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864B1 -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생육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생육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864B1
KR101836864B1 KR1020160174281A KR20160174281A KR101836864B1 KR 101836864 B1 KR101836864 B1 KR 101836864B1 KR 1020160174281 A KR1020160174281 A KR 1020160174281A KR 20160174281 A KR20160174281 A KR 20160174281A KR 101836864 B1 KR101836864 B1 KR 101836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wth
unit
smart device
food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4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광수
Original Assignee
송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광수 filed Critical 송광수
Priority to KR1020160174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8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2Breeding 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생육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생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가열부, 먹이공급부, 환기조절부, 수분공급부, 광량조절부를 선택적으로 가동시켜 생물의 특성에 따라 사육할 수 있는 환경조건을 제공함으로써 특정 생물 군에 한정되지 않고 범용적인 생물의 종에 이용 가능한 생육 관리케이지를 제공하고, 생육관리케이지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특정 종의 생육조건에 따라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생물 각각의 개별성을 고려한 관리가 가능하며, 관리자가 수시로 현장을 방문하지 않아도 되며, 서버는 사용자들의 생육일지를 전달받아 발육상태에 따라 저장하고, 각 생물의 종에 따라 성장상태가 좋은 순으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소정의 가공을 거쳐 이를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함으로써 생육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초기 관리자들이나 일반인들이 사육 중인 생물의 표준화된 생육조건을 참고하여 이를 벤치마킹하거나, 성장 상태에 따라 표준화된 정보를 토대로 메인컨트롤러에 동일한 조건으로 설정함으로써 생육 시 발생되는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생육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식수를 공급하기 위한 식수공급부, 내부 온도 측정을 위한 온도센서가 구비되고, 온열패널, 온풍기를 포함하는 온열공급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열을 공급하는 가열부, 물의 높낮이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센서가 구비될 수 있고, 설정된 시간에 따라 적정량의 먹이를 공급하는 먹이공급부, 산소 공급량을 측정하기 위한 산소 센서가 구비되고, 내부 공기의 오염정도를 감지하여 제어신호에 의해 내부환경을 환기시키는 환기조절부, 물의 높낮이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센서와, 습도를 측정을 위한 습도센서가 구비되고,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구비되어 대기 수분 및 바닥면에 구비된 토양에 수분을 공급하도록 하는 수분공급부, 광량을 측정하기 위한 광량센서가 구비되고, LED, 적외선램프를 포함하는 광량조절장치로 내부의 광량을 조절하는 광량조절부, 및 스마트기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를 포함하고, 식물, 설치류, 곤충 및 거미류, 파충류를 포함하는 생물을 사육할 수 있는 생육관리케이지; 생육관리케이지로부터 환경정보를 전달받아 생육관리케이지 내부에 장착된 가열부, 먹이공급부, 환기조절부, 수분공급부, 광량조절부를 포함하는 환경조절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메인컨트롤러; 및 생육관리케이지와 무선통신으로 연동되어 대상체의 종류를 선택한 후 서버에 저장된 대상체의 적정생육환경을 토대로 메인컨트롤러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생육관리케이지의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정보 값을 전달받아 생육관리케이지 내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생육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생육 관리 시스템{System for growth management using smart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생육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생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가열부, 먹이공급부, 환기조절부, 수분공급부, 광량조절부를 선택적으로 가동시켜 생물의 특성에 따라 사육할 수 있는 환경조건을 제공함으로써 특정 생물 군에 한정되지 않고 범용적인 생물의 종에 이용 가능한 생육 관리케이지를 제공하고, 생육관리케이지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특정 종의 생육조건에 따라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생물 각각의 개별성을 고려한 관리가 가능하며, 관리자가 수시로 현장을 방문하지 않아도 되며, 서버는 사용자들의 생육일지를 전달받아 발육상태에 따라 저장하고, 각 생물의 종에 따라 성장상태가 좋은 순으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소정의 가공을 거쳐 이를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함으로써 생육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초기 관리자들이나 일반인들이 사육 중인 생물의 표준화된 생육조건을 참고하여 이를 벤치마킹하거나, 성장 상태에 따라 표준화된 정보를 토대로 메인컨트롤러에 동일한 조건으로 설정함으로써 생육 시 발생되는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생육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식물, 파충류, 설치류 등을 직접 생육하거나, 도시농업을 목적으로 다종 및 다량의 생물을 생육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하여 많은 관심이 늘어남에 따라 상기 생물들의 적정 생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다양한 관리시스템이 개발 중에 있다.
하지만, 일반인들은 각 생물의 생육환경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아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서 다른 사람에게 의견을 묻거나, 직접 조사하거나, 전문가에게 직접 찾아가서 정보를 획득해야하며, 이렇게 획득된 정보를 토대로 정확한 정보인지를 판별할 수 있는 식별력이 없기 때문에 전문화된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각 생물의 종과 선택된 종의 생육 조건에 따라 관리가능한 플랫폼의 구현이 필요하다.
한편,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90996호(2016.02.02.공고),"도시형 식물 공장의 통합 제어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식물 공장 내부 환경을 탐지하여 자동으로 생육 환경이 설정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식물 공장의 생육 환경이 자동화가 된 장치에 의하여 설정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도시형 식물 공장의 통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시형 식물 공장의 통합 제어 시스템은 관리 디바이스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제어노드, 제어노드와 근거리 무선으로 연결되고 식물 공장 내부의 생태 환경을 설정하는 작동모듈, 식물 공장의 광 환경 및 환경 조건을 탐지하여 제어노드로 전송하는 센서모듈을 포함하고, 제어노드는 미리 결정된 성장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작동모듈을 작동시키고 센서는 광 다이오드에 의하여 식물 공장의 광 환경을 측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생육 관리의 대상체가 식물에 한정되어 있어, 생육 조건을 위한 각종 디바이스와 관리 프로그램이 식물에 초점을 두고 있어서, 식물 이외에 다른 설치류, 파충류 등 다른 생물 종의 관리는 힘들다.
또한, 제어 방식이 기 설치된 제어노드에 한정되어 있어, 스마트기기와 같은 원격 조정 및 제어가 가능한 디바이스가 없어 수시로 관리자가 해당 식물공장을 방문하여 센서의 작동에 이상이 없는 지, 적정 환경조건으로 유지되고 있는 지 확인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생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생물의 특성에 따라 생육 가능한 환경 조건을 제공함으로써 특정 생물 군에 한정되지 않은 생육관리케이지를 제공하고, 관리자가 수시로 현장을 방문하지 않아도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생육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생육 관리 시스템은 식수를 공급하기 위한 식수공급부, 내부 온도 측정을 위한 온도센서가 구비되고, 온열패널, 온풍기를 포함하는 온열공급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열을 공급하는 가열부, 물의 높낮이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센서가 구비될 수 있고, 설정된 시간에 따라 적정량의 먹이를 공급하는 먹이공급부, 산소 공급량을 측정하기 위한 산소 센서가 구비되고, 내부 공기의 오염정도를 감지하여 제어신호에 의해 내부환경을 환기시키는 환기조절부, 물의 높낮이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센서와, 습도를 측정을 위한 습도센서가 구비되고,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구비되어 대기 수분 및 바닥면에 구비된 토양에 수분을 공급하도록 하는 수분공급부, 광량을 측정하기 위한 광량센서가 구비되고, LED, 적외선램프를 포함하는 광량조절장치로 내부의 광량을 조절하는 광량조절부, 및 스마트기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를 포함하고, 식물, 설치류, 곤충 및 거미류, 파충류를 포함하는 생물을 사육할 수 있는 생육관리케이지; 생육관리케이지로부터 환경정보를 전달받아 생육관리케이지 내부에 장착된 가열부, 먹이공급부, 환기조절부, 수분공급부, 광량조절부를 포함하는 환경조절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메인컨트롤러; 및 생육관리케이지와 무선통신으로 연동되어 대상체의 종류를 선택한 후 서버에 저장된 대상체의 적정생육환경을 토대로 메인컨트롤러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생육관리케이지의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정보 값을 전달받아 생육관리케이지 내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먹이공급부는 하부에 사료를 포함하는 먹이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무게측정수단이 구비되어 용기에 담긴 먹이량이 기준 1회 먹이량에 미치지 못할 경우, 먹이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환기조절부는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의 양을 검출하여 이산화탄소의 수치가 일정값 이상 감지될 경우 장치 내부에 설치된 쿨러를 가동시켜 공기를 환기시키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생육일지를 전달받아 각 생물 군 별로 1차 분류하고, 생장발육상태에 따라 2차 분류하여 저장하되, 생장발육상태가 좋은 정도를 등급으로 분류하여 소정의 가공을 거쳐 이를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생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가열부, 먹이공급부, 환기조절부, 수분공급부, 광량조절부를 선택적으로 가동시켜 생물의 특성에 따라 사육할 수 있는 환경조건을 제공함으로써 특정 생물 군에 한정되지 않고 범용적인 생물의 종에 이용 가능한 생육관리케이지를 제공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생육관리케이지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대상체의 종류를 선택하여 특정 종의 생육조건에 따라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생물 각각의 개별성을 고려한 관리가 가능하며, 관리자가 수시로 현장을 방문하지 않아 관리 상의 번거로움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버는 사용자들의 생육일지를 전달받아 발육상태에 따라 저장하고, 각 생물의 종에 따라 성장상태가 좋은 순으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소정의 가공을 거쳐 이를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함으로써 생육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초기 관리자들이나 일반인들이 사육 중인 생물의 표준화된 생육조건을 참고하여 이를 벤치마킹하거나, 성장 상태에 따라 표준화된 정보를 토대로 메인컨트롤러에 동일한 조건으로 설정함으로써 생육 시 발생되는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생육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생육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생육 관리 시스템은 스마트기기(300)의 애플리케이션과 및 생육관리케이지(100), 메인컨트롤러200), 서버(400)를 연동함으로써 구축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생육 관리 시스템은 생육관리케이지(100), 메인컨트롤러(200), 스마트기기(300), 및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생육관리케이지(100)는 설치류, 곤충 및 거미류, 파충류, 식물을 포함하는 군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생물을 생육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는 사육장치로서, 상기 생물 군이 생육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다.
여기서, 생육관리케이지 (100)에 수용될 수 있는 생물의 군은 어느 특정 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 설치류는 햄스터, 기니피그, 쥐, 다람쥐 등이 포함될 수 있고, 파충류는 이구아나, 카멜레온, 도마뱀, 방울뱀, 비단구렁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곤충 및 거미류는 무당벌레, 풍뎅이, 사마귀, 왕거미, 매미, 사마귀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식물은 꽃, 야생화, 허브, 버슷, 다육식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생육관리케이지(100)는 식수공급부(110), 가열부(112), 먹이공급부(114), 환기조절부(116), 수분공급부(118), 광량조절부(120), 무선통신부(122), 개체식별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식수공급부(110)는 식수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가열부(112)는 내부 온도 측정을 위한 온도센서가 구비되고, 온열패널, 온풍기를 포함하는 온열공급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열을 공급한다.
여기서, 온열패널은 생육관리케이지 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부로 열을 공급하며, 온풍기는 팬이 작동하여 열을 전달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상기 온열공급방식은 사육되는 생물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먹이공급부(114)는 물의 높낮이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센서가 구비될 수 있고, 설정된 시간에 따라 적정량의 먹이를 공급한다.
이 때, 먹이공급부(114)는 하부에 사료를 포함하는 먹이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무게측정수단이 구비되어 용기에 담긴 먹이량이 기준 1회 먹이량에 미치지 못할 경우, 먹이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먹이공급부(114)는 적정 먹이 공급 시간을 설정하면, 설정된 시간에 따라 먹이가 공급되며, 1회 먹이량을 설정하여 두고, 설정된 양에 맞춰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매 시간마다 관리자가 먹이를 공급하지 않아도 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환기조절부(116)는 산소 공급량을 측정하기 위한 산소 센서가 구비되고, 산소 센서에 의해 내부 공기의 오염정도를 감지하여 제어신호에 의해 내부환경을 환기시킨다.
이 때, 환기조절부(116)는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의 양을 검출하여 이산화탄소의 수치가 일정값 이상 감지될 경우 장치 내부에 설치된 쿨러를 가동시켜 공기를 환기시키도록 한다.
수분공급부(118)는 물의 높낮이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센서와, 습도를 측정을 위한 습도센서가 구비되고,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구비되어 물을 공급하도록 한다.
이 때, 수분공급부(118)는 수분공급용기 내부에 적정량 이하의 물이 채워져 있을 경우, 적정량에 도달하지 못하였다고 판단하고, 자동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광량조절부(120)는 광량을 측정하기 위한 광량센서가 구비되고, LED, 적외선램프를 포함하는 광량조절장치가 설치되어 내부 광량을 조절한다. 이 때, LED는 단순히 빛만 공급할 수 있으나, 적외선램프는 빛 공급 뿐만 아니라, 온도 상승이 가능하도록 하므로, 적외선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무선통신부(122)는 스마트기기(3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개체식별부(124)는 생육관리케이지에 사육 중인 종을 식별하는 장치이다.
개체식별부(124)는 개체식별부를 1차적으로 가동시켜 대상체의 종류를 식별한 이후, 메인컨트롤러(200)로 전달하여 저장된 생물의 종을 추출하여 특정 종으로 판별되면, 특정 종의 생육조건에 따라 온도, 습도, 광량, 수위, 산소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선택적으로 가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생육관리케이지(100)의 일측에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거치대(미도시)의 형태를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생육관리케이지(100)는 생물의 충종, 생육상태, 사육목적에 따라 각각의 고유식별정보가 보유된다.상기 고유식별정보를 토대로 스마트기기(200)로부터 특정 곤충생육장치(100)의 생육환경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메인컨트롤러(200)는 생육관리케이지(100)로부터 환경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생육관리케이지 내부 환경을 제어한다.
스마트기기로는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및 스마트폰 등이 가능하며, 생육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하거나 내장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300)는 생물종류선택모듈(310), 사육목적선택모듈(312), 영농일지입력모듈(314), 병충해 정보제공모듈(316), 및 제어모듈(3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모듈들은 스마트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된다.
생물종류선택모듈(310)은 생물의 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로서, 설치류, 곤충 및 거미류, 파충류, 식물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사육목적선택모듈(312)은 생물종류선택모듈(310)에 의해 생물 종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사육목적을 선택할 수 있는 모듈이다.
일례로, 사육목적선택모듈(312) 화면 페이지에는 식용, 애완-벌크, 애완-개별 등의 메뉴얼이 출력된다.
영농일지입력모듈(314)은 생육관리케이지(100) 별 사육기록을 입력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영농일지입력모듈(314)에 의해 등록된 영농일지는 서버(400)에 저장되고, 일반인, 전문농가 등 다양한 사육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빅데이터로 구축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병충해정보제공모듈(316)은 주변에 노출될 수 있는 병충해 정보를 제공한다.
제어모듈(318)은 현재 생육관리케이지(100)가 설치된 사육장 내부의 환경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가열부(112), 환기조절부(116), 수분공급부(118), 광량조절부(120)등을 제어한다.
서버(400)는 스마트기기(300)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무선통신을 통해 센서값들을 전송받아 전송된 정보를 수집하여 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 수집은 각 생육관리케이지 마다 고유식별정보가 부여된다.
또한, 서버(400)는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생육일지를 전달받아 각 생물 군 별로 1차 분류하고, 생장발육상태에 따라 2차 분류하여 저장하되, 생장발육상태가 좋은 정도를 등급으로 분류하여 소정의 가공을 거쳐 이를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한다.
즉, 서버(400)는 사용자들의 생육일지를 전달받아 발육상태에 따라 저장하고, 각 생물의 종에 따라 성장상태가 좋은 순으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소정의 가공을 거쳐 이를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함으로써 생육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초기 관리자들이나 일반인들이 사육 중인 생물의 표준화된 생육조건을 참고하여 이를 벤치마킹하거나, 성장 상태에 따라 표준화된 정보를 토대로 메인컨트롤러에 동일한 조건으로 설정함으로써 생육 시 발생되는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반인들의 정보 이외에 전문농가에서 사육되어진 정보를 수집하여 분류하여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생육데이터를 빅데이터로 구축하고, 구축된 빅데이터는 클라우드소싱플랫폼과 연계하여 다양한 사용자들이 생육 관리 서비스로부터 질적인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생육관리케이지 110 - 식수공급부
112 - 가열부 114 - 먹이공급부
116 - 환기조절부 118 - 수분공급부
120 - 광량조절부 122 - 무선통신부
124 - 개체식별부 200 - 메인컨트롤러
300 - 스마트기기 310 - 생물종류선택모듈
312 - 사육목적선택모듈 314 - 영농일지입력모듈
316 - 병충해정보제공모듈 318 - 제어모듈
400 - 서버

Claims (3)

  1. 식수를 공급하기 위한 식수공급부,
    내부 온도 측정을 위한 온도센서가 구비되고, 온열패널, 온풍기를 포함하는
    온열공급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열을 공급하는 가열부,
    물의 높낮이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센서가 구비될 수 있고, 설정된 시간에 따
    라 적정량의 먹이를 공급하는 먹이공급부,
    산소 공급량을 측정하기 위한 산소 센서가 구비되고, 내부 공기의 오염정도를 감지하여 제어신호에 의해 내부환경을 환기시키는 환기조절부,
    물의 높낮이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센서와, 습도를 측정을 위한 습도센서가 구비되고,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구비되어 대기 수분 및 바닥면에 구비된 토양에 수분을 공급하도록 하는 수분공급부,
    광량을 측정하기 위한 광량센서가 구비되고, LED, 적외선램프를 포함하는 광량조절장치로 내부의 광량을 조절하는 광량조절부, 및
    스마트기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를 포함하고,
    각 장치별로 고유식별정보가 부여되고, 식물, 설치류, 곤충 및 거미류, 파충류를 포함하는 생물을 사육할 수 있는 생육관리케이지;
    생육관리케이지로부터 환경정보를 전달받아 생육관리케이지 내부에 장착된 가열부, 먹이공급부, 환기조절부, 수분공급부, 광량조절부를 포함하는 환경조절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메인컨트롤러;
    생육관리케이지와 무선통신으로 연동되어 생육관리케이지의 내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특정 생육관리케이지의 생육환경조건을 선택적으로 원격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 및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생육일지를 전달받아 각 생물 군 별로 1차분류하고, 생장발육상태에 따라 2차 분류하여 저장하되, 생장발육상태가 좋은 정도를 등급으로 분류하여 소정의 가공을 거쳐 이를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서버
    를 포함하고,
    스마트기기는
    각 케이지 내부의 환경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가열부, 환기조절부, 수분공급부, 광량조절부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모듈, 설치류, 곤충 및 거미류, 파충류, 식물을 포함하는 생물의 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생물종류선택모듈, 생물종류선택모듈에 의해 생물 종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사육목적을 선택할 수 있는 사육목적선택모듈, 생육관리케이지 별 사육기록을 입력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영농일지입력모듈, 및 생육관리케이지 주변에 노출될 수 있는 병충해 정보를 제공하는 병충해정보제공모듈
    을 포함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생육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먹이공급부는
    하부에 사료를 포함하는 먹이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무게측정수단이 구비되어 용기에 담긴 먹이량이 기준 1회 먹이량에 미치지 못할 경우, 먹이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것
    을 더 포함하고,
    환기조절부는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의 양을 검출하여 이산화탄소의 수치가 일정값 이상 감지될 경우 장치 내부에 설치된 쿨러를 가동시켜 공기를 환기시키도록 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생육 관리 시스템.





  3. 삭제
KR1020160174281A 2016-12-20 2016-12-20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생육 관리 시스템 KR101836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281A KR101836864B1 (ko) 2016-12-20 2016-12-20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생육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281A KR101836864B1 (ko) 2016-12-20 2016-12-20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생육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6864B1 true KR101836864B1 (ko) 2018-03-09

Family

ID=61727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4281A KR101836864B1 (ko) 2016-12-20 2016-12-20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생육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864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740A (ko) * 2018-08-27 2020-03-06 윤중환 스마트 화분, 스마트 화분을 포함하는 화분 생장 시스템
KR20200064782A (ko) * 2018-11-29 2020-06-08 노태범 곤충 사육 장치
WO2020158975A1 (ko) * 2019-01-30 2020-08-06 이봉학 곤충 사육을 위한 스마트팜 시스템 및 운용방법
KR20200100467A (ko) * 2019-02-18 2020-08-26 원광희 식용곤충 사육 장치
KR20200144740A (ko) * 2019-06-19 2020-12-30 농업회사법인 와우에스에프(주) 북방산개구리 사육장치 및 사육시스템
KR102209388B1 (ko) * 2020-06-10 2021-01-2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상킨섹트 애꽃노린재류 무식물 증식 시스템
KR102228478B1 (ko) 2020-06-02 2021-03-16 주식회사 엘시스 OneM2M 플랫폼 기반 국제표준 축사 환경 데이터 수집 시스템 및 수집 방법
KR20210052117A (ko) * 2019-10-30 2021-05-10 강원도 데이터 기반의 곤충사육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1132749A1 (ko) * 2019-12-23 2021-07-01 주식회사 숲속의작은친구들 곤충 사육정보 제공방법
CN113287140A (zh) * 2018-12-26 2021-08-20 福迪沃姆株式会社 昆虫养殖控制装置及方法
KR20220067394A (ko) * 2020-11-17 2022-05-24 이재복 큐비클형 인공지능 곤충 사육장치
KR20220082187A (ko) 2020-12-10 2022-06-17 조홍석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 파충류 사육장
KR20220087246A (ko) * 2020-12-17 2022-06-24 전영선 굼벵이 사육 스마트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굼벵이 사육 방법
KR20220127104A (ko) * 2021-03-10 2022-09-1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뽕을품은누에 유휴하우스를 이용한 스마트 커넥티드 잠실 시스템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740A (ko) * 2018-08-27 2020-03-06 윤중환 스마트 화분, 스마트 화분을 포함하는 화분 생장 시스템
KR102117002B1 (ko) 2018-08-27 2020-05-29 윤중환 스마트 화분, 스마트 화분을 포함하는 화분 생장 시스템
KR20200064782A (ko) * 2018-11-29 2020-06-08 노태범 곤충 사육 장치
KR102218231B1 (ko) * 2018-11-29 2021-02-19 노태범 곤충 사육 장치
CN113287140A (zh) * 2018-12-26 2021-08-20 福迪沃姆株式会社 昆虫养殖控制装置及方法
WO2020158975A1 (ko) * 2019-01-30 2020-08-06 이봉학 곤충 사육을 위한 스마트팜 시스템 및 운용방법
KR20200100467A (ko) * 2019-02-18 2020-08-26 원광희 식용곤충 사육 장치
KR102215022B1 (ko) * 2019-02-18 2021-02-09 원광희 식용곤충 사육 장치
KR20200144740A (ko) * 2019-06-19 2020-12-30 농업회사법인 와우에스에프(주) 북방산개구리 사육장치 및 사육시스템
KR102517634B1 (ko) * 2019-06-19 2023-04-04 농업회사법인 와우에스에프(주) 북방산개구리 사육장치 및 사육시스템
KR102320796B1 (ko) * 2019-06-19 2021-11-02 농업회사법인 와우에스에프(주) 북방산개구리 사육장치 및 사육시스템
KR20210151719A (ko) * 2019-06-19 2021-12-14 농업회사법인 와우에스에프(주) 북방산개구리 사육장치 및 사육시스템
KR20210052117A (ko) * 2019-10-30 2021-05-10 강원도 데이터 기반의 곤충사육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250390B1 (ko) * 2019-10-30 2021-05-12 강원도 데이터 기반의 곤충사육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1132749A1 (ko) * 2019-12-23 2021-07-01 주식회사 숲속의작은친구들 곤충 사육정보 제공방법
KR102228478B1 (ko) 2020-06-02 2021-03-16 주식회사 엘시스 OneM2M 플랫폼 기반 국제표준 축사 환경 데이터 수집 시스템 및 수집 방법
KR102209388B1 (ko) * 2020-06-10 2021-01-2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상킨섹트 애꽃노린재류 무식물 증식 시스템
KR102489244B1 (ko) 2020-11-17 2023-01-17 이선호 큐비클형 인공지능 곤충 사육장치
KR20220067394A (ko) * 2020-11-17 2022-05-24 이재복 큐비클형 인공지능 곤충 사육장치
KR20220082187A (ko) 2020-12-10 2022-06-17 조홍석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 파충류 사육장
KR20220087246A (ko) * 2020-12-17 2022-06-24 전영선 굼벵이 사육 스마트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굼벵이 사육 방법
KR102661783B1 (ko) * 2020-12-17 2024-04-26 전영선 굼벵이 사육 스마트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굼벵이 사육 방법
KR20220127104A (ko) * 2021-03-10 2022-09-1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뽕을품은누에 유휴하우스를 이용한 스마트 커넥티드 잠실 시스템
KR102625182B1 (ko) * 2021-03-10 2024-01-3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뽕을품은누에 유휴하우스를 이용한 스마트 커넥티드 잠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6864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생육 관리 시스템
KR101856845B1 (ko) 곤충 사육장치와 그 사육장치의 사육관리시스템 및 그 사육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US20180146626A1 (en) Intelligent growing management method and intelligent growing device
US11771074B2 (en) Sensor based observation of anthropods
TWI375931B (en) Distant ecosystem monitoring system back-end control server device
KR101516732B1 (ko) 식물공장의 자동화를 위한 맞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72641A (ko) 사물인터넷 기반 식물 재배 데이터 수집 및 관리 시스템
EP2149301A1 (en) Automated determining of the presence of insects on a catch plate
CN106871971A (zh) 一种植物生长管理系统
JP5677655B2 (ja) 育成支援システム
US20210375390A1 (en) Real-time projections and estimated distributions of agricultural pests, diseases, and biocontrol agents
CN108717290A (zh) 一种精细化养殖管理应用系统
KR20180040862A (ko) 클라우드 팜 통합관제시스템
CN106200471A (zh) 智能农业种养殖控制系统
Ahmadi et al. A survey of smart control system for poultry farm techniques
Dongre et al. Weather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polyhouses using IoT
KR102434957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실내 수경 시스템
KR102312301B1 (ko) 농업용 농경지 정보를 연계한 영농 관리시스템
Muneeswaran et al. Instinctual Synced Ventilation for Mushroom Growing using IoT
Mohabuth et al. An IoT-Based Model for Monitoring Plant Growth in Greenhouses
KR102132324B1 (ko) 농장 운영정보 제공 시스템
KR20210060423A (ko) 스마트 팜 관리를 위한 서버 플랫폼
KR101725036B1 (ko) 표층 하부 환경을 고려한 비닐 하우스 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농작물 및 가축 생육 시스템
Bhavani et al. An Analytical Review on Traditional Farming and Smart Farming: Various Technologies around Smart Farming
KR20200080456A (ko)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팜 영농 일지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