeding animals
WO2009063415A2 (en) Smart automatic animals feeder (saaf)
US20140267705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feed amount
US2015024559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d/or controlling the resource consumption of an agricultural plant
KR20170000956A (ko) 반려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KR102174884B1 (ko) 생장환경 기반의 수족관 자동제어 장치 및 방법
Jadhav et al. IoT based automated fish feeder
CN108153350A (zh) 一种动物园室内管理系统和方法
KR102261887B1 (ko) 반려동물 건강을 위한 사료 공급기 및 사료 공급 시스템
WO2020110616A1 (ja) 養鶏システム、養鶏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189153B1 (en) Material container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KR101985661B1 (ko) 원형볏짚 자동 급이장치
IE20150405A1 (en) An animal drinking system
JP2006271228A (ja) 給餌システム
WO2015015491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livestock feeding
JP7109268B2 (ja) 制御装置、動物用トイレ、および動物用トイレの制御方法
Han et al. Automatic Aquarium Water Change System With Real Time Monitoring Through IoT
WO2014162315A2 (en) An accufeed system with quadra directional twin screw technology for poulty fee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