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2754A - 반려 동물 스마트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반려 동물 스마트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2754A
KR20200062754A KR1020180148519A KR20180148519A KR20200062754A KR 20200062754 A KR20200062754 A KR 20200062754A KR 1020180148519 A KR1020180148519 A KR 1020180148519A KR 20180148519 A KR20180148519 A KR 20180148519A KR 20200062754 A KR20200062754 A KR 20200062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ion animal
monitoring
data
owner
behav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웍스
Priority to KR1020180148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2754A/ko
Publication of KR20200062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7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를 이용하여 케이지 실내의 온습도를 측정하고 설정된 값에 맞도록 실내 환경 조절하여 쾌적함 유지하고, 카메라 모듈을 구성하여 소비자가 실외에서도 반려동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온습도 및 카메라 데이터를 측정하고 DB서버로 전송 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주인이 현재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가능한 반려 동물 스마트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려 동물 스마트 관리장치 {Smart management Appatatus for companion animal}
실시 예는 센서를 이용하여 케이지 실내의 온습도를 측정하고 설정된 값에 맞도록 실내 환경 조절하여 쾌적함 유지하고, 카메라 모듈을 구성하여 소비자가 실외에서도 반려동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온습도 및 카메라 데이터를 측정하고 DB서버로 전송 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주인이 현재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가능한 반려 동물 스마트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독신 생활을 하는 사람들이 갈수록 많아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독신 생활의 시간이 길어질수록 사람들의 고독감은 더욱 심해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 사람들은 반려동물을 기르는 방식을 통하여 고독감을 해소한다.
그러나 반려동물을 기르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직장생활을 하고 있어 매일 반려동물하고 같이 있는 시간이 매우 적고, 반려동물의 케이지 상태가 좋지 않고 적절한 확인이 부족하고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이 혼자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많은 반려동물이 자폐증 혹은 우울증 등의 병에 걸리는 등 문제가 나타나게 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센서를 이용하여 케이지 실내의 온습도를 측정하고 설정된 값에 맞도록 실내 환경 조절하여 쾌적함 유지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을 구성하여 소비자가 실외에서도 반려동물의 상태를 확인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습도 및 카메라 데이터를 측정하고 DB서버로 전송 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주인이 현재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 동물 스마트 관리장치는, 센서를 이용하여 케이지 실내의 온습도를 측정하고 설정된 값에 맞도록 실내 환경 조절하여 쾌적함 유지하고,
카메라 모듈을 구성하여 소비자가 실외에서도 반려동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온습도 및 카메라 데이터를 측정하고 DB서버로 전송 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주인이 현재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가능한 반려 동물 스마트 관리장치이다.
이상에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측정된 온습도 Data를 통해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온도 조절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DB서버를 이용하여 온습도 및 카메라 모듈 Data 전송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수집한 Data 및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상태를 DB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직접 Data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반려동물의 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전송된 Data를 통해 IoT를 이용하여 온도 조절 기능을 직접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애완용 케이지의 형상은 소비자의 요구에 맞추어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며, 요구에 충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원목소재를 이용한 커스터마이징되는 케이지의 예
도 3은 본 발명의 개발 기술 관련 구조도
도 4는 IOT 관련 기술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도 예시 블럭도
도 6은 온습도 측정 및 카메라 모듈 제어를 위한 구성
도 7은 각 기능부 동작(냉, 난방기, LED조명)을 위한 구성 예
도 8은 전송 프로토콜 시스템 개념도
도 9는 스마트홈 구축을 위한 Data 송신 예
도 10은 DB서버를 이용한 안드로이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도 11은 온습도 및 카메라 data wifi 통신을 위한 PCB 회로 설계
도 12는 센서를 이용한 데이터 측정 및 원격제어 기법 레이아웃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관리 장치의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관리 방법의 순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의 제어부에 대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애완동물 원격 먹이공급 장치의 동작을 위한 방법을 보인 순서도
본 발명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원목소재를 이용한 커스터마이징되는 케이지의 예이다.
케이지라는 용도에 맞도록 잘 부러지지 않는 단단한 목재(멀바우나 자작나무 같은 하드우드)를 사용하며 내부 마감재로 쿠션을 활용하여 반려동물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발 기술 관련 구조도이다.
센서를 이용하여 케이지 실내의 온습도를 측정하고 설정된 값에 맞도록 실내 환경 조절하여 쾌적함 유지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을 구성하여 소비자가 실외에서도 반려동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온습도 및 카메라 데이터를 측정하고 DB서버로 전송 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소비자가 현재 상황을 실시간으로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원목소재를 이용한 커스터마이징으로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도 4는 IOT 관련 기술도면이다.
측정된 온습도 Data를 통해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온도 조절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 DB서버를 이용하여 온습도 및 카메라 모듈 Data 전송 가능하도록 구성
- 수집한 Data 및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상태를 DB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직접 Data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
- 사용자는 반려동물의 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전송된 Data를 통해 IoT를 이용하여 온도 조절 기능을 직접 활성화 시킬 수 있음
-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편의에 맞추어 조작이 간편하도록 UI제작 진행
- 애완용 케이지의 형상은 소비자의 요구에 맞추어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며, 요구에 충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도 예시 블럭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 네트워크로 전송된 센서 데이터 값을 저장하는 DB서버구축
- 서버는 전송받은 데이터 값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축적
- 축적된 데이터값을 분석하여 냉방, 난방, 환기 등 환경 기능부 제어에 필요한 최적의 값을 파악함
- 전송된 데이터값을 파악하여 Control PC 또는 Mobile Decvice에 원격으로 제어신호를 전송함
- Environment Control Device에 수신된 제어신호에 의해 환경 제어가능
- 데이터 전송은 Gate way, Router의 순서로 전송하며, 축적된 데이터는 Control PC 또는 Mobiled Device에서 실시간으로 표시가능하다.
도 6은 온습도 측정 및 카메라 모듈 제어를 위한 구성이다.
* 온습도 센서 및 카메라 센싱모듈 개발
- 온습도 센서 및 카메라 모듈은 내구성 및 안정성, 정확성이 높은 것을 활용하도록 함
- 온습도 센서 및 카메라 모듈은 오픈소스 기반의 Arduino를 이용하여 프로토 타입을 개발하여 테스트 이후, PCB 회로 설계 및 Layout을 통해 최적화된 형태로 스마트 케이지에 부착할 수 있도록 개발할 예정임
-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온습도센서(DHT-11)과 카메라모듈(Arducam)이 있으나, 측정 Data 및 정확도를 위해 비교 분석 진행
- 제품 사양
Figure pat00001
도 7은 각 기능부 동작(냉, 난방기, LED조명)을 위한 구성 예이다.
* 각 기능부 동작(냉, 난방기) 제어모듈 개발
- 측정된 온습도 Data를 통해 각 기능부 동작 활성화하는 제어 모듈 개발
- 반려동물이 느낄 수 있는 정적 환경 평균온도는 25~27
Figure pat00002
, 습도는 50~60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정함
- 현재 온도가 높으면 fan 동작 및 통풍을 해주거나, 낮으면 발열 필름 및 난방 전구를 이용하여 환경을 유지하도록 구성
- 카메라 작동시 필요한 LED 조명을 설치하여 사용자에게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함
- 각 기능부는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직접 활성화 가능하도록 구성
- 전체 기능을 on/off를 할 수 있도록 하거나, 냉난방기 동작 여부, LED조명 on/off 등 신호를 받아 제어 하도록 구성
도 8은 전송 프로토콜 시스템 개념도이고, 도 9는 스마트홈 구축을 위한 Data 송신 예이다.
* Data 수집을 위한 DB서버 전송
- Wifi연동을 통해 수집된 Data를 DB서버로 전송해 주는 시스템 개발
- 모듈을 통해 web으로 Data를 송수신하는 IOT 기술 개발
- 아두이노는 대기상태를 유지하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서버를 통해 온습도 데이터 요청을 받으면 서버로 온습도 데이터를 측정하여 송신함
- 서버로부터 TCP/IP 네트워크 전송 프로토콜을 지정하여 데이터를 정보 전송한다.
도 10은 DB서버를 이용한 안드로이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도면이다.
*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 개발
- 온습도 및 카메라 모듈을 통해 수집된 Data를 DB서버에 저장
- 저장된 Data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확인 할 수 있도록 개발
-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온습도 수치 및 반려동물의 상태를 확인 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기능부 동작을 통해 환경을 설정 할 수 있도록 시스템 개발
-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안드로이드 기반으로 개발 진행
- 시제품 제작시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직접 사용
도 11은 온습도 및 카메라 data wifi 통신을 위한 PCB 회로 설계도이다.
도 12는 센서를 이용한 데이터 측정 및 원격제어 기법 레이아웃이다.
* 센서를 이용한 데이터 축적 및 원격제어 기법 개발
- 데이터 축적기법으로는 온습도 등의 센서 노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데이터 분석 진행
- DB서버 구축 후 데이터베이스 기록을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현 필요
- 서버는 클라이언트와 노드 중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며 송수신 프로세스를 통한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해야함
- 1:N의 방식으로 여러대의 클라이언트 사용자가 운용될 경우 데이터 분산을 위해 응답패킷이 DB 저장되고 이 값을 클라이언트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함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관리 장치의 실시 예 구성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관리 방법의 실시 예 순서도이다.
도 13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관리장치는 감시제어부(10), 표준데이터저장부(20), 데이터비교부(30), 주인처리데이터저장부(40), 데이터매칭부(50), 응용부(60), 표준데이터추출부(70), 클라이언트부(80) 및 반려동물행위대표물부(90)를 포함한다.
감시제어부(10)는 일반적인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반려동물의 현재의 행동을 감시할 수 있다.
표준데이터저장부(20)는 반려동물의 행동의 표준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표준데이터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시간의 변화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즉 표준데이터저장부(20)는 반려동물의 정상적인 행동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일반적은 데이터베이스 형태일 수 있다.
반려동물의 정상적인 행동의 데이터는 주인 혹은 반려동물의 전문가가 반려동물의 행동을 관찰하고, 그 행동이 정상이라고 인정하면 표준데이터로 인정될 수 있으며 이는 표준데이터저장부(20)에 저장될 수 있다.
시간대비 분석의 방법을 채용하여 시간의 변화에 따라 설정한 한 시간대의 반려동물의 과거의 행동을 분석하고, 그 데이터를 추출하여, 현재 반려동물의 행동과 비교하는 표준데이터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의 일정한 시간 내의 활동량이 어떤 한 수치일 때 그 행동이 정상으로 인정되면 해당 수치를 활동량의 표준데이터로 하고 저장부에 저장한다.
반려동물의 기타 행동에 대해서도 모두 일정한 표준데이터를 제시할 수 있다.
해당 표준데이터는 정기적인 관찰을 통하여 제시 할 수도 있고, 경험에 의하여 제시 할 수도 있다.
동시에 다양한 반려동물, 다양한 시간대, 예를 들어 계절, 반려동물의 연령 등에 맞추어 다양한 표준데이터를 설정 할 수 있다.
동시에 표준데이터에 대해 자동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인공으로 유지보호 또는 업데이트 할 필요가 없다.
데이터비교부(30)는 감시제어부(10), 표준데이터저장부(20)와 각각 연결을 통하여 감시제어부(10)가 취득한 반려동물의 현재 행동에 대한 실시간 감시한 데이터 및 표준데이터저장부(20) 내의 표준데이터를 검색하고, 동시에 실시간으로 반려동물의 현재 행동을 감시한 데이터와 표준데이터의 비교를 진행하여 반려동물의 현재 행동과 표준데이터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고, 판단을 통하여 현재 반려동물의 행동이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주인처리데이터저장부(40)는 주인처리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형태일 수 있다.
이른바 주인처리데이터는 반려동물의 비정상적인 행동에 대해 주인이 취한 행동을 토대로 생성한 데이터이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의 초조해 하는 행동에 대해서 주인이 말로 위안하면 주인처리데이터는 곧 주인이 반려동물을 위안하는 오디오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려동물의 비정상적인 행동은 설정한 시간대에 반려동물의 큰 소리의 횟수가 연속으로 초과로 들리는 것, 설정한 시간대에 반려동물의 존재를 확인 못하는 횟수가 연속으로 초과되는 것, 반려동물의 동태가 분명히 느리거나 급속한것, 반려동물이 음식물 함에 체류하는 시간이 설정한 시간을 초과한것, 반려동물이
큰 체적 물품을 물거나 물품을 이동시키고, 환경파라미터(변수)가 설정한 환경파라미터(변수)를 이탈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반려동물의 다양한 이상 행동에 대해서 다양한 주인처리데이터가 대응 될 수 있으며 동시에 주인처리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매칭부(50)는 감시제어부(10), 주인처리데이터저장부(40)와의 각각 연결을 통하여 감시제어부(10)가 취득한 반려동물의 현재 행동의 실시간 감시한 데이터 및 주인처리데이터저장부(40) 내의 주인처리데이터를 검색하고, 동시에 양자사이에 건립된 일대일로 대응하는 관계에 의하여, 반려동물의 현재 행동에 대한 주
인처리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데이터매칭부(50)는 데이터비교부(30)와의 연결을 통하여 데이터비교부(20)의 판단 결과를 검색하고, 반려동물의 현재 행동이 비정상적인 행동일 때는 대응하는 주인처리데이터를 찾을 수 있다.
응용부(60)는 데이터매칭부(50)와의 연결을 통하여 데이터매칭부(50)가 찾은 데이터를 검색하고 동시에 해당 데이터를 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주인처리데이터가 오디오이면 응용부(60)는 오디오 플레이어 부로 수행될 수 있고, 오디오를 방송할 수 있다.
만약 주인처리데이터가 동영상이면 응용부(60)는 비디오 플레이어 부로 수행될 수 있고, 동영상을 방송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응용부가(60)가 수행하는 응용이란 데이터매칭부(50)가 찾은 데이터를 통하여 반려동물과의 교류를 진행하는 방법으로 오디오방송 또는 동영상 방송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에 따라 반려동물의 현재 행동에 대한 감시를 통하여 반려동물의 비정상적인 행동에 대해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주인하고 반려동물간에 교류를 유지하고, 주인이 반려동물의 비정상적인 행동에 대한 제어를 실현하여, 주인이 반려동물의 옆에 없어서, 실시간으로 반려동물의 행동을 관찰하지 못하고 또 곧바로 처리
할 수 없는 기간이 장기간 지속되어 반려동물에게 이상한 문제의 발생을 면할 수 있다.
표준데이터추출부(70)는 감시제어부(10)와 표준데이터저장부(20)의 데이터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감시제어부(10)가 취득한 반려동물의 현재 행동에 대해 실시간으로 감시한 데이터를, 표준데이터추출부 (70)중에서 시간비교 분석의 진행을 통하여 시간의 변화에 따라 설정한 한 시간대의 반려동물의 과거 행동을 분석하고, 그 데이터를 추출하여, 현재 반려동물의 행동과 비교하는 표준데이터로 할 수 있다.
동시에 해당 표준데이터를 표준데이터저장부(20)에 발송하여 표준데이터로 인정하고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한 시간이 3일이면, 만약 제4일날의 반려동물의 행동을 분석하려면 앞의 3일 동안의 행동에 근거하여 분석을 진행한다.
예를 들어 4일 당일의 반려동물의 행동이 정상인지 아닌지를 분석하려면 1, 2, 3일의 행동을 표준데이터로 하여 4일의 행동과 비교를 한다.
만약 5일 당일의 반려동물의 행동이 정상인지 아닌지를 분석하려면 2, 3, 4일의 행동을 표준데이터로 하여 5일의 행동과 비교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여, 표준데이터의 추출 및 시간의 변화에 따른 자동 업데이트를 실현한다.
반려동물의 행동이 계절, 반려동물의 연령등 시간의 변화에 따른 요소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반려동물의 정상적인 행동 즉 표준데이터도 계절, 반려동물의 연령등 시간의 변화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름에는 날씨가 비교적 더워서 반려동물의 행동이 비교적 느리고, 봄에는 기후가 적합하여 반려동물의 행동이 비교적 활발하다.
그러므로 봄에 적응한 표준데이터는 여름에 적용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계절의 변화에 따라 표준데이터도 변화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반려동물이 연령이 비교적 적을 때는 행동이 비교적 활발하고 나이가 점점 많아 질수록 행동이 점점 느려진다.
그러므로 비교적 어린 연령의 표준데이터는 비교적 많은 연령에 적응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반려동물의 연령의 변화에 따라 표준데이터도 변화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반려동물에 대해서도 정상적인 행동의 표준이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반려동물은 움직이기를 좋아하고 어떤 반려동물은 조용한 걸 좋아한다. 즉 다양한 반려동물에 대한 그 행동의 표준데이터가 같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반려동물 관리장치(1)를 채용하여, 반려동물의 현재 행동에 대한 시간비교 분석을 해서 취득한 표준데이터를 통하여, 계절, 반려동물의 연령과 반려동물의 개체 등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고, 따라서 표준데이터로 하여금 더욱 더 반려동물이 시간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정상적인 행동을 반영하게 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표준데이터와 반려동물의 현재 행동을 비교할 때 그 비교 결과가 더욱 더 정확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한 시간대 내에 감시한 데이터를 표준데이터로 사용하므로, 해당 시간대도 시간의 변화에 따라 계속해서 업데이트 되고, 이로 하여 표준데이터도 시간의 변화에 따라 계속해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인위적으로 표준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비교적 번거로운 폐단을 해결 할 수 있어 표준데이터의 자동 업데이트를 실현할 수 있다.
데이터비교부(30) 혹은 데이터매칭부(50)는 클라이언트부(80)의 데이터와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비교부(30)의 판단결과와 데이터매칭부(50)의 취득결과를 클라이언트부(80)에 발송하고, 따라서 주인이 반려동물의 행동이 정상적인지 비정상적인지 및 주인처리데이터를 확인 가능하다.
클라이언트부(80)는 응용부(60)의 데이터가 연결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부(80)는 응용부(60)의 데이터와의 연결을 통하여 주인으로 하여금 응용부(60)에 직접 반려동물의 비정상적인 행동에 대한 처리 데이터를 발송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부(80)는 주인이 직접 취하고 싶은 행동 및 데이터를 입력 및 전송받고 응용부와의 연결을 통하여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반려동물의 비정상행동에 대한 상기 반려동물의 주인이 원하는 지시를 입력받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주인이 반려동물에 대한 더욱 [0099] 더 정확한 제어를 실현하게 한다.
응용부(60)가 클라이언트부(80)에서 발송한 지령 데이터를 접수 못 할 때는 주인처리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된 주인처리데이터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주인이 반려동물을 위안하기 위한 오디오 혹은 동영상을 응용부(60)를 통하여 주인처리데이터를 표현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 플레이어 혹은 비디오 플레이어로 주인이 녹화하여 저장한 오디오 혹은 동영상을 방송한다.
감시제어부(10)는 오디오감시제어모듈(100), 동영상감시제어모듈(200) 및 환경파라미터감시제어모듈(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감시제어모듈(100)은 오디오장치 등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소리를 감시하고 반려동물의 오디오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동영상감시제어모듈(200)은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영상을 감시하고 반려동물의 동영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환경파라미터감시제어모듈(300)은 반려동물이 있는 장소 환경에 따라 파라미터(변수)를 취득할 수 있다. 환경파라미터감시제어모듈(300)은 온도감시제어기(301), 습도감시제어기(302), 조도감시제어기(303), 산소함량감시제어기(304), 공기질량감시제어기(305), 수위감시제어기(306), 미생물함량감시제어기(307), 단백질 함량감시제어기(308), 염도감시제어기(309) 및 산알카리농도감시제어기(310)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감시제어기(301)는 온도측정장치 등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이 있는 장소 환경의 온도를 감시할 수 있다.
습도감시제어기(302)는 습도측정장치 등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이 있는 장소 환경의 습도를 감시할 수 있다.
조도감시제어기(303)는 조명장치 등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이 있는 장소 환경의 조도를 감시할 수 있으며, 자동으로 반려동물이 있는 장소 환경의 조도가 기 지정값 또는 설정값 이하인 경우 자동으로 조명장치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산소함량감시제어기(304)는 산소함량측정장치 등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이 있는 장소 환경의 산소 함량을 감시할 수 있다.
공기질량감시제어기(305)는 공기질량측정장치 등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이 있는 장소 환경의 공기 질을 감시할 수 있다.
수위감시제어기(306)는 수위측정장치 등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이 있는 장소 환경의 수위를 감시할 수 있다.
미생물함량감시제어기(307)는 반려동물이 있는 장소 환경의 미생물 함량을 감시할 수 있다.
단백질함량감시제어기(308)는 반려동물이 있는 장소 환경의 단백질 함량을 감시할 수 있다.
염도감시제어기(309)는 반려동물이 있는 장소 환경의 염도를 감시할 수 있다.
산알카리농도감시제어기(310)는 반려동물이 있는 장소 환경의 산알카리농도를 감시할 수 있다.
특히 조도감시제어기(303)는 카메라 영상의 밝기를 인식해서 반려동물이 있는 환경의 밝기를 파악하고 조명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반려동물이 어둡지 않은 방안에서 편히 있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환경파라미터(변수)로서 온도, 습도, 산소 함량, 공기질량, 수위, 미생물 함량, 조도, 단백질 함량, 소금 함량과 산알카리농도 등은 반려동물의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파라미터(변수)에 대한 감시를 통하여, 감시한 파라미터(변수)가 설정한 수치와 다를 때, 응용부(60)를 통하여 이런 파라미터(변수)에 대한 조절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은 계속 양호한 환경상태에 처해 있을 수 있으며, [0121] 반려동물이 병이 생기거나 죽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환경파라미터(변수)를 주인의 핸드폰에도 발송 할 수도 있어서 주인으로 하여금 반려동물이 있는 장소 환경에 대해서 알수 있게 할 수 있다.
또 이상한 환경에 대해 처리 할 수 있어서 반려동물로 하여금 장기간 양호한 환경에 처해 있게 할 수 있다.
주인이 반려동물이 있는 장소 환경이 이상한걸 알게 되였을 때 클라이언트부(80)를 통하여 환경파라미터감시제어모듈(300)에 대해 제어할 수 있으며, 환경파라미터(변수)에 대해 조절을 진행할 수 있다.
만약 정전 등의 정황이 발생하면 감시제어부(10)에 대해 제어를 진행 할 수 없게 된다.
이럴 때는 주인이 클라이언트부(80)를 통하여 서비스시스템과 연결하여, 서비스 인원이 홈서비스를 하여 전기를 통하게 할 수 있다.
동영상감시제어모듈(200)는 차단물구조재, 녹화구조재, 제어구조재와 신호검측구조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신호검측구조재와 상기 차단물구조재는 상기 제어구조재와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차단물구조재는 물리적으로 상기 녹화구조재를 가릴 수 있다.
동영상감시제어모듈(200)의 경우에는 동영상감시제어부(10)가 반려동물의 행동에 대해 감시를 진행하는 외에 주인이 집에 돌아 왔을 때 주인의 행동에 대해서도 감시를 진행할 수 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행동이 감시되고 심지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원치 않는다.
따라서 상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중에서, 신호검측구조재를 통하여 주인의 신호를 검측하고, 주인의 신호가 검측되였을 때, 예를 들어 주인이 이미 집에 돌아 왔고, 또 주인이 감시제어부(10)의 감시 범위내에 있을 때는 제어구조재에 신호를 발송하여, 제어구조재가 신호를 접수한후 차단물구조재를 작동하여, 차단물구조재가 녹화구조재를 가리게 하여 녹화구조재로 하여금 녹화기능을 상실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동영상감시제어를 진행하지 못한다. 그리고 주인이 집에 있으므로 직접 반려동물의 행동을 관찰 할 수 있어서, 직접 반려동물과 교류를 할 수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관장치를 꼭 사용 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주인이 집에 돌아 왔으나 감시제어부(10)의 감시 범위내에 없을 때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관리장치를 사용 할 필요가 있어서, 차단물구조재를 작동하지 않으며, 녹화 구조재가 녹화기능을 진행하여 동영상감시제어와 관리를 진행할 수 있다.
설정한 차단기능을 닫을 수도 있으며, 주인이 집에 있을 때에 감시제어부(10)가 필요하면 핸드폰을 통하여 모든 기능을 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관리장치는 반려동물행위대표물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행위대표물부(90)내에는 센서모듈(900) 설치될 수 있고, 센서모듈(900)은 상기 데이터매칭부(50)의 데이터와 연결될 수 있다.따라서 반려동물이 주동적으로 주인과 교류하도록 할 수 있다.
반려동물이 반려동물행위대표물부(90)를 사용할 때는 센서모듈을 통하여 반려동물이 사용하는 해당 대표물의 신호를 데이터매칭부(50)에 발송하고, 데이터매칭부(50)는 신호를 접수함과 동시에 주인처리데이터를 검색하며, 반려동물이 해당 대표물을 사용할 때 행동에 대응하는 주인처리데이터를 반환할 수 있다.
다음에 응용부(60)는 주인처리데이터를 사용하여 주인과 반려동물간의 교류를 실현할 수 있다. 그중에서 반려동물이 해당 대표물을 사용할 때 행동에 대응하는 주인처리데이터는 사전에 저장 할 수 있으며, 동시에 반려동물에 대해 훈련을 진행 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이 해당 대표물을 사용할 때 주인이 대응하는 처리를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반려동물로 하여금 해당 대표물을 사용한 결과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반려동물이 주인의 이런 대응하는 처리를 취득한 후 주동적으로 해당 대표물을 사용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반려동물로 하여금 주동적으로 주인과 연계와 교류를 진행 할 수 있게 한다.
반려동물과 주인이 교류하는 과정에서 반려동물이 해당 대표물을 사용하는 신호를 직접 주인의 클라이언트부(80)에 발송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주인으로 하여금 반려동물과 직접적인 연계와 교류를 하게 할 수 있다.
그중에서 반려동물행위대표물부(90)의 반려동물행동대표물은 임의 형태의 [0140] 물체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둥근 구형 일 수 있다. 반려동물이 대표물사용행동은 예를 들어 대표물을 누르거나 입으로 무는 것이다.
그밖에 실제로 사용하는 중에서, 센서모듈이 반응이 있을 때 블루투스, ZigBee, WIFI 혹은 적외선을 통해 신호를 보낼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관리장치를 통해 주인의 클라이언트부(80)에 발송할 수 있다.(예를 들어 핸드폰, PAD, 컴퓨터 등) 센서모듈(900)은 압력센서(901), 진동센서(902), 소리센서(903)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모듈(900)은 다양한 유형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이 대표물을 사용하는 신호를 데이터 매칭부(50) 혹은 클라이언트부(80)에 보낼수만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이 주인하고 연계하고 싶으면 반려동물이 압력센서(901)(누른다),진동센서(902)(부딪친다),오디오센서(903)(규정한 오디오와 비교 한다)등 신호를 보내여, 관리자로 하여금 보내온 신호를 통하여 반려동물의 생각을 판단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감시제어부(10), 표준데이터저장부(20), 데이터비교부(30), 주인처리데이터저장부(40), 데이터 매칭부(50), 응용부(60), 표준데이터추출부(70), 클라이언트부(80), 반려동물행위대표물부(90)가 수행하는 기능들은 중앙처리장치인 CPU, AP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스마트 단말기와 연동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관리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4에 제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관리장치(1)에서 수행하는 반려동물 관리는 아래와 같은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반려동물의 현재의 행동에 대해 감시를 진행하여 반려동물의 현재 행동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s1),
상기 현재 행동의 데이터와 표준데이터를 비교하여, 만약 현재 행동의 데이터와 표준데이터가 일치하면, 반려동물의 행동이 정상이라고 인정하고, 동시에 다음 순환에 진입하는 단계(s2) 만약 현재 행동의 데이터와 표준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으면 반려동물의 행동이 비정상이라고 판단하고 s3을 실시한다.
상기 현재 행동의 데이터와 매칭되는 주인처리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s3)
상기 주인처리데이터를 응용하는 단계(s4) 그중에서 반려동물의 현재 행동은 원을 그리며 도는 것 일 수 도 있으며, 반려동물의 현재 행동의 데이터는 원을 그리며 도는 바퀴 수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바퀴가 될 수 있다.
반려동물의 행동의 표준데이터를 저장하는 것, 즉 반려동물의 정상적인 행동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다.
반려동물의 정상적인 행동의 데이터는 주인 혹은 반려동물의 전문가가 반려동물의 행동을 관찰하고, 그 행동이 정상이라고 인정하면 표준데이터로 하고 표준데이터저장부(2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의 일정한 시간 내의 활동량이 어떤 수치 일때 그 행동이 정상으로 인정되면 해당수치를 활동량의 표준데이터로 하고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반려동물의 기타 행동에 대해서도 모두 일정한 표준데이터를 제시 할 수 있다. 해당 표준데이터는 정기적인 관찰을 통하여 제시 할 수도 있고, 경험에 의하여 제시 할 수도 있다. 동시에 다양한 반려동물, 다양한 시간대, 예를 들어 계절, 반려동물의 연령, 에 맞추어 다양한 표준데이터를 설정 할 수 있다. 동시에 표준데이터에 대해 계속해서 자동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주인처리데이터는 반려동물의 비정상적인 행동에 대한 주인이 한 처리이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의 초조해 하는 행동에 대해서 주인이 말로 위안하면 주인처리데이터는 곧 주인이 반려동물을 위안하는 오디오데이터인 것이다. 그러므로 주인처리데이터와 반려동물의 비정상적인 행동은 일대일로 대응할 수 있다.
반려동물의 행동이 이상 할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는 주인처리데이터를 검색하고, 동시에 실시하여, 반려동물에 대한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표준데이터는 설정한 시간대내의 반려동물의 과거 행동의 데이터이다.
또한 상기 설정한 시간대는 실제 시간에 의하여 롤링 업데이트 된다.
반려동물의 행동이 계절, 반려동물의 연령 등 시간의 변화에 따른 요소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반려동물의 정상행동 즉 표준데이터도 계절, 반려동물의 연령 등 시간의 변화와 연관된 요소의 영향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시간의 변화에 따라 표준데이터도 변화 될 수 있다. 이리하여 표준데이터와 반려동물의 현재 행동을 비교 하였을 때 그 비교 결과로 하여금 더욱 더 정확하게 할 수 있다. 표준데이터는 인위적으로 계속해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하지만 비교적 번거롭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의 제어부에 대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애완동물 원격 먹이공급 장치의 동작을 위한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센서를 이용하여 케이지 실내의 온습도를 측정하고 설정된 값에 맞도록 실내 환경 조절하여 쾌적함 유지하고, 카메라 모듈을 구성하여 소비자가 실외에서도 반려동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온습도 및 카메라 데이터를 측정하고 DB서버로 전송 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주인이 현재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가능한 반려 동물 스마트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감시제어부

Claims (1)

  1. 센서를 이용하여 케이지 실내의 온습도를 측정하고 설정된 값에 맞도록 실내 환경 조절하여 쾌적함 유지하고,
    카메라 모듈을 구성하여 소비자가 실외에서도 반려동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온습도 및 카메라 데이터를 측정하고 DB서버로 전송 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주인이 현재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가능한 반려 동물 스마트 관리장치는,
    실시간으로 반려동물의 행동을 감시하는 감시제어부;
    상기 반려동물의 정상적인 행동을 토대로 생성된 표준데이터를 저장하는 표준데이터저장부;
    상기 반려동물의 비정상적인 행동에 대해 주인이 실시하는 행동을 토대로 생성된 주인처리데이터를 저장하는 주인처리데이터저장부;
    상기 감시제어부가 취득한 상기 반려동물의 행동에 대한 실시간 감시데이터 및 상기 표준데이터저장부 내의 상기 표준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감시데이터와 상기 표준데이터가 일치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행동이 정상적인지 비정상적인지 판단하는 데이터비교부;
    상기 데이터비교부가 상기 반려동물의 행동이 비정상적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감시제어부가 취득한 상기 반려동물 행동의 실시간 감시데이터 및 상기 주인처리데이터저장부 내의 상기 주인처리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감시데이터 및 주인처리데이터를 통해 상기 반려동물의 실시간 행동에 대한 주인처리데이터를 취득하는 데이터매칭부;
    상기 데이터매칭부가 취득한 상기 반려동물의 실시간 행동에 대한 주인처리데이터를 검색 및 응용하는 응용부; 및
    상기 데이터비교부, 상기 데이터매칭부 및 상기 응용부와 각각 상호연결되며, 상기 반려동물의 비정상행동에 대한 상기 반려동물의 주인이 원하는 지시를 입력받아 수행하는 클라이언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감시제어부는,
    상기 반려동물의 소리를 감시하고 상기 반려동물의 오디오 데이터를 취득하는 오디오감시제어모듈; 상기 반려동물의 영상을 감시하고 상기 반려동물의 동영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동영상감시제어모듈; 및 상기 반려동물이 있는 장소 환경에 따라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환경파라미터감시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환경파라미터감시제어모듈은,
    상기 반려동물이 있는 장소 환경의 온도를 감시하는 온도감시제어기; 상기 반려동물이 있는 장소 환경의 습도를 감시하는 습도감시제어기; 상기 반려동물이 있는 장소 환경의 조도를 감시하고 상기 반려동물이 있는 장소 환경의 조도가 기 지정값 이하인 경우 자동으로 조명장치를 작동시키는 조도감시제어기; 상기 반려동물이 있는 장소환경의 산소 함량을 감시하는 산소함량감시제어기; 상기 반려동물이 있는 장소 환경의 공기 질을 감시하는 공기질량감시제어기; 상기 반려동물이 있는 장소 환경의 수위를 감시하는 수위감시제어기; 상기 반려동물이 있는 장소 환경의 미생물 함량을 감시하는 미생물함량감시제어기; 상기 반려동물이 있는 장소 환경의 단백질 함량을 감시하는 단백질함량감시제어기; 상기 반려동물이 있는 장소 환경의 염도를 감시하는 염도감시제어기; 및 상기 반려동물이 있는 장소 환경의 산알카리농도를 감시하는 산알카리농도감시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동영상감시제어모듈은,
    차단물구조재, 녹화구조재, 제어구조재와 신호검측구조재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검측구조재와 상기 차단물구조재는 상기 제어구조재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차단물구조재는 물리적으로 상기 녹화구조재를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동영상감시제어모듈은,
    상기 신호검측구조재를 통해 주인의 신호가 검측되고 주인이 상기 감시제어부의 감시 범위내에 있는 경우, 상기 제어구조재의 제어에 따라 상기 차단물구조재가 상기 녹화구조재를 가리게 하여 상기 녹화구조재의 녹화기능이 상실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신호검측구조재를 통해 주인의 신호가 검측되고 주인이 상기 감시제어부의 감시 범위내에 없는 경우, 상기 녹화구조재가 녹화기능을 지속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클라이언트부는,
    상기 환경파라미터감시제어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파라미터를 조절하고, 상기 파라미터를 수신하여 주인이 상기 반려동물이 위치한 장소 환경을 인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스마트 관리장치.
KR1020180148519A 2018-11-27 2018-11-27 반려 동물 스마트 관리장치 KR202000627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519A KR20200062754A (ko) 2018-11-27 2018-11-27 반려 동물 스마트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519A KR20200062754A (ko) 2018-11-27 2018-11-27 반려 동물 스마트 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754A true KR20200062754A (ko) 2020-06-04

Family

ID=71081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519A KR20200062754A (ko) 2018-11-27 2018-11-27 반려 동물 스마트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27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8171A (ko)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피카 스마트펫용품 IoT 건강관리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8171A (ko)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피카 스마트펫용품 IoT 건강관리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6491B1 (ko) 반려동물 관리 장치
JP6923695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システム、及び機器制御方法
US11398145B2 (en) Thoughtful elderly monitoring in a smart home environment
CN111328735B (zh) 基于大数据的智能化养殖场管理方法和系统
US10986789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nsor-assisted indoor gardening
KR101836864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생육 관리 시스템
KR101733439B1 (ko) 사물 인터넷과 이동형로봇을 이용한 실시간 원격 제어 기반의 맞춤형 주말 농장 관리 시스템
CN208044324U (zh) 家居环境智能控制系统
US10846599B2 (en) Collaboration of audio sensors for geo-location and continuous tracking of health conditions for users in a device-independent artificial intelligence (AI) environment
KR20170133076A (ko) 곤충 사육장치와 그 사육장치의 사육관리시스템 및 그 사육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CN109489212A (zh) 一种空调智能睡眠控制方法、调整系统及设备
CN209388201U (zh) 养殖场无线监测系统
CN112134949A (zh) 一种宠物的托管方法、装置以及系统
WO2019153381A1 (zh) 室内的空气质量的调节方法及清洁机器人
KR20200062754A (ko) 반려 동물 스마트 관리장치
US2018032091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lectronic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KR101723189B1 (ko) 온습도 지수를 이용한 축사환경관리 방법 및 장치
Ezema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Esp32-Based smart embedded industrial poultry farm
CN106292437A (zh) 一种远距离控制仓库的系统
KR20210123081A (ko)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
Ezema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Embedded Poultry Farm
CN209639750U (zh) 一种用于粮食存储的无线粮仓监控系统
CN106594989A (zh) 一种空调
TWI774421B (zh) 智慧型畜牧場域環境控制系統、方法、電腦程式及電腦可讀取媒體
US20230260382A1 (en) Child monitoring devices and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