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3919A -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 - Google Patents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3919A
KR20220053919A KR1020200138268A KR20200138268A KR20220053919A KR 20220053919 A KR20220053919 A KR 20220053919A KR 1020200138268 A KR1020200138268 A KR 1020200138268A KR 20200138268 A KR20200138268 A KR 20200138268A KR 20220053919 A KR20220053919 A KR 20220053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re
living
home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2945B1 (ko
Inventor
황찬승
박지환
이상훈
김효기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38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945B1/ko
Publication of KR20220053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02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system, structure, architecture
    • B25J9/161Hardware, e.g. neural networks, fuzzy logic, interfaces, proces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safety, monitoring, diagno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9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use of sensors other than normal servo-feedback from position, speed or acceleration sensors, perception control, multi-sensor controlled systems, sensor fu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은 외형을 이루는 바디; 상기 바디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부; 주변 환경을 관찰하여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변화를 감지하는 리빙케어부; 상기 리빙케어부와 기설정된 사용자단말과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리빙케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빙케어부는 반려동물을 관찰, 분석하여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행동 변화를 감지하는 펫케어모듈; 및 실내 환경을 관찰하여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변화를 감지하는 홈케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 {A SMART LIVING CARE ROBOT}
본 발명은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거 환경에 영향을 주는 환경 요인 및 반려 동물의 행동 패턴을 감지하고 기설정된 기준값을 벗어난 이상 환경을 도출하여 적합한 조치를 수행할 뿐 아니라 사용자 단말에 도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이 고도로 발전함과 더불어 생활이 윤택해지면서 좀더 쾌적하고 편리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고자 하는데에 대한 노력이 커지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오늘날 각 가정 내에는 생활편의를 위한 각종 편의장치나 전자 제품, 기구나 설비, 물품 등이 다수 사용되고 있다.
특히, 전기/전자기술의 발전으로 조명장치 등과 같은 기본적인 전기제품 외에 예전에 없던 새로운 전자제품들, 예를 들면 컴퓨터나 노트북, IPTV, 각종 통신장치나 휴대용 단말기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음 물론, 인테리어 제품이나 건강/헬스/웰빙 관련 제품들, 그리고 정수기나 공기청정기, 이온수기 등과 같이 주기적인 부품 교체나 청소가 필요한 제품들도 가정 내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기본 생활제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뿐만 아니라, 각종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기 위한 시설이나 안전장치들도 각 가정 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음식물 처리기 등과 같이 최근 등장한 각종 편의장치들도 사용 가정이 늘면서 점차 보편화된 생활 제품이 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각 가정 내에 편의장치나 전자제품, 기구나 설비, 물품들이 다수 사용되고, 앞으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용되는 종류가 점차 늘어나게 된다면, 이들을 주부나 일반인들이 가정 내에서 각자 알아서 관리하고 유지 보수하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 된다.
특히, 시간에 쫓기는 바쁜 현대인들이 정기적으로 실내의 적정 환경을 체크하고 이를 조절하기는 더욱 번거롭고 어려운 일이며, 특히, 외출이 많아 외출시 발생할 수 있는 실내의 이상 상황이나 위급 상황에 대처하기는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한편, 1인 가구의 증가로 인해 강아지, 고양이 등 반려동물(또는, 애완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고, 이에 따라 혼자 남은 동물에 대한 케어 니즈가 증가 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러한 니즈에 따라 CCTV 등을 통해 반려동물을 관찰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기는 하나, 이러한 기술들은 반려동물의 상태 자체만을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을 뿐,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나 이상행동에 대한 판단이나 장기적인 행동 변화등을 종합하여 분석하는 기술들은 개발되고 있지 않다.
또한, 반려동물은 몸에 센서등의 도구를 착용하는 것을 꺼리는 특성이 있어 반려동물의 행동 변화를 분석하고 이상 행동 및 건강 이상등을 감지하기에는 많은 한계가 따르게 된다.
따라서, 현대 사회에서는 반려동물의 행동을 모니터링하여 행동 패턴을 분석하고 이상 행동을 도출할 수 있는 펫케어 기능뿐 아니라 실내 환경을 센싱하고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변화에 대응하여 적정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홈케어 기능을 구비한 리빙 케어 로봇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KR 10-0933912호 (등록일자 2009년 12월 17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변 환경을 관찰하여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이상 환경 상태임을 도출하는 리빙케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리빙케어부에 반려동물의 케어를 위한 펫케어모듈 및 실내 환경을 케어하는 홈케어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실내 환경을 실시간 관찰하고 분석하여 이상 상황이나 비상 상황임을 판단하여 적절한 대응을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외출 중에도 실내 환경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은 외형을 이루는 바디; 상기 바디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부; 주변 환경을 관찰하여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변화를 감지하는 리빙케어부; 상기 리빙케어부와 기설정된 사용자단말과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리빙케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빙케어부는 반려동물을 관찰, 분석하여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행동 변화를 감지하는 펫케어모듈; 및 실내 환경을 관찰하여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변화를 감지하는 홈케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펫케어모듈은 반려동물을 촬상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모니터링장치; 및 상기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행동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하여 상기 반려동물 정보를 생성하는 모니터링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반려 동물의 행동 패턴을 산출하는 패턴분석부; 및 상기 패턴분석부에서 산출한 자료에 기초하여 상기 반려 동물의 이상 행동을 감지하는 펫변화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홈케어모듈은 상기 실내 환경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측정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전송 받는 홈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홈서버는 상기 실내 환경 데이터와 기설정된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실내 환경의 이상 상태를 감지하는 리빙변화감지부; 및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거주지에 설치된 홈컨트롤러의 작동을 제어하는 홈컨트롤러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에 의하면, 거주자가 외출하여 부재 중인 실내 공간의 환경 상태를 실시간 관찰하고 관찰 정보와 기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이상 상황이나 비상 상황임을 도출하고, 도출된 정보에 기인하여 적절한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리빙 케어 로봇을 구비함으로써, 거주가가 부재 중에도 실내 환경의 적절한 케어가 가능하여 비상 상황의 빠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빙케어부에 반려동물의 케어를 위한 펫케어모듈을 포함하여, 모니터링 장치를 통해 획득한 영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반려동물의 상태, 행동 패턴, 활동량, 이상 행동 및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비함으로써, 외출이 많은 현대인들이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반려 동물의 케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빙케어부에 실내 환경을 케어하는 홈케어모듈을 포함하여, 실내의 온도, 습도, 가전제품의 작동상태, 세대 방문자의 확인 및 화재 감지가 가능하도록 하고, 감지된 이상 정보에 적절한 대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함으로써, 외출이 많은 현대인들이 부재 중에도 실내 환경의 케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과 기설정된 사용자 단말과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리빙케어부의 신호를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과 사용자 단말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의 리빙케어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의 센싱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과 사용자 단말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1)은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 동작제어부(200), 리빙케어부(300), 통신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100)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100)의 외장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100)는 외형을 이루며 내부에 공간을 갖는 하우징으로, 상기 공간 내부에 상기 동작제어부(200), 통신부(400), 제어부(500) 및 리빙케어부(300)를 수용하는 함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100)는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상기 바디의 이동을 구현하는 이동부재(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110)는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부착되는 바퀴(미도시) 및 상기 바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부재(110)는 상기 바디(100)의 저면에 돌출된 좌측 바퀴(미도시)와 우측 바퀴(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바퀴 및 상기 우측 바퀴와 함께 상기 바디(100)를 지탱하며 360도 회전이 가능한 볼(ball)(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디(100)는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상기 로봇(1)이 위치하고자 하는 곳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비교적 넓은 실내 공간 및 행동 반경이 넓은 반려 동물의 관찰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동작제어부(200)는 상기 바디(1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작제어부(200)는 상기 바디(100)의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부위(미도시)를 구동하는 엑추에이터(미도시)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500)에서 수신된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엑추에이터(미도시)를 제어하여 상기 동작부위(미도시)가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의 리빙케어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빙케어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환경을 관찰하여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상 환경 상태임을 도출해내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빙케어부(300)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1)의 주 기능인 실내 환경을 케어하기 위해 구비된 장치로써, 실내 환경을 좌우하는 주요 인자들을 실시간 센싱 또는 관찰하고 센싱되거나 관찰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실내 환경의 일정한 패턴 상태를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값과 다르거나 벗어난 환경 변화가 감지되면 감지된 정보에 적절한 대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빙케어부(300)는 실내 환경을 센싱 및 케어하는 토탈 리빙케어 기능과 함께 반려동물의 행동을 관찰하여 반려동물의 건강 및 이상상태를 감지하여 펫케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리빙케어부(300)는 펫케어모듈(310) 및 홈케어모듈(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펫케어모듈(310)은 반려동물을 관찰, 분석하여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펫케어모듈(310)은 반려동물의 행동을 관찰하여 반려동물의 일정한 행동 패턴을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 정보에 기인하여 상기 행동 패턴에서 벗어나거나 기준값을 벗어난 행동을 감지하여 반려 동물에게 필요한 적절한 대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펫케어모듈(310)은 모니터링장치(311) 및 모니터링서버(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장치(311)는 반려동물을 촬상하여 영상을 생성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니터링장치(311)는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반려동물에 대한 열화상을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통신부(400)와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10)로 상기 영상이 실시간 송출이 가능한 아이피(IP; internet protocol) 카메라, 네트워크 카메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은 특정 시점에 생성된 영상이거나, 특정 시간 동안 생성된 동영상 일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서버(312)는 상기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반려 동물의 행동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하여 상기 반려 동물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니터링서버(312)는 행동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반려 동물의 이상 상태 또는 이상 행동에 대한 추정 원인 및 그 해결 방안을 포함하는 처방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모니터링장치(311)로부터 반려동물의 열화상을 수신하고, 열화상을 분석하여 반려 동물의 체온 데이터를 생성하며, 체온데이터에 기초하여 반려 동물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적절한 대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모니터링서버(312)는 패턴분석부(312a) 및 펫변화감지부(31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분석부(312a)는 시간에 따른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반려 동물의 행동 패턴을 산출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턴분석부(312a)는 시간에 따른 변화에 기초하여 반려 동물의 대략적인 활동량을 산출하고, 반려 동물의 분포에 기초하여 반려 동물의 일정한 행동 패턴을 산출하는 것으로, 반려 동물의 선호 위치, 선호 행동 및 이동 패턴을 파악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패턴분석부(312a)는 예를 들면 반려 동물이 먹이를 먹고, 현관에서 기다리다, 낮잠을 자는 행동을 순차적으로 하는 일정 패턴을 파악하게 된다.
상기 펫변화감지부(312b)는 상기 패턴분석부(312a)에서 산출한 자료와 대비하여 상기 반려 동물의 이상 행동 및 행동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펫변화감지부(312b)는 상기 모니터링장치(311)에서 생성된 영상들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반려 동물의 이상 행동을 분석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반려 동물들이 빙글빙글 도는 행동, 몸을 긁는 행동, 몸을 핥는 행동 및 장시간 낮잠을 자는 행동등과 같은 이상 행동을 파악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펫변화감지부(312b)는 상기 반려 동물의 체온이 체온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상 체온이 감지되는 경우 예를 들면, 체온이 낮거나 또는 체온이 높은 경우에 이러한 이상 체온을 감지하여 사용자단말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반려 동물의 질병을 체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홈케어모듈(320)은 실내 환경을 관찰하여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홈케어모듈(320)은 실내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센싱하고 센싱된 정보와 기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제어가 필요한 이상 환경임을 도출하고 이에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홈케어모듈(320)은 실내 환경에 영항을 미치는 요인 예를들면, 실내 온도, 실내 습도, 미세먼지 농도, 가전제품 작동 상태, 전등의 소등 및 점등여부, 외부 방문자 또는 주거침입자의 출현, 택배 배송 및 화재 감지등을 실시간 감지하여 이상 상태 또는 비상 상태임을 도출하여 적절한 대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홈케어모듈(320)은 센싱부(321) 및 홈서버(3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의 센싱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센싱부(32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환경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싱부(321)는 온도센서(321a), 습도센서(321b), 미세먼지 측정센서(321c), 화재센서(321d), 광센서(321e) 및 모션감지센서(321f)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321a)는 실내 공기의 온도(temperature)를 측정하는 센서로써, 온도는 실내에 거주하는 거주자가 느끼는 쾌적함과 관련될 수 있다.
상기 습도 센서(321b)는 실내 공기의 습도(humidity)를 측정하는 센서로써, 습도는 실내에 거주하는 거주자가 느끼는 쾌적함과 관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습도는 실내 공기에 분포하는 수증기와 관련될 수 있다.
상기 미세먼지측정센서(321c)는 실내 환경의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써, 거주자의 건강을 해치는 기준치 이상의 농도가 측정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청정기를 작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화재 센서(321d)는 실내에서 화재(fire)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로써, 불꽃(flame)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화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재 센서(321d)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화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화재 센서(321d)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는 이산화탄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션감지센서(321f)는 거주가가 외출하여 부재 중인 거주지에 사람의 행동이 감지되는 경우 외부 방문자의 출현을 감지하고 방문자를 촬영한 영상이나 정보를 사용자단말로 전송하여 거주자가 방문자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모션감지센서(321f)는 거주자가 방문자를 확인하여 예정된 방문자인지 침입자 인지를 인식하여 적절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센서(321e)는 실내에 구비된 전등의 빛을 감지하여 전등의 점등 및 소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홈서버(322)는 상기 센싱부(321)에서 측정한 실내 환경 데이터를 전송받아 실내 환경을 컨트롤하는 홈컨트롤러(미도시)를 작동시키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홈서버(322)는 상기 센싱부(321)에서 센싱한 실내의 온도, 습도, 미세먼지농도, 화재여부, 실내등의 점등여부, 외부 방문자 또는 침입자의 모션 감지 정보등을 전송받아 적절한 조치가 필요한 이상 상태 또는 이상 현상임을 도출하고 이에 적합한 대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홈서버(322)는 이상 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 상태시 적절한 대응을 수행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홈서버(322)는 리빙변화감지부(322a) 및 홈컨트롤러작동부(32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빙변화감지부(322a)는 상기 실내 환경 데이터와 기설정된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실내 환경의 이상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빙변화감지부(322a)는 상기 센싱부(321)에서 측정된 정보와 적정 상태를 나타내는 기설정된 기준값을 비교 분석하여 센싱부(321)에서 측정된 실시간 정보가 기준값을 벗어나 제어가 필요한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분석하는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빙변화감지부(322a)는 도출된 이상 상태 정보를 상기 홈컨트롤러작동부(322b)로 전송하여 상기 홈컨트롤로작동부(322b)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벗어난 환경을 적절한 환경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리빙변화감지부(322a)는 도출된 이상 상태 정보를 사용자단말(1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확인하고 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홈컨트롤러작동부(322b)는 상기 이상 상태 데이터에 기인하여 실내 환경을 컨트롤 하도록 거주지에 설치된 홈컨트롤러(미도시)를 작동시키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홈컨트롤러작동부(322b)는 거주지에 구비되어 실내환경을 제어하는 홈컨트롤러(미도시)를 상기 로봇(1)이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실내 온도, 습도, 미세먼지 농도를 조절하고 실내등을 점등 또는 소등하며. 화재 경보 또는 침입자 경보가 작동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컨트롤러작동부(322b)는 거주자가 수동 제어하여 실내 환경을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홈컨트롤러(미도시)를 상기 로봇(1)이 상기 리빙변화감지부(322a)의 정보를 전달받아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통신부(400)는 상기 리빙케어부(300)와 기설정된 사용자 단말(10)과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부(400)는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10)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400)는 상기 사용자단말(10)과 무선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WiFi, Direct WiFi, APIX, LTE 또는 NFC등 다양한 데이터 통신 방식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리빙케이부(300) 및 상기 동작제어부(200)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1)의 모든 구성의 신호를 송수신하고 이에 적합한 작동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에 의하면, 거주자가 외출하여 부재 중인 실내 공간의 환경 상태를 실시간 관찰하고 관찰 정보와 기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이상 상황이나 비상 상황임을 도출하고, 도출된 정보에 기인하여 적절한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리빙 케어 로봇을 구비함으로써, 거주가가 부재 중에도 실내 환경의 적절한 케어가 가능하여 비상 상황의 빠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리빙케어부에 반려동물의 케어를 위한 펫케어모듈을 구비하여, 모니터링 장치를 통해 획득한 영상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반려동물의 상태, 행동 패턴, 활동량, 이상 행동 및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비함으로써, 외출이 많은 현대인들이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반려동물의 케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리빙케어부에 실내 환경을 케어하는 홈케어모듈을 구비하여, 실내의 온도, 습도, 가전제품의 작동상태, 세대 방문자의 확인 및 화재감지가 가능하도록 구비하고, 감지된 이상 정보에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외출이 많은 현대인들이 부재 중에도 실내 환경의 케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과 기설정된 사용자 단말과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리빙케어부의 신호를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증대되도록 한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 10 : 사용자 단말
100 : 바디 110 : 이동부재
200 : 동작제어부 300 : 리빙케어부
310 : 펫케어모듈 311 : 모니터링장치
312 : 모니터링서버 312a : 패턴분석부
312b : 펫변화감지부 320 : 홈케어모듈
321 : 센싱부 321a : 온도센서
321b : 습도센서 321c : 미세먼지측정센서
321d : 화재센서 321e : 광센서
321f : 모션감지센서

Claims (3)

  1. 외형을 이루는 바디;
    상기 바디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부;
    주변 환경을 관찰하여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변화를 감지하는 리빙케어부;
    상기 리빙케어부와 기설정된 사용자단말과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리빙케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빙케어부는,
    반려동물을 관찰, 분석하여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행동 변화를 감지하는 펫케어모듈; 및
    실내 환경을 관찰하여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변화를 감지하는 홈케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펫케어모듈은,
    반려동물을 촬상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모니터링장치; 및
    상기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행동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하여 상기 반려동물 정보를 생성하는 모니터링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반려 동물의 행동 패턴을 산출하는 패턴분석부; 및
    상기 패턴분석부에서 산출한 자료에 기초하여 상기 반려 동물의 이상 행동을 감지하는 펫변화감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케어모듈은,
    상기 실내 환경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측정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전송 받는 홈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홈서버는,
    상기 실내 환경 데이터와 기설정된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실내 환경의 이상 상태를 감지하는 리빙변화감지부; 및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거주지에 설치된 홈컨트롤러의 작동을 제어하는 홈컨트롤러작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
KR1020200138268A 2020-10-23 2020-10-23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 KR102412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268A KR102412945B1 (ko) 2020-10-23 2020-10-23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268A KR102412945B1 (ko) 2020-10-23 2020-10-23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919A true KR20220053919A (ko) 2022-05-02
KR102412945B1 KR102412945B1 (ko) 2022-06-24

Family

ID=81593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268A KR102412945B1 (ko) 2020-10-23 2020-10-23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9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7983B2 (en) 2020-12-10 2024-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et care system, pet care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pet care robo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155B1 (ko) 2023-03-27 2023-09-22 주식회사 상화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912B1 (ko) 2009-06-11 2009-12-28 국방과학연구소 개인휴대용 로봇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로봇제어시스템
KR20140128021A (ko) * 2013-04-26 2014-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 로봇, 홈 모니터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98621A (ko) * 2016-02-22 2017-08-30 (주)아이오텍 사물인터넷 기반의 반려동물 친구로봇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관리시스템
KR20170107341A (ko) * 2016-03-15 2017-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로봇 및 그 이동로봇의 제어 방법
KR20180087779A (ko) * 2017-01-25 2018-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로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912B1 (ko) 2009-06-11 2009-12-28 국방과학연구소 개인휴대용 로봇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로봇제어시스템
KR20140128021A (ko) * 2013-04-26 2014-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 로봇, 홈 모니터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98621A (ko) * 2016-02-22 2017-08-30 (주)아이오텍 사물인터넷 기반의 반려동물 친구로봇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관리시스템
KR20170107341A (ko) * 2016-03-15 2017-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로봇 및 그 이동로봇의 제어 방법
KR20180087779A (ko) * 2017-01-25 2018-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로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7983B2 (en) 2020-12-10 2024-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et care system, pet care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pet care rob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2945B1 (ko)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29936B (zh) 一种可控制智能家居设备的智能地板
US10796558B2 (en) Thermal management in smart doorbells
KR102412945B1 (ko)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
EP1271442B1 (en) Object status detector, object status detecting method, home electric appliances, network adopter, and media
CN106291721B (zh) 被检对象物的检测系统以及检测方法
KR101635200B1 (ko) 사물인터넷과 광대역 레이더 센싱 기술을 이용한 가정용 인텔리전트 스마트 모니터링시스템
KR20170098621A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반려동물 친구로봇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관리시스템
KR102241712B1 (ko) Iot 감지 방식의 애완동물 상태 탐지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
CN106292574B (zh) 面向公寓的远程看护系统和用于其的远程监视装置
KR20140125934A (ko) 가축 분만실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JP7291301B2 (ja) ポータブルセンサデバイスによって空間を監視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383384B1 (ko) IoT 스마트 안전 조명 및 자가 방범 시스템
US20240081652A1 (en) Animal detection
WO2019126470A1 (en) Non-invasive detection of infant bilirubin levels in a smart home environment
US20210358284A1 (en) Visible-light-image physiological monitoring system with thermal detecting assistance
JP2019003451A (ja) 見守りシステム
US11256925B2 (en)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thereof
WO2017145346A1 (ja)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システム
KR102606304B1 (ko) 공기질 상태 정보를 이용한 인공 지능 기반 실내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62754A (ko) 반려 동물 스마트 관리장치
KR102464768B1 (ko) 지능형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6255207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7325227B2 (ja)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監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0075674A1 (ja) ケアシステムの管理方法および管理装置、ならびにプログラム
WO2019009046A1 (ja) 防犯装置、室内機、空気調和システム、不審者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