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978B1 - 액상사료 급여기의 물 공급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액상사료 급여기의 물 공급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978B1
KR102524978B1 KR1020210060270A KR20210060270A KR102524978B1 KR 102524978 B1 KR102524978 B1 KR 102524978B1 KR 1020210060270 A KR1020210060270 A KR 1020210060270A KR 20210060270 A KR20210060270 A KR 20210060270A KR 102524978 B1 KR102524978 B1 KR 102524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eed
water supply
shaft tube
rotar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2838A (ko
Inventor
이창현
장봉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합축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합축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합축산
Priority to KR1020210060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978B1/ko
Publication of KR20220152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2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16Automatic devices for the distribution of liquid fodd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A01K5/0283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b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료가 저장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축관, 상기 회전축관의 끝단에 결합되며 가축들이 주둥이로 밀어주는 동작에 따라 상기 회전축관을 회전시키도록 하는 사료배출레버, 상기 급수관에 설치되며 제어부의 전기적 신호로 상기 급수관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전자밸브 및 상기 회전축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관의 회전 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전자밸브를 개방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호퍼를 가로 지른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사료량조절대에 지지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설치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관의 외경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관과 함께 회전 동작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외곽을 따라 서로 다른 극성을 띈 상태로 번갈아가며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자석, 상기 케이스의 내부 설치공간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회전판의 회전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자석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사료 급이기의 물 공급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상사료 급여기의 물 공급 제어장치{A water supply control apparatus of liquid feeder}
본 발명은 액상사료 급여기의 물 공급 제어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량계를 이용하여 물의 공급량을 제어하도록 하여 수압 차이에 상관없이 정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액상사료 급여기의 물 공급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급이기는 농가나 축사에서 돼지, 소, 염소, 양 등과 같은 가축(이하 '가축'이라 통칭함)에게 사료 및 식수를 공급하게 되며, 사료 및 식수의 급여방식에 따라서 사료와 물을 동시에 공급하는 습식 급이기 또는 사료와 물을 별도로 제공하는 건식 급이기 등이 있다.
한편, 사료는 종류, 입자나 입도, 부피, 점도 등이 다양하고 수분으로 인해 뭉치거나 덩어리 등이 발생하며 각별한 관리가 필요로 하며, 또 호퍼 내에 담긴 사료를 주기적으로 저어 뭉치지 않게 하는 등 가축이 먹기 좋은 상태로 제공하게 된다. 이때 사료와 물의 공급 비율이 맞지 않을 경우에 사료가 곤죽이 되어 변질되기 쉽고 질병의 발생위험이 심각하므로, 이렇게 부패된 사료는 가축이 먹기 전에 사료받침대에서 퍼내서 버려야하는 등 관리가 까다롭고 인력손실이 크고 사료와 물의 허실이 심한 바, 사료와 물의 공급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절실히 요구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8-0010614 호(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방법)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사료공급부 및 물공급부를 자동 개방 및 폐쇄시켜 사료받침대로 공급되는 사료와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료받침대에 담겨진 액상사료에 센서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센서가 접점 오프" 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 설정시간을 세팅하여, 상기 센서의 "접점 오프" 신호가 상기 설정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출력되는 지를 판단한 후, 사료공급부 및 물공급부를 개방시켜 상기 사료받침대로 사료와 물을 자동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사료받침대에 공급된 액상사료에 센서가 접촉되면 상기 센서가 "접점 온" 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센서의 "접점 온"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세팅된 설정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출력되는 지를 판단한 후, 상기 사료공급부 및 물공급부를 폐쇄시켜 상기 사료받침대로 사료와 물의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요지로 한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사료와 물의 공급이 제어부에 세팅된 시간 동안 공급되는방식을 사용하는 데, 이러한 방법은 가축이 요구하는 사료와 물의 비율을 맞추기가 어려워 사료받침대에 물이 부족해서 사료가 남거나 반대로 물이 너무 많이 남아서 가축의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곤 한다.
설령 농가에서 관리자가 사료와 물의 적정 비율을 맞추어 놓았더라도 농장의 수압은 가축이 동시에 음수하는 양에 따라서 수시로 변할 수 밖에 없으므로 사료와 물의 비율을 관리자가 관심있게 관찰하여 수시로 조절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를 수 밖에 없다.
즉, 시간으로 물의 공급을 제어할 경우, 수압 차이가 발생하여 높은 수압과 낮은 수압일 때 설정 시간동안 공급되는 물의 양이 달라질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사료대비 정량의 물을 사료받침대로 공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종래의 사료배출장치에서는 가축이 사료배출시 배출되는 사료양이 일정하지 못하게 되면서 회전축이 같은 움직임 상태하에서도 제어부에서 기 설정된 물의 양이 정확하더라도 사료의 양이 불규칙하므로써 사료와 물의 비율이 맞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자밸브의 고장 등으로 물이 멈추지 않고 계속적으로 배출되거나 호퍼 내부에 사료가 떨어져서 없을 때, 가축들이 사료배출레버를 계속적으로 돌려서 급수가 진행되어 불필요한 양의 물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8-0010614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량계를 이용하여 물의 공급량을 제어하도록 하여 수압 차이에 상관없이 정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액상사료 급여기의 물 공급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가축이 사료배출레버를 회전시키는 횟수를 카운터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해 물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하여 적정량의 물을 자동 공급할 수 있는 액상사료 급여기의 물 공급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료받침대의 내부에 수위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전자밸브의 고장이나 오동작으로 물이 배출되거나 혹은 단수 등으로 물의 배출이 즉각 이루어지지 않을 때,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하여 회전판의 회전 카운트에 영향을 받지않고 제어부가 즉각 물의 배출을 차단하거나, 또는 사료받침대로 물을 배출하도록 한 액상사료 급여기의 물 공급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을 통해 사료받침대로 물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물의 공급량을 정량으로 자동 제어하기 위한 액상 사료 급이기의 물 공급 제어장치에 있어서, 사료가 저장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축관, 상기 회전축관의 끝단에 결합되며 가축들이 주둥이로 밀어주는 동작에 따라 상기 회전축관을 회전시키도록 하는 사료배출레버, 상기 급수관에 설치되며 제어부의 전기적 신호로 상기 급수관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전자밸브 및 상기 회전축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관의 회전 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전자밸브를 개방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호퍼를 가로 지른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사료량조절대에 지지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설치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관의 외경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관과 함께 회전 동작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외곽을 따라 서로 다른 극성을 띈 상태로 번갈아가며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자석, 상기 케이스의 내부 설치공간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회전판의 회전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자석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수관에는 상기 급수관을 통과하는 물의 공급량을 측정하는 수량계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료받침대의 내부에는 수위감지센서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수량계를 이용하여 물의 공급량을 제어하도록 하여 축사마다 다른 수압 차이에 상관없이 정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어 가축의 균형있는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가축이 사료배출레버를 회전시키는 횟수를 카운터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해 물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하여 적정량의 물을 자동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사료받침대의 내부에 수위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전자밸브의 고장이나 오동작으로 물이 배출되거나 혹은 단수 등으로 물의 배출이 즉각 이루어지지 않을 때,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하여 회전판의 회전 카운트에 영향을 받지않고 제어부가 즉각 물의 배출을 차단하거나, 또는 사료받침대로 물을 배출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상사료 급여기의 물 공급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제어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회전판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회전판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액상 사료 급여기의 물 공급 제어장치에서 급수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감지센서부가 회전판의 회전수를 카운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상사료 급여기의 물 공급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제어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회전판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상 사료 급이기는 사료가 저장되며 하단에는 저장된 사료를 배출하는 사료배출관(20)이 마련된 호퍼(10), 상기 호퍼(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사료배출관(20)을 통해 배출되는 사료를 담아내는 사료받침대(30), 상기 호퍼(10)의 내부 공간을 수직으로 가로 지른 상태로 설치되는 회전축관(50), 상기 회전축관(50)의 하단에 결합되며 가축들이 상기 회전축관(50)을 주둥이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사료배출레버(32), 상기 호퍼(10)의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사료받침대(30)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호퍼(10)의 하단에는 사료를 사료받침대(30)로 배출시키는 사료배출관(20)이 마련된다. 상기 사료배출관(20)은 사료받침대(3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데, 상기 사료배출관(20)의 하단에는 사료배출구(122)를 사이에 두고 사료받침판(120)이 설치되고, 상기 사료받침판(120)은 상기 회전축관(50)의 외경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관(50)과 함께 회전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사료받침판(120)의 외곽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제사료배출판(124)을 설치하여 사료받침판(120)의 회전시 회전하는 만큼 사료가 정확한 양이 배출되도록 하였다.
상기 사료배출레버(32)는 가축이 주둥이로 밀어 내게 되면 회전축관(50)이 회전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호퍼(10)에 저장되어 있는 사료는 사료받침대(30)로 배출되어 진다. 즉, 사료배출레버(32)가 회전축관(50)에 연결되어 가축들이 사료배출레버(32)를 회전시키면서 사료받침대(30)로 사료가 배출되어 진다.
상기 급수수단(60)은 호퍼(10)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관(5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사료받침대(20)로 물을 공급할 목적으로 제공되는 수단이다.
상기 급수수단(60)은 상기 회전축관(30)에 연결되는 급수관(62)을 포함한다. 상기 급수관(62)은 수도에 연결되거나 펌프(미 도시 함)의 펌핑 동작에 따라 외부의 물을 상기 회전축관(50)의 내부로 공급하게 되며, 이를 통해 물은 회전축관(50)의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사료받침대(30)로 공급된다.
즉, 급수수단(60)은 급수공급을 위해 별도의 구성들을 호퍼(10)의 외부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호퍼(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관(50)을 이용하도록 함으로서 비교적 간단한 구성과 이로 인한 원가절감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급수관(62)에는 전자밸브(64)가 설치되며, 상기 전자밸브(64)는 제어부(68)에서 인가된 전류로 "온" 동작 및 전류 차단에 따라 "오프" 동작하며 급수관(62)을 개방 및 폐쇄시켜 사료받침대(30)로 물을 자동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급수수단(60)에는 제어수단(70)이 더 마련된다.
상기 제어수단(70)은 상기 회전축관(50)의 회전 동작에 따른 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전자밸브(64)를 자동 온, 오프 동작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제어수단(70)은 가축이 사료를 섭취하기 위해 사료배출레버(32)를 주둥이로 밀어 회전축관(50)이 회전할 때, 자석의 자기력 변화를 카운트하여 제어부(68)로 신호를 송출하도록 하고, 제어부(68)는 기 설정된 카운터 횟수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면 전자밸브(64)로 전원을 공급하여 급수관(62)을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 제어수단(70)은 케이스(72), 회전판(80) 및 적어도 2개 이상의 자석(82, 84), 감지센서(86)부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72)는 회전축관(50)의 외경에 끼워지되, 회전축관(50)과 함께 회전하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바람직하게는 호퍼(10)를 수평으로 가로 지른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사료량조절대(14)의 상면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며 아래에는 통과구멍(78)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설치공간(74)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72)는 사료량조절대(14)에 브라켓(71)을 통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72)의 내부 설치공간(74)에는 회전판(80)이 위치한다. 상기 회전판(80)은 상기 케이스(72)의 아래쪽 통과구멍(78)을 통해 케이스(72)의 내부 설치공간(74)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관(50)의 외경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관(50)과 함께 회전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회전축관(50)과 상기 회전판(80) 사이에는 상기 회전축관(50)의 회전력이 회전판(80)으로 전해지도록 육각형스토퍼(190)가 삽입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판(80)의 외곽면에는 다수개의 자석이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배열 설치되되, 각 자석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도록 N극의 자석(82)과 S극의 자석(84)이 서로 번갈아가며 교호되게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72)의 내부 설치공간(74)에는 감지센서부(86)가 설치된다. 상기 감지센서부(86)는 회전판(80)의 아래에 위치한 상태에서 회전판(80)의 회전 동작시, 상기 회전판(80)의 외곽에 설치되어 있는 서로 다른 극성을 띄는 자석(82, 84)이 회전하며 통과하는 동안 자석(82, 84)의 극성이나 자석 감지센서의 위상차를 감지하여 카운트한 후, 제어부(68)로 송출하게 된다. 자석을 통한 감지방식은 먼지와 습기에 강해 내구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한편, 감지센서부(86)가 자석(82, 84)을 감지하는 기술 구현방식은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바, 하기에서는 2가지 감지방식에 대하여 대표하여 기술한다.
도 6에서와 같이 자석(82, 84)과 감지센서부(86)간의 전기적 흐름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먼저, 감지센서부(86)는 복수개의 제 1, 2감지센서(A, B)일 수 있다. 상기 제 1, 2감지센서(A, B)는 위상(신호시간차)을 이용하여 회전수를 카운트한다.
즉 회전판(80)에 자석(82, 84)을 배열하되, 제 1, 2감지센서(A, B)를 각각 일정간격으로 배치하되 자석의 간격과는 차이가 나게 배치한다.
이렇게 되면 초기상태에서 제 1감지센서부(A)는 자석(82)을 감지하되, 제 2감지센서부(B)는 자석(82, 84) 사이에 배치되어 자석(84)을 감지하지 못하게 된다(A=1, B=0).
다음 회전판이 회전하기 시작하면 제 1, 2감지센서부(A, B)는 모두 자석을 감지하지 않은 상태가 된다(A=0, B=0)
다음 회전판이 계속 회전하기 시작하면 제 1감지센서부는 자석을 감지하지 않고, 제 2감지센서부는 자석을 감지하게 된다(A=0, B=1)
다음 회전판이 계속 회전하기 시직하면 제 1, 2감지센서부 모두 자석을 감지하게 된다(A=1, B=1)
이러한 감지센서부(86)는 자석의 극성을 감지하는 않는 센서로서 신호시간차를 통해 제어부는 회전판의 회전수를 카운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또 다른 실시 예로 감지센서부(86)는 자석의 극성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단일개수의 감지센서일 수 있다.
이때에는 감지센서가 회전판의 회전 동작으로 회전하는 자석의 극성 변화에 따른 전압차이를 이용하여 제어부가 회전판의 회전수를 카운트하게 된다.
상기 사료량조절대(14)와 회전축관(50)의 외경에는 마모방지장치(140)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회전축관(50)을 고정시키기 위한 스토퍼(142)가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142)는 회전축관(5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정위치에서 사료배출구의 간격을 정확히 유지시켜 사료받침대(30)로 배출되는 사료의 양을 정확히 조절할 수 있고, 마모방지장치(140)는 회전축관(50)의 회전시 사료양조절대(14)에 설치되는 관체와 마찰하게 되는 데 마찰로 인한 회전축관(50)과 관체의 마모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제어수단의 측정부를 자석이 아니라, 회전판(180)의 외곽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불투명(182) 및 투명판(184)을 번갈아가며 형성되도록 하여 회전축관(180)의 회전 개수를 카운트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급수관(62)에는 수량계(66)가 설치된다. 상기 수량계(66)는 전자밸브(64)의 동작으로 급수관(62)이 개방되고 나면 상기 급수관(62)을 통과하는 물의 양을 측정하여 제어부(68)로 신호를 보내게 되고, 제어부(68)는 기 설정되어 있는 물의 공급량과 상기 수량계(66)에서 측정한 물의 공급량이 일치하면 전자밸브(64)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전자밸브(64)를 "오프"시키도록 함으로서 정량의 물을 사료받침대(30)로 공급하게 된다.
즉, 제어부(68)에 사료받침대(30)로 공급될 물의 공급량을 설정한 후, 전자밸브(64)로 전원을 공급하여 전자밸브(64)를 동작시켜 급수관(62)을 개방시키면 수량계(66)는 통과하는 물의 양을 측정하여 제어부(68)로 신호를 보내게 되며, 이어서 제어부(68)에 설정되어 있는 물의 공급량과 수량계(66)에서 측정한 물의 공급량이 일치하면 전자밸브(64)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전자밸브(64)를 "오프"시키도록 함으로서 정량의 물을 사료받침대(30)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물의 공급을 종래와 같이 시간으로 제어하지 않고. 공급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여 물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서 각 축산 농가의 축사마다 실시간으로 다를 수 있는 수압 차이에 상관없이 항시 정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종래와 같이 시간으로 물의 공급을 제어할 경우, 수압 차이가 발생하면 높은 수압과 낮은 수압일 때 설정 시간 동안 공급되는 물의 양이 달라질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정량의 물을 사료받침대(30)로 공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은 수량계(66)를 통해 급수관(62)을 통과하는 물의 양을 측정한 후, 제어부(68)에 기 설정되어 있는 물의 공급량에 도달하면 전자밸브(64)를 "오프"시켜 물의 공급을 차단하게 되면서 수압 차이에 상관없이 항시 정량의 물을 사료받침대(30)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사료받침대(30)의 내부에는 수위감지센서(90)가 설치된다. 상기 수위감지센서(90)는 사료받침대(30)에 담겨진 물을 감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수위감지센서(90)는 전자밸브(64)의 고장으로 물이 계속 멈추지 않고 흘러서 사료받침대(30)에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강제적으로 물의 공급을 중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이물질 누적이나 전자밸브(64)의 고장으로 사료 받침대(30)의 상부에 일정 이상의 물이 고이게 되면서 수위감지센서(90)가 이를 감지하면 가축이 사료배출레버(32)를 돌려 제어부(68)의 설정카운터 횟수에 도달하더라도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물의 불필요한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때에 따라서 수위감지센서(90)에 물기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를 통해 간헐적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상기 수위감지센서(90)에는 높이조절수단을 설치하여, 수위감지센서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68)에는 간헐적으로 예를 들어 30분에 물 1리터를 주기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행여나 물이 모자라는 것을 예방하고 보다 많은 먹이 섭취를 유도하도록 제어부에 설정버튼을 구성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물의 공급량이 정확하고 사료의 공급량도 정확히 공급할 수 있으므로 통신장비와 연동시켜 외부에서도 실시간으로 공급상태를 확인 및 조작,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기록을 전산화하여 관리의 효율성을 가질 수 있는 등 ICT 장비로 활용이 가능하다.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의 액상사료급이기의 물 공급 제어장치에서 급수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와 같이 급수수단(60)을 구성하는 급수관(62)은 전술한 실시 예와 같이 회전축관(50)에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호퍼(10)의 외측에 별도로 구비하고. 상기 급수관(62)에 전자밸브(64) 및 수량계(66)를 설치하여 물이 급수관을 통해 사료받침대로 직접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관(50)은 관체 형태로 구성되거나 막힌 상태의 봉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10: 호퍼 20: 사료배출관
30: 사료받침대 32: 사료배출레버
50: 회전축관 60: 급수수단
62: 급수관 64: 전자밸브
66: 수량계 68: 제어부
70: 제어수단 72: 케이스
80: 회전판 82, 84: 자석
86: 감지센서부 90: 수위감지센서

Claims (3)

  1.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62)을 통해 사료받침대(30)로 물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물의 공급량을 정량으로 자동 제어하기 위한 액상 사료 급이기의 물 공급 제어장치에 있어서,
    사료가 저장되는 호퍼(10);
    상기 호퍼(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축관(50);
    상기 회전축관(50)의 끝단에 결합되며 가축들이 주둥이로 밀어주는 동작에 따라 상기 회전축관(50)을 회전시키도록 하는 사료배출레버(32);
    상기 급수관(62)에 설치되며 제어부(68)의 전기적 신호로 상기 급수관(62)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전자밸브(64) 및 ;
    상기 회전축관(50)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관(50)의 회전 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제어부(68)로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전자밸브(64)를 개방시키는 제어수단(7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70)은;
    상기 호퍼(10)를 가로 지른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사료량조절대(14)에 지지되는 케이스(72);
    상기 케이스(72)의 내부 설치공간(74)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관(50)의 외경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관(50)과 함께 회전 동작하는 회전판(80);
    상기 회전판(80)의 외곽을 따라 서로 다른 극성을 띈 상태로 번갈아가며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자석(82, 84);
    상기 케이스(72)의 내부 설치공간(74)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회전판(80)의 회전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자석(82, 84)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68)로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부(86)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관(62)은 상기 회전축관(5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료량조절대(14)를 관통하는 상기 회전축관(50)의 외경에는 마모방지장치(140) 및 상기 회전축관(50)을 상기 사료량조절대(14)에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142)가 더 포함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사료 급이기의 물 공급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62)에는 상기 급수관(62)을 통과하는 물의 공급량을 측정하는 수량계(66)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사료 급이기의 물 공급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받침대(30)의 내부에는 수위감지센서(9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사료 급이기의 물 공급 제어장치.
KR1020210060270A 2021-05-10 2021-05-10 액상사료 급여기의 물 공급 제어장치 KR102524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270A KR102524978B1 (ko) 2021-05-10 2021-05-10 액상사료 급여기의 물 공급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270A KR102524978B1 (ko) 2021-05-10 2021-05-10 액상사료 급여기의 물 공급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838A KR20220152838A (ko) 2022-11-17
KR102524978B1 true KR102524978B1 (ko) 2023-04-24

Family

ID=84233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270A KR102524978B1 (ko) 2021-05-10 2021-05-10 액상사료 급여기의 물 공급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97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928B1 (ko) * 2018-10-29 2020-05-19 주식회사 연합축산 액상사료 급여기의 물 공급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616B1 (ko) 2016-07-21 2018-07-12 주식회사 연합축산 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928B1 (ko) * 2018-10-29 2020-05-19 주식회사 연합축산 액상사료 급여기의 물 공급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838A (ko)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0212B1 (ko) 사료 및 식수의 정량 공급장치
US8295984B2 (en) Method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 closure element in a water distribution mechanism
US8656862B2 (en) Automatic animal feeding and watering device
US3785525A (en) Chemical tablet dispensing device for wells
KR101794688B1 (ko) 습식 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장치
CA2881651C (en) Feeding apparatus for supplying feed to a trough and a method of monitoring the functioning of such a feeding apparatus
AU2010246175A1 (en) Material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with capacitance sensor assembly
US20130306672A1 (en) Dispensing Apparatus
WO2023005262A1 (zh) 一种宠物的智能饮水控制系统及其方法
KR102524978B1 (ko) 액상사료 급여기의 물 공급 제어장치
RU2014117959A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работы аппарата для раздачи напитков
AU2010355573A1 (en) Do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osing a composition
KR101338672B1 (ko) 자동 습식사료 급여기의 감지장치
KR101457847B1 (ko) 이동식 동물사료 자동 투입기
US9039843B2 (en) Cleaning system for a beverage machine, preferably a coffee machine
KR102112928B1 (ko) 액상사료 급여기의 물 공급 제어장치
KR20150074471A (ko) 사료 급이기의 사료배출장치
JP6953642B2 (ja) ローラミル用の分配計量供給装置、このような分配計量供給装置を有するローラミル、粉砕原料を粉砕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冷却システムを有する配電盤キャビネットを備えたローラミル
KR101916526B1 (ko) 급이기의 센서 오동작을 감지하는 방법
KR20210153402A (ko) 액상사료 급여기의 물 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
CN210548081U (zh) 粉末送料机构
KR101794682B1 (ko) 물 보충 기능을 가진 습식 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장치
CN206959405U (zh) 一种新型制冰机缺水检测装置及具有其的制冰机
KR20170063107A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CN112237877A (zh) 用于配量流体产品的配量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