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956B1 - 애완동물 급식기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급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956B1
KR101697956B1 KR1020140160189A KR20140160189A KR101697956B1 KR 101697956 B1 KR101697956 B1 KR 101697956B1 KR 1020140160189 A KR1020140160189 A KR 1020140160189A KR 20140160189 A KR20140160189 A KR 20140160189A KR 101697956 B1 KR101697956 B1 KR 101697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roller
feeding
containe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8547A (ko
Inventor
김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신성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성테크 filed Critical (주)신성테크
Priority to KR1020140160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956B1/ko
Publication of KR20160058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91Automatic devices with timing mechanisms, e.g. pet feed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 급식기에 관한 것으로, 먹이를 공급하는 먹이공급부; 상기 먹이공급부로부터 먹이를 공급받는 먹이용기; 상기 먹이용기에 체결되어 상기 먹이용기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구동부; 상기 먹이용기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먹이용기가 경사져 구동될 때에 상기 먹이용기에 잔류하는 먹이가 회수되는 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공급된 먹이가 오염 또는 부패된 상태로 방치되어 애완동물이 오염 또는 부패된 먹이를 섭취하지 않도록 먹이 잔여물을 회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애완동물 급식기 {FEEDER FOR PET}
본 발명은 애완동물 급식기에 관한 것으로, 공급된 먹이가 오염 또는 부패된 상태로 애완동물에게 공급되지 않도록 먹이 잔여물을 회수하고, 먹이를 자동공급함에 있어 먹이의 형태를 보존하고 자동공급과정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애완동물 급식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1인가구와 핵가족화 등의 이유로 같이 소규모 가정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따라 교감을 목적으로 애완동물의 사육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애완동물과 함께 생활함으로써 교감을 통해 정서발달, 우울증 치료와 같은 다양한 정신적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사회적 차원으로도 애완동물을 기르는 것을 장려하기도 한다.
애완동물을 건강하게 사육하기 위해서는 각별한 애정과 관리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현대인의 바쁜 일과와 외출에 따라 애완동물과 함께할 수 있는 시간이 충분하지 못하고, 여행과 같이 피치못할 사정으로 동반하지 못하는 경우, 홀로 남겨지게 되는 애완동물의 관리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급식에 있어서 정량의 사료나 간식을 공급하지 못하였을 때, 애완동물의 영양결핍이 발생할 수 있었다. 반대로 먹이통을 열어둔 채로 놓고 애완동물이 배고픔을 느낄때 자율적으로 먹도록 하고 있으나, 비만이나 과식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는 건강회복에 따른 2차적인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게 되므로 애완동물의 급식문제는 특히 철저하게 관리되어야 할 사항이다.
한편, 급식에 있어 많은 양의 사료를 제공하여 남기게 되거나, 먹이통을 열어둔채로 자율적으로 먹이를 먹도록 할 때, 애완동물이 음식을 먹는 도중 흘리는 분비물이나 사육환경, 날씨 등에 민감하게 먹이가 오염되거나 부패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러한 먹이를 먹은 동물의 건강상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987-0008507호(공개일 1987년, 10월 19일, 애완동물 자동 급식기)가 제안되었다.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애완동물에게 급식을 실시할 수 있도록 통체의 상부에 저장통이 구비되고, 하부에 먹이통을 구비하여 저장통에서 먹이통으로 통하는 유출구를 형성하여 먹이를 공급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정량의 급식이 가능하였으나, 먹지않은 먹이는 그대로 남아 있는 상태가 되므로 오염 또는 부패된 먹이를 제공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애완동물용 자동 급식기는 대부분 스크류 방식으로 급식기 내부에 저장된 사료를 공급하는 구조에 따라 먹이의 형태가 온전하게 유지되기 어려웠고, 먹이통에서 자중에 의해 스크류로 제공되고, 먹이가 스크류를 통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먹이가 끼어 먹이공급이 중단되는 문제가 발생였으므로 애완동물의 급식에 적합한 애완동물 급식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공급된 먹이가 오염 또는 부패된 상태로 방치되어 애완동물이 오염 또는 부패된 먹이를 섭취하지 않도록 먹이 잔여물을 회수할 수 있고, 회수된 잔여물을 용이하게 배출처리할 수 있는 애완동물 급식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먹이공급을 자동으로 실시하는 급식기에서 먹이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먹이의 끼임 등으로 인한 공급로 측이 막히는 것을 개선하고, 먹이의 형태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애완동물 급식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먹이 공급에 있어 서로 다른 먹이를 섞이지 않고 개별적으로 상이한 공급주기로 공급할 수 있고, 설정된 양에 해당하는 정량의 먹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먹이를 공급하는 먹이공급부; 상기 먹이공급부로부터 먹이를 공급받는 먹이용기; 상기 먹이용기에 체결되어 상기 먹이용기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구동부; 상기 먹이용기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먹이용기가 경사져 구동될 때에 상기 먹이용기에 잔류하는 먹이가 회수되는 회수부를 포함하는 애완동물 급식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에 연결되어 상기 먹이공급부를 통해 먹이가 공급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했을 때,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경사구동모터와, 상기 경사구동모터의 축에서 회전하고, 편심된 결합돌기가 형성된 회전판과, 일측이 상기 결합돌기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먹이용기에 체결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는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 직선운동을 통해 상기 먹이용기의 자세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먹이공급부는 하부에 개방면이 형성되고 먹이가 저장되는 저장조와, 롤러구동모터와, 외주면에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면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공급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러구동모터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용홈의 용적에 따른 상기 공급롤러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먹이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먹이공급부는 상기 공급롤러와 상기 개방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롤러의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걸림방지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먹이공급부는 상기 공급롤러가 회전하도록 상기 롤러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1 기어와, 상기 걸림방지롤러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기어와 이격된 제2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롤러와 상기 걸림방지롤러가 상대적으로 역방향 회전되게 하는 제3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방지롤러는 외주면에 가로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먹이공급부는 상기 먹이와 제2 먹이를 따로 저장하고 개별적으로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먹이를 공급한 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오염 또는 부패된 먹이 잔여물을 애완동물이 섭취하지 않도록 회수함으로써, 애완동물의 건강유지에 효과적이다.
또한, 먹이를 자동공급함에 있어 공급롤러와 공급롤러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어 정량의 급식이 가능하고, 먹이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먹이의 끼임 등으로 인한 공급로 측이 막히는 것을 개선할 수 있으며, 먹이의 공급과정에서 형태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먹이공급부를 상이한 먹이를 섞이지 않도록 저장하며 설정된 시간에 개별적으로 제어하며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세밀한 먹이 스케줄과 조건으로 애완동물의 사육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급식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급식기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급식기의 외부 하우징을 제거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급식기의 먹이 회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급식기의 회수부의 분리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급식기의 먹이공급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급식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급식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급식기(100)는 하우징(111) 저면측에 형성된 먹이용기(160)에 내부에서 저장된 먹이가 일정량 자동 공급되고, 잔여 먹이를 회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먹이 공급구조와 먹이 회수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급식기의 외부 하우징을 제거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급식기(100)는 먹이공급부(120), 먹이용기(160), 구동부(150), 회수부(170)를 포함한다.
먹이공급부(120)는 저장된 먹이를 먹이용기(160)에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먹이공급부(120)는 저장조(125)와, 롤러구동모터(126)와, 공급롤러(121)를 포함한다.
저장조(125)는 사료와 같은 애완동물의 먹이를 저장하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통 형상이며, 상하방향으로 기립되어 있으며, 저장조(125)의 하부가 점차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을갖는다. 그리고, 저장조(125)는 하부에 개방면이 형성되어 내부에 저장된 먹이가 자중에 의해 개방면을 향해 이동하며 배출된다.
저장조(125)의 개방면 일측에는 공급롤러(121)가 설치된다. 공급롤러(121)는 개방면 하단에 설치되어 저장된 먹이가 개방면으로 쏟아지지 않도록 하고, 먹이 공급시에 회전하며 먹이를 먹이용기(160) 측으로 배출시킨다.
공급롤러(121)는 외주면에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수용홈(C)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공급롤러(121)의 외주면에 복수의 수용홈(C)이 형성되는 것을 예로하고 있으나, 수용홈(C)의 개수는 설계를 통한 변경이 가능하며, 하나의 수용홈도 가능하다.
또다른 공급롤러(121)의 형상의 예로서, 공급롤러(121)의 외주면 반대방향을 따라 서로다른 용적을 갖도록 두 개의 수용홈을 형성한 공급롤러(121)를 예로할 수 있다. 일례로 용적이 큰 수용홈을 대형견의 먹이공급을 위한 용도로 사용하고, 반대방향의 용적이 작은 수용홈을 소형견의 먹이 공급을 위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공급롤러(121)를 이용할 때, 공급롤러(121)는 360도 회전하지 않고, 선택된 수용홈을 적어도 한번 이상 이용하도록 정역회전 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먹이공급을 실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공급롤러(121)는 모터에 의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먹이를 배출하는 것을 예로한다. 공급롤러(121)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이하 롤러구동모터(126)라 함’는 제어부(109)에 의해 제어되며, 공급롤러(121)와 기어를 통해 연결된다. 공급롤러(121)를 구동하는 롤러구동모터(126)와 기어(127, 128, 129)에 대한 구조는 추후 설명하기로 한다.
먹이용기(160)는 먹이공급부(120)로부터 먹이를 공급받는다. 공급롤러(121)의 회전에 의해 배출되는 먹이가 담아지도록 공급롤러(121)의 하단에 형성된다. 그리고 애완동물이 용이하게 먹을 수 있도록 전방을 향해 노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먹이용기(160)는 대체로 오목하되, 후방측이 높고 전방측이 낮아지게 경사가 형성되어 있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공급롤러(121)에서 먹이가 공급될 때, 먹이용기(160)에 떨어지며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건조된 고형의 사료가 떨어지며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고, 먹이를 전방측으로 이송시켜 개나 고양이와 같은 돌출된 주둥이를 갖는 애완동물이 먹이를 먹는데에 있어 용이하다.
구동부(150)는 먹이용기(160)에 체결되어 경사각도를 조절한다. 여기에서 구동부(150)에 의해 형성되는 경사면은 앞서 설명한 먹이용기(160)의 형상에 따른 경사와 차이가 있다.
먹이용기(160)의 후방측이 높고 전방측이 낮은 경사와 달리, 구동부(150)에 의해 먹이용기(160)의 자세가 조절되었을 때 형성되는 경사는, 먹이용기(160)의 전방측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하고 후방측이 낮아지도록 자세 조절되었을 때의 경사를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급식기의 먹이 회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구동부(150)와 먹이회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50)는 모터 (이하 ‘경사구동모터(151)’라 함)와, 경사구동모터(151)의 축에서 회전하고, 편심된 결합돌기(152a)가 형성된 회전판(152)과, 일측이 결합돌기(152a)에 체결되고, 타측이 먹이용기(160)에 체결되는 샤프트(153)를 포함한다.
샤프트(153)는 상기 회전판(152)의 회전시, 직선운동을 통해 상기 먹이용기(160)의 자세를 조절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경사구동모터(151)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회전판(152)에는 가장자리 일측으로 편심된 결합돌기(152a)가 형성되어 샤프트(153)의 일측이 결합돌기(152a)에 끼워져 체결되며, 샤프트(153)의 타측은 먹이용기(160)의 후방측 경사면에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체결부(161)에 체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경사구동모터(151)가 구동되었을 때, 회전판(152)이 소정의 회전각도로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하게되고, 편심된 결합돌기(152a)에 체결된 샤프트(153)는 직선운동을 실시하며 먹이용기(160)를 후방측으로 잡아당기거나 전방을 향해 밀어내게 된다.
이러한 동작구조를 통해 먹이용기(160)는 샤프트(153)에 의해 후방측으로 당겨졌을 때, 먹이용기(160)의 전방측이 위로 들어올려지게 되며 자연스럽게 후방측이 낮아지게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때, 먹이용기(160)의 잔여 먹이는 경사면을 통해 이송되며, 경사면의 낮아지는 방향 배치되어 상기 경사면을 통해 이동되는 먹이가 회수부(170)에 회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급식기의 회수부(170)의 분리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급식기(100)는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며 하우징(111)과 체결되는 하부몸체(113)를 포함한다. 하부몸체(113)에는 전방을 향해 먹이용기(160)가 수납되고 후방 내부로는 회수부(170)가 서랍식으로 슬라이딩되게 가이드함으로써 하부몸체(113)으로부터 회수부(170)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애완동물의 잔여 먹이를 회수부(170)로 회수함에 따라, 오염 또는 부패된 먹이로 인한 애완동물의 건강상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고, 잔여 먹이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어 애완동물의 사육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급식기(100)는 타이머(106)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109)는 타이머(106)에 연결되어 먹이공급부(120)를 통해 먹이가 공급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했을 때, 구동부(150)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한다.
도 1 및 도 2를 재차 참조하면, 애완동물 급식기(100)의 하우징(111) 전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애완동물 급식기(100)의 동작을 설정할 수 있도록 다수의 입력버튼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조작부(101)와, 애완동물 급식기(100)의 설정메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며 조작부(101)를 통해 설정사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102)를 포함한다.
조작부(101)와 표시부(102)를 통해 사용자는 애완동물 급식기(100)의 먹이공급량 설정, 먹이공급주기, 먹이회수시간 등을 설정하게 되고, 설정사항은 저장부(108)에 저장하게 되며, 제어부(109)는 저장부(108)에 저장된 설정사항을 기초로 애완동물 급식기(100)를 제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급식기(100)는 센서부(107)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센서부(107)는 먹이공급에 이용되는 센서는 모터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제1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제어부(109)는 공급롤러(121)에 형성된 수용홈의 용적에 따른 공급롤러(121)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먹이공급량을 조절하게 된다. 공급롤러(121)의 회전수는 롤러구동모터(126)의 회전과 비례하므로 수용홈의 용적이 결정되었을 때, 제1 센서를 통해 모터의 회전량을 감지하며 구동시켜 먹이 공급의 양을 제어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급식기의 먹이공급부(120)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급식기(100)는 걸림방지롤러(122)를 더 포함한다.
걸림방지롤러(122)는 공급롤러(121)와 개방면 사이에 설치되어, 공급롤러(121)의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저장조(125)에 저장된 먹이가 하부의 개방면을 향해 자중에 의해 공급되고 공급롤러(121)가 개방면에서 회전할 때, 소정의크기로 건조된 고형의 사료는 공급롤러(121)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끼어 공급롤러(121)의 장애에 따라 적절한 먹이공급이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걸림방지롤러(122)는 외주면에 가로방향으로 돌기(A)가 형성된 것을 예로한다. 걸림방지롤러(122)에 돌기(A)가 형성됨에 따라 걸림방지롤러(122)가 회전할 때, 돌기(A)는 먹이와 충분히 마찰을 유지하여 고형의 먹이를 공급롤러(121)의 회전 방향의 역방향으로 밀어내게 되므로, 걸림방지롤러(122)가 헛바퀴 도는 것 뿐만 아니라 공급롤러(121)에 먹이가 끼이는 현상을 현저히 개선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급롤러(121)와 걸림방지롤러(122)는 기어(127, 128,129)로 연결되어 단일의 동력원인 롤러구동모터(126)을 통해 회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먹이공급부(120)는 제1 기어(127), 제2 기어(129), 제3 기어(128)를 포함한다.
제1 기어(127)는 공급롤러(121)가 회전하도록 상기 롤러구동모터(126)의 동력을 전달한다. 여기서 제1 기어(127)는 공급롤러(121)에 형성된 기어이다. 제2 기어(129)는 걸림방지롤러(122)에 형성된 기어이다. 제1 기어(127)와 제2 기어(129)는 맞물리지 않고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3 기어(128)는 제1 기어(127)와 제2 기어(129) 사이에 연결되도록 중간에 배치되는 기어이다. 제3 기어(128)는 이격된 제1 기어(127)와 제2 기어(129)를 상대적으로 역방향 회전되게 하므로, 실질적으로 공급롤러(121)와 걸림방지롤러(122)또한 상대적으로 역방향 회전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급식기(100)에서 먹이공급부(120,130)는 상기 먹이와 제2 먹이를 따로 저장하고 개별적으로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일례로 먹이는 주식이 되는 먹이가 될 수 있으며, 제2 먹이는 간식과 같은 보조적인 먹이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먹이를 개별적으로 저장 및 공급하도록 구성된 제2 먹이공급부(130)는 단순히 먹이 공급부를 복수로 구현한 것이 아니고, 상이한 먹이를 각각 설정한 시간과 주기에 개별적으로 공급하도록 설정하고, 제어부(109)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구조이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 애완동물 급식기 101 : 조작부
102 : 표시부 106 : 타이머
107 : 센서부 108 : 저장부
109 : 제어부 111 : 하우징
113 : 하부몸체 120 : 제1 먹이공급부
121 : 공급롤러 122 : 걸림방지롤러
125 : 저장조 126 : 롤러구동모터
127 : 제1 기어 128 : 제3 기어
129 : 제2 기어 130 : 제2 먹이공급부
150 : 구동부 151 : 경사구동모터
152 : 회전판 153 : 샤프트
160 : 먹이용기 170 : 회수부

Claims (9)

  1. 먹이를 공급하는 먹이공급부;
    상기 먹이공급부로부터 먹이를 공급받는 먹이용기;
    상기 먹이용기에 체결되어 상기 먹이용기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구동부;
    상기 먹이용기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먹이용기가 경사져 구동될 때에 상기 먹이용기에 잔류하는 먹이가 회수되는 회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먹이공급부는
    하부에 개방면이 형성되고 먹이가 저장되는 저장조와,
    롤러구동모터와,
    외주면에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면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공급롤러와,
    상기 공급롤러와 상기 개방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롤러의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걸림방지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급식기.
  2. 제1항에 있어서,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에 연결되어 상기 먹이공급부를 통해 먹이가 공급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했을 때,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급식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경사구동모터와,
    상기 경사구동모터의 축에서 회전하고, 편심된 결합돌기가 형성된 회전판과,
    일측이 상기 결합돌기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먹이용기에 체결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는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 직선운동을 통해 상기 먹이용기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급식기.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구동모터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용홈의 용적에 따른 상기 공급롤러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먹이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급식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공급부는
    상기 공급롤러가 회전하도록 상기 롤러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1 기어와,
    상기 걸림방지롤러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기어와 이격된 제2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롤러와 상기 걸림방지롤러가 상대적으로 역방향 회전되게 하는 제3 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급식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방지롤러는 외주면에 가로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급식기.
  9.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제7항,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공급부는 상기 먹이와 제2 먹이를 따로 저장하고 개별적으로 공급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급식기.
KR1020140160189A 2014-11-17 2014-11-17 애완동물 급식기 KR101697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189A KR101697956B1 (ko) 2014-11-17 2014-11-17 애완동물 급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189A KR101697956B1 (ko) 2014-11-17 2014-11-17 애완동물 급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547A KR20160058547A (ko) 2016-05-25
KR101697956B1 true KR101697956B1 (ko) 2017-01-19

Family

ID=56114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189A KR101697956B1 (ko) 2014-11-17 2014-11-17 애완동물 급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9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934A (ko) 2018-06-19 2019-12-30 박웅수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
WO2021031823A1 (zh) * 2019-08-22 2021-02-25 黄君舟 动物用自动喂食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330871U (zh) * 2018-09-29 2019-09-03 东莞市佳晟实业有限公司 一种宠物喂食器
KR102299190B1 (ko) * 2019-09-10 2021-09-09 주식회사 이앤씨 애완동물용 사료급이장치
KR102247566B1 (ko) * 2021-02-03 2021-05-03 윤승진 이물질 투입방지가 가능한 사료배식기
KR20220170508A (ko) 2021-06-23 2022-12-30 주식회사 힉스코리아 비전분석을 활용한 사료의 중량측정과 반려동물에게 지능형으로 사료를 공급하여 반려동물의 영양밸런스를 맞추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230036908A (ko) 2021-09-08 2023-03-15 주식회사 힉스코리아 딥러닝을 활용한 사료의 중량측정과 반려동물에게 지능형으로 사료를 공급하여 반려동물의 영양밸런스를 맞추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N116034897A (zh) * 2023-01-17 2023-05-02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宠物粮食投放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7915175B (zh) * 2024-03-20 2024-05-17 深圳市华创时代科技有限公司 摄像监控装置及相应的监控图像应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959Y1 (ko) * 2001-01-10 2001-06-15 박윤기 사료 배출기
KR200336970Y1 (ko) * 2003-10-10 2004-01-03 (주)두윈텍 애완 동물용 사료 자동 공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109B1 (ko) * 1992-05-06 1994-06-11 태림전자 주식회사 먹이 자동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58966A (ko) * 2010-11-30 2012-06-08 이현호 가축사료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959Y1 (ko) * 2001-01-10 2001-06-15 박윤기 사료 배출기
KR200336970Y1 (ko) * 2003-10-10 2004-01-03 (주)두윈텍 애완 동물용 사료 자동 공급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934A (ko) 2018-06-19 2019-12-30 박웅수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
WO2021031823A1 (zh) * 2019-08-22 2021-02-25 黄君舟 动物用自动喂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547A (ko) 201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956B1 (ko) 애완동물 급식기
US20210161096A1 (en) Litter collection device for efficient animal waste removal and method thereof
EP3010333B1 (en) Networked automatic animal feeding system
EP0938841A1 (en) Automatic feed distribution device for cats and dogs
KR101373321B1 (ko) 애완동물 자동먹이 공급장치
KR101578491B1 (ko)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US5003920A (en) Animal litter cleaning apparatus
JP2003516722A (ja) 飼料自動供給装置
AU201535540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eidentified pets selective access to a predetermined location or object
US6588369B2 (en) Waste transfer device for kitty litter box
US20150068462A1 (en) Feeder
KR101651389B1 (ko) 전위차를 이용한 액상급이기의 물 자동 공급장치
JP3221939U (ja) ペット給餌器
KR20120102511A (ko) 자동 사료 공급장치
US20080264963A1 (en) Automatic pellets dispenser with closing exit
KR101781419B1 (ko) 자동 액상 급이기
KR101877616B1 (ko) 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방법
US6289847B1 (en) Waste transfer device for kitty litter box
KR101739584B1 (ko)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KR20200078123A (ko) 주행식 사료정렬장치
KR20140137115A (ko) 고양이용 배변처리장치
KR100310744B1 (ko) 사료 자동 급이기
US3434459A (en) Automated animal feeder
CN113892437A (zh) 一种宠物喂食器
KR20120081311A (ko) 사료 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