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0862A - 클라우드 팜 통합관제시스템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팜 통합관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0862A
KR20180040862A KR1020160132697A KR20160132697A KR20180040862A KR 20180040862 A KR20180040862 A KR 20180040862A KR 1020160132697 A KR1020160132697 A KR 1020160132697A KR 20160132697 A KR20160132697 A KR 20160132697A KR 20180040862 A KR20180040862 A KR 20180040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rm
information
consulting
farmer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2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기
박성태
정금향
정평화
Original Assignee
(주)농정사이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농정사이버 filed Critical (주)농정사이버
Priority to KR1020160132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0862A/ko
Publication of KR20180040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08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7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livestock or poul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장관리시설이 설치된 농장의 농장주가 요청하는 컨설팅에 대하여 전문가를 소개하거나, 전문가가 제안하는 컨설팅서비스를 해당 농장주에 제공하여 농장주가 상기 컨설팅서비스에 따라 자신의 농장을 직접 관리하게 하거나 농장주의 요청에 따라 대상 농장을 상기 컨설팅서비스에 따라 실시간으로 대리관리 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팜 통합관제시스템을 제안한다.

Description

클라우드 팜 통합관제시스템{Cloud farm integrate manage and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클라우드 팜 통합관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농장관리시설이 설치된 농장의 농장주가 요청하는 컨설팅에 대하여 전문가를 소개하거나, 전문가가 제안하는 컨설팅서비스를 해당 농장주에 제공하여 농장주가 상기 컨설팅서비스에 따라 자신의 농장을 직접 관리하게 하거나 농장주의 요청에 따라 대상 농장을 상기 컨설팅서비스에 따라 실시간으로 대리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팜 통합관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 IoT)은 센서가 부착된 사물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술이나 환경을 일컫는다. 지금도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은 주변에서 적잖게 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스마트 팜(Smart farm)은 농업기술에 사물인터넷이 융합되어 농작물의 재배 환경 또는 가축의 사육 환경을 원격관리할 수 있는 자동화되고 지능화된 농장을 말한다. 이러한 스마트 팜은 농장의 온도, 습도, 일조량, 이산화탄소량 및 토양 등의 환경요인을 측정 및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제어 장치를 구동하여 환경을 조작함으로써 농작물의 재배 또는 가축의 사육을 돕는다.
최근 농림축산식품부의 장려 정책으로 스마트 팜의 보급이 점진적으로 늘고 있지만, 스마트 팜의 사용자, 특히 귀농인의 입장에서는, 농작물의 재배 및 가축의 사육이 스마트 팜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농작물 및 가축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농작물의 재배 중에 또는 가축의 사육 중에 특이상황(문제)이 발생하였을 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이러한 귀농인을 위한 제도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문제가 발행한 영농인 스스로 알아서 전문가에게 조언을 구하여야 한다.
귀농인뿐만 아니라 기존의 농민들도 스마트 팜의 자동화에 대한 갈증이 남아있다. 기존의 스마트 팜은 원격으로 제어되기는 하지만, 이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어되고, 더불어 스마트 팜을 주기적으로 감시해야 하기 때문이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38168호(공개일 2016년04월07일)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80889호(공개일 2016년07월08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463110호(공고일 2004년12월24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941000호(공고일 2010년02월11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농장관리시설이 설치된 농장의 농장주가 요청하는 컨설팅에 대하여 전문가를 소개하거나, 전문가가 제안하는 컨설팅서비스를 해당 농장주에 제공하여 농장주가 상기 컨설팅서비스에 따라 자신의 농장을 직접 관리하게 하거나 농장주의 요청에 따라 대상 농장을 상기 컨설팅서비스에 따라 실시간으로 대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팜 통합관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팜 통합관제시스템은 농장관리시설이 설치된 농장의 소유자(이하 농장주)로부터 상기 농장의 고유정보 및 상기 농장의 환경정보와 함께 컨설팅 요청을 접수하고, 컨설팅을 요청한 농장주와 전문가 그룹(이하 전문가)을 직접 연결하거나, 전문가가 상기 고유정보 및 상기 환경정보를 참고하여 상기 컨설팅 요청의 내용을 충족하는 컨설팅서비스를 생성하도록 하며, 상기 컨설팅서비스를 컨설팅을 요청한 농장주에게 전달하거나 컨설팅을 요구한 상기 농장주의 요청에 따라 해당 농장을 상기 컨설팅서비스에 따라 직접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농장의 고유정보는, 농장의 위치정보, 농장에서 재배하는 농작물의 정보 및 농장에서 사육하는 가축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농장의 환경정보는, 상기 농장 내부 및 외부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량 및 토양의 pH, 농장의 일조량, 그리고 재배농작물과 사육가축의 발육 및 질병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컨설팅 요구는, 상기 농장에서 발생한 특이상황과 관련된 자문요청, 상기 농장의 관리와 관련된 자문요청, 향후 상기 농장에서 재배할 작물이나 상기 농장에서 사육할 가축과 관련된 자문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농장을 실시간으로 직접관리 할 때, 해당 농장의 농장관리 자동화장치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 상기 환경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라우드 팜 통합관제시스템은, 농장관리시설이 설치된 농장의 농장주가 요청하는 컨설팅에 대하여 전문가를 소개하거나, 전문자가 제안하는 컨설팅서비스를 해당 농장주에 제공하여 농장주가 상기 컨설팅서비스에 따라 자신의 농장을 직접 관리하게 하거나 농장주의 요청에 따라 대상 농장을 상기 컨설팅서비스에 따라 실시간으로 대리관리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팜 통합관제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농장에 설치된 농장관리시설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클라우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팜 통합관제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팜 통합관제시스템(100)은 복수의 농장(110), 클라우드 서버(120), 복수의 농장주(130) 및 복수의 전문가로 이루어진 전문가집단(140)으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농장에 설치된 농장관리시설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농장(110) 각각에 설치된 농장관리시설은 정보수집장치(111), 농장관리 자동화장치(112), 로컬서버(113) 및 저장부(114)를 포함한다.
정보수집장치(111)는 농장(100)의 고유정보 및 농장(110)의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복수의 센서(미도시) 및 입력수단(미도시)를 구비한다.
여기서 농장의 고유정보는 농장의 위치정보, 농장에서 재배하는 농작물의 정보 및 농장에서 사육하는 가축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농장의 위치정보에는 강원도나 충청도와 같은 지리적인 위치 정보 이외에도 농장이 위치하는 지역의 해발고도, 연 강수량, 연간 기온의 변화, 년 적설량 및 년 일조량 등이 포함될 것이다.
농장의 환경정보는, 상기 농장 내부와 외부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량 그리고 토양의 pH, pHEC 및 습도, 일조량, 재배농작물과 사육가축의 발육 및 질병에 관한 정보 및 농장 전반에 대한 영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농장 전방에 대한 영상정보에는, 농장 내부의 영상, 농장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영상, 농장에서 사육되는 가축의 영상 등을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일반 카메라가 아닌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농장의 고유정보 및 환경정보가 있어야, 해당 농장에서 재배 또는 사육되는 농작물 및 가축을 선택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이들을 관리하는데 최적인 관리프로그램을 전문가집단(이하 전문가)으로부터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농장의 고유정보 및 환경정보는 복수의 센서(미도시) 및 입력수단(미도시)을 통해서 수집될 것인데, 예를 들면 재배 농작물이나 사육 가축의 종류는 농장주(130)가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입수하면 되고, 온도나 습도 등은 온도센서나 습도센서를 통해서 입수할 수 있다.
농장관리 자동화장치(112)는 농장(100)의 내외부에 설치되어 농장(100)의 환경을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보일러, 냉방기, 환풍기, 이산화탄소 발생기, 관수장치, 양액기, 천창 및 측창 개폐기 등의 장치 등이 복수의 관리시설(112)에 포함될 것이다. 농장관리 자동화장치(112)에 포함되는 장비들은 이외에도 상당히 많기도 하지만, 본 발명의 핵심 아이디어는 아니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로컬서버(113)는 자체 프로그램에 따라 또는 후술하는 클라우드 서버(120)의 통제에 따라 환경정보 수집장치(111) 및 복수의 관리시설(112)의 동작을 제어하며, 고유정보 및 환경정보를 외부 즉 클라우드 서버(120)나 농장주(130)에게 전송한다. 여기서 자체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농장주(130)가 직접 입력한 대로 작동한다는 것이고, 클라우드 서버(120)의 통제에 따른다는 것은 클라우드 서버(120)가 자체 프로그램을 무시하고 로컬서버(113)의 동작을 강제로 제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저장부(114)는 고유정보 및 환경정보를 저장하고, 복수의 센서(미도시)나 농장주(130)로부터 농장(온실)의 크기, 농작물의 명칭이나 가축의 명칭 등을 제공받아 저장한다.
도 3은 클라우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클라우드 서버(120)는 통신부(121), 저장부(122) 및 프로세서(123)를 포함한다.
통신부(121)는 농장주(130), 전문가(140) 및 농장(110)의 로컬서버(113)와 정보를 송수신한다. 저장부(122)는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프로세서(123)는 통신부(121) 및 저장부(122)의 동작을 제어하여, 농장주(130)로부터 컨설팅 요청과 함께 고유정보 및 환경정보를 수신하고, 고유정보 및 환경정보를 전문가(140)에게 전달하며, 전문가로부터 컨설팅서비스를 수신하여 농장주(130)에게 전달하거나 컨설팅서비스에 따라 해당 농장(110)을 실시간으로 관리한다.
농장주(130)는 농장의 소유자로 농장(110)에 설치된 로컬서버(113)를 통해 농장의 관리를 자동으로 수행하며,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120)나 전문가(140)와 정보나 자료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전문가집단(140)은 농축산전문가는 물론이고 기상전문가나 시장전문가 등을 포함한다. 특히, 시장전문가는 농축산물의 국내 시장은 물론 세계 시장의 동향에 대해서도 전문가이어야 할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유통전문가도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전문가(실제로는 전문가집단)는 한 분야에 한 사람만 선정하는 것이 아니고 하나의 분야에 복수의 전문가가 뒷받침하도록 한다. 기상청과도 연결하여 해당 농장의 하루 동안의 기온변화는 물론 주간, 월간, 계절별 및 연간 기후의 변화를 반영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농진청과도 연결되어 정보의 농업정책의 변화 등을 농장의 관리에 반영하도록 한다.
상기의 설명에 기재된 농장이라는 용어는 식물은 물론 가축을 사육하는 농장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온실 농장일 수도 있지만 노천 농장도 가능하다. 재배하는 식물의 종류, 가축의 종류는 물론 농장이 온실인지 아니면 노천에 있는지에 대한 정보도 농장의 고유정보에 포함되어 있어야, 전문가가 농장의 특수성을 반영한 컨설팅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농장의 소유자(이하 농장주)는 원래부터 농업 또는 축산업에 종사하던 사람일 수도 있지만, 귀농자와 같이 최근에는 농사가 본업이 아니었던 사람이 돌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팜은 농장주의 경험과 관계없이 일정한 정도의 관리는 가능할 것이다.
농장의 관리도중 발생하는 특이상황은 귀농자에게는 물론 원래부터 농업 또는 축산업에 종사하던 사람일 경우라도 다루기 어려운 경우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특이사항 중에는 자신의 경험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것이 존재하는데 이때에는 전문가집단(이하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할 것이다. 이 경우 어떤 전문가와 접촉하여 어떤 컨설팅을 받을 수 있을 것인가를 쉽게 예상할 수 없는 농장주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통합관제시스템(100)은 농장주의 곤란한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최적의 전문가를 소개하거나, 전문가로부터 얻은 컨설팅서비스를 전달하여 농장주가 컨설팅서비스의 내용에 따라 농장을 직접 관리하게 하거나, 농장주가 요청하는 경우 컨설팅서비스의 내용에 따라 농장을 실시간으로 대리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농장주(130)의 입장에서는 별다른 노력이나 수고 없이 전문가(140)와 직접 대면 또는 통화를 통해 현재 농장에서 발생한 특이상황에 대해서 조언을 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조언 중에는 해당 농장에 적합한 관리 방법에 관한 기록인 컨설팅서비스를 포함한다. 농장주는 컨설팅서비스의 내용에 따라 자신이 소유하는 농장을 직접 관리할 수도 있지만, 클라우드 서버(120)에 요청하여 실시간으로 대리관리해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대리관리를 요청한 경우 해당 농장의 농장관리 자동화장치(112)는 클라우드 서버(120)와 환경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여야 할 것이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클라우드 서버(120)는 농장(110)의 제어반, 제어기, 각종 센서 등의 구동 및 연동 시간과 정상 작동이나 고장 유무 등과 같은 장치의 상태정보도 수집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오래된 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고장을 미리 예상하고, 필요한 경우 농장주에게 장치의 교체 또는 수리 등을 알릴 수 있도록 한다.
농장주(130)는 클라우드 서버(120)에 다양한 컨설팅을 요구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농장의 고유정보와 환경정보를 클라우드 서버(120)에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농장주(130)가 농장을 관리하다가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클라우드 서버(120)에 컨설팅을 요청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지만, 농장주(130)가 직접 농장을 관리할 상황이 아닌 경우에도 클라우드 서버(120)에 대리관리를 요청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농장주가 병으로 장기간 병원에 입원하는 경우, 장기간 여행을 하는 경우, 귀농인과 같이 자신이 농장을 관리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 등이다.
클라우드 서버(120)는 복수의 농장(110)으로부터 컨설팅 요청을 받을 수 있으며, 복수의 농장(110)을 대리관리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복수의 농장을 일정한 기준으로 구분하여 서브관리그룹으로 그룹핑하고, 서브관리그룹에 대한 정보를 동일 서브관리그룹에 속한 농장의 관리 및 컨설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복수의 농장의 구분은, 예를 들면, 동일 지역에 위치하는 농장, 동일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장, 동일 가축을 사육하는 농장, 동일한 기후대에 있는 농장, 동일 해발고도에 위치하는 농장, 동일 종자를 재배하는 농장 및 동일 사료를 사용하는 농장 등 다양한 구분 기준이 있을 것이다. 이들을 구분할 때 하나의 농장이 다양한 서브관리그룹에 속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서브관리그룹에 대한 정보 중에는, 병충해의 발생, 전염병의 발생, 농작물이나 가축의 시장상황, 생육의 차이 및 발육의 차이 등이 있다. 만일, 하나의 서브관리그룹에 속한 여러 농장에서 다양한 결과를 얻었을 때 이를 반영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하나의 서브관리그룹에 속한 복수의 농장 중 적어도 하나의 농장에서 병충해가 발생하거나 전염병이 발생할 경우, 이를 빨리 확인하여 병충해나 전염병이 주위로 번지지 않도록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방역 당국에서 이러한 상황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조치를 취하도록 기다리는 동안 병충해나 전염병이 주위로 번질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에서의 자료수집기간 및 분석기간에 비해 방역당국의 자료수집기간 및 분석기단은 상당한 길 것이 분명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통합관제시스템(100)에 의해 관리되는 농장(110)의 피해는 그만큼 더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을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러한 정보를 방역당국에 전달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통합관제시스템(100)을 사용하지 않는 농장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동일 종자 및 동일 사료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빠르게 확인하고 이를 조속히 수습할 수 있는 등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통합관제시스템(100)은 종래의 원격관리만을 수행하던 시스템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농장주(130)가 원한다면, 농장의 경영일지, 농장의 운영과 관련된 회계자료 등을 대리로 관리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자료를 농장주 자신은 물론이고 농장주의 승낙을 조건으로 타 농장주나 전문가가 열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보를 공유하도록 하는 실시 예도 가능하다.
농장주의 컨설팅 요청에 따라 생성된 해당 농장의 관리에 최적인 관리방법으로 제안되는 컨설팅서비스는 최초의 작성 전문가는 물론 해당 컨설팅서비스를 생성하는데 참여하지 않는 타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정기적으로 업 데이트(up date)하여 혹시나 있을 수 있는 오류의 수정이나 시대의 흐름에 유연하게 대처하도록 관리 방법을 보완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통합관제시스템(100)이 농장을 대리관리할 때, 관리상황은 농장주(130)가 로컬서버(113)를 통해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통합관제시스템(100)이 농장주(130)가 소유하는 단말기에 문자를 보내어 궁금한 것을 없애는 것도 가능하다.
농장주(130)에 클라우드 서버(120)에 컨설팅을 요청할 때, 클라우드 서버(120)를 운영하는 주체에 전화를 걸어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통합관제시스템(100)의 서비스를 향유하는데 필요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탑재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정보수집장치(111)에는 일반 카메라나 적외선 카메라 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카메라로부터 생성되는 영상정보를 환경정보에 포함시키는 실시 예도 가능할 것이다. 영상정보는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인데, 특히,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식물 발육의 이상 여부는 물론 밤중에 가축의 이상 행동 등을 조기에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농장주의 컨설팅 호출 횟수를 저장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통합관제시스템을 자주 이용하는 농장주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이나, 농장주의 컨설팅 요구에 응답하여 전문가가 생성한 컨설팅서비스에 포함되는 생장모델을 분석하여 해당 식물 또는 가축의 표준 생장모델을 통계적으로 생성하고 저장하며, 이를 허락된 사람이 요구할 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 예도 가능할 것이다.
특히, 농장의 관리에 사용된 환경조건이나 컨설팅서비스는 클라우드 서버(120)의 저장부(122)에 저장되는 것은 물론이고 농장(110)의 저장부(또는 저장장치, 114)에 이중으로 저장하도록 하여 하나의 저장부에서 정보를 잃어버리더라도 쉽게 백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팜 통합관제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나타내었지만, 이는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은 명백한 사실이다.
110: 농장
111: 정보수집장치 112: 농장관리 자동화장치
113: 로컬서버 114: 저장부
120: 클라우드 서버
121: 통신부 122: 저장부
123: 프로세서
130: 농장주
140: 전문가(전문가집단)

Claims (5)

  1. 농장관리시설이 설치된 농장의 소유자(이하 농장주)로부터 상기 농장의 고유정보 및 상기 농장의 환경정보와 함께 컨설팅 요청을 접수하고, 컨설팅을 요청한 농장주와 전문가그룹(이하 전문가)을 직접 연결하거나, 전문가가 상기 고유정보 및 상기 환경정보를 참고하여 상기 컨설팅 요청의 내용을 충족하는 컨설팅서비스를 생성하도록 하며, 상기 컨설팅서비스를 컨설팅을 요청한 농장주에게 전달하거나 컨설팅을 요구한 상기 농장주의 요청에 따라 해당 농장을 상기 컨설팅서비스에 따라 직접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농장의 고유정보는, 농장의 위치정보, 농장에서 재배하는 농작물의 정보 및 농장에서 사육하는 가축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농장의 환경정보는, 상기 농장 내부와 외부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량 그리고 토양의 pH, pHEC 및 습도, 일조량, 재배농작물과 사육가축의 발육 및 질병에 관한 정보 및 농장 전반에 대한 영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컨설팅 요구는, 상기 농장에서 발생한 특이상황과 관련된 자문요청, 상기 농장의 관리와 관련된 자문요청, 향후 상기 농장에서 재배할 작물이나 상기 농장에서 사육할 가축과 관련된 자문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농장을 실시간으로 직접관리 할 때, 해당 농장의 농장관리 자동화장치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 상기 환경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며,
    임의의 농장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임의의 농장의 농장관리시설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공통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팜 통합관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장관리시설은,
    상기 고유정보 및 상기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복수의 센서를 구비하는 정보수집장치;
    상기 농장의 내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농장의 환경을 조절하는 농장관리 자동화장치; 및
    자체 프로그램에 따라 또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통제에 따라 상기 정보수집장치 및 상기 농장관리 자동화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고유정보 및 상기 환경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로컬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농장주, 상기 전문가 및 상기 로컬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저장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농장주로부터 상기 컨설팅 요청과 함께 상기 고유정보 및 상기 환경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고유정보 및 상기 환경정보를 상기 전문가에게 전달하며, 상기 전문가로부터 상기 컨설팅서비스를 수신하여 농장주에게 전달하거나 상기 컨설팅서비스에 따라 해당 농장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팜 통합관제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설팅서비스는,
    상기 컨설팅서비스를 생성한 전문가 또는 상기 컨설팅서비스를 생성하지는 않았지만 동일 분야의 전문가가 일정한 주기로 업 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팜 통합관제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지역적으로 구분하거나 재배 및 사육하는 대상물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구분한 서브관리그룹에 대한 그룹정보를 상기 전문가에게 추가 제공하여 상기 컨설팅서비스에 참조하도록 하고, 농장에서 발생한 특이상황 중 동일 서브관리 그룹에 속한 타 농장에 필요한 정보는 해당 농장주에 통보하거나 해당 농장의 직접관리 시 실시간으로 활용하도록 하거나,
    상기 컨설팅서비스에 포함된 생장모델을 분석하여 해당 식물 또는 해당 가축의 표준 생장모델을 통계적으로 생성하고 저장하며, 이를 허락된 사람이 요구할 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그룹정보는, 병해충의 발생, 전염병의 발생, 농작물 및 가축의 시장 상황, 생육의 차이 및 발육의 차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팜 통합관제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농장의 경영일지, 상기 농장의 운영과 관련된 회계자료 및 상기 농장관리 자동화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농장주 또는 전문가가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팜 통합관제시스템.
KR1020160132697A 2016-10-13 2016-10-13 클라우드 팜 통합관제시스템 KR201800408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697A KR20180040862A (ko) 2016-10-13 2016-10-13 클라우드 팜 통합관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697A KR20180040862A (ko) 2016-10-13 2016-10-13 클라우드 팜 통합관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862A true KR20180040862A (ko) 2018-04-23

Family

ID=62089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2697A KR20180040862A (ko) 2016-10-13 2016-10-13 클라우드 팜 통합관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0862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2120A (zh) * 2019-01-22 2019-06-11 政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企业上云管理系统及其方法
WO2020116775A1 (ko) * 2018-12-03 2020-06-11 주식회사 한밭아이오티 빅데이터를 이용한 농장 생산성 및 질병 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생산성 및 질병 분석 방법
KR20200072132A (ko) * 2018-12-12 2020-06-2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 방역 모의훈련 시스템
KR20200129309A (ko) * 2019-05-08 2020-11-18 주식회사 공간정보 농업용 농경지 정보를 연계한 영농 관리시스템
WO2021085806A1 (ko) * 2019-10-31 2021-05-06 (주)씽크포비엘 가축사양표준에 기초한 가축사양관리 가이드 제공 방법
KR102486504B1 (ko) * 2021-07-29 2023-01-09 코리아디지탈 주식회사 커뮤니티를 이용한 재배 데이터 관리 플랫폼 및 관리 방법
CN116976671A (zh) * 2023-08-01 2023-10-31 哈尔滨市大地勘察测绘有限公司 一种无人农场综合信息化管理方法及系统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6775A1 (ko) * 2018-12-03 2020-06-11 주식회사 한밭아이오티 빅데이터를 이용한 농장 생산성 및 질병 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생산성 및 질병 분석 방법
KR20200072132A (ko) * 2018-12-12 2020-06-2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 방역 모의훈련 시스템
CN109872120A (zh) * 2019-01-22 2019-06-11 政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企业上云管理系统及其方法
KR20200129309A (ko) * 2019-05-08 2020-11-18 주식회사 공간정보 농업용 농경지 정보를 연계한 영농 관리시스템
WO2021085806A1 (ko) * 2019-10-31 2021-05-06 (주)씽크포비엘 가축사양표준에 기초한 가축사양관리 가이드 제공 방법
KR20210051860A (ko) * 2019-10-31 2021-05-10 (주)씽크포비엘 가축사양표준에 기초한 가축사양관리 가이드 제공 방법
KR102486504B1 (ko) * 2021-07-29 2023-01-09 코리아디지탈 주식회사 커뮤니티를 이용한 재배 데이터 관리 플랫폼 및 관리 방법
WO2023008948A1 (ko) * 2021-07-29 2023-02-02 코리아디지탈 주식회사 동적 출력 함수를 이용한 재배 데이터 관리 플랫폼 및 관리 방법
CN116976671A (zh) * 2023-08-01 2023-10-31 哈尔滨市大地勘察测绘有限公司 一种无人农场综合信息化管理方法及系统
CN116976671B (zh) * 2023-08-01 2024-04-16 哈尔滨市大地勘察测绘有限公司 一种无人农场综合信息化管理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0862A (ko) 클라우드 팜 통합관제시스템
KR101682066B1 (ko) IoT 기술을 활용한 하우스 운영 관리 시스템
US8504234B2 (en) Robotic pesticide application
US8417534B2 (en) Automated location-based information recall
KR20190046841A (ko)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시스템
WO2018184014A1 (en) Communication and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beehives
US1130167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beehive strength
US11631475B2 (en) Real-time projections and estimated distributions of agricultural pests, diseases, and biocontrol agents
KR20120076691A (ko) 농산물 생육시스템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Kirkpatrick Technologizing agriculture
KR20110052925A (ko) 병해충 예찰 시스템
KR102331141B1 (ko) 개량형 스마트팜 관리시스템
JP2002176855A (ja) 遠隔地農業支援システム
KR20130126205A (ko)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환경에서의 식물 재배 관리시스템
KR102312301B1 (ko) 농업용 농경지 정보를 연계한 영농 관리시스템
KR20160044817A (ko) 시설재배사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131574A (ko) 스마트팜 디지털 트윈 빅데이터 플랫폼 시스템
Kuppusamy et al. Emerging technological model to sustainable agriculture
JP6615620B2 (ja) 支援装置及び作業支援システム
JP2005013056A (ja) 植物育成システムと植物情報サービス
EP4187344A1 (en) Work machine distance prediction and action control
JP2004298069A (ja) 植物育成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植物育成情報サービス
JP2003189742A (ja) 栽培収穫情報提供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栽培収穫方法
Sahni et al. Smart Indian Agriculture Farm Using An IoT Dashboard
KR20160013375A (ko) 원격접속 영농일지와 연계한 경작지 실시간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