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081A -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3081A
KR20210123081A KR1020200040360A KR20200040360A KR20210123081A KR 20210123081 A KR20210123081 A KR 20210123081A KR 1020200040360 A KR1020200040360 A KR 1020200040360A KR 20200040360 A KR20200040360 A KR 20200040360A KR 20210123081 A KR20210123081 A KR 20210123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home appliance
appliance system
operating
br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욱진
서은정
박정민
이용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0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3081A/ko
Publication of KR20210123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0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7Remote control using telephone netwo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G06K9/0036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실내에 존재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실내에 사람이 없으면, 상기 실내에 존재하는 펫(pet)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실내에서 펫이 감지되면, 공기조화기 또는 펫 하우스(pet house)가 상기 펫의 품종에 기초하는 펫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펫 모드는, 상기 펫의 품종에 따라 온도 및 습도 설정값이 설정됨으로써, 사람이 없는 경우에도 펫의 특성을 고려한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Method for operating Home appliance system}
본 발명은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반려동물(pet)의 특성을 고려하여 동작할 수 있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소정 공간에서 사용되는 세탁기, 공기조화기, 청소기 등 홈 어플라이언스(Home appliance)들은 각각 개별적으로 고유의 기능과 동작을 수행하였다. 예를 들어,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장하고, 세탁기는 세탁물을 처리하며, 공기조화기는 실내 온도를 조정하고,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근래에는, 다양한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수의 홈 어플라이언스들이 유/무선 통신으로 네트워크 연결되고 있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홈 어플라이언스들은, 어느 하나의 기기에서 다른 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기기에서 다른 기기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 등 스마트 기기(smart device)를 포함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든 자신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홈 어플라이언스들의 정보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최근 반려동물(이하, 펫(pet))을 키우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펫에 대한 애착심 및 관심도가 날로 높아지고 있어 펫을 위한 기구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홈 어플라이언스가 펫을 위한 운전 모드를 구비하거나 펫 전용 홈 어플라이언스들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펫을 위한 홈 어플라이언스들을 이용하여 펫을 관리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도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펫의 품종을 고려하여 최적의 동작 모드로 홈 어플라이언스를 구동할 수 있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펫의 종류, 크기, 털 길이 등 특성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최적의 동작 모드로 홈 어플라이언스를 구동할 수 있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펫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내 쾌적도를 최적화할 수 있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펫의 특성 및 위치 기반의 공조 환경을 구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실내에 존재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실내에 사람이 없으면, 상기 실내에 존재하는 펫(pet)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실내에서 펫이 감지되면, 공기조화기 또는 펫 하우스(pet house)가 상기 펫의 품종에 기초하는 펫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펫 모드는, 상기 펫의 품종에 따라 온도 및 습도 설정값이 설정됨으로써, 사람이 없는 경우에도 펫의 특성을 고려한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펫의 실제 무게 정보, 및, 실제 털 길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 설정값은, 상기 펫의 실제 무게가 클수록 낮게 설정되고, 상기 펫의 실제 털 길이가 길수록 낮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펫 관련 정보를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펫을 촬영한 이미지(image)에 기초하여 상기 펫의 품종을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펫 모드는, 상기 펫이 변온 동물인 경우에 냉방 운전하고, 상기 펫이 정온 동물인 경우에 상기 펫의 품종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 운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펫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에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기설정된 특정 영역 또는 상기 펫의 위치에 기반한 영역을 대상으로 냉방 또는 난방 운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공기조화기 또는 펫 하우스의 동작 상태를 이동 단말기 또는 제어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펫 감지 단계에서 펫들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펫 모드는 우선순위가 높은 펫의 품종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펫 감지 단계에서 펫들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공기조화기 또는 상기 펫 하우스가, 펫별로 품종에 대응하는 설정값으로 해당 펫이 위치하고 있는 영역을 상기 펫들이 위치하고 있는 영역을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펫의 품종을 고려하여 최적의 동작 모드로 홈 어플라이언스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펫의 종류, 크기, 털 길이 등 특성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최적의 동작 모드로 홈 어플라이언스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펫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내 쾌적도를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펫의 특성 및 위치 기반의 공조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용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home appliance)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은,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다른 기기, 서버(700)와 통신하거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홈 어플라이언스들(10, 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에 포함되는 홈 어플라이언스에는, 펫을 주 사용 타겟(target)으로 제작된 펫 홈 어플라이언스(10), 펫을 위한 운전 모드로 동작 가능한 홈 어플라이언스(20) 등이 해당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10, 20)는, 펫의 상태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펫의 상태는, 홈 어플라이언스(10, 20)에서 자체적으로 수집된 데이터, 서버(700), 센서(미도시) 등 다른 기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로 판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홈 어플라이언스(10, 20)는, 서버(700), 센서 등 다른 기기로부터 펫의 판별된 상태 정보 또는 판별된 상태 정보에 기초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펫의 상태에 대응하는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펫 홈 어플라이언스(10)는, 펫을 위한 펫 드라이어(11), 펫 급수기(12), 펫 하우스(13), 펫 풋 케어(14), 펫 욕조(15), 펫 급식기(16), 펫 트레드밀(17), 펫 피부관리기(1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20)는, 펫 모드로 동작 가능한 공기청정기(21), 펫 모드로 동작 가능한 공기조화기기(22) 등일 수 있다.
공기청정기(21)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 정화 수단을 구비하여 흡기된 공기를 정화하여 배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청정기(21)는 내부에 필터들을 구비하고, 흡기된 공기가 필터를 통과하며 정화된 후 배기되도록 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22)는, 냉방 또는 난방 또는 냉난방을 수행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기로, 경우에 따라서는 공기청정 기능, 산소발생 기능, 가습 기능, 제습 기능 등 부가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에 포함되는 홈 어플라이언스들(10,20)은, 펫 사용 및 관리에 적합한 형상을 가지고 펫을 위한 소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펫 드라이어(11)는, 아래쪽에서 송풍하기에 적합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고, 거치대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펫 하우스(13)와 펫 욕조(15)는, 펫이 들어가고 나가기 편하며, 지내기 안락한 구조로 구형될 수 있고, 냉난방, 냉온수를 제공할 수 있다.
펫 풋 케어(14)와 펫 피부관리기(18)는, 광원, 및, 풋, 피부 관리를 위한 물질 등을 이용하여 펫의 풋과 피부를 관리할 수 있다.
펫 급수기(12)와 펫 급식기(16)는, 펫을 감지하여 식수 및 음식을 제공할 수 있다.
펫 트레드밀(17)은, 펫의 운동을 유도하는 시각적/청각적 자극 수단을 출력하여 펫이 혼자서도 운동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청정기(21)는, 펫의 냄새 제거를 위한 탈취 효과가 강화된 광촉매 필터를 구비하며, 펫 모드 실행 시 하단부의 공기 흡입 강도가 최고 단계로 실행함으로써, 펫이 활동하는 하단 공기청정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22)는, 펫 모드에서 펫의 종류, 품종, 크기, 상태 및 생활 패턴을 고려하여 최적의 냉방 또는 난방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10, 20)가 구비하는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홈 어플라이언스(10, 20)는 다른 종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거나 복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10, 20)는 NFC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10, 20)는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 등을 통해 소정 서버(700)와 연결 가능하고, 원격 모니터링, 원격 제어 등 스마트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등 이동 단말기(5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50)를 통하여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내의 홈 어플라이언스(10, 20)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거나 홈 어플라이언스(10, 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은, 복수의 사물인터넷(IoT) 기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은, 홈 어플라이언스(10, 20), 이동 단말기(50), 사물인터넷(IoT) 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10, 20), 이동 단말기(50), 사물인터넷(IoT) 기기들은, 유/무선 공유기(미도시)를 통하여, 통신 연결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내의 홈 어플라이언스(10, 20)는 유/무선 공유기(미도시)를 경유하여 서버(700)나 이동 단말기(5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내의 홈 어플라이언스(10, 20)는 이더넷(Ethernet)에 의해서 서버(700)나 이동 단말기(5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에 포함되는 홈 어플라이언스(10, 20)는, 기기들 간에 직접 또는 게이트웨이(미도시)를 경유하여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홈 어플라이언스(10, 20)는, 직접 또는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서버(700)와 통신 가능하도록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게이트웨이는 이더넷(Ethernet)에 의해서 서버(700)나 이동 단말기(5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는 유/무선 공유기를 경유하여 서버(700)나 이동 단말기(50)와 통신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10, 20)는 서버(700) 및/또는 게이트웨이에 기기 작동 상태 정보, 설정값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50)를 통하여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내의 홈 어플라이언스(10, 20)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거나 홈 어플라이언스(10, 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700) 및/또는 게이트웨이는 이동 단말기(50) 등을 통한 사용자 명령 입력이 있거나,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내의 홈 어플라이언스(10, 20)에서 발생하는 특정 이벤트(event)에 대응하여, 홈 어플라이언스(10, 20)들을 제어하는 신호를 각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게이트웨이는 디스플레이, 오디오 출력부 등 출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와 오디오 출력부는 상기 게이트웨이에 저장되어 있거나,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한 영상과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웨이에 저장된 음악 파일을 재생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와 오디오 출력부는 상기 게이트웨이의 동작과 관련된 영상, 오디오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서버(700)는 홈 어플라이언스(10, 20), 이동 단말기(50), 기타 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서버(700)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조사 또는 제조사가 서비스를 위탁한 회사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10, 20)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50)로 전송될 수 있고, 상기 이동 단말기(50)는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10, 2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10, 20)는 상기 이동 단말기(50)로부터 정보를 전달받거나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10, 20)는 상기 서버(700)로 각종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서버(700)가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10, 20)로부터 수신한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이동 단말기(5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700)는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10, 20)로부터 수신한 정보 그 자체 또는 수신한 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5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상기 서버(700)가 하나인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2개 이상의 서버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게이트웨이는 제1 통신 방식에 의해서 서버(700)나 이동 단말기(50)와 통신하고, 제2 통신 방식에 의해서 사물인터넷(IoT) 기기들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wi-fi) 통신 방식일 수 있고,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상기 사물인터넷(IoT) 기기들을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서버로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50) 등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은, 서버(700)에서 홈 어플라이언스(10, 20)로부터 수집된 펫 관련 데이터를 축적하고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은, 시간/장소/환경/날씨/행동패턴 등에 따라 다양한 펫 데이터(Pet Data)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서버(700)는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머신 러닝을 통해 펫의 상태 및 행동 패턴을 분석하고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서버(700)는 축적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펫과 관련된 분석 리포트를 생성하여, 이동 단말기(50)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700)는 펫의 실내/외 활동량 측정기반 머신 러닝을 통한 헬스 리포트(Health Report)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은, 펫의 상태/환경과 주인의 요청을 모두 고려하여 홈 어플라이언스(10, 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은, 펫이 실내에 있는 지, 실외에 있는 지 여부 등 상황에 맞게 홈 어플라이언스(10, 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은, 펫이 사용자와 함께 있는 지 및/또는 펫이 사용자와 근접한 거리에 있는 지 여부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10, 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은, 펫과 관련한 공조 모드를 별도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펫의 종과 특성을 입력받거나 감지하여 맞춤형 공조 세팅(setting)으로 펫을 위한 최적 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펫 하우스(13)는, 무게 센서로 펫의 무게를 감지하거나 재실 감지 센서로 펫 하우스(13) 내 펫의 재실 여부를 감지하거나 카메라로 이미지를 분석하여 펫의 펫 하우스(13) 내 펫의 재실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펫 하우스(13)는, 입력받거나 감지된 펫의 특성에 따라, 최적으로 온도, 습도 등 각종 설정값을 세팅한 후, 냉방 또는 난방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22)는, 구비하고 있는 센서, 카메라로 펫 및 펫의 위치를 감지하거나, 외부 센서, 서버(700)로부터 펫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22)는, 입력받거나 감지된 펫의 특성에 따라, 최적으로 온도, 습도 등 각종 설정값을 세팅한 후, 냉방 또는 난방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22)는, 펫의 위치를 파악하여 펫이 있는 영역을 해당 펫에 최적화된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펫이 펫 하우스(13) 등 전용 공간을 벗어난 경우에도,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펫이 관리해주는 사람 없이 혼자 집에 있을 경우에도 쾌적함과 건강함을 유지할 수 있다.
펫만 혼자 집에 있을 때, 임의로 공기조화기(22)를 운전시키면, 펫이 추워하고 있는지, 더운지, 거실에 있는지 안방에 있는지, 그리고 현재 집안의 온도 상태가 어떤지 등 다양한 변수에 맞춰서 제공할 수 없다. 또한, 추측을 통해 공조를 수행할 경우 에너지 소비도 증가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은 펫의 종과 특성에 맞춰 공조 세팅을 결정하고, 집안 전체 HVAC 시스템을 통하여 위치와 현재 공간의 상태에 맞게 운영하여 에너지 절감과 더 높은 쾌적도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펫이 펫 하우스(13) 안에 잇으면 펫 하우스(13)로 펫이 가장 선호하는 온도로 냉방 또는 난방하고, 펫이 거실에 잇으면 거실에 위치하는 공기조화기(22)로 펫이 가장 선호하는 온도로 냉방 또는 난방하며, 펫이 안방에 잇으면 안방에 위치하는 공기조화기(22)로 펫이 가장 선호하는 온도로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펫의 위치는 공기조화기(22)가 구비하는 센서, 카메라를 통해 파악되거나,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에 구비되는 각종 센서를 통해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설정에 따라서, 사용작 직접 입력한 지정 위치에 대하여, 해당 펫의 특성을 고려한 공조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직접 펫 모드로 공조를 수행할 위치, 영역을 지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펫의 종과 관련 특성들을 입력할 수 있다. 또는, 공기조화기(22) 등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서버 등이 펫을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펫의 종, 크기, 털 길이 등 특성을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람이 집에 없을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은 펫 모드로 전환되며 실내의 온습도와 공기질을 최적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펫이 공간을 이동할 경우 해당 공간만 쾌적도를 최소한으로 유지해주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은, 실내에 존재하는 사람을 감지할 수 있다(S210).
실시 예에 따라서, 공기조화기(22) 또는 다른 기기가 구비하고 있는 카메라로 실내 공간을 촬영하고, 이미지 기반으로 사람의 존재 여부 및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기등록된 이동 단말기(50)로부터 송신되어 상기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10, 20)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사람의 존재 여부 및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등록한 이동 단말기(50)가 송신하는 신호를 하나 이상의 기기에서 수신가능하다면 적어도 사용자의 실내 위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는, 실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PIR(Passive InfraRed)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PIR 센서는 적외선 방출기와 수광 센서로 구성된다. 적외선 방출기에서 방출된 적외선이 사람에서 반사되고, 반사된 광을 수광 센서가 센싱하여 실내 공간 내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PIR 센서는 움직임에 민감하게 동작하기 때문에 실내공간에서 사용되기 좋고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은, 상기 실내에 사람이 없으면(S210), 상기 실내에 존재하는 펫(pet)을 감지할 수 있다(S220).
실시 예에 따라서, 공기조화기(22) 또는 다른 기기가 구비하고 있는 카메라로 실내 공간을 촬영하고, 이미지 기반으로 펫의 존재 여부 및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내 각 기기 또는 전용 센서를 통하여, 펫의 존재 여부 및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내에서 펫이 감지되면(S220), 공기조화기(22) 또는 펫 하우스(13)가 상기 펫의 품종에 기초하는 펫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230).
여기서, 상기 펫 모드는, 상기 펫의 품종에 따라 온도 및 습도 설정값이 설정된다. 이에 따라, 사람이 없는 경우에도 펫의 특성을 고려한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펫의 '품종'은, 개, 고양이, 토끼, 조류, 양서류 등 펫을 다른 펫과 구분할 수 있는 종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펫의 '품종'은, 펫의 종류에 따라 상세 분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펫'이 '개'인 경우에, 펫의 '품종'은 시베리안 허스키, 말티즈, 시츄, 치와와, 비숑, 푸들 등 상세 분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펫을 촬영한 이미지(image)에 기초하여 상기 펫의 품종을 판별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22) 등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서버 등이 펫을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펫의 종, 크기, 털 길이 등 특성을 판별할 수 있다.
또는, 펫 관련 정보를 이동 단말기(50)를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50)를 통하여, 직접 펫의 종과 관련 특성들을 입력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예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50)로 애플리케이션(appplication)을 실행시키거나, 소정 웹사이트(website)에 접속하여 펫의 종과 특성을 입력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는 공기조화기(22) 등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으로 전달되어 해당 펫에 적합한 쾌적 공조 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펫 특성 입력 화면(300)의 상위 항목(310)과 하위 항목(320)을 선택하여 펫의 종과 특성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항목(310)은, 펫의 종류를 선택 입력할 수 있는 항목들로써, 개(311), 고양이(312), 토끼(313), 양서류(314), 조류(315), 햄스터(31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위 항목(320)은, 펫의 대분류외 특성을 추가 입력할 수 있는 항목들로써, 상위 항목(310)에서 개(311)가 선택된 경우에, 시베리안 허스키(321), 말티즈(322), 시츄(323), 치와와(324), 비숑(325), 푸들(326) 등 상세 분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위 항목(420)은, 상위 항목(310)에서 개(311)가 선택된 경우에, 대형(421), 중견(422), 소형(423) 등 크기를 선택할 수 있는 항목, 장모(424), 단모(425), 그외 기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항목(426)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하위 항목(420)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거나 입력하여 펫의 세부 특성을 입력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은, 사진의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펫의 종 및 특성을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진은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내 기기가 촬영한 사진이거나 사용자가 업로드한 사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은, 펫의 품종에 따라, 펫의 출신 지역에 따른 평균 쾌적 온/습도를 설정할 수 있다. 종의 출신 지역에 따른 온도 저항력이 다르므로, 펫의 품종에 따라 다른 온도 설정을 적용할 수 있다. 펫의 품종에 따른 평균 쾌적 온/습도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화 되어, 공기조화기(22) 또는 서버(700)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펫 모드는, 펫이 변온 동물인 경우에 냉방 운전하고, 상기 펫이 정온 동물인 경우에 상기 펫의 품종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 운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대형/중형/소형 등 펫의 몸무게(크기)에 따라, 펫 모드 공조 시 설정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몸무게가 커질수록 쾌적하게 느끼는 온도는 낮아지는 경향이 있고, 몸무게가 작아질수록 체온을 빨리 잃어버릴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온도 설정을 달리할 수 있다.
한편, 장모/단모 등 털의 길이에 따라, 펫 모드 공조 시 설정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털의 길이가 길수록 쾌적하게 느끼는 온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에 따라 온도 설정을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은, 팻의 특성 고려하여 데이터베이스(database)에서 가장 적합한 생활 온도를 찾아 추천해주고, 사람이 모두 외출하여 팻 혼자 있을 경우 팻에 최적화된 공조 설정으로 운전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은, 펫의 실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펫 하우스(13)의 무게 센서를 통하여 펫의 무게를 측정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내 기기가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실제 펫의 털길이를 판별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5) 등을 토하여 상기 펫의 실제 무게 정보, 실제 털 길이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에서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은, 펫의 실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고, 실제 정보가 있다면, 온도 설정값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온도 설정값은, 상기 펫의 실제 무게가 클수록 낮게 설정되고, 상기 펫의 실제 털 길이가 길수록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펫의 위치에 기반한 공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22)는 기설정된 특정 영역 또는 상기 펫의 위치에 기반한 영역을 대상으로 냉방 또는 난방 운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조화기(22) 또는 펫 하우스(13)의 동작 상태를 이동 단말기(50) 또는 제어기(미도시)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어기를 이용하여,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에 포함되는 기기들을 조작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제어기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에 포함되는 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기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에 포함되는 기기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통합 제어기이거나 특정 기기를 위한 제어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는 실내 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서모스탯(thermostat)일 수 있고, 공기조화기(22)를 제어하는 서모스탯일 수 있다. 제어기가 특정 기기를 위한 제어기인 경우에도 해당 특정 기기가 우선 순위가 높은 기기인 경우에 다른 기기들을 직접 또는 특정 기기를 통하여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서, 제어기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에 포함되는 기기들 중 어느 한 기기의 제어부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제어기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에서 마스터(master) 역할을 수행하는 기기의 제어부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50)를 통하여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펫 감지 단계에서 펫들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펫 모드는 우선순위가 높은 펫의 품종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에 복수의 펫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 또는 제조사가 설정한 우선 순위에 따라 높은 우선 순위의 펫에 대응하는 설정이 펫 모드에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펫 감지 단계에서 펫들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공기조화기(22) 또는 상기 펫 하우스(13)가, 펫별로 품종에 대응하는 설정값으로 해당 펫이 위치하고 있는 영역을 상기 펫들이 위치하고 있는 영역을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펫 하우스(13)에 복수의 펫 중 어떤 펫이 들어오면, 펫 하우스(13)는 들어온 펫에 대응하는 설정이 적용된 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펫의 특성 및 위치 기반의 공조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22)는 개가 위치한 영역에는 제1 설정을 적용하고 고양이가 위치한 영역에는 제2 설정을 적용하여 위치 기반의 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설정과 제2 설정은, 설정 온도, 습도, 풍량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펫의 품종을 고려하여 최적의 동작 모드로 홈 어플라이언스를 구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펫의 종류, 크기, 털 길이 등 특성에 따른 공조 제어가 가능하고, 실내 쾌적도를 최적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은, 평상 시 홈 모드(Home mode)로 종작할 수 있다(S510).
홈 모드(Home mode)는, 사람과 펫이 실내에 있는 경우로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동작하며,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10, 20)는 사용자 설정에 의한 현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실내 가족구성원의 수가 0보다 크면(S520), 실내에 있는 펫의 수를 판별할 수 있다(S530). 즉, 실내에 사람이 없으면, S520), 실내에 있는 펫의 수를 판별할 수 있다(S530).
실내에 펫이 하나도 없다면(S530),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은 어웨이 모드(Away mode)로 동작할 수 있다(S550). 실내에 펫이 하나도 없다면(S530), 실내에 사람과 펫이 모두 없는 경우로,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은 절전 모드 등 사용자 부재 시 설정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실내에 펫이 있다면(S530),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은 펫 모드(Pet mode)로 동작할 수 있다(S550). 이 경우는 펫은 실내에 있고 사람은 실외에 있는 경우로 펫 어웨이 모드로도 명명될 수 있다.
펫의 품종, 실제 몸무게, 털의 길이는 사전에 입력되거나 판별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펫 모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은 펫의 품종에 따른 표준 평균 쾌적도 및 온습도 설정값으로 동작할 수 있다. 습도는 몸무게 및 털의 길이와 관계 없는 품종별 평균 지정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펫 모드는, 변온 동물의 경우 냉방을 위주로 운전하고, 정온동물의 경우 해당 동물에게 적합한 냉/난방을 유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펫이 장모의 대형 견으로 주로 1층 주방과 거실에서 생활하는 경우에, 권장온도는 74F(24섭씨)로, 에너지 효율을 위해 여름철 온도가 너무 높아 지기 전에 1층 온도를 낮추고, 일정 시간 동안 동물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방향으로 직접풍으로 제공할 수 있다. 겨울철에는 강아지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추위를 피할 수 있다는 장점 활용하여 집중 난방 구역을 정해 일정한 온도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다.
펫이 주로 거실에서 생활하는 거대 이구아나인 경우에, 온도에 민감한 변온 동물이므로, 권장 온도는 77~80F(25~27섭씨)정도이다. 따라서, 공기조화기(22)는 이구아나가 주로 생활하는 곳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철저하게 관리할 수 있다.
펫이 소형 햄스터로 거실 구석에 우리 안에서 생활하는 경우에, 햄스터의 최적 온도는 65~75F(18~24섭씨)로, 생활하는 우리쪽과 가장 가까운 온도 센서를 통해 해당 범주 내에서만 온도가 유지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펫이 집안 곳곳에서 생활하는 단모 고양이인 경우에, 단모 고양이의 권장 생활 온도는 78F (25.5섭씨)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특정 구역 또는 집 전체를 해당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실내에 여러 동물이 있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우선순위/온도/위치 등을 지정하고,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은 사용자가 지정한 방식대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실내에 펫이 하나도 없다면(S530),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은 어웨이 모드(Away mode)로 동작할 수 있다(S550). 실내에 펫이 하나도 없다면(S530), 실내에 사람과 펫이 모두 없는 경우로,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은 절전 모드 등 사용자 부재 시 설정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은, 실내 쾌적도를 펫에 최적화하여 위치 기반으로 공조 관리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사람이 없는 어웨이 모드 상태에서, 개(610)가 기지개를 켜고 움직이면 재실센서가 개(610)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실의 제어기(620)에 구비된 재실 센서가 개(610)를 인식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거실 영역에만 펫 모드를 작동하여, 제어기(625)에 펫 모드 또는 어웨이 펫(Away-Pet) 모드가 표시될 수 있다. 펫 모드에 따라 공기조화기(630)는 개(610)가 위치한 거실 영역(635)에 대해서 냉방을 수행하여 거실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사용자는, 실외에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 단말기(50)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애플리케이션 유저 인터페이스(640)에 포함되는 공조에 대한 각종 제어 히스토리(history)나 외출 시 작동한 기록들이 기록된 타임라인(641)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공조 모드에 관한 알림을 받거나 추후 확인할 수 있다.
외출 시 펫 모드로 작동한 기록(641)을 살펴보면, 펫 관련한 모드로 운영 중이라는 표시와, 펫의 위치에 따라 제한된 공간만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있다는 표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펫 하우스: 13
공기청정기: 21
공기조화기: 22
이동 단말기: 50

Claims (9)

  1. 실내에 존재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실내에 사람이 없으면, 상기 실내에 존재하는 펫(pet)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실내에서 펫이 감지되면, 공기조화기 또는 펫 하우스(pet house)가 상기 펫의 품종에 기초하는 펫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펫 모드는, 상기 펫의 품종에 따라 온도 및 습도 설정값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펫의 실제 무게 정보, 및, 실제 털 길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 설정값은, 상기 펫의 실제 무게가 클수록 낮게 설정되고, 상기 펫의 실제 털 길이가 길수록 낮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펫 관련 정보를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펫을 촬영한 이미지(image)에 기초하여 상기 펫의 품종을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펫 모드는, 상기 펫이 변온 동물인 경우에 냉방 운전하고, 상기 펫이 정온 동물인 경우에 상기 펫의 품종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 운전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펫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에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기설정된 특정 영역 또는 상기 펫의 위치에 기반한 영역을 대상으로 냉방 또는 난방 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 또는 펫 하우스의 동작 상태를 이동 단말기 또는 제어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펫 감지 단계에서 펫들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펫 모드는 우선순위가 높은 펫의 품종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펫 감지 단계에서 펫들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공기조화기 또는 상기 펫 하우스가, 펫별로 품종에 대응하는 설정값으로 해당 펫이 위치하고 있는 영역을 상기 펫들이 위치하고 있는 영역을 냉방 또는 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200040360A 2020-04-02 2020-04-02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2101230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360A KR20210123081A (ko) 2020-04-02 2020-04-02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360A KR20210123081A (ko) 2020-04-02 2020-04-02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081A true KR20210123081A (ko) 2021-10-13

Family

ID=78115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360A KR20210123081A (ko) 2020-04-02 2020-04-02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30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06291A1 (zh) * 2021-03-29 2022-10-0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的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06291A1 (zh) * 2021-03-29 2022-10-0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的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3695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システム、及び機器制御方法
US11398145B2 (en) Thoughtful elderly monitoring in a smart home environment
US11832413B2 (en) Method of building automation heat load and user preference inferring occupancy via network systems activity
US20230327904A1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US10262508B2 (en) Smart device with integrated conditional lighting
CN103918243A (zh) 占用驱动的病房环境控制
US10921763B1 (en) Baby monitoring using a home monitoring system
CN109489212A (zh) 一种空调智能睡眠控制方法、调整系统及设备
CN108077105A (zh) 一种宠物窝环境控制方法及其装置、宠物窝
KR102241712B1 (ko) Iot 감지 방식의 애완동물 상태 탐지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
CN106292574B (zh) 面向公寓的远程看护系统和用于其的远程监视装置
JP2020005556A (ja) 健康状態判定装置、健康状態判定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5182772B (zh) 基于无线传感器的家庭智能服务方法
KR20210123081A (ko)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
CN209388201U (zh) 养殖场无线监测系统
KR20210099468A (ko) 펫 태그를 포함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17555269A (zh) 设备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20053919A (ko)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
KR20190067616A (ko) 반려 동·식물 케어를 위한 방법, 시스템
JP2005080591A (ja) 生物育成管理支援システム
TWI634526B (zh) Pet dog home care system
JP7455209B2 (ja) 家畜管理システム、学習装置および推論装置
Ezema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Embedded Poultry Farm
KR20200062754A (ko) 반려 동물 스마트 관리장치
KR102585798B1 (ko) 스마트 펫 하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